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963A -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963A
KR20180079963A KR1020170000762A KR20170000762A KR20180079963A KR 20180079963 A KR20180079963 A KR 20180079963A KR 1020170000762 A KR1020170000762 A KR 1020170000762A KR 20170000762 A KR20170000762 A KR 20170000762A KR 20180079963 A KR20180079963 A KR 20180079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group
light sources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석
김정헌
김화성
박창현
유오도
조수호
하종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9963A/ko
Priority to EP18736590.3A priority patent/EP3539354B1/en
Priority to US15/861,448 priority patent/US10887951B2/en
Priority to PCT/KR2018/000112 priority patent/WO2018128382A1/en
Priority to EP21183953.5A priority patent/EP3911119B1/en
Priority to CN201880005815.5A priority patent/CN110140423B/zh
Publication of KR2018007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18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arrangements using lights for heating zone state ind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조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일 측에 따른 조리 장치는, 조리 용기 상에 광을 조사하며, 복수 개의 그룹으로 그룹핑되는 복수의 광원;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 명령, 상기 복수 개의 그룹의 그룹핑 형태, 및 미리 설정된 동작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그룹 제어를 수행하여 불꽃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발광 구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개시된 발명은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조리 장치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유도 가열의 원리를 이용하여 식품을 가열 조리하는 조리기기이다.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조리 용기가 올려 놓이는 조리대와,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유도 코일을 구비한다.
유도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기장이 발생되면 조리 용기에 2차 전류가 유도되고, 조리 용기 자체의 저항 성분에 의해 줄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 용기가 가열되고 조리 용기에 담긴 식품이 조리되게 된다.
이러한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가스나 기름 등의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그 연소열을 통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스 레인지나 등유 풍로 등에 비하여 급속 가열이 가능하고, 유해 가스의 발생이 없으며, 화재 발생의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조리 용기의 가열 시에 불꽃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외부에서 조리 용기의 가열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기가 곤란한 면 이 있다.
한편, 유도 가열 조리기기에 조리 용기의 가열 상태를 표시하도록 레벨 미터 형식의 디지털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기도 한다. 다만, 이러한 디지털 디스플레이는 인지성이 떨어져서 사용자가 유도 가열 조리기기에서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게 되거나 자세히 관찰하지 않으면 인지하기가 곤란할뿐더러, 인지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감각을 제공하기 어렵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조리 용기에 가상의 불꽃영상을 표시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에 따른 조리 장치는, 조리 용기 상에 광을 조사하며, 복수 개의 그룹으로 그룹핑되는 복수의 광원;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 명령, 상기 복수 개의 그룹의 그룹핑 형태, 및 미리 설정된 동작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그룹 제어를 수행하여 불꽃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발광 구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은, 청색 광을 출력하는 서브 광원, 및 적색 광을 출력하는 서브 광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 간에는, 하나의 입력 단을 통해 상기 발광 구동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구동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그룹의 그룹핑 형태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그룹으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 간의 위상차 또는 시간차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동작 개시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발광 구동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에서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해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불꽃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동작 정지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발광 구동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구동 신호의 인가를 중지하고, 미리 설정된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의 인가를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력 레벨에 관한 조절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발광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받은 출력 레벨에 관한 조절 명령에 대응되도록 조절한 구동 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그룹에 동시에 인가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출력 레벨 이하이면, 상기 발광 구동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해 구동 신호의 인가를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출력 레벨 이하이면, 상기 발광 구동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의 그룹에 대해 구동 신호의 인가를 중지하고, 다른 하나의 그룹에 대해서는 상기 입력 받은 출력 레벨에 대응되도록 조절한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집중시키는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 상에 마련되는 초점의 개수는, 상기 광원에 포함된 서브 광원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기 설계되는 조리 장치.
또한, 상기 발광 구동 제어부는, 동작 중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구동신호의 인가를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서 적색 광이 출력되도록 구동신호의 인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 명령, 복수 개의 광원을 분할하여 형성한 복수 개의 그룹의 그룹핑 형태, 및 미리 설정된 동작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광원에 대한 구동 출력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한 구동 출력 값에 기초하여 불꽃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광원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 간에는, 하나의 라인을 통해 직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그룹의 그룹핑 형태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그룹으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 간의 위상차 또는 시간차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동작 개시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에서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해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불꽃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불꽃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동작 정지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구동 신호의 인가가 중지되도록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의 인가가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력 레벨에 관한 조절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입력 받은 출력 레벨에 관한 조절 명령에 대응되도록 조절한 구동 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그룹에 동시에 인가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출력 레벨 이하이면,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해 구동 신호의 인가를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출력 레벨 이하이면,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의 그룹에 대해 구동 신호의 인가가 중지되도록 제어하고, 다른 하나의 그룹에 대해서는 상기 입력 받은 출력 레벨에 대응되도록 조절한 구동 신호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동작 중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구동신호의 인가가 중지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서 적색 광이 출력되도록 구동신호의 인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보다 자연스러운 불꽃영상을 표시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복수의 광원을 그룹 제어함으로써,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저 복잡도의 조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가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어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리 장치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포함된 코일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포함된 불꽃영상 생성부의 제어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포함된 불꽃영상 생성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3개의 서브 광원이 포함된 광원과 광학 렌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서브 광원이 포함된 광원과 광학 렌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의 배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었을 때 조리용기 상에 표시되는 불꽃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복수의 광원의 배치 형태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었을 때 조리용기 상에 표시되는 불꽃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복수의 광원의 배치 형태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복수의 광원의 배치 형태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복수의 광원의 배치 형태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었을 때 조리용기 상에 표시되는 불꽃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복수의 광원의 배치 형태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라 3개의 서브 광원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의 배치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2의 발광 모듈 내부 구성 요소간의 연결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2의 발광 모듈 내부 구성 요소간의 연결 형태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서브 광원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의 배치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었을 때 조리용기 상에 표시되는 불꽃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5의 발광 모듈 내부 구성 요소간의 연결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도 25의 발광 모듈 내부 구성 요소간의 연결 형태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하나의 서브 광원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의 배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었을 때 조리용기 상에 표시되는 불꽃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9의 발광 모듈 내부 구성 요소간의 연결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도 29의 발광 모듈 내부 구성 요소간의 연결 형태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그룹의 주기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면이고, 도 34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a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그룹의 주기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면이고, 도 35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그룹의 주기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6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4 그룹의 주기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7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4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그룹의 주기신호 및 랜덤신호가 합성된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8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면이다.
도 39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그룹의 주기신호 및 랜덤신호가 합성된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9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면이다.
도 40a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그룹의 주기신호 및 랜덤신호가 합성된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0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면이다.
도 41a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4 그룹의 주기신호 및 랜덤신호가 합성된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4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면이다.
도 42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점화 개시 명령, 및 출력 레벨 조절 명령의 입력에 따른 발광 모듈의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a, 도 43b, 및 도 43c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점화 개시 명령에 따른 동작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a, 도 44b, 및 도 44c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점화 개시 명령에 따른 동작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가 입력 받은 출력 레벨 값에 대응되도록 그룹별 구동 전류 값을 계산하는 동작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광원이 3개의 서브 광원을 포함하고 있을 때의 렌즈 구현형태 및 불꽃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라 광원이 2개의 서브 광원을 포함하고 있을 때의 렌즈 구현형태 및 불꽃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8은 일 실시예에 따라 광원이 1개의 서브 광원을 포함하고 있을 때의 렌즈 구현형태 및 불꽃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9는 조리 장치의 제어 블록도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0은 복수의 광원에 대한 구동 출력 값을 계산하고, 계산한 구동 출력 값에 따라 불꽃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조리 장치의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조리 장치는 유도 가열의 원리를 이용하여 식품을 가열 조리하는 장치로써, 조리 용기가 위치하는 조리대와,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유도 코일을 구비한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조리 장치의 구현 형태 중 일 예로써, 도 1에 도시된 구현 형태의 조리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하나, 후술할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도 코일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발생시켜 조리 용기를 가열할 수 있는 기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조리 장치 전부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가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어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리 장치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포함된 코일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1)는 조리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조리 장치(1)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 요소를 수용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상면에는 조리 용기(C)를 위치시키기 위한 조리판(11)이 마련될 수 있다. 조리판(11)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세라믹 글라스(ceramic glass) 등의 강화 유리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 공지된 다양한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조리판(11)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조리 용기를 적합한 위치에 놓을 수 있게끔 안내 마크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판(11)의 상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리 용기(C)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안내 마크(M1, M2, M3, M4)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리판(11)의 하부에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유도 가열 코일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유도 가열 코일(L1, L2, L3, L4)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L1, L2, L3, L4) 각각은 안내 마크(M1, M2, M3, M4)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는 4개의 유도 가열 코일(L1, L2, L3, L4)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리 장치(10)는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의 유도 가열 코일을 포함할 수 있는 등 제한은 없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코일(L)에 전류가 공급되면, 유도 가열 코일(L)의 내측을 통과하는 자기장(B)이 유도된다. 예를 들어, 유도 가열 코일(L)에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전류, 즉 교류 전류가 공급되면, 유도 가열 코일(L)의 내측에는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기장(B)이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도 가열 코일(L)에 의해 유도된 자기장(B)은 조리 용기(C)의 저면을 통과할 수 있다.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기장(B)이 도체를 통과하면, 도체에는 자기장(B)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류(EI)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기장(B)에 의해 회전하는 전류(EI)가 유도되는 현상을 전자기 유도 현상이라 하며, 회전하는 전류(EI)를 와전류(eddy current)라 한다.
