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366A -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366A
KR20180081366A KR1020170002511A KR20170002511A KR20180081366A KR 20180081366 A KR20180081366 A KR 20180081366A KR 1020170002511 A KR1020170002511 A KR 1020170002511A KR 20170002511 A KR20170002511 A KR 20170002511A KR 20180081366 A KR20180081366 A KR 20180081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indoor unit
power consumption
unit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균
정승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2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1366A/ko
Publication of KR20180081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24F11/47Responding to energy c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 Y04S20/322
    • Y04S20/4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실외 전력측정기 및 상기 실외기와 연결되어 압축기에서 압축되고, 실외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공급 받아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실내기들 각각의 연산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각각의 실내기들의 작동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각각의 실내기의 작동시간을 전체 실내기의 작동시간의 합으로 나눈 실내기 작동률을 산출하고, 상기 실내기 작동률에 상기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을 곱해 상기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Measurement of Electric Power for Indoor unit}
본 발명은 하나의 실외기에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대한 전력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내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서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운전되거나 난방운전되는데, 냉방운전 시,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실외기의 열교환기를 거쳐 고온고압의 액체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팽창되어 기화되면서 주변공기의 온도가 내려가 실내기 팬이 회전동작함에 따라 실내로 냉기가 토출되고, 난방운전 시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액화되어 방출된 에너지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가 실내기팬의 동작에 따라 실내로 토출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상업시설, 아파트 공장 등에 다수의 실내영역이 분할된 장소에 다수의 실내기가 위치되고, 다수의 실내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가 연결되는 시스템 에어컨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시스템 에어컨은 실외기와 다수의 실내기로 이루어져있는데 대부분의 전력은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소모되며 실내기는 팬 동작에 따른 소규모의 전력만 소모될 뿐이다.
그러나 실내기 사용에 따른 전력사용량 측정이 어려워 현재는 단순히 실외기를 공유하는 공동주택, 공동상가의 세대수에 따라 가격을 1/N하여 지불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시스템에어컨을 사용하는 이용자들간에 전기요금으로 인한 분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실외기를 공유하는 다수의 실내기 사용자들 사이에 전기요금으로 인한 분쟁을 줄이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과제는 하나의 실외기를 공유하는 다수의 실내기 각각의 정확한 전력 사용량과 전기요금을 산출하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은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실외 전력측정기와, 상기 각각의 실내기의 작동시간을 전체 실내기의 작동시간의 합으로 나눈 실내기 작동률을 바탕으로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과 이에 대응되는 전력요금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기는 각 실내기의 부하률을 산정하며, 각 실내기의 부하률에 상기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을 곱해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기는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에 각 실내기의 전력 사용량을 합산하여 각 실내기별 보정 전력 사용량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어기는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각 실내기별 보정 전력 사용량 및 이들에 대응되는 전력요금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 로컬 컨트롤러, 중앙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실내기의 작동률을 바탕으로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을 분배하게 되면, 하나의 실외기를 공유하는 각각의 실내기들의 전력 사용량을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각각의 실내기의 부하률을 바탕으로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을 분배하게 되면, 하나의 실외기를 공유하는 각각의 실내기들의 전력 사용량을 보다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정 전력 사용량을 바탕으로 전력요금을 산정하므로, 공동주택 또는 공동상가 사용자를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전력요금 분쟁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실내기별 전력 사용량 및 전력요금을 중앙서버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쉽게 이동 단말기 등을 통하여 접속하게 하므로, 사용자가 각 실내기별 전력요금의 파악이 용이한 이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냉매의 흐름을 중심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5는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51)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A), 실외기(A)와 연결되어 압축기에서 압축되고, 실외 열교환기(51)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공급 받아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11,21,31,41)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실내기들(B) 및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을 바탕으로 각 실내기의 전략 사용량을 산정하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A)는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51)를 포함하고 다수의 실내기(B)와 연결되어서,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다수의 실내 열교환기(11,21,31,41)로 공급한다.
