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646A -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 - Google Patents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646A
KR20180087646A KR1020170011927A KR20170011927A KR20180087646A KR 20180087646 A KR20180087646 A KR 20180087646A KR 1020170011927 A KR1020170011927 A KR 1020170011927A KR 20170011927 A KR20170011927 A KR 20170011927A KR 20180087646 A KR20180087646 A KR 20180087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rmrest
backrest
folding chair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권
황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라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라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라신
Priority to KR1020170011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7646A/ko
Publication of KR20180087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47C4/022Dismountable chairs connected by bar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5/00Resilient upholstery pads
    • B68G5/02Resilient upholstery pads of cellular material, e.g. sponge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10Finishing of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의자에 있어서 별도의 지지프레임을 채택하지 않고도 시트구조를 개선하여 자체적으로 팔걸이 기능과 함께 머리 또는 목받침 기능을 부가하여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골조역할을 수행하는 각종 프레임과 이들 프레임과 시트부재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앉거나 앉아서 등을 기대거나 아니면 목 또는 머리까지 뒤로 기댈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시트부재는 좌판시트부와 등받이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좌판시트부와 상기 등받이시트부와 인접한 위치에 여유시트부를 구성하고, 상기 여유시트부에 별도의 팔걸이부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Seat mechanism for folding type chair}
본 발명은 접이식 의자에 있어서 별도의 지지프레임을 채택하지 않고도 시트구조를 개선하여 자체적으로 팔걸이 기능과 함께 머리 또는 목받침 기능을 부가하여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의자의 경우 팔걸이는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07505호의 "접이식 등받이판을 갖춘 의자"나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105701호의 "접이식 등받이와 팔걸이가 부착된 의자"에서와 같이 단단한 구조체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는 이와 같이 구조체 형태의 팔걸이에 팔을 올려놓을 수 있게 구성한 형태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 경우엔 구조체 형태의 팔걸이를 접이식 의자에 채택하게 되는 경우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기가 어렵고 접이식 의자의 특성상 접었을때 그 용적을 최소화하여야 한다는 목적에 부합되지 않아 실제로는 채택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접이식 의자에 채택하고 있는 팔걸이는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080671호의 "접이식 의자의 팔걸이 결합구조"에 공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팔걸이를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을 반드시 채택하여야 하므로 접었을때 용적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팔걸이를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에 의하여 접었을때 차지하게 되는 용적 자체나 별도로 구성된 팔걸이 자체의 용적은 줄일 수 없기 때문에 접이식 의자 전체의 용적이나 중량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07505호(공고일자: 2011. 01. 12.) 2.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105701호(공개일자: 2016. 09. 07.) 3.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080671호(공개일자: 2015. 07. 10.)