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243A -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243A
KR20180090243A KR1020187002627A KR20187002627A KR20180090243A KR 20180090243 A KR20180090243 A KR 20180090243A KR 1020187002627 A KR1020187002627 A KR 1020187002627A KR 20187002627 A KR20187002627 A KR 20187002627A KR 20180090243 A KR20180090243 A KR 20180090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rea
flexible
screen
displa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8548B1 (ko
Inventor
스밍 스
Original Assignee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90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개시한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제1 영역 - 제1 영역은 교차 분포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들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은 비-접이식임 - ; 및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 - 제2 영역은 평행 분포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을 포함하고, 제2 영역은 접이식임 - 을 포함한다. 본 출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및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을 추가로 개시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관련 출원(들)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인용되는 2016년 12월 29일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제201611246021.7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플렉서블 터치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 방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그리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최근 수년간 인기있는 기술적 방향이다. 예를 들면, 전자 종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및 반사 유형의 액정이 모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활성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는 얇고 플렉서블한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더 많은 이익이 있다. 한편, 그것은 활성 발광(active luminescence), 더 양호한 디스플레이 효과, 및 높은 콘트라스트와 같은 이점들을 추가로 갖는다. 그러므로, 그것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가장 유망한 미래를 가지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로, 플렉서블 AMOLED의 굽힘 반경(bending radius)은 점점 작아지고 있다. 현재,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달성되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다층 스택 구조를 갖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디바이스들(예컨대, TFT, OLED)은 스택 구조의 중간 층에 배열되어야 하고, 그로써 최소한의 힘을 받게 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위에 배열될 때, 터치 스크린은 중간 층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다. 그러므로, 터치 스크린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에 대한 요건들은 더 높을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터치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ITO, 금속, 및 무기 절연 층과 같은 재료들을 이용한다. 이 재료들은 굽힘에 견딜 수 없으므로, 이 재료들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은 구부러질 때 쉽게 손상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이 구부러질 때 쉽게 손상될 수 있는 것과 같은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출원은 새로운 유형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안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상이한 영역들로 분할함으로써, 오동작(misoperation)을 피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펼치거나 접을 때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들이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스크린 내의 터치 스크린도 구부러질 때 손상되는 것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양태에 따르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이 제안된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제1 영역 - 제1 영역은 교차 분포(cross distribution)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들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은 비-접이식(non-foldable)임 - ; 및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 - 제2 영역은 평행 분포(parallel distribution)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을 포함하고, 제2 영역은 접이식(foldable)임 - 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역은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접이식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은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2개의 측면 영역(two side regions)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영역은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중심 영역(central region)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은 크로스 브리지 구조(cross bridge structure)를 가지는 단일층 도전성 막 또는 이중층 도전성 막을 포함하고, 제2 영역은 단일층 도전성 막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의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들은 서로 수직으로 분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역의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들의 연장 방향은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접이식 영역의 굽힘 축(bending axis)에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전극 또는 검출 전극의 재료는 주석 인듐 산화물(tin indium oxide), 은 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 금속, 탄소 나노튜브, 및 그래핀(graphene) 중 하나 또는 조합이다.