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393A -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393A
KR20200107393A KR1020190026471A KR20190026471A KR20200107393A KR 20200107393 A KR20200107393 A KR 20200107393A KR 1020190026471 A KR1020190026471 A KR 1020190026471A KR 20190026471 A KR20190026471 A KR 20190026471A KR 20200107393 A KR20200107393 A KR 20200107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ken
platform
user terminal
providing serv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724B1 (ko
Inventor
박수아
서정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90026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724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상기 플랫폼 활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플랫폼 활동 수집부, 상기 수집된 플랫폼 활동에 기초하여 제 1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으로 발행하는 토큰 발행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토큰의 제 2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받고, 상기 교환된 제 2 토큰을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하는 토큰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품 구매를 요청받고, 상기 상품 구매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지급된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결제하는 결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토큰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상기 플랫폼 내의 영향도가 결정된다.

Description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SERVER, METHOD AND USER DEVICE FOR PROVIDING REVIEW PLATFORM CAPABLE OF SHARING PRODUCT INFORMATION AND BUYING PRODUCT}
본 발명은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체크 슈머란 확인(check)과 소비자(consumer)의 합성어로, 제품의 성분과 원재료를 확인하고 구입하는 소비자를 일컫는다. 최근 뷰티 시장의 쇼핑 트렌드는 체크 슈머로 불리는 십대 또는 이십대가 이끌어 가고 있으며, 이들은 제품의 구매를 결정하기까지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제품 정보와 후기를 체크하고, 뷰티앱을 통해 화장품 성분을 분석하는 등 다양한 채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수많은 제품을 섭렵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체크슈머를 겨냥하여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에 의해 리뷰 시스템이 악용되어 리뷰의 반복 게재 및 비구매자의 허위 리뷰가 범람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리뷰 검증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 10-1279713호는 인맥정보를 이용한 리뷰 신뢰도 검증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뷰티앱을 통해 리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특정 업체에 불리한 리뷰가 블라인드 처리되어 추천 서비스의 중립성이 지켜지지 않게 되고, 고객의 리뷰 작성에 따른 혜택이 제공되지 않아 양질의 컨텐츠를 고객들에게 제공하기 어렵고, 리뷰에 포함된 개인 정보가 공유되어 악용되기 쉽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리뷰 작성, 댓글 작성, 별점 부여, 추천 클릭 등과 같은 고객의 플랫폼 활동에 따라 고객의 계정으로 리워드로서 제 1 토큰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리뷰 플랫폼 활동량에 따라 발행된 제 1 토큰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고객의 플랫폼 내의 영향도를 결정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고객의 플랫폼 활동에 따라 리워드로 제 1 토큰을 제공하고, 제 1 토큰과 상호 교환이 가능하며, 상품 결제가 가능한 제 2 토큰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발행된 제 1 토큰과 제 2 토큰에 대해 발행일로부터 소정의 기간이 지나면 감가상각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고객으로 하여금 플랫폼 내의 영향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꾸준한 플랫폼 활동을 유발시키는 동시에 플랫폼 내의 구매력을 높여 플랫폼을 활성화시키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의 상기 플랫폼 활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플랫폼 활동 수집부, 상기 수집된 플랫폼 활동에 기초하여 제 1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으로 발행하는 토큰 발행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토큰의 제 2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받고, 상기 교환된 제 2 토큰을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하는 토큰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품 구매를 요청 받고, 상기 상품 구매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지급된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결제하는 결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토큰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상기 플랫폼 내의 영향도가 결정되는 플랫폼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의 상기 플랫폼 활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플랫폼 활동에 기초하여 제 1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으로 발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토큰의 제 2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교환된 제 2 토큰을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품 구매를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상품 구매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지급된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토큰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상기 플랫폼 내의 영향도가 결정되는 플랫폼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플랫폼 활동을 입력받아 플랫폼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플랫폼 활동 제공부, 상기 제공한 플랫폼 활동에 기초하여 상기 플랫폼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으로 제 1 토큰을 발행받는 토큰 발행부, 상기 플랫폼 제공 서버로 상기 발행받은 제 1 토큰의 제 2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하고, 상기 플랫폼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교환된 제 2 토큰을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받는 토큰 관리부, 상기 플랫폼 제공 서버로 상품의 구매를 요청하고, 상기 상품 