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844A - 임산부용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임산부용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844A
KR20180078844A KR1020160184051A KR20160184051A KR20180078844A KR 20180078844 A KR20180078844 A KR 20180078844A KR 1020160184051 A KR1020160184051 A KR 1020160184051A KR 20160184051 A KR20160184051 A KR 20160184051A KR 20180078844 A KR20180078844 A KR 20180078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exercise
assessment
pregnancy
man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호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4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8844A/ko
Publication of KR20180078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관리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임산부 건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시스템은 임산부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통하여 스마트기기 상에서 임산부 및 태아의 건강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산부용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Smart system for operating personal health management for a pregnant}
본 발명은 건강관리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통한 스마트기기 상에서의 임산부용 건강관리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기기 (smart device)는 스마트폰, 테블릿, 스마트TV, 스마트시계, 스마트헤드셋, 및 스마트안경 등을 포함하여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장비로서, 개인 휴대정보단말기 (PDA) 기능, 인터넷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음성 및 영상 통화기능 등이 추가되며, 다양한 입력방식과 터치스크린 등이 구비되어 사용에 보다 더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유선 및 무선 인터넷을 지원하여 컴퓨터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팩스, 뱅킹, 게임 등 단말기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한편, 스마트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기 위해 표준화된 운영체제 또는 전용 운영체제를 갖추기도 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기기를 통해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스마트기기 내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전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application program) 들과 콘텐츠 (contents) 들이 많이 개발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62413호는 다수의 운동종목과 각각 매칭되는 다수의 운동종목 앱 컨텐츠를 휴대용 통신 단말기 선택에 따라 다운받도록 하며, 다운로드 된 운동종목 앱 컨텐츠의 초기 구동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 발생된 다양한 파라미터 값들을 년월주일별로 정렬시킨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일지록 정보를 비롯해 적어도 하나의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함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임산부의 건강 행동을 유도하거나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은 결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62413호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 10-2016-0046284호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 10-2014-0065710호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 10-2016-0037284호
임신부의 건강식생활 가이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소비자요구도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8(6) : 588~598, 2013
본 발명은 임산부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스스로 건강관리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임산부가 스마트기기 상에서 건강상태를 자가평가하고, 건강관리를 계획하며, 학습 및 실행하고 모니티링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가평가, 계획, 학습 및 실행, 및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임산부용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임산부의 상기 자가평가는 심리상태평가, 운동상태평가, 식이상태평가, 건강상태평가, 10대 건강수칙 실천평가, 및 건강경영전략평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계획은 운동 및 식이를 계획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학습 및 실행은 임신 후 변화준비 및 환경조성, 및 해야할일 (ToDoList) 작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은, 심리상태평가결과, 운동상태평가결과, 식이상태 평가결과, 건강상태 평가결과, 10대 수칙 실천 평가결과, 및 건강경영전략 평가결과를 포함하는 평가결과의 모니터링; 및 임산부의 체온, 체중, 산모 및 태아의 심박수, 태동, 및 스트레스 지수 등에 대한 모니터링; 및 엄마점수 모니터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산부가 스마트기기상에서 자신의 건강을 평가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실천활동을 계획하며, 학습 및 실행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임산부 및 태아의 건강을 매우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공동체와 연계하여 공동체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임산부의 체계적인 건강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통한 스마트기기 상에서의 임산부 건강관리 운용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임산부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임산부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강관리 앱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임산부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건강관리 앱이 구현된 스마트기기 메인화면의 일 예이다.
도 6은 자가평가 메인화면 및 심리상태 평가 설문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심리상태 설문의 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8은 심리상태 결과를 나타낸 화면의 일 예이다.
도 9는 임산부 운동평가 메인 화면 및 시작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운동전 건강상태평가를 위한 절대적 금기사항에 대한 질문 내용 및 그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11은 운동전 건강상태평가를 위한 상대적 금기사항에 대한 질문 내용 및 그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12는 운동상태 평가의 주기적 상태 평가에서 초기 임산부 운동상태 평가의 시작화면 및 질문내용 화면이다.
도 13은 운동상태 평가의 주기적 상태 평가에서 중기 임산부 운동상태 평가의 시작화면 및 질문내용 화면이다.
도 14는 임산부 자가평가 중 식이상태 평가 시작 화면, 질문 내용, 및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15는 초기 임산부의 식이상태 평가를 위한 초기화면 및 평가내용의 일 예이다.
도 16은 임산부 건강상태 평가 메인 화면, 건강상태 평가설문 시작 화면 및 설문내용을 나타낸다.
도 17은 임산부 건강상태 모니터링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평가설문의 응답 내영에 따라 1점부터 5점을 부여하고, 그 결과를 팝업으로 모니터링 한 화면이다.
도 18은 임산부의 10대 수칙 실천상태 평가의 메인화면 및 실천상태 설문의 일 예이다.
도 19는 임산부의 10대 수칙 실천상태 평가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20은 임산부 건강경영전략 일반 설문 및 핵심전략 설문의 초기 화면 및 세부설문 표출 화면의 일 예이다.
도 21은 임산부 건강경영전략 핵심전략 설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임산부 경영전략설문 준비전략의 초기 화면, 준비전략 세부설문 문항 및 결과 화면의 일 예이다.
도 23은 임산부 경영전략설문 학습/실행전략의 초기 화면, 학습/실행전략 세부설문 문항, 및 결과가 표출된 화면의 일 예이다.
도 24는 임산부의 운동/식이 계획의 초기화면을 나타낸다.
도 25는 임산부의 운동계획의 표출화면의 일 예를 제시한다.
도 26은 임산부의 식이계획이 표출된 초기화면의 일 예이다.
도 27은 임산부의 변화준비 및 환경조성에 대한 표출화면의 일 예이다.
도 28은 임산부의 변화준비 및 환경조성에 대한 표출화면의 일 예로서, 해당 주 계획이 없을 경우에는 계획 설정 버튼을 눌러서 주간 계획을 설정한다.
도 29는 임산부의 자가평가 결과보기, 실행 모니터링 및 엄마 점수 보기 초기화면을 나타낸다.
도 30은 임산부 모니터링 메인 화면 및 태아의 심박수 변화를 모니터링 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31은 임산부 모니터링 메인 화면 및 태아의 태동 변화를 모니터링 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32는 임산부 모니터링 메인 화면 및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고 모니터링 한 결과의 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33은 임산부 운동상태 모니터링 결과의 일 예이다.
도 34은 임산부 모니터링 메인 화면 및 식이상태 모니터링 결과의 예이다.
도 35는 실행 모니터링에서 현재 엄마점수를 실행/학습 부분에서 할일 (TodoList)의 수행도를 바탕으로 산출 것을 이모티콘과 함께 나타낸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기 개시되는 구현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 설명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임산부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은, 건강관리 앱 (App.) 용 클라우드 모듈 (100),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WAS : Web Application Server) (200) 및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 (30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임산부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임산부 개인정보, 개인건강정보, 자가평가, 계획, 학습 및 실행, 및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사용자 목적에 맞게 편집 또는 수정하여 새로운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생성시키는 임산부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 간에 동적 서버 컨텐츠를 수행시키도록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WAS : Web Application Server)와; 스마트기기상에 어플화된 상태에서,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로부터 상기 개인정보, 개인건강정보, 자가평가, 계획, 학습 및 실행, 및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스마트기기상에 활성화 시키고, 상기 수신받은 데이터를 분석한 후, 평가결과를 표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임산부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포함하는;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임산부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 (100)과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 (300) 사이에서 동적 서버 컨텐츠를 수행시킨다. 이와 같은 기능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HTML이나 오브젝트를 HTTP 프로토콜 등을 통해 전송하는 것으로서, 인터넷 상에서 HTTP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나 기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게 한다.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앱용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 실행환경과 앱용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의 앱용 데이터베이스부 접속기능과, 여러 개의 트랜잭션 또는 프로시저를 관리하며 업무를 처리하는 비즈니스 로직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임산부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 (100)은 데이터베이스를 인터넷 가상공간에서 저장 및 분산 처리하고, 임산부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그룹화하고 네트워크 연결시키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스마트기기 운영 플랫폼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또는 IOS에 맞게 편집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스트부 (110), 데이터베이스부 (120), 데이터제어부 (130), 및 소프트웨어개발부 (software development kit)부 (140)를 포함한다.
