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344A -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및 변액보험 투자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및 변액보험 투자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344A
KR20180088344A KR1020180085415A KR20180085415A KR20180088344A KR 20180088344 A KR20180088344 A KR 20180088344A KR 1020180085415 A KR1020180085415 A KR 1020180085415A KR 20180085415 A KR20180085415 A KR 20180085415A KR 20180088344 A KR20180088344 A KR 20180088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ce
index
stock
sign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8230B1 (ko
Inventor
김홍권
Original Assignee
김홍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권 filed Critical 김홍권
Priority to KR1020180085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2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8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식 경기 변동을 모니터링하고 주식 경기 변동 시점을 검출하여 채권형 운용과 주식형 운용을 서로 변경함으로써 변액보험의 투자 수익률을 관리할 수 있는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및 변액보험 투자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및 변액보험 투자운영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ariable insurance management}
본 발명은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및 변액보험 투자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변액보험은 계약자의 납입보험료에서 사업비와 해당 연도 위험보장에 필요한 위험보험료를 뺀 적립보험료를 펀드로 만들어 채권, 주식 등에 투자하고 운용실적에 따라 투자수익을 계약자에게 배분한 보험상품이다. 변액보험은 크게 변액종신보험, 변액유니버셜보험, 변액연금보험으로 나뉜다.
변액보험은 보험상품이지만 펀드운용에서 얻은 수익을 분배한다는 측면에서 투자신탁의 성격을 가미한 것으로 실적배당형 보험이다. 따라서 기존 정액형 보험자산과 분리하여 별도의 펀드로 운용한다. 투자실적이 좋으면 사망보험금과 해약환급금이 늘어나며, 손실이 나면 계약자가 받는 보험금이 줄어든다. 사망보험금은 매월, 해약환급금은 매일 변동한다.
변액보험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적립보험료를 경기 변동에 따라 그 가격이 변동하는 주식이나 채권 등의 금융상품에 투자하는바, 변액보험의 운용에 있어서 경기 변동을 관찰하고 경기 상황을 판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채권의 경우 경기에 따른 변동폭이 상대적으로 주식에 비해 작아 안정적이지만, 경기 상승기에는 주식의 수익률에 비해 그 수익률이 저조할 수 있다. 그러나 경기 하강기에는 주식의 수익률은 낮거나 마이너스 수익률도 발생할 수 있으나 채권은 일정한 수익률을 유지할 수 있다.
변액보험의 투자 운용은 가입 초기에 상품에 따라 주식형, 채권형, 또는 혼합형으로 결정되며, 경기 변동에 영향을 많이 받는 주식에 투자하는 변액보험 주식형의 경우 경기 상승기에는 높은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으나 경기 하강기에는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할 위험이 존재한다. 이에 반하여 채권에 투자하여 운용되는 변액보험 채권형의 경우 일정한 수익률을 유지할 수 있지만 경기 상승기에는 상대적으로 주식보다 낮은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수익률을 달성하면서도 경기 하강기에는 일정한 수익률을 유지할 수 있는 변액보험의 투자 운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식 경기 변동을 모니터링하고 주식 경기 변동 시점을 검출하여 채권형 운용과 주식형 운용을 서로 변경함으로써 변액보험의 투자 수익률을 관리할 수 있는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및 변액보험 투자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은, 계약자가 납입한 납입보험료 중 적립보험료를 채권에 투자하는 채권형 운용 또는 주식에 투자하는 주식형 운용으로 그 운용실적에 따라 투자수익을 계약자에게 배분하는 변액보험을 운용하는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월 말일의 주가지수를 기준가로 설정하는 기준가 설정 모듈; 상기 기준가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가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에 비해 어느 정도 비율로 크고 작은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모듈; 및 상기 기준가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주식형 운용 또는 상기 채권형 운용으로의 투자 운용 변경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 모듈; 을 구비하며, 상기 판별 모듈은 상기 기준가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를 비교하고,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큰 지 여부를 판별하거나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하로 작은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판별 모듈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상 큰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채권형 운용을 상기 주식형 운용으로 변경하는 제1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판별 모듈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하 작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주식형 운용을 상기 채권형 운용으로 변경하는 제2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가지수는 코스피지수, 코스피200지수, 코스닥 지수 및 해외주가지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준가 설정 모듈은 상기 코스피지수를 상기 주가지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별 모듈은 상기 기준가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를 비교하고,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큰 지 여부를 판별하거나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하로 작은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별 모듈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 큰 지 여부를 판별하거나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하로 작은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판별 모듈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 큰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채권형 운용을 상기 주식형 운용으로 변경하는 제1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판별 모듈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 큰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도 이미 주식에 투자하여 운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별 모듈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 큰 것으로 판결된 경우, 다음 수학식의 K를 연산하고,
Figure pat00001
여기서, C는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이고, L은 당일을 포함한 과거 150 영업일 내에서의 상기 주가지수의 최저가이며, H는 당일을 포함한 과거 150 영업일 내에서의 상기 주가지수의 최고가이고,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K가 95이하인 것으로 상기 판별 모듈에 의해 판별된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K가 95를 초과하는 하는 것으로 상기 판별 모듈에 의해 판별된 경우에는, 이미 채권에 투자하여 운용되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별 모듈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 큰 것으로 판결된 경우, 다음 수학식의 K를 연산하고,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과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비교하며,
Figure pat00002
