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001A -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001A
KR20180092001A KR1020170016899A KR20170016899A KR20180092001A KR 20180092001 A KR20180092001 A KR 20180092001A KR 1020170016899 A KR1020170016899 A KR 1020170016899A KR 20170016899 A KR20170016899 A KR 20170016899A KR 20180092001 A KR20180092001 A KR 20180092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exchange
voucher
gift certificate
mon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광
고광림
Original Assignee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2001A/ko
Publication of KR20180092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06Q30/0227Frequent usage incentive value reconciliation between divers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미리 발행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해 발생되는 선택 입력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발생되는, 전자 화폐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요청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요청 중 어느 하나의 교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교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화폐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중 어느 하나의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XCHANGE SERVICE BETWEEN ELECTRONIC MONEY AND ELECTRONIC VOUCHER}
아래의 설명은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화폐로부터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또는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전자 화폐는 발행자에게 대가를 지불하고, 발행자로부터 제공받는 일정한 화폐 가치를 갖는 가상의 화폐로서, 위조나 변조 등의 위험성이 적고, 도난 또는 분실의 경우에도 안전하며, 결제에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전자 상품권은 모바일 상품권, 모바일 쿠폰, 모바일 캐시 또는 모바일 포인트와 같이 일정 금액에 대응하는 화폐의 의미를 갖는 상품권으로서, 예컨대, 종래의 오프라인 상의 백화점 상품권과 유사한 화폐의 의미를 갖는다.
이 때, 전자 상품권은 일반적으로 구입 금액보다 사용 가능 금액이 크기 때문에, 사용 용도에 따라 금전적인 이익이 생기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으나, 발행자에 따라 사용 용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즉, 전자 상품권은, 전자 상품권을 보유한 사용자가 발행자와 제휴가 된 업체에서만 해당 전사 상품권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 상품권과 전자 화폐 사이의 교환을 지원하는 기술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들은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또는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특히, 일 실시예들은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미리 설정해둠으로써, 교환 비율에 기초하여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또는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미리 발행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해 발생되는 선택 입력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발생되는, 전자 화폐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요청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요청 중 어느 하나의 교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교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화폐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중 어느 하나의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전자 상품권들 각각의 교환 비율을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전자 상품권들 각각의 교환 비율을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해당 전자 상품권을 발행, 판매 또는 관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상품권들 각각의 교환 비율을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전자 상품권인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교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금액 중 적어도 일부 금액에 대한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금액 중 상기 적어도 일부 금액에 대해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금액 중 상기 적어도 일부 금액에 대해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일부 금액에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을 상기 교환 비율이 적용된 적어도 일부 금액에 상응하는 상기 전자 화폐로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금액 중 상기 적어도 일부 금액에 대해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금액 중 상기 적어도 일부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에 상응하는 전자 상품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상기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판매하고 있는 전자 상품권인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금액에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적용하는 단계; 상기 전자 화폐의 금액 중 상기 교환 비율이 적용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금액을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 교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화폐의 금액으로부터 상기 교환 비율이 적용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금액을 차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은, 모바일 상품권, 모바일 쿠폰, 모바일 캐시 또는 모바일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식별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과 관련된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사용/교환 기한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을 보유한 단말의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발행, 판매 및 관리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전자 상품권인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해 발생되는 선택 입력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교환 가능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효과가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전자 상품권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사용/교환 기한을 자동으로 연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전자 상품권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사용/교환 기한에 대한 알람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구현하는 컴퓨터와 결합하여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미리 발행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해 발생되는 선택 입력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발생되는, 전자 화폐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요청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요청 중 어느 하나의 교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교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화폐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중 어느 하나의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미리 발행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전자 상품권 정보 저장/유지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해 발생되는 선택 입력을 인식하는 선택 입력 인식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발생되는, 전자 화폐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요청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요청 중 어느 하나의 교환 요청을 수신하는 교환 요청 수신부; 상기 교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확인하는 교환 비율 확인부;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화폐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중 어느 하나의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 수행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들은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또는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들은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미리 설정해둠으로써, 교환 비율에 기초하여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또는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들은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 용도가 제한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며, 금전적인 이익이 생기는 경제적인 장점과 결제에 편리하다는 장점 모두를 도모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괄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a 내지 5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7a 내지 7e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괄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120)과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30)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들, 컴퓨터들, 서버들, 각종 장치들 간의 통신 링크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매체일 수 있다. 