다수의 실내기(B)는 하나의 실외기(A)로 연결되어서, 실외기(A)에서 압축된 냉매를 열교환하는 다수의 실내 열교환기(11,21,31,41)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의 실내기(B)는 하나의 실외기(A)와 연결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다수의 실내기(B)가 다수의 실내기(B) 보다 적은 수의 실외기(A)와 연결되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
복수 개의 실내 열교환기(11,21,31,41)는 서로 독립된 공간에 각각 배치되고, 각 실내 열교환기(11,21,31,41)가 배치된 복수 개의 실내기(B)는 서로 독립된 공간에 배치되게 된다.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다수의 실내기(B)와, 실외기(A)와 연결되어 다수의 실내기(B), 실외기(A)를 제어하는 제어기(21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기(210)는 후술하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의 제어기(210)와 같은 구성으로,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을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210)는 각각의 실내기들(B1,B2,B3,B4)의 작동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서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다수의 실내기(B)와 연결된 다수의 로컬 컨트롤러(230)와, 이동 단말기(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로컬 컨트롤러(230)는 각 실내기(B1,B2,B3,B4)와 커플링되어 각 실내기(B1,B2,B3,B4)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아 이를 제어기(210)에 전송하고, 제어기(210)에서 전송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가에게 제어상태에 대한 정보와 전력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로컬 컨트롤러(230)는 입력부와, 표시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이동 단말기(240)는 각 실내기(B1,B2,B3,B4)와 커플링되어 각 실내기(B1,B2,B3,B4)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아 이를 제어기(210)를 전송하고, 제어기(210)에서 전송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제어상태에 대한 정보와 전력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40)는 입력부와, 표시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40)는 제어기(210)와 무선통신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은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을 바탕으로 각 실내기의 전략 사용량을 산정한다.
예를 들면,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은 실외 전력측정기(280), 실내 전력측정기(290) 및 제어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공기조화기의 냉매의 흐름을 중심으로 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냉매의 흐름을 중심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공기조화기(100)는 다수의 실내기들(B), 실외기(A) 및 분배기(C)를 포함한다.
실외기(A)는 압축기들(53)(54), 실외 열교환기(51), 실외 열교환기(51) 팬(61) 및 절환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절환유닛은 사방밸브(62)를 포함한다. 압축기들(53)(54)의 흡입부는 공용 어큐뮬레이터(5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1압축기(53)는 냉매의 압축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인버터 압축기이고, 제2압축기(54)는 냉매의 압축용량이 일정한 정속 압축기이다.
압축기(53)(54)의 토출부에는 제1,2토출배관(55)(56)이 연결되고, 제1,2토출배관(55)(56)은 합지부(57)에 의해 합지되고, 제1,2토출배관(55)(56)에는 제1,2압축기(53)(54)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도록 제1,2오일분리기(58)(5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2오일 분리기(58)(59)에는, 제1,2오일분리기(58)(59)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제1,2압축기(53)(54)의 흡입부로 안내하는, 제1,2오일 회수관(30)(31)이 연결되어 있다.
합지부(57)에는 제1,2압축기(53)(54)에서 토출된 냉매가 사방밸브(62)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시키는 고압기체배관(63)이 연결된다. 또한, 합지부(57)는 사방밸브(57)와 제3토출배관(68)으로 연결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51)는 제1연결배관(71)에 의하여 사방밸브(62)와 연결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51)에서는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매가 응축되거나 증발된다. 이 때, 열교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실외기(A) 팬(61)은 실외 열교환기(51)로 공기를 유입한다.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100)에서는, 냉방 전실 운전 또는 냉방 주체 동시 운전 중에는 실외 열교환기(51)가 응축기로 이용되고, 난방 전실 운전 또는 난방 주체 동시 운전 중에는 실외 열교환기(51)가 증발기로 이용된다.
