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554A - 파스너 스트링거 및 슬라이드 파스너 - Google Patents

파스너 스트링거 및 슬라이드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554A
KR20180082554A KR1020187016645A KR20187016645A KR20180082554A KR 20180082554 A KR20180082554 A KR 20180082554A KR 1020187016645 A KR1020187016645 A KR 1020187016645A KR 20187016645 A KR20187016645 A KR 20187016645A KR 20180082554 A KR20180082554 A KR 20180082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fastener
fastening
yarns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667B1 (ko
Inventor
에이지 니시다
다카유키 미나토자키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2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44B19/52Securing the interlocking members to stringer tapes while making the latter
    • A44B19/54Securing the interlocking members to stringer tapes while making the latter while weaving the stringer tap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10Slide fasteners with a one-piece interlocking member on each stringer tape
    • A44B19/12Interlocking member in the shape of a continuous helix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4Stringer tapes; Flaps secured to stringers for covering the interlocking members
    • A44B19/346Woven stringer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93Stiff materials, e.g. cane or sla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03D3/005Tapes or ribb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10Slide fasteners with a one-piece interlocking member on each stringer tap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6Details of garments
    • D10B2501/063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복수의 경사(20)는 코일 엘리먼트(200)를 위사(10)에 대하여 체결하기 위해, 제1 테이프면(101)측에서 N개의 제2 다리부(212)에 걸치는 것과, 제2 테이프면(102)측에서 위사(10)에 걸치는 것을 반복하는 합계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를 포함한다. N이 2 이상의 자연수를 나타낸다. 각 체결사(30)는 위사(10)에 걸쳐 제2 테이프면(102)측에 노출되는 노출부(30k)를 포함한다. 각 체결사(30)의 노출부(30k)는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가 연장됨에 따라서 하나씩 교대로, 혹은 하나씩 순서대로 제2 테이프면(102)측에 나타난다.

Description

파스너 스트링거 및 슬라이드 파스너
본 개시는, 파스너 스트링거 및 슬라이드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경사 중에 코일 엘리먼트를 위사에 압박하기 위한 압박 경사가 포함되는 종류의 파스너 스트링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동 문헌 1의 도 1은 합계 4개의 인접한 체결사(19∼22)를 개시한다. 체결사(19∼22)는 상부 다리부(31)의 상면과 하부 다리부(32)의 하면을 교대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된다. 동 문헌의 도 4는 합계 4개의 인접한 체결사를 개시한다. 합계 4개의 체결사에 대하여, 맞물림 헤드부(33)측의 2개의 체결사는, 도 1에 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상부 다리부(31)의 상면과 하부 다리부(32)의 하면을 교대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된다. 나머지 2개의 체결사는,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 헤드부(33)측의 2개의 체결사와는 상이한 양태로 연장된다.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62-41609호 공보
경사에 포함되는 체결사에 의해 코일 엘리먼트가 위사에 대하여 체결되는 파스너 스트링거에 있어서, 한층 더한 횡인장 강도의 향상이 요망된다. 협피치로 코일 엘리먼트의 맞물림 헤드부를 배치하면, 파스너 스트링거 긴 쪽 방향으로 인접하는 엘리먼트 다리부 사이의 간극에 배치되는 위사가, 경사에 포함되는 체결사에 의해 코일 엘리먼트가 설치된 파스너 테이프의 테이프면측으로 상대적으로 급하게 또는 크게 연행되어, 결과로서 코일 엘리먼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파스너 테이프의 테이프면에 무시하기 어려운 오목부가 형성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코일 엘리먼트간의 위사에 복수의 체결사가 얽히는 경우에는 보다 큰 오목부가 형성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원 발명자는, 맞물림 헤드부의 협피치 배치를 실현하면서도, 코일 엘리먼트가 설치된 파스너 테이프의 테이프면의 반대측의 테이프면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형성을 회피 또는 억제한다는 새로운 과제를 발견하였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관한 파스너 스트링거(300)는, 1 이상의 위사(10)와 복수의 경사(20)를 포함하고, 제1 테이프면(101) 및 제2 테이프면(102)을 갖는 파스너 테이프(100)와,
상기 파스너 테이프(100)의 상기 제1 테이프면(101)측에 나타나도록 상기 파스너 테이프(100)에 설치되며, 복수의 연속의 단위 구조(210)를 포함하는 코일 엘리먼트(200)를 구비하는 파스너 스트링거이며,
각 단위 구조(210)는,
