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778A -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778A
KR20180085778A KR1020187017808A KR20187017808A KR20180085778A KR 20180085778 A KR20180085778 A KR 20180085778A KR 1020187017808 A KR1020187017808 A KR 1020187017808A KR 20187017808 A KR20187017808 A KR 20187017808A KR 20180085778 A KR20180085778 A KR 20180085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inyl alcohol
resin
layer
pva
poly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9192B1 (ko
Inventor
다이스케 하마모토
사키미 이시마루
미노루 미야타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5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6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32B2038/0028Stretching, elon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밀착성과 우수한 외관을 겸비한 적층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수지 기재와 이 수지 기재의 편측에 형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갖는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의 수지 기재측은, 폴리올레핀계 성분이 존재하는 중간 영역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갖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수지 기재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형성하고, 이 적층체를 연신, 염색함으로써 편광막을 얻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두께가 얇은 편광막이 얻어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의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여 주목받고 있다.
상기 편광막은, 상기 수지 기재에 적층된 상태인 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 (편광막) 과 수지 기재가 충분한 밀착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는, 편광막의 제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연신, 반송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이 수지 기재로부터 박리되지 않을 것, 리워크시에 편광막과 수지 기재가 박리되지 않을 것, 가공 (예를 들어, 타발) 시나 사용 중의 충격에 대하여 편광막 또는 수지 기재의 들뜸이 발생하지 않을 것 등이 요구된다.
상기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지 기재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 사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재료를 함유하는 하도층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그러나, 하도층을 형성하는 경우, 우수한 외관이 잘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38329호 일본 특허 제4950357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우수한 밀착성과 우수한 외관을 겸비한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수지 기재와 그 수지 기재의 편측에 형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갖는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의 상기 수지 기재측은, 폴리올레핀계 성분이 존재하는 중간 영역으로 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 영역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을 함유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은, 아세토아세틸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상기 폴리올레핀계 성분의 배합비는, 5 : 95 ∼ 60 : 40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 영역의 두께는, 100 ㎚ ∼ 1000 ㎚ 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수지 기재의 편측에 폴리올레핀계 성분을 함유하는 하도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하도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이 하도층 표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도포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하도층 형성용 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을 함유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은, 아세토아세틸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상기 폴리올레핀계 성분의 고형분 배합비는, 5 : 95 ∼ 60 : 40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하도층의 두께는, 500 ㎚ ∼ 3000 ㎚ 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편광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적층체를 연신 및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편광판이 제공된다. 이 편광판은, 수지 기재와 그 수지 기재의 편측에 형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갖는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의 상기 수지 기재측은, 폴리올레핀계 성분이 존재하는 중간 영역으로 되어 있고,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은, 이색성 물질이 흡착 배향된 편광막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 영역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을 함유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은, 아세토아세틸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상기 폴리올레핀계 성분의 배합비는, 5 : 95 ∼ 60 : 40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 영역의 두께는, 100 ㎚ ∼ 1000 ㎚ 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의 수지 기재측을 폴리올레핀계 성분이 존재하는 중간 영역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밀착성과 우수한 외관을 겸비한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도 1 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적층체의 단면의 SEM 관찰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A. 적층체
본 발명의 적층체는, 수지 기재와 수지 기재의 편측에 형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이하,「PVA 계 수지」라고 한다) 층을 갖고, 적어도 PVA 계 수지층의 수지 기재측은 폴리올레핀계 성분이 존재하는 중간 영역으로 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간 영역이 실질적으로 후술하는 하도층에 상당하고, PVA 계 수지층이 하도층과 후술하는 PVA 계 수지 도포층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PVA 계 수지층이 실질적으로 단일의 층을 이루고, 중간 영역이, 예를 들어, PVA 계 수지 도포층과 하도층의 상용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한, PVA 계 수지층이 각종 처리에 의해 편광막으로 되고, 적층체가 편광판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A-1. 수지 기재
상기 수지 기재의 구성 재료로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에스테르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이것들의 공중합체 수지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가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비정질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비정질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의 구체예로는, 디카르복실산으로서 이소프탈산을 추가로 함유하는 공중합체나, 글리콜로서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추가로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수지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바람직하게는 170 ℃ 이하이다. 이와 같은 수지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PVA 계 수지층의 결정화를 억제하면서, 연신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물에 의한 수지 기재의 가소화와, 수중 연신을 양호하게 실시하는 것을 고려하면, 12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지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이다. 