실외 열교환기(51)와 분배기(C)를 연결하는 액체배관(72) 상에는 실외 전자팽창밸브(65) 및 과냉각장치(66)가 설치되어 있다. 실외 전자뱅창밸브(65)는 난방 전실 운전 또는 난방 주체 동시 운전 시 냉매를 팽창시킨다. 과냉장장치(66)는 냉방 전실 운전 또는 냉방 주체 동시 운전 시 분배기(C)로 이동되는 냉매를 냉각시킨다. 실외 전자팽창밸브(74)는 난방 전실 운전 또는 난방 주체 동시 운전 시 제1,2,3,4실내 열교환기들(11, 21, 32, 41)에서 응축된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51)로 유입되기 전에 팽창시킨다. 과냉각장치(66)는, 액체배관(72) 중 일부를 감싸며 설치되는 과냉각기(66a)와, 과냉각기(66a)와 분배기(C) 사이에 배치되어 분배기(C)로 이동하는 냉매 중 일부를 과냉각기(66a) 내부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배관(66b)과, 바이패스 배관(66b)에 설치되는 전자팽창밸브(66c)와, 과냉각기(66a)와 제3토출배관(64)을 연결하는 회수배관(66d)을 포함한다.
분배기(C)는 실외기(A)와 제1,2,3,4 실내기들(B1)(B2)(B3)(B4) 사이에 배치되어, 냉매를 냉방 전실, 난방 전실, 냉방 주체 동시, 및 난방 주체 동시 운전 조건에 따라 다수의 실내기들(B)에 분배한다. 분배기(C)는 고압 기체 헤더(81), 저압 기체 헤더(82), 액체 헤더(83) 및 제어밸브들(미표기)을 포함한다.
다수의 실내기들(B)은 각각 제1,2,3,4실내 열교환기들(11)(21)(31)(41), 제1,2,3,4실내 팽창밸브들(12)(22)(32)(42) 및 제1,2,3,4실내기 팬들(15)(25)(35)(45)을 포함한다. 제1,2,3,4실내 팽창밸브들(12)(22)(32)(42)은 제1,2,3,4실내 열교환기들(11)(21)(31)(41)과 고압 기체 헤더(81)를 연결하는 제1,2,3,4실내 연결배관들(13)(23)(33)(43)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수의 실내기들(B)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1,2,3,4온도센서(16)(26)(36)(46)들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2,3,4온도센서(16)(26)(36)(46)들은 제1,2,3,4실내 열교환기들(11)(21)(31)(41)과 저압 기체 헤더(82)를 연결하는 제5,6,7,8실내 연결배관들(14)(24)(34)(44)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2,3,4실내 열교환기들(11)(21)(31)(41)에도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고압 기체 헤더(81)는 합지부(57)의 고압기체배관(63) 및 제1,2,3,4실내 열교환기들(11)(21)(31)(41)의 일 측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저압 기체 헤더(82)는 흡입배관(64)에 저압기체배관(75)으로 연결되고, 제1,2,3,4실내 열교환기들(11)(21)(31)(41)의 타 측에 연결된다. 액체 헤더(83)는 과냉각장치(66) 및 제1,2,3,4실내 열교환기들(11)(21)(31)(41)의 일 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고압 기체 헤더(81), 저압 기체 헤더(82) 및 액체 헤더(83)에는 다른 실외기(A)(미도시)의 고압기체배관(63'), 저압기체배관(75') 및 액체배관(72')이 각각 더 연결될 수도 있다.
고압 기체 헤더(81)와 저압 기체 헤더(82)의 사이에는 바이패스배관(84)이 설치된다. 바이패스배관(84)은 고압 기체 헤더(81)의 고압냉매를 저압 기체 헤더(82)로 바이패스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이패스배관(84) 상에는 고압 기체 헤더(81)에서 저압 기체 헤더(82)로 바이패스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부가 설치된다. 유량조절부는 고압 기체 헤더(81)에서 저압 기체 헤더(82)로 바이패스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여서 난방 주체 동시 운전 또는 냉방 주체 동시 운전 시에 냉방 운전 중인 실내기의 결빙을 방지한다.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실외 열교환기(51)와 각 실내 열교환기(11,21,31,41)들을 연결하는 냉매관들에 각각 배치된 복수 개의 개폐밸브(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개폐밸브(220)는 절환밸브의 절환에 따라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11,21,31,41)와, 실외 열교환기(51) 또는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11,21,31,41)와 압축기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개폐밸브(220)들은 제1,2,3,4실내 연결배관들(13)(23)(33)(43) 또는/및 제5,6,7,8실내 연결배관들(14)(24)(34)(44) 상에 설치되어 실외기(A)에서 실내기로 유동되는 냉매를 단속하게 된다. 개폐밸브(220)은 제1, 2, 3, 4 개폐밸브(221,222,223,2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기(210)는 복수 개의 개폐밸브(220)의 개도 값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은 실외 전력측정기(280), 실내 전력측정기(290) 및 제어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 전력측정기(280)는 실외기(A)에 배치되는 다수의 구성의 전력 사용량의 합을 측정한다. 실외 전력측정기(280)는 하나의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을 측정하고, 실외기의 전력사용량을 제어기(210)에 제공한다.