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서, 제2 영역은 평행 분포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본 출원의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구부러질 때 쉽게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안된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위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이 제안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중심 부분에 배열된 접이식 영역 및 2개의 측면에 배열된 비-접이식 영역들을 포함하고, 접이식 영역은 평행 분포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방법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부러지지 않을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full screen display)를 수행하는 단계,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부러질 때, 2개의 측면에 배열된 비-접이식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부러질 때, 2개의 측면에 배열된 비-접이식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지만, 2개의 측면에 배열된 비-접이식 영역들 중 다른 영역 및 중심 영역에 배열된 접이식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유지하고,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의 모든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는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부분에 재매핑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부러질 때, 2개의 측면에 배열된 비-접이식 영역들 중 어느 영역도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고, 중심 부분에 배열된 접이식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영역은 시간 또는 맞춤화된 정보(customized information)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이식 영역과 비-접이식 영역들로 분할되고, 접이식 영역은 평행 분포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힐 때, 접이식 영역이 손상되는 경우가 쉽게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부러질 때, 2개의 측면에 배열된 비-접이식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전력이 추가로 절약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안된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이 방법은: 제1 영역을 제조하는 단계 - 제1 영역은 교차 분포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들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은 비-접이식임 - ; 및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을 제조하는 단계 - 제2 영역은 평행 분포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을 포함하고, 제2 영역은 접이식임 -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을 제조하는 단계는: 제1 영역의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들을 서로 수직이 되게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역을 제조하는 단계는: 그 연장 방향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접이식 영역의 굽힘 축에 평행하게 될 수 있게 제2 영역의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들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을 제조하는 단계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2개의 측면 영역에 제1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영역을 제조하는 단계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중심 영역에 제2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은 크로스 브리지 구조를 가지는 단일층 도전성 막 또는 이중층 도전성 막을 포함하고, 제2 영역은 단일층 도전성 막을 포함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스택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제1 영역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제2 영역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접힘 상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구부러질 때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작동 상태(working state)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각자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들은, 본 출원을 철저하고 완전하게 될 수 있게 하고, 본 출원의 개념을 이 실시예들로 제한하기보다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출원의 범위와 개념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명확성을 위해, 도면들에서 엘리먼트들의 형상들 및 크기들은 과장되게 예시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에", "위에", "~의 좌측에", 및 "~의 우측에"와 같은 공간 관련 용어들은 이 텍스트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엘리먼트 또는 피처와 다른 (일부) 엘리먼트(들) 또는 피처(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공간 관련 용어들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향들 이외에 이용중 또는 동작중의 디바이스의 상이한 배향들을 커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도면에서 거꾸로 놓여 있으면, "다른 엘리먼트들 또는 피처들 아래에"로서 설명되는 엘리먼트는 그에 따라서 "다른 엘리먼트들 또는 피처들 위에"로서 배향될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들이 복수의 부재, 컴포넌트, 영역, 층 및/또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지만, 이 부재들, 컴포넌트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부재, 컴포넌트,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부재, 컴포넌트, 영역, 층 또는 부분으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제1 부재, 제1 컴포넌트, 제1 영역, 제1 층 또는 제1 부분으로 불리는 부재, 컴포넌트,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또한 본 출원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제2 부재, 제2 컴포넌트, 제2 영역, 제2 층 또는 제2 부분으로도 불릴 수 있다.
본 출원은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제안한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제1 영역 - 제1 영역은 교차 분포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들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은 비-접이식임 - ; 및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 - 제2 영역은 평행 분포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을 포함하고, 제2 영역은 접이식임 - 을 포함한다.
터치 전극은 복수의 제1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동일한 터치 전극에 위치하는 인접하는 제1 전극들 사이에는 제1 도전성 커넥터가 존재한다. 유사하게, 검출 전극은 복수의 제2 전극을 또한 포함할 수 있고, 동일한 검출 전극에 위치하는 인접하는 제2 전극들 사이에는 제2 도전성 커넥터가 존재한다.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터치 전극과 검출 전극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알아야 하며,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서, 제2 영역은 평행 분포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본 출원의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구부러질 때 쉽게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추가로 제안한다.
본 출원은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을 추가로 제안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중심 부분에 배열된 접이식 영역 및 2개의 측면에 배열된 비-접이식 영역들을 포함하고, 접이식 영역은 평행 분포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방법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부러지지 않을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단계,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부러질 때, 2개의 측면에 배열된 비-접이식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은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추가로 제안한다.
