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548A -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548A
KR20180092548A KR1020170018399A KR20170018399A KR20180092548A KR 20180092548 A KR20180092548 A KR 20180092548A KR 1020170018399 A KR1020170018399 A KR 1020170018399A KR 20170018399 A KR20170018399 A KR 20170018399A KR 20180092548 A KR20180092548 A KR 20180092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mobile phone
thumbnail
output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6126B1 (ko
Inventor
김재윤
Original Assignee
김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윤 filed Critical 김재윤
Priority to KR1020170018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126B1/ko
Priority to PCT/KR2017/009723 priority patent/WO2018147524A1/ko
Publication of KR20180092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를 위한 호 접속 중 또는 호 접속 이후 통화 중에 광고의 섬네일 및 이전 저장한 광고 제목의 리스트를 표출하면서 통화 상대자 간에 광고 소개할 수 있게 하고, 통화 종료한 이후에 광고 출력함에 따라 적립하는 포인트와 구분하여, 섬네일 출력에 따른 포인트, 리스트 추가에 따른 포인트, 소개에 따른 포인트, 및 소개한 광고의 출력에 따른 포인트로 차등화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는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ADVERTISING METHOD LINKED TO PHONE CALL}
본 발명은 통화를 위한 호 접속 중 또는 호 접속 이후 통화 중에 광고의 섬네일 및 이전 저장한 광고 제목의 리스트를 표출하면서 통화 상대자 간에 광고 소개할 수 있게 하고, 통화 종료한 이후에 광고 출력하는 경우와 구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단계별 포인트를 적립하는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등과 같은 모바일폰이 호(call) 신호의 수신 또는 발신 시에 광고를 출력함으로써, 통화 대기 중의 시간을 이용하여 광고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고, 관련 종래기술로서 등록 특허 제10-1324310호, 등록특허 제10-1480397호 등이 있다.
이에 따르면, 통화 중 또는 통화 종료 이후 광고 상세 보기, 상품 구매하기 등의 기능도 부여하여 보상을 위한 포인트를 차등적으로 적립하기도 한다. 또한,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모바일폰 사용자의 정보에 매칭되는 광고를 선별하여 출력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은 사전에 등록한 광고를 일방적으로 각 모바일폰에 출력하기만 하여서, 비록 사용자가 관심 분야를 등록하더라도 관심 분야에 정확하게 부합되는 광고만 출력되게 하기란 어렵고, 이에, 충분한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동일 광고를 동일 모바일폰에 필요 이상으로 반복 출력하는 문제점도 있고, 광고의 특징인 입소문 등의 광고 전파 효과도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공개특허 제10-2013-0142202호는 모바일폰 간의 통화 시에, 정보를 상호 공유하게 하였으나, 공유 정보가 없는 경우에만 광고를 출력하고 있어서, 광고를 제한적으로 노출시키는 한계가 있다.
KR 10-1324310 B1 2013.10.25. KR 10-2013-0142202 A 2013.12.30. KR 10-1480397 B1 2015.01.02.
따라서, 본 발명은 광고를 일반적으로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리스트 관리하면서 통화 중인 상대방과 상호 소개할 수 있게 하여 광고를 더욱 확산 전파되게 하고,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는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을 제공한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고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광고 서버(20), 및 광고 서버(20)로부터 광고를 다운받아 출력하고 광고 출력에 따라 보상을 위한 포인트를 적립하게 하는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이 설치된 모바일폰(10)에 의해 이루어지는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에 있어서, 광고 서버(20)에서, 상호 대응되는 광고, 섬네일(thumbnail) 및 광고 제목을 광고주의 업로드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광고 등록단계(S10); 모바일폰(10)에서, 호(call) 접속 중 광고 서버(20)로부터 섬네일 및 광고 제목을 수신하고, 섬네일을 적어도 호 접속 이후 통화 종료될 때까지 터치스크린에 출력하되 이전 저장한 광고 제목의 리스트를 조회할 수 있게 하고, 저장버튼을 탭하면 섬네일과 함께 수신한 광고 제목을 리스트에 추가 저장하며, 광고 서버(20)에서, 섬네일의 출력에 따른 포인트 및 리스트 추가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하는 섬네일 출력단계(S20); 모바일폰(10)에서 섬네일 또는 리스트의 광고 제목을 탭(tap)하면, 광고 서버(20)에서 소개 요청하는 것으로 받아들여 탭한 섬네일에 대응되는 광고 제목 또는 리스트 중에 탭한 광고 제목을 통화 상대자의 모바일폰(10)에게 전송하고, 통화 상대자의 모바일폰(10)에서 수락버튼을 탭하면 수신한 광고 제목을 리스트로 추가 저장하며, 광고 서버(20)에서 소개에 따른 포인트와 수락에 의한 리스트 추가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하는 소개단계(S30); 모바일폰(10)에서, 통화 종료 이후 섬네일 및 리스트의 출력 화면을 유지하거나 열어 볼 수 있게 하고, 섬네일 또는 광고 제목을 탭하면 대응되는 광고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광고 서버(20)에서, 광고 시청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하는 광고 출력단계(S4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고 출력단계(S40)는 통화 상대자의 모바일폰(10)에서 소개받은 광고를 출력할 시에, 소개한 모바일폰(10)에게 광고의 시청에 따른 추가 포인트를 적립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포인트는 광고 시청에 따른 포인트, 소개한 광고의 시청에 따른 포인트, 소개에 따른 포인트, 리스트 추가에 따른 포인트 및 섬네일의 출력에 따른 포인트의 순서로 차등을 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고 등록단계(S10)는 광고 서버(20)에서 복수의 광고 관련 