예를 들면, 실외 전력측정기(280)는 실외기(A)에 배치된, 압축기, 실외기(A) 팬(61) 및 제어기(210)의 전력 사용량의 합을 실외기(A) 전력 사용량으로 측정할 수 있다.
실외기(A)가 다수 개 인경우, 실외 전력측정기(280)는 다수의 실외기(A)의 전력 사용값의 합을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으로 측정한다.
실내 전력측정기(290)는 각 실내기(B1,B2,B3,B4)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여 그 측정 값을 제어기(210)에 제공한다. 여기서, 실내 전력측정기(290)에서 측정된 각 실내기(B1,B2,B3,B4)의 전력 사용량은 각실내기의 부하률을 연산하는 인자가 된다.
실내 전력측정기(290)는 각각의 실내기에 배치되어서, 실내기에 배치되는 다수의 구서으이 전력 사용량의 합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 전력측정기(290)는 실내기에 배치된 실내기 팬(15,25,35,45) 및 실내기와 연결된 로컬 컨트롤러(230)의 전력 사용량의 합을 각 실내기(B1,B2,B3,B4) 전력 사용량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제어기(210)는 관리 프로그램 또는 관리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함으로써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210)는, 예를 들어,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설비를 제어, 관리 또는 감시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기(210)는 각각의 실내기들의 작동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복수 개의 실내기(B)들 각각의 연산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하나의 실외기(A)를 공유하는 다수의 실내기(B)의 정확한 전력 사용량의 측정이 어려우므로, 제어기(210)는 실외기(A)기의 전력 사용량을 각각 실내기의 작동률에 따라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기(210)는 각 실내기(B1,B2,B3,B4)들의 작동여부는 각 개폐밸브(220)가 개방되거나, 각 실내 팽창밸브(12,22,32,42)가 개방되거나, 각 실내기 팬(15,25,35,45)이 작동되는 경우 실내기가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개폐밸브(220)가 개방되거나, 제1 실내팽창밸브가 개방된 경우, 제1 실내기만 작동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실내기(B1,B2,B3,B4)의 작동시간을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기(210)는 각 실내기(B1,B2,B3,B4)의 작동시간을 누적하여 저장한다.
제어기(210)는 각각의 실내기의 작동시간(TI1)을 전체 실내기의 작동시간의 합(TI)으로 나눈 실내기 작동률(OP1)을 산출하고, 실내기 작동률에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을 곱해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WI1)을 산출한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OP1은 각 실내기의 작동률, TI1은 각 실내기(B1,B2,B3,B4)의 작동시간, TI는 전체 실내기의 작동시간, WI1은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 WO는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이다.
실내기의 작동률은 각각의 실내기의 작동시간을 전체 실내기의 작동시간의 합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제1 실내기의 작동률은 제1 실내기의 작동시간을 전체 실내기의 작동시간의 합으로 나눈 값이다.
수학식 1을 참조하면,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은 실내기 작동률에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을 곱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제1 실내기의 연산 전력 사용량은 제1 실내기의 작동률에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을 곱한 값이다.
물론,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은 단위 시간 별로 산정하고, 이를 설정된 기간별로 합산하여 산정할 수 있다.
물론, 실외기(A)가 복수 개인 경우,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은 복수의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 값의 합이다.
각각의 실내기의 작동률을 바탕으로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을 분배하게 되면, 하나의 실외기(A)를 공유하는 각각의 실내기들의 전력 사용량을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제어기(210)는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 및 전력요금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245), 로컬 컨트롤러(230), 이동 단말기(2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인지한 사용자는 공기 조화기(100)의 사용에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된다.