본 출원은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안하고, 이 방법은: 제1 영역을 제조하는 단계 - 제1 영역은 교차 분포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들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은 비-접이식임 - ; 및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을 제조하는 단계 - 제2 영역은 평행 분포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을 포함하고, 제2 영역은 접이식임 - 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이식 영역과 비-접이식 영역들로 분할되고, 접이식 영역은 평행 분포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힐 때, 접이식 영역이 손상되는 경우가 쉽게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부러질 때, 2개의 측면에 배열된 비-접이식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전기 전력이 추가로 절약될 수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스택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스택 구조는, 예를 들어 제1 기능 층, 터치 스크린, 제2 기능 층,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제3 기능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능 층은 사용자를 향한 최상층으로, 스크래치 방지, 반사 방지 및 오일 오염 방지 등의 기능들을 갖는 보호층이 될 수 있다. 제1 기능 층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스크래치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반사를 줄이고, 지문 또는 오일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터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제1 기능 층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기능 층은 터치 스크린 아래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층(예를 들어, 원형 편광자)일 수 있거나, 터치 스크린과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본딩하는 기능을 갖는 본딩 층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2 기능 층 아래에 위치할 수 있으며, AMOLED, 전자 종이 또는 반사형 액정 디바이스, 및 그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능 층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최하층에서 보호층이다. 제3 기능 층은 지지 기능을 갖는 필름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방열, 정전기 방지 및 전자기 간섭 방지와 같은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시적인 스택 구조가 제1 내지 제3 기능 층뿐만 아니라 각각의 기능 층들 사이에 배열된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할지라도, 본 출원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필요한 경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다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 층들을 배열하거나, 기능 층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현된 기능이 터치 스크린 및/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의해 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은 가능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을 포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은 좌측 영역, 중심 영역 및 우측 영역으로 분할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또한 터치 스크린에 대응하는 좌측 영역, 중심 영역 및 우측 영역으로 분할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좌측 영역은 터치 스크린의 좌측 영역에 대응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중심 영역은 터치 스크린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우측 영역은 터치 스크린의 우측 영역에 대응한다.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은 측면 영역들이라고 부를 수 있다.
도 2에서, 터치 스크린의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은 제1 영역이라고 부를 수 있고, 터치 스크린의 중심 영역은 제2 영역이라고 부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의 제1 영역은 비-접이식 영역(non-foldable region)인 반면, 터치 스크린의 제2 영역은 접이식 영역이다.
도 2가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이 동일한 면적을 갖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지만, 본 출원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필요에 따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면적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하나의 제2 영역이 2개의 제1 영역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본 출원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필요에 따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제1 영역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제1 영역은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이중층 도전성 막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전극들(TX)은 도전성 막의 일 층에 위치하고, 검출 전극들(RX)은 도전성 막의 다른 층에 위치한다. 또한, 터치 전극들(TX)과 검출 전극들(RX)의 배선들은 서로 수직이다.
구체적으로, 좌측 영역에서, 터치 전극들(L_TX1, L_TX2, L_TX3, L_TX4...)과 검출 전극들(L_RX1, L_RX2, L_RX3, L_RX4...)의 배선들은 서로 수직이다. 유사하게, 우측 영역에서, 터치 전극들(R_TX1, R_TX2, R_TX3, R_TX4...)과 검출 전극들(R_RX1, R_RX2, R_RX3, R_RX4 ...)의 배선들은 서로 수직이다.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은 독립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동일한 크기 또는 상이한 크기의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은 스크린 해상도 및 터치 성능에 대한 요건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에서 제1 영역을 제조하기 위한 도전성 재료는 ITO, 은 나노와이어, 금속, 탄소 나노튜브, 및 그라핀 등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의 제1 영역이 이중층 도전성 막을 갖는 것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이며, 본 출원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터치 스크린의 제1 영역은 또한 교차 브리지 구조를 갖는 단일층 도전성 막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제2 영역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제2 영역은 단일층 도전성 막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층 도전성 막에는 터치 전극들과 검출 전극들이 평행 분포로 제공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역은 터치 스크린의 중심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접이식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영역에서의 터치 전극들(TX) 및 검출 전극들(RX)의 연장 방향은 접이식 영역의 굽힘 축과 평행할 수 있다.