전자기 유도 현상과 와전류(EI)는 조리판(11)의 하부에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가열 코일(L)에 의하여 생성된 자기장(B)이 조리 용기(C)의 저면을 통과하면, 조리 용기(C)의 저면 내부에는 자기장(B)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와전류(EI)가 발생한다.
조리 용기(C)는 와전류(EI)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적 저항을 갖는 조리 용기(C)에 와전류(EI)가 흐르면, 와전류(EI)와 조리 용기(C)의 전기 저항에 따른 열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는 제1 내지 제4 유도 가열 코일(L1, L2, L3, L4)에 전류를 공급하고, 제1 내지 제4 유도 가열 코일(L1, L2, L3, L4)에 의해 유도된 자기장(B)을 이용하여 조리 용기(C)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전면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다이얼(15)을 포함한 유저 인터페이스(120)가 마련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1)는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120), 유도 가열 코일(L), 유도 가열 코일(L)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코일 구동부(110), 불꽃영상을 생성하는 불꽃영상 생성부(200), 및 및 조리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10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100), 코일 구동부(110)의 코일 구동 제어부(115), 및 불꽃영상 생성부(200)의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 상에 별개의 구성요소로 포함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메인 제어부(100), 코일 구동부(110)의 코일 구동 제어부(115), 및 불꽃영상 생성부(200)의 발광 구동 제어부(215) 중 적어도 하나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에 집적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조리 장치(1)에 내장된 시스템 온 칩이 하나만 존재하는 것은 아닐 수 있으므로, 하나의 시스템 온 칩에 집적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조리 장치(1)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메인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 받기 용이한 위치라면 조리 장치(1)의 어디에도 마련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로부터 전원의 입력, 동작의 개시/정지 등 각종 제어 명령뿐만 아니라, 제1 내지 제4 유도 가열 코일(L1, L2, L3, L4) 각각이 생성하는 자기장(B)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출력 레벨의 조절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출력 레벨은 제1 내지 제4 유도 가열 코일(L1, L2, L3, L4) 각각이 생성하는 자기장(B)의 세기를 이산적으로(discretely) 구분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레벨이 높을수록 제1 내지 제4 유도 가열 코일(L1, L2, L3, L4) 각각은 큰 자기장(B)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리 용기(C)는 더 빠르게 가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로부터 전원 입력, 동작의 개시/정지 등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조작 버튼(13), 및 사용자로부터 출력 레벨을 입력 받는 조작 다이얼(15)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버튼(13)은 푸쉬 스위치(push switch),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멤브레인 스위치(membrane switch), 터치 스위치(touch switch) 등 기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한 없다.
조작 다이얼(15)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홀더(15a)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홀더(15a)의 외각에는 출력 레벨을 표시하는 출력 레벨 마크(15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선택된 출력 레벨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마크(15c)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홀더(15a)를 조리 장치(1)의 본체(10)를 향하여 가압한 이후, 시계 방향(C) 또는 반시계 방향(CC)으로 홀더(15a)를 회전시킴으로써, 출력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홀더(15a)를 시계 방향(C) 또는 반시계 방향(CC)으로 회전시키면, 출력 레벨 마크(15b)가 홀더(15a)와 함께 회전하고, 출력 레벨 마크(15b)에 표시된 복수의 출력 레벨 가운데 지시 마크(15c)와 대면하는 출력 레벨이 조리장치(1)에 입력될 수 있다. 그러면, 메인 제어부(100)는 제어 신호를 통해 코일 구동부(110)을 제어하여 입력 받은 출력 레벨에 대응되도록 자기장 세기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불꽃영상 생성부(200)를 제어하여 입력 받은 출력 레벨에 대응되도록 불꽃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홀더(15a)를 반시계 방향(CC)으로 회전시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5a)의 회전에 따라 출력 레벨 1, 2, 3, ... 9가 지시 마크(15c)와 대면하게 되고, 출력 레벨 1, 2, 3, ... 9가 조리 장치(1)에 입력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오프(OFF) 상태에서 사용자가 홀더(15a)를 시계 방향(C)으로 회전시키면 조리 장치(1)에 최대 출력 레벨이 입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오프(OFF) 상태에서 사용자가 홀더(15a)를 반시계 방향(CC)으로 회전시키면 출력 레벨 마크(15b)에 표시된 출력 레벨이 차례대로 입력되고, 오프(OFF) 상태에서 사용자가 홀더(15a)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즉시 최대 출력 레벨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출력 레벨과 함께 동작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17) 상에는 조리 장치(1)가 동작 중임을 표시하고, 입력 받은 출력 레벨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7)에 표시된 출력 레벨 정보를 통해 직관적으로 조리 장치(1)의 동작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한편, 디스플레이(17)가 터치 스크린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7)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터치, 클릭, 드래그 등과 같은 다양한 터치 조작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17)가 터치 스크린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7)는 조작 버튼(13)과 조작 다이얼(15)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조리 장치(1)에는 조리 용기(C)를 가열하기 위해 자기장(B)을 생성하는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L1, L2, L3, L4)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코일 구동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코일 구동부(110)는 유도 가열 코일(L)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코일 구동 회로(111), 유도 가열 코일(L)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검출하는 구동 전류 센서(113), 및 코일 구동 회로(111)를 제어하는 코일 구동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일 구동 제어부(1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구성요소로 조리 장치(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코일 구동 제어부(115)는 메인 제어부(110)에 통합 또는 집적될 수 있는 등 구현 가능한 형태에 제한은 없다.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L1, L2, L3, L4)은 각각은 2차원 나선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자기장(B)을 생성할 수 있다.
코일 구동 회로(111)는 유도 가열 코일(L)이 자기장(B)을 생성하도록 구동 전류를 유도 가열 코일(L)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 구동 회로(111)는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기장(B)을 생성하도록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구동 전류, 예를 들어 교류 구동 전류를 유도 가열 코일(L)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코일 구동 회로(111)는 직류 전력을 변환하여, 유도 가열 코일(L)에 구동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직류 전력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교류 전원(AC)으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력이 정류 회로(RC)에 의해 정류되고, 평활 회로(SC)에 의해 평탄화되어 생성될 수 있다.
코일 구동 회로(1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 브리지(Half Bridge)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일 구동 회로(111)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한 쌍의 스위치(Q1, Q2)와 서로 직렬로 연결된 한 쌍의 캐패시터(C1, C1)를 포함하며, 한 쌍의 스위치(Q1, Q2)와 한 쌍의 캐패시터(C1, C2)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유도 가열 코일(L)의 양단은 각각 한 쌍의 스위치(Q1, Q2)가 직렬 연결되는 노드와 한 쌍의 캐패시터(C1, C2)가 직렬 연결되는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서로 직렬 연결된 한 쌍의 스위치(Q1, Q2)는 상측 스위치(Q1)와 하측 스위치(Q2)를 포함하며, 서로 직렬 연결된 한 쌍의 캐패시터(C1, C2)는 상측 캐패시터(C1)와 하측 캐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구동 회로(111)는 상측 스위치(Q1)와 하측 스위치(Q2)의 온/오프에 따라 유도 가열 코일(L)에 교류 구동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스위치(Q1)가 온되고 하측 스위치(Q2)가 오프되면, 상측 캐패시터(C1)로부터 유도 가열 코일(L)로 구동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의 구동 전류는 도 6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유도 가열 코일(L)의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흐른다.
반면, 상측 스위치(Q1)가 오프되고 하측 스위치(Q2)가 온되면, 하측 캐패시터(C2)로부터 유도 가열 코일(L)에 구동 전류가 공급될 수 있으며, 이때의 구동 전류는 도 6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유도 가열 코일(L)의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흐른다.
구동 전류 센서(113)는 유도 가열 코일(L)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전류 센서(113)는 유도 가열 코일(L)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크기를 비례 감소시키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와 비례 감소된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는 전류계(ampere 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 전류 센서(113)는 코일 구동 회로(111)와 유도 가열 코일(L) 사이에 션트 저항(shunt resistance)을 마련하고, 션트 저항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이용하여 구동 전류의 전류값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션트 저항의 위치는 코일 구동 회로(111)와 유도 가열 코일(L) 사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션트 저항은 평활 회로(SC)와 코일 구동 회로(111)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코일 구동 제어부(115)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통해 코일 구동 회로(1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 구동 제어부(115)는 각종 연산 처리가 가능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코일 구동 제어부(115)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데이터는 메인 제어부(11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코일 구동 제어부(115)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에 따라 코일 구동 회로(1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 구동 제어부(115)는 메인 제어부(100)의 제어신호를 전달 받고, 이를 기초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코일 구동 회로(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코일 구동 제어부(111)는 유도 가열 코일(L)에 교류 구동 전류가 공급되도록 코일 구동 회로(111)의 상측 스위치(Q1)와 하측 스위치(Q2)를 교대로 턴온/턴오프할 수 있다.