상기 위사(10)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1 다리부(211), 상기 제1 다리부(211)보다도 상기 위사(10)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 다리부(212), 파스너 테이프 외측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211)와 상기 제2 다리부(212)를 결합하는 맞물림 헤드부(213), 및 파스너 테이프 내측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211)를 인접의 단위 구조(210)의 제2 다리부(212)에 결합하는 반전부(214)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경사(20)는 상기 코일 엘리먼트(200)를 상기 위사(10)에 대하여 체결하기 위해, 상기 제1 테이프면(101)측에서 N개의 상기 제2 다리부(212)에 걸치는 것과, 상기 제2 테이프면(102)측에서 상기 위사(10)에 걸치는 것을 반복하는 합계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를 포함하고, 상기 N이 2 이상의 자연수를 나타내고,
각 체결사(30)는 상기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1 다리부(211) 사이에서 상기 위사(10)에 걸쳐 상기 제2 테이프면(102)측에 노출되는 노출부(30k)를 포함하고,
각 체결사(30)의 노출부(30k)는, 상기 합계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가 연장됨에 따라서 하나씩 교대로, 혹은 하나씩 순서대로 제2 테이프면(102)측에 나타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합계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를 제1 체결사군(G31)이라 하고, 상기 복수의 경사(20)는, 상기 코일 엘리먼트(200)를 상기 위사(10)에 대하여 체결하기 위해, 상기 제1 테이프면(101)측에서 M개의 상기 제2 다리부(212)에 걸치는 것과, 상기 제2 테이프면(102)측에서 상기 위사(10)에 걸치는 것을 반복하는 합계 M개의 인접한 체결사(30)로 이루어지는 제2 체결사군(G32)을 포함하고, 상기 M은 2 이상의 자연수를 나타내고,
상기 파스너 테이프(100)는, 상기 제1 체결사군(G31)과 상기 제2 체결사군(G32) 사이에 설치된 테이프 조직(112)을 포함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경사(20)는, 상기 코일 엘리먼트(200)를 상기 위사(10)에 대하여 체결하기 위해, 상기 제1 테이프면(101)측에서 R개의 상기 제2 다리부(212)에 걸치는 것과, 상기 제2 테이프면(102)측에서 상기 위사(10)에 걸치는 것을 반복하는 합계 R개의 인접한 체결사(30)로 이루어지는 제3 체결사군(G33)을 포함하고, 상기 R은 2 이상의 자연수를 나타내고,
상기 파스너 테이프(100)는, 상기 제2 체결사군(G32)과 상기 제3 체결사군(G33) 사이에 설치된 테이프 조직(113)을 포함한다.
몇 가지의 경우, 상기 테이프 조직(112, 113)은 평직 조직을 포함한다.
몇 가지의 경우, 상기 N과 상기 M과 상기 R은, 동일한 수를 나타낸다.
본 개시의 다른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파스너는, 상기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300)와,
상기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300)를 개폐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슬라이더(40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400)의 상부 익판(410)의 손잡이 설치 기둥(440)에 설치된 손잡이(450)가, 상기 파스너 테이프(100)의 상기 제2 테이프면(102)측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맞물림 헤드부의 협소 피치 배치를 실현하면서도, 코일 엘리먼트가 설치된 파스너 테이프의 테이프면의 반대측의 테이프면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형성을 회피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예에 관한 슬라이드 파스너의 개략적인 정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예에 관한 파스너 스트링거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모식도이며, 파스너 테이프의 제1 테이프면측에서, 코일 엘리먼트가 체결사에 의해 위사에 대하여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예에 관한 파스너 스트링거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모식도이며, 인접하는 엘리먼트 다리부 사이의 위사에 체결사가 걸쳐 파스너 테이프의 제2 테이프면측에서 노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예에 관한 파스너 스트링거에 있어서 파스너 테이프에 포함되는 2개의 인접하는 체결사가 하나씩 교대로 제2 테이프면측에 노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예에 관한 파스너 스트링거에 있어서 파스너 테이프의 경사에 포함되는 체결사에 의해 엘리먼트 다리부가 위사에 대하여 체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형태예에 관한 파스너 스트링거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모식도이며, 인접하는 엘리먼트 다리부 사이의 위사에 체결사가 걸쳐 파스너 테이프의 제2 테이프면측에서 노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형태예에 관한 파스너 스트링거에 있어서 파스너 테이프에 포함되는 3개의 인접하는 체결사가 하나씩 순서대로 제2 테이프면측에 노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모식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비한정의 예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시의 1 이상의 실시 형태 및 실시 형태에 포함되는 각 특징은, 개별적으로 독립된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과잉 설명을 요하지 않고, 각 실시 형태 및/또는 각 특징을 조합할 수 있고, 또한, 이 조합에 의한 상승 효과도 이해 가능하다. 실시 형태간의 중복 설명은 원칙적으로 생략한다. 참조 도면은, 발명의 기술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작도의 편의를 위해 간략화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도시한 슬라이드 파스너(600)는 좌우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300)와, 좌우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300)를 개폐하기 위해 전진 및 후진하는 슬라이더(400)를 포함한다. 슬라이더(400)의 전진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300)가 폐쇄된다. 슬라이더(400)의 후진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300)가 개방된다. 슬라이더(400)는 상부 익판(410), 도시하지 않은 하부 익판, 상부 익판(410)과 하부 익판을 연결하는 연결 기둥, 상부 익판(410) 상에 설치된 손잡이 설치 기둥(440) 및 손잡이 설치 기둥(440)에 관통된 손잡이(450)를 포함한다. 또한,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시예의 슬라이더(400) 이외의 구조의 슬라이더가 채용된다.