이와 같은 수지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후술하는 PVA 계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건조시킬 때에 수지 기재가 변형 (예를 들어, 요철이나 늘어짐, 주름 등의 발생) 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적층체의 연신을 바람직한 온도 (예를 들어, 60 ℃ ∼ 70 ℃ 정도) 에서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PVA 계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건조시킬 때에 수지 기재가 변형되지 않으면, 60 ℃ 보다 낮은 유리 전이 온도여도 된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 (Tg) 는, JIS K 7121 에 준하여 구해지는 값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지 기재는, 흡수율이 0.2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이다. 이와 같은 수지 기재는 물을 흡수하고, 물이 가소제적인 기능을 하여 가소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수중 연신에 있어서 연신 응력을 대폭 저하시킬 수 있어, 연신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편, 수지 기재의 흡수율은,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이와 같은 수지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제조시에 수지 기재의 치수 안정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얻어지는 적층체의 외관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수중 연신시에 파단되거나, 수지 기재로부터 PVA 계 수지막이 박리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율은 JIS K 7209 에 준하여 구해지는 값이다.
수지 기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 ∼ 3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 200 ㎛ 이다.
수지 기재 표면에는, 미리 표면 개질 처리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등) 가 실시되어 있어도 되고, 접착 용이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하면,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2. PVA 계 수지층
상기 PVA 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PVA 계 수지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은,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PVA 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적으로 85 몰% ∼ 100 몰% 이며, 바람직하게는 95.0 몰% ∼ 99.95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0 몰% ∼ 99.93 몰% 이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 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누화도의 PVA 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막이 얻어질 수 있다. 비누화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겔화될 우려가 있다.
PVA 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평균 중합도는, 통상적으로 1000 ∼ 10000 이며, 바람직하게는 1200 ∼ 4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 4300 이다. 또한,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1994 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PVA 계 수지층의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2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다. PVA 계 수지층이 편광막으로 되어 있는 경우,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 ㎛ 이하이다. 한편, PVA 계 수지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다.
PVA 계 수지층이 편광막으로 되어 있는 경우, PVA 계 수지층은, 실질적으로는 이색성 물질이 흡착 배향된 상태이며,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 ㎚ ∼ 780 ㎚ 의 어느 파장에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 PVA 계 수지층의 단체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40.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1.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2.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3.0 % 이상이다. PVA 계 수지층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9.8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5 % 이상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PVA 계 수지층의 수지 기재측은, 폴리올레핀계 성분이 존재하는 중간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영역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우수한 밀착성과 우수한 외관을 달성할 수 있다. 중간 영역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0 ㎚ ∼ 1000 ㎚ 이다. 중간 영역은, 예를 들어, 적층체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으로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 폴리올레핀계 성분의 유무는, 예를 들어, 비행 시간형 2 차 이온 질량 분석법 (TOF-SIMS) 이나 적외 분광법 (IR) 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간 영역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을 함유한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성분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B.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적층체는, 상기 구성이 얻어지는 한,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지 기재의 편측에 폴리올레핀계 성분을 함유하는 하도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하도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이 하도층 표면에 PVA 계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PVA 계 수지 도포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B-1. 하도층의 형성
상기 하도층 형성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을 함유한다. 이와 같은 조성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밀착성과 우수한 외관을 겸비한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PVA 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들 수 있다. 변성 폴리비닐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아세토아세틸기, 카르복실산기, 아크릴기 및/또는 우레탄기로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로는, 하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적어도 갖는 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상기 식 (Ⅰ) 에 있어서, l + m + n 에 대한 n 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 % ∼ 10 % 이다.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1000 ∼ 10000 이며, 바람직하게는 1200 ∼ 5000 이다.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의 비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97 몰% 이상이다.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의 4 중량% 수용액의 pH 는, 바람직하게는 3.5 ∼ 5.5 이다. 또한, 평균 중합도 및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 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성분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주성분인 올레핀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등의 탄소수 2 ∼ 6 의 올레핀계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1-부텐 등의 탄소수 2 ∼ 4 의 올레핀계 탄화수소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이 사용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올레핀 성분이 차지하는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 95 중량% 이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카르복실기 및/또는 그 무수물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물에 분산될 수 있어, 하도층이 양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무수물,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의 하프 에스테르, 하프 아미드를 들 수 있다. 이것들의 구체예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이타콘산, 무수 이타콘산, 푸마르산, 크로톤산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분자량은, 예를 들어 5000 ∼ 80000 이다.
