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317A -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 Google Patents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317A
KR20180090317A KR1020187018624A KR20187018624A KR20180090317A KR 20180090317 A KR20180090317 A KR 20180090317A KR 1020187018624 A KR1020187018624 A KR 1020187018624A KR 20187018624 A KR20187018624 A KR 20187018624A KR 20180090317 A KR20180090317 A KR 20180090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polymerized polyamide
iron
metallurgy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8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8107B1 (ko
Inventor
시게루 우나미
주우지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0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1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B22F1/007
    • B22F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0Metallic powder containing lubricating or binding agents; Metallic powder containing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0Metallic powder containing lubricating or binding agents; Metallic powder containing organic material
    • B22F1/102Metallic powder coated with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0Metallic powder containing lubricating or binding agents; Metallic powder containing organic material
    • B22F1/105Metallic powder containing lubricating or binding agents; Metallic powder containing organic material containing inorganic lubricating or binding agents, e.g. metal sa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6Metallic particles coated with a non-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8Ingredients agglomerated by treatment with a bind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n inorganic material
    • C10M103/02Carbon;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 C10M107/4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07/4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11/00Lubrication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01/00 - C10M10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11/04Lubrication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01/00 - C10M10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6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02Compacting only
    • B22F2003/023Lubricant mixed with the metal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35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8/00Supplementary information concerning processes or compositions relating to powder metallurgy
    • B22F2998/10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sequence of their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9/00Aspects linked to processes or compositions used in powder metallu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02Compact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2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 B22F3/16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in successive or repeated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0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 B22F9/0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 B22F9/0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 B22F9/08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atomising using a fl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 C10M125/02Carbon;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1/00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1/04Elements
    • C10M2201/041Carbon; Graphite; Carbon black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1/00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1/04Elements
    • C10M2201/041Carbon; Graphite; Carbon black
    • C10M2201/0413Carbon; Graphite; Carbon black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1/00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1/04Elements
    • C10M2201/05Metal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1/00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1/04Elements
    • C10M2201/05Metals; Alloys
    • C10M2201/053Metals; Alloy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7/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7/04Macromolecular compounds from nitrogen-containing mono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17/044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7/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7/04Macromolecular compounds from nitrogen-containing mono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17/044Polyamides
    • C10M2217/0443Polyamide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55Particles related characteristics
    • C10N2020/06Particles of special shape or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0Metal wo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50/00Form in which the lubricant is applied to the material being lubricated
    • C10N2050/08Soli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3/00Making ferrous alloys
    • C22C33/02Making 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Lubrica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우수한 압분체 강도와 발출성을 구비한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을 제공한다. 철기 분말과, 상기 철기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해 0.3 ∼ 2.0 질량부의, 융점이 80 ∼ 120 ℃ 인 공중합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Description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본 발명은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mixed powder for powder metallurgy) 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압 성형하여 압분체로 했을 때의 발출성과, 압분체 (green compact) 의 강도가 우수한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에 관한 것이다.
분말 야금은, 철기 분말 등을 포함하는 혼합 분말을 가압 성형하여 압분체를 얻은 후, 이 압분체를 소결하여 기계 부품 등의 소결 부품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최근, 분말 야금 기술의 진보에 의해, 복잡한 형상의 소결 부품을 고치수 정밀도로 니어 네트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여러 가지 분야의 제품의 제조에 분말 야금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소결 부품에 대하여, 매우 엄격한 치수 정밀도가 요구되는 경우, 또는 횡혈 (橫穴) 형상, 언더컷 형상, 혹은, 그 밖의 고도로 복잡한 형상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소결 후의 후가공 (절삭 가공 등) 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소결 부품은, 후가공하려면 강도가 높고, 또, 공공 함유 비율이 높은 점에서, 절삭 저항 및 마찰열이 커져, 절삭 공구의 표면 온도가 올라가기 쉽다. 그 때문에, 절삭 공구가 손모 (損耗) 되기 쉬워져 단수명이 되고, 그 결과, 절삭 가공비가 증대되어, 소결 부품의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상기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소결 전의 압분체에 절삭 가공을 실시하고 나서 소결을 실시하는, 이른바 그린 가공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소결 전의 압분체는 물러, 가공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많다. 즉, 소결 전의 압분체는, 그린 가공할 때의 지그에 대한 장착시 또는 절삭 가공시에 가해지는 응력에 견디지 못해, 손상되기 쉽다. 이 때문에, 그린 가공에 견딜 수 있도록, 압분체의 고강도화가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서는, 철기 분말과 윤활제 분말을 함유하는 금속 분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분말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 MW 가 2,000 ∼ 20,000 이고 융점 피크가 120 ∼ 200 ℃ 의 범위에 있는 아미드형의 올리고머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3803371호
특허문헌 1 에 의하면, 상기 아미드형의 올리고머의 융점보다 5 ∼ 50 ℃ 낮은 온도로 예열하여 성형을 실시하는, 이른바 온간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압분체 강도가 높아진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실온에서 실시되는 일반적인 성형에서는, 여전히 압분체 강도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일반적인 성형 조건하에서 우수한 압분체 강도를 얻을 수 있는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이 요구되고 있다.