전후 방향은, 상술한 슬라이더(400)의 움직임으로부터 파악된다. 좌우 방향은, 상술한 슬라이더(400)에 의해 개폐되는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300)의 횡배열 양태로부터 파악된다. 좌우 방향은, 전후 방향에 직교한다. 상하 방향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직교한다.
각 파스너 스트링거(300)는 파스너 테이프(100)와 코일 엘리먼트(200)를 포함한다. 파스너 테이프(100)는 1 이상의 위사(10)와, 복수의 경사(20)를 포함한다. 파스너 테이프(100)는 위사(10)와 경사(20)가 짜인 직물이다. 파스너 테이프(100)는 제1 테이프면(101) 및 제1 테이프면(101)의 반대측의 제2 테이프면(102)을 갖는다.
코일 엘리먼트(200)는 파스너 테이프(100)의 제1 테이프면(101)측에 나타나도록 파스너 테이프(100)에 설치된다. 코일 엘리먼트(200)는 복수의 연속의 단위 구조(210)를 포함한다. 단위 구조(210)는 위사(10)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1 다리부(211), 위사(10) 및/또는 제1 다리부(211)를 따라서 연장되며, 제1 다리부(211)보다도 위사(10)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 다리부(212), 파스너 테이프 외측에 있어서 제1 다리부(211)와 제2 다리부(212)를 결합하는 맞물림 헤드부(213), 및 파스너 테이프 내측에 있어서 제1 다리부(211)를 인접의 단위 구조(210)의 제2 다리부(212)에 결합하는 반전부(214)를 포함한다. 맞물림 헤드부(213)는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양쪽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갖고, 좌우의 맞물림 헤드부(213)끼리의 적절한 맞물림이 확보된다.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은 전후 방향에 일치한다.
파스너 테이프 내측은, 파스너 테이프(100)가 존재하는 평면에 있어서 파스너 테이프(100) 외부의 위치 또는 점으로부터, 파스너 테이프(100) 상의 위치 또는 점을 향하는 방향이다. 보다 단적으로는, 파스너 테이프 내측은, 파스너 테이프(100) 외부의 위치 또는 점으로부터 파스너 테이프(100)의 대향 측부 에지부를 가로질러 파스너 테이프(100) 상의 위치 또는 점을 향하는 방향이다. 파스너 테이프 외측은, 파스너 테이프(100)가 존재하는 평면에 있어서 파스너 테이프(100) 상의 위치 또는 점으로부터, 파스너 테이프(100) 외부의 위치 또는 점을 향하는 방향이다. 보다 단적으로는, 파스너 테이프 외측은, 파스너 테이프(100) 상의 위치 또는 점으로부터 파스너 테이프(100)의 대향 측부 에지부를 가로질러 파스너 테이프(100) 외부의 위치 또는 점을 향하는 방향이다.
파스너 테이프(100)는 위사(10)와 경사(20)가 짜인 직물이다. 위사(10)와 경사(20)로부터 파스너 테이프(100)를 구축하기 위해 직기가 사용된다. 직기는, 파스너 테이프(100)의 형성과 병행하여 코일 엘리먼트(200)도 형성하고, 파스너 테이프(100)에 대하여 코일 엘리먼트(200)를 장착한다. 모노 필라멘트가 나선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엘리먼트 다리부가, 경사(20)에 포함되는 체결사(30)에 의해 위사(10)에 대하여 체결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사(10)가, 파스너 테이프(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사 주부를 포함한다. 파스너 테이프(100)의 폭 방향은,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한다. 파스너 테이프(100)의 폭 방향은 좌우 방향에 일치한다. 경사(20)가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파스너 테이프(100)에 포함되는 1 이상의 위사(10)는, 도 3에 단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너 테이프(100)의 제1 테이프면(101)측에 있어서 제1 다리부(21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위사 주부의 제1 조(11)를 포함한다. 파스너 테이프(100)에 포함되는 1 이상의 위사(10)는, 또한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1 다리부(211) 사이에 설치되는 위사 주부의 제2 조(12)를 포함한다. 위사 주부의 제1 조(11)와 위사 주부의 제2 조(12)는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된다.
몇 가지의 경우, 1개의 위사(10)가 파스너 테이프(100)의 폭 방향에서 왕복하여 위사 주부끼리가 인접함으로써 위사 주부의 제1 조(11)가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1개의 위사(10)가 왕복함으로써 위사 주부의 제2 조(12)가 구성된다. 위사 주부의 제1 조(11)에 포함되는 하나의 위사 주부가 위사 주부의 제2 조(12)에 포함되는 하나의 위사 주부에 만곡한 위사 반전부(13)를 통해 연속한다. 제1 조(11)를 구성하는 한 쌍의 위사 주부와 제2 조(12)를 구성하는 한 쌍의 위사 주부는 동일한 1개의 위사(10)에 포함되는 상이한 부분이다. 즉, 이 경우, 파스너 테이프(100)에 포함되는 위사(10)는 공통의 위사(10)로부터 형성되는 위사 주부의 제1 조(11) 및 위사 주부의 제2 조(12)에 의해 구성되고, 복수의 경사(20)와 함께 파스너 테이프(100)를 직성한다.
