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280A -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 Google Patents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280A
KR20180085280A KR1020170008798A KR20170008798A KR20180085280A KR 20180085280 A KR20180085280 A KR 20180085280A KR 1020170008798 A KR1020170008798 A KR 1020170008798A KR 20170008798 A KR20170008798 A KR 20170008798A KR 20180085280 A KR20180085280 A KR 20180085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cu
enclosure
main body
guide
sub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건희
Original Assignee
오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건희 filed Critical 오건희
Priority to KR1020170008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5280A/ko
Publication of KR20180085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2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4Card cages
    • H05K7/1425Card cages of standardised dimensions, e.g. 19"-subr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05K7/1418Card guides, e.g. groo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DCU 함체의 내부에 서브랙을 착탈가능하게 구비하고, 각 구성들을 모듈화함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 구성들이 손상될 경우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력량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DCU 함체에 있어서, 모듈이 착탈되는 서브랙과, 상기 서브랙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면에는 제1레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서브랙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레일부재에 대응되도록 제2레일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a DCU box with a subrack}
본 발명은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DCU 함체의 내부에 서브랙을 착탈가능하게 구비하고, 각 구성들을 모듈화함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 구성들이 손상될 경우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에 관한 것이다.
원격검침의 핵심은 전자식 전력량계, Chip, 쌍방향 통신 등이며, 이는 80년대 초반부터의 연구개발과, 2004년부터의 시범사업 등을 거쳐서 기술개발이 완료되어 2012년부터 본격사업이 계획되고 있다.
여기서, 저압고객 원격검침을 위하여 종래의 기계식 계기는 전량 전자식계기로 교체하며, 전자식계기는 계량기 데이터를 주기별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데이터는 데이터집중장치(DCU: Data Concentrate Unit)에 수집되고 HFC(Hybrid Fiber Cable) 망으로 상위 서버에 전송되며 쌍방향 통신을 시행한다.
또한, 지능형 전력망은 전력사업 선진화를 지향하는 Global Trend로서 기존의 전력망(Grid)에 IT를 부가하여 계량기 데이터의 전송과, 고객과 전력 사업자간 쌍방향 통신을 함으로서 전력 사업에 일대 변혁을 유도하는 것이다.
현재 정부와 전력 사업자는 지능형 전력망 분야에서 Global Leading Country를 목표로 2020년까지 구체적인 실현 방안을 발표하고, 1800만호 전 고객에 대하여 전자식 전력량계를 부설하여 계량기 데이터를 제공하고, 유무선 방식으로 쌍방향 통신을 시행하는 원격검침시스템을 확대 중이다.
위 사항은 중요한 기술 환경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계량기 데이터, 쌍방향 통신이 중심이 되는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의 완성을 뜻하고, 이를 토대로 지능형 전력망 핵심 목표인 계량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전력사업에 경제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원격검침시스템에서는 데이터집중장치(DCU)의 역할이 중요하며, 이러한 데이터집중장치(DCU)는 전봇대 등에 설치되어 있는데, 내부에 구비되는 각 구성들이 하나의 PCB 기판에 설치되어 있어 손상이 발행할 경우 PCB 기판 전체를 확인하여야 하므로 수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데이터집중장치를 전봇대에 설치할 때, 기존에는 전봇대와 접하는 부분이 평평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아 견고하게 고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0629239 한국등록실용 20-022631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DCU(Data Concentrate Unit,데이터 집중장치) 함체의 내부에 서브랙을 구비하여, 서브랙의 후면에는 백보드를 구비하고 각각의 구성들을 모듈화하여 서브랙의 슬롯에 착탈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각 구성들이 손상될 경우 해당 구성만 분리하여 수리할 수 있고, 손상이 심할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CU 함체의 내부에 서브랙을 구비하되, DCU 함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부의 내측에는 제1레일부재를 구비하고, 서브랙의 양측에는 제1레일부재에 대응되도록 제2레일부재를 구비하여, 서브랙을 슬라이딩 결합으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서브랙에 설치되는 백보드에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력량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원격지로 전송하는 DCU 함체에 있어서, 모듈이 착탈되는 서브랙과, 상기 서브랙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면에는 제1레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서브랙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레일부재에 대응되도록 제2레일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레일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레일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내측에는 상기 제1롤러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2가이드홈에는 제1,2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레일부재는 상기 제1롤러의 상부와 제1가이드부재의 하부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경계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홈의 후단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제2롤러는 자석에 부착될 수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전봇대와 접하여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는 본체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구비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외측에 구비되는 스크류바와, 상기 가이드바와 스크류바가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다리와,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의 단부에 구비되어 전봇대와 접하는 접촉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크류바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의 나사산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바의 일측단부에는 브라켓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을 