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408A - 임플란트 및 크라운 풀림방지 결합체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및 크라운 풀림방지 결합체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408A
KR20180091408A KR1020170016574A KR20170016574A KR20180091408A KR 20180091408 A KR20180091408 A KR 20180091408A KR 1020170016574 A KR1020170016574 A KR 1020170016574A KR 20170016574 A KR20170016574 A KR 20170016574A KR 20180091408 A KR20180091408 A KR 20180091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abutment
crown
loosen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최병두
조영선
Original Assignee
쓰리디토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디토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쓰리디토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6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1408A/ko
Publication of KR20180091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결합체는 어버트먼트 내부의 연결나사를 조여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를 밀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표준 볼트 너트와는 다른 복잡한 형태의 구조(치골 속에 삽입되어 있는 임플란트가 너트 역할, 어버트먼트가 고정시켜야 할 재료, 어버트먼트 내부의 직경 2 ㎜ 내외 연결나사가 볼트 역할)로 이루어져 있어, 너트 역할을 하는 임플란트에 풀림방지 와셔를 삽입할 수 없다. 치조골 속에 삽입되어 융착된 너트(임플란트)를 푸는 방식이 아니고 볼트(연결나사)를 푸는 방식으로 구조가 다르다.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연결나사 부분은 1) 어버트머트 내의 연결 나사 머리 부분에 삽입유도홈을 만들고, 2) 풀림방지 와셔의 회전돌출부를 연결나사의 머리 삽입유도홈에 끼우고, 3) 연결나사 머리에 끼운 풀림방지 와셔(RATCHAT 래칫형 기어)가 접하는 어버트먼트 내부에 카운터보어 형태의 역회전 방지 래칫형 기어 걸림턱을 형성, 4) 연결나사의 역회전을 막는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방법을 제안한다.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연결나사 부분도 동일하게 1) 크라운 내의 연결 나사 머리 부분에 삽입유도홈을 만들고, 2) 풀림방지 와셔의 회전돌출부를 연결나사 머리 삽입유도홈에 끼우고, 3) 연결나사 머리에 끼운 풀림방지 와셔(RATCHAT 래칫기어)가 접하는 크라운 내부에 카운터보어 형태의 역회전 방지 래칫기어 걸림턱을 형성, 4) 연결나사의 역회전을 막는 크라운과 어버트먼트(혹은 임플란트) 풀림방지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부문 연결나사 및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부문 연결나사가 풀어질 경우 재시술에 더욱 많은 시간과 비용 및 노력을 투입해야 하지만, 연결나사에 풀림방지장치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부작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 및 크라운 풀림방지 결합체 및 방법{The implant and crown unbonding combination and method}
보편적인 분리형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를 대신해 자연 치아와 흡사한 기능을 가진 인공치아를 골 이식, 골 신장술 등의 부가적인 시술을 통해 치료하는 치아이식술로,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구조물은 크게 보철물(Crown, 크라운)과 보철물과 임플란트 사이를 연결하는 지대주(Abutment, 어버트먼트), 그리고 치아의 뿌리 역할을 하는 인공치근인 임플란트(Fixtuer, 픽스처)로 구성된다. 치조골 위에 임플란트를 박고 한달 후 그 위에 지대주를 얹히게 된다. 다시 평균 한달을 기다렸다가 지대주 위에 맞춘 보철물을 최종 장착한다. 발치에서 최종 임플란트 단계까지 평균 6개월 소요되며, 잇몸 뼈가 부족한 경우 시술시간이 1년 이상 걸릴 수 있다. 임플란트 수술후 인공치아 부분에 해당하는 보철물이 손상되는 경우 및 임플란트 윗부분(어버트먼트)과 치조골 안으로 들어가는 아랫부분(임플란트)의 연결나사 조임이 느슨해지는 임플란트 풀림 증상은 여러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 즉,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3가지 구조(임플란트, 어버트먼트, 크라운)로 되어 있고,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는 연결나사로 조여야 하는 특성상, 하루에도 수백 수천 번 씹히는 힘을 받고, 찬 것 뜨거운 것이 오가는 상황에서, 반복되는 사용과 진동에 의해, 아무리 나사를 강하게 조인다(치과 권장치 25 ~ 30 N·㎝) 해도 풀리는 일이 발생할 우려가 많다. 상기 어버브먼트와 임플란트로 구성되는 분리형 임플런트는 시술 결과에 따라 치아와 결합하는 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 사이에 2.5㎛ 전후의 미세간격(micro gap)이 존재할 수 있어,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를 연결나사로 조여 완전히 결합시키지 못하면 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 내부에 공간이 생기게 되어 0.1 ~ 0.5㎛ 및 1 ~ 2㎛ 정도 크기의 다양한 협기성 세균이 미세간격을 통과하여 내부 공간에서 증식하게 된다. 식사를 할 때 교합력은 대략 200 ~ 300 N·cm로 알려져 있으며, 200 N·cm 정도의 힘으로 분리형 임플란트에 힘이 가할 경우 연결나사 조임이 약하면 미세간격은 임플란트에 따라 30㎛ 이상 간격이 벌어진다.
임플란트는 자연 치아보다 세균과 충격에 약하다. 자연 치아는 치아를 감싸고 있는 치근막이 외부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역할을 하지만, 임플란트 경우 치근막이 없기 때문에 외부의 큰 충격이 가해져도 잘 느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충격을 흡수할 수 없다. 이러한 충격으로 연결나사가 풀어져 어버트먼트가 흔들릴 경우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임플란트와 치아의 손상으로 이어진다. 연결나사 조임이 풀어져 임플란트 사이에 미세 간격이 발생하고 음식물과 치석 등이 쌓이게 되면 치아 주위에 염증이 생기게 되고 잇몸 뼈가 녹아내리는 골 손실도 유발된다. 갑자기 구취가 심해진 경우는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틈새로 세균이 번식하기 때문이다. 연결나사가 더 풀리면 크라운이 흔들리고, 심하면 나사가 부러져 임플란트 손상은 물론, 발생하는 미세 간격에 협기성 세균이 대량 증식하여 염증 및 골손실이 발생된다. 임플란트 시술시 임상의들의 가장 큰 고민은 어버스트먼트 연결나사 풀림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여러 대안들이 발표되었다. 일례로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가 하나로 된 일체형 임플란드 시술이 개발되어, 상기 나사 풀림 현상 방지 및 치료기간을 3개월 이내로 단축하는 장점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분리형은 임플란트가 부정확하게 심어져 최적의 각도에서 오차가 나도 어버트먼트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보정할 수 있지만, 일체형은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시술이 어렵고 유지 보수가 까다로워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항공, 우주, 건설, 토목, 전력, 수송 등과 같은 산업 분야에서 진동이 발생하여 너트가 풀릴 경우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에, 풀리지 않는 볼트와 너트 결합체를 실현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었다. 해결 방안으로 2개의 특수한 너트를 사용하거나 너트 내부에 스프링을 삽입하여 마찰력을 증대하는 쐐기 방식으로, 1) 2개의 너트를 편심시켜 마찰력을 높인 일본 하드락공업의 하드락(HARD LOCK), 2) 프랑스 란프란코 사의 너트 상단에 밀착 구조를 설치한 ESL 너트, 3) 스웨덴 노드락 사의 와셔 맞물림 각도와 나사산의 각도를 이용한 노드락 와셔, 4) 일본 KHI와 한국 임진에스티 사의 스프링을 너트 내부에 삽입하여 나사산을 조여주는 세이퍼락(SAPER LOCK), 5) 일본 닛세(NISSEI) 사의 볼트 나사산을 이중피치 나사로 만들어 너트와 밀착시켜 고정하는 형태가 발표되었다. 볼트와 너트 결합체 진동 시험 기준으로는 미국항공우주국에서 규격화한 NAS3350가 있으며, 진동시험 시작 후 17분 동안 일정 각도이상 풀리지 않아야 한다. 산업 현장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너트를 2개 강하게 조이는 방식은 NAS3350 시험 시작 후 30초 내외에 풀리므로, 철도 및 송전탑 등 안전이 필수인 분야에서는 상기 풀림방지너트를 적용하고 있다.
