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760A - 치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760A
KR20180083760A KR1020170006426A KR20170006426A KR20180083760A KR 20180083760 A KR20180083760 A KR 20180083760A KR 1020170006426 A KR1020170006426 A KR 1020170006426A KR 20170006426 A KR20170006426 A KR 20170006426A KR 20180083760 A KR20180083760 A KR 20180083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fastening
fixture
fastening portion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6210B1 (ko
Inventor
김형우
김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006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21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플렉스
Priority to MYPI2019003962A priority patent/MY187893A/en
Priority to AU2018207501A priority patent/AU2018207501B2/en
Priority to RU2019125230A priority patent/RU2717710C1/ru
Priority to CN201880006877.8A priority patent/CN110198682B/zh
Priority to CA3050089A priority patent/CA3050089C/en
Priority to JP2019538226A priority patent/JP7136470B2/ja
Priority to EP18738502.6A priority patent/EP3569184B1/en
Priority to PCT/KR2018/000695 priority patent/WO2018131974A1/ko
Priority to US15/763,715 priority patent/US10709526B2/en
Publication of KR20180083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210B1/ko
Priority to SA519402314A priority patent/SA519402314B1/ar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61C8/0007Stimulation of growth around implant by electr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diverging in the apical direction of the implant or abu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조골에 식립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고정체(fixture)와, 상단부는 보철물(Crown 또는 Denture)과 결합되고 하단부는 고정체의 축공에 탄성 결합되는 탄성레그들로 이루어진 지대주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의 탄성레그들은 중심축 방향으로의 탄성적 휘어짐과 복원력에 의해 지대주를 고정체에 체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탄성체결레그와, 지대주와 고정체의 직접적 체결에 관여하지 않는 비체결 탄성지지레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일정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체결홈과 같은 요철부로 이루어진 제1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대주의 상기 탄성체결레그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 형성된 제1 체결부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체결돌기로 이루어진 제1 대응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되되,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그 결과 지대주를 고정체에 밀어 넣어 체결시킬 때 지대주가 일정 각도에서만 고정체에 체결되고, 지대주를 원주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회전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지대주의 제1 대응체결부가 제1 체결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150)와 제1 대응체결부(130)의 상보적 결합에 의해 상기 지대주가 고정체내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이하의 회전력에서는 고정체에 대해 지대주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일정 이상의 회전력에서는 상기 지대주의 탄성체결레그가 내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상기 지대주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대응체결부의 체결돌기가 제1 체결부의 체결홈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고정체와 지대주의 체결이 분리되고, 상기 지대주의 비체결 탄성지지레그는 그 하부 외측면에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면을 형성하고,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도 상기 비체결 탄성지지레그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대응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지대주에 가해지는 교합력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조골에 식립 결합되는 인공 치근을 형성하여 치아 보철물을 고정시키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fixture)와 지대주(abutment)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지대주를 고정체로부터 분리시킬 때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하고, 수직 교합력을 받았을 때 보다 더 효율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는 상실된 자연치아의 대체물 자체를 말하거나, 고정체를 턱뼈에 심어 소정기간 동안 턱뼈와 융합되도록 한 다음, 그 위에 체결부재와 인공치아 등의 보철물을 고정함으로써, 치아의 본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적인 시술을 말한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 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 치아 및 완전 무 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킨다.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은 물론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경우에는, 턱뼈에 식립(植立)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상부 축공에 지대주의 체결부가 결합되고, 상기 지대주 상부에는 보철물이 고정되는 구조이다.
종래의 임플란트 구조는 고정체와 지대주가 나사식의 결합구조를 갖거나, 고정체의 체결홈과 지대주의 체결돌기가 암수 간에 상보적(相補的)으로 결합되는 탄성 결합구조이다.
종래의 나사식의 결합구조는 시술자가 음식물을 씹어서 섭취하는 행위 등을 통해 구강 내에서의 지속적인 하중이 반복되는 경우, 스크류가 미세 진동하게 되고, 진동 폭이 점차 커지게 됨에 따라 자체 회전이 이루어져 나사 결합상태가 느슨해지게 되고, 이는 고정체와 지대주 사이에 유격을 발생시켜 지대주 즉, 인공치아가 흔들리게 되어 환자는 음식물을 원활히 씹을 수 없게 되며, 인공치아 주변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저작압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고정체에 지대주를 체결할 때, 정확한 체결위치를 잡지 못한 상태에서 스크류 체결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이로 인해 인공치아와 치조골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은 좁은 구강 내의 공간에서 스크류를 체결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특히 시술부위가 어금니 쪽에 위치해 있거나, 입을 크게 벌릴 수 없는 환자의 경우 더욱 시술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선행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8368호의 치과용 임플란트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상부에 축공을 형성하고 턱뼈에 식립되는 고정체와, 하부에 상기 축공에 삽입되는 형상기억합금의 체결 레그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 레그를 통해 상기 고정체와 지대주를 탄성결합으로 연결시켜 음식물을 씹을 수 있게 하는 지대주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고정체와 지대주간의 탄성 결합구조들은, 나사식 결합구조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개선시켜서 많은 기술적인 진보를 가져왔으며, 실제 사용상에서 고정체내에 지대주를 삽입시키면, 체결 레그의 체결돌기가 탄성적으로 고정체의 체결홈에 자동적으로 결합되므로 사용상 매우 편리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고정체와 지대주간의 탄성 결합구조들은, 고정체로부터 지대주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시술의 경우에는 다소 불편함이 있었고 수직 교합력이 가해졌을 때 효과적으로 