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311B1 -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311B1
KR101522311B1 KR1020150004264A KR20150004264A KR101522311B1 KR 101522311 B1 KR101522311 B1 KR 101522311B1 KR 1020150004264 A KR1020150004264 A KR 1020150004264A KR 20150004264 A KR20150004264 A KR 20150004264A KR 101522311 B1 KR101522311 B1 KR 101522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urveillance camera
preview
user
monitor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용
최승현
이승수
안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이노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이노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Priority to KR1020150004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04N21/4545Input to filtering algorithms, e.g. filtering a region of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감시카메라 영상에서 사람의 숫자, 안면 인식, 차량 번호 인식, 화면 변화 등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의 정지 영상들을 추출하고 이들로 구성되는 미리보기 영상을 구성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보안 등급을 결정하되,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 내에 나타나면 왜곡시켜야 하는 보호대상 범위가 상기 사용자 보안 등급에 따라 결정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의 정지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되, 상기 이벤트는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이 사전에 정해진 조건에 부합하도록 영상의 이미지가 변화되는 것인 미리보기 생성부;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을 암호화하되, 상기 결정된 보호대상 범위에 따라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 내에서 나타나는 보호대상의 이미지 영역을 왜곡시켜 암호화하는 영상암호부;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을 촬영한 감시카메라의 위치 및, 촬영시간에 의하여 검색하고, 검색된 감시카메라 영상의 정지영상들로 구성한 미리보기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감시카메라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여, 반출 영상에서 사람 숫자, 안면 인식, 차량번호 인식 등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의 정지 영상들로 미리보기 영상을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반출자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영상만을 반출하여 반출되는 영상의 양을 줄일 수 있고, 그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그만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 { A carrying-out system for images of the closed-circuit television with preview function }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 영상을 외부에 반출할 때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상기 영상을 암호화하여 보관/배포 하고 반출 절차를 시스템화하고 전용 플레이어에 의해서만 반출된 영상을 열람하게 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감시카메라 영상의 반출 절차를 체계화하되, 반출 영상의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하여 필요한 영상만을 반출할 수 있게 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감시카메라(CCTV) 시스템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장소의 영상정보를 제공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한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회 안전과 시민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반의 감시카메라(CCTV) 시스템 설치 및 운용이 전반에 확대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계는 방범용과 교통용, 쓰레기 무단투기용 등 다양한 형태로 감시카메라(CCTV)를 설치하고 있다. 그밖에도 국가행정기관이나 각급 학교, 특별법에 의한 특수법인, 지방공사 및 공단 등에서도 개별적으로 CCTV를 운영하고 있다. 각 기관별로 개별적으로 구축되는 CCTV를 이용한 관제시스템을 통합하여, 통합관제센터가 구축되는 추세이다.
즉, 다기능 감시카메라(CCTV) 및 특수목적 감시카메라의 영상자료는 통합관제센터의 저장장치에 저장 및 관리되고 있다. 예를들어, 방범용, 불법주정차 단속용, 쓰레기 무단투기 단속용, 자전거 보관소 관리용, 시설물 관리용, 재난 재해 관리용 등이 그것이다.
저장된 CCTV 영상자료는 관계기관의 요청 또는 개인정보보호 주체자에 의해 필요시 제공되고 있다. 저장된 영상을 제공시, 영상자료 반출 절차에 의해 반출된다. 영상자료 반출시, 시스템에 영상자료 반출에 대한 기록이 남는다.
