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769B1 -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769B1
KR102414769B1 KR1020210125294A KR20210125294A KR102414769B1 KR 102414769 B1 KR102414769 B1 KR 102414769B1 KR 1020210125294 A KR1020210125294 A KR 1020210125294A KR 20210125294 A KR20210125294 A KR 20210125294A KR 102414769 B1 KR102414769 B1 KR 102414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planner
care
coa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4769B9 (ko
Inventor
소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이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이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이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769B1/ko
Publication of KR10241476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76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한 임신 성공과 난임시술 성공을 지원하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한 사용자에 대하여, 임신 성공을 원하는 제1 사용자 또는 난임시술 성공을 원하는 제2 사용자로 분류하는 단계와, 제1 사용자에게 임신 전 케어 서비스용 플래너로서의 제1 플래너를 제공하여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플래너에 대한 답변 정보로서의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하고, 제2 사용자에게 난임시술 중 케어 서비스용 플래너로서의 제2 플래너를 제공하여 제2 사용자로부터 제2 플래너에 대한 답변 정보로서의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플래너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관리자로서의 코치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에 대응하는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수신하며,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코치에 의해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ARE SERVICE}
본 발명은 건강한 임신 성공과 난임시술 성공을 지원하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난임은 건강한 남녀가 정상적인 부부관계에서 1년이 지나도록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결국 난임이란 피임을 하지 않고 1년 이내에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로 만혼으로 35세 이상 고령 가임기 여상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감소된 생식 능력으로 난임을 경험하게 된다.
세계 보건 기구는 전세계 가임기 부부 중 난임 부부의 비율이 15%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우리나라 기혼 여성의 난임 진단율도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난임 여성은 반복적으로 혈액, 호르몬, 초음파, 배란검사와 나팔관 조영술, 자궁경과 같은 다양한 검사와 시술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임신을 보장받는 것은 아니므로 난임 여성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겪게 된다. 특히, 고령 난임 여성은 시술의 성공으로 임신이 되어도 젊은 산모보다 고위험 임신으로 임신성 고혈압과 당뇨병, 염색체 이상으로 선천성 기영, 산후 출력과 같은 분만 합병증의 발생빈도가 높다.
결혼과 함께 임신은 부부의 과업으로 난임을 경험하는 부부는 임신이라는 과업달성을 위한 어려운 과정에서 부부관계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특히, 우울과 불안, 슬픔, 죄책감, 상실감 등을 포함하는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면서 난임 스트레스가 과중되고 있다. 이렇듯 난임 여성은 정상 임신 여성에 비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관계에서 다각적인 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난임 여성의 건강에 대한 이해와 체계적인 중재가 시급한 실정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15258호(2012.12.17)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난임 진단을 받고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사용자에게 난임시술 성공을 위한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여러 차례 난임시술을 받았으나 계속된 시술 실패로 힘들어 하는 사용자에게 난임시술 성공을 위한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늦은 결혼으로 임신이 걱정되는 사용자에게 건강한 임신 성공을 위한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건강한 임신을 위해 임신 전부터 꾸준히 관리하고 싶은 사용자에게 건강한 임신 성공을 위한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과제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한 사용자에 대하여, 임신 성공을 원하는 제1 사용자 또는 난임시술 성공을 원하는 제2 사용자로 분류하는 단계와, 제1 사용자에게 임신 전 케어 서비스용 플래너로서의 제1 플래너를 제공하여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플래너에 대한 답변 정보로서의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하고, 제2 사용자에게 난임시술 중 케어 서비스용 플래너로서의 제2 플래너를 제공하여 제2 사용자로부터 제2 플래너에 대한 답변 정보로서의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플래너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관리자로서의 코치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에 대응하는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수신하며,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코치에 의해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한 사용자에 대하여, 임신 성공을 원하는 제1 사용자 또는 난임시술 성공을 원하는 제2 사용자로 분류하고, 제1 사용자에게 임신 전 케어 서비스용 플래너로서의 제1 플래너를 제공하여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플래너에 대한 답변 정보로서의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하고, 제2 사용자에게 난임시술 중 케어 서비스용 플래너로서의 제2 플래너를 제공하여 제2 사용자로부터 제2 플래너에 대한 답변 정보로서의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하고, 플래너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관리자로서의 코치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에 대응하는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수신하며,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코치에 의해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난임 진단을 받고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사용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관점에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난임시술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러 차례 난임시술을 받았으나 계속된 시술 실패로 힘들어 하는 사용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관점에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난임시술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늦은 결혼으로 임신이 걱정되는 사용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관점에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임신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건강한 임신을 위해 임신 전부터 꾸준히 관리하고 싶은 사용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관점에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임신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사용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케어 서비스 제공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중 케어 서비스 관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다양한 케어 서비스의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코칭 및 피드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자"라 함은, 케어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또는 케어 서비스 제공 사이트에 접속한 후 인증 과정을 통하여 케어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한 명 이상의 회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임신 성공을 원하는 가임기 여성(남성)일 수 있다. 임신 성공을 원하는 가임기 여성(남성)은 늦은 결혼으로 임신이 걱정되는 여성(남성) 및/또는 건강한 임신을 위해 임신 전부터 꾸준한 관리를 원하는 여성(남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는 난임시술의 성공을 원하는 여성(남성)일 수 있다. 난임시술의 성공을 원하는 여성(남성)은 난임 진단을 받고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여성(남성) 및/또는 여러 차례 난임시술을 받았지만 계속된 시술 실패로 힘들어 하는 여성(남성)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관리자"라 함은, 케어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또는 케어 서비스 제공 사이트에 접속한 후 인증 과정을 통하여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에게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한 명 이상의 전문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관리자는 코치(예를 들어, 운동 지도자, 헬스 트레이너 등) 및 의료진(예를 들어, 의사, 간호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치는 회원으로 접속한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여기서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라 함은,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신체활동, 운동, 수면에 대한 긍적적인 변화를 위해, 코치가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미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코치는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로부터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에 대응하는 코칭 실행 결과 정보(예를 들어, 미션 실행 결과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의료진은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에게 의료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사, 간호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 관련 서비스는,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의 진료 이력 관리, 복약 관리, 처방약 관리, 난임시술 관리, 질의응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사용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케어 서비스 제공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어 서비스 제공 환경(1)은,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기(200), 관리자 단말기(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한다 함은, 사용자 단말기(200)에 소정의 정보를 제공한다 함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수집한다 함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수집한다 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치가 소정의 정보를 제공한다 함은, 제1 관리자 단말기(310)가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함을 포함할 수 있고, 코치가 소정의 정보를 수신/수집한다 함은, 제1 관리자 단말기(310)가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수집한다 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이 소정의 정보를 제공한다 함은, 제2 관리자 단말기(320)가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함을 포함할 수 있고, 의료진이 소정의 정보를 수신/수집한다 함은, 제2 관리자 단말기(320)가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수집한다 함을 포함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케어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또는 케어 서비스 제공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에 대하여, 임신 성공을 원하는 제1 사용자 또는 난임시술 성공을 원하는 제2 사용자로 분류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케어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또는 케어 서비스 제공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분류 기준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분류 기준을 수신하여 사용자를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로 분류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플래너를 제공하고 플래너에 대한 답변 정보로서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래너는 사용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상태를 분석 및 관리를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재 요청 정보(예를 들어, 캘린더, 일기, 