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080B1 -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080B1
KR100628080B1 KR1020050127571A KR20050127571A KR100628080B1 KR 100628080 B1 KR100628080 B1 KR 100628080B1 KR 1020050127571 A KR1020050127571 A KR 1020050127571A KR 20050127571 A KR20050127571 A KR 20050127571A KR 100628080 B1 KR100628080 B1 KR 100628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heater
light emitter
transistor
induc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7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8Illumination for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가열 조리기의 가열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가열 영역을 조명하는 백 라이트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히터의 구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체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저항 소자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체의 전류량을 다단계로 제어하는 밝기 조절부와, 상기 히터의 파워레벨(power level)에 상응하는 발광체의 밝기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밝기 조절부의 저항 소자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광체의 밝기를 다단계로 조절하여 히터의 파워레벨과 연동하여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백 라이트의 밝기를 통해 히터의 구동유무 뿐 아니라 히터의 출력 레벨까지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유도가열 조리기, 발광체, 백 라이트

Description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drive circuit for back light in the induction type cooker}
도 1은 일반적인 유도 가열 방식의 전기 레인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4a 및 도 4b는 발광체의 밝기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 및 그에 따른 발광체의 밝기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발광체 20: 밝기 조절부
30: 마이컴
Q11, Q12, Q13: 트랜지스터 R11, R12, R13: 저항
본 발명은 유도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기의 가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가열 영역을 조명하는 백 라이트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가열 조리기는 워킹코일(Working Coil)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이 조리용기를 통과할 때 와전류(Eddy Current)가 흘러 용기 자체가 가열되는 방식에 의해서 조리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유도가열 조리기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5)와, 열원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히터 어셈블리(6)와, 조리기의 상면을 형성하며 조리용기를 얹기 위한 상판부(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 어셈블리(6)는 유도 가열방식의 원리를 이용한 인덕션 히팅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베이스 프레임(6a)과, 코일 베이스(6b)와, 워킹 코일(6c)과, 발광체(1)와, 단열시트(6d)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6a)은 워킹코일(6c)과 회로기판(8) 사이에 구비된 금속판이며, 상기 코일 베이스(6b)는 워킹코일(6c)이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6a)의 상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시트(6d)는 워킹코일(6c)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며 상판부(7)로부터 복사된 열기가 워킹코일(6c)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워킹코일(6c)에 전원이 인가되면 유도전류가 발생되고 이때 유도 가열에 의한 열이 상판부(7)에 얹혀진 조리용기에 가해지면서 용기 내의 요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발광체(1)는 코일 베이스(6b)에 고정되어 히터 어셈블리(6)의 구 동여부에 따라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로 구성된 것으로, 이는 조리기의 백 라이트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체(1)를 통해 발생되는 빛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발광체(1)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판부(7)의 가열 영역(cook zone) 주변에 조명 영역(visual zone)(7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체(1)와, 상기 발광체(1)의 구동 여부를 스위칭 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인 npn 타입의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히터 어셈블리(6)의 구동 여부에 따라 상기 발광체(1)를 제어하는 마이컴(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마이컴(2)은 히터 어셈블리(6)가 구동할 경우 출력포트(P0)를 통해 하이 레벨(5V)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Q1)를 턴 온 시킨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 온 됨에 따라 발광체(1)의 양단에 전원이 인가되어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가 발광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체(1)는 히터 어셈블리(6)가 동작될 경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에 의해 발생된 빛이 상판부(7)의 조명영역(7a)을 조명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히터의 구동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는 히터 구동여부에 따라 발광체(1)를 단순히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발광체(1)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할 수 없어 백 라이트의 밝기를 조절할 수 없었다.