하지만, 종래 통합관제센터의 영상 반출 시스템은 CCTV 영상반출과정에 대한 기록 등 영상 반출에 대한 기록을 상세히 기록하지 않는다. 또한, CCTV 영상반출에 대한 통계 등에 대한 산출이 되지 않는다. 또한, CCTV 영상반출후 반출된 CCTV 영상의 파기에 대해서 알 수 없다. 예를들어, 반출된 CCTV 영상은 외장 하드 등에 담겨 반출되기 때문에,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면 반출자에게 반출 영상을 삭제하도록 요청하나 실질적으로 잘 지켜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반출된 감시카메라(CCTV) 영상은 복사되어 제3자에게 제공될 위험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반출 영상을 암호화하여 제공하고, 사전에 승인된 재생 횟수 또는 재생 기간 동안 내에서만 반출 영상을 열람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3]. 또한, 사람의 얼굴이나 자동차 번호판 등을 모자이크 처리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개인정보를 위해 너무 많이 모자이크를 처리하기 때문에, 반출자가 제대로 감시카메라 영상을 분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출자는 반출 절차가 까다롭기 때문에 한번에 많은 영상을 반출할 가능성도 많다. 즉, 반출자가 원하는 영상 외에 불필요한 영상도 많이 반출하기 때문에, 그만큼 개인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045300호(2011.06.23. 등록)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2010-0052216호(2010.06.03. 공개)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388685호(2014.04.2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감시카메라 영상의 반출 절차를 체계화하되, 반출 영상의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하여 필요한 영상만을 반출할 수 있게 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시카메라 영상에서 사람의 숫자, 안면 인식, 차량 번호 인식, 화면 변화 등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의 정지 영상들을 추출하고 이들로 구성되는 미리보기 영상을 구성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출 신청의 보안 등급이나 반출 목적에 따라 이벤트를 달리 설정하여 정지 영상들을 추출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구성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출 신청의 보안 등급에 따라 감시카메라 영상에서 사람의 안면, 차량 번호, 상호/이름 등 보호 대상 속성 중 전체 또는 일부만을 모자이크 처리하여 제공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 영상을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신청에 따라 상기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보안 등급을 결정하되,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 내에 나타나면 왜곡시켜야 하는 보호대상 범위가 상기 사용자 보안 등급에 따라 결정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의 정지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되, 상기 이벤트는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이 사전에 정해진 조건에 부합하도록 영상의 이미지가 변화되는 것인 미리보기 생성부;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을 암호화하되, 상기 결정된 보호대상 범위에 따라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 내에서 나타나는 보호대상의 이미지 영역을 왜곡시켜 암호화하는 영상암호부;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을 촬영한 감시카메라의 위치 및, 촬영시간에 의하여 검색하고, 검색된 감시카메라 영상의 정지영상들로 구성한 미리보기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감시카메라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의 종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보호대상 범위는 상기 보호대상 종류의 전체집합의 부분집합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생성부는 상기 정지영상에서 보호대상이 나타나는 경우, 나타난 보호대상 종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모든 보호대상 범위 각각에 대하여 정지영상들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검색부는 상기 결정된 보호대상 범위에 해당하는 정지영상들로 구성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생성부는 상기 정지영상 중 상기 결정된 보호대상 범위에 속하는 보호대상과 관련된 이벤트의 정지영상을 제외하여 상기 미리보기 영상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생성부는 검색된 감시카메라 영상 내에서 상기 정지영상의 시간 구간이 어느 위치인지를 나타내는 타임 테이블을 상기 미리보기 영상 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은 사람의 안면, 차량번호, 상호/이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감시카메라 영상에 대하여 반출 횟수를 기록하되, 각 감시카메라 별로 신청 횟수 또는 반출된 영상의 전체시간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누적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누적값에 따라 각 감시카메라의 색상을 달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암호부는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을 암호화하되, 다운로드 만료일, 재생 횟수, 재생 만기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상 재생 제한 조건을 추가하고, 상기 전송된 감시카메라 영상은 영상전용 플레이어에 의해 재생되되, 상기 영상전용 플레이어에 의해 상기 영상 재생 제한 조건 내에서만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에 의하면, 반출 영상에서 사람 숫자, 안면 인식, 차량번호 인식 등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의 정지 영상들로 미리보기 영상을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반출자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영상만을 반출하여 반출되는 영상의 양을 줄일 수 있고, 그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그만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에 의하면, 반출 목적에 따라 이벤트를 달리 설정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구성함으로써, 반출자의 반출 목적에 맞는 미리보기 영상을 제공하여 반출자가 쉽게 자신이 원하는 영상을 선택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에 의하면, 반출자의 신청 등급에 의하여, 안면, 차량번호, 이름상호 등 보호 대상 속성 중 특정 속성만을 선택적으로 모자이크 처리하여 제공함으로써, 개인정보 보호와 반출자의 반출 목적이 서로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세부구성의 일례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반출 시스템의 인증 화면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반출 시스템의 감시카메라 영상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표시한 시간 테이블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반출 시스템의 지도 상에 표시된 감시카메라 위치 화면에 대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반출 시스템의 신청 화면에 대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반출 시스템에서 신청 승인/거절이 확정된 신청 목록에 대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및, 영상반출 서버(3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0), 관리자 단말(50), 및, 영상반출 서버(30)는 인터넷 등 네트워크(20)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에는 영상을 재생시키는 영상전용 플레이어(1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감시카메라 영상 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PC, 노트북, 넷북, PDA,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통상의 컴퓨팅 단말기이다. 사용자 단말(10)에는 반출한 감시카메라 영상을 재생시키는 영상전용 플레이어(11)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영상반출 서버(30)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감시카메라 영상을 신청하고, 신청한 영상이 반출되면 이를 다운로드 받는다. 신청한 영상은 암호화되어 반출되고, 영상전용 플레이어(11)는 암호화된 영상을 복호화하여 사용자 단말(10)에서 재생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영상반출 서버(30)에 접속한 채로, 온라인 상으로 신청한 영상을 재생하여 볼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경찰이나 검찰과 같이 수사기관이나 사법기관의 담당자일 수도 있고, 불법 쓰레기 투기나 불법주정차를 관리하는 행정기관의 담당자일 수도 있다.