네트워크(130)는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110)과 사용자 단말(12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하여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 스위트(suite of protocols)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들 및 게이트웨이들의 월드 와이드 컬렉션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130)는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WAN(wide area network)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130)는 인터넷의 일부일 수 있다.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110)과 사용자 단말(120) 사이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3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3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3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120)은 PC, 노트북,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으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110)이 제공하는 서비스(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를 위하여, 교환 서비스와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단말(120)은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사용자 단말(120)을 의미할 수 있으며, 교환 서비스는 전자 화폐로부터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또는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을 수행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 전자 화폐는 발행자에게 대가를 지불하고, 발행자로부터 제공받는 일정한 화폐 가치를 갖는 가상의 화폐로서, 온라인 스토어 또는 오프라인 스토어에서 모두 결제 가능한 가상의 화폐이고, 전자 상품권은 일정 금액에 대응하는 화폐의 의미를 갖는 상품권으로서, 모바일 상품권, 모바일 쿠폰, 모바일 캐시 또는 모바일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110)은 교환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하는 주체로서, 사용자 단말(120)과 네트워크(13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110)은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어, 클라이언트(client)인 사용자 단말(120)로 교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110)은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상기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110)은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 또는 전체의 구성 요소가 사용자 단말(120) 상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110)에 대해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재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프로세서(210), 버스(2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 메모리(240) 및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운영체제(241) 및 서비스 제공 루틴(24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상품권 정보 저장/유지부(211), 선택 입력 인식부(212), 교환 요청 수신부(213), 교환 비율 확인부(214) 및 교환 수행부(215)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 또는 더 적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디스플레이나 트랜시버(transceiver)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2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0)에는 운영체제(241)와 서비스 제공 루틴(242)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2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40)에 로딩될 수도 있다.
버스(220)는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220)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이더넷 카드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광학 송수신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혹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의 다른 예들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들 및 USB 내의 블루투스(Bluetooth), 3G 및 WiFi 등을 포함하는 무선기기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서버, 모바일 폰, 혹은 다른 네트워크화된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를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미리 발행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50)는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에 데이터베이스(250)를 구축하여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이나 환경 등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혹은 전체 또는 일부의 데이터베이스가 별개의 다른 시스템 상에 구축된 외부 데이터베이스로서 존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프로세서(2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4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그리고 버스(220)를 통해 프로세서(210)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상품권 정보 저장/유지부(211), 선택 입력 인식부(212), 교환 요청 수신부(213), 교환 비율 확인부(214) 및 교환 수행부(215)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2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상품권 정보 저장/유지부(211)는 미리 발행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은 모바일 상품권, 모바일 쿠폰, 모바일 캐시 또는 모바일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식별 정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과 관련된 정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사용/교환 기한 정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을 보유한 단말의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발행, 판매 및 관리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상품권 정보 저장/유지부(211)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상품권 정보 저장/유지부(211)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전자 화폐로 교환될 때의 교환 비율과 전자 화폐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 교환될 때의 교환 비율을 각기 다르게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상품권 정보 저장/유지부(211)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전자 상품권들 각각의 교환 비율을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상품권 정보 저장/유지부(211)는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서 해당 전자 상품권을 발행, 판매 또는 관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 상품권들 각각의 교환 비율을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선택 입력 인식부(212)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해 발생되는 선택 입력을 인식한다.
교환 요청 수신부(21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발생되는,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요청 또는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요청 중 어느 하나의 교환 요청을 수신한다.
교환 비율 확인부(214)는 교환 요청에 응답하여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확인한다.
