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870A - 골재생용 세포 치료제 및 이것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골재생용 세포 치료제 및 이것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870A
KR20180087870A KR1020180009202A KR20180009202A KR20180087870A KR 20180087870 A KR20180087870 A KR 20180087870A KR 1020180009202 A KR1020180009202 A KR 1020180009202A KR 20180009202 A KR20180009202 A KR 20180009202A KR 20180087870 A KR20180087870 A KR 20180087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bone
differentiated
mesenchymal stem
undifferenti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1740B1 (ko
Inventor
박현숙
이순례
이종민
박장미
추설
모현정
Original Assignee
(주)세포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포바이오 filed Critical (주)세포바이오
Priority to PCT/KR2018/00111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39869A1/ko
Publication of KR20180087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5Fat tissue; Adipocytes; Stromal cells; Connective tiss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1Umbilical cord; Umbilical cord blood; Umbilical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4Ovaries; Ova; Ovules; Embryos; Foetal cells; Germ cells
    • A61K35/545Embryonic stem cells; Pluripotent stem cell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Uncharacterised stem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에서 유래된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 및 미분화된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를 특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골 질환 치료용 세포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미분화 세포에 대하여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를 0.5 내지 1.5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미분화 세포가 혈관형성을 촉진함으로써 골재건 또는 골 형성을 촉진시킴으로써 골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세포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재생용 세포 치료제 및 이것의 제조 방법{Cell Therapy for bone regener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탯줄유래 미분화 간엽줄기세포 및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에서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를 혼합한 골 질환 치료용 세포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3차원 환경에서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를 골세포로 분화시킴으로써 세포 치료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의료기술은 인간의 세포와 조직 또는 장기를 대체 또는 재생시켜서 원래의 기능으로 회복 또는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을 재생의학이라고 일컫는다. 재생의학은 기존에는 회복이 불가능했던 조직이나 장기의 고유 회복 메커니즘을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손상된 조직을 교체함으로써 손상된 부위를 재생시키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 신체가 스스로 치유할 수 없는 조직 또는 장기를 실험실에서 배양하여, 이를 신체 내로 안전하게 이식하거나 주입하는 시도를 포함한다. 재생의료에 기반한 치료법으로서 난치성 질환에 대한 치료방법으로 줄기세포의 자기복제능력 및 분화능력을 이용한 줄기세포치료제가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사용되는 세포의 기원, 유래 부위, 배양 정도, 분화 정도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된 위험요소로 인하여 안전성 및 유효성에 대한 기준이 엄격하여 인허가에 어려움이 있으나 차세대 치료제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여 노령인구가 증가하면서 골 결손 치료제의 시장규모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골 결손은 골절에 의하여 흔히 발생하며 원래의 조직으로 재생되므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당뇨병 등의 병인에 의한 골 결손 또는 광범위한 골 결손은 기존의 치료법으로는 완치가 어렵다. 특히 광범위한 골 결손은 외상이나 종양 등의 결과로 발생하는데 결손을 치료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1년에 1만건에 가까운 재건 수술이 행하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골 결손 질환에 대한 기존의 주요 치료 방법은 골 결손 부위에 골 조직을 직접 주입 또는 이식하거나 골대체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가 골이식술, 이종 또는 동종 골 이식술이 발달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자가 골 이식의 경우, 골 형성 측면에서는 효과적이나 공급에 한계가 있고 채취 부위의 손상을 가져오는 문제가 있으며, 이종 골 이식술의 경우, 질병의 전염, 감염의 위험이 있으며, 인조 골의 사용은 골전도성은 좋으나 골유도성은 제한되어 있다.
한편, 자가 골대체제로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등의 골전도(osteoconduction) 물질 및 공기질과 같은 골유도(osteoinduction) 물질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는 무기질 성분의 생리활성 세라믹으로 생체적합성이 좋고 생체친화성이 높아 골전도도 유발하고 직접적으로 골과 합해지는 골대체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들은 작은 크기의 한정된 공간의 결손을 채우는데 효과적이지 광범위한 결손이나 혈관공급이 충분하지 않은 부위의 결손을 치유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골형성 단백질(BMP: Bone Morphogenetic Protein)를 이용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으나 종양형성의 위험으로 인하여 점차 사용이 감소되고 있고 청소년 및 유아 등의 특정 연령대에서 사용이 금지되기도 하였다.
이에 최근 조직공학과 재생의학의 발달에 의하여 손상된 조직과 장기를 치료할 수 있는 종래와는 다른 치료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 제일 각광을 받는 것이 간엽줄기세포에 의한 세포치료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4142호
기존의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는 자가이식인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자가이식에 의한 세포치료제는 단가가 높아서 실제 대중적으로 상용화되기에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자가이식 줄기세포치료제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골질환의 치료는 혈액순환이 좋은 경우 치료 예후가 더욱 향상되는 경향이 있는데 기존의 골질환 치료용 줄기세포치료제에서는 혈액순화 및 혈관유도에 대한 부분이 고려되지 않아 골재생 및 치료효과가 줄기세포가 포함되지 않는 기존 치료법에 비해 월등하지 않아 광범위 골결손이나 무혈성괴사와 같은 골 관련 질환의 치료법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3차원적 환경에서 줄기세포를 배양 및 분화시킴으로써 혈관유도물질 분비가 우수한 미분화세포와 분화기간을 단축하고도 우수한 골재생능을 가진 분화세포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2차원적 환경에서의 골세포 분화 기술은 간엽줄기세포로부터 분화 시간이 대략 3주 내지 6주가 소요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단기간 내에 충분한 양의 골세포 확보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임상 치료에 적용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다량의 세포를 얻기 위하여 3차원적 환경에서 1주일 이내에 분화를 완성할 수 있는 기술을 이용하여 줄기세포를 신속하게 배양 및 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포치료제 기술은 골결손 부위에 주입시 골결손 부위에 안착하여 새로운 골 및 연골을 생성하고 주변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골결손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혈관유도능이 우수한 미분화된 세포와 신생 골생성에 유리하도록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를 모두 포함하며, 특히 사용시 현장에서 즉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종이식 방식을 토대로 혈관유도 및 골재생능이 뛰어난 골 질환 치료용 세포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골재생 효과가 우수한 골세포 치료제를 개발함에 있어서, VEGF와 같은 혈관유도인자 분비능이 좋은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를 기초로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와 분화되지 않은 줄기세포를 적정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우수한 골재생 효과가 나타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히, 본 발명은 3차원적 환경에서 줄기세포를 초기 분화시켜 세포치료제를 제조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탯줄유래 미분화 간엽줄기세포 및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에서 유래하여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를 0.5 내지 1.5 비율로 혼합하여 구성되는 골 질환 치료용 세포 치료제를 제공한다.
