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883A -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883A
KR20180082883A KR1020170004321A KR20170004321A KR20180082883A KR 20180082883 A KR20180082883 A KR 20180082883A KR 1020170004321 A KR1020170004321 A KR 1020170004321A KR 20170004321 A KR20170004321 A KR 20170004321A KR 20180082883 A KR20180082883 A KR 20180082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mart device
physical quantity
remote contro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4637B1 (ko
Inventor
최은정
정원지
전가현
임진주
이지은
Original Assignee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4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6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2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를 활용하여 스마트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 상기 측정된 물리량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상황을 인식하는 처리 장치; 및 상기 인식된 상황에 따라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동작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SMART DEVICE UTILIZING SENSOR}
본 발명은 센서를 활용하여 스마트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 속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사물인터넷 기술이 활발히 개발되어 우리 생활에 도입되고 있다. 사물인터넷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오감을 대신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에 관한 기술이 필요하고, WiFi, LTE, 블루투스 등 사물인터넷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이 요구되며, 각종 센서들을 이용해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하여 처리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이 필요하다.
미국의 글로벌 통신기업 Cisco는 향후 10년간 사물인터넷에서 기업들이 창출할 수 있는 가치가 14.4조 달러에 이른다고 추산하였다. 또한, Gartner는 2015년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의 수가 49억 대에 이르며, 2020년까지 250억 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세계 각 국에서는 사물인터넷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래창조과학부가 2013년 IoT 기반 조성과 시장 창출 등을 위한 '인터넷 신산업 육성 방안'을 발표하였으며, 2014년 5월에는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연동하여 공간 상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 상기 측정된 물리량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상황을 인식하는 처리 장치; 및 상기 인식된 상황에 따라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동작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 적외선으로 인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및 초음파로 물체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측정된 물리량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는: 360°의 화각에 걸쳐 주변을 촬영하는 360도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360도 카메라로 촬영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360도 카메라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촬영 이미지에서 상기 센서와 연관된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에서 상기 결정된 영역을 하이라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방법은 센서가 물리량을 측정하는 단계; 처리 장치가 상기 측정된 물리량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 및 스마트 기기가 상기 인식된 상황에 따라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연동하여 공간 상의 제약을 극복하고, 스마트 기기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함으로써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이용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처리 장치가 촬영 이미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 및 360도 카메라와 연동된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처리 장치가 촬영 이미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기', '~블록',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기', '~블록',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센서(110), 처리 장치(120) 및 스마트 기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110)는 물리량을 측정한다. 상기 처리 장치(120)는 측정된 물리량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상황을 인식한다. 상기 스마트 기기(130)는 인식된 상황에 따라 처리 장치(12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동작한다.
상기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센서(11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110)의 종류 역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100)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 적외선으로 인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및 초음파로 물체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100)는 물리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110)는 상기 처리 장치(1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처리 장치(120)로 물리량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처리 장치(120)는 상기 센서(110)로부터 입력받은 물리량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상황을 인식한다. 상기 처리 장치(120)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처리 장치(120)는 CPU, 컨트롤러 등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아두이노, 라즈베리 파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 장치(120)는 측정된 물리량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 장치(120)는 메모리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 장치에 물리량의 임계치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처리 장치(120)는 상기 센서(110)로부터 입력받은 물리량을 임계치와 비교하여 물리량이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130)는 상기 처리 장치(120)에 의해 인식된 상황에 따라 상기 처리 장치(12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동작한다. 상기 처리 장치(120)와 상기 스마트 기기(13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처리 장치(120)와 상기 스마트 기기(130)는 Wi-Fi로 연결되어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기기(130)는 360°의 화각에 걸쳐 주변을 촬영하는 360도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마트 기기(130)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처리 장치(120)로부터 제어 명령을 받아 동작 가능한 각종 기기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에서 상기 센서(110)는 온도 센서(111), 습도 센서(112), 가스 센서(113), 적외선 센서(114) 및 초음파 센서(115)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130)는 360도 카메라이다.
먼저, 상기 센서들(111, 112, 113, 114, 115)은 각각 온도, 습도, 가스 농도, 적외선 및 초음파를 감지하여 그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처리 장치(120)로 전송한다.