여기서, C는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이고, L은 당일을 포함한 과거 150 영업일 내에서의 상기 주가지수의 최저가이며, H는 당일을 포함한 과거 150 영업일 내에서의 상기 주가지수의 최고가이고,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K가 95를 초과하고,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큰 것으로 상기 판별 모듈에 의해 판별된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K가 95를 초과하지만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은 것으로 상기 판별 모듈에 의해 판별된 경우에는, 이미 채권에 투자하여 운용되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판별 모듈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하로 작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주식형 운용을 상기 채권형 운용으로 변경하는 제2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판별 모듈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하로 작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도 이미 채권에 투자하여 운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별 모듈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하로 작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주가지수의 30주평균매입단가 및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을 연산하고, 상기 기준가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비교하며,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과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비교하며,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기준가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크고,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제2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기준가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거나,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은 경우에는, 이미 주식에 투자하여 운용되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제2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매달 1일과 말일 사이에 한 번의 상기 매매신호를 발생한 이후, 상기 매달 1일과 말일 사이에는 또 다른 상기 매매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방법은, 계약자가 납입한 납입보험료 중 적립보험료를 채권에 투자하는 채권형 운용 또는 주식에 투자하는 주식형 운용으로 그 운용실적에 따라 투자수익을 계약자에게 배분하는 변액보험을 운용하는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전월 말일의 주가지수를 기준가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가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가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에 비해 어느 정도 비율로 크고 작은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가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주식형 운용 또는 상기 채권형 운용으로의 투자 운용 변경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가지수는 코스피지수, 코스피200지수, 코스닥 지수 및 해외주가지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준가 설정 단계는 상기 코스피지수를 상기 주가지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상기 기준가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큰 지 여부를 판별하거나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하로 작은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 큰 지 여부를 판별하거나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하로 작은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판별 모듈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 큰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채권형 운용을 상기 주식형 운용으로 변경하는 제1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판별 단계에서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 큰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도 이미 주식에 투자하여 운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 큰 것으로 판결된 경우, 다음 수학식의 K를 연산하고,
Figure pat00003
여기서, C는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이고, L은 당일을 포함한 과거 150 영업일 내에서의 상기 주가지수의 최저가이며, H는 당일을 포함한 과거 150 영업일 내에서의 상기 주가지수의 최고가이고, 상기 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K가 95이하인 것으로 상기 판별 단계에서 판별된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K가 95를 초과하는 하는 것으로 상기 판별 단계에서 판별된 경우에는, 이미 채권에 투자하여 운용되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 큰 것으로 판결된 경우, 다음 수학식의 K를 연산하고,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과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비교하며,
Figure pat00004
여기서, C는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이고, L은 당일을 포함한 과거 150 영업일 내에서의 상기 주가지수의 최저가이며, H는 당일을 포함한 과거 150 영업일 내에서의 상기 주가지수의 최고가이고,
상기 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K가 95를 초과하고,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큰 것으로 상기 판별 단계에서 판별된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K가 95를 초과하지만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은 것으로 상기 판별 단계에서 판별된 경우에는, 이미 채권에 투자하여 운용되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판별 단계에서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하로 작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주식형 운용을 상기 채권형 운용으로 변경하는 제2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판별 단계에서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하로 작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도 이미 채권에 투자하여 운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하로 작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주가지수의 30주평균매입단가 및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을 연산하고, 상기 기준가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비교하며,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과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비교하며,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기준가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크고,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제2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기준가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거나,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은 경우에는, 이미 주식에 투자하여 운용되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제2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단계는, 매달 1일과 말일 사이에 한 번의 상기 매매신호를 발생한 이후, 상기 매달 1일과 말일 사이에는 또 다른 상기 매매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식 경기 변동을 모니터링하고 주식 경기 변동 시점을 검출하여 채권형 운용과 주식형 운용을 서로 변경함으로써 변액보험의 투자 수익률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경기 변동 주기와 경기 변동 주기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라 투자운용하는 경우의 수익률 그래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변액보험은 계약자의 납입보험료에서 사업비와 해당 연도 위험보장에 필요한 위험보험료를 뺀 적립보험료를 펀드로 만들어 채권, 주식 등에 투자하고 운용실적에 따라 투자수익을 계약자에게 배분한 보험상품이다. 따라서 변액보험의 투자 운용 실적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지며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경기 변동에 영향을 많이 받는 주식에 투자하는 변액보험 주식형의 경우 경기 상승기에는 높은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으나 경기 하강기에는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할 위험이 존재한다. 이에 반하여 채권에 투자하여 운용되는 변액보험 채권형의 경우 일정한 수익률을 유지할 수 있지만 경기 상승기에는 상대적으로 주식보다 낮은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및 변액보험 투자운영 방법은 주식 경기 변동을 모니터링하고 주식 경기 변동 시점을 검출하여 채권형 운용과 주식형 운용을 서로 변경함으로써 변액보험의 투자 수익률을 관리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및 변액보험 투자운영 방법은 주식경기 변동을 모니터링하고 주식경기 변동 시점을 검출하여 주식경기가 상승기이면 주식형 비중을 높여서 주가상승에 편승하고 주식경기가 하락기이면 채권형으로 이동하여 주가하락에 따른 손실을 방지하도록 주식형 비중을 낮추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100)은 기준가 설정 모듈(110), 판별 모듈(120), 및 신호 발생 모듈(130)을 구비할 수 있다.