단어를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소개단계(S30)는 광고를 소개한 모바일폰(10)에서 광고 관련 단어를 광고 서버(20)로부터 전송받아 통화 상대자와의 통화 음성을 인식하여 광고 관련 단어의 출현 여부를 탐지하고, 광고 서버(20)에서 복수의 광고 관련 단어 중에 출현한 단어 개수에 따라 포인트를 차등 적립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고 애플리케이션은 리스트의 광고 제목별로 소개 횟수 및 소개한 모바일폰 전화번호를 기록관리하고, 광고 제목별 소개 횟수 및 통화 중인 모바일폰에의 소개 여부를 상기 리스트에 포함시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고 출력단계(S40) 이후 순위 조정단계(S50)를 수행하되, 상기 순위 조정단계(S50)는 모바일폰(10)에서 광고 출력하지 아니하면서 리스트에 추가하지도 아니한 광고 그룹, 광고 출력하지 아니하였지만 리스트에 저장한 광고 그룹, 및 광고 출력한 광고 그룹으로 순서로 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섬네일 출력단계(S20)에서 모바일폰(10)별로 출력할 섬네일을 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섬네일 출력단계(S20)에서 광고주와 통화를 위한 호 접속 중인 모바일폰(10)에 대해서는 광고주가 등록한 광고의 섬네일을 우선하여 출력하고, 섬네일의 출력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하며, 통화연결되는 경우 통화연결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하고, 상기 소개단계(S30)는 소개할 광고 제목과 함께 섬네일을 전송하고, 통화 상대자의 모바일폰(10)에 출력한 섬네일과 함께 화면 전환으로 보여준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통화 시마다 바뀌는 광고 섬네일 중에 관심이 있거나 또는 소개할 만한 광고를 리스트에 등록하여서, 통화 상대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광고를 통화 중 소개할 수 있게 하고, 섬네일 출력, 리스트 추가 및 광고 소개를 구분하여 포인트를 적립함으로써, 광고 소개의 유도에 의한 광고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인트를 다양화하고 차등화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모바일폰에 출력한 광고를 통화 당사자를 통해 확산 전파되게 하는 효과를 더욱 극대화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상대자 간에는 상호 관심사를 아는 경우 많으므로, 통화 상대자 간의 광고 전파가 더욱 쉽게 이루어지게 하고, 통화 음성을 통한 광고 소개에 따른 포인트 적립에 의해서, 광고 소개자가 광고를 숙지한 이후 소개하고 하고, 소개받는 자도 광고 설명을 듣고 광고 시청하게 되어서, 광고 소개에 의한 광고 효과도 더욱 극대화된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의 실시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모바일폰(10) 및 광고 서버(20)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모바일폰(10) 사이의 호(call) 접속 중 화면.
도 5는 호 접속 이후 통화 중인 모바일폰(10) 사이에 광고를 소개할 시의 변화된 화면.
도 6은 도 5에서 광고 소개를 수락한 이후의 변화된 화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되, 선행기술문헌을 비롯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공지 기술 관련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의 실시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로서, 일례로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이 설치된 모바일폰(10 : 10-1, 10-2) 사이에 전화할 시의 음성통화 경로 및 데이터 통신 경로를 보여준다.
도 2는 모바일폰(10) 및 광고 서버(2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의 실시를 위한 시스템은 사전에 광고주가 업로드 하는 광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이후 호(call) 접속 중, 통화 중 또는 통화 종료한 이후의 모바일폰(10 : 10-1, 10-2)의 동작 상태에 맞게 광고 정보를 노출할 수 있도록 통신망(40)을 통해 제공하는 광고 서버(20), 및 전화 통화와 연계하여 광고 서버(20)로부터 광고 정보를 다운받아 출력하여 유저에게 노출시키고 광고 정보의 노출에 따른 보상을 위한 포인트를 광고 서버(20)에 의해 적립되도록 광고 서버(20)와 협동하며 실행하는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이 설치된 모바일폰(10 : 10-1, 10-2)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광고 정보는 광고, 섬네일(thumbnail), 광고 제목 및 복수의 광고 관련 단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고는 동영상이나 또는 상세 설명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홍보(예를 들어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행상 등의 홍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섬네일은 광고 내용을 축약하여 보여주는 예를 들어 이미지일 수 있고, 광고 제목은 광고 타이틀이라 할 수 있으며, 광고 관련 단어는 광고 내용에 포함된 단어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한 기능을 하기 위한 광고 서버(20)는 광고 관리부(21), 유저 관리부(22), 포인트 관리부(23) 및 데이터베이스(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고 관리부(21)는 광고주 정보를 등록 관리하고, 광고주가 광고 정보를 업로드할 시에 광고 정보별로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광고주 정보와 대응되게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서로 다른 복수의 광고주가 업로드하는 광고 정보 또는 하나의 광고주가 업로드하는 복수의 광고 정보를 구분하며 검색할 수 있게 관리하고, 상기 광고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폰(10 : 10-1, 10-2)과 협동하여 광고 정보 중 모바일폰(10 : 10-1, 10-2)의 동작에 따라 요구하는 광고 정보를 선별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유저 관리부(22)는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을 설치한 모바일폰(10 : 10-1, 10-2)의 사용자 계정을 등록 관리하고, 각 모바일폰(10)에 대해 모바일폰(10)에서 광고의 우선 순위를 정한다. 이때, 정한 순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호 접속 중인 모바일폰에 출력할 섬네일의 우선 순위를 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고 관리부(23)에서 호 접속 중인 모바일폰(10)에게 전송하게 할 섬네일을 정하는 데 이용한다.
