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024A - 주행 상황을 고려한 블랙박스 긴급 동영상 추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주행 상황을 고려한 블랙박스 긴급 동영상 추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024A
KR20180088024A KR1020170012534A KR20170012534A KR20180088024A KR 20180088024 A KR20180088024 A KR 20180088024A KR 1020170012534 A KR1020170012534 A KR 1020170012534A KR 20170012534 A KR20170012534 A KR 20170012534A KR 20180088024 A KR20180088024 A KR 20180088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black box
section
video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키비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키비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키비언
Priority to KR1020170012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8024A/ko
Publication of KR20180088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주행 상황을 고려한 블랙박스 긴급 동영상 추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GPS, 센서 및 OBD 장치를 통해, 위치, 방향, 속도, 차량 본체의 기울기, 가속/제동 정보, 차량 고장코드를 수집하여 저장하며, GPS, 모션 센서의 정보, 차량의 주행 상태 및 고장 유무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OBD 장치 제공 정보를 결합하여, 충돌 발생 이전 또는 이후에 차량의 상태 및 고장코드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하여 실제 긴급 영상을 통해 기록할 구간을 설정하는 긴급구간 추출엔진을 포함하고, 긴급구간 추출엔진은 블랙박스에 내장된 사고감지 엔진에 긴급상황 발생 여부를 알려주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긴급 구간 유지 중 사고가 인지되면 긴급 구간의 검출 및 검출 결과를 긴급 동영상 생성 모듈에 제공한다.