그 뒤, 상기 처리 장치(120)는 상기 센서들(111, 112, 113, 114, 115)로부터 입력받은 각각의 데이터를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들(111, 112, 113, 114, 115)로부터 전달받은 물리량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위험 상황으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센서들(111, 112, 113, 114, 115)이 설치된 공간에 위험 상황이 발생함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처리 장치(120)는 상기 360도 카메라(130)로 촬영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360도 카메라(130)는 주변 모습을 촬영하여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그 뒤, 상기 처리 장치(120)는 상기 360도 카메라(130)로 촬영 이미지를 요청하여 상기 360도 카메라(130)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수신한다.
그러고 나서, 상기 처리 장치(120)는 수신된 촬영 이미지를 서버(140)로 전송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처리 장치(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40)와 연결되며, 상기 360도 카메라(130)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면 해당 촬영 이미지를 상기 서버(140)로 전송하여 업로드한다.
상기 서버(140)에 촬영 이미지가 업로드되면, 상기 서버(140)는 사용자의 단말기(150)로 촬영 이미지를 제공한다. 촬영 이미지는 푸쉬 알람 메시지에 첨부되어 상기 단말기(150)로 전송될 수 있으나, 촬영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단말기(150)로 촬영 이미지가 제공되면 사용자는 촬영 이미지를 확인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처리 장치(120)가 촬영 이미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상기 처리 장치(120)는 촬영 이미지를 상기 서버(140)로 전송하기 전에 별도로 촬영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 장치(120)는 촬영 이미지에서 상기 센서(110)와 연관된 영역을 결정하고, 촬영 이미지에서 상기 결정된 영역을 하이라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360도 카메라(130)로 촬영한 촬영 이미지로서, 상기 처리 장치(120)는 상기 360도 카메라(130)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수신한 뒤 촬영 이미지에서 일부 영역(210, 220, 230)을 하이라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 장치(120)는 촬영 이미지에서 상기 센서(110)와 연관된 영역(210, 220, 230)을 결정하고, 촬영 이미지에 상기 영역(210, 220, 230)의 경계를 기 설정된 색상(예컨대, 붉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영역(210, 220, 230)은 센서(110)가 물리량을 감지함으로써 관할하는 유효 공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센서(110)는 실질적으로 이 유효 공간 내의 물리량을 감지하여 상기 처리 장치(12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온도 센서(111)와 연관된 영역은 촬영 이미지에서 상기 온도 센서(111)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u1, v1)를 포함하는 영역(21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역(210)은 온도 센서(111)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u1, v1)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을 갖는 원형 영역(210)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습도 센서(112)와 연관된 영역은 촬영 이미지에서 상기 습도 센서(112)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u1, v1)를 포함하는 영역(21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역(210)은 습도 센서(112)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u1, v1)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을 갖는 원형 영역(210)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가스 센서(113)와 연관된 영역은 촬영 이미지에서 상기 가스 센서(113)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u2, v2)를 포함하는 영역(22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역(220)은 가스 센서(113)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u2, v2)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을 갖는 원형 영역(220)일 수 있다.
반면, 적외선 센서(114)와 연관된 영역은 촬영 이미지에서 상기 적외선 센서(114)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u3, v3)로부터 기 설정된 벡터만큼 이격된 좌표 (u4, v4)를 중심으로 하는 기 설정된 크기의 영역(23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역(230)은 적외선 센서(114)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u3, v3)로부터 기 설정된 방향을 향해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좌표 (u4, v4)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길이의 변을 갖는 사각형 영역(230)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초음파 센서(115)와 연관된 영역은 촬영 이미지에서 상기 초음파 센서(115)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u5, v5)로부터 기 설정된 벡터만큼 이격된 좌표 (u4, v4)를 중심으로 하는 기 설정된 크기의 영역(23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역(230)은 가스 센서(115)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u5, v5)로부터 기 설정된 방향을 향해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좌표 (u4, v4)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길이의 변을 갖는 사각형 영역(23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 이미지에서 상기 센서(110)와 연관된 영역(210, 220, 230)을 정의하기 위한 데이터는 상기 처리 장치(12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처리 장치(120)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촬영 이미지에서 해당 영역(210, 220, 230)을 특정할 수 있다.