교환 수행부(215)는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에 기초하여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또는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중 어느 하나의 교환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가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 교환을 하고자 하는 상황과 전자 화폐로부터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을 하고자 하는 상황 각각에 따른 전자 상품권 정보 저장/유지부(211), 선택 입력 인식부(212), 교환 요청 수신부(213), 교환 비율 확인부(214) 및 교환 수행부(215)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 교환을 하고자 하는 상황일 때, 전자 상품권 정보 저장/유지부(211)는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을 보유한다는 것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을 구매한 뒤,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과 관련된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어 저장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전자 상품권 정보 저장/유지부(211)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선택 입력 인식부(2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여(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선택을 하도록 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해 선택 입력이 발생됨에 응답하여 선택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요청이 발생되면, 교환 요청 수신부(213)는 해당 교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교환 비율 확인부(214)는 교환 요청 수신부(213)에서 수신된 교환 요청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확인하고, 교환 수행부(215)는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전자 화폐로부터 전자 상품권으로 교환을 하고자 하는 상황(전자 화폐로 전자 상품권을 구매하고자 하는 상황)일 때, 전자 상품권 정보 저장/유지부(211)는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서 판매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서 판매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라는 것은,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사업자가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플랫폼(또는 외부 업체의 플랫폼)을 통하여 판매하고 있는 전자 상품권을 의미한다.
특히, 전자 상품권 정보 저장/유지부(211)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선택 입력 인식부(2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여(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선택을 하도록 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해 선택 입력이 발생됨에 응답하여 선택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요청이 발생되면, 교환 요청 수신부(213)는 해당 교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교환 비율 확인부(214)는 교환 요청 수신부(213)에서 수신된 교환 요청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확인하고, 교환 수행부(215)는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에 기초하여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이와 같은 전자 상품권 정보 저장/유지부(211), 선택 입력 인식부(212), 교환 요청 수신부(213), 교환 비율 확인부(214) 및 교환 수행부(215)의 각 동작을 통하여, 전자 화폐로부터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서비스 또는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기재하기로 한다.
이상,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이 프로세서(210), 버스(2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 메모리(240) 및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하는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프로세서(210)의 핵심 구성부들(전자 상품권 정보 저장/유지부(211), 선택 입력 인식부(212), 교환 요청 수신부(213), 교환 비율 확인부(214) 및 교환 수행부(215))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상술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와 결합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미리 발행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한다(310).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은 모바일 상품권, 모바일 쿠폰, 모바일 캐시 또는 모바일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식별 정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과 관련된 정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사용/교환 기한 정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을 보유한 단말의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발행, 판매 및 관리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310 단계에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전자 화폐로 교환될 때의 교환 비율과 전자 화폐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 교환될 때의 교환 비율을 각기 다르게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310 단계에서 복수의 전자 상품권들 각각의 교환 비율을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자체적으로 해당 전자 상품권을 발행, 판매 또는 관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 상품권들 각각의 교환 비율을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b를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이어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해 발생되는 선택 입력을 인식한다(320).
그 다음,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발생되는,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요청 또는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요청 중 어느 하나의 교환 요청을 수신한다(330).
그 다음,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교환 요청에 응답하여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확인한다(340). 구체적으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저장 및 유지되고 있던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340 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340 단계에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확인하기 이전에,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유효한지 여부 또는 전자 화폐가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 교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유효하거나, 전자 화폐가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 교환이 가능한 것으로 검증되는 경우에만, 후술되는 35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에 기초하여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또는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중 어느 하나의 교환을 수행한다(350).
이와 같은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사용자가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 교환을 하고자 하는 상황과 전자 화폐로부터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을 하고자 하는 상황 각각에 따른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도 4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고, 도 5a 내지 5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5a 내지 5d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미리 발행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전자 상품권)(521, 522)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410).