치골 속에 삽입되어 있는 너트 역할을 하는 임플란트와 고정시켜야 하는 어버트먼트 및 어버브먼트 내부에서 조이는 연결나사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구조는 산업체에 적용하고 있는 볼트, 너트 및 와셔와 다른 구조 형태로 상기 풀림방지장치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매일 반복되는 진동 및 비틀림에도 절대적으로 풀려서는 안되는 (1)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연결나사 부분, (2)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연결나사 부분의 풀림방지 수단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로 다른 재료나 부품 등을 결합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들 재료를 관통하도록 볼트를 삽입한 다음, 너트로 죄어 고정하는 볼트 너트 결합체는 많이 이용된다. 볼트와 너트 결합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서서히 풀리게 되는바, 결합부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너트의 역회전으로 인한 너트의 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체결 수단이 추가되고 있으며, 그 가운데 하나로 본 발명인(이상철)은 특허 10 ­ 1027753호로, 너트를 조여주면 탄성 재질의 와셔에 의해 와셔 탄성돌출부가 휨 변형하면서 너트의 걸림턱의 일측 면을 타고 넘은 후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너트 걸림턱에 걸려 안착하도록 구성했다. 문제점으로는 진동에 의해 고정 부재와 와셔 간격이 탄성돌출부 두께 이상으로 벌어질 경우, 탄성돌출부가 너트 걸림턱에 안착하지 못하여 풀릴 가능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이상철)은 특허 10 ­ 1160033호로, 탄성 재질의 와셔를 카운트 보어(나사 직경보다 큰 직경의 홈을 너트 내부에 형성하는 가공으로 주조/단조/밀링 /보링/방전 가공으로 제작) 가공된 너트 내측 공간에 수용하고, 너트를 조여주면 와셔가 탄성 변형되면서 너트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의 일측을 타고 넘은 후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걸림턱의 타측에 걸려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체결된 너트를 의도적으로 풀려고 하는 경우 얇은 탄성 판재로 만들어진 와셔가 다른 부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먼저 파손되어 너트를 해체하도록 하였다. 다시 체결할 경우 파손된 와셔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이상철)은 특허출원 10 ­ 2016 - 015656 호로, 볼트;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 및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 1 와셔; 및 반대 면에 풀림방지 기능의 제 2 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볼트 + (제1와셔) + 너트 + 제 2 와셔 결합체에서, 상기 볼트는, 볼트머리와 볼트몸통으로 이루어지며,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볼트몸통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절개된 삽입유도홈이 구비되고, 상기 풀림 방지 기능의 너트는 상기 제 2 와셔를 향하는 일면에는 카운트 보어 가공되며, 카운터 보어 가공된 내측 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걸림턱이 원호 상에 구비되고, 상기 풀림 방지 기능의 제 2 와셔는 상기 너트의 카운터보어 가공된 내측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제 2 와셔의 내주원 일부가 상기 제 2 와셔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삽입유도홈에 수용되는 회전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와셔의 외주원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너트를 조여주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하고 있어, 상기 너트를 조여주면 탄성 변형하면서, 바깥쪽 단부가 상기 걸림턱의 일측을 타고 넘은 후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그 바깥쪽 단부가 상기 걸림턱의 타측에 걸려 상기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돌출부가 구비되 상기 풀림 방지 기능의 제 2 와셔가 너트 카운트 보어 공간에서 빠지지 않도록 제 2 와셔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2 와셔 이탈방지 캡을 구비하여 인위적으로는 쉽게 풀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한 풀림방지 볼트너트 결합체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결합체는 어버트먼트 내부에서 연결나사를 조여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를 밀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표준 볼트와 너트와는 다른 복잡한 형태의 구조(치골 속에 삽입되어 있는 임플란트가 너트 역할, 어버트먼트가 고정시켜야 할 재료, 어버트먼트 내부의 직경 2 ㎜ 내외 연결나사가 볼트 역할)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풀림방지장치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을 연결나사로 고정하는 경우도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의 분리 여하에 따라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구분되며, 분리형은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접촉 면적 및 결합 형태에 따라 익스터널(external) 타입과 인터널(internal) 타입으로 구분된다.
치골 속에 삽입되어 있는 너트 역할을 하는 임플란트와 고정시켜야 하는 어버트먼트 및 어버브먼트 내부에서 조이는 연결나사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구조는 산업체에서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볼트, 너트 및 와셔와 다른 형태 및 사용 조건이므로 현행 풀림방지장치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너트 역할을 하는 임플란트(뼈 조직과 일체화를 위해 주로 티타늄 재질 적용)를 2개 사용할 수 없고, 직경 4㎜ 내외의 임플란트 내부에는 직경 1.5 ~ 2㎜ 연결나사로 고정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만 추가로 풀림방지를 위한 스프링 등을 설치할 공간이 없다. 식사하는 경우와 같이 매일 반복되는 진동 및 비틀림에도 절대적으로 풀려서는 안되는 (1)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연결나사 부분, (2)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연결나사 부분에서 풀림방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첫째,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연결나사 부분 및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연결나사 부분에서, 임플란트가 심어져 있는 치조골(alveolar bone)의 강도를 고려하여 연결나사를 20 ~ 30 N㎝ 내외의 약한 토오크로 조이더라도 풀림방지 효과가 보장되어야 한다. (마찰력 증대 쐐기 풀림 방지 방식인 일본 M10 하드락너트의 조임토오크 7,000N㎝ 이상 요구)
둘째,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연결나사 부분 및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연결나사 부분에서 적용할 수 있는 연결나사는 인체의 치조골 크기 한계로 직경 2㎜ (M2) 내외로 크기가 제한되는데, 직경 2㎜ 이내의 나사에서도 풀림방지 기능이 작동하여야 한다. (산업용 풀림방지 너트는 크기 M8 이상으로 한계)
셋째,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크라운은 여러 원인에 의하여 손상이 될 수 있는데 각각 분리가 되지 않을 경우 전체를 재시술 해야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혹은 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해야 한다.
넷째, 크라운과 어버트먼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치과용 시멘트로 접착하는 방식은 크라운 분해가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해결책으로 상단에 구멍이 있는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끼우고 연결나사로 조여주는 방식에도 풀림방지 기능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연결나사 부분 및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연결나사 부분에서 풀림방지 기능을 제공함과 함께, 해당 풀림방지 체결 방식을 일반 산업용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임플란트가 심어져 있는 치조골(alveolar bone)의 강도를 고려하여 연결나사를 20 ~ 30 N㎝ 내외의 약한 토오크로 조이며, 사용할 수 있는 연결나사는 인체 치조골 크기 한계로 직경 2㎜ (M2) 이내로 크기가 제한되는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 그러므로 너트를 2개 사용하거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쐐기 방식의 풀림방지장치는 임플란트 구조체에 근본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인이 특허출원 10-2016-015656호는 와셔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보다 유연하게 너트를 체결할 수 있으며,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된 와셔가 너트에 걸린 상태로 안착되어 진동이나 그 밖의 외력에 의하여 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자물쇠 방식이다. 체결이 완료된 후 너트가 조금 풀리거나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너트에 안착된 상태로 풀림방지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점 또한 강점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결합체는 어버트먼트 내부의 연결나사를 조여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를 밀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표준 볼트 너트와는 다른 복잡한 형태의 구조(치골 속에 삽입되어 있는 임플란트가 너트 역할, 어버트먼트가 고정시켜야 할 재료, 어버트먼트 내부의 직경 2 ㎜ 내외 연결나사가 볼트 역할)로 이루어져 있어, 너트 역할을 하는 임플란트에 풀림방지 와셔를 삽입할 수 없다. 치조골 속에 삽입되어 융착된 너트(임플란트)를 푸는 방식이 아니고 볼트(연결나사)를 푸는 방식으로 구조가 다르다.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연결나사 부분은 1) 어버트머트 내의 연결 나사 머리 부분에 삽입유도홈을 만들고, 2) 풀림방지 와셔의 회전돌출부를 연결나사의 머리 삽입유도홈에 끼우고, 3) 연결나사 머리에 끼운 풀림방지 와셔(RATCHAT 래칫형 기어)가 접하는 어버트먼트 내부에 카운터보어 형태의 역회전 방지 래칫형 기어 걸림턱을 형성, 4) 연결나사의 역회전을 막는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방법을 제안한다.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연결나사 부분도 1) 크라운 내의 연결 나사 머리 부분에 삽입유도홈을 만들고, 2) 풀림방지 와셔의 회전돌출부를 연결나사 머리 삽입유도홈에 끼우고, 3) 연결나사 머리에 끼운 풀림방지 와셔(RATCHAT 래칫기어)가 접하는 크라운 내부에 카운터보어 형태의 역회전 방지 래칫기어 걸림턱을 형성, 4) 연결나사의 역회전을 막는 크라운과 어버트먼트(혹은 임플란트) 풀림방지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풀림방지 원리를 확대하여 몸체 및 하우징의 탭 가공한 곳(너트 역할)에 볼트를 조이는 경우에는, 1) 내부에 카운터보어 형태의 역회전 방지 래칫기어 걸림턱을 형성한 풀림방지 기능 제 1 와셔, 2) 풀림방지 기능 제 2 와셔의 회전돌출부를 연결나사의 머리 삽입유도홈에 끼우고, 3) 연결나사 머리에 끼운 풀림방지 기능 제 2 와셔(RATCHAT 래칫기어)가 접하는 풀림방지 기능 제 1 와셔 내부에 카운터보어 형태의 역회전 방지 래칫형 기어 걸림턱을 형성하여, 4) 연결나사 역회전을 막는 풀림방지 기능 제 1 와셔와 풀림방지 기능 제 2 와셔를 사용하는 연결나사 풀림방지 방법을 제안한다.