상기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는 골아전구세포(preosteoblst) 또는 미성숙 골아세포(immature osteoblas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는 하이드로겔을 기반으로 구성된 3차원적 환경에서 약 5일 이하로 분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는 CD 73 마커의 발현이 미분화 간엽줄기세포에 비하여 10% 이하 감소되고,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의 발현이 미분화 간엽줄기세포에 비하여 10% 이상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포치료제는 상기 미분화 간엽줄기세포 및 상기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를 각각 별도로 동결보존한 상태에서 보관 및 이동하고, 사용시에 상기 미분화 세포와 상기 분화 세포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포치료제는 이식된 골 결손 부위에서 약 1달 내지 약 2달 동안 안착되어 골재생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골질환 치료용 세포 치료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a)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를 항온 배양기에서 3 내지 4일간 배양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배양된 세포로부터 일부를 분획하여 3차원적 환경에서 약 5일 이하로 골분화 유도시키는 단계;
(c) 상기 (a) 단계에서 배양된 미분화 세포 및 상기 (b) 단계에서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를 각각 별개로 동결보존시키는 단계; 및
(d) 필요한 때에 상기 동결보존된 미분화 세포 및 상기 동결보존된 골세포로초기 분화된 세포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미분화 세포에 대하여 상기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를 0.5 내지 1.5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b) 골분화 유도 단계의 3차원적 환경은 하이드로겔을 기반으로 조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치료제는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에서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 및 탯줄유래 미분화 간엽줄기세포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골 질환 부위에서 골 재생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는 골조직 신생(osteogenesis)을 유도하고, 상기 분화되지 않은 줄기세포는 혈관신생(angiogenensis)을 유도함으로써, 두 종류의 서로 다른 성질의 세포를 혼합함으로써 골재건을 매우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포치료제는 자가이식이 아닌 동종이식 방법이므로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간엽줄기세포라는 세포 또는 조직을 재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원료 입수가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3차원적 골분화 방법은 5일이하동안 간엽줄기세포로부터 골세포로 분화가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의 4 내지 6주의 기간이 필요한 2차원적 골분화 방법에 비하여 제조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3차원적 환경에서 간엽줄기세포를 배양 및 분화시키는 방법은, 실험실적인 환경이 아니라, 인체내에서 세포의 배양 및 분화 환경과 매우 유사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와 미분화된 줄기세포 모두에서는 2차원적 환경에서 배양 또는 분화된 세포에 비하여 친생체적인 물질을 분비하게 됨으로써 세포치료제로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치료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치료제는 혈관생성능이 우수한 미분화 간엽줄기세포와 골분화능이 우수한 골세포로 분화된 간엽줄기세포의 양자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3차원 환경에서 분화되지 않은 간엽줄기세포가 혈관생성능을 제공하고, 3차원 환경에서 분화시킨 골세포로 분화된 간엽줄기세포는 골분화능을 제공함으로써, 우수한 골재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개념이다. 또한,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치료제를 골질환 부위에 적용한 후 골재생 정도를 확인하 X-선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다양한 유래의 간엽줄기세포의 골분화능에 대한 비교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골수유래 간엽줄기세포(BMMSC), 지방유래 간엽줄기세포(ADMSC),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UCMSC), 배아유래 간엽줄기세포(ESMSC) 및 치주인대세포(PDL)에서 골분화 유도 정도를 측정하였다.
도 3은 다양한 간엽줄기세포의 혈관성장인자 분비 정도 및 혈관형성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및 이미지이다. 도 3(a)는 골수유래 간엽줄기세포(BMMSC), 지방유래 간엽줄기세포(ADMSC),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UCMSC), 치주인대세포(PDL)에서 VEGF의 분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b)는 골수유래 간엽줄기세포(BMMSC), 지방유래 간엽줄기세포(ADMSC),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UCMSC), 치주인대세포(PDL)에서 혈관형성이 유도된 정도를 보여주는 F-액틴 형광 이미지이다.
도 4는 탯줄유래 간엽줄기 세포에서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와 분화되지 않은 줄기세포 혼합율에 따른 알칼리 포스파타제 활성(Alkaline Phosphatase activity)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a)는 분화된 세포를 기준으로 미분화 세포의 비율을 증가시키면서 그 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b)는 미분화 세포를 기준으로 분화된 세포의 비율을 증가시키면서 그 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쥐의 정강이뼈 1.5mm 부분 골결손 모델 시험의 골재생 결과를 보여주는 X-선 이미지이다. 3종의 실험군은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UCMSC)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각각 분화되지 않은 줄기세포(undiff),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diff), 그리고, 분화되지 않은 줄기세포와 분화된 세포의 혼합군(mix)을 주입후 1일, 2주, 5주차에 찍은 이미지이다.