또한, 코일 구동 제어부(111)는 상측 스위치(Q1)와 하측 스위치(Q2)를 턴온/턴오프하는 주파수를 조절하여 유도 가열 코일(L)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유도 가열 코일(L)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크기에 따라 유도 가열 코일(L)이 생성하는 자기장(B)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1)에는 불꽃영상을 생성하는 불꽃영상 생성부(200)가 마련될 수 있다. 불꽃영상 생성부(200)는 조리 용기(C)에 불꽃영상이 형성되도록 메인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조리 용기(C)를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불꽃영상 생성부(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조리 장치(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100)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00)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통해 조리 장치(1)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100)는 각종 연산 처리가 가능한 프로세서, 및 조리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100)는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통해 조리 장치(1)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100)는 조리 장치(1)의 동작 중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인 제어부(100)는 구동 전류 센서(113)가 검출한 유도 가열 코일(L)에 인가되는 구동 전류 값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전류 값에 정상적인 수준을 벗어나는 경우, 메인 제어부(100)는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대응조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메인 제어부(100)는 조리 장치(1) 상에 마련된 구성요소로부터 각종 제어 신호 또는 상태 정보를 전달 받아, 조리 장치(1)의 동작 중 이상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인 제어부(100)는 제어 신호를 통해 불꽃영상 생성부(200)를 제어하여, 광원(D) 중 일부 또는 전부에서 적색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메인 제어부(100)는 제어 신호를 통해 불꽃영상 생성부(200)를 제어하여, 광원(D) 중 일부 또는 전부에서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즉 광원(D)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대응조치를 수행하는 동작은 불꽃영상 생성부(200)가 직접 수행할 수도 있으며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100)는 제어신호를 통해 조리 장치(1)의 동작 상태가 유저 인터페이스(120)의 디스플레이(17)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출력 레벨을 입력 받으면, 메인 제어부(100)는 입력 받은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세기의 자기장(B)을 생성하도록 코일 구동 제어부(11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100)는 전술한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입력 받은 출력 레벨에 대응되는 불꽃영상을 생성하도록 불꽃영상 생성부(2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불꽃영상 생성부(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포함된 불꽃영상 생성부의 제어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포함된 불꽃영상 생성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3개의 서브 광원이 포함된 광원과 광학 렌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서브 광원이 포함된 광원과 광학 렌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불꽃영상 생성부(200)는 유도 가열 코일(L)의 일 측에 마련되며, 불꽃영상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광을 출력하는 발광 모듈(210), 발광 모듈(210)로부터 출력된 광을 굴절 또는 전반사시키는 집광 모듈(220),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광학 필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모듈(210)은 광을 출력하는 광원(D), 광원(D)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광원 구동 회로(213), 광원 구동 회로(213)를 제어하는 발광 구동 제어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구성요소로 조리 장치(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메인 제어부(100)에 통합 또는 집적될 수 있는 등 제한은 없다.
광원(D)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광원(D)은 유도 가열 코일(L)의 외곽선에 대응하는 원호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광원 구동 회로(213)로부터 구동 전류를 공급받아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광원(D)은 구동 전류에 의하여 광을 출력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LASER(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등 제한은 없다.
한편, 컬러는 다양한 방법에 따라 표현될 수 있으며, 광원(D) 또한 다양한 컬러 광을 조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을 통해 표현하는 RGB(Red Green Blue) 방식에 따라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광원(D)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광원으로써, 적색 광을 출력하는 R광원(Dr), 녹색 광을 출력하는 G광원(Dg), 청색 광을 출력하는 B광원(Db), 총 3개의 서브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제어신호를 통해 R광원(Dr), G광원(Dg), 및 B광원(Db)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조절하여, R광원(Dr), G광원(Dg), 및 B광원(Db)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컬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광원(D)의 구현 형태가 전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광원(D)은 불꽃영상을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서브 광원 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는 보다 적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브 광원에 연결되는 라인을 줄임으로써 보다 적은 연산량으로 불꽃영상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D)에는 서로 같거나 또는 다른 단색 광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광원(D)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색 광을 방출하는 B광원(Db), 및 적색 광을 방출하는 R광원(Dr)을 2개의 서브 광원으로써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 광원(D)은 청색 광을 방출하는 B광원 만을 서브 광원으로써 포함하거나 또는 3개의 서브 광원으로 B광원와 2개의 R 광원을 포함할 수도 있는 등 제한은 없다.
다시 말해서, 불꽃영상을 어떻게 표현할지에 따라 광원(D) 내에 포함되는 서브 광원의 종류, 배치 형태,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달라질 수 있다. 불꽃영상의 표현방법, 광원 내에 포함되는 서브 광원의 종류, 및 개수에 관한 데이터는 조리 장치(1) 내 메모리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100)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불꽃영상 생성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출력 레벨에 따라 불꽃영상을 보다 사실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전술한 R광원(Dr), G광원(Dg), 및 B광원(Db)이 모두 광원(D)에 포함되어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렌지 컬러가 포함된 불꽃영상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G광원(Dg), 및 R광원(Dr)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세기를 조절시켜야만 한다. 다만, 광원(D) 상에 R광원(Dr), G광원(Dg), 및 B광원(Db)이 전부 포함되는 경우, 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제어에 요구되는 연산량 또한 증가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광원(D)이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으로써, B광원(Db)과, 적어도 하나의 R광원(Dr)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D)에는 서브 광원으로써 R광원(Dr), G광원(Dg), 및 B광원(Db)이 전부 포함될 수도 있는 등 제한은 없다. 광원(D)에 포함된 서브 광원의 종류, 및 개수, 배치 형태에 따라 표현되는 불꽃영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광원 구동 회로(213)는 광원(D)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크기를 제한하는 저항 소자, 및 발광 구동 제어부(211)의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D)에 구동 전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구동 회로(21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집광 부재(220)는 광원(D)이 출력한 광을 반사 또는 굴절시켜 집중시키는 렌즈(221)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221)는 광원(D)과 동일한 개수가 마련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D)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렌즈(22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D)에 의하여 출력된 광의 진행을 변경하는 제1 굴절면(221a), 제1 굴절면(221a)을 투과한 광을 집중시키는 제2 굴절면(221b)를 포함한다.
제1 굴절면(221a)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이 출력되는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수직 상향으로 출력된 광을 조리 용기(C)를 향하여 굴절시킨다.
제2 굴절면(221b)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용기(C)를 향하여 치우쳐 마련되어, 볼록한 형상을 갖을 수 있으며, 제1 굴절면(221a)에 의해 굴절된 광을 집중시킬 수 있다. 제2 굴절면(221b)에 의하여 집중됨으로써 광의 직진성은 향상되고, 이로 인해 더욱 선명한 불꽃영상(FI)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렌즈(221)는 광원(D)에 포함된 서브 광원의 개수에 따라 하나의 초점만이 존재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초점이 존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D)에 서브 광원으로 B광원(Db)만이 포함된 경우, 렌즈(221)는 서브 B광원(Db)으로부터 출력되는 청색 광을 반사 또는 굴절시켜 집중시키기 위해 하나의 초점만이 존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광원(D)에 서브 광원으로 B광원(Db)과 제1 서브 R광원(Dr)이 포함된 경우, 렌즈(221)는 하나의 초점만이 존재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의 서브 광원(Db, Dr)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보다 선명하게 크게 나타내기 위해 2개의 초점이 존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광학 필터(230)는 광학 필터(230)의 외관을 형성하고 광원(D)에 의하여 출력된 광 가운데 조리 용기(C)를 향하지 않는 광을 차단하는 필터 본체(233), 본체(233) 상에 마련되어 광원(D)에 의하여 출력된 광 가운데 조리 용기(C)를 향하는 광만을 투과시키는 슬릿(231)을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슬릿(231)은 출력된 광이 조리 용기(C)를 향하여 진행하는 경로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231)은 제2 굴절면(221b)과 조리 용기(C)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집광 부재(220)를 투과한 광 가운데 조리 용기(C)를 향하는 광은 슬릿(231)을 통과하여 조리 용기(C) 상에 불꽃영상(FI)을 형성할 수 있으며, 조리 용기(C)를 향하지 않는 광은 필터 본체(233)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다.
