KR20180093637A -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및 보안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및 보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637A
KR20180093637A KR1020170020002A KR20170020002A KR20180093637A KR 20180093637 A KR20180093637 A KR 20180093637A KR 1020170020002 A KR1020170020002 A KR 1020170020002A KR 20170020002 A KR20170020002 A KR 20170020002A KR 20180093637 A KR20180093637 A KR 20180093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deo
server
real name
encryp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2687B1 (ko
Inventor
신현해
Original Assignee
신현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해 filed Critical 신현해
Priority to KR1020170020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6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93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5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 H04N21/43853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involving multiplex stream decry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및 보안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보안시스템은 서버로부터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사진 및 동영상 촬영에 의해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켜 암호화하여 암호영상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전송하는 영상기기; 영상기기등록을 위한 기기고유번호와 사용자 실명인증을 위한 실명인증정보를 포함한 회원가입정보, 영상스트리밍요청정보, 영상편집요청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으로부터 복호화된 암호영상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회원가입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실명인증정보를 통한 실명인증 및 상기 기기고유번호를 통한 기기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실명인증정보와 상기 기기고유번호 매칭을 통해 개인고유식별정보를 할당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해당 상기 영상기기 및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영상스트리밍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스트리밍 전송하며, 상기 영상편집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된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하여 영상편집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및 보안방법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IMAGE REAL NAME SYSTEM}
본 발명은 카메라 구입후 인터넷에 연결하여 사용자의 회원가입계정에 본인실명인증과 카메라의 기기고유정보 등록하고, 실명인증정보와 기기고유정보의 매칭을 통해 고유식별번호를 생성하며 해당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켜서 저장시킴으로써 영상실명제를 구현할 수 있는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및 보안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화, 드라마 등 영상의 지적재산권 보유자가 자신의 권리를 위하여 영상의 불법복제를 방지하는 영상보안기술은 발달하였으나, 피촬영자의 영상 개인정보를 보호하기위한 영상보안기술은 발달하지 못하여 사회이슈화 되고 있다.
최근에는 무분별한 영상촬영으로 인해 사생활 침해, 초상권 침해, 몰카 명예훼손 협박 등 다양한 침해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지만, 원 촬영자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워 피해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에 따라, 영상에 대해서도 금융실명제나, 인터넷실명제와 같이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실명제의 개념이 요구되고 있다.
즉, 영상의 원 촬영자의 실명을 확인하여 불법유포 등에 의한 피해들을 책임지게 하거나, 반대로, 원 촬영자의 소유권 분쟁등에 있어서, 촬영 영상의 원 촬영자 실명 확인을 통해 영상의 저작권 등의 소유권 판단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경우 수많은 사회문제들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게 되므로 이러한 영상의 실명제가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다.
한편, 최근 어린이나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강력 범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위험한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도움을 받도록 하는 다양한 IT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거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을 스마트폰에 저장하거나 실시간으로 서버나 지인에게 송신하는 구성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2-0089141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은 위급한 상황에서 조작이 어려우며, 범죄자에게 동작이 노출되어 촬영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해, 초소형 카메라를 이용함으로써 범죄자에게 들키지 않고 범죄 상황을 알릴 수 있으나, 이러한 초소형 카메라에 의해 몰래 카메라 촬영을 하여 개인 프라이버시(privacy)를 침해하거나 불법 영상을 유포하게 되는 피해가 생기게 된다. 초소형 카메라 뿐 아니라 CCTV나 차량용 블랙박스의 경우에도 영상기기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들을 악용하고자 할 경우 동일하게 불법영상을 유포하게 될 수 있어 피촬영자의 영상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시급한 방안이 요구된다.
