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227A - Method for purifying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 Google Patents

Method for purifying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227A
KR20180079227A KR1020180000160A KR20180000160A KR20180079227A KR 20180079227 A KR20180079227 A KR 20180079227A KR 1020180000160 A KR1020180000160 A KR 1020180000160A KR 20180000160 A KR20180000160 A KR 20180000160A KR 20180079227 A KR20180079227 A KR 20180079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stevia
genus
heavy metal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1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섭
Original Assignee
(주)코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윈 filed Critical (주)코윈
Publication of KR20180079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2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1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microbiologically, biologically or by using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4Pretreatment of feeding-stuffs with enzy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1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microbiologically, biologically or by using enzymes
    • B09C1/105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microbiologically, biologically or by using enzymes using fungi or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urifying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A) introducing into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autotrophic microorganisms, a microorganism culture medium composed of livestock manure, lime, and minerals; a mineral fertiliz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aolinite, montmorillonite, vermiculite, chlorite, Ge-lite, illite, zeolite, micas, barley stone, germanium, and Bashim; and a highly absorbent polymer; (B) tilling to a depth of 30-40 cm; (C) supplying moisture for 3-5 months, wherein initially, 4-6 mm of moisture is supplied 1-2 times per day, and after 4-5 weeks, the amount of moisture supplied is reduced to 30-50% of the initial amount; and (D) d1) planting stevia; d2) cultivating the stevia; and d3) harvesting the overground part of stevia once the heavy metals in the soil are absorbed and moved to the overground part of stevia.

Description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Method for purifying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urifying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본 발명은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경작은 가능하지만 중금속으로 오염되어 농업용지로 활용되지 못하는 토양을 생물학적 방법으로 정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urifying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purifying soil which can be cultivated but which i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and can not be utilized as agricultural land by a biological method.

최근 중금속에 의한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 문제가 날로 심각해져 가고 있다. 중금속은 금속광산의 채광, 선광 및 정련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광미(廢鑛尾), 갱내수 및 배출가스, 중금속을 이용하여 제품을 처리 가공하는 피혁공장, 염색공장 및 도금공장 등의 폐수, 폐기물 소각시설의 배출가스 등을 통해 환경에 유입되며, 특히 토양에 축적된 중금속은 작물체로 전이되어 농산물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Recently, the problem of contamination of soil and groundwater by heavy metals has become serious. Heavy metals are wastewater from wastewater and waste incineration such as leather factory, dyeing factory and plating factory that processes products by using heavy metals, mine water and exhaust gas, mine tailings, exhaust gas, etc. generated during mining, beneficiation and refining of metal mine The heavy metals accumulated in the soil may be transferred to the crops and contaminate the agricultural products.

중금속은 통상 비중이 4~5 이상의 비교적 무거운 금속을 말하며, 이들 물질 중 카드뮴(Cd), 크롬(Cr), 구리(Cu), 수은(Hg), 니켈(Ni), 납(Pb) 등 많은 중금속은 인체에 축적되면 독성을 나타낸다. 중금속오염으로 인한 대표적 공해병은 수은에 의한 "미나마타병"과 카드뮴에 의한 "이따이이따이병"이다. 이 중 "미나마타병"은 유기메틸수은에 오염된 해조류 식품에 의해, "이따이이따이병"은 카드뮴에 오염된 쌀을 장기 섭취한 결과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Heavy metals are relatively heavy metals with a specific gravity of 4 to 5 or more. Among them, heavy metals such as cadmium (Cd), chromium (Cr), copper (Cu), mercury (Hg), nickel (Ni) Is toxic when stored in the human body. Representative pollution diseases caused by heavy metal contamination are "Minamata disease" caused by mercury and "Itaitai disease" caused by cadmium. Among them, "Minamata disease" is known to be caused by algae foods contaminated with organic methylmercury, and "Itaitai disease" is a result of long-term intake of cadmium-contaminated rice.

오염토양의 정화방법들은 크게 물리적 방법, 화학적 방법, 생물학적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물리적 방법으로는 객토, 배토, 삭토 등이 있고, 화학적 방법으로는 유해물질의 불용화, 흡착, 용탈, 오염토양의 분리 세척 등을 들 수 있다. 생물학적 방법으로는 미생물복원(bioremediation) 및 식물복원(phytoremediation) 기술 등이 사용된다.Methods for the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soil can be divided into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Physical methods include clay, clay, and silt. Chemical methods include insolubilization, adsorption, leaching of harmful substances, and separate washing of contaminated soil. Biological methods include bioremediation and phytoremediation techniques.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94520호 "중금속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물리적 화학적 복합정화공정 및 이를 위한 장치"에는 (1)중금속오염토양을 호퍼에 투입하는 오염토양투입단계; (2)자갈 크기 이상의 일반토양과 자갈 크기 미만의 중금속함유토양을 입도별로 나눔으로써 물리적 선별공정을 시작하는 제1입도선별단계; (3) 상기 중금속오염토양에 분산제 용액을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화학적 추출공정을 시작하는 분산제투입 및 교반단계; (4)상기 중금속함유토양을 중금속함유 자성폐기물과 자성폐기물 불포함 토양으로 자력을 이용하여 나누는 자력선별단계; (5)세립토 크기 이상의 분리토양과 세립토 크기 미만의 난정화성미립토(難淨化性微粒土) 및 중금속입자를 입도별로 나누는 제2입도선별단계; (6)상기 분리토양을 물세척하여 정화토양으로 만드는 세척단계; 및 (7)상기 난정화성미립토(難淨化性微粒土) 및 중금속입자를 폐기처리하는 폐기물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물리적 화학적 복합 정화공정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094520 entitled " Physical and Chemical Complex Purification Process for Purifying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and Its Apparatus "includes (1) a step of inputting contaminated soil into a hopper; (2) a first particle size selection step of starting the physical selection process by dividing the soil containing heavy metals of gravel size or larger and the heavy metal less than gravel size by particle size; (3) adding and stirring a dispersant to start the chemical extraction process by adding the dispersant solution to the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and stirring the mixture; (4) a magnetic force selection step of dividing the heavy-metal-containing soil by magnetic force into heavy metal-containing magnetic waste and magnetic waste-free soil; (5) a second particle size selection step of dividing the separated soil having a granulometric size or more and the non-crystallizable fine granular soil (refractory granular soil) and the heavy metal particles smaller than the granular size by the particle size; (6) a washing step of washing the separated soil with water to prepare a purified soil; And (7) a waste treatment step of discarding the non-crystallizing fine particles (hardly-diffusible fine granular soil) and heavy metal particles, and a physico-chemical complex purification process for purifying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

이와 같은 물리적, 화학적 방법은 좁은 범위의 오염된 토양의 정화에는 적합할 수 있으나, 경작지와 같은 넓은 범위의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물리적, 화학적 방법은 막대한 자금과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자연을 훼손시키며, 2차 오염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염된 토양을 분리 세척하는 경우에는 농경에 필요한 다른 유익 성분까지 제거될 수 있으므로 농경지의 정화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Such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may be suitable for the purification of a narrow range of contaminated soils, but they are not suitable for a wide range of contaminated soils such as cropland. These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require huge amounts of money and labor, deteriorate nature, and cause secondary pollution. Further, when the contaminated soil is washed separately, other beneficial components required for agriculture may be removed, which is not suitable as a method for purifying agricultural land.

이에 대하여 생물학적 방법인 미생물을 이용하는 미생물복원 및 식물을 이용하는 식물복원 기술은 태양에너지에 의해 가동되는 청정기술이라는 점과 환경교란을 최소화시키며, 현장 적용성이 높으며, 2차적 오염물질을 생산하지 않고, 심미적 안정감을 주며, 경제적이라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microbial restoration and plant restoration technology using microorganisms, which are biological methods, are clean technology operated by solar energy, minimize environmental disturbance, are highly applicable to the field, do not produce secondary pollutants, It has an advantage in that it gives aesthetic stability and is economical.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30703호 "메틸로박테리움 속 미생물, 이를 이용한 유기산 생산방법, 중금속 오염 토양 정화 방법 및 식물 생장 촉진방법"에는 '중금속에 대하여 내성을 갖고 인돌아세트산의 생산 능력이 우수하며 다양한 종류의 유기산을 생산할 수 있는 신규 미생물 Methylobacterium sp. SY-NiR1을 돌피, 산괭이사초, 닭의장풀 또는 흰여뀌의 근권 토양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이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산을 생산하는 방법, 식물의 중금속 제거 효율을 향상시켜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0830703 entitled " Microbes of the genus Methylobacterium, the method of producing organic acids using the same, the method of purifying heavy metals contaminated soil and the method of promoting plant growth " A new microorganism Methylobacterium sp. A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acids by using this microorganism by separating SY-NiR1 from dormancy, mountain hoe foreskin, chicken wool or whitewashed rhizospheric soil, and a method for purifying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by improv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of plants " .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28311호 "오이속 식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 토양의 복원 방법"에는 '비소 등의 중금속에 오염된 토양에서 오이를 재배함으로써 토양 내의 중금속이 오이 체내에 축적됨으로써 토양을 복원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81892호 "범부채 추출물을 이용한 돌피의 생장 촉진방법 및 이방법을 적용한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에는 '돌피가 생장하고 있는 토양에 범부채 추출물을 주입함으로써 돌피의 발아와 줄기 및 뿌리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적용함으로써 식물추출법(phytoextraction)에 의한 중금속 이동을 증진시키고, 종래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복원법과는 달리 2차 오염이 동반되지 않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28311 entitled " Method for recovering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using cucurbit plants "includes " restoring soil by accumulating heavy metals in the soil by cultivating cucumbers in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such as arsenic 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0081892 entitled " Method for promoting the growth of daphnia using a seed extract, and method for purifying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using this method " The method of promoting the growth of germination, stalks and roots by injection, and the method of applying the method to the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to promote heavy metal migration by phytoextraction, and unlike conventional physical or chemical restoration methods, A method of purifying soil polluted with heavy metals, in which tea contamination is not accompanied " have.