발광 모듈(210)로부터 출력된 광은 집광 모듈(220)에 의하여 집중되고, 광학 필터(230)를 통과하여 조리 용기(C)의 옆면에 조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용기(C)의 옆면에는 불꽃영상(FI)이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보고 직관적으로 조리 장치(1)의 동작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광 모듈(20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D)의 배치 형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의 배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었을 때 조리용기 상에 표시되는 불꽃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4는 복수의 광원의 배치 형태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었을 때 조리용기 상에 표시되는 불꽃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6 내지 도 18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의 배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었을 때 조리용기 상에 표시되는 불꽃영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복수의 광원의 배치 형태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광원(D)은 유도 가열 코일(L)의 외곽선에 대응되는 원호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모듈(2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코일(L)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광원(D)은 유도 가열 코일(L)의 중심을 기준으로 약 120도의 원호가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약 120도의 원호가 형성되도록 광원(D)이 배치되는 경우, 조리 용기(C)의 옆면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불꽃영상(FI)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의 광원(D)에는 청색 광을 출력하는 B광원과, 적어도 하나의 R광원이 서브 광원으로써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불꽃영상(FI)은 광원(D)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즉 조리 용기(C)의 옆면 중 전방 120도 범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리 장치(1)의 전방에서 불꽃영상(FI)을 용이하게 인식함으로써, 조리 장치(1)의 동작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서는 12개의 광원(D)에 의하여 12개의 불꽃영상(FI)이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광원(D)의 개수 및 불꽃영상(FI)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리 용기(C)의 크기 및 광원(D)이 배치되는 간격에 따라 광원(D)의 개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불꽃영상(FI)의 개수는 배치된 광원(D)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D)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21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코일(L)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광원(D)은 유도 가열 코일(L)의 중심에 대하여 약 180도의 원호가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약 180도의 원호가 형성되도록 광원(D)이 배치되는 경우, 조리 용기(C)의 옆면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불꽃영상(FI)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불꽃영상(FI)은 광원(D)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즉 조리 용기(C)의 옆면 중에 전방 180도 범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리 장치(1)의 전방에서 불꽃영상(FI)을 용이하게 인식함으로써, 조리 장치(1)의 동작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 14 및 도 15에서는 18개의 광원(D)에 의하여 18개의 불꽃영상(FI)이 형성되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D)의 개수 및 불꽃영상(FI)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광원(D)을 포함하는 발광모듈(21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코일(L)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광원(D)은 유도 가열 코일(L)의 중심에 대하여 약 240도의 원호가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약 240도의 원호가 형성되도록 광원(D)이 배치되는 경우, 불꽃영상(FI)은 조리 용기(C)의 옆면 중에 전방 240도 범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리 장치(1)의 전방뿐만 아니라 조리 장치(1)의 측방에서도 불꽃영상(FI)을 인식함으로써, 조리 장치(1)의 동작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광원(D)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210)은 유도 가열 코일(L)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광원(D)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코일(L)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리 장치(1)의 모든 방향에서 불꽃영상(FI)을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는 복수의 광원(D)이 원호를 형성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광원(D)에 의하여 조사된 광이 원형의 조리 용기(C)의 옆면에 자연스러운 불꽃영상(FI)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광원(D)의 배치 형태가 원호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진 조리 용기(예를 들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의 조리 용기)의 경우, 복수의 광원(D)은 직선 또는 영문자 "U"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D)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210)이 유도 가열 코일(L)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원(D)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코일(L)의 직경에 대응되는 길이의 직선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원(D)이 직선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조리 용기(C)의 옆면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불꽃영상(FI)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불꽃영상(FI)은 광원(D)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즉 조리 용기(C)의 옆면 중에 전방 옆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광원(D)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210)은 유도 가열 코일(L)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원(D)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코일(L)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영문자 "U"의 형태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등 제한은 없다. 복수의 광원(D)은 조리 용기(C)의 형태 또는 안내 마크(M)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이하에서는 광원(D)의 구현형태 및 광원(D) 내 서브 광원의 연결형태, 및 그룹핑 형태 등과 같은 발광 모듈(200)의 회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라 3개의 서브 광원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의 배치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2의 발광 모듈 내부 구성 요소간의 연결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는 도 22의 발광 모듈 내부 구성 요소간의 연결 형태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개의 광원(D)이 유도 가열 코일(L)의 중심으로부터 대략 120도의 원호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었을 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1을 참조하면, 발광 모듈(210)은 광을 출력하는 제1 내지 제12 광원(D1~D12), 제1 내지 제12 광원(D1~D12)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칭 소자(S), 광원(D)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크기를 제한하는 저항 소자(R) 및 스위칭 소자(S)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발광 구동 제어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 소자(S)와 저항 소자(R)는 광원 구동 회로(213)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12 광원(D1~D12), 즉 복수의 광원(D1~D12)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색의 광을 출력하는 R광원, 녹색의 광을 출력하는 G광원, 청색의 광을 출력하는 B광원을 서브 광원으로써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광원(D1~D12) 각각이 전술한 바와 같이, 불꽃의 형태에 따라 청색의 광을 출력하는 B광원 만을 서브 광원으로써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R광원을 서브 광원으로써 더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의 광원(D1~D12) 각각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복수 개의 광원(D1~D12) 각각에 대해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복수 개의 광원(D1~D12)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발광 구동 제어부(211)는 복수 개의 광원(D1~D12) 별로 또는 복수 개의 광원(D1~D12)에 포함된 서브 광원 별로 제어할 수 있는 등 제한은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동 신호라 함은 구동 출력이라 하기도 하며, 구동 전류 또는 구동 전압 등을 통칭한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복수 개의 광원(D1~D12)를 그룹 제어할 수 있다. 발광 구동 제어부(211)는 복수 개의 광원(D1~D12)을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그룹 별로 구동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그룹 제어가 가능하다. 여기서,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복수 개의 광원(D1~D12)을 그룹 제어하는 방법으로써, 각 그룹에 포함된 광원 각각에 대해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구동 제어부(215)는 그룹에 포함된 서브 광원의 입력 단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또는, 조리 장치(1)를 설계함에 있어, 그룹에 포함된 복수 개의 서브 광원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 광원의 입력 단은 하나로 통일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그룹 내 속한 서브 광원과 연결된 입력 단을 미리 파악하고, 파악한 입력 단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그룹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D1~D12) 각각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광원(Db1~Db12), 제1 R광원(Dbr11~Dbr112), 및 제2 R광원(Dbr21~ Dbr22)을 서브 광원으로써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D1~D12) 각각은 스위칭 소자, 및 저항 소자를 거쳐 발광 구동 제어부(215)와 개별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그룹 연결될 수 있다.
도 23를 참조하면, 제1 광원(D1)의 제1 R광원(Dr11), 및 제2 광원(D2)의 제1 R광원(Dr12), 제3 광원(D3)의 제1 R광원(Dr13)의 입력 단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광원(D1)의 제1 R광원(Dr11), 및 제2 광원(D2)의 제1 R광원(Dr12), 제3 광원(D3)의 제1 R광원(Dr13)은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발광 구동 제어부(215)의 출력 단과 하나의 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D1)의 B광원(Db1), 및 제2 광원(D2)의 B광원(Db2), 제3 광원(D3)의 B광원(Db3)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광원(D1)의 제2 R광원(Dr21), 및 제2 광원(D2)의 제2 R광원(Dr22), 제3 광원(D3)의 제2 R광원(Dr23)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4 내지 제12 광원(D4~D12)에 포함된 서브 광원들 또한 제1 내지 제3 광원(D1~D3)의 서브 광원과 동일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불꽃영상을 생성함에 있어 요구되는 연산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절감을 함께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직렬로 연결된 서브광원의 동시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복수 개의 광원(D1~D12)을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광원(D1~D12)은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광원끼리 그룹핑될 수 있다.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복수의 광원(D1~D12)을 인접한 영역 별로 4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그룹핑하고, 각각에 대해 구동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그룹 별 광원 제어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에 따라 그룹을 분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브 광원의 연결형태 또한 고려하여 그룹을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그룹은 제1 내지 제3 광원(D1~D3)이 포함될 수 있고, 제2 그룹은 제4 내지 제6 광원(D4~D6)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3 그룹은 제7 내지 제9 광원(D7~D9)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4 그룹은 제10 내지 제12 광원(D10~D12)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그룹에는 제1 R광원(Dr11~Dr13), B광원(Db1~Db3) 및 제2 R광원(Dr21~Dr23)이 서브 광원으로써 포함될 수 있고, 제2 그룹에는 제1 R광원(Dr14~Dr16), B광원(Db4~Db6) 및 제2 R광원(Dr24~Dr26)이 서브 광원으로써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3 그룹에는 제1 R광원(Dr17~Dr19), B광원(Db7~Db9) 및 제2 R광원(Dr27~Dr29)이 서브 광원으로써 포함될 수 있고, 제4 그룹에는 제1 R광원(Dr110~Dr112), B광원(Db10~Db12) 및 제2 R광원(Dr210~Dr212)이 서브 광원으로써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그룹 형태가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광원끼리 설정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브 광원 간의 연결형태 또한 인접한 서브 광원끼리 직렬 연결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광원(D1~D12)에 포함된 서브 광원들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서브 광원 간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서브 광원 간에 그룹핑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 광원(D1)의 제1 R광원(Dr11), 및 제5 광원(D5)의 제1 R광원(Dr15), 제9 광원(D9)의 제1 R광원(Dr19)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D1)의 B광원(Db1), 및 제5 광원(D5)의 B광원(Db5), 제9 광원(D9)의 B광원(Db9)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광원(D1)의 제2 R광원(Dr21), 및 제5 광원(D5)의 제2 R광원(Dr52), 제9 광원(D9)의 제2 R광원(Dr29)은 직렬로 연결되어, 구동 신호를 통해 동시 제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동 제어부(215)가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동 제어부(215)가 불꽃영상을 제어함에 있어 필요한 연산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광원을 그룹핑하여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복수의 광원(D1~D12)을 4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그룹핑하고, 각각에 대해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그룹 별 광원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그룹에는 제1, 제5, 및 제9 광원(D1, D5, D9)이 포함될 수 있고, 제2 그룹에는 제2, 제6, 및 제10 광원(D2, D6, D10)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3 그룹(G3)에는 제3, 제7, 및 제11 광원(D3, D7, D11)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4 그룹(G4)에는 제4, 제8, 제12 광원(D4, D8, D12)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광 출력을 그룹 별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서브 광원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의 배치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었을 때 조리용기 상에 표시되는 불꽃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5의 발광 모듈 내부 구성 요소간의 연결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8은 도 25의 발광 모듈 내부 구성 요소간의 연결 형태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복수의 광원(D1~D12)에는 B광원, 및 하나의 R광원이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을 참조하면, 복수의 광원(D1~D12)에는 B광원(Db1-Db12), 및 R광원(Dr1-Dr12)이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조리 용기(C) 상에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불꽃영상(FI)이 나타날 수 있다.