Description

주행 상황을 고려한 블랙박스 긴급 동영상 추출 방법 및 장치{METHOD FOR EXTRACTING BLACK BOX EMERGENCY VIDEO CONSIDERING DRIVE-SITUATION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블랙박스의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와 더불어 내비게이션과 블랙박스의 기능이 스마트폰 앱의 형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폰 기반의 내비게이션과 블랙박스의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연결하여 실시간 교통량에 따른 동적인 추천 경로 활용 및 사고 발생 시 생성되는 긴급 동영상의 안전한 서버 저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유용성을 가진다.
네트워크 연동 블랙박스의 경우, 평상 시에는 상시 동영상 및 긴급 동영상이 스마트폰 및 네트워크 블랙박스 기기에 내장된 저장공간에 기록된다. 사고 발생 및 특정 조건에서 상시 동영상 또는 긴급 동영상은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므로, 사후 기기의 훼손이나 저장기록의 삭제로 인한 콘텐츠 유실의 위험성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블랙박스의 긴급 동영상은 통상적으로 긴급 상황 발생 시점 전후의 특정 시간의 동영상을 별도 기록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기기의 특성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전후 길이는 달라질 수 있으며, 설정 후 실 사용 환경에서는 고정된 길이를 갖도록 추출된다. 저장장치의 용량이 커지고, 1차 사고 발생 원인 및 2차 사고 등을 기록하기 위하여 긴급 동영상의 길이는 점차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네트워크 블랙박스 활용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서버로 전송되는 긴급 동영상의 크기로, 화질 및 해상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송해야 할 파일의 크기 또한 커져서, 고속의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조차 전송 시간 및 데이터 사용에 대한 부담이 적지 않다. 이러한 부담으로 인해 동영상의 길이를 줄일 경우, 사고 전후에 대한 정보가 유실될 수 있어 단순하게 동영상의 길이를 줄이는 방법은 적절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네트워크 블랙박스에서 기록된 상시 동영상으로부터 서버에 전송할 긴급 동영상을 추출함에 있어, 사고 전후에 대한 정보 유실을 최소화하고 동영상의 길이를 줄일 수 있는 동영상 추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주행 상황을 고려한 블랙박스 긴급 동영상 추출 장치는, GPS, 센서 및 OBD 장치를 통해, 위치, 방향, 속도, 차량 본체의 기울기, 가속/제동 정보, 차량 고장코드를 수집하여 저장하며, GPS, 모션 센서의 정보, 차량의 주행 상태 및 고장 유무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OBD 장치 제공 정보를 결합하여, 충돌 발생 이전 또는 이후에 차량의 상태 및 고장코드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하여 실제 긴급 영상을 통해 기록할 구간을 설정하는 긴급구간 추출엔진을 포함하며, 긴급구간 추출엔진은, 블랙박스에 내장된 사고감지 엔진에 긴급상황 발생 여부를 알려주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긴급 구간 유지 중 사고가 인지되면 긴급 구간의 검출 및 검출 결과를 긴급 동영상 생성 모듈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offset 기반의 긴급 동영상 생성 방식을 사용하여 긴급 상황 정보에 대한 누락을 없애야 하는 환경에서 고정 offset 방식에 비해 훨씬 짧은 길이의 동영상으로 긴급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므로,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경우 훨씬 신속하고 확실하게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서버로 전송된 동영상은 개인 소장 목적 뿐 아니라,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채널 및 동영상을 활용한 소셜 방송 채널을 통해 효과적으로 공유가 가능하므로, 관련 서비스 및 산업에 큰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블랙박스에서 긴급 동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긴급 동영상 추출 장치를 통한 긴급 동영상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긴급 동영상 추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긴급구간 추출엔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네트워크 블랙박스 앱을 활용하여, 주행 중 긴급 상황 발생 시 생성되는 긴급 동영상을 추출함에 있어, 동영상의 길이를 고정하는 대신, 주행정보 및 차량정보를 활용하여 동적으로 긴급 상황 전후의 길이를 결정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블랙박스에서는 충돌이 발생한 시점을 예측하고 충돌이 발생한 시점 기준 일정 시간 전 (pre-offset) 부터, 일정 시간 후 (post-offset) 까지의 동영상을 별도로 추출하여 긴급 동영상을 생성한다.
이때 동영상의 길이를 결정하는 두 개의 offset은 사고 발생 원인 및 전개 상황과 관계없이 일정한 값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설정 또는 기기의 기본 설정에 의해 긴급 동영상을 추출하는 구간을 결정하는 대신, GPS, 모션센서 및 OBD 등 차량 내 주행 환경에서 취득 가능한 부가정보를 활용하여 실제 사고 발생 상황의 전모를 기록할 수 있는 가장 최소한의 가장 효과적인 구간을 추출하고 이 구간에 대해서 긴급 동영상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할 경우, 실제 고정된 offset을 가지는 경우 대비 훨씬 효과적으로 긴급 동영상을 기록 및 활용할 수 있다. 아래의 예처럼 충돌 후 2차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사전에 발생한 이상으로 인해 일정 시간 후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 대비해서 긴 녹화 시간을 설정해야 하는 고정 offset 방식과 달리 가변적으로 사고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구간만 추출하여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GPS, 모션 센서 등 스마트폰 내장 기능과 차량의 데이터 및 운전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OBD 장치를 추가로 활용하여 긴급 상황 구간을 추출하고, 동적으로 추출된 긴급 상황 구간 정보에 따라 긴급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 및 전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GPS, 모션 센서 등 스마트폰 내장 기능과 OBD 장치를 활용하여 긴급 상황 구간을 추출한다.
스마트폰 및 일반적인 블랙박스 기기에는 GPS 및 모션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실제 충돌을 감지하기 위해서 이러한 내장 기능이 활용되고 있으나 데이터의 한계로 인해 충돌 발생 전의 특정 상황을 인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사고 발생의 정도 및 긴급 상황의 심각성에 대해 인지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위치, 주행속도, 수평/회전 가속도 등을 제공하는 GPS 및 모션 센서의 정보와, 차량의 주행 상태 및 고장 유무 등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OBD 장치 제공 정보를 결합하여, 충돌 발생 이전 또는 충돌 발생 이후에 차량의 상태 및 고장코드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하여 실제 긴급 영상을 통해 기록할 구간을 설정한다.
이를 위해 GPS 및 각종 센서는 물론 OBD 장치를 통해, 위치, 방향, 속도, 차량 본체의 기울기, 가속/제동 정보, 차량 고장코드 등을 수집하여 저장한다.
저장된 정보는 실시간으로 주행 방향의 급격한 변화, 차량 자세의 급격한 변화 및 주행 패턴의 급격한 변화 또는 고장코드 발생 여부의 모니터링 및 분석에 활용되고, 분석 결과를 통해, 차량 본체의 급작스런 회전, 감속, 기울어짐, 충격 및 전복 여부는 물론 차량의 이상, 고장 및 충격에 의한 파손 여부를 감지하는데 활용된다.
각 항목의 결과를 종합하여 긴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내부적으로 인지하고, 긴급 상황으로 추정되는 데이터의 지속 여부에 따라 긴급 구간의 시작 및 종료를 판단하여 긴급구간 정보를 추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긴급구간 추출엔진은 블랙박스에 내장된 사고감지 엔진에 긴급상황 발생 여부를 알려주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긴급 구간 유지 중 사고가 인지되면 긴급 구간의 검출 및 검출 결과를 긴급 동영상 생성 모듈에 제공하여, 산출된 긴급 구간에 대해서 긴급 동영상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변 offset 기반의 긴급 동영상 생성 방식을 사용할 경우, 긴급 상황 정보에 대한 누락을 없애야 하는 환경하에서 고정 offset 방식에 비해 훨씬 짧은 길이의 동영상으로 긴급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므로,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경우 훨씬 신속하고 확실하게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서버로 전송된 동영상은 개인 소장 목적 뿐 아니라,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채널 및 동영상을 활용한 소셜 방송 채널을 통해 효과적으로 공유가 가능하므로, 관련 서비스 및 산업에 큰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인 미래창조과학부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의 연구과제 고유번호 1711026393“성장형 소셜 방송을 위한 콘텐츠간 관계정보 자동 생성형 미디어 서비스 기술 개발” 사업의 결과물로서, 주관 기관인 (주)알티캐스트가 지원하였다.
사고 인지 모듈
긴급 구간 추출엔진
긴급 동영상 생성 모듈

