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911A - 진공을 이용한 전해액 주액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을 이용한 전해액 주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911A
KR20180081911A KR1020170002804A KR20170002804A KR20180081911A KR 20180081911 A KR20180081911 A KR 20180081911A KR 1020170002804 A KR1020170002804 A KR 1020170002804A KR 20170002804 A KR20170002804 A KR 20170002804A KR 20180081911 A KR20180081911 A KR 20180081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chamber
battery cell
atmosphere
electrolyt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674B1 (ko
Inventor
김남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00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674B1/ko
Publication of KR20180081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2/3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52Removing gases inside the secondary cell, e.g. by absorption
    • H01M2/1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고 내부와 연통되는 전해액 주입구가 천공되어 있는 전지셀에 전해액을 주액하는 방법으로서,
(a) 전해액이 채워져 있는 챔버를 준비하는 과정;
(b) 전지셀의 전해액 주액구가 챔버 내의 전해액에 잠기도록 위치시키는 과정;
(c) 전지셀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챔버의 분위기를 감압하는 과정; 및
(d) 전해액이 전지셀 내부로 이동하도록 챔버의 분위기를 가압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전해액 주액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을 이용한 전해액 주액 방법 {Electrolyte Injection Method Using Vacuum}
본 발명은 진공을 이용한 전해액 주액 방법에 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및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으로 구성되는 전극조립체를 전지 케이스 내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전해액을 주입한 후 밀봉하여 제조되고 있다.
상기 전해액은 이온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전지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바, 전지의 충방전이 반복됨에 따라 전해액의 고갈 또는 그 분포의 변화 등으로 인해 전지의 수명 열화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해액의 주액은 전지의 수명 특성의 결정에 중요한 요소이며, 전지의 생산 과정에서 되도록이면 빠른 시간 내에 전해액을 주입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해액 주액 방법으로는, 상압 주입법, 원심 주입법이 있다.
상압 주입법은, 상압의 조건하에서 전극조립체가 수납된 전지 캔에 알칼리 전해액을 서서히 주입함으로써 이루어지나, 전해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전도성은 증가하지만 유동성이 감소하여 극판 내부로 전해액이 스며드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전해액의 총 주입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원심 주입법은 원심 주입기를 이용하여 전해액을 주입하나, 그 설비 구성이 복잡하고 고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으며, 전해액의 주입량이 낮기 때문에 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해액의 주입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전해액의 주액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전해액 주액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형 금속 캔 내부에 전극조립체가 수납된 전지셀에 대해, 전지셀의 전해액 주입구가 챔버 내의 전해액에 잠기도록 위치시킨 후, 챔버의 분위기를 감압하는 과정 및 가압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전해액을 주액하는 경우, 전해액 주액 과정에서 가스가 전지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전지셀의 스웰링(swelling)을 방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주액 방법은,
내부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고 내부와 연통되는 전해액 주입구가 천공되어 있는 전지셀에 전해액을 주액하는 방법으로서,
(a) 전해액이 채워져 있는 챔버를 준비하는 과정;
(b) 전지셀의 전해액 주액구가 챔버 내의 전해액에 잠기도록 위치시키는 과정;
(c) 전지셀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챔버의 분위기를 감압하는 과정; 및
(d) 전해액이 전지셀 내부로 이동하도록 챔버의 분위기를 가압하는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의 경우, 실링부의 일부를 미실링한 상태로 남겨둔 상태에서, 상기 미실링부를 통해 전해액을 주액하고 미실링부를 실링하여 밀봉하는 방식으로 전해액이 주액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전해액의 주액 과정이 간소한 측면이 있다.
반면에, 각형 리튬 이차전지의 경우, 전해액 주입구에 주입 노즐을 부착하고, 전해액 주입 장치의 배기 수단을 통해 캔 내부를 진공으로 만든 후 소정량의 전해액을 주입 노즐을 통해 공급하면, 캔 내부의 기압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해 전해액이 캔 내부로 주입되는 방법을 사용하는 바, 전해액의 주입 속도가 느리고, 전해액의 주액 과정에서 불필요한 기체가 함께 주입됨에 따라 전지의 활성화 과정에서 전지셀의 스웰링 현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원의 전해액 주액 방법과 같이, 전해액 주액구에 별도의 노즐을 부착하지 않고, 주액구를 직접 전해액에 잠기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챔버의 분위기를 감압 및 가압하는 과정을 통해 전해액을 주액하는 경우, 불필요한 기체가 전지셀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해액의 주액량도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전지셀은,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고 상단이 개방되어 있는 각형의 금속 캔, 및 상기 금속 캔의 개방 상단에 장착되고 전해액 주입구가 천공되어 있는 탑 캡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는 바, 상기 탑 캡에 형성된 전해액 주입구가 챔버에 채워진 전해액에 담기도록 전지셀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전해액의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과정(c) 및 과정(d)는 전지셀의 전해액 주액구가 전해액에 잠긴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는 바, 전해액 주액구는 전해액의 이동통로의 역할만 할 뿐이므로, 전지셀의 활성화 과정에 영향을 주는 불필요한 가스가 주액되는 전해액과 함께 전지셀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지셀 내부에 전해액을 주액하기 위하여, 전지셀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는 바, 상기 챔버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되거나, 대기압보다 낮은 기압 조건에 도달하는 경우, 전지셀 내부의 가스가 전지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정(c)는 챔버의 분위기를 진공 상태로 변환시켜 감압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과정(c)는 챔버의 분위기를 대기압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기압으로 변환시켜 감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과정(c)는 챔버의 분위기를 0.01 bar 내지 0.5 bar로 변환시켜 감압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0.01 bar 내지 0.2 bar로 변환시켜 감압할 수 있다.