2개의 서브광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D1~D12)에 포함된 서브 광원 간의 연결형태, 및 그룹핑 형태 또한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을 참조하면, 제1 광원(D1)의 R광원(Dr1), 제2 광원(D2)의 R광원(Dr2), 및 제3 광원(D3)의 R광원(Dr3)은 직렬 연결되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하나의 출력 단을 통해 전술한 서브 광원에 대해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D1)의 B광원(Db1), 제2 광원(D2)의 B광원(Db2), 및 제3 광원(D3)의 B광원(Db3)은 직렬 연결되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하나의 출력 단을 통해 전술한 서브 광원에 대해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제1 내지 제3 광원(D1~D3)에 포함된 서브 광원(Dr1~Dr3, Db1~Db3)을 제1 그룹으로, 제4 내지 제6 광원(D4~D6)에 포함된 서브 광원(Dr4~Dr6, Db4~Db6)을 제2 그룹으로, 제7 내지 제9 광원(D7~D9)에 포함된 서브 광원(Dr7~Dr9, Db7~Db9)을 제3 그룹으로, 제10 내지 제12 광원(D10~D12)에 포함된 서브 광원(Dr10~Dr12, Db10~Db12)을 제4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그룹 별로 구동 신호를 전달하여 그룹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제1, 3, 및 5 광원(D1, D3, D5)에 포함된 서브 광원(Dr1, Dr3, Dr5, Db1, Db3, Db5)을 제1 그룹으로, 제2, 4, 및 6 광원(D2, D4, D6)에 포함된 서브 광원(Dr2, Dr4, Dr6, Db2, Db4, Db6)을 제2 그룹으로, 제7, 9, 및 11 광원(D7, D9, D11)에 포함된 서브 광원(Dr7, Dr9, Dr11, Db7, Db9, Db11)을 제3 그룹으로, 제8, 10, 및 12 광원(D8, D10, D12)에 포함된 서브 광원(Dr8, Dr10, Dr12, Db8, Db10, Db12)을 제4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도 있는 등 제한은 없다.
또 다른 예로 도 28을 참조하면, 제1 광원(D1)의 R광원(Dr1), 제5 광원(D5)의 R광원(Dr5), 및 제9 광원(D9)의 R광원(Dr9)은 직렬 연결되어, 하나의 출력 단으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D1)의 B광원(Db1), 제5 광원(D5)의 B광원(Db5), 및 제9 광원(D9)의 B광원(Db9)은 직렬 연결되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하나의 출력 단을 통해 전술한 서브 광원에 대해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동 제어부(218)는 제1, 제5, 제9 광원(D1, D5, D9)에 포함된 서브 광원(Dr1, Dr5, Dr9, Db1, Db5, Db9)을 제1 그룹으로, 제2, 제6, 제10 광원(D2, D6, D10)에 포함된 서브 광원(Dr2, Dr6, Dr10, Db2, Db6, Db10)을 제2 그룹으로, 제3, 제7, 및 제11 광원(D3, D7, D11)에 포함된 서브 광원(Dr3, Dr7, Dr11, Db3, Db7, Db11)을 제3 그룹으로, 제4, 제8, 및 제12 광원(D4, D8, D12)에 포함된 서브 광원(Dr4, Dr8, Dr12, Db4, Db8, Db12)을 제4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그룹 별로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그룹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서브 광원은 하나의 출력 단을 통해 구동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서브 광원 간의 연결형태, 복수의 광원(D1~D12)의 배치형태 등을 고려하여 직렬 연결될 서브 광원들을 분할하여 복수 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한 다음, 그룹 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는 불꽃영상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연산량을 줄일 뿐만 아니라, 모든 출력 단에 동일하게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보다 움직임이 자연스러운 불꽃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9는 하나의 서브 광원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의 배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0은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었을 때 조리용기 상에 표시되는 불꽃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9의 발광 모듈 내부 구성 요소간의 연결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2는 도 29의 발광 모듈 내부 구성 요소간의 연결 형태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복수의 광원(D1~D12)은 각각 하나의 B광원(Db1~Db12)를 서브 광원으로써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불꽃영상(FI)을 조리 용기(C)의 옆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31을 참조하면, 제1 광원(D1)의 B광원(Db1), 제5 광원(D5)의 B광원(Db5), 및 제9 광원(D9)의 R광원(Db9)은 직렬 연결되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과 하나의 출력 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광원(D2)의 B광원(Db2), 제6 광원(D6)의 B광원(Db6), 및 제10 광원(D10)의 B광원(Db10)은 직렬 연결되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과 하나의 출력 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광원(D3)의 B광원(Db3), 제7 광원(D7)의 B광원(Db7), 및 제10 광원(D10)의 R광원(Db10)은 직렬 연결되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과 하나의 출력 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 광원(D4)의 B광원(Db4), 제8 광원(D8)의 B광원(Db8), 및 제12 광원(D12)의 R광원(Db12)은 직렬 연결되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과 하나의 출력 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제1 광원(D1)의 B광원(Db1), 제5 광원(D5)의 B광원(Db5), 및 제9 광원(D9)의 R광원(Db9)을 제1 그룹으로, 제2 광원(D2)의 B광원(Db2), 제6 광원(D6)의 B광원(Db6), 및 제10 광원(D10)의 B광원(Db10)을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제3 광원(D3)의 B광원(Db3), 제7 광원(D7)의 B광원(Db7), 및 제10 광원(D10)의 R광원(Db10)을 제3 그룹으로, 제4 광원(D4)의 B광원(Db4), 제8 광원(D8)의 B광원(Db8), 및 제12 광원(D12)의 R광원(Db12)을 제4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이외에도,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제1 광원(D1)의 B광원(Db1), 제5 광원(D5)의 B광원(Db5), 및 제9 광원(D9)의 R광원(Db9) 및 제2 광원(D2)의 B광원(Db2), 제6 광원(D6)의 B광원(Db6), 및 제10 광원(D10)의 B광원(Db10)을 제1 그룹으로, 제3 광원(D3)의 B광원(Db3), 제7 광원(D7)의 B광원(Db7), 및 제10 광원(D10)의 R광원(Db10), 및 제4 광원(D4)의 B광원(Db4), 제8 광원(D8)의 B광원(Db8), 및 제12 광원(D12)의 R광원(Db12)을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한편, 제1 내지 제2 광원(D1~D12)의 B광원(Db1~Db12)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1 내지 제12 저항 소자(R1~R12), 및 제1 내지 제12 스위칭 소자(S1~S12)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다양한 방법으로 복수의 광원(D1~D12)을 그룹핑할 수 있으며, 그룹 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도 32에 도시된 제1 내지 제12 광원(D1~D12)의 B광원(Db1~Db12) 각각을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함으로써, 총 12개의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제1 광원(D1)의 B광원(Db1)을 제1 그룹으로, 제2 광원(D2)의 B광원(Db2)을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12개의 그룹을 생성하고, 12개의 그룹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제1 내지 제4 광원(D1~D4)의 B광원(Db1~Db4)을 제1 그룹으로, 제5 내지 제8 광원(D5~D8)의 B광원(Db5~Db8)을 제2 그룹으로, 제9 내지 제12 광원(D9~D12)의 B광원(Db9~Db12)을 제3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는 등 그룹 설정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그룹핑 방법, 즉 그룹 설정방법은 알고리즘,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로 구현되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 또는 메인 제어부(100)의 메모리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광 모듈(210)의 광원 구동 회로(213)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복수의 스위칭 소자(S1~S12)는 복수의 광원(D1~D12)로의 구동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복수의 스위칭 소자(S1~S12)와 복수의 광원(D1~D12) 사이에는 저항 소자(R1~R12)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칭 소자(S1)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제1 광원(D1)의 제1 R광원(Dr11), 제2 광원(D2)의 제1 R광원(Dr12), 및 제3 광원(D3)의 제1 R광원(Dr13)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전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S1~S12)의 온(on)/오프(off)에 따라 복수의 광원(D1~D12)의 서브 광원으로 공급되거나 또는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스위칭 소자(S1~S12)의 온/오프는 발광 구동 제어부(215)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칭 소자(S1)가 온되면, 제1 스위칭 소자(S1)와 직렬로 연결된 제1 광원(D1)의 제1 R광원(Dr11), 제2 광원(D2)의 제1 R광원(Dr12), 및 제3 광원(D3)의 제1 R광원(Dr13)로 구동 전류가 공급되며, 이로 인해 제1 광원(D1)의 제1 R광원(Dr11), 제2 광원(D2)의 제1 R광원(Dr12), 및 제3 광원(D3)의 제1 R광원(Dr13)는 각각 적색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예를 들어, 제1 스위칭 소자(S1)가 오프되면, 제1 스위칭 소자(S1)와 직렬로 연결된 제1 광원(D1)의 제1 R광원(Dr11), 제2 광원(D2)의 제1 R광원(Dr12), 및 제3 광원(D3)의 제1 R광원(Dr13)로 구동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제1 광원(D1)의 제1 R광원(Dr11), 제2 광원(D2)의 제1 R광원(Dr12), 및 제3 광원(D3)의 제1 R광원(Dr13)은 각각 어떠한 광도 출력하지 않는다.