한편, 현대 사회의 각종 범죄와 부조리를 적발하는데 영상제보는 큰 역할을 하고 있으나, 제보접수처가 너무 많이 분산되어 있고 제보절차가 어렵고 번거로우며 목격한 것을 실명으로 제보할 경우 신변안전에 위협이 있어 영상제보가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일반 시민들이 현장에서 쉽고 편하게 목격한 것을 실명으로 촬영한 뒤, 제보의 경우에 한해서 익명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89141호
회원가입계정에 본인실명인증과 카메라의 기기고유정보 등록하고, 실명인증정보와 기기고유정보의 매칭을 통해 고유식별번호를 생성하며, 이러한 프로세서를 거친 해당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에는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켜서 저장시킴으로써 영상실명제를 구현할 수 있는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및 보안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실명 보안시스템은 서버로부터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사진 및 동영상 촬영에 의해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켜 암호화하여 암호영상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전송하는 영상기기; 영상기기등록을 위한 기기고유번호와 사용자 실명인증을 위한 실명인증정보를 포함한 회원가입정보, 영상스트리밍요청정보, 영상편집요청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으로부터 복호화된 암호영상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회원가입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실명인증정보를 통한 실명인증 및 상기 기기고유번호를 통한 기기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실명인증정보와 상기 기기고유번호 매칭을 통해 개인고유식별정보를 할당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해당 상기 영상기기 및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영상스트리밍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스트리밍 전송하며, 상기 영상편집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된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하여 영상편집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영상실명 보안방법은 a) 사용자 단말이 서버에 접속하여 영상기기을 등록을 위한 기기고유정보 및 사용자의 실명인증을 위한 실명인증정보를 포함한 회원가입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실명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실명인증과 상기 기기고유번호를 통해 해당 영상기기의 기기등록을 포함한 회원등록을 수행하며, 상기 기기고유정보 및 상기 실명인증정보를 매칭하여 고유식별번호를 할당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해당 영상기기 및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영상기기 및 사용자 단말이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영상기기가 촬영을 개시하고, 획득된 영상에 고유식별번호를 삽입한 후 암호화하여 암호영상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e) 상기 영상기기가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 단계는 상기 영상기기가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상기 서버에 다이렉트로 전송하거나, 상기 영상기기가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에 영상스트리밍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서버가 상기 영상스트리밍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 스트리밍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복호화된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에 영상편집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j) 상기 서버가 상기 영상편집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 한 후, 영상을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실명 보안시스템은 서버로부터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사진 및 동영상 촬영에 의해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기기; 영상기기등록을 위한 기기고유번호와 사용자 실명인증을 위한 실명인증정보를 포함한 회원가입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회원가입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실명인증정보를 통한 실명인증 및 상기 기기고유번호를 통한 기기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실명인증정보와 상기 기기고유번호 매칭을 통해 고유식별정보를 할당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해당 상기 영상기기 및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기기, 상기 사용자 단말, 상기 서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영상기기에서 획득된 영상에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키고 암호화하여 암호영상파일을 생성시키고 저장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기기는 획득된 영상에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키고 암호화하여 암호영상파일을 생성하고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기기는 획득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키고 암호화하여 암호영상파일을 생성하고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기기는 획득된 영상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키고 암호화하여 암호영상파을 생성하고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에 영상스트리밍요청정보 또는 상기 영상편집요청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영상스트리밍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스트리밍 전송하며, 상기 영상편집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된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하여 영상편집을 수행하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회원가입시 사용자 본인실명인증과 더불어 구매한 카메라 영상기기의 기기고유정보를 통해 기기등록하며, 이 본인실명인증정보와 기기고유정보의 매칭을 통해 개인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하고 할당하며, 등록된 영상기기에서 획득된 영상에 개인고유식별정보를 포함시키고 암호화하여 암호영상파일을 저장시키는 방식이므로, 영상촬영자에 대한 실명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실명제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영상실명제 구현을 통해 영상 촬영자의 실명을 확인하여 불법유포 등에 의한 피해들을 책임지게 하거나, 촬영자의 소유권 분쟁등에 있어서, 촬영 영상의 소유권판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투명한 영상관리를 통한 