차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관리부(150)는 제1 사용자에게 임신 전 케어 서비스용 플래너로서의 제1 플래너를 제공하고,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플래너에 대한 답변 정보로서의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플래너는, 제1 행성차트, 제1 라이프 케어 일기, 제1 복용 차트 및 임신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행성차트는, 제1 사용자(여성, 남성)의 나이, 출산 이력, 알레르기, 보유 질환, 치료 이력 및 수술 이력을 포함하는 건강 이력 정보와, 초경나이 및 생리주기를 포함하는 월경 이력과, 거주지 근처 보건소, 산부인과 응급병원 위치 및 연락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라이프 케어 일기는 매일 작성하는 식습관, 신체활동, 운동 및 수면 관련 정보로서, 취침 시간, 기상 시간, 수면 시간, 운동 수행 여부, 운동 시간, 운동 종류, 걸음 수, 식사 일지, 약 복용 일지, 심리적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복용차트는 제1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품 관련 정보로서, 약품 명칭, 기능, 구입처, 복용 정보(복용 시작일, 1회 복용량, 1일 복용횟수, 복용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임신 관련 정보는 임신을 준비하면서 제1 사용자가 숙지해야 할 전문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2 사용자에게 난임시술 중 케어 서비스용 플래너로서의 제2 플래너를 제공하고, 제2 사용자로부터 제2 플래너에 대한 답변 정보로서의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플래너는, 제2 행성차트, 제2 라이프 케어 일기, 제2 복용 차트, 행성 케어 캘린더, 병원 일지, 처방약 관리 일지, 난임시술 가계부 및 난임시술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행성차트는, 제2 사용자(여성, 남성)의 나이, 여성의 난소 기능과 생식 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AMH(anti-mullerian hormone) 수치, 남성의 가임력 이상 유무 체크 결과, 검사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행성 차트는 여성의 초경나이, 생리주기, 출산 이력, 알레르기, 보유 질환, 치료 이력, 수술 이력을 포함하는 건강 이력 정보와, 난임 진단 시기, 진단 전 자연 임신 시도 기간, 난임 원인을 포함하는 난임 진단 이력 정보와, 난임 시술 이력 정보와. 난임 병원 정보(병원 이름, 담당의사, 연락처 등)와, 거주지 근처 보건소, 산부인과 응급병원 위치 및 연락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라이프 케어 일기는 매일 작성하는 식습관, 신체활동, 운동 및 수면 관련 일기로서, 취침 시간, 기상 시간, 수면 시간, 운동 수행 여부, 운동 시간, 운동 종류, 걸음 수, 식사 일지, 각 끼니 별 채소 및 단백질을 섭취했는지 여부, 몸에 좋은 음식을 먹었는지 여부, 몸에 좋지 않은 음식을 먹은 횟수, 약 복용 일지, 심리적 상태, 통증 강도, 통증 발생 원인 및 완화 요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복용차트는 제2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품 관련 정보로서, 약품 명칭, 기능, 구입처, 복용 정보(복용 시작일, 1회 복용량, 1일 복용횟수, 복용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행성 케어 캘린더는 난임시술이 시작되면 월경 시작일을 기준으로 날짜 별로 난임 병원 진료 및 시술 관련 정보와 복용한 약 정보 및 신체적 변화를 기재하는 캘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병원 일지는 난임 병원 진료 시 수행해야 할 미션 관련 정보 및 문의 사항의 기재한 것으로서, 내원일, 진료 내용, 다음 내원일 다음 내원 전 수행해야 할 미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처방약 관리 일지는 난임시술의 시기별로 처방되는 약품 관련 정보로서, 약품 명칭, 복용 목적, 처방일, 1회 복용량, 1일 복용횟수, 효과 및 주의 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난임시술 가계부 난임시술 관련 비용과 처방약 관련 비용을 기재하는 것으로, 지출 항목, 약재비, 검사비, 시술비, 총 지출, 정부 및 지자체 지원 내역, 해당 날짜의 항목 및 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난임시술 관련 정보는 난임시술을 준비하면서 제2 사용자가 숙지해야 할 전문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플래너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코치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에 대응하는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수신하며,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코치에 의해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치와 사용자 사이에 정보 송수신을 위한 채팅이 가능하도록 메신저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치와 사용자 사이에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이메일 주소, 단말기 번호, SNS(social network service) 주소 중 하나 이상을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의료진과 사용자 사이에 정보 송수신을 위한 채팅이 가능하도록 메신저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의료진과 사용자 사이에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이메일 주소, 단말기 번호, SNS(social network service) 주소 중 하나 이상을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의학 관련 문의 사항을 수신함에 따라,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다른 관리자로서의 의료진을 호출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플래너 답변 정보를 의료진에게 제공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의료진으로부터 플래너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한 문의 사항에 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제2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인간의 지능으로 할 수 있는 사고, 학습, 자기계발 등을 컴퓨터가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컴퓨터 공학 및 정보기술의 한 분야로,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은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과학의 다른 분야와 직간접으로 많은 관련을 맺고 있다. 특히 현대에는 정보기술의 여러 분야에서 인공지능적 요소를 도입하여, 그 분야의 문제 풀이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컴퓨터에 명시적인 프로그램 없이 배울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연구 분야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머신 러닝은, 경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을 하고 예측을 수행하고 스스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구축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머신 러닝의 알고리즘들은 엄격하게 정해진 정적인 프로그램 명령들을 수행하는 것이라기보다,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이나 결정을 이끌어내기 위해 특정한 모델을 구축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임신 성공을 원하는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한 임신 전 케어 서비스용 제1 플래너에 대응하는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을 예측하도록 미리 훈련된 제1 심층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건강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심층신경망 모델은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임신 성공 여부 및 여성 질환을 레이블로 하는 훈련데이터에 의해 지도학습 방식으로 훈련된 모델일 수 있다.
또한,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난임시술 성공을 원하는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한 난임시술 중 케어 서비스용 제2 플래너에 대응하는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을 예측하도록 미리 훈련된 제2 심층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의 건강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심층신경망 모델은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난임시술 성공 여부 및 여성 질환을 레이블로 하는 훈련데이터에 의해 지도학습 방식으로 훈련된 모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임신 성공 또는 난임시술을 성공하기까지 수행해야 하는 수많은 미션들 중 필요한 미션들만 쉽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한 미션들은 난임 시술의 이해,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 정책 확인, 시술 일정 관리, 라이프 케어, 기록 관리, 부작용 관리, 복약(주사) 관리, 멘탈 관리, 커뮤니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를 위한 일상 관리 플랫폼을 형성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전문지식 플랫폼을 형성하여 경쟁력 있는 정보를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의 경험을 통해 생성한 정보와 의료진의 정확한 검수를 통해 병원 및 의료진과 상생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병원 또는 SNS에서도 쉽게 찾을 수 없는 정확한 임신 관련 정보와 난임 정보를 의료진 답변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플래너 정보를 기록하고, 이를 전문지식 플랫폼과 연계하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의 생활습관, 시술 기록을 통해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와 동일한 조건의 다른 사용자의 기록을 비교하여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의 활동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정서상태 고위험군을 사전에 인지하고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에게 시설 및 병원을 추천해 줄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시술 기록을 통해 다음 차수 시술을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각종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플래너 정보를 기록하고 이를 전문가 코칭과 연계하여 사용자 케어를 수행할 수 있다. 시술에 의존하는 기존의 환경을, 객관적 정보에 따라 시술 전, 시술 후로 분류하여 맞춤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의 생활습관을 분석하여 맞춤형 케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서버 형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케어 서비스 기능을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하여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관리자 단말기(300)에 탑재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케어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케어 서비스 제공 사이트에 접속하여 케어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조작하는 데스크 탑 컴퓨터(201), 스마트폰(202), 노트북(203),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단말기 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단말기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케어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케어 서비스 제공 사이트에 접속하여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기(300)는 코치 및 의료진이 조작하는 데스크 탑 컴퓨터(301), 스마트폰(302), 노트북(303),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3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단말기 일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기(300)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단말기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및 관리자 단말기(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400)는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네트워크(400)는 근거리 통신 및/또는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Wi-Fi (wireless fidelity)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허브, 브리지, 라우터, 스위치 및 게이트웨이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의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 및 안전한 기업 사설 네트워크와 같은 사설 네트워크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연결된 네트워크들, 예컨대 다중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에의 액세스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네트워크(400)는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 및/또는 5G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 매체(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데이터베이스(140), 케어 서비스 제공 관리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네트워크(400)와 연동하여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200)와 관리자 단말기(3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소정의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케어 서비스 제공 관리부(15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300)가 처리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이라 함은,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200)와, 관리자 