실내기의 작동시간만을 바탕으로 실내기의 연산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는 경우, 각 실내기(B1,B2,B3,B4)의 부하를 반영하지 못하여 정확한 각 실내기(B1,B2,B3,B4)의 연산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하다.
따라서, 다른 예를 들면, 제어기(210)는 각 실내기(B1,B2,B3,B4)의 부하와 실내기의 작동시간을 바탕으로 실내기의 연산 전력 사용량을 산출한다. 즉, 각 실내기(B1,B2,B3,B4)는 작동시간은 실내기의 냉방 또는 난방 능력을 최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부만 사용하는 경우도 존재하므로, 각 실내기(B1,B2,B3,B4)에 작동상태에 따라 부하률을 산정하고, 부하률에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을 곱해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을 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각 실내기(B1,B2,B3,B4)별 부하는, 각 실내기 팬(15,25,35,45)의 속도, 각 실내기(B1,B2,B3,B4)에 냉매를 공급하는 각 개폐밸브(220)의 개도 값, 각 실내기(B1,B2,B3,B4)의 실내팽창밸브(12,22,32,42)의 개도 값을 기준으로 산정될 수 있다. 물론, 각 실내기(B1,B2,B3,B4)별 부하는 각 실내기(B1,B2,B3,B4)가 운전모드(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를 반영하여 산정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기(210)는 각 개폐밸브(220)의 개도 값을 각 개폐밸브(220)의 최대 개도 값으로 나눈 값에 각 실내기(B1,B2,B3,B4)의 작동시간을 곱해 각 실내기 부하를 산출하고, 각 실내기 부하를 전체 실내기 부하의 합으로 나눈 각 실내기(B1,B2,B3,B4)의 부하률(LO1)을 산정하며, 각 실내기(B1,B2,B3,B4)의 부하률에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을 곱해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WI1L)을 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LO1은 각 실내기(B1,B2,B3,B4)의 부하률, WI1L은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 WO는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이다.
각 실내기(B1,B2,B3,B4)의 부하률은 각 실내기(B1,B2,B3,B4)의 부하를 전체 실내기의 부하의 합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제1 실내기의 부하률은 제1 실내기의 부하를 전체 실내기(제1 내지 제4)의 부하의 합으로 나눈 값이다.
각 실내기(B1,B2,B3,B4)의 부하는 각 개폐밸브(220)의 개도 값을 각 개폐밸브(220)의 풀 개도 값으로 나눈 값에 각 실내기(B1,B2,B3,B4)의 작동시간을 곱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각 실내기(B1,B2,B3,B4)의 부하률은 각 실내기 팬(15,25,35,45)의 팬속도를 반영하여 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실내기(B1,B2,B3,B4)의 부하는 각 실내기 팬(15,25,35,45)의 팬속도를 각 실내기 팬(15,25,35,45)의 최대 팬속도 값으로 나눈 값에 각 실내기(B1,B2,B3,B4)의 작동시간을 곱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각 실내기(B1,B2,B3,B4)의 부하률은 각 실내기(B1,B2,B3,B4)의 실내팽창밸브(12,22,32,42)의 개도 값을 반영하여 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실내기(B1,B2,B3,B4)의 부하는 각 실내팽창밸브(12,22,32,42)의 개도 값을 각 실내팽창밸브(12,22,32,42)의 최대 개도 값으로 나눈 값에 각 실내기(B1,B2,B3,B4)의 작동시간을 곱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2를 참조하면,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은 실내기 부하률에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을 곱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제1 실내기의 부하 전력 사용량은 제1 실내기의 부하률에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을 곱한 값이다.
제어기(210)는 각 실내기 팬(15,25,35,45), 개폐밸브(220), 실내팽창밸브(12,22,32,42)와 연결되어, 팬속도, 개도 값의 정보를 직접 전달받을 수도 있고, 다른 센서에 의해 위의 자료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물론,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은 단위 시간별로 산정하고, 이를 설정된 기간별로 합산하여 산정할 수 있다.
물론, 실외기(A)가 복수 개인 경우,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은 복수의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 값의 합이다.
