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863A - A cleaner - Google Patents

A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863A
KR20180082863A KR1020170004280A KR20170004280A KR20180082863A KR 20180082863 A KR20180082863 A KR 20180082863A KR 1020170004280 A KR1020170004280 A KR 1020170004280A KR 20170004280 A KR20170004280 A KR 20170004280A KR 20180082863 A KR20180082863 A KR 20180082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leaner main
cleaner
driv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욱
Original Assignee
김용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욱 filed Critical 김용욱
Priority to KR1020170004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2863A/en
Publication of KR20180082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8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leaner,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rive roller which is rotationally installed at the rear of a cleaner main body and moves the cleaner main body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n driven; a drive unit installed on the cleaner main body for rotating the drive roller; a stand unit rotationally connected to the cleaner main body and having a handle attached to an upper end thereof; and a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installed in the cleaner main body to be able to select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e roller in conjunction with an operation of pulling or pushing the handle.

Description

청소기{A CLEANER}Cleaner {A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기를 밀거나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청소기의 구동방향을 자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capable of automatically changing a driving direction of a vacuum cleaner by pushing or pulling a vacuum cleaner.

국내의 경우 온돌문화 및 거실문화가 발달되어 있어서 걸레를 이용하여 거실과 방바닥 등을 청소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In Korea, Ondol culture and living room culture are developed, so it is most necessary to clean the living room and the floor using a rag.

기존의 걸레를 이용한 청소방법이 어렵다는 이유로, 대표적인 걸레청소기로서 스팀청소기가 널리 보급된 바 있다. 이러한 스팀청소기는 청소기의 하부에 걸레를 부착하고, 그 걸레로 스팀을 분사하여 고온 스팀에 의해 젖은 걸레를 이용하여 청소면을 청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Since the conventional cleaning method using a mop is difficult, a steam cleaner has been widely used as a representative mop cleaner. Such a steam cleaner is configured to attach a rag to a lower portion of a cleaner, spray steam on the rag and clean the cleaning surface using a wet rag by hot steam.

그런데 종래의 스팀청소기의 경우, 스팀에 의해 젖은 걸레와 청소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청소기를 이동하면서 물걸레 청소하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하며, 따라서 물걸레 청소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주부들에게는 매우 힘든 청소작업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team cleaner,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wet mop and the cleaning surface is increased by the steam, so that a large force is required to clean the wet-cloth while moving the cleaner.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lean the wet-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a work day.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2777호(물걸레 청소기)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롤러 사이에 걸레부를 연결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롤러의 정방향 또는 정방향 회전에 의해 걸레부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청소면을 걸레질하여 청소하게 되는데, 이 경우 걸레부가 주행하면서 청소면을 청소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걸레부와 청소면과의 충분한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걸레부의 주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청소기를 밀거나 잡아당겨야 하므로 역시 청소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지 않고, 청소기에 당기거나 미는 힘을 가하지 않을 경우, 걸레부의 주행력에 의해 그대로 청소기가 이동하게 되므로 청소면에 대해 청소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352777 (wet-cloth cleaner), a configuration in which a mop part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is described. Here, the mop part travels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forward rotation or the forward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to clean the cleaning surface. In this case, in order to clean the cleaning surface while the mop travels, It is necessary for the user to push or pull the cleaner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mop, so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Otherwise, when the pulling or pushing force is not applied to the cleaner, the cleaner is mov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p part, so that the cleaned surface is not normally cleaned.

이를 위해서 최근에는 모터의 힘을 이용하여 주행시키면서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는 청소기가 보급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청소기의 전진과 후진시 구동방향을 바꿔주어야 하므로 스위칭동작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138450호를 통해서 손잡이를 당기거나 미는 작에 연동하여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구동방향을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손잡이 부분이 반복적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손잡이부분에서의 부하가 집중되어 손상의 문제점에 노출되었으며, 손잡이부분에 스위치와 케이블 등을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는 등 조립 및 설계상의 어려움이 발견되었다.In order to achieve this, a vacuum cleaner capable of cleaning the cleaning surface while traveling by using the force of a motor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driving direction must be changed during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vacuum cleaner, switching operation is troublesome. In view of this point,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 vacuum cleaner capable of automatically switching the driving direction by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a pulling or pushing operation of a knob through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138450.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knob portion is repeatedly moved back and forth, the load on the knob portion is concentrated and exposed to the problem of damage, and the switch and the cable should be installed in the knob portion. Etc. have been found.

