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549A -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549A
KR20180078549A KR1020160183400A KR20160183400A KR20180078549A KR 20180078549 A KR20180078549 A KR 20180078549A KR 1020160183400 A KR1020160183400 A KR 1020160183400A KR 20160183400 A KR20160183400 A KR 20160183400A KR 20180078549 A KR20180078549 A KR 20180078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display image
data
voice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1050B1 (ko
Inventor
안동건
신웅섭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0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서버 사이의 데이터 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초기 표시 화상과, 상기 초기 표시 화상의 각 메뉴에 대응되는 코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호를 통해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상기 초기 표시 화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뉴 중 특정 메뉴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메뉴에 대응되는 코드를 음성 호를 통해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가 상기 특정 메뉴를 위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DATA SERVER AND APPLICATION PROGRAM FOR VISUALIZED AUTOMATED-RESPONSE SERVICE}
본 발명은 음성을 이용한 안내와 함께 화상 등 시각적 정보를 이용한 안내를 함께 제공하는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와 시각적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은행이나 증권사, 통신사 등과 같이 곳곳에 지점이 분포되어 운영되는 사업체에서는, 업무와 관련된 고객의 전화에 응대하기 위하여 콜센터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콜센터 시스템은 자동응답 서비스(Automated-Response Service, ARS)를 도입함으로써, 상담원이 직접 고객의 모든 전화에 일일이 응대할 경우 발생하는 비용 및 수고를 절감해 왔다.
최근에는 비교적 많은 정보를 표현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큰 디스플레이를 갖춘 스마트폰(smartphone)이 대중화됨에 따라, 기존의 자동응답 서비스에서 정보 전달 수단이 되는 음성을 보완하기 위해, 음성 데이터와 함께 화상과 같은 시각적 데이터를 함께 제공하는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기 위해서는, 음성 데이터와 그에 대응되는 시각적 데이터를 서로 동기화시켜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기화를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에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는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와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가 서로 통신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재 구축되어 있는 종래의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는 대부분 구형 장비로서, 데이터 서버와의 실시간 통신이 어렵다. 따라서 IP 기반의 신형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를 새로 도입하거나 별도의 장치를 부가함으로써 데이터 서버와의 통신을 구현해야 하는데,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1786호 (2015.11.25.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한된 성능을 갖는 종래의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음성 데이터와 시각적 데이터 사이의 동기화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서버 사이의 데이터 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초기 표시 화상과, 상기 초기 표시 화상의 각 메뉴에 대응되는 코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호를 통해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상기 초기 표시 화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뉴 중 특정 메뉴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메뉴에 대응되는 코드를 음성 호를 통해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가 상기 특정 메뉴를 위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호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초기 표시 화상을, 상기 데이터 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화상 전송부 및 상기 초기 표시 화상이 전송될 때에, 상기 초기 표시 화상의 각 메뉴에 대응되는 코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코드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는, 상기 코드 중 특정 코드가 상기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에 입력될 경우, 상기 특정 코드에 대응되는 메뉴를 위한 음성 데이터가 상기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에 시각적 데이터를 제공하면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각 메뉴에 대응되는 DTMF 등의 코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한된 성능을 갖는 기존의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를 교체 혹은 개량함에 따른 비용 및 노력을 절감하면서도, 사용자에게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 데이터 서버(200),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 및 전화망 관리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의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및 이하에서 설명할 각 구성 요소들의 세부 구성, 각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은 자신의 전화번호 외의 타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음성 통화 혹은 데이터 통화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개인용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일반적인 음성 통화를 위한 기능 외에도,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화상 표시 기능 및 데이터 송수신 기능 등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 내에 설치된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외부로부터 시각적 데이터를 전달받은 후, 전달받은 시각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표시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각적 데이터의 수신 및 출력은 상기 시각적 데이터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의 재생과 동기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어떻게 구현되든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smartphone)을 비롯하여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이 발신한 데이터 호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호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표시 화상 등의 시각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적 데이터의 전송은 음성 데이터의 전송과 동기화되어 이루어져야 하는 바, 데이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 혹은 후술할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현재 어떤 음성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되어 재생될 예정인지를 알 수 있다. 