영상반출 서버(30)는 일종의 웹서버 또는 웹서비스 서버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10)에게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특히, 서버(30)는 처리된 결과를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통해 전송 받는다. 상기 웹페이지는 단순한 텍스트, 이미지, 멀티미디어 등 이외에도 웹 어플리케이션 등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 소프트웨어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와 같은 기술은 본 분야의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영상반출 서버(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특정 감시카메라 영상의 반출이 요청되면, 반출 대상인 감시카메라 영상을 암호화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한다. 특히, 영상반출 서버(30)는 사용자의 등급 또는 신청 등급에 따라 감시카메라 영상에서 사람의 안면, 차량번호 등 개인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모자이크 처리하여 암호화한다. 또한, 영상반출 서버(30)는 암호화된 영상에 대하여 재생 횟수나 재생기간을 특정기간으로 제한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50)은 관리자가 이용하는 PC, 노트북, 태블릿PC 등의 통상의 컴퓨팅 단말기이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50)을 이용하여, 감시카메라 영상의 반출 신청에 대하여, 신청의 내용을 검토하여 승인이나 거절 등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50)은 영상 반출 신청에 대한 보안 등급을 정할 수 있다.
영상전용 플레이어(11)는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시스템으로서, 감시카메라 영상을 재생하는 전용 플레이어다. 즉, 감시카메라 영상은 영상전용 플레이어(11)에 의해서만 재생시킬 수 있다. 한편, 영상전용 플레이어(11)는 사용자 단말(10)에 사전에 설치되거나, 영상반출 서버(30)로부터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될 수 있다.
영상전용 플레이어(11)는 암호화된 감시카메라 영상을 복호화하여 재생한다. 이때, 감시카메라 영상에 부가된 재생 제한 정보에 의하여 재생을 제한한다. 즉, 영상전용 플레이어(11)는 재생 횟수나 재생시간, 또는 현재시간 등을 체크하여, 감시카메라 영상에 제한된 재생횟수, 재생시간, 재생기간 등 재생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의 재생을 제한한다.
데이터베이스(40)는 감시카메라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DB(41), 사용자의 아이디, 보안등급 등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DB(42), 및, 감시카메라 영상의 반출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반출통계DB(43)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감시카메라 영상은 폐쇄회로 TV(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다. 감시카메라는 여러 장소에 설치되고, 각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수집되어,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저장된다. 특히, 감시카메라 영상은 촬영된 장소(또는 촬영 위치), 촬영시간, 해상도 등 영상에 대한 정보(또는 메타 정보)들이 함께 기록된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의 다른 실시예로서, 보안영역과 비보안영역으로 구분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은 비 보안영역에 구비된 웹서버에 접속하여, 영상 반출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웹서버가 보안영역 내에 위치한 WAS 서버에 접속하여 감시카메라 영상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은 직접적으로 보안영역 내에 위치한 WAS 서버나 DB 서버 등에 접근하지 못한다. 이를 통해, 외부 침입자에 의해 영상반출 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은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31), 감시카메라 영상에 대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생성하는 미리보기 생성부(32), 반출할 영상을 암호화하는 영상암호부(33), 반출할 영상을 검색하는 영상검색부(34), 감시카메라 영상에 대한 반출 신청을 처리하는 반출신청 처리부(35), 신청된 영상을 반출하여 전송하는 영상전송부(36), 및, 영상 반출에 대한 통계를 처리하는 반출통계 처리부(37)로 구성된다.