상기 하도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의 배합비 (고형분) 는, 바람직하게는 5 : 95 ∼ 60 :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80 ∼ 50 : 50 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이 지나치게 많으면 밀착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PVA 계 수지층을 수지 기재로부터 박리할 때에 필요로 하는 박리력이 저하되어, 충분한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한편,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이 지나치게 적으면 얻어지는 적층체의 외관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하도층의 형성시에 도포막이 백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외관이 우수한 적층체를 얻기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하도층 형성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계이다. 하도층 형성 조성물은, 유기 용제를 함유할 수 있다. 유기 용제로는,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하도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10 중량% 이다.
하도층 형성용 조성물에 첨가제를 배합해도 된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옥사졸린, 붕산, 트리메틸올멜라민 등의 메틸올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하도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첨가물의 배합량은, 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교제의 배합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 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 5 중량부이다.
하도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 코트법, 스핀 코트법, 와이어 바 코트법, 딥 코트법, 다이 코트법, 커튼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콤마 코트법 등) 등을 들 수 있다.
하도층 형성용 조성물은, 얻어지는 하도층의 두께가 500 ㎚ ∼ 3000 ㎚ 가 되도록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 ㎚ ∼ 2000 ㎚ 이다. 하도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충분한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한편, 하도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후술하는 PVA 계 수지 도포층의 형성시에 크레이터링이 발생하거나, 얻어지는 도포막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외관이 우수한 적층체를 얻기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하도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후, 도포막은 건조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예를 들어 50 ℃ 이상이다.
B-2. PVA 계 수지 도포층의 형성
상기 PVA 계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는 하도층 표면은, 미리 표면 개질 처리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등) 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하면,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PVA 계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액으로는, 대표적으로는, 상기 PVA 계 수지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이 사용된다. 용매로는, 예를 들어, 물, 디메틸술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각종 글리콜류,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류,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등의 아민류를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도포액의 PVA 계 수지 농도는,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 중량부 ∼ 20 중량부이다. 이와 같은 수지 농도이면, 균일한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포액에 첨가제를 배합해도 된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가소제,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이나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것들은, 얻어지는 PVA 계 수지층의 균일성이나 염색성, 연신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접착 용이 성분을 들 수 있다. 접착 용이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 용이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등의 변성 PVA 가 사용된다.
도포액의 도포 방법은, 상기 하도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방법과 동일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도포 후, 도포막은 건조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예를 들어 50 ℃ 이상이다.
B-3. 편광막의 제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적층체는, 각종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각종 처리의 구체예로는, 염색 처리, 연신 처리, 불용화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를 들 수 있다. 이들 처리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 처리 순서, 처리의 타이밍, 처리 횟수 등,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염색 처리)
상기 염색 처리는, 대표적으로는, PVA 계 수지층을 이색성 물질로 염색함으로써 실시한다. 바람직하게는, PVA 계 수지층에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킴으로써 실시한다. 당해 흡착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이색성 물질을 함유하는 염색액에 PVA 계 수지층 (적층체) 을 침지시키는 방법, PVA 계 수지층에 당해 염색액을 도공하는 방법, 당해 염색액을 PVA 계 수지층에 분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색액에 PVA 계 수지층을 침지시키는 방법이다. 이색성 물질을 양호하게 흡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이색성 물질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 유기 염료를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색성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요오드이다. 이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염색액은, 바람직하게는 요오드 수용액이다. 요오드의 배합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 0.5 중량부이다. 요오드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요오드 수용액에 요오드화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물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알루미늄, 요오드화납, 요오드화구리, 요오드화바륨,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주석, 요오드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요오드화칼륨이다. 요오드화물의 배합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부 ∼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 10 중량부이다.