각각의 실내기의 부하률을 바탕으로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을 분배하게 되면, 하나의 실외기(A)를 공유하는 각각의 실내기들의 부하를 반영하여 실내기들의 전력 사용량을 보다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물론, 각 실내기(B1,B2,B3,B4)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각 실내기(B1,B2,B3,B4)가 별도로 전력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각 실내기(B1,B2,B3,B4)가 사용하는 전력량을 전력요금에 반영할 필요가 존재한다. 실시예는 각 실내기(B1,B2,B3,B4)가 사용하는 하는 전력을 측정하기 위해 복수의 실내 전력측정기(290)를 배치할 수 있다.
제어기(210)는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에 각 실내기(B1,B2,B3,B4)의 전력 사용량을 합산하여 각 실내기(B1,B2,B3,B4)별 보정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210)는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에 각 실내기(B1,B2,B3,B4)의 전력 사용량을 합산하여 각 실내기(B1,B2,B3,B4)별 보정 전력 사용량(WI1A)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정 전력 사용량을 바탕으로 전력요금을 산정하므로, 공동주택 또는 공동상가 사용자를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전력요금 분쟁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제어기(210)는 각각의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 및 각 실내기(B1,B2,B3,B4)별 보정 전력 사용량에 바탕으로 각각의 실내기별 전력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기(210)는 산정된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 및 각 실내기(B1,B2,B3,B4)별 보정 전력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의 실내기와 커플링된(대응되는) 각각의 로컬 컨트롤러(230)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어기(210)는 제1 실내기의 연산 전력 사용량,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 및 보정 전력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제1 로컬 컨트롤러(230)에 전송한다. 이 때, 제1 로컬 컨트롤러(230)는 제어기(210)는 제1 실내기의 연산 전력 사용량,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 및 보정 전력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표시부(245)를 통해 표시한다.
물론, 제어기(210)는 로컬 컨트롤러(230)에 각각 실내기(B1,B2,B3,B4)별 전력요금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기(210)는 제1 실내기(B1)에 대한 전력요금 정보, 연산 전력 사용량,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1 실내기(B1)에 연결된 제1 로커 컨트롤러(23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210)는 각각의 실내기와 커플링되어 각각의 실내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각각의 이동 단말기(240)가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 및 각 실내기(B1,B2,B3,B4)별 보정 전력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제어기(210)는 각 이동 단말기(240)에 대응되는 실내기의 전력요금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기(210)는 제1 실내기(B1)에 대한 전력요금 정보, 연산 전력 사용량,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1 실내기(B1)와 대응되는 제1 이동 단말기(241)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기(210)는 각각의 실내기와 커플링되어 각각의 실내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각각의 표시부(245)가 각각의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 및 각 실내기(B1,B2,B3,B4)별 보정 전력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제어기(210)는 각 표시부(245)에 대응되는 실내기의 전력요금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물론, 표시부(245)는 상술한 로컬 컨트롤러(230) 또는 이동 단말기(24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기(21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240) 또는 컨트롤러의 요청에 대응하여, 일, 주, 월, 년 및 지정된 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기간에 대한 각 실내기(B1,B2,B3,B4)별 전력요금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5는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중앙서버(300)를 더 포함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 도 1의 실시예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의 실시예는 다수의 공기 조화기(100)를 관리하는 위한 원격관리 시스템의 일 예이다.
실시예는 제어기(210)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중앙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서버(300)는, 건물 전체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제어, 감시(또는 모니터링) 또는 관리하는 장치로서, 설비, 예를 들어 기계설비, 조명, 전력, 출입통제, 방재, 주차관리, 시설관리 등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중앙서버(300)는, 제어기(210)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공기 조화기를 제어, 감시 또는 관리하는 자동화 서버일 수 있다.
중앙서버(300)는 각각의 제어 영역을 효율적으로 유지, 보수 또는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제어 영역에 설치 또는 배치된 설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앙서버(3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대한 유지 또는 보수 과정 또는 그에 대한 처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입출력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영역, 제어 현장 또는 관리 지점은 중앙(또는 본사)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관리 대상 또는 원격 관리 서버에 의해 유지, 보수, 관리되어야 하는 관리 지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건물, 빌딩, 점포, 상가 및 학교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일 수 있다.