한편, 중국 환경보호부와 국토자원부의 최근 통계(2014년)에 따르면 중국이 조사한 토지의 16.1%가 카드뮴과 비소, 납, 수은 등 중금속에 오염된 것으로 드러났다. 또 경작 농지의 19.4%는 토양 오염이 안전 기준을 초과하였으며, 이는 한국 전체 면적의 3분의 1이 넘는 333만㏊(3만3300㎢)의 농경지가 실제로는 재배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금속에 의한 토양 오염은 특히 중국 중부와 남서부 지역에서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According to the recent statistic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rotection and Ministry of Land and Resources (2014), 16.1% of the land surveyed by China wa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such as cadmium, arsenic, lead and mercury. In addition, 19.4% of cultivated farmland exceeded safety standards, which means that 333,000 농 (33,300㎢) of cultivated land, which is more than one-third of the total area of Korea, is actually not cultivated. Soil contamination by heavy metals is especially severe in central and southwestern China.

이렇게 오염된 토양에서 재배한 농산물과 이 농산물을 이용해 사육한 축산물은 한국으로 수출돼 우리나라의 식탁에 오를 수 있기 때문에 우리에게도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한-중 FTA로 인해 중금속 오염 우려가 큰 중국산 식품에 대한 노출 가능성이 더욱 커졌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이 마련되어야 한다.The agricultural products cultivated in such polluted soil and the livestock products raised by these agricultural products can be a serious problem for us because they can be exported to Korea and climbed to the table of our country. The possibility of exposure to Chinese food products, which have a high concern for heavy metal contamination due to the Korea-China FTA, has increased, and a countermeasure must be prepared.

본 발명자들은 중금속으로 오염된 농경지를 효율적으로 정화하고, 그 부산물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상기의 미생물복원(bioremediation) 및 식물복원(phytoremediation) 기술을 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중금속으로 오염된 농경지를 효율적으로 정화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a method for efficiently purifying agricultural land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and using the byproducts. By applying the above-mentioned bioremediation and phytoremediation techniques, the agricultural land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본 발명은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정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purifying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by a biological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화방법의 과정에서 수확한 스테비아를 이용한 사료나 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feed or fertilizer using stevia harvested in the course of the purification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A)독립영양 미생물; 축분(畜糞), 석회 및 미네랄로 이루어지는 미생물 배지; 카올리나이트(Kaolinite),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클로라이트(Chlorite), 겔라이트,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운모류, 맥반석, 게르마늄 및 바심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광물비료;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중금속 오염 토양에 투입하는 단계; (B)30~40cm의 깊이로 로타리치는 단계; (C)3~5개월 동안, 초기에는 1일 1~2회 회당 4~6mm의 양으로 수분을 공급하며, 4~5주 경과 후에는 30~50% 양을 줄여서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 및 (D) d1)스테비아(stevia)를 식재하는 단계; d2)스테비아를 재배하는 단계; 및 d3)토양 내 중금속이 흡수되어 스테비아의 지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스테비아의 지상부를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이 제공된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an autotrophic microorganism; A microbial medium consisting of livestock feces, lime and minerals; Mineral fertiliz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aolinite, montmorillonite, vermiculite, chlorite, gelite, ilite, zeolite, mica, elvan, germanium and bases; And introducing the superabsorbent polymer into a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B) Rotating to a depth of 30 to 40 cm; (C) supplying moisture in an amount of 4 to 6 mm per one or two times a day for 3 to 5 months, initially reducing the amount of 30 to 50% after 4 to 5 weeks; And (D) d1) planting stevia; d2) growing stevia; And d3) harvesting the ground portion of the stevia when the heavy metals in the soil are absorbed and moved to the ground portion of stevia.

이때 상기 독립영양 미생물과 함께 중금속 흡착능을 가지는 메탈로티오네인(Metallothionein) 효소를 함께 토양에 투입을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metallothionein enzyme capable of adsorbing heavy metals together with the abovementioned autotrophic microorganisms is preferably added to the soil.

상기 (A)단계에서 독립영양 미생물은 Anabaena 속, Nostoc 속, Microcoleus 속, Oscillatoria 속, Calothrix 속, Phormidium 속 남조류 또는 이들이 혼합된 미생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남조류와 함께 아스페르질루스(Aspergillus)속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niger 및 조균류 털곰팡이과의 Rhizopus nigrican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균을 혼합하여 사용한다.In step (A), the autotrophic microorganism is preferably an anabaena genus, a Nostoc genus, a Microcoleus genus, an Oscillatoria genus, a Calothrix genus, a Pharmidium genus or a mixture thereof. More preferably, at least one bacteriu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spergillus genus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niger and Rhizopus nigricans with a fungus fungus is mixed with the cyanobacteria.

상기 축분과 함께 또는 대신하여 유기질비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질소와 인산의 성분이 풍부한 유기질 비료로서, 그 형상은 그래뉼 타입, 100nm이하의 미분 또는 액상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An organic fertilizer may be used in place of or in place of the shaft fraction. At this time, organic fertilizer rich in nitrogen and phosphoric acid components can be used, and its shape can be used as a granule type, a fine powder of 100 nm or less or liquefied.

상기 광물성비료는 통기성과 보수성, 보비성을 높이기 위해 발포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그래뉼 타입, 100nm이하의 미분 또는 액상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mineral fertilizer can be used by foaming to improve air permeability, water retention and bobbility, and granular type, 100 nm or less, or liquefied.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수분공급은 점적호스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는 자기 체적의 100~200배로 팽창이 가능하고, 반복된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5~10년의 내용년수를 갖춘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C), the water supply is preferably performed through the drop hose. The superabsorbent polymer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expanding at 100 to 200 times its magnetic volume and capable of repeated expansion and contraction, and is preferably a polymer having an age of 5 to 10 years.

토양 3.3㎡를 기준으로 상기 독립 영양 미생물은 수분 20% 건조 미생물기준으로 1~10g, 상기 배지는 1~2Kg, 상기 광물비료는 0.1~1kg, 상기 고 흡수성 폴리머는 120~150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independent nutrient microorganisms are used in a range of 1 to 10 g based on 20% dry microorganism, 1 to 2 kg of the medium, 0.1 to 1 kg of the mineral fertilizer and 120 to 150 g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based on the soil 3.3 m 2 Do.

중금속 오염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상기 (D)단계에 있어서, 스테비아 지상부의 수확은 2~3년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금속은 비소, 카드뮴, 구리 및 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tevia ground portion is harvested for 2 to 3 years in the step (D), although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The heavy metals are characterized by being arsenic, cadmium, copper and lead.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확된 스테비아를 복합 발효시켜서 스테비아 사료 또는 비료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eparing a stevia feed or fertilizer by combined fermentation of the harvested stevia.

본 발명에 따르면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농작물의 재배가 가능하게 되며, 정화과정에서 수확된 스테비아는 우수한 비료나 사료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can be efficiently purified, so that safe cultivation of crops becomes possible, and stevia harvested in the purification process can be used as an excellent fertilizer or feed.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에 따라 식재된 스테비아의 생육 사진도 이다.1 to 4 are photographs showing growth of stevia planted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urifying contaminated s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본 발명은 독립영양 미생물을 이용하고, 스테비아 재배를 통하여 생물학적 방법으로 중금속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독립영양 미생물을 투입 시, 토양 내의 수분을 항상 일정 정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고 흡수성의 폴리머를 함께 투입하여 미생물이 토양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돕고, 스테비아를 재배함으로써 토양 내의 중금속을 흡수하여 제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urifying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by biological methods using an autotrophic microorganism and cultivating stevia.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urifying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Of the polymer is added together to help the microorganisms settle in the soil stably, and the stevia is cultivated to absorb and remove the heavy metals in the soil.