단말기(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매개체로써,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300)가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한 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저장 매체(120)는 제어부(16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저장 매체(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저장 매체(120)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SRAM, 또는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SSD. CF(compact flash) 카드, SD 카드, Micro-SD 카드, Mini-SD 카드, Xd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30)는 사용자에 대하여 임신 성공을 원하는 제1 사용자 또는 난임시술 성공을 원하는 제2 사용자로 분류하는 작업, 제1 사용자에게 제1 플래너를 제공하고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하는 작업, 제2 사용자에게 제2 플래너를 제공하고 제2 사용자로부터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하는 작업,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코치에 의해 생성된 제1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수신하며, 제1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코치에 의해 생성된 제1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작업,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코치에 의해 생성된 제2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2 사용자로부터 제2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수신하며, 제2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코치에 의해 생성된 제2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작업, 사용자로부터 의학 관련 문의 사항을 수신함에 따라, 의료진을 호출하고,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플래너 답변 정보를 의료진에게 제공하며, 의료진으로부터 플래너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작업, 플래너 답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예측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코치, 의료인의 정보를 저장하는 유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코치, 의료인의 정보는 이름, 소속, 인적 사항, 성별, 나이, 연락처, 이메일, 주소, 이미지 등 기본적인 정보와, 아이디(ID) (또는 이메일) 및 패스워드(password) 등 인증(로그인)에 대한 정보, 접속 국가, 접속 위치, 접속에 이용한 장치에 대한 정보,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 등 접속과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저 데이터베이스에는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코치, 의료인 중 한 명 이상이 케어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케어 서비스 제공 사이트에 접속하여 제공받은 정보 및/또는 카테고리 이력, 환경 설정 정보, 자원 사용량 정보, 자원 사용량에 대응한 과금 및 결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40)는 사용자의 위치와, 생체 감지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의 위치 및 생체 감지 정보와 함께 생체 신호 감지 시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40)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 플래너 및 제2 플래너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제1 플래너 답변 정보 및 제2 플래너 답변 정보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 및 2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제1 코칭 실행 결과 정보 및 제2 코칭 실행 결과 정보와, 제1 코칭 실행 결과 정보 및 제2 코칭 실행 결과 정보에 대응하여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 피드백 정보 및 제2 피드백 정보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문의 정보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응답 정보 등을 저장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관리부(150)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한 사용자에 대하여, 임신 성공을 원하는 제1 사용자 또는 난임시술 성공을 원하는 제2 사용자로 분류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관리부(150)는 제1 사용자에게 제1 플래너를 제공하고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관리부(150)는 제2 사용자에게 제2 플래너를 제공하고 제2 사용자로부터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관리부(150)는 플래너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코치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관리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수신하며,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코치에 의해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관리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의학 관련 문의 사항을 수신함에 따라, 의료진을 호출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관리부(150)는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플래너 답변 정보를 의료진에게 제공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관리부(150)는 의료진으로부터 플래너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관리부(150)는 제1 플래너 답변 정보 및/또는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의 건강을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저장 매체(12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도 2의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중 케어 서비스 관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다양한 케어 서비스의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케어 서비스 제공 관리부(150)는 분류부(151), 플래너 처리부(152), 기록 관리부(153), 코칭 처리부(154), 질의응답 처리부(155) 및 예측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분류부(151)는 케어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또는 케어 서비스 제공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에 대하여, 임신 성공을 원하는 제1 사용자 또는 난임시술 성공을 원하는 제2 사용자로 분류할 수 있다.
분류부(151)는 사용자 분류를 위해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분류 기준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분류 기준을 수신하여 사용자를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류부(151)는 분류 기준으로 난임시술을 받은 적이 있는지 문의하는 분류 기준을 사용자에 제공하고, 난임시술을 받은 적이 없다는 답변을 송신한 사용자를 제1 사용자로 분류하고, 난임시술을 받은 적이 있다는 답변을 송신한 사용자를 제2 사용자로 분류할 수 있다.
플래너 처리부(152)는 사용자에게 플래너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플래너에 자신의 정보를 기입한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플래너 처리부(152)는 제1 사용자에게 임신 전 케어 서비스용 플래너로서의 제1 플래너를 제공하여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플래너에 대한 답변 정보로서의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플래너는 제1 행성차트, 제1 라이프 케어 일기, 제1 복용 차트 및 임신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너 처리부(152)는 제2 사용자에게 난임시술 중 케어 서비스용 플래너로서의 제2 플래너를 제공하여 제2 사용자로부터 제2 플래너에 대한 답변 정보로서의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플래너는 제2 행성차트, 제2 라이프 케어 일기, 제2 복용 차트, 행성 케어 캘린더, 병원 일지, 처방약 관리 일지, 난임시술 가계부 및 난임시술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록 관리부(153)는 플래너 처리부(152)로부터 수집한 플래너 답변 정보를 사용자 별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기록 관리부(153)는 플래너 처리부(152)로부터 수집한 플래너 답변 정보 중 누락된 답변 정보를 요청하여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기록 관리부(153)는 제2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제2 플래너 답변 정보 중 난임시술 관련 정보를 제2 사용자 별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난임시술 중에는 주사, 약, 증상, 결과 관리 등 기록을 잘하면서 관리해야 하는데, 기록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경우 관리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기록 관리부(153)는 난임시술과 관련한 정보를 제2 사용자 별로 저장하고, 다음 차수 난임시술을 미리 대비하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기록 관리부(153)가 제2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로부터 난임시술과 관련한 정보(생리, 관계에, 배란테스트 수치, 체중, 병원 진료일, 시술, 검사기록 등)를 추출하고, 시간상으로 정보를 정리한 타임라인으로 생성하여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기록 관리부(153)는 제2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로부터 난임시술과 관련한 정보를 캘린더로 생성하여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기록 관리부(153)는 제2 사용자가 어느 한 난임시술에 대하여 자세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코칭 처리부(154)는 플래너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코치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는 식습관, 신체활동, 운동, 수면 등을 포함하는 생활습관에 대하여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미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션은 식습관에 대하여 매 식사 시에 야채 먹기, 신체활동에 대하여 하루에 만보 이상 걷기, 수면에 대하여 하루에 8시간 이상 수면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코칭 처리부(154)는 코치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사용자의 생활습관 파악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생활습관 파악 결과는 코치에 의해 생성되고, 코칭 처리부(154)는 코치로부터 사용자의 생활습관 파악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코치와 사용자는 코칭 처리부(154)가 제공하는 메신저를 통하여 서로 채팅이 가능하며, 채팅을 통하여 코치는 사용자에 사용자의 생활습관을 파악하고 생활습관을 파악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코칭 처리부(154)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에 대응하는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코칭 실행 결과 정보는 미션 수행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로, 코칭 실행 결과 정보 즉, 미션 수행 결과는, 식습관에 대하여 매 식사 시에 야채 먹었는지 여부, 신체활동에 대하여 하루에 만보 이상 걷기를 실행했는지 여부, 수면에 대하여 하루에 8시간 이상 수면을 취했는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칭 처리부(154)는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코치에 의해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는 미션을 실행한 경우 칭찬과 함께 제공되는 리워드, 다음 번 실행해야 할 미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정보는 미션을 실행하지 못한 경우, 격려와 함께 사용자가 더 쉽게 수행할 수 있는 미션 또는 다른 미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는 사용자 맞춤형 리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코칭 처리부(154)는 사용자 맞춤형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코칭 처리부(154)는 미션 수행 전 생활습관과, 미션 실행 후 생활습관을 비교한 생활습관 비교 결과를 생성하고, 생활습관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코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건강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어느 한 사용자에 대하여 식습관, 신체활동(총 걸음수), 운동, 수면시간에 대하여,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형태의 사용자 맞춤형 리포트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사용자 맞춤형 리포트 정보 역시 코칭 처리부(154)에 의해 생성되며, 미션의 수행 전에 생활습관의 파악 결과로부터 산출한 제1 점수와, 미션의 수행 결과로부터 산출한 제2 점수의 비교 분석 결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생환습관의 개선 정도 여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하, 코칭 처리부(154)의 상세한 기능은 도 8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질의응답 처리부(155)는 사용자로부터 의학 관련 문의 사항을 수신함에 따라, 의료진을 호출할 수 있다. 질의응답 처리부(155)는 제1 사용자로부터 임신 성공을 위한 임신 관련 문의 사항을 수신하는 경우 임신관련 전문정보를 제공해 줄 의료진을 호출할 수 있다. 질의응답 처리부(155)는 제2 사용자로부터 난임시술 성공을 위한 난임시술 관련 문의 사항을 수신하는 경우 난임시술 관련 전문정보를 제공해 줄 의료진을 호출할 수 있다.