상기 테스트부 (110)는 상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대한 오류 및 안전성을 검증하며, 오류탐지모듈, 보안모듈, 및 디바이스모듈을 포함한다. 먼저 오류탐지모듈 실행결과 오류가 없으면 보안모듈로 전송되고, 상기 보안모듈에서 컨텐츠를 검증한 결과 이상이 없으면 디바이스모듈로 전송되며, 상기 디바이스모듈은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설치된 스마트기기에서의 이상유무를 검증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 (120)는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필요한 정보, 자가평가, 계획, 학습 및 실행, 및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임산부의 개인정보, 개인건강정보, 건강수칙 및 수행계획, 건강정보, 건강행동, 건강습관, 및 건강미션, 자가평가, 학습 및 실행, 및 모니터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분석 알고리즘 엔진부 (350, 도 3 참조)의 요청 시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제어부 (130)는 상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대해 지속적인 악성코드 및 바이러스를 탐지하고, 상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 사용자의 연락처 등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제어부은 그래픽엔진부 (graphics engine), 비디오엔진부 (video engine), 오디오엔진부 (audio engine), 제 1 로컬 리소스매니저부 (local resource manager), 제 1 이벤트 핸들러 (event handler)를 포함한다. 상기 그래픽엔진부는 이미지 처리를 위한 그래픽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비디오엔진부는 비디오 재생기능을 수행하고, 각각의 동영상 프레임을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전송한다. 상기 오디오엔진부는 사운드를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전송한다. 상기 로컬 리소스매니저부는 사용자 스마트기기의 리소스 정보 및 다운로드를 처리한다. 상기 이벤트처리부는 상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에서 받은 이벤트를 처리한다.
상기 소프트웨어개발부 (Software Development Kit, SKD) (140)는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대해 사용자 목적에 맞는 개발환경을 구축하고, 편집과 수정을 통해 새로운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생성시킨 후, 기존의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전송시켜 업데이트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개발부는 새로운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 개발을 위한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 (300)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 (300)은 스마트기기 상에 어플화 된 상태에서,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스마트기기 화면 상에 활성화 시키고, 입력된 정보를 위치, 날짜, 특정기간, 및 수행시점에 따라 분류하고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표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텐트부 (310), 데이터베이스 액티비티부 (320),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설정 액티비티부 (330),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340), 분석 (및 평가) 알고리즘 엔진부 (350), 및 SNS 운용부 (360)를 포함한다.
상기 인텐트부 (310)는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인터페이스 (UI)가 표출된 화면에서 사용자의 클릭 또는 터치에 따라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전환시키거나, 입력창에 명령어를 입력시킬 때 미리 설정된 클라우드 이벤트가 수행되도록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에 요청 명령을 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테트부는 인텐트 클래스로 구성될 수 있고, 이벤트 정보가 수록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액티비티부 (32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인증을 수행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 URL과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베이스부의 URL과 드라이버, 데이터베이스부에 대한 접근을 허락하는 사용자 ID와 패스워드 (Password)를 입력시킬 수 있는 창이 활성화되어 구성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정 액티비티부 (330)는 스마트기기 화면 상에서 수행될 트랜잭션 또는 프로시저 개수와 작업시간을 설정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340)는 스마트기기 화면상에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인터페이스 (UI)가 표출될 영역의 레이아웃을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가평가, 계획, 학습 및 실행, 및 모니터링을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창을 활성화하고, 입력된 값에 따라 분석 (및 평가) 알고리즘 엔진부를 구동시킨다. 상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프로토콜처리부 (Protocol Handler), 렌더링엔진부 (Rendering Engine), IME (Input Method Editor) 매니저부, 오디오플레이어부, 비디오플레이어부, 제 2 로컬 리소스처리부, 및 제 2 이벤트매니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토콜처리부는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로부터 데이터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응답 메세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렌더링엔진부는 스마트기기 화면 상에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인터페이스 (UI)가 표출될 영역의 레이아웃을 설정하고,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에서 전송된 데이터에 포함된 그래픽 및 폰트 관련 메시지를 처리한 후, 스마트기기 화면 상에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IME 매니저부는 사용자 스마트기기의 IME와 연동되며 조합된 문자를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로 전송한다. 상기 오디오플레이어부는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에서 전송된 데이터 중 사운드를 클라이언트의 스마트기기에서 재생한다. 상기 비디오플레이어부는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에서 전송된 데이터 중 이미지를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에서 재생한다. 상기 제 2 로컬 리소스처리부는 사용자 스마트기기의 리소스들에 대한 정보 및 리소스를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로 전송한다. 상기 제 2 이벤트 매니저부는 사용자의 조작이나 스마트기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분석알고리즘 엔진부 (350)는 상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의 제어하에 구동되어, 사용자에 의해 값이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활성화부 (32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불러오고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 (UI)상에 표출시킬 수 있다.
상기 SNS 운용부 (360)는 상기 분석알고리즘 엔진부를 통해 표출된 평가결과를 클라우드 앱용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전송하거나, SNS (소셜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된 다른 장소에 위치한 다른 임산부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전송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는, 자가평가, 계획, 학습 및 실행, 및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임산부용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자가평가는 심리상태평가, 운동상태평가, 식이상태평가, 건강상태평가, 10대 건강수칙 실천평가, 및 건강경영전략평가를 포함하고; 상기 계획은 운동 및 식이를 계획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학습 및 실행은 임신 후 변화준비 및 환경조성, 및 해야할일 (ToDoList) 작성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은, 평가결과, 모니터링 및 엄마점수를 포함하며, 여기서 평가결과는 상태평가결과, 운동상태평가결과, 식이상태 평가결과, 건강상태 평가결과, 10대 수칙 실천 평가결과, 및 건강경영전략 평가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은 임산부의 체온, 체중, 산모 및 태아의 심박수, 태동, 및 스트레스 지수에 대한 모니터링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서, 본 발명의 스마트 시스템을 최초로 사용하는 자는 개인정보 입력 후, 자가평가, 계획, 학습 및 실행 및 모니터링을 일련의 순서로 수행한다. 입력은 터치패드, 각종 센서, GPS,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문자, 또는 카메라 등에 수행 될 수 있다. 상기 개인정보는 개인 식별 ID 및 비밀번호, 또는 지문인식 등으로 구성된 로그인 계정으로 관리될 수 있으며, 입력된 개인정보는 사용자 맞춤형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될 수 있다. 반면, 기존 사용자의 경우, 학습 및 실행 후 모니터링 한 다음 계획을 재설정 하거나; 모니터링 단계와 계획 재설정 단계 사이에 In-APP-메시지 또는 푸시 메시지 단계를 경유하여 보다 더 체계적으로 계획을 재설정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자가평가 중 심리상태 평가를 예시한다. 스마트기기 상에 표출된 임산부 심리상태 평가 표시를 터치하거나 클릭하면 임산부에 대한 심리상태 평가를 위한 화면으로 전환된다. 임산부 심리상태평가는 심리상태 세부설문 문항, 응답 및 평가결과를 포함하며, 각 세부설문은 병렬적 및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해당 항목의 총 문항 수와 함께 현재 몇 번째 문항인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각 세부설문에 대한 응답 처리 시 바로 다음 문항이 제시된다. "기타" 항목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직접 입력하는 창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Folding UI). 각 세부설문 문항에 대한 응답작성 중 이전 화면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좌측 상단에 화살표 버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세부설문을 취소하고 싶을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상단 우측 X 표시를 표출하고 이를 클릭하거나 터치할 수 있다. 임산부 심리상태평가 세부설문에 대한 모든 문항 처리를 완료하면, 심리상태 평가결과 화면으로 이동하고, 서포터즈 예를 들어, 담당의사 또는 건강코치의 진단내용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 참조). 임산부 심리상태를 평가함에 있어, 예를 들어 평가설문이 총 10개 문항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문항은 0 ~ 3점 (1. 0점, 2. 1점, 3. 2점, 4. 3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총 합산점수범위는 0 ~ 30점 범위에 놓이게 되며, 총 합산점수가 높을수록 예를 들어, 우울증상이 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평가 세부설문 내용 중 일부 문항은 내용에 따라 역채점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서 1 및 2번 문항을 제외한 다른 문항은 역채점 된다. 합산점수를 기준으로, 0 ~ 8점이면 정상; 9 ~ 12점이면 상담이 필요한 수준; 13점 이상이면 심각한 우울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우울증 위험군으로 분류된 임산부는 본인 동의 하에 전문의 또는 기관에 상담 의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 참조).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임산부의 운동상태를 평가한다. 본 발명에서 임산부 운동상태 평가는 최초 상태 평가 (시작전 평가)와 주기적 상태 평가 (모니터링 평가)를 포함한다. 스마트기기 화면의 자가평가 메뉴에서 임산부 운동상태평가 메뉴를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화면이 아래로 펼쳐지면서 평가 탭이 최초 상태 평가와 주기적 상태 평가로 나누어진다. 최초 상태 평가는 임산부가 본 발명의 앱을 처음 사용할 때 적용되고, 주기적 상태 평가는 임신 시기별로 모니터링 단계에서 평가시 적용된다. 즉, 주기적 상태 평가는 임산부의 주기를 계산하여 초기, 중기, 및 후기 중 하나를 모니터링 단계에서 시기 별로 재평가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필수 평가항목을 완료하지 않을 시, 팝업으로 “필수평가 항목을 완료하지 않으시면 계획 단계로 넘어가실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전달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최초 상태 평가로서 운동 전 건강상태 평가1의 일 예이고, 도 11은 운동 전 건강상태 평가2의 일 예이다. 임신에 따른 신체적 변화는 신체활동을 안전하게 수행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어떤 운동을 할지 결정하기 전에 임산부의 산과적, 의학적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전반적 건강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운동 전 건강상태평가 (최초 상태 평가)가 수행된다. 최초 상태 평가는 세부설문 문항, 응답 및 설문평가를 포함한다. 각 세부설문은 병렬적 및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운동 전 건강상태평가는 절대적 금기사항에 대한 설문 및 응답을 포함하는 운동 전 건강상태 평가1과 상대적 금기사항에 대한 설문 및 응답을 포함하는 운동 전 건강상태 평가2를 포함한다. 아래 표 1는 절대적 금기사항 및 상대적 금기사항의 예시이다.