경사(20)는 파스너 테이프(100)의 제1 테이프면(101)측에서 위사 주부의 제2 조(12)에 걸치고, 파스너 테이프(100)의 제2 테이프면(102)측에서 위사 주부의 제1 조(11)에 걸치는 제1 경사를 포함한다. 제1 경사는, 위사 주부의 제1 조(11)와 위사 주부의 제2 조(12)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제1 테이프면(101)측으로부터 제2 테이프면(102)측으로 떠오르고, 위사 주부의 제1 조(11)와 위사 주부의 제2 조(12)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제2 테이프면(102)측으로부터 제1 테이프면(101)측으로 침강한다.
경사(20)는 파스너 테이프(100)의 제1 테이프면(101)측에서 위사 주부의 제1 조(11)에 걸치고, 파스너 테이프(100)의 제2 테이프면(102)측에서 위사 주부의 제2 조(12)에 걸치는 제2 경사를 포함한다. 제2 경사는, 위사 주부의 제1 조(11)와 위사 주부의 제2 조(12)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제1 테이프면(101)측으로부터 제2 테이프면(102)측으로 떠오르고, 위사 주부의 제1 조(11)와 위사 주부의 제2 조(12)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제2 테이프면(102)측으로부터 제1 테이프면(101)측으로 침강한다. 경사(20)와 위사(10)에 의해 파스너 테이프(100)의 평직 조직이 구축된다. 또한, 파스너 테이프(100)는 평직 조직 대신에 또는 더하여, 능직 조직, 주자직 조직, 또는 이 이외의 조직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20)는 코일 엘리먼트(200)를 위사(10)에 대하여 체결하는 합계 N개 이상의 인접한 체결사(30)를 포함한다.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경우, N=2이다. 합계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 각각은, 코일 엘리먼트(200)를 위사(10)에 대하여 체결하기 위해 연장된다. 합계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 각각은, 제1 테이프면(101)측에서 N개의 제2 다리부(212)에 걸치는 것과, 제2 테이프면(102)측에서 위사(10), 단적으로는 하나의 위사 주부의 제2 조(12)에 걸치는 것을 반복한다. 각 체결사(30)는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에서 인접하는 제1 다리부(211) 사이에서 위사(10), 단적으로는 하나의 위사 주부의 제2 조(12)에 걸친다. 도 2에 있어서는, 시인의 용이함을 확보하기 위해, 체결사(30)에는 개략적인 해칭이 실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체결사(30)의 점선은, 체결사(30)가 제1 테이프면(101)측에서 제2 다리부(212)에 걸쳐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합계 2개의 인접한 체결사(30)가 제1 테이프면(101)에서 2개의 제2 다리부(212)에 걸치고, 제2 테이프면(102)측에서 하나의 위사 주부의 제2 조(12)에 걸치는 것을 단적으로 나타낸다.
각 체결사(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사(10), 단적으로는 하나의 위사 주부의 제2 조(12)에 걸쳐 제2 테이프면(102)측에 노출되는 노출부(30k)를 갖는다. 노출부(30k)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에서 인접하는 제1 다리부(211) 사이에서 체결사(30)가 위사(10), 단적으로는 하나의 위사 주부의 제2 조(12)에 걸침으로써 제2 테이프면(102)측에 나타나는 체결사(30)의 일부이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도, 시인의 용이함을 확보하기 위해, 노출부(30k)에는 개략적인 해칭이 실시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체결사(30)의 노출부(30k)는 합계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가 연장됨에 따라서 하나씩 교대로 제2 테이프면(102)측에 나타난다. 체결사(30)의 노출부(30k)에 의해 위사 주부의 제2 조(12)가 제1 테이프면(101)측에 약간 인입된다. 따라서, 합계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가 함께 동일한 위사 주부의 제2 조(12)를 제1 테이프면(101)측에 인입하는 경우, 제2 테이프면(102)측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합계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에 포함되는 체결사(30)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이 오목부가 현재화되어 버릴 것이 예상된다. 오목부는 의장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는 것 외에, 테이프면에의 걸림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본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노출부(30k)의 패턴이 제2 테이프면(102)측에 나타나도록 합계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가 구성된다. 따라서,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으로 맞물림 헤드부(213)를 고밀도 배치한다고 해도,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가 동일한 위사(10), 단적으로는 위사 주부의 제2 조(12)를 제1 테이프면(101)측에 인입하지 않아, 오목부의 현재화가 회피 또는 억제된다. 나아가, 합계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가 나타나는 노출부(30k)의 규칙적 패턴은, 파스너 테이프(100)의 제2 테이프면(102)측에 규칙적인 모양으로서 나타나, 제2 테이프면(102)측의 오목부의 현재화의 억제 혹은 평탄도의 향상에 머물지 않고, 제2 테이프면(102)측의 의장성도 향상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테이프면(102)이 표측에 나타나도록 슬라이드 파스너(600)가 사용될 때, 이 점은 특히 유리하다. 또한, 이와 같은 체결사 배치에 따르면, 코일 엘리먼트(200)의 보다 높은 횡당김 강도의 확보도 예상된다. 또한, N이 3 이상인 자연수를 나타낼 때, 각 체결사(30)의 노출부(30k)는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가 연장됨에 따라서 하나씩 순서대로 제2 테이프면(102)측에 나타난다.