도 6은 쥐의 두개골 4mm 골결손 모델 시험의 골재생 결과를 보여주는 CT 이미지이다. 상측 도면은 지방유래 간엽줄기세포(ADMSC)를 사용한 것으로서, 각각 분화되지 않은 줄기세포(undiff),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diff), 그리고, 분화되지 않은 줄기세포와 분화된 세포의 혼합군(mix)이다. 하측 도면은 탯줄유래간엽줄기세포(UCMSC)에서 유래한 세포를 사용한 것이며, 각각 분화되지 않은 줄기세포(undiff),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diff), 그리고, 분화되지 않은 줄기세포와 분화된 세포의 혼합군(mix)이다.
도 7은 대퇴골 1.5cm 결손 염소 모델 시험에서의 골재생 결과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좌측 도면들은 통상의 골대체제(exelos)를 이용한 치료결과이고, 우측 도면들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치료제(smart cell bone)과 골대체제(exelos)를 이용하여 치료한 결과이다. 최상측 도면은 염소의 대퇴골을 발골하여 외관을 찍은 사진이며, 중간 도면은 마이크로 CT를 사용하여 골재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험부위의 대퇴골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아래 도면은 골결손 부위의 골재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험부위의 단면을 촬영한 이미지로 칼슘이 침착된 정도를 보여준다.
도 8은 분화 경과에 따른 간엽줄기세포의 마커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VEGFR-2, CD73, OSP 마커가 분화 0일(미분화), 분화 3일, 분화 5일차에 발현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도 9는 동물에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치료제를 처리하고 이식된 세포가 호스트 조직에서 안착하여 유지되는 기간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결과를 보여준다. 좌측은 지방세포 유래 간엽줄기세포의 미분화 및 분화 세포를 혼합한 것이고, 우측은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의 미분화 및 분화 세포를 혼합한 것에 대한 결과이다. 상부의 이미지는 신생 콜라겐 형성 정도를 측정한 것이며, 하부의 이미지는 인간유래 세포(즉, 핵)에 특이적인 표지자의 형광염색 결과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골 질환(bone disease)”이란 골(bone, 骨, 뼈)에 손상이 생겨서 뼈의 구성 및 밀도가 변화하고 골절이 일어나기 쉬운 상태를 의미한다. 골은 골격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신체내 가장 단단한 조직으로서, 근육의 지렛대로 사용되고 내부의 장기를 보호할 뿐 아니라 칼슘, 마그네슘과 같은 미네랄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골 질환은 대부분 골절과 같은 외상, 또는 무혈성 괴사, 골다공증과 같은 대사성 질환에 의하여 발생하며, 원인과 관계없이 신체의 기계적 지지에 문제가 생겨 운동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기관절의 형성 등으로 지속적 통증을 유발한다. 본 명세서에서 골 질환은 골다공증, 골괴사증, 가관절증, 파제트병 및 골형성부전증을 포함한다.
상기“골다공증(osteoporosis)”이란 골의 양이 감소하고 질적인 변화로 인해 골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의미하며, 주로 유전, 조기폐경, 과도한 식이요법, 스테로이드 약제 등이 주원인이 된다.
상기 “골괴사증(ostenonecrosis)”이란 허혈성 괴사증, 무혈성 괴사증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혈액순환의 장애로 산소나 영양공급이 차단되어 골 조직이 사멸되는 통증성 질환이며, 모든 골에서 발생되지만 주로 고관절에서 진행되고, 심한 경우 관절염으로 진행된다.
상기 “가관절증(pseudoarthrosis)”이란 부러진 뼈가 치유되는 과정에서 완전히 아물지 못하여 부러진 부분이 관절과 같은 역할을 하는 상태로 골절된 부분에 골성유합이 일어나지 않고 단순한 결합 조직성으로 연결되는 질환이다.
상기 “파제트병(Paget’s disease)”이란 노년기의 골 재형성 과정에서 생기는 대사성 장애로 광범위한 부위의 골격계가 침범되는 국소성 골 질환으로 골 형성이 모자이크상으로 일어나 섬유화와 혈관신생을 동반하고 기형과 종창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골형성부전증은 특별한 원인없이 뼈가 약하여 재채기를 하거나 가볍게 부딪치는 행동만으로도 골절되는 선천성 희귀 유전질환이다.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 MSC)”란 중배엽으로부터 직접 유래되며, 간엽 조직, 치아 조직, 연골, 힘줄, 골수 기질 또는 근육 등의 세포를 형성하는 증식성 전구 세포 또는 부분 분화된 세포를 의미한다. 간엽줄기세포는 골수, 골막, 해면질 골, 지방, 활액막, 평활근, 폐, 유치, 제대혈 그리고 제대에서 얻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화(differentiation)"는 세포가 분열 증식하여 성장하는 동안에 서로 구조나 기능이 특수화하는 현상, 즉 생물의 세포, 조직 등이 각각에게 주어진 일을 수행하기 위하여 형태나 기능이 변해가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개체발생에서 처음에 동질적이었던 알 부분 사이에 머리나 몸통 등의 구별이 생기거나 세포에도 근세포라든가 신경세포 등의 구별이 생기는 것과 같이 처음에 거의 동질이었던 어떤 생물계의 부분 사이에 질적인 차이가 생기는 것, 또는 그 결과로서 질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부분계로 나누어져 있는 상태를 분화라고 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화된 세포(differentiated cell)”는 줄기세포가 특정 기능을 가지는 세포로 방향성을 가지고 발달하는 세포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미분화 세포(undifferentiated cell)”는 줄기세포로서 자가증식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분화조건에 따라 특정기능을 가진 세포로 발달할 수 있는 잠재가능성을 가졌으나,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의 세포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는 줄기세포에서 골세포로 분화되는 골형성(bone development, osteogenesis) 단계에 있는 골아전구세포(pre-osteoblast), 미성숙 골아세포(immature osteoblast), 성숙 골아세포(mature osteoblast) 그리고 골세포(osteocyte)으로 점차 분화되면서 골세포를 형성하는 세포를 의미한다. 