관통한 스크류바의 단부에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DCU(Data Concentrate Unit,데이터 집중장치) 함체의 내부에 서브랙을 구비하여, 서브랙의 후면에는 백보드를 구비하고 각각의 구성들을 모듈화하여 서브랙의 슬롯에 착탈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각 구성들이 손상될 경우 해당 구성만 분리하여 수리할 수 있고, 손상이 심할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DCU 함체의 내부에 서브랙을 구비하되, DCU 함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부의 내측에는 제1레일부재를 구비하고, 서브랙의 양측에는 제1레일부재에 대응되도록 제2레일부재를 구비하여, 서브랙을 슬라이딩 결합으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서브랙에 설치되는 백보드에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의 제1,2레일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의 제1,2레일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의 후부에 구비되는 지지대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의 후부에 구비되는 지지대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에 설치되는 서브랙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의 제1,2레일부재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의 제1,2레일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의 후부에 구비되는 지지대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의 후부에 구비되는 지지대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에 설치되는 서브랙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전력량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원격지로 전송하는 서브랙이 구비된 DCU(Data Concentrate Unit, 데이터 집중장치) 함체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서브랙(300)과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커버하는 도어(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개방부에는 내측으로 단턱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102)에는 전방으로 일정거리 돌출된 후, 외측으로 절곡되어 도어(200)와 접하는 밀착부(104)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200)의 후면에는 본체(100)의 단턱부(10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0)의 외측에는 상기 밀착부(104)의 전면과 밀착되도록 패킹(220)이 구비되며, 상기 패킹(220)의 외측에는 테두리(230)가 단턱부(102)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200)는 상기 본체(100)에 힌지결합으로 결합되며, 힌지결합된 타측에는 걸림돌부(240)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돌부(240)에 고정되어 도어(200)를 본체(100)에 밀착 결합하는 잠금장치(11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와 도어(200)는 상기 잠금장치(110)와 패킹(220)에 의해 완전히 밀폐됨으로써, 전봇대와 같은 외부에 설치되더라도 눈이나 비가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 내부에 구비되는 전자장비가 손상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랙(300)은 프레임(310)과 상기 프레임(310)에 형성되는 슬롯(312)과 서브랙(300)의 내측 후면에 구비되는 백보드(320)와 상기 슬롯(312)에 삽입 고정되는 모듈(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백보드(320)는 DCU 장치를 구성하는 메인보드에 해당하며, 상기 모듈는 DCU 장치의 각 구성들을 모듈화한 것으로서 상기 백보드(320)에 각각의 모듈을 연결하여 하나의 DCU 장치를 형성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본체(100)의 내측에 하나의 PCB 기판에 다양한 구성들을 설치하게 되고, 다수의 전선이 서로 복잡하게 구비되어 있어, DCU 장치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 모든 구성들을 일일이 점검하여야 하는데, 전봇대의 상부에 구비된 좁은 DCU함체의 내부에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DCU 함체에 서브랙(300)을 구비하고, DCU 장치를 백보드(320)와 다수의 착탈 가능한 모듈로 형성함으로써, 좁은 DCU 함체에서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각각의 모듈을 분리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 양측면에는 제1레일부재(130)가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서브랙(300)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레일부재(130)에 대응되도록 제2레일부재(3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레일부재(130)는 상단과 하단에 제1레일부재(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경계턱(136)과 상기 경계턱(136)의 사이에 위치하되 제1레일부재(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가이드레일(131)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13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롤러(13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레일(13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가이드홈(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레일부재(330)는 상기 제1가이드홈(132)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제2롤러(335)와 상기 제2롤러(335)의 하부에 위치하되 제2레일부재(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가이드레일(33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가이드레일(331)에는 상기 제1롤러(135)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2가이드홈(3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레일(131)은 제1레일부재(130)의 중심부에서 하부로 치우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331)은 제2레일부재(330)의 중심부에서 상부로 치우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제1,2레일부재(130,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가이드레일(331)이 제1가이드레일(13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1롤러(135)와 제2롤러(335)가 각각 제2가이드홈(332)와 제1가이드홈(132)에 각각 삽입되어 서브랙(300)이 본체(10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레일부재(13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레일(131), 경계턱(136), 제1롤러(13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형성된 단턱부(102) 보다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계턱(136)에는 제1볼트공(13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서브랙(300)의 전면 양측에는 각각 날개(314)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314)는 상기 제1볼트공(137)에 대응되도록 제2볼트공(31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랙(300)이 완전히 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될 경우 상기 날개(314)의 후면이 경계턱(136)의 전면과 접하게 되고, 제1,2볼트공(137,316)은 