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958A -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 뷰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 뷰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958A
KR20180091958A KR1020187022671A KR20187022671A KR20180091958A KR 20180091958 A KR20180091958 A KR 20180091958A KR 1020187022671 A KR1020187022671 A KR 1020187022671A KR 20187022671 A KR20187022671 A KR 20187022671A KR 20180091958 A KR20180091958 A KR 20180091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ser interface
screen view
gestur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2496B1 (ko
Inventor
홀거 와일드
마크 피터 첼닉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09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K37/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B60K2350/1004
    • B60K2350/1012
    • B60K2350/1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60K2360/113Scrolling through menu i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1Activation of instrument input devices by approaching fingers 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6Instrument input by ges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6Instrument input by gesture
    • B60K2360/14643D-ges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6Instrument input by gesture
    • B60K2360/1468Touch ges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6Camera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스크린 뷰(I)에서 제2 스크린 뷰로 전환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이러한 방법은 입력 유닛의 측정 영역에서 입력 수단(13)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스크린 뷰로 전환 가능성과 관련하여, 상기 제1 스크린 뷰(I)의 가장자리에 메시지(7a, 7b)를 표시하는 단계, 사전 정의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스크린 뷰에서 상기 제2 스크린 뷰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 뷰 전환 방법{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HANGING BETWEEN SCREEN VIEWS OF A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스크린 뷰에서 제2 스크린 뷰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스크린 뷰들 간의 전환 가능성에 대한 사용자 정보 그리고 이러한 전환을 실행할 때 사용자 지원과도 관련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작동과 관련하여서는 작동 인터페이스(operating interface)(예컨대, 터치스크린)를 접촉하여 실행되는 제스처들과 공간에서 자유롭게 실행되는 제스처(3D 제스처)들이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스와이프 제스처(swipe gesture)에 의해 스크린 뷰들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도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성에 따라 개별 사용자에게 이러한 가능성이 항상 알려져 있지 않고,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는 작동 인터페이스에 접촉하여 이루어지는 스와이프 제스처가 때때로 용이하게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로부터는 2개의 스크린 뷰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스와이프 제스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스크린 뷰의 개별 작동면/타일(tile)의 이동이 제공되지 않는다. 특히, 차량 내에서 사용 시, 홈스크린의 접촉 아날로그식 이동을 위해서는 증가된 눈과 손의 협응(hand-eye coordination)이 필요하며, 이러한 상황은 주행 중일 경우 사용자의 주의 필요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2개의 홈스크린 간의 전환이 마찬가지로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해 실행될 수 있긴 하지만 이러한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해 홈스크린의 개별 타일들과의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전술한 과제의 해결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방법에 의해서 그리고 청구항 2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스크린 뷰에서 제2 스크린 뷰로의 전환에 사용된다. 상기 스크린 뷰들은 예들 들면 소위 홈스크린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에서 홈스크린은, 상이한 기능 영역들에 대한 정보 영역("타일")들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스크린 뷰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타일들은 통상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구성되고, 이동될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홈스크린들에 할당될 수 있다. 특히, 콘텐츠 고유의 기능 호출은 홈스크린의 타일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공되지 않고, 오히려 상기 타일들이 상이한 영역에 대한 정보 재생에만 사용된다. 제1 단계에서는 입력 유닛의 측정 영역/근접 영역(approximation region)에서 입력 수단(예컨대, 사용자의 손)이 검출된다. 