Claims (1)

  1. 주행 상황을 고려한 블랙박스 긴급 동영상 추출 장치에 있어서,
    GPS, 센서 및 OBD 장치를 통해, 위치, 방향, 속도, 차량 본체의 기울기, 가속/제동 정보, 차량 고장코드를 수집하여 저장하며, GPS, 모션 센서의 정보, 차량의 주행 상태 및 고장 유무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OBD 장치 제공 정보를 결합하여, 충돌 발생 이전 또는 이후에 차량의 상태 및 고장코드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하여 실제 긴급 영상을 통해 기록할 구간을 설정하는 긴급구간 추출엔진을 포함하며,
    긴급구간 추출엔진은,
    블랙박스에 내장된 사고감지 엔진에 긴급상황 발생 여부를 알려주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긴급 구간 유지 중 사고가 인지되면 긴급 구간의 검출 및 검출 결과를 긴급 동영상 생성 모듈에 제공하는, 블랙박스 긴급 동영상 추출 장치
KR1020170012534A 2017-01-26 2017-01-26 주행 상황을 고려한 블랙박스 긴급 동영상 추출 방법 및 장치 KR20180088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534A KR20180088024A (ko) 2017-01-26 2017-01-26 주행 상황을 고려한 블랙박스 긴급 동영상 추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534A KR20180088024A (ko) 2017-01-26 2017-01-26 주행 상황을 고려한 블랙박스 긴급 동영상 추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024A true KR20180088024A (ko) 2018-08-03

Family

ID=6325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534A KR20180088024A (ko) 2017-01-26 2017-01-26 주행 상황을 고려한 블랙박스 긴급 동영상 추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80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7324A (zh) * 2019-01-25 2019-04-26 南京北斗城际在线信息股份有限公司北京分公司 基于NB-IoT技术的驻停车辆碰撞报警方法
KR20200030708A (ko) * 2018-09-12 2020-03-23 주식회사 이노카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복합 단말기.
CN112857230A (zh) * 2021-01-07 2021-05-28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感应板间距测量系统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708A (ko) * 2018-09-12 2020-03-23 주식회사 이노카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복합 단말기.
CN109677324A (zh) * 2019-01-25 2019-04-26 南京北斗城际在线信息股份有限公司北京分公司 基于NB-IoT技术的驻停车辆碰撞报警方法
CN112857230A (zh) * 2021-01-07 2021-05-28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感应板间距测量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46907A (zh) 车载通知系统
KR20170081920A (ko) 차량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738747B2 (en) Server device and vehicle
KR20180088024A (ko) 주행 상황을 고려한 블랙박스 긴급 동영상 추출 방법 및 장치
KR101385299B1 (ko) 불법행위 신고용 스마트 블랙박스 시스템
US20180316901A1 (en) Event reconstruct through image reporting
JP2019197525A (ja) ドライブレコーダ情報提供システム、ドライブレコーダ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188645B (zh) 用于车载场景的人脸检测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JP202400911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2129173B1 (ko) 사고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87656B1 (ko) 단말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 박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130057265A (ko) 스마트폰용 블랙박스 영상 제보 시스템 및 방법
US20230083156A1 (en) Surveillance system, surveillance apparatus, surveillan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429844B1 (ko)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2067547B1 (ko) 이동통신단말 및 건물 cctv카메라 간의 통신연결 및 영상분석 기반의 주변차량 위험상황 감지 및 방법
CN113808397A (zh) 非机动车事故的数据处理方法、装置和云端服务器
CN112106135B (zh) 信息收集装置
CN104050812A (zh) 基于虚拟化边界与车牌识别技术的安全警戒方法
KR20160097838A (ko) 녹화 영상 수집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5914A (ko) 멀티-모달 데이터 융합을 통한 위험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633147B1 (ko) 에지-클라우드 플랫폼 시스템
KR101593751B1 (ko) 데이터 저장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20150029437A (ko) 블랙박스시스템
CN114724373B (zh) 交通现场信息获取方法和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067553B1 (ko) 셀룰러 네트워크 기반 이동통신단말로의 건물cctv 영상 전송을 활용한 상황 전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