도 4에 단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사(30)는 단위 구조(210), 특히 제2 다리부(212)를 파스너 테이프(100)의 조직측으로 압박하는 압박사로서 기능함과 함께,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에서 인접하는 단위 구조(210) 사이를 연장하여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단위 구조(210)의 변위를 규제하는 굴곡사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도시예에서는, 체결사가 압박사 및 굴곡사를 겸무하기 때문에, 압박사나 굴곡사가 체결사와는 별도로 설치되는 형태와 비교하여 테이프 조직의 간소화가 도모된다. 바꾸어 말하면, 도시예에서는, 유리하게도 체결사만에 의해 파스너 테이프(100)에서의 코일 엘리먼트(200)의 고정이 확보된다.
합계 2개의 인접한 체결사(30)를 체결사군 G30이라 칭한다. 도 2 및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엘리먼트(200)는 제1 내지 제3 체결사군 G31∼G33에 의해 위사(10)에 대하여 체결된다. 제1 내지 제3 체결사군 G31∼G33은, 각각, 합계 2개의 체결사(3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내지 제3 체결사군 G31∼G33의 각각에 포함되는 체결사(30)의 합계수가 상이하다. 제1 체결사군에 합계 N개의 체결사가 포함되고, 제2 체결사군에 합계 M개의 체결사가 포함되고, 제3 체결사군에 합계 R개의 체결사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몇 가지의 경우, N=M=R을 만족시킨다. 다른 경우, N≠M≠R을 만족시킨다. 예를 들어, N=3; 제1 체결사군 G31이 합계 3개의 체결사(30)를 포함한다 : M=4; 제2 체결사군 G32가 합계 4개의 체결사(30)를 포함한다 : R=5; 제3 체결사군 G33이 합계 5개의 체결사(30)를 포함한다.
파스너 테이프(100)는 코일 엘리먼트(200)가 배치되는 엘리먼트 배치 영역(110)과, 엘리먼트 배치 영역(110) 이외의 잔부의 테이프 주체부(120)를 갖는다. 제1 내지 제3 체결사군 G31∼G33은, 엘리먼트 배치 영역(110)에 존재하고, 코일 엘리먼트(200)의 N개의 제2 다리부(212)에 연속적으로 걸친다. 제1 체결사군 G31과 제2 체결사군 G32 사이에는 테이프 조직(112)이 설치된다. 테이프 조직(112)은 위사(10)에 걸쳐 파스너 테이프(100)의 제1 테이프면(101)측 혹은 제2 테이프면(102)측에 노출되는 복수의 경사(20), 도시의 경우, 3개의 경사를 포함한다. 비한정의 일례로서는, 테이프 조직(112)은 평직 조직이다. 제1 체결사군 G31의 파스너 테이프 외측에는 테이프 조직(111)이 존재한다. 테이프 조직(111)은 위사(10)에 걸쳐 파스너 테이프(100)의 제1 테이프면(101)측 혹은 제2 테이프면(102)측에 노출되는 복수의 경사(20), 도시의 경우, 3개의 경사를 포함한다. 비한정의 일례로서는, 테이프 조직(111)은 평직 조직이다. 제2 체결사군 G32와 제3 체결사군 G33 사이에는 테이프 조직(113)이 마련된다. 테이프 조직(113)은 위사(10)에 걸쳐 파스너 테이프(100)의 제1 테이프면(101)측 혹은 제2 테이프면(102)측에 노출되는 복수의 경사(20), 도시의 경우, 3개의 경사를 포함한다. 비한정의 일례로서는, 테이프 조직(113)은 평직 조직이다. 제3 체결사군 G33의 파스너 테이프 내측에는 파스너 테이프(100)의 테이프 주체부(120), 일례로서는 평직 조직이 존재한다. 복수의 체결사군 G30 사이에 존재하는 테이프 조직, 일례로서는 평직 조직이, 제2 테이프면(102)측의 오목부의 현재화의 회피 또는 억제에 공헌한다. 또한, 다른 예에 있어서는, 테이프 조직(111∼113)에 포함되는 경사의 개수가 상이하다.