스테비아(Stevia)는 국화과의 다년생 숙근초로서 하천이나 습지대 주변에서 자란다. 뿌리는 원뿌리의 발달이 분명하지 않고 많은 곁뿌리와 막뿌리가 있다. 생육 후기에는 굵은 뿌리가 발달해서 저장 기능이 생긴다. 뿌리 가까이 있는 숨은 눈에서 새가지가 자라 해마다 새로운 줄기를 이룬다. 줄기는 곧게 서며 월동 중 줄기의 기능이 없어진다. 줄기 마디에 잎이 달리며 잎겨드랑이에서 가지가 돋는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꼴이며 길이 4∼10cm, 나비 약 2.5cm이다. 가는 톱니와 굴곡이 있고 잎맥은 3개이다. 잎자루는 없으며 포기 전체에 잔털이 난다. 꽃은 1송이에 5∼6개의 관상화가 모여서 피며, 자가불화합성의 성질이 있다. 단일식물이므로 단일조건에서 꽃이 빨리 핀다. 종자는 결실률이 낮고 매우 작다. 종자 앞 끝에 부챗살 모양의 관모가 있다. 남아메리카의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의 국경 산간지가 원산지이다. 파라과이에서는 옛날부터 스테비아 잎을 감미료로 이용해 왔는데, 최근 합성감미료인 사카린의 유해성이 문제가 되자, 다시 주목을 끌게 되었다. 잎에는 무게의 6∼7% 정도 감미물질인 스테비오시드(stevioside)가 들어 있는데, 그 함유율은 개체에 따라 차이가 크다. 감미성분은 설탕의 300배로서, 차를 만들어 마시거나 껌 대용으로 하며 청량음료의 감미료로 사용한다. 우리나라에도 1973년에 들여와 새로운 품종을 육성하여 왔다. 번식은 종자나 꺾꽂이로 한다. 수확은 l년에 l∼2회 할 수 있으며, 9월 상순과 중순이 적기이다. 스테비아는 칼륨, 나트륨, 베타카로틴, 비타민 A,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E 등 인체에 필요한 무기염류와 영양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강력한 항산화작용, 살균작용, 해독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 특히 다이옥신분해능을 가지므로 다이옥신으로 오염된 토양을 복원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Stevia (Stevia) is a perennial silkworm that grows around rivers and wetlands. The roots are not evident in the development of the root roots, and there are many side root and root roots. In the latter stages of development, thick roots develop and storage functions are developed. A new branch grows from a hidden eye near its roots and forms a new stem every year. The stem is straight and the function of the stem is lost during the winter. Leaves hang on the stem node and branches grow on the axil. Leaves are opposite and basal, 4 ~ 10cm long and 2.5cm wide. There are fine sawtooth and curves and three leaf veins. There is no petiole, and there is fine hairs all over the abdomen. Flower is bloomed with one to five or six ornamental flowers, and has the property of self-incompatibility. Because it is a single plant, flowers bloom quickly under single conditions. The seeds have a low fertility rate and are very small. At the end of the seed, there is a tortoise-like tubular shape. Paraguay, South America, Argentina, Brazil and the country's origin is the border. Paraguay has used stevia leaves as a sweetener for a long time, but recently it became more noticeable when the harmfulness of saccharin, a synthetic sweetener, became a problem. The leaf contains stevioside, which is about 6 ~ 7% of the weight, and its content vari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The sweetness component is 300 times as much as sugar, and it is used as a sweetener for refreshing drinks by making tea or substituting gum. It has also been introduced in Korea in 1973 to cultivate new varieties. Breeding is done with seeds or bunches. Harvesting can be done once or twice a year, with early and mid-September being the fewest. Stevia contains inorganic salts and nutrients such as potassium, sodium, beta carotene, vitamin A, vitamin B2, vitamin B6 and vitamin E. It has powerful antioxidant, bactericidal and detoxifying effects. It is known that dioxins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restoring soil contaminated with dioxins.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A)독립영양 미생물; 축분(畜糞), 석회 및 미네랄로 이루어지는 미생물 배지; 카올리나이트(Kaolinite),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클로라이트(Chlorite), 겔라이트,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운모류, 맥반석, 게르마늄 및 바심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광물비료;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중금속 오염 토양에 투입하는 단계; (B)30~40cm의 깊이로 로타리치는 단계; (C)3~5개월 동안, 초기에는 1일 1~2회 회당 4~6mm의 양으로 수분을 공급하며, 4~5주 경과 후에는 30~50% 양을 줄여서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 및 (D) d1)스테비아(stevia)를 식재하는 단계; d2)스테비아를 재배하는 단계; 및 d3)토양 내 중금속이 흡수되어 스테비아의 지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스테비아의 지상부를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an autotrophic microorganism; A microbial medium consisting of livestock feces, lime and minerals; Mineral fertiliz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aolinite, montmorillonite, vermiculite, chlorite, gelite, ilite, zeolite, mica, elvan, germanium and bases; And introducing the superabsorbent polymer into a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B) Rotating to a depth of 30 to 40 cm; (C) supplying moisture in an amount of 4 to 6 mm per one or two times a day for 3 to 5 months, initially reducing the amount of 30 to 50% after 4 to 5 weeks; And (D) d1) planting stevia; d2) growing stevia; And d3) harvesting the ground portion of the stevia when the heavy metals in the soil are absorbed and moved to the ground portion of stevia.

토양을 생물학적으로 정화하기 위해서는 미생물이 왕성하게 활동할 수 있는 토양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척박한 토양에는 토착미생물이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외부에서 미생물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이때, 유기물질이 적은 척박한 토양에서 자체적으로 빛과 수분의 보충만으로 생존할 수 있는 독립영양 미생물을 공급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In order to biologically purify the soil, it is necessary to improve it into a soil in which microorganisms can act vigorously. Since there is almost no indigenous microorganism in the barren soil, the microorganism should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supply an autotrophic microorganism which can survive only by replenishing light and moisture in an unfavorable soil with a low organic matter.

남조류(藍藻類, cyanobacteria, blue-green algae)는 핵막으로 싸인 핵 및 엽록체가 없는 조류로서 청녹조류라고도 불린다. 클로로필 a 외에 β-카로틴, 믹소크산틴 및 피코빌린류로서 c-피코시아닌, c-피코에리스린을 다량 함유한다. 동화산물로 남조전분(cyanophycean starch) 또는 글리코겐을 만든다.Cyanobacteria (cyanobacteria, blue-green algae) are nucleated and chloroplast-free algae, also known as blue-green algae. In addition to chlorophyll-a, β-carotene, micalcoxanthin, and c-ficocyanin and picobillin, and c-picoerythrin. Make a cyanophycean starch or glycogen with an anabolic product.

지상의 표층, 담수, 바닷물 등에 서식하나 매우 건조한 조건이나 고온(80℃)에 견디는 종도 발견되고 있다. 또한 남조류는 그들이 생장하는 과정에 많은 양의 분비물을 생산하여 세포 외부에 두터운 막(mucous envelope or mucilage sheath)을 형성한다. 이것은 주성분이 다당류(polysaccharides)로 알려져 있으며, 그 역할은 물을 함유하여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것, 타 생물에 대한 방어막, 필수양분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고 등 여러 가지로 그 기능이 보고되어 있다. 토양 식물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분비물은 토양입자와 킬레이터(Chelator)로서 작용하여 토양의 내수성 입단 형성에 큰 역할을 하여 토양의 보수력과 보비력(保肥力)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공헌한다고 알려져 있다. 가늘고 긴 섬유질 형상을 만들어서 흙이나 모래 사이에 달라붙어 독립된 구조체를 형성 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체 속에는 각종 지의류, 이끼류, 균류들이 모여 살게 되고, 또한 이러한 독립된 구조체들이 모여서 커다란 케이크 형상의 스펀지체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스펀지체들이 각종 침식으로 부터 토양의 유실을 막고 수분을 흡수, 유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It lives in the surface layer of the ground, fresh water, and seawater. However, very dry condition and high temperature (80 ℃) are also found. Cyanobacteria also produce a large amount of secretion during their growth, forming a mucous envelope or mucilage sheath outside the cell. This is known as polysaccharides. Its role is to protect itself by containing water, to protect against other organisms, to store essential nutrients, and so on. According to studies by soil botanists, these secretions act as soil particles and chelator, which plays a major role in the formation of water-resistant habitats in the soil, which is known to contribute greatly to improving the water holding capacity and conservation of soil. It forms an elongated fibrous shape and sticks between soil or sand to form an independent structure. In this structure, a variety of lichens, mosses, and fungi are gathered, and these independent structures gather to form a large cake-like sponge body. These sponge bodies prevent the loss of soil from various erosions and absorb and retain moisture .