상기 측정 영역은 센서의 검출 영역으로서, 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의 상호 작용의 가정적인 요청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측정 영역은 표시 수단("화면") 앞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작동하기 위한 센서 앞 공간 영역에 있을 수 있다. 검출된 입력 수단에 대한 반응으로서, 제2 스크린 뷰로 전환 가능성과 관련하여 제1 스크린 뷰의 가장자리에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사용자는 필요할 경우 현재 스크린 뷰를 벗어나 또 다른 스크린 뷰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메시지는 특히, 제2 스크린 뷰(가상)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왼쪽으로 실행되는 스와이프 제스처가 화면상에서 오른쪽으로부터 드래그된 스크린 뷰를 표시하는 경우, 메시지는 화면의 오른쪽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시지와의 스와이프 방식 상호 작용 자체도 화면 중앙 방향 또는 반대편 가장자리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응하게는 제2 스크린 뷰(가상)가 현재 표시된 홈스크린의 왼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해당되며, 이로 인해 오른쪽으로 실행되는 스와이프 제스처는 왼쪽 화면 가장자리에 배치된 메시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부재/입력 부재의 접촉은 중요하지 않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 뷰들 간의 전환을 위해 3D 제스처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전환에 있어서 사전 정의된 제스처만 인식되고, 그리고 이러한 제스처만이 제1 스크린 뷰에서 제2 스크린 뷰로 전환을 프롬프팅한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르면, 화면, 입력 유닛 및 평가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안된다. 상기 화면은 예를 들면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는 임의의 콘텐츠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입력 유닛은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스처들을 검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평가 유닛은 예를 들면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programmable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ical Control Uni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평가 유닛은 측정 영역에서 입력 수단을 검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측정 영역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이 상응하게 적용된다. 화면은 제1 스크린 뷰의 가장자리에 제2 스크린 뷰로의 전환 가능성에 대한 메시지를 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시지는 예를 들면 "탭(tab)" 또는 드래그 포인트(drag point)(상호 작용을 수락하기 위한 제어 소자)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사전 정의된 사용자의 제스처는 상기 드래그 포인트와 관련이 있다. 사전 정의된 제스처 인식에 대한 반응으로서, 평가 유닛은 제1 스크린 뷰에서 제2 스크린 뷰로 전환을 프롬프팅한다. 특징들, 특징 조합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 및 특징 조합으로부터 주어지는 장점들은 전술한 발명 양상과 관련하여 기술된 설명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나타나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설명이 참조된다.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을 나타낸다.
사전 정의된 제스처는 예를 들면 공간에서 자유롭게 실행되는 3D 제스처일 수 있다. 홈스크린들의 전환과 관련하여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들은 그 사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이한 운영 체제들에서 확고한 위치를 얻었다. 이 경우 3D 제스처는 바람직하게 메시지 방향에서 스크린 뷰의 중앙 방향으로 (또는 화면의 수직 이등분선 방향으로) 방향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입력 유닛의 접촉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러한 점은 드래그 포인트를 정확하게 잡지 않고서도 보다 확실하고 수월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제스처 실행은 특히 평탄하지 않은 노면 주행 중에 차량과 관련된 기능을 작동할 때 유리하다.
메시지가 드래그 포인트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사전 정의된 제스처는 예를 들면 드래그 포인트 터치 제스처일 수 있고, 이에 대한 반응으로서 상기 메시지와 관련된 제2 스크린 뷰가 호출된다. 이러한 호출은 예를 들면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한 호출에 상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를 통한 호출에 의해서는 제2 스크린 뷰가 가시 영역으로부터 제1 스크린 뷰를 "밀어 낸다". 대안적으로 사전 정의된 제스처는 드래그 포인트에서 출발하고 그리고 스크린 뷰의 중앙 방향으로 (또는 화면의 수직 이등분선 방향으로) 방향 설정된 스와이프 제스처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스크린 뷰들의 전환은 전체 제1 스크린 뷰와의 상호 작용 및 상기 제1 스크린 뷰 상에 표시된 타일들/기능면들과의 상호 작용과 구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개별 타일들과 관련되는 밀어내기 (드래그) 제스처가 계속 가능하고, 반면에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한 상호 작용은 스크린 뷰들의 전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이한 상호 작용 가능성들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없이는 폭넓은 사용자 기반에 유용하지 않다.