상기 챔버의 분위기가 0.5 bar보다 큰 경우에는, 대기압과의 차가 적어서 전지셀 내부의 가스 배출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0.01 bar 보다 작은 경우에는 감압을 위한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므로, 주액 과정을 단축시키기 위한 목적에 벗어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다만, 상기 과정(c)에서 감압의 정도 및 시간은 주액에 필요한 전해액의 양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액에 필요한 전해액의 양이 증가할수록 감압의 정도가 커지고 감압 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이와 달리, 주액에 필요한 전해액의 양이 감소할수록 감압의 정도가 작아지고 감압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또한, 주액에 필요한 전해액의 양을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최저로 감압된 상태가 일정한 시간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과정(d)는, 상기 과정(c)를 통해 가스가 빠져나간 전지셀 내부로 전해액을 이동시키기 위한 과정으로서, 챔버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경우 가스가 배출된 전지셀 내부 공간으로 전해액이 이동하는 바, 전해액 주액구가 전해액에 잠긴 상태에서 주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해액만 전지셀로 유입될 뿐, 전지셀의 활성화에 불필요한 가스가 전지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정(d)는 챔버의 분위기를 대기압으로 변환시켜 가압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과정(d)는 챔버의 분위기를 대기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기압으로 변환시켜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과정(d)는 챔버의 분위기를 1.5 bar 내지 5 bar로 변환시켜 가압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2 bar 내지 5 bar로 변환시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과정(d)에서 챔버의 분위기를 5 bar 보다 높게 변환시켜 가압하는 경우에는, 가압에 필요한 시간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제조과정이 길어질 수 있으며, 2 bar 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해액이 전극조립체의 중심부까지 완전히 함침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주액 방법으로 전해액이 주액된 전지셀에서, 전해액의 주액 완료 직후 전지셀을 분해하고 전극조립체의 취출 및 분리막의 분리 후 분리막의 함침면적을 측정하는 경우, 전해액 함침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분리막의 함침 면적은 분리막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8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해액 주액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전지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셀을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전지팩 및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서 포함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팩은 고온 안전성 및 긴 사이클 특성과 높은 레이트 특성 등이 요구되는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바이스의 상세한 예로는 모바일 전자기기(mobile device), 웨어러블 전자기기(wearable device), 전지 기반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력저장용 시스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대형 전지모듈은 다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에 따라 전지셀 제조에 사용되는 부재들의 비용이 전지모듈 전체의 제작 비용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이러한 중대형 전지모듈에 특히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주액 방법은,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내부와 연통되는 전해액 주입구가 각형의 금속 캔 상단에 천공되어 있는 전지셀에 대해, 전해액 주입구가 전해액에 잠기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감압 및 가압 과정을 통해 전해액을 주액하는 경우, 전해액 주액 과정에서 가스가 전지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전지셀의 스웰링(swelling)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각형 전지의 분해 사시도의 모식도이다;
도 2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주액구가 전해액에 잠기도록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주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전해액 주액 직후의 분리막의 함침 정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비교예 1에 따른 전해액 주액 직후의 분리막의 함침 정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및
도 6은 전해액에 완전히 함침된 상태의 분리막에 대한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내장하고 있는 각형 전지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각형 전지(50)는 전극조립체(10)가 각형의 금속 케이스(20)에 내장되어 있고 케이스(20)의 개방 상단에 음극단자(32)가 형성되어 있는 탑 캡(30)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조립체(10)의 음극은 음극 탭(12)을 통해 탑 캡(30) 상의 음극단자(32)의 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러한 음극단자(32)는 절연부재(34)에 의해 탑 캡(30)으로부터 절연되어 있다. 반면에, 전극조립체(10)의 다른 전극은 그것의 양극 탭(14)이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도전성 소재로 되어 있는 탑 캡(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자체로서 양극단자를 형성한다.