이 때, 410 단계에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의 교환 비율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의 교환 비율을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410 단계에서 복수의 전자 상품권들(521, 522) 각각의 교환 비율을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자체적으로 해당 전자 상품권을 발행, 판매 또는 관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 상품권들(521, 522) 각각의 교환 비율을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전자 상품권들(521, 522) 각각의 교환 비율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상품권(521)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발행, 판매 또는 관리되는 전자 상품권이고, 제2 전자 상품권(522)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발행, 판매 또는 관리되는 전자 상품권이 아닌 경우, 제1 전자 상품권(521)의 교환 비율은 100(전자 상품권):99(전자 화폐)일 수 있고, 제2 전자 상품권(522)의 교환 비율은 100(전자 상품권):90(전자 화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은 모바일 상품권, 모바일 쿠폰, 모바일 캐시 또는 모바일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의 식별 정보, 교환 비율과 관련된 정보, 사용/교환 기한 정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을 보유한 단말의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의 발행, 판매 및 관리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410 단계에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의 사용/교환 기한을 자동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및 유지하던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에 대한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의 사용/교환 기한을 자동으로 연장할 것을 요청하는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의 사용/교환 기한이 끝나가게 되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의 사용/교환 기한을 자동으로 연장할 수 있다.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다가, 도 5a와 같이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10)를 통하여 발생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후술되는 교환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게 된다. 이하, 사용자 인터페이스(510)는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10) 상에는 사용자 단말의 전자 화폐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객체(511),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2 객체(512) 및 전자 화폐로부터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3 객체(513)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객체(511)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전자 화폐에 대한 정보(예컨대,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전자 화폐의 금액)를 사용자 인터페이스(51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반면에, 제2 객체(512)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5b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520) 상에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던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52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이 전자 화폐로 교환 가능한지 여부(교환 서비스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한 뒤, 그래픽 효과가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을 사용자 인터페이스(520) 상에 제공(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1 전자 상품권(521)이 전자 화폐로 교환 가능한 전자 상품권이고, 제2 전자 상품권(522)이 전자 화폐로 교환 불가능한 전자 상품권인 경우, 제1 전자 상품권(521)만이 하이라이팅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52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을 사용자 인터페이스(520) 상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 각각의 사용/교환 기한과 관련된 정보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520)가 사용자 단말에 로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의 사용/교환 기한에 대한 알람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에 대한 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의 사용/교환 기한 정보가 포함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의 사용/교환 기한이 끝나가게 되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520)를 사용자 단말에 로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52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의 사용/교환 기한에 대한 알람을 제공(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을 사용자 인터페이스(520) 상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을 각각의 발행, 판매 또는 관리하는 사업자에 따라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이 하나의 사업자에 의해 발행, 판매 또는 관리되는 전자 상품권들을 권종 별로(예컨대, 10000원 전자 상품권 1장, 1000원 전자 상품권 3장) 보유한 경우,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해당 전자 상품권들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2)으로 대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5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20)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 522)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 입력(523)이 발생되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선택 입력(523)을 인식한다(420).
이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520)에 디스플레이된 교환 요청 객체(524)에서 사용자 교환 요청 입력(525)이 발생되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교환 요청 입력(525)을 수신함으로써(430),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을 전자 화폐로 교환하고자 하는 사용자 요청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교환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 및 유지하고 있던 적어도 하나의 상품권(521, 522)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에 대한 정보(예컨대, 교환 비율)를 추출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의 교환 비율을 확인한다(440).
또한, 440 단계에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이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이에,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는 경우에만, 후술되는 45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의 교환 비율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을 수행한다(450). 보다 상세하게,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450 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의 금액에 교환 비율을 적용한 뒤,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을 사용자 단말에서 제거하고, 교환 비율이 적용된 금액에 상응하는 전자 화폐를 사용자 단말로 충전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을 전자 화폐로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의 금액이 10000원이고,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의 교환 비율이 100(전자 상품권):99(전자 화폐)인 경우,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9900원에 상응하는 전자 화폐 9900원을 사용자 단말에 충전할 수 있다.
