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694A -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 Google Patents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694A
KR20210045694A KR1020190129051A KR20190129051A KR20210045694A KR 20210045694 A KR20210045694 A KR 20210045694A KR 1020190129051 A KR1020190129051 A KR 1020190129051A KR 20190129051 A KR20190129051 A KR 20190129051A KR 20210045694 A KR20210045694 A KR 20210045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centrator
cradle
support members
support member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0098B1 (ko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김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영 filed Critical 김기영
Priority to KR1020190129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0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6Combination of signalling, telemetering, pro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은 데이터 집중장치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둘레 다수의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를 에워싸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데이터 집중 장치를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Cradle for data Concentrator Unit}
본 발명은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데이터 집중 장치를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는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
통상 국내외적으로 원격검침 사업화는 초기 단계에 있으며, 국내에서는 저압구간에서 전력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일부 가공구간을 대상으로 원격검침 사업화가 시작되었고, 단계적으로 전국 사업화를 목표로 추진 중에 있다.
이에 따라 2020년까지 저압 전체 호수인 2,250만 호에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가 구축 완료 될예정이며, 이를 위해 전국의 지상변압기 46,696개소에 데이터 집중장치(Data Concentration Unit, DCU)가 설치될 예정이다.
데이터 집중장치(Data Concentration Unit, DCU)는 원격검침망을 구성하는 핵심 장치로, 전기를 사용하는 사용처 전력량계의 검침 데이터 및 변압기의 감시 데이터를 수집하여 원격검침 서버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데이터 집중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함체 내부에서 지상변압기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의 형상이나 지상변압기(4)의 형상에 따라 함체(1) 내부에서 지상변압기(4)의 상부 공간이 없거나, 기타 장비 및 설치물에 의해 지상변압기(4) 상부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집중장치(6)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지상변압기(4)의 전면과 함체(1)의 도어 사이에는 데이터 집중장치(6)를 지지하거나 고정할 수 있는 설치물이 없어 데이터 집중장치(6)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기존의 함체(1) 내부에 데이터 집중장치(6)의 설치 불가 시 기존의 함체(1)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0165호에서는 데이터 집중 장치를 별도의 거치대를 사용하여 거치하도록 하는 거치대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거치대는 단순히 장치를 압착시켜 거치할 뿐 장지와 장치 사이에의 케이블이 거치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는 바 외부 작업시 충격으로 인해 케이블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를 갖는다.
또한 종래에는 거치대 내에 장치를 삽입하여 거치하고는 있으나 장치 자체의 자세를 일정하게 균형을 이루도록 제어할 수 없음과 아울러 자세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거치대 자체를 재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거치대는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장치를 수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데이터 집중 장치를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는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집중장치의 거치 자세를 가변적으로 이룰 수 있는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장치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장치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은 데이터 집중장치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둘레 다수의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를 에워싸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는,
'ㄷ' 형상을 이루어 상기 안착홈을 형성하는 사각판 형상의 안착부 몸체와,
상기 안착부 몸체의 일측부로부터 하방을 따라 연장되는 제 1하단 플레이트와,
상기 안착부 몸체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하단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제 2하단 플레이트 각각의 하단면은,
상기 제 1하단 플레이트 하단에서 상기 안착부 몸체의 상단을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의 둘레 일부는, 상기 안착홈의 외측 영역에 걸려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하단 플레이트의 외측면부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들에는, 자석이 끼워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안착부 몸체의 제 1둘레에 형성되는 제 1지지 부재와,
상기 안착부 몸체의 제 2둘레에 형성되는 제 2지지 부재들과,
상기 안착부 몸체의 제 3둘레에 형성되는 제 3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2지지 부재들과 상기 제 3지지 부재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지지 부재는,
갖는 제 1지지 부재 몸체와,
상기 제 1지지 부재 몸체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3둘레 일부에 형성되는 제 1보조 몸체와,
상기 제 1지지 부재 몸체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2둘레 일부에 형성되는 제 2보조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보조 몸체의 폭은,
상기 제 2보조 몸체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지지 부재들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지지 부재들의 사이 및 상기 제 2보조 몸체와 이웃하는 상기 제 2지지 부재 사이에는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의 케이블이 관통되는 절개홈들이 형성되되,
상기 절개홈들 각각에는,
유연성을 갖는 케이블 관들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다수의 지지 부재들 각각의 내측면부에는,
지지판들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들과 상기 다수의 지지 부재들 각각의 내측면부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들이 각각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판들 각각에는,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 둘레 일부분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홈의 외측 영역 다수 위치에는, 승강되는 축을 갖는 승강 실린더들이 설치되고,