또한, 전극 탭들(12, 14)을 제외하고 전극조립체(10)와 탑 캡(30)의 전기적 절연 상태를 보장하기 위하여, 각형 케이스(20)와 전극조립체(10) 사이에 시트형 절연부재(40)를 삽입한 뒤, 탑 캡(30)을 장착하고, 탑 캡(30)과 케이스(20)의 접촉면을 따라서 용접으로 이들을 결합한다. 그런 다음, 전해액 주액구(43)를 통해 전해액을 주입한 후 금속 볼(도시하지 않음)을 용접하여 밀봉하고, 에폭시 등으로 용접 부위를 도포함으로써 전지가 완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해액 주액 방법에 따라 전해액 주액구가 전해액에 잠기도록 위치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내부 분위기의 기압 조절이 가능한 챔버(101) 내부에 전해액(102)이 채워져 있고, 챔버(101)는 내부 분위기가 진공 상태가 되도록 감압되거나 또는 대기압 이상의 기압에 이르도록 가압될 수 있도록 밀폐가 가능한 챔버이다.
도 1의 전지셀(50)은 탑 캡에 형성된 전해액 주액구(43)가 전해액(102)에 잠기도록 위치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상태에서 챔버 분위기를 감압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전지셀 내부의 가스가 전지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챔버 분위기를 다시 가압하는 경우, 오로지 전해액 만이 전지셀 내부로 이동할 뿐, 전해액 이외의 기체가 전지셀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주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주액 방법은 (a) 전해액이 채워져 있는 챔버를 준비하는 과정, (b) 전지셀의 전해액 주액구가 챔버 내의 전해액에 잠기도록 위치시키는 과정, (c) 전지셀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챔버의 분위기를 감압하는 과정 및 (d) 전해액이 전지셀 내부로 이동하도록 챔버의 분위기를 가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과정(a)의 챔버는 전해액이 채워진 상태에서 밀폐가 가능한 구조이며, 상기 과정(c) 및 과정(d)는 전지셀의 전해액 주액구가 전해액에 잠긴 상태에서 수행된다.
상기 과정(c)는 챔버의 분위기를 진공 상태 또는 대기압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0.01 bar 내지 0.5 bar로 변환시켜 감압하며, 상기 과정(d)는, 챔버의 분위기를 대기압 또는 대기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1.5 bar 내지 5 bar로 변환시켜 가압한다.
이와 같은 과정(a) 내지 과정(d)를 거쳐서 전해액이 주액되는 경우, 전해액의 함침에 따른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전해액 주액구가 형성된 금속 각형 전지케이스에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수납하고, 전해액 주액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는 물질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전지셀을 밀봉한다.
전지셀을 수납할 수 있으며 챔부 내부 분위기의 압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밀폐가 가능한 챔버에 전해액을 채워 넣고, 상기 전지셀의 전해액 주액구가 전해액에 잠기도록 위치시킨다.
전해액 주액구가 전해액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면서 챔버의 분위기를 0.1 bar로 변환시켜 1분 동안 감압한다.
감압 상태 이후, 챔버의 분위기를 5 bar로 변환시켜 5분 동안 가압한 후,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여 전해액의 주액 과정을 완료한다.
주액 완료 직후 전지셀을 분해하여 전해액이 함침된 분리막을 분리하였고, 분리막의 함침을 보여주는 사진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리막(200)은 외주변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전해액의 웨팅(wetting)이 이루어진 부분(201)을 확인할 수 있으나, 중심부는 전해액 미함침부(202)로 관찰된다. 또한, 젤리롤형 전극조립체에서 절곡이 이루어진 부분(203)에도 전해액의 웨팅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된다.
이와 같이, 전해액 함침부의 면적은 분리막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약 5/6 이상인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전해액 주액구에 주액 노즐을 부착하고, 주액 노즐의 일측 끝단에 배기 수단을 연결하여 전지케이스 내부를 진공으로 만든 후, 전해액을 공급하여 캔 내부의 기압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해 전해액이 캔 내부로 주입되는 방식으로 전해액을 주액한다.
주액 완료 직후 전지셀을 분해하여 전해액이 함침된 분리막을 분리하였고, 분리막의 함침을 보여주는 사진을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분리막(300)은 외주변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전해액의 웨팅(wetting)이 이루어진 부분(301)을 확인할 수 있으나, 중심부는 전해액 미함침부(302)로 관찰된다. 또한, 젤리롤형 전극조립체에서 절곡이 이루어진 부분(303)에도 전해액의 웨팅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된다.
