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535A - Assembling type pier - Google Patents

Assembling type p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535A
KR20180078535A KR1020160183353A KR20160183353A KR20180078535A KR 20180078535 A KR20180078535 A KR 20180078535A KR 1020160183353 A KR1020160183353 A KR 1020160183353A KR 20160183353 A KR20160183353 A KR 20160183353A KR 20180078535 A KR20180078535 A KR 20180078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pring receiving
receiving groove
steel bar
reinforcing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3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3702B1 (en
Inventor
이성
Original Assignee
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 filed Critical 이성
Priority to KR102016018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702B1/en
Publication of KR2018007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5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7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pier to maintain stability through application of seismic design even if earthquake occu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pier comprises: a base structure manufactured in a precast type; a column structure manufactured in the precast method to be assembled and connected on the base structure at a site; a coping structure manufactured in the precast method to be assembled and connected to the column structure at the site; a connection fixing rebar; and a seismic spring fixed by a filler.

Description

조립식 교각{ASSEMBLING TYPE PIER}ASSEMBLING TYPE PIER}

본 개시내용은 교량의 하부구조에 해당하는 것으로 교량 거더(상판)를 지지하고 교량 거더의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교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bridge that supports a bridge girder (upper plate) corresponding to a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transmits the load of the bridge girder to the ground.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description set forth in this identification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prior art as described in this identification section.

일반적으로 교각은 교량의 하부구조에 해당하는 것으로 교량 거더를 지지하고 교량 거더의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a bridge pier corresponds to the substructure of a bridge and supports the bridge girder and transmits the load of the bridge girder to the ground.

이러한 교각은 통상 현장 타설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교각의 시공을 위해서는 현장에서 기초 터파기 작업 이후에, 기초 철근 및 거푸집을 배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 일정기간 동안의 양생을 거쳐 기초부를 형성한다. 또한 기초부가 양생된 상태에서 그 상부로 철근과 거푸집을 형성해 가면서, 교각을 양생하고, 교각 상부 즉 교량 거더를 받치는 코핑부는 동바리를 받쳐 놓고 거푸집을 배치한 상태에서 1차 또는 2차 공정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각을 완성한다. These piers are usually made of concrete structures by in situ casting. In order to construct the piers, concrete is placed in the condition that the foundation reinforcing bars and the formwork are arranged after the foundation trenching work in the site, and after curing for a certain period, the foundation is formed. In addition, the cement part which cures the bridge pier while forming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formwork at the upper part with the base part cured, and the coping part which supports the bridge pier, that is, the bridge girder, The pier is completed by pouring.

이러한 현장타설 방식의 교량의 경우에는 거푸집의 설치 및 시공 후 거푸집의 탈형작업 등에 많은 공사기간 및 경비가 소요된다. 또한 교각은 시공되는 위치에 따라 주변에 교통 혼잡을 초래하거나 작업환경이 열악하여 시공관리가 어렵고 부실시공의 우려가 상존한다.In the case of such bridges, it takes a lot of construction period and expenses to install the formwork and demold the formwork after construction. Also,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the bridge is constructed, traffic congestion may occur in the vicinity or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may be difficult due to poor working environment, and there is a concern about construction of the bridge.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를 위해 최근에는 현장에서 지형 바닥으로부터 기초 터파기를 포함하는 기초부 시공작업을 수행한 이후에 교각을 미리 단위구조물로 제작하여 조립하는 방식의 조립식 교각이 각광을 받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prefabricated pier which is constructed by assembling a pier in advance as a unit structure has been spotlighted after carrying out a foundation construction work including a foundation treader from a terrain floor in the field.