상기 안착홈의 외측 영역 다수 위치에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의 저면 둘레와의 거리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거리값들을 제어기로 전송하는 거리 센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 실린더 각각의 상기 축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의 저면 둘레를 지지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거리값들이 기설정된 기준 거리값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승강 실린더들의 축을 승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거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지지틀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틀의 양단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틀에는 수평을 감지하는 수평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 양측에 형성되는 회전홈에 끼워져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은 모터의 모터축과 축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평 센서로부터 수평을 이룸에 대한 신호를 받도록 상기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지지틀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은 낙뢰 및 서지 유입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함은 물론, 혼촉(Electric Confusion) 발생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효과적인 케이블 정리가 가능하며 이에 따른 케이블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데이터 집중 장치를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은 데이터 집중장치의 거치 자세를 가변적으로 이동이 가능 한 바, 다른 공사 및 유지보수 시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진행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은 다양한 장치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장치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지상변압기용 데이터 집중장치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사진들이다.
도 2는 종래의 함체 내부 지상변압기 상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진들이다.
도 3은 종래의 함체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을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재들 각각에 지지판들이 배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집중장치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집중장치의 자세를 가변시키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을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은 금속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의 내부에는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 리브가 격자 형상으로 매설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은 데이터 집중장치가 안착되는 안착홈(101)이 형성되는 안착부(100)와, 상기 안착부(100)의 둘레 다수의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 부재(200)를 갖는다.
상기 다수의 지지 부재(200)는 상기 안착홈(101)에 안착된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를 에워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100)는 'ㄷ' 형상을 이루어 상기 안착홈(101)을 형성하는 사각판 형상의 안착부 몸체(110)와, 상기 안착부 몸체(110)의 일측부로부터 하방을 따라 연장되는 제 1하단 플레이트(120)와, 상기 안착부 몸체(110)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하단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 몸체(110)와 상기 제 1,2하단 플레이트(120, 130)는 일체로 성형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한 쌍의 제 2하단 플레이트(130) 각각의 하단면은 상기 제 1하단 플레이트(120) 하단에서 상기 안착부 몸체(110)의 상단을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한 쌍의 제 2하단 플레이트(130) 각각의 하단면은 경사면을 형성한다.
상기 경사면은 직선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주름형상 또는 웨이브 형상을 이루는 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외부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는 상기 안착홈(101)에 삽입된다.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의 둘레 일부는 상기 안착홈(101)의 외측 영역에 걸려 거치된다.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의 둘레 일부에는 걸림 테두리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안착홈(101)의 외측 영역 상면에는 상술한 걸림 테두리가 삽입 및 안착되는 보조 안착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안착홈에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걸림 테두리와 자력을 통해 부착되는 보조 자석들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하단 플레이트(120)의 외측면부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홈들(121)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들은 서로 다른 형상 또는 동일한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길이를 갖는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형 또는 타원의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설치홈들(121)에는 자석(122)이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자석(122)은 데이터 집중장치가 배치되는 변압기의 일정 위치에 자력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지지 부재(200)는 상기 안착부 몸체(110)의 제 1둘레에 형성되는 제 1지지 부재(210)와, 상기 안착부 몸체(110)의 제 2둘레에 형성되는 제 2지지 부재들(220)과, 상기 안착부 몸체(110)의 제 3둘레에 형성되는 제 3지지 부재(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부 몸체(110)의 제 4둘레에는 지지 부재(200)가 형성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 1,2,3지지 부재(210, 220, 230)는 판 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2,3지지 부재(210, 220, 230)는 안착부 몸체(110)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지지 부재들(220)과 상기 제 3지지 부재(23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1지지 부재(21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 1지지 부재(210)는 제 1지지 부재 몸체(211)와, 상기 제 1지지 부재 몸체(211)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3둘레 일부에 형성되는 제 1보조 몸체(212)와, 상기 제 1지지 부재 몸체(212)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2둘레 일부에 형성되는 제 2보조 몸체(213)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보조 몸체(212)의 폭은 상기 제 2보조 몸체(213)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지지 부재들(200)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지지 부재들(220)의 사이 및 상기 제 2보조 몸체(213)와 이웃하는 상기 제 2지지 부재(220) 사이에는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의 케이블이 관통되는 절개홈들(201)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절개홈들의 바닥에는 케이블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더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은 절개홈의 내측 양벽에 형성될 수 도 있다.