영상산업전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서버에 저장된 암호영상파일은 사용자단말의 편집요청에 의해 서버내에서만 복호화된 후 영상편집할 수 있는 형태로서 파일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고유식별번호의 훼손없이 영상실명제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실명 보안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실명 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블록도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실명 보안시스템을 이용한 영상실명 보안방법의 각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실명 보안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및 보안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실명 보안시스템(이하, '보안시스템'이라 함)(10)은 영상기기(10), 사용자단말(20), 서버(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기기(10), 사용자단말(20), 서버(30)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호 통신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영상기기(10)는 장기녹화용 카메라장치, 단기녹화용 카메라장치 등을 포함하여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촬영기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장기녹화용 카메라장치는 획득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DVR(Digital Video Recorder)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기기(10)는 기기고유정보를 서버(30)에 전송하고, 서버(30)부터 고유식별번호를 할당받아 저장하며, 획득된 영상에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켜 암호화하여 암호영상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암호영상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기기(10)는 각 기능에 따라 인증, 기기등록, 영상획득, 영상저장, 파일송신, 암호화모듈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증모듈은 서버(30)에 접속하고 인증하며, 기기등록모듈은 기기등록과정시 서버(30)로부터 고유식별번호를 할당받아 저장하고 서버(30)에 기기고유정보를 전송하며, 영상획득모듈은 영상을 획득하고, 암호화모듈은 획득된 영상에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하여 암호화시켜 암호영상파일을 생성시키고, 영상저장모듈은 암호영상파일을 생성시키며, 파일송신모듈은 암호영상파일을 전송하며, 파일전송시 무결성 확인정보를 같이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단말(20)은 pc,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은 사용자 실명인증을 위한 실명인증정보를 포함한 회원가입정보, 영상스트리밍 요청정보, 영상편집요청정보를 서버(30)에 전송하며, 서버(30)로부터 복호화된 암호영상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단말(20)은 기능에 따라 인증모듈, 스트리밍모듈, 영상편집모듈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각 모듈들은 앱 이나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그리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된 형태로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인증모듈은 지정된 서버(30)에 접속하고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스트리밍모듈은 서버(30)에 접속해 영상 스트리밍을 받아 재생하며, 영상편집모듈은 서버(30)에 접속하여 서버(30)내에서 영상편집이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버(30)는 회원가입정보를 수신하여 실명인증정보를 통해 실명인증하고 회원등록을 수행하며, 기기고유정보를 수신하고, 기기고유정보와 실명인증정보의 매칭을 통해 고유식별번호를 할당생성하고, 생성된 고유식별번호를 영상기기(10)에 전송하여 할당하며, 영상기기(10)로부터 암호영상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단말(20)로부터 영상스트리밍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영상파일을 사용자단말(20)에 스트리밍전송하며, 영상편집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된 암호영상파일의 영상편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30)는 각 기능에 따라 인증, 등록, 파일 송수신, DB관리, 영상획득, 영상저장, 스트리밍, 영상편집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서버(30)는 모든 작업행위가 로그로 기록되며 관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30)에서 인증모듈은 클라이언트(영상기기, 사용자단말)의 접속시 인증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단말(20)로부터 실명인증정보(사용자 실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등)를 포함한 회원가입정보를 전달받아 실명인증 및 회원등록을 수행한다. 등록모듈은 영상기기(10)로부터 기기고유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영상기기의 기기등록을 수행하며, 수신된 기기고유정보와 실명인증정보의 매칭을 통해 고유식별번호를 할당생성한다. 파일송수신모듈은 클라이언트(영상기기, 사용자단말)에서 전송되는 암호영상모듈을 수신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획득모듈은 DVR이 구비되지 않은 단기 녹화용 영상기기의 영상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영상저장모듈은 단기녹화용 영상기기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하여 파일로 저장한다. 스트리밍모듈은 사용자단말(20)로부터 영상조회 및 영상스트리밍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영상을 스트리밍으로 제공한다. 영상편집모듈은 사용자단말(20)로부터 영상편집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영상편집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M관리모듈은 사용자 정보(기기고유번호, 실명인증정보, 회원가입정보), 영상기기 등록정보, 영상파일의 정보 등을 DM관리하며, 복호화모듈은 사용자단말(20)에 영상스트리밍을 제공하기 위해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고유식별번호는 영상파일내에 숨겨진 형태로 존재하도록 삽입된 형태와 영상의 재생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워터마크 형태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실명 보안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영상실명 보안방법은 크게, 실명인증 및 영상기기 등록과정, 촬영과정, 영상서비스 과정, 파일편집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과 같이, 사용자단말(20)이 서버(30)에 접속하여 구매한 영상기기(10)의 기기등록을 위한 기기고유정보(제품시리얼번호 등)와 사용자의 실명인증을 위한 실명인증정보를 포함하는 회원가입정보를 서버(30)에 전송하면, 서버(30)는 실명인증정보를 통해 사용자 실명인증을 수행하고, 기기고유정보를 기기등록하며, 실명인증정보와 기기고유정보를 매칭하고 이에 대한 고유식별번호를 할당생성하며 생성된 고유식별번호를 영상기기(10)에 전송한다(S11,S12). 서버(30)는 실명인증정보, 기기등록정보를 포함하는 회원가입정보, 생성된 고유식별번호는 DM관리한다(S13).