도 3의 예에서는, 합계 2개의 인접하는 체결사(30)에 관하여,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으로 노출부가 교대로 나타난다. 이것은, 테이프 주체부(120)의 1/1의 평직 조직에 유사한 1/1의 조직이며, 엘리먼트 배치 영역(110)을 테이프 주체부(120)에 의해 유사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체결사군 G30 사이에 존재하는 테이프 조직(111∼113) 덕분에 엘리먼트 배치 영역(110)이 테이프 주체부(120)에 보다 유사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체결사군 G30에 포함되는 합계 2개의 체결사(30)를 제1 체결사(30p) 및 제2 체결사(30q)라 칭한다. 제1 체결사(30p) 및 제2 체결사(30q)가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진행되는 양태가 도 4에 모식적으로 도시된다. 제1 테이프면(101)측으로부터 제2 테이프면(102)측을 향할 때, 제1 체결사(30p)는 제1 테이프면(101)측에 있어서 코일 엘리먼트(200)의 단위 구조(210)에 포함되는 제2 다리부(212) 및/또는 제1 다리부(211)의 옆을 통과하여, 위사 주부의 제1 조(11)와 위사 주부의 제2 조(12) 사이의 간극을 통과한다. 계속해서, 제1 체결사(30p)는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에서 인접하는 제1 다리부(211) 사이에서 제2 테이프면(102)측에서 위사 주부의 제2 조(12) 위에 걸친다. 제2 테이프면(102)측으로부터 제1 테이프면(101)측을 향할 때, 제1 체결사(30p)는 위사 주부의 제2 조(12)와 위사 주부의 제1 조(11)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여, 상술한 단위 구조(210)에 인접하는 단위 구조(210)의 제1 다리부(211) 및/또는 제2 다리부(212)의 옆을 통과한다. 계속해서, 제1 체결사(30p)는 제1 테이프면(101)측에 있어서 2개의 제2 다리부(212)에 연속적으로 걸친다. 제1 체결사(30p)가 제2 테이프면(102)측에 있어서 위사 주부의 제2 조(12)에 걸치는 개소의 제1 테이프면(101)측에는,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제2 다리부(212) 사이에 걸치는 제2 체결사(30q)가 존재한다.
제2 체결사(30q)도 제1 체결사(30p)와 마찬가지로 하여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제1 테이프면(101)측과 제2 테이프면(102)측 사이를 왕복 및 진폭한다. 제2 체결사(30q)가 제2 테이프면(102)측에 있어서 위사 주부의 제2 조(12)에 걸치는 개소의 제1 테이프면(101)측에는,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제2 다리부(212) 사이에 걸치는 제1 체결사(30p)가 존재한다. 제1 체결사(30p) 및 제2 체결사(30q)가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제1 체결사(30p)의 노출부 k가 제2 테이프면(102)측에 나타나고, 다음에 제2 체결사(30q)의 노출부 k가 제2 테이프면(102)측에 나타난다. 즉, 체결사(30)의 노출부 k는, 2개의 인접한 체결사(30)가 연장됨에 따라서 하나씩 교대로 제2 테이프면(102)측에 나타난다.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에서 인접하는 제1 다리부(211) 사이 및 제2 다리부(212) 사이에는 하나의 위사 주부의 제2 조(12)가 존재한다. 코일 엘리먼트(200)의 제2 다리부(212) 위를 통과한 체결사(30)는,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로 위사 주부의 제2 조(12)에 얽히는 것이 요구된다.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에서 인접하는 제1 다리부(211) 사이 및 제2 다리부(212) 사이에 2 이상의 위사 주부의 제2 조(12)가 존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본 예의 경우, 위사 주부의 제2 조(12)가 제1 테이프면(101)측으로 보다 강하게 당겨져, 오목부가 눈에 띄기 쉬운 것이 상정된다. 본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는, 합계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가 동일한 위사 주부의 제2 조(12)를 제1 테이프면(101)측에 인입하지 않고, 맞물림 헤드부(213)의 고밀도 배치에 상관없이, 오목부의 현재화가 회피 또는 억제된다.
도 6 및 도 7은 N=3의 실시 형태예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경사(20)에 포함되는 체결사군 G30은, 제1 체결사(30p) 및 제2 체결사(30q)에 더하여 제3 체결사(30r)를 포함한다. 각 체결사군 G30은, 합계 3개의 인접한 체결사(30)로 구성된다. 제1 내지 제3 체결사(30p∼30r)는, 각각, 제1 테이프면(101)측에서 3개의 제2 다리부(212)에 걸치는 것과, 제2 테이프면(102)측에서 하나의 위사 주부의 제2 조(12)에 걸치는 것을 반복한다. 제1 내지 제3 체결사(30p∼30r)가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제1 체결사(30p)의 노출부(30k)가 제2 테이프면(102)측에 나타나고, 다음에 제3 체결사(30r)의 노출부(30k)가 제2 테이프면(102)측에 나타나고, 다음에 제2 체결사(30q)의 노출부(30k)가 제2 테이프면(102)측에 나타난다. 즉, 체결사(30)의 노출부(30k)는 합계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가 연장됨에 따라서 하나씩 순서대로 제2 테이프면(102)측에 나타난다. 