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800A -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 - Google Patents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800A
KR20180089800A KR1020170014573A KR20170014573A KR20180089800A KR 20180089800 A KR20180089800 A KR 20180089800A KR 1020170014573 A KR1020170014573 A KR 1020170014573A KR 20170014573 A KR20170014573 A KR 20170014573A KR 20180089800 A KR20180089800 A KR 20180089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opening
plate
clo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476B1 (ko
Inventor
신미경
Original Assignee
블레싱포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레싱포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레싱포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4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476B1/ko
Priority to PCT/KR2017/007451 priority patent/WO2018143526A1/ko
Publication of KR20180089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2013/1015Arrangement of fasteners of hook and loop typ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방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방 내부의 메인수납공간을 열지 않고도 메인수납공간에 수납된 물건을 외부에서 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BAG WHICH IS POSSIBLE TO DRAW OUT AN ARTICLE WITHOUT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은 가방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방 내부의 메인수납공간을 열지 않고도 메인수납공간에 수납된 물건을 외부에서 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책이나 생활물품을 수납하여 휴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소품정리의 간편함과 휴대성 및 수납공간의 효율성 등을 고려한 다양한 가방이 생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방들은 다양한 종류의 소품을 일괄하여 수납하거나 크고 작은 주머니들을 구비하여 분리 수납 가능하도록 한다.
보통의 가방은 일반적으로 전후면이 넓게 형성되어 내부에 소정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물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손 또는 몸을 이용하여 걸이 기능을 수행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거나, 백팩인 경우는 가방의 배면에 한 쌍의 어깨끈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공간과 손잡이부의 형상 등은 가방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유아를 둔 엄마들이 사용하는 가방은 유아를 돌보기 위한 젖병, 기저귀, 보온병이나 물티슈 등과 같은 각종 유아용품을 유아를 동반하여 외출하는 경우 항상 휴대를 하여야 하므로, 각종 유아용품에 대한 수납 및 휴대의 편의성은 물론 사용의 편의성에 대한 요구가 극대화되어야 하지만, 아직은 사용의 편의성까지 극대화된 가방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특히, 아기를 동반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기저귀를 휴대하게 되는데 기저귀는 접는 경우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 형상을 이루어 상당한 부피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개를 휴대해야하므로, 가방의 내부에 형성된 메인수납공간이 아닌 외측의 작은 포켓에 휴대하기 어렵고, 이와 같이 기저귀가 메인수납공간에 수납되면 아이를 돌보면서 기저귀를 가방으로부터 인출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티슈가 필요한 경우에도 지퍼 등 개폐수단을 열고 내부에 수납된 물티슈를 꺼내야 하는 등 즉각적인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가방 내부의 메인수납공간을 열지 않고도 메인수납공간에 수납된 물건을 외부에서 뺄 수 있는 구조의 가방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가 커서 외부의 포켓에 보관하기 어려우므로 가방 내부에 형성된 메인수납공간에 보관해야하는 경우 메인수납공간을 개폐시켜 보관된 물건을 인출하는 것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저귀가 필요한 유아와 동행하는 엄마들이 기저귀를 가방 내부의 메인수납공간측에 여러 개 수납했다가 필요할 때 메인수납공간을 열지 않고도 외부에서 바로 뺄 수 있으므로 유아물품 수납 및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구조를 갖는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폐쇄된 메인수납공간을 갖고, 상기 메인수납공간을 개폐시키는 제1개폐부재가 양측면부 및 상면부 중 하나 이상의 일부 또는 모든 영역에 구비되는 가방본체; 상기 가방본체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메인수납공간과 접하는 내측표면에 1개 이상 형성되는 수납주머니 및 상기 수납주머니에 수납된 물건을 상기 제1개폐부재를 열지 않고 외부에서 인출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1개 이상의 관통구를 구비하는 판상부재; 및 상기 판상부재의 일부 모서리 또는 일부 외주연을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 또는 나머지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판상부재를 상기 가방본체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서 분리가능하게 계폐시켜 상기 제1개폐부재를 열지 않고 상기 수납주머니에 원하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제2개폐부재; 및 상기 