줄기세포에서 골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골원성 세포의 특징적인 인자들이 발현되기 시작한다. 예를 들면, 골세포로 분화되면, 간엽줄기세포에 의해 발현되는 골아세포 분화의 초기 표식이 되는 알칼리 포스파타제 수준이 증가된다. 도 4(a) 및 도 4(b)의 그래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미분화 줄기세포와 골세포로 분화된 줄기세포를 혼합하여 제조된 조성물에 있어서 그 혼합 비율에 따라 알칼리 포스파타제 발현의 양이 달라진다. 이는 골 세포로의 분화 정도가 그 미분화 줄기세포와 골세포로 분화된 줄기세포의 혼합비에 따라 달라짐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CD73는 골분화가 진행될수록 발현이 줄어들게 되고,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sp)은 골형성이 진행될수록 발현이 증가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VEGFR-2는 혈관생성인자 혈관유도인자 VEGF 리셉터로서 골분화 유도시 감소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골질환 치료용 세포 치료제 및 이것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간엽줄기세포에서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 및 미분화된 간엽줄기세포를 특정 비율로 혼합하여 포함하는 골질환 치료용 세포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치료제 개념은 도 1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포치료제는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간엽줄기세포 및 미분화된 간엽줄기세포를 함께 포함함으로써 혈관생성의 유도를 통하여 골재생능을 향상시킨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줄기세포는 주입된 체내에서 유실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골분화가 이루어져 완전한 골세포로 형성되도록 상기 미분화된 줄기세포가 혈관생성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줄기세포를 이용한 골 재생 방식에 있어서, 혈관생성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골세포로 분화는 되지만, 혈관형성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이식된 세포는 생존하지 못하고 결국 괴사에 이르게 된다. 본 발명은 골세포로 분화된 줄기세포에 혈관생성 유도능이 탁월한 미분화된 줄기세포를 추가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주입된 줄기세포가 안정적으로 안착하여 골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치료제는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UCMSC)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는 세포증식 정도가 우수하고, 별도의 수술 없이 충분한 양을 확보할 수 있으며, 혈관유도인자를 다량 배출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골수유래 간엽줄기세포(BDMSC), 지방유래 간엽줄기세포(ADMSC), 배아줄기세포유래 간엽줄기세포(ESMSC) 또는 치주인대세포(PDL)에 비하여,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UCMSC)는 골분화 정도가 우수하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골수유래 간엽줄기세포(BDMSC), 지방유래 간엽줄기세포(ADMSC), 또는 치주인대세포(PDL)에 비하여,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UCMSC)가 혈관형성능이 훨씬 우수하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 다양한 간엽줄기세포 중에서도 골재생능과 혈관생성능이 가장 우수한 탯줄유래줄기세포가 선택되어 본 발명의 세포치료제의 원료로 사용되게 된다.
본 발명의 세포치료제에 사용되는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는 골세포 분화 단계에서도 초기 유도된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는 골아세포(osteoblast) 단계 이전의 세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골아전구세포(pre-osteoblast) 또는 미성숙 골아세포 (immature osteoblast)를 일컫는 것이다. 상기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는 CD 73 마커의 발현이 미분화 간엽줄기세포에 비하여 10% 이하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sp)의 발현은 미분화 간엽줄기세포에 비하여 10% 이상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는 3차원적 분화 방식에 의하여 약 5일 이하로 분화시킨 것이 바람직하며, 약 3일 분화시킨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는 우수한 골분화 유도능을 갖는다. 도 2의 그래프는 다양한 간엽줄기세포를 알리자린 레드(Alizarin red) 염색약으로 염색 후 550 nm에서 그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발색정도를 보여준다. 골수유래 간엽줄기세포(BMMSC), 지방유래 간엽줄기세포(ADMSC),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UCMSC), 배아줄기세포유래 간엽줄기세포(ESMSC) 및 치주인대세포(PDL)에서 모두 골분화 유도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의 골분화 유도능이 우수하였다.