완충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고정체로부터 지대주를 분리시키려면, 지대주를 고정체에 대해서 상부측으로 강제적으로 당겨서 체결레그에 형성된 체결돌기 또는 체결홈이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 대응형성된 체결홈 또는 체결돌기로부터 이탈되도록 상부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잡아당겨 분리시키는 시술을 하여야 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지대주를 고정체에 대하여 상부측으로 강제적으로 당기는 것은 고정체를 통하여 환자의 치조골에도 큰 힘을 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환자의 치조골에 무리한 힘을 주어 손상시키는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지대주와 고정체 축공 내측면에 형성된 체결돌기와 체결홈으로 이루어진 대응체결부 및 체결부가 반복되는 착탈에 의해 마모되어 결합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또한 고정체의 상단면이 잇몸 깊숙이 식립되어 있을 때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9417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취출기구를 사용하여야만 고정체나 지대주 및 치조골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고정체로부터 지대주를 분리시킬 수 있었는데, 만일 고정체가 치조골 상단으로부터 깊숙이 식립되어 있다면 이러한 기구를 적용시킬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지대주를 고정체에 대하여 상부측으로 강제적으로 당기는 과정에서 시술자는 큰 힘을 필요로 하고, 이와 같은 시술은 임플란트 시술자에게 적지 않은 심적 부담감으로서 작용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측방 압력에 대한 완충기능은 있을 수 있지만 수직 교합에 대한 완충기능은 거의 기대할 수 없는 구조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수직교합압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지대주를 고정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지대주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켜 지대주의 하부 체결축부에 형성된 대응체결부가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 대응 형성된 체결부로부터 일단 적은 힘으로도 서로 분리 되도록 하며, 설령 많은 힘을 주어 회전시키더라도 다시 일정각도를 회전하여 고정체와 지대주가 재체결되는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낮고 반복되는 착탈에도 수직 방향의 이탈방지를 위한 체결력이 감소하지 않으며 지대주를 고정체로부터 아주 적은 힘으로 상부축으로 당겨서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대주를 회전시켜 고정체로부터 분리되면 지대주가 상부측으로 자동적으로 밀어 올려짐으로써, 시술자가 지대주와 고정체의 분리상태를 쉽게 직감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을 어렵지 않고 심적 부담감없이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대주의 비체결 탄성지지레그의 하부 외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도 비체결 탄성지지레그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대응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지대주에 교합력이 가해졌을 때 지대주의 비체결 탄성지지레그의 경사면이 고정체 축공 내측면의 대응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체에 결합되는 지대주의 상단과 하단사이의 일부분에 직선형 또는 나선형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지대주가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저작압력을 포함하는 큰 외력에 대하여 완충 기능을 갖게 되어 지대주에 가해지는 응력이 전체에 걸쳐서 분산되도록 하고, 지대주의 한 부분에서 응력 집중이 일어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분산시킬 수 있으며, 임플란트 치아의 저작 감각과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대주의 체결축부에 별도의 회전방지 형상을 부여하지 않아도 고정체의 축공내에서 일정 이하의 회전력에 대해 회전이 방지되는 개선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함에 있으며, 또 다른 목적은 치조골 상단으로부터 고정체가 깊숙이 식립되어 있다 하더라도 고정체와 지대주의 탈착이 쉬운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교합력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는 개선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정 이하의 회전력에 대해서는 지대주가 고정체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회전방지 기능"으로, 그리고 지대주가 고정체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직이탈방지 기능"으로 간략히 용어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치조골에 식립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고정체(fixture)와, 상단부는 보철물(Crown 또는 Denture)과 결합되고 하단부는 고정체의 축공에 탄성 결합되는 탄성레그들로 이루어진 지대주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의 탄성레그들은 중심축 방향으로의 탄성적 휘어짐과 복원력에 의해 지대주를 고정체에 체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탄성체결레그와, 지대주와 고정체의 직접적 체결에 관여하지 않는 비체결 탄성지지레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일정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체결홈과 같은 요철부로 이루어진 제1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대주의 상기 탄성체결레그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 형성된 제1 체결부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체결돌기로 이루어진 제1 대응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되되,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그 결과 지대주를 고정체에 밀어 넣어 체결시킬 때 지대주가 일정 각도에서만 고정체에 체결되고, 지대주를 원주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회전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지대주의 제1 대응체결부가 제1 체결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150)와 제1 대응체결부(130)의 상보적 결합에 의해 상기 지대주가 고정체내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이하의 회전력에서는 고정체에 대해 지대주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일정 이상의 회전력에서는 상기 지대주의 탄성체결레그가 내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상기 지대주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대응체결부의 체결돌기가 제1 체결부의 체결홈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고정체와 지대주의 체결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치조골에 식립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고정체(fixture)와, 상단부는 보철물(Crown 또는 Denture)과 결합되고 하단부는 고정체의 축공에 탄성 결합되는 탄성레그들로 이루어진 지대주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의 탄성레그들은 중심축 방향으로의 탄성적 휘어짐과 복원력에 의해 지대주를 고정체에 체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탄성체결레그와, 지대주와 고정체의 직접적 체결에 관여하지 않는 비체결 탄성지지레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일정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체결홈과 같은 요철부로 이루어진 제1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대주의 탄성체결레그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 형성된 제1 체결부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체결돌기로 이루어진 제1 대응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되되,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그 결과 지대주를 고정체에 밀어 넣어 체결시킬 때 지대주가 일정 각도에서만 고정체에 체결되고, 지대주를 원주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회전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지대주의 제1 대응체결부가 제1 체결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대주의 하부 체결축부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체결레그 외주면에는, 외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지대주가 