하나의 체결사(30)의 노출부(30k)가 제2 테이프면(102)측에 나타날 때, 합계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에 포함되는 다른 체결사(30)의 노출부(30k)가 제2 테이프면(102)측에 나타나지 않는다. 합계 N개 중의 1개의 체결사(30)가, 위사(10), 단적으로는 하나의 위사 주부의 제2 조(12)에 얽힌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파스너 스트링거의 제법에 대해서는 당업자가 쉽게 이해 가능하여, 용장 설명은 생략한다. 일본 특허 공고 소59-51815호의 개시가 참조되며, 동 문헌의 개시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상술한 교시를 근거로 하면, 당업자라면,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포함된 부호는, 참고를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를 한정 해석할 목적으로 참조되어서는 안된다. 체결사가, 위사조가 아니라 1개의 위사에 걸치는 실시 형태도 상정되며, 또한 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10 : 위사
11 : 위사 주부의 제1 조
12 : 위사 주부의 제2 조
20 : 경사
30 : 체결사
30k : 노출부
100 : 파스너 테이프
101 : 제1 테이프면
102 : 제2 테이프면
200 : 코일 엘리먼트
210 : 단위 구조
211 : 제1 다리부
212 : 제2 다리부
213 : 맞물림 헤드부
214 : 반전부
300 : 파스너 스트링거
600 : 슬라이드 파스너

Claims (6)

1 이상의 위사(10)와 복수의 경사(20)를 포함하고, 제1 테이프면(101) 및 제2 테이프면(102)을 갖는 파스너 테이프(100)와,
상기 파스너 테이프(100)의 상기 제1 테이프면(101)측에 나타나도록 상기 파스너 테이프(100)에 설치되며, 복수의 연속의 단위 구조(210)를 포함하는 코일 엘리먼트(200)를 구비하는 파스너 스트링거이며,
각 단위 구조(210)는,
상기 위사(10)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1 다리부(211), 상기 제1 다리부(211)보다도 상기 위사(10)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 다리부(212), 파스너 테이프 외측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211)와 상기 제2 다리부(212)를 결합하는 맞물림 헤드부(213), 및 파스너 테이프 내측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211)를 인접의 단위 구조(210)의 제2 다리부(212)에 결합하는 반전부(214)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경사(20)는, 상기 코일 엘리먼트(200)를 상기 위사(10)에 대하여 체결하기 위해, 상기 제1 테이프면(101)측에서 N개의 상기 제2 다리부(212)에 걸치는 것과, 상기 제2 테이프면(102)측에서 상기 위사(10)에 걸치는 것을 반복하는 합계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를 포함하고, 상기 N이 2 이상의 자연수를 나타내고,
각 체결사(30)는 상기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1 다리부(211) 사이에서 상기 위사(10)에 걸쳐 상기 제2 테이프면(102)측에 노출되는 노출부(30k)를 포함하고,
각 체결사(30)의 노출부(30k)는, 상기 합계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가 연장됨에 따라서 하나씩 교대로, 혹은 하나씩 순서대로 제2 테이프면(102)측에 나타나는, 파스너 스트링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계 N개의 인접한 체결사(30)를 제1 체결사군(G31)이라 하고,
상기 복수의 경사(20)는, 상기 코일 엘리먼트(200)를 상기 위사(10)에 대하여 체결하기 위해, 상기 제1 테이프면(101)측에서 M개의 상기 제2 다리부(212)에 걸치는 것과, 상기 제2 테이프면(102)측에서 상기 위사(10)에 걸치는 것을 반복하는 합계 M개의 인접한 체결사(30)로 이루어지는 제2 체결사군(G32)을 포함하고, 상기 M은 2 이상의 자연수를 나타내고,
상기 파스너 테이프(100)는, 상기 제1 체결사군(G31)과 상기 제2 체결사군(G32) 사이에 설치된 테이프 조직(112)을 포함하는, 파스너 스트링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경사(20)는, 상기 코일 엘리먼트(200)를 상기 위사(10)에 대하여 체결하기 위해, 상기 제1 테이프면(101)측에서 R개의 상기 제2 다리부(212)에 걸치는 것과, 상기 제2 테이프면(102)측에서 상기 위사(10)에 걸치는 것을 반복하는 합계 R개의 인접한 체결사(30)로 이루어지는 제3 체결사군(G33)을 포함하고, 상기 R은 2 이상의 자연수를 나타내고,
상기 파스너 테이프(100)는 상기 제2 체결사군(G32)과 상기 제3 체결사군(G33) 사이에 설치된 테이프 조직(113)을 포함하는, 파스너 스트링거.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조직(112, 113)은 평직 조직을 포함하는, 파스너 스트링거.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과 상기 M과 상기 R은 동일한 수를 나타내는, 파스너 스트링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300)와,
상기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300)를 개폐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슬라이더(40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400)의 상부 익판(410)의 손잡이 설치 기둥(440)에 설치된 손잡이(450)가, 상기 파스너 테이프(100)의 상기 제2 테이프면(102)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파스너.