한편, 상기 미분화된 세포는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등을 다량 분비함으로써 골재생에 중요한 신생혈관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도 3(a)에서는 다양한 간엽줄기세포의 미분화세포에서 혈관유도인자로 알려진 VEGF의 분비량을 측정함으로써 줄기세포 유래 미분화된 세포의 혈관생성유도능을 확인할 수 있다. 골수유래 간엽줄기세포(BMMSC), 지방유래 간엽줄기세포(ADMSC),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UCMSC), 배아줄기세포유래 간엽줄기세포(ESMSC) 및 치주인대세포(PDL)에서 모두 혈관생성유도능을 나타내고 있지만,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에서 가장 높은 분비량을 나타내어 혈관성장 및 유도 기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b)의 형광 이미지를 통하여 다양한 간엽줄기세포들의 혈관유도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그 중에서도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의 혈광생성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도 8에 따르면, 간엽줄기세포가 분화되면 VEGFR-2의 발현이 줄어듬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이는 간엽줄기세포가 분화되면 혈관내피성장인자 VEGF가 감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포 치료제에서 탯줄유래 미분화 간엽줄기세포가 혈관생성을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분화된 세포에 대하여 상기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를 0.5 내지 1.5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이란 세포의 수를 기준으로 계수된 것이다. 상기 미분화된 세포에 대하여 상기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를 0.5 내지 1 미만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미분화된 세포에 대하여 상기 분화된 세포를 1 대 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분화된 세포와 미분화된 세포의 적정 비율을 발견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를 미분화된 세포에 대하여 그 비율을 달리하면서 혼합한 후 알칼리 포스파타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분화된 세포를 기준으로 미분화된 세포의 비율을 일정하게 증가시킨 후 알칼리 포스파타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미분화 세포의 함량을 증대시켜도 알칼리 포스파타제 활성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a). 따라서 미분화 세포의 함량이 증가한다고 하더라도 미분화 세포가 분화세포의 알칼리 포스파타제 활성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미분화된 세포를 기준으로 분화된 세포의 비율을 일정하게 증가시킨 실험의 경우, 분화된 세포가 미분화된 세포에 대하여 그 비율이 1 대 1인 경우가 가장 활성이 높았고, 0.5 내지 1.5까지는 활성이 어느 정도 우수하였다. 그러나, 그 비율이 1.5 이상인 경우는 분화세포의 부착율 저하로 분실세포가 많아져서 알칼리 포스파타제의 활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도 4b). 한편, 그 비율이 0.5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의 양이 적어서 골분화 유도효과를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에 활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치료제는 골결손 부분에서 우수한 골 재생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효과는 동물모델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i)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만을 주입한 경우, (ii) 미분화 세포만을 주입한 경우 그리고 (iii)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 및 미분화 세포를 함께 혼합하여 주입한 경우의 3가지 그룹을 비교실험하였다. 도 5에서는 쥐(rat)의 정강이뼈(tibia) 골결손 모델에 탯줄유래 줄기세포(UCMSC)에서 얻은 세포를 사용하여 골재생 정도를 실험하였다. 확실히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와 미분화된 세포를 함께 혼합한 경우(도5의 (iii))가 골재생 효과가 뛰어났다. 또한 도 6에서는 쥐의 두개골(calvaria) 골결손 모델에 대하여 탯줄유래 줄기세포(UCMSC)에서 얻은 각각 3가지 대조군을 비교실험하였다. 이 실험에서도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와 미분화세포를 혼합한 경우(도 6의 (iii))가 골재생 효과가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세포치료제는 이식된 골결손 부위에서 약 1달 내지 2달간 안착되어서 골재생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도 9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골질환 치료용 세포 치료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치료제의 제조방법은 3차원적 환경에서 간엽줄기세포를 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3차원적 환경은 하이드로겔에 의하여 조성되고, 상기 하이드로젤은 실제 생물체 내 환경의 모사를 가능하게 해준다. 상기 하이드로젤로서 폴록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치료제의 제조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a)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를 항온 배양기에서 배양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배양된 세포로부터 일부를 분획하여 3차원적 환경에서 약 5일 이하로 골분화 유도하는 단계;
(c) 상기 (a) 단계에서 배양된 미분화 세포 및 상기 (b) 단계에서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를 각각 별개로 동결보존시키는 단계; 및
(d) 필요한 때에 상기 동결보존된 미분화 세포 및 상기 동결보존된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를 혼합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a) 단계는 줄기세포를 37℃, CO2 에서 증식 배양하는 단계로서, (a) 단계에서는 줄기세포의 분화는 일어나지 않으며, 미분화 상태의 세포를 안정적으로 보존하기 위하여 (a) 단계의 세포 중 일부를 동결보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b) 단계는 (a) 단계에서 배양된 세포 중 일부 분획된 세포를 골세포로 분화 유도시키는 단계이다. 기존의 골분화 단계는 세포배양 용기에 줄기세포를 접종하고 골분화 유도를 위한 전처리 배지에서 세포 밀도가 85~90% 정도일 때 골분화 유도배지로 교환하고 4주에서 8주동안 골분화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b) 골분화 단계에서는 하이드로겔을 기반으로 하는 3차원 골분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간엽줄기세포의 골분화기간을 약 7일 이하로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b) 단계에서의 골분화는 약 5일 이하가 바람직하다. 특히, 약 5일 간의 골분화 유도 기간은 줄기세포가 골세포로 완전 분화되는 것이 아니라 초기 골세포로의 분화에 그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치료제의 구성성분으로서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는 완전 분화가 아닌 초기 분화 단계의 세포가 바람직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골세포 분화 시간은 완전 분화 시간보다 짧아야 한다. 이러한 상기 (b) 단계의 골분화 유도에 따라 간엽줄기세포는 골분화 단계의 초기 세포인 골아전구세포 또는 미성숙 골아세포로 분화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미분화 세포와 상기 분화된 세포를 각각 동결보존하는 것으로서, 필요한 때에 상기 동결보존된 세포를 해동하여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d) 단계는 미분화 세포와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미분화 세포에 대하여 상기 분화된 세포를 0.5 내지 1.5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미분화된 세포에 대하여 상기 골세포로 분화된 세포를 0.5 내지 1 미만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미분화된 세포에 대하여 상기 분화된 세포를 1 대 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간엽줄기세포의 배양
각 조직(골수, 탯줄, 지방, 치아)에서 분리 및 배양된 간엽줄기세포와 배아줄기세포유래 간엽줄기세포 계대1을 해동하여 모든 실험에 사용하였다. 해당 간엽줄기세포들은 37℃ 5% CO2조건에서 CEFOgro™시리즈 배지 중 각 조직유래 세포에 적합한 배양 배지를 이용하여 계대 배양하였으며, 세포는 6,000 cells/cm2로 접종하여 4일간 배양하였다. 이틀에 한 번 간격으로 배지를 새로 교환하였고 90~95%의 confluency를 나타내면 계대 배양하여 세포를 유지하였다.
골분화 ( Osteogenic Differentiation) 의 유도
골분화 유도를 위하여 동결보존된 4계대의 탯줄 유래 간엽 줄기세포(UCMSC)를 해동하여 T75 배양용기(Nunc)에서 골분화 전처리 배지(CEFO, Korea)로 6계대까지 배양하였다. 배양된 계대6의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하고 0.25%의 트립신을 5분간 처리하여 배양면과 분리시켰다. 분리된 세포를 15mL tube에 포집하고 1500rpm으로 3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포집된 세포를 골분화 전처리 배지로 고르게 풀어 세포를 계수하였다.