구매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제공받은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결제하는 결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토큰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상기 플랫폼 내의 영향도가 결정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리뷰 작성, 댓글 작성, 별점 부여, 추천 클릭 등과 같은 고객의 플랫폼 활동에 따라 고객의 계정으로 리워드로서 제 1 토큰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리뷰 플랫폼 활동량에 따라 발행된 제 1 토큰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고객의 플랫폼 내의 영향도를 결정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고객은 정확도가 높거나 정성스러운 리뷰를 인정받아 별점, 추천, 또는 댓글 수가 일정수를 초과할 때마다 추가적인 제 1 토큰 보상을 받음으로써 플랫폼 내 본인 글의 영향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단, 발행된 제 1 토큰과 제 2 토큰에 대해 발행일로부터 소정의 기간이 지나면 감가상각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고객으로 하여금 플랫폼 내의 영향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꾸준한 플랫폼 활동을 유발시키는 동시에 플랫폼 내의 구매력을 높여 플랫폼을 활성화시키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받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제 1 토큰 및 제 2 토큰이 교환되는 경우의 교환 내용 및 트랜잭션 구조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서버에서 등록된 리뷰와 기등록된 리뷰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을 어뷰징 의심군으로 분류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서버에서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10), 플랫폼 제공 서버(120) 및 발행사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 플랫폼 제공 서버(120) 및 발행사 서버(130)는 플랫폼 제공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플랫폼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 또는 발행사 서버(130)와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10)은 플랫폼 활동에 따라 발행받은 제 1 토큰을 제 2 토큰으로 교환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플랫폼 활동을 입력받아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 활동은 리뷰 작성, 댓글 작성, 리뷰에 대한 추천 등을 포함하고, 플랫폼에 등록된 리뷰는 플랫폼 제공 서버(120)에 의해 어뷰징 조건(abusing condition)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어뷰징 조건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소정의 시간 내에 등록한 리뷰의 수, 리뷰의 글자수, 사용자 단말(110)에서 부여한 추천의 비율,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기등록된 리뷰와의 유사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제공한 플랫폼 활동에 기초하여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으로 제 1 토큰을 발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 1 토큰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사용자 계정의 플랫폼 내의 영향도가 결정되고, 제 1 토큰의 발행량은 플랫폼 제공 서버(120)에 의해 플랫폼 내의 영향도 및 플랫폼 활동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 1 토큰은 제 1 토큰의 발행일로부터의 경과 시간 및 제 2 토큰으로의 교환량에 기초하여 제 1 토큰의 가치가 하향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토큰의 가치의 감가율은 제 2 토큰으로의 교환량에 비례하여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제 1 토큰의 제 2 토큰으로의 교환에 따라 보유하게된 제 2 토큰(특정 토큰)의 경우에도 해당 토큰의 발행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따라 가치가 하향 조정됨으로써 플랫폼사가 즉각적/직접적으로 제어가 어려운 제 1 토큰량 증가에 따른 제 2 토큰의 지나친 가치 하락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부터 발행 받은 제 1 토큰의 제 2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하고,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부터 교환된 제 2 토큰을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 상품의 구매를 요청하고, 상품 구매의 요청에 기초하여 사용자 계정으로 제공받은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상품을 결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10)은 플랫폼 제공 서버(120)를 통해 구매한 제 2 토큰을 제 1 토큰으로 교환하여 리뷰 플랫폼 내에서의 영향력을 높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 제 2 토큰의 구매를 요청하면,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으로 제 2 토큰을 발행받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10)은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 제 2 토큰의 제 1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하고,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부터 교환된 제 1 토큰을 사용자 계정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플랫폼 활동에 따라 발행된 제 1 토큰의 제 2 토큰으로의 교환을 통해 사용자가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상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플랫폼 활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 활동은 리뷰 작성, 댓글 작성, 리뷰에 대한 추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초기에 발행사 서버(130)로부터 소정의 수량의 제 2 토큰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 2 토큰은 리뷰 플랫폼 생태계 상태에 따라 제 2 토큰의 추가 발행량 결정 및 참여자에의 추가 배포가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각각의 사용자 계정이 보유한 제 1 토큰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소정의 수량의 제 2 토큰 중 적어도 일부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각각의 사용자 계정으로 발행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수집된 플랫폼 활동에 기초하여 제 1 토큰을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으로 발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플랫폼 내의 영향도에 기초하여 플랫폼 활동에 따른 제 1 토큰의 발행량을 결정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 1 토큰의 제 2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받고, 교환된 제 2 토큰을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제 1 토큰의 발행일로부터의 경과 시간 및 제 2 토큰으로의 교환량에 기초하여 제 1 토큰의 가치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제 2 토큰으로의 교환량에 비례하여 제 1 토큰의 가치의 감가율을 낮출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의 활발한 제 1 토큰의 제 2 토큰으로의 교환을 기대한다.