즉, 백 라이트의 밝기가 한정되어 있어 조리기의 파워레벨(power lever)과 연계한 백 라이트의 구현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히터의 구동유무를 표시하는 발광체 밝기를 다단계로 제어할 수 있는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히터 파워레벨에 상응하는 발광체 밝기를 구현할 수 있는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도가열 방식의 히터를 구비한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구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체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저항 소자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체의 전류량을 다단계로 제어하는 밝기 조절부와, 상기 히터의 파워레벨(power level)에 상응하는 발광체의 밝기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밝기 조절부의 저항 소자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되는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밝기 조절부는; 상기 마이컴의 출력포트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베이스가 마이컴의 출력포트에 연결되고 에미터가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와 일대일로 대응되어 일단이 상기 발광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저항 소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밝기 조절부는; 상기 트랜지스터에 대하여 동일한 저항 값을 가진 저항 소자를 일대일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밝기 조절부는; 상기 트랜지스터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가진 저항 소자를 일대일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체의 밝기를 다단계로 조절 가능한 백 라이트 구동회로를 제공하여 백 라이트의 밝기를 히터의 파워레벨과 연계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도가열 조리기에 대한 설명은 종래에 기술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도시부호를 표기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는 유도가열 방식의 히터(6)를 구비한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6)의 구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체(10)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저항 소자(R11~R13)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체(10)의 전류량을 다단계로 제어하는 밝기 조절부(20)와, 상기 히터(6)의 파워레벨(power level)에 상응하는 발광체(10)의 밝기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밝기 조절부(20)의 저항 소자(R11~R13)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발광체(10)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 성된 것으로, 사용자가 히터의 구동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판부(7)의 조명 영역(7a)으로 빛을 발생하는 백 라이트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밝기 조절부(20)는 발광체(10)에 흐르는 전류량을 가변하여 백 라이트의 밝기를 다단계로 조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다수의 저항 소자(R11~R1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상기 밝기 조절부(20)는; 마이컴(30)의 출력포트(P1~P3)와 일대일로 대응되어 베이스(base)가 마이컴(30)의 출력포트(P1~P3)에 연결되고 에미터(emitter)가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Q11~Q13)와, 상기 트랜지스터(Q11~Q13)와 일대일로 대응되어 일단이 트랜지스터(Q11~Q13)의 콜렉터(collector)에 연결되고 타단이 발광체(10)에 연결되는 다수의 저항소자(R11~R13)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밝기 조절부(20)는 제품에서 요구하는 백 라이트의 밝기 단계에 따라 그 구성을 확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랜지스터(Q11~Q13)는 마이컴(3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하이 신호(high signal)일 경우 턴 온 되고 로우 신호(low signal)일 경우 턴 오프 되는 npn 타입의 트랜지스터를 적용한다.
그리고, 다수의 저항소자(R11~R13)를 모두 동일한 저항 값으로 설정할 경우 저항소자의 조합을 통해 발광체(10)의 전류량 즉,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저항소자(R11~R13)를 서로 다른 저항 값으로 설정하면 단일 저항 값만으로도 발광체(1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이하, 히터(6)의 출력 가능한 파워레벨(1-9)에 대하여 3단계(조금 밝음, 중간 밝음, 매우 밝음)의 발광체(10) 밝기를 구현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히터(6)가 1-3의 파워레벨로 구동할 경우 1단계(조금 밝음)의 밝기를, 4-6의 파워레벨로 구동할 경우 2단계(중간 밝음)의 밝기를, 7-9의 파워레벨로 구동할 경우 3단계(매우 밝음)의 밝기를 구현한다.
먼저, 다수의 저항소자(R11~R13)가 모두 동일한 저항 값(1㏀)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단계의 밝기는 하나의 저항소자(R11)만을 연결하고, 2단계의 밝기는 두 개의 저항소자(R11과 R12)를 연결하고, 3단계의 밝기는 세 개의 저항소자(R11, R12, R13)를 모두 연결한다.
즉, 발광체(10)의 밝기에 따라 저항소자(R11~R13)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발광체(10)에 흐르는 총 전류량(It)을 조절한다.
한편, 저항소자 중 (R11)이 3㏀, (R12)이 2㏀, (R13)가 1㏀이라고 가정하면 1단계의 밝기는 3㏀의 저항소자(R11)만을 연결하고, 2단계의 밝기는 2㏀의 저항소자(R12)만을 연결하고, 3단계의 밝기는 1㏀의 저항소자(R13)만을 연결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저항소자(R11~R13)의 연결상태를 여러 경우의 수로 조합하여 히터(6)의 파워레벨에 상응하는 발광체(10)의 밝기를 구현할 수 있다.