질의응답 처리부(155)는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플래너 답변 정보를 의료진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의료진은 사용자의 신체적, 정신적 상황에 맞는 사용자 맞춤형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질의응답 처리부(155)는 의료진으로부터 플래너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한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질의응답 처리부(155)는 의료진과 사용자 사이에 정보 송수신을 위한 채팅이 가능하도록 메신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와 의료진 사이의 채팅을 통한 질의응답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예측부(156)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제2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예측부(156)는 임신 성공을 원하는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한 임신 전 케어 서비스용 제1 플래너에 대응하는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을 예측하도록 미리 훈련된 제1 심층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건강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심층신경망 모델은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임신 성공 여부 및 여성 질환을 레이블로 하는 훈련데이터에 의해 지도학습 방식으로 훈련된 모델일 수 있다.
여기서, 초기에 설정된 제1 심층신경망 모델은 제1 사용자의 건강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로 구성되기 위해 설계된 초기 모델로서 파라미터 값들은 임의의 초기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초기 모델은 상술한 훈련데이터를 통해 훈련되면서 파라미터 값들이 최적화되면서 제1 사용자의 건강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제1 사용자 건강 예측 심층신경망 모델로 완성될 수 있다.
또한, 예측부(156)는 난임시술 성공을 원하는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한 난임시술 중 케어 서비스용 제2 플래너에 대응하는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을 예측하도록 미리 훈련된 제2 심층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의 건강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심층신경망 모델은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난임시술 성공 여부 및 여성 질환을 레이블로 하는 훈련데이터에 의해 지도학습 방식으로 훈련된 모델일 수 있다.
여기서, 초기에 설정된 제2 심층신경망 모델은 제2 사용자의 건강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로 구성되기 위해 설계된 초기 모델로서 파라미터 값들은 임의의 초기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초기 모델은 상술한 훈련데이터를 통해 훈련되면서 파라미터 값들이 최적화되면서 제2 사용자의 건강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제2 사용자 건강 예측 심층신경망 모델로 완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코칭 및 피드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코칭 및 피드백 정보를 처리하여 제공하는 주체는 코칭 처리부(154)일 수 있다. 코칭 처리부(154)는 메신저를 통하여 코치와 사용자를 연계하고, 코치와 사용자 사이에 송수신되는 정보를 수집하고, 코치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코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가공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코치가 생성하는 정보는 코칭 처리부(154)에서 수집 및 가공 처리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생성하는 정보는 코칭 처리부(154)에서 수집 및 가공 처리되어 코치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의 편의상, 코칭 처리부(154)를 주체로 하는 대신 코치를 주체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코칭 및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코치는 난임시술, 난임에 도움이 되는 생활습관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있고, 사용자의 이야기를 경청 및 공감하고,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뿐만 아니라 사용자를 생각하는 마음을 텍스트로 잘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코치는 대화속에서 사용자가 진정으로 필요한 부분을 찾고, 스스로 바꿀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고 이끌 수 있다.
도 8은 코칭 처리부(154)에서 수행하는 1:1 코칭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첫 번째 주에 코치는 사용자와의 만남(메신저를 통한 비대면 만남)을 통해 사용자에 대해 파악(801)할 수 있다.
여기서, 1일차에 코치 및 사용자는 각각을 소개하고, 앞으로 코칭 진행 방법에 대해 사용자에게 간단히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코치는 시작 미션(플래너)의 이유와 중요성을 사용자에게 설명하고, 사용자에게 행성차트를 업로드 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다.
2일차에, 코치는 사용자에 대하여 시작 미션(플래너) 작성시 어려운 점을 체크하고, 어려움이 있다면 파악하고 작성 요령 등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코치는 추가 질문으로 키, 몸무게 결혼한 년도 등을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내일은 사용자가 가장 개선하고 싶은 생활습관에 대해 대화할 것을 예고하고 마무리할 수 있다.
3일차에, 코치는 사용자에게 생활습관 중 가장 개선하고 싶은 부분을 질문하고, 그 이유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가며 사용자에 대해 세심히 파악할 수 있다. 시작 미션을 마무리하는 시점이라면 사진 업로드를 요청하고 마무리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3일차가 평일인 경우 상술한 절차를 활용할 수 있다. 주말까지 시작 미션 작성 후 일요일 밤이나 월요일 오전 중으로 업로드 요청할 수 있다. 만약 3일차에 주말이 속해있는 경우 주말까지 시작 미션 업로드 요청 후 3일차 대화는 월요일에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와의 첫 만남 이후, 코치는 시작 미션을 분석(802)할 수 있다. 코치는 시작 미션 데이터를 입력하여, 식습관, 신체활동, 운동, 수면을 체크(점수 또는 횟수)하고, 사용자가 가장 개선하고 싶은 부분과 비교해 볼 수 있다.
시작 미션의 분석 이후, 코치는 미션을 설정(803)할 수 있다. 코치는 사용자가 개선하고 싶은 부분을 중점으로 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첫 미션은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범위에서 정할 수 있다. 미션의 개수가 2개를 넘기지 않게 하여 미션 성공 경험을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미션 수행에 따른 점수를 언급하기 보다는 구체적인 행동에 초점을 맞춰 미션을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긍정 식습관의 점수를 올리기보다는 우유, 채소 주 3회 먹기 등의 미션을 정할 수 있다. 코치는 미션 실행 후 점수에 변화가 있어야 함을 인지하고, 첫 미션을 결정한 후 일주일 동안은 사용자와의 메신저를 통하여 어려움이 없는지 자주 확인해 볼 수 있다.
미션 설정은 리포트를 기반으로 하되, 혹시 사용자의 니즈(needs)가 확인되는 것을 우선으로 미션을 설정할 수 있다. 미션은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일주일 단위의 미션을 성공했다 하더라도 습관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코치는 미션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미션 수행 여부를 체크(804)할 수 있다. 미션이 정해진 이후 최소 3일 이내에 미션 수행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미션 수행에 어려움이 있다면 사용자와 대안을 논의할 수 있다. 금요일에는 한 번 더 메신저를 통하여 사용자와 채팅하고, 미션 수행이 순조롭다면 그룹 미션(주말 미션)을 함께 수행하거나 해당 미션의 강도를 조금 높일 수 있다.
코치는 사용자의 미션 수행 여부 체크 결과를 이용하여 주간 리포터를 분석(805)할 수 있다. 리포터에 들어갈 내용을 확인하고 폼에 맞게 작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지 점수와 횟수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코칭 처리부(154)에서 수행하는 식습관 코칭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식습관 코칭을 위해 필요한 자료는 식습관 기록 방법 가이드, 음식 중량을 쉽게 알 수 있는 이미지(예를 들어, 손 저울법, 접시 활용법 등), 긍정 식습관 점수를 높이기 위한 가이드(예를 들어, 추천하는 긍정 메뉴), 부정 식습관 점수를 낮추기 위한 가이드(예를 들어, 부정 식습관을 줄이는 방법), 건강한 간신 추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코치는 사용자의 평소 식습관을 확인(901)할 수 있다. 코치는 사용자가 기록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코치는 사용자의 기록을 확인하여 명확하지 않다면 사용자에게 추가 질문을 할 수 있다. 코치는 사용자가 기록에 어려움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어려움이 있다면 가이드 해 줄 수 있다.
코치는 사용자의 긍정/부정 식습관 점수를 확인(902)하고, 부정 식습관에 초점을 맞춰서 코칭(903)할 수 있다. 코치는 사용자가 가장 문제라고 생각하는 부정 식습관에 대해 대화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첫 주 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첫 미션은 회원 스스로 결정하고 실정 가능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코치는 부정 식습관 점수가 매우 낮다면 긍정 식습관으로 코칭할 수 있다.
코치는 미션 과제 실행 후 긍정/부정 점수에 기반하여 코칭(904)할 수 있다. 코치는 리포트의 식습관 점수를 확인하고 지난 주와 비교하여 개선된 부분을 칭찬하고, 개선이 될 부분을 미션으로 제시할 수 있다. 코치가 미션을 정할 때는 점수를 기반으로 하지만 전체적인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긍정 식습관을 평균 1점을 높이고자 한다면 사용자의 채소 섭취가 집중된 끼니, 과일 섭취 여부 등을 파악하는 경우 구체적인 미션을 설정할 수 있다.
리포트의 식습관 점수를 확인한 결과 부정 점수가 높은 경우, 코치는 부정 점수가 높은 원인을 찾아서 횟수/양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코칭할 수 있다. 또한 횟수를 줄이고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코칭할 수 있다.
리포트의 식습관 점수를 확인한 결과 긍정 점수가 낮을 경우, 긍정 점수가 낮은 원인을 찾아서 긍정 식습관에 해당하는 메뉴의 횟수를 점차적으로 늘려가도록 코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먹을 수 있는 것을 물어보고 원하는 것으로 미션을 설정할 수 있다.