마찬가지로,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 2 토큰의 제 1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받고, 교환된 제 2 토큰을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상품 구매를 요청받고, 상품 구매의 요청에 기초하여 사용자 계정에 지급된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상품을 결제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플랫폼에 등록된 리뷰가 어뷰징 조건(abusing condition)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어뷰징 조건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소정의 시간 내에 등록한 리뷰의 수, 리뷰의 글자수, 사용자 단말(110)에서 부여한 추천의 비율,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기등록된 리뷰와의 유사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기등록된 리뷰와 등록된 리뷰 간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기등록된 리뷰의 전체 수 중 특정 단어가 포함된 리뷰의 수에 기초하여 기등록된 리뷰와 등록된 리뷰 간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산출된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리뷰를 등록한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을 어뷰징 의심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어뷰징 의심군으로 분류된 사용자 계정에 대해 리뷰 작성의 제한 또는 사용자 추가 인증 등을 설정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기존의 상품 제공 업체와 제휴하여 제휴 참여에 따른 토큰 지분률을 공유할 수 있다. 또는,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플랫폼의 이용 고객이 많아지는 경우, 제휴처의 상품을 소개 및 판매하여 상품 판매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구매한 제 2 토큰의 제 1 토큰으로의 교환을 통해 사용자가 제 1 토큰을 이용하여 리뷰 플랫폼 내에서의 영향도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 2 토큰의 구매를 요청받고, 제 2 토큰의 구매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제 2 토큰을 결제할 수 있다. 이 때,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결제에 기초하여 제 2 토큰을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으로 발행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 2 토큰의 제 1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받고, 교환된 제 1 토큰을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할 수 있다. 발행사 서버(130)는 초기에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 제 2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에 발행되는 제 2 토큰은 초기 발행량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행사 서버(130)는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부터 고객들이 제 3 자 제공에 동의한 블록체인에 저장된 뷰티 데이터를 구매함으로써, 제 2 토큰을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 발행할 수 있다. 뷰티 데이터는 예를 들어, 고객 맞춤형 화장품을 개발하기 위해 고객군별(인종별, 피부 타입별, 피부색별 등)로 분류된 맞춤형 데이터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이코노미를 기반으로 리뷰 플랫폼 참여자 모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발행사 서버(130)에게는 확장된 토큰 이코노미를 통해 토큰의 가치가 올라감에 따른 이윤 증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객에게는 투명한 리뷰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맞춤형 상품을 추천함으로써, 구매 및 사용할 확률이 높은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객에게는 리뷰 작성에 따라 즉각적으로 리워드를 제공하고, 제공된 리워드를 통해 상품을 제공(구매)받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플랫폼 활동 전송부(210), 토큰 수신부(220), 토큰 교환부(230) 및 결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10)은 플랫폼 활동에 따라 발행받은 제 1 토큰을 제 2 토큰으로 교환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플랫폼 활동 전송부(210)는 사용자로부터 플랫폼 활동을 입력받아 이를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플랫폼 활동은 예를 들어, 리뷰 작성, 댓글 작성, 리뷰에 대한 추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작성된 리뷰가 플랫폼에 등록되면 플랫폼 제공 서버(120)에 의해 어뷰징 조건(abusing condition)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어뷰징 조건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소정의 시간 내에 등록한 리뷰의 수, 리뷰의 글자수, 사용자 단말(110)에서 부여한 추천의 비율,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기등록된 리뷰와의 유사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110)이 플랫폼에 등록한 리뷰가 어뷰징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부터 사용자 추가 인증을 요청받거나 플랫폼 제공 서버(120)에 의해 리뷰 작성이 제한될 수 있다.
토큰 수신부(220)는 전송한 플랫폼 활동에 기초하여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으로 제 1 토큰을 발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 1 토큰은 사용자의 플랫폼 활동에 따라 발행받는 것으로, 사용자는 제 1 토큰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사용자 계정의 플랫폼 내의 영향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향도가 높은 사용자가 특정 상품에 대한 리뷰를 작성한 경우, 해당 리뷰가 상위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플랫폼 내의 영향도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플랫폼 활동을 활발히 함으로써, 그에 대한 보상으로 제 1 토큰을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부터 사용자 계정으로 발행받아 플랫폼 내의 영향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영향도가 높은 사용자는 플랫폼을 통해 직접 상품을 구매하여 사용한 후 상품에 대한 리뷰를 남기는 등 플랫폼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신뢰도가 쌓인 사용자로서 인플루언서(influencer)와 같이 인식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사용자들이 플랫폼 활동을 지속함에 따라 제 1 토큰이 계속 발행되는데 반해, 제 2 토큰은 추가 발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토큰의 가치가 떨어짐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1 토큰의 가치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향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토큰은 제 1 토큰의 발행일로부터의 경과 시간 및 제 2 토큰으로의 교환량에 기초하여 제 1 토큰의 가치가 하향 조정되고, 제 1 토큰의 가치의 감가율은 제 2 토큰으로의 교환량에 비례하여 낮아짐으로써 일부 상향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토큰의 가치가 하향 조정됨에 따라 사용자들이 제 1 토큰을 오래 보유하지 않고 제 2 토큰으로 교환하고, 교환된 제 2 토큰 역시 가치가 하향 조정됨에 따라 사용자들이 제 2 토큰도 오래 보유하지 않고 물품을 구매하게 되면서, 두 토큰이 소진되도록 하여 플랫폼 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선순환 구조가 정착될 수 있다.
토큰 교환부(230)는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 발행받은 제 1 토큰의 제 2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하고,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부터 교환된 제 2 토큰을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 1 토큰은 사용자의 플랫폼 활동에 따라 적립 가능한 토큰이고, 제 2 토큰은 사용자가 플랫폼 내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실제 화폐와 같이 이용 가능한 토큰일 수 있다.
제 1 토큰과 제 2 토큰은 상호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제 1 토큰을 제 2 토큰으로 교환함으로써,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2 토큰을 구매하고, 구매를 통해 보유하게 된 제 2 토큰을 제 1 토큰으로 교환함으로써, 플랫폼 내 영향도를 높일 수도 있다. 이 때, 제 2 토큰의 구매는 발행사의 의사결정 로직에 의거해 횟수 또는 금액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위적인 인플루언서를 최소화하고, 인플루언서에 의한 어뷰징 시도를 일부 해소하고자 한다.
결제부(240)는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 상품의 구매를 요청하고, 상품 구매의 요청에 기초하여 사용자 계정으로 제공받은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상품을 결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10)은 플랫폼 제공 서버(120)를 통해 구매한 제 2 토큰을 제 1 토큰으로 교환하여 리뷰 플랫폼 내에서의 영향력을 높일 수 있다.