메시지 표시는 바람직하게는 사전 정의된 제2 제스처를 인식하는 추가 작동에 대한 반응으로서 비로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먼저 사전 정의된 제2 제스처가 검출되고, 3D 제스처 실행을 시작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제스처로서 분류되며, 그 결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된 센서가 측정 영역에서 검출을 수행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라 메시지 출력을 통해 검출을 확인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사용자가 상응하는 목적 없이 실수로 측정 영역을 스칠 경우에 메시지 출력 또는 제1 스크린 뷰에서 제2 스크린 뷰로 전환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작동이 방지되고,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승인이 보장된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의 전술한 바람직한 형성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도 관련이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본 발명의 제3 양상에 따라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등)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카메라는 사용자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예를 들면 영상 통화 실행에도 사용되고, 본 발명에 따르면 근접 센서 및 제스처 인식에도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의 화면은 상기와 같은 검출 영역에서 입력 수단 검출에 대한 반응으로서, 예를 들면 왼쪽 및/또는 오른쪽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시지를 통해 1개의 제2 스크린 뷰 또는 2개의 제2 스크린 뷰로의 전환 가능성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교통수단이 제안된다. 이러한 경우 화면은 계기판(instrument cluster)으로서 그리고/또는 중앙 정보 디스플레이로서 교통수단의 대시보드에 통합될 수 있다. 입력 유닛은 예를 들면 센터 콘솔(center console) 내에 배치된 적외선 LED 스트립 및/또는 상기 중앙 콘솔 위 천장에 배치된 광학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 유닛은 전자 제어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자 제어 장치는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연산력(computing power)은 다른 기능들과 공유되는 하드웨어를 통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교통수단에 사용될 경우 본 발명은 신속하면서도 목표 지향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그 결과 사용자는 운전에 집중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교통 안전성을 증가시키고, 또한 주행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후속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교통수단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무선 통신 장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에 대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예의 홈스크린에 대한 제1 스크린 뷰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예의 홈스크린에 대한 제2 스크린 뷰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예의 스크린 뷰와 관련한 작동 단계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예의 제1 스크린 뷰와 제2 스크린 뷰 간의 전환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예의 제2 스크린 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1 스크린 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때 제1 스크린 뷰는 자신의 오른쪽에 배치된 단 하나의 (가상) 제2 스크린 뷰만 가지며;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단계들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은 교통수단으로서 승용차(10)를 도시하며, 이러한 승용차 내부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1)가 제공되어 있다. 화면(2)은 상기 승용차(10)의 대시보드 내에 매립되어 있고, 전자 제어 장치(4)와 통신 기술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화면(2) 아래에는 적외선 LED 스트립(3)(infrared LED strip)이 입력 유닛으로서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입력 유닛 위로, 화면(2) 앞에는 측정 영역(6)이 뻗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측정 영역(6)에 있는, 사용자의 입력 수단은 상기 적외선 LED 스트립(3)에 의해 검출되고 전자 제어 장치(4)에 통지된다. 적외선 LED 스트립(3)의 신호들로부터는 전자 제어 장치(4)가 입력 수단의 존재 및 경우에 따라 실행된 제스처들을 인식된다. 이러한 제스처들은 데이터 저장 장치(5)에 저장된 기준들과의 비교를 통해 분류될 수 있다. 성공적인 비교에 대한 반응으로서, 사전 정의된 제스처와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서 태블릿 PC(20)를 도시하며, 이 태블릿 PC에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가 제공되어 있다. 이와 함께 영상 통화에도 사용될 수 있는 광학 카메라(3)가 평가 유닛으로서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programmable processor)(4)와도 통신 기술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3)에 의해 검출된 제스처들과의 비교를 위해 데이터 저장 장치(5)가 제공되어 있고, 이 데이터 저장 장치에는 사전 정의된 제스처들의 분류 기준이 저장되어 있다. 전술된 구성 부품들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태블릿 PC(20)의 화면(2)은 섹션별로 자유롭게 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스크린 뷰로서 제1 홈스크린(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홈스크린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태 표시줄(status bar)(9)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태 표시줄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작동 상태와 관련된 요약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기능들을 나타낸다. 상기 상태 표시줄(9) 아래, 왼쪽 화면 절반부는 위 아래로 배치된 3개의 타일(8a, 8b, 8c)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타일들은 오른쪽 화면 절반부에 배치된 타일(8d)과 동일하게 밀어 내기 그리고 드래그 앤 드롭 제스처를 통해 밀어 지고/밀어 지거나 변경될 수 있다. 제1 타일(8a)은 음악 재생과 관련이 있다. 제2 타일(8b)은 현재 예상된 주행 가능 거리와 관련이 있다. 제3 타일(8c)은 교통수단의 평균 연비와 관련이 있다. 오른쪽 화면에 배치된 제4 타일(8d)은 네비게이션 기능을 위한 맵 섹션(map section)을 나타낸다.