리포트의 식습관 점수를 확인한 결과 부정이 높고 긍정도 낮을 경우, 부정과 긍정 중에 어떤 부분을 선택할 것인지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긍정을 올리도록 선택하는 경우, 코치는 양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긍정 식품을 추가하는 것이니 심리적으로 안정을 느끼며 긍정 점수를 높일 수 있도록 코칭할 수 있다. 코치는 사용자에게 먹는 것에 대한 부담 엄이 건강한 식습관을 만들어 갈 수 있고, 양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긍정 식품을 추가하는 것이니 심리적으로 부담이 덜 된다고 인지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부정을 낮추도록 선택하는 경우, 코치는 사용자에게 평소 먹던 부정 식품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한 만큼 긍정을 추가할 때보다 좀 더 부담이 될 수는 있다고, 부정 식습관이 높은 회원의 경우 습관화(예를 들어, 커피, 탄산 등)된 경우가 많을 것이니 대체할 수 있는 식품, 행동을 가이드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고 고려할 수 있다. 코치는 상술한 상황을 고려하고 사용자에게 그 동안 습관화 되었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조금씩 줄이게 될 것이고, 다만 몸이 받아들이는 긍정적인 변화의 효과는 빠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인지시킬 수 있다.
리포트의 식습관 점수를 확인한 결과 부정이 낮고 긍정이 높은 경우, 현재의 식습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모니터링 하고 다른 생활습관에 집중하여 코칭할 수 있다. 여기서, 리포트의 식습관 점수를 확인한 결과 부정이 낮고 긍정이 높은 경우의 사용자는 부정 식습관 점수가 0이고 긍정 식습관 점수가 8점인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는 메신저를 통하여 코치가 사용자에게 식습관 코칭을 가이드 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일 실시 예로 부정 식습관 점수가 높은 사용자를 코칭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코칭 처리부(154)에서 수행하는 활동량 코칭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활동량 코칭을 위해 필요한 자료는 활동량 평가 기준, 임신과 활동량의 이점 설명, 걸음 수 늘리는 방법, 올바른 걷기 방법(예를 들어, 파워 워킹) 이미지, 메트로놈을 이용하여 걷는 방법, 운동 중 심박수 체크 방법(디바이스가 없을 경우), 심박수 체크 후 강도를 높이는 방법, 전체적인 걷기 운동 프로토콜 짜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코치는 사용자의 걸음수를 확인(1101)할 수 있다. 코치는 사용자가 기록한 걸음수치가 정확한지 확인하고, 사용자가 대략적인 수치를 기록했다면 앱을 이용하여 정확한 수치를 요구할 수 있다.
코치는 사용자의 걸음수치로부터 걸음수 등급을 확인(1102)하고, 증가 또는 유지를 결정(1103)할 수 있다.
코치는 활동량이 만보 이상 주 6회를 유지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활동량 유지가 필요(1104)하다고 결정하고, 현재 사용자의 수준 설명과 유지 또는 강도를 올릴 수 있도록 코칭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코치는 사용자에게 임신과 활동량의 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코치는 활동량이 만보 이하의 사용자에 대해서는 활동량 증가가 필요(1105)하다고 결정하고, 단계적으로 주당 약 천 보 내지 천오백 보를 늘릴 수 있도록 코칭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코치는 사용자에게 임신과 관련하여 충분한 활동량의 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코치는 사용자에게 걷기 강도 증가를 위해 파워 워킹 방법(올바르게 걷는 법), 메트로놈을 이용하여 속도에 맞추어 걷는 방법, 심박수를 체크하여 걷기 강도를 설정하고 증가시키는 방법을 코칭할 수 있다.
파워 워킹 방법 코칭의 경우, 주 3회 이상 만보를 유지하는 사용자, 평균 주 7천보 내지 8천보를 유지하는 사용자, 걷기를 실천하는 사용자 중 강도를 증가시키길 원하는 사용자(걸을 수 있는 시간이 짧지만 운동 효과를 볼 수 있음)을 대상으로 하여, 이미지 또는 메시지를 통하여 코칭할 수 있다.
메트로놈을 이용하여 속도에 맞추어 걷는 방법 코칭의 경우, 파워 워킹을 실천하고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메트로놈 앱을 이용해서 속도에 맞춰 걷도록 코칭하거나, 만보 기준 분당 110-120 걸음으로 연속 10분 걷기를 시작으로 시간을 점차적으로 늘리라고 코칭할 수 있다.
심박수를 체크하여 걷기 강도를 설정하고 증가시키는 방법 코칭의 경우, 메트로놈을 이용하여 파워 워킹을 실천하고 있는 사용자, 또는 자신의 운동 강도를 보다 정확하게 체크하고 강도 증가를 원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심박수 체크 디바이스를 이용하거나, 카보넨 공식을 이용하여 스스로 심박수를 체크하도록 코칭할 수 있다.
도 12에는 카보넨 공식을 이용하여 목표 심박수를 산출하고 심박수를 체크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목표 심박수를 알아보는 카보넨 공식은 (220-나이-안정시 심박수)×운동강도+안정시 심박수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안정시 심박수는 충분한 휴식을 취한 후 체크(카페인, 술, 담배는 측정 2시간 전에는 하지 않고 측정)하고, 10초 도는 15초 측정 후 1분으로 환산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운동 강도는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는 운동 강도를 고강도 85-100%(0.85-1)로 선택하고, 심폐 지구력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는 운동 강도를 중강도 70-85%(0.7-0.85)로 선택하고, 체중을 감량하고자 할 때는 운동 강도를 저중강도 60-70%(0.6-0.7)로 선택하고, 운동을 처음 시작하고자 할 때는 운동 강도를 저강도 50-60%(0.5-0.6)로 선택할 수 있다.
본인에게 맞는 목표 심박수가 산출된 경우 운동 중에 적용할 수 있다. 걷기 15분 이후 심박수를 체크하여 목표 심박수에 도달했다면 강도에 맞춰 일정하게 걸을 수 있다. 걷기가 끝난 후 한 번 더 측정(일정한 심박수를 유지하는 것을 추천)할 수 있다. 다만 체중 감량/심폐 지구력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 목표 심박수를 더 높일 수 있다.
도 13은 코칭 처리부(154)에서 수행하는 운동량 코칭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운동량 코칭을 위해 필요한 자료는 적절한 운동량 가이드, 운동 프로그램(요가, 유산소 등), 임신과 규칙적인 이점 설명, 운동과 난임의 관련 근거 자료, 난임에 도움이 되는 운동 추천, 보그 스케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코치는 사용자의 운동 경험을 파악(1301)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운동 경험 파악을 통하여 사용자가 현재 운동 중(1302)인 경우, 운동의 종류, 시간, 빈도를 파악하고, 주 3회 운동을 유지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고, 운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독려할 수 있다.
현재 운동 중인 사용자에 대하여 운동량 유지가 필요(1303) 하다고 판단되는 사용자는, 본인의 상황에 맞게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있는 사용자로서, 다만 체력 향상, 체중 조절이 필요하다면 운동량 증가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코치는 이러한 사용자에 대하여 현재 운동은 유지하고, 식단과 생활 패턴에 더욱 집중하여 코칭할 수 있다.
현재 운동 중인 사용자에 대하여 운동량 증가가 필요(1304) 하다고 판단되는 사용자에 대하여, 고치는 체력 향상과 체중 조절을 원하는 사용자로서, 기존 운동으로 증가를 원하는지 다른 운동의 추가를 원하는지 파악해 볼 수 있다. 사용자가 기존 운동으로 증가를 원하는 경우, 빈도, 시간을 늘려 계획할 수 있고, 이후 운동 계획은 모니터링 하며 코칭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른 운동에 대한 니즈가 있다면 운동 원함의 코칭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체중 감량을 위한 운동 코칭 가이드 확인이 필수적일 수 있다.
