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143A -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143A
KR20180082143A KR1020170003457A KR20170003457A KR20180082143A KR 20180082143 A KR20180082143 A KR 20180082143A KR 1020170003457 A KR1020170003457 A KR 1020170003457A KR 20170003457 A KR20170003457 A KR 20170003457A KR 20180082143 A KR20180082143 A KR 20180082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ium hexametaphosphate
preservative
ethylhexyl glycerin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유나
김민경
안수선
이존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003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2143A/ko
Priority to PCT/KR2018/000329 priority patent/WO2018131849A1/ko
Publication of KR20180082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1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을 함유함으로써, 종래의 화학 방부제보다 피부 자극이 덜하면서 종래의 화학 방부제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항균 효과가 있으며, 우수한 방부력을 지니는, 방부제 조성물, 화장품용 방부제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ODIUM HEXAMETAPHOSPHATE}
본 발명은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용 방부제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제조장의 낙하균, 제조수나 원료 이송 배관 속 등에 부착된 미생물에 의한 오염, 사용 중 사용자의 손가락, 손바닥, 얼굴 등의 피부 접촉이나 제품 용기 등의 표면에 있는 균에 의한 오염, 혹은 사용 중 이물질의 혼입 등으로 미생물에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화장료 조성물 속에는 오염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오염된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방부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파라옥시안향산에스테르(파라벤류),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페녹시에탄올, 클로로페네신, 벤조산, 소르브산, 디하이드로아세트산(dehydroacetic acid) 등의 방부제가 배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 방부제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방부 수단으로서는 유효성이 우수하지만, 독성, 피부자극, 자극감 및 알러지 등을 유발하는 등의 단점이 있으므로 화학 방부제의 사용을 줄이거나 이러한 화학 방부제의 대체 물질이 필요한 실정이다.
물론, 최근에 항균력이 알려진 디올(diol)류를 이용하여 종래의 화학 방부제를 배합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거나, 제조공정 상에 미생물의 혼입을 막고 균의 오염을 억제하는 용기에 포장하는 방법 등으로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통상적인 수준보다 방부제의 함량이 적은 화장료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디올의 경우에는 피부 자극 등이 안전성이나 가용화, 유화 제형의 안정도에 영향을 주고, 무균 제조나 균 유입을 억제하는 용기를 사용할 경우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설비 유지 비용, 용기 비용 등이 증가하여 경제적 범용성이 떨어진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화학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화학 방부제를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으로, 유입된 유해 미생물로부터 안전한 방부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킬레이트제인 헥사메타인산나트륨과 스킨컨디셔닝제인 에칠헥실글리세린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이들 물질의 방부력에 대한 상승 효과로 인하여 우수한 방부력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5688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4990호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학 방부제가 아닌 성분으로서, 킬레이트제인 헥사메타인산나트륨과 스킨컨디셔닝제인 에칠헥실글리세린을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는, 방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방부제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을 함유하는 방부제 조성물은,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방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부제 조성물, 화장품용 방부제 및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학 방부제가 아닌 성분으로서, 킬레이트제인 헥사메타인산나트륨과 스킨컨디셔닝제인 에칠헥실글리세린을 함유하여, 종래의 화학 방부제보다 피부 자극이 덜하면서 종래의 화학 방부제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항균 효과가 있으며, 우수한 방부력을 지닌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화합물의 명칭은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미국화장품협회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CTFA)에서 발행한 국제화장품원료집(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ICID)에 등재된 INCI (International Nomenclature Cosmetic Ingredient) Name에 해당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해당 명칭이 INCI Name 중 존재하지 않으면,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IUPAC)에서 제정한 IUPAC 명명법에 따른 화합물을 의미하며, IUPAC 명명법에 따른 화합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화합물의 명칭에 대응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균"은 균에 저항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세균이나 곰팡이, 효모 등과 같은 미생물의 작용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모든 기작을 의미한다. 항균 효과는 곧 미생물로 인한 부패를 방지하는 방부 효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서 각각으로서는 항균력이 없는 농도의 헥사메타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테스트한 결과, 서로 간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항균력이 발생하고, 오히려 증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방부제 조성물, 보다 구체적으로, 화장품용 방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은, 킬레이트제로 자주 사용되는 성분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점도 증진제, 산화 방지 보조제, 항산화제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으로서,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칠헥실글리세린은, 화장료 조성물에 자주 사용되는 성분으로, 피부의 활력을 증진시켜주는 스킨 컨디셔닝 효과와 혐기성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하는 탈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칠헥실글리세린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으로서,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부제 조성물이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의 