또,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에는, 압분체 강도가 우수한 것에 더하여, 압분 성형 후에 압분체를 금형으로부터 빼낼 때의 발출력 (ejection force) 이 낮을 것도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우수한 압분체 강도와 발출성을 구비한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철기 분말과,
상기 철기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해 0.3 ∼ 2.0 질량부의, 융점이 80 ∼ 120 ℃ 인 공중합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2. 상기 철기 분말이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상기 1 에 기재된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3. 추가로 흑연분 (黑鉛粉) 을 함유하고,
상기 철기 분말이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와 상기 흑연분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상기 2 에 기재된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압분체 강도와 발출성을 구비한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이하, 간단히 「혼합 분말」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은, 철기 분말과, 상기 철기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해 0.3 ∼ 2 질량부의, 융점이 80 ∼ 120 ℃ 인 공중합 폴리아미드를 함유한다.
[철기 분말]
상기 철기 분말 (iron-based powder) 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철분 (이른바 순철분) 및 합금강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철분으로는, 아토마이즈 철분 (atomized iron powder), 환원 철분 (reduced iron powder) 등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합금강분으로는, 합금 원소를 용제시에 미리 합금화한 예비 합금화 강분 (완전 합금화 강분), 철분에 합금 원소를 부분 확산시켜 합금화한 부분 확산 합금화 강분, 예비 합금화 강분에 추가로 합금 원소를 부분 확산시킨 하이브리드 강분 등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철기 분말이란, Fe 함유량이 50 질량% 이상인 분말을 의미하고, 「철분」이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금속 분말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합금강분에 있어서의 합금 성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C, Cr, Mn, Ni, Mo, V, Cu, Nb 등 임의의 원소를, 1 종 또는 2 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특히, Ni, Mo, Cu 등은 확산 접합에 의해서도 첨가할 수 있다. 또, 상기 C 로는, 흑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합금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철기 분말에 있어서의 Fe 함유량이 50 질량% 이상이 되는 한 임의의 값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기 분말에는, 합계 3 질량% 정도 이하의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대표적인 불순물의 함유량은, 질량% 로, C (합금 원소로서 첨가하지 않는 경우) : 0.05 % 이하, Si : 0.10 % 이하, Mn (합금 원소로서 첨가하지 않는 경우) : 0.50 % 이하, P : 0.03 % 이하, S : 0.03 % 이하, O : 0.50 % 이하, N : 0.1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기 분말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70 ∼ 10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철기 분말의 입경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JIS Z 2510 : 2004 에 준거한 건식 분급에 의한 측정값으로 한다.
상기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에서 차지하는 철기 분말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80 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에서 차지하는 철기 분말의 비율은, 소결 부품의 용도 등에 따라 결정하면 되기 때문에, 그 상한은 한정되지 않는다.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에 포함되는, 공중합 폴리아미드 이외의 성분이 모두 철기 분말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이, 철기 분말 100 질량부와 공중합 폴리아미드 0.3 질량부로 이루어지는 경우,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에서 차지하는 철기 분말의 비율은, 약 99.7 % 가 된다. 따라서,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에서 차지하는 철기 분말의 비율은 99.7 % 이하로 할 수 있다.