결제부(240)는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 제 2 토큰의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토큰 수신부(220)는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으로 제 2 토큰을 발행받을 수 있다.
토큰 교환부(230)는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 제 2 토큰의 제 1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하고,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부터 교환된 제 1 토큰을 사용자 계정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플랫폼 활동에 따라 발행받은 제 1 토큰을 제 2 토큰으로 교환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구매한 제 2 토큰을 제 1 토큰으로 교환하여 리뷰 플랫폼 내에서의 영향력을 높일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가 제 1 토큰과 제 2 토큰의 상호 스왑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받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10)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받는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 제공 시스템(1)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받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3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플랫폼 활동을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전송된 플랫폼 활동에 기초하여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으로 제 1 토큰을 발행받을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 발행받은 제 1 토큰의 제 2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부터 교환된 제 2 토큰을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받을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플랫폼 제공 서버(120)로 상품의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36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상품 구매의 요청에 기초하여 사용자 계정으로 제공받은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상품을 결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10 내지 S3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플랫폼 활동 수집부(410), 토큰 발행부(420), 토큰 관리부(430), 결제부(440) 및 어뷰징 판단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 1 토큰의 제 2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받아 제 2 토큰을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하여 사용자가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하도록 할 수 있다.
플랫폼 활동 수집부(410)는 사용자 단말(110)의 플랫폼 활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 활동은 리뷰 작성, 댓글 작성, 리뷰에 대한 추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토큰 발행부(420)는 초기에 발행사 서버(130)로부터 소정의 수량의 제 2 토큰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 2 토큰은 사용자가 플랫폼 내의 몰(mall)을 통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실제 화폐와 같이 이용 가능한 토큰으로, 소정의 횟수 또는 금액 내에서 구매가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토큰 발행부(420)는 발행사 서버(130)로부터 소정의 수량의 제 2 토큰을 제공받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사용자 계정이 보유한 제 1 토큰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소정의 수량에 제 2 토큰 중 적어도 일부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사용자 계정으로 발행할 수 있다.
즉, 제 2 토큰은 초기에 발행사 서버(130)로부터 제공받고, 그 이후에는 플랫폼 제공 서버(120) 내에서 제 1 토큰과 제 2 토큰의 순환을 통해 발행될 수 있다. 제 2 토큰은 제 2 토큰의 소진율에 따라 제 2 토큰의 추가 발행 시기가 지연 또는 앞당겨질 수 있으며, 제 2 토큰의 추가 발행량이 적어지거나 또는 많아질 수 있다.
토큰 발행부(420)는 수집된 플랫폼 활동에 기초하여 제 1 토큰을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으로 발행할 수 있다.
토큰 발행부(420)는 플랫폼 내의 영향도에 기초하여 플랫폼 활동에 따른 제 1 토큰의 발행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큰 발행부(420)는 동일한 플랫폼 활동이라도 플랫폼 내의 영향도가 높을수록 제 1 토큰의 발행량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토큰은 사용자의 플랫폼 활동에 따라 적립 가능한 토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토큰 발행부(420)는 사용자 자신이 작성한 리뷰, 다른 사용자의 리뷰에 작성한 댓글 및 다른 사용자의 리뷰에 대한 추천 등과 같은 사용자의 플랫폼 활동에 따라 제 1 토큰을 사용자의 계정으로 발행할 수 있다.
토큰 관리부(4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 1 토큰의 제 2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받고, 플랫폼 활동에 따라 발행된 제 1 토큰을 실물 화폐로 이용가능한 제 2 토큰으로 교환하여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할 수 있다.
제 1 토큰을 제 2 토큰으로 교환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약 30일 정도 소요되며, 그 기간은 짧아지거나 길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해당 기간 내에 제 2 토큰으로의 추가 교환을 요청받은 경우, 기존의 제 2 토큰 발행량을 기준으로 제 2 토큰을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할 수 있다. 이 때, 제 1 토큰을 제 2 토큰으로 교환하는 경우 사용자의 플랫폼 내 등급은 변경(하락)되지 않는다.
즉, 플랫폼 내에서 사용자가 리뷰 작성과 같은 플랫폼 활동에 따라 제 1 토큰을 발행받고, 제 1 토큰을 제 2 토큰으로 교환하여 상품을 구매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상품에 대한 리뷰를 지속적으로 작성하도록 독려하고, 다른 사용자에게는 플랫폼 내의 몰을 통해 직접 구매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리뷰를 통해 높은 신뢰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토큰과 제 2 토큰의 교환을 통해 플랫폼 내에서 제 1 토큰과 제 2 토큰이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토큰 관리부(430)는 사용자 단말(110)로로부터 구매된 제 2 토큰을 제 1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받고, 사용자 계정으로 제 1 토큰을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플랫폼 내의 영향도를 높이기 위해 제 2 토큰을 구매하여 제 1 토큰으로 교환받을 수도 있다. 이 때, 제 2 토큰의 구매는 횟수 또는 금액이 제한될 수 있다.