혼합물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은 목적하는 효과를 위하여 방부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85 내지 95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이 상기 함량 범위로 함유될 때 에칠헥실글리세린과의 시너지 효과로 인한 방부력 상승 효과가 보다 증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부제 조성물이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의 혼합물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에칠헥실글리세린은 목적하는 효과를 위하여 방부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에칠헥실글리세린이 상기 함량 범위로 함유될 때 헥사메타인산나트륨과의 시너지 효과로 인한 방부력 상승 효과가 보다 증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은 6 : 1 내지 16 : 1의 중량비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부제 조성물은,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을 상기 중량비로 배합하여 함유함으로써, 상기 성분들의 배합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에 따른 우수한 방부력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방부제 조성물로 만든 화장품용 방부제 또는 방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 방부제는, 상기한 방부제 조성물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 예를 들어 카프릴릴글라이콜, 글리세릴카플릴레이트,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너지 방부 효과가 나타나는 배합비를 유지하면서,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의 혼합물에 다른 성분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의 시너지 방부 효과를 손상시키지 아니하는 다른 방부제 성분,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첨가제 등을 첨가하여 화장품용 방부제 또는 방부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의 혼합물은 방부제 또는 방부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0중량% 초과 10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99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상 95중량% 이하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헥사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및 에칠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방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상기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0.01 내지 4 중량%, 바람직하게는 0.75 내지 2.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칠헥실글리세린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0.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125 내지 0.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이 상기 함량 범위로 함유됨으로써, 양 성분의 시너지 효과로 인한 방부력 상승 효과가 보다 증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또는 팩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액,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고체, 겔, 분말, 페이스트, 포말(foam)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 예를 들어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헥사메타인산나트륨과 에칠헥실글리세린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파라벤류, 페톡시에탄올, 소르빈산 및 그 염류(포타슘소르베이트 등), 벤조익산 및 그 염류(소듐벤조에이트 등), 아세트산 및 그 염류, 메칠이소치아졸리논,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등의 화학 방부제나 피부 자극이나 자극감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기존 디올류를 배합하지 않고도 충분한 방부력을 확보한 방부제 조성물, 화장품용 방부제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시험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시험예 1>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시험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99027), 대장균(Eschericia coli; ATCC 8739), 황색포도상구균(Staphlyococcus aureus; ATCC 6538)의 3가지 균에 대한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 그리고 헥사메타인산나트륨과 같이 킬레이트제인 피트산(Phytic acid)의 항균 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해, 세균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는 최소한의 항생제 농도인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각 물질의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먼저 녹농균,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을 트립신 소이 브로스 배지 (Tryptic soy broth) 5ml에 접종하여 30-35℃ 에서 24시간 동안 전배양하여 준비하였다. 발효배양물의 MIC를 측정하기 위해서 2배 희석법을 사용하였다.
전배양된 각 균들을 최종농도 105 CFU/ml 가 되도록 5㎕씩 취하여, 상기 4 종의 물질을 2배씩 연속희석(serial dilution)하여 96웰 안에 접종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육안으로 확인했을 때 탁도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최소저해농도(MIC)로 하였고, 그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기능 녹농균
(P. aeruginosa)
대장균
(E. coli)
황색포도상구균
(S. aureus)
헥사메타인산나트륨
(Sodium hexametaphosphate)
킬레이트제 4 4 0.25
에칠헥실글리세린
(Ethylhexylglycerin)
스킨컨디셔닝제 1 0.5 0.063
피트산
(Phytic acid)
킬레이트제 >4 >4 >4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의 최소저해농도가 낮게 나타나, 낮은 농도로도 항균력이 우수하며, 특히,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의 경우 동일한 킬레이트제인 피트산에 비하여 항균력이 훨씬 뛰어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됨으로써, 항균 효과 및 방부 효과를 증진시키기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2> 시너지 효과 시험
상기 시험예 1에서 항균력이 좋았던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의 서로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물질의 부분 억제 농도(Fractional Inhibiting Concentration, FIC)와 FIC 지수(FIC index)를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각 물질의 부분억제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96 well plate의 1~7행에, 에칠헥실글리세린(EG)을 MIC의 2배에서 1/32배의 농도에 해당하는 1.0~0.156% (w/v)가 되도록 Tryptic soy broth 용매에 희석하여 50㎕씩 분주하고, A~G열에는 헥사메타인산나트륨(SHMP)을 MIC의 2배에서 1/32배의 농도에 해당하는 8.0~0.125%(w/v)가 되도록 Tryptic soy broth 용매에 희석하여 50㎕씩 분주한 후, 각 well에 대장균을 106 CFU/ml가 되도록 넣어 plate를 48시간동안 25℃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결과,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균이 자라나지 않은 부분은 O로 표시하였고, 균이 자라나 탁도가 나타난 부분은 X로 표시하였다.
