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287A -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 및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 및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287A
KR20180079287A KR1020187005410A KR20187005410A KR20180079287A KR 20180079287 A KR20180079287 A KR 20180079287A KR 1020187005410 A KR1020187005410 A KR 1020187005410A KR 20187005410 A KR20187005410 A KR 20187005410A KR 20180079287 A KR20180079287 A KR 20180079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s
pair
side plate
weigh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사꾸라이
도모끼 가리야
가쯔히로 시마다
료헤이 가와바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80079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균형추의 웨이트의 형상을 이형으로 한 경우라도, 가이드 장치에의 반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 및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한다.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100)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2a, 2b),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측판(2c),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측판(2d)으로 구성되는 균형추 프레임과, 균형추 프레임에 적재된 복수의 웨이트(3)와, 상측판에 설치된 풀리(400)와, 한 쌍의 수직 프레임 각각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설치되고 가이드 레일에 미끄럼 이동 접촉하여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 장치(5a∼5d)를 구비하고,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가 상측판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 또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급유 장치(6a, 6b) 등의 부속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부속 장치의 상단부가 균형추 높이 제한 내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높이 방향의 길이를 설정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 및 엘리베이터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 및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장치는, 건물에 형성되는 승강로에, 주 로프에 의해 두레박식으로 현가되는 탑승카 및 균형추를 구비한다. 균형추는, 일반적으로,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이들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측판, 및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측판을 갖는 균형추 프레임과, 이 균형추 프레임에 적재되는 웨이트와, 상측판에 설치되고, 주 로프가 감아 걸리는 풀리와, 균형추 프레임의 4 코너 부근에 배치되는 가이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 엘리베이터 장치의 높이 방향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기 위해, 웨이트의 일부를, 풀리의 하단부보다 상방에 배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90496호 공보
그런데, 엘리베이터 장치의 공간 절약화는, 기기류의 배치나, 각 기기류 자체를 소형화하는 것 등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때, 승강로 기기의 배치의 관계로부터, 균형추의 웨이트의 형상을 이형으로 할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웨이트의 형상을 이형으로 하면, 균형추의 무게 중심이 편심되기 때문에, 가이드 장치에 비교적 큰 반력이 작용하여, 가이드 장치의 수명을 앞당길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을 포함하여, 종래, 균형추에 대해서는,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균형추의 무게 중심의 편심에 대해서는 특별히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균형추의 웨이트의 형상을 이형으로 한 경우라도, 가이드 장치에의 반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 및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는,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측판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측판으로 구성되는 균형추 프레임과, 상기 균형추 프레임에 적재된 복수의 웨이트와, 상기 상측판에 설치되고, 주 로프가 감아 걸리는 풀리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이며, 또한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 각각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설치되고, 가이드 레일에 미끄럼 이동 접촉하여 상기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가 상기 상측판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 또는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부속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부속 장치의 상단부가 균형추 높이 제한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높이 방향의 길이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균형추의 웨이트의 형상을 이형으로 한 경우라도, 가이드 장치에의 반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이외의 과제, 구성 및 효과는, 이하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르는 균형추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균형추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 및 엘리베이터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엘리베이터 장치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카(200), 권상기(300), 주 로프(500), 균형추(100)를 주된 구성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탑승카(200)의 하부에는 카 하부 풀리(601, 602)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300)는 승강로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의 정상부 부근에는 고정판(700)이 설치되고, 주 로프(500)의 단부(901, 90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고정판(700)에는, 전향 풀리(801, 802)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100)에는 추 상부 풀리(400)가 설치되어 있다. 주 로프(500)는, 한쪽 단부(901)가 고정판(700)에 연결되고, 권상기(300)의 시브, 전향 풀리(801), 카 하부 풀리(601, 602), 전향 풀리(802), 추 상부 풀리(400)가 차례로 감아 걸려, 다른 쪽 단부(902)가 고정판에 연결되어 있다. 권상기(300)에 의해 주 로프(500)를 구동하면, 탑승카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을 따라 탑승카(200)가 승강함과 함께, 이 탑승카(200)의 승강에 서로 대향하여 균형추(100)가 균형추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을 따라 승강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100)의 상세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의 정면도, 도 2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르는 균형추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균형추(1)는, 균형추 프레임(2)과, 웨이트(3)와, 추 상부 풀리(400)와, 가이드 장치(5a, 5b, 5c, 5d)와, 급유 장치(6a, 6b)를 구비하고 있다.