또한, 평상시에는 청소기 본체의 바닥부분과 롤러 부분이 지면에 닿아서 청소기의 스탠드부를 세운 상태로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롤러가 눌리면서 바닥면에 롤러 자국이 남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Further, normally, the bottom portion and the roller por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come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stand of the cleaner is kept in a standing state.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roller marks are left on the bottom surface while the rollers are pressed.

또한, 롤러 외주의 걸레를 분리하기 위해서 롤러를 청소기 본체에서 분리한 상태로 보관할 경우에는, 롤러에 의해 지지되던 높이만큼 청소기 본체의 후단부가 낮아지게 되어, 청소기 본체의 후방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여 청소기를 안정적으로 세워서 보관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었다.When the roller is separat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in order to separate the mop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ller, the rear end of the cleaner main body is lowered by the height supported by the roller, So that it was difficult to store the sample.

또한, 손잡이 부분이 왕복 이동되면서 스탠드부와 반복하여 충돌하여 '딸깍' 하는 소음이 반복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Furth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knob repeatedly collides with the stand while being reciprocated to repeatedly generate " snapping " nois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2777호(물걸레 청소기)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52777 (Cleaner for Water Mill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청소기를 자동으로 주행시켜 줌으로써 청소면의 청소기능을 향상시키고 힘을 들이지 않고 편안하게 청소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er having improved structure for improving a cleaning function of a cleaning surface by automatically running a cleaner,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시 상기 청소기 본체를 전방향과 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롤러;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청소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에 손잡이가 연결되는 스탠드부; 및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어, 손잡이를 당기거나 미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구동롤러의 구동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방향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vacuum cleaner main body; A drive rolle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moves the cleaner main body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n driven; A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cleaner main body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driving roller; A stand unit rotatably connected to the cleaner main body and having a handle attached to an upper end thereof; And a direction determining unit installed in the cleaner main body and installed to be able to select a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roller in conjunction with a pulling or pushing operation of the handle.

여기서, 상기 방향 결정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모드스위치;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전후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면에 걸레가 부착되는 걸레 부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레 부착부재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모드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간섭하거나 간섭 해제하여 전진모드 및 후진모드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irection determining unit may include: a mode switch installed in the cleaner main body; And a mop attachment member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so as to reciprocate forward and backward and having a mop attached thereto. The mop attachment member is selectively moved to the cleaner main body to selectively interfere with the mode switch It is preferable to release the interference to generate the forward mode and backward mode signal.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걸레 부착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걸레 부착부재를 왕복 이동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가이드봉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mop attachment member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a guide rod for guiding the mop attachment member in a reciprocating manner is provided on the mounting portion.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저면으로 돌출되어 지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청소기본체를 지지면에 대해 받쳐주는 지지위치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지지면에서 이격되는 분리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vacuum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sition protruding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to contact the support surface to support the cleaner main body against the support surface and a separating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upporting unit to be installed.

또한, 상기 받침유닛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저면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저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로 진입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스탠드부에 설치되어 회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를 간섭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저면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받침부재 간섭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supporting unit may include a supporting member movably installed in the cleaner main body so as to be able to project and retract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A pressing member that presses the receiving member to enter the inside of the cleaner body while the receiving member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body; And a catching member interfering member installed on the stand portion and interfering with the catching member according to the pivoting position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본 발명의 청소기에 따르면, 청소기의 손잡이부를 잡고 밀거나 당기는 동작시 청소기 본체와 청소기 본체의 바닥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레 부착부재간의 상대적으로 이동 동작에 따라 구동부의 구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and the mop attachment member which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to move back and forth during the operation of pushing or pulling the handle of the vacuum cleaner .

따라서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청소기를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게 되어, 노약자나, 어린이, 여성들도 쉽게 청소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vacuum cleaner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without applying a great deal of forc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derly, children, and women can easily clean the vacuum cleaner.