사용자 인증부(31)는 접속하여 반출영상을 신청하는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처리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 또는 공인인증서 등으로 사용자를 인증한다. 도 4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와 같이, 아이디 및 비밀번호, 휴대폰 인증번호에 의한 인증 등에 의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등록시 보안 등급을 설정한다. 이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보안 등급은 반출할 영상 내에 포함된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수준(또는 보호대상 범위)을 결정하는 등급이다. 감시카메라 영상은 사람의 안면, 차량번호, 상호/이름 등 개인정보와 관련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정보 관련 이미지들은 무분별하게 노출되면, 개인정보 보호에 위배되기 때문에, 감시카메라 영상 내에서 모자이크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법주정차 단속을 위하여 감시카메라 영상을 반출하는 경우에는, 차량번호는 모자이크 처리되지 않아야 하나, 사람의 안면은 모자이크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검찰이나 경찰 등 수사 의뢰인 경우, 범인 또는 용의자의 얼굴을 추적하거나, 용의자 차량 번호를 추적해야 하기 때문에, 사람의 안면이나 차량번호 모두 모자이크 처리가 되지 않아야 한다.
즉, 사람의 안면, 차량번호, 상호/이름 등은 감시카메라 영상에서 개인정보보호를 위하여 보호되어야 할 보호 대상들이다. 이들 보호 대상이 노출되면 개인정보 침해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해당 보호 대상의 이미지가 식별이 불가하도록 해당 영상 영역을 왜곡 처리(예를 들어 모자이크 처리 등) 한다. 그러나 반출 목적에 따라 보호 대상의 이미지를 정상적인 이미지로 제공되어야 한다. 보호 대상 범위는 이미지 왜곡을 시켜야 하는 보호 대상들에 대한 범위를 말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등급 또는 반출 목적에 의하여 보안 등급이 결정되어, 필요한 한도 내에서만 개인정보 등 보호 대상 이미지들을 모자이크 처리한다. 즉, 반출 목적이나 보안 등급에 따라 보호대상 범위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보안 등급에 따라 영상 내의 보호 대상 범위가 결정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보안 등급이 낮더라도 그 이상의 보안 등급에 대한 승인을 관리자로부터 획득하면, 획득된 보안 등급에 따라 영상 내의 보호 대상 범위가 결정된다.
한편, 보호대상 범위는 보호대상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여러 가지가 만들어질 수 있다. 앞서의 예에서 보호 대상이 사람의 안면, 차량번호, 상호/이름의 3가지인 경우, 보호대상의 범위는 {}. {사람의 안면}, {차량번호}, {상호/이름}, {사람의 안면, 차량번호}, {사람의 안면, 상호/이름}, {차량번호, 상호/이름}, {사람의 안면, 차량번호, 상호/이름}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보호대상 범위는 보호대상들의 전체 집합의 부분집합들로 구분된다.
미리보기 생성부(32)는 감시카메라 영상 중에서 일부 정지영상들을 추출하여, 추출된 정지영상으로 구성된 미리보기 영상을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일부 동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되는 동영상은 1분 - 3분 이내의 짧은 영상들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미리보기 생성부(32)는 사람의 숫자, 안면 인식, 차량 번호 인식, 화면 변화 등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의 정지 영상들을 추출하고, 이들 정지 영상들로 구성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이벤트는 사람의 숫자가 변화하는 경우, 사람의 안면이 인식되는 경우, 차량번호가 인식되는 경우, 상호/이름이 인식되는 경우, 영상 이미지에서의 픽셀의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등 사전에 정해진 기준에 의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미리보기 생성부(32)는 감시카메라 영상에 대하여 이벤트 기준에 따라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영상에 대한 이벤트를 기록하여 사전에 저장해둔다. 이때, 이벤트에 대하여 해당 감시카메라, 이벤트 발생시간, 이벤트 발생시 정지영상, 이벤트 내용 등을 기록하여 저장한다. 이벤트 내용은 차량번호를 인식한 경우 차량번호(또는 차량번호를 일부만 인식한 경우에는 일부 인식 등 세부적인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사람의 숫자 등에 대한 정보들이다.