기준가 설정 모듈(110)은 전월 말일의 주가지수를 기준가로 설정할 수 있다. 주가지수는 주식 가격의 전반적인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하는 지수이다. 주가지수는 일 예로서 코스피지수(KOSPI: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코스피200지수, 코스닥 지수 및 해외주가지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코스피지수는 지난 1980년 1월 4일 기준 상장종목 전체의 시가총액을 100으로 보고 현재 상장종목들의 시가총액이 어느 수준에 놓여 있는지를 보여주는 시스템이다. 코스피200지수는 증권거래소의 주가지수로는 시가총액 상위 200종목을 따로 추려서 만든 것이다. 이 밖에 우량기업으로 구성된 'KOSPI100', 'KOSPI50'과 배당실적이 우수한 기업을 대상으로 한 '한국배당주가지수(KODI)', 기업지배구조를 지수화한 '기업지배구조 주가지수(KOGI)' 등이 있다.
기준가 설정 모듈(110)은 주가지수를 발표하는 기관으로부터 상기 주가지수를 취득하고 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즉 기준가 설정 모듈(110)은 상술한 여러 주가지수 중 투자운용에 이용하게 될 주가지수를 상기 주가지수를 발표하는 기관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고객이 쉽게 접할 수 있고 펀드 수익률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높은 지수인 코스피지수를 관리기준인 상기 주가지수로 사용할 수 있다. 코스피지수를 변액보험의 투자운용에 이용하는 하는 경우에는 기준가 설정 모듈(110)은 한국증권거래소로부터 코스피지수를 전송받으며, 이를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기준가 설정 모듈(110)은 특히 전월 말일의 주가지수를 기준가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스피지수를 변액보험의 투자운용 지표로 삼는 경우 기준가 설정 모듈(110)은 취득되어 저장된 코스피지수 중 전월 말일의 코스피지수를 기준가로 설정할 수 있다. 기준가로 설정된 전월 말일의 코스피지수는 당해 한 달 동안 기준가로서 투자운용의 기준이 될 수 있다. 1개월 후 다음 달이 되면 기준가 설정 모듈(110)은 당해 월 말일의 코스피지수를 다음 달의 기준가로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가 설정 모듈(110)에 의해서 설정된 기준가는 변액보험 투자 운용에 있어서 주식형 운용 또는 채권형 운용으로의 변환 기준이 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판별 모듈(120)은 상기 기준가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가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에 비해 어느 정도 비율로 크고 작은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판별 모듈(120)은 기준가 설정 모듈(110)에 의해 설정된 기준가와, 기준가 설정 모듈(110)에 의해 취득된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큰 지 또는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하로 작은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주가지수가 코스피지수인 경우, 판별 모듈(120)은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코스피지수의 전월 종가)보다 2% 이상 큰 지 여부를 판별하거나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하로 작은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코스피지수의 전월 종가)보다 2% 이상인 것은 주가 상승 추세라고 볼 수 있으며,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코스피의 전월 종가)보다 1% 이하인 것은 주가 하강 추세라고 볼 수 있다. 판별 모듈(120)에 의한 이와 같은 판별된 결과에 따라 신호 발생 모듈(130)은 주식형 운용 또는 채권형 운용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판별 모듈(120)은 또한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인 것으로, 즉 2% 이상 상승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다음 수학식의 K를 연산하고,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과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비교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pat00005
여기서, C는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이고, L은 당일을 포함한 과거 150 영업일 내에서의 상기 주가지수의 최저가이며, H는 당일을 포함한 과거 150 영업일 내에서의 상기 주가지수의 최고가이다.