절대적 금기사항의 예시 상대적 금기사항의 예시
중증의 심장질환 심한 빈혈 (Hb < 10 g/dl)
폐 용적이 제한되는 폐질환 의학적 평가를 받지 않은 부정맥
자궁 경부무력증 만성 기관지염
조산의 위험이 있는 다태 임신 조절되지 않는 제1형 당뇨
지속적인 임신 2, 3기 출혈 병적인 고도 비만
임신 26주 이후의 전치태반 심각한 저체중 (예를 들어, BMI<12)
조기 진통이 있는 경우 거의 움직이지 않는 생활 패턴
양막 파열 태아가 자궁내 발육부전 소견을 보이는 경우
임신성 고혈압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임신 중독증 정형외과적 문제로 운동에 제한이 있는 경우
잘 조절되지 않는 간질
잘 조절되지 않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
심한 흡연자
도 10은 운동 전 건강상태 평가1의 세부문항 및 운동전 건강상태 평가결과1이 표출된 스마트기기 화면의 일 예다. 평가항목은 절대적 금기사항 설문과 체크박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문에 대한 응답완료 후 이를 저장하면 결과 페이지로 화면이 전환된다. 상기 절대적 금기사항 설문 중 적어도 하나가 체크되고, 운동 전 건강상태 평가결과 확인 탭을 클릭 또는 터치하면 메인 평가메뉴로 화면이 이동되고 운동에 관한 부분은 계획단계에서부터 제외된다. 이는 절대적 금기사항을 지닌 임산부에게 운동계획은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설문의 모든 항목에서 "없음"이 선택되는 경우, 상대적 금기사항에 대한 설문으로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운동 전 건강상태 평가2 설문에서 해당 사항이 하나라도 체크되었을 때. 운동 전 건강상태 평가2에 관한 설문 끝내기가 수행될 수 있으며, 평가결과 확인 시 평가메뉴로 이동된다 (도 11 참조). 설문에서 모두 "없음"으로 응답하였을 때. 설문 끝내기가 수행되면서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도 12는 운동상태 평가의 주기적 상태 평가에서 임신 초기평가의 일 예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임신 초기에 권장되는 운동을 하고 있는 지에 대한 평가설문, 응답 및 평가결과를 포함하며, 해당 세부설문을 통해 임산부가 자신의 운동상태를 체크하고 운동의 종류나 강도, 시간, 및 빈도를 계획할 수 있도록 한다. 표 2는 초기 임산부의 운동상태 평가 세부설문 및 설문 응답에 따른 결과를 예시한 것이다.
초기 임산부 운동상태 평가 결과 (1번 "아님", 2 내지 5번 "예" 인 경우)
1 가벼운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계십니까
(가벼운 운동 예시: 산책 등)
가벼운 운동으로 매일매일의 건강한 삶을 만들어 봅시다. 오늘부터 5분씩 바깥 산책이나 집 안에서 걷기를 실천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2 현재 한 회당 운동시간 (약 15분) 이 몸에 무리를 주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한회당 운동시간을 더 짧게 나누어 더 주기적으로 시행해 보세요.
3 다음의 임산부가 피해야할 운동을 하고 계십니까?
- 균형을 잃거나 넘어지기 쉬운 운동: 스키, 승마, 체조, 야외 사이클 등- 신체접촉이 있는 운동
- 하키, 킥복싱, 유도, 농구, 축구, 배구 등
- 라켓 스포츠: 스쿼시, 테니스, 라켓볼 등
- 저혈당을 유발하는 운동: 공복 시 운동, 과도한 운동
- 숨을 참는 운동
임산부가 피해야 할 운동을 하고 계십니다. 의사와 상담 후 가능한 운동만 지속하세요.
4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운동하고 계십니까?
- 고지대에서의 운동
- 깊은 수중에서의 운동 (스쿠버 다이빙)
- 덥고 습한 환경에서의 운동 또는 사우나
임산부가 피해야할 운동 환경에서 운동을 하고 계십니다. 불가피한 경우 의사와 상담하세요.
5 운동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있습니까?
: 질 출혈, 지속적으로 고통스러운 수축, 양수 유출, 신체활동 전 호흡 곤란, 어지러움, 두통, 가슴 통증, 근육 약화, 종아리가 붓거나 통증이 느껴짐
운동을 멈추고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세요
도 12에서, 각 세부 항목별로 설문 수행이 가능하며, 해당 항목의 총 문항 수와 현재 몇 번째 문항인지 표시되고, 응답 시 다음 문항으로 넘어간다. 이전 문항으로 복귀를 위해 예를 들어, 좌측 상단에 화살표 버튼을 둘 수 있다. 설문에 대한 응답을 마치면, 초기 임산부의 운동상태 평가 결과 화면이 표출되고 표출된 화면의 확인 탭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평가 결과에 따른 제안을 제시하는 화면이 표출될 수 있다. 임신 중기 및 후기 임산부를 위한 주기적 상태 평가는 평가 세부설문의 내용 및 결과를 제외하고는 상기 임신 초기 임산부를 위한 주기적 상태평가와 동일한 UI로 구성된다 (도 13 참조).
도 14는 임산부 자가평가 중 식이 상태 평가 탭이 표출된 초기 화면 및 임산부의 식이 습관 인지초기화면이 표출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식이상태평가 또한 최초 상태평가 및 주기적 상태평가로 나누어지며, 최초 상태평가는 임산부가 본 발명의 앱을 처음 사용 시에 수행하는 평가이고, 주기적 상태평가는 임신 시기별로 모니터링 시에 수행하는 평가이다. 최초 상태평가를 종료하면 주기적 상태평가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최초 상태평가는 주기적 상태 평가에 앞서 임산부의 식이습관 인지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산부 식이습관 인지평가는 세부설문, 응답 및 평가결과를 포함하며, 하기 표 3은 식이습관 인지평가 및 평가결과를 예시한 것이다.
임산부의 식이 습관 인지 평가 설문 "아니오"인 경우 제시되는 제안
임신 전체 기간 동안 추가적인 열량 섭취가 필요하단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임산부에겐 15주에서 28주 사이엔 매일 340 kcal, 29주에서 출산 시까지 매일 450 kcal의 추가적인 열량 섭취가 권고됩니다. 평소에 먹는 양에서 해당 분량 더 먹도록 합시다. 단, 비만인 경우에는 의사와 상담 후 식이를 조절하세요.
임신 전체 기간 동안 추가적인 단백질의 섭취가 필요하단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임산부에겐 15주에서 출산 사이엔 매일 71 g의 단백질 섭취가 권고됩니다.
임신 전체 기간 동안 일반인 1일 권장량의 비타민 섭취가 필요하며, 시기에 따라 추가적으로 섭취해야 할 비타민이 있음을 인지하고 있다. 일반적인 임산부는 임신 전체 기간 동안 일반인 1일 권장량 만큼의 비타민 섭취가 필요하며 필요 이상으로 섭취하지 않도록 권고합니다. 단, 엽산은 수태 1개월 전 부터 14주까지 1일 0.4 mg의 복용이 필요합니다.
임신 전체 기간 동안 칼슘, 아연, 요오드 등의 추가 섭취가 필요하단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임산부는 칼슘의 경우, 1,000 mg, 아연의 경우 11 mg, 요오드의 경우 220 ㎍ 의 추가 섭취가 권장됩니다.
임신 시기에 따라 추가적으로 섭취해야 할 무기질(철분, 칼슘 등)을 알고 있다. 임신초기엔 빈혈을 예방할 수 있도록 철분의 섭취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임신 중기에는 임신 5개월부터 태아의 뼈가 단단해지는 시기이므로 칼슘의 섭취가 중요하며, 혈액의 양이 증가하므로 철분의 섭취에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 각 시기별로 적절한 계획을 세워 식이 습관을 만들어 갑시다.
임신 전체 기간 동안 카페인의 섭취량을 제한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 임신 전 기간 동안 카페인은 1일 200 mg 이내로 제한할 것이 권고됩니다. 커피 등 카페인이 다량 함유된 식품을 피하실 것을 권합니다.
도 14를 참조하면, 식이습관 인지평가를 위한 초기화면은 "임신 중의 적절한 영양관리는 태아와 모체의 각종 위험 요소를 감소시키고, 안녕상태를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다음의 평가를 통해 자신의 임신 중 식이 상태 지식을 점검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시작 탭이 화면에 표출된다. 식이 습관 인지평가는 세부설문 및 응답, 및 평가로 구성되며, 각 세부설문은 병렬적, 개별적으로 수행 가능하다.