여기서, 건물 내지 빌딩은 제어 대상이 되는 건축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가, 편의점, 점포, 주택, 사무실, 오피스텔, 공장 건물 빌딩, 학원 또는 병원 건물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210)는, 중앙서버(300)와 서로 통신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관리 프로그램 또는 관리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함으로써 공기 조화기(100)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00)는 센서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각 공기 조화기의 고장 여부 및 성능을 연산하고 이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기(21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서버(300)와 연결되어서, 필요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한다.
중앙서버(300)는 제어기(2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산정된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 및 각 실내기(B1,B2,B3,B4)별 보정 전력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중앙서버(300)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 및 각 실내기(B1,B2,B3,B4)별 보정 전력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와 이들에 대한 전력요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중앙서버(300)는 웹 사이트의 아이디를 통해 로그인 된 상용자에게 사용자의 실내기에 대응되는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 및 각 실내기(B1,B2,B3,B4)별 보정 전력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웹 사이트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외 전력측정기(280)는 하나의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을 측정하고, 실외기의 전력사용량을 제어기(210)에 제공한다(S10).
실내 전력측정기(290)는 각 실내기(B1,B2,B3,B4)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고, 각 실내기(B1,B2,B3,B4)의 전력사용량을 제어기(210)에 제공한다(S20). 각 실내기(B1,B2,B3,B4)의 전력 사용량은 각 실내기(B1,B2,B3,B4)별 보정 전력 사용량을 산정하기 위한 것으로, 필수적인 절차는 아니다.
이후, 제어기(210)는 각 실내기(B1,B2,B3,B4)의 작동시간을 전체 실내기의 작동시간의 합으로 나눈 실내기 작동률을 산출한다(S30).
제어기(210)는 개폐밸브(220)의 개도 값, 실내기 팬의 팬속도 실내팽창밸브(12,22,32,42)의 개도 값을 반영한 각 실내기 부하률을 산출한다(S40).
이후, 제어기(210)는 실내기 작동률에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을 곱해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을 산정하고, 각 실내기(B1,B2,B3,B4)의 부하률에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WO)을 곱해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을 산정하며,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에 각 실내기(B1,B2,B3,B4)의 전력 사용량을 합산하여 각 실내기(B1,B2,B3,B4)별 보정 전력 사용량을 산정한다(S50). 제어기(210)는 산정된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 및 각 실내기(B1,B2,B3,B4)별 보정 전력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기(210)는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 각 실내기(B1,B2,B3,B4)별 보정 전력 사용량에 대응되는 각 실내기(B1,B2,B3,B4)별 전력요금을 산정한다 (S60). 전력요금 산정은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전력 요금 테이블을 근거로 산정한다.
이후, 제어기(210)는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 및 각 실내기(B1,B2,B3,B4)별 보정 전력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 또는/및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 및 각 실내기(B1,B2,B3,B4)별 보정 전력 사용량에 대응되는 실내기별 전력요금에 대한 데이터를 중앙서버(300), 로컬 컨트롤러(230) 또는 이동 단말기(240)로 전송한다 (S70) (S80) (S90).