여기서, 복수의 스위칭 소자(S1~S12)는 금속-산화물-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또는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전류에 따라 온/오프되는 기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전기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저항 소자(R1~R12)는 복수의 광원(D1~D12)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칭 소자(S1~S12)와 복수의 광원(D1~D12) 사이에 복수의 저항성 소자(R1~R12)이 없다면, 복수의 광원(D1~D12) 각각에는 매우 큰 구동 전류가 공급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복수의 광원(D1~D12)뿐만 아니라, 복수의 스위칭 소자(S1~S12)는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광원 구동 회로(213)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S1~S12)와 복수의 광원(D1~D12) 사이에 복수의 저항성 소자(R1~R12)가 위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발광 모듈(210)에는 발광 모듈(2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발광 구동 제어부(215)가 마련될 수 있다.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통해 발광 모듈(210) 내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메인 제어부(100)로부터 전달 받은 제어 신호를 기초로 스위칭 소자(S1~S12)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제어 신호를 통해 스위칭 소자(S1~S12) 전부를 온시킬 수 있다. 그러면, 조리 용기(C)의 옆면 상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불꽃영상(FI)이 나타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제어 신호를 통해 스위칭 소자(S1~S12) 전부를 오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조리 용기(C)의 옆면 상에는 나타났던 불꽃영상(FI)은 전부 사라질 수 있다.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 명령, 복수의 광원의 그룹 형태, 및 미리 설정된 동작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스위칭 소자(S1~S12)의 온/오프를 그룹 별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광 구동 제어부(215)가 다양한 파라미터에 따라 그룹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광원이 연결되었을 때를 전제로 설명하도록 하나, 후술할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4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그룹의 주기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면이고, 도 34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5a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그룹의 주기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면이고, 도 35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6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그룹의 주기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6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7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4 그룹의 주기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7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4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8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그룹의 주기신호 및 랜덤신호가 합성된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8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면이다. 또한, 도 39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그룹의 주기신호 및 랜덤신호가 합성된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9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면이다. 또한, 도 40a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그룹의 주기신호 및 랜덤신호가 합성된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0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면이다. 또한, 도 41a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4 그룹의 주기신호 및 랜덤신호가 합성된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4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 다이얼(15)을 조작하여 출력 레벨을 조절하는 경우, 메인 제어부(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20)로부터 출력 레벨의 조절 명령을 수신하여, 발광 구동 제어부(215)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사용자가 입력한 출력 레벨에 대응되도록 조리 용기(C)의 옆면에 형성되는 불꽃영상(FI)의 밝기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출력 레벨에 대응되도록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를 통해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동 신호를 복수의 광원(D1~D12) 인가함으로써, 복수의 광원(D1~D12)에서 출력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그룹 별로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동 신호를 그룹 별로 인가함으로써, 보다 사실적인 불꽃영상이 조리 용기(C) 상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일정한 주기를 갖는 주기 신호에 대해 펄스 폭 변조를 수행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주기 신호는 일정한 주기를 갖는 신호로써, 사인(sine) 신호, 코사인(cosine) 신호 등 기 공지된 다양한 주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펄스 폭 변조를 위한 펄스 폭 주기를 설정하고, 펄스 폭 변조 주기 내에서 스위칭 소자(S1~S12)에 출력하는 온 신호의 듀티비(duty rate)를 조절한 구동 신호를 생성한 다음, 생성한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출력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펄스 폭 변조를 위한 펄스 폭 주기는 주기 신호가 갖는 주기에 대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온 신호의 듀티비는 펄스 폭 변조 주기에 대한 온 신호의 출력 시간의 비율을 의미한다. 도 33에서 펄스 폭 변조 주기는 T0에 대응되고, 온 신호의 출력 시간은 T1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스위칭 소자(S1)와 연결된 서브 광원(Dr11, Dr12, Dr13)이 최대 세기의 광을 출력하도록 도 3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S1)에 출력하는 온 신호의 듀티비를 100%로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스위칭 소자(S1)와 연결된 서브 광원(Dr11, Dr12, Dr13)이 50% 세기의 광을 출력하도록 도 3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 신호의 듀티비를 50%로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스위칭 소자(S1)와 연결된 서브 광원(Dr11, Dr12, Dr13)이 광을 출력하지 않도록 도 3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 신호의 듀티비를 0%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S1~S12)에 대한 온 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한 구동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복수의 광원(D1~D12)에서 출력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그룹 별로 광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불꽃영상(FI)의 밝기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보다 사실적으로 불꽃영상을 표현하기 위해, 일률적으로 각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크기를 줄이기 보다는, 그룹 별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레벨의 조절 명령에 따라 복수의 광(D1~D12)에서 출력되는 광의 세기 조절이 필요한 경우,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복수 개의 그룹과 연결된 서브 광원 전부의 출력 세기를 동시에 조절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출력 레벨이 9에서 5로 조절되는 경우,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제1 그룹부터 제4 그룹으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광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그룹 별로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그룹 별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 간의 위상 차를 두어, 순차적으로 광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보다 사실적인 불꽃영상을 표현하기 위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미리 설정된 출력 레벨 이하에서는 복수 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구동 신호의 인가를 중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미리 설정된 출력 레벨 이하의 경우,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복수 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서는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보다 생동감 있는 불꽃영상을 표현하기 위해, 그룹 별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 간에 차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D1~D12)이 4개의 그룹으로 분할된 경우,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4개의 그룹으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기초가 되는 주기 신호 간에 위상 차를 설정할 수 있다.
구동 신호, 즉 펄스 폭 변조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기 신호에 대해 펄스 폭 변조를 수행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사인(sine) 신호에 대해 펄스 폭 변조를 수행하여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복수의 광원(D1~D12)의 입력 단에 인가할 수 있다.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제1 그룹의 주기 신호와 제2 그룹의 주기 신호 간의 위상차가 90°, 제2 그룹의 주기 신호와 제3 그룹의 주기 신호 간의 위상차가 90°, 제3 그룹의 주기 신호와 제4 그룹의 주기 신호 간의 위상차가 90°가 되도록 4개의 사인 파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도 34a는 제1 그룹의 사인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5a는 제2 그룹의 사인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6a는 제3 그룹의 사인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7a는 제4 그룹의 사인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래프의 x축은 위상에 대응되나 시간으로도 표현 가능하며, y축은 전압에 대응되나 전류로도 표현 가능할 수 있다.