혹은, 몸체 및 하우징에 고정된 볼트(일례로 방음벽의 앙카볼트)에 너트를 조이는 경우에는, 1) 내부에 카운터보어 형태의 역회전 방지 래칫기어 걸림턱을 형성한 풀림방지 기능 제 1 와셔, 2) 풀림방지 기능 제 2 와셔의 회전돌출부를 너트(육각 외) 삽입유도홈에 끼우고, 3) 너트에 끼운 풀림방지 기능 제 2 와셔(RATCHAT 래칫기어)가 접하는 풀림방지 기능 제 1 와셔 내부에 카운터보어 형태의 역회전 방지 래칫기어 걸림턱을 형성하여, 4) 연결나사의 역회전을 막는 풀림방지 기능 제 1 와셔와 풀림방지 기능 제 2 와셔를 사용하는 너트 풀림방지 방법을 제안한다.
임플란트 치료에서 흔히 발생하는 기계적 문제점 중 하나는 임플란트 연결나사의 풀림과 파절이다. 원인으로는 임플란트 부품의 기계적인 공차, 나사의 재료, 금속의 피로저항, 교합압에 의한 기능 시 미세 진동, 임플란트의 장축을 벗어나 교합력, 적용된 토크와 전하중, 치조골의 탄성도, 정착 효과(setting effect)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임플란트 나사 풀림이나 풀림으로 인한 파절을 방지하기 위해서 나사연결부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예방함과 동시에, 연결나사 신장에 의한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사이에 전하중을 증가시키고, 임상적으로 적절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임플란트 장축을 따라 하중이 전달되도록 하고, 적절한 조임토크를 임플란트 연결나사에 적용하여 충분한 양의 전하중이 연결나사 내에 발생하하도록 관리하는 단계에 그쳤다. 그러나 본 발명을 통하여 연결나사를 사용하는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혹은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에 자연적인 진동으로는 풀리지않는 연결나사의 새로운 풀림잠금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부문 연결나사 및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부문 연결나사가 풀어질 경우 재시술에 더욱 많은 시간과 비용 및 노력을 투입해야 하지만, 연결나사에 풀림방지장치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부작용을 막는 효과가 있다.
둘째, 궁극적으로 임플란트와 어버브먼트 및 크라운 연결 부분에 자연적인 진동(음식물 씹음)에는 풀리지 않지만, 치과 전문의가 필요시 풀림방지 기능 와셔를 빼내고 연결나사를 돌려 해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임플란트 구조체의 신뢰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셋째, 풀림방지장치가 역회전 방지 래칫 기어를 적용한 자물쇠 방식이므로, 임플란트가 심어져 있는 치조골(alveolar bone)의 강도를 고려하여 연결나사를 20 N㎝ 이하의 약한 토오크로 조이는 것으로도 풀림방지장치가 작동되므로 치조골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임플란트 및 크라운은 여러 원인에 의하여 손상이 될 수 있는데 각각 분리가 되지 않을 경우 전체를 재시술하는 문제가 있다.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혹은 어버브먼트 및 임플란트를 모두 분리가 가능하도록 풀림방지장치를 구성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크라운과 어버트먼트(혹은 임플란트)를 고정시키는 방식인 상단에 구멍이 있는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끼우고 연결나사로 조일 경우 나사 풀림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풀림방지 기능을 적용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면, 크라운 재활용이 어려운 치과용 시멘트로 접착시키는 방식을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연결나사 부분 및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연결나사 부분에 풀림방지 기능을 적용함과 함께, 본 발명을 확대하여 일반 산업 분야에 사용되는 볼트너트 결합체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1도는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풀림방지장치의 여러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는 이미지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인이 10-2016-015656호로 특허출원한 풀림방지장치로,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의 반대 면에 (a) 삼각형 걸림턱(210)과 너트(200)를 향하여 90도 절곡된 와셔(300)의 외주원 부분이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되어 외측으로 펼쳐진 형상의 탄성돌출부(320)가 사용된 경우, (b) 경사면(211)과 단턱면(212)을 구비한 걸림턱(210)과 프로펠러 형상으로 비틀어진 탄성돌출부(320)가 사용되는 경우, 각각 을 도시한다.
제 3 도는 일체형 및 분리형 임플란트의 구성 및 분리형 임플란트의 경우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의 결합 형태에 따라 익스터널과 인터널 형태로 구분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이미지도 이다.
제 4 도는 분리형 임플란트의 구성 및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사이에 미세 공간이 있을 경우 세균이 침투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도 이다.
제 5 도는 종래 어버트먼트 내부에 무두 볼트를 연결나사 상단에 추가로 설치하거나, 크라운 측면에서 회전 방지용 나사로 조여줌으로써 제한된 풀림방지 기능을 갖도록 하는 임플란트 구성 방식을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제 6 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풀림방지 기능의 역회전 방지 와셔를 연결나사 머리 측면에 끼우는 방식을 적용한 임플란트 및 크라운의 구조도이다.
제 7 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풀림방지 기능의 역회전 방지 와셔를 연결나사 머리 상단에 끼우는 방식을 적용한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의 구조도이다
제 8 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풀림방지 기능의 역회전 방지 와셔를 연결나사의 홈에 끼우는 두가지 방식을 적용한 크라운의 구조도이다.
제 9 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풀림방지 기능의 역회전 방지 와셔를 연결나사머리 측면에 끼우는 방식을 산업용으로 적용시킨 풀림방지 장치의 구조도이다.
상실된 치아의 임플란트 수복에 대한 이해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임상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 수복은 일상적인 치료가 되었다. 대부분 임플란트 시스템은 연결나사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고정체와 어버트먼트를 연결하기 때문에 임플란트 보철 수복과 향후 환자 관리에서 연결나사의 풀림과 파절은 임상학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2000년대 초 일부 발표 자료에 의하면, 단일치 임플란트 수복의 45%에서 어버트먼트 연결나사 풀림 현상을 보고하였고, 임플란트 보철물의 6%에서 어버트먼트 나사 풀림을 보고하였다. 최근 임플란트 연결나사의 물성이 향상되고, 임플란트 나사에 정밀 토크조절기를 사용하여 적정 토크를 가하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임플란트 나사 풀림의 빈도가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임상에서 임플란트 나사의 풀림이나 파절이 발생할 경우, 임플란트 교환이나 제거를 통한 해결 방법을 제시한다 하더라도 환자와의 신뢰관계 회복에는 제한이 있다. 임플란트 나사 풀림은 부적절한 임플란트 고정체 식립 위치, 교합관계나 치관 형태 등에 의한 과도한 교합력과 보철물의 적합도 불량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나, 부적절하게 적용된 토크와 전하중 상실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연결나사를 사용하는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혹은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에 자연적인 진동으로는 풀리지 않는 연결나사의 새로운 풀림방지 장치를 다음과 같이 적용하고자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풀림방지장치의 여러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는 이미지도이다. 미국 항공우주국에서는 산업체 전반에서 가장 엄격한 나사 풀림 시험 기준으로 NAS3350을 제정하였고, 상기 풀림방지장치들은 해당 시험을 만족하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특수 너트 2개를 사용하거나 너트에 스프링을 삽입하는 형태로 구성하여 대부분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쐐기 방식으로 개발되었으며 조임토오크가 매우 높다. (임플란트용 M2의 경우 20 ~ 30 N·㎝, 일본 하드락 M8의 경우 70,000 N·㎝)
제 2 도는 본 발명인이 10-2016-015656호로 특허 출원한, 볼트에 길이방향으로 삽입유도홈을 형성하고, 볼트의 삽입유도홈과 맞물려 회전하는 래칫형 기어가 형성된 와셔 및 래칫형 기어가 형성된 와셔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걸림턱을 너트 카운트보어에 형성한 풀림방지 볼트 너트의 구성도이다. 다른 풀림방지장치와 달리 래칫형 기어에 대한 걸림턱이 작용하여 풀림을 방지하는 자물쇠 구조이므로 조임 토오크가 임플란트 조임 토오크(20 ~ 30 N·㎝) 내외로도 가능하며 너트 크기가 표준 규격과 동일한 크기로 제공된다는 장점이 있다.