도 4는, 근접 센서가 측정 영역에서 입력 수단의 존재를 인식한 후, 도 3에 도시된 도면을 보여준다. 상기와 같은 입력 수단 검출에 대한 반응으로서, 탭 모양의 2개의 드래그 포인트(7a, 7b)가 타일(8a, 8b, 8c, 8d)들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메시지로서 표시된다. 상기 드래그 포인트(7a, 7b)들은 이 경우 폭이 좁은 수직 가장자리 영역에서 타일들의 전체 높이를 따라 연장된다. 도시된 제1 홈스크린(Ⅰ)에서 (도시되지 않은) 제2 홈스크린으로 전환을 위해 사용자에게는 이제 다수의 옵션이 제공된다. 도시된 제1 홈스크린(Ⅰ)의 오른쪽 또는 왼쪽에 배치된 제2 홈스크린에 이르기 위해, 사용자는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3D 스와이프 제스처를 실행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제1 드래그 포인트(7a) 또는 제2 드래그 포인트(7b)에 터치 제스처를 실행할 수 있다. 제2 또는 제3 홈스크린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3 가능성은 개별 드래그 포인트(7a, 7b)를 접촉하여 3개의 제1 타일(8a, 8b, 8c)과 제4 타일(8d) 사이 분리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것이다. 그 결과 상호 작용이 (이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제2 또는 제3 홈스크린으로의 전환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개별 타일(8a, 8b, 8c, 8d)들과의 드래그 앤 드롭 상호 작용 가능성이 유지된다. 제4 타일(8d) 아래에는 근접 인식에 대한 반응으로서, 버튼(12)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 버튼을 이용해 사용자는 편집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홈스크린(Ⅰ)의 명칭(11)은 상기 버튼(12)을 통해 적합하게 매칭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의 손(13)이 오른쪽 화면 가장자리에 배치된 드래그 포인트(7b)와 관련하여 터치 제스처를 행하는, 도 4에 도시된 스크린 뷰(Ⅰ)를 도시한다. 이러한 터치 제스처에 대한 반응으로서, 도시된 제1 홈스크린(Ⅰ) 옆 오른쪽에 배치된 (가상) 제2 홈스크린(Ⅱ)(도 6 참조)이 상기 제1 홈스크린(Ⅰ)을 가시 영역에서 왼쪽 화면 가장자리 위로 밀어 낸다.