예를 들어 상기 주가지수가 코스피지수이고,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기준가보다 2% 이상 상승한 경우, 판별 모듈(120)은 추가적으로 상기 K값을 연산하고, 상기 K값이 95이하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판별 모듈(120)은 상기 K값이 95를 초과하는 것을 판별한 경우 추가적으로 코스피지수의 20일이동지수평균과 코스피지수의 30주평균매입단가를 각각 연산하고 이들을 비교할 수 있다.
판별 모듈(120)은 30주평균매입단가와 20일이동지수평균을 연산 후 20일이동지수평균이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큰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큰 것으로 판별된 경우, 신호 발생 모듈(130)은 주식형 운용으로의 변경을 알리는 제1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은 상기 제1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기준가보다 2% 이상이고, 상기 K가 95를 초과하여도 신호 발생 모듈(130)은 주식형 운용으로의 변경을 알리는 제1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전까지 운용되오던 채권형 운용이 유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채권형 운용이 유지되고 있다는 메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판별 모듈(120)은 또한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하로 작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주가지수의 30주평균매입단가 및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을 연산하고, 상기 기준가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비교하며,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과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가지수가 코스피지수이고,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기준가보다 -1% 이하로 하락한 경우, 판별 모듈(120)은 추가적으로 코스피지수의 30주평균매입단가와 코스피지수의 20일이동지수평균을 연산한다.
N주평균매입단가는 일정금액으로 매주 한 번 N주간 주가지수를 매입한 총액을 매입좌수로 나눈 값이다. 예를 들면 30주평균매입단가는 일정금액으로 30주간 매주 한번 코스피지수를 매입한 총액의 평균매입단가이다. 20일이동지수평균은 최근 코스피지수의 20일간 종가의 평균을 의미한다.
판별 모듈(120)은 최근 코스피지수의 30주간 평균매입단가를 연산하여 30주평균매입단가를 구하고, 최근 코스피지수의 20일간 평균지수를 연산하여 20일이동지수평균을 구한다.
판별 모듈(120)은 30주평균매입단가와 20일이동지수평균을 연산 후 기준가가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큰지 여부와, 20일이동지수평균이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기준가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거나,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은 경우에는,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기준가보다 -1% 이하로 하락한 경우임에도 신호 발생 모듈(130)은 채권형 운용으로 변경을 알리는 제2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주식형 운용이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은 주식형 운용이 유지되고 있다는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가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거나,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다는 것은 계속적인 하락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계속적인 하락추세에서 주식형 운용을 유지함으로써 평균매입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향후 상승추세 전환시에 더 큰 이익을 보전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준가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거나,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은 하락추세에서는 채권형 운용으로의 변환 신호를 발생하지 않으며, 주식형 운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신호 발생 모듈(130)은 판별 모듈(120)에 의한 상기 기준가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 비교 결과에 따라 주식형 운용 또는 채권형 운용으로의 변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세는 신호 발생 모듈(130)은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 큰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채권형 운용을 상기 주식형 운용으로 변경하는 제1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주가지수가 코스피지수인 경우, 판별 모듈(120)는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코스피지수의 전월 종가)보다 2% 이상 상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며,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코스피지수의 전월 종가)보다 2% 이상 상승하였다면, 신호 발생 모듈(130)은 주식형 운용 변환 신호인 제1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는 문자 메세지나 SNS를 통해 변액보험 가입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 큰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도 이미 주식에 투자하여 운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신호 발생 모듈(130)은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신호 발생 모듈(130)은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하로 작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주식형 운용을 상기 채권형 운용으로 변경하는 제2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세는 신호 발생 모듈(130)은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상 하락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주식형 운용을 상기 채권형 운용으로 변경하는 제2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주가지수가 코스피지수인 경우, 판별 모듈(120)는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코스피지수의 전월 종가)보다 -1% 이상 하락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며,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코스피지수의 전월 종가)보다 -1% 이상 하락하였다면, 신호 발생 모듈(130)은 채권형 운용 변환 신호인 제2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는 문자 메세지나 SNS를 통해 변액보험 가입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하 하락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도 이미 채권에 투자하여 운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신호 발생 모듈(130)은 상기 제2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 상승한다는 것은 주가지수의 상승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 상승한 것을 판별되는 경우 신호 발생 모듈(130)은 주식형 운용 변환 신호인 제1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 신호에 따라 변액보험의 투자 운용을 주식형으로 변환함으로써 채권형 운용에 비해 높은 투자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기준가 대비 상승 관리폭을 2%로 지정하고 이에 따라 채권형 운용을 주식형 운용으로 전환함으로써 주가 상승기에 빠르게 편승하여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상 하락한다는 것은 주가지수의 하락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상 하락한 것을 판별되는 경우 신호 발생 모듈(130)은 채권형 운용 변환 신호인 제2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신호에 따라 변액보험의 투자 운용을 채권형으로 변환함으로써 주가 하락 추세에서 주식형 운용에 비해 안정적인 투자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와 기준가를 비교하여 주가지수의 상승과 하락을 모니터하고, 주가지수 상승기에는 주식형 운용을 유도하며, 주가지수 하락기에는 채권형 운용을 유도함으로써 변액보험의 안정적이면서 높은 투자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기준가 대비 하락 관리폭을 -1%로 좁게 지정하고 이에 따라 주식형 운용을 채권형 운용으로 전환함으로써 원금보존을 우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판별 모듈(120)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 상승한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수학식의 K를 연산하고, 상기 K값이 95이하인 경우, 신호 발생 모듈(13)은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K값이 95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판별 모듈(120)은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과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연산하며,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과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비교하며, 그 비교 결과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더 큰 경우, 신호 발생 모듈(13)은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신호 발생 모듈(13)은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상기 주가지수가 코스피지수이고,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기준가보다 2% 이상로 상승한 경우, 판별 모듈(120)은 추가적으로 상기 수학식 K를 연산할 수 있다.