이 때,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을 수행하기 직전에, 도 5c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530) 상에 교환을 수행할 것을 확인 받는 확인창(531)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에 대해 다시 한번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확인창(531)에서 발생되는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에 대한 사용자 확인에 응답하여, 450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5d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540) 상에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으로부터 전자 화폐로의 교환이 수행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450 단계가 수행된 이후, 교환이 수행되어 충전된 전자 화폐의 금액(541), 교환이 수행되어 사용 처리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의 금액(542) 및 교환이 수행되어 업데이트된 전자 화폐의 총 잔액(543)을 사용자 인터페이스(54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의 금액 전체를 전자 화폐로 교환할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의 금액 중 일부 금액을 전자 화폐로 교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520)에 디스플레이된 교환 요청 객체(524)에서 사용자 교환 요청 입력(525)이 발생되면,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의 금액 중 전자 화폐로 교환할 일부 금액을 입력 받는 입력창(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사용자 인터페이스(520) 상에 디스플레이되게 되고, 상기 입력창에서 발생되는 전자 상품권 일부 금액 입력에 응답하여,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430 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의 금액 중 일부 금액에 대한 전자 화폐로의 교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450 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의 일부 금액에 교환 비율을 적용한 뒤,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을 사용자 단말에서 제거하고, 교환 비율이 적용된 일부 금액에 상응하는 전자 화폐를 사용자 단말로 충전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의 일부 금액만을 전자 화폐로 교환할 수 있다. 이 때,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의 금액 중 전자 화폐로 교환된 일부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은 그에 상응하는 전자 상품권으로 대체되어 사용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의 금액이 10000원이고, 전자 화폐로의 교환 요청의 대상이 된 일부 금액이 5000원이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521)의 교환 비율이 100(전자 상품권):99(전자 화폐)인 경우,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4950원에 상응하는 전자 화폐 4950원을 사용자 단말에 충전하고, 5050원에 상응하는 전자 상품권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고, 도 7a 내지 7e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7a 내지 7e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미리 발행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판매하고 있는 전자 상품권)(721, 722, 723, 724)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610).
이 때, 610 단계에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 722, 723, 724)의 교환 비율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 722, 723, 724)의 교환 비율을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 722, 723, 724)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610 단계에서 복수의 전자 상품권들(721, 722, 723, 724) 각각의 교환 비율을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자체적으로 해당 전자 상품권을 발행, 판매 또는 관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 상품권들(721, 722, 723, 724) 각각의 교환 비율을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판매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 722, 723, 724)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전자 상품권들(721, 722, 723, 724) 각각의 교환 비율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상품권(721)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발행되는 전자 상품권이고, 제2 전자 상품권(722)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발행되는 전자 상품권이 아닌 경우, 제1 전자 상품권(721)의 교환 비율은 90(전자 화폐):100(전자 상품권)일 수 있고, 제2 전자 상품권(722)의 교환 비율은 99(전자 화폐):100(전자 상품권)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 722, 723, 724)은 모바일 상품권, 모바일 쿠폰, 모바일 캐시 또는 모바일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 722, 723, 724)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 722, 723, 724)의 식별 정보, 교환 비율과 관련된 정보, 사용/교환 기한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 722, 723, 724)의 발행, 판매 및 관리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 722, 723, 724)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다가, 도 5a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10)를 통하여 발생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후술되는 교환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a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3 객체(513)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7a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710) 상에 사용자 단말에 판매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상품권들(711, 712, 713)을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모바일 쿠폰(711), 모바일 상품권(712) 및 모바일 캐시/포인트(713) 각각을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71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모바일 상품권(712)에서 사용자 선택 입력(714)이 발생되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7b와 같이 모바일 상품권(712)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들(721, 722, 723, 724)을 발행하는 사업자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720)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720) 상에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선택 입력(725)에 응답하여, 도 7c와 같이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에 대응하는 각각의 권종(731, 732, 733, 734)을 사용자 인터페이스(73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에 대응하는 각각의 권종(731, 732, 733, 734)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73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에 대응하는 각각의 권종(731, 732, 733, 734) 중 사용자 단말의 전자 화폐로 교환 가능한(구매 가능한) 권종(731)에만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73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의 전자 화폐의 총 잔액이 10000원인 경우, 10000원인 제1 전자 상품권 권종(731)만이 하이라이팅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73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20)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 722, 723, 724)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 입력(725)이 발생되면(사용자 인터페이스(730) 상에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특정 권종(731)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 입력(735)이 발생되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선택 입력(725, 735)을 인식한다(620).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특정 권종(731))에 대한 선택 입력(725, 735)에 응답하여,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7d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740)를 로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740)에 디스플레이된 교환 요청 객체(741)에서 사용자 교환 요청 입력(742)이 발생되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교환 요청 입력(742)을 수신함으로써(630), 사용자 단말의 전자 화폐를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특정 권종(731))으로 교환하고자 하는 사용자 요청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교환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 및 유지하고 있던 적어도 하나의 상품권(721, 722, 723, 724)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에 대한 정보(예컨대, 교환 비율)를 추출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교환 비율을 확인한다(640).