이와 같이, 전해액 함침부의 면적은 분리막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약 2/3정도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5를 도 4와 비교하면, 실시예 1의 전해액 미함침부(202)의 면적이 비교예 1의 전해액 미함침부(302)의 면적보다 좁게 나타나고 있는 바, 실시예 1과 같이 전해액을 함침시키는 경우, 전해액 함침율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전해액이 주입된 전지셀에서, 도 6에 도시된 분리막과 같이, 분리막 전체에 전해액이 함침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함침 시간 (분)
실시예 1 90
비교예 1 11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주액 방법은 초기 전해액 함침률이 종래 방법에 비해 더 높을 뿐 아니라, 전해액 함침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바, 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내부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고 내부와 연통되는 전해액 주입구가 천공되어 있는 전지셀에 전해액을 주액하는 방법으로서,
    (a) 전해액이 채워져 있는 챔버를 준비하는 과정;
    (b) 전지셀의 전해액 주액구가 챔버 내의 전해액에 잠기도록 위치시키는 과정;
    (c) 전지셀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챔버의 분위기를 감압하는 과정; 및
    (d) 전해액이 전지셀 내부로 이동하도록 챔버의 분위기를 가압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주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고 상단이 개방되어 있는 각형의 금속 캔, 및 상기 금속 캔의 개방 상단에 장착되고 전해액 주입구가 천공되어 있는 탑 캡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주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c) 및 과정(d)는 전지셀의 전해액 주액구가 전해액에 잠긴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주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c)는 챔버의 분위기를 진공 상태로 변환시켜 감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주액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c)는 챔버의 분위기를 대기압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기압으로 변환시켜 감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주액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c)는 챔버의 분위기를 0.01 bar 내지 0.5 bar로 변환시켜 감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주액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c)에서 감압의 정도 및 시간은 주액에 필요한 전해액의 양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주액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d)은 챔버의 분위기를 대기압으로 변환시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주액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d)는 챔버의 분위기를 대기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기압으로 변환시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주액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d)는 챔버의 분위기를 1.5 bar 내지 5 bar로 변환시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주액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전해액 주액 완료 직후 분해한 전지셀에서 분리한 분리막의 함침 면적은, 분리막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주액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해액 주액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KR1020170002804A 2017-01-09 2017-01-09 진공을 이용한 전해액 주액 방법 KR102264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804A KR102264674B1 (ko) 2017-01-09 2017-01-09 진공을 이용한 전해액 주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804A KR102264674B1 (ko) 2017-01-09 2017-01-09 진공을 이용한 전해액 주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911A true KR20180081911A (ko) 2018-07-18
KR102264674B1 KR102264674B1 (ko) 2021-06-15

Family

ID=6304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804A KR102264674B1 (ko) 2017-01-09 2017-01-09 진공을 이용한 전해액 주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566A (ko)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하이브리드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브리드 이차 전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9050A (ja) * 1993-09-29 1995-04-11 Toshiba Corp 電池製造における電解液注入装置
KR20030048261A (ko) * 2001-12-11 2003-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해액 주입방법
KR20130006683A (ko) * 2010-04-07 2013-01-17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전해액 주입 장치 및 전해액 주입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9050A (ja) * 1993-09-29 1995-04-11 Toshiba Corp 電池製造における電解液注入装置
KR20030048261A (ko) * 2001-12-11 2003-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해액 주입방법
KR20130006683A (ko) * 2010-04-07 2013-01-17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전해액 주입 장치 및 전해액 주입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566A (ko)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하이브리드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브리드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674B1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3650B2 (ja) リチウム二次単電池及びリチウム二次単電池の接続構造体
CN106848137B (zh) 双极电池总成
KR101841381B1 (ko)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차전지
KR101780786B1 (ko) 전해액 주입 장치 및 주입 방법
KR20110037921A (ko)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JP2013008550A (ja)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126365A (ko)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CN110915040A (zh) 可用于双极电池组件的电池极板及制备方法
KR20140018014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1609423B1 (ko) 각형 이차 전지 제조 방법
JP2008310987A (ja) 電池
JP2001273884A (ja) 密閉形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76412A (ja) 二次電池のキャップアセンブリ
KR20170094669A (ko) 각형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2264674B1 (ko) 진공을 이용한 전해액 주액 방법
KR102264683B1 (ko) 진공을 이용한 전해액 주액 방법
KR100824869B1 (ko) 리튬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 및 리튬 폴리머 전지
JP2002343337A (ja) リチウム二次電池の電解液の注入・排出方法
JP2003086240A (ja) 密閉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157471A (zh) 一种超级电容器用电芯的干燥方法
KR100822192B1 (ko) 전해액 주입방법
CN114545236A (zh) 一种用扣式半电池评估软包锂离子全电池性能的方法
WO2009130550A1 (en) Battery electrode foil, positive electrode plate, battery, vehicle, and battery-equipped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for the battery electrode foil, and manufacture method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JP4422423B2 (ja) 燃料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098114A (ja)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