제 3 도는 일체형 및 분리형 임플란트의 구성 및 분리형 임플란트의 경우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의 결합 형태에 따라 익스터널과 인터널 형태로 구분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이미지도 이다. 분리형 임플란트는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및 이를 고정시키는 연결나사로 되어 있고, 일체형 임플란트는 하나로 되어 있다. 분리형은 임플란트가 부정확하게 심어져 최적의 각도에서 오차가 나도 어버트먼트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를 보정할 수 있지만, 일체형은 연결나사가 없어 풀림이 없지만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시술이 어렵고 유지 보수가 까다롭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제 4 도는 분리형 임플란트의 구성 및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사이에 미세 공간이 있을 경우 세균이 침투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도 이다. 제 5 도는 종래 어버트먼트 내부에 무두 볼트를 연결나사 상단에 추가로 설치하거나, 크라운 측면에서 회전 방지용 나사로 조여줌으로써 제한된 풀림방지 기능을 갖도록 하는 임플란트 구성 방식을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볼트에 2 개의 너트를 상호 강하게 조여 풀림을 방지하고 있으나, 진동 시험 규격 NAS3350 시험(최소 17분)에 의하면 30초 전후에 너트가 풀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버트먼트 내부에 무두 볼트를 추가하여 연결 나사의 풀림을 일정 부분 방지할 수 있지만, 연결 나사와 무두 볼트를 상호 강하게 조일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크라운 측면에서 회전 방지용 나사로 조이는 것은 모터 회전축에 기어를 고정하는 방식과 유사하며 반복된 진동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인이 특허출원한 10-2016-015656호를 제 2 도를 참조로 요약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에서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의 반대 면(볼트 나사부 끝단)에 (a) 삼각형 걸림턱(210)과 너트(200)를 향하여 90도 절곡된 와셔(300)의 외주원 부분이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되어 외측으로 펼쳐진 형상의 탄성돌출부(320)가 사용된 경우, (b) 경사면(211)과 단턱면(212)을 구비한 걸림턱(210)과 프로펠러 형상으로 비틀어진 탄성돌출부(320)가 사용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하였다. 볼트(100)는 볼트머리(110)와 볼트몸통(120)으로 이루어지며,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몸통(1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절개된 삽입유도홈(130)이 구비된다. 이러한 삽입유도홈(130)은 1개만 구비될 수도 있고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와셔(400)는 일반적인 조임에 사용되는 평와셔 혹은 스프링 와셔 및 특수 형상의 와셔 등으로, 충분한 접촉력 및 마찰력과 풀림 방지력을 확보할 경우 생략할 수도 있다. 너트(200)와 맞물려 풀림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제 2 와셔(300)는 내주원의 일부가 제 2 와셔(30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삽입유도홈(130)에 수용되는 회전돌기부(310)가 구비된다. 너트(200)와 맞물려 풀림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제 2 와셔(300)에는 외주원을 따라 돌출되어 너트(200)를 조여주면 탄성 변형되면서 바깥쪽 단부가 걸림턱(210)의 일측을 타고 넘은 후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그 바깥쪽 단부가 걸림턱(210)의 타측에 걸려 너트(200)의 풀림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돌출부(320)가 일정한 간격으로 원호 상에 구비된다. 탄성돌출부(320)는 탄성력에 의하여 휨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데, 너트(200)와 제 2 와셔(300)가 맞닿은 상태에서 너트(200)를 조여주면 탄성돌출부(320)가 변형되면서 바깥쪽 단부가 걸림턱(210)의 일축을 타고 넘은 후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며 그 바깥측 단부가 걸림턱(210)의 타측에 걸려 안착되어 너트(200)의 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도 2 (a)의 풀림 방지 기능의 제 2 와셔(300)는 너트(200)를 향하여 90° 절곡된 제 2 와셔(300)의 외주원 부분이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되어 외측으로 펼쳐진 형상을 도시하고 있고, 도 2 (b)의 풀림 방지 기능의 제 2 와셔(300)는 제 2 와셔(300)의 외주원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후 프로펠러 형상으로 비틀어진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2 (a)에 사용된 제 2 와셔(300)의 탄성돌출부(320)는 너트(200)를 향하여 90도 절곡된 제 2 와셔(300)의 외주원 부분이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되어 외측으로 펼쳐진 형상으로서 전체적으로 물레방아의 수차와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도 2 (b)에 사용된 제 2 와셔(300)의 탄성돌출부(320)는 제 2 와셔(300)의 외주원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후 프로펠러 모양으로 비틀어진 형상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탄성돌출부(320)는 너트(200)의 카운터 보어 가공(나사 직경보다 큰 직경의 홈을 너트 내부에 형성하는 가공으로 주조/단조/밀링 /보링/방전 가공으로 제작)된 내측 공간에 형성된 걸림턱(210)의 일측인 경사면(211)을 타고 넘는 과정에서 탄성력에 의한 변형과 복원을 반복하게 되고 최종 조임이 완료되면 걸림턱(210)의 타측인 단턱면(212)에 걸려 너트(200)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너트(200)의 걸림턱의 갯수를 N개라 하고 제 2 와셔(300)의 탄성돌출부(320)의 갯수를 M개 라고 할 때, M = n * N ± 1 (여기서 n은 양의 정수)라는 관계식을 이용하여 M과 N의 갯수를 결정하면 보다 더 정밀하고 균일한 조임 토크를 확보할 수 있으며, 풀림에 저항하는 기능도 약 1 ~ 3°만 풀리면 다음 번 걸림턱(210)이 순차적으로 잡아 주어서 풀림이 보다 완벽하게 방지된다. 즉, 너트(200)의 걸림턱(210)의 갯수를 6개로 하고 n을 5라고 하면 제 2 와셔(300)의 탄성돌출부(320)의 갯수는 29개 또는 31개가 된다. 이 경우 너트(200)의 걸림턱(210) 하나에 5 + 5/6개 또는 6 + 1/6 개의 탄성돌출부(320)이 배당되므로 탄성돌출부(320) 하나의 크기보다 1/6만 너트(200)를 더 돌리면 탄성돌출부(320)와 걸림턱(210) 사이의 걸림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탄성돌출부(320) 각각은 360°/29 간격(약 12°)으로 배열되는바 너트(200)를 12.4°/6(약 2°)만 돌려주면 걸림이 이루어지는 결과가 된다. 만약 위의 수식에 따르지 않고 단순히 탄성돌출부(320)의 갯수를 걸림턱(210) 갯수의 정수배로 하였다면 탄성돌출부(320)의 배열 각도만큼 돌려야 걸림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예를 들면 탄성돌출부(320)의 갯수가 30개 이고 걸림턱(210)의 갯수가 6개 라면 걸림턱(210) 하나에 6개의 탄성돌출부(320)가 배당되는 바 너크(200)를 360°/30 (12°)만큼 돌려야 비로소 걸림이 이루어지게 되어, 걸림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너트(200)가 회전되어야 할 각도와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결합체는 어버트먼트 내부의 연결나사를 조여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를 밀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 표준 볼트와 너트 체결 방식과는 다른 복잡한 형태의 구조(치골 속에 삽입되어 있는 임플란트가 너트 역할, 어버트먼트가 고정시켜야 할 재료, 어버트먼트 내부의 직경 2 ㎜ 내외 연결나사가 볼트 역할)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제 2 도와 달리 본 발명의 임플란트 구조체에서는 연결나사의 볼트 머리(제 2도에서는 볼트 몸통)에 삽입유도홈을, 삽입유도홈과 요철 모양으로 끼워지는 회전돌기부를 풀림방지 기능 와셔에 형성한다. 연결나사 머리의 삽입유도홈은 볼트 머리에 일자 홈을 세로 방향으로 가공하는 방법 혹은, 연결나사 상단의 홈(일자홈)으로 대체하는 방법 혹은, 나사머리 형태(주로 육각)로 대체할 수 있다. 풀림방지 기능 와셔의 내주원에는 상기 삽입유도홈과 요철 모양으로 끼우도록 회전돌기부를 형성한다.