도 6은 제1 스크린 뷰로서 제1 홈스크린(Ⅰ)에서 제2 스크린 뷰로서 제2 홈스크린으로 전환을 도시한다. 이 경우 제1 홈스크린(Ⅰ)의 명칭(11) 또한 가시 영역에서 왼쪽으로 이동되고, 반면에 '편집 모드'를 호출하기 위한 버튼(12)은 가시 영역의 오른쪽 하부 모서리에 고정된 상태로 남아 있다. 도 7은 제2 홈스크린(Ⅱ)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이때 상기 제2 홈스크린은 단지 3개의 타일(8b, 8d 및 8e)을 갖는다. 제1 홈스크린(Ⅰ)과 비교하면, 음악 재생을 위한 제1 타일(8a) 및 현재 연비와 관련된 제3 타일(8c)이 브라운슈바이크(Braunschweig)의 현재 날씨를 나타내는 제5 타일(8e)로 바뀌어 있다. 제5 타일(8e)은 이 경우 정확하게는 이전에 제1 타일(8a)과 제2 타일(8b)이 배치되어 있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타일(8b)은 이제 제5 타일(8e)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홈스크린(Ⅱ)의 명칭 11은 다음과 같다: "여행". 이에 상응하게 제4 타일(8d)은 또한 이미 사전에 표시된 맵 섹션을 위해 지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2) 상에서 제1 스크린 뷰(Ⅰ)의 대안적인 보기를 도시한다. 이 경우 왼쪽 화면 절반부는 제4 타일(8d)로서 맵 섹션으로 채워져 있고, 반면에 오른쪽 화면 절반부는 위 아래로 배치된 3개의 타일(8a, 8g, 8f)을 보여준다. 인식된 입력 수단의 근접에 대한 반응으로서, 오른쪽 화면 가장자리에만 메시지로서 드래그 포인트(7b)가 표시된다. 상응하는 제1 드래그 포인트는 왼쪽 화면 가장자리(14)에는 없는데, 그 이유는 도시된 제3 홈스크린(Ⅲ)의 왼쪽에는 (가상의) 추가 홈스크린이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오른쪽 화면 가장자리에 있는 제2 드래그 포인트(7b)를 통해, 사용자는 전술된 바와 같이 도시된 보기의 오른쪽에 (가상) 배치된 추가 홈스크린에 이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단계들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제1 단계(100)에서는 가장 중요한 제스처가 사전 정의된 제2 제스처로서 검출된다. 상기 제2 제스처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비접촉식 상호 작용을 시작한다. 단계(200)에서는 입력 유닛의 측정 영역에서 입력 수단의 존재가 검출되고, 이에 대한 반응으로서, 단계(300)에서는 제2 스크린 뷰로의 전환 가능성과 관련하여, 현재 스크린 뷰의 가장자리에 메시지가 표시된다. 후속해서 단계(400)에서는 사용자의 사전 정의된 제스처가 인식되는데, 이러한 제스처는 상응하는 공간 영역에서 실행되는 비접촉식 3D 제스처로서 또는 터치 제스처 또는 스와이프 제스처로서 메시지와 상호 작용하여 실행되고, 이에 대한 반응으로서, 단계(500)에서는 제1 스크린 뷰가 제2 스크린 뷰로 바뀐다.
본 발명에 따른 양상들 및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더라도,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도시된 실시예들의 특징들을 변경 및 조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된다.