남조류의 사체도 단백질의 함량이 65%를 넘고 그 단백질은 식물생장에 필요한 필수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남조류가 사멸한 경우에도 토양의 활성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미생물들의 활발한 대사작용의 결과로 인한 효소작용에 의해, 모래의 토양화가 급속히 진행된다.Cyanobacteria also have a protein content of over 65%, and the protein contains all the essential amino acids necessary for plant growth, thus helping to improve the soil activity even when the cyanobacteria are killed. Due to the enzymatic action resulting from the active metabolism of these microorganisms, soil uptake of sand proceeds rapidly.

본 발명에서는 Anabaena 속, Nostoc 속, Microcoleus 속, Oscillatoria 속, Calothrix 속, Phormidium 속 남조류 또는 이들이 혼합된 미생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microorganisms such as Anabaena genus, Nostoc genus, Microcoleus genus, Oscillatoria genus, Calothrix genus, Phormidium genus genus, or a mixture thereof.

이때 상기 남조류와 함께 토양의 발효에 관여하는 아스페르질루스(Aspergillus)균, Rhizopus nigricans을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남조류의 사체는 매우 훌륭한 영양원이 된다. 하지만 표피층이 두터워 그 자체로 식물체가 흡수하는 효율은 30~35%정도에 이른다. 이때 상기 남조류와 함께 아스페르질루스(Aspergillus)속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niger, 조균류 털곰팡이과의 Rhizopus nigricans 등의 균을 혼합 사용하면, 아스페르질루스(Aspergillus)균, Rhizopus nigricans이 자체적으로 토양을 활성화 하는 기능도 있지만, 남조류의 사체를 분해하여 식물체가 흡수하기 좋은 형태로 바꾸어 주게 되는데, 이 경우 흡수효율이 90~95%까지 상승하는 효과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mix Rhizopus nigricans and Aspergillus bacteria involved in the fermentation of the soil together with the cyanobacteria. Cyanobacterium is a very good nutrition source. However, the skin is thick and the plant absorbs 30 ~ 35% of its efficiency. When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niger or Rhizopus nigricans are used together with the cyanobacterium, the Aspergillus and Rhizopus nigricans form their own soil There is also a function to activate, but it disassembles the carcass of the cyanobacterium and transforms it into a form that the plant absorbs. In this case, absorption efficiency increases to 90 ~ 95%.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배양조에 카올리나이트(Kaolinite),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클로라이트(Chlorite), 겔라이트,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운모류, 맥반석, 게르마늄 및 바심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세광물분말을 넣어 회전시키면서 남조류를 배양 후, 아스페르질루스(Aspergillus)속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niger 및 조균류 털곰팡이과의 Rhizopus nigrican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균을 혼합하여 함께 배양하여 사용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a microorganism, which comprises culturing in a culture tank a culture medium comprising kaolinite, Montmorillonite, Vermiculite, Chlorite, gelite, ilite, zeolite, mica, elvanite, germanium, And at least one bacteriu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spergillus genus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niger and Rhizopus nigricans with a fungus fungus are mixed together, And cultured.

보다 구체적으로는 남조류 배양 시, 미량원소가 풍부한 미세하게 정제한 광물(카올리나이트(Kaolinite),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클로라이트(Chlorite), 겔라이트,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운모류, 맥반석, 게르마늄, 바심 등)을 배양조에 투입하여 남조류가 배양되는 과정에서 배양로에 주기적인 회전운동을 시켜 침전된 광물(카올리나이트(Kaolinite),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클로라이트(Chlorite), 겔라이트,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운모류, 맥반석, 게르마늄, 바심 등)의 부유물을 일으켜 미세한 광물의 콜로이드입자와 남조류가 왕성하게 배양되며 생성된 다당류와 점성분의 물질과 결합, 배양조에 쌓이고,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며 '스트로마톨라이트'의 아주 기초 단계가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during the cultivation of cyanobacteria, fine-purified minerals rich in trace elements (kaolinite, montmorillonite, vermiculite, chlorite, gelite, ilite, zeolite, , Germanium, basim, etc.) were added to the culture tank to periodically rotate the cultivator during the cultivation of the cyanobacteria. The precipitated minerals (Kaolinite, Montmorillonite, Vermiculite, Chlorite, Colloidal particles and cyanobacteria of fine minerals are cultivated vigorously, and the resulting polysaccharide is mixed with a point substance, and the mixture is accumulated in a culture tank. The same process is repeated and a very basic step of 'Stromatolite' is formed.

이와 같이 침전된 침전물과 위층에서 배양된 남조류를 배양조에서 분류하여 수분률 80∼90% 수준으로 만든 후, 아래에 형성된 부유물(스트로마톨라이트 초기단계)과 따로 분리한 남조류의 1/2과 골고루 섞고, 다시 따로 배양하여 준비 한 아스페르질루스(Aspergillus)속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niger, 조균류 털곰팡이과의 Rhizopus nigricans 등의 균을 스트로마톨라이트 초기단계의 부유물과 남조류 섞은 것과 1/1000로 골고루 섞은 후, 빛이 차광된 27℃에 맞춘 발효시설에 쌓아 발효를 한다.The sediment precipitated and the cyanobacteria cultivated in the upper layer were classified in a culture tank to have a water content of 80 to 90%, and then mixed with 1/2 of the separated cyanobacteria separated from the suspended matter (initial stage of stromatolite) formed below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niger and Rhizopus nigricans, which were cultured separately and cultured separately, were uniformly mixed at a ratio of 1/1000 to the suspension of stromatolite in the early stage and mixed with cyanobacteria, The fermentation is carried out at a fermentation facility at 27 ℃ where the light is shaded.

이 과정에서 균주가 먹은 침전물 및 남조류의 배설물들은 나노화되어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영양소원이 가득 한 양질의 것으로 바뀌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sediments fed by the strain and the excreta of the cyanobacteria are nanoized and replaced with high quality nutrients that the plants can grow.

이 발효과정은 곰팡이 균주가 하얗게 표면을 덮을 때까지 발효를 시켜 배양하며, 배양이 끝난 후 배양 전에 남겨놓은 1/2의 남조류를 저온건조기에서 말려 준비한 것과 골고루 섞는다. 필요에 따라 액상으로 사용하거나 분말 및 펠렛 형태로 사용한다.This fermentation process is performed by fermenting until the fungus strain covers the surface whiten. After cultivation, 1/2 of the cyanobacteria left before incubation is dried in a low temperature drier and mixed evenly. It may be used in liquid form or in powder or pellet form if necessary.

투입하는 미생물의 양은 토양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지만, 수분 20%내외 건조 미생물을 기준으로 3.3 ㎡당 1g~10g을, 배양액의 경우 100ml~1,000ml를 사용한다.The amount of microorganisms to be added depends on the condition of the soil, but it is 1 ~ 10g per 3.3 ㎡ based on 20% moisture and dry microorganism, and 100ml ~ 1,000ml for culture.

토양미생물과 더불어 토양미생물이 우선적으로 살 수 있는 영양분이 필요한 바, 축분을 위주로 한 유기물, 이러한 유기물과 급속한 반응 과정을 거치는 석회류, 그리고 각종 미네랄류로 이루어진 배지를 함께 투입한다.In addition to soil microorganisms, soil microorganisms require nutrients that can be bought first. Organic materials, such as shale-based organic matter, limestone, which is subjected to a rapid reaction process, and various minerals are put together.

축분으로는 계분, 돈분, 우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계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축분과 함께 또는 대신하여 질소와 인산의 성분이 풍부한 다양한 형태의 유기질 비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 형상에 있어서도, 그래뉼 타입을 포함하며, 물류비 및 인건비를 고려하여 고농축화의 필요가 있는 경우와 흡수성을 올리기 위해 100나노 사이즈 이하로 미분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액상화하여 사용하는 것을 포함 한다. 상기 미네랄로는 마그네슘, 철, 붕소, 망간, 아연, 구리, 몰리브덴, 코발트를 들 수 있다. 상기 배지의 투입량은 토양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3.3 ㎡당 1~2kg을 사용할 수 있다.Straw counts, poultry, and cows can be used, and it is preferable to use counts. At this time, various types of organic fertilizers rich in nitrogen and phosphoric acid components may be used together with or instead of the above-mentioned shaft fractions. The shape also includes a granule type, a case where high concentration is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a distribution cost and a labor cost, and a case where the particle size is not more than 100 nanometers in size to increase the water absorbency, or liquefied. Examples of the minerals include magnesium, iron, boron, manganese, zinc, copper, molybdenum and cobalt. The amount of the above-mentioned medium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soil, but 1 to 2 kg per 3.3 m 2 may be used.