데이터 서버(200)는 PC(Personal Computer) 혹은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등의 컴퓨터(Computer)로 구현될 수 있다.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이 발신한 음성 호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 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요청한 바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를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는 음성만으로 자동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던 시기부터 사용되어 온 장비인 경우가 많아, 일반적으로 데이터 서버(200)에 비해 상당히 낮은 성능을 갖는다. 따라서, 데이터 서버(200)와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 사이에서는 최소한의 데이터 통신만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화망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속한 전화망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100)이 데이터 서버(200)와 데이터 호를 연결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전화망 관리 서버(400)는 호의 발신 측인 사용자 단말(100)을 관리하므로, 호의 수신 측인 상기 데이터 서버(200) 및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와는 그 운영 주체가 다른 것이 일반적이겠으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화망 관리 서버(400)는 데이터 서버(200)와 유사하게 PC 혹은 워크스테이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부(110), 음성 처리부(120), 화상 처리부(130), 제어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로 음성 호를 발신하거나, 데이터 서버(200)로 데이터 호를 발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과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 시스템(10)의 타 구성 요소 간의 데이터 송신 혹은 수신은 모두 통신부(11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예컨대 유선 혹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음성 처리부(120)는 음성 호를 통해 통신부(110)로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즉, 음성 처리부(120)는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바, 스피커(speaker), 헤드폰(headphone)등의 음향 출력 장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화상 처리부(130)는 데이터 호를 통해 통신부(110)로 수신된 표시 화상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부(130)는 표시 화상 내에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된 하나 이상의 메뉴 중 사용자가 어떤 것을 선택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처리부(130)는 최근 널리 이용되는 스마트폰 등에 적용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현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화상 표시 기능 및 터치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식별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의 타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화상 처리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 혹은 선택한 전화번호로 음성 호를 발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혹은, 제어부(140)는 데이터 호를 통해 통신부(110)로 전송된 표시 화상의 각 메뉴에 대응되는 DTMF 코드 정보 등 저장이 필요한 정보를 저장부(150)가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타 구성 요소들의 구체적인 동작은 실제로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에게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필요 정보의 예로는 음성 호 연결을 위한 전화번호, 데이터 호 연결을 위한 데이터 서버(200)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데이터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표시 화상에 포함된 각 메뉴에 대응되는 DTMF 코드 정보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단말(100)이 필요로 하는 일시적 혹은 영구적 정보라면 어떤 것이든 저장부(150)의 저장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구체적으로 컴퓨터 판독 기록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컴퓨터 판독 기록 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데이터 서버(200)는 통신부(210), 화상 전송부(220), 코드 전송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발신된 데이터 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210)는 상기 데이터 호를 이용하여 표시 화상 및 해당 표시 화상에 포함된 각 메뉴에 대응되는 DTMF 코드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와도 데이터 호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210)는 사용자가 현재 사용자 단말(100)에 출력된 표시 화상에서 어떤 메뉴를 선택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예컨대 유선 혹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화상 전송부(220)는 사용자 단말(100)에 출력될 표시 화상을 상기 데이터 호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 통신부(210)에 의한 상기 데이터 호의 연결이 완료되면, 기 정해진 초기 표시 화상을 표시 화상으로서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초기 표시 화상을 비롯한 표시 화상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 때, 통신부(210)는 초기 표시 화상이 사용자 단말(100)에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메뉴 중 특정 메뉴를 선택했음을 사용자 단말(100) 혹은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그러면 화상 전송부(220)는 상기 선택된 특정 메뉴에 대응되는 화상, 즉 하위 표시 화상을 표시 화상으로서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전송부(220)는 후술할 코드 전송부(230)와 함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코드 전송부(230)는 상기 화상 전송부(220)에 의해 표시 화상이 전송될 때에, 전송되는 표시 화상에 포함된 각 메뉴에 대응되는 코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호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코드"라 함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음성 호를 통해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에 입력될 경우 입력된 코드에 대응되는 메뉴를 위한 음성 데이터가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음성 호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되게 하는 코드로서, 예컨대 DTMF 코드일 수 있다. 즉, 코드 전송부(230)가 전송하는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현재 전송되는 표시 화상에 포함된 각 메뉴들이 어떤 코드에 대응되는지에 대한 대응 관계일 수 있다.