판상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를 덮도록 상기 가방본체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형성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덮개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판상부재의 상부영역에 형성되는 제3개폐부재에 의해 탈부착가능하며 외부표면에 무늬 패턴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의 하단부의 외측일부 및 그에 대응하는 상기 판상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 중 어느 하나는 자석이 설치되고 어느 하나는 상기 자석에 붙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가방본체에 부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주머니에 수납되는 물건이 기저귀이면, 상기 관통구는 상기 수납주머니의 하부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로가 길고 세로가 짧은 납작한 타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주머니에 수납되는 물건이 물티슈이면, 상기 관통구는 물티슈의 구멍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구멍입구가 보이도록 폭이 짧고 길이가 긴 타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수납공간으로부터 상기 수납주머니가 형성된 공간을 구분하는 안감부재가 상기 가방본체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재 및 제2개폐부재는 지퍼, 똑딱이 단추 또는 벨크로부재 중 어느 하나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개폐부재는 지퍼, 똑딱이 단추 또는 벨크로부재 중 어느 하나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방본체의 후면부에 한 쌍의 어깨끈이 형성된 백팩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의 가방은 부피가 커서 외부의 포켓에 보관하기 어려우므로 가방 내부에 형성된 메인수납공간에 보관해야하는 물건인 경우에도 메인수납공간을 개폐시켜 보관된 물건을 외부에서 가방을 개폐하지 않고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가방은 기저귀 등이 필요한 유아와 동행하는 엄마들이 기저귀 등을 가방 내부의 메인수납공간측에 여러 개 수납했다가 필요할 때 메인수납공간을 열지 않고도 외부에서 바로 뺄 수 있으므로 유아물품 수납 및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범위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내용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 역시 당연히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방 내부에 형성된 메인수납공간을 개방시킨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방 내부의 메인수납공간과 외부가 연결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판상부재가 가방의 전면부의 일부를 이루는 상태로 도시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판상부재 일부가 가방의 전면부에서 분리되어 메인수납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방에서 판상부재를 덮는 덮개부재가 탈부착 가능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가방 내부의 메인수납공간과 외부가 연결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판상부재가 가방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가방 내부의 메인수납공간을 열지 않고도 메인수납공간에 수납된 물건을 외부에서 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은 백팩을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가방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지만, 일 구현예로서 백팩에 적용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외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방 내부에 형성된 메인수납공간을 개방시킨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방 내부의 메인수납공간과 외부가 연결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판상부재가 가방의 전면부의 일부를 이루는 상태로 도시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판상부재 일부가 가방의 전면부에서 분리되어 메인수납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방에서 판상부재를 덮는 덮개부재가 탈부착 가능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1)은 가방본체(100), 판상부재(151), 제2개폐부재(152), 및 덮개부재(160)를 포함한다.
먼저, 가방본체(100)는 내부에 폐쇄된 메인수납공간(110)을 갖는데, 메인수납공간(110)은 가방본체(100)의 상면부(130), 좌우측면부(140, 140'), 전면부(150), 후면부, 저면부에 의해 형성되므로, 가방본체(10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그 형상 및 크기가 결정된다. 제1개폐부재(120)는 메인수납공간(100)을 개폐시켜 메인수납공간(100)을 외부에 노출시키거나 외부와 단절시키는데, 메인수납공간(100)에 수납된 물건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양측면부(140, 140') 및 상면부(130) 중 하나 이상의 일부 또는 모든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판상부재(151)는 가방본체 전면부(150) 또는 후면부의 일부영역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판상부재의 일부 모서리 또는 일부 외주연을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 또는 나머지 외주연이 가방본체 전면부(150) 또는 후면부에서 제2개페부재(152)에 의해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판상부재(151)의 메인수납공간(110)과 접하는 내측표면에는 수납주머니(151a)가 1개 이상 형성되는데, 수납주머니(151a)는 일 구현예로서 늘어날 수 있는 망사소재를 판상부재(151)의 내측표면에 박음질하여 상부가 개방된 망사포켓으로 형성될 수 있다.