식이상태 평가는 임신 주수에 맞게 초기, 중기 (임신 후 4, 5, 6 및 7개월) 및 후기가 계산되어 각 시기 별 평가가 제시될 수 있다.
도 15는 초기 임산부의 식이상태 평가를 위한 초기화면 및 평가내용의 일 예이다. 예를 들어, "임신 중의 적절한 영양관리는 태아와 모체의 각종 위험 요소를 감소시키고, 안녕상태를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현재 실천 상태를 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시작 탭이 표출된다. 표 4는 초기 임산부의 식이상태 평가 세부설문 및 각 설문에 대해 "아니오"로 응답한 경우 제시될 수 있는 제안을 예시한 것이다.
초기 임산부의 식이 상태 평가 "아니오"인 경우 제시되는 제안
적정 열량의 음식을 섭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임산부에겐 15주에서 28주 사이엔 매일 340 kcal의추가적인 열량 섭취가 권고됩니다. 단, 비만인 경우에는 의사와 상담 후 식이를 조절하세요.
음식의 양보다 질에 초짐을 맞추어 열량을 섭취하고 있다.
(단백질이나 비타민 등은 꼭 먹되, 지방은 적게 먹어 필요 이상의 열량을 섭취하지 않는다)
권장 열량의 경우, 임신 초기에는 임신 전과 큰 차이 없으므로 음식의 양을 늘리기 보단 양질의 음식을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백질이나 비타민 등은 꼭 먹되, 지방은 적게 먹어 필요 이상으로 열량을 많이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합시다. 또한, 육류는 단백질이 풍부한 살코기로, 생선은 등 푸른 생선이나 뼈째 먹는 생선을 섭취하고, 신선한 제철 과일과 채소를 즐겨 먹도록 합니다.
입덧을 하더라도 반드시 먹도록 노력한다. 입덧이 심하면 제대로 먹지 못하고 소화도 잘 되지 않으므로 입맛 당기는 음식을 한꺼번에 많이 먹기보다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더운 음식보다 찬 음식이 냄새가 적고 위 점막을 자극하지 않아 먹기가 수월합니다.
한꺼번에 많이 먹거나 급하게 먹기보다 조금씩 천천히 먹는다. 임신 초기에는 소화가 안되어 배에 가스가 많이 차고 심하면 배가 볼록하게 나오기도 합니다. 저녁이면 더 심하게 가스가 차지만, 그래도 저녁 식사를 걸러서는 안 됩니다.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한꺼번에 많이 먹는 습관을 버리고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이 좋습니다.
빈혈을 예방하는 음식을 섭취하고 있다.
(철분이 풍부한 음식 : 간, 등푸른 생선, 어패류, 콩류, 녹황색 채소, 달걀, 해조류 등)
임산부에게 가장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가 철분입니다. 임신 초기에는 철분 영양제를 복용하면 메스꺼움과 구토가 심해질 수 있으므로 음식을 통해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철분이 풍부한 식품으로는 돼지 간, 쇠고기 간, 등 푸른 생선, 조개-굴 등의 어패류, 콩류, 녹황색 채소, 달걀, 해조류 등이 있습니다.
엽산을 신경써서 섭취하고 있다.
(수태 1개월 전 ~ 14주 매일 4 mg 복용 권장)
산부인과 전문의는 임신 한 달 전부터 임신 14주까지는 매일 0.4 mg의 엽산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더구나 엽산은 DNA를 합성하고 뇌의 기능을 발달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카페인 섭취에 주의하고 있다. 임신 전 기간 동안 카페인은 1일 200 mg 이내로 제한할 것이 권고됩니다. 커피 등 카페인이 다량 함유된 식품을 피하실 것을 권합니다.
중기에는 임신 개월별 평가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 5 내지 표 7은 각 월차별 식이상태 평가 세부설문 문항 및 결과를 제시한다. 표 8은 후기 임산부의 식이 상태 평가 세부설문의 예시이다.
중기 임산부의 식이 상태 평가 "아니오"인 경우 제시되는 제안
적정 열량의 음식을 섭취하고 있다.
(15주 ~ 28주 : 매일 340 kcal 추가적 섭취 권고)
일반적으로 임산부에겐 15주에서 28주 사이엔 매일 340 kcal의 추가적인 열량 섭취가 권고됩니다. 평소에 먹는 양에서 해당 분량의 섭취가 더해지도록 신경쓰도록 합시다. 이 때, 무작정 양을 늘리기 보단 고단백의 식사가 되도록 질에 더 신경쓰도록 합니다.
철분제를 복용하여 철분 섭취를 늘리고 단백질과 비타민 C를 함께 섭취하고 있다.
(하루 27 mg 의 철분이 필요)
중기 임신부에게 필요한 철분량은 하루 30 mg. 철분제를 꼭 복용하고 철분이 듬뿍 들어 있는 동물의 간, 해조류, 어패류, 녹황색 채소를 챙겨 먹도록 합니다. 철분을 섭취할 때는 반드시 단백질과 비타민 C를 함께 섭취해야 하는데, 이 두 가지는 10%에 불과한 철분 흡수율을 높여줍니다.
칼슘 섭취에 신경 쓰고 있다. 칼슘 섭취는 산모의 건강과 태아의 성장에 중요하므로 신경쓰시기 바랍니다. 흡수율이 20% 정도로 낮으므로 쇠고기나 돼지고기 등 동물성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과 함께 먹어 흡수율을 높이는 게 좋습니다.
섬유질이 풍부한 식단을 짜며 규칙적인 식사를 한다. 임신 중기가 되면 호르몬의 영향과 커진 자궁의 압박으로 장의 움직임이 느려져 변비에 걸리기 쉽습니다. 따라서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와 과일을 즐겨 먹습니다. 평소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배변 시간이나 식사 시간을 정해 규직적으로 생활합니다.
4개월차 5개월차
적정 열량의 음식을 섭취하고 있다.
15 ~ 28주 : 매일 340 kcal 의 추가적 섭취 권고
적정 열량의 음식을 섭취하고 있다
15 ~ 28주 : 매일 340 kcal 의 추가적 섭취 권고
적정량의 단백질을 섭취하고 있다.
15주 ~ 28주 : 매일 71 g 섭취 권고
적정량의 단백질을 섭취하고 있다.
15 ~ 28주 : 매일 71 g 섭취 권고
적정량의 비타민을 섭취하고 있다. (일반인 1일 권장량) 1일 권장량의 2배 이상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채식주의자와 같은 경우 비타민 B12 를 보충하여 섭취한다. 적정량의 비타민을 섭취하고 있다 (일반인 1일 권장량)
적정량의 엽산을 섭취하고 있다. (1일 0.4 mg 복용 권장) 적정량의 무기질(칼슘, 아연, 요오드)을 섭취하고 있다
칼슘: 1일 1,000 mg 섭취 권장
아연: 1일 11 mg 섭취 권장
요오드 : 1일 220 ㎍ 섭취 권장
적정량의 무기질(칼슘, 아연, 요오드)을 섭취하고 있다.
칼슘: 1일 1,000 mg 섭취 권장
아연: 1일 12 mg 추가섭취 권장
요오드: 1일 220 ㎍ 섭취 권장
철분제를 섭취하고 있다 (1일 최소 27 mg의 철분제 복용)
카페인의 제한량을 지키고 있다 (1일 200 mg 이내) 카페인의 제한량을 지키고 있다 (1일 200 mg 이내)
6개월차 7개월차
적정 열량의 음식을 섭취하고 있다.
15 ~ 28주 : 매일 340 kcal 의 추가적 섭취 권고
적정 열량의 음식을 섭취하고 있다.
15 ~ 28주 : 매일 340 kcal 의 추가적 섭취 권고
적정량의 단백질을 섭취하고 있다.
15주 ~ 28주 : 매일 71 g 섭취 권고
적정량의 단백질을 섭취하고 있다.
15주 ~ 28주 : 매일 71 g 섭취 권고
적정량의 비타민을 섭취하고 있다. (일반인 1일 권장량) 1일 권장량의 2배 이상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채식주의자와 같은 경우 비타민 B12 를 보충하여 섭취한다. 적정량의 비타민을 섭취하고 있다. (일반인 1일 권장량) 1일 권장량의 2배 이상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채식주의자와 같은 경우 비타민 B12 를 보충하여 섭취한다.
적정량의 무기질(칼슘, 아연, 요오드)을 섭취하고 있다.
칼슘: 1일 1,000 mg 섭취 권장
아연: 1일 11 mg 추가섭취 권장
요오드: 1일 220 ㎍ 섭취 권장
적정량의 무기질(칼슘, 아연, 요오드)을 섭취하고 있다.
칼슘: 1일 1,000 mg 섭취 권장
아연: 1일 11 mg 추가섭취 권장
요오드: 1일 220 ㎍ 섭취 권장
칼슘 섭취에 더욱 신경쓰고 있다.