도 5는 접힘 상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힘 상태에 있고, 접힌 영역은 제2 영역에 위치한다. 제2 영역은 접힌 영역보다 약간 크게 설정될 수 있으며, 실제 조건하에서는 접힌 영역과 같거나 작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품의 설계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좌측 영역은 우측 영역과 동일한 면적 또는 상이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은 단일층 도전성 막의 구조를 포함한다. 단일층 도전성 막에는 터치 전극들과 검출 전극들이 평행 분포로 제공된다. 또한, 제2 영역에서의 터치 전극들(C_TX1, C_TX2)과 검출 전극들(C_RX1, C_RX2)의 연장 방향들은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접이식 영역의 굽힘 축과 평행하다.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스크린의 제2 영역의 단일층 도전성 막에 배열된 터치 전극들과 검출 전극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그 연장 방향은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접이식 영역의 굽힘 축과 평행하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힐 때, 접이식 영역이 손상되는 경우가 쉽게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부러지지 않을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부러질 때, 2개의 측면에 배열된 비-접이식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즉, 제1 영역)는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수 없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부러질 때, 2개의 측면에 배열된 비-접이식 영역들 중 하나(예를 들어, 우측 영역)는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고, 2개의 측면에 배열된 비-접이식 영역들 중 다른 하나의 영역(예를 들어, 좌측 영역) 및 중심 영역에 배열된 접이식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유지하고,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 내의 모든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는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부분으로 재매핑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부러질 때, 2개의 측면에 배열된 비-접이식 영역들 중 어느 것도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고, 중심 부분에 배열된 접이식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유지한다.
도 7은 구부러질 때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 중 어느 것도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을 때, 중심 영역만이 디스플레이를 수행한다. 여기서,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의 터치 기능들은 추가 절전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또한 턴 오프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비-접힘 상태(non-folded state)에 있을 때, 제1 영역(예를 들어,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을 포함함) 및 제2 영역(예를 들어, 중심 영역)은 각각의 영역들에서의 터치 포인트들의 좌표 위치들을 판독하고, 이들을 제어 유닛(도시되지 않음)에 피드백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전체에 터치 포인트들의 좌표 위치들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영역과 제2 영역 각각으로부터의 터치 포인트들의 좌표들을 디스플레이 스크린 전체의 좌표계에 매핑한다.
도 7에 도시된 예와 달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상태에 있을 때, 스크린의 일부분이 턴 오프될 수 있는 반면, 스크린의 다른 부분은 디스플레이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상태에 있을 때, 좌측 영역 및 중심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반면, 우측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우측 영역의 터치 기능은 턴 오프될 수 있는데, 즉 터치 전극들(TX)/검출 전극들(RX)은 스캐닝을 중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절전이 가능하다. 여기서, 좌측 영역과 중심 영역의 터치 포인트들의 좌표들은 대응하는 터치 포인트들의 좌표 위치들을 획득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재매핑된다. 대안적으로, 스크린의 일부가 턴 오프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는 어떠한 주밍도 수행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좌측 영역은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중심 영역은 추가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중심 디스플레이 영역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디스플레이 영역은 시간 또는 맞춤화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필요에 따라 접힘 상태에서 다양한 디스플레이 해결책을 수행할 수 있고, 유연성을 나타낸다.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부러질 때, 2개의 측면에 배열된 비-접이식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전력을 추가로 절약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들이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출원의 사상, 범위 및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서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5)

  1.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으로서,
    제1 영역 - 상기 제1 영역은 교차 분포(cross distribution)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비-접이식(non-foldable)임 - ;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 - 상기 제2 영역은 평행 분포(parallel distribution)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접이식(foldable)임 -
    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접이식 영역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2개의 측면 영역(two side regions)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중심 영역(central region)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크로스 브리지 구조(cross bridge structure)를 가지는 단일층 도전성 막 또는 이중층 도전성 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단일층 도전성 막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터치 전극들 및 상기 검출 전극들은 서로 수직으로 분포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터치 전극들 및 상기 검출 전극들의 연장 방향은 상기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접이식 영역의 굽힘 축(bending axis)에 평행한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전극 또는 상기 검출 전극의 재료는 주석 인듐 산화물(tin indium oxide), 은 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 금속, 탄소 나노튜브, 및 그래핀(graphene) 중 하나 또는 조합인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9.