염색액의 염색시의 액온은, PVA 계 수지의 용해를 억제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20 ℃ ∼ 50 ℃ 이다. 염색액에 PVA 계 수지층을 침지시키는 경우, 침지 시간은, PVA 계 수지층의 투과율을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5 초 ∼ 5 분이다. 또, 염색 조건 (농도, 액온, 침지 시간) 은,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편광막의 편광도 혹은 단체 투과율이 소정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얻어지는 편광막의 편광도가 99.98 % 이상이 되도록, 침지 시간을 설정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얻어지는 편광막의 단체 투과율이 40 % ∼ 44 % 가 되도록, 침지 시간을 설정한다.
(연신 처리)
적층체의 연신 방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단 연신 (예를 들어, 텐터 연신기를 사용하는 방법) 이어도 되고, 자유단 연신 (예를 들어, 주속이 상이한 롤 간에 적층체를 통과시켜 1 축 연신하는 방법) 이어도 된다. 또, 동시 2 축 연신 (예를 들어, 동시 2 축 연신기를 사용하는 방법) 이어도 되고, 축차 2 축 연신이어도 된다. 적층체의 연신은, 일단계로 실시해도 되고, 다단계로 실시해도 된다. 다단계로 실시하는 경우, 후술하는 적층체의 연신 배율 (최대 연신 배율) 은, 각 단계의 연신 배율의 곱이다.
연신 처리는, 적층체를 연신욕에 침지시키면서 실시하는 수중 연신 방식이어도 되고, 공중 연신 방식이어도 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중 연신 처리를 적어도 1 회 실시하고, 바람직하게는 수중 연신 처리와 공중 연신 처리를 조합한다. 수중 연신에 의하면, 상기 수지 기재나 PVA 계 수지층의 유리 전이 온도 (대표적으로는, 80 ℃ 정도) 보다 낮은 온도에서 연신할 수 있고, PVA 계 수지층을 그 결정화를 억제하면서,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다. 그 결과, 우수한 편광 특성을 갖는 편광막을 제조할 수 있다.
적층체의 연신 방향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장척상의 적층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적층체를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며, 그 반송 방향 (MD) 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장척상의 적층체의 폭 방향으로 연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적층체를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며, 그 반송 방향 (MD) 과 직교하는 방향 (TD) 이다.
적층체의 연신 온도는, 수지 기재의 형성 재료, 연신 방식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공중 연신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연신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수지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 (Tg)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지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 (Tg) + 1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Tg + 15 ℃ 이상이다. 한편, 적층체의 연신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70 ℃ 이하이다. 이와 같은 온도에서 연신함으로써, PVA 계 수지의 결정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것을 억제하여, 당해 결정화에 의한 문제 (예를 들어, 연신에 의한 PVA 계 수지층의 배향을 방해한다) 를 억제할 수 있다.
연신 방식으로서 수중 연신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연신욕의 액온은, 바람직하게는 40 ℃ ∼ 85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 85 ℃ 이다. 이와 같은 온도이면, PVA 계 수지층의 용해를 억제하면서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수지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PVA 계 수지층의 형성과의 관계로,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이다. 이 경우, 연신 온도가 40 ℃ 를 하회하면, 물에 의한 수지 기재의 가소화를 고려해도, 양호하게 연신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연신욕의 온도가 고온이 될수록, PVA 계 수지층의 용해성이 높아져, 우수한 편광 특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수중 연신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 중에 침지시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산 수중 연신). 연신욕으로서 붕산 수용액을 사용함으로써, PVA 계 수지층에, 연신시에 가해지는 장력에 견디는 강성과, 물에 용해되지 않는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붕산은, 수용액 중에서 테트라하이드록시붕산 아니온을 생성하여 PVA 계 수지와 수소 결합에 의해 가교할 수 있다. 그 결과, PVA 계 수지층에 강성과 내수성을 부여하여, 양호하게 연신할 수 있고, 우수한 편광 특성을 갖는 편광막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붕산 수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용매인 물에 붕산 및/또는 붕산염을 용해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붕산 농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 10 중량부이다. 붕산 농도를 1 중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PVA 계 수지층의 용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보다 높은 특성의 편광막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붕산 또는 붕산염 이외에, 붕사 등의 붕소 화합물, 글리옥살, 글루타르알데히드 등을 용매에 용해시켜 얻어진 수용액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신욕 (붕산 수용액) 에 요오드화물을 배합한다. 요오드화물을 배합함으로써, PVA 계 수지층에 흡착시킨 요오드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요오드화물의 구체예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요오드화물의 농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부 ∼ 1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 8 중량부이다.