특히 조립식 교각은 프리캐스트 타입으로 제작된 단위구조물이 사전에 공장에서 제작되므로 인력 및 품질 관리가 유리하고, 특히, 단위구조물의 프리캐스트 작업이 현장의 기초부 공사와 병행하여 실시가능하므로, 현장타설 방식에 비해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prefabricated bridge structure is constructed in pre-factory, the prefabricated work of the unit structure can be carried out in parallel with the foundation work of the site, The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이러한 조립식 교각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1994-0021837호(1994.10.19)에는 구형, 원형, 타원형 단면을 갖고 기둥을 높이에 따라 여러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로 분할 제작된 상부세그먼트의 하단부에는 凸형태로 하고 이에 대응하는 하부세그먼트의 상단부는 凹형태로 하면 상부세그먼트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로 부터의 압축 또는 인장력, 축력, 전단력을 5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전달시키는 전단력를 凸凹부 내부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교각 및 기둥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 prefabricated bridge pier,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4-0021837 (Oct. 19, 1994) has a spherical, circular, and elliptical cross-section, and the lower segment of the upper segment formed by dividing the column into several pre- And the upper end of the corresponding lower segment has a concave shape, a shear force that transmits the compression, tensile force, axial force, and shearing force from the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upper segment at five different positions is formed in the convex and concave portion And a pillar structure is disclosed.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8-0057108호(2008.06.24. 공개)에는 소정의 상부 구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소정 높이로 설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분절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분절부에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돌출부 및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포켓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강제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키 오목부와, 상기 키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는 키 볼록부가 형성된 조립식 교각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8-0057108 (published on Jun. 24, 2008) discloses a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a predetermined upper structure, a plurality of segment portions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upport portion can stand at a predetermined height, A protruding portion and a pocket portion formed to be able to engage with each other in the segment portion,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pocket portion are provided with a key concave portion which is engaged in a forcible fitting manner so as to be mutually engaged with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key convex portion formed on the key convex portion.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00-0022191호(2000.08.04. 공개)에는 다수개의 앵커볼트가 돌출된 철근 콘크리트 기초 토대를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앵커볼트에 각각의 연결구가 고정되며, 그 위에는 내측에 다수개의 파이프를 수직으로 삽치한 교각용 콘크리트 블럭을 다단으로 쌓은 기둥이 형성되며, 적층된 다단의 기둥 맨 위에도 역시 내측에 다수개의 파이프를 수직으로 삽치한 교각 상부용 콘크리트 블럭이 얹어지며, 상기 교각 상부용 콘크리트 블럭의 내측에 삽치한 수직파이프 및 교각을 구성하는 다단의 콘크리트 블럭 내측의 수직파이프에는 강봉이 관통 삽입되어지되, 상기 강봉 하단부의 나사산은 상기 앵커볼트에 체결한 연결구에 체결 결합되고, 강봉의 상단부 나사산에는 플레이트 및 너트가 체결되어 기초 토대 및 그 위에 적층된 다단의 교각용 콘크리트 블럭 및 교각 상부용 콘크리트 블럭이 일체로 연결 고정되며, 상기 기초 토대, 교각용 콘크리트 블럭, 교각 상부용 콘크리트 블럭 사이의 접합부위에는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수지 등의 그라우트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각이 개시되어 있다.Also, Korean Utility Model Laid-Open No. 20-2000-0022191 discloses a reinforced concrete foundation foundation having a plurality of anchor bolts projecting thereon, and each of the connection anchors is fixed to the plurality of anchor bolts, A concrete block for piers with vertically inserted multiple pipes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n the top of the stacked piers, a concrete block for piers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A steel bar is inserted into a vertical pipe inside a concrete block in a multi-stage concrete block constituting a pier and a vertical pipe driven inside the pier upper concrete block, and the thread of the lower end of the steel bar is fastened to the connecting hole fastened to the anchor bolt And a plate and a nut are fastened to the upper end thread of the steel bar to form a base foundation and a multi- A concrete block for a bridge pier and a concrete block for an upper part of a pier are integrally connected and fixed and a grout layer such as a mortar or an epoxy resin is formed on a joint between the foundation foundation, the pier concrete block and the pier concrete upper concrete block. A bridge pier is disclosed.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8-0057514호(2008.06.25. 공개)1에는 상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홈에 설치된 상부 돌기와, 상기 몸체의 바닥에 형성된 하부 돌기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precast segment)들이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돌기는 상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하부 돌기와 끼움 결합되는 교각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Also,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057514 (Jun. 25, 2008) 1 includes a body formed with a groove for filling concret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 upper projection provided in the groove, and a lower projection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dy And the upper protrusions are fitted to the lower protrusions of the precast segments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rotrusions.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교각은, 단순히 미리 제작된 교각의 단위구조물들을 신속용이하게 조립연결하기 위한 목적에만 기초함에 따라 구조적인 면에서 지진 등에는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bridge pier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vulnerable to an earthquake or the like in terms of structure, because it is based solely on the purpose of simply assembling and connecting prefabricated pier unit structures quickly and easily.