1: 사용자 인터페이스
2: 화면
3: 입력 유닛
4: 평가 유닛
5: 데이터 저장 장치
6: 측정 영역
7a, 7b: 메시지
8a, 8b, 8c, 8d, 8e, 8f, 8g: 타일
9: 상태 표시줄
10: 승용차
11: 명칭
12: 버튼
13: 사용자의 손
14: 메시지를 포함하지 않는 화면 가장자리
20: 태블릿 PC
100-500: 방법 단계
Ⅰ: 제1 홈스크린
Ⅱ: 제2 홈스크린

Claims (1)

  1. - 입력 유닛(3)의 측정 영역/근접 영역(approximation region)(6)에서 입력 수단(13)을 검출하는 단계(200),
    - 제2 스크린 뷰(Ⅱ)로 전환 가능성과 관련하여, 제1 스크린 뷰(I)의 가장자리에 바(bar)(7a, 7b)를 표시하는 단계(300),
    - 상기 바(bar)(7a, 7b)의 위치 및 수효에 근거하여 사전 정의되어 실행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400), 그리고
    - 상기 제1 스크린 뷰(I)에서 상기 제2 스크린 뷰(Ⅱ)로 전환하는 단계(500)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의 제1 스크린 뷰(I)에서 제2 스크린 뷰(Ⅱ)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
KR1020187022671A 2014-05-07 2015-02-23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 뷰 전환 방법 KR102192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08502.0A DE102014208502A1 (de) 2014-05-07 2014-05-07 Anwend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m Wechseln zwischen Bildschirmansichten einer Anwenderschnittstelle
DE102014208502.0 2014-05-07
PCT/EP2015/053713 WO2015169462A1 (de) 2014-05-07 2015-02-23 Anwend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m wechseln zwischen bildschirmansichten einer anwenderschnittstel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820A Division KR20160148697A (ko) 2014-05-07 2015-02-23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 뷰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958A true KR20180091958A (ko) 2018-08-16
KR102192496B1 KR102192496B1 (ko) 2020-12-17

Family

ID=526332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820A KR20160148697A (ko) 2014-05-07 2015-02-23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 뷰 전환 방법
KR1020187022671A KR102192496B1 (ko) 2014-05-07 2015-02-23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 뷰 전환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820A KR20160148697A (ko) 2014-05-07 2015-02-23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 뷰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68793B2 (ko)
EP (1) EP3140147B1 (ko)
KR (2) KR20160148697A (ko)
CN (1) CN106458035B (ko)
DE (1) DE102014208502A1 (ko)
ES (1) ES2854056T3 (ko)
WO (1) WO20151694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01142A1 (de) * 2017-02-08 2018-08-09 Man Truck & Bus Ag Technik zur Verarbeitung in einem Fahrzeug anfallender Statussignale
USD991273S1 (en) * 2021-11-17 2023-07-04 Mazda Motor Corporation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91949S1 (en) * 2021-11-17 2023-07-11 Mazda Motor Corporation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8970A (ko) * 2006-03-22 2008-12-16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쌍방향 조작 장치 및 쌍방향 조작 장치의 작동 방법
DE102009023897A1 (de) * 2009-06-04 2010-12-09 Volkswagen Ag Verfahren zum Bedienen einer Anzeigevorrichtung für betrachtungsseitenspezifische Informationsanzeigen und Bedienvorrichtung hierfür
US20130145290A1 (en) * 2011-12-06 2013-06-06 Google Inc. Mechanism for switching between document viewing windows
KR101315452B1 (ko) * 2013-01-21 2013-10-14 (주)브라이니클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쇼핑정보 제공방법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쇼핑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7757B1 (en) * 1997-12-18 2002-06-18 E-Book Systems Pte Ltd. Computer-based brow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book form
CN101405177A (zh) * 2006-03-22 2009-04-08 大众汽车有限公司 交互式操纵装置和用于运行所述交互式操纵装置的方法
DE102007039442A1 (de) 2007-08-21 2009-02-26 Volkswagen Ag Verfahren zum Anzeigen von Informationen in einem Fahrzeug und Anzeige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WO2009067224A1 (en) * 2007-11-19 2009-05-28 Cirque Corporation Touchpad combined with a display and having proximity and touch sensing capabilities
KR101510738B1 (ko) * 2008-10-20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장치
DE102008052485A1 (de) * 2008-10-21 2010-04-22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zeigen von in Listen geordneter Information
US8132120B2 (en) * 2008-12-29 2012-03-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Interface cube for mobile device
KR20100114572A (ko) 2009-04-16 2010-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장치
DE102009019560A1 (de) 2009-04-30 2010-11-04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zeigen von in Listen geordneter Information
KR101613838B1 (ko) * 2009-05-19 201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홈 스크린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DE102009046376A1 (de) * 2009-11-04 2011-05-05 Robert Bosch Gmbh Fahrerassistenzsystem für ein Fahrzeug mit einer Eingabevorrichtung zur Eingabe von Daten