또한, 미리보기 생성부(32)는 이벤트가 보호대상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에는, 보호대상, 또는 보호대상의 종류도 함께 기록한다. 예를 들어, 사람의 안면은 보호대상이므로, 사람의 안면이 인식되는 이벤트이면 해당 이벤트가 "사람의 안면"에 대한 보호대상과 관련된 것임을 함께 기록한다. 즉, 해당 이벤트의 관련 보호대상을 함께 기록한다.
도 5는 감시카메라의 영상의 시간 축에 대하여 각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을 표시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와 같이, 사전에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들 이벤트 및 이벤트의 내용을 기록하고, 해당 지점의 정지영상을 추출하여 저장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미리보기 생성부(32)는 이벤트의 정지영상에 대하여, 해당 이벤트의 관련 보호대상들의 각 보호대상 범위 별로 정지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이벤트의 관련 보호대상이 "사람의 안면" 하나이면, 인식된 "사람의 안면"이 왜곡된 정지영상과, 왜곡되지 않은 정상 영상을 각각 생성한다. 또한, 이벤트의 관련 보호대상이 "사람의 안면"과 "차량번호"로 2가지이면, 정상 영상, "사람의 안면"만 왜곡된 영상, "차량번호"만 왜곡된 영상, "사람의 안면 및 차량번호" 모두가 왜곡된 영상의 정지영상을 각각 생성한다.
다음으로, 영상암호부(33)는 감시카메라 영상 중에서 반출할 영상을 암호화한다. 상기 반출영상을 암호화할 때, 암호화된 반출영상의 다운로드 만료일, 암호화된 반출영상의 재생 허용 횟수 및 암호화된 반출영상의 재생허용일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암호화된 반출영상이 재생을 위해 다운로드될 때, 다운로드 만료일이 경과되면 해당 암호화된 반출영상은 다운로드가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된 반출영상이 영상전용 플레이어(11)에서 재생될 때, 재생허용횟수를 초과하면 해당 암호화된 반출영상은 재생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된 반출영상이 재생될 때, 재생허용일시가 경과되면 해당 암호화된 반출영상은 재생이 불가능하다.
또한, 영상암호부(33)는 반출 영상에서 보호대상 이미지 영역을 왜곡시켜 암호화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호대상은 사람의 안면, 차량번호, 상호/이름 등이다. 반출 영상에 대하여 보호대상의 범위가 정해지면, 보호대상 범위에 속하는 보호대상들에 대하여 해당 이미지 영역들을 모자이크 등으로 왜곡시켜, 식별이 불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보호대상의 범위가 {사람의 안면, 상호/이름}이면, "사람의 안면" 이미지 영역과, "상호/이름"이 나타나는 이미지 영역을 선택적으로 왜곡시킨다. 그외 나머지 영역은 정상적으로 보이도록 원본 그대로 둔다. 즉 "차량번호"도 보호대상 후보이나, 보호대상 범위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왜곡시키지 않고 그대로 둔다.
다음으로, 영상검색부(34)는 사용자가 원하는 감시카메라 영상을 검색할 수 있도록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영상검색부(32)는 감시카메라 영상에 대하여 감시카메라의 설치 위치 및, 시간에 의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감시카메라의 설치 위치 또는 감시카메라 영상의 좔영 위치는 지도 상에 표시되거나, 주소나 명칭 등 검색어에 의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6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상검색부(32)는 지도 화면과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된 감시카메라(CCTV 카메라)의 위치들을 표시한다. 도 6의 좌측 화면과 같이, 주소나 명칭 등에 의해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한, 감시카메라의 위치가 정해지면, 해당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에서 반출을 원하는 시간 대의 영상을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때, 영상검색부(32)는 해당 시간 대의 영상에 대한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특정 위치의 감시카메라를 선택하고 해당 감시카메라 영상에 대한 일정한 시간 구간을 정하면, 해당 시간대 또는 시간 구간 내의 영상에 대한 미리보기 영상을 제공한다.