판별 모듈(120)에 의해 K값을 연산한 후 상기 K값이 95이하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신호 발생 모듈(130)은 주식형 운용으로의 변경을 알리는 제1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K값은 과거 기간 중 현재 가격이 얼마나 높은 편에 있는지, 얼마나 낮은 편인지를 나타내는 상대적 수준이다. 예를 들어 특정 기간 중 가장 높으면 상기 K값은 100을 나타내며, 가장 낮으면 K값은 0을 나타낸다. 상기 K값의 크기로 현재 가격이 과거 일정 기간 중 어느 수준에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즉 K값이 100에 가까우면 주식 경기 과열권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별 모듈(120)은 연산된 K값이 95초과인 경우에는 주식 경기 과열권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K값이 95이하인 경우에는 주식 경기가 과열이라고 보기 어려우므로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기준가보다 2% 이상 상승하는 경우에는 신호 발생 모듈(130)은 채권형 운용시 주식형 운용으로의 변환 신호인 제1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K값이 95초과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판별 모듈(120)은 추가적으로 코스피지수의 30주평균매입단가와 코스피지수의 20일이동지수평균을 연산할 수 있다.
판별 모듈(120)은 30주평균매입단가와 20일이동지수평균을 연산 후 20일이동지수평균이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큰 경우에는,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기준가보다 2% 이상 상승하고, 상기 K값이 95를 초과하는 경우임에도 신호 발생 모듈(130)은 주식형 운용으로의 변경을 알리는 제1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기준가보다 2% 이상이고, 상기 K가 95를 초과하여도 신호 발생 모듈(130)은 주식형 운용으로의 변경을 알리는 제1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전까지 운용되오던 채권형 운용이 유지될 수 있다.
K값이 95초과인 경우에는 주식 경기 과열권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주가가 하락 후 상승 반전하는 경우에는 주식 경기 과열권이라도 주식에 투자함으로써 변액 보험의 투자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큰 경우에는 주가 하락 후 상승 반전되는 경우라고 볼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K값이 95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주식형 운용으로의 변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주가 상승기에 초과 상승하여 과열권에 진입하는 경우에 주식에 투자하는 것은 이후에 있을 주가 하락 반전시에 손해를 크게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은 경우에는 주가 상승 후 하락 반전되는 경우라고 볼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K값이 95를 초과하는 경우에 주식형 운용으로의 변환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판별 모듈(120)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상 하락한 것으로 판별한 경우, 추가적으로 상기 주가지수의 30주평균매입단가 및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을 연산하며, 상기 기준가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비교하고,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과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기준가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크고,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더 큰 경우, 신호 발생 모듈(130)은 상기 제2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상기 주가지수가 코스피지수이고,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기준가보다 -1% 이하로 하락한 경우, 판별 모듈(120)은 추가적으로 코스피지수의 30주평균매입단가와 코스피지수의 20일이동지수평균을 연산할 수 있다.