[공중합 폴리아미드]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융점이 80 ∼ 120 ℃ 인 공중합 폴리아미드라면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를 구성하는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카프로아미드, 폴리도데칸아미드 등을 구성하는 락탐 또는 아미노카르복실산,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파미드, 폴리펜타메틸렌아디파미드, 폴리펜타메틸렌세바카미드,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폴리헥사메틸렌세바카미드, 폴리헥사메틸렌도데칸아미드 등을 구성하는 디카르복실산과 디아민이 등몰량 결합한 염을 들 수 있다. 상기 모노머로서, 폴리카프로아미드를 구성하는 ε-카프로락탐,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를 구성하는 헥사메틸렌디암모늄아디페이트 (AH 염), 폴리헥사메틸렌세바카미드를 구성하는 헥사메틸렌디암모늄세바케이트 (SH 염), 폴리도데칸아미드를 구성하는 ω-라우로락탐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융점]]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의 융점이 80 ℃ 보다 낮으면 공중합 폴리아미드 자체의 강도가 저하되어, 충분한 압분체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 상기 융점이 120 ℃ 보다 높으면 공중합 폴리아미드끼리의 접착 강도가 저하되어, 충분한 압분체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공중합 폴리아미드의 융점은 80 ∼ 120 ℃ 로 한다.
[[함유량]]
상기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에 있어서의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의 합계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충분한 압분체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에 있어서의 공중합 폴리아미드의 함유량을, 철기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해 0.3 질량부 이상으로 한다.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의 함유량은, 철기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해 0.5 질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중합 폴리아미드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압분체의 밀도가 저하된다. 그 때문에,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에 있어서의 공중합 폴리아미드의 함유량을, 철기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해 2.0 질량부 이하로 한다.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의 함유량은, 철기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해 1.0 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혼합 분말은, 상기와 같이 공중합 폴리아미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가압 성형된 압분체를 금형으로부터 빼낼 때에, 철기 분말이 금형과 직접 접촉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공중합 폴리아미드는, 그 자체가 양호한 윤활성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혼합 분말은, 우수한 발출성을 갖는다.
또, 혼합 분말에 함유되는 공중합 폴리아미드끼리의 사이에는 접착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철기 분말 입자의 물림이 강화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혼합 분말을 가압 성형하여 얻어지는 압분체는, 소결 전이더라도 우수한 강도를 가지고 있어, 손상을 받지 않고 절삭 가공 등의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평균 입경]]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의 평균 입경이 지나치게 크면, 혼합 분말의 밀도가 저하되어 목적으로 하는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평균 입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유동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의 평균 입경을 5 ∼ 10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폴리아미드의 평균 입경이 이 범위이면, 혼합 분말의 유동성이 보다 양호해져, 소결 전 압분체의 가공성이 보다 우수하다. 여기에서, 상기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도 분포계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체적 평균 입자경으로 한다.
[피복]
또한, 상기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에 있어서의 철기 분말과 공중합 폴리아미드의 존재 상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철기 분말이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폴리아미드에 의해 철기 분말을 피복함으로써, 금형으로부터 빼낼 때의 철기 분말과 금형의 직접 접촉을 한층 더 저감시켜, 발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피복률]]
철기 분말이 공중합 폴리아미드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경우, 공중합 폴리아미드에 의한 피복의 효과를 높인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공중합 폴리아미드에 의한 피복률을 4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피복률은 높은 편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100 % 여도 된다. 그러나, 피복률을 과도하게 높이려고 하면, 공중합 폴리아미드의 첨가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기 피복률은, 90 % 이하여도 되고, 80 % 이하여도 된다. 상기 피복률은, 공중합 폴리아미드의 첨가량을 제어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 철기 분말과 공중합 폴리아미드를 혼합할 때의, 혼합 온도나 교반 속도 등의 조건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도 피복률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피복률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으로 철기 분말을 관찰했을 때에, 철기 분말을 구성하는 입자의 면적에 대한, 그 입자에 부착된 공중합 폴리아미드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부분의 면적의 비율 (%) 을 가리킨다.