특히, 물걸레를 부착하여 청소할 경우에 걸레와 청소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지만, 본 발명과 같이 구동부를 이용하여 장치 본체를 자동으로 전진 및 후진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청소하는 사람은 손잡이를 가볍게 잡고 밀거나 당기기만 하면 되므로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cleaning cloth is wiped with a wet cloth,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leaning cloth and the mop increases. However, since the cleaning cloth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utomatically by using the driving unit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dvantageous that anyone can use it easily.

특히, 스위칭되는 부분을 청소기 본체에 마련함으로써, 종래에 스탠드부에 설치하는 것에 비하여,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손잡이부나 스탠드부에 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switching part is provided in the cleaner main body, the load is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in the handle part or the stand part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installation space,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durability can be increased.

또한, 스탠드부를 세우는 동작시 본체의 바닥으로 받침부재가 돌출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구동롤러가 눌려서 지면에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청소기 본체로부터 구동롤러를 분리하더라도 청소기를 지면에 대해 안정적으로 세워서 거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ing member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in the stand-up operation, the driving roller is pressed to prevent a mark from being left on the ground. Furthermore, even if the driving roller is separat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the cleaner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groun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향결정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구동신호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청소기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모드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10 각각은 스탠드부를 세웠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1 각각은 스탠드부를 세우기 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구동롤러를 분리한 상태로 스탠드부를 세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받침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rection determining unit shown in FIG. 2.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signal system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essential parts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 shown in FIG. 2. FIG.
8 and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tate when the stand portion is erected.
9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before standing the stand portion.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tand portion is set up with the drive roller removed.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upporting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레 청소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op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레 청소기(100)는, 청소기 본체(110), 스탠드부(120), 구동부(130), 구동 제어부(140), 방향 결정부(150), 받침유닛(160)을 구비한다.1 to 13, a mop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main body 110, a stand 120, a driving unit 130, a driving control unit 140, 150, and a supporting unit 160.

상기 청소기 본체(110)는 바닥하우징(111)과 커버하우징(113)을 가지는 하우징 구조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130)와 구동제어부(140) 등이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10 has a housing structure having a bottom housing 111 and a cover housing 113.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10 may include the driving unit 130 and the driving control unit 140 therein.

청소기 본체(110)의 상부에 스탠드부(120)가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스탠드부(120)의 내부에는 전원공급부(160)로서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상단에는 청소기 손잡이(123)가 연결된다. 손잡이(123)에는 걸레 청소기(100)의 전원공급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스위치(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The stand 1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stand 120, a battery may be installed as a power supply unit 160, and a cleaner handle 123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The handle 123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witch (not shown)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supply of the mop cleaner 100.

또한, 청소기(100)가 스팀을 공급하면서 청소하는 스팀청소 기능을 가질 경우에는, 스탠드부(120)에 물통과 스팀발생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vacuum cleaner 100 has a steam cleaning function for cleaning while supplying steam, the bucket 120 and the steam generator may be installed in the stand 120.

상기 구동부(130)는 청소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31)와, 구동모터(131)의 동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되게 청소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구동롤러(133)를 구비한다. 구동롤러(133)의 외주에는 원통형 상의 롤러형 걸레(2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롤러(133)의 외주에 결합되는 롤러형 걸레(20)는 청소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시 마찰력에 의해 청소기 본체(110)를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면서,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다.The drive unit 130 includes a drive motor 131 installed in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a drive roller 133 installed in the cleaner main body 110 to be rotated forward or backward by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131 do. A cylindrical roller-type mop 20 can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iving roller 133. Therefore, the roller type mop 2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iving roller 133 can clean the cleaning surface while moving the cleaner main body 110 forward or backward by frictional force when the roller mop 20 is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따라서 구동롤러(133)의 양단은 청소기 본체(110)에 연결되는 축 받침부(113,114)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롤러(133)의 어느 일단의 회전축은 동력전달수단(135)에 의해 구동모터(13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구동벨트, 구동기어열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oth ends of the driving roller 133 are rotatably supported on each of the shaft receiving portions 113 and 114 connected to the cleaner main body 110. [ The rotary shaft of either end of the driving roller 133 receives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131 by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35 and is rotated. Since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a driving belt and a driving gear train,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이와 같이, 구동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사람이 직접 밀거나 당기지 않고도 청소기 본체(110)를 힘들이지 않고 쉽게 이동시키면서 걸레 청소를 할 수 있다. 즉, 후술할 걸레 부착부재(153)에 부착된 판형 걸레(10)와 청소면간의 마찰력을 쉽게 극복하고, 구동롤러(133)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청소기 본체(11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사용자의 힘만을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110)를 직접 밀면서 청소하는 어려움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Thus, by providing the driving unit 130, the cleaner main body 110 can be moved easily and easily without pushing or pulling the user. That is, sin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plate-shaped mop 10 attached to the mop attachment member 153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cleaning surface can be easily overcome and the cleaner main body 110 can be easily moved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drive roller 133,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solve the difficulty of cleaning the cleaner main body 110 by directly pushing the cleaner main body 110 using only the force of the user.