제 6 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풀림방지 기능의 역회전 방지 와셔를 연결나사 머리 측면에 끼우는 방식을 적용한 임플란트 및 크라운의 구조도이다. 제 7 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풀림방지 기능의 역회전 방지 와셔를 연결나사 머리 상단에 끼우는 방식을 적용한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의 구조도이다. 임플란트 연결나사 풀림방지 결합체는, 치조골 속에 삽입, 고정하고, 내부에는 너트 역할을 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임플란트(10) 수단; 임플란트 위치와 치아 상태에 따라 형태 및 각도를 선택하여, 치조골 속의 임플란트(10)와 틈이 없도록 고정시키는 어버트먼트(11) 수단; 어버트먼트(11) 내부에 끼워, 임플란트(10) 내부의 나사산과 조여, 임플란트(10)와 어버트먼트(11)를 틈이 없도록 고정하는 연결나사(16) 수단; 풀림방지를 위해 래칫(Ratchet)형 기어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연결나사(16)와 고정, 회전하기 위한 회전돌기부가 있는 풀림방지 기능 와셔(12)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나사(16)는, 볼트 머리와 볼트 몸통으로 이루어지며, 볼트 머리에 삽입유도홈이 구비되어 풀림방지 기능 와셔(12) 회전돌기부가 걸리도록 구성한다. 상기 어버트먼트(11)는 크라운(14)과 결합되는 방향의 일면에 카운트 보어 형태로, 카운터 보어 가공된 내측 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걸림턱이 원호 상에 구비된다.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2)는, 상기 어버트먼트(11)의 카운터보어 가공된 내측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2)의 내주원 일부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연결나사 삽입유도홈에 수용되는 회전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2)를 연결나사(16)와 결합하고,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2) 외주원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어버트먼트(11)를 조여주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래칫형 기어 형상을 하고 있어, 연결나사(16)를 조여 주면 탄성 변형하면서, 바깥쪽 단부가 상기 어버트먼트(11) 걸림턱(13)의 일측을 타고 넘은 후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그 바깥쪽 단부가 상기 어버트먼트(11) 걸림턱의 타측에 걸리며, 상기 연결나사(11)의 풀림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돌출부가 구비된다.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2)가 어버트먼트(11) 카운트 보어 공간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 어버트먼트(21) 일측 면에는 상기 연결나사(22)를 조여주면 상기 풀림방지 기능 와셔(23)의 탄성돌출부(320)가 상기 풀림방지 기능 와셔(23)의 중심축을 향하여 탄성 변형을 일으키면서 타고 넘어가는 경사면(211)이 형성되고, 타측 면에는 상기 경사면(211)을 타고 넘은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 상기 탄성돌출부(320)가 걸리는 단턱면(212)이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혹은, 상기 어버트먼트 상단면(27) 내부의 걸림턱(210)은,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가 각각 상기 어버트먼트(21)의 카운터보어 가공된 내측 공간의 바닥면과 내주면에 결합된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혹은, 상기 탄성돌출부(320)는, 상기 풀림방지 기능 와셔(23)의 절곡된 외주원 부분이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되어 외측으로 펼쳐진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혹은, 상기 탄성돌출부(320)는, 상기 풀림방지 기능 와셔(23)의 외주원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프로펠러 형상으로 비틀어진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혹은,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23)는 탄성돌출부(320)가 일부 구간에만 형성된 양단이 개방된 'C' 모양의 링(Ring)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미세하게 조임 및 풀림방지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턱(210)의 갯수를 N 이라 하고, 상기 탄성돌출부(320)의 갯수를 M 이라 할 때, M = n * N ± 1 (여기서 n은 양의 정수) 라는 관계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어버트먼트에 따라 연결나사와 어버트먼트 사이에 두께가 충분치 못하여 풀림방지 기능 와셔(회전돌기부)로 연결나사의 볼트 머리(삽입유도홈)를 감싸도록 구성하는데 한계가 있을 경우, 풀림방지 기능 와셔를 연결나사 상단에 결합하는 방법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즉, 풀림방지를 위해 래칫(Ratchet)형 기어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풀림방지 기능 와셔(30) 수단은, 상기 어버트먼트(36)의 카운터보어 가공된 내측 공간에서 연결나사(34) 상단에 수용되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30)의 회전돌기부(33)는 연결나사(34)의 삽입유도홈(35)과 끼워, 결합 및 회전하고,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30) 외주원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어버트먼트(36)를 조여주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래칫형 기어 형상(32)을 하고 있어, 풀림방지 기능 와셔(30) 상단의 회전 홈(31)을 돌려, 동시에 연결나사(34)를 조여 주면서 탄성 변형하면서, 바깥쪽 단부가 상기 어버트먼트(36) 걸림턱(37)의 일측을 타고 넘은 후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그 바깥쪽 단부가 상기 어버트먼트(36) 걸림턱(37)의 타측에 걸려 상기 연결나사(34)의 풀림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돌출부가 구비된다.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30)가 어버트먼트(36) 카운트 보어 공간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30)의 회전돌기부(33)와 연결나사(34)의 삽입유도홈(35)은, 각각 일자 및 일자 홈; 혹은, 각각 십자 및 십자 홈; 혹은, 각각 별표 및 별표 홈; 혹은, 각각 사각 및 사각 홈; 혹은, 각각 육각렌치 및 육각렌치 홈 형태로 상호 요철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이 모양 외에 각각 요철을 맞추어 특수한 모양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30)의 회전홈(31)은, 일자 홈; 혹은, 십자 홈; 혹은, 별표 홈; 혹은, 사각 홈; 혹은, 육각렌치 홈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모양 외에 사용하는 해체 공구에 따라 각각 요철을 맞추어 특수한 모양을 적용할 수도 있다.
제 8 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풀림방지 기능의 역회전 방지 와셔를 연결나사의 홈에 끼우는 두가지 방식(풀림방지 기능 와셔의 위치에 따라 측면형 및 수직형)을 적용한 크라운의 구조도이다. 인공치아(크라운)를 고정하는데 있어서, 치조골 속에 삽입, 고정하고, 내부에는 너트 역할을 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임플란트(10) 수단; 및 임플란트 위치와 치아 상태에 따라 형태 및 각도를 선택하여, 치조골 속의 임플란트(10)와 틈이 없도록 고정하는 어버트먼트(11) 수단, 혹은, 어버트먼트(11)가 임플란트(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수단에서 크라운(14)을 어버트먼트(11)와 고정하기 위해 어버트먼트(11) 일측 면에 나사산(19)을 형성하고, 크라운(14) 내부에 끼워, 어버트먼트(11) 내부의 나사산(19)과 조여, 크라운(14)과 어버트먼트(11)를 틈이 없도록 고정하는 연결나사(18) 수단; 풀림방지를 위해 래칫(Ratchet)형 기어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연결나사(18)와 고정, 회전하기 위한 회전돌기부가 있는 풀림방지 기능 와셔(17) 수단; 상기 연결나사(18)는, 볼트 머리와 볼트 몸통으로 이루어지며, 볼트 머리에 삽입유도홈이 구비되어 풀림방지 기능 와셔(17) 회전돌기부가 걸리도록 구성하고, 상기 크라운(14)은 일측 면에 카운트 보어 형태로 가공된 내측 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걸림턱이 원호 상에 구비되고,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7)는 상기 크라운(14)의 카운터보어 가공된 내측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7)의 내주원 일부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연결나사 삽입유도홈에 수용되는 회전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7)를 연결나사(18)와 결합하고, 상기 풀림 방지 기능의 와셔(17) 외주원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크라운(14)을 조여주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래칫 기어 형상을 하고 있어, 연결나사(18)를 조여 주면 탄성 변형하면서, 바깥쪽 단부가 상기 크라운(14) 걸림턱의 일측을 타고 넘은 후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그 바깥쪽 단부가 상기 크라운(14) 걸림턱의 타측에 걸려 상기 연결나사(18)의 풀림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풀림 방지 기능의 와셔(17)가 크라운(14) 카운트 보어 공간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 크라운(24) 일측 면에는 상기 연결나사(25)를 조여주면 상기 풀림방지 기능 와셔(26)의 탄성돌출부(320)가 상기 풀림방지 기능 와셔(26)의 중심축을 향하여 탄성 변형을 일으키면서 타고 넘어가는 경사면(211)이 형성되고, 타측 면에는 상기 경사면(211)을 타고 넘은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 상기 탄성돌출부(320)가 걸리는 단턱면(212)이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혹은, 상기 크라운 상단면(28) 내부의 걸림턱(210)은,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가 각각 상기 크라운(24)의 카운터보어 가공된 내측 공간의 바닥면과 내주면에 결합된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혹은, 상기 탄성돌출부(320)는, 상기 풀림방지 기능 와셔(26)의 절곡된 외주원 부분이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되어 외측으로 펼쳐진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혹은, 상기 탄성돌출부(320)는, 상기 풀림방지 기능 와셔(26)의 외주원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프로펠러 형상으로 비틀어진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혹은,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26)는 탄성돌출부(320)가 일부 구간에만 형성된 양단이 개방된 'C' 모양의 링(Ring)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미세하게 조임 및 풀림방지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턱(210)의 갯수를 N 이라 하고, 상기 탄성돌출부(320)의 갯수를 M 이라 할 때, M = n * N ± 1 (여기서 n은 양의 정수) 라는 관계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어버트먼트에 따라 연결나사와 크라운 사이에 두께가 충분치 못하여 풀림방지 기능 와셔(회전돌기부)로 연결나사의 볼트 머리(삽입유도홈)를 감싸도록 구성하는데 한계가 있을 경우, 풀림방지 기능 와셔를 연결나사 상단에 결합하는 방법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즉, 풀림방지를 위해 래칫(Ratchet)형 기어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풀림방지 기능 와셔(140) 수단은, 상기 크라운(100)의 카운터보어 가공된 내측 공간에서 연결나사(130) 상단에 수용되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40)의 회전돌기부(180)는 연결나사(130)의 삽입유도홈(160)과 끼워, 결합 및 회전하고,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40)는 외주원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크라운(100)을 조여주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래칫형 기어 형상을 하고 있어, 풀림방지 기능 와셔(140) 상단의 회전 홈(170)을 돌려, 동시에 연결나사(130)를 조여 주면, 탄성 변형하면서, 바깥쪽 단부가 상기 크라운(100) 걸림턱(150)의 일측을 타고 넘은 후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그 바깥쪽 단부가 상기 크라운(100) 걸림턱(150)의 타측에 걸려 상기 연결나사(130)의 풀림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40)가 크라운(100) 카운트 보어 공간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40)의 회전돌기부(180)와 연결나사(130)의 삽입유도홈(160)은, 각각 일자 및 일자 홈; 혹은, 각각 십자 및 십자 홈; 혹은, 각각 별표 및 별표 홈; 혹은, 각각 사각 및 사각 홈; 혹은 , 각각 육각렌치 및 육각렌치 홈 형태로 상호 요철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이 모양 외에 각각 요철을 맞추어 특수한 모양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40)의 회전홈(170)은, 일자 홈; 혹은, 십자 홈; 혹은, 별표 홈; 혹은, 사각 홈; 혹은, 육각렌치 홈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모양 외에 사용하는 해체 공구와 각각 요철을 맞추어 특수한 모양을 적용할 수도 있다.