US10007393B2 (en) * 2010-01-19 2018-06-26 Apple Inc. 3D view of file structure
US8881060B2 (en) * 2010-04-07 2014-11-0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KR101760693B1 (ko) * 2010-09-24 2017-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
US20120084737A1 (en) * 2010-10-01 2012-04-05 Flextronics Id, Llc Gesture controls for multi-screen hierarchical applications
JP5609507B2 (ja) * 2010-10-04 2014-10-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12874B2 (en) * 2010-12-23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EP3734405A1 (en) * 2011-02-10 2020-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20126161A (ko) * 2011-05-11 2012-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US9953101B1 (en) * 2011-06-27 2018-04-24 Amazon Technologies, Inc. Customized home screens for electronic devices
US20130067392A1 (en) * 2011-09-12 2013-03-14 Microsoft Corporation Multi-Input Rearrange
US9477391B2 (en) * 2011-12-13 2016-10-25 Facebook, Inc. Tactile interface for social networking system
KR101984154B1 (ko) * 2012-07-16 2019-05-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및 제스처 입력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US20140164907A1 (en) * 2012-12-12 2014-06-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DE112014000351T5 (de) * 2013-01-04 2015-09-1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Kontextbasierte Fahrzeug-Benutzerschnittstellen-Rekonfiguration
US9851896B2 (en) * 2013-12-17 2017-12-26 Google Inc. Edge swiping gesture for home navigation
KR102228856B1 (ko) * 2014-03-20 2021-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8026656A (ja) * 2016-08-09 2018-02-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8970A (ko) * 2006-03-22 2008-12-16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쌍방향 조작 장치 및 쌍방향 조작 장치의 작동 방법
DE102009023897A1 (de) * 2009-06-04 2010-12-09 Volkswagen Ag Verfahren zum Bedienen einer Anzeigevorrichtung für betrachtungsseitenspezifische Informationsanzeigen und Bedienvorrichtung hierfür
US20130145290A1 (en) * 2011-12-06 2013-06-06 Google Inc. Mechanism for switching between document viewing windows
KR101315452B1 (ko) * 2013-01-21 2013-10-14 (주)브라이니클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쇼핑정보 제공방법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쇼핑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58035B (zh) 2020-06-16
ES2854056T3 (es) 2021-09-20
EP3140147B1 (de) 2021-01-06
CN106458035A (zh) 2017-02-22
DE102014208502A1 (de) 2015-11-12
KR20160148697A (ko) 2016-12-26
US20170075564A1 (en) 2017-03-16
WO2015169462A1 (de) 2015-11-12
EP3140147A1 (de) 2017-03-15
KR102192496B1 (ko) 2020-12-17
US10768793B2 (en) 202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0567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command and control
EP316599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07107841B (zh) 信息处理装置
US9956878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signaling a 3D-position of an input means in the detection of gestures
CN105027062A (zh) 信息处理装置
KR20150032324A (ko) 조작 인터페이스, 조작 인터페이스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프로그램
JP2009288881A (ja) 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CN101930339A (zh) 一种电子设备界面切换的方法及装置
KR10219249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 뷰 전환 방법
KR101806172B1 (ko) 차량 단말기 조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707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조작 유닛의 조작 시 사용자를 지원하는 방법
CN107003796B (zh) 用户界面和用于在运输工具中使显示内容个性化的方法
CN103958255A (zh) 用于运行交通工具中移动设备的方法
US11354030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6020625A (zh) 交互系统及其控制车辆应用的方法
US1023501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surface of an operator control device and operator control device in a vehicle
JP2014172413A (ja) 操作支援システム、操作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2508607A (zh) 一种地图移动操纵方法和位置服务终端
JP6541910B1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777883A (zh) 游标控制装置及利用其启动操作系统功能选单的控制方法
KR20200138132A (ko)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752579B1 (ko) 차량 내 동작 제어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JP2015167024A (ja) プログラ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方法
JP2020177428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050325A1 (en) Method for adapting the presentation and use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