이에 케이블은 해당 절개홈에서 해당 위치의 끼움홈에 끼워짐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홈의 내주 다수 위치에는 다수의 볼들이 구를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볼들의 일부는 끼움홈의 내주에 노출된다. 이에 상기 볼들은 끼움홈에 끼워진 케이블의 외주에 구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케이들의 유동을 안내하여 끼움홈에서의 과도한 마찰 발생 및 이로 인한 케이블 외면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절개홈들(201) 각각에는 유연성을 갖는 케이블 관들의 일단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 관들 각각의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관들 각각은 유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 관들은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케이블이 케이블 관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손상이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관을 일정 방향으로 절곡하여 케이블의 설치 방향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재들 각각에 지지판들이 배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특히, 도 8을 참조 하면 상기 다수의 지지 부재들(200) 각각의 내측면부에는 지지판들(230)이 각각 배치된다.
상기 지지판들(230)과 상기 다수의 지지 부재들(200) 각각의 내측면부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들(240)이 각각 개재된다.
상기 지지판들(230)은 안착홈(101)에 안착된 데이터 집중장치의 외측 둘레에 탄성적으로 접촉 및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들(230)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반원 형상의 탄성 돌기들(미도시)이 더 형성되어 장치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판들(230)은 탄성 스프링(240)의 탄성에 의해 다양한 사이즈를 이루는 데이터 집중장치의 외측 둘레를 지지판(230)을 사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할수 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집중장치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 하면, 상기 안착홈(101)의 외측 영역 다수 위치에는, 승강되는 축(310)을 갖는 승강 실린더들(300)이 설치된다.
상기 안착홈(101)의 외측 영역 다수 위치에는, 상기 안착홈(101)에 삽입되는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1)의 저면 둘레와의 거리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거리값들을 제어기(500)로 전송하는 거리 센서들(400)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 실린더(300) 각각의 상기 축(310)은 상기 안착홈(101)에 삽입되는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1)의 저면 둘레를 지지한다.
상기 승강 실린더들(300)은 제 1하단 플레이트(120) 하단에 형성된 지지 부재(123)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어기(500)는 상기 거리값들이 기설정된 기준 거리값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승강 실린더들(300)의 축(310)을 승강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집중장치의 자세를 가변시키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안착홈(101)에는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1)가 거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지지틀(600)이 배치된다.
상기 지지틀(600)의 양단에는 회전축(61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틀(600)에는 수평을 감지하는 수평 센서(700)가 배치된다.
상기 회전축(610)은, 상기 안착홈(101)의 내측면 양측에 형성되는 회전홈에 끼워져 회전된다.