A
SHMP
8%
B
SHMP
4%(MIC)
C
SHMP
2%
D
SHMP
1%
E
SHMP
0.5%
F
SHMP
0.25%
G
SHMP
0.125%
1
EG 1%
O O O O O O O
2
EG 0.5%(MIC)
O O O O O O O
3
EG 0.25%
O O O O O O O
4
EG 0.125%
O O O O X X X
5
EG 0.06%
O O O X X X X
6
EG 0.03%
O O O X X X X
7
EG 0.015%
O O O X X X X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칠헥실글리세린 및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이 각각 MIC의 1/4배의 농도로 분주된 4-D well을 제외하고는 상기 두 물질이 MIC의 1/4배 이하의 농도로 분주된 well들에서는 탁도가 나타나 항균력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4-D well의 농도를 기준으로 부분 억제 농도와 FIC 지수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FIC와 FIC 지수의 계산 방법>
물질A(or B)의 FIC = 배합물에서의 물질A(or B)의 MIC* / 물질A(or B)를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의 MIC
FIC 지수 = 물질A의 FIC + 물질B의 FIC
*배합물에서의 물질A의 MIC: 균이 자라지 않은 well에서의 A의 농도
< FIC 지수의 해석 방법>
FIC 지수 ≤ 0.5 상승 효과(synergistic effect)
0.5 < FIC 지수 ≤ 1 부가 효과(additive effect)
1 < FIC 지수 ≤ 4 무관함(indifferent)
FIC 지수 > 4 상쇄 효과(anagonistic effect)
부분 억제 농도(FIC) FIC 지수
헥사메타인산나트륨 0.25
= 1.0
(4-D well에 포함된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의 농도)
/ 4.0(헥사메타인산나트륨의 MIC)
0.5
에칠헥실글리세린 0.25
= 0.125
(4-D well에 포함된 에칠헥실글리세린의 농도)
/ 0.5(에칠헥실글리세린의 MIC)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4-D well에 포함된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의 농도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에는 항균력을 나타내지 않는 최소저해농도의 1/4배에 해당하는 농도이나, 두 성분을 배합했을 경우 항균력이 나타나, 세균이 자라나지 않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두 성분의 FIC 지수도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는 0.5로 계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3>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의 배합비에 따른 시너지 효과 시험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의 배합비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에칠헥실글리세린의 농도를 상기 시험예 2에서 항균력이 나타나지 않는 최대값인 1/4 MIC인 0.125%로 고정하고,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의 농도를 1/7 MIC인 0.57% 이상, 1/2 MIC인 2% 이하로 설정하여 상기 시험예 2에서와 같이 각 well에 상기 두 성분을 배합하여 분주한 후 대장균을 106 CFU/ml가 되도록 넣어 plate를 48시간동안 25℃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결과, 각 well에서 균이 자라났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SHMP 농도(%) EG 농도(%) SHMP : EG 비율 항균력 유무
1 0.625 0.125 5 : 1
2 0.750 0.125 6 : 1
3 0.875 0.125 7 : 1
4 1.000 0.125 8 : 1
5 1.125 0.125 9 : 1
6 1.250 0.125 10 : 1
7 1.375 0.125 11 : 1
8 1.500 0.125 12 : 1
9 1.625 0.125 13 : 1
10 1.750 0.125 14 : 1
11 1.875 0.125 15 : 1
12 2.000 0.125 16 : 1
13 2.125 0.125 17 : 1
14 2.250 0.125 18: 1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의 비율이 5 : 1인 경우 항균력이 없고, 17 : 1, 18 : 1의 경우에는 항균력이 나타나기는 하나,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의 농도가 상기 시험예 2에서 에칠헥실글리세린의 모든 농도에 대하여 항균력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1/2 MIC를 초과하게 되어 시너지 효과라고 보기는 어려우므로, 6 : 1 내지 16 : 1인 경우, 각각 최소저해농도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항균력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이 상기 비율로 배합되는 경우에, 서로에 대해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4>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의 조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 비교 시험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의 조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실제 화장료 제형에 적용 시에도 유의하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5와 같이 제조된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2의 방부력을 확인하는 시험을 하였다.