고정체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걸림 돌기로 이루어진 제2 대응체결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는, 상기 제2 대응체결부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턱으로 이루어진 제2 체결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체결부와 제1 대응체결부가 상호 결합되면, 상기 제2 대응체결부와 제2 체결부가 동시적으로 상호 결합되어 지대주와 고정체 사이의 축방향 결합력을 보강시키고, 상기 지대주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대응체결부가 제1 체결부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지대주의 탄성체결레그가 내경방향으로 탄성 휘어짐에 의해 상기 제2 대응체결부가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 형성된 제2 체결부로부터 자동 이탈되어, 고정체와 지대주의 체결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대주의 하부 체결축부의 대응면에는 회전방지 기능이 주 기능인 제1 대응체결부가 형성되고,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대응체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대응체결부와 상보적(相補的)으로 결합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지대주를 고정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지대주를 고정체에 대해서 회전시키면 제1 대응체결부가 제1 체결부로부터 이탈되면서 지대주가 고정체로부터 체결해제되고, 그 상태에서 지대주를 고정체에 대해 상부측으로 가볍게 당겨서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체결부가 형성되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은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제1 체결부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하부로 갈수록 축공의 내경이 연속적으로 축소되는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지대주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대응체결부의 체결돌기가 제1 체결부의 체결홈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상기 제1 대응체결부의 체결돌기가 상기 고정체 축공 내측면의 경사면과의 탄성 반발 작용에 의해 지대주를 고정체로부터 상부측으로 밀어 올려서 지대주와 고정체를 자동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대주를 고정체에 대해서 회전시키게 되면 지대주가 자동적으로 상부 측으로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회전이 더 되더라도 다시 체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대주를 고정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지대주를 고정체에 대해 회전시키면, 지대주가 고정체로부터 분리되어 상부측으로 자동적으로 돌출됨으로써, 시술자가 지대주와 고정체의 분리상태를 쉽게 직감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을 어렵지 않고 심적 부담감 없이 쉽게 진행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게 시술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지대주에 별도의 회전방지를 위한 다각형 형상을 부여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대주에 수직교합력이 가해졌을 때 경사면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수직교합력에 대한 완충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지대주의 비체결 탄성지지레그의 하부 외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도 상기 비체결 탄성지지레그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대응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지대주에 교합력이 가해졌을 때 지대주의 비체결 탄성지지레그의 경사면이 고정체 축공 내측면의 대응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체에 결합되는 지대주의 상단과 하단사이의 일부분에 형성된 직선형 또는 나선형의 절개부에 의해, 지대주가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저작압력을 포함하는 큰 외력에 대하여 완충 기능을 갖게 되어 지대주에 가해지는 응력이 전체에 걸쳐서 분산되도록 하고, 지대주의 한 부분에서 응력 집중이 일어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분산시킬 수 있으며, 임플란트 치아의 저작 감각과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지대주가 체결레그 타입으로 고정체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절개 단면을 도시한 절개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회전방지 기능을 주 기능으로 하는 제1 대응체결부의 평단면도로서, 도 2의 A-A선을 따른 평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회전방지 기능을 주 기능으로 하는 제1 체결부의 평단면도로서, 도 2의 B-B선을 따른 평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지대주와 고정체의 결합 중간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지대주와 고정체가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지대주와 고정체의 결합 중간과정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지대주와 고정체가 결합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에 나선형 절개부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도 1 및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미 도시)에 식립되어 인공 치근을 형성하는 고정체(fixture)(110)와, 상단부는 보철물(Crown 또는 Denture)과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고정체(110)의 축공에 탄성 결합되는 탄성레그들(122, 124)로 이루어진 지대주(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대주(120)의 탄성레그들은 중심축 방향으로의 탄성적 휘어짐과 복원력에 의해 지대주(120)를 고정체(110)에 체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탄성체결레그(122)와, 지대주(120)와 고정체(110)의 직접적 체결에 관여하지 않는 비체결 탄성지지레그(124)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탄성레그들이 하나의 탄성체결레그(122)와 하나의 비체결 탄성지지레그(124)로 이루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상기 탄성체결레그가 다수로 구성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비체결 탄성지지레그 또한 다수로 구성될 수 있음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서, 탄성체결레그 및 비체결 탄성지지레그의 형성 개수에 제한되게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 탄성체결레그(122)는 중심축 방향으로의 탄성적 휘어짐과 복원력에 의해 지대주(120)가 고정체(110)에 체결될 경우, 지대주(120)가 고정체(110)의 축공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 탄성레그인 반면, 상기 비체결 탄성지지레그는 지대주와 고정체의 직접적 체결에 관여하지 않으므로,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지 않는 탄성레그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110)의 축공(112) 내측면의 일정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체결홈(152)과 같은 요철부로 이루어진 제1 체결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지대주(120)의 상기 탄성체결레그(122)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체(110)의 축공 내측면에 형성된 제1 체결부(150)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체결돌기(132)로 이루어진 제1 대응체결부(130)가 형성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주(120)를 고정체(110)의 축공(112)에 끼운 상태에서 지대주(120)를 회전시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주(120)의 상기 탄성체결레그(1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돌기(132)가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체결홈(152)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면서, 지대주가 고정체에 맞물려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제1 체결부(150)는 고정체 축공의 수직 중심축에 직각되는 방향의 횡단면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한 부위 이상이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즉,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체결부(150)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되되,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링 형태로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체결부(150)는 원주 방향 일정 각도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 형성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지대주(120)를 고정체(110)에 밀어 넣어 체결시킬 때 지대주가 일정 각도에서만 고정체에 체결되고, 지대주를 원주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회전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지대주의 제1 대응체결부(130)가 제1 체결부(15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 때, 제1 대응체결부와 제1 체결부의 수직길이가 다를 수 있으나, 원주 방향의 수평 거리는 수치적으로 기계적 허용 오차내에서 일치하여야 한다. 