토큰 관리부(430)는 제 1 토큰의 발행일로부터의 경과 시간 및 제 2 토큰으로의 교환량에 기초하여 제 1 토큰의 가치를 하향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토큰 관리부(430)는 제 2 토큰으로의 교환량에 비례하여 제 1 토큰의 가치의 감가율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토큰 관리부(430)는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에서 제 1 토큰만을 보유한 경우,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제 1 토큰에 대해 감가상각을 적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제 1 토큰의 가치는 X2 = X1이 t만큼 기간이 경과된 후에 감가상각비율(r)이 수학식 1에 적용됨으로써 하향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토큰을 제 2 토큰으로 변경한 제 2 토큰의 경우에는 특정 집단(X2)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토큰 간의 교환 과정에서 해당 내용을 별도로 표기하여 따로 관리할 수 있다. 만약, 특정 고객이 의도적으로 제 1 토큰을 연속적으로 제 2 토큰으로 바로 바꾸는데 비해(1:1 교환비율), 제 2 토큰을 소진하지 않고 보유할 경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제 2 토큰의 가치가 하향 조정되어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별도로 표기된 X2는 'if(X2, b = = 1){X2.value = X2.value * (1-r)t}'수식을 적용하여 순수 구매에 따른 제 2 토큰과 구분하여 시간에 따른 감가상각비를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토큰 관리부(430)는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에서 제 1 토큰 및 제 2 토큰을 같이 보유한 경우, 제 1 토큰은 수학식 2에 기초하여 감가상각이 적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를 참조하면, 제 1 토큰의 가치는 X4 = X3이 t만큼 기간이 경과된 후에 감가상각비율(r)이 수학식 2에 적용됨으로써 하향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이 구축된 초기에는 r을 10%, t를 30일로 적용되며, 추후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토큰의 제 2 토큰으로의 교환량에 기초하여 제 1 토큰의 가치를 하향 조정하는 이유는 제 1 토큰이 많이 발행될수록 제 1 토큰의 가치가 낮아져 인플레이션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제 1 토큰을 제 2 토큰으로 교환한 사용자에게 남은 제 1 토큰에 대한 가치의 하향이 더디게 조정되도록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로 하여금 보유한 제 1 토큰의 가치의 하향이 덜 조정되도록 제 1 토큰을 제 2 토큰으로의 교환을 유도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플랫폼 내에서 영향도를 나타내는 제 1 토큰의 가치가 하향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플랫폼 내의 영향도가 높은 사용자(예를 들어, 인플루언서)의 영향도를 일부 감소(영향도가 무한정 높아지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토큰의 가치가 하향되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영향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꾸준한 플랫폼 활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결제부(44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상품의 구매를 요청받고, 상품 구매의 요청에 기초하여 사용자 계정에 지급된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상품을 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이 플랫폼 내의 몰(mall)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결제부(440)는 사용자 계정에 지급된 제 2 토큰을 통해 결제할 수 있다.
어뷰징 판단부(450)는 플랫폼에 등록된 리뷰가 어뷰징 조건(abusing condition)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어뷰징 조건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소정의 시간 내에 등록한 리뷰의 수, 리뷰의 글자수, 사용자 단말(110)에서 부여한 추천의 비율,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기등록된 리뷰와의 유사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뷰징 판단부(450)는 동일한 ID/PW를 이용하는 사용자 계정에서 소정 시간 내에 n개 이상의 리뷰가 등록된 경우 등록된 리뷰들이 어뷰징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 내에 등록한 리뷰의 수는 플랫폼 구축 초기에는 1시간 이내에 3개 이상의 글이 올라왔을 경우로 설정되며, 추후에 어뷰징 공격 빈도수 및 공격자 규모에 따라 신뢰도 값을 추가로 반영하여 조정될 수 있다.
어뷰징 판단부(450)는 산출부(451), 분류부(452) 및 설정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
산출부(451)는 기등록된 리뷰와 등록된 리뷰 간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플랫폼에 등록된 리뷰 및 기등록된 리뷰는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문서가 구조화되고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다.
산출부(451)는 기등록된 리뷰의 전체 수 중 특정 단어가 포함된 리뷰의 수에 기초하여 기등록된 리뷰와 등록된 리뷰 간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산출부(451)는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분류부(452)는 산출된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리뷰를 등록한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을 어뷰징 의심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산출된 유사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리뷰를 등록한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은 정상적인 업로더로 간주될 수 있다.
설정부(453)는 어뷰징 의심군으로 분류된 사용자 계정에 대해 리뷰 작성의 제한 또는 사용자 추가 인증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뷰징 의심군으로 분류된 사용자 계정에서 소정의 시간 또는 기간 내에 어뷰징 조건에 해당하는 리뷰가 k회 이상 작성한 것이 적발된 경우, 사용자 계정에 대해 리뷰 작성의 제한 또는 사용자 추가 인증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이 구축된 초기에는 한달 동안 3회 이상 적발될 시를 기준으로 하며, 어뷰징 공격 빈도수 및 공격자 규모에 따라 신뢰도 값을 추가로 반영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고성 리뷰 또는 사용자가 플랫폼 내에서 영향도를 높이기 위해 반복적으로 작성한 리뷰에 대해 어뷰징 차단을 하여, 사용자의 실제 사용에 기반한 공정한 리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 2 토큰의 제 1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받아 제 1 토큰을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하여 사용자가 리뷰 플랫폼 내에서 영향력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결제부(44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 2 토큰의 구매를 요청받고, 제 2 토큰의 구매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제 2 토큰을 결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은 예를 들어, 신용카드, 계좌이체, 휴대폰 결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토큰 발행부(420)는 결제에 기초하여 제 2 토큰을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으로 발행할 수 있다.