상기 포인트 관리부(23)는 광고 노출에 따른 보상을 위해 적립하는 포인트를 사용자 계정 정보에 대응되게 관리하여 적립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광고 노출 횟수를 광고주 정보에 대응되게 관리하여 광고료를 청구/정산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4)는 광고 관리부(21), 유저 관리부(22) 및 포인트 관리부(23)에서 관리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상기 모바일폰(10 : 10-1, 10-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터치스크린(12), 음성통신망(41) 및 데이터망(예를 들어 유무선 인터넷망, 42)을 포함한 통신망(40)을 통해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13), 데이터 저장공간인 저장부(14) 및 모바일폰의 전반 동작을 제어하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11)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폰(10 : 10-1, 10-2)의 저장부(14)에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이 저장되어 프로세서(11)에 의해 실행됨에 따라 모바일폰이 갖고 있는 자원을 활용하여 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은 음성 통화에 연계하여 광고를 노출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통화 상대측 모바일폰에 전화 통화를 위한 호(call) 신호을 발신하는지 여부 및 호(call) 신호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 호 신호의 수발신 시(호 접속 중 통화 대기 상태)의 화면을 구성하는 기능, 상호 연결하여 통화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 통화 중의 화면을 구성하는 기능, 통화 종료의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 통화 종료한 상태의 화면을 구성하는 기능, 광고 정보를 광고 서버(20)에 요청하여 수신한 후 출력하는 기능, 및 광고 출력에 의한 광고 노출 여부를 광고 서버(20)에 알려 포인트를 적립하게 하는 기능 등을 갖춘다.
이러한 광고 서버(20)와 협동하는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의 제반 기능과, 광고주의 광고를 등록하고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을 설치한 모바일폰(10 : 10-1, 10-2)에 대해 사용자 계정을 만들고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광고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할 시에 접속 허용하여 상호 협동 하에 광고 노출 동작을 수행하는 광고 서버(20)의 제반 기능은 등록특허 제10-1324310호, 공개특허 제10-2013-0142202호 및 등록특허 제10-1480397호 등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개시되어 있고, 현재 배포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리워드앱의 일종인 '팝콘콜')에서도 구현되어 있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였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 서버(20)는 광고 이외에 섬네일, 광고 제목 및 광고 관련 단어를 등록하여 모바일폰(10)에 제공하여 보다 다양하게 다뤄지게 하고, 통화대기 중, 통화 중 및 통화 종료 이후에 모바일폰(10)의 동작에 따라 포인트를 차등화하여 적립함은 물론이고 모바일폰(10) 별로 노출시킬 광고의 우선 순위를 모바일폰(10)의 동작에 따라 정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또한, 모바일폰(10)에 설치하여 실행되는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은 사용자가 선택한 광고 제목의 리스트를 관리하는 리스트 관리부(15a)를 구비하되, 통화할 때마다 달라지는 섬네일은 물론이고 섬네일 및 리스트에 저장한 광고 제목을 통화 상대자에게 광고 소개하는 데 활용하고, 나아가 통화 중에 통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15b)를 구비하여서 통화 상대자와의 음성 통화 중에 음성으로서 광고 소개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등의 단계별 동작에 따라 차등화한 포인트 적립이 가능하게 실행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이때의 음성인식부(15b)는 현재 다양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구현하여 배포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기능을 차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화 음성 중에 광고 관련 단어가 출현하는 지의 여부를 파악하여 출현 횟수를 얻기 위한 것이므로, 광고 관련 단어를 발음할 시의 나타나는 신호 파형의 특징(예를 들어 패턴이나 주파수 성분)이 통화 음성에 출현하는 지를 체크하면 되므로, 예를 들어 통화 음성의 전기적 신호와 광고 관련 단어의 전기적 신호 사이의 상관분석으로 감지하는 수준으로 구현하여도 좋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며, 이에 따라 상기 광고 애플리케이션(15) 및 광고 서버(20)에 대해서도 더욱 구체화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모바일폰(10) 사이의 호(call) 접속 중 화면이다.
도 5는 호 접속 이후 통화 중인 모바일폰(10) 사이에 광고를 소개할 시의 변화된 화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광고 소개를 수락할 시의 변화된 화면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을 설치 실행시키는 2대의 모바일폰(10 : 10-1, 10-2) 사이의 음성 통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실시 예이다.
도 3은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의 순서도로서, 이에 따르면, 광고주의 광고 정보를 광고 서버(20)에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광고 등록단계(S10)를 수행한 상태에서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을 설치한 모바일폰(10 : 10-1, 10-2)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을 만들고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단계(S10')를 사전에 수행한 모바일폰(10 : 10-1, 10-2)의 호 접속 중(S1)에 수행하는 섬네일 출력단계(S20), 모바일폰(10 : 10-1, 10-2) 사이에 통화 연결이 되어 음성 통화 중(S2)에 실행할 수 있게 한 소개단계(S30), 음성 통화가 종료된 이후(S3)에 실행할 수 있게 한 광고 출력단계(S40) 및 이후 모바일폰(10 : 10-1, 10-2)이 통화할 시에 노출할 광고의 섬네일에 대한 우선 순위를 모바일폰(10 : 10-1, 10-2) 별로 조정하는 순위 조정단계(S50)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고 등록단계(S10)에서 광고 서버(20)에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광고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호 대응되거나 연관되는 광고 제목, 섬네일(thumbnail), 광고 및 광고 관련 단어를 포함하며, 광고주가 업로드하면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광고주 정보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물론, 광고주 정보는 사전에 등록하여 둔 상태가 아니면, 광고 정보의 등록과정에서 신규로 등록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사용자 등록단계(S10')는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이 실행되는 모바일폰(10 : 10-1, 10-2)의 광고 서버(20)에 대한 접속 허용 및 광고 노출을 위한 제반 동작을 수행할 권한을 갖기 위한 사전 사용자 등록 과정으로서, 애플리케이션 설치 사용에 필요한 통상적인 과정이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물론, 모바일폰(10 : 10-1, 10-2)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거주 지역, 활동 지역, 취미, 직업, 관심 분야, 결혼 유무, 학력 등의 정보를 등록하여서, 등록 정보에 연관된 광고를 제공하는 기술도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 기술을 적용하는 것도 좋다.