이렇게 생성된 고유식별번호는 서버(30)로부터 영상기기(10)와 사용자단말(20)에 전송되어, 해당되는 영상기기(10) 및 사용자단말(20)에 수신되어 저장되게 된다.
이렇게 고유식별번호가 영상기기(10)에 저장된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영상기기(10)는 촬영을 개시하여 영상을 획득하고(S21), 획득된 영상에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켜 암호화하여 암호영상파일을 생성시키고 저장한다(S22,S23).
영상기기(10)는 암호영상파일을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S24). 이때, 영상기기(10)는 암호영상파일 전송시 해쉬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는 영상기기(10)와 접속된 상태에서, 영상기기(10)의 기기고유번호를 확인하여 등록여부를 확인한다(S31).
서버(30)는 영상기기(10)로부터 전송된 암호영상파일과 해쉬를 수신하며(S32,S33), 수신된 암호영상파일과 해쉬를 DM에 저장한다(S34)
상기에서 영상기기(10)로부터 서버(30)로 전송되는 암호영상파일은 인터넷망을 통해 영상기기(10)에서 서버(30)로 다이렉트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영상기기(10)에서 전송된 암호영상파일이 사용자단말(20)에 전송되고, 사용자단말(20)이 암호영상파일을 수신하는 중계방식을 통해 서버(30)에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영상기기(10)로부터 암호영상파일이 사용자단말(30)에 의해 중계되어 서버(30)에 전송되는 경우, 영상기기(10)는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단말(30)에 암호영상파일을 전송할 수도 있고,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통신등을 통해 사용자단말(30)에 암호영상파일이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영상기기(10)가 획득된 영상에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켜 암호영상파일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기기(10)가 획득된 영상을 사용자단말(20)에 전송하고, 사용자단말(20)이 영상에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켜 암호영상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20)은 생성한 암호영상파일을 서버(30)에 전송하고, 서버(30)가 암호영상파일을 수신하여 DM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영상기기(10)가 획득된 영상을 서버(30)에 전송하면, 서버(30)가 영상에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켜 암호영상파일을 생성하여 DM에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기기(10)에서 획득된 영상에 영상기기의 기기고유정보와 사용자의 실명인증정보를 매칭하여 생성된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켜 암호화하는 형태이므로, 영상실명제를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유식별번호의 임의적 훼손을 막고 또한 제3자의 해킹에 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버(30)에 저장된 암호영상파일을 사용자단말(20)을 통해 스트리밍 재생되는 영상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사용자단말(20)이 영상조회요청을 서버(30)에 전송하고(S41), 스트리밍 영상송신요청정보를 서버(30)에 전송한다(S42).
서버(30)는 영상조회요청을 수신하여 영상조회를 수행하고(S51), 스트리밍 영상송신요청정보를 수신하여(S52), 해당 영상파일을 복호화하고(S53), 복호화된 영상파일을 사용자단말(20)에 스트리밍 전송한다(S54).
사용자단말(20)은 서버(30)에서 스트리밍 전송되는 복호화된 영상파일을 스트리밍 수신하고(S43), 수신된 영상파일을 재생한다(S44).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20)의 요청에 의해서만 서버(30)에서 암호영상파일이 복호화되고, 복호화된 영상파일이 스트리밍 전송되어 사용자단말(20)에서 스트리밍 재생되는 형태이므로, 파일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고유식별번호의 훼손없이 영상실명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30)에 저장된 암호영상파일을 사용자단말(20)을 통해 영상편집할 수 있는 영상편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사용자단말(20)이 영상조회요청을 서버(30)에 전송하고(S61), 영상편집요청정보를 서버(30)에 전송한다(S62).