상기 피복률을 측정할 때에는, SEM 의 가속 전압을 0.1 ∼ 5 ㎸ 로 함으로써, 철기 분말과 공중합 폴리아미드를 식별하기 위한 콘트라스트가 명확하게 얻어진다. 이와 같이 최적화한 측정 조건에서 촬영한 화상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퍼스널 컴퓨터에 입력한다. 이것을, 화상 해석 소프트를 이용하여 2 치화하고, 철기 분말을 구성하는 입자의 면적과, 그 입자에 부착된 공중합 폴리아미드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부분의 면적을 해석함으로써, 상기 피복률을 산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무작위로 선택한 입자 10 개에 있어서의 피복률의 평균값을, 상기 피복률로서 사용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흑연분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SEM 화상 관찰에 있어서는, 흑연분과 공중합 폴리아미드가, 동일한 콘트라스트로 관찰되기 때문에, 양자의 면적을 분리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흑연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철기 분말을 구성하는 입자의 면적에 대한, 공중합 폴리아미드 및 흑연분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부분의 면적의 비율을, 상기 피복률로서 사용할 수 있다.
[흑연분]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은, 추가로 흑연분을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흑연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철기 분말을 공중합 폴리아미드와 흑연분에 의해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폴리아미드와 흑연분을 공존시켜, 철기 분말에 피복함으로써, 금형으로부터 빼낼 때의 철기 분말과 금형의 직접 접촉을 한층 더 저감시켜, 발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합금용 금속 함유 분말]
상기 합금용 금속 함유 분말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금속 분말이나 금속 화합물 분말 등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분말로는, 예를 들어, Cu 분 (粉), Mo 분, Ni 분 등의 비철 금속 분말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금속 화합물 분말로는, 예를 들어, 아산화구리 분말 등의 금속 산화물 분말을 들 수 있다. 상기 합금용 금속 함유 분말은, 원하는 소결체 특성에 따라,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합금용 금속 함유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소결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합금용 금속 함유 분말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소결체 강도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의 첨가 효과를 충분히 얻는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전체에 대한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의 함유량을, 0.1 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의 양이 과잉이 되면, 소결체의 치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전체에 대한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의 함유량을, 10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첨가제]
본 발명의 혼합 분말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윤활제를 함유해도 되고, 상기 윤활제로는, 스테아르산아연 등의 금속 비누, 지방산 아미드,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에서 차지하는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철기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해 2.0 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혼합 분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철기 분말,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 및 임의로 흑연분, 또한 임의로 첨가제를, 혼합기를 사용하여 적절히 혼합함으로써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로 할 수 있다. 상기 혼합은, 1 회로 실시할 수도 있지만, 2 회 이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철기 분말에, 공중합 폴리아미드, 임의로 합금용 금속 함유 분말이나 그 밖의 첨가재를 첨가하여 혼합한다. 상기 혼합시에, 공중합 폴리아미드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면서 교반하고, 혼합하면서 서서히 냉각시킴으로써, 철기 분말의 표면에 용융된 공중합 폴리아미드가 피복되고, 또한 합금용 금속 함유 분말이나 그 밖의 첨가재가 철기 분말에 고착된다. 얻어진 혼합 분말에, 추가로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첨가재를 혼합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그 밖의 첨가재는, 철기 분말에 고착되지 않고, 유리된 상태로 존재한다.
혼합 수단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각종 공지된 혼합기 등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가열이 용이하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고속 바닥부 교반식 혼합기, 경사 회전 팬형 혼합기, 회전 괭이형 혼합기, 및 원뿔 유성 스크루형 혼합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을 실시할 때의 온도 (혼합 온도) 는, (사용하는 공중합 폴리아미드의 융점 + 20 ℃) ∼ (사용하는 공중합 폴리아미드의 융점 + 7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방법]
본 발명의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은, 분말 야금의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혼합 분말을, 임의의 방법에 의해 가압 성형하여 압분체 (압분 성형체) 로 하고, 이어서, 상기 압분체를 소결함으로써, 기계 부품 등의 소결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소결은, 예를 들어, 1000 ∼ 1300 ℃ 에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분말을 가압 성형하여 얻어진 압분체는, 우수한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결 전이더라도, 손상을 억제하면서 절삭 등의 가공 (그린 가공) 을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예로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순서로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먼저, 철분 (JFE 스틸사 제조의 아토마이즈 철분 301A), 구리분 : 2 질량%, 및 흑연분 : 0.8 질량% 에 대해, 윤활제로서 공중합 폴리아미드 입자 (평균 입경 40 ㎛) 또는 에틸렌비스 스테아로아미드 (EBS) 를 첨가하고, 고속 바닥부 교반식 혼합기로 혼합하면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한 후, 혼합기로부터 혼합 분말을 배출하였다. 사용한 윤활제의 융점, 첨가량, 및 혼합 온도를 표 1 에 나타낸다. 다음으로, 얻어진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의 각각을 사용하여 압분체를 제작하고, 압분 밀도, 발출력, 및 압분체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그 때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이 하였다.