이후,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40), 웹 사이트, 로컬 컨트롤러(230)를 통해 각 실내기(B1,B2,B3,B4)별 전력요금,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 및 각 실내기(B1,B2,B3,B4)별 보정 전력 사용량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기(210)는 이동 단말기(240), 웹 사이트, 로컬 컨트롤러(23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시각, 청각으로 인식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실외 전력측정기; 및
    상기 실외기와 연결되어 압축기에서 압축되고, 실외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공급 받아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실내기들 각각의 연산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각각의 실내기들의 작동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각각의 실내기의 작동시간을 전체 실내기의 작동시간의 합으로 나눈 실내기 작동률을 산출하고,
    상기 실내기 작동률에 상기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을 곱해 상기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각각의 실내기와 커플링된 각각의 로컬 컨트롤러에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각각의 실내기와 커플링되어 각각의 실내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각각의 표시부가 각각의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각각의 실내기와 커플링되어 각각의 실내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각각의 이동 단말기가 각각의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중앙서버를 더 포함하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각각의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전송하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각각의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을 바탕으로 각각의 실내기별 전력요금을 산출하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 또는 컨트롤러의 요청에 대응하여, 일, 주, 월, 년 및 지정된 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기간에 대한 각 실내기별 전력요금 정보를 전송하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각 실내기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복수의 실내 전력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에 각 실내기의 전력 사용량을 합산하여 각 실내기별 보정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들을 연결하는 냉매관들에 각각 배치된 복수 개의 개폐밸브의 개도 값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각 개폐밸브의 개도 값을 상기 각 개폐밸브의 최대 개도 값으로 나눈 값에 상기 각 실내기의 작동시간을 곱해 각 실내기 부하를 산출하고,
    상기 각 실내기 부하를 전체 실내기 부하의 합으로 나눈 각 실내기의 부하률을 산정하며,
    상기 각 실내기의 부하률에 상기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을 곱해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을 산정하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각 실내 열교환기들에 각각 배치된 복수 개의 실내기 팬의 작동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각 실내기 팬의 팬속도에 따른 각 실내기 부하률을 산출하고,
    상기 각 실내기의 부하률에 상기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을 곱해 각 실내기별 부하반영 전력 사용량을 산정하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실내 열교환기는 서로 독립된 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와 실외 전력측정기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은 상기 실내기 작동률에 상기 실외기들의 전력 사용량의 합을 곱한 것으로 정의되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14.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 받아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실내기들; 및
    상기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을 바탕으로 상기 각 실내기의 전략 사용량을 산정하는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은,
    상기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실외 전력측정기; 및
    복수 개의 실내기들 각각의 연산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각각의 실내기들의 작동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각각의 실내기의 작동시간을 전체 실내기의 작동시간의 합으로 나눈 실내기 작동률을 산출하고,
    상기 실내기 작동률에 상기 실외기의 전력 사용량을 곱해 상기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는 공기 조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공기 조화기 전체를 제어하고, 상기 각각의 실내기와 커플링된 각각의 컨트롤러에 각 실내기별 연산 전력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와 공기 조화기의 제어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70002511A 2017-01-06 2017-01-06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KR20180081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511A KR20180081366A (ko) 2017-01-06 2017-01-06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511A KR20180081366A (ko) 2017-01-06 2017-01-06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366A true KR20180081366A (ko) 2018-07-16

Family

ID=6304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511A KR20180081366A (ko) 2017-01-06 2017-01-06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13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193B1 (ko) * 2020-09-14 2021-03-08 주식회사 이지엑스 에어컨 실외기 보조냉각장치용 전기 어댑터 방식의 제어기
KR20220064686A (ko) 2020-11-12 2022-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193B1 (ko) * 2020-09-14 2021-03-08 주식회사 이지엑스 에어컨 실외기 보조냉각장치용 전기 어댑터 방식의 제어기
WO2022055202A1 (ko) * 2020-09-14 2022-03-17 주식회사 이지엑스 에어컨 실외기 보조냉각장치용 전기 어댑터 방식의 제어기
KR20220064686A (ko) 2020-11-12 2022-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834B1 (ko) 히트펌프식 냉난방 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AU2006324541B2 (en) Air conditioner
US7954333B2 (en) Air conditioner
JP4285583B2 (ja) 空気調和装置
US9696078B2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US11346570B2 (en) Refrigerant leakage determination system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WO2005121664A1 (ja) 空気調和装置
US20160238268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8069682B2 (en) Air conditioner that corrects refrigerant quantity determination based on refrigerant temperature
JP4479565B2 (ja) 異常検知システム
US20160252284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236605A (ja) 空気調和装置の管理システム
US20090031739A1 (en) Air conditioner
CA2910244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hvacr and other energy efficiency and demand response
JP6009586B2 (ja) 空気調和制御システム
EP2366956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3865029B (zh) 空调器
JP2005241172A (ja) 冷凍サイクルに対する冷媒充填方法及びその装置
WO2011071959A2 (en) Heat pump
JP4826117B2 (ja) 冷媒漏洩検知システム
US93895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KR20180081366A (ko) 실내기의 전력 측정 시스템
JP2006275303A (ja) 異常検知システム
KR102521851B1 (ko) 칠러 시스템
JP3857833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