서버(30)는 영상조회요청을 수신하여 영상조회를 수행하고(S71), 해당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하며(S72), 영상편집요청정보를 수신하여 복호화된 영상파일을 영상편집하고, 편집된 영상파일을 다시 암호화하여 편집된 암호영상파일을 생성한다(73).
사용자단말(20)이 영상편집완료를 서버(30)에 요청하면, 서버(30)는 편집에 대한 변경이력 및 편집된 암호영상파일을 DM에 저장하고 관리한다(S74).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영상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단말(20)을 통해 서버(30)에 접속하여, 사용자단말(20)을 이용해 서버(30) 내에서만 영상파일을 편집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파일유출이 없으므로, 고유식별번호의 훼손없이 영상실명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영상기기(10), 사용자단말(20), 서버(30), 구조센터서버(40), 제보처서버(50)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기기(10)가 사용자의 몸이나, 옷, 모자 또는 가방에 부착또는 소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카메라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영상기기(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반촬영모드 또는 긴급촬영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 형태가 될 수 있다. 긴급촬영모드는 범죄가 확실하다고 판단되는 아주 긴박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영상기기(10)는 진동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긴급촬영모드시 촬영된 영상이 정상적으로 송신되는 경우, 진동자를 작동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정상적인 영상송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인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영상기기(10)는 긴급촬영모드시 획득된 영상에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켜 암호영상파일을 생성한 후, 사용자단말(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은 긴급촬영모드시 암호영상파일을 영상기기(20)로부터 수신하고, 실시간으로 서버(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30)는 긴급촬영모드시 사용자단말(20)로부터 전송된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한 후, 복호화된 영상파일을 경찰, 119소방서 등의 구조센터서버(40)에 전송해 줌으로써, 구조센터서버(40)는 이 복호화된 영상파일을 수신하여 재생되도록 구성함으로서, 경찰이나 소방대원이 이 재생되는 영상을 확인하여 재난상황, 범죄상황 등의 위급상황이라고 판단된 경우, 신속하게 구조활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긴급촬영모드에 의해 촬영자가 범죄와 같은 긴급상황에 노출된 경우, 서버(30)를 통해 구조센터서버(40)에 영상을 제공해 줌으로써, 신속하게 구조를 할 수 있어 촬영자가 범죄와 같은 긴급상황에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고, 사건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20)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실명제보모드와 익명제보모드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은 실명제보모드시 서버(30)에 실명제보요청정보를 전송하고, 서버(30)는 실명제보요청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영상파일을 국민신문고, 공익위원회, 언론사, 국세청, 국민권익윈원회, 경찰청 등의 인증된 기관서버와 같은 제보처서버(50)로 송신하여 제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단말(20)은 익명제보모드시, 서버(30)에 익명제보요청정보를 전송하고, 서버(30)는 익명제보요청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하고 영상파일에서 고유식별번호를 삭제하여, 고유식별번호가 삭제된 영상을 제보처서버(50)로 송신하여 제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보처서버(50)는 서버(30)로부터 제보된 영상을 저장하며, 저장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제보영상을 바탕으로 감사나 수사에 착수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20)의 실명제보모드나 익명제보모드를 통해 실명 또는 익명 형태의 제보를 할 수 있어, 공익에 위배되거나 사건사고의 범죄현장 등에 대한 제보를 장려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영상기기
20...사용자단말
30...서버

Claims (10)

  1. 서버로부터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사진 및 동영상 촬영에 의해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켜 암호화하여 암호영상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전송하는 영상기기;
    영상기기등록을 위한 기기고유번호와 사용자 실명인증을 위한 실명인증정보를 포함한 회원가입정보, 영상스트리밍요청정보, 영상편집요청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으로부터 복호화된 암호영상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회원가입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실명인증정보를 통한 실명인증 및 상기 기기고유번호를 통한 기기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실명인증정보와 상기 기기고유번호 매칭을 통해 개인고유식별정보를 할당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해당 상기 영상기기 및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영상스트리밍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스트리밍 전송하며, 상기 영상편집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된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하여 영상편집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2. a) 사용자 단말이 서버에 접속하여 영상기기을 등록을 위한 기기고유정보 및 사용자의 실명인증을 위한 실명인증정보를 포함한 회원가입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실명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실명인증과 상기 기기고유번호를 통해 해당 영상기기의 기기등록을 포함한 회원등록을 수행하며, 상기 기기고유정보 및 상기 실명인증정보를 매칭하여 고유식별번호를 할당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해당 영상기기 및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영상기기 및 사용자 단말이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영상기기가 촬영을 개시하고, 획득된 영상에 고유식별번호를 삽입한 후 암호화하여 암호영상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e) 상기 영상기기가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실명 보안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영상기기가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상기 서버에 다이렉트로 전송하거나, 상기 영상기기가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실명 보안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f)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에 영상스트리밍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서버가 상기 영상스트리밍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 스트리밍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복호화된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실명 보안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i)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에 영상편집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j) 상기 서버가 상기 영상편집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 한 후, 영상을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실명 보안방법.