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이식 의자에서는 필수적으로 채택하는 시트를 활용하여 자체적으로 팔걸이부를 구성하여 별도의 팔걸이를 위한 프레임을 채택하지 않고도 시트부재 자체에 의한 팔걸이 기능이 확보되도록 하면서 머리받침부나 목받침부도 채택하여 사용상 편리함은 물론 접이식 의자를 접었을때 차지하게 되는 공간도 종래에 비하여 적게 차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접이식 의자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으로서 접었을때 차지하는 용적의 축소 및 중량의 경감효과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골조역할을 수행하는 각종 프레임과 이들 프레임과 시트부재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앉거나 앉아서 등을 기대거나 아니면 목 또는 머리까지 뒤로 기댈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시트부재는 좌판시트부와 등받이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좌판시트부와 상기 등받이시트부와 인접한 위치에 여유시트부를 구성하고, 상기 여유시트부에 별도의 팔걸이부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시트부의 상부 위치에 목이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별도의 머리목받침부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접이식 의자에서는 필수적으로 채택하는 시트부재를 활용하여 자체적으로 팔걸이부를 구성하여 별도의 팔걸이를 위한 프레임을 채택하지 않고도 시트부재 자체에 의한 팔걸이 기능이 확보되도록 하고, 게다가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머리받침부나 목을 받쳐줄 수 있는 목받침부를 추가로 구성하여 사용상 편리함은 물론 접이식 의자를 접었을때 차지하게 되는 공간도 종래에 비하여 적게 차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접이식 의자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으로서 접었을때 차지하는 용적의 축소 및 중량의 경감효과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구조를 채택한 일례를 보여주는 접이식 의자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다른 방향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고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골조역할을 수행하는 각종 프레임(1)과 이들 프레임(1)과 시트부재(2)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앉거나 앉아서 등을 기대거나 아니면 목 또는 머리까지 뒤로 기댈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시트부재(2)는 좌판시트부(20)와 등받이시트부(22)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좌판시트부(20)와 상기 등받이시트부(22)와 인접한 위치에 여유시트부(24)를 구성하고, 상기 여유시트부(24)에 별도의 팔걸이부(3)를 구성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팔걸이부(3)는 시트부재(2)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푹신한 느낌을 갖도록 탄성소재(30)를 내장시킨 상태로 봉재하여 팔을 올려놓았을때 팔부분이 편안함이나 안락감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팔걸이부(3)의 탄성소재(30)는 외부에서 팔걸이부소재(32)로 감싸고 내측으로 봉재선(34)을 갖도록 마감처리하여 구성함이 제조공정상 효과적이고, 팔걸이부(3)의 중간에 별도로 중간봉재부(36)를 형성하여 장시간 사용시 탄성소재(30)가 한쪽으로 편중되거나 내부 불균형을 초래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등받이시트부(22)의 상부 위치에 목을 받쳐줄 수 있는 별도의 목받침부(4)를 구성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목받침부(4)도 시트부재(2)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푹신한 느낌을 갖도록 탄성소재(40)를 내장시킨 상태로 봉재하여 목을 올려놓았을때 목부분이 편안함이나 안락감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등받이시트부(22)의 상부 위치에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별도의 머리받침부(5)를 구성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머리받침부(5)도 시트부재(2)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푹신한 느낌을 갖도록 탄성소재(50)를 내장시킨 상태로 봉재하여 머리를 올려놓았을때 머리부분이 편안함이나 안락감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인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를 채택하게 되는 경우 접이식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각종 프레임(1)과 시트부재(2)를 서로 결합하여 접이식 의자를 구성하게 되면, 시트부재(2)와 함께 프레임(1)을 펼쳐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시트부재(2)에 앉아서 시트부재(2) 자체에 마련한 팔걸이부(3)를 이용하여 팔을 올려놓고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트부재(2) 자체에 마련한 목받침부(4)를 활용하여 사용자는 시트부재(2)에 앉은 상태에서 목을 받쳐준 상태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거나 아니면 시트부재(2) 자체에 마련한 머리받침부(5)를 활용하여 사용자는 시트부재(2)에 앉아서 머리부분을 올려놓고 받쳐진 상태에서 편안하게 휴직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접이식의자를 사용하고 나서는 사용자는 프레임(1)과 시트부재(2)를 함께 접어서 그 용적을 적게 차지한 상태에서 보관하거나 휴대 운반에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이식 의자에서는 필수적으로 채택하는 시트부재(2)를 활용하여 자체적으로 팔걸이부(3)를 구성하여 별도의 팔걸이를 위한 프레임을 채택하지 않고도 시트부재(2) 자체에 의한 팔걸이 기능이 확보되도록 하고, 게다가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머리받침부(5)나 목을 받쳐줄 수 있는 목받침부(4)를 시트부재(2) 자체에 추가로 구성하여 사용상 편리함은 물론 접이식 의자를 접었을때 차지하게 되는 공간도 종래에 비하여 적게 차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접이식 의자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으로서 접었을때 차지하는 용적의 축소 및 중량의 경감효과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1: 프레임. 2: 시트부재,