칼슘은 태아의 골격과 치아 형성, 혈액 작용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임신 7개월 이후부터 경계해야 할 임신중독증을 예방해주는 영양소 역시 칼슘이다. 양질의 칼슘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우유와 치즈 등을 꾸준히 먹는다. 칼슘 흡수를 돕는 비타민 D와 운반을 돕는 알부민도 신경 써서 챙겨 먹는다.
칼슘 섭취에 더욱 신경쓰고 있다.
칼슘은 태아의 골격과 치아 형성, 혈액 작용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임신 7개월 이후부터 경계해야 할 임신중독증을 예방해주는 영양소 역시 칼슘이다. 양질의 칼슘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우유와 치즈 등을 꾸준히 먹는다. 칼슘 흡수를 돕는 비타민 D와 운반을 돕는 알부민도 신경 써서 챙겨 먹는다.
철분제를 섭취하고 있다. (1일 최소 30mg 의 철분제 복용) 철분제를 섭취하고 있다. (1일 최소 27 mg 의 철분제 복용)
변비를 예방하기 위해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먹는다. 변비가 생기기 쉽다. 미지근한 물 한 잔으로 하루를 시작하고, 부드러운 섬유질이 풍부하게 들어있는 음식을 자주 먹으며, 아침 배변 시간이나 식사 시간을 규칙적으로 습관화하면 변비 해소에 큰 도움이 된다. 단 음식을 많이 먹지 않는다.
단 음식은 당뇨와 비만을 일으켜 임신중독증 발병 가능성을 높이므로 과자, 아이스크림 등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다. 단, 태동이 약한 경우라면 당분 섭취가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약간만 섭취한 뒤 반응을 지켜보도록 한다.
짜게 먹지 않는다.
임신중독증을 예방하기 위해 부종과 고혈압 증세를 유발할 수 있는 지나친 염분 섭취는 피한다. 김치는 평소 먹던 양의 반으로 줄이고, 젓갈과 햄 등 나트륨이 많은 가공식품도 피한다.
밀가루 음식의 섭취를 피하고 있다.
탄수화물, 특히 밀가루 음식은 섭취량을 줄이는 게 좋다. 소화가 잘되지 않을뿐더러 몸에 오래 남아 비만을 부추긴다. 밀가루 음식을 먹지 낳는 것만으로도 체중을 조절하고 임신중독증을 예방하는 데 어느 정도 성공할 수 있다.
후기 임산부의 식이 상태 평가
적정 열량의 음식을 섭취하고 있다
29주~출산 : 매일 452 kcal 추가적 섭취 권고
적정량의 단백질을 섭취하고 있다
29주~출산 : 매일 71g 섭취 권고
고영양, 저칼로리의 음식을 섭취하고 있다
천천히 성장하던 태아가 골격과 근육을 완성하기 위해 빠르게 몸무게를 늘려 나간다. 따라서 임신부의 몸에 필요한 영양이 많아지는데, 그렇다고 너무 많이 먹으면 체중이 단기간에 급격하게 늘 수 있다. 매일 체중을 체크하고 고영양, 저칼로리 음식을 섭취한다. 잡곡밥을 먹고 매 끼니 채소 반찬을 많이 먹는 것이 방법. 식단과 체중 조절에 유의한다.
적정량의 비타민을 섭취하고 있으며, 특히 비타민 A 가 풍부한 음식을 적정량 먹는다
태아에게 비타민 A가 부족하면 출생 후 발육이 부진하거나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져 잔병치레가 잦을 수 있다. 비타민 A가 풍부한 식품으로는 쇠간, 토마토, 달걀, 김 등이 있다. 그러나 비타민 A를 과잉 섭취할 경우 태아 기형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영양제를 통해 섭취할 때는 의사와 상담한 뒤 복용한다.
적정량의 무기질(칼슘, 아연, 요오드)을 섭취하고 있다
칼슘 : 1일 280 mg 추가 1,000 mg 섭취 권장
아연 : 1일 권장량보다 1.5 11mg 추가섭취 권장
요오드 : 1일 220 ㎍ 추가섭취 권장
카페인의 제한량을 지키고 있다 (1일 200 mg 이내)
도 16을 참조하면, 자가평가 메뉴화면에서 임산부의 건강상태 평가설문을 선택하여 건강상태 설문 초기 화면으로 전환시킨다. 초기화면은 "임산부의 건강 상태에 관한 설문입니다. 귀하의 현재 상태를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설문은 총 5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시작 탭이 표출되어 있다. 설문을 원하지 않는 경우 중단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세부설문은 병렬적 및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5개 세부설문으로 구성된 임산부 건강 상태 설문 화면의 예이다. 각 평가설문의 응답을 클릭 또는 터치하면 다음 문항으로 넘어가고, 이전 문항으로 복귀를 원하는 경우 예를 들어, 좌측 상단에 복귀 화살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해당 항목의 총 문항 수와 현재 몇 번째 문항인지 표시할 수 있다. 각 문항의 보기를 예를 들어, 1점부터 5점으로 계산하도록 할 수 있으며, 평가된 결과를 팝업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17 참조).
도 18을 참조하면, 도 18은 임산부의 10대 수칙 실천상태 평가의 메인화면 및 실천상태 설문의 일 예이다. 자가평가 메뉴화면에서 임산부 10대 수칙 실천상태 평가설문을 선택하여 건강상태 설문 초기 화면으로 전환시킨다. 초기 화면은 "임산부의 10대 건강수칙 습관은 임산부의 건강 경영 전략을 위해 필요합니다. 귀하의 현재 실천단계를 선택해주시기 바랍니다. 본 설문은 총 1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시작 탭이 화면에 표출된다. 마찬가지로, 각 세부설문은 병렬적 및 개별적으로 수행 가능하다. 도 18은 10개 세부설문으로 구성된 10대 수칙 실천 상태 평가 설문 화면의 일 예이다. 각 평가설문의 응답을 클릭 또는 터치하면 다음 문항으로 넘어가며, 이전 문항으로 복귀를 원하는 경우 예를 들어, 좌측 상단에 복귀 화살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10대 수칙 실천도 설문이 끝나고 나면, 10대 수칙별 실천도 결과를 제시한다. 이때, 아이가 엄마품에 안겨 웃고 있는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삽입할 수 있으며, 아이가 웃지 않고 혼자 있는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삽입 하거나, 아기가 슬퍼하는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삽입 할 수도 있다. 일반인 평균과 연령대 별 평균도를 확인하여 자신의 상태와 비교할 수 있으며, 다른 앱 사용자들의 데이터가 일정량 수집되면, 다른 임산부 평균과 비교가 가능하다 (도 19 참조)
임산부의 건강경영전략 설문은 일반설문과 핵심전략설문, 준비전략설문, 및 학습/실행전략 설문을 포함한다.
도 20은 임산부 건강경영전략 일반 설문 및 핵심전략 설문의 초기 화면 및 세부설문 표출 화면의 일 예이다. 일반설문에서, 초기화면은 "본 설문에서 귀하는 주도적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긍정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해 평가하실 것입니다. 본 설문은 총 3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시작 탭이 표출된다. 마찬가지로, 각 세부설문은 병렬적 및 개별적으로 수행 가능하다. 각 평가설문의 응답을 클릭 또는 터치하면 다음 문항으로 넘어가며, 이전 문항으로 복귀를 원하는 경우 예를 들어, 좌측 상단에 복귀 화살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1은 핵심전략 설문에 대한 결과의 일 예이다. 설문 문항에 따라, 예를 들어, 긍정적 사고로의 전환 전략/긍정성 (#1, 2, 4), 지지관계형성 전략 (# 3, 10), 자기주도적 문제해결/주도성 (#5, 6, 7, 8), 및 비슷한 경험 공유 (#9)로 구분할 수 있다. 결과의 계산은 (문항들의 평균 1)/3 * 100으로 할 수 있으며, 문항점수는 척도로 보기 1=1, 2=2, 3=3, 4=4이며, 33.3 이하는 심각, 66.6 이상은 양호로 판단하고 그 사이는 보통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도 22는 임산부 경영전략설문 준비전략의 초기 화면, 준비전략 세부설문 문항 및 결과 화면의 일 예이다. 초기화면은 "본 설문은 자기 주도적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긍정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삶의 목표와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때 사용할 수 있는 전략설문 준비전략입니다. 각 문항들을 읽고, 귀하가 지난 한 달간 얼마나 잘 해왔는지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클릭해 주십시오. 본 설문은 총 10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시작 탭이 표출된다. 마찬가지로, 각 세부설문은 병렬적 및 개별적으로 수행 가능하다. 각 평가설문의 응답을 클릭 또는 터치하면 다음 문항으로 넘어가며, 이전 문항으로 복귀를 원하는 경우 예를 들어, 좌측 상단에 복귀 화살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결과를 평가하는 방법은 설문의 내용이 다른 것을 제외하면, 도 21의 핵심전략 설문과 동일하다.