  6. 서버로부터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사진 및 동영상 촬영에 의해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기기;
    영상기기등록을 위한 기기고유번호와 사용자 실명인증을 위한 실명인증정보를 포함한 회원가입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회원가입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실명인증정보를 통한 실명인증 및 상기 기기고유번호를 통한 기기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실명인증정보와 상기 기기고유번호 매칭을 통해 고유식별정보를 할당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해당 상기 영상기기 및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기기, 상기 사용자 단말, 상기 서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영상기기에서 획득된 영상에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키고 암호화하여 암호영상파일을 생성시키고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는 획득된 영상에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키고 암호화하여 암호영상파일을 생성하고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는 획득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키고 암호화하여 암호영상파일을 생성하고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실명 보안시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는 획득된 영상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포함시키고 암호화하여 암호영상파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에 영상스트리밍요청정보 또는 상기 영상편집요청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영상스트리밍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스트리밍 전송하며, 상기 영상편집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된 상기 암호영상파일을 복호화하여 영상편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KR1020170020002A 2017-02-14 2017-02-14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및 보안방법 KR101902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002A KR101902687B1 (ko) 2017-02-14 2017-02-14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및 보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002A KR101902687B1 (ko) 2017-02-14 2017-02-14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및 보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637A true KR20180093637A (ko) 2018-08-22
KR101902687B1 KR101902687B1 (ko) 2018-11-07

Family

ID=6345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002A KR101902687B1 (ko) 2017-02-14 2017-02-14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및 보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6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9141A (ko) 2011-02-01 2012-08-09 성현규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4427A (ja) * 2002-01-08 2003-07-18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画像データの処理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04312267A (ja) * 2003-04-04 2004-11-04 Sony Corp 画像伝送システム,撮像装置,撮像装置ユニット,鍵生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50736B1 (ko) * 2014-04-04 2015-09-09 권태영 홈 cctv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9141A (ko) 2011-02-01 2012-08-09 성현규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687B1 (ko)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9774B2 (en)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of smartphone imagery
US8364956B2 (en) Security management server and image data managing method thereof
KR101867215B1 (ko) 카메라 영상 불법 유출 방지 및 실시간 재난/범죄 대처를 위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2361088B1 (ko) 영상 공유 방법
US77740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device information with digital images
WO2004105383A1 (ja) 撮像システム
KR102066778B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영상 송신 장치 및 영상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
JPWO2006115156A1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撮影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
TW201126373A (en) Method for restricting access to media data generated by a camera
JP2017505592A (ja) 監視映像の処理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522311B1 (ko)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
US8272063B2 (en) DRM scheme extension
WO2017026356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復元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復元方法
US201002596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US20180225428A1 (en) Secure recording and rendering of encrypted multimedia content
JP6671627B2 (ja) プライバシ保護を可能とするカメラシステム
JP4112509B2 (ja) 画像暗号システム及び画像暗号方法
KR101902687B1 (ko)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및 보안방법
JP2008028575A (ja) 受信装置
KR101731012B1 (ko) 개인영상정보 반출 관리시스템
Choi et al. A distributed cloud based video storage system with privacy protection
KR20200090397A (ko) 실시간으로 암호화 된 영상정보를 복호화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569487B1 (ko) 외부 잡음원으로부터 불규칙적인 암호키를 생성하는 cctv 영상 데이터 암호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530463B1 (ko) 보행자 얼굴 검출 정보를 매개로 한 영상 보안 장치 및 그 방법
JP2014112773A (ja) デジタル画像情報の証拠力を高める方法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