KR1020187016645A 2016-01-07 2016-01-07 파스너 스트링거 및 슬라이드 파스너 KR102032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50376 WO2017119104A1 (ja) 2016-01-07 2016-01-07 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554A true KR20180082554A (ko) 2018-07-18
KR102032667B1 KR102032667B1 (ko) 2019-10-15

Family

ID=5927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645A KR102032667B1 (ko) 2016-01-07 2016-01-07 파스너 스트링거 및 슬라이드 파스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531713B2 (ko)
JP (1) JP6816029B2 (ko)
KR (1) KR102032667B1 (ko)
CN (1) CN108430252B (ko)
BR (1) BR112018011531B1 (ko)
DE (1) DE112016006193T5 (ko)
TW (1) TWI626905B (ko)
WO (1) WO201711910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5016U (ja) * 1983-10-12 1985-05-08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織込みスライドフアスナ
JPS6241609U (ko) 1985-03-06 1987-03-12
JPS6241609Y2 (ko) * 1981-12-29 1987-10-24
JPH0191803A (ja) * 1978-04-27 1989-04-11 Opti Patent Forsch & Fab Ag スライドファスナ
JP3583016B2 (ja) * 1999-04-08 2004-10-27 Ykk株式会社 織込みスライド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
WO2013051127A1 (ja) * 2011-10-06 2013-04-11 Ykk株式会社 織込み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85363C3 (de) * 1967-09-28 1982-05-06 Yoshida Kogyo K.K., Tokyo Reißverschluß
US3991795A (en) * 1973-03-20 1976-11-16 Textron, Inc. Beadless woven stringer for a spiral slide fastener
DE2614905A1 (de) * 1976-04-07 1977-10-20 Heilmann Optilon Reissverschluss mit gewirkten tragbaendern
AT363397B (de) * 1977-12-29 1980-12-15 Yoshida Kogyo Kk Gewebtes reissverschlussband
JPS5492848A (en) * 1977-12-29 1979-07-23 Yoshida Kogyo Kk Interwoven slide fastener
DE2818383C2 (de) * 1978-04-27 1982-07-29 Opti Patent-, Forschungs- und Fabrikations-AG, 8750 Riedern, Allmeind Reißverschluß mit gewebten Tragbändern und darin eingewebten Verschlußgliederreihen
JPS5519180A (en) * 1978-07-28 1980-02-09 Yoshida Kogyo Kk Slide fastener
JPS5951814B2 (ja) * 1980-12-18 1984-12-1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織り込みスライドフアスナ−とその製造装置
GB2109828B (en) 1981-11-19 1986-03-05 Yoshida Kogyo Kk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woven slide fastener stringers and articles produced thereby
JPS5951815A (ja) 1982-09-18 1984-03-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調理器
JPH0137441Y2 (ko) * 1984-12-06 1989-11-13
JPH0221930Y2 (ko) * 1985-09-25 1990-06-13
JPH01141611U (ko) * 1988-03-22 1989-09-28
JPH0731687Y2 (ja) * 1990-03-19 1995-07-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織り込みスライドファスナー
DE4120030A1 (de) * 1991-06-18 1992-12-24 Opti Patent Forschung Fab Reissverschluss mit gewebten tragbaendern und darin eingewebten verschlussgliederreihen
CA2118199C (en) * 1993-10-29 1998-07-14 Muchiji Shimono Woven slide fastener stringer
JPH1170007A (ja) * 1997-08-29 1999-03-16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テープおよ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トリンガ
JP4703510B2 (ja) * 2006-08-11 2011-06-15 Ykk株式会社 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4762113B2 (ja) * 2006-11-09 2011-08-31 Ykk株式会社 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
JP5268568B2 (ja) * 2008-10-31 2013-08-21 Ykk株式会社 伸縮性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DE112011105602B4 (de) * 2011-09-09 2018-10-04 Ykk Corporation Verschlussband für Reißverschluss und Reißverschlus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1803A (ja) * 1978-04-27 1989-04-11 Opti Patent Forsch & Fab Ag スライドファスナ
JPS6241609Y2 (ko) * 1981-12-29 1987-10-24
JPS6065016U (ja) * 1983-10-12 1985-05-08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織込みスライドフアスナ
JPS6241609U (ko) 1985-03-06 1987-03-12
JP3583016B2 (ja) * 1999-04-08 2004-10-27 Ykk株式会社 織込みスライド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
WO2013051127A1 (ja) * 2011-10-06 2013-04-11 Ykk株式会社 織込み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16029B2 (ja) 2021-01-20
US10531713B2 (en) 2020-01-14
TWI626905B (zh) 2018-06-21
KR102032667B1 (ko) 2019-10-15
US20180368537A1 (en) 2018-12-27
TW201729711A (zh) 2017-09-01
JPWO2017119104A1 (ja) 2018-07-05
CN108430252B (zh) 2023-02-28
BR112018011531A2 (pt) 2018-11-21
CN108430252A (zh) 2018-08-21
BR112018011531B1 (pt) 2022-11-08
WO2017119104A1 (ja) 2017-07-13
DE112016006193T5 (de)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2113B2 (ja) 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
US8739372B2 (en) Fastener stringer for hidden slide fastener
JP4447492B2 (ja) 線条スライドファスナー
KR101583911B1 (ko) 편성 면 파스너
US3961652A (en) Tape stringer for sliding clasp fasteners
JP5795074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及び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
WO2014002218A1 (ja) 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5377777B2 (ja) 織込みスライドファスナー
KR20180082554A (ko) 파스너 스트링거 및 슬라이드 파스너
JP3406150B2 (ja) 編込み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3406151B2 (ja) 編込み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3617598B2 (ja) 織り込みスライドファスナー
WO2011077568A1 (ja) 編込みスライドファスナー
US9084453B2 (en) Woven fastener stringer and slide fastener
CN112654272B (zh) 拉链牙链带及拉链
JP7191499B2 (ja) ファスナーチェーン、及びファスナーチェーンの製造方法
JP2002085113A (ja) 織込みスライド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