이후,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을 설치한 모바일폰(10 : 10-1, 10-2) 중에 어느 하나의 모바일폰이 발신자 모바일폰(10-1)이 되어 다른 하나의 모바일폰을 수신자 모바일폰(10-2)으로 하여 전화번호를 선택하고 호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발신함으로써 통화를 위한 호출을 함으로써 통화 대기 상태에 있고, 호 신호가 수신자 모바일일폰(20)에 수신되지만 호출에 응대하기 이전까지 통화 대기 상태에 있게 되어 있어서, 양자 모바일폰(10 : 10-1, 10-2)이 통화 대기 상태(호 접속 중인 상태)에 있는 동안, 양자 모바일폰(10 : 10-1, 10-2)의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이 통화 대기 상태를 감지하고 통화 대기 상태에 섬네일 출력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섬네일 출력단계(S20)는 호 신호를 발신하고 통화 대기하는 발신자 모바일폰(10-1) 및 호 신호를 수신한 후 응대하기 전까지 통화 대기하는 수신자 모바일폰(10-2)에서 각각 섬네일, 광고 제목 및 광고 관련 단어를 광고 서버(20)에 요청하여 수신받아 통화 대기 화면을 구성한 후 출력한다(S21, S22).
도 3은 통화 대기 화면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출력 화면으로서, 이에 따르면, 발신자/수신자정보(1), 섬네일(2), 리스트(3) 및 복수의 기능버튼(4)을 표출하는 화면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발신자/수신자정보(1)는 발신자 모바일폰(10-1)의 경우 수신자 모바일폰(10-1)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수신자 모바일폰(10-2)의 경우 발신자 모바일폰(10-2)의 전화번호를 포함하지만, 발신자정보 또는 수신자정보를 다양하게 하는 종래기술도 있으므로 이를 차용하는 것도 좋다.
상기 섬네일(thumbnail, 2)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순위 조정단계(S50)에 의해서 모바일폰(10 : 10-1, 10-2) 별로 이전에 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최상위 광고 그룹에서 우선 선택한 광고 정보의 섬네일이 되며,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자 모바일폰(10-1)과 수신자 모바일폰(10-2)에 출력되는 섬네일(2)이 서로 다른 광고 정보의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표출할 섬네일(2)이 속한 광고 정보를 광고 서버(20)에서 선택하는 방식은 우선 순위에 정한 광고 그룹 내에서 랜덤하게 정한 순서에 따라 선택하는 방식, 광고 광고료가 많은 순서로 순차 선택하는 방식, 모바일폰 사용자의 정보(상기한 성별, 연령대, 거주 지역, 활동 지역, 취미, 등등)에 부합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방식 등등의 여러 방식 중에 어느 하나를 채용한 방식으로 최상위 광고 그룹에 먼저 선택하고, 최상위 그룹에 속한 광고를 한번씩 모두 선택한 경우, 채용한 방식을 다음 순위 광고 그룹에 적용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list, 3)는 모바일폰(10 : 10-1, 10-2) 별로 이전에 저장한 광고 제목(3a)의 목록이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하기의 소개단계(S30)에 의해서 이전에 다른 모바일폰과의 통화에 연계하여 소개한 횟수의 누적값을 나타내는 소개 횟수(3b), 현재 통화 상대자(발신자 모바일폰 입장에서 수신자 모바일폰, 수신자 모바일폰 입장에서 발신자 모바일폰)에게 이전에 소개하였는지 그 여부를 나타내는 소개 여부 식별자(3c)를 리스트(3)의 각 광고 제목(3a) 별로 함께 표출된다. 도면에서 도시한 소개 여부 식별자(3c)는 이전에 소개하지 아니한 경우 'X'이고 이전에 소개한 경우 'O'로 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리스트(3)의 광고 제목(3a)에 관련된 광고를 통화 상대자에게 소개할 것인지를 소개 여부 식별자(3c)를 확인한 후 결정함으로써, 불필요하게 통화 상대자에게 중복 소개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리스트(3)에 광고 제목(3a)으로 등록한 광고의 소개 현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능버튼(4)은 발신자 측 및 수신자 측의 통화대기 중 또는 통화 중에 출력하는 통상적인 복수의 버튼 이외에 저장버튼(4a)을 더욱 포함한다.
상기 저장버튼(4a)를 탭하면(S23) 현재 출력한 섬네일(2)에 대응되는 광고 제목(즉, 섬네일과 함께 수신한 광고 제목)을 리스트(3)에 추가한다(S24).
여기서 새로 추가하는 광고 제목을 앞선 순위에 표출되게 하는 것도 좋다. 물론, 애초에 섬네일만 수신하고, 이후 저장버튼(3a)을 탭하면 수신한 섬네일에 대응되는 광고 제목을 추가 요청 및 수신하여 저장하는 방식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저장 방식이라 하겠다.