그래야지 일정 이하의 회전력에 대한 과한 마이크로 동요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이와같은 제1 체결부(150)는 축공 내측면에서 상기 제1 대응체결부(130)의 체결돌기(132)에 대응하여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체결홈(15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홈이나 체결돌기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며 각 체결레그에 형성된 각각의 제1 대응체결부의 형태가 똑같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대응체결부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제1체결부의 형태도 각각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150)와 제1 대응체결부(130)의 상보적 결합에 의해 상기 지대주(120)가 고정체(110)내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이하의 회전력에서는 고정체에 대해 지대주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일정 이상의 회전력에서는 상기 지대주의 탄성체결레그가 내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상기 지대주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대응체결부(130)의 체결돌기(132)가 제1 체결부(150)의 체결홈(152)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고정체(110)와 지대주(120)의 체결이 분리되게 된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정체 축공 내측면에 그 내측면의 수직 방향 일정위치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연속적으로 축소하도록 고정체 축공 내측 경사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이와 같은 고정체 축공 내측 경사면(140)은 고정체(110)의 축공 내측면의 일정 위치에서부터 하부로 상광하협(上廣下挾)의 구조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원추형 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체결부가 형성되는 부위와 동일한 수직적 위치의 축공 내측면에 제1 체결부를 제외한 부위는 축공 하부쪽으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지대주(120)를 고정체(110)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지대주(120)를 고정체(110)에 대해서 회전시키면 제1 대응체결부(130)가 제1 체결부(150)로부터 이탈되면서 경사면(140)과의 탄성 반발 작용에 의해 지대주(120)를 고정체(110)로부터 상부측으로 밀어 올려서 지대주(120)와 고정체(110)를 보다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대주(120)의 비체결 탄성지지레그(124)는 그 하부 외측면에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면(126)을 형성하고,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도 상기 비체결 탄성지지레그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대응경사면(136)을 형성함으로써, 지대주에 가해지는 교합력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비체결 탄성지지레그(124)의 경사면(126)은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대응경사면(136)에 접한 상태로 상호 체결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지대주에 교합력이 가해졌을 때 지대주(120)의 비체결 탄성지지레그(124)의 경사면(126)이 고정체 축공 내측면의 대응경사면(136)을 따라 미세하게 슬라이딩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비체결 탄성지지레그(124)의 경사면(126) 외경은 동일한 수직적 위치에서, 그에 대응하는 고정체 축공 내측면의 대응경사면(136) 내경 보다 더 크게 구성되어, 고정체에 지대주가 체결될 때 고정체에 대해 지대주를 항상 일정 힘으로 상방으로 밀어 올려주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그 결과 고정체에 대해 지대주가 항상 일정 위치에 견고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체결레그(122)에 형성된 제1 대응체결부(130)와 상기 고정체(110)의 축공 내측면에 형성된 제1 체결부(150)의 상보적 결합에 의해, 일정 이하의 회전력에 대해 지대주의 회전 방지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고정체로부터 지대주의 수직 이탈 방지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대응체결부(130)의 하측 또는 상측에, 지대주(120)의 외경방향으로 돌출하고 수직이탈방지 기능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제2 대응체결부(160)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 대응 체결부(160)는 제1 대응 체결부(130) 보다 체결레그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직이탈방지 기능을 주 기능으로 하는 제2 대응체결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주(120)의 외경방향으로 돌출한 체결돌기의 상단면은 제2 대응체결부 체결 평면(162)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체결돌기로 이루어져 수직이탈방지 기능을 주 기능으로 하는 제2 대응체결부의 종단면은 하부로 갈수록 반경이 줄어드는, 단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음각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대응체결부(16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걸림 턱으로 이뤄진 제2 체결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체결부(170)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수직적 일정 위치에서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링 형태의 걸림턱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1 체결부와 같이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링 형태의 걸림턱으로 형성되지 않고 일정 부위에서만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체결홈과 같은 요철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를 하나의 체결부로 통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걸림 턱으로 이뤄진 제2 체결부(170)는 수직 이탈방지기능을 주 기능으로 하는 제2 대응체결부(160)의 제2 대응체결부 체결평면(162)에 대응하는 제2 체결부 체결평면(172)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제2 대응체결부(160)와 제2 체결부(170)는, 상기 제1 대응체결부(130)가 제1 체결부(150)로부터 이탈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체결레그(122)의 내경방향으로의 탄성 휘어짐을 통해서 상기 제2 대응체결부(160)가 제2 체결부(170)로부터 자동 이탈된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 제1 대응체결부(130) 및 제1 체결부(150)가 상호 결합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대응체결부(160)와 제2 체결부(170)는 동시적으로 상호 결합되어 지대주(120)와 고정체(110) 사이의 축방향 결합력을 보강시킨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인해 수직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제2 대응체결부와 제2 체결부는 반복되는 탈착에도 손상없이 수직이탈 방지결합력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지대주(120)를 고정체(110)에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지대주(120)를 고정체(110)의 축공(112)에 완전히 밀어 넣고서 지대주(12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지대주(120)의 각각의 탄성체결레그(122)에 형성된 제1 대응체결부(130)는 그 체결돌기(132)가 고정체(110)의 축공 내측면에 형성된 체결홈(152)에 대응하여 결합된다.