토큰 관리부(4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 2 토큰의 제 1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받고, 교환된 제 1 토큰을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제 2 토큰을 구매하고, 구매한 제 2 토큰을 리뷰 플랫폼 내에서의 영향도를 나타내는 제 1 토큰으로 교환함으로써, 사용자는 리뷰 플랫폼 내에서의 영향력을 높일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플랫폼 활동을 통해 발행된 제 1 토큰을 제 2 토큰으로 교환하고, 교환된 제 2 토큰을 통해 상품의 구매가 가능해지도록 하고, 사용자가 제 2 토큰을 구매하고, 구매한 제 2 토큰을 제 1 토큰으로 교환하여 제 1 토큰을 통해 리뷰 플랫폼 내에서 영향력이 높아지도록 함으로써, 제 1 토큰과 제 2 토큰의 상호 교환을 통해 서로 다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제 1 토큰 및 제 2 토큰이 교환되는 경우의 교환 내용 및 트랜잭션 구조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제 1 토큰 및 제 2 토큰이 교환되는 경우의 교환 내용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스마트 컨트랙트(500)의 교환 내용은 구매자(501), 판매자(502), 금액(503), 토큰 종류(504), 토큰 개수(505), 토큰 교환 이력(506), 토큰 발행 일자(507), 토큰 구매 일자(508), 토큰 사용 일자(509), 승인 주체(510) 및 서명란(511)이 관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토큰을 보유한 구매자(501)가 제 1 토큰으로 교환하는 경우의 교환 내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구매자(501)는 토큰을 교환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을 의미하고, 판매자(502)는 리뷰 플랫폼사를 의미할 수 있다.
금액(503)은 구매자(501)가 제 2 토큰을 구매한 금액을 의미하고, 토큰 종류(504)는 구매자(501)가 보유한 토큰 종류(예를 들어, 제 2 토큰)를 의미하고, 토큰 개수(505)는 교환되는 제 1 토큰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토큰을 보유한 구매자(501) 'a'는 제 1 토큰으로 25개를 교환할 수 있다.
토큰 교환 이력(506)은 예를 들어, 제 1 토큰 25개와 교환된 이력과 같이 교환된 토큰의 버전 정보 및 발행 이력을 의미할 수 있다.
토큰 발행 일자(507)는 제 1 토큰 및 제 2 토큰 각각이 발행된 일자를 의미할 수 있다.
토큰 구매 일자(508)는 구매자(501)가 제 2 토큰을 구매한 일자를 의미할 수 있다.
토큰 사용 일자(509)는 구매자(501)가 제 2 토큰을 사용된 일자를 의미할 수 있다.
승인 주체(510)는 플랫폼사(120), 토큰 발행사(130) 및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컨트랙트는 제 1 토큰, 제 2 토큰이 이더리움(Ethereum)을 기반으로 한다는 전제 하에 작성된 것으로, 하이퍼렛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을 기반으로 할 경우, Dapp(분산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는 등 토큰이 어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지에 따라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구조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트랜잭션 구조도(520)는 Header(521), Signature(522), Proposal(523), Response(524), Endorsement(525), Chaincode Name(526)을 포함할 수 있다.
Header(521)는 Tx의 버전 정보와 Tx가 실행되는 체인 코드의 이름을 의미하고, Signature(522)는 Tx 생성자의 아이덴티티(identity) 관련 디지털 인증서 정보를 의미하고, Proposal(523)은 체인 코드에 들어가는 Tx 입력값이 저장되고, Response(524)는 Tx 처리 결과값을 읽기(read)/쓰기(write)의 세트 형태로 변환하는 필드를 의미하고, Endorsement(525)는 Tx를 보증해준 피어(peer)의 아이덴티티(identity) 정보를 의미하고, Chaincode Name(526)은 Tx가 실행되는 체인코드를 구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서버에서 등록된 리뷰와 기등록된 리뷰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을 어뷰징 의심군으로 분류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플랫폼 제공 서버(120)에서 등록된 리뷰와 기등록된 리뷰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을 어뷰징 의심군으로 분류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 제공 시스템(1)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서버(120)에서 등록된 리뷰와 기등록된 리뷰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을 어뷰징 의심군으로 분류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같은 사용자 계정에 의해 n개 이상의 리뷰가 등록된 경우(S610), 기등록된 리뷰 및 등록된 리뷰에 대해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글을 구조화하고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유사도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S620).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기등록된 리뷰와 등록된 리뷰 간의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30). 예를 들어,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기등록된 리뷰와 등록된 리뷰 간의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S631), 사용자 계정을 어뷰징 의심군으로 배치하여(S640), 해당 사용자 계정에 대해 리뷰 작성 제한 또는 사용자 추가 인증을 설정할 수 있다(S650).
다른 예를 들어,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기등록된 리뷰와 등록된 리뷰 간의 유사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S632), 사용자 계정을 정상적인 업로드군으로 간주할 수 있다(S660).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10 내지 S6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서버에서 블록체인 기반의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플랫폼 제공 서버(120)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 제공 시스템(1)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서버(120)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710에서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플랫폼 활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수집된 플랫폼 활동에 기초하여 제 1 토큰을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으로 발행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 1 토큰의 제 2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받을 수 있다.
