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614A -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 Google Patents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614A
KR20180088614A KR1020180086831A KR20180086831A KR20180088614A KR 20180088614 A KR20180088614 A KR 20180088614A KR 1020180086831 A KR1020180086831 A KR 1020180086831A KR 20180086831 A KR20180086831 A KR 20180086831A KR 20180088614 A KR20180088614 A KR 20180088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yarn
halftone
air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8644B1 (ko
Inventor
류재하
Original Assignee
류재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재하 filed Critical 류재하
Publication of KR20180088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에서 스크린 막의 형성을 없게 하여 투사된 영상이 허공에 맺히게 하는 것으로, 바람의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공기투과의 빈 공간을 포함하도록 엮은 엮음사를 구성하고, 빈 공간을 포함한 엮음사를 일정거리 간격을 두고 매듭지어 형성된 복수개의 망점(Dot)으로 구획된 투과공(칸)을 형성하여 바람의 투과와 빛의 산란을 가능하게 하는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Air Transmissive Halftone Dot Screen for Outdoor}
본 발명은 옥외에서 대형 영상과 홀로그래픽 영상투사가 가능한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의 허공에 상을 맺는 방법으로는 수막, 연기, 반투명 인조 실크나 샤 천 등을 빛의 매질로 사용하여 영상을 투사하는 방법이 있다.
이 중 수막이나 연기는 상이 정적이지 못하고 가변적이라서 현상 제어가 불가능하여 선명도와 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반투명 인조 실크나 샤 천은 후면이 반투명으로 가려지며 난반사율이 적어 선명도와 색채가 현저히 떨어지며, 옥외에서 대형화로 사용할 때에는 바람의 압력(풍압)을 견디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실내에서 홀로그래픽 영상 투사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투명필름의 일종인 경질의 투명 막에 영상을 투사하는 홀로스크린이 있다.
도 1은 종래 옥외에 설치된 홀로스크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홀로스크린(10)은 영상기기(11)에서 투사된 영상을 투명 판막 형태의 투명스크린의 후면에서 투사하여 투명스크린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홀로스크린(10)은 투명 필름 형식의 판막에 영상을 투사하기 때문에 스크린으로서 투명성은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홀로스크린(10)은 판막을 형성하여 영상을 맺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어서 대다수가 실내 사용이나 투명판재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외부 공간에서의 대형화 설치 시에 아래와 같은 문제로 현실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첫째, 종래의 홀로스크린(10)은 풍압에 견디지 못하여 스크린 자체만으로는 외부에 설치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둘째, 종래의 홀로스크린(10)은 투명성으로 인해 일부 빛만을 반사하므로 화질의 열화가 발생하고, 일반 반사스크린에 비해 선명도나 밝기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셋째, 종래의 홀로스크린(10)은 투명한 경질의 필름 막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구겨짐에 의해 모양을 자유롭게 만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홀로스크린의 매끄러운 표면은 난반사가 일어나는 입체적 질감을 지니지 못하여 선명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난반사를 유도하기 위해 판형에 유리 알갱이 등의 이물질을 부착 또는 삽입한 경우나 네트형 격자를 인쇄 또는 투명사로 부착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판형 구조체를 이루어 제작경비가 많이 들고 무게가 무거우며 필름형 인 일반 홀로스크린과 비교해 보았을 때 일부 선명도의 손실을 줄인 부분은 있으나 필름형인 홀로스크린보다는 제작경비가 많이 들게 된다.
또한, 판형의 구조체로 인한 난반사가 여전히 부족하고, 공기층의 존재가 없으므로 빛의 산란이 약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불투명 반사스크린의 화질과 비교하였을 때에는 선명도가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대형화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옥외에서는 풍압에 견디지 못해 크기에 제한을 받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홀로스크린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대중화되어 있는 불투명막의 반사스크린은 용도 또한 실내용이며 풍압에 견디지 못하므로 대형화할 경우 옥외사용은 불가하다.