도 23은 임산부 경영전략설문 학습/실행전략의 초기 화면, 학습/실행전략 세부설문 문항, 및 결과가 표출된 화면의 일 예이다. 초기화면은 "본 설문은 자기 주도적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긍정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계획을 실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전략설문 학습/실행전략입니다. 각 문항들을 읽고, 귀하가 지난 한 달간 얼마나 잘 해왔는지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클릭해 주십시오. 본 설문은 총 10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시작 탭이 표출된다. 마찬가지로, 각 세부설문은 병렬적 및 개별적으로 수행 가능하다. 각 평가설문의 응답을 클릭 또는 터치하면 다음 문항으로 넘어가며, 이전 문항으로 복귀를 원하는 경우 예를 들어, 좌측 상단에 복귀 화살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결과 분석은 상기 도 22와 마찬가지다.
임산부의 운동/식이 계획은 자가평가가 완료된 이후에 한하여 실행될 수 있으며, 계획 탭에서는 예를 들어, 주 (week)별 계획을 세울 수 있다. 화면에서 " < " 또는 " > "를 클릭하면 이전 주와 다음 주 계획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한 것과 같이, 주 계획이 없을 경우에는 평가를 완료하지 않은 경우이므로, 평가부터 완료할 수 있게 해당 계획의 평가 탭으로 이동하기를 선택할 수 있다. 최초 사용자가 필수 평가항목을 완료한 경우에만 디폴트 (fault) 계획이 표출된다. 초기 임산부의 주요 디폴트 운동의 예는 스트레칭 (스트레칭 - 매일 5분씩), 걷기 (실내걷기 - 매일 10분씩)을 포함하고; 중기 임산부의 주요 디폴트 운동의 예는 스트레칭, 걷기 (산책 - 매일 15분씩), 임산부 체조, 마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기 임산부의 주요 디폴트 운동의 예는 스트레칭, 걷기 (산책 - 매일 15분씩), 임산부 체조, 호흡법 및 마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주기 별 평가를 완료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알림 (alert)으로 앱 접속 시마다 알려주지만, 계획에 시기 별 디폴트가 제시될 수 있다.
운동계획은 임신 초기, 중기, 및 후기에 있는 임산부를 위한 권장 운동 종류, 강도 및 운동량 (시간, 빈도) 에 대한 추천 사항 제시된다.
도 24는 운동/식이 계획의 초기화면을 나타낸다. 계획 탭에서는 주 별 계획을 세울 수 있고, <, >를 클릭하면 이전 주, 다음 주 계획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주 계획이 없을 경우에는 평가를 완료하지 않은 경우 이므로 평가부터 완료할 수 있게 해당 계획의 평가 탭으로 이동한다. 최초 사용자의 경우, 필수 평가 항목을 완료해야 default 계획이 표시된다. 주기 별 평가를 완료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alert로 앱 접속시 마다 알려줄 수 있으나, 계획에 시기 별 default는 제시된다. 임산부의 운동계획 시작하기를 전개하면, 임신 시기 (초기,중기,후기) 별 권장 운동 종류, 강도 및 운동량 (시간, 빈도); 운동 시 주의할 점 및 운동 시의 장점 화면을 통해 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표 9는 운동 시 주의할 점에 대한 예시이고, 표 10은 임신 초기, 중기 및 후기에서의 추천사항의 예이다.
운동 시 주의할 점
근골격계의 변화 :
임신 중 생선되는 호르몬은 인대를 이완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는 관절을 불안정하게 만들어 운동 중 부상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과도한 스트레칭은 피하도록한다.
무게중심의 변화 :
임신하여 배가 나오면 무게 중심이 앞으로 이동하여 허리와 골반 부위의 뼈와 근육에 부담을 주게 된다. 이런 이유로 임신 후기에는 허리 통증이 특히 잘 발생하며 균형감각이 떨어져 넘어질 위험도 높아진다.
혈류량의 변화 :
임신중기(O주째)부터는 등을 내고 누운 자세로 운동을 하면 커진 자궁이 심장으로 들어오는 정맥(하대정맥)을 눌러서 혈류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기립성 저혈압이나 어지러움증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반듯이 누워서 하는 운동은 가급적 피하도록 한다.
대사량의 변화 :
임신중기(O주째) 부터는 증가한 대사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하루에 약 300kcal의 열량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과도한 운동을 피하고 운동중 저혈당 방지를 위하여 적절한 열량을 보충하여야 한다.
임신 초기 추천사항 유산소 운동 : 산책 (약 15분/일)
# 주의사항 : 유산 위험 있으므로 강도는 약하게
임신 중기 추천사항 - 유산소 운동 : 걷기/산책, 수영, 임신부 체조
- 근력운동 : 가벼운 스트레칭, 요가
#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임신부 체조나 수영, 산택 등을 시작한다. 단, 엎드려 하는 운동은 피한다. 임신중독증이나 유산의 위험이 있는 사람은 운동을 피하고, 운동 중이라도 배다 땅기거나 통증이 있을 때는 중단하고 휴식을 취한다.
임신 후기 추천사항 1. 유산소 운동 : 실내 걷기
2. 근력 운동: 가벼운 스트레칭
3. 호흡법과 임신부 체조 등을 익힌다.
: 깊고 규칙적인 호흡은 출산에 대한 긴장과 불안을 줄여준다.
4. 규칙적으로 가벼운 운동을 한다.
: 임신부 워킹은 몸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전신 근육을 단련해주기 때문에 출산에 필요한 체력을 기르는 데 매우 적합한 운동이다.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도 25는 임산부의 운동계획의 표출화면의 일 예를 제시한다. 계획 수정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화면이 아래로 펼쳐지면서 디폴트 계획을 개별로 수정할 수 있다. 계획 수정 시 임신 주차에 맞는 스트레칭의 종류가 제시될 수 있다. 수정을 완료하고 저장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저장 후 펼쳐졌던 화면이 원래 화면으로 복귀한다. 표 11은 임산부의 운동상태 결과 및 그에 따라 디폴트 되는 계획을 에시한다. 초기 임산부는 수영을 하지 안호록 하며, 요가 등이 필요 없을 것이다. 임신 전기간을 거쳐 주요 디폴트는, 스트레칭 (매일 5분)과 걷기 (실내 걷기, 매일 10분)이 있을 수 있다. 중기 주요 디폴트는 시간을 정하지 않은 스트레칭, 건기 (산책 매일 15분), 임산부 체조, 및 마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기 주요 디폴트는 스트레칭, 걷기 (산책 매일 15분), 임산부 체조, 호흡법 및 마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임산부의 운동 상태 결과 결과에 따른 계획 Default
(Priority : 5 > 1 > 2 > 3,4)
가벼운 운동으로 매일매일의 건강한 삶을 만들어 봅시다. 오늘 부터 5분씩 바깥 산책이나 집 안에서 걷기를 실천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스트레칭 : 스트레칭 - 매일 5분 씩
걷기 : 실내 걷기 매일 5분씩
근력운동 : 적절히 3개 추천
한 회 당 운동시간을 더 짧게 나누어 더 주기적으로 시행해 봅시다.
(15분씩하고 있었으면 5분씩 하도록 디폴트)
스트레칭 : 스트레칭 - 매일 5분 씩
걷기 : 실내 걷기 매일 (이전을 3으로 나누어 5단위로 올림. 예를 들어 16분 했으면 16/3 = 5.XX -> 10분) 분씩
근력운동 : 적절히 3개 추천
“(임산부가선택한항목)” 은 임산부가 피해야 할 운동 중 하나 입니다. 의사와 상담 후 가능한 경우에만 “( )”를 하도록 하세요 운동 계획 그대로
“(임산부가선택한항목)” 은 임산부가 피해야할 운동 환경입니다. 가급적이면 “()”의 환경에서의 운동을 피하고, 불가피한 경우 의사와 상담하세요. 운동 계획 그대로
운동을 멈추고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세요. 운동 계획 없애기
도 26은 식이계획이 표출된 초기화면의 예이다. 예를 들어, 영양분 섭취 계획에서 표출된 영양성분을 터치 또는 클릭하면 하위 성분의 종류 및 필요 섭취량 등이 제시된다. 임신 초기에는, 무기질 (칼슘, 아연, 요오드) 및 엽산; 임신 중기에는 무기질 (칼슘, 아연, 요오드), 열량 섭취 (340 kcal/일), 및 단백질 (15 g/일); 및 임신 후기에는 무기질 (칼슘, 아연, 요오드), 단백질, 및 열량섭취 (452 kcal)가 장려된다.
학습/실행은 임산부의 변화준비 및 환경조성과 임산부의 운동/식이를 포함한다. 학습/실행에 앞서 해당 주의 계획이 없을 경우에는 계획 설정 탭을 터치 또는 클릭하여 주간 계획을 먼저 설정하여야 한다.