12well-Transwell(Corning Co.)의 폴리머막 위에 하이드로겔(SIGMA, Germany) 250ul를 도포하여 약 0.3~0.5mm 두께가 되도록 1시간 30분 동안 세포배양기에 넣고 37℃에서 방치하여 졸 상태의 하이드로겔을 겔 상태로 만들었다. 겔 처리가 완료된 배양용기를 꺼내 처리된 하이드로겔 위에 용량이 250ul가 되도록 배지를 첨가하고 세포를 130,000 cells/cm2씩 접종하였다. 폴리머막 외부의 well에는 1.5mL씩 골분화 전처리 배지로 채우고 24시간 동안 세포가 안정화되도록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접시를 꺼내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골분화 유도 배지(CEFOgro™ DM Osteo, CEFO Co.)로 교체하였다. 골분화 유도 처리가 완료된 배양접시는 37℃ 5% CO2조건의 배양기에 넣고 3일간 분화시켰다.
골분화 유도능의 분석
골수유래 간엽줄기세포(BMMSC), 지방유래 간엽줄기세포(ADMSC), 탯줄유래 간엽줄기(UCMSC), 배아줄기세포유래 간엽줄기세포(ESMSC), 치주인대세포(PDL) 5가지 세포를 이용하여 골분화를 유도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침착된 칼슘을 염색할 수 있는 Alizarin Red S. 염색법을 이용하였다.
대조군은 실험군의 세포 접종 및 총 배양기간과 같은 조건은 동일하나 분화 유도 배지를 처리하지 않고 골분화 전처리 배지만을 사용하였다. 서로 다른 조직 유래의 각 세포는 T75 배양용기에서 6계대까지 배양 후 사용하였다. 골분화 유도를 위해서 최소 1시간 30분 전에 하이드로겔(SIGMA, Germany)을 도포하여 겔 상태로 굳은 채로 준비된 배양접시에 각각의 세포를 20,000 cells/cm2로 접종하고 골분화 전처리 배지로 채워 세포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접시를 꺼내 골분화 전처리 배지를 골분화 유도 배지로 교체하였다. 골분화 유도배지 처리가 완료된 배양접시는 세포배양기에 넣고 2일 간격으로 골분화 유도 배지를 교체하였고, 실험조건에 따라 골분화 유도를 3,5,7일 동안 진행했다.
Alizarin Red Staining 키트(CEFO, Korea)의 사용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화 유도된 세포들은 각각 PBS로 2회 세척하고 4℃ 냉장시킨 70% 에탄올로 10분간 고정하였다. 3차 증류수로 에탄올을 제거한 표면에 SolⅠ으로 빛을 차단한 상태로 20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키고 Sol1용액을 제거하였다. Sol1용액을 SolⅡ 용액으로 3회 세척하여 완전히 제거 후 SolⅢ 용액 100ul를 처리하여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이 완료된 SolⅢ용액을 각각 96well plate에 100ul씩 옮겨 담고 55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5가지 실험군 중 탯줄유래 중간엽 줄기세포(UCMSC)에서 무기질침착(칼슘침착) 정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관형성능의 분석
다양한 간엽줄기세포의 신생 혈관 형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인간탯줄정맥유래 내피세포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를 이용한 혈관 튜브 형성 실험을 실시 하였다. 골수유래 간엽줄기세포(BMMSC), 지방유래 간엽줄기세포(ADMSC),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UCMSC), 치주인대세포(PDL)를 25,000cells/㎠로 접종하고, 인간 탯줄정맥유래 내피세포는 폴리머막(12mm Transwell)을 이용하여 배양 하였다. 간엽줄기세포는 폴리머막 (12mm Transwell)을 경계로 하여, 두 세포가 직접적인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1일간 공배양 하였다. 대조군은 막 (12mm Transwell)을 이용하여 탯줄정맥유래 내피세포을 단독 배양 하였으며, 음성대조군은 혈관유도인자인 VEGF를 처리하지 않고 배양하였고 양성대조군은 VEFG 20ng/ml을 처리하여 혈관형성을 유도하였다.
1일간 배양된 각각의 세포는 2% 포름알데히드에 5분간 고정하였고 PBS로 세척한 후 F-actin염색을 위하여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로 표지된 phalloidin (Sigma) 염색법을 실시하여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과를 나타내었다.
VEGF의 분비량 확인
간엽줄기세포에서 혈관내피세포증식인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의 분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VEGF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실시 하였고, ELISA kit (R&D Systems, Minneapolis, MN, USA)를 사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포 수를 25,000cells/㎠ 로 접종하고, 골수유래 간엽줄기세포(BMMSC), 지방유래 간엽줄기세포(ADMSC),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UCMSC), 치주인대세포(PDL)를 24 well 배양 접시에 1일 배양 하였다. 1일 간 배양한 배양액만을 채취하여 VEGF ELISA를 수행 하였고, 그 결과를 도 3a에 나타내었다.
알칼리 포스파타제 활성의 분석
골분화 유도된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와 미분화 탯줄 유래 간엽줄기세포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골결손 부위에 투여하였을 때, 골분화 표지인자인 알카라인 포스파타아제(ALP)의 발현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비율을 찾고자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kit(GeneTex, USA)를 이용하여 ALP activity 확인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세포는 UCMSC로 계대7에서 골분화 전처리 배지(CEFO, Korea)로 배양한 UCMSC(미분화)와 폴리머막에서 5일간 골분화 유도 배지를 처리한 골분화 유도 세포(분화)이다. 이 두 세포를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눠 실험을 진행했다. 도 4a는 분화 세포 38,000cells을 1로 두었을 때, 미분화 세포의 비율을 0~2로 0.5씩 증가시켰고 반대로 도 4b에서는 미분화 세포를 1로 고정하고 분화세포의 비율을 0~2로 0.5씩 증가시켜 분석하였다.