서로 연통되도록 위치되어, 볼트(미도시)를 사용하여 서브랙(300)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가이드홈(132,33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탈방지턱(133,333)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이탈방지턱(133,333)은 제1,2가이드레일(131,331)의 내측으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제1,2가이드홈(132,332)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2롤러(135,33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DCU 함체의 내측에는 전자장치가 구비되어, 여름과 같은 경우에는 상당한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기에 의해 몸체(100)와 서브랙(300)의 열팽창 계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열팽창하거나 열수축할 경우, 제1,2롤러(135,335)가 제1,2가이드홈(132,332)에서 이탈될 수도 있는데, 상기 이탈방지턱(133,333)에 의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가이드레일(131)과 제2가이드레일(331)을 각각 구비하여, 이중의 가이드레일을 구비함으로써, 어느정도 무게가 있는 서브랙(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롤러(135)는 제1레일부재(130)의 전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2롤러(335)는 제2레일부재(330)의 후부에 위치하게 되어, 서브랙(300)의 전방 또는 후방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분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롤러(335)는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이드홈(132)의 후단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영구자석(미도시)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랙(300)을 완전히 본체(100)의 내측에 삽입할 경우, 상기 제2롤러(335)가 영구자석과 접하게 되고, 제2롤러(335)가 영구자석에 부착되게 됨으로써, 서브랙(300)이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볼트를 제1,2볼트공(137,316)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레일부재(330)는 상부와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보조레일(336)이 형성되는데, 상기 보조레일(336)은 제1레일부재(13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경계턱(136)에 대응되도록 위치하여, 경계턱(136)이 삽입된다.
그래서, 상기 보조레일(336)에 상기 경계턱(136)이 삽입되어 서브랙(300)에 많은 수이 기판이 삽입되어 무게가 증가하더라도 보다 안정적으로 서브랙(30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후면에는 전봇대와 접하여 본체(100)를 지지하는 지지대(4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대(400)는 본체(100)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다리(440')와 상기 지지다리(440')의 단부에 형성되어 전봇대와 직접 접하는 접촉부재(450')와 접촉부재(450')에 대응되도록 이격되게 구비되는 고정부재(454)로 이루진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재(450')와 고정부재(454)는 전봇대의 형상에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재(450')와 고정부재(454)의 양측 단부에는 플랜지(452,456)가 각각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접촉부재(450')와 고정부재(454) 사이에 전봇대를 위치시키고, 상기 플랜지(452,456)에 형성된 볼트공(부호 미도시)에 고정볼트(부호 미도시)를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DCU 함체를 전봇대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후면에는 전봇대와 접하여 본체(100)를 지지하는 지지대(400)가 구비되는데, 본체(100)의 후면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바(420')와 상기 가이드바(42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다리(440")와 상기 지지다리(440")의 단부에 형성되어 전봇대와 접하는 접촉부재(4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재(450")는 전봇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420')를 따라 지지다리(440")를 이동시켜 전봇대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후, 접촉부재(450")를 전봇대와 접촉하고, 상기 접촉부재(450")를 밴드 등을 이용하여 전봇대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420')의 양측단부에는 본체(100)의 후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422)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422)는 볼트 등을 사용하거나, 용접이나 접착 등의 방법으로 본체(100)의 후면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전봇대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지지대(400)는 본체(100)의 후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데, 상부에 위치하는 접촉부재(450")의 반경이 하부에 위치하는 접촉부(450")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420')의 중심부에도 본체(100)의 후면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422)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격판(106)이 형성되어, 격판(106)의 하부에는 서브랙(300)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격판(106)의 상부에는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거나, 수리 등에 필요한 장비를 수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랙(300)은 일반적인 서브랙(300)이 사용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랙(300)을 형성하는 프레임(310)은 한 쌍의 측판(310a)과 상기 측판(310a)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상판(310b)과 하판(310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측판(310a)의 상단과 하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310a-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310a-1)에는 상판(310b)과 하판(310c)의 양측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서브랙(300)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310b)과 하판(310c)은 전부와 후부에 구비되는 연결부재(310b-1,310c-1)와 상기 연결부재(310b-1,310c-1)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슬롯부재(31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슬롯부재(312')를 설치되는 기판의 두께 등에 따라 적절하게 간격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판(310a)의 전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314)가 구비되는데, 상기 날개(314)는 측판(310a)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형성하여, 볼트 등을 사용하여 측판(310a)의 전부에 조립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DCU 함체의 내부에 서브랙을 착탈가능하게 구비하고, 각 구성들을 모듈화함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 구성들이 손상될 경우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에 관한 것이다.