적층체의 연신욕으로의 침지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5 초 ∼ 5 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수중 연신 처리는 염색 처리 후에 실시한다.
적층체의 연신 배율 (최대 연신 배율) 은, 적층체의 원래 길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4.0 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배 이상이다. 이와 같은 높은 연신 배율은, 예를 들어, 수중 연신 방식 (붕산 수중 연신) 을 채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최대 연신 배율」이란, 적층체가 파단되기 직전의 연신 배율을 말하며, 별도로 적층체가 파단되는 연신 배율을 확인하여, 그 값보다 0.2 낮은 값을 말한다.
(불용화 처리)
상기 불용화 처리는, 대표적으로는, 붕산 수용액에 PVA 계 수지층을 침지시킴으로써 실시한다. 특히 수중 연신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불용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PVA 계 수지층에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당해 붕산 수용액의 농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 4 중량부이다. 불용화욕 (붕산 수용액) 의 액온은, 바람직하게는 20 ℃ ∼ 40 ℃ 이다. 바람직하게는, 불용화 처리는, 적층체 제조 후, 염색 처리나 수중 연신 처리 전에 실시한다.
(가교 처리)
상기 가교 처리는, 대표적으로는, 붕산 수용액에 PVA 계 수지층을 침지시킴으로써 실시한다. 가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PVA 계 수지층에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당해 붕산 수용액의 농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 4 중량부이다. 또, 상기 염색 처리 후에 가교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추가로 요오드화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물을 배합함으로써, PVA 계 수지층에 흡착시킨 요오드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요오드화물의 배합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 5 중량부이다. 요오드화물의 구체예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가교욕 (붕산 수용액) 의 액온은, 바람직하게는 20 ℃ ∼ 50 ℃ 이다. 바람직하게는, 가교 처리는 수중 연신 처리 전에 실시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염색 처리, 가교 처리 및 수중 연신 처리를 이 순서로 실시한다.
(세정 처리)
상기 세정 처리는, 대표적으로는,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에 PVA 계 수지층을 침지시킴으로써 실시한다.
(건조 처리)
건조 처리에 있어서의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0 ℃ ∼ 100 ℃ 이다.
B-4. 기타
상기 편광판은, 편광막의 수지 기재가 배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보호 필름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보호 필름의 형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이것들의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 100 ㎛ 이다. 보호 필름은, 편광막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적층해도 되고, 밀착시켜 (접착층을 개재하지 않고) 적층해도 된다. 접착층은, 대표적으로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 형성된다.
편광판은,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막이 수지 기재보다 액정 셀측에 배치되도록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지 기재가 가질 수 있는 위상차가, 얻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두께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또,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부」및「%」는, 각각「중량부」및「중량%」를 나타낸다.
(두께)
디지털 마이크로미터 (안리츠사 제조, 제품명「KC-351C」)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수지 기재로서, 장척상이고, 흡수율 0.75 %, Tg 75 ℃ 의 비정질의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IPA 공중합 PET) 필름 (두께 : 100 ㎛) 을 사용하였다.
수지 기재의 편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이 코로나 처리면에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닛폰 합성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고세파이머 Z200」, 중합도 1200, 비누화도 99.0 몰% 이상,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 %) 의 4.0 % 수용액과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 (유니티카사 제조, 상품명「애로우베이스 SE1030N」, 고형분 농도 22 %) 와 순수를 혼합한 혼합액 (고형분 농도 4.0 %) 을 건조 후의 두께가 2000 ㎚ 가 되도록 도포하고, 60 ℃ 에서 3 분간 건조시켜, 하도층을 형성하였다. 여기서, 혼합액에 있어서의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와 변성 폴리올레핀의 고형분 배합비는 30 : 70 이었다.