영상검색부(34)는 미리보기 생성부(32)에서 생성한 정지영상들, 즉, 해당 감시카메라의 영상 중에서 해당 시간 구간 내에 포함하는 정지영상들로 구성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생성한다. 즉, 정지영상들을 사전에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3초, 5초, 10초 등 일정한 시간) 동안 표시하고, 직후 다음 정지영상을 동일한 시간동안 표시한다.
또한, 미리보기 영상 내에 해당 정지영상이 어느 시간 구간에 있는지 타임 테이블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보호대상 범위가 왜곡된 정지영상들로 구성한다. 해당 보호대상 범위란 사용자에 따라 정해지는 보호대상 범위를 말한다. 사용자가 차량번호 단속을 위하여 반출하는 경우, 보호대상 범위는 "차량번호"를 제외한 나머지의 보호대상들(즉, {사람의 안면, 상호/이름})로 그 범위가 정해진다. 따라서 {사람의 안면, 상호/이름}들을 왜곡시킨 정지영상들로 미리보기 영상을 구성한다.
또한, 영상검색부(34)는 해당 보호대상 범위 내에 포함하는 보호대상과 관련된 이벤트들의 정지영상들을 미리보기 영상에서 제외시킨다. 앞서의 예에서 보호대상 범위가 {사람의 안면, 상호/이름}인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 "사람의 안면을 인식하는 경우", "상호/이름이 인식되는 경우" 의 이벤트들의 관련 보호대상이 사람의 안면, 상호/이름 이다. 따라서 이들 이벤트에 의한 정지영상들은 미리보기 영상에서 제외시킨다.
즉, 사람의 안면, 상호/이름 자체가 정지영상에서 왜곡되어 식별이 불가하기 때문에, 이러한 영상은 사용자게 불필요하거나 관심이 없는 영상일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정지영상은 미리보기 영상에서 제외시킨다.
다음으로, 반출신청 처리부(35)는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감시카메라의 영상이 선택되고, 선택된 영상에 대해 반출신청을 접수한다.
도 7은 감시카메라 영상에 대하여 반출신청을 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7과 같이, 사용자 단말(10)은 신청 내용을 작성하고, 감시카메라를 선택하고, 선택한 감시카메라의 반출할 시간 구간을 선택한 후, 이를 온라인 상으로 신청한다.
접수된 반출 신청은 자동으로 반출 요건에 적합한지를 판단하여,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상을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영상을 제공한다. 반출 요건은 사전에 정해진 요건으로서, 사용자의 보안 등급, 반출 영상의 보안 수준, 전체 재생 길이(재생 시간) 등에 관한 사항으로 구성된 조건들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관리자에 의해 반출 신청을 접수하고, 신청의 허락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도 8은 신청된 반출 영상에 대한 목록을 나타내고 각각 승인 또는 거절 여부들을 볼 수 있도록 제공된 화면이다.
반출신청 처리부(35)는 반출 신청이 허락되면, 영상전송부(36)를 통해 해당 감시카메라 영상을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10)이 해당 영상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다운로드된 반출 영상들은 영상전용 플레이어(11)에 의해 재생되고, 재생 횟수나 재생 기간 등 재생 제약조건에 따라 재생이 제한된다.
다음으로, 반출통계 처리부(37)는 반출 영상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통계화하여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감시카메라에 대하여 반출 횟수(또는 신청 횟수, 증거자료 요청 횟수 등)를 기록한다. 감시카메라의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상에서, 반출 횟수 또는 신청 횟수에 따라 감시카메라를 식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출 횟수가 증가할수록, 감시카메라의 색상을 노란색 - 녹색 - 주황색 -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색상 대신 그라데이션이나 메시망 형태의 변화로 반출 횟수(또는 신청 횟수나 증거자료 요청 횟수 등)에 비례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라데이션의 경우 반출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명도를 진하게 표현하거나, 메시망 형태인 경우 반출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메시망의 간격을 일정하게 줄여서 표현할 수 있다.
또는 감시카메라의 신청되는 시간 구간의 전체 길이를 기록할 수 있다. 이들 시간 구간의 길이를 이용하여, 감시카메라의 색상을 달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앞서 반출 횟수(또는 신청횟수), 시간 구간 등 다양한 요소를 가중합 또는 가중평균 하여 통계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통계에 따라 감시카메라의 색상(또는 그라데이션, 메시망 형태 등)을 달리 표현할 수 있다.