판별 모듈(120)은 30주평균매입단가와 20일이동지수평균을 연산 후 기준가가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큰 지 여부와, 20일이동지수평균이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기준가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거나,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은 경우에는,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기준가보다 -1% 이하로 하락한 경우임에도 신호 발생 모듈(130)은 채권형 운용으로 변경을 알리는 제2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주식형 운용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기준가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거나,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다는 것은 계속적인 하락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계속적인 하락추세에서 주식형 운용을 유지함으로써 평균매입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향후 상승추세 전환시에 더 큰 이익을 보전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준가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거나,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은 하락추세에서는 채권형 운용으로의 변환 신호를 발생하지 않으며, 주식형 운용을 유지할 수 있다.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기준가보다 -1% 이하로 하락한 경우,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기준가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크고,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큰 경우에만 주식형 운용에서 채권형 운용으로 변경할 것을 알리는 제2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신호 발생 모듈(130)은 매달 1일과 말일 사이에 한 번의 상기 매매신호를 발생한 이후, 상기 매달 1일과 말일 사이에는 또 다른 상기 매매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는 월 1회 발생되며, 당해 월에 이미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는 당해 월에 또 다시 신호 발생 조건(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크거나 또는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하로 작은 경우 발생)이 만족하는 경우에도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당해 월에 발생한 신호에 따라 변액보험의 투자 운용이 당해 월말까지 지속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가 대비 상승 관리폭을 2%로 지정하여 주가 상승기에 빠르게 편승하여 수익률을 높일 수 있으며, 기준가 대비 하락 관리폭을 -1%로 좁게 지정하여 원금보존을 할 수 있다.
또한 주가가 상대적으로 하락한 시기에는 채권형 전환을 오히려 제한하는 병행조건을 둠으로써 매입단가를 높여 하락 후 상승시 높은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병행조건은 기준가가 코스피지수 주간 평균단가보다 상승한 시기이고 단기적 경기를 대신하는 코스피지수 20일평균지수가 상대적으로 장기 추세를 반영하는 코스피지수 30주간평균매입단가 보다 위에 존재할 때만 채권형 전환을 허용한다. 상기 병행조건은 경기가 이미 침체 하락한 시기에 효과가 적은 방어적 변경(채권형 운용)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미 낮아진 주가는 월적립금의 저가매입에 도움이 되어 평균매입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기준가 설정 모듈(110)은 전월 말일의 주가지수를 기준가로 설정할 수 있다(S101). 주가지수는 일 예로서 코스피지수, 코스피200지수, 코스닥 지수 및 해외주가지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기준가 설정 모듈(110)은 주가지수를 발표하는 기관으로부터 상기 주가지수를 취득하고 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즉 기준가 설정 모듈(110)은 상술한 여러 주가지수 중 투자운용에 이용하게 될 주가지수를 상기 주가지수를 발표하는 기관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스피지수를 변액보험의 투자운용에 이용하는 하는 경우에는 기준가 설정 모듈(110)은 한국증권거래소로부터 코스피지수를 전송받으며, 이를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준가 설정 모듈(110)은 특히 전월 말일의 주가지수를 기준가로 설정할 수 있다(S101). 예를 들어 코스피지수를 변액보험의 투자운용 지표로 삼는 경우 기준가 설정 모듈(110)은 취득되어 저장된 코스피지수 중 전월 말일의 코스피지수를 기준가로 설정할 수 있다. 기준가로 설정된 전월 말일의 코스피지수는 당해 한 달 동안 기준가로서 투자운용의 기준이 될 수 있다. 1개월 후 다음 달이 되면 기준가 설정 모듈(110)은 당해 월 말일의 코스피지수를 다음 달의 기준가로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판별 모듈(120)은 상기 기준가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가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에 비해 어느 정도 비율로 크고 작은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102). 상세하게는 판별 모듈(120)은 기준가 설정 모듈(110)에 의해 설정된 기준가와, 기준가 설정 모듈(110)에 의해 취득된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큰 지 또는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하로 작은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주가지수가 코스피지수인 경우, 판별 모듈(120)은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코스피지수의 전월 종가)보다 2% 이상 큰 지 여부를 판별하거나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하로 작은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신호 발생 모듈(130)은 판별 모듈(120)에 의한 상기 기준가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 비교 결과에 따라 주식형 운용 또는 채권형 운용으로의 변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S103, S105).
보다 상세하세는 신호 발생 모듈(130)은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 큰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채권형 운용을 상기 주식형 운용으로 변경하는 제1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S104). 일 예로서 상기 주가지수가 코스피지수인 경우, 판별 모듈(120)는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코스피지수의 전월 종가)보다 2% 이상 상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며,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코스피지수의 전월 종가)보다 2% 이상 상승하였다면, 신호 발생 모듈(130)은 주식형 운용 변환 신호인 제1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는 문자 메세지나 SNS를 통해 변액보험 가입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 큰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도 이미 주식에 투자하여 운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신호 발생 모듈(130)은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S103).