3: 팔걸이부, 4: 목받침부,
5: 머리받침부, 20: 좌판시트부,
22: 등받이시트부, 24: 여유시트부,
30, 40, 50: 탄성소재, 32: 팔걸이부소재,
34: 봉재선, 36: 중간봉재부,

Claims (6)

  1. 골조역할을 수행하는 각종 프레임(1)과 이들 프레임(1)과 시트부재(2)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앉거나 앉아서 등을 기대거나 아니면 목 또는 머리까지 뒤로 기댈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시트부재(2)는 좌판시트부(20)와 등받이시트부(22)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좌판시트부(20)와 상기 등받이시트부(22)와 인접한 위치에 여유시트부(24)를 구성하고,
    상기 여유시트부(24)에 별도의 팔걸이부(3)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3)는 시트부재(2)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푹신한 느낌을 갖도록 탄성소재(30)를 내장시킨 상태로 봉재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3)의 탄성소재(30)는 외부에서 팔걸이부소재(32)로 감싸고 내측으로 봉재선(34)을 갖도록 마감처리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3)의 중간에 별도로 중간봉재부(36)를 형성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시트부(22)의 상부 위치에 목을 받쳐줄 수 있는 별도의 목받침부(4)를 구성하되, 내부에 푹신한 느낌을 갖도록 탄성소재(40)를 내장시킨 상태로 봉재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시트부(22)의 상부 위치에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별도의 머리받침부(5)를 구성하되, 내부에 푹신한 느낌을 갖도록 탄성소재(50)를 내장시킨 상태로 봉재하여 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
KR1020170011927A 2017-01-25 2017-01-25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 KR20180087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927A KR20180087646A (ko) 2017-01-25 2017-01-25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927A KR20180087646A (ko) 2017-01-25 2017-01-25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646A true KR20180087646A (ko) 2018-08-02

Family

ID=6325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927A KR20180087646A (ko) 2017-01-25 2017-01-25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764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05B1 (ko) 2010-04-19 2011-01-12 권용귀 접이식 등받이판을 갖춘 의자
KR20150080671A (ko) 2014-01-02 2015-07-10 황주환 접이식 의자의 팔걸이 결합구조
KR20160105701A (ko) 2015-02-28 2016-09-07 이윤재 접이식 등받이와 팔걸이가 부착된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05B1 (ko) 2010-04-19 2011-01-12 권용귀 접이식 등받이판을 갖춘 의자
KR20150080671A (ko) 2014-01-02 2015-07-10 황주환 접이식 의자의 팔걸이 결합구조
KR20160105701A (ko) 2015-02-28 2016-09-07 이윤재 접이식 등받이와 팔걸이가 부착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7274B2 (en) Adjustable furniture apparatus
US8517468B2 (en) Cushioned bed chair
JP3172695U (ja) 調整可能な背もたれパッド
KR102110354B1 (ko) 임산부용 쿠션
KR20180087646A (ko) 접이식 의자의 시트구조
KR101022764B1 (ko) 의자
KR100981057B1 (ko) 의자용 신체받이류의 결합연결구조
KR102073647B1 (ko) 의자용 좌판쿠션
KR101475947B1 (ko) 차량 시트의 머리받침대용 베개
KR101056076B1 (ko)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JP3103630U (ja) 椅子の背もたれクッション装置
KR200395547Y1 (ko) 침대겸용 소파
JP3226614U (ja) ポータブル単体ヘッドレスト
JP3233800U (ja) 身体支持構造体、家具、椅子およびベッド
JP2000270964A (ja) スイング式枕付腰掛
KR20090002690U (ko) 접이식 안마의자
JP3176695U (ja) クッション
JP3120900U (ja) バス用補助席カバー
KR200342137Y1 (ko) 충격흡수가 용이한 소파
JP3208798U (ja) 支持構造体、及び該支持構造体を備える座椅子又はソファー
JP2010004983A (ja) 車椅子用クッション部材
KR200361519Y1 (ko) 다목적 등받이
JP4657158B2 (ja) ソファー
JPH0333540Y2 (ko)
KR20160024320A (ko)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