제 9 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풀림방지 기능의 역회전 방지 와셔를 연결나사머리 측면에 끼우는 방식을 산업용에 적용한 풀림방지 장치의 구조도이다. 연결 부재를 볼트로 몸체 및 하우징에 풀리지 않게 고정하는 수단 및 방법으로, 몸체 혹은 하우징(650)에 너트 역할을 하는 나사산(680)을 형성하는 수단; 풀림방지 제 1 와셔 (610) 내부에 끼워, 물체 혹은 하우징(650) 내부의 나사산(680)과 조여, 몸체 및 하우징(650)과 연결 부재(670)를 틈이 없도록 고정하는 연결나사(620) 수단; 풀림방지를 위해 래칫(Ratchet)형 기어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연결나사(620)와 고정 회전하기 위한 회전돌기부가 있는 풀림방지 제 2 와셔(630) 수단; 상기 연결나사(620)는, 볼트 머리와 볼트 몸통으로 이루어지며, 볼트 머리에 삽입유도홈이 구비되어 풀림방지 제 2 와셔(630) 회전돌기부가 걸리도록 구성하고,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610)는, 일측 면에는 카운트 보어 형태로 카운터 보어 가공된 내측 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걸림턱이 원호 상에 구비되고,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630)는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610)의 카운터보어 가공된 내측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630)의 내주원 일부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연결나사(620) 삽입유도홈에 수용되는 회전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630)를 연결나사(620)와 결합하고,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630) 외주원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610)를 조여주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래칫형 기어 형상을 하고 있어, 연결나사(620)를 조여 주면 탄성 변형하면서, 바깥쪽 단부가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610) 걸림턱(660)의 일측을 타고 넘은 후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그 바깥쪽 단부가 풀림방지 제 1 와셔(610) 걸림턱(660)의 타측에 걸려 상기 연결나사(620)의 풀림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돌출부가 구비된다.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630)가 풀림방지 제 1 와셔(610) 카운트 보어 공간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하여 몸체 및 하우징(650)과 연결 부재(670)를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610)가 연결 부재(670)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풀림방지 제 1 와셔(610) 하단에 요철을 형성하는 수단; 혹은, 몸체와 하우징(650)에 풀림방지 제 1 와셔(610)가 회전하지 않도록 스톱퍼(640)를 형성한다. 혹은, 상기 연결나사(620)가 육각 볼트 머리와 볼트 몸통으로 이루어지면, 육각볼트 머리의 삽입유도홈을 볼트 육각머리로 형성하고, 풀림방지 제 2 와셔(630) 회전돌기부를 육각머리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연결 부재를 너트로 몸체 및 하우징에 고정하는 수단 및 방법으로는, 몸체 혹은 하우징(700)에 볼트 역할을 하는 나사산(780)을 형성하는 수단; 풀림방지 제 1 와셔 (750) 내부에 끼워, 물체 혹은 하우징(700)의 나사산(780)과 조여, 몸체 및 하우징(700)과 연결 부재(770)를 틈이 없도록 고정하는 너트(740) 수단; 풀림방지를 위해 래칫(Ratchet)형 기어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너트(740)와 고정 회전하기 위한 회전돌기부가 있는 풀림방지 제 2 와셔(730) 수단; 상기 너트(740)는, 너트 머리에 삽입유도홈이 구비되어 풀림방지 제 2 와셔(730) 회전돌기부가 걸리도록 구성하고,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750)는 일측 면에는 카운트 보어 형태로, 카운터 보어 가공된 내측 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걸림턱(760)이 원호 상에 구비되고,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730)는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750)의 카운터보어 가공된 내측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730)의 내주원 일부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너트(740) 삽입유도홈에 수용되는 회전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730)를 너트(740)와 결합하고,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730) 외주원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750)를 조여주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래칫형 기어 형상을 하고 있어, 너트(740)를 조여 주면 탄성 변형하면서, 바깥쪽 단부가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750) 걸림턱(760)의 일측을 타고 넘은 후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그 바깥쪽 단부가 풀림방지 제 1 와셔(750) 걸림턱(760)의 타측에 걸려 상기 너트(740)의 풀림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돌출부가 구비된다.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730)가 풀림방지 제 1 와셔(750) 카운트 보어 공간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하여 몸체 및 하우징(700)과 연결 부재(770)를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750)가 연결 부재(770)에 고정되도록 풀림방지 제 1 와셔(750) 하단에 요철을 형성하는 수단; 혹은, 몸체와 하우징(720)에 풀림방지 제 1 와셔(750)가 회전하지 않도록 스톱퍼(720)를 형성할 수 있다. 혹은, 상기 너트(740)가 육각으로 이루어지면, 너트(740)의 삽입유도홈을 너트 육각으로 형성하고, 풀림방지 제 2 와셔(730) 회전돌기부로 육각 너트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 한정,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형상의 변경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 : 임플란트 11 : 어버트먼트
12 : 풀림방지 기능 와셔 13 : 걸림턱
14 : 크라운 15 : 크라운 채움 재료
16 : 연결나사 17 : 풀림방지 기능 와셔
18 : 연결나사 19 : 나사산
20 : 임플란트 21 : 어버트먼트
22 : 연결나사 23 : 풀림방지 기능 와셔
24 : 크라운 25 : 연결나사
26 : 풀림방지 기능 와셔 27 : 어버트먼트 상단면
28 : 크라운 상단면
30 : 풀림방지 기능 와셔 31 : 회전홈
32 : 래칫형 기어 형상 33 : 회전돌기부
34 : 연결나사 35 : 삽입유도홈
36 : 어버트먼트 37 : 걸림턱
100 : 크라운 110 : 수평형 연결나사
120 : 수평형 풀림방지 기능 와셔 130 : 연결나사
140 : 풀림방지 기능 와셔 150 : 걸림턱
160 : 삽입유도홈 170 : 회전홈
180 : 회전돌기부
210 : 걸림턱 211 : 경사면
212 : 단턱면 320 : 탄성돌출부
610 : 풀림방지 제 1 와셔 620 : 연결나사
630 : 풀림방지 제 2 와셔 640 : 스톱퍼
650 : 몸체와 하우징 660 : 걸림턱
670 : 연결 부재 680 : 나사산
700 : 몸체와 하우징 710 : 볼트
720 : 스톱퍼 730 : 풀림방지 제 2 와셔
740 : 너트 750 : 풀림방지 제 1 와셔
760 : 걸림턱 770 : 연결 부재
780 : 나사산

Claims (26)

  1. 분리형 임플란트 구조체에 있어서,
    치조골 속에 삽입, 고정하고, 내부에는 너트 역할을 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임플란트(10) 수단;
    임플란트 위치와 치아 상태에 따라 형태 및 각도를 선택하여, 치조골 속의 임플란트(10)와 틈이 없도록 고정시키는 어버트먼트(11) 수단;
    어버트먼트(11) 내부에 끼워, 임플란트(10) 내부의 나사산과 조여, 임플란트(10)와 어버트먼트(11)를 틈이 없도록 고정하는 연결나사(16) 수단;
    풀림방지를 위해 래칫(Ratchet)형 기어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연결나사(16)와 고정, 회전하기 위한 회전돌기부가 있는 풀림방지 기능 와셔(12) 수단;
    상기 연결나사(16)는,
    볼트 머리와 볼트 몸통으로 이루어지며, 볼트 머리에 삽입유도홈이 구비되어 풀림방지 기능 와셔(12) 회전돌기부가 걸리도록 구성하고,
    상기 어버트먼트(11)는
    크라운(14)과 결합하는 방향의 일면에 카운트 보어 형태로,
    카운터 보어 가공된 내측 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걸림턱이 원호 상에 구비되고,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2)는 상기 어버트먼트(11)의 카운터보어 가공된 내측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2)의 내주원 일부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연결나사 삽입유도홈에 수용되는 회전돌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2)를 연결나사(16)와 결합하고,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2) 외주원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어버트먼트(11)를 조여주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래칫형 기어 형상을 하고 있어,
    연결나사(16)를 조여 주면 탄성 변형하면서, 바깥쪽 단부가 상기 어버트먼트(11) 걸림턱(13)의 일측을 타고 넘은 후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그 바깥쪽 단부가 상기 어버트먼트(11) 걸림턱의 타측에 걸리며,
    상기 연결나사(11)의 풀림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2)가 어버트먼트(11) 카운트 보어 공간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풀림방지 결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어버트먼트(21) 일측 면에는 상기 연결나사(22)를 조여주면 상기 풀림방지 기능 와셔(23)의 탄성돌출부(320)가 상기 풀림방지 기능 와셔(23)의 중심축을 향하여 탄성 변형을 일으키면서 타고 넘어가는 경사면(211)이 형성되고,
