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926A -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구조 및 지주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구조 및 지주의 설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6926A KR20180086926A KR1020170010991A KR20170010991A KR20180086926A KR 20180086926 A KR20180086926 A KR 20180086926A KR 1020170010991 A KR1020170010991 A KR 1020170010991A KR 20170010991 A KR20170010991 A KR 20170010991A KR 20180086926 A KR20180086926 A KR 201800869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plate
- plate
- base
- support
- circul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1—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on a flat bas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구조 및 지주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주의 외경보다 큰 원판의 중앙부를 타공하여 원판의 마감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중앙부가 타공된 원판을 적어도 2조각 이상으로 분할한 원호의 베이스플레이트를 형성하며, 각 베이스플레이트에 일정간격의 장착공을 원주방향으로 형성하여, 각 베이스플레이트의 장착공에 지면에 매설된 앙카볼트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면서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원형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링 형태의 베이스플레이트 내부에 지주를 삽입하여 지주의 외측면이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용접 고정하는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구조 및 지주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구조 및 지주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구조를 개선한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구조 및 지주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는 설치 대상 지역에 설치된 기초블록에 고정된다.
이러한 기초블록은 거푸집에 앙카볼트를 매립한 후, 시멘트를 부어 양생하여 형성하고, 앙카볼트는 그 상단부가 기초블록 위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기초블록에 지주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주 하면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앙카볼트에 결합 고정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종래의 지주 설치구조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237518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와, 한국 등록특허 제10-1127433호(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8685호(이하 '선행기술문헌3'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선행기술문들에 개시된 지주는, 그 하면에 사각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가 용접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일체로 구비되고, 베이스플레이트의 각 코너부위에는 기초블록에 매설된 앙카볼트가 관통 결합되는 관통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초블록에 매설된 각 앙카볼트에 베이스플레이트의 각 코너부위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일치시켜 관통 결합하고, 관통구멍에 관통 결합된 앙카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기초블록 상에 지주를 설치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초블록 상에 다수의 지주를 나란하게 연속하여 설치하고, 지주 위에 지붕 구조물을 올려 설치함으로써 원하는 구조물을 건축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선행기술문헌들에 개시된 지주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주의 하면이 올려진 상태에서 지주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접합 부위를 용접하여 지주를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세운 상태로 설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지주는 단순히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용접으로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부 이외에는 지주가 베이스플레이트에서 지지되지 못하므로 지주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 지주의 지지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게다가, 지주의 하면에 고정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는 각 코너부위에 기초블록에 매설된 앙카볼트와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는데, 이때 기초블록에 매설된 네 개의 앙카볼트 중 하나라도 정위치로 매설되지 않으면 베이스플레이트를 앙카볼트에 결합할 수 없는 시공상의 문제가 있다.
또한, 기초블록에 정사각형 형태로 매설되어야 하는 전 앙카볼트가 지하 매설물 또는 주변의 다른 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각도가 틀어져 매설된 경우에는 이에 맞게 사각의 베이스플레이트를 회전시켜 베이스플레이트의 관통구멍을 각 앙카볼트에 맞춰 설치하면 지주는 설계대로 정위치로 설치할 수 있지만, 해당 지주의 베이스플레이트는 각도가 틀어진 상태가 설치되므로 인해 전반적인 시공 상태가 일정치 못해 보기 않좋다는 단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지주용 베이스플레이트 및 지주의 설치구조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들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주를 설치함에 있어 지주의 현장 적응성 및 현장 대응성을 향상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구조 및 지주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구조는, 지주의 외경보다 큰 원판의 중앙부를 타공하여 원판의 마감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중앙부가 타공된 원판을 적어도 2조각 이상으로 분할한 원호의 베이스플레이트를 형성하며, 각 베이스플레이트에 일정간격의 장착공을 원주방향으로 형성하여, 각 베이스플레이트의 장착공에 지면에 매설된 앙카볼트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면서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원형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링 형태의 베이스플레이트 내부에 지주를 삽입하여 지주의 외측면이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용접 고정하는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구조를 포함한다.