그 뒤, 상기 처리 장치(120)는 촬영 이미지에서 상기 영역(210, 220, 230)의 경계를 기 설정된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해당 영역(210, 220, 230)을 하이라이트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처리 장치(120)는 상기 센서(110) 중에서 상기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물리량을 측정한 센서를 식별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에서 상기 식별된 센서와 연관된 영역을 결정하여 하이라이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처리 장치(120)는 공간에 설치된 모든 센서(110)와 연관된 영역을 하이라이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센서(110) 중에서 위험 상황임을 결정하는데 작용한 센서를 구분하여 그 센서와 연관된 영역만을 촬영 이미지에서 하이라이트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촬영 이미지에서 센서(110)와 연관된 영역(210, 220, 230) 전부가 하이라이트되는 대신 일부의 영역만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360도 카메라(130)에 의해 촬영된 촬영 이미지에서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할 부분을 한눈에 알 수 있어 센서(110)가 설치된 공간의 현재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방법(1000)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상기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방법(1000)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방법(1000)은 센서(110)가 물리량을 측정하는 단계(S1100), 처리 장치(120)가 측정된 물리량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S1200), 및 스마트 기기(130)가 인식된 상황에 따라 상기 처리 장치(12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동작하는 단계(S1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 장치(120)가 측정된 물리량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S1200)는, 측정된 물리량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110) 및 360도 카메라(130)와 연동된 처리 장치(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방법(1000)은 상기 처리 장치(120)가 센서(110)로부터 측정된 물리량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210), 측정된 물리량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S1220에서 아니오)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S1230), 360도 카메라(130)로 촬영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S1310), 360도 카메라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S1320), 및 촬영 이미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40)로 전송하는 단계(S1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처리 장치(120)가 촬영 이미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방법(1000)은 360도 카메라(130)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S1320) 후, 촬영 이미지에서 센서와 연관된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S1321), 및 촬영 이미지에서 결정된 영역을 하이라이트하는 단계(1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방법(1000)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방법(1000)은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110: 센서
111: 온도 센서
112: 습도 센서
113: 가스 센서
114: 적외선 센서
115: 초음파 센서
120: 처리 장치
130: 스마트 기기
140: 서버
150: 단말기
210, 220, 230: 영역

Claims (7)

  1.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
    상기 측정된 물리량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상황을 인식하는 처리 장치; 및
    상기 인식된 상황에 따라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동작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
    적외선으로 인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및
    초음파로 물체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측정된 물리량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360°의 화각에 걸쳐 주변을 촬영하는 360도 카메라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360도 카메라로 촬영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360도 카메라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촬영 이미지에서 상기 센서와 연관된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에서 상기 결정된 영역을 하이라이트하는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7. 센서가 물리량을 측정하는 단계;
    처리 장치가 상기 측정된 물리량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 및
    스마트 기기가 상기 인식된 상황에 따라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방법
KR1020170004321A 2017-01-11 2017-01-11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04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321A KR101904637B1 (ko) 2017-01-11 2017-01-11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321A KR101904637B1 (ko) 2017-01-11 2017-01-11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883A true KR20180082883A (ko) 2018-07-19
KR101904637B1 KR101904637B1 (ko) 2018-10-04

Family

ID=6305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321A KR101904637B1 (ko) 2017-01-11 2017-01-11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6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287A (ko) * 2020-12-29 2022-07-07 김주섭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6705A (ko) * 2011-05-12 2012-11-21 조정현 시설물 환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50107916A (ko) * 2014-03-13 2015-09-24 (주)우일서브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건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6705A (ko) * 2011-05-12 2012-11-21 조정현 시설물 환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50107916A (ko) * 2014-03-13 2015-09-24 (주)우일서브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건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287A (ko) * 2020-12-29 2022-07-07 김주섭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637B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6543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camera system, control method for camera system, and storage medium
US97495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loud-based analytics for security and/or surveillance
RU2637838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беспилотным летательным аппарато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того
US1040494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amera system, control method for camera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10834327B (zh) 一种机器人的控制方法及设备
KR101411624B1 (ko) 화재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832569B1 (ko) 홈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는 이동식 홈 로봇 및 그 동작 방법
US11277526B2 (en) Distributed sensing and video capture system and apparatus
US201201557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 determination using image deformation
CN111512255A (zh) 多设备机器人控制
TW201727537A (zh) 人臉識別系統及人臉識別方法
US2017036472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1060020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JP2017097702A (ja) 監視システムとその監視制御装置
US11948363B2 (en) Person detection device and person detection method
KR101904637B1 (ko)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8613672B (zh) 对象定位方法、对象定位系统和电子设备
JP678990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5278273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及びその異常検出方法
JP7335899B2 (ja) 測定システム、測定装置、測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291701B (zh) 定位验证方法、装置、机器人、外部设备和存储介质
US1150145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150050224A (ko) 비정상 배회 탐지 장치 및 방법
KR102488182B1 (ko) 머신러닝을 이용한 무인변전소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07832328B (zh) 一种撷取信息分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