상기 구동제어부(140)는 방향결정부(150)에서 발생된 구동신호 즉, 전진모드 신호 또는 후진모드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31)를 정방향 구동제어하거나, 역방향으로 구동 제어한다.The driving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driving motor 131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generated in the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50, that is, the forward mode signal or the backward mode signal.

상기 방향 결정부(150)는 구동부(130)의 구동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방향결정부(150)는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드스위치(151),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저면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시 모드스위치(151)를 간섭하는 걸레 부착부재(153)를 구비한다.The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50 is for selecting a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130. [ The direction determining unit 150 includes a mode switch 151 installed inside the cleaner main body 110, a mop that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to interfere with the mode switch 151 Member 153 as shown in Fig.

상기 모드스위치(151)는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스위치 몸체(151a)와, 스위치몸체(151a)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레버(151b)를 구비한다. 스위치몸체(151a)는 구동제어부(140)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어 모드 스위칭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스위치레버(151b)는 청소기 본체(110)의 하부 하우징(111)에 형성된 통과홀(111a)을 통과하여 상기 걸레 부착부재(153)의 스위치 간섭부(153a)에 선택적으로 접촉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다.The mode switch 151 includes a switch body 151a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a switch lever 151b movably installed in the switch body 151a. The switch body 151a may b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drive control unit 140 to transmit a mode switching signal. The switch lever 151b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11a formed in the lower housing 111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is selectively installed and detached from the switch interfering portion 153a of the mop attachment member 153 do.