1개 이상의 관통구(151b)가 수납주머니(151a)와 대응되는 위치에 판상부재(15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관통구(151b)는 수납주머니(151a)에 수납된 물건을 제1개폐부재(120)를 열지 않고 외부에서 인출 가능한 위치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1)의 용도가 유아용품 중 기저귀(200)와 물티슈(300)를 수납하고자 하는 것일 경우, 일 구현예로서 판상부재(151)의 내측에 폭이 넓은 수납주머니(151a)에는 기저귀(200)를 수납하고 폭이 좁은 수납주머니(151a)에는 물티슈(300)가 수납되도록 서로 다른 폭을 갖는 2개의 수납주머니(151a)가 나란히 형성되고, 관통구(151b)의 형성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폭이 넓은 수납주머니(151a)에 수납되는 물건이 기저귀(200)이므로, 관통구(151b)는 판상부재(151) 내측에 형성된 수납주머니(151a)의 하부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로가 길고 세로가 짧은 납작한 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폭이 작은 수납주머니(151a)에 수납되는 물건이 물티슈(300)이면, 관통구(151b)는 수납주머니(151a)에 수납된 물티슈(300)의 중앙에 대응되는 위치에 폭이 짧고 길이가 긴 타원형상으로 물티슈(300)의 구멍입구가 보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판상부재(151)의 내측면 중 기저귀가 수납되는 수납주머니(151a)가 형성되는 위치에 기저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무독성 투명시트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2개폐부재(15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부재(151)의 일부 모서리 또는 일부 외주연을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 또는 나머지 외주연에 설치되어 가방본체 전면부(150) 또는 후면부에서 판상부재(151)를 가방본체(100)의 전면부(150)에서 분리가능하게 계폐시킬 수 있으므로, 제1개폐부재(120)를 열지 않고도 메인수납공간(110)에 인접하여 형성된 수납주머니(151a)에 원하는 물건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매우 향상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부재(151)의 내측에 형성된 수납주머니(151a)가 형성된 공간을 메인수납공간(110)으로부터 구분하는 안감부재(180)가 가방본체(100) 전면부(150) 또는 후면부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안감부재(180)는 메인수납공간(110)과 완전히 단절되지 않도록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감부재(180)의 상부가 가방본체(100)와 결합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안감부재의 상단부가 고무밴드와 같이 탄성있는 소재가 바이어스 형태로 덧대어져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감부재(180)의 표면 중 메인수납공간(110)과 접하는 표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수납을 위한 주머니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재(160)는 판상부재(151)에 형성된 관통구(151b)를 덮도록 가방본체(100) 전면부(150) 또는 후면부에 형성되므로, 가방본체(100)를 구성하는 전면부(150) 또는 후면부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특히 덮개부재(160)가 전면부(150)에 형성되는 경우 덮개부재(160)의 상단부와 판상부재(151)의 상부영역에 형성되는 제3개폐부재(17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덮개부재(160)의 외부표면에 무늬패턴부(161)를 형성할 수 있다. 무늬패턴부(161)는단색 또는 다양한 무늬 패턴이 형성될 수 있고, 무늬패턴부(161)에 따라 가방의 디자인이 달라지므로, 덮개부재(160)가 탈부착가능하게 형성되는 경우 무늬패턴부(161)에 서로 다른 무늬패턴이 형성된 2개 이상의 덮개부재(160)를 형성하게 되면 사용자는 하나의 가방으로 덮개부재(160)에 형성된 무늬패턴부(161)에 따라 2개 이상의 가방을 소유한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재(160)의 하단부의 외측일부 및 그에 대응하는 판상부재(151)의 내측 또는 외측 중 어느 하나(153)는 자석이 설치되고 어느 하나(162)는 자석에 붙는 소재로 형성되어 덮개부재(160)의 하단부가 가방본체(100)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제1개폐부재(120), 제2개폐부재(152) 및 제3개폐부재(170)는 일정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공지된 모든 구성요소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 구현예로서 지퍼, 똑딱이 단추 또는 벨크로부재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1)은 유아를 동반한 엄마가 기저귀나 물티슈가 필요할 때, 약하게 자석으로 결합된 덮개부재(160)를 밀어서 도 3에 도시된 관통구(151a)로부터 기저귀나 물티슈를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가방 100 : 가방본체
110 : 메인수납공간 120 : 제1개폐부재
130 : 상면부 140(140') : 좌측면부(우측면부)
150 : 전면부 151 : 판상부재
151a : 수납주머니 151b : 관통구
152 : 제2개폐부재 160 : 덮개부재
161 : 무늬패턴부 170 : 제3개폐부재
180 : 안감부재 200 : 기저귀
300 : 물티슈

Claims (8)

  1. 내부에 폐쇄된 메인수납공간을 갖고, 상기 메인수납공간을 개폐시키는 제1개폐부재가 양측면부 및 상면부 중 하나 이상의 일부 또는 모든 영역에 구비되는 가방본체;
    상기 가방본체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메인수납공간과 접하는 내측표면에 1개 이상 형성되는 수납주머니 및 상기 수납주머니에 수납된 물건을 상기 제1개폐부재를 열지 않고 외부에서 인출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1개 이상의 관통구를 구비하는 판상부재; 및
    상기 판상부재의 일부 모서리 또는 일부 외주연을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 또는 나머지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판상부재를 상기 가방본체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서 분리가능하게 계폐시켜 상기 제1개폐부재를 열지 않고 상기 수납주머니에 원하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제2개폐부재; 및