다음으로, 신호 발생 모듈(130)은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하로 작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주식형 운용을 상기 채권형 운용으로 변경하는 제2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세는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상 하락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S102), 추가적으로 상기 주가지수의 30주평균매입단가 및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을 연산하며, 상기 기준가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비교하고,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과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기준가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크고,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더 큰 경우, 신호 발생 모듈(130)은 상기 제2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S106, S107).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1% 이하 하락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도 이미 채권에 투자하여 운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신호 발생 모듈(130)은 상기 제2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S105).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방법은 채권형 운용 여부 확인 단계(S103)와 주식형 전환 신호 발생 단계S104) 사이에 K값 연산 단계(S111), K값 비교 단계(S112), 및 20일이동지수평균과 30주평균매입단가 비교 단계(S113)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방법과 차이가 있다. 이에 상기 차이점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판별 모듈(120)은 또한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2% 이상인 것으로, 즉 2% 이상 상승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수학식의 K를 연산하고,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과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비교할 수 있다(S111, S112, S113).
판별 모듈(120)은 상기 K값이 95를 초과하는 것을 판별한 경우 추가적으로 코스피지수의 20일이동지수평균과 코스피지수의 30주평균매입단가를 각각 연산하고 이들을 비교할 수 있다(S111, S112)
판별 모듈(120)은 30주평균매입단가와 20일이동지수평균을 연산 후 20일이동지수평균이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큰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113).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큰 것으로 판별된 경우, 신호 발생 모듈(130)은 주식형 운용으로의 변경을 알리는 제1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판별 모듈(120)에 의해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코스피지수의 당일 종가가 기준가보다 2% 이상이고, 상기 K가 95를 초과하여도 신호 발생 모듈(130)은 주식형 운용으로의 변경을 알리는 제1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전까지 운용되오던 채권형 운용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채권형 운용이 유지되고 있다는 메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액보험 투자 운용 방법은, 주가지수가 기준가 대비 소정의 비율로 상승 또는 하락하는지를 판별하여 이 결과에 따라 투자 운용 방법을 변경하므로, 경기예측의 부담이 없고, 경기예측능력에 대한 검증이 필요 없으며, 변액보험을 판매하고 관리하는 FP(Financial Planner)와 변액보험 가입 고객이 변액보험의 투자 운용 방법의 장단점을 동일하게 이해하고 관리에 돌입하므로 결과에 대한 FP의 부담이 작고, 또한 역할에 대한 이해와 분담이 명확하게 전달됨으로 고객의 관리이행에 대한 보다 나은 충성도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100: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110: 기준가 설정 모듈
120: 판별 모듈
130: 신호 발생 모듈

Claims (3)

  1. 계약자가 납입한 납입보험료 중 적립보험료를 채권에 투자하는 채권형 운용 또는 주식에 투자하는 주식형 운용으로 그 운용실적에 따라 투자수익을 계약자에게 배분하는 변액보험을 운용하는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월 말일의 주가지수를 기준가로 설정하는 기준가 설정 모듈;
    상기 기준가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가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에 비해 어느 정도 비율로 크고 작은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모듈; 및
    상기 기준가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주식형 운용 또는 상기 채권형 운용으로의 투자 운용 변경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 모듈; 을 구비하며,
    상기 판별 모듈은 상기 기준가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를 비교하고,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큰 지 여부를 판별하거나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하로 작은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판별 모듈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상 큰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채권형 운용을 상기 주식형 운용으로 변경하는 제1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판별 모듈에 의해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하 작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판별 모듈은 상기 주가지수의 30주평균매입단가 및 상기 주가지수의 20일이동지수평균을 연산하고, 상기 기준가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비교하며,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과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비교하며,
    상기 기준가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크고,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큰 경우,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주식형 운용을 상기 채권형 운용으로 변경하는 제2 신호를 발생하나,
    상기 기준가가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거나 같고, 또는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이미 주식에 투자하여 운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주식형 운용을 하도록 상기 제2 신호를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판별 모듈은 상기 기준가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를 비교하여,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보다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큰 것으로 판결한 경우, 다음 수학식의 K를 연산하며,
    Figure pat00006

    여기서, C는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이고, L은 당일을 포함한 과거 150 영업일 내에서의 상기 주가지수의 최저가이며, H는 당일을 포함한 거 150 영업일 내에서의 상기 주가지수의 최고가이고,
    상기 K가 95이하인 경우, 상기 판별 모듈은 상기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채권형 운용을 하는지 상기 주식형 운용을 하는지 판별하고, 상기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채권형 운용을 할 때에는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제1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채권형 운용을 상기 주식형 운용으로 전환되며, 상기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주식형 운용을 하는 것으로 상기 판별 모듈이 판별한 경우에는,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주식형 운용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K가 95를 초과하는 것으로 상기 판별 모듈에 의해 판별된 경우, 상기 판별 모듈은 상기 주가지수의 30주평균매입단가 및 상기 주가지수의 20일이동지수평균을 연산하고,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과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를 비교하며,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큰 경우,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채권형 운용을 상기 주식형 운용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하나,