상기 걸레 부착부재(153)는 장치 본체(110)의 저면에 전후 방향으로 소정 거리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걸레 부착부재(153)의 상부에는 스위치 간섭부(153a)와 복수의 가이드부(153b)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판형 걸레(10)가 부착되는 벨크로부(153b)가 마련된다.The mop attachment member 153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pparatus main body 110 so as to be reciprocally slidab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this end, a switch interfering portion 153a and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153b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p attachment member 153, and a velcro portion 153b on which the plate-shaped mop 10 is attache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가이드부(153b)에 결합되는 가이드봉(155)이 청소기 본체(110)의 하부 하우징(111)의 하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하우징(111)의 하부에 한 쌍의 봉 지지부재(156)가 나란하게 이격되어 설치되고, 그 봉 지지부재(156)에 가이드봉(155)이 끼워져 고정 설치된다. 즉, 하부 하우징(111)의 하부에 마련된 장착부(112)로 한 쌍의 가이드봉(15)이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봉(155)에 상기 가이드부(153c)가 끼워져 전후 방향으로 소정 거리 슬라이딩되어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스위치 간섭부(153a)는 걸레 부착부재(153)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청소기 본체(110)가 걸레 부착부재(153)에 대해 상대이동시 모드스위치(151)의 스위치레버(151b)를 간섭하거나 간섭 해제되도록 하여 모드스위치(151)의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A guide rod 155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153b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111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Specifically, a pair of bar supporting members 156 are provided in a spaced relation to each other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111, and a guide bar 155 is fitted and fixed to the bar supporting member 156. That is, a pair of guide rods 15 are installed to be exposed by a mounting portion 112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111. The guide portion 153c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rod 155 so that the guide portion 153c may be reciprocated by sli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switch interfering portion 153a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p attachment member 153 to interfere with the switch lever 151b of the mode switch 151 when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moved relative to the mop attachment member 153 So that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mode switch 151 is performed.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간섭부(153a)는 스위치레버(151b)의 접촉위치에 따라서 구동모터(131)의 구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스위치레버(151b)가 접촉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접촉면(a1,a2)을 갖는다. 즉, 제1접촉면(a1)에 스위치레버(151b)가 접촉된 상태는 후진모드이며, 이 상태에서 청소기 본체(110)가 앞으로 밀리면 제2접촉면(a2)과 스위치레버(151b)가 접촉되어 전진모드로 변환된다. 반대로 전진모드에서 청소기 본체(110)가 후방으로 당겨져서 이동되면 제1접촉면(a1)에 스위치레버(151b)가 접촉되어 후진모드로 다시 변환된다.7, the switch interfering portion 153a is provid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witch lever 151b is in contact with the switch lever 151b so as to contact the switch lever 151b so that the drive direction of the drive motor 131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of the switch lever 151b.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surfaces a1 and a2. When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pushed forward in this state, the second contact surface a2 and the switch lever 151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Mode. Conversely, when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pulled back and moved in the forward mode, the switch lever 151b contacts the first contact surface a1 and is converted back to the backward mode.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스탠드부(120)의 손잡이(123)를 잡고 당기고 있는 위치에서는 모드스위치(151)가 도 7의 후진모드에 위치하게 되어 휴진모드로 구동된다.5, at the position where the user holds the handle 123 of the stand 120 and pulls the mode switch 151, the mode switch 151 is positioned in the reverse mode of FIG. 7 and is driven in the idle mode.

이 상태에서 손잡이(123)를 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10)를 전방으로 밀면, 걸레 부착부재(153)는 청소면(1)과의 마찰력에 의해 정지되고 청소기 본체(110)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스위치 레버(151b)가 스위치 간섭부(153)의 제2접촉면(a2)에 접촉되면서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모드 스위치(151)는 전진모드에 해당되는 스위칭신호를 발생시켜 구동제어부(140)로 전달한다. 반대로, 도 6의 상태에서 청소기 본체(110)를 다시 후방으로 당기면 청소기 본체(110)가 걸레 부착부재(153)와의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도 7의 후진모드와 같이 스위치레버(151b)가 스위치 간섭부(153)의 제1접촉면(a1)과 접촉되는 위치로 이동되면서 후진모드에 해당하는 스위칭신호를 발생시켜서 구동제어부(140)로 전달한다.6, when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pushed forward, the mop attachment member 153 is stopped by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cleaning surface 1, and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relatively moved and moved forward. Then, the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switch lever 151b contacts the second contact surface a2 of the switch interfering portion 153. [ At this time, the mode switch 151 generates a switch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orward mode and transmits the switching signal to the driving control unit 140. Conversely, when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pulled back again in the state of FIG. 6,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moved relative to the mop attachment member 153. 7, the switch lever 151b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switch lever 151b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surface a1 of the switch interfering unit 153 to generate a switch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ackward mode, .

상기 구동제어부(140)는 청소기 본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제어부(140)는 전원스위치(117)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구동부(130)로 전원공급부(160)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또한 방향결정부(150)에서의 전달되는 방향 결정신호에 따라서 구동모터(131)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을 제어한다.The drive control unit 140 may be installed in the cleaner main body 110. The driving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driving unit 130 to supply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160 according to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power switch 117, And controls the forward or reverse drive of the drive motor 131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상기 받침유닛(160)은 청소기 본체(110)의 저면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청소기 본체(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161), 상기 받침부재(161)가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저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청소기 본체(110) 내부로 진입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163) 및 스탠드부(120)에 설치되어 회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161)를 간섭하여 청소기 본체(110)의 저면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받침부재 간섭부재(165)를 구비한다.The support unit 160 includes a support member 161 movably installed on the cleaner main body 110 so as to protrude and retract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 pressing member 163 urging the pressing member 163 to protrude into the cleaner main body 110 in a state of being protrud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by interfering with the receiving member 161 according to the rotating position, And a support member interfering member 165 protruding from the support member.