    타측 면에는 상기 경사면(211)을 타고 넘은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 상기 탄성돌출부(320)가 걸리는 단턱면(2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과 단턱면을 형성한 어버트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 상단면(27) 내부의 걸림턱(210)은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가 각각 상기 어버트먼트(21)의 카운터보어 가공된 내측 공간의 바닥면과 내주면에 결합된 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턱을 형성한 어버트먼트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출부(320)는,
    상기 풀림방지 기능 와셔(23)의 절곡된 외주원 부분이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되어 외측으로 펼쳐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풀림방지 결합체
  5. 제 1 항 및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출부(320)는,
    상기 풀림방지 기능 와셔(23)의 외주원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프로펠러 형상으로 비틀어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풀림방지 결합체
  6. 제 1 항 내지 제 3항 가운데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10)의 갯수를 N 이라 하고
    상기 탄성돌출부(320)의 갯수를 M 이라 할 때,
    M = n * N ± 1 (여기서 n은 양의 정수)
    라는 관계식이 성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풀림방지 결합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23)는 탄성돌출부(320)가 일부 구간에만 형성된 양단이 개방된 'C' 모양의 링(Ring) 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풀림방지 결합체
  8. 제 1 항에 있어서,
    풀림방지를 위해 래칫(Ratchet)형 기어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풀림방지 기능 와셔(30) 수단은
    상기 어버트먼트(36)의 카운터보어 가공된 내측 공간에서 연결나사(34) 상단에 수용되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30)의 회전돌기부(33)는 연결나사(34)의 삽입유도홈(35)과 끼워, 결합 및 회전하고,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30) 외주원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어버트먼트(36)를 조여주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래칫형 기어 형상(32)을 하고 있어,
    풀림방지 기능 와셔(30) 상단의 회전 홈(31)을 돌려, 동시에 연결나사(34)를 조여 주면서 탄성 변형하면서, 바깥쪽 단부가 상기 어버트먼트(36) 걸림턱(37)의 일측을 타고 넘은 후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그 바깥쪽 단부가 상기 어버트먼트(36) 걸림턱(37)의 타측에 걸려 상기 연결나사(34)의 풀림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30)가 어버트먼트(36) 카운트 보어 공간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연결나사 수직형 풀림방지 결합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30)의 회전돌기부(33)와 연결나사(34)의 삽입유도홈(35)은,
    각각 일자 및 일자 홈; 혹은,
    각각 십자 및 십자 홈; 혹은,
    각각 별표 및 별표 홈; 혹은,
    각각 사각 및 사각 홈; 혹은,
    각각 육각렌치 및 육각렌치 홈 형태로 상호 요철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연결나사 수직형 풀림방지 결합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30)의 회전홈(31)은,
    일자 홈; 혹은,
    십자 홈; 혹은,
    별표 홈; 혹은,
    사각 홈; 혹은,
    육각렌치 홈 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연결나사 수직형 풀림방지 결합체
  11. 인공치아(크라운)를 고정하는데 있어서,
    치조골 속에 삽입, 고정하고, 내부에는 너트 역할을 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임플란트(10) 수단; 및 임플란트 위치와 치아 상태에 따라 형태 및 각도를 선택하여, 치조골 속의 임플란트(10)와 틈이 없도록 고정시키는 어버트먼트(11) 수단,
    혹은, 어버트먼트(11)가 임플란트(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수단에서 크라운(14)을 어버트먼트(11)와 고정하기 위해 어버트먼트(11) 일측 면에 나사산(19)을 형성하고
    크라운(14) 내부에 끼워, 어버트먼트(11) 내부의 나사산(19)과 조여, 크라운(14)과 어버트먼트(11)를 틈이 없도록 고정하는 연결나사(18) 수단;
    풀림방지를 위해 래칫(Ratchet)형 기어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연결나사(18)와 고정, 회전하기 위한 회전돌기부가 있는 풀림방지 기능 와셔(17) 수단;
    상기 연결나사(18)는,
    볼트 머리와 볼트 몸통으로 이루어지며, 볼트 머리에 삽입유도홈이 구비되어 풀림방지 기능 와셔(17) 회전돌기부가 걸리도록 구성하고,
    상기 크라운(14)은
    일측 면에 카운트 보어 형태로 가공된 내측 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걸림턱이 원호 상에 구비되고,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7)는
    상기 크라운(14)의 카운터보어 가공된 내측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7)의 내주원 일부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연결나사 삽입유도홈에 수용되는 회전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7)를 연결나사(18)와 결합하고, 상기 풀림 방지 기능의 와셔(17) 외주원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크라운(14)을 조여주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래칫 기어 형상을 하고 있어,
    연결나사(18)를 조여 주면 탄성 변형하면서, 바깥쪽 단부가 상기 크라운(14) 걸림턱의 일측을 타고 넘은 후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그 바깥쪽 단부가 상기 크라운(14) 걸림턱의 타측에 걸려 상기 연결나사(18)의 풀림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풀림 방지 기능의 와셔(17)가 크라운(14) 카운트 보어 공간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연결나사 풀림방지 결합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크라운(24) 일측 면에는 상기 연결나사(25)를 조여주면 상기 풀림방지 기능 와셔(26)의 탄성돌출부(320)가 상기 풀림방지 기능 와셔(26)의 중심축을 향하여 탄성 변형을 일으키면서 타고 넘어가는 경사면(211)이 형성되고,
    타측 면에는 상기 경사면(211)을 타고 넘은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 상기 탄성돌출부(320)가 걸리는 단턱면(2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과 단턱면을 형성한 크라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상단면(28) 내부의 걸림턱(210)은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가 각각 상기 크라운(24)의 카운터보어 가공된 내측 공간의 바닥면과 내주면에 결합된 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턱을 형성한 크라운
  14. 제 11 항 및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출부(320)는,
    상기 풀림방지 기능 와셔(26)의 절곡된 외주원 부분이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되어 외측으로 펼쳐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연결나사 풀림방지 결합체
  15. 제 11 항 및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출부(320)는,
    상기 풀림방지 기능 와셔(26)의 외주원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프로펠러 형상으로 비틀어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연결나사 풀림방지 결합체
  16.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가운데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10)의 갯수를 N 이라 하고
    상기 탄성돌출부(320)의 갯수를 M 이라 할 때,
    M = n * N ± 1 (여기서 n은 양의 정수)
    라는 관계식이 성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연결나사 풀림방지 결합체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26)는 탄성돌출부(320)가 일부 구간에만 형성된 양단이 개방된 'C' 모양의 링(Ring) 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연결나사 풀림방지 결합체
  18. 제 11 항에 있어서,
    풀림방지를 위해 래칫(Ratchet)형 기어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풀림방지 기능 와셔(140) 수단은
    상기 크라운(100)의 카운터보어 가공된 내측 공간에서 연결나사(130) 상단에 수용되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40)의 회전돌기부(180)는 연결나사(130)의 삽입유도홈(160)과 끼워, 결합 및 회전하고,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40)는 외주원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크라운(100)을 조여주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래칫형 기어 형상을 하고 있어,
    풀림방지 기능 와셔(140) 상단의 회전 홈(170)을 돌려, 동시에 연결나사(130)를 조여 주면, 탄성 변형하면서, 바깥쪽 단부가 상기 크라운(100) 걸림턱(150)의 일측을 타고 넘은 후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그 바깥쪽 단부가 상기 크라운(100) 걸림턱(150)의 타측에 걸려 상기 연결나사(130)의 풀림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40)가 크라운(100) 카운트 보어 공간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의 연결나사 수직형 풀림방지 결합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40)의 회전돌기부(180)와 연결나사(130)의 삽입유도홈(160)은,
    각각 일자 및 일자 홈; 혹은,
    각각 십자 및 십자 홈; 혹은,
    각각 별표 및 별표 홈; 혹은,
    각각 사각 및 사각 홈; 혹은,
    각각 육각렌치 및 육각렌치 홈 형태로 상호 요철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연결나사 수직형 풀림방지 결합체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방지 기능 와셔(140)의 회전홈(170)은,