사용자의 운동 경험 파악을 통하여 사용자가 운동에 대하여 과거 경험이 있는 경우(1305), 과거 운동의 종류를 체크하고, 현재 운동을 유지할 수 없는 이유를 체크한다면 이후 코칭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현재 운동을 원하지 않는다면 운동을 원하지 않음으로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운동에 대하여 과거 경험이 있는 경우(1305) 및 사용자가 운동 경험이 없는 경우(1306)에 대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원하는 경우(1307), 코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을 파악한 후 전문 기관에 등록할 수 있도록 권장할 수 있다. 또한 너무 무리한 횟수나 종류는 주의하도록 코칭할 수 있다. 전문 기관의 등록이 어렵다면 홈트레이닝, 시간과 횟수를 구체적으로 정하는 코칭을 수행할 수 있다. 처음 운동을 접하는 사용자는 컨디션을 체크하며 운동을 지속적으로 이어가도록 독려할 수 있다. 최종목표인 주 3회 운동 습관, 전문 기관에 등록하여 꾸준한 운동 습관을 유지하도록 코칭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운동에 대하여 과거 경험이 있는 경우(1305) 및 사용자가 운동 경험이 없는 경우(1306)에 대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원하지 않는 경우(1308), 코치는 무리하게 운동을 권하거나, 일방적으로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그 대신 코치는 활동량 코칭 가이드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활동량을 늘리는 것에 초점을 맞춰 코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운동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정기적으로 이러한 사용자를 추적하여 최종 목적(운동 참여)에 도달하는 것을 염두해 두고 코칭할 수 있다.
도 14는 코칭 처리부(154)에서 수행하는 수면 코칭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코치는 사용자의 평소 수면 상태를 확인(1401)할 수 있다. 코치는 사용자의 수면 시간 및 취침 시간을 확인하여 수면 습관을 파악할 수 있다.
코치는 사용자의 평소 수면 상태로부터 건강 수면/취침 횟수를 확인(1402)할 수 있다. 데이터에 수면 시간을 입력 후 각각의 점수를 확인할 수 있다. 개선이 필요하더라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대화를 나누고 수면에 대한 미션을 설정하는 것은 후반(3 가지 생활 습관에 대해 어느 정도 잡히는 시점)으로 미뤄둘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수면 습관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언급을 하는 경우 함께 미션을 정할 수 있다.
건강 수면/취침 횟수를 확인한 결과 수면 습관을 유지(1403)할 것을 결정한 사용자는 건강 수면 및 취침 횟수가 주 4회 이상인 사용자로서, 현재 수면 습관을 유지하도록 독려하고, 다만 사용자가 체감하는 수면의 질을 고려하여 코칭할 수 있다.
건강 수면/취침 횟수를 확인한 결과 수면 습관을 개선(1404)해야 하는 사용자는 건강 수면 및 취침 횟수가 주 3회 미만인 사용자로서, 코치는 데이터 수면 시간 입력 후 건강 수면/취침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건강 취침과 건강 수면이 모두 개선되어야 한다면, 먼저 건강 취침부터 코칭할 수 있다. 무리한 시간 조정보다는 10분-30분 정도 회원이 실행 가능한 범위에서 코칭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에게 수면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건강 수면/취침 횟수를 확인한 결과 건강 취침을 코칭(1405)해야 하는 사용자는 건강 수면 및 취침 횟수가 주 3회 미만인 사용자로서, 오후 10시-자정 사이에 잠들 수 있도록 코칭할 수 있다. 사용자의 취침 시간을 확인하여 30분 단위로 취침 시간을 맞춰 갈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코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수면에 도움이 되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건강 수면/취침 횟수를 확인한 결과 건강 수면을 코칭(1406)해야 하는 사용자는 건강 수면 및 취침 횟수가 주 3회 미만이고, 건강 취침이 개선되고 있지만 건강 수면에 코칭이 필요한 사용자 또는 수면 시간이 많은 사용자로서, 평균 7시간 이상 9시간 미만의 수면 시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코칭할 수 있다.
도 15는 코칭 처리부(154)에서 수행하는 그룹 코칭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첫 번째 주에 코치는 그룹 내의 사용자들과의 만남(메신저를 통한 비대면 만남)을 통해 그룹 내의 사용자에 대해 파악(1501)할 수 있다.
사용자와의 첫 만남 이후, 코치는 그룹 내의 사용자들이 수행해야 할 미션 및 플래너를 업로드(1502)할 수 있다. 코치는 식습관, 활동량, 수면, 운동을 포함하는 생활 습관과 관련한 미션을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코치는 그룹 내의 사용자들의 댓글을 분석하여 미션 수행 여부를 확인(1503)할 수 있다.
도 16은 코칭 처리부(154)에서 수행하는 상황 별 코칭으로써 일 실시 예로 체중 조절이 필요한 사용자의 코칭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에 대한 체중 조절 코칭을 위해 필요한 자료는 체중 조절의 중요성과, 남임과 체중 조절 관련 자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코치는 사용자의 나이, 키, 몸무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BMI를 확인(1601)할 수 있다. 과체중(23<BMI<25)인 사용자가 체중 감량을 원하지 않을 때는 강요하지 않지만 체중 감량의 중요성을 설명해 줄 수 있다. 비만(25>BMI)인 사용자가 체중 감량을 원하지 않을 때는 강한 권장을 할 수 있다. 난임과 비만의 관련된 부분을 설명하고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다만 거부감이 없는 톤과 매너가 필요하다. 저체중인 사용자가 감량을 원한다면 권장하지 않음을 명확하게 이야기 하고, 난임과 저체중의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다.
BMI 확인에 대응하여 코치는 회원에게 체중 감량 경험이 있는지 질문(1602)할 수 있다. 체중 감량 경험이 있다면 언제, 어떤 방법으로 진행했으며, 그때 어려움이 없었는지 체크할 수 있다.
코치는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하여 일상 생활 습관을 체크(1603)할 수 있다.
코치는 사용자의 식습관, 활동량, 수면, 운동을 포함하는 일상 생활 습관을 기반으로 미션을 설정(1604)할 수 있다. 코치는 식습관에 대하여 꼼꼼한 식사 기록과, 식사 간격을 체크할 수 있다. 무리한 식사 제한이 아닌 3끼 균일한 식사와 건강 식단을 이용하도록 권유할 수 있다. 저녁 식사 이후 취침 사이의 간격을 체크하고, 마지막 식사는 취침 전 6시간 이전에 끝내도록(최소 4시간 이전) 권유할 수 있다. 우유 섭취는 무지방(최소 저지방으로 권유)으로 권유하고, 두유 또한 무가당으로 권유할 수 있다. 최대한 간식의 섭취는 줄이고 필요하다면 건강 간식으로 대체할 것을 권유할 수 있다. 코치는 신체활동에 대하여 걷기 강도 증가를 위한 코칭을 수행할 수 있다. 코치는 운동에 대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권장하고 운동의 필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코치는 수면에 대하여 수면 코칭 가이드를 참조하고, 수면과 난임, 더불어 체중 감량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체중 감량 및 비만 예방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빈도, 강도, 지속시간, 종류 및 운동량, 점증적 방법을 포함하는 FITT-VP(frequency, intensity, time, type-volume, progression) 원칙하에 고려해 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프로세서(170)와 메모리(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70)는 도 3의 분류부(151), 플래너 처리부(152), 기록 관리부(153), 코칭 처리부(154), 질의응답 처리부(155) 및 예측부(156)가 수행하는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어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80)는 프로세서(170)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로세서(170)에서 수행되는 동작과 연관하여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80)는 프로세서(17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8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메모리(180)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SRAM, 또는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SSD, CF(compact flash) 카드, SD 카드, Micro-SD 카드, Mini-SD 카드, Xd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환경의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케어 서비스 제공 환경(2)은,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 정부(500), 환자를 포함하는 병원(600), 병원 및 제약사(700), 개인 사용자(800) 및 사용자 커뮤니티(9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유효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체계를 구축하여 데이터 기반 맞춤형 비즈니스를 수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맞춤형 케어 관리 서비스, 데이터 기반 마케팅 분석 서비스, 의료 데이터 기반 진단지원 서비스, 기업/정부의 사회적 책임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맞춤형 케어 관리 서비스는, 라이프 케어 관리, 전문가 상담(1:1, 그룹), 리포트 생성, 임신 준비 도움, 병원 예약, 사후 관리, 숙박, 웰니스, 관광, 식단 판매 등 토탈 컨시어지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기반 마케팅/분석 서비스는 처방, 병원방문 사용자 데이터 기반 기업 마케팅, 난임 치료제 개발을 위한 RWD 제공 서비스, 건기식 추천, 맞춤형 케어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 데이터 기반 진단지원 서비스는 난임 화자 케어를 위한 RWD 제공 서비스, 맞춤형 처방을 위한 진단 지원 서비스, 건강한 임신 관리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 시장 진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업/정보의 사회적 책임 서비스는 저출산 개선을 위한 지역사회/복지 서비스, 임신 전 건강관리 바우처 사업추친, 기업 임직원 대상 건강 관리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정부(500), 환자를 포함하는 병원(600), 병원 및 제약사(700), 개인 사용자(800)에게 서비스 이용료를 받고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정부(500)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지역사회 저출산 개선을 위한 정책 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정부(500)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병원 및 환자를 포함하는 병원(600)이 청구한 보험료에 따라 보험료를 지급할 수 있다.