또한, 640 단계에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전자 화폐가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으로 교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전자 화폐의 총 잔액이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특정 권종(731))의 금액보다 큰 경우(사용자 단말의 전자 화폐의 총 잔액으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특정 권종(731)을 구매할 수 있는 경우)에만, 후술되는 65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교환 비율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특정 권종(731))으로의 교환을 수행한다(650). 이하, 사용자 단말의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특정 권종(731))으로의 교환은 사용자 단말의 전자 화폐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특정 권종(731))을 구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650 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특정 권종(731))의 금액에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교환 비율을 적용한 뒤, 사용자 단말의 전자 화폐의 금액(총 잔액) 중 교환 비율이 적용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특정 권종(731))의 금액을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특정 권종(731))으로 교환하고, 전자 화폐의 금액(총 잔액)으로부터 교환 비율이 적용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특정 권종(731))의 금액을 차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특정 권종(731))의 금액이 10000원이고,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교환 비율이 90(전자 화폐):100(전자 상품권)이며, 사용자 단말의 전자 화폐의 금액(총 잔액)이 10000원인 경우,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전자 화폐의 총 잔액 중 9000원을 10000원의 어느 하나의 상품권(721)(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특정 권종(731))으로 교환하고, 총 잔액에서 9000원을 차감하여 사용자 단말의 전자 화폐의 총 잔액을 1000원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때,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으로의 교환을 수행하기 직전에, 도 7e와 같이 교환을 수행할 것을 확인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50)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으로의 교환에 대해 다시 한번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750)에서 발생되는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으로의 교환에 대한 사용자 확인에 응답하여, 650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7f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760) 상에 전자 화폐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으로 교환이 수행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650 단계가 수행된 이후, 교환이 수행되어 차감된 전자 화폐의 금액(761), 교환이 수행되어 구매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금액(762) 및 교환이 수행되어 업데이트된 전자 화폐의 총 잔액(763)을 사용자 인터페이스(76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전자 화폐가 교환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특정 권종(731))을 다른 사용자 단말로 선물하는 기능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d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740) 상에 디스플레이된 선물하기 객체(743)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술한 640 단계 내지 650 단계를 수행한 뒤, 사용자 단말의 전자 화폐가 교환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특정 권종(731))을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선물하기 기능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입력되는 다른 사용자 단말의 식별 번호(예컨대,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721)의 특정 권종(731))을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미리 발행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해 발생되는 선택 입력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발생되는, 전자 화폐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요청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요청 중 어느 하나의 교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교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화폐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중 어느 하나의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전자 상품권들 각각의 교환 비율을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상품권들 각각의 교환 비율을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해당 전자 상품권을 발행, 판매 또는 관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상품권들 각각의 교환 비율을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하는 단계인,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전자 상품권인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교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금액 중 적어도 일부 금액에 대한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금액 중 상기 적어도 일부 금액에 대해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금액 중 상기 적어도 일부 금액에 대해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일부 금액에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을 상기 교환 비율이 적용된 적어도 일부 금액에 상응하는 상기 전자 화폐로 교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금액 중 상기 적어도 일부 금액에 대해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금액 중 상기 적어도 일부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에 상응하는 전자 상품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상기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판매하고 있는 전자 상품권인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금액에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적용하는 단계;
    상기 전자 화폐의 금액 중 상기 교환 비율이 적용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금액을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 교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화폐의 금액으로부터 상기 교환 비율이 적용된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금액을 차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은,