받침부재(161)는 양단에 형성된 회동축(161a)을 기준으로 왕복 회동가능하게 청소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받침부재 몸체(161b)와, 받침부재 몸체(161b)의 양단에서 서로 대칭되게 연장되어 상기 스탠드부(12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연결부(161c) 및 연결부(161c)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며 청소기 본체(110)의 저면으로 돌출시 청소면(1)에 접촉되는 받침부(161d)를 구비한다.The support member 161 includes a support member body 161b provided on the cleaner body 11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pivotal axis 161a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a support member body 161b provided on the cleaner body 110 to exten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body 161b A connection part 161c which faces the stand part 120 and a connection part 161c which extends downward from the end part of the connection part 161c and which extends from the bottom part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161d.

상기 회동축(161a)은 청소기 본체(110)의 하부하우징(111)의 상부벽에 마련되는 축 지지부(111a)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The rotary shaft 161a is rotatably supported by a shaft supporting portion 111a provided on the upper wall of the lower housing 111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

가압부재(163)는 일단은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부재(161)에 연결되어 받침부재(161)의 받침부(161)가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로 진입되도록 가압한다. 받침부재 몸체(161b)의 일측으로 가압부재(163)가 연결되는 연결고리(161e)가 연장 형성된다.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163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member 161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161 of the receiving member 161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Pressurize to enter. A connection ring 161e to which the pressing member 163 is connected is extend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body 161b.

받침부재 간섭부재(165)는 스탠드부(1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회전축부(121)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부재 간섭부재(165)는 스탠드부(120)를 도 9 및 도 11과 같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도 8 및 도 10과 같이 세워지도록 회동될 때, 받침부재(161)의 연결부(161c)의 상단을 하부로 강제로 밀어낸다. 그러면 받침부재(161)가 강제로 회동되어 받침부(161d)가 청소기 본체(110)의 하부로 돌출되어 청소면(1)에 닿는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구동롤러(133)를 분리하더라도 스탠드부(120)의 후방에 위치되는 한 쌍의 받침부(161d)가 청소면(1)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청소기 본체(110)가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여, 청소기(10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interference member 165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otary shaft portion 12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tand portion 120. 9 and 11, when the stand portion 120 is pivoted up as shown in Figs. 8 and 10, the connecting portion 161c of the receiving member 161, And pushes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art to the lower part. The support member 161 is forcibly rotated so that the support portion 161d protrud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it touches the clean surface 1. [ Therefore, even if the driving roller 133 is separated in this state, the pair of receiving portions 161d positioned behind the stand 120 are held on the cleaning surface 1, So that the vacuum cleaner 10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own.

여기서, 상기 받침부재 간섭부재(165)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부(121)는 스탠드부(120)의 하단부에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청소기 본체(110) 내부의 받침부(111c)에 지지된다.The rotary shaft portion 121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ceiving member interference member 165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tand portion 120 and is supported on the receiving portion 111c inside the cleaner body 110 do.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레 청소기(100)는 전원스위치(117)를 온 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손잡이(123)를 잡고 밀게 되면, 도 6과 같이, 청소기 본체(110)가 걸레 부착부재(153) 상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모드스위치(151)는 전진모드로 전환된다. 따라서 구동제어부(140)는 모드스위치(151)에서 발생된 전진모드 신호를 근거로 구동모터(131)를 전진 구동시켜서 구동롤러(133)가 전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청소기 본체(110)를 전진시키면서 청소를 할 수 있다.6, the mop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handle 123 is pushed and held while the power switch 117 is in the ON state, Is slid forward on the mop attachment member 153, the mode switch 151 is switched to the forward mode. The drive control unit 140 drives the drive motor 131 forward based on the forward mode signal generated by the mode switch 151 so that the drive roller 133 is rotationally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Therefore, the user can clean the cleaner body 110 while advancing the cleaner body 110 without applying a large force.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123)를 잡아당기면, 청소기 본체(110)가 걸레 부착부재(153)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진 이동된다. 그러면, 도 7의 후진모드와 같이, 모드스위치(151)는 전진모드에 후진모드로 이동되어 후진모드 신호를 발생하여 구동제어부(140)로 전달한다. 구동제어부(140)는 후진모드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131)를 후진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123)를 잡고 작은 힘으로 당기기만 하더라도 구동롤러(133)가 후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하여 청소기 본체(110)를 자동으로 후진시키면서 청소 할 수 있게 된다.Further, w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123,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relatively move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mop attachment member 153. [ 7, the mode switch 151 is moved to the backward mode in the forward mode to generate the backward mode signal, and the backward mod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controller 140. The drive control unit 140 receives the reverse mode signal and drives the drive motor 131 to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rotate the driving roller 133 in the backward direction even if the user grasps the handle 123 by only a small force, thereby automatically rotating the cleaner main body 110 backward.