    일자 홈; 혹은,
    십자 홈; 혹은,
    별표 홈; 혹은,
    사각 홈; 혹은,
    육각렌치 홈 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연결나사 수직형 풀림방지 결합체
  21. 연결 부재를 볼트로 몸체 및 하우징에 고정하는데 있어서,
    몸체 혹은 하우징(650)에 너트 역할을 하는 나사산(680)을 형성하는 수단;
    풀림방지 제 1 와셔 (610) 내부에 끼워, 물체 혹은 하우징(650) 내부의 나사산(680)과 조여, 몸체 및 하우징(650)과 연결 부재(670)를 틈이 없도록 고정하는 연결나사(620) 수단;
    풀림방지를 위해 래칫(Ratchet)형 기어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연결나사(620)와 고정 회전하기 위한 회전돌기부가 있는 풀림방지 제 2 와셔(630) 수단;
    상기 연결나사(620)는,
    볼트 머리와 볼트 몸통으로 이루어지며, 볼트 머리에 삽입유도홈이 구비되어 풀림방지 제 2 와셔(630) 회전돌기부가 걸리도록 구성하고,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610)는
    일측 면에는 카운트 보어 형태로 카운터 보어 가공된 내측 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걸림턱이 원호 상에 구비되고,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630)는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610)의 카운터보어 가공된 내측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630)의 내주원 일부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연결나사(620) 삽입유도홈에 수용되는 회전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630)를 연결나사(620)와 결합하고,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630) 외주원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610)를 조여주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래칫형 기어 형상을 하고 있어,
    연결나사(620)를 조여 주면 탄성 변형하면서, 바깥쪽 단부가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610) 걸림턱(660)의 일측을 타고 넘은 후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그 바깥쪽 단부가 풀림방지 제 1 와셔(610) 걸림턱(660)의 타측에 걸려 상기 연결나사(620)의 풀림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630)가 풀림방지 제 1 와셔(610) 카운트 보어 공간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하여 몸체 및 하우징(650)과 연결 부재(670)를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 및 하우징의 볼트형 풀림방지 결합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610)가 연결 부재(670)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풀림방지 제 1 와셔(610) 하단에 요철을 형성하는 수단;
    혹은, 몸체와 하우징(650)에 풀림방지 제 1 와셔(610)가 회전하지 않도록 스톱퍼(64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와 하우징의 볼트형 풀림방지 결합체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나사(620)가 육각 볼트 머리와 볼트 몸통으로 이루어지면,
    육각볼트 머리의 삽입유도홈을 볼트 육각머리로 형성하고
    풀림방지 제 2 와셔(630) 회전돌기부를 육각머리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와 하우징의 볼트형 풀림방지 결합체
  24. 연결 부재를 너트로 몸체 및 하우징에 고정하는데 있어서,
    몸체 혹은 하우징(700)에 볼트 역할을 하는 나사산(780)을 형성하는 수단;
    풀림방지 제 1 와셔 (750) 내부에 끼워, 물체 혹은 하우징(700)의 나사산(780)과 조여, 몸체 및 하우징(700)과 연결 부재(770)를 틈이 없도록 고정하는 너트(740) 수단;
    풀림방지를 위해 래칫(Ratchet)형 기어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너트(740)와 고정 회전하기 위한 회전돌기부가 있는 풀림방지 제 2 와셔(730) 수단;
    상기 너트(740)는, 너트 머리에 삽입유도홈이 구비되어 풀림방지 제 2 와셔(730) 회전돌기부가 걸리도록 구성하고,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750)는 일측 면에는 카운트 보어 형태로,
    카운터 보어 가공된 내측 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걸림턱(760)이 원호 상에 구비되고,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730)는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750)의 카운터보어 가공된 내측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730)의 내주원 일부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너트(740) 삽입유도홈에 수용되는 회전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730)를 너트(740)와 결합하고,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730) 외주원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750)를 조여주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래칫형 기어 형상을 하고 있어,
    너트(740)를 조여 주면 탄성 변형하면서, 바깥쪽 단부가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750) 걸림턱(760)의 일측을 타고 넘은 후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그 바깥쪽 단부가 풀림방지 제 1 와셔(750) 걸림턱(760)의 타측에 걸려 상기 너트(740)의 풀림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풀림방지 제 2 와셔(730)가 풀림방지 제 1 와셔(750) 카운트 보어 공간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하여 몸체 및 하우징(700)과 연결 부재(770)를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 및 하우징의 너트형 풀림방지 결합체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 제 1 와셔(750)가 연결 부재(770)에 고정되도록 풀림방지 제 1 와셔(750) 하단에 요철을 형성하는 수단;
    혹은, 몸체와 하우징(720)에 풀림방지 제 1 와셔(750)가 회전하지 않도록 스톱퍼(72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와 하우징의 너트형 풀림방지 결합체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740)가 육각으로 이루어지면,
    너트(740)의 삽입유도홈을 너트 육각으로 형성하고
    풀림방지 제 2 와셔(730) 회전돌기부로 육각 너트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와 하우징의 풀림방지 결합체

KR1020170016574A 2017-02-07 2017-02-07 임플란트 및 크라운 풀림방지 결합체 및 방법 KR20180091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574A KR20180091408A (ko) 2017-02-07 2017-02-07 임플란트 및 크라운 풀림방지 결합체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574A KR20180091408A (ko) 2017-02-07 2017-02-07 임플란트 및 크라운 풀림방지 결합체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408A true KR20180091408A (ko) 2018-08-16

Family

ID=6344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574A KR20180091408A (ko) 2017-02-07 2017-02-07 임플란트 및 크라운 풀림방지 결합체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14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069B1 (ko) 2021-08-04 2022-07-29 덴탈오케이 주식회사 임플란트 크라운 체결 구조 및 체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069B1 (ko) 2021-08-04 2022-07-29 덴탈오케이 주식회사 임플란트 크라운 체결 구조 및 체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6661B (zh) 植入物、植入體、支台體
AU656904B2 (en) A device for tooth implantation comprising a locking screw
US5482463A (en) Anti-slippage mechanism for dental implant components
US11877909B2 (en) Dental implant set
JP6410602B2 (ja) 歯科用構成部材のセット
US20150230888A1 (en) Dental Implant System
JPS63292953A (ja) 単一歯回復物を固定する装置
EP2624781A1 (de) Abutment und zahnprothetische anordnung mit einem solchen abutment
KR20080049378A (ko) 충격흡수 임플란트 유닛
US7090495B1 (en) Dental implant screw and post system
WO2013186764A1 (en) Triple lock abutment system
WO2016111312A1 (ja)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のボルト締結構造
KR20070009060A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KR101559823B1 (ko) 치아 임플란트 구조물
KR20200010977A (ko) 보철물이 부착되는 보철물 부착부에 단턱 구조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JP5995437B2 (ja) 改良されたネジヘッド
KR20180091408A (ko) 임플란트 및 크라운 풀림방지 결합체 및 방법
KR20050039776A (ko) 치과용 임플란트 유니트
KR20080049377A (ko) 나사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TWI712394B (zh) 假牙之結合組件
KR10121067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32612B1 (ko)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체결스크류
WO2014082744A1 (de)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r dentalprothese
JP2006271767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磁性アタッチメント
KR101937299B1 (ko) 치과용 임플란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