이와 같이 발신자 모바일폰(10-1) 및 수신자 모바일폰(10-2)에 각각 출력되는 화면은 수신자 측에서 호출에 응대하여 음성통화하는 중에도 표출된다. 물론, 모바일폰이 음성통화하기 위해 얼굴에 근접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화면 출력을 제한하는 기능이 있다면, 얼굴에서 멀어질 경우에만 해당 화면이 보이게 될 것이고, 일명 '스피커폰' 기능이 있는 경우 이 기능을 활성화할 시에도 해당 화면이 보이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화면 출력한 경우, 양자 모바일폰(10 ; 10-1, 10-2)은 각각 섬네일(2)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을 광고 서버(20)에 요청하여 모바일폰(10 : 10-1, 10-2)의 사용자 정보에 맞춰 적립하게 하고(S21', S22'), 상기 저장버튼(4a)을 탭한 모바일폰(실시 예 설명에서는 발신자 모바일폰, 10-1)은 리스트 추가에 따른 포인트 적립을 광고 서버(20)에 요청하여 추가로 적립되게 한다(S25).
물론, 광고 서버(20)는 요청을 수락하여 해당 포인트를 모바일폰(10 : 10-1, 10-2)의 사용자 정보에 맞춰 적립하고, 출력한 섬네일(2)의 광고 정보를 등록한 광고주 정보에 맞춰 포인트 적립에 대응되는 광고료를 적산한다.
상기 소개단계(S30)는 수신자 모바일폰(10-2)에서 호 신호에 응답하여 통화 연결됨으로써, 음성 통화하는 중(S2)에 통화 상대자에게 광고 소개하는 단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발신자 모바일폰(10-1) 및 수신자 모바일폰(10-2) 중에 어느 하나의 모바일폰(실시 예에서는 발신자 모바일폰, 10-1)에서 출력 화면 중에 섬네일을 탭하거나 또는 리스트의 광고 제목을 탭하면(S31), 탭한 대상의 광고를 통화 상대측 모바일폰(실시 예에서는 수신자 모바일폰, 10-2)에게 광고 소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 광고 소개를 광고 서버(20)에게 요청한다(S32).
그러면, 광고 서버(20)는 섬네일을 탭한 경우 섬네일에 대응되는 광고 제목을, 리스트 중에 탭한 경우 탭한 광고 제목을 통화 상대자의 모바일폰(실시 예에서는 수신자 모바일폰, 10-2)에게 전송한다(S33). 실시 예에서는 '광고 제목 1' 을 탭한 것으로 하였다.
그러면, 통화 상대자의 모바일폰(10-2)에서는 전송받은 '광고제목 1' 을 화면 상에 오버랩하여 표출하는 메시지 창(5)을 출력한다.
여기서, 수락버튼(5a) 및 거절버튼(5b)을 포함하게 출력하고, 수락버튼(5a)을 탭하면(S34), 전송받은 '광고제목 1'을 자신의 리스트(3)에 추가한다(S35). 물론 거절버튼(5b)을 탭하면 리스트(3) 추가 없이 메시지 창(5)이 사라진다.
도 5를 참조하면, 통화 상대자의 모바일폰(10-2), 즉, 광고 소개를 받은 모바일폰의 리스트(3)에는 '광고 제목 1'이 추가됨을 보여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소개받아 리스트에 추가하는 광고 제목의 순서를 앞서게 하는 것이 좋다.
한편, 광고를 소개하는 과정의 도 4와 광고 소개를 수락한 이후의 도 5를 비교하면, 광고를 소개한 모바일폰(10-1)의 리스트(3)에서 소개한 '광고 제목 1'에 대응되는 소개 횟수(3b)가 1회 증가하였음을 볼 수 있고, 소개 여부 식별자(3c)의 상태도 소개하지 아니한 상태 'X'에서 소개한 상태 'O'로 변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의 리스트 관리부(14)는 광고 제목에 대한 소개 횟수를 소개 횟수만큼 카운터하며 관리하고, 자신이 소개한 통화 상대자의 전화번호를 기록하여서 통화 상대자에 대한 소개 여부를 관리한다. 또한, 소개 받은 모바일폰(10-2)에서 리스트에 추가된 '광고 제목 1'은 광고 소개한 모바일폰(10-1)에게 소개할 필요가 없으므로 통화 상대자, 즉, 광고 소개한 모바일폰(10-1)에 소개한 것으로 소개 여부 식별자(3c)를 정한다.
그리고, 통화 상대자의 모바일폰(10-2)에서는 포인트 적립을 광고 서버(20)에 요청한다(S38).
이때, 광고 서버(20)는 광고 소개한 모바일폰(10-1) 및 광고를 소개받아 수락한 모바일폰(10-2) 모두에게 포인트를 적립한다. 즉, 광고 소개한 모바일폰(10-1)에는 광고 소개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하고, 광고 소개받은 모바일폰(1--2)에는 광고 수락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한다. 여기서, 광고를 소개받은 모바일폰(10-2)에서 광고 제목을 리스트에 추가하였으므로, 광고 수락에 따른 포인트는 리스트 추가에 따른 포인트가 된다.
물론, 광고 소개를 수락하지 아니하더라도 광고 소개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하는 것이 좋다. 이에, 광고 소개에 따른 포인트는 광고 소개를 요청받을 시에 적립하고 이후 소개한 광고의 광고 제목을 전송하여도 좋다.
한편, 광고 서버(20)는 소개할 광고의 광고 제목을 모바일폰(10-2), 즉, 광고 소개할 대상인 모바일폰(10-2)에게 전송할 시에, 섬네일과 함께 전송하고, 모바일폰(10-2)에서는 광고 제목의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출하되, 현재 출력한 섬네일과 소개에 따른 섬네일을 화면 전화(예를 들어 좌우 드레그 동작)으로 번갈아가며 볼 수 있게 하는 것도 좋다.