환자를 포함하는 병원(600)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난임 및 산부인과 전문 병원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고, 데이터 기반의 병원 마케팅, 처방 진단 자원 시스템 등으로 확대하고,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병원 및 제약사(700)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를 가공 판매하고, 병원 연계 서비스를 수생할 수 있다. 또한 ESG 분야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가치 서비스를 전개할 수 있다.
개인 사용자(800)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맞춤 케어 코칭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고, 사용자 커뮤니티(900)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애 주기 여성 건강, 성생식 건강 서비스를 확장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비즈니스 모델 1단계로, 난임/스마트 임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임기 여성을 타겟으로 한 스마트 임신 서비스와, 난임 여성을 타겟으로 한 난임 전문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비즈니스 모델 2단계로, 여성/케어 성생식 질환을 확장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유소아기의 성조숙증, 질염 등, 청소년기의 생리불순 등, 가임기의 임신, 난임, 자궁근종 등, 중년기의 난소 질환, 폐경기 등, 기타 성생식(비뇨생식기, 성건강) 관리 등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비즈니스 모델 3단계로 인공지능 여성 건강 예측 솔루션으로서, 임신 및 난임 시술 성공 예측, 여성 질환 발생 예측, 약물 반응 예측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9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S2010단계에서,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한 사용자에 대하여, 임신 성공을 원하는 제1 사용자 또는 난임시술 성공을 원하는 제2 사용자로 분류하는 사용자 분류할 수 있다.
S2020단계에서,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사용자에게 임신 전 케어 서비스용 플래너로서의 제1 플래너를 제공하여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플래너에 대한 답변 정보로서의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하고, 제2 사용자에게 난임시술 중 케어 서비스용 플래너로서의 제2 플래너를 제공하여 제2 사용자로부터 제2 플래너에 대한 답변 정보로서의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사용자의 건강 이력 및 월경 이력의 기재를 요청하는 제1 행성차트와,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신체활동, 운동 및 수면 관련 정보의 기재를 요청하는 제1 라이프 케어 일기와, 제1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품 관련 정보의 기재를 요청하는 제1 복용 차트와, 임신을 준비하면서 제1 사용자가 숙지해야 할 전문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임신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플래너를 제공하고,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2 사용자의 건강 이력, 월경 이력, 난임 진단 및 시술 이력의 기재를 요청하는 제2 행성차트와,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신체활동, 운동 및 수면 관련 정보의 기재와, 난임시술로 인한 신체적 변화의 기재를 요청하는 제2 라이프 케어 일기와, 제2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품 관련 정보의 기재를 요청하는 제2 복용 차트와, 난임시술이 시작되면 월경 시작일을 기준으로 날짜 별로 난임 병원 진료 및 시술 관련 정보와 복용한 약 정보 및 신체적 변화의 기재를 요청하는 행성 케어 캘린더와, 난임 병원 진료 시 수행해야 할 미션 관련 정보 및 문의 사항의 기재를 요청하는 병원 일지와, 난임시술의 시기별로 처방되는 약품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약 관리 일지와, 난임시술 관련 비용과 처방약 관련 비용의 기재를 요청하는 난임시술 가계부와, 난임시술을 준비하면서 제2 사용자가 숙지해야 할 전문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난임시술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플래너를 제공하고, 제2 사용자로부터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S2030단계에서,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플래너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관리자로서의 코치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에 대응하는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수신하며,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코치에 의해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치와 사용자 사이에 정보 송수신을 위한 채팅이 가능하도록 메신저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 시에, 메신저를 통하여 사용자에 대한 식습관, 신체활동, 운동 및 수면을 포함하는 생활습관 정보를 수신하고, 코치에 의해 생성된 생활습관 파악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치로부터 생활습관의 파악 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개선해야 할 생활습관을 미션으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미션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고, 코치로부터 미션의 수행 결과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미션의 수행 전 생활습관과, 미션의 수행 후 생활습관을 비교한 생활습관 비교 결과를 생성하고, 생활습관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코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에 대한 건강 가이드 정보를 생활습관 비교 결과와 함께 사용자 맞춤형 리포트 정보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의학 관련 문의 사항을 수신함에 따라,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다른 관리자로서의 의료진을 호출하고,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플래너 답변 정보를 의료진에게 제공하며, 의료진으로부터 플래너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한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의료진과 사용자 사이에 정보 송수신을 위한 채팅이 가능하도록 메신저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임신 성공을 원하는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한 임신 전 케어 서비스용 제1 플래너에 대응하는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을 예측하도록 미리 훈련된 제1 심층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건강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심층신경망 모델은,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임신 성공 여부 및 여성 질환을 레이블로 하는 훈련데이터에 의해 지도학습 방식으로 훈련된 모델일 수 있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난임시술 성공을 원하는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한 난임시술 중 케어 서비스용 제2 플래너에 대응하는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을 예측하도록 미리 훈련된 제2 심층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의 건강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심층신경망 모델은,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난임시술 성공 여부 및 여성 질환을 레이블로 하는 훈련데이터에 의해 지도학습 방식으로 훈련된 모델일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200: 사용자 단말기
300: 관리자 단말기
400: 네트워크

Claims (13)

  1.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한 사용자에 대하여, 임신 성공을 원하는 제1 사용자 또는 난임시술 성공을 원하는 제2 사용자로 분류하는 사용자 분류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임신 전 케어 서비스용 플래너로서의 제1 플래너를 제공하여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플래너에 대한 답변 정보로서의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난임시술 중 케어 서비스용 플래너로서의 제2 플래너를 제공하여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플래너에 대한 답변 정보로서의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하는 플래너 제공 및 플래너 답변 정보 수집단계; 및
    상기 플래너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관리자로서의 코치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에 대응하는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수신하며,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코치에 의해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코칭 및 피드백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플래너 제공 및 답변 정보 수집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건강 이력 및 월경 이력의 기재를 요청하는 제1 행성차트와, 상기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신체활동, 운동 및 수면 관련 정보의 기재를 요청하는 제1 라이프 케어 일기와, 상기 제1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품 관련 정보의 기재를 요청하는 제1 복용 차트와, 임신을 준비하면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숙지해야 할 전문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임신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플래너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건강 이력, 월경 이력, 난임 진단 및 시술 이력의 기재를 요청하는 제2 행성차트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신체활동, 운동 및 수면 관련 정보의 기재와, 난임시술로 인한 신체적 변화의 기재를 요청하는 제2 라이프 케어 일기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품 관련 정보의 기재를 요청하는 제2 복용 차트와, 난임시술이 시작되면 월경 시작일을 기준으로 날짜 별로 난임 병원 진료 및 시술 관련 정보와 복용한 약 정보 및 신체적 변화의 기재를 요청하는 행성 케어 캘린더와, 난임 병원 진료 시 수행해야 할 미션 관련 정보 및 문의 사항의 기재를 요청하는 병원 일지와, 난임시술의 시기별로 처방되는 약품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약 관리 일지와, 난임시술 관련 비용과 처방약 관련 비용의 기재를 요청하는 난임시술 가계부와, 난임시술을 준비하면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숙지해야 할 전문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난임시술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플래너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코칭 및 피드백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코치와 상기 사용자 사이에 정보 송수신을 위한 채팅이 가능하도록 메신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코칭 및 피드백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메신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식습관, 신체활동, 운동 및 수면을 포함하는 생활습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코치에 의해 생성된 생활습관 파악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코치로부터 상기 생활습관의 파악 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개선해야 할 상기 생활습관을 미션으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미션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코치로부터 상기 미션의 수행 결과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미션의 수행 전 생활습관과, 상기 미션의 수행 후 생활습관을 비교한 생활습관 비교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생활습관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코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건강 가이드 정보를 상기 생활습관 비교 결과와 함께 사용자 맞춤형 리포트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의학 관련 문의 사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다른 관리자로서의 의료진을 호출하고, 상기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요청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플래너 답변 정보를 상기 의료진에게 제공하며, 상기 의료진으로부터 상기 플래너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한 상기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질의응답 단계를 더 포함하는,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임신 성공을 원하는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한 임신 전 케어 서비스용 제1 플래너에 대응하는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을 예측하도록 미리 훈련된 제1 심층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건강을 예측하는 단계; 및
    난임시술 성공을 원하는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한 난임시술 중 케어 서비스용 제2 플래너에 대응하는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을 예측하도록 미리 훈련된 제2 심층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건강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심층신경망 모델은,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임신 성공 여부 및 여성 질환을 레이블로 하는 훈련데이터에 의해 지도학습 방식으로 훈련된 모델이고,