이러한 상기와 같은 이유로 옥외 공간에서의 영상 투사를 위한 대형화면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풍압에 견딜 수 있어야 하고 선명도 유지와 함께 스크린을 지지하기 위해 대형 구조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영상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옥외광고, 무대 공연 등에 대형화면의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현재 대다수가 상기 문제를 포함 기타 문제로 인해 스크린을 사용하지 않고 옥외 공간의 대형영상은 대다수가 LED전광판에 의존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고중량과 복잡한 설치로 많은 경비가 소요되며, 또한 구조물이 후면 시야권을 차단하여 도시미관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고 홀로스크린과 같은 용도로는 사용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옥외에서 영상 투사시 스크린 후면의 가림이나 시야권을 차단하지 않아 스크린의 존재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옥외의 공간에 대형 홀로스크린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사스크린에 근접한 선명도를 가질 수 있으며, 경량화로 제작비의 절감과 다양한 입체적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은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된 영상이 맺히도록 하는 스크린으로, 투명 필름사를 엮은 엮음사;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된 빛이 난반사를 형성하도록 상기 엮음사를 기 설정된 간격마다 매듭지어 형성된 복수개의 망점(Dot); 및 바람의 투과와 빛의 산란을 위해 상기 망점들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된 투과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엮음사는 단수 또는 복수의 투명 필름사를 엮은 엮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엮음사는 난반사를 위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미세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층구조 또는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엮음사는 엮음, 꼬임, 매듭 및 압출성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엮음사는 광 반사물질을 함유한 투명 필름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엮음사에는 조각난 필름사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엮음사에는 미세선이 부착되고, 상기 미세선은 상기 엮음사에 비해 더 얇은 굵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엮음사 및 상기 망점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스팽글(Spangles)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망점은 상기 엮음사를 매듭지어 환형의 부피를 갖도록 형성하거나, 상기 엮음사에 대한 교차 결절로 부피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은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된 영상이 맺히도록 하는 스크린으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릭, 나이론, 레이온 계열의 원사 및 금속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엮어서 형성된 엮음사;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된 빛이 난반사를 형성하도록 상기 엮음사를 기 설정된 간격마다 매듭지어 형성된 복수개의 망점(Dot); 및 바람의 투과와 빛의 산란을 위해 상기 망점들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된 투과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투과공은 상기 엮음사 및 상기 망점들이 공망구조 형태로 형성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스크린을 일정 거리 이상에서는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투과공 구조로 형성하여 전, 후방 투사에 관계없이 동일한 화면효과를 갖고, 스크린에 의한 후방 시야권의 차단을 피할 수 있으며, 옥외 허공의 공간에 홀로그래픽 영상을 표출 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공기 속 미세먼지의 산란효과와 빛의 회절현상으로 투과공으로 빛 모임이 가능한 규격의 투과공을 확보하여 투과공 속 공기층을 매질로 이용함으로써 투사 화질의 콘트라스트와 선명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스크린 내에서 공기층인 바람이 통과하는 투과공을 확보함으로써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옥외에서 대형 홀로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환형의 입체망점의 사용으로 빛의 난반사 증폭과 함께 착시효과를 유도하여 화면의 인지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스크린의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경량화 제작이 가능하고 제작 경비를 줄일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옥외의 공간에 경량화와 유연성으로 인해 다양한 모양의 입체적 형태로 홀로스크린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옥외에 설치된 홀로스크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의 엮음사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의 난반사와 산란 빛의 회절이 발생하여 상이 맺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의 엮음사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의 난반사와 산란 빛의 회절이 발생하여 상이 맺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의 엮음사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의 난반사와 산란 빛의 회절이 발생하여 상이 맺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옥외공간의 허공에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허공에 영상이 맺혀진 것처럼 착시효과를 일으켜 홀로그래픽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다양한 형태와 대형화가 가능한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으로 도면의 예시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100)은 투명 필름사를 엮은 엮음사(110), 상기 엮음사(110)를 기설정된 간격마다 매듭지어 형성된 망점(Dot)(120), 및 바람의 투과와 산란을 위해 상기 망점(120)들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된 투과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엮음사(110)는 미세공망(111)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망점(120)은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된 빛이 난반사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망점(120)은 빛을 받으면 난반사를 형성할 수 있는 부피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투과공(130)은 빛의 난반사와 산란, 빛의 회절현상을 이끌어낼 수 있는 2.5㎠ 내외의 공간 규격을 갖도록 형성하여 빛을 받는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100)은 상기 투과공(130)에 의해 공망의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바람의 저항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100)은 상기 엮음사(110), 상기 망점(120) 및 상기 투과공(130)을 구성함으로써 시각적 착시현상으로 이미지의 인지 선명도를 증폭하여 상을 지각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엮음사(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수 또는 2개 이상의 복수의 필름사를 엮은 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엮음사(110)를 매듭지어 묶어서 부피를 갖도록 형성된 부분은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환형의 망점(120)일 수 있다.