이어서, 하도층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이 코로나 처리면에 폴리비닐알코올 (중합도 4200, 비누화도 99.2 몰%) 및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중합도 1200,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 %, 비누화도 99.0 몰% 이상, 닛폰 합성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고세파이머 Z200」) 를 9 : 1 의 비로 함유하는 수용액을 25 ℃ 에서 도포 및 건조시켜, 두께 11 ㎛ 의 PVA 계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120 ℃ 의 오븐 내에서 주속이 상이한 롤 간에서 종방향 (길이 방향) 으로 2.0 배로 자유단 1 축 연신하였다 (공중 보조 연신).
이어서, 적층체를 액온 30 ℃ 의 불용화욕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4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 에 30 초간 침지시켰다 (불용화 처리).
이어서, 액온 30 ℃ 의 염색욕에, 얻어지는 편광판이 소정의 투과율이 되도록 요오드 농도, 침지 시간을 조정하면서 침지시켰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를 0.2 중량부 배합하고, 요오드화칼륨을 1.0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요오드 수용액에 60 초간 침지시켰다 (염색 처리).
이어서, 액온 30 ℃ 의 가교욕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칼륨을 3 중량부 배합하고, 붕산을 3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 에 30 초간 침지시켰다 (가교 처리).
그 후, 적층체를 액온 70 ℃ 의 붕산 수용액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4 중량부 배합하고, 요오드화칼륨을 5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용액) 에 침지시키면서, 주속이 상이한 롤 간에서 종방향 (길이 방향) 으로 총 연신 배율이 5.5 배가 되도록 1 축 연신을 실시하였다 (수중 연신).
그 후, 적층체를 액온 30 ℃ 의 세정욕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칼륨을 4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용액) 에 침지시켰다 (세정 처리).
이렇게 하여, 두께 30 ㎛ 의 수지 기재의 편측에 두께 5 ㎛ 의 편광막이 형성된 적층체 (편광판) 를 얻었다.
[실시예 2]
상기 혼합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00 ㎚ 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3]
상기 혼합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500 ㎚ 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4]
혼합액에 있어서의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와 변성 폴리올레핀의 고형분 배합비를 50 : 50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5]
하도층의 형성시에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고세파이머 Z200) 의 4.0 % 수용액과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 (유니티카사 제조, 상품명「애로우베이스 SD1030N」, 고형분 농도 22 %) 와 순수를 혼합한 혼합액 (고형분 농도 4.0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6]
하도층의 형성시에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고세파이머 Z200) 의 4.0 % 수용액과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 (유니티카사 제조, 상품명「애로우베이스 SE1035NJ2」, 고형분 농도 22 %) 와 순수를 혼합한 혼합액 (고형분 농도 4.0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7]
하도층의 형성시에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닛폰 합성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고세파이머 Z410」, 중합도 2200, 비누화도 97.5 ∼ 98.5 %,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 %) 의 4.0 % 수용액과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 (유니티카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애로우베이스 SE1030N」, 고형분 농도 22 %) 와 순수를 혼합한 혼합액 (고형분 농도 4.0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8]
공중 보조 연신의 연신 배율을 4.0 배로 하고, 불용화 처리 및 수중 연신을 실시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37 ㎛ 의 수지 기재의 편측에 두께 6 ㎛ 의 편광막이 형성된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1]
하도층을 형성하지 않고, 수지 기재 상에 직접 PVA 계 수지 도포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2]
하도층을 형성하지 않고, 수지 기재 상에 직접 PVA 계 수지 도포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3]
하도층의 형성시에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고세파이머 Z200) 의 4.0 % 수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4]
하도층의 형성시에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고세파이머 Z200) 의 4.0 % 수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5]
하도층의 형성시에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고세파이머 Z200) 의 4.0 % 수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6]
하도층의 형성시에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고세파이머 Z200) 의 4.0 % 수용액을 사용한 것, 및 이 혼합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00 ㎚ 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7]
하도층의 형성시에 폴리에스테르 수성 에멀션 수지 (유니티카사 제조, 상품명「에리텔 KT0507E6」)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8]
하도층의 형성시에 폴리에스테르 수성 에멀션 수지 (유니티카사 제조, 상품명「에리텔 KT0507E6」)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9]
하도층의 형성시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 (애로우베이스 SB1035NJ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10]
하도층의 형성시에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고세파이머 Z200) 의 4.0 % 수용액 10 g 과 폴리에스테르 수성 에멀션 수지 (에리텔 KT0507E6) 62.5 g 을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여기서, 혼합액에 있어서의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와 폴리에스테르의 고형분 배합비는 50 : 50 이었다.