미리 제작된 교각의 단위구조물들이 신속용이하게 조립연결됨과 동시에 내진 설계의 반영을 통해 지진 등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안전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교각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bridge pier which enables quick and easy assembly and connection of prefabricated bridge pier unit structures while maintaining safety in spite of occurrence of earthquake or the like through reflection of seismic design.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Further,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고 하단에는 기부가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홈 형상의 제 1 콘크리트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콘크리트포켓 둘레에는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 1 보강철근이 배열되고 상단 둘레에는 상기 제 1 보강철근의 상단이 돌출되는 기초구조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상기 기초구조물 상에 조립연결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제 1 콘크리트포켓 내로 삽입되는 제 1 조립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조립돌기 둘레에는 제 1 상부스프링수용홈이 상기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홈 형상의 제 2 콘크리트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콘크리트포켓 둘레에는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 2 보강철근이 배열되고 하단 및 상단 둘레에는 상기 제 2 보강철근의 하단 및 상단이 돌출되는 기둥구조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상기 기둥구조물 상에 조립연결되고상기 하부면에는 상기 제 2 콘크리트포켓 내로 삽입되는 제 2 조립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조립돌기 둘레에는 제 2 상부스프링수용홈이 상기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단에는 거더 지지를 위한 코핑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 3 보강철근이 배열되고 하단 둘레에는 상기 제 3 보강철근의 하단이 돌출되는 코핑구조물; 상기 제 1 보강철근의 상단과 상기 제 2 보강철근의 하단, 상기 제 2 보강철근의 상단과 상기 제 3 보강철근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고정철근; 및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과 상기 제 1 상부스프링수용홈,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과 상기 제 2 상부스프링수용홈 내에 각각 수용되고 충전재에 의해 고정되는 내진스프링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re-cast method is used, a base is formed at the lower end, a first concrete pocket is formed in a groove shape on an upper surface, and a first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is formed around the first concrete pocket Wherein a first reinforcing steel bar is arranged in the inside and an upper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steel bar is protruded around the upper end; And a first assembly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crete pocket and a first upper spring receiving recess is formed around the first assembly protrusion, And a second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is formed around the second concrete pocket. A second reinforcing steel bar is arranged inside the second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And a columnar structure having a lower end and an upper end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And a second assembly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ssembly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crete pocket, and a second upper spring receiving groove is formed around the first assembly protrusion, A coping structu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and having a coping portion for supporting a girder at an upper end thereof, a third reinforcing steel bar arranged inside and a lower end of the third reinforcing steel bar projecting around a lower end; A connecting fixed reinforcing bar connecting an upper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steel bar, a lower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steel bar, an upper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steel bar and a lower end of the third reinforcing steel bar; And an earthquake-proof spring that is received in the first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and the first upper spring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upper spring receiving groove, .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고정철근이 노출되는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단 둘레, 상기 기둥구조물의 하단 둘레와 상단 둘레, 그리고 상기 코핑구조물의 하단 둘레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입되는 측면합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정철근은 상기 측면함입부의 현장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매립고정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ateral perimeter of the column structure, the top periphery of the column structure, and the radially inwardly embodied side periphery of the bottom edge of the coping structure, And the connection fixed reinforcing bars are embedded and fix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side concrete in the field concrete.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방식에 의해 미리 제작된 기초구조물, 기둥기조물, 코핑구조물이 콘크리트포켓과 조립돌기에 의해 신속용이하게 적층됨과 동시에 연결고정철근에 의해 연결고정됨에 따라 교각의 단위구조물들이 신속용이하게 조립연결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the foundation structure, the pillar foundation, and the coping structure previously manufactured by the pre-casting method are quickly stacked by the concrete pockets and the assembling projections and simultaneously fixed by the connection fixing reinforcing bars, Of the unit structures can be quickly and easily assembled and connected.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적층조립되는 기초구조물, 기둥기조물, 코핑구조물 사이에 내진스프링이 개재됨에 따라 지진 등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교각의 안전성이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the earthquake-resistant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foundation structure, the column foundation, and the coping structure that are stacked and assembled with each other, the safety of the pier can be maintained despit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or the lik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의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의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의 단면구조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e pie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e pie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e pi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s of a prefabricated bridge p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rawings, each component is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reflect actual siz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의 분해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의 단면구조도를 도시한다.Figure 1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e pie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llustrates a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e pie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e pier according to an example.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미리 제작된 기초구조물(10), 기둥구조물(20) 및 코핑구조물(30)이 현장에서 차례로 적층되어 조립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prefabricated bridge pier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oundation structure 10, a pillar structure 20 and a coping structure 30, which are prefabricated in a precast manner, as shown in Figs. 1 to 3, Which are stacked in order and assembl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여기서 기초구조물(10)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1)의 하부 콘크리트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콘크리트와 제 1 보강철근(17)에 의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미리 제작된다.Wherein the foundation structure 10 forms a lower concrete structure of the prefabricated bridge pier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prefabricated in a precast manner by the concrete and the first rebar 17.