즉, 이용횟수가 높은 감시카메라를 하이라이트로 표시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방범 순찰 횟수를 증대시키는 자료, CCTV 증대를 위한 증빙자료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신청 항목 뿐만 아니라 검거율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지도 상에서 각 감시카메라의 반출 횟수의 정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어느 특정한 지역에서 위치한 감시카메라의 반출 횟수가 많아지는 것이 확인되면, 해당 지역은 범죄 등 사건사고가 많은 지역을 나타낸다. 따라서 해당 지역에 더 많은 감시카메라를 설치하거나, 더 좋은 성능의 감시카메라를 설치해야 할 근거로 제시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사용자 단말 11 : 영상전용 플레이어
30 : 영상반출 서버 또는 영상반출 시스템
31 : 사용자 인증부 32 : 영상검색부
33 : 영상전송부 34 : 미리보기 생성부
35 : 영상암호부
40 : 데이터베이스 41 : 영상DB
42 : 사용자DB 43 : 반출통계DB

Claims (8)

  1. 감시카메라 영상을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신청에 따라 상기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보안 등급을 결정하되,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 내에 나타나면 왜곡시켜야 하는 보호대상 범위가 상기 사용자 보안 등급에 따라 결정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의 정지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영상의 연속되는 이미지가 이전 이미지에 대비하여 변화하는 조건을 정해두고, 상기 감시카메라의 영상의 이미지가 정해진 조건 만큼 변화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미리보기 생성부;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을 암호화하되, 상기 결정된 보호대상 범위에 따라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 내에서 나타나는 보호대상의 이미지 영역을 왜곡시켜 암호화하는 영상암호부;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을 촬영한 감시카메라의 위치 및, 촬영시간에 의하여 검색하고, 검색된 감시카메라 영상의 정지영상들로 구성한 미리보기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감시카메라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부를 포함하고,
    보호대상의 종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보호대상 범위는 상기 보호대상 종류의 전체집합의 부분집합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생성부는 상기 정지영상에서 보호대상이 나타나는 경우, 나타난 보호대상 종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모든 보호대상 범위 각각에 대하여 정지영상들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검색부는 상기 결정된 보호대상 범위에 해당하는 정지영상들로 구성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생성부는 상기 정지영상 중 상기 결정된 보호대상 범위에 속하는 보호대상과 관련된 이벤트의 정지영상을 제외하여 상기 미리보기 영상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생성부는 검색된 감시카메라 영상 내에서 상기 정지영상의 시간 구간이 어느 위치인지를 나타내는 타임 테이블을 상기 미리보기 영상 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은 사람의 안면, 차량번호, 상호 또는 이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감시카메라 영상에 대하여 반출 횟수를 기록하되, 각 감시카메라 별로 신청 횟수 또는 반출된 영상의 전체시간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누적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누적값에 따라 각 감시카메라의 색상, 그라데이션의 명도, 메시망의 간격 중 어느 하나의 표시 정도를 달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암호부는 상기 감시카메라 영상을 암호화하되, 다운로드 만료일, 재생 횟수, 재생 만기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상 재생 제한 조건을 추가하고,
    상기 전송된 감시카메라 영상은 영상전용 플레이어에 의해 재생되되, 상기 영상전용 플레이어에 의해 상기 영상 재생 제한 조건 내에서만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
KR1020150004264A 2015-01-12 2015-01-12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 KR101522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264A KR101522311B1 (ko) 2015-01-12 2015-01-12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264A KR101522311B1 (ko) 2015-01-12 2015-01-12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311B1 true KR101522311B1 (ko) 2015-05-22

Family

ID=5339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264A KR101522311B1 (ko) 2015-01-12 2015-01-12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31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089B1 (ko) 2016-10-31 2017-03-07 (주)아이엠시티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이미지 자동 모자이크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731012B1 (ko) * 2015-12-04 2017-04-2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영상정보 반출 관리시스템
CN108600236A (zh) * 2018-04-28 2018-09-28 张红彬 视频监控网络智能信息安全综合管理系统
KR20200130476A (ko) * 2018-05-07 2020-11-18 애플 인크. 라이브 비디오 피드들 및 기록된 비디오를 보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US11363071B2 (en) 2019-05-31 2022-06-1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 local network
US11513667B2 (en) 2020-05-11 2022-11-2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udio message
US11589010B2 (en) 2020-06-03 2023-02-21 Apple Inc. Camera and visitor user interfaces