상기 회전축(610)은 모터(620)의 모터축과 축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500)는 상기 수평 센서(700)로부터 수평을 이룸에 대한 신호를 받도록 상기 모터(620)를 사용하여 상기 지지틀(600)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낙뢰 및 서지 유입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함은 물론, 혼촉(Electric Confusion) 발생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효과적인 케이블 정리가 가능하며 이에 따른 케이블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데이터 집중 장치를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집중장치의 거치 자세를 가변적으로 이동이 가능 한 바, 다른 공사 및 유지보수 시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진행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장치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장치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안착부
101 : 안착홈
110 : 안착부 몸체
120 : 제 1하단 플레이트
130 : 제 2하단 플레이트
200 : 지지 부재
201 : 절개홈
210 : 제 1지지 부재
211 : 제 1지지 부재 몸체
212 : 제 1보조 몸체
213 : 제 2보조 몸체
220 : 제 2지지 부재
230 : 제 3지지 부재

Claims (8)

  1. 데이터 집중장치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둘레 다수의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를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ㄷ' 형상을 이루어 상기 안착홈을 형성하는 사각판 형상의 안착부 몸체와,
    상기 안착부 몸체의 일측부로부터 하방을 따라 연장되는 제 1하단 플레이트와,
    상기 안착부 몸체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하단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제 2하단 플레이트 각각의 하단면은,
    상기 제 1하단 플레이트 하단에서 상기 안착부 몸체의 상단을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의 둘레 일부는, 상기 안착홈의 외측 영역에 걸려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단 플레이트의 외측면부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들에는, 자석이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안착부 몸체의 제 1둘레에 형성되는 제 1지지 부재와,
    상기 안착부 몸체의 제 2둘레에 형성되는 제 2지지 부재들과,
    상기 안착부 몸체의 제 3둘레에 형성되는 제 3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2지지 부재들과 상기 제 3지지 부재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 부재는,
    갖는 제 1지지 부재 몸체와,
    상기 제 1지지 부재 몸체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3둘레 일부에 형성되는 제 1보조 몸체와,
    상기 제 1지지 부재 몸체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2둘레 일부에 형성되는 제 2보조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보조 몸체의 폭은,
    상기 제 2보조 몸체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 부재들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 부재들의 사이 및 상기 제 2보조 몸체와 이웃하는 상기 제 2지지 부재 사이에는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의 케이블이 관통되는 절개홈들이 형성되되,
    상기 절개홈들 각각에는,
    유연성을 갖는 케이블 관들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KR1020190129051A 2019-10-17 2019-10-17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KR102260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051A KR102260098B1 (ko) 2019-10-17 2019-10-17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051A KR102260098B1 (ko) 2019-10-17 2019-10-17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694A true KR20210045694A (ko) 2021-04-27
KR102260098B1 KR102260098B1 (ko) 2021-06-03

Family

ID=7572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051A KR102260098B1 (ko) 2019-10-17 2019-10-17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0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7294A (ja) * 2004-05-31 2005-12-15 Icom Inc 筐体の取付け構造
JP3169579U (ja) * 2011-05-26 2011-08-04 ▲うぇい▼豐 林 折り畳みコンテナ
KR20180085280A (ko) * 2017-01-18 2018-07-26 오건희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KR200490165Y1 (ko) * 2018-04-23 2019-10-04 한국전력공사 지상변압기용 데이터 집중장치의 거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7294A (ja) * 2004-05-31 2005-12-15 Icom Inc 筐体の取付け構造
JP3169579U (ja) * 2011-05-26 2011-08-04 ▲うぇい▼豐 林 折り畳みコンテナ
KR20180085280A (ko) * 2017-01-18 2018-07-26 오건희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KR200490165Y1 (ko) * 2018-04-23 2019-10-04 한국전력공사 지상변압기용 데이터 집중장치의 거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098B1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02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n overhead monitoring device
KR101651848B1 (ko) 공동주택 지중전력 케이블 방호장치
JP7261265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基地局
RU2599884C2 (ru) Сегмент кожуха паровой турбины, паротурби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паротурбинная установка
JPH05157560A (ja) 閉鎖ケーシング内に配置された装置の垂直を調整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る集合体
KR101848089B1 (ko)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보호패널
KR20210045694A (ko)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KR101648164B1 (ko)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CN204086565U (zh) 变电站地震监测系统
KR101455679B1 (ko) 공동주택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KR102292234B1 (ko) 외함 와이어 고정형 내진장치
KR200490165Y1 (ko) 지상변압기용 데이터 집중장치의 거치장치
US10408865B2 (en) Power monitor protective shroud
CN212379455U (zh) 一种变压器铁芯接地电流测试仪校验用工频磁场发生器
KR101448171B1 (ko) 지중 배전선로 지상 설치용 보호함체
CA2944087C (en) Acoustic panels for transformers
CN219458364U (zh) 一种地埋式电气柜
CN213875806U (zh) 一种便于安装的嵌入式电表箱
CN210890725U (zh) 工程现场智能管控系统及摄像装置
CN212319282U (zh) 一种具有防护结构且便于安装的水文地质勘查装置
CN220791389U (zh) 一种高压脉冲油箱
CN212810035U (zh) 一种抗干扰型电流互感器
CN105203081A (zh) 一种电杆的垂直度校准装置
CN218628290U (zh) 一种建筑施工用室内地面水平度检测器
CN211377472U (zh) 一种用于通信管道的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