도 27은 변화준비 및 환경조성에 대한 표출화면의 일 예이다. 해당 주 계획이 없을 경우에는 계획 설정 버튼을 눌러서 주간 계획을 설정한다. 화면에는 임신의 기쁨과 함께 “엄마”로서 책임감을 인식하도록 비디오 클립을 추가할 수 있다. 상세 정보 페이지를 활용해서 보다 더 많은 정보를 학습하게 할 수 있으며, 임신 초기, 중기, 및 후기 화면을 임산부 시기별에 맞게 표시할 수 있다. 즉, 임신 분기별로 예상되는 임산부의 어려움을 출산예정일 및 임신주차를 기준으로 분기별로 제공하며, 클릭 시 보다 더 상세한 내용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효과적인 목표달성을 위해 우선순위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넘길 수 있는 일을 위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입력 창이 화면이 스크롤을 최소 한번 이상 한 후 나오도록 배치하여 “위임리스트” 작성 전 학습/실행을 유도 한다. 위임리스트는 선택 가능하며 직접입력 시 그 내용 저장된다. 상기 위임리스트는 공유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해당 주 계획이 없을 경우에는 계획 설정 버튼을 눌러서 주간 계획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양 옆으로 스크롤 하여 사용자의 몸무게를 입력 (스크롤 시 네모에 kg 이 표시됨)하면, 계획 탭에서 세운 계획을 바탕으로 해야 할 일 목록 (todolist)이 자동 생성된다. 체크박스에 수행한 부분을 체크할 수 있으며, 클릭하면 운동정보 (운동방법)을 알려 준다. 오늘 날짜 (임신 주차)를 기준으로 필요한 팁을 제시해 줄 수 있으며, 하루에 하나씩 컨텐츠를 임신 주차에 맞게 제공한다. 체크 박스를 체크하면 추후 모니터링 시 임산부 (엄마) 점수로 반영될 수 있다.
도 29는 모니터링 초기화면을 나타낸다. 도 29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체중 모니터링의 경우, 사용자가 체중 입력 시 즉각적 그래프가 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키는 처음 입력한 값으로 고정, 몸무게 입력 값에 따라서 BMI (body mass index) 지수를 계산하여 수치로 표시할 수 있다. BMI 지수가 어디에 분포해 있는지 화살표로 표시해 준다. <계획 재설정> 클릭 또는 터치 시, 운동/식이 계획 페이지로 이동하며, <확인> 클릭 또는 터치 시, 모니터링 메뉴로 이동한다. 체중증가 권장량에 맞춰 저체중, 정상, 과체중으로 제시된다.
도 30을 참조하면, 산모와 태아의 심박수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경우, 측정된 산모 심박수는 심박수의 추이 변화도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태동을 측정한다. Start 를 누르면 측정이 시작되고 stop 버튼으로 종료한다. 태동을 측정하는 동안 타이머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으며, Stop을 누르면 기록이 목록에 저장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엄마가 느끼는 단위 시간당 태동을 “자각 태동”이라고 하며, 10분에 2회 정도가 보통이다. 태동의 횟수와 정도는 개인차가 크므로 임신 중기 검진에서 아무런 이상이 없었다면 태동이 적어도 걱정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30주 이후 하루 20회 미만, 시간당 3회 이하의 태동이 2일 이상 지속되면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 태동이 평소와 다르다고 느껴지면 태아가 많이 움직이는 밤에 조용히 배에 손을 대고 태동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움직임이 느껴지지 않으면 곧바로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는다.
도 32를 참조하면,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고 모니터링 한다. 스트레스 지수가 높을 경우 (또는 지수와 상관 없이), “스트레스 극복 방법”에 대한 컨텐츠를 “오늘의 스트레스 극복 TIP” 화면에서 제시 (팝업 UI) 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운동상태 모니터링의 경우, 운동계획에서 세웠던 운동계획의 운동종목이 모두 제시되고, 운동수행도는 학습/실행 탭의 할일목록 (todolist)의 결과로 반영된다. 할일목록에서 계획을 실행했다고 체크 했다면 총 운동시간을 계산/삭제할 수 있다. 총 운동량이 목표 운동 시간을 초과하면 경고 메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식이상태 모니터링의 경우, 주차 별 필수 영양소 할일목록에서 체크 된 항목 중 식이 항목을 계산하여 성취도를 표시 섭취 칼로리는 입력하도록 해서 트래킹 (식이 추천에서 임신 초기, 중기, 후기 별로 몇 칼로리를 더 섭취해야 하는지 제시되어 있다)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실행 모니터링에서 현재 엄마점수가 실행/학습 부분의 할 일 (TodoList)의 수행도를 바탕으로 산출한다. 점수는 33.3 이하, 33.3 ~ 66.6, 및 66.6 이상으로 분류하여 이모티콘 또는 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Alert (In-App message)의 경우, 운동은 초기 (1 ~ 3개월), 중기 (4 ~ 7개월), 및 후기 (8 ~ 10개월)의 주기에 따라 제공되며, 식이의 경우, 초기, 중기 (4, 5, 6, 7개월), 및 후기로 구분할 수 있으며, 우울증 테스트는 초기, 중기, 및 후기에 제시된다. 상기 지정된 시기에 앱을 접속하면 In-app message로 <임산부의 시기 별 운동 상태>, <임산부의 시기 별 식이 상태> 평가로 이동되고, 재평가 후, 그에 맞는 계획 디폴트와 노티스가 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현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순서에 따라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임산부 건강관리를 위한 앱 및 스마트시스템의 개발, U-헬쓰케어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임산부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임산부 개인정보, 개인건강정보, 자가평가, 계획, 학습 및 실행, 및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스마트기기 사용자 목적에 맞게 편집 또는 수정할 수 있는 임산부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 간에 동적 서버 컨텐츠를 수행시키도록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WAS : Web Application Server); 및
    스마트기기상에 어플화된 상태에서,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모듈로부터 상기 개인정보, 개인건강정보, 자가평가, 계획, 학습 및 실행, 및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스마트기기 상에 활성화 시키고, 상기 수신받은 데이터를 분석한 후, 평가결과를 표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임산부 건강관리 앱용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포함하는,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평가는 필수평가 항목과 선택적 평가항목으로 구성되고, 상기 필수 평가항목은 심리상태평가, 운동상태평가, 식이상태평가, 및 건강상태평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 평가항목은 임산부의 10대 수칙 실천상태 평가, 환경적 특성 평가 및 건강경영전략평가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인,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평가는 평가 세부설문, 응답, 및 평가결과를 포함하는 것인,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상태평가는 평가 세부설문에 대한 모든 문항 처리를 완료하면, 심리상태 평가결과 화면으로 이동하고, 담당의사 또는 건강코치의 진단내용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인,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세부설문 및 응답에 따라 점수가 배점되고, 평가결과는 합산된 점수 및 상기 점수에 따른 제안을 포함하는 것인,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상태평가는 운동 전 건강상태 평가와 주기적 상태 평가를 포함하며, 상기 주기적 상태 평가는 임신 초기, 중기 및 후기 각 시기에 따라 임산부 운동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인,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전 건강상태평가는 절대적 금기사항에 대한 세부설문, 응답 및 평가결과를 포함하는 운동 전 건강상태 평가1과,
    상대적 금기사항에 대한 세부설문, 응답 및 평가결과를 포함하는 운동 전 건강상태 평가2를 포함하는 것인,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적 금기사항은 중증의 심장질환, 폐 용적이 제한되는 폐질환, 자궁 경부무력증, 조산의 위험이 있는 다태 임신, 지속적인 임신 2, 3기 출혈, 임신 26주 이후의 전치태반, 조기 진통이 있는 경우, 양막 파열, 임신성 고혈압, 및 임신 중독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상대적 금기사항은 심한 빈혈 (Hb < 10 g/dl), 의학적 평가를 받지 않은 부정맥, 만성 기관지염, 조절되지 않는 제 1형 당뇨, 병적인 고도 비만, 심각한 저체, 거의 움직이지 않는 생활 패턴, 태아가 자궁내 발육부전 소견을 보이는 경우,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정형외과적 문제로 운동에 제한이 있는 경우, 잘 조절되지 않는 간질, 잘 조절되지 않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 및 심한 흡연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상태 평가는 임산부가 식이습관 인지평가를 처음 수행하는 최초 상태 평가와 임신 시기에 따른 모니터링 시에 수행하는 주기적 상태평가를 포함하는 것인,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획은 운동계획 및 식이계획을 포함하고, 상기 자가평가가 완료된 이후에 수행되는 것인,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계획 및 식이계획이 디폴트 (fault) 운동계획 및 식이계획으로 상기 스마트기기 화면에 표출되는 것인,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계획은 임신 초기, 중기, 및 후기에 있는 임산부를 위한 권장 운동 종류, 강도 및 운동량을 추천하고;
    초기 임산부의 디폴트 운동계획은 스트레칭 및 걷기를 포함하며;
    중기 임산부의 디폴트 운동계획은 스트레칭, 걷기, 임산부 체조, 및 마사지를 포함하며;
    후기 임산부의 디폴트 운동계획은 스트레칭, 걷기, 임산부 체조, 호흡법 및 마사지를 포함하는 것인,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은 심리상태평가결과, 운동상태평가결과, 식이상태 평가결과, 건강상태 평가결과, 10대 수칙 실천상태평가결과, 및 건강경영전략 평가결과를 포함하는 평가결과의 모니터링; 임산부의 체온, 체중, 산모 및 태아의 심박수, 태동, 및 스트레스 지수 등에 대한 모니터링; 및 엄마점수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것인,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및 실행은 임신 후 변화준비 및 환경조성, 및 할일 (ToDoList) 작성을 포함하는 것인,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15. 스마트기기상에서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을 실행하여, 임산부가 자가평가, 계획, 학습 및 실행,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관리하는,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자가평가는 심리상태평가, 운동상태평가, 식이상태평가, 건강상태평가, 10대 건강수칙 실천평가, 및 건강경영전략평가를 포함하고;
    상기 계획은 운동계획 및 식이계획을 포함하며;