[압분체 강도]
압분체 강도로서, 이하의 순서로 항절 강도를 측정하였다. 항절 강도는, 드릴 가공시에 발생하는 균열에 대한 수치적 지표이다. 측정은, 일본 분말 야금 공업회 규격 JPMA P10-1992 에 준거하여 실시하고, 690 ㎫ 의 성형 압력으로 성형한 압분체의 항절 강도 (단위 : ㎫) 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항절 강도의 값이 클수록 압분체가 고강도화되어 있어, 소결 전의 압분체가 우수한 가공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압분 밀도, 발출력]
상기 압분체 강도의 측정에 있어서 성형을 실시했을 때에, 얻어진 압분체의 밀도 (단위 : g/㎤) 및 발출력 (단위 : ㎫) 을 측정하였다. 발출력의 값이 낮을수록 발출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표 1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을 사용하여 제작된 압분체는, 발출성이 우수함과 함께 우수한 항절 강도를 구비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소결 전이더라도, 손상을 억제하면서 절삭 가공 등의 가공 (그린 가공) 을 실시할 수 있다.
[피복률]
또한, 상기 실시예 No. 2, 4, 5, 6, 및 7 의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에 있어서의 피복률을, 앞서 서술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그 때, SEM 에 의한 관찰시의 가속 전압은 1.5 ㎸ 로 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복률이 낮은 No. 4 의 시료는, 압분 밀도, 압분체 강도가 낮고, 발출력도 높은 결과로 되어 있어, 피복률이 높은 쪽이 발출성이 우수함과 함께 우수한 항절 강도를 구비하고 있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Claims (3)

  1. 철기 분말과,
    상기 철기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해 0.3 ∼ 2.0 질량부의, 융점이 80 ∼ 120 ℃ 인 공중합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기 분말이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흑연분을 함유하고,
    상기 철기 분말이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와 상기 흑연분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KR1020187018624A 2016-01-15 2016-11-25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KR102228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06417 2016-01-15
JP2016006417 2016-01-15
JP2016190138 2016-09-28
JPJP-P-2016-190138 2016-09-28
PCT/JP2016/085051 WO2017122434A1 (ja) 2016-01-15 2016-11-25 粉末冶金用混合粉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317A true KR20180090317A (ko) 2018-08-10
KR102228107B1 KR102228107B1 (ko) 2021-03-15

Family

ID=5931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624A KR102228107B1 (ko) 2016-01-15 2016-11-25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32532B2 (ko)
JP (1) JP6160795B1 (ko)
KR (1) KR102228107B1 (ko)
CN (1) CN108430672B (ko)
CA (1) CA3010706C (ko)
SE (1) SE542988C2 (ko)
WO (1) WO20171224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465A (ko) * 2018-09-26 2021-03-24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분말 야금용 혼합분 및 분말 야금용 윤활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4433A (en) * 1994-06-02 1998-04-28 Hoganas Ab Metal powder composition for warm compa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intered products
US20100154588A1 (en) * 2007-06-14 2010-06-24 Sigurd Berg Iron-based powder and composition thereof
KR20130100341A (ko) * 2010-11-22 2013-09-10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130281589A1 (en) * 2012-04-23 2013-10-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oplastic polyamide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8630A (en) 1993-04-13 1994-11-29 Hoeganaes Corporation Metal powder compositions containing binding agents for elevated temperature compaction
CA2356253C (en) * 1999-10-29 2010-10-26 Kawasaki Steel Corporation A die lubricant comprising a higher-melting and a lower-melting lubricants