다음으로, 광고를 소개한 모바일폰(10-1)에서는 섬네일을 탭하여 소개한 경우 함께 전송받았던 광고 관련 단어를 채택하고, 리스트의 광고 제목을 탭하여 소개한 경우 소개한 광고에 대응되는 광고 관련 단어를 광고 서버(20)로부터 전송받아 채택한다(S37). 물론, 상기 섬네일 출력단계(S20)에서 섬네일에 대응되는 광고 관련 단어를 수신하지 아니하게 하고, 대신에, 리스트의 광고 제목과 마찬가지로 광고 소개를 수락받은 이후에 광고 관련 단어를 전송받게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광고를 소개받은 통화 상대자 모바일폰(10-2)과의 통화 음성을 인식하여서, 채택한 광고 관련 단어가 통화 음성에 출현하는지 그 여부를 탐지한다(S38).
즉, 소개한 광고에 대응되는 복수의 광고 관련 단어 중 일치하는 단어가 통화 음성에 출현할 때마다 출현 횟수를 1개씩 증가하며 카운터한다.
그리고, 통화 종료 되는 시점에서 출현 횟수를 광고 서버(20)에 전송함으로써, 광고 서버(20)에서 통화 중 광고 관련 단어 출현 횟수에 따른 포인트를 차등 적립한다(S39).
다시 말해서 광고를 소개한 모바일폰(10-1)의 발신자 음성 중에 광고 관련 단어의 출현 횟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많은 포인트를 적립한다. 물론, 광고를 소개한 모바일폰(10-1)의 사용자 정보에 포인트 적립한다.
이후, 통화 종료(S3)된 상태에서 광고 출력단계(S40)를 실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광고 출력단계(S40)는 모바일폰(10 : 10-1, 10-2)에서 통화 종료(S3) 이후에도 섬네일 및 리스트의 출력 화면을 유지하거나 아니면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화 연계 없이도 실행할 수 있게 하여 섬네일 및 리스트의 출력 화면을 볼 수 있게 한 상태에서, 섬네일 또는 광고 제목을 탭하면(S41) 탭한 대상의 광고 시청을 요청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 탭한 대상에 대응되는 광고를 광고 서버(20)에 요청 및 수신하고 출력한다(S42).
이후, 출력한 광고의 시청이 종료되면 시청하였음을 광고 서버(20)에 통지함으로써, 시청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하게 한다(S43).
물론, 발신자 모바일폰(10-1)이든 수신자 모바일폰(10-2)이든 광고 시청한 모바일폰의 사용자 정보에 맞춰 포인트 적립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의 순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를 소개받은 모바일폰(10-2)에서 소개받은 광고를 시청하는 경우에, 광고 서버(20)는 그 광고를 소개한 모바일폰(10-1)의 사용자 정보에 맞춰 추가 포인트를 적립함으로써, 광고 소개를 독려하는 이점도 있다.
한편, 상기한 다양한 포인트는 광고 시청에 따른 포인트, 소개한 광고의 시청에 따른 포인트, 소개에 따른 포인트, 리스트 추가에 따른 포인트 및 섬네일의 출력에 따른 포인트의 순서로 차등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 설명하자면, 광고 시청이 광고 효과가 가장 크므로 이에 따른 포인트를 가장 크게 하고, 소개한 광고의 시청에 따른 포인트는 추가 적립이므로 광고 시청에 따른 포인트보다는 적게 주고, 광고 소개를 독려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소개에 따른 포인트 크기를 다음 순위로 정하고, 리스트 추가에 따른 포인트는 단순히 찜하여 두는 것이므로 이에 따른 포인트 크기를 그 다음 순위로 정하고, 섬네일 출력은 통화할 때마다 자동으로 주는 것이므로 이에 따른 포인트를 가장 작게 주는 것이다.
상기 순위 조정단계(S50)는 광고 서버(20)에서 모바일폰 간의 통화에 연계하여 모바일폰(10)에 섬네일을 출력시키게 할 시에, 그 출력하게 할 섬네일의 선정 기준을 정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바일폰(10)에서 리스트에 저장한 섬네일에 대응되는 광고, 및 광고 출력단계(S40)에서 출력한 광고의 목록을 모바일폰(10) 별로 취합하여서, 사전 등록된 복수의 광고 중에 광고 출력하지 아니하면서 리스트에 추가하지도 아니한 제1 광고 그룹, 광고 출력하지 아니하였지만 리스트에 저장한 제2 광고 그룹, 및 광고 출력한 제3 광고 그룹의 순서로 우선 순위를 정하되, 모바일폰(10) 별로 정한다.
즉, 통화 종료 이후 또는 통화 이후의 광고 출력단계(S40)가 완료되면, 각 모바일폰(10) 별로 리스트 변동 사항 및 광고 시청 여부를 반영하여서, 다음에 통화를 위한 호 접속하는 모바일폰(10)에 전송하여 출력시킬 섬네일을 상기한 우선 순위에 따라 정한다.
부연 설명하자면, 동일 모바일폰(10)에 대해서 제1 광고 그룹에서 우선적으로 광고 섬네일을 선정하고, 호 접속 횟수의 증가에 따라 제1 광고 그룹의 광고 섬네일을 한번씩 출력한 경우, 제2 광고 그룹에서 광고 섬네일을 선정하고, 호 접속 횟수의 증가에 제2 광고 그룹의 광고 섬네일을 한번씩 출력한 경우, 제3 광고 그룹에서 광고 섬네일을 선정한다.