상기 엮음사(110)는 엮음, 꼬임, 매듭 및 압출성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엮음사(110)의 굵기는 1.6mm 내외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엮음사(110)는 난반사를 위해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여 기본적으로 다양한 각도를 이루도록 공간이 형성된 형태의 엮음이나 꼬임형태로 다층구조 또는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엮음사(110)를 제작 시에 반사와 빛의 산란을 위한 미세공망(111)이 확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엮음사(110)가 엮음과정에서 꼬임이나 엮음으로 전후좌우 다양한 각도로 변하게 하여 투명성이 사라진 흰색의 불투명성을 확보한다.
흰색의 불투명성은 빛의 난반사를 확대하고 또한 반복적 겹침에 의한 미세 공망 확보나 요철에 의해 다층구조의 산란공간 확보가 형성되는 엮음사(110)의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일정거리에서 사람 눈에는(8m 이상) 보이지 않지만 빛은 난반사할 수 있을 정도의 공기 투과 영역과 불투과 영역을 순차적으로 교차 반복하도록 엮음사(110)의 구성을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에 대한 부분 확대도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엮음사(110)로 묶음의 매듭을 형성하면 다수의 엮음사(110) 묶음 층으로 매듭지어 지고, 엮음사(110)의 각도가 불규칙한 겹침, 꺾임에 의하여 난반사를 증폭시키고, 빛의 회절효과를 이끌어내어 매질을 형성할 수 있는 입체적인 망점(120)을 구성한다.
이러한 매듭형태의 망점(120)의 역할은 매질의 역할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망점(120)의 입체성은 여러 각도의 난반사를 증폭하여 빛의 회절율을 증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망점(120)은 엮음사(110)와 더불어 점과 점에 의한 연결로 착각적 윤곽에 의한 착시현상에 의해 빛으로 형성된 이미지에 대한 가독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엮음사(110)에서 부족한 반사율을 보충 및 증가시킨다.
예컨대, 주간 및 야간에서 8m 이상의 거리를 기준으로 할 때 엮음사(110)로 묶음을 한 입체형 망점(120)의 매듭 규격은 3.5mm 내외로 하여 환형의 입체형 망점(120)을 형성하여 시각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의 난반사와 산란, 빛의 회절이 발생하여 상이 맺히는 모습을 나타낸 투과공 확대도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투과공(130)은 입체형 망점(120)과 입체형 망점(120) 사이를 엮음사(110)로 간격과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산란효과에 추가적으로 빛의 회절효과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규격의 공간을 형성하여 빛을 증폭한다.
또한, 투과공(130) 내에서는 매질을 형성하고 있는 미세공망(111) 엮음사(110), 망점(120) 이외에 영상기기로부터 영상 투사 시에 빛을 받아들이는데 있어서 시각 인지 현상의 하나인 잔상효과에 의한 착시현상과 가현운동을 더하도록 하여 형상 이미지의 인식율을 높이게 한다.
이때, 입체형 망점(120)과 입체형 망점(120) 사이를 25mm 내외로 형성되도록 하여 공간을 구성할 경우에는 사람의 시각으로 스크린을 인식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빛에 의해서 영상의 막은 형성되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점(120)과 망점(120)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된 투과공(130)의 공간에 의해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투과공(130)의 칸이 좁아질수록 비례하여 엮음사(110)의 굵기도 줄어들 수도 있다.
예컨대, 엮음사(110)와 입체형 망점(120)의 면적은 공망 구조를 이루고 있는 면적 1칸 당 10~20% 사이에서 비례하여 실의 굵기를 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효율성이 높은 비례는 15% 내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엮음사(110)에는 잘게 잘라 조각난 형태의 투명 필름사를 엮음사(110)로 제작 시 합사하여 투사효과를 극대화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엮음사(110)에는 합사 시 잔털을 추가 또는 부착하여 투사효과를 극대화할 수도 있다.
또한, 엮음사(110)를 구성하는데 있어 미세공망(111)이나 요철로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엮음사(110)에는 광 반사물질을 함유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엮음사(110)에는 엮음사(110)의 굵기보다 얇은 미세선을 추가하거나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엮음사(110) 및 상기 망점(12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스팽글(Spangles)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엮음사(110) 및 상기 망점(120) 부분에는 환형 매듭뿐만 아니라 교차점을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엮음사(110)와 망점(120)을 통해 스크린을 구성할 때 빛을 받는 면을 구성하는데 있어, 상이 투사되는 면은 입체적인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다면(多面)과 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사되어 빛을 받는 면의 칸의 구성은 다양한 모양 및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엮음사(110)는 바람의 저항과 눈에 보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기가 투과되는 공망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100)은 일반 스크린 천이나 홀로스크린(투명스크린)에 비하여 초 경량화와 스크린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입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각도별 빔 프로젝트를 투사하여 입체 영상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100)은 미세공망(111), 엮음사(110), 입체형 망점(120) 및 투과공(130)을 빛의 매질로써 사용한다.