[비교예 11]
하도층의 형성시에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고세파이머 Z200) 의 4.0 % 수용액 10 g 과 폴리에스테르 수성 에멀션 수지 (에리텔 KT0507E6) 62.5 g 을 혼합 한 혼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여기서, 혼합액에 있어서의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와 폴리에스테르의 고형분 배합비는 50 : 50 이었다.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정리한다. 또,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8, 비교예 1 및 비교예 11 에 있어서의 연신 후의 적층체의 단면의 SEM 관찰 (6500 배) 의 결과를 도 1 에 나타낸다.
1. 밀착성
PVA 박리력 및 기재 박리력을 측정함으로써, 밀착성을 평가하였다. PVA 박리력 및 기재 박리력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PVA 박리력)
유리판에 얻어진 편광판을 수지 기재면측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첩합하고, 편광막면에 보강용의 폴리이미드 테이프 (닛토 전공 (주) 제조, 폴리이미드 점착 테이프 No.360A) 를 첩합하여, 측정용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 측정용 샘플의 편광막과 수지 기재 사이에 커터 나이프로 노치를 형성하고, 편광막 및 보강용의 폴리이미드 테이프를 수지 기재면에 대하여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립시키고, 박리 속도 3000 ㎜/min 으로 박리할 때에 필요로 하는 힘 (N/15 ㎜) 을 각도 자재 타입 점착·피막 박리 해석 장치「VPA-2」(쿄와 계면 화학 주식회사 제조) 에 의해 측정하였다.
(기재 박리력)
유리판에 얻어진 편광판을 편광막면측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첩합하여, 측정용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 측정용 샘플의 편광막과 수지 기재 사이에 커터 나이프로 노치를 형성하고, 수지 기재를 편광막면에 대하여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립시키고, 박리 속도 3000 ㎜/min 으로 박리할 때에 필요로 하는 힘 (N/15 ㎜) 을 상기「VPA-2」에 의해 측정하였다.
2. 외관
하도층의 형성 및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을 도포할 때에 도포막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Figure pct00002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적층체는 밀착성도 외관도 우수하다. 수중 연신을 실시해도 충분한 밀착성이 유지되고 있다. 한편, 하도층을 형성하지 않은 비교예 1, 2 에서는 충분한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폴리올레핀계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하도층을 형성한 비교예 3 ∼ 6 에서는 충분한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는 데다가, 하도층을 두껍게 할수록 하도층 형성시 (도포시) 에 크레이터링이 발생하고, 크레이터링 발생부가 기포가 되어 외관이 저하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하도층을 형성한 비교예 7 ∼ 9 에서는 하도층 형성시에 도포막이 백탁하여, 우수한 외관이 얻어지지 않는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에스테르계 성분을 사용하여 하도층을 형성한 비교예 10, 11 에서는 하도층에 응집물 (오돌토돌) 이 생성되어, 우수한 외관이 얻어지지 않는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적층체는,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텔레비전, 액정 디스플레이, 휴대 전화,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휴대 게임기, 카 내비게이션, 복사기, 프린터, 팩스, 시계, 전자레인지 등의 액정 패널, 유기 EL 디바이스의 반사 방지판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Claims (16)

  1. 수지 기재와 그 수지 기재의 편측에 형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갖고,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의 상기 수지 기재측이, 폴리올레핀계 성분이 존재하는 중간 영역으로 되어 있는,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이,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을 함유하는, 적층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이, 아세토아세틸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적층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상기 폴리올레핀계 성분의 배합비가, 5 : 95 ∼ 60 : 40 인, 적층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의 두께가, 100 ㎚ ∼ 1000 ㎚ 인, 적층체.