이와는 반대로 지대주(120)와 고정체(110)가 결합된 상태로부터, 지대주(120)를 고정체(11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지대주(120)를 고정체(110)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상기 지대주(120)가 고정체(110) 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대주(12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대응체결부(130)가 제1 체결부(150)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빠져서 이탈되고, 동시에 수직이탈방지 기능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제2 대응체결부(160)도 제2 체결부(170)로부터 자동적으로 빠지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체에 대해 지대주의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 회전방지 기능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제1 대응체결부(130)가 일정 이상의 회전력에 의해 제1 체결부(150)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어 이탈되면, 수직이탈방지 기능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제2 대응체결부(160)도 제2 체결부(170)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지대주를 상측으로 당겨서 고정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대주(120)를 고정체(110)에 대해서 적은 힘으로도 서로 분리시킬 수 있고, 환자의 치조골에 종래와 같이 큰 당기는 힘을 작용시키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반복적인 착탈에도 고정체에 대한 지대주의 수직이탈방지 결합력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임플란트 시술시에 환자의 부상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은 물론, 지대주를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 지대주(120)가 고정체(110)로부터 이탈될 수 있기에, 시술자가 지대주(120)와 고정체(110)의 분리상태를 쉽게 직감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을 어렵지 않고 심적 부담감없이 쉽게 진행 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게 시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술 시에 고정체와 지대주의 체결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체결부(150)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 최상단부터 시작하여 하방으로 이어지는 체결홈(1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고정체 축공 내측면의 제1 체결부(150) 상방에는 제1 대응 체결부의 외경 보다 적은 직경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제1 대응 체결부(130)가 별다른 저항 없이 제1 체결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1 체결부(150)는 고정체의 축공내에 삽입되는 지대주의 제1 대응 체결부(130)의 체결돌기(132)를 가이드하게 되므로, 시술자는 지대주의 체결돌기(132)가 고정체의 제1 체결홈(152)에 대응되게 맞춘 후 밀어넣는 방식으로 고정체와 지대주의 체결 각도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주 상단과 제1 체결부 사이에는 횡단면에서 보았을 때 횡단면을 복수개로 분할하면서 지대주 상하 방향으로 직선형 또는 나선형을 이루는 절개부를 더 구비시킬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절개부(260)는 절개부의 상단 지점으로부터 하단 지점까지 지대주를 좌우로 관통하여 수평 횡단면을 복수개로 분할하고, 지대주의 외측면에서 보았을 때 지대주의 상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나선형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지대주(12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나선형 절개부(260)에 의해 지대주(120)에서 완충 성능을 얻을 수 있고, 치조골에 결합되는 고정체(110)에는 충격이 덜 미치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임플란트 환자가 음식물을 씹을 경우, 미세한 완충 성능을 느낄 수 있어서 저작 감각을 우수하게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110)의 축공(112)의 최하단부에 수평 방향의 횡단면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을 이루는 체결요홈부(115)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시술자가 고정체(110)를 환자의 치조골에 식립할 때 치과용 기구의 일단을 고정체(110)의 체결요홈부(115)에 끼워서 보다 쉽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지대주와 고정체가 체결되기 전에는 고정체의 축공 상단부에 대응되게 결합되는 지대주의 외경이 고정체 축공의 상단부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되지만, 지대주를 고정체의 축공에 끼워 결합시킬 경우, 지대주에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 지대주의 중심축을 향해 방사상으로 수축되고, 그 결과 수축된 상기 지대주의 외경이 고정체 축공의 상단부 내경과 서로 대응하면서 지대주가 고정체의 축공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된 이후에는 수축된 지대주가 탄성 복원되면서 고정체의 축공의 내면에 대항하여 외측 방향으로 밀어 지지시키기에 보다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할 경우, 지대주와 고정체간의 결합부에서의 밀폐성을 대폭 향샹시킬 수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서의 마이크로 간극 또는 갭(gap)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외부로부터 고정체 내측으로 세균 또는 병균이 침투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고정체 축공 내측면이나 하부면에 다각형상을 형성시켜서 치조골에 고정체 식립시 강한 회전력을 고정체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의 기능을 통합한 하나의 체결부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변함없는 구조는 고정체와 지대주의 체결상태에서 고정체로부터 지대주를 회전시켰을 때 지대주의 하부 체결축부에 형성된 대응체결부가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 형성된 축공 내측 경사면에 접촉되어 탄성 반발 작용으로 지대주를 상부쪽으로 밀어올려 고정체로부터 지대주의 분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는 것이다. 나아가, 회전방지 기능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제1 체결부와 제1 대응체결부의 형상이 100% 대응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와 제1 대응체결부의 형상이 100% 상보적으로 대응되지 않더라도 일정 이하의 회전력에 대해 회전방지 기능을 수행 할 수 있으면 된다. 