그리고, 마감플레이트는 지주의 상면에 용접 고정되어 지주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방법은, 상기와 같은 베이스플레이트를 이용한 지주의 설치방법으로서, 지면에 매설된 앙카볼트의 간격이나 위치에 따라 각 베이스플레이트를 회전시키면서 베이스플레이트의 장착공에 앙카볼트를 결합하여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원형으로 연결하는 공정; 원형을 이루는 베이스플레이트 내부에 지주를 삽입하여 지주의 외측면이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용접 고정하는 공정; 및 지주의 상면에 마감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용접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구조 및 지주의 설치방법에 따르면, 지주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원형으로 형성하는 한편 반원형으로 분리되게 형성하여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주면이 지주의 외주면에 접한 상태로 용접 고정됨으로써 지주를 보다 견고하게 받쳐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 베이스플레이트에 앙카볼트와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공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현장에 미리 설치된 앙카볼트의 설치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앙카볼트를 기초블록에 미리 매립하지 않고 후공정으로 기초블록에 박아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때 다수의 앙카볼트 중 일부의 앙카볼트가 기초블록 내의 철근과 같은 구조물에 걸림되어 부득이하게 앙카볼트의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도 베이스플레이트만 회전시키면 지주를 제 위치에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와 베이스플레이트의 분리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설치구조를 보인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설치구조를 보인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일측" 및 "타측' 등과 같은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에 형성" 및 "측면에 형성" 등은, 당해 구성요소들이 직접 접하여 적층 형성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구성요소들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더 형성되어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에 형성된다" 라는 것은 제 1 구성요소에 제 2 구성요소가 직접 접하여 형성되는 의미는 물론,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의 사이에 제 3 구성요소가 더 형성될 수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주와 베이스플레이트 및 지주의 설치구조를 보인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설치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0)와,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를 포함한다.
지주(100)는 구조물을 받쳐 지지할 수 있는 통상의 지지대로서, 다양한 구조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의 원형 파이프를 그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지주(100)는 그 하면이 지면에 형성된 기초블록(400)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고, 상면에는 지붕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상부프레임(200)이 직교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지주(100)가 설치되는 기초블록(400)은 거푸집(미도시)에 앙카볼트(300)를 매립한 후, 시멘트를 부어 양생하여 형성한 바닥 구조물이고, 앙카볼트(30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그 상단부가 기초블록(400) 위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지주(100)의 하부에는 기초블록(400)의 앙카볼트(300)와 결합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110a)가 구비된다.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는 원형의 링 플레이트가 여러 조각으로 분할된 원호의 띠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각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의 양단부를 평면적으로 연결하면 하나의 링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는 원형의 링 플레이트를 두 개로 양분한 것을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양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는 지주(100)의 외경에 면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는 내경을 갖도록 지주(100)의 외경에 대응한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는 지주(100)의 외경보다 큰 소재의 원판 중앙부를 타공하여 원형의 링 플레이트를 형성한 후, 이를 다시 두 개로 양분하여 분할한 원호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각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에는 원형의 장착공(120)(120a)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각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의 장착공(120)(120a)에 지면의 기초블록(400)에 매설된 앙카볼트(300)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면서 각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의 양단부를 평면적으로 접촉시켜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를 원형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링 형태의 베이스플레이트(110)(110a) 내부에 지주(100)를 삽입하여 지주(100)의 외측면이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의 내측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용접하여 고정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플레이트(110)(110a)가 분할된 원호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110)(110a)가 평면적으로 연결되어 링 형상을 이룸으로써 기초블록(400)에 매설된 앙카볼트(300)의 위치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를 회전시켜도 베이스플레이트(110)(110a)가 원형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장착되어 설치되므로 시공시 현장 대응성 및 현장 적응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시공된 지주(100) 및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의 시공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용접 공정은 링 형태의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와 지주(100) 간의 접촉부는 물론 양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의 연결부 역시도 용접하여 일체로 고정하게 된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의 성형시 소재의 원판에서 타공된 원형의 타공판은 도 2에서와 같이 지주(100)의 상면을 마감하는 마감플레이트(150)로 형성되며, 이 마감플레이트(150)는 지주(10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지주(100)의 상면을 덮어 마감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마감플레이트(150) 위에는 지붕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상부프레임(200)이 지주(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프레임(200)은 "H" 빔 또는 "I" 빔으로 마감플레이트(150)에 면접된 상태로 견고하게 용접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마감플레이트(150)는 지주(100)의 개구된 상면을 덮어 가림으로써 지주(100)의 내부로 빗물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녹 발생이나 이물질의 쌓임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프레임(200)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를 이용한 지주(100)의 설치방법은, 지면의 기초블록(400)에 매설된 앙카볼트(300)의 간격이나 위치에 따라 각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를 회전시키면서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의 장착공(120)(120a)에 앙카볼트(300)를 결합하여 양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를 원형으로 연결하는 공정과, 원형을 이루는 베이스플레이트(110)(110a) 내부에 지주(100)를 삽입하여 지주(100)의 외측면이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의 내측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용접 고정하는 공정과, 지주(100)의 상면에 마감플레이트(150)를 덮은 상태로 구비하여 용접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지주(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현장으로 지주(100)와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를 이송시킨 후, 기초블록(400)에 매설된 앙카볼트(300)에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의 장착공(120)(120a)을 맞춰 결합한 후 앙카볼트(300)에 너트(310)를 체결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를 고정시킨다.