물론, 리스트 추가 또는 광고 시청에 따른 그룹 변동이 있을 수 있고, 광고주에 의한 새로운 광고가 등록되면 제1 광고 그룹에 배정될 것이다.
이상에서,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을 설치 실행시키는 2대의 모바일폰(10 : 10-1, 10-2) 사이의 음성 통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이 설치된 모바일폰(10 : 10-1, 10-2)은 상기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을 설치하지 아니한 모바일폰 및 설치 기능이 없는 일반폰과 통화할 시에도 광고 정보를 출력하며, 이는,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인 모바일폰(10 : 10-1, 10-2) 사이의 광고 소개, 복수 광고의 노출 순위 배정, 및 포인트의 다양화/차등화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상기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이 설치된 모바일폰(10) 사이의 통화 중 광고 정보 출력을 위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또한, 2대 모바일폰(10 : 10-1, 10-2) 중에 발신자 모바일폰(10-1)에서 리스트의 광고 제목을 이용하여 수신자 모바일폰(10-2)에게 광고 소개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섬네일(2)을 이용하여 광고 소개하는 것도 가능하고, 수신자 모바일폰(10-2)에서 발신자 모바일폰(10-1)에게 광고 소개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여기서, 섬네일(2)을 탭하여 광고 소개하는 경우, 광고 소개하는 모바일폰에서 저장버튼을 탭하지 아니하였더라도 섬네일(2)에 대응되는 광고 제목을 리스트에 자동 추가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섬네일 출력단계(S20)에서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을 설치 실행하는 모바일폰(10)이 광고주 단말(30)과 호 접속 중인 경우, 광고주가 등록한 광고의 섬네일을 우선하여 출력하게 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섬네일의 출력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하고, 통화연결하는 경우 통화연결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하는 것이 좋다. 이때에는 소개단계(S30)가 별도로 필요치 아니할 것이다.
1 : 발신자/수신자정보
2 : 섬네일(thumbnail)
3 : 리스트(list) 3a : 광고 제목
3b : 소개 횟수 3c : 소개 여부 식별자
4 : 기능버튼 4a : 저장버튼
5 : 메시지 창 5a : 수락버튼
10 : 모바일폰
10-1 : 발신자 모바일폰 10-2 : 수신자 모바일폰
11 : 프로세서 12 : 터치스크린
13 : 통신모듈 14 : 저장부
15 : 광고 애플리케이션 15a : 리스트 관리부
15b : 음성인식부
20 : 광고 서버
21 : 광고 관리부 22 : 유저 관리부
23 : 포인트 관리부 24 : 데이터베이스
30 : 광고주 단말
40 : 통신망
41 : 음성통신망 42 : 데이터망

Claims (7)

  1. 광고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광고 서버(20), 및 광고 서버(20)로부터 광고를 다운받아 출력하고 광고 출력에 따라 보상을 위한 포인트를 적립하게 하는 광고 애플리케이션(15)이 설치된 모바일폰(10)에 의해 이루어지는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에 있어서,
    광고 서버(20)에서, 상호 대응되는 광고, 섬네일(thumbnail) 및 광고 제목을 광고주의 업로드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광고 등록단계(S10);
    모바일폰(10)에서, 호(call) 접속 중 광고 서버(20)로부터 섬네일 및 광고 제목을 수신하고, 섬네일을 적어도 호 접속 이후 통화 종료될 때까지 터치스크린에 출력하되 이전 저장한 광고 제목의 리스트를 조회할 수 있게 하고, 저장버튼을 탭하면 섬네일과 함께 수신한 광고 제목을 리스트에 추가 저장하며, 광고 서버(20)에서, 섬네일의 출력에 따른 포인트 및 리스트 추가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하는 섬네일 출력단계(S20);
    모바일폰(10)에서 섬네일 또는 리스트의 광고 제목을 탭(tap)하면, 광고 서버(20)에서 소개 요청하는 것으로 받아들여 탭한 섬네일에 대응되는 광고 제목 또는 리스트 중에 탭한 광고 제목을 통화 상대자의 모바일폰(10)에게 전송하고, 통화 상대자의 모바일폰(10)에서 수락버튼을 탭하면 수신한 광고 제목을 리스트로 추가 저장하며, 광고 서버(20)에서 소개에 따른 포인트와 수락에 의한 리스트 추가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하는 소개단계(S30);
    모바일폰(10)에서, 통화 종료 이후 섬네일 및 리스트의 출력 화면을 유지하거나 열어 볼 수 있게 하고, 섬네일 또는 광고 제목을 탭하면 대응되는 광고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광고 서버(20)에서, 광고 시청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하는 광고 출력단계(S40);
    를 포함하는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출력단계(S40)는 통화 상대자의 모바일폰(10)에서 소개받은 광고를 출력할 시에, 소개한 모바일폰(10)에게 광고의 시청에 따른 추가 포인트를 적립하는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포인트는 광고 시청에 따른 포인트, 소개한 광고의 시청에 따른 포인트, 소개에 따른 포인트, 리스트 추가에 따른 포인트 및 섬네일의 출력에 따른 포인트의 순서로 차등을 주는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등록단계(S10)는 광고 서버(20)에서 복수의 광고 관련 단어를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소개단계(S30)는 광고를 소개한 모바일폰(10)에서 광고 관련 단어를 광고 서버(20)로부터 전송받아 통화 상대자와의 통화 음성을 인식하여 광고 관련 단어의 출현 여부를 탐지하고, 광고 서버(20)에서 복수의 광고 관련 단어 중에 출현한 단어 개수에 따라 포인트를 차등 적립하는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애플리케이션은 리스트의 광고 제목별로 소개 횟수 및 소개한 모바일폰 전화번호를 기록관리하고, 광고 제목별 소개 횟수 및 통화 중인 모바일폰에의 소개 여부를 상기 리스트에 포함시켜 출력하는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에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출력단계(S40) 이후 순위 조정단계(S50)를 수행하되,
    상기 순위 조정단계(S50)는 모바일폰(10)에서 광고 출력하지 아니하면서 리스트에 추가하지도 아니한 광고 그룹, 광고 출력하지 아니하였지만 리스트에 저장한 광고 그룹, 및 광고 출력한 광고 그룹으로 순서로 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섬네일 출력단계(S20)에서 모바일폰(10)별로 출력할 섬네일을 정하는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섬네일 출력단계(S20)에서 광고주와 통화를 위한 호 접속 중인 모바일폰(10)에 대해서는 광고주가 등록한 광고의 섬네일을 우선하여 출력하고, 섬네일의 출력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하며, 통화연결되는 경우 통화연결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하고,
    상기 소개단계(S30)는 소개할 광고 제목과 함께 섬네일을 전송하고, 통화 상대자의 모바일폰(10)에 출력한 섬네일과 함께 화면 전환으로 보여주는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