단계 S740에서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교환된 제 2 토큰을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할 수 있다.
단계 S750에서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상품 구매를 요청받을 수 있다.
단계 S760에서 플랫폼 제공 서버(120)는 상품 구매의 요청에 기초하여 사용자 계정에 지급된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상품을 결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0 내지 S7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된 사용자 단말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받는 방법 및 플랫폼 제공 서버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된 사용자 단말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받는 방법 및 플랫폼 제공 서버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사용자 단말
120: 플랫폼 제공 서버
130: 발행사 서버
210: 플랫폼 활동 전송부
220: 토큰 수신부
230: 토큰 교환부
240: 결제부
410: 플랫폼 활동 수집부
420: 토큰 발행부
430: 토큰 관리부
440: 결제부
450: 어뷰징 판단부

Claims (20)

  1.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플랫폼 활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플랫폼 활동 수집부;
    상기 수집된 플랫폼 활동에 기초하여 제 1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으로 발행하는 토큰 발행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토큰의 제 2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받고, 상기 교환된 제 2 토큰을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하는 토큰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품 구매를 요청받고, 상기 상품 구매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지급된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결제하는 결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토큰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상기 플랫폼 내의 영향도가 결정되는, 플랫폼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부는 발행사 서버로부터 소정의 수량의 제 2 토큰을 제공받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사용자 계정이 보유한 상기 제 1 토큰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수량의 제 2 토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사용자 계정으로 발행하는 것인, 플랫폼 제공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토큰의 구매를 요청받고, 상기 제 2 토큰의 구매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토큰을 결제하고,
    상기 토큰 발행부는 상기 결제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으로 발행하는 것인, 플랫폼 제공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토큰의 상기 제 1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받고, 상기 교환된 제 1 토큰을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하는 것인, 플랫폼 제공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관리부는 상기 제 1 토큰의 발행일로부터의 경과 시간 및 상기 제 2 토큰으로의 교환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토큰의 가치를 하향 조정하는 것인, 플랫폼 제공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관리부는 상기 제 2 토큰으로의 교환량에 비례하여 상기 제 1 토큰의 가치의 감가율을 낮추는 것인, 플랫폼 제공 서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활동은 리뷰 작성, 댓글 작성, 리뷰에 대한 추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플랫폼 제공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에 등록된 리뷰가 어뷰징 조건(abusing condition)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어뷰징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뷰징 조건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소정의 시간 내에 등록한 리뷰의 수, 상기 리뷰의 글자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부여한 상기 추천의 비율,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등록된 리뷰와의 유사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플랫폼 제공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기등록된 리뷰와 상기 등록된 리뷰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리뷰를 등록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을 어뷰징 의심군으로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어뷰징 의심군으로 분류된 사용자 계정에 대해 상기 리뷰 작성의 제한 또는 사용자 추가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플랫폼 제공 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기등록된 리뷰의 전체 수 중 특정 단어가 포함된 리뷰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기등록된 리뷰와 상기 등록된 리뷰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인, 플랫폼 제공 서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부는 상기 플랫폼 내의 영향도에 기초하여 상기 플랫폼 활동에 따른 상기 제 1 토큰의 발행량을 결정하는 것인, 플랫폼 제공 서버.
  13. 플랫폼 제공 서버에서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플랫폼 활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플랫폼 활동에 기초하여 제 1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으로 발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토큰의 제 2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교환된 제 2 토큰을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품의 구매를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상품 구매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지급된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토큰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상기 플랫폼 내의 영향도가 결정되는, 플랫폼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토큰의 구매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제 2 토큰의 구매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토큰을 결제하는 단계;
    상기 결제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으로 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플랫폼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토큰의 상기 제 1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교환된 제 1 토큰을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플랫폼 제공 방법.