균형추 프레임(2)은,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도 1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2a, 2b), 수직 프레임(2a, 2b)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측판(2c) 및 수직 프레임(2a, 2b)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측판(2d)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 프레임(2a, 2b)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역 ㄷ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고, 개구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개구 반대측이 각각 가이드 레일(7a, 7b)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하측판(2c)은, 그 양단부가 볼트에 의해 수직 프레임(2a, 2b)의 하부에 고정되고, 복수 적재되는 웨이트(3)의 하중을 받도록 되어 있다. 또한, 최상 위치에 배치되는 웨이트(3)가 웨이트 압박부(10a, 10b)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압박됨으로써, 웨이트(3) 전체적으로 하측판(2c)에 압박되어, 덜걱거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측판(2c)의 하부에는, 승강로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받아내어지는 수용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판(2d)은, 그 양단부가 볼트에 의해 수직 프레임(2a, 2b)의 상부에 고정되고, 그 상면에는, 브래킷(8)을 통해 추 상부 풀리(4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추 상부 풀리(400)에는 주 로프(도시 생략)가 감아 걸리고, 균형추(100)는 추 상부 풀리(400)를 통해 주 로프에 의해 현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추 상부 풀리(400)는 상측판(2d) 상에 적재되어 있다. 즉, 추 상부 풀리(400)의 하단부는 최상 위치에 배치되는 웨이트(3)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추 상부 풀리(400)는 상측판(2d) 상에 적재되어 있으므로, 추 상부 풀리(400)의 메인터넌스가 용이해진다.
가이드 장치(5a, 5b, 5c, 5d)는, 균형추 프레임(2)의 4 코너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가이드 장치(5a)가 수직 프레임(2a)의 상단부, 가이드 장치(5b)가 수직 프레임(2a)의 하단부, 가이드 장치(5c)가 수직 프레임(2b)의 상단부, 가이드 장치(5d)가 수직 프레임(2b)의 하단부 각각에 있어서의 개구 반대측에 설치되고, 가이드 장치(5a, 5b)는 가이드 레일(7a)에, 가이드 장치(5c, 5d)는 가이드 레일(7b)에 각각 미끄럼 이동 접촉하여 균형추(1)의 승강을 안내한다.
급유 장치(6a, 6b)는, 수직 프레임(2a, 2b)의 상부, 즉, 가이드 장치(5a, 5c)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유 장치(6a, 6b)는, 수직 프레임(2a, 2b)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 역 L자형의 설치 부재(11a, 11b)에 설치되어 있다. 급유 장치(6a, 6b) 각각은, 윤활유를 저장하는 탱크를 갖고 있고, 그들 탱크로부터 윤활유를 천천히 공급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급유 장치(6a, 6b)는, 각각 가이드 레일(7a, 7b)에 윤활유를 도포하고, 가이드 장치(5a, 5b, 5c, 5d)와 가이드 레일(7a, 7b) 사이에 윤활유를 공급한다.
하측판(2c)에 복수 적재되는 웨이트(3)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이형으로 되어 있다. 즉, 상면(수평면)으로부터 본 웨이트 형상이 이형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웨이트 형상이 이형이라 함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대칭 형상을 의미한다. 또한, 바꾸어 말하면, 웨이트 형상이 이형이라 함은, 상면으로부터 본 웨이트의 무게 중심 위치가, 상면으로부터 본 수직 프레임(2a, 2b)으로 형성되는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웨이트(3)는, 균형추 프레임의 수직 프레임의 슬림화나 효율적인 공간 이용을 도모하기 위해, 그 양단부가, 역 ㄷ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수직 프레임(2a, 2b)에 끼워 맞춤 가능하도록 협폭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그 중앙부는, 수직 프레임의 폭 치수보다 광폭으로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장치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해 가면, 이 웨이트를 이형으로 할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장치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해 가면, 가이드 레일(7a, 7b)을 벽측(도 3의 상측) 부근에 설치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웨이트(3)는, 양단부를 중앙부에 대해 어긋나도록 배치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웨이트(3)는, 광폭의 중앙부가 탑승카측(도 3의 하측) 부근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중앙부가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비대칭(도 3의 도면상, 상하 비대칭)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웨이트(3)의 중심선(도 3의 이점 쇄선. 선 위에 무게 중심이 위치)이, 수직 프레임(2a, 2b)으로 형성되는 영역의 중심선(도 3의 일점 쇄선. 가이드 레일(7a, 7b)을 연결하는 선과 일치하고 선 위에 무게 중심이 위치)으로부터 어긋나게 된다.