저장부(240)는 데이터 서버(200)에게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필요 정보의 예로는 초기 표시 화상 및 각 메뉴에 대응되는 하위 표시 화상과 같은 표시 화상, 표시 화상에 포함된 각 메뉴에 대응되는 코드에 관한 정보, 현재 사용자 단말(100)에 출력되어 있는 표시 화상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정보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 서버(200)이 필요로 하는 일시적 혹은 영구적 정보라면 어떤 것이든 저장부(240)의 저장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40)는 전술한 사용자 단말(100)의 저장부(160)와 마찬가지로 컴퓨터 판독 기록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컴퓨터 판독 기록 매체의 예는 상기 저장부(16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방법은 전술한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 시스템(10)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특히 사용자 단말(100)에서의 동작은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 도 4의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4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의 방법의 각 단계는 도 4에 제시된 바와 그 순서를 달리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사용자 단말(100)은 음성 자동응답 서버(300)로 음성 호를 발신할 수 있다(S101). 음성 호 연결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100)과 음성 자동응답 서버(300) 사이에서는 음성 호를 통한 음성 통화(음성 데이터 교환)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함께, 사용자 단말(100)은 전화망 관리 서버(400)로 데이터 호를 발신하여 전화망 관리 서버(400)와의 사이에 데이터 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S102). 그러면 전화망 관리 서버(400)는 상기 데이터 호를 통해 데이터 서버(200)의 URL과 같은 데이터 서버(200)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S103). 전화망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음성 호를 발신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데이터 서버(200)의 URL을 검색하는 등의 동작을 통해 상기 S103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S103 단계를 통해 획득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버(200)와의 사이에 데이터 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S104). 상기 데이터 호 연결이 완료되면, 데이터 서버(200)는 초기 표시 화상으로서 설정된 화상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초기 표시 화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메뉴 각각에 대응되는 코드(여기에서는 DTMF 코드)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S105). 한편,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는 음성 호의 연결과 함께 상기 초기 표시 화상을 위한 음성 데이터로 설정된 초기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된 초기 표시 화상과 초기 음성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될 수 있다. 상기 S101 내지 S106의 단계는 실질적으로는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게 될 것이므로, 사용자는 초기 표시 화상을 보면서 이에 대응되는 초기 음성 데이터를 들을 수 있다.