청소기(100)를 사용한 뒤에, 구동롤러(133)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탠드부(120)를 도 8 및 도 10과 같이, 세워놓으면, 받침부재 간섭부재(165)가 받침부재(161)를 눌러서 회동시킨다. 그러면, 받침부재(161)가 회동되어 청소기 본체(110)의 저면을 돌출되어 청소면(1)에 닿게 된다. 따라서 스탠드부(120)를 세운 상태로 보관하더라도 구동롤러(133)가 눌려서 지지면에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8 and 10, the support member interfering member 165 is held by the support member 161 in a state where the drive roller 133 is not detached after the cleaner 100 is used. Press to rotate. Then, the support member 161 is rotat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cleaned surface 1. Therefore, even if the stand 120 is kept standing, the driving roller 133 can be pressed to prevent the marks from remaining on the supporting surface.

또한, 청소기(100)를 사용한 후에 구동롤러(133)의 외주에 결합된 롤러형 걸레(20)를 분리하기 위해 구동롤러(133)를 청소기 본체(110)에서 분리할 경우, 스탠드부(120)를 직립되게 회동시켜서 고정하면, 도 12와 같이 받침부재(161)가 청소기 본체(110)의 하부로 돌출되어 청소면(1)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청소기(100)를 스탠드부(120)를 세운 상태로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When the driving roller 133 is separat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110 to separate the roller type mop 2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iving roller 133 after using the vacuum cleaner 100, The supporting member 161 protrud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is held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1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vacuum cleaner 100 can be stably stored in a stand-up state.

따라서 구동롤러(133)가 분리되더라도 받침부(161)가 청소기 본체(110)의 후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청소기(100)를 스탠드부(120)가 세워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even if the driving roller 133 is separated, the support portion 161 stably supports the rear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so that the cleaner 100 can be stably stored with the stand portion 120 raised.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청소기 110..청소기 본체
120..스탠드부 123..손잡이
130..구동부 131..구동모터
133..구동롤러 140..구동제어부
150..방향결정부 151..모드스위치
153..걸레 부착부재 160..받침유닛
161..받침부재 163..가압부재
165..받침부재 간섭부재
100 .. The cleaner 110 .. The cleaner body
120 .. stand part 123 .. handle
130 .. Drive 131 .. Drive motor
133 .. Drive roller 140 .. Drive control part
150 .. direction determining section 151 .. mode switch
153 .. Mop attachment member 160 .. Supporting unit
161 .. receiving member 163. .. pressing member
165. Support member interference member