또한, 승강로 기기(9)의 배치의 관계(로프 엔드의 위치와의 관계나 조속기 위에 배치한 경우 조속기 위치와의 관계 등)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으로부터 본 웨이트(3)의 일부를 절결하여 웨이트(3)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웨이트(3)가 길이 방향으로부터 보아 비대칭 형상(도 3의 도면상, 좌우 비대칭인 형상)으로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좌우에 비대칭으로 웨이트(3)가 형성되면, 균형추의 무게 중심의 편심에 의한 영향이 커져, 가이드 장치에 의해 큰 반력이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이형의 웨이트(3)를 사용한 것에 있어서, 가이드 장치(5a∼5d)에의 반력의 저감을 도모하기 위해 고안이 실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직 프레임(2a, 2b)을, 균형추 높이 제한 내에서 연장 치수 H1 연장하여, 상단부측의 가이드 장치(5a, 5c)와 하단부측의 가이드 장치(5b, 5d)의 간격 치수 H2를 크게 설정하고 있다. 균형추 높이 제한 내라 함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사양으로서 미리 정해지는 균형추(100)의 오버헤드 치수 이내를 말한다.
이하에, 수직 프레임을 균형추 높이 제한 내에서 연장 치수 H1 연장하는 것의 의의를 설명한다.
균형추 프레임(2)은, 공장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장소에 조립체로서 반송되므로, 수직 프레임(2a, 2b)의 상단부가 상측판(2d)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본래적으로는 수직 프레임(2a, 2b)의 높이를 상측판(2d)의 상면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형의 웨이트(3)에 기인하는 가이드 장치(5a∼5d)에의 반력을 저감시킨다고 하는 새로운 착안점으로부터, 상단부측의 가이드 장치(5a, 5c)와 하단부측의 가이드 장치(5b, 5d)의 간격 치수 H2를 크게 설정하기 위해, 수직 프레임(2a, 2b)을 상방으로 의도적으로 연장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판(2d)의 상면에 추 상부 풀리(400)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사양으로서 미리 정해지는 균형추(100)의 오버헤드 치수 H0은, 수직 프레임(2a, 2b) 하단부로부터, 추 상부 풀리(400)를 고정하는 브래킷(8)의 상단부까지의 높이 치수가 된다.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급유 장치 등의 부속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부속 장치의 상단부)의 위치가 오버헤드 치수 H0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한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2a, 2b)을 상측판(2d)의 상면을 넘어 상방으로 연장하는 것이 허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직 프레임(2a, 2b)의 상부에 급유 장치(6a, 6b)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직 프레임(2a, 2b) 하단부로부터 급유 장치(6a, 6b)의 상단부까지의 높이 치수가, 오버 헤드 치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수직 프레임(2a, 2b)을 상측판(2d)의 상면을 넘어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로 방향의 기존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하여, 수직 프레임(2a, 2b)을 연장한 것이다.