KR1020170018399A 2017-02-10 2017-02-10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 KR101916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399A KR101916126B1 (ko) 2017-02-10 2017-02-10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
PCT/KR2017/009723 WO2018147524A1 (ko) 2017-02-10 2017-09-05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399A KR101916126B1 (ko) 2017-02-10 2017-02-10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548A true KR20180092548A (ko) 2018-08-20
KR101916126B1 KR101916126B1 (ko) 2018-11-08

Family

ID=6310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399A KR101916126B1 (ko) 2017-02-10 2017-02-10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6126B1 (ko)
WO (1) WO20181475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411B1 (ko) * 2019-12-30 2023-07-24 주식회사 엔비티 콘텐츠 공유 장치 및 콘텐츠 공유 방법
KR102160375B1 (ko) * 2020-03-23 2020-09-25 손동진 인플루언서 기반의 하이브리드 광고기획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310B1 (ko) 2012-08-23 2013-11-01 류용은 스마트폰의 수발신시 액정화면에 광고콘텐츠 게시에 의한 포인트 획득 및 획득한 포인트 리워드 제공방법
KR20130142202A (ko) 2011-08-12 2013-12-30 이세용 무선데이터망을 이용한 쌍방향 정보 공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0397B1 (ko) 2012-06-28 2015-01-12 주식회사 애드라 스피커폰 모드에서의 광고 콘텐트 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9934A (ja) * 2003-09-30 2005-04-21 Kosuke Kumakura 公衆電話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US20120084807A1 (en) 2010-10-04 2012-04-05 Mark Thomps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Interactive Advertising Into Real Time Video Content
KR101138595B1 (ko) * 2010-11-17 2012-05-03 주식회사 미르도르 스마트폰의 통화 발신 대기 상태에 광고를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9058616B2 (en) * 2011-06-15 2015-06-16 Nh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advertisement
KR101404710B1 (ko) * 2013-12-16 2014-06-11 김민수 호 기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82745A (ko) * 2014-01-07 2015-07-16 주식회사 스마일 온라인과 모바일 통신망을 이용한 광고의 공유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수익 구조 및 배분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202A (ko) 2011-08-12 2013-12-30 이세용 무선데이터망을 이용한 쌍방향 정보 공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0397B1 (ko) 2012-06-28 2015-01-12 주식회사 애드라 스피커폰 모드에서의 광고 콘텐트 표시 방법
KR101324310B1 (ko) 2012-08-23 2013-11-01 류용은 스마트폰의 수발신시 액정화면에 광고콘텐츠 게시에 의한 포인트 획득 및 획득한 포인트 리워드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7524A1 (ko) 2018-08-16
KR101916126B1 (ko)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34856A1 (en) Telecommunications call augmentation system
RU2641655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контента короткого сообщения,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отображения короткого сообщения
CN101505458A (zh) 基于通信标识符提供相关广告或其它内容
KR100389667B1 (ko)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데이터 제공 방법
CN110691268B (zh) 一种消息发送方法、装置、服务器、移动终端及存储介质
JP2013009058A (ja) 広告音声映像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端末用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
KR101916126B1 (ko) 통화 연계 광고 노출 방법
KR20130111912A (ko)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광고 시스템
CN111556201A (zh) 一种智能应答来电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4216982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WO2014053898A1 (en) Mobile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JP3971768B2 (ja) 情報提供者と情報利用者とを連携させるサーバ
EP3222030A1 (en) Telecommunications call augmentation system
KR101807267B1 (ko) 이모티콘을 이용한 검색서비스 제공방법 및 상기 이모티콘을 이용한 검색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검색서버
KR20150000017A (ko) 모바일 웹과 app을 통한 리워드 광고방법
KR102499133B1 (ko)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1132472B1 (ko) 만남 주선 서비스에서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US202200512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promotion media content in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2023819B1 (ko) 통화 기반 실시간 참여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5295600A5 (ko)
KR20060125976A (ko) 인터넷상에서 연결된 전화수신자의 전화수신대가 보상방법및 사생활 보호방법
WO2024079746A1 (en) Method and system of rendering multimedia content during call establishment
CN116304255A (zh) 一种确定热点话题的方法和装置
CN114465832A (zh) 一种信息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30136698A (ko) 보이스 메시지 전송에서의 광고 콘텐트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