초기 표시 화상 및 초기 음성 데이터의 내용을 지득한 사용자는, 초기 표시 화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메뉴 중 특정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S107).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를 통해 메뉴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표시 화상 내에 시각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각 메뉴를 위한 아이콘 등의 시각적 식별자를 터치하는 방법, 혹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 패드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에 대응되는 키를 누르는(혹은 터치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메뉴 선택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단말(100)은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DTMF 등의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S108).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코드가 어떤 것인지는 상기 S105 단계에서 전송된, 초기 표시 화상의 메뉴 각각에 대응되는 코드에 관한 정보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코드, 예컨대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DTMF 톤을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가 어떤 메뉴를 선택했는지를 데이터 서버(200)에 통지할 수 있다. 이러한 통지는, 예컨대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가 단순히 어떠한 DTMF 톤을 수신하였는지에 관한 것만을 데이터 서버(200)에 알리는 것으로 족하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 화상을 전송하는 데이터 서버(200)의 입장에서는 현재 사용자 단말(100)에 출력되어 있는 표시 화상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고, 해당 표시 화상의 메뉴 각각에 대응되는 코드에 관한 정보 역시 갖고 있으므로,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의 상기한 바와 같은 통지만으로도 위와 같은 해당 표시 화상 내에서 어떠한 메뉴가 선택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상기 통지를 받은 데이터 서버(200)는, 상기 선택된 메뉴를 위한 하위 표시 화상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S110). 데이터 서버(200)는, 상기 하위 표시 화상 역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하위 메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하위 표시 화상의 전송과 함께 상기 하위 메뉴 각각에 대응되는 코드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지를 수행한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 역시 통지와 함께 선택된 메뉴를 위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이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S111). 한편, 하위 표시 화상에 포함된 하위 메뉴에 대응되는 표시 화상 역시 하위 메뉴를 가질 경우, S107 내지 S111의 단계가 해당 표시 화상에 대해서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S107 내지 S111의 단계 역시 S101 내지 S106의 단계의 경우와 유사하게 실질적으로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게 될 것이므로, 사용자는 선택된 메뉴를 위한 표시 화상 및 음성 데이터를 함께 접할 수 있다. 즉, 표시 화상과 음성 데이터 간의 동기화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동기화를 위해 성능이 떨어지는 구형의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어떠한 DTMF 톤을 전송하였는지를 데이터 서버(200)에 통지하는 것 외에는, 시각적 데이터 없이 음성만으로 안내가 이루어지는 기존의 음성 자동응답에서 수행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면 된다. 이에 따라, 제한된 성능을 갖는 기존의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를 교체 혹은 개량함에 따른 비용 및 노력을 절감하면서도, 사용자에게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가 제공되는 전화번호(예컨대, 통신사의 고객센터 등)로 전화를 걸 경우, 상기 전화번호와 연동된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제공된 초기 음성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재생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역시 상기 전화번호와 연동된 데이터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상기 초기 음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초기 표시 화상이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 장치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전화 연결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 장치에서는 도 5의 (A)와 같은 화상이 초기 표시 화상으로서 표시되고, 이와 함께 상기 초기 표시 화상에 대응되는 초기 음성 데이터인 "보이는 ARS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화면을 터치해주세요"라는 음성 메시지가 재생된다. 도 5의 (A)와 같은 초기 표시 화상에 의하면, 화면을 터치할 시에 다음 화상으로 넘어가게 되므로, 초기 표시 화상은 다음 화상으로 넘어가기 위한 한 개의 메뉴만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초기 표시 화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면, 다음 표시 화상으로 넘어가기 위한 메뉴가 선택된 것이므로,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DTMF 톤이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되고,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는 해당 DTMF 톤이 전송되었음을 데이터 서버(200)로 통지하는 한편, 다음 표시 화상, 즉 하위 표시 화상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200)는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의 통지에 기초하여 하위 표시 화상 및 하위 표시 화상이 포함하는 메뉴 각각에 대응되는 코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도 5의 (B)와 같이 초기 표시 화상의 하위 표시 화상이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됨과 함께, 상기 표시된 하위 표시 화상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인 "사용요금/소액결제는 1번, 부가서비스 신청/해지는 2번, 휴대폰 정지/분실/습득은 3번, T 로밍 서비스는 4번, 멤버십 혜택안내는 5번을 눌러주세요"라는 음성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재생될 수 있다. 