이때, 도 34a의 사인 신호와 도 35a의 사인 신호 간의 위상 차는 90°이고, 도 35a의 사인 신호와 도 36a의 사인 신호 간의 위상 차는 90°이고, 도 36a의 사인 신호와 도 37a의 사인 신호 간의 위상 차는 90°이고, 도 37a의 사인 신호와 도 38a의 사인 신호 간의 위상 차는 90°일 수 있다.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도 34a, 도 35a, 도 36a, 및 도 37a와 같은 사인 신호를 생성한 다음, 각각의 사인 신호에 대해 펄스 폭 변조를 수행하여 도 34b, 도 35b., 도 36b., 도 37b와 같은 구동 신호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각 그룹과 연결된 출력 단으로 생성한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는 복수의 광원(D1~D12)에서 출력되는 광 간에 차이를 두어, 보다 생동감 있는 불꽃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보다 사실적인 불꽃영상을 나타내기 위해 주기 신호에 비 주기 신호를 더한 다음, 펄스 폭 변조를 수행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도 34a, 도 35a, 도 36a, 및 도 37a와 같은 사인 신호 각각에 비주기 신호의 일 예로써 랜덤(random) 신호를 더할 수 있다. 도 38a는 제1 그룹의 신호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9a는 제2 그룹의 신호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0a는 제3 그룹의 신호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1a는 제4 그룹의 신호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도 34a, 도 35a, 도 36a, 도 37a와 같은 사인 신호 각각에 랜덤 신호를 더하여 도 38a, 도 39a, 도 40a, 도 4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 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하기 수학식 1을 기초로 전술한 신호 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인가 신호는 펄스 폭 변조가 수행되기 전의 구동 신호를 의미하고, Offset은 서브 광원이 광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구동 출력 값으로써, 전류 또는 전압 값일 수 있다. 또한, Gain은 이득을 의미하고, Sine(Angle+ θ)은 사인 신호를 의미할 수 있고, Random()은 랜덤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θ값은 그룹 별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제1 그룹으로 인가되는 인가 신호에 대해서는 θ값으로 0을, 제2 그룹으로 인가되는 인가 신호에 대해서는 θ값으로 90°을, 제3 그룹으로 인가되는 인가 신호에 대해서는 θ값으로 180°을, 제4 그룹으로 인가되는 인가 신호에 대해서는 θ값으로 270°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펄스 폭 변조를 통해 생성되어, 제1 내지 제4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각각 도 38b, 도 39b, 도 40b, 및 도 41b과 같은 신호 파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그룹 별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 간의 차이를 둘 뿐만 아니라, 랜덤 신호를 기초로 구동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생동감 있는 불꽃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다양한 그룹 제어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먼저 동작 개시/정지 명령을 입력 받음에 따라 조리 장치(1)가 수행하는 그룹 제어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2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점화 개시 명령, 및 출력 레벨 조절 명령의 입력에 따른 발광 모듈의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3a, 도 43b, 및 도 43c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점화 개시 명령에 따른 동작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4a, 도 44b, 및 도 44c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점화 개시 명령에 따른 동작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42를 참조하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동작 개시 명령의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410).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동작 개시 명령을 입력 받으면,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메인 제어부(100)에 동작 개시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메인 제어부(100)로부터 동작 개시 명령을 전달 받음으로써, 동작 개시 명령의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개시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기 설정된 점화패턴에 기초하여 발광 모듈(200) 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415).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D1~D12)은 도 43a 내지 도 4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하나의 B광원(Db1~Db12)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복수의 B광원(Db1~Db12) 중 적어도 하나부터 순차적으로 광을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점화가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게 한다.
일 실시예로,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도 4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B광원(Db1)부터 광을 출력시켜 하나의 불꽃영상을 생성한 다음, 제2 B광원(Db2), 제3 B광원(Db3), 제4 B광원(Db4), 제5 B광원(Db5), 및 제6 B광원(Db6)이 순차적으로 광을 출력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도 4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6 B광원(Db1~Db6)에서 광을 출력시킴으로써, 6개의 불꽃영상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제7 B광원(Db7), 제8 B광원(Db8), 제9 B광원(Db9), 제10 B광원(Db10) 제11 B광원(Db11), 및 제12 B광원(Db12)이 순차적으로 광을 출력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도 4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12 B광원(Db1~Db12)에서 광을 출력시켜 12개의 불꽃영상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점화가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도 4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및 제7 B광원(Db6, Db7)부터 광을 출력시켜 2개의 불꽃영상을 생성한 다음, 도 4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내지 제9 B광원(Db4~Db9)에서 광을 출력시켜 6개의 불꽃영상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점등을 증가시켜 도 4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12 B광원(Db1~Db12)에서 광이 출력되어 12개의 불꽃영상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점화가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게 할 수 있다.
즉,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순차적으로 광을 출력시켜 불꽃영상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시간이라 함은 실제 점화가 이루어질 때 모든 불꽃이 나타나는데 통상적으로 걸리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는 발광 구동 제어부(215) 또는 메인 제어부(100)의 메모리에 기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추후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동작 중에 있어,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출력 레벨의 조절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메인 제어부(100)로부터 출력 레벨의 조절 명령을 전달아, 사용자가 입력한 출력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420).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입력 받은 출력 레벨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광(D1~D12)에서의 출력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모든 그룹에서 출력되는 광의 세기를 동시에 조절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해서만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등, 불꽃영상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출력 레벨 이하이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복수 개의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구동 신호의 인가를 중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가스레인지의 불꽃을 경험하는 느낌을 받게 할 수 있다.
도 4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가 입력 받은 출력 레벨 값에 대응되도록 그룹별 구동 전류 값을 계산하는 동작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출력 레벨의 조절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코일 구동 제어부(115)는 메인 제어부(100)로부터 출력 레벨의 조절 명령을 전달 받아, 유도 가열 코일(L)에 의해 유도된 자기장의 세기가 입력 받은 출력 레벨에 대응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메인 제어부(100)로부터 출력 레벨의 조절 명령을 전달 받아, 출력 레벨에 대응되도록 불꽃영상의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그룹 별로 구동 전류 값을 계산할 수 있다(445).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전류 값에 차이를 두어, 일률적인 불꽃영상을 복수 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생동감 있는 불꽃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위상만큼 각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전류 값에 차이가 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 개의 광원이 3개의 그룹으로 그룹핑된 경우,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각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 간에 120°의 위상차가 나도록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전류 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복수 개의 광원이 6개의 그룹으로 그룹핑된 경우,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각 그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 간에 60°의 위상차를 주도록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전류 값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러면,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계산한 구동 전류 값에 따라 그룹 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450).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계산한 구동 전류 값에 따라 각 그룹에 속한 입력 단에 구동 전류를 인가하여, 그룹 별로 불꽃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구동 제어부(215)는 일률적으로 불꽃영상을 나타내는 것보다 생동감 있는 불꽃영상이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적으로 복수의 광원을 제어하는 것보다 저 복잡도로 복수의 광원 제어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광원에 포함된 서브 광원의 개수에 따른 렌즈의 구현 형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광원이 3개의 서브 광원을 포함하고 있을 때의 렌즈 구현형태 및 불꽃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라 광원이 2개의 서브 광원을 포함하고 있을 때의 렌즈 구현형태 및 불꽃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8은 일 실시예에 따라 광원이 1개의 서브 광원을 포함하고 있을 때의 렌즈 구현형태 및 불꽃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9는 조리 장치의 제어 블록도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렌즈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D)에 포함된 서브 광원의 개수에 따라 하나의 초점만이 존재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초점이 존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D)은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R광원(Dr1, Dr2)와 B광원(D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렌즈는 하나의 초점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렌즈(221)는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초점(C, C1, C2)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 초점(C)은 B광원(Db)으로부터 출력되는 청색 광을 보다 선명하게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초점(C1)은 제1 R광원(Dr1)으로부터 출력되는 적색 광을 보다 선명하게 확대시킬 수 있다. 제3 초점(C2)은 제2 R광원(Dr2)으로부터 출력되는 적색 광을 보다 선명하게 확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불꽃영상(F1)은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적색 불꽃과 중앙의 청색 불꽃이 보다 선명하고 확대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광원(D)은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R광원(Dr)과 B광원(D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렌즈는 하나의 초점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렌즈(221)는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초점(C, C1)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 초점(C)은 B광원(Db)으로부터 출력되는 청색 광을 보다 선명하게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초점(C1)은 R광원(Dr)으로부터 출력되는 적색 광을 보다 선명하게 확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불꽃영상(F2)은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꽃 영상(F2)의 상단 영역의 적색과 하단 영역의 청색이 보다 선명하고 확대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광원(D)은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B광원(Db) 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렌즈(221)는 하나의 초점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불꽃영상(F3)은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확대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코일 구동부(110)의 구성요소, 및 불꽃영상 생성부(200)의 구성요소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메인 제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9를 참조하면, 코일 구동부(110)의 코일 구동 제어부(115, 도 4), 및 불꽃영상 생성부(200)의 발광 구동 제어부(215, 도 4)는 메인 제어부(101, 도 49)에 통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101)는 코일 구동 제어부(115, 도 4), 및 발광 구동 제어부(215, 도 4)의 동작을 통합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코일 구동 제어부(115, 도 4), 및 발광 구동 제어부(215, 도 4)의 동작 중 일부 만을 메인 제어부(101)가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코일 구동 제어부(115, 도 4), 및 발광 구동 제어부(215, 도 4)가 수행하는 동작들의 수행주체가 메인 제어부(101)로 바뀐 것일 뿐이고 동작은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조리 장치(1)의 동작 흐름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0은 복수의 광원에 대한 구동 출력 값을 계산하고, 계산한 구동 출력 값에 따라 불꽃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조리 장치의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조리 장치는 입력 받은 제어 명령, 및 복수의 광원을 분할한 그룹 형태, 및 미리 설정된 동작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복수의 광원에 대한 구동 출력 값을 계산할 수 있다(500). 여기서, 구동 출력 값은 구동 신호에 따른 출력 값으로써, 전압값 또는 전류 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장치는 계산한 구동 출력 값에 기초하여 불꽃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있다(510).