기초구조물(10)의 하단에는 지반에 대한 매입고정을 위한 기부(1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At the lower end of the foundation structure (10), a base (11) for fixing the ground to the ground is protruded radially outward.

또한 기초구조물(10)의 상부면에는 홈 형상의 제 1 콘크리트포켓(13)이 형성된다. 제 1 콘크리트포켓(13)의 내부에는 미양생 콘크리트가 충전됨에 따라 기둥구조물(20)의 적층조립 시에 기초구조물(10)과 기둥구조물(20)의 접합면에 미양생 콘크리트에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기초구조물(10)과 기둥구조물(20)이 접합고정되도록 한다.In addition, a groove-shaped first concrete pocket 1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tructure 10. The first concrete pockets 13 are filled with the cured concrete so that the cemented concrete is interposed between the foundation structures 10 and the pillar structures 20 at the joining surfaces of the pillar structures 20 during the pile- So that the structure 10 and the pillar structure 20 are jointly fixed.

또한 기초구조물(10)의 상부면 중 제 1 콘크리트포켓(13)의 둘레에는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15)이 형성된다.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15)은 차후에 설명될 내진스프링(50)의 하부 수용고정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초구조물(10)과 기둥구조물(20)의 접합면 사이에 다수개의 내진스프링(50)이 개재될 수 있도록 제 1 콘크리트포켓(13)의 둘레에 일정 각도간격으로 1개씩 형성될 수도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15)은 또한 기초구조물(10)과 기둥구조물(20)의 접합면 사이에 오직 1개의 내진스프링(50)이 제 1 콘크리트포켓(13)을 둘러싸는 형태로 개재될 수 있도록 제 1 콘크리트포켓(13)을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 first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15 is formed around the first concrete pocket 13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tructure 10. The first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15 serves to form a lower receiving portion of the seismic spring 5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15 serves as a lower receiving recess of the base structure 10 and the columnar structure 20 may be formed at intervals of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first concrete pockets 13 so that a plurality of seismic resilient springs 50 can be interposed between the joint surfaces of the first concrete pockets 13,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15 also includes a first concrete padding 13 surrounded by only one seismic spring 50 between the joining surfaces of the foundation structure 10 and the pillar structure 2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first concrete pockets (13) so as to be interposed therebetween.

또한 기초구조물(10)의 내부에는 제 1 보강철근(17)이 일종의 망상구조체로 배열된다. 차후에 설명될 연결고정철근(40)에 의한 연결고정을 위해 제 1 보강철근(17)의 상단은 기초구조물(10)의 상단 측면 둘레로 휘어져 기초구조물(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In addition, the first reinforcing bars 17 are arranged in the inner wall of the foundation structure 10 as a network structure. The upper end of the first rebar 17 is bent around the upper end side of the foundation structure 10 and protrudes outward of the foundation structure 10 for connection fixation by the connection fixing reinforcement 40 to be described later.