척박한 토양의 경우 영양분을 축적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양이온 치환 기능이 있는 기능성 광물비료를 일정량 투입해 주는 것으로 객토를 대체한다. 양이온 치환(Cation Exchange)기능이 강한 토양은 점토광물로, 광물성 비료로는 카올리나이트(Kaolinite),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겔라이트(천연포졸란), 일라이트,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클로라이트(Chlorite), 제올라이트, 운모류, 맥반석, 게르마늄, 바심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풍부한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수분의 유지 통기성 유지 양이온치환의 기능을 하므로 적정량 미생물과 같이 시비한다. 양이온 치환 용량이 클수록 비료로 사용하는 영양 성분이 작물에 이용되는 비율이 증대된다. 즉 비옥한 토양일수록 양이온 치환 용량이 크다 할 수 있다. 상기 광물성비료는 통기성과 보수성, 보비성을 높이기 위해 발포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그래뉼 타입, 100nm이하의 미분 또는 액상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물비료의 투입량은 토양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3.3㎡당 0.1~1kg을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nutrients can not be accumulated in the case of a barren soil, the present invention replaces the soil by injecting a certain amount of a functional mineral fertilizer having a cation substitution function. The soil with strong cation exchange function is a clay mineral. Mineral fertilizers include kaolinite, montmorillonite, gelite (natural pozzolan), ilite, vermiculite, chlorite, Zeolite, mica, elvan, germanium, basement, etc., can emit abundant far-infrared rays, maintain water permeability, and function as a cation substitute. The larger the cation exchange capacity, the greater the proportion of the nutrients used as fertilizers to the crop. In other words, the more fertile the soil, the greater the cation exchange capacity. The mineral fertilizer can be used by foaming to improve air permeability, water retention and bobbility, and granular type, 100 nm or less, or liquefied. The input amount of the mineral fertilizer may vary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soil, but 0.1 to 1 kg per 3.3 m 2 may be used.

미생물이 토양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수분 공급이 요구된다. 척박한 토양이 위치하는 지역은 대기가 건조하므로 수분의 증발량이 많으므로, 토양 내에 항상 일정 정도 이상의 수분량을 유지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초기 1일 1~2회 30분씩 점적호스로 매회 4~6mm정도 물을 공급해 주지만, 미생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 물탱크 역할을 해줄 고 흡수성 폴리머를 토양에 함께 투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토양 속의 중금속을 흡수하기 위하여 재배되는 스테비아는 습지에서 잘 자라므로 토양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In order for microorganisms to settle in the soil, a constant supply of water is required. It is important that the moisture content is always kept in the soil because the atmospheric moisture is evaporated in the area where the barren soil is loca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is supplied about 4 to 6 mm each time by a drip hose every 30 minutes for one to two days on the first day. However, a highly water-absorbing polymer serving as a water tank for continuously supplying water required for growth of microorganisms Put them together in the soil.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tevia cultivated to absorb heavy metals in the soil grows well in wetlands, so it is important to supply sufficient moisture to the soil.

상기 고 흡수성 폴리머는 자기 체적의 100~200배로 팽창이 가능하고, 반복된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5~10년의 내용년수를 갖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 흡수성 폴리머는 수분을 흡수하면 겔(gel) 형태의 구조체로 변화가 일어나며, 물을 흡수한 겔(gel)에는 겔(gel) 내부에 물을 가두어 두려고 하는 흡수력(폴리머와 물의 친화력, 물의 침투압)과 흡수작용을 억제하려고 하는 힘(폴리머의 3차원망목에 기인하는 고무탄성력) 등이 작용한다. 친화력과 침투력의 합계가 탄성력과 평행을 이룬 지점에서 물의 흡수와 분자사슬의 확장은 멈추어지고, 안정된 형태의 수분 포화상태가 되어 수분을 지속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고 흡수성 폴리머를 토양과 혼합사용하면 흡수 겔(gel)이 물탱크 역할을 하여 미생물의 정착을 위한 물의 공급원이 되어 토양 내의 수분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시판품인 K-SM 아크릴아마이드 계의 고 흡수성 고분자수지나, 폴리아크릴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토양개량제(WCS, Water Combination Soil)를 사용할 수 있다.The superabsorbent polymer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expanding to 100 to 200 times its magnetic volume and capable of repeated expansion and contraction,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having a life of 5 to 10 years. When a water absorbing polymer absorbs moisture, it changes into a gel-like structure. The absorbing power (affinity of the polymer and the water, penetration of water) which intends to confine water in the gel is absorbed in the gel absorbing the water. And a force to suppress the absorption action (rubber elastic force caused by the three-dimensional mesh of the polymer). At the point where the sum of the affinity and the penetration is parallel to the elastic force, the absorption of water and the expansion of the molecular chain are stopped, and the stable state of moisture saturation is attained and the moisture can be kept continuously. When the high absorption polymer is mixed with the soil, the absorption gel serves as a water tank, and as a source of water for microorganism settlement, the water content in the soil can be kept const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ercially available K-SM acrylamide-based super absorbent polymer resin or a soil improving agent (WCS) containing polyacrylic acid as a main component may be used.

상기 고 흡수성 폴리머의 투입량은 토양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3.3㎡당 120~150g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고 흡수성 폴리머는 상기 광물비료, 유기질비료 및 미생물을 액상화한 경우 그 액상을 먼저 흡수시켜 사용하거나, 광물비료 유기질비료 및 미생물의 액상을 흡수한 상태의 고 흡수성 폴리머를 저온건조기로 재건조하여 그래뉼 타입 또는 펠렛 형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amount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to be injected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soil, but 120 to 150 g per 3.3 m 2 may be used. In this case, when the mineral fertilizer, the organic fertilizer and the microorganism are liquefied, the superabsorbent polymer absorbs the liquid phase first or uses the mineral fertilizer organic fertilizer and the superabsorbent polymer absorbing the liquid phase of the microorganism by re-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in the form of a pellet or a type.

보통의 경우 나노단위로 미분된 경우 효과의 확산성과 흡수성은 증가하나 약효의 지속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특히 척박한 토양 같은 경우 초기에는 보수력 과 보비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토양표면에 살포시 유실의 우려가 크다. 이에 액상의 광물비료, 유기질비료, 미생물을 고 흡수성 폴리머를 통해 흡수를 시키고, 이것을 건조하여 무게와 부피를 줄여서 이동과 사용이 용이하게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데, 일단 고 흡수성 폴리머 안에 미생물과 각종 영양성분이 가득 차게한 후, 건조시켜 부피와 무게를 줄여 물류와 사용이 용이하게 하고, 현장 사용시 물과 온도 조건이 맞으면, 즉시 미생물이 활동하게 되며, 또 그에 적합한 영양분과 수분을 시간을 두고 서서히 배출해 줄 수 있게 됨으로 해서, 토양이 자체적으로 우수한 보수성과 보비력을 갖추는 시점까지 지속적 효과를 유지해 주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fine particles, the diffusivity and absorbability of the effect are increased but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continuity of the effect. Especially in the case of unfavorable soil, there is little water conservancy and bibbing power at the beginning, so there is a great concern about the loss of the soil when spraying on the soil surfa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ke the liquid mineral fertilizer, organic fertilizer and microorganism absorb through the super absorbent polymer and dry it to reduce the weight and volume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and used. Once the microorganism and various nutrients Once filled, it dries to reduce volume and weight, making it easy to use in logistics and use. When the water and temperature conditions are met at the time of field use, the microorganisms are activated immediately, and the nutrients and moisture suitable for them can be discharged gradually over time The soil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a sustained effect up to the time when the soil has its own excellent water retention and bracing ability.

토양에 상기 성분들을 투입한 후 30~40cm의 깊이로 로타리 쳐서 토양과 혼합시킨다. 이어서, 상기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여 미생물이 정착할 수 있도록 한다. 토양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3~5개월 동안 수분을 공급한다. 초기에는 1일 1~2회 회당 4~6mm(토양에 흡수되지 않고 쌓인 물의 깊이)의 양으로 수분을 공급하며, 4~5주 경과 후 부터는 30~50%로 양을 줄여서 수분을 공급한다. 이때 점적 호스를 사용할 수 있다.After the above ingredients are added to the soil, they are rotary kneaded to a depth of 30 to 40 cm and mixed with the soil. Then, water is supplied to the soil so that microorganisms can settle.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soil, it will provide moisture for 3 to 5 months. Initially, water is supplied in an amount of 4 to 6 mm per one or two times per day (the depth of the water that is not absorbed by the soil), and after 4 to 5 weeks, water is supplied by reducing the amount to 30 to 50%. Dot hoses can be used.