조리 장치는 받은 제어 명령, 및 복수의 광원을 분할한 그룹 형태, 및 미리 설정된 동작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보다 사실감 있는 불꽃영상을 나타내기 위한 그룹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명령 중 일 예로써 동작 개시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조리 장치는 미리 설정된 동작패턴으로써, 특정 그룹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불꽃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는 배치된 서브 광원 중에서 도 4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에 배치된 제1 B광원(Db1)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광을 출력하여 불꽃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조리 장치는 배치된 서브 광원 중에서 도 4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배치된 제 6, 및 제7 B광원(Db6, Db7)를 중심으로 양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광을 출력하여 불꽃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 명령 중 일 예로써 동작 중지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조리 장치는 미리 설정된 동작패턴으로써, 모든 불꽃영상이 동시에 사라지도록 구동 전류의 인가를 중단할 수 있다. 또는, 조리 장치는 미리 설정된 동작패턴으로써, 그룹 제어를 통해 순차적으로 구동 전류의 인가를 중단하여, 불꽃영상이 보다 자연스럽게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 명령 중 일 예로써 출력 레벨 조절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조리 장치는 미리 설정된 동작패턴으로써 모든 불꽃영상의 크기 및 컬러가 동시에 조절하기 위해, 조절된 구동 전류를 모든 그룹에 대해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또는, 조리 장치는 미리 설정된 동작패턴으로써, 그룹 별로 순차적으로 조절된 구동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럽게 불꽃영상의 크기 및 컬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출력 레벨 이하면, 조리 장치는 미리 설정된 동작패턴으로써, 미리 설정된 그룹에 대해서는 구동 전류의 인가를 중단함으로써, 보다 사실적으로 불꽃영상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는 그룹 형태의 일 예로써, 그룹의 개수에 따라 구동 신호 간의 위상차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조리 장치는 그룹에 포함된 서브 광원 간의 간격에 따라, 구동 신호의 인가 순서, 또는 그룹 별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 간의 위상차, 시간차 등을 결정할 수도 있는 등 제한은 없다.
또한, 조리 장치는 동작 중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조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중 이상 발생이라 함은 조리 장치 자체의 이상 발생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동작 중 이상 발생이라 함은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이상 발생, 예를 들어 유도 가열 코일을 통해 가열 가능한 조리 용기가 아님에도 사용자가 조리판에 조리 용기를 올려놓아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동작 중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조리 장치는 미리 설정된 동작패턴 중 일 예로써 대응조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는 복수의 광원 중 일부 또는 전부에서 적색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조리 장치는 복수의 광원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점멸되도록 구동 전류의 인가를 제어하거나 또는 복수의 광원을 통해 출력되는 광이 깜빡이도록 구동 전류의 인가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미리 설정된 동작패턴들은 그룹형태, 예를 들어 그룹 내에 어떠한 서브광원이 포함되었는지, 서브광원이 개수가 어떠한지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그룹에 속한 서브 광원의 위치, 및 그룹에 속한 서브 광원 간의 간격 등에 따라서도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미리 설정된 동작패턴은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수행되는 대응조치 프로세스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미리 설정된 동작패턴에 따라 발광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은 알고리즘,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로 구현되어, 조리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 저장될 수 있으며, 업데이트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unit)", "~기", "~블록(block)", "~부재(member)", "~모듈(module)"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구성일 수 있다.
1: 조리 장치, 10: 본체

Claims (20)

  1. 조리 용기 상에 광을 조사하며, 복수 개의 그룹으로 그룹핑되는 복수의 광원;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 명령, 상기 복수 개의 그룹의 그룹핑 형태, 및 미리 설정된 동작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그룹 제어를 수행하여 불꽃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발광 구동 제어부;
    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은,
    청색 광을 출력하는 서브 광원, 및 적색 광을 출력하는 서브 광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을 포함하는 조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 간에는, 하나의 입력 단을 통해 상기 발광 구동 제어부와 연결되는 조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구동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그룹의 그룹핑 형태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그룹으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 간의 위상차 또는 시간차를 설정하는 조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동작 개시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발광 구동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에서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해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불꽃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조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동작 정지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발광 구동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구동 신호의 인가를 중지하고, 미리 설정된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의 인가를 중지하는 조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력 레벨에 관한 조절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발광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받은 출력 레벨에 관한 조절 명령에 대응되도록 조절한 구동 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그룹에 동시에 인가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조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출력 레벨 이하이면,
    상기 발광 구동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해 구동 신호의 인가를 중지하는 조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출력 레벨 이하이면,
    상기 발광 구동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의 그룹에 대해 구동 신호의 인가를 중지하고, 다른 하나의 그룹에 대해서는 상기 입력 받은 출력 레벨에 대응되도록 조절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조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집중시키는 렌즈;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 상에 마련되는 초점의 개수는, 상기 광원에 포함된 서브 광원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기 설계되는 조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구동 제어부는,
    동작 중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구동신호의 인가를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서 적색 광이 출력되도록 구동신호의 인가를 제어하는 조리 장치.
  12.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 명령, 복수 개의 광원을 분할하여 형성한 복수 개의 그룹의 그룹핑 형태, 및 미리 설정된 동작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광원에 대한 구동 출력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한 구동 출력 값에 기초하여 불꽃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원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 간에는, 하나의 라인을 통해 직렬 연결되는 조리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그룹의 그룹핑 형태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그룹으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 간의 위상차 또는 시간차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동작 개시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에서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해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불꽃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불꽃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조리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동작 정지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구동 신호의 인가가 중지되도록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의 인가가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조리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력 레벨에 관한 조절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입력 받은 출력 레벨에 관한 조절 명령에 대응되도록 조절한 구동 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그룹에 동시에 인가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조리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출력 레벨 이하이면,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해 구동 신호의 인가를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조리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출력 레벨 이하이면,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의 그룹에 대해 구동 신호의 인가가 중지되도록 제어하고, 다른 하나의 그룹에 대해서는 상기 입력 받은 출력 레벨에 대응되도록 조절한 구동 신호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조리 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동작 중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구동신호의 인가가 중지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서 적색 광이 출력되도록 구동신호의 인가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조리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70000762A 2017-01-03 2017-01-03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9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62A KR20180079963A (ko) 2017-01-03 2017-01-03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8736590.3A EP3539354B1 (en) 2017-01-03 2018-01-03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5/861,448 US10887951B2 (en) 2017-01-03 2018-01-03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8/000112 WO2018128382A1 (en) 2017-01-03 2018-01-03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1183953.5A EP3911119B1 (en) 2017-01-03 2018-01-03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880005815.5A CN110140423B (zh) 2017-01-03 2018-01-03 烹饪设备及控制该烹饪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62A KR20180079963A (ko) 2017-01-03 2017-01-03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963A true KR20180079963A (ko) 2018-07-11

Family

ID=6271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762A KR20180079963A (ko) 2017-01-03 2017-01-03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87951B2 (ko)
EP (2) EP3911119B1 (ko)
KR (1) KR20180079963A (ko)
CN (1) CN110140423B (ko)
WO (1) WO20181283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528A (ko) * 2018-10-10 2020-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치 스트레스 저감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3408B2 (ja) 2003-02-14 2008-08-13 株式会社東芝 誘導加熱調理器
KR100628080B1 (ko) 2005-12-22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
JP2009289466A (ja) 2008-05-27 2009-12-10 Hitachi Appliances Inc 誘導加熱調理器
WO2011010429A1 (ja) 2009-07-24 2011-01-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101993749B1 (ko) * 2013-11-26 2019-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기기
KR102208568B1 (ko) * 2014-05-30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KR102208812B1 (ko) * 2014-05-30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기기
KR102270491B1 (ko) * 2014-05-30 202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기기
CN204438229U (zh) * 2014-12-30 2015-07-01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炉
CN205560873U (zh) * 2015-12-14 2016-09-07 杭州信多达电器有限公司 一种虚拟火焰电磁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528A (ko) * 2018-10-10 2020-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치 스트레스 저감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87951B2 (en) 2021-01-05
CN110140423B (zh) 2022-06-10
WO2018128382A1 (en) 2018-07-12
EP3539354A1 (en) 2019-09-18
EP3911119B1 (en) 2022-11-16
EP3539354B1 (en) 2021-08-18
EP3911119A1 (en) 2021-11-17
US20180192480A1 (en) 2018-07-05
EP3539354A4 (en) 2019-12-18
CN110140423A (zh)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568B1 (ko) 조리 장치
WO2006134529A2 (en) Lighting device
US8207682B2 (en) Light source control device and method
JP5567505B2 (ja) 可変色を有する光生成デバイス
KR102508072B1 (ko) 유도가열기 및 그 제어방법
US10104743B2 (en) Color selection input device and method
CN104778939B (zh) 显示装置的显示亮度的调节方法及调节装置、显示装置
EP2481262A1 (en) Color control of lighting system
EP2644006A1 (en) Illumin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leds
KR20180079963A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181441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CN113906480A (zh) 用于提供关于燃气架具的信息的方法和设备
JP2010078690A (ja) 表示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及び映像信号処理プログラム
JP2012230351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8159680A (ja) 目視検査用照明装置
KR20150137838A (ko)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431830B2 (ja) 調光装置
JP2009265438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20160085480A (ko) 스마트 조명 장치
JP5938697B2 (ja) 調光装置、点灯制御装置、調光方法
Casas et al. Electronic System for Graphical Representation on Cooking Surfaces of Domestic Induction Hobs
KR20200107826A (ko) 복수의 쿠킹 포인트들을 갖는 호브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호브
KR200186599Y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쾌속취반표시장치
AU2018264889A1 (en) Cooking hob with user interface
JP2017138118A (ja) 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