100 : 본체 110 : 잠금장치
120 : 수용부 130 : 제1레일부재
200 : 도어 210 : 돌출부
300 : 서브랙 310 : 프레임
320 : 백보드 330 : 제2레일부재
400 : 지지대 420 : 가이드바
440 : 지지다리 450 : 접촉부재

Claims (9)

  1. 전력량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원격지로 전송하는 DCU 함체에 있어서,
    모듈이 착탈되는 서브랙과,
    상기 서브랙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면에는 제1레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서브랙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레일부재에 대응되도록 제2레일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일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내측에는 상기 제1롤러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가이드홈에는 제1,2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부재는 상기 제1롤러의 상부와 제1가이드부재의 하부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경계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홈의 후단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제2롤러는 자석에 부착될 수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전봇대와 접하여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의 단부에 구비되어 전봇대와 접하는 접촉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KR1020170008798A 2017-01-18 2017-01-18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KR20180085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798A KR20180085280A (ko) 2017-01-18 2017-01-18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798A KR20180085280A (ko) 2017-01-18 2017-01-18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280A true KR20180085280A (ko) 2018-07-26

Family

ID=63047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798A KR20180085280A (ko) 2017-01-18 2017-01-18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528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722B1 (ko) * 2018-10-19 2019-03-06 주식회사 아이티엔조이 가상현실 서버 장치
CN110430706A (zh) * 2019-08-08 2019-11-08 南京海兴电网技术有限公司 一种钣金插箱
KR102054323B1 (ko) * 2018-10-22 2019-12-11 (주)트로이씨앤씨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를 구비한 웹서버장치
KR102118287B1 (ko) * 2019-05-16 2020-06-02 한국전력공사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KR20200129764A (ko) 2019-05-10 2020-11-18 (주)매트론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KR20210045694A (ko) * 2019-10-17 2021-04-27 김기영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KR20220057977A (ko) * 2020-10-30 2022-05-09 오건희 서브랙이 구비된 함체
KR102435626B1 (ko) * 2022-01-17 2022-08-24 최봉덕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311Y1 (ko) 2000-12-27 2001-06-15 엘지전자주식회사 통신기기의 양면 실장형 서브랙의 결합구조
KR100629239B1 (ko) 2004-06-18 2006-09-27 주식회사 포스콘 전자통신기기의 서브랙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311Y1 (ko) 2000-12-27 2001-06-15 엘지전자주식회사 통신기기의 양면 실장형 서브랙의 결합구조
KR100629239B1 (ko) 2004-06-18 2006-09-27 주식회사 포스콘 전자통신기기의 서브랙 구조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722B1 (ko) * 2018-10-19 2019-03-06 주식회사 아이티엔조이 가상현실 서버 장치
KR102054323B1 (ko) * 2018-10-22 2019-12-11 (주)트로이씨앤씨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를 구비한 웹서버장치
KR20200129764A (ko) 2019-05-10 2020-11-18 (주)매트론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KR102118287B1 (ko) * 2019-05-16 2020-06-02 한국전력공사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CN110430706A (zh) * 2019-08-08 2019-11-08 南京海兴电网技术有限公司 一种钣金插箱
KR20210045694A (ko) * 2019-10-17 2021-04-27 김기영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KR20220057977A (ko) * 2020-10-30 2022-05-09 오건희 서브랙이 구비된 함체
KR102435626B1 (ko) * 2022-01-17 2022-08-24 최봉덕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5280A (ko)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CN101919061B (zh) 具有热插拔连接器的光伏面板
CA2714450C (en) Meter socket assembly with interchangeable meter jaw assembly
US20070053155A1 (en) Fixture for testing mid-plane of blade server
EP3509407B1 (en) Rack pdu bracket with rotation function
US8749957B2 (en) Device for holding at least one switch in an enclosure, e.g. a switch cabinet
JP2002048819A (ja) 電力量計アダプタ
US11602066B2 (en) Extractable structure for housing electronic components
US10230204B2 (en) Cabinet backplane interconnect
CN205336092U (zh) 一种风能变流器及其功率模块
CN110716118A (zh) 测试电源装置和测试机箱
CN103134215A (zh) 一种太阳能热水器的控制仪
CN209326698U (zh) 一种计算机机房数据采集器
CN217428509U (zh) 一种插拔式低压无功补偿模块安装结构
US11350540B2 (en) Non-permanent bracket assembly for server cabinet
CN220585718U (zh) 一种电器设备安装箱
CN212872621U (zh) 一种电压互感器误差测试接线箱
CN212228993U (zh) 模组测试工装
CN203521940U (zh) 组合式计量屏柜
CN209592840U (zh) 一种弱电工程用的走线架
CN209831447U (zh) 一种能保证精度的探测器asg简易安装工装
CN214897900U (zh) 一种具有多种安装方式的变压器外壳
CN210641204U (zh) 一种应用于变电站远动终端的插件式自动调试装置
CN217903770U (zh) 一种壁挂式应急接入箱
CN209766955U (zh) 基于多用式固定导轨的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