또 다른 예는 각각의 탄성체결레그에 제1 및 제2 대응체결부를 전부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일부의 탄성체결레그에만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는 제1 체결부나 제1 대응체결부는 원호형이 아닌 다른 형태를 갖출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체결레그(122)는 도면상에서 1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1개 내지 6개, 또는 그 이상의 다수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탄성체결레그(122)에 제1 대응체결부(130)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1 체결부(150)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체결부는 수직중심축에 대하여 다양한 체결각도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제2 대응체결부의 체결 평면을 평면으로 형성하지 않고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예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는 경사면을 연속된 면이 아닌 계단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지대주가 고정체에 결합되는 방식이 어떠한 방식이든지 체결돌기 및 체결홈의 탄성 반발 작용에 의해 서로 탄성 결합되는 방식으로서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체에 대해 지대주를 회전시키면 지대주 하부 체결축부상에 형성된 대응 체결부의 체결돌기와 고정체 축공 내측면에 형성된 경사면과의 탄성 반발 작용에 의해 지대주를 고정체로부터 상부측으로 밀어 올려서 지대주와 고정체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즉, 지대주와 탄성 결합되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경사면에 체결홈으로 이루어진 제1 체결부를 구비하고, 지대주에 이에 대응되는 제1 대응체결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지대주와 고정체의 체결상태에서 고정체에 대해 지대주를 회전시키면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경사면과 지대주 하부 체결축부에 형성된 제1 대응체결부가 탄성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지대주를 고정체로부터 상부측으로 밀어 올려서 지대주와 고정체가 쉽게 분리되도록 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면서 단순히 설계 변경된 구조 또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100: 치과용 임플란트 110: 고정체(fixture)
112: 축공 120: 지대주
122: 탄성체결레그 124: 비체결 탄성지지레그
126: 경사면 130: 제1 대응체결부
132: 원호형의 체결돌기 140: 고정체의 축공 내측 경사면
150: 제1 체결부 142: 체결홈
160: 제2 대응체결부 162: 제2 대응체결부 체결평면
170: 제2 체결부 172: 제2 체결부 체결평면
126: 비체결탄성레그의 경사면
136: 대응경사면
1:수직 중심축

Claims (14)

  1. 치조골에 식립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고정체(fixture)와, 상단부는 보철물(Crown 또는 Denture)과 결합되고 하단부는 고정체의 축공에 탄성 결합되는 탄성레그들로 이루어진 지대주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의 탄성레그들은 중심축 방향으로의 탄성적 휘어짐과 복원력에 의해 지대주를 고정체에 체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탄성체결레그와, 지대주와 고정체의 직접적 체결에 관여하지 않는 비체결 탄성지지레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일정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체결홈과 같은 요철부로 이루어진 제1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대주의 상기 탄성체결레그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 형성된 제1 체결부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체결돌기로 이루어진 제1 대응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되되,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그 결과 지대주를 고정체에 밀어 넣어 체결시킬 때 지대주가 일정 각도에서만 고정체에 체결되고, 지대주를 원주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회전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지대주의 제1 대응체결부가 제1 체결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150)와 제1 대응체결부(130)의 상보적 결합에 의해 상기 지대주가 고정체내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이하의 회전력에서는 고정체에 대해 지대주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일정 이상의 회전력에서는 상기 지대주의 탄성체결레그가 내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상기 지대주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대응체결부의 체결돌기가 제1 체결부의 체결홈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고정체와 지대주의 체결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의 비체결 탄성지지레그는 그 하부 외측면에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면을 형성하고,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도 상기 비체결 탄성지지레그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대응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지대주에 가해지는 교합력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결레그에 형성된 제1 대응체결부와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 형성된 제1 체결부의 상보적 결합에 의해, 일정 이하의 회전력에 대해 지대주의 회전 방지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고정체로부터 지대주의 수직 이탈 방지 기능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가 형성되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은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제1 체결부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하부로 갈수록 축공의 내경이 연속적으로 축소되는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지대주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대응체결부의 체결돌기가 제1 체결부의 체결홈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상기 제1 대응체결부의 체결돌기가 상기 고정체 축공 내측면의 경사면과의 탄성 반발 작용에 의해 지대주를 고정체로부터 상부측으로 밀어 올려서 지대주와 고정체를 자동적으로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체결 탄성지지레그의 경사면은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대응경사면에 접한 상태로 상호 체결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지대주에 교합력이 가해졌을 때 지대주의 비체결 탄성지지레그의 경사면이 고정체 축공 내측면의 대응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체결 탄성지지레그의 경사면 외경은 동일한 수직적 위치에서, 그에 대응하는 고정체 축공 내측면의 경사면 내경 보다 더 크게 구성되어, 고정체에 지대주가 체결되었을 때 고정체에 대해 지대주를 항상 일정 힘으로 상방으로 밀어 올려주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그 결과 고정체에 대해 지대주가 항상 일정 위치에 견고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지대주 상단과 제1 체결부 사이에 횡단면에서 보았을 때 횡단면을 복수개로 분할하면서 지대주 상하 방향으로 직선형 또는 나선형을 이루는 절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8. 