  16.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플랫폼 활동을 플랫폼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플랫폼 활동 전송부;
    상기 전송된 플랫폼 활동에 기초하여 상기 플랫폼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으로 제 1 토큰을 발행받는 토큰 수신부;
    상기 플랫폼 제공 서버로 상기 발행받은 제 1 토큰의 제 2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하고, 상기 플랫폼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교환된 제 2 토큰을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제공받는 토큰 교환부;
    상기 플랫폼 제공 서버로 상품의 구매를 요청하고, 상기 상품을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제공받은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결제하는 결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토큰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상기 플랫폼 내의 영향도가 결정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부는 상기 플랫폼 제공 서버로 상기 제 2 토큰의 구매를 요청하고,
    상기 토큰 수신부는 상기 플랫폼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으로 상기 제 2 토큰을 발행받는 것인, 사용자 단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교환부는 상기 플랫폼 제공 서버로 상기 제 2 토큰의 상기 제 1 토큰으로의 교환을 요청하고, 상기 플랫폼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교환된 제 1 토큰을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제공받는 것인, 사용자 단말.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토큰은 상기 제 1 토큰의 발행일로부터의 경과 시간 및 상기 제 2 토큰으로의 교환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토큰의 가치가 하향 조정되고,
    상기 제 1 토큰의 가치의 감가율은 상기 제 2 토큰으로의 교환량에 비례하여 낮아지는 것인, 사용자 단말.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활동은 리뷰 작성, 댓글 작성, 리뷰에 대한 추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KR1020190026471A 2019-03-07 2019-03-07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102505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471A KR102505724B1 (ko) 2019-03-07 2019-03-07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471A KR102505724B1 (ko) 2019-03-07 2019-03-07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393A true KR20200107393A (ko) 2020-09-16
KR102505724B1 KR102505724B1 (ko) 2023-03-03

Family

ID=7266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471A KR102505724B1 (ko) 2019-03-07 2019-03-07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72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932B1 (ko) 2020-11-20 2021-07-06 주식회사 플러스82 블록체인 기반의 리뷰 임베디드 플랫폼 서버 및 그의 운용방법
KR102342984B1 (ko) * 2021-03-25 2021-12-23 주식회사 지에스컴퍼니 심리스 메타볼릭 결제 플랫폼 및 그 방법
KR102344804B1 (ko) * 2021-10-19 2021-12-29 주식회사 큐로드 인공지능 기반 모니터링 기술을 이용한 유저 피드백 정보 관리방법
KR102362836B1 (ko) * 2021-05-31 2022-02-14 이장욱 웹진 제작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277429A1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헤세그 투표에 대한 보상이 가능한 블록체인 상의 투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070857A (ko) * 2021-11-15 2023-05-23 주식회사 칸그림 블록체인 기반 리셀 상품 거래 방법
WO2023172088A1 (ko) * 2022-03-10 2023-09-14 황태욱 Scm 코드를 이용한 리뷰 nft와 밸류 체인 간의 경로 생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5950A (ko) * 2009-12-10 2011-06-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품구매의 이용후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50023308A (ko) * 2012-05-27 2015-03-05 양 추앙 진 메뉴 수준 후기 및 보상 시스템
KR20180069356A (ko)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단말, 블록 체인 서버 및 컨텐츠 제공 서버
KR20180092001A (ko) * 2017-02-07 2018-08-17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5950A (ko) * 2009-12-10 2011-06-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품구매의 이용후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50023308A (ko) * 2012-05-27 2015-03-05 양 추앙 진 메뉴 수준 후기 및 보상 시스템
KR20180069356A (ko)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단말, 블록 체인 서버 및 컨텐츠 제공 서버
KR20180092001A (ko) * 2017-02-07 2018-08-17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전자 화폐 및 전자 상품권 사이의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932B1 (ko) 2020-11-20 2021-07-06 주식회사 플러스82 블록체인 기반의 리뷰 임베디드 플랫폼 서버 및 그의 운용방법
KR102342984B1 (ko) * 2021-03-25 2021-12-23 주식회사 지에스컴퍼니 심리스 메타볼릭 결제 플랫폼 및 그 방법
KR102362836B1 (ko) * 2021-05-31 2022-02-14 이장욱 웹진 제작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277429A1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헤세그 투표에 대한 보상이 가능한 블록체인 상의 투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001698A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헤세그 투표에 대한 보상이 가능한 블록체인 상의 투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44804B1 (ko) * 2021-10-19 2021-12-29 주식회사 큐로드 인공지능 기반 모니터링 기술을 이용한 유저 피드백 정보 관리방법
KR20230070857A (ko) * 2021-11-15 2023-05-23 주식회사 칸그림 블록체인 기반 리셀 상품 거래 방법
WO2023172088A1 (ko) * 2022-03-10 2023-09-14 황태욱 Scm 코드를 이용한 리뷰 nft와 밸류 체인 간의 경로 생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724B1 (ko)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5724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정보 공유 및 상품 구매를 위한 리뷰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US114032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network based on uniform code issuance, method therefor, and sensing access device
US20210042805A1 (en) Data bank for managing streams of personal data
US20210182915A1 (en) Platform for management of user data
US20160314501A1 (en) Scalable networked computing system for scoring user influence in an internet-based social network
US11315150B2 (en) Portfolio driven targeted advertising network, system, and method
US11960622B2 (en) Platform for management of user data
US2022008401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thical cryptocurrency management
KR20190069916A (ko) 샵 분배 기능 및 인플루언서 마케팅 효율 분석 기능을 가지는 인플루언서 소셜 미디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US202201889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Futures Platform
KR20210031053A (ko) 연예인 굿즈 유통 양성화를 위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CN102163311A (zh) 一种应用于互联网广告展示和推广的方法
US201803577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Virtual Currency Exchange
Kee et al. The impact of using cashless pay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case study of Maybank
Makki et al. E-commerce acceptance and implementation in saudi arabia: previous, current and future factors
KR20200020505A (ko) 가치선택적 마케팅 시스템
KR20200040075A (ko) 거래수수료 공유 및 코인 페이먼트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가상화폐 거래소 서비스 제공 방법
CA2886725C (en) Universal substantiation system
Karaçam Privacy and Monopoly Concerns in Data-Driven Transactions.
Karoubi et al. Prices for cash and cash for prices? Theory and evidence on convenient pricing
TW201801008A (zh) 網路積分充值消費系統
Ekinci Blockchain Applications in Marketing
Chen et al. Technology options and optimal pricing of a two-sided mobile payment platform
KR20220144494A (ko) 고유 식별코드 기반의 소비자 홍보 선순환을 통한 수익 공유형 매매 중개 시스템 및 중개 방법
Panas et al. Review of mobile banking solutions including the analysis of survey performed among the individual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