즉, 도 5의 (B)에 나타난 하위 표시 화상은 초기 표시 화상과 달리 복수 개의 하위 메뉴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화면에서 5번 메뉴에 해당하는 영역을 터치하면, 5번 메뉴에 대응되는 DTMF 톤이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초기 표시 화상에서 그 다음의 하위 표시 화상으로 전환될 때와 같은 과정을 거쳐, 5번 메뉴를 위한 표시 화상이 상기 다음의 하위 표시 화상보다 더 하위 표시 화상으로서 도 5의 (C)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5번 메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재생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상담사 연결"이라는 하위 메뉴를 선택하여, 선택된 "상담사 연결"이라는 메뉴에 대응되는 표시 화상 및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방법 역시 도 4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전술한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 시스템(10)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사용자 단말(100)에서의 동작은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의 S201 내지 S211의 각 단계는 원칙적으로 도 4의 실시예의 S101 내지 S111의 각 단계에 대응되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도 4의 실시예의 S109 단계에 의하면,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가 사용자가 어떤 메뉴를 선택했는지를 데이터 서버(200)에 통지할 수 있음에 비해, 도 6의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단계인 S209 단계에 의하면, 사용자가 어떤 메뉴를 선택했는지를 사용자 단말(100)이 데이터 서버(200)에 전송함으로써, 선택된 메뉴를 위한 표시 화상의 전송을 사용자 단말(100)이 직접 데이터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어느 실시예를 취하든, 기존의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300)로 사용자에게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한된 성능을 갖는 기존의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를 교체 혹은 개량함에 따른 비용 및 노력을 절감하면서도, 사용자에게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10: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
110: 통신부
120: 음성 처리부
130: 화상 처리부
140: 제어부
150: 저장부
200: 데이터 서버
210: 통신부
220: 화상 전송부
230: 코드 전송부
240: 저장부
300: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
400: 전화망 관리 서버

Claims (7)

  1.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서버 사이의 데이터 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초기 표시 화상과, 상기 초기 표시 화상의 각 메뉴에 대응되는 코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호를 통해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상기 초기 표시 화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뉴 중 특정 메뉴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특정 메뉴에 대응되는 코드를 음성 호를 통해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가 상기 특정 메뉴를 위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특정 메뉴에 대응되는 하위 표시 화상을 상기 데이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메뉴에 대응되는 하위 표시 화상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뉴에 대응되는 코드를 상기 음성 자동응답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메뉴에 대응되는 하위 표시 화상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4. 제 2 항 및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하위 표시 화상에 포함된 메뉴 각각에 대응되는 코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하위 표시 화상과 함께 수신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5.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서버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호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초기 표시 화상을, 상기 데이터 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화상 전송부;
    상기 초기 표시 화상이 전송될 때에, 상기 초기 표시 화상의 각 메뉴에 대응되는 코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코드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는, 상기 코드 중 특정 코드가 상기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에 입력될 경우, 상기 특정 코드에 대응되는 메뉴를 위한 음성 데이터가 상기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게 하는 것인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뉴 중 특정 메뉴를 선택했음을 상기 통신부가 상기 음성 자동응답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달받을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메뉴에 대응되는 하위 표시 화상과 상기 하위 표시 화상에 포함된 메뉴 각각에 대응되는 코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서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뉴 중 특정 메뉴를 선택했음을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을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메뉴에 대응되는 하위 표시 화상과 상기 하위 표시 화상에 포함된 메뉴 각각에 대응되는 코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서버.
KR1020160183400A 2016-12-30 2016-12-30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KR101911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400A KR101911050B1 (ko) 2016-12-30 2016-12-30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400A KR101911050B1 (ko) 2016-12-30 2016-12-30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549A true KR20180078549A (ko) 2018-07-10
KR101911050B1 KR101911050B1 (ko) 2018-10-23

Family

ID=62916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400A KR101911050B1 (ko) 2016-12-30 2016-12-30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0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224B1 (ko) * 2020-10-12 2021-08-06 마이이즈(주) 보이는 ars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및 그 서버