치조골에 식립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고정체(fixture)와, 상단부는 보철물(Crown 또는 Denture)과 결합되고 하단부는 고정체의 축공에 탄성 결합되는 탄성레그들로 이루어진 지대주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의 탄성레그들은 중심축 방향으로의 탄성적 휘어짐과 복원력에 의해 지대주를 고정체에 체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탄성체결레그와, 지대주와 고정체의 직접적 체결에 관여하지 않는 비체결 탄성지지레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일정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체결홈과 같은 요철부로 이루어진 제1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대주의 탄성체결레그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 형성된 제1 체결부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체결돌기로 이루어진 제1 대응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되되,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그 결과 지대주를 고정체에 밀어 넣어 체결시킬 때 지대주가 일정 각도에서만 고정체에 체결되고, 지대주를 원주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회전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지대주의 제1 대응체결부가 제1 체결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대주의 하부 체결축부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체결레그 외주면에는, 외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지대주가 고정체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걸림 돌기로 이루어진 제2 대응체결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는, 상기 제2 대응체결부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턱으로 이루어진 제2 체결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체결부와 제1 대응체결부가 상호 결합되면, 상기 제2 대응체결부와 제2 체결부가 동시적으로 상호 결합되어 지대주와 고정체 사이의 축방향 결합력을 보강시키고, 상기 지대주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대응체결부가 제1 체결부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지대주의 탄성체결레그가 내경방향으로 탄성 휘어짐에 의해 상기 제2 대응체결부가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 형성된 제2 체결부로부터 자동 이탈되어, 고정체와 지대주의 체결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의 비체결 탄성지지레그는 그 하부 외측면에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면을 형성하고,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에도 상기 비체결 탄성지지레그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대응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지대주에 가해지는 교합력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가 형성되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은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제1 체결부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하부로 갈수록 축공의 내경이 연속적으로 축소되는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지대주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대응체결부의 체결돌기가 제1 체결부의 체결홈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상기 제1 대응체결부의 체결돌기가 상기 고정체 축공 내측면의 경사면과의 탄성 반발 작용에 의해 지대주를 고정체로부터 상부측으로 밀어 올려서 지대주와 고정체를 자동적으로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1. 제 8 항에 있어서, 제2 체결부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수직적 일정 위치에서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링 형태의 걸림턱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링 형태의 걸림턱으로 형성되지 않고 일정 부위에서만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체결홈과 같은 요철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체결 탄성지지레그의 경사면은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대응경사면에 접한 상태로 상호 체결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지대주에 교합력이 가해졌을 때 지대주의 비체결 탄성지지레그의 경사면이 고정체 축공 내측면의 대응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3. 제 8 항에 있어서, 고정체 축공 내측면의 제1 체결부 상방에는 제1 대응 체결부의 외경 보다 적은 직경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제1 대응 체결부가 별다른 저항 없이 제1 체결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체와 지대주의 체결 각도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4. 제 8 항에 있어서, 지대주 상단과 제1 체결부 사이에 횡단면에서 보았을 때 횡단면을 복수개로 분할하면서 지대주 상하 방향으로 직선형 또는 나선형을 이루는 절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170006426A 2017-01-13 2017-01-13 치과용 임플란트 KR101916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426A KR101916210B1 (ko) 2017-01-13 2017-01-13 치과용 임플란트
AU2018207501A AU2018207501B2 (en) 2017-01-13 2018-01-15 Dental implants
RU2019125230A RU2717710C1 (ru) 2017-01-13 2018-01-15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CN201880006877.8A CN110198682B (zh) 2017-01-13 2018-01-15 牙科用种植体
MYPI2019003962A MY187893A (en) 2017-01-13 2018-01-15 Dental implant
CA3050089A CA3050089C (en) 2017-01-13 2018-01-15 Dental implant
JP2019538226A JP7136470B2 (ja) 2017-01-13 2018-01-15 歯科用インプラント
EP18738502.6A EP3569184B1 (en) 2017-01-13 2018-01-15 Dental implants
PCT/KR2018/000695 WO2018131974A1 (ko) 2017-01-13 2018-01-15 치과용 임플란트
US15/763,715 US10709526B2 (en) 2017-01-13 2018-01-15 Dental implant
SA519402314A SA519402314B1 (ar) 2017-01-13 2019-07-11 زرعة أسنا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426A KR101916210B1 (ko) 2017-01-13 2017-01-13 치과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760A true KR20180083760A (ko) 2018-07-23
KR101916210B1 KR101916210B1 (ko) 2019-01-30

Family

ID=6284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426A KR101916210B1 (ko) 2017-01-13 2017-01-13 치과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709526B2 (ko)
EP (1) EP3569184B1 (ko)
JP (1) JP7136470B2 (ko)
KR (1) KR101916210B1 (ko)
CN (1) CN110198682B (ko)
AU (1) AU2018207501B2 (ko)
CA (1) CA3050089C (ko)
MY (1) MY187893A (ko)
RU (1) RU2717710C1 (ko)
SA (1) SA519402314B1 (ko)
WO (1) WO201813197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6048A1 (ko) * 2020-10-20 2022-04-28 주식회사 덴플렉스 교합력 완충기능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대주
KR102518424B1 (ko) 2022-09-08 2023-04-05 오스테오바이오닉스 주식회사 볼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5598S1 (en) * 2019-03-08 2021-04-06 Denflex Co., Ltd. Abutment for dental implant
DE102019111699A1 (de) * 2019-05-06 2020-11-12 TRI Dental Implants Int. AG Suprakonstruktion, Zahnimplantat und Zahnprothese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2918A (en) * 1996-12-12 1998-07-21 Folsom Metal Products Implant abutment system