이때, 투사된 빛은 다각도로 향해 있는 미세공망(111), 엮음사(110)와 입체형 망점(120)에 난반사가 발생하게 되고 또한 공기층의 미세먼지에 산란과 난반사된 빛들이 빛의 회절현상에 의해 구획되어진 투과공(130) 속으로 모여진다.
이러한 빛의 현상들이 눈의 착시현상과 결부되어 상을 인식하게 된다. 더욱이 빛을 받는 공망과 빛을 받지 않는 공망의 콘트라스트 대비가 증가함으로써 영상의 화질을 더욱 선명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100)은 미세공망(111)이 포함되어 있는 엮음사(110)를 일정 간격의 공망 구조로 배치하여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된 영상이 미세공망(111), 엮음사(110), 망점(120) 및 투과공(130)에 맺힘으로써 투사 화질의 선명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전방 및 후방 투사에 관계없이 동일한 화면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100)은 스크린 내에서 공백의 다수의 허공 공간을 확보함으로서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스크린에 의한 후면경관 시야권의 차단을 피할 수 있으며, 옥외의 공간에 선명한 홀로스크린 역할과 다양한 형태로 대형 스크린 구현이 가능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100)이 투명 필름사를 엮은 엮음사(110)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100)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필름사 외에 다른 재질로 형성된 엮음사(11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100)은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릭, 나이론, 레이온 계열의 원사 및 금속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엮은 엮음사(11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110: 엮음사
111: 미세공망
120: 망점
130: 투과공

Claims (7)

  1. 투사된 영상이 허공에 맺히게 하는 스크린으로,
    하나 이상의 원사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엮음사;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된 빛이 난반사를 형성하도록 상기 엮음사를 일정 간격을 두고 매듭지어 형성된 복수개의 망점;
    바람의 투과와 빛의 공기산란 증폭을 위해 상기 망점 및 상기 엮음사에 의해 구획되어 허공의 빈 공간이 형성된 투과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엮음사는 투명 필름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엮음사는 난반사를 위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층구조 또는 요철로 공기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엮음사에는 조각난 필름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엮음사에는 미세선이 부착되고,
    상기 미세선은 상기 엮음사에 비해 더 얇은 굵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점에는 스팽글(Spangles)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점들이 공망구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KR1020180086831A 2015-04-28 2018-07-25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KR101978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59473 2015-04-28
KR1020150059473 2015-04-2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460A Division KR101978642B1 (ko) 2015-04-28 2016-04-27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614A true KR20180088614A (ko) 2018-08-06
KR101978644B1 KR101978644B1 (ko) 2019-05-15

Family

ID=575299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460A KR101978642B1 (ko) 2015-04-28 2016-04-27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KR1020180086831A KR101978644B1 (ko) 2015-04-28 2018-07-25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460A KR101978642B1 (ko) 2015-04-28 2016-04-27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17788B1 (ko)
KR (2) KR1019786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351B1 (ko) * 2018-12-27 2020-08-31 주식회사 필립 수중영상 구현을 위한 수중반사체장치
KR102149339B1 (ko) * 2018-12-27 2020-08-28 주식회사 필립 수중영상 구현을 위한 수중반사체장치를 구비한 수중영상시스템
KR102446119B1 (ko) * 2020-10-28 2022-09-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사막 없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005A (ja) * 1996-06-20 1998-01-16 Yoshio Hane 大型スクリーン装置
US6699803B2 (en) * 2000-06-08 2004-03-02 Todd A. Muirhead Camouflage cover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4537744A (ja) * 2001-06-23 2004-12-16 アグリパ リミテッド 乗り物への広告表示用方法および装置
JP3145642U (ja) * 2008-08-01 2008-10-16 小岩金網株式会社 動物鑑賞ケージ若しくはスポーツ鑑賞フェンス用のネット
KR20090099173A (ko) * 2008-03-17 2009-09-22 주식회사 뷰라이트 원형회복강화 휴대용 디스플레이 스크린