이와 같은 방법으로 토양을 개선한 결과, 스테비아를 재배하기에 적합한 토양으로 개선되었다.As a result of improving the soil in this way, it was improved to a soil suitable for growing Stevia.

상기 독립영양 미생물과 함께 중금속 흡착능을 가지는 메탈로티오네인(Metallothionein) 효소를 함께 토양에 투입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메탈로티오네인은 단량체의 분자질량이 6,000∼8,000의 저분자 금속결합성 단백질로서, 시스테인(cysteine) 함량이 30%에 이르고 있어 산화환원반응이 손쉽게 일어나며 이와 같은 반응성에 따라 세포를 금속, 반응성 친전자체(reactive electrophile), 활성산소와 질소종(ROS/RNS)의 유독작용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메탈로티오네인을 구성하는 20개의 시스테인 잔기는 금속결합능을 지니는 알파(α) 및 베타(β)형의 thiolate cluster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티올(thiol)기는 수은, 카드뮴 등의 중금속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중금속의 해독이나, 중화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미생물, 비료등과 함께 메탈로티오네인 효소를 토양에 투입하면 그 자체로써 토양내의 중금속을 해독, 중화할 수 있다. It is more efficient to add metallothionein enzyme having heavy metal adsorbing ability together with the abovementioned autotrophic microorganisms together into the soil. Metallothionein is a low molecular weight metal binding protein with a molecular mass of 6,000-8,000 and has a cysteine content of 30%. Therefore, the redox reaction easily occurs. According to this reactivity, the metal is reacted with a metal, (reactive electrophile), 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ROS / RNS). The 20 cysteine residues that constitute metallothionein are arranged in alpha and beta type thiolate clusters with metal binding capacity. These thiol groups can bind heavy metals such as mercury and cadmium. Therefore, it is known to be involved in detoxification and neutralization of heavy metals. When the metallothionein enzyme is added to the soil together with microorganisms and fertilizers, the heavy metals in the soil can be decrypted and neutralized by itself.

이어서, 상기 토양에 스테비아(Stevia)를 식재하여 재배함으로써 잔존 중금속을 제거한다. 스테비아는 씨를 뿌리거나 꺾꽂이를 통해 토양에 식재한다. 스테비아를 재배함에 따라 뿌리를 통하여 흡수된 중금속은 지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테비아를 뿌리 채 수확할 수도 있지만, 스테비아는 여러해살이 식물이므로 겨울에 뿌리가 동사하는 것만 막아 준다면 여러 해 동안 수확할 수 있다. 토양의 중금속 오염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2~3년간 지상부를 수확함으로써 토양의 중금속을 높은 수준으로 제거할 수 있다.Subsequently, Stevia is planted and cultivated in the soil to remove residual heavy metals. Stevia plants seeds through seeds or bunches. As the stevia grows, the heavy metals absorbed through the roots migrate to the groun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harvest stevia with roots, but since stevia is a perennial plant, it can be harvested for many years if it only prevents the roots from verbing in winter.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heavy metals in the soil, heavy metals in the soil can be removed to a high level by harvesting the ground part for 2 ~ 3 years.

오염토양에 스테비아를 식재하는 이유는 다비성 생육에 많은 양의 비료를 필요로 하며 어느 한계까지는 비료를 많이 주면 줄수록 수량이 크게 증대되는 작물이기 때문이다. 식물로 토양의 양분 및 기타 오염된 물질을 왕성하게 뿌리로부터 흡수 분해하여 오염 토양을 중화시키는 힘이 있으며, 스테비아를 가공하여 밭에 뿌릴 경우, 다이옥신 및 중금속 토양을 정화하는 능력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02551 "식품첨가용 식물성(스테비아) 다이옥신 분해제 및 제조방법"에는 스테비아 추출물이 토양 중의 다이옥신을 분해한다는 실험 결과가 개시되어 있기도 하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었다.The reason for planting stevia in contaminated soil is that it requires a large amount of fertilizer to grow dabbi, and the crop is a crop whose yield is greatly increased as the fertilizer is added to a certain limit. Plants have the ability to absorb soil nutrients and other pollutants from the roots intensively to neutralize the contaminated soil, and have the ability to purify dioxin and heavy metal soils when processing stevia and spreading them on the fiel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02551 "Vegetable (Stevia) Dioxin Release and Preparation Method for Food Additive" also discloses an experimental result that Stevia extract decomposes dioxins in soil.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could be efficiently purified by this method.

상기 토양의 정화과정에서 수확된 스테비아는 농작물 재배를 위한 비료나 동물의 사료로 이용될 수 있다. 중금속이 함유된 상태로는 비료나 사료로 사용될 수 없으므로 복합발효공정을 통하여 무독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수확된 스테비아에 바실러스(Bacillus) 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피치아(Pichia) 속 균주의 미생물을 가하여 발효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발효시 상기 미생물들 중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2종 이상의 미생물을 동시에 사용하거나,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발효를 시켜 무독화시킨다. 이때, 중금속의 효율적인 제거를 위하여 미생물을 가할 때, 메탈로티오네인 효소를 함께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발효물에 통상의 비료나 사료에 첨가되는 성분을 함께 첨가하여 비료나 사료를 제조한다. Stevia harvested in the soil remediation process can be used as fertilizer for growing crops or animal feed. Since it can not be used as fertilizer or feed in the state containing heavy metals, it is necessary to be detoxified through a complex fermentation proc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croorganisms of the genus Bacillus, Lactobacillus, and Pichia are added to the harvested Stevia and fermented. Preferably, two or more of the above microorganisms are mixed and used in fermentation. Two or more microorganisms may be us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o be fermented to detoxify. At this time, when the microorganism is added for the efficient removal of the heavy metal, it is preferable to add the metallothionein enzyme together. The fermented product thus produced is added with the usual fertilizer or a component added to the feed to prepare a fertilizer or feed.

액상비료로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테비아를 착즙한 후 발효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it is desired to produce the liquid fertiliz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via is fermented after being squeezed.

[실시예][Example]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당연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for the purpose of easily describing the scope and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chang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se examples.

실시예 1: 오염토양정화Example 1: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soil

2017년 2월부터 10월까지 오염토양정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장소는 경기도 여주시 우만동 소재의 인삼 밭으로서 5년 동안 인삼을 재배하며 화학비료와 각종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를 5년 동안 연속하여 살포하여 토양속의 유익균 및 미생물들이 사멸하였고, 잔류농약, 중금속 등이 토양 속에 대량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토양의 10cm 밑으로는 경화되어 식물의 뿌리가 뻗어 나갈 수 없는 토질로 변해 있는 밭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제 실험을 위한 본 밭의 10cm 밑으로 흙을 파는데 삽에 온몸을 싫어 파려해도 시멘트로 만든 콘크리트 바닥을 파는 것처럼 굳어 삽이 더 이상 들어가지 않았다. From February to October 2017, soil contamination tests were conducted. The test site was ginseng field in Ujang-dong, Yeoju-si, Gyeonggi-do. The ginseng was cultivated for 5 years and the chemical fertilizers, various fungicides, insecticides and herbicides were sprayed continuously for 5 years to kill the beneficial bacteria and microorganisms in the soil. The test was carried out in a field which was contained in large quantities in the soil and which turned into soil which was hardened below 10 cm of the soil and could not reach the root of the plant. For the actual experiment, I dig soil below 10cm from the field, but when I tried to hate the whole body in the shovel, it hardened like a concrete floor made of cement, and the shovel did not enter anymore.

시험대상인 경화된 밭에 30m2의 크기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미생물과 배지, 비료 등을 투입하여 정화작업을 시작하였다. The microorganism, the medium and the fertilizer were put into the cured field of the test subject for the size of 30m 2 to start the purification work.

독립영양 미생물로서 Anabaena 속 클로렐라와 조균류 털곰팡이과의 Rhizopus nigricans가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독립영양 미생물, 미생물 배지, 광물비료로서 제올라이트와 운모, 그리고 고흡수성 폴리머를 상기 오염 토양에 투입하였다. 이때, 토양 3.3㎡를 기준으로 독립 영양 미생물은 수분 20% 건조 미생물기준으로 5g, 상기 배지는 1.5Kg, 상기 광물비료는 1kg, 고흡수성 폴리머는 120~150g을 사용하였다.As an independent nutrient microorganism, Anabaena chlorella and Rhizopus nigricans were used. Zeolite, mica, and a superabsorbent polymer were added to the contaminated soil as the autotrophic microorganism, microorganism medium, and mineral fertilizer. At this time, the independent nutrient microorganisms were 5 g based on 20% dry microorganism, 1.5 kg for the medium, 1 kg for the mineral fertilizer, and 120 to 150 g for the superabsorbent polymer.