    모바일 상품권, 모바일 쿠폰, 모바일 캐시 또는 모바일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식별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과 관련된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사용/교환 기한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을 보유한 단말의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발행, 판매 및 관리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전자 상품권인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해 발생되는 선택 입력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교환 가능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효과가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전자 상품권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사용/교환 기한을 자동으로 연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전자 상품권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사용/교환 기한에 대한 알람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전자 기기를 구현하는 컴퓨터와 결합하여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미리 발행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해 발생되는 선택 입력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발생되는, 전자 화폐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요청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요청 중 어느 하나의 교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교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화폐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중 어느 하나의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5.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발행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전자 상품권 정보 저장/유지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상품권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에 대해 발생되는 선택 입력을 인식하는 선택 입력 인식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발생되는, 전자 화폐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요청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요청 중 어느 하나의 교환 요청을 수신하는 교환 요청 수신부;
    상기 교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을 확인하는 교환 비율 확인부;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교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화폐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의 교환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 상품권으로부터 상기 전자 화폐로의 교환 중 어느 하나의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 수행부
    를 포함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70016899A 2017-02-07 2017-02-07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92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899A KR20180092001A (ko) 2017-02-07 2017-02-07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899A KR20180092001A (ko) 2017-02-07 2017-02-07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001A true KR20180092001A (ko) 2018-08-17

Family

ID=63408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899A KR20180092001A (ko) 2017-02-07 2017-02-07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20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393A (ko) * 2019-03-07 2020-09-16 주식회사 케이티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WO2021177665A1 (ko) * 2020-03-02 2021-09-10 김민우 온라인 상품권 직거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50639B1 (ko) 2020-07-14 2022-01-12 전승한 블록체인 기반 상품권 서비스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393A (ko) * 2019-03-07 2020-09-16 주식회사 케이티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WO2021177665A1 (ko) * 2020-03-02 2021-09-10 김민우 온라인 상품권 직거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50639B1 (ko) 2020-07-14 2022-01-12 전승한 블록체인 기반 상품권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31028A1 (en) Exchange System Supporting Cloud Computing
US202102564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sale transaction data
US10354496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ttery application
WO2004010356A1 (ja) 決済システム、決済装置、決済プログラム、および決済プログラム記憶媒体
WO2007123743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payroll system and benefits administration
KR20190127344A (ko) 공급자와 판매자간 전자 상거래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
JP6554304B2 (ja) 統合決済サービスを提供するクラウドサービスの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80092001A (ko)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14043A (ko) 계좌번호가 연동되어 있는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주문 결제를 중계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760941B2 (en) Managing the purchase of multiple items with multiple modes of fulfillment
KR20200081895A (ko) 암호화폐 거래시 에스크로 서비스 방법 및 에스크로 시스템
KR20170037445A (ko) 매출채권의 유통을 중개하는 은행서버 및 그 방법
KR102070541B1 (ko) 현금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US112522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managing capabilities on network monitoring devices
US201903113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application content management
JP2015179300A (ja) 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方法
KR20210037247A (ko) 블록체인 기반 상품 구매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2532A (ko) 계좌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02217B1 (ko) 포인트 결제 플랫폼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662576B1 (ko) 제휴 판매사에 예약 대신 결제 처리를 제공하기 위한 관계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JP6712038B1 (ja) 商品の運用方法
US202301396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Currency Change
KR102055066B1 (ko) 고유 식별 코드를 이용한 충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18045611A (ja) 電子マネー充当装置
KR20220131033A (ko) 암호화폐 기반의 지급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