    상기 제2 심층신경망 모델은,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난임시술 성공 여부 및 여성 질환을 레이블로 하는 훈련데이터에 의해 지도학습 방식으로 훈련된 모델인,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7.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 1 항 내지 제 6 항의 방법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8.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한 사용자에 대하여, 임신 성공을 원하는 제1 사용자 또는 난임시술 성공을 원하는 제2 사용자로 분류하고,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임신 전 케어 서비스용 플래너로서의 제1 플래너를 제공하여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플래너에 대한 답변 정보로서의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난임시술 중 케어 서비스용 플래너로서의 제2 플래너를 제공하여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플래너에 대한 답변 정보로서의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플래너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관리자로서의 코치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맞춤형 라이프 케어 코칭 정보에 대응하는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수신하며, 코칭 실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코치에 의해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1 사용자의 건강 이력 및 월경 이력의 기재를 요청하는 제1 행성차트와, 상기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신체활동, 운동 및 수면 관련 정보의 기재를 요청하는 제1 라이프 케어 일기와, 상기 제1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품 관련 정보의 기재를 요청하는 제1 복용 차트와, 임신을 준비하면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숙지해야 할 전문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임신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플래너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건강 이력, 월경 이력, 난임 진단 및 시술 이력의 기재를 요청하는 제2 행성차트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신체활동, 운동 및 수면 관련 정보의 기재와, 난임시술로 인한 신체적 변화의 기재를 요청하는 제2 라이프 케어 일기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품 관련 정보의 기재를 요청하는 제2 복용 차트와, 난임시술이 시작되면 월경 시작일을 기준으로 날짜 별로 난임 병원 진료 및 시술 관련 정보와 복용한 약 정보 및 신체적 변화의 기재를 요청하는 행성 케어 캘린더와, 난임 병원 진료 시 수행해야 할 미션 관련 정보 및 문의 사항의 기재를 요청하는 병원 일지와, 난임시술의 시기별로 처방되는 약품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약 관리 일지와, 난임시술 관련 비용과 처방약 관련 비용의 기재를 요청하는 난임시술 가계부와, 난임시술을 준비하면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숙지해야 할 전문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난임시술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플래너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제2 플래너 답변 정보를 수집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코치와 상기 사용자 사이에 정보 송수신을 위한 채팅이 가능하도록 메신저를 제공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 시에, 상기 메신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식습관, 신체활동, 운동 및 수면을 포함하는 생활습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코치에 의해 생성된 생활습관 파악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코치로부터 상기 생활습관의 파악 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개선해야 할 상기 생활습관을 미션으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미션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코치로부터 상기 미션의 수행 결과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미션의 수행 전 생활습관과, 상기 미션의 수행 후 생활습관을 비교한 생활습관 비교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생활습관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코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건강 가이드 정보를 상기 생활습관 비교 결과와 함께 사용자 맞춤형 리포트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로부터 의학 관련 문의 사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다른 관리자로서의 의료진을 호출하고, 상기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요청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플래너 답변 정보를 상기 의료진에게 제공하며, 상기 의료진으로부터 상기 플래너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한 상기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더 저장하는,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임신 성공을 원하는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한 임신 전 케어 서비스용 제1 플래너의 답변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을 예측하도록 미리 훈련된 제1 심층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건강을 예측하고,
    난임시술 성공을 원하는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한 난임시술 중 케어 서비스용 제2 플래너의 답변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을 예측하도록 미리 훈련된 제2 심층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건강을 예측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1 심층신경망 모델은,
    제1 플래너의 답변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임신 성공 여부 및 여성 질환을 레이블로 하는 훈련데이터에 의해 지도학습 방식으로 훈련된 모델이고,
    상기 제2 심층신경망 모델은,
    제2 플래너의 답변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난임시술 성공 여부 및 여성 질환을 레이블로 하는 훈련데이터에 의해 지도학습 방식으로 훈련된 모델인,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210125294A 2021-07-22 2021-09-17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14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96472 2021-07-22
KR1020210096472 2021-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769B1 true KR102414769B1 (ko) 2022-06-30
KR102414769B9 KR102414769B9 (ko) 2022-09-30

Family

ID=8221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294A KR102414769B1 (ko) 2021-07-22 2021-09-17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7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464A (ko) * 2008-07-16 2010-01-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만성질환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생활습관개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15258B1 (ko) 2012-05-10 2013-01-21 이한승 임산부용 검진 키트를 이용한 검진 시스템 및 검진방법
KR101592021B1 (ko) * 2014-07-31 2016-02-05 웰니스인텔리전스(주) 개인화된 임신, 출산, 산후조리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78844A (ko) * 2016-12-30 2018-07-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임산부용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KR20210011113A (ko) * 2019-07-22 2021-02-0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신중 자가간호증진을 위한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239163B1 (ko) * 2020-11-13 2021-04-12 황덕현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질병 유무를 예측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464A (ko) * 2008-07-16 2010-01-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만성질환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생활습관개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15258B1 (ko) 2012-05-10 2013-01-21 이한승 임산부용 검진 키트를 이용한 검진 시스템 및 검진방법
KR101592021B1 (ko) * 2014-07-31 2016-02-05 웰니스인텔리전스(주) 개인화된 임신, 출산, 산후조리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78844A (ko) * 2016-12-30 2018-07-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임산부용 건강관리를 운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KR20210011113A (ko) * 2019-07-22 2021-02-0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신중 자가간호증진을 위한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239163B1 (ko) * 2020-11-13 2021-04-12 황덕현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질병 유무를 예측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769B9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ugebauer et al.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the 6 months after miscarriage
Diette et al. Nocturnal asthma in children affects school attendance, school performance, and parents' work attendance
Patrick et al. A multicomponent program for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change in primary care: PACE+ for adolescents
Donaldson et al. Measuring progres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o have cochlear implants
Taveras et al. Short sleep duration in infancy and risk of childhood overweight
US200803067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Risk Factors by a Healthcare Individual at a Remote Location
US200902166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entivizing a Healthcare Individual Through Music Distribution
US20020128866A1 (en) Chronic pain patient care plan
US20210295992A1 (en) Fully automated medical solution (mydoctor)
Stone et al. Sleep problems in children with prenatal substance exposure: the Maternal Lifestyle study
Zimet et al. Psychosocial outcome of children evaluated for short stature
Brinker et al. Trends in adherence to a revised risk management program designed to decrease or eliminate isotretinoin-exposed pregnancies: evaluation of the accutane SMART program
US20170053088A1 (en) Interactive and analytical mobile system that provides a dynamic tool for therapies to prevent and change the progression of dementia-related diseases
Hernandez et al. National School Lunch Program participation and sex differences in body mass index trajectories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Jones et al. Eye-tracking–based measurement of social visual engagement compared with expert clinical diagnosis of autism
Dinerman et al. Outcomes of adolescents using levonorgestrel implants vs oral contraceptives or other contraceptive methods
CN115116569A (zh) 一种用于提供癌症数字化疾病管理的数字化系统
Robinson et al. Issues affecting young people with asthma through the transition period to adult care
US20220013235A1 (en) Fully autonomous medical solution (mydoctor)
Wee Physical activity counseling in primary care: the challenge of effecting behavioral change
Steenland et al. State public insurance coverage policies and postpartum care among immigrants
US20030097185A1 (en) Chronic pain patient medical resources forecaster
KR102414769B1 (ko)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2201654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participant health regimen
Klinnert et al. Outcome of a randomized multifaceted intervention with low-income families of wheezing inf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