SE0103398D0 (sv) * 2001-10-12 2001-10-12 Hoeganaes Ab Lubricant powder for powder metallurgy
JP2003183702A (ja) * 2001-12-18 2003-07-03 Aisin Seiki Co Ltd 軟磁性粉末材料、軟磁性成形体及び軟磁性成形体の製造方法
DE10253399A1 (de) * 2002-11-15 2004-05-27 Eramet & Comilog Chemicals S.A. Carbon-Black-Zusammensetzungen und ihre Anwendungen
WO2006057434A1 (ja) * 2004-11-25 2006-06-01 Jfe Steel Corporation 高密度鉄基成形体および高密度鉄基焼結体の製造方法
TWI412416B (zh) * 2006-02-15 2013-10-21 Jfe Steel Corp 鐵基質混合粉末暨鐵基質粉末成形體及鐵基質粉末燒結體之製造方法
KR101477582B1 (ko) 2006-12-07 2015-01-02 회가내스 아베 연자성 분말
EP2221130B1 (en) * 2007-12-13 2019-04-24 JFE Steel Corporation Iron based powder for powder metallurgy and manufacture thereof
US9196403B2 (en) 2010-05-19 2015-11-24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Powder for magnetic member, powder compact, and magnetic member
JP5051270B2 (ja) * 2010-05-19 2012-10-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磁性部材用粉末、粉末成形体、及び磁性部材
CA2893945C (en) 2012-12-28 2016-08-02 Jfe Steel Corporation Iron-based powder for powder metallurg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4433A (en) * 1994-06-02 1998-04-28 Hoganas Ab Metal powder composition for warm compa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intered products
JP3803371B2 (ja) 1994-06-02 2006-08-02 ホガナス アクチボラゲット 金属粉末組成物用潤滑剤、潤滑剤含有金属粉末組成物、潤滑剤を用いた焼結済み製品の製法及びその使用方法
US20100154588A1 (en) * 2007-06-14 2010-06-24 Sigurd Berg Iron-based powder and composition thereof
KR20130100341A (ko) * 2010-11-22 2013-09-10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130281589A1 (en) * 2012-04-23 2013-10-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oplastic polyamide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465A (ko) * 2018-09-26 2021-03-24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분말 야금용 혼합분 및 분말 야금용 윤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542988C2 (en) 2020-09-22
CA3010706C (en) 2020-07-21
SE1850904A1 (en) 2018-07-26
CN108430672A (zh) 2018-08-21
JP6160795B1 (ja) 2017-07-12
US10632532B2 (en) 2020-04-28
US20190022749A1 (en) 2019-01-24
JPWO2017122434A1 (ja) 2018-01-18
KR102228107B1 (ko) 2021-03-15
CN108430672B (zh) 2020-10-27
CA3010706A1 (en) 2017-07-20
WO2017122434A1 (ja)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9640A (en) Method of making iron-based powder mixture
US7527667B2 (en) Powder metallurg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20080083275A (ko) 분말 야금 조성물용 윤활제
WO2011029759A1 (en) Metal powder composition
JP2010265454A (ja) 潤滑剤複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169605B2 (ja) 粉末冶金用粉末混合物および成形体の製造方法
WO2001032337A1 (fr) Agent lubrifiant pour moulage a haute temperature, composition de poudre a base de fer pour compactage a haute temperature avec un moule lubrifie et produit forme de haute densite realise a partir de ladite composition, et procede de production d'un produit compact fritte de densite elevee a base de fer
KR20180090317A (ko) 분말 야금용 혼합 분말
CN102947028B (zh) 铁粉冶金应用中用于改进的尺寸控制的组合物和方法
CN113710392B (zh) 粉末冶金用混合粉
EP0589088B1 (en) Iron-based powder mixture and method
JP6760495B2 (ja) 粉末冶金用混合粉
JP2004292861A (ja) 粉末冶金用鉄基混合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80422B1 (ja) 粉末冶金用混合粉および粉末冶金用潤滑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