함량(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2
DIISOSTEARYL MALATE 2.00 2.00 2.00 2.00 2.00
POLYSORBATE 20 0.40 0.40 0.40 0.40 0.40
SORBITAN OLIVATE 1.50 1.50 1.50 1.50 1.5
PROPANEDIOL 5.00 5.00 5.00 5.00 5.00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0.35 0.35 0.35 0.35 0.35
TROMETHANMINE 0.19 0.19 0.19 0.19 0.19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20 0.20 0.20 0.20 0.20
SODIUM HEXAMETAPHOSPHATE 0 0.5 0 0.5 0.3
ETHYLHEXYLGLYCERIN 0 0 0.05 0.05 0.05
WATER 90.36 89.86 90.31 89.81 90.01
합계 100 100 100 100 100
상기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2의 조성물 20 g 각각에 C. albicans와 A. brasiliensis를 중량 g 당 약 105 CFU가 되도록 접종하여 혼합한 후 25℃에서 14일간 방치한 후 남아있는 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로그 감소(log reduction) 값으로 나타내었다.
C. albicans A. brasiliensis
비교예 1 <1 <1
비교예 2 >2 >1
비교예 3 <1 <1
실시예 1 >3 >2
실시예 2 >3 >2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2의 경우, 헥사메타인산나트륨만 포함하는 비교예 2에 비하여 균수의 감소량이 현저히 상승하여 방부력이 크게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을 모두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에칠헥실글리세린만 포함하는 비교예 3이 방부력을 거의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것에 비하여, 실시예 1 및 2와 같이 헥사메타인산나트륨과 에칠헥실글리세린을 함께 함유하는 경우, 양 성분의 시너지 효과로 인하여 방부력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헥사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및 에칠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방부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85 내지 9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칠헥실글리세린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에칠헥실글리세린은 6 : 1 내지 16 : 1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제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부제 조성물로 만든 화장품용 방부제.
  6. 헥사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및 에칠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0.01 내지 4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칠헥실글리세린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0.01 내지 1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03457A 2017-01-10 2017-01-10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457A KR20180082143A (ko) 2017-01-10 2017-01-10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CT/KR2018/000329 WO2018131849A1 (ko) 2017-01-10 2018-01-08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457A KR20180082143A (ko) 2017-01-10 2017-01-10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143A true KR20180082143A (ko) 2018-07-18

Family

ID=6284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457A KR20180082143A (ko) 2017-01-10 2017-01-10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82143A (ko)
WO (1) WO201813184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487B1 (ko) * 2011-11-28 2018-04-27 (주)아모레퍼시픽 방부력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1849A1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3430B2 (en) Natural preservative alternative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US20070207104A1 (en) Antimicrobial esters
KR101431090B1 (ko) 피부 저자극성 물티슈용 방부제 조성물
CN111031794A (zh) 含有4-(3-乙氧基-4-羟苯基)丁-2-酮和有机酸化合物的抗微生物混合物、以及含有该抗微生物混合物的化妆品组合物
WO2010137354A1 (ja) 防腐剤組成物
KR102272901B1 (ko) 메조-2,3-부탄디올을 방부제로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02648B1 (ko)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2093827B1 (ko) 폴리(부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보존제 조성물
KR101945987B1 (ko) 티로솔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1779131B1 (ko)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20220058468A (ko) 알칸디올, 및 카프릴릴글리세릴에터 또는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94531B1 (ko)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하는 방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9210250A (ja) イソペンチルジオールを含有する防腐剤組成物
KR101788179B1 (ko) 방부력이 우수한 저자극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82143A (ko)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7145748A (ja) 防腐殺菌剤、該防腐殺菌剤を配合した化粧品又は医薬品、及び防腐殺菌方法
KR102059043B1 (ko) 방부제 조성물
KR102556578B1 (ko) 방부 상승 효과를 갖는 방부 시스템
KR102541809B1 (ko) 항균 상승 효과를 갖는 항균시스템
KR102671883B1 (ko) 폴리올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30593B1 (ko) 방부 상승 효과를 갖는 방부시스템
KR102363112B1 (ko) 1,2-헥산디올과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미생물 증식 억제용 조성물
CN104173204B (zh) 一种水包油乳液组合物
KR102566759B1 (ko)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6273816A (ja) 抗菌性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