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중심 부분에 배열된 접이식 영역 및 2개의 측면에 배열된 비-접이식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영역은 평행 분포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부러지지 않을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full screen display)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부러질 때, 2개의 측면에 배열된 상기 비-접이식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부러질 때, 2개의 측면에 배열된 상기 비-접이식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지만, 2개의 측면에 배열된 상기 비-접이식 영역들 중 다른 영역 및 상기 중심 영역에 배열된 상기 접이식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유지하고,
    상기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의 모든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는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부분에 재매핑되는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부러질 때, 2개의 측면에 배열된 상기 비-접이식 영역들 중 어느 영역도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중심 영역에 배열된 상기 접이식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영역은 시간 또는 맞춤화된 정보(customized information)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8항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 영역을 제조하는 단계 - 상기 제1 영역은 교차 분포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비-접이식임 - ;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을 제조하는 단계 - 상기 제2 영역은 평행 분포로 터치 전극들 및 검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접이식임 -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터치 전극들 및 상기 검출 전극들을 서로 수직이 되게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02627A 2016-12-29 2017-06-28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58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1246021.7A CN108255331B (zh) 2016-12-29 2016-12-29 柔性触摸屏及制作方法、显示屏及制作方法以及显示设备
CN201611246021.7 2016-12-29
PCT/CN2017/090447 WO2018120693A1 (zh) 2016-12-29 2017-06-28 柔性触摸屏及制作方法、显示屏及制作方法以及显示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243A true KR20180090243A (ko) 2018-08-10
KR102058548B1 KR102058548B1 (ko) 2019-12-23

Family

ID=6270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627A KR102058548B1 (ko) 2016-12-29 2017-06-28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47344B2 (ko)
EP (1) EP3564799A1 (ko)
JP (1) JP7107833B2 (ko)
KR (1) KR102058548B1 (ko)
CN (1) CN108255331B (ko)
WO (1) WO201812069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004A1 (en) * 2018-09-21 2020-03-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O2020218796A1 (ko) * 2019-04-23 2020-10-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1150045A1 (ko) * 2020-01-22 2021-07-29 주식회사 하이딥 전자 디바이스, 스타일러스 펜 및 이들의 구동 및 제어 방법
WO2023018131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2117B (zh) * 2018-07-25 2021-10-2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显示面板及可折叠显示装置
CN109284028A (zh) * 2018-10-31 2019-01-2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触控感应组件及电子设备
KR102572268B1 (ko) * 2019-01-02 2023-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20198974A1 (zh) 2019-03-29 2020-10-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摸屏、触摸显示屏和显示装置
CN110221653A (zh) * 2019-05-14 2019-09-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屏
CN110262691B (zh) * 2019-06-20 2021-04-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基板及其制备方法和驱动方法、触控显示面板
CN112531124A (zh) * 2019-09-19 2021-03-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屏和终端
CN110825294A (zh) * 2019-10-31 2020-02-21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显示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079867B2 (en) 2019-12-19 2021-08-03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user interactions with foldable displays
WO2022108174A1 (ko) * 2020-11-18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527152B (zh) * 2020-12-18 2023-01-06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触控区域控制方法、装置、触控系统以及电子设备
US11693451B2 (en) * 2021-01-19 2023-07-04 Samsung Display Co., Ltd. Digitiz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045734A (ko) * 2021-09-28 2023-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764B1 (ko) * 2008-11-13 2014-08-2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US9063590B2 (en) 2010-11-30 2015-06-23 Cirque Corporation Linear projected single-layer capacitance sensor
US9851811B2 (en) * 2012-02-20 2017-12-26 Beijing Lenovo Software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20330B1 (ko) 2012-06-22 2014-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 장치
CN102999206A (zh) * 2012-08-10 2013-03-27 苏州合美硕触控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双层线路的触摸屏及其制作方法