30~40cm의 깊이로 경운을 한 후 노타리를 하여 재배시험 진행을 위한 A군의 시험포를 만들었다. 같은 날 동일 지역의 30m2의 크기에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방법의 실험과 대조하여 일반 거름을 3.3m2 당 5kg(돈분과 왕겨 후숙 거름, 농협 판매 분) 살포 후 30~40cm의 깊이로 경운을 한 후 노타리를 하여 재배시험 진행을 위한 B군의 시험포를 만들었다.After tilling at a depth of 30 ~ 40cm, a test group of group A was made for cultivation test. On the same day, in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 of heavy metal contaminant soil remediation method in the size of 30m 2 of the same area, the general manure was sprayed with 5kg per 3.3m 2 (pork and rice husks, The test group of group B for the cultivation test was made.

3개월 동안 수분을 공급하였다. 처음 4주 동안은 1일 1~2회 회당 4~6mm의 양으로 수분을 공급하고, 4주 경과 후 부터는 50%로 양을 줄여서 수분을 공급하였다.Moisture was supplied for 3 months. During the first 4 weeks, the water was supplied in a quantity of 4-6 mm per one or two times per day, and the amount of water was reduced by 50% after 4 weeks.

A군과 B군의 시험포에 2017년 5월 3일 각각 스테비아를 심고 점적호스를 연결하여 같은 날 같은 시간대에 물을 공급하였다. 관주 방법은 비오고 흐린 날을 빼고, 2017년 5월부터 6월 말까지 3일마다 1회에 3.3m2 당 10L의 물을 관주하였고, 2017년 7월 1일부터 10월 5일까지 3일마다 1회에 3.3m2 당 20L의 물을 관주하였다. 재배시험을 진행하는 밭은 땅이 경화되어 있어 쉽게 가뭄을 심하게 타는 특징이 있어 일반 밭보다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되어야 했다. 무엇보다 스테비아 식물은 물을 좋아하는 식물로 약한 가뭄에도 쉽게 잎이 마르는 특징이 있었고 한 여름철의 강한 햇빛으로 수분 증발량이 상당히 많았다.On May 3, 2017, stevia plants were planted in the test camps of group A and group B, respectively, and water was supplied at the same time on the same day. Rainy irrigation method, remove the cloudy day, from May 2017 to June was drenched with water of 3.3m 2 10L per once every three days until the end, every three days from July 1, 2017 until October 5 20 liters of water per one 3.3 m 2 was used. The fields under cultivation test were characterized by hardening of the land and easy burning of the drought, so more water had to be supplied than ordinary fields. Stevia plants are water-loving plants. They are easy to dry on weak drought, and have a lot of water evaporation due to strong sunlight in summer.

스테비아를 식재하는 방법은 일차 육묘과정을 거쳐 생산된 모종을 두둑 70cm, 두둑 높이 10cm, 골 넓이 30cm로 조성하여 30cm×25cm의 간격으로 두줄로 심었다. 병충해 방지 및 별도의 영양제 살포, 웃거름 등은 일체 시비 및 살포하지 않고 균등하게 물만 점적호스를 통해 3일에 1번씩 관주하였다.Stevia was planted in two rows at intervals of 30 cm × 25 cm with the seedlings produced by the primary seedling process being 70 cm in height, 10 cm in height, and 30 cm in width. Prevention of insect pests, separate nutrient spraying, and laughing horses were carried out once every three days through water hose without uniform fertilization and spraying.

정식 후 2개월 경과 후(2017년 7월 3일)의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FIG. 1 shows a photograph of the specimen after 2 months (Jul. 3, 2017).

도 1의 사진에서 A군은 본 발명 생물학적 오염토 정화 방법을 적용한 토양에 식재한 사진이고, B군은 일반 식재방법으로 식재 한 모습이다. 생물학적 오염토 정화를 위한 배지를 조성 한 A군의 스테비아가 빠르게 성장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In the photograph of FIG. 1, group A is a photograph planted in the soil to which the biologically polluted soil pur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plant B is planted by a general planting method. Stevia in group A, which provided a medium for biological contamination soil purification, is showing rapid growth.

정식 후 3개월 경과 후(2017년 8월 3일)의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FIG. 2 shows a photograph of the specimen after three months (Aug. 3, 2017).

A군의 스테비아는 1개월 동안 급격히 성장하였지만, B군의 스테비아는 1개월 후에도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tevia in Group A grew rapidly during one month, but Stevia in Group B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after one month.

본 발명의 방법대로 진행된 스테비아 재배를 통한 오염토양 정화시험에서 오염토양이 많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개월간의 스테비아 재배 후(2017년 10월 5일)의 뿌리 단면도 사진을 도 3 및 도 4에 각각 나타내었다. B군의 일반 재배법으로 재배한 스테비아는 평균 13cm 이하로는 뿌리가 서식하지 못했고, 13cm 위에서도 굵은 뿌리만 존재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대로 재배 시험한 A군의 재배지는 스테비아 뿌리가 고르게 평균 25cm까지 내려가 있었으며, 잔뿌리가 왕성하게 뻗어 고르게 발달하였다. 또한 토양의 상태를 점검했을 때 뿌리가 자란 25cm까지의 흙이 부드럽고 식물이 자라기에 접합한 토양으로 변해 있었다. 나아가 A군의 토양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의 양도 크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aminated soil was greatly improved in the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test through the stevia cultivation conduct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show photographs of root cross sections after 5 months of stevia cultivation (October 5, 2017). Stevia cultivated by the general cultivation method of group B did not have roots in average less than 13cm and thick roots existed in 13cm above. However, in the cultivated area of the group A treat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via roots were uniformly lowered to an average of 25 cm. Also, when the soil condition was checked, the soil up to 25cm from which the roots grew up became soft and the soil changed into the soil that the plants grew.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heavy metals contained in the soil of A group was greatly decreased.

스테비아를 수확하여 말린 후 재배시험 A군과 B군의 소출량을 비교하였다. 일반적인 재배법을 통해 재배한 B군의 3.3m2당 소출량은 2.8kg이었으며, 본 발명의 방법대로 처리 후 재배 한 A군의 3.3m2당 소출량은 3.9kg으로 B군의 재배보다 1.1kg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Stevia was harvested and dried. Cultivation test A comparison of the amounts of A and B groups was made. Was 3.3m per cow 2 emissions of the group B through a common cultivation cultivation is 2.8kg, is 3.3m per cow 2 emissions of the group A after the cultiv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an 1.1kg to 3.9kg cultivation of group B , Respectively.

Claims (15)