    상기 학습 및 실행은 임신 후 변화준비 및 환경조성, 및 할일 (ToDoList) 작성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은, 심리상태평가결과, 운동상태평가결과, 식이상태 평가결과, 건강상태 평가결과, 10대 수칙 실천 평가결과, 및 건강경영전략 평가결과를 포함하는 평가결과의 모니터링; 임산부의 체온, 체중, 산모 및 태아의 심박수, 태동, 및 스트레스 지수 등에 대한 모니터링; 및 엄마점수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임산부 심리상태평가는 평가 세부설문에 대한 모든 문항 처리를 완료하면, 심리상태 평가결과 화면으로 이동하고, 담당의사 또는 건강코치의 진단내용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인,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상태평가는 운동 전 건강상태 평가와 주기적 상태 평가를 포함하며, 상기 주기적 상태 평가는 임신 초기, 중기 및 후기 각 시기에 따라 임산부 운동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인,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전 건강상태평가는 절대적 금기사항에 대한 세부설문, 응답 및 평가결과를 포함하는 운동 전 건강상태 평가1과,
    상대적 금기사항에 대한 세부설문, 응답 및 평가결과를 포함하는 운동 전 건강상태 평가2를 포함하는 것인,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적 금기사항은 중증의 심장질환, 폐 용적이 제한되는 폐질환, 자궁 경부무력증, 조산의 위험이 있는 다태 임신, 지속적인 임신 2, 3기 출혈, 임신 26주 이후의 전치태반, 조기 진통이 있는 경우, 양막 파열, 임신성 고혈압, 및 임신 중독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상대적 금기사항은 심한 빈혈 (Hb < 10 g/dl), 의학적 평가를 받지 않은 부정맥, 만성 기관지염, 조절되지 않는 제 1형 당뇨, 병적인 고도 비만, 심각한 저체, 거의 움직이지 않는 생활 패턴, 태아가 자궁내 발육부전 소견을 보이는 경우,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정형외과적 문제로 운동에 제한이 있는 경우, 잘 조절되지 않는 간질, 잘 조절되지 않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 및 심한 흡연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20.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상태평가는 임산부가 식이습관 인지평가를 처음 수행하는 최초 상태 평가와 임신 시기에 따른 모니터링 시에 수행하는 주기적 상태평가를 포함하는 것인,
    임산부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KR1020160184051A 2016-12-30 2016-12-30 임산부용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KR20180078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051A KR20180078844A (ko) 2016-12-30 2016-12-30 임산부용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051A KR20180078844A (ko) 2016-12-30 2016-12-30 임산부용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844A true KR20180078844A (ko) 2018-07-10

Family

ID=6291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051A KR20180078844A (ko) 2016-12-30 2016-12-30 임산부용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8844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5977A (zh) * 2020-03-19 2020-07-24 成都尚医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多疾病整合运动康复管理系统
CN112365982A (zh) * 2020-11-30 2021-02-12 云南省第一人民医院 复发性流产母婴健康随访追踪分析系统
CN113782133A (zh) * 2021-09-27 2021-12-10 成都脉讯科技有限公司 智慧妇幼信息化健康管理和分析系统
KR102414769B1 (ko) * 2021-07-22 2022-06-30 주식회사 디에이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E202019005864U1 (de) 2018-07-06 2022-10-17 Sk Innovation Co., Ltd. Lithium-Sekundärbatterie
KR102564583B1 (ko) 2022-06-17 2023-08-04 한국성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 내 거주 베트남 임산부를 위한 건강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CN117727456A (zh) * 2023-12-28 2024-03-19 江苏智慧智能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产科心理评估模型塑造系统及方法
CN117727456B (zh) * 2023-12-28 2024-05-24 江苏智慧智能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产科心理评估模型塑造系统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390A (ko) * 2009-07-01 2011-01-07 주식회사 씨에스 개인 커뮤니티 연동을 위한 임신육아 단말기
KR20110014354A (ko) * 2009-08-05 2011-02-11 (주)메디엔비즈 출산육아 정보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5569884B2 (ja) * 2011-07-05 2014-08-13 公立大学法人奈良県立医科大学 妊婦の健康管理装置及び健康管理システム
KR101592021B1 (ko) * 2014-07-31 2016-02-05 웰니스인텔리전스(주) 개인화된 임신, 출산, 산후조리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626547B1 (ko) * 2014-08-28 2016-06-02 주식회사 엄마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육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390A (ko) * 2009-07-01 2011-01-07 주식회사 씨에스 개인 커뮤니티 연동을 위한 임신육아 단말기
KR20110014354A (ko) * 2009-08-05 2011-02-11 (주)메디엔비즈 출산육아 정보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5569884B2 (ja) * 2011-07-05 2014-08-13 公立大学法人奈良県立医科大学 妊婦の健康管理装置及び健康管理システム
KR101592021B1 (ko) * 2014-07-31 2016-02-05 웰니스인텔리전스(주) 개인화된 임신, 출산, 산후조리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626547B1 (ko) * 2014-08-28 2016-06-02 주식회사 엄마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육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9005864U1 (de) 2018-07-06 2022-10-17 Sk Innovation Co., Ltd. Lithium-Sekundärbatterie
CN111445977A (zh) * 2020-03-19 2020-07-24 成都尚医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多疾病整合运动康复管理系统
CN111445977B (zh) * 2020-03-19 2024-02-13 成都尚医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多疾病整合运动康复管理系统
CN112365982A (zh) * 2020-11-30 2021-02-12 云南省第一人民医院 复发性流产母婴健康随访追踪分析系统
KR102414769B1 (ko) * 2021-07-22 2022-06-30 주식회사 디에이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3782133A (zh) * 2021-09-27 2021-12-10 成都脉讯科技有限公司 智慧妇幼信息化健康管理和分析系统
KR102564583B1 (ko) 2022-06-17 2023-08-04 한국성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 내 거주 베트남 임산부를 위한 건강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CN117727456A (zh) * 2023-12-28 2024-03-19 江苏智慧智能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产科心理评估模型塑造系统及方法
CN117727456B (zh) * 2023-12-28 2024-05-24 江苏智慧智能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产科心理评估模型塑造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8844A (ko) 임산부용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Lindberg et al. Weight-loss interventions for Hispanic populations: the role of culture
Manzoni et al. Short-term effects of a multi-disciplinary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me on psychological well-being, exercise capacity and weight in a sample of obese in-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a practice-level study
US20050240444A1 (en) System and method of individualized mass diagnosis and treatment of obesity
US20020156351A1 (en) Body weight management system
CN108665960A (zh) 一种健康管理方法及装置
TW202227006A (zh) 對稱溫差個性化健康管理體系-人體對稱溫差cwpas健康管理體系與使用方法
Nur et al. Reducing Stunting Rates Through Intervention for Adolescent Girls and Pregnant Women's Nutrition
CN109308938A (zh) 多囊卵巢综合征生活管理系统
WO2018226885A1 (en) Training, nutrition, and wellness planners
Sant’Anna et al. Mindfulness-based program to support lifestyle modification and weight loss in infertile wome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ark et al. The nurse practitioner's guide to nutrition
Scalzo et al. Case problem: Dietary recommendations to combat obesity, insulin resistance, and other concerns related to polycystic ovary syndrome/Response
Leonberg ADA pocket guide to pediatric nutrition assessment
Story Nutrition management of the pregnant adolescent: a practical reference guide
Franks et al. The health fitness handbook
McLaren Nutrition and Global Health
KR102608201B1 (ko) 데이터 기반 개인 맞춤형 식단제공을 통한 혈당관리방법 및 시스템
Dimitratos A Multi-Modal Approach to Investigate the Intersection of Stress and Health Throughout the Lifespan: Implications for a Precision Nutrition Strategy
Khodabakhsh Sleep and diet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Bertz Diet and/or exercise treatment for weight loss in overweight and obese women after childbirth
US202400964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user health data and generating, presenting, and refining health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using an electronic device
Schiller Your no guilt pregnancy plan: a revolutionary guide to pregnancy, birth and the weeks that follow
Brandon The Everything Guide to Pregnancy Nutrition & Health: From Preconception to Post-delivery, All You Need to Know About Pregnancy Nutrition, Fitness, and Diet!
Gracey et al. Breakthrough Women's Running: Dream Big and Train Sm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