UCMS 혼합비율 a b c d e
분화(고정):미분화 1:0 1:0.5 1:1 1:1.5 1:2
미분화(고정):분화 1:0 1:0.5 1:1 1:1.5 1:2
즉, 상기 표와 같은 비율로 분화와 미분화 세포를 혼합하였고 이를 각 24well 배양용기에 n=3이 되도록 3개 well씩 접종하여 24시간 부착시켰다. 부착이 완료된 배양접시는 ALP activity kit가 제공하는 실시방법에 따라 ALP 활성을 확인하였다.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하고 분석용 버퍼로 400ul로 부착된 세포를 모두 녹인 후, 1.5ml 튜브에 용해액 400ul를 수집하였다. 이를 13,000g에서 3min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으로 ALP activity 분석을 진행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분석 플레이트는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결과는 도 4a와 도 4b에 나타내었다.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한 세포표면발현 표지자 분석
CEFOgro™ UCMSC (CEFO Co.,Korea)배지로 37℃, 5% CO2조건하에 배양된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와 3차원 골분화 방식이 적용된 골분화 유도세포를 포집하여 각각의 세포를 4℃의 차가운 2% 알부민이 포함된 포스페이트 버퍼 살린으로 (PBS)로 2회 세척하여 샘플을 준비하고 VEGFR-2 (SantaCruz), CD73 (Merck-Millipore), OSteopontin(OSP, R&D system) 항체로 1시간 동안 4℃에서 반응시켰다. 그 후 2% 알부민이 포함된 PBS로 2회 세척하고 488nm에서 확인가능한 FITC로 표지된 항마우스 2차 항체와 30분동안 반응시켰다. PBS로 2회 세척 한 후 2% 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하고 유세포분석기(FACS Calibur, BD science)로 읽고 CellQuest Pro (BD scienc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8).
세포치료제 제조 방법
(i) 미분화 세포의 제조: 동결 보관된 UCMSC를 해동하여 골분화 전처리 배지에서 2회 계대 배양한 후, 세포를 계수하여 배양접시에 8,000cells/cm2 로 접종하여 4일간 세포를 배양하여 펠렛을 얻었다. 이를 미분화 UCMSC 전용 무이종성 동결보존액(CEFO Co., Koera)으로 1x107cells/mL의 농도가 되도록 부유시켜 1mL씩 저장용기에 담아 -196℃에서 질소 저장 탱크에서 보관하였다.
(ii) 분화 세포의 제조: 동결 보관된 UCMSC를 해동하여 골분화 전처리 배지에서 2회 계대 배양한 후, 적어도 1시간 30분 전에 폴리머막에 하이드로겔을 도포하여 0.5cm 높이가 되도록 겔화시켜 둔 배양용기에 세포를 130,000cells/cm2로 접종하여 37℃ 5% CO2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 후 배양 용기에서 골분화 전처리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골분화 유도배지로 교체하여 3일간 세포를 분화시켰다. 분화가 완료된 세포의 펠렛 모아 골분화 유도세포용 무이종성 동결보존액(CEFO Co., Koera)으로 1x107cells/mL의 농도가 되도록 부유시켜 1mL씩 저장용기에 담아 -196℃ 질소 저장 탱크에서 보관하였다.
(iii) 혼합 단계: 생체 적용시, 보관된 미분화세포와 분화세포를 각각 1 바이알(1x107cells/vial)씩 꺼내 37℃에서 10분동안 해동하여 미분화 세포의 용액을 주사기를 이용하여 분화세포의 바이알에 주입하고 가볍게 흔들어 용액을 일대일 비율로 고르게 혼합되도록 하고 2x107cells/mL 농도가 된 용액을 개체에 주입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쥐 정강이뼈 결손 모델을 이용한 세포치료제 효능 시험
쥐(rat)의 정강이뼈(tibia)를 드릴링하여 1.5mm 부분 골결손 모델을 만들었다. 여기에 3종의 실험군을 구성하여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UCMSC)에서 얻은 세포를 처리하고 7주간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3종의 실험군은 각각 미분화군, 골분화 유도군, 미분화와 골분화 세포 혼합군이다. 골 재생 정도는 X-ray 이미지에 의하여 확인하였다.(도 6)
쥐 두개골 결손 모델을 이용한 세포치료제 효능 시험
쥐의 두개골(calvaria)에 직경 4mm 골결손 모델을 만들었다. 여기에 3종의 실험군을 구성하여 세포를 처리하여 8주간 각 실험군의 골재생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세포는 지방유래 간엽줄기세포(ADMSC) 및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UCMSC)로부터 획득하였다. 3종의 실험군은 각각 미분화군, 골분화 유도군, 미분화와 골분화 세포 혼합군이다. 골재생 정도는 μCT 이미지에 의하여 확인하였다(도 6).