JP2010506223A (ja) * 2006-10-11 2010-02-25 ゼファー・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用布帛、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および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KR20150130693A (ko) * 2014-05-14 2015-11-24 주식회사 홀로티브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7707A (en) * 1936-04-17 1938-02-08 Trans Lux Corp Screen structure
JPS63312137A (ja) * 1987-06-15 1988-12-20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網強化構造膜
US5140460A (en) * 1990-11-07 1992-08-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tion-picture screen
JP3145642B2 (ja) 1996-09-20 2001-03-12 功芳 畔柳 2相・4相変調スペクトル櫛歯状拡散通信方式
JP3485318B1 (ja) 2002-05-24 2004-01-13 Nbc株式会社 透視可能な透過型スクリーン
FR2859288B1 (fr) * 2003-09-02 2006-02-10 Screen Res Ecran de projection, notamment pour video
US7274508B2 (en) 2004-10-15 2007-09-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flective projection screen with angled sidewalls
US20060187544A1 (en) * 2005-02-23 2006-08-24 David Wiener Flexible screen for front and rear projection
KR20090010247U (ko) 2008-04-04 2009-10-08 타 라이 스포팅 굳즈 엔터프라이시스 컴패니 리미티드 프로젝터 스크린 구조
KR100935451B1 (ko) 2009-09-17 2010-01-06 (주)맥스파인 후면 투사 스크린
KR101452435B1 (ko) 2012-09-06 2014-10-23 최중선 후면투사형 투명스크린
US9625802B2 (en) * 2015-03-02 2017-04-18 Stuart Warren-Hill Projection display screen and projection method for representing images, in particular 3D moving images
WO2017182829A1 (en) * 2016-04-22 2017-10-26 Elisabeth Berry Projection apparatu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005A (ja) * 1996-06-20 1998-01-16 Yoshio Hane 大型スクリーン装置
US6699803B2 (en) * 2000-06-08 2004-03-02 Todd A. Muirhead Camouflage cover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4537744A (ja) * 2001-06-23 2004-12-16 アグリパ リミテッド 乗り物への広告表示用方法および装置
JP2010506223A (ja) * 2006-10-11 2010-02-25 ゼファー・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用布帛、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および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KR20090099173A (ko) * 2008-03-17 2009-09-22 주식회사 뷰라이트 원형회복강화 휴대용 디스플레이 스크린
JP3145642U (ja) * 2008-08-01 2008-10-16 小岩金網株式会社 動物鑑賞ケージ若しくはスポーツ鑑賞フェンス用のネット
KR20150130693A (ko) * 2014-05-14 2015-11-24 주식회사 홀로티브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242A (ko) 2016-11-07
KR101978644B1 (ko) 2019-05-15
US10317788B1 (en) 2019-06-11
KR101978642B1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644B1 (ko)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JP3455854B2 (ja) 光透過像を有するパネル
JP6181887B2 (ja) 照明システム、複数の照明システムを含むアレイ、部屋、及び建築物
CN1846168B (zh) 尤其用于降低莫尔条纹效应的视频的投影屏幕
JP2006003431A (ja) 表示装置
US3451877A (en) Articles for creating unidirectional vision effects
JP2011013302A (ja) 背面映写可能な産業資材シート、及びその映写システム
ES2956765T3 (es) Aparatos y métodos de proyección
US2429379A (en) Perforated face display
JP3485318B1 (ja) 透視可能な透過型スクリーン
JP5239097B2 (ja) 背面映写可能な産業資材シート
CN212252507U (zh) 一种通透图案像素灯
GB2512824A (en) Project display screen and projection method for representing images, in particular 3D moving images
US11226493B2 (en) Display system for producing daylight-visible holographic or floating 3D imagery
KR101937363B1 (ko) 콘텐츠와 공연자 간의 인터랙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공연무대
US6000803A (en) Image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JP5376230B2 (ja) 背面映写可能な産業資材シートの製造方法
US8590196B2 (en) Display apparatus
US9625802B2 (en) Projection display screen and projection method for representing images, in particular 3D moving images
JP2012058705A (ja) 多層紐状スクリーンを用いた映像照射方式
JP2010191129A (ja) 背面映写可能な産業資材シート、及びその映写システム
US20050078365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jecting images
WO2016175569A1 (ko)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JP2011084942A (ja) 透過視認性制御パネルを用いたオフィス家具
JP6826716B2 (ja) 投映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