WO2022114637A1 (ko) * 2020-11-26 2022-06-02 주식회사 아이큐브넷 자동 응답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장치 및 모바일 장치의 자동 응답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625B1 (ko) * 2021-03-19 2021-11-17 주식회사 오퍼스케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단말기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처리 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440B1 (ko) * 2005-08-24 2006-03-30 주식회사 어니언텍 대화형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음성정보 제공장치에서의음성정보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00053068A (ko) * 2008-11-12 2010-05-20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터치 방식의 영상 자동응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18877A (ko) * 2010-08-24 2012-03-06 (주) 콜게이트 음성-화면 ars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과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30118346A (ko) * 2010-11-20 2013-10-29 밀린드 미탈 데이터 채널 증강된 자동 교환 음성 응답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17847A (ko) * 2012-08-01 2014-02-12 김용진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40114625A (ko) * 2013-03-19 2014-09-29 블루컴즈 주식회사 통화 서비스 수행시 콜센터 메뉴에 연동하여 콜센터 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콜센터 메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콜센터 메뉴 정보 제공 방법
KR20150006647A (ko) * 2013-07-09 2015-01-19 (주) 콜게이트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50032205A (ko) * 2013-09-17 2015-03-25 (주)티아이스퀘어 시각적 ars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21689A (ko) * 2015-10-07 2015-10-2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가상 콜센터 운영 방법
KR20160094205A (ko) * 2015-01-30 2016-08-09 (주) 티오티테크놀러지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440B1 (ko) * 2005-08-24 2006-03-30 주식회사 어니언텍 대화형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음성정보 제공장치에서의음성정보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00053068A (ko) * 2008-11-12 2010-05-20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터치 방식의 영상 자동응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18877A (ko) * 2010-08-24 2012-03-06 (주) 콜게이트 음성-화면 ars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과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30118346A (ko) * 2010-11-20 2013-10-29 밀린드 미탈 데이터 채널 증강된 자동 교환 음성 응답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17847A (ko) * 2012-08-01 2014-02-12 김용진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40114625A (ko) * 2013-03-19 2014-09-29 블루컴즈 주식회사 통화 서비스 수행시 콜센터 메뉴에 연동하여 콜센터 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콜센터 메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콜센터 메뉴 정보 제공 방법
KR20150006647A (ko) * 2013-07-09 2015-01-19 (주) 콜게이트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50032205A (ko) * 2013-09-17 2015-03-25 (주)티아이스퀘어 시각적 ars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4205A (ko) * 2015-01-30 2016-08-09 (주) 티오티테크놀러지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장치
KR20150121689A (ko) * 2015-10-07 2015-10-2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가상 콜센터 운영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224B1 (ko) * 2020-10-12 2021-08-06 마이이즈(주) 보이는 ars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및 그 서버
WO2022114637A1 (ko) * 2020-11-26 2022-06-02 주식회사 아이큐브넷 자동 응답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장치 및 모바일 장치의 자동 응답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73140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아이큐브온 자동 응답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장치 및 모바일 장치의 자동 응답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050B1 (ko)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78500A1 (en) Communication operating method, portable device including dual sim card and, network system supporting the same
US10320980B2 (en) User device detection and integration for an IVR system
US201200099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uming media
CN105264923A (zh) 用于确定推送消息的可靠性的消息传送系统
CN102932760A (zh) 一种建立通话的方法、装置及设备
KR101911050B1 (ko) 시각적 자동응답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CN103595859A (zh) 用于处理呼叫接收的方法及其电子设备
CN105912219A (zh) 通知消息显示方法和终端设备
CN103945073A (zh) 用于提供呼叫拒绝功能的方法和电子装置
US9729722B2 (en) Conference call alerts
KR20140115642A (ko) 전자 장치에서 컨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KR20120136586A (ko) 무선 단말기 간의 연동 가능 애플리케이션 확인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203152B1 (ko)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N103634484A (zh) 终端切换方法、装置及系统
US201301173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210380947U (zh) 一种分布式通话装置
KR2011010850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73324B1 (ko)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3051762A (zh) 通话底座以及移动终端与通话底座同步通话记录的方法
US9008632B1 (en) Mobile station with interactive multimedia response and call intercept mode
JP2010525652A (ja) ホットキーを利用して多様な通話サービスを提供する移動通信端末器および通話サービス提供方法
KR20170029975A (ko) 단말기 기반의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방법
CN104539797B (zh) 具有虚拟通话功能的手机、服务器、系统及实现方法
KR20060117672A (ko) 유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540614B1 (ko) 모바일 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모바일 인터넷 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