가이드 장치가 받는 반력은, 웨이트(3)의 무게 중심의 편심 정도에 따라서 상이하다. 무게 중심의 편심 정도가 크면, 수직 프레임(2a, 2b)을 최대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2a, 2b)의 상부에 설치되는 급유 장치(6a, 6b)의 상단부가, 추 상부 풀리(400)를 고정하는 브래킷(8)의 상단부와 대략 동일 레벨(균형추 높이 제한 부근)로 되도록, 수직 프레임(2a, 2b)을 상방으로 연장 치수 H1만큼 연장한다(단, 급유 장치(6a, 6b)의 상단부가 균형추 높이 제한, 즉, 오버헤드 치수 이내). 여기서, 균형추 높이 제한 부근이라 함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유 장치(6a, 6b)의 상단부가 브래킷(8)의 상단부와 동일 레벨로 되는 때를 100% 연장이라고 한 경우, 적어도 90% 연장한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가이드 장치가 받는 반력의 저감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수직 프레임(2a, 2b)은, 급유 장치(6a, 6b)의 상단부가 브래킷(8)의 상단부와 동일 레벨로 되는 때를 100% 연장이라고 한 경우, 50% 정도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승강로 기기(9) 등의 배치의 관계로부터, 균형추(100)의 웨이트(3)의 형상이 이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웨이트(3)를 적재한 균형추(100)를 실제로 승강시키면, 균형추(100)의 무게 중심이 편심되어 있다는 점에서, 균형추(100)의 4 코너 부근에 배치되는 가이드 장치(5a∼5c)에는 비교적 큰 반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수직 프레임(2a, 2b)은, 상측판(2d)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 치수 H1 연장되어 있어, 상단부측의 가이드 장치(5a, 5c)와 하단부측의 가이드 장치(5b, 5d)의 간격 치수 H2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가이드 장치(5a∼5c)에 작용하는 반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가이드 장치(5a∼5d)의 연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직 프레임(2a, 2b)을, 균형추 높이 제한 내에서 연장하는 것이지만, 세로 방향의 기존 스페이스를 유용하게 이용하여 수직 프레임(2a, 2b)을 연장한 것이며, 균형추(100)의 전체 높이 치수의 변경을 요하는 일이 없다. 이것으로부터, 다른 기기나 설치 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가이드 장치(5a∼5d)에의 반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예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느 실시예의 구성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에 대해, 다른 구성의 추가, 삭제, 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2 : 균형추 프레임
2a, 2b : 수직 프레임
2c : 하측판
2d : 상측판
3 : 웨이트
5a 내지 5d : 가이드 장치
6a, 6b : 급유 장치
7a, 7b : 가이드 레일(균형추 가이드 레일)
8 : 브래킷
9 : 승강로 기기
10a, 10b : 웨이트 압박부
11a, 11b : 설치 부재
12 : 수용부
100 : 균형추
200 : 탑승카
300 : 권상기
400 : 추 상부 풀리
500 : 주 로프

Claims (7)

  1. 탑승카와, 균형추와, 권상기와, 주 로프를 구비하고, 상기 권상기에 의해 상기 주 로프를 구동하여 상기 탑승카와 상기 균형추를 상대적으로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균형추는,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측판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측판으로 구성되는 균형추 프레임과,
    상기 균형추 프레임에 적재된 복수의 웨이트와,
    상기 상측판에 설치되고, 상기 주 로프가 감아 걸리는 풀리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이며, 또한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 각각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설치되고, 가이드 레일에 미끄럼 이동 접촉하여 상기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가 상기 상측판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 또는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부속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부속 장치의 상단부가 균형추 높이 제한 내에 위치하도록 높이 방향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상기 상측판의 상면에 브래킷을 통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부속 장치는, 상기 가이드 장치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미끄럼 이동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급유 장치이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은, 상기 상측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급유 장치의 상단부가 상기 브래킷의 상단부와 동일 레벨로 되도록 하였을 때의 상기 상측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까지의 길이의 적어도 50%의 길이를 갖도록 높이 방향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은, 상기 상측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급유 장치의 상단부가 상기 브래킷의 상단부와 동일 레벨로 되도록 하였을 때의 상기 상측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까지의 길이의 적어도 90%의 길이를 갖도록 높이 방향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면으로부터 본 형상이,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부터 보아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은, 역 ㄷ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고, 개구측이 서로 마주보고, 개구 반대측이 각각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웨이트는, 상면으로부터 본 형상이,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기 역 ㄷ자 형상의 부분에 끼워 맞추어지는 협폭의 양단부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기 역 ㄷ자 형상의 부분보다 광폭의 중앙부를 갖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양단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에 대해, 상기 중앙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이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은, 역 ㄷ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고, 개구측이 서로 마주보고, 개구 반대측이 각각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웨이트는, 상면으로부터 본 형상이,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기 역 ㄷ자 형상의 부분에 끼워 맞추어지는 협폭의 양단부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기 역 ㄷ자 형상의 부분보다 광폭의 중앙부를 갖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중앙부의 일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로 기기의 배치에 대응하여 절결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로서,