이때, 양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를 앙카볼트(300)에 각각 결합하면서 양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의 양단부를 서로 접하도록 연결하여 양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를 링 형태로 구비한다.
이 상태에서 지주(100)를 링 형태의 베이스플레이트(110)(110a) 내부에 세워 지주(100)의 외측면을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의 내측면에 면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양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의 접촉부위 및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와 지주(100) 간의 접촉부위를 용접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후, 지주(100)의 개구된 상면에는 지주(100)의 외경에 대응한 직경으로 마련된 마감플레이트(150)를 올려 구비한 후, 마감플레이트(150)를 지주(100)의 상면에 용접 고정하고, 마감플레이트(150) 위에 상부프레임(200)을 올려 설치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지주(100)는 종래와 같이 지주의 하면이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고, 지주(100)의 하단부가 링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110)(110a) 내에 삽입되어 세워진 상태로 지주(100)의 외측면이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의 내측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지지되게 구비됨으로써 지주(100)를 보다 견고하게 보강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원호의 띠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10)(110a)가 평면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주(100)에 구비됨으로써 기초블록(400)에 매설된 앙카볼트(300)의 위치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를 회전시켜도 베이스플레이트(110)(110a)가 항상 원형으로 설치되므로 시공시 현장 대응성 및 현장 적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된 지주(100) 및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의 시공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지주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장착공의 다른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원호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에 원주방향으로 길게 천공된 원주형 장공(130)(130a)을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원주형 장공(130)(130a)은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고, 다수의 원주형 장공(130)(130a)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원주형 장공(130)(130a)은 그 길이만큼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를 회전시켜 원주형 장공(130)(130a)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앙카볼트(300)의 매설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4의 가운데 도면에서와 같이, 기초블록(400)에 매설된 다수의 앙카볼트(300) 중 하나의 앙카볼트가 원주 방향(수평 방향)으로 정위치를 벗어난 경우 도 4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를 미세 회전시켜 모든 앙카볼트(300)를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의 원주형 장공(130)(130a)에 결합하여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원주형 장공(130)(130a)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는 설계상의 정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앙카볼트(300)의 위치에 맞게 회전되어 조정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를 정위치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원호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에 지주(100)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천공된 수직형 장공(140)(140a)을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수직형 장공(140)(140a)은 도 5의 좌,우측 도면에서와 같이 지주(10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110a)의 설치 위치에 따라 지주(100)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수직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세로 방향으로 수직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수직형 장공(140)(140a)은 그 길이만큼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를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앙카볼트(300)의 매설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원주형 장공(130)(130a)과 수직형 장공(140)(140a)을 일체로 연결한 십자형 장공을 형성하여, 앙카볼트(300)의 위치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10)(110a)를 회전 및 이동시켜 조정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지주
110,110a : 베이스플레이트
120,120a : 장착공 130,130a : 원주형 장공
140,140a : 수직형 장공 150 : 마감플레이트
200 : 상부프레임 300 : 앙카볼트
310 : 너트 400 : 기초블록
120,120a : 장착공 130,130a : 원주형 장공
140,140a : 수직형 장공 150 : 마감플레이트
200 : 상부프레임 300 : 앙카볼트
310 : 너트 400 : 기초블록
Claims (3)
- 지주의 외경보다 큰 원판의 중앙부를 타공하여 원판의 마감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중앙부가 타공된 원판을 적어도 2조각 이상으로 분할한 원호의 베이스플레이트를 형성하며, 각 베이스플레이트에 일정간격의 장착공을 원주방향으로 형성하여,