KR101173758B1 (ko) * 2010-06-23 2012-08-13 김형우 후크핀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KR101401793B1 (ko) * 2013-04-26 2014-05-29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20140006435U (ko) * 2014-10-21 2014-12-29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101487606B1 (ko) * 2013-07-03 2015-01-29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20150072363A (ko) * 2013-12-19 2015-06-29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20150076570A (ko) * 2013-12-27 2015-07-07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20150089419A (ko) * 2014-01-28 2015-08-05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용 임플란트의 완충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20160070356A (ko) * 2014-12-10 2016-06-20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20160072634A (ko) * 2014-12-15 2016-06-23 장재우 치과 임플란트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5891A (en) * 1990-12-06 1993-03-23 Sulc Josef M Adjustable dental implant system
DE10019339B4 (de) 2000-04-19 2007-03-08 Heraeus Kulzer Gmbh Implantat
IL190642A (en) * 2002-11-13 2011-06-30 Biomet 3I Llc Dental implant system
KR100668368B1 (ko) 2005-09-16 2007-01-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임플란트
DE102006040516A1 (de) * 2006-08-30 2008-03-06 Prokuro Gmbh Verbindungselement für Abutment und Implantat sowie ein Implantatsystem
CN102036617B (zh) * 2008-05-19 2014-12-31 奥齿泰有限责任公司 牙种植体固定装置
RU2612487C2 (ru) * 2011-06-02 2017-03-09 Мис Имплантс Текнолоджис Лтд.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KR101309417B1 (ko) 2012-03-21 2013-09-23 김형우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취출기구
KR20140006435A (ko) * 2012-07-05 2014-01-16 이현국 다중 구조의 에스알 모터
KR20140029191A (ko) * 2012-08-28 2014-03-10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WO2014035084A1 (ko) * 2012-08-28 2014-03-06 Kim Hyeong Woo 치과용 임플란트
KR20140063037A (ko) 2012-11-16 2014-05-27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102261702B1 (ko) * 2013-06-10 2021-06-07 스트라우만 홀딩 에이쥐 치아 임플란트 소켓 배열
KR102166781B1 (ko) * 2014-02-22 2020-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요청 정보에 따른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9113982B1 (en) * 2014-03-19 2015-08-25 GRS Guide System, Inc. Positioning and installing surgical drilling devices and related devices and systems
KR101728424B1 (ko) * 2015-07-14 2017-05-24 주식회사 덴플렉스 치과용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2918A (en) * 1996-12-12 1998-07-21 Folsom Metal Products Implant abutment system
KR101173758B1 (ko) * 2010-06-23 2012-08-13 김형우 후크핀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KR101401793B1 (ko) * 2013-04-26 2014-05-29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101487606B1 (ko) * 2013-07-03 2015-01-29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20150072363A (ko) * 2013-12-19 2015-06-29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20150076570A (ko) * 2013-12-27 2015-07-07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20150089419A (ko) * 2014-01-28 2015-08-05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용 임플란트의 완충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20140006435U (ko) * 2014-10-21 2014-12-29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20160070356A (ko) * 2014-12-10 2016-06-20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20160072634A (ko) * 2014-12-15 2016-06-23 장재우 치과 임플란트 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6048A1 (ko) * 2020-10-20 2022-04-28 주식회사 덴플렉스 교합력 완충기능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대주
KR102518424B1 (ko) 2022-09-08 2023-04-05 오스테오바이오닉스 주식회사 볼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50089A1 (en) 2018-07-19
MY187893A (en) 2021-10-27
CN110198682A (zh) 2019-09-03
EP3569184A4 (en) 2020-09-16
KR101916210B1 (ko) 2019-01-30
JP7136470B2 (ja) 2022-09-13
SA519402314B1 (ar) 2022-05-31
AU2018207501A1 (en) 2019-08-22
EP3569184A1 (en) 2019-11-20
JP2020503974A (ja) 2020-02-06
CA3050089C (en) 2021-07-20
US20190321143A1 (en) 2019-10-24
AU2018207501B2 (en) 2021-02-25
RU2717710C1 (ru) 2020-03-25
CN110198682B (zh) 2022-03-01
US10709526B2 (en) 2020-07-14
WO2018131974A1 (ko) 2018-07-19
EP3569184B1 (en)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424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33259B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191621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94343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101633258B1 (ko) 시술 및 보정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191622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130097036A (ko)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KR10167337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0470574Y1 (ko) 오버덴쳐용 볼 타입 어태치먼트 장치
US11103331B2 (en) Convertible dental assembly
KR100925285B1 (ko) 임플란트
KR10162363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879550B1 (ko) 구조개선을 통한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JP7156768B2 (ja) アバットメント取り外し冶具
TWI638644B (zh) Dent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