  6. 수지 기재의 편측에 폴리올레핀계 성분을 함유하는 하도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하도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하도층 표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도포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층 형성용 조성물이,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을 함유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이, 아세토아세틸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상기 폴리올레핀계 성분의 고형분 배합비가, 5 : 95 ∼ 60 : 40 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층의 두께가, 500 ㎚ ∼ 3000 ㎚ 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적층체를 연신 및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2. 수지 기재와 그 수지 기재의 편측에 형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갖고,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의 상기 수지 기재측이, 폴리올레핀계 성분이 존재하는 중간 영역으로 되어 있고,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이, 이색성 물질이 흡착 배향된 편광막인, 편광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이,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을 함유하는, 편광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이, 아세토아세틸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편광판.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상기 폴리올레핀계 성분의 배합비가, 5 : 95 ∼ 60 : 40 인, 편광판.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의 두께가, 100 ㎚ ∼ 1000 ㎚ 인, 편광판.
KR1020187017808A 2015-12-25 2016-12-19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129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53785A JP6680533B2 (ja) 2015-12-25 2015-12-25 積層体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JP-P-2015-253785 2015-12-25
PCT/JP2016/087815 WO2017110750A1 (ja) 2015-12-25 2016-12-19 積層体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778A true KR20180085778A (ko) 2018-07-27
KR102129192B1 KR102129192B1 (ko) 2020-07-01

Family

ID=5909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808A KR102129192B1 (ko) 2015-12-25 2016-12-19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680533B2 (ko)
KR (1) KR102129192B1 (ko)
CN (2) CN117986656A (ko)
SG (1) SG11201805245YA (ko)
TW (1) TWI628078B (ko)
WO (1) WO20171107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468A (ko) * 2017-06-22 2020-02-2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2405B (zh) * 2017-03-15 2022-02-11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层叠体及光学层叠体的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8329A (ja) 1999-06-01 2000-12-08 Sanritsutsu:Kk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01158A (ko) * 2004-03-03 2007-01-03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편광 소자용 수성 접착제 및 그것을 사용해서 얻어진편광판
JP2011132403A (ja) * 2009-12-25 2011-07-07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偏光板用接着剤、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4950357B1 (ja) 2010-12-09 2012-06-1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2722B2 (ja) * 2011-01-27 2015-09-24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685222B2 (ja) * 2012-06-06 2015-03-18 日東電工株式会社 変性pvaを含む偏光膜及び該偏光膜を有する光学積層体
JP5860449B2 (ja) * 2013-11-14 2016-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および偏光膜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8329A (ja) 1999-06-01 2000-12-08 Sanritsutsu:Kk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01158A (ko) * 2004-03-03 2007-01-03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편광 소자용 수성 접착제 및 그것을 사용해서 얻어진편광판
JP2011132403A (ja) * 2009-12-25 2011-07-07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偏光板用接着剤、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4950357B1 (ja) 2010-12-09 2012-06-1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30137518A (ko) * 2010-12-09 2013-12-1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성 적층 필름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468A (ko) * 2017-06-22 2020-02-2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192B1 (ko) 2020-07-01
SG11201805245YA (en) 2018-07-30
WO2017110750A1 (ja) 2017-06-29
TWI628078B (zh) 2018-07-01
JP2017114052A (ja) 2017-06-29
CN108541235A (zh) 2018-09-14
CN117986656A (zh) 2024-05-07
TW201730012A (zh) 2017-09-01
JP6680533B2 (ja) 202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345B1 (ko) 광학 적층체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방법
KR102219988B1 (ko) 편광판
KR101804604B1 (ko) 박형 편광막의 제조 방법
KR102562326B1 (ko)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191636B1 (ko) 편광판
KR20160079665A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JP6921953B2 (ja) 積層体、積層体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102129192B1 (ko)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20170044037A (ko) 편광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