    상기 20일이동지수평균이 상기 30주평균매입단가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채권형 운용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가지수는 코스피지수, 코스피200지수, 코스닥 지수 및 해외주가지수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기준가 설정 모듈은 상기 코스피지수, 코스피200지수, 코스닥 지수 및 해외주가지수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주가지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모듈은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 보다 2% 이상 큰 지 여부를 판별하거나 상기 주가지수의 당일 종가가 상기 기준가 보다 1% 이하로 작은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KR1020180085415A 2018-07-23 2018-07-23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및 변액보험 투자운영 방법 KR101898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415A KR101898230B1 (ko) 2018-07-23 2018-07-23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및 변액보험 투자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415A KR101898230B1 (ko) 2018-07-23 2018-07-23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및 변액보험 투자운영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493A Division KR20170141450A (ko) 2016-06-15 2016-06-15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및 변액보험 투자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344A true KR20180088344A (ko) 2018-08-03
KR101898230B1 KR101898230B1 (ko) 2018-09-12

Family

ID=6325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415A KR101898230B1 (ko) 2018-07-23 2018-07-23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및 변액보험 투자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23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118A (ko) * 2001-09-24 2003-03-31 남진우 실시간 매매신호 서비스 시스템
KR20080104211A (ko) * 2007-02-13 2008-12-02 주식회사 신한은행 목표 달성형 펀드 운용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20130103480A (ko) * 2013-08-30 2013-09-23 주식회사 신한은행 변액 적립 방법 및 이를 위한 금융 서버
KR20150041615A (ko) * 2015-03-26 2015-04-16 삼성증권주식회사 복합금융자산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99654A (ko) * 2014-02-21 2015-09-01 양승호 대행 행위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3251A (ko) * 2014-12-16 2016-06-24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금융상품 운용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05496A (ko) * 2016-07-06 2018-01-16 주식회사 레드벨벳벤처스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118A (ko) * 2001-09-24 2003-03-31 남진우 실시간 매매신호 서비스 시스템
KR20080104211A (ko) * 2007-02-13 2008-12-02 주식회사 신한은행 목표 달성형 펀드 운용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20130103480A (ko) * 2013-08-30 2013-09-23 주식회사 신한은행 변액 적립 방법 및 이를 위한 금융 서버
KR20150099654A (ko) * 2014-02-21 2015-09-01 양승호 대행 행위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3251A (ko) * 2014-12-16 2016-06-24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금융상품 운용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50041615A (ko) * 2015-03-26 2015-04-16 삼성증권주식회사 복합금융자산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05496A (ko) * 2016-07-06 2018-01-16 주식회사 레드벨벳벤처스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230B1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ling et al. The impact of policyholder behavior on pricing, hedging, and hedge efficiency of withdrawal benefit guarantees in variable annuities
KR101136696B1 (ko) 기업성장단계를 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주식의 저평가/고평가를 산출하는 주식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7256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risking a pension fund
US20020103678A1 (en) Multi-risk insurance system and method
US202100198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ule Set Selection
US20060095353A1 (en) Indexed annuity system and method
US84428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st of insurance rates
Plazzi et al. Exploiting property characteristics in commercial real estate portfolio allocation
CN111047128A (zh) 企业财务曝险管理系统
US201402581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visual representation of estimated financial data
KR20170141450A (ko)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및 변액보험 투자운영 방법
US20100325063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rket-based pricing of investment products with guaranteed benefits
JP5084968B1 (ja) 市場リスク予測装置、市場リスク予測方法及び市場リスク予測プログラム
Alexandrova et al. Equity-linked life insurance based on traditional products: the case of select products
KR101536535B1 (ko) 동태적 현금흐름법에 따른 기술가치평가 방법
KR101808269B1 (ko) 복수의 els를 포함하는 일임형 투자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046858B1 (ko) GIPS(Global Investment Performance Standards) 인증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98230B1 (ko) 변액보험 투자운용 관리 시스템 및 변액보험 투자운영 방법
KR20180048140A (ko) 계량적 접근의 시장 뷰를 이용한 로보어드바이저 알고리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5135347A (ja) 燃料フォワードカーブ推定方法及び推定された燃料フォワードカーブを使用するシステム
US8315889B1 (en) Home resale value protection plan
JP6382824B2 (ja) 将来の退職費用指数およびファンド
JP5105653B1 (ja) 市場リスク予測装置、ヘッジ数量算出方法及びヘッジ数量算出プログラム
JP3306806B2 (ja) 退職給付債務管理装置
US20140288975A1 (en) Determining Future Attributes of Insurance Policies Based on Analysis of Historic Funding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