KR102077316B1 (ko) 2012-11-14 2020-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85964B1 (ko) * 2012-11-30 2020-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3412B1 (ko) * 2013-07-16 2015-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50024572A (ko) 2013-08-27 2015-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102138753B1 (ko) * 2013-11-22 2020-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장치
CN203616560U (zh) * 2013-12-11 2014-05-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基板和显示装置
WO2015121763A2 (en) 2014-02-13 2015-08-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and data processing device
CN104881161B (zh) * 2014-02-27 2017-12-01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触控面板
US10168732B2 (en) * 2014-02-27 2019-01-0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ouch panel and sensing method thereof
JP2015197582A (ja) * 2014-04-01 2015-1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20160033507A (ko) * 2014-09-18 201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7357B1 (ko) 2014-12-15 2021-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장치
CN204331676U (zh) * 2014-12-16 2015-05-13 深圳市帝晶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双层单点柔性电容式触摸屏
CN104503614B (zh) * 2014-12-23 2018-01-02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导电膜和触摸屏
KR102312260B1 (ko) 2015-01-09 2021-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400457B1 (ko) * 2015-03-16 2022-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의 제조방법
JP2016188976A (ja) * 2015-03-30 2016-11-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339300B1 (ko) 2015-04-06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표시장치
KR102338753B1 (ko) 2015-04-14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60372083A1 (en) 2015-06-18 2016-12-22 Intel Corporation Facilitating increased user experience and efficient power performance using intelligent segmentation on flexible display screens
KR20170000187A (ko) * 2015-06-23 201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5511701B (zh) * 2015-12-24 2019-05-17 昆山维信诺科技有限公司 触控导电膜、触控组件、触控显示屏及电子设备
CN105720062B (zh) * 2016-02-02 2018-1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弯折显示器件的柔性基板及其制作方法
KR102401401B1 (ko) * 2016-02-19 2022-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929993A (zh) * 2016-04-06 2016-09-07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触控屏侦测线结构及柔性触控屏
US10627868B2 (en) * 2016-09-13 2020-04-21 Sharp Kabushiki Kaisha Flexible device
KR102568386B1 (ko) * 2016-09-30 2023-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6445267B (zh) * 2016-10-28 2019-03-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容式触摸屏、其弯曲判断方法及显示装置
JP6744203B2 (ja) * 2016-12-14 2020-08-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206331403U (zh) * 2016-12-29 2017-07-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触摸屏、柔性显示屏以及显示设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004A1 (en) * 2018-09-21 2020-03-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1023086B2 (en) 2018-09-21 2021-06-01 Lg Electronics Inc. Foldable mobile terminal extracting a touch input coordinate from horizontal electrodes overlapped by the touch input
WO2020218796A1 (ko) * 2019-04-23 2020-10-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US11886238B2 (en) 2019-04-23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WO2021150045A1 (ko) * 2020-01-22 2021-07-29 주식회사 하이딥 전자 디바이스, 스타일러스 펜 및 이들의 구동 및 제어 방법
US11983357B2 (en) 2020-01-22 2024-05-14 Hideep Inc. Electronic device, stylus pen, and method for driving and controlling same
WO2023018131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47344B2 (en) 2020-08-18
CN108255331A (zh) 2018-07-06
JP2020514846A (ja) 2020-05-21
EP3564799A1 (en) 2019-11-06
WO2018120693A1 (zh) 2018-07-05
JP7107833B2 (ja) 2022-07-27
US20200081562A1 (en) 2020-03-12
KR102058548B1 (ko) 2019-12-23
CN108255331B (zh)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0243A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861123B2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7200411B2 (ja) 機能パネル、装置、情報処理装置
TWI827598B (zh) 包含觸控元件之顯示裝置
US10121988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9733751B2 (en) Flexible touch-sensing module and display device with the flexible touch-sensing module
US202103046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0754458B2 (en) 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WI464658B (zh) 靜電容型觸摸屏面板
CN206331403U (zh) 柔性触摸屏、柔性显示屏以及显示设备
US11895882B2 (en) Display device
CN107037912B (zh) 触摸面板及其制造方法以及具有其的显示装置
US11847273B2 (en) Electronic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2156341A1 (zh) 触控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触控装置
KR20230008277A (ko) 표시 장치
CN106201046A (zh) 触摸面板
US20220350445A1 (en) Display device
US11567617B2 (en) Display apparatus
US11880520B2 (en) Display device
CN112965626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10077179A (ko) 표시 장치
KR20230089604A (ko) 표시 장치
CN117596984A (zh) 显示装置
KR20230171347A (ko) 표시 장치
KR20240068763A (ko) 정보 처리 장치,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