    역 ㄷ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고, 개구측이 서로 마주보고, 개구 반대측이 각각 상기 균형추의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측판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측판으로 구성되는 균형추 프레임과,
    상기 균형추 프레임의 상기 하측판에 적재되는 웨이트이며, 상면으로부터 본 형상이,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부터 보아 비대칭으로 형성된 웨이트와,
    상기 상측판의 상면에 브래킷을 통해 설치되고, 주 로프가 감아 걸리는 풀리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기 개구 반대측이며, 또한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 각각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미끄럼 이동 접촉하여 상기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가 상기 상측판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 또는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부속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부속 장치의 상단부가 균형추 높이 제한 내에 위치하도록 높이 방향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
KR1020187005410A 2016-11-25 2016-11-25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201800792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4923 WO2018096645A1 (ja) 2016-11-25 2016-11-25 エレベータ装置の釣合いおもり及び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287A true KR20180079287A (ko) 2018-07-10

Family

ID=62195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410A KR20180079287A (ko) 2016-11-25 2016-11-25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 및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52888B2 (ko)
KR (1) KR20180079287A (ko)
CN (1) CN108349700B (ko)
WO (1) WO20180966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5393B (zh) * 2018-12-20 2023-02-24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电梯设备的非对称的对重和配备有这种对重的电梯设备
CN111689354A (zh) * 2020-07-21 2020-09-22 杭州奥立达电梯有限公司 高曳引比条件下超大载重货梯用对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135B2 (ko) * 1972-06-23 1977-02-09
JPS5954471U (ja) * 1982-09-30 1984-04-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つり合いおもり用吊り枠
JPS5980363U (ja) * 1982-11-22 1984-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吊車取付装置
JPH07223788A (ja) * 1994-02-03 1995-08-22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カウンターウェイト
JP2006290496A (ja) * 2005-04-07 2006-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釣合い重り装置
CN102471023B (zh) * 2009-08-11 2014-10-1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5421232B2 (ja) * 2010-12-08 2014-0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CN202186813U (zh) * 2011-07-27 2012-04-11 浙江诺比克电梯有限公司 电梯对重装置
CN104709797B (zh) * 2015-03-12 2018-10-26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平衡对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6645A1 (ja) 2018-05-31
CN108349700A (zh) 2018-07-31
JP6452888B2 (ja) 2019-01-16
JPWO2018096645A1 (ja) 2018-11-22
CN108349700B (zh)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6076B2 (en) Suspension arrangement and guide shoe arrangement for an elevator
TWI386359B (zh) 在井道中具有兩個被上下配置之升降車廂之升降機
EP2844600B1 (en) Method of installing a machine in an elevator system
KR102106837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 방법
CN102414111A (zh) 在单个井道内包括多个轿厢的电梯系统
KR20180079287A (ko)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 및 엘리베이터 장치
US836021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fixing the compensating ropes of an elevator
KR10169085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4649100B (zh) 电梯补偿绳张紧装置
KR101487117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CN110709344B (zh) 电梯
KR100780499B1 (ko)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01472829A (zh) 减小井道尺寸的升降机安装
CN110546098B (zh) 电梯装置
KR20180086214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기계 장착 구조체
CN110088028B (zh) 电梯装置
CN108698792B (zh) 电梯装置
CN213202043U (zh) 一种具有循环补偿链的电梯
WO2014013600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1717185B1 (en) Elevator
EP1882667A1 (en) Elevator device
JP2005162374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US10689229B2 (en) Elevator system suspension member termination
JP2015013713A (ja) コンペンチェーン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12224414A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