신생콜라겐 생성 및 세포치료제의 조직 대체 확인
쥐 두개골 결손모델을 이용한 세포를 처리하고 8주간 유지한 후 조직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조직을 동결 절편하여 골재생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을 실시하였다.먼저, 신생콜라겐 생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Goldner’s Trichrome Kit (Merck)를 이용하여 염색을 실시하였으며 염색은 Merck사 제공 프로토콜을 따랐다. 염색 완료후 현미경을 이용하여 콜라겐의 생성을 확인함으로써 골재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입된 세포에 의한 골재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는 8주간의 골결손 시험이 완료된 조직의 동결절편을 PBS로 잘 세척한 후 10분간 2% 알부민이 포함된 PBS로 반응시키고 Human Nuclei 항체(Millipore)와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488nm에서 확인가능한 FITC가 표지되어 있는 2차 항체인 항마우스 항체와 30분간 반응시키고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Human Nuclei 발현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주입한 인간유래 세포에 의해 골재생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
염소 대퇴골결손 모델을 이용한 세포치료제 효능 시험
염소의 대퇴골에 1.5cm의 완전 골결손 모델을 제작하고 대조군으로 현재 골치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100% β-TCP로 구성된 ExelOS (인공골대체제)만 처리한 군을 선정하고, 실험군은 ExelOS에 세포치료제 샘플군을 처리하여 봉합한 후 6개월 경과 후 μCT를 찍어 골재생 정도를 확인하였다.(도 7)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탯줄유래 미분화 간엽줄기세포 및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에서 유래하여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를 0.5 내지 1.5 비율로 혼합하여 구성되는 골 질환 치료용 세포 치료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 질환은 골다공증, 골괴사증, 가관절증, 파제트병 또는 골형성부전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치료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는 골아전구세포(pre-osteoblast) 또는 미성숙 골아세포(immature osteoblas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치료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는 3차원적 환경에서 약 5일 이하로 분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치료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는 CD 73 마커의 발현이 미분화 간엽줄기세포에 비하여 10% 이하 감소되고,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의 발현이 미분화 간엽줄기세포에 비하여 10 % 이상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치료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화 간엽줄기세포와 상기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는 각각 별도로 동결보존하고, 필요한 때에 해동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치료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치료제는 이식된 골 결손 부위에서 약 1달 내지 약 2달 동안 안착되어 골재생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치료제.
  8. (a) 탯줄유래 간엽줄기세포를 항온배양기에서 3~4일간 배양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배양된 세포로부터 일부를 분획하여 3차원적 환경에서 약 5일 이하로 골분화 유도하는 단계;
    (c) 상기 (a) 단계에서 배양된 미분화 세포 및 상기 (b) 단계에서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를 각각 별개로 동결보존시키는 단계; 및
    (d) 필요한 때에 상기 동결보존된 미분화 세포 및 상기 동결보존된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를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세포 치료제를 제조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적 환경은 하이드로 겔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미분화 세포에 대하여 상기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를 0.5 내지 1.5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골세포로 초기 분화된 세포는 CD 73 마커의 발현이 미분화 간엽줄기세포에 비하여 10 %가 감소되고,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의 발현이 미분화 간엽줄기세포에 비하여 10 % 이상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0009202A 2017-01-25 2018-01-25 골재생용 세포 치료제 및 이것의 제조 방법 KR102061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1114 WO2018139869A1 (ko) 2017-01-25 2018-01-25 골재생용 세포 치료제 및 이것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12239 2017-01-25
KR1020170012239 2017-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870A true KR20180087870A (ko) 2018-08-02
KR102061740B1 KR102061740B1 (ko) 2020-01-02

Family

ID=6325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202A KR102061740B1 (ko) 2017-01-25 2018-01-25 골재생용 세포 치료제 및 이것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7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142A (ko) 2009-01-15 2010-07-23 코아스템(주) 연골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 치료용 또는 항염증용 약제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142A (ko) 2009-01-15 2010-07-23 코아스템(주) 연골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 치료용 또는 항염증용 약제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740B1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 et al. Reconstruction of goat tibial defects using an injectable tricalcium phosphate/chitosan in combination with autologous platelet-rich plasma
Lin et al. Optimization of photocrosslinked gelatin/hyaluronic acid hybrid scaffold for the repair of cartilage defect
Cancedda et al. Bone marrow stromal cells and their use in regenerating bone
Janicki et al. What should 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al bone graft substitute? Combining scaffolds with growth factors and/or stem cells
Florczyk et al. Evaluation of three‐dimensional porous chitosan–alginate scaffolds in rat calvarial defects for bone regeneration applications
EP2606121B1 (en) Compositions comrpising perivascular stem cells and nell-1 protein
MXPA06013492A (es) Composicion para la reparacion osea y cartilaginosa.
JP6152985B2 (ja) 骨軟骨再生のためのスキャフォールドフリー自己組織化三次元人工組織と人工骨複合体
Fu et al. Matrigel scaffolding enhances BMP9-induced bone formation in dental follicle stem/precursor cells
KR102091442B1 (ko) 건 또는 인대 손상 치유를 위한 자가 및 동종의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79530B1 (ko) 인간 유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연골세포의 펠렛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의 용도
US11285177B2 (en) Allografts containing viable cells and methods thereof
KR20200052302A (ko) 지방 유래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생체재료 및 이를 생산하는 방법
KR20200087748A (ko) 지방 유래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생체재료 및 이를 생산하는 방법
RU2545993C2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костных дефектов трубчатых костей критической величины
KR20170098844A (ko) Lgr4, lgr5 및 lgr6 발현 상피 줄기 세포를 사용한 조직 응용에서의 최소 극성화 기능 세포 미소응집체 유닛의 개발 및 사용 방법
Feng et al. Bone regeneration combining platelet rich plasma with engineered bone tissue
KR20180087870A (ko) 골재생용 세포 치료제 및 이것의 제조 방법
JP6525282B2 (ja) 骨分化能を有する脂肪由来幹細胞シート及びその作製方法
KR20110032433A (ko) 세포이식술을 위한 혼합세포복합체인 세포스페로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이용방법
WO2018139869A1 (ko) 골재생용 세포 치료제 및 이것의 제조 방법
CN101601858B (zh) 中期因子蛋白的用途及含该蛋白的医用装置
Wu et al. Extracellular Derivatives for Bone Metabolism
RU2819284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канеинженерной надкостницы из клеточных сфероидов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костных дефектов субъекта
RU2744732C1 (ru) Биокомпозитный сфероид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костей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