    상기 판상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를 덮도록 상기 가방본체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형성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덮개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판상부재의 상부영역에 형성되는 제3개폐부재에 의해 탈부착가능하며 외부표면에 무늬 패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의 하단부의 외측일부 및 그에 대응하는 상기 판상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 중 어느 하나는 자석이 설치되고 어느 하나는 상기 자석에 붙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가방본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주머니에 수납되는 물건이 기저귀이면, 상기 관통구는 상기 수납주머니의 하부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로가 길고 세로가 짧은 납작한 타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주머니에 수납되는 물건이 물티슈이면, 상기 관통구는 물티슈의 구멍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구멍입구가 보이도록 폭이 짧고 길이가 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수납공간으로부터 상기 수납주머니가 형성된 공간을 구분하는 안감부재가 상기 가방본체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재 및 제2개폐부재는 지퍼, 똑딱이 단추 또는 벨크로부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개폐부재는 지퍼, 똑딱이 단추 또는 벨크로부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본체의 후면부에 한 쌍의 어깨끈이 형성된 백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
KR1020170014573A 2017-02-01 2017-02-01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 KR101974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573A KR101974476B1 (ko) 2017-02-01 2017-02-01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
PCT/KR2017/007451 WO2018143526A1 (ko) 2017-02-01 2017-07-12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573A KR101974476B1 (ko) 2017-02-01 2017-02-01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800A true KR20180089800A (ko) 2018-08-09
KR101974476B1 KR101974476B1 (ko) 2019-09-10

Family

ID=6304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573A KR101974476B1 (ko) 2017-02-01 2017-02-01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4476B1 (ko)
WO (1) WO20181435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332A1 (ko) * 2018-11-30 2020-06-04 313디자인랩 인크. 지퍼와 자석을 이용한 이중 잠금구조를 갖는 가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04828A (zh) * 2021-03-17 2022-09-27 北京服装学院 可平铺折叠包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1522A (ja) * 1998-01-19 1999-07-30 Kajima Corp 自然エネルギー利用・熱回収型外灯兼用給排気システム
KR20090089498A (ko) * 2008-02-19 2009-08-24 김병수 가방의 커버 착탈구조
JP2011036567A (ja) * 2009-08-17 2011-02-24 Kumiko Tsuchiya 携行鞄
JP2014128375A (ja) * 2012-12-28 2014-07-10 Kyotorurihinagiku Llc ランドセルカバー及びランドセル
KR101530480B1 (ko) * 2014-03-31 2015-06-19 심춘호 유아용품용 백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7835B2 (ja) * 1997-01-24 2000-10-10 コンビ株式会社 マザーズバッ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1522A (ja) * 1998-01-19 1999-07-30 Kajima Corp 自然エネルギー利用・熱回収型外灯兼用給排気システム
KR20090089498A (ko) * 2008-02-19 2009-08-24 김병수 가방의 커버 착탈구조
JP2011036567A (ja) * 2009-08-17 2011-02-24 Kumiko Tsuchiya 携行鞄
JP2014128375A (ja) * 2012-12-28 2014-07-10 Kyotorurihinagiku Llc ランドセルカバー及びランドセル
KR101530480B1 (ko) * 2014-03-31 2015-06-19 심춘호 유아용품용 백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332A1 (ko) * 2018-11-30 2020-06-04 313디자인랩 인크. 지퍼와 자석을 이용한 이중 잠금구조를 갖는 가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476B1 (ko) 2019-09-10
WO2018143526A1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0111A (en) Handbag
US6168022B1 (en) Baby supplies carrying case
US7152772B2 (en) Diaper bag
US20060157525A1 (en) Bandolier-type pack
US20130292220A1 (en) Luggage
US20090127045A1 (en) Roll-Up hanging toiletry organizer and diaper bag organizer
US20110309121A1 (en) Infant Care System having a Primary Bag Assembly
AU2008323621A1 (en) Container for carrying diaper changing items
KR20180089800A (ko) 비개폐식 물품인출이 가능한 가방
US20070272588A1 (en) Container for baby items
US20190133277A1 (en) Multifunction baby travel bag
US20070102078A1 (en) Diaper mini
CA3168734A1 (en) Modular bag system
US20020050503A1 (en) Diaper bag with a pocketbook
KR101530480B1 (ko) 유아용품용 백팩
US8400300B2 (en) Diaper changing wallet
KR200491169Y1 (ko) 유아용품 수납용 파우치
US20190269216A1 (en) Sanitary storage and distribution apparatus
JPH08168408A (ja) バッグ
KR101668588B1 (ko) 힙시트 내장형 백팩
JP2000004921A (ja) ポーチ
KR101853205B1 (ko) 휴대용 유아 가방
JP2020124401A (ja) カバン
JPH08182525A (ja) ポーチ
KR200227877Y1 (ko) 포대기 착탈용 가방 및 그에 이용되는 포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