저항소자 중 (R11)을 2㏀의 저항을 이용하고 (R12)와 (R13)를 각각 1㏀의 저항을 이용할 경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단계의 밝기에서는 2㏀의 저항소자(R11)만을 연결하고, 2단계의 밝기에서는 1㏀의 저항소자(R12)만을 연결하고, 3단 계의 밝기에서는 2㏀의 저항소자(R11)와 1㏀의 저항소자(R13)를 함께 연결한다.
즉, 발광체(10)에 대한 저항소자(R11~R13)의 연결상태를 조합하여 발광체(10)에 흐르는 전류량을 가변함으로써 밝기를 조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저항소자(R11~R13)를 구비하여 큰 밝기일수록 발광체(10)의 전류량을 높여 백 라이트의 밝기를 조절함과 아울러 이러한 발광체(10)의 밝기를 히터(6)의 출력과 연동하여 조절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는 발광체의 밝기를 다단계로 제어 가능함으로써 히터의 출력과 연동하여 백 라이트의 밝기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백 라이트의 밝기를 통해 히터의 구동유무 뿐 아니라 히터의 출력 레벨 또한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유도가열 방식의 히터를 구비한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구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체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저항 소자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체의 전류량을 다단계로 제어하는 밝기 조절부와,
    상기 히터의 파워레벨(power level)에 상응하는 발광체의 밝기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밝기 조절부의 저항 소자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조절부는
    상기 마이컴의 출력포트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베이스가 마이컴의 출력포트에 연결되고 에미터가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와 일대일로 대응되어 일단이 상기 발광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저항 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조절부는
    상기 트랜지스터에 대하여 동일한 저항 값을 가진 저항 소자를 일대일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조절부는
    상기 트랜지스터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가진 저항 소자를 일대일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히터의 파워레벨에 상응하는 전류량이 발광체에 흐르도록 상기 밝기 조절부의 트랜지스터를 선택적으로 턴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
KR1020050127571A 2005-12-22 2005-12-22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 KR100628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571A KR100628080B1 (ko) 2005-12-22 2005-12-22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571A KR100628080B1 (ko) 2005-12-22 2005-12-22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8080B1 true KR100628080B1 (ko) 2006-09-26

Family

ID=3762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571A KR100628080B1 (ko) 2005-12-22 2005-12-22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0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591B1 (ko) * 2013-08-30 2014-09-23 주식회사 리홈쿠첸 전원 분리형 전기 레인지
US10887951B2 (en) 2017-01-03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591B1 (ko) * 2013-08-30 2014-09-23 주식회사 리홈쿠첸 전원 분리형 전기 레인지
US10887951B2 (en) 2017-01-03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3543A1 (en) Cooking Heater
KR10162933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조리기기
US10605464B2 (en) Induction cooktop
JP6067697B2 (ja) Ledストリップを有する光源
US20080082217A1 (en) Cooking apparatus with temperature display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230209B2 (en) Dual voltage infinite temperature control for an electric cooking appliance
KR100628080B1 (ko) 유도가열 조리기의 백 라이트 구동회로
JP5895186B2 (ja) 加熱送風装置
US10883723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CN213272729U (zh) 烹饪炉灶
CA2470893C (en) Smooth surface gas cooktop having an electric ignition/turndown system
JP2903561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0314177Y1 (ko) 휴대용 헤어 아이론
JP4654735B2 (ja) 誘導加熱装置
JP2019132444A (ja) 加熱調理器
KR200170859Y1 (ko) 핸들과 상기 몸체 사이에 설치되는 발광 램프를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KR100577228B1 (ko) 전자레인지
KR101479175B1 (ko) 전기 레인지
KR100395942B1 (ko) 그래픽 발광다이오드의 백라이팅장치
JPH04222319A (ja) 電気調理器の表示装置
JP2856423B2 (ja) 電気調理器
TWI611137B (zh) 基於樞合調控之可變色發光二極體裝置
JP3201320B2 (ja) 加熱調理器
KR200186599Y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쾌속취반표시장치
JP2022035843A (ja) 加熱調理器のled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