US11657614B2 (en) 2020-06-03 2023-05-23 Apple Inc. Camera and visitor user interfaces
US11785277B2 (en) 2020-09-05 2023-10-1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udio for media items
US11785387B2 (en) 2019-05-31 2023-10-1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controllable external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034A (ko) * 2004-08-13 2006-02-16 이근순 이미지 관리 및 거래가 가능한 웹 하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80053822A (ko) * 2006-12-11 2008-06-16 소프트캠프(주) 보안 문서의 반출입 제어를 위한 통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034A (ko) * 2004-08-13 2006-02-16 이근순 이미지 관리 및 거래가 가능한 웹 하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80053822A (ko) * 2006-12-11 2008-06-16 소프트캠프(주) 보안 문서의 반출입 제어를 위한 통제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012B1 (ko) * 2015-12-04 2017-04-2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영상정보 반출 관리시스템
KR101713089B1 (ko) 2016-10-31 2017-03-07 (주)아이엠시티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이미지 자동 모자이크 처리장치 및 방법
CN108600236A (zh) * 2018-04-28 2018-09-28 张红彬 视频监控网络智能信息安全综合管理系统
CN108600236B (zh) * 2018-04-28 2020-10-23 张红彬 视频监控网络智能信息安全综合管理系统
KR20200130476A (ko) * 2018-05-07 2020-11-18 애플 인크. 라이브 비디오 피드들 및 기록된 비디오를 보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KR102280759B1 (ko) 2018-05-07 2021-07-23 애플 인크. 라이브 비디오 피드들 및 기록된 비디오를 보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US11363071B2 (en) 2019-05-31 2022-06-1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 local network
US11785387B2 (en) 2019-05-31 2023-10-1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controllable external devices
US11824898B2 (en) 2019-05-31 2023-11-2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 local network
US11513667B2 (en) 2020-05-11 2022-11-2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udio message
US11589010B2 (en) 2020-06-03 2023-02-21 Apple Inc. Camera and visitor user interfaces
US11657614B2 (en) 2020-06-03 2023-05-23 Apple Inc. Camera and visitor user interfaces
US11937021B2 (en) 2020-06-03 2024-03-19 Apple Inc. Camera and visitor user interfaces
US11785277B2 (en) 2020-09-05 2023-10-1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udio for media i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311B1 (ko)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
US111557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acting video for compression and identification of releasing party
US105527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source of media content with application to business rules
US20060137018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secured surveillance data to authorized entities
US201700393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fferentiated privacy protection
Senior et al. Privacy protection and face recognition
KR102213839B1 (ko) 영상 위변조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US20210233371A1 (en) Automatic video privacy
Winkler et al. A systematic approach towards user-centric privacy and security for smart camera networks
JPWO2017026356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400745A (zh) 一种图片管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388685B1 (ko) 반출영상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반출영상 관리방법
US11899805B2 (en) Limiting video surveillance collection to authorized uses
KR20140144398A (ko) Cctv영상자료 외부제공시스템 및 외부제공방법
JP7236042B2 (ja) 準同型暗号を用いた顔認証のアプリケーション
KR102365574B1 (ko) Cctv 통합 관리를 위한 관제 정보를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1386711A (zh) 用于管理电子文件的电子指纹的方法、设备和系统
KR101855905B1 (ko) 영상 반출 처리 서버, 영상 반출 웹 서버 및 영상 반출 관리 시스템, 및 암호화 영상에 대한 무결성 검증 방법
JP2017046193A (ja) プライバシ保護を可能とするカメラシステム
KR101731012B1 (ko) 개인영상정보 반출 관리시스템
KR102016051B1 (ko) 유출지점 추적이 가능한 영상 반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서버 및 그 동작방법
KR101468407B1 (ko) 디지털 포렌식 촬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개인영상정보 오남용 방지를 위한 차량장착용 디지털 포렌식 촬영 시스템
WO2021058936A2 (en) Imagery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Gulzar et al. Surveillance privacy protection
Wang et al. Security and privacy for body cameras used in law enfor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