(A)독립영양 미생물; 축분(畜糞), 석회 및 미네랄로 이루어지는 미생물 배지; 카올리나이트(Kaolinite),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클로라이트(Chlorite), 겔라이트,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운모류, 맥반석, 게르마늄 및 바심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광물비료;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중금속 오염 토양에 투입하는 단계;
(B)30~40cm의 깊이로 로타리치는 단계;
(C)3~5개월 동안, 초기에는 1일 1~2회 회당 4~6mm의 양으로 수분을 공급하며, 4~5주 경과 후에는 30~50% 양을 줄여서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 및
(D) d1)스테비아(stevia)를 식재하는 단계; d2)스테비아를 재배하는 단계; 및 d3)토양 내 중금속이 흡수되어 스테비아의 지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스테비아의 지상부를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
(A) an autotrophic microorganism; A microbial medium consisting of livestock feces, lime and minerals; Mineral fertiliz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aolinite, montmorillonite, vermiculite, chlorite, gelite, ilite, zeolite, mica, elvan, germanium and bases; And introducing the superabsorbent polymer into a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B) Rotating to a depth of 30 to 40 cm;
(C) supplying moisture in an amount of 4 to 6 mm per one or two times a day for 3 to 5 months, initially reducing the amount of 30 to 50% after 4 to 5 weeks; And
(D) d1) planting stevia; d2) growing stevia; And d3) harvesting the ground portion of the stevia when the heavy metals in the soil are absorbed and moved to the ground portion of the stevi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영양 미생물과 함께 중금속 흡착능을 가지는 메탈로티오네인(Metallothionein) 효소를 함께 토양에 투입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The method for purifying heavy metals contaminated soi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allothionein enzyme capable of adsorbing heavy metals together with the autotrophic microorganisms is added to the s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분과 함께 또는 대신하여 질소와 인산의 성분이 풍부한 유기질 비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The method for purifying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rganic fertilizer rich in nitrogen and phosphoric acid components is used together with or instead of the shaft fra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수분공급은 점적호스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step (C), the water supply is performed through a drip hos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비료 및 유기질비료는 통기성과 보수성, 보비성을 높이기 위해 발포시켜 사용하거나, 그래뉼 타입, 100nm이하의 미분 또는 액상화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The mineral fertilizer and the organic fertilizer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mineral fertilizer and the organic fertilizer are used by foaming to enhance the breathability, water retention and bobbility, or granular type, How to cle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영양 미생물은 Anabaena 속, Nostoc 속, Microcoleus 속, Oscillatoria 속, Calothrix 속, Phormidium 속 남조류 또는 이들이 혼합된 미생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totrophic microorganism is an organism of Anabaena genus, Nostoc genus, Microcoleus genus, Oscillatoria genus, Calothrix genus, Phormidium genus or a mixture thereof.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남조류와 함께 아스페르질루스(Aspergillus)속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niger 및 조균류 털곰팡이과의 Rhizopus nigricans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균을 혼합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Claim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t least one bacteriu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spergillus genus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niger and Rhizopus nigricans belonging to the genus Aspergillus is mixed with the cyanobacteria Methods for the purific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제7항에 있어서, 배양조에 카올리나이트(Kaolinite),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클로라이트(Chlorite), 겔라이트,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운모류, 맥반석, 게르마늄 및 바심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세광물분말을 넣어 회전시키면서 남조류를 배양 후, 아스페르질루스(Aspergillus)속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niger 및 조균류 털곰팡이과의 Rhizopus nigrican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균을 혼합하여 함께 배양하여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ulture tank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aolinite, montmorillonite, vermiculite, chlorite, gelite, ilite, zeolite, mica, elvanite, germanium, At least one bacteriu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spergillus genus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niger and Rhizopus nigricans with fungus fungi is mixed and cultured together Wherein the soil i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 흡수성 폴리머는 자기 체적의 100~200배로 팽창이 가능하고, 반복된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5~10년의 내용년수를 갖춘 폴리머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6]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erabsorbent polymer is a polymer capable of expanding at 100 to 200 times its magnetic volume and capable of repeated expansion and contraction, and having a content life of 5 to 10 years Methods for the purific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제1항에 있어서, 토양 3.3㎡를 기준으로 상기 독립 영양 미생물은 수분 20% 건조 미생물기준으로 1~10g, 상기 배지는 1~2kg, 상기 광물비료는 0.1~1kg, 상기 고 흡수성 폴리머는 120~150g을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totrophic microorganism has a moisture content of 1 to 10 g, a medium of 1 to 2 kg, a mineral fertilizer of 0.1 to 1 kg, Wherein the soil i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금속은 비소, 카드뮴, 구리 및 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avy metals are arsenic, cadmium, copper, and lead. (A)제1항에서 수확된 스테비아에 메탈로티오네인 효소를 가하는 단계; 및
(B)바실러스(Bacillus) 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및 피치아(Pichia) 속 균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미생물을 가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테비아 사료의 제조방법.
(A) adding a metallothionein enzyme to stevia harvested in claim 1; And
(B) fermenting the microorganism by adding at least two microorganism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cillus, Lactobacillus, and Pichia.
(A)제1항에서 수확된 스테비아를 착즙하는 단계;
(B)스테비아 착즙액과 잔사에 메탈로티오네인 효소를 가하는 단계; 및
(C)바실러스(Bacillus) 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및 피치아(Pichia) 속 균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미생물을 가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테비아 비료의 제조방법.
(A) squeezing the stevia harvested in claim 1;
(B) adding a stearic acid solution and a metallothionein enzyme to the residue; And
(C) fermenting two or more microorganism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cillus genus, Lactobacillus genus, and Pichia genus.
제12항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테비아 사료.13. The stevia plant produced according to claim 12. 제13항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테비아 비료.







The stevia fertilizer produced according to claim 13.







KR1020180000160A 2016-12-30 2018-01-02 Method for purifying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KR2018007922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83737 2016-12-30
KR1020160183737 2016-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227A true KR20180079227A (en) 2018-07-10

Family

ID=62916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160A KR20180079227A (en) 2016-12-30 2018-01-02 Method for purifying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9227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1115A (en) * 2017-12-05 2018-04-06 武汉文科生态环境有限公司 A kind of anabena and its application in the cadmium in removing environment
CN109438119A (en) * 2018-11-30 2019-03-08 新疆根力多生物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hili meal, chrysanthemum seed cake organic fertiliz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937106B1 (en) 2018-09-10 2019-04-09 (주)에스지알테크 Remediation system and method of soil contaminated by fluorine using sequential reactions with a difference of particle size
CN110860554A (en) * 2019-12-05 2020-03-06 广东桃林生态环境有限公司 Improvement method for extremely acidified mine soil
CN111408620A (en) * 2020-04-16 2020-07-14 吕梁学院 Method for repairing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by combining microorganisms and plants
CN114539001A (en) * 2022-03-03 2022-05-27 南京思农生物有机肥研究院有限公司 Microbial remediation agent for heavy metal moderately and slightly polluted soi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5138672A (en) * 2022-07-05 2022-10-04 上海辰山植物园 Method for repairing copper-polluted soil in layering mode by combining fast-growing tree species and macrofungi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1115A (en) * 2017-12-05 2018-04-06 武汉文科生态环境有限公司 A kind of anabena and its application in the cadmium in removing environment
CN107881115B (en) * 2017-12-05 2020-12-01 武汉文科生态环境有限公司 Anabaena and application thereof in removing cadmium in environment
KR101937106B1 (en) 2018-09-10 2019-04-09 (주)에스지알테크 Remediation system and method of soil contaminated by fluorine using sequential reactions with a difference of particle size
CN109438119A (en) * 2018-11-30 2019-03-08 新疆根力多生物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hili meal, chrysanthemum seed cake organic fertiliz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0860554A (en) * 2019-12-05 2020-03-06 广东桃林生态环境有限公司 Improvement method for extremely acidified mine soil
CN111408620A (en) * 2020-04-16 2020-07-14 吕梁学院 Method for repairing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by combining microorganisms and plants
CN114539001A (en) * 2022-03-03 2022-05-27 南京思农生物有机肥研究院有限公司 Microbial remediation agent for heavy metal moderately and slightly polluted soi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5138672A (en) * 2022-07-05 2022-10-04 上海辰山植物园 Method for repairing copper-polluted soil in layering mode by combining fast-growing tree species and macrofungi
CN115138672B (en) * 2022-07-05 2023-05-12 上海辰山植物园 Method for repairing copper-polluted soil by combining fast-growing tree seeds and large fungi in layering man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9227A (en) Method for purifying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CN103736721B (en) Method by biological restoration water body with soil and comprehensive utilization of resources
CN107517727B (en) Plateau vegetation restoration composition and plateau area vegetation restoration method
Vidya et al. Water hyacinth as a green manure for organic farming
CN105284478B (en) A kind of one-step method breeding method of oil-tea sprout anvil Light media grafting container seedling
CN105170623B (en) A kind of method of charcoal and plant combined restoration of soil polluted by heavy metal
CN104203871A (en) Highly efficient organic fertilizer and components thereof
CN104311335B (en) Have soil-repairing agent and the preparation technology of process heavy metal contamination and getting fat effect concurrently
CN105127189B (en) A kind of complex method of repairing heavy metal in soil pollution
CN103435380B (en) Device and method for planting fast-growing plants and replacing chemical fertilizers with plant composts
CN105290103A (en) Method for utilizing cadmium-resisting fungus aspergillus aculeatus for promoting festuca arundinacea to remedy cadmium contaminated soil
CN104289507A (en) Remediation method for treating severe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by utilizing animals
CN104311334A (en) Composite improver for repairing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and preparation process
CN109496758A (en) A kind of disease is inoculated with reparation and the nursing method of tobacco field
CN107568012A (en) A kind of coal mine waste rock area mycorhiza auxiliary ecological restoring method based on lavender
CN107382496A (en) A kind of artificial soil for strengthening crop anti-adversity and the method for strengthening crop anti-adversity
CN107172987A (en) The implantation methods of organic vegetable
CN104275345A (en) Biochemical remediation method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CN104289508A (en) Biological remediation method for soil polluted by heavy metals
CN108293715A (en) The organic cultivation method of Alpine-arctic Pastoral graminous pasture
KR101693317B1 (en) Method for improving soil
CN112792112B (en) Method for nondestructive in-situ remediation and safe production of moderate and light cadmium polluted farmland soil
CN109622601B (en) Method for restoring farmland soil polluted by low-concentration mercury by utilizing cotton and Indian mustard crop rotation
CN106576809A (en) Method for lowering heavy-metal lead-cadmium content of Ipomoea aquatica
CN111995448B (en) Organic fertilizer for producing potato breeder's see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