Claims (5)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시 상기 청소기 본체를 전방향과 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롤러;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청소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에 손잡이가 연결되는 스탠드부; 및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어, 손잡이를 당기거나 미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구동롤러의 구동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방향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 cleaner main body;
A drive rolle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moves the cleaner main body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n driven;
A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cleaner main body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driving roller;
A stand unit rotatably connected to the cleaner main body and having a handle attached to an upper end thereof; And
And a direction determiner installed in the cleaner main body and installed to be able to select the driving roller in a driving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a pulling or pushing operation of the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결정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모드스위치;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전후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면에 걸레가 부착되는 걸레 부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레 부착부재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모드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간섭하거나 간섭 해제하여 전진모드 및 후진모드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mode switch installed in the cleaner main body;
And a mop attachment member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so as to reciprocate back and forth,
Wherein the mop attachment member is moved relative to the cleaner main body to selectively interfere with or interfere with the mode switch to generate a forward mode and a backward mode sig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걸레 부착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걸레 부착부재를 왕복 이동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가이드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mop attachment member is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a guide rod for guiding the mop attachment member in a reciprocating manner is provided on the mounting por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저면으로 돌출되어 지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청소기본체를 지지면에 대해 받쳐주는 지지위치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지지면에서 이격되는 분리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support member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to support the cleaner main body against the support surface and a separating position that enters into the interior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surface,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vacuum clean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유닛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저면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저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로 진입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스탠드부에 설치되어 회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를 간섭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저면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받침부재 간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A supporting member movably installed in the cleaner main body so as to be able to protrude and retract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A pressing member that presses the receiving member to enter the inside of the cleaner body while the receiving member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body; And
And a support member interfering member installed on the stand unit to interfere with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 pivotal position to protrude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KR1020170004280A 2017-01-11 2017-01-11 A cleaner KR201800828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280A KR20180082863A (en) 2017-01-11 2017-01-11 A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280A KR20180082863A (en) 2017-01-11 2017-01-11 A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863A true KR20180082863A (en) 2018-07-19

Family

ID=6305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280A KR20180082863A (en) 2017-01-11 2017-01-11 A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2863A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102B1 (en) * 1997-12-05 1999-12-01 배길성 A height control structure of inlet device for up-right vacuum cleaner
KR20000001456A (en) * 1998-06-11 2000-01-15 구자홍 Brush rotation controller of upright vacuum cleaner
KR200352777Y1 (en) 2004-03-19 2004-06-22 어수곤 wet duster
KR200424525Y1 (en) * 2006-06-01 2006-08-23 삼정크린마스터(주)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KR100667863B1 (en) * 2005-04-28 2007-01-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 Self-Propelled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KR101557073B1 (en) * 2015-03-20 2015-10-05 김용욱 Dustcloth clea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102B1 (en) * 1997-12-05 1999-12-01 배길성 A height control structure of inlet device for up-right vacuum cleaner
KR20000001456A (en) * 1998-06-11 2000-01-15 구자홍 Brush rotation controller of upright vacuum cleaner
KR200352777Y1 (en) 2004-03-19 2004-06-22 어수곤 wet duster
KR100667863B1 (en) * 2005-04-28 2007-01-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 Self-Propelled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KR200424525Y1 (en) * 2006-06-01 2006-08-23 삼정크린마스터(주)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KR101557073B1 (en) * 2015-03-20 2015-10-05 김용욱 Dustcloth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82060B2 (en) Clean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257416A1 (en) Automatic cleaning machine
CN107854077B (en) Dual-purpose mop bucket for cleaning and squeezing water
US20220000327A1 (en) Robot cleaner and automatic cleaning method
GB24802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mop material
EP1989985B1 (en) Improved moquette carpet cleaning machine operable in pull-back mode
US20220031137A1 (en) Cleaning machine having joint device and cleaning machine having drive device
KR100977107B1 (en) Apparatus for cleaning floor
CN107020261A (en) A kind of swing type computer keyboard cleaning plant
KR20180082863A (en) A cleaner
KR20190081047A (en) A robot cleaner
JP2001258806A (en) Self-traveling vacuum cleaner
KR20180102897A (en) A cleaner
CN113116241B (en) Cleaning assembly, clea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W201907844A (en) Cleaning device with suction nozzle and mechanical cleaning element that is provided with a motor-driven oscillation plate
KR102019731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wet-cloth cleaner
CN101721184A (en) Cleaning machine
CN207041489U (en) A kind of electric mop
CN212415602U (en) Scraping device, double scraping assembly and cleaning device
CN210249724U (en) Cleaning device
KR101547433B1 (en) Electric cleaning equipment for non-slip stairs
CN115227140B (en) Dust collector assistance control method and dust collector applying same
KR101103280B1 (en) Rotary Type Cleaner
CN213721792U (en) Portable horizontal water-squeezing mop
CN114098550B (en) Control method of clean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