각 베이스플레이트의 장착공에 지면에 매설된 앙카볼트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면서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원형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링 형태의 베이스플레이트 내부에 지주를 삽입하여 지주의 외측면이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용접 고정하는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마감플레이트는 지주의 상면에 용접 고정되어 지주의 상면을 덮는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구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이용한 지주의 설치방법으로서,
지면에 매설된 앙카볼트의 간격이나 위치에 따라 각 베이스플레이트를 회전시키면서 베이스플레이트의 장착공에 앙카볼트를 결합하여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원형으로 연결하는 공정;
원형을 이루는 베이스플레이트 내부에 지주를 삽입하여 지주의 외측면이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용접 고정하는 공정; 및
지주의 상면에 마감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용접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0991A KR101940468B1 (ko) | 2017-01-24 | 2017-01-24 |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구조 및 지주의 설치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0991A KR101940468B1 (ko) | 2017-01-24 | 2017-01-24 |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구조 및 지주의 설치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6926A true KR20180086926A (ko) | 2018-08-01 |
KR101940468B1 KR101940468B1 (ko) | 2019-01-21 |
Family
ID=6322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0991A KR101940468B1 (ko) | 2017-01-24 | 2017-01-24 |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구조 및 지주의 설치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046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7428A (ko) * | 2020-07-10 | 2022-01-18 | 주식회사 아시아 | 지주용 고정판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7694B1 (ko) * | 1999-12-21 | 2002-05-22 | 안승현 | 지주 연결장치 |
KR200338685Y1 (ko) | 2003-10-30 | 2004-01-16 | 기승철 | 건축 및 토목 구조물용 지주부재 |
KR20120015847A (ko) * | 2010-08-13 | 2012-02-22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노출형 주각부 및 이를 이용한 주각 시공방법 |
KR101127433B1 (ko) | 2009-11-26 | 2012-03-26 | 주식회사 아이엘티 | 건축구조물의 지주 고정용 브라켓 구조 |
KR101237518B1 (ko) | 2011-02-22 | 2013-03-04 | 류준수 | 지주용 기초구조물 |
-
2017
- 2017-01-24 KR KR1020170010991A patent/KR1019404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7694B1 (ko) * | 1999-12-21 | 2002-05-22 | 안승현 | 지주 연결장치 |
KR200338685Y1 (ko) | 2003-10-30 | 2004-01-16 | 기승철 | 건축 및 토목 구조물용 지주부재 |
KR101127433B1 (ko) | 2009-11-26 | 2012-03-26 | 주식회사 아이엘티 | 건축구조물의 지주 고정용 브라켓 구조 |
KR20120015847A (ko) * | 2010-08-13 | 2012-02-22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노출형 주각부 및 이를 이용한 주각 시공방법 |
KR101237518B1 (ko) | 2011-02-22 | 2013-03-04 | 류준수 | 지주용 기초구조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7428A (ko) * | 2020-07-10 | 2022-01-18 | 주식회사 아시아 | 지주용 고정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0468B1 (ko) | 2019-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84744B2 (en) | Modular concrete pole base | |
US807495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strength of a utility pole | |
KR100996724B1 (ko) | 강관말뚝 두부보강용 철근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 |
JP2020527202A (ja) | バルコニー装置 | |
KR101940468B1 (ko) |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구조 및 지주의 설치방법 | |
JP2009102909A (ja) | 埋込金物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 |
JP6301742B2 (ja) | 鋼管ポールおよびその設置方法 | |
JP6632290B2 (ja) | 鋼製柱の脚部構造及び鋼製柱脚部の施工方法 | |
JP4625692B2 (ja) | 積層ゴム支承による免震構造物の建築構法 | |
KR20190010947A (ko) |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매립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 |
JP6127325B2 (ja) | 風車タワーのアンカーリング据付用の支持架台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750176B1 (ko) | 분리 독립형 펀칭전단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기초판의 내력 증가 시공방법 | |
JP6435218B2 (ja) | 複合構造における仕口鉄骨の固定方法、仕口の構築方法と仕口構造、アンカーボルト固定治具 | |
JP6454591B2 (ja) | 免震基礎構造の構築方法 | |
JP5940322B2 (ja) | 柱の据え付け具 | |
KR101071405B1 (ko) | 말뚝 두부 보강 구조 | |
JP3200323U (ja) | 床スリーブユニット | |
KR101984772B1 (ko) | 기둥구조물 조립체 | |
JP2020002657A (ja) | 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 |
US20240175284A1 (en) | Apparatus for supporting overhead structure | |
JP7269807B2 (ja) | 屋上設備基礎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JP5563409B2 (ja) | アンカーボルトの据付治具および該据付治具を用いた杭基礎の施工方法 | |
JP5056534B2 (ja) | 水勾配床の構造物据付け方法 | |
JP2714130B2 (ja) | 機器取付構造 | |
JP3200322U (ja) | 床スリーブ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