전술한 기초구조물(10) 상에는 기둥구조물(20)이 현장에서 조립연결된다. 기둥구조물(20)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1)의 중앙부 콘크리트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콘크리트와 제 2 보강철근(29)에 의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미리 제작된다.On the above-described foundation structure 10, the columnar structure 20 is assembled and connected in the field. The column structure 20 forms a central concrete structure of the prefabricated bridge pier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prefabricated by concrete and a second rebar 29 in a precast manner.

기둥구조물(20)의 하부면에는 기초구조물(10)의 제 1 콘크리트포켓(13) 내로 삽입고정되는 제 1 조립돌기(21)가 돌출형성된다. 제 1 조립돌기(21)는 기초구조물(10)에 대한 기둥구조물(20)의 적층조립 시에 기초구조물(10)의 제 1 콘크리트포켓(13) 내로 삽입되면서 제 1 콘크리트포켓(13) 내에 채워진 미양생 콘크리트가 기초구조물(10)과 기둥구조물(20)의 접합면에 골고루 도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1 콘크리트포켓(13)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 first assembling protrusion 21 inserted and fixed into the first concrete pocket 13 of the foundation structure 10 is protrud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illar structure 20. The first assembly projections 21 are inserted into the first concrete pockets 13 of the foundation structure 10 while being stacked in the first concrete pockets 13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concrete pockets 13 at the time of stacking the column structures 20 with respect to the foundation structure 10. [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ed concrete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irst concrete pockets 13 and serves to uniformly apply the cured concrete to the joint surfaces of the foundation structure 10 and the column structure 20. [

또한 기둥구조물(20)의 하부면 중 제 1 조립돌기(21) 둘레에는 제 1 상부스프링수용홈(23)이 기초구조물(10)의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15)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제 1 상부스프링수용홈(23)은 기초구조물(10)의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15)과 조합되어 내진스프링(50)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A first upper spring receiving groove 23 is formed around the first assembling protrusion 21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illar structure 20 to correspond to the first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15 of the base structure 10. The first upper spring receiving groove 23 is combined with the first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15 of the base structure 10 to form a receiving space for the seismic spring 50.

또한 기둥구조물(20)의 상부면에는 홈 형상의 제 2 콘크리트포켓(25)이 형성된다. 제 2 콘크리트포켓(25)의 내부에는 미양생 콘크리트가 충전됨에 따라 기둥구조물(20)의 적층조립 시에 기초구조물(10)과 기둥구조물(20)의 접합면에 미양생 콘크리트에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기둥구조물(20)과 차후에 설명될 코핑구조물(30)이 접합고정되도록 한다.In addition, a groove-shaped second concrete pocket 2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ar structure 20. The micro cured concrete is filled in the second concrete pocket 25 so that it is interposed in the micro cured concrete on the joint surface of the foundation structure 10 and the column structure 20 at the time of stacking the column structures 20, So that the structure 20 and the later-described coping structure 30 are jointly fixed.

또한 기둥구조물(20)의 상부면 중 제 2 콘크리트포켓(25)의 둘레에는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27)이 형성된다.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27)은 차후에 설명될 내진스프링(50)의 하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둥구조물(20)과 코핑구조물(30)의 접합면 사이에 다수개의 내진스프링(50)이 개재될 수 있도록 제 2 콘크리트포켓(25)의 둘레에 일정 각도간격으로 1개씩 형성될 수도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27)은 또한 기둥구조물(20)과 코핑구조물(30)의 접합면 사이에 오직 1개의 내진스프링(50)이 제 2 콘크리트포켓(25)을 둘러싸는 형태로 개재될 수 있도록 제 2 콘크리트포켓(25)을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27 is formed around the second concrete pocket 25 in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ar structure 20. The second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27 serves to form a lower receiving space of the earthquake-resistant spring 50 to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olumnar structure 20 and the coping structure 30 The plurality of earthquake-resistant springs 5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joint surfaces of the first concrete pockets 25 and the second concrete pockets 25, respec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s 27 also include a second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27 that also surrounds the second concrete pocket 25, with only one seismic spring 50 between the pillar structure 20 and the abutment surface of the coping structure 3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second concrete pocket 25 so as to be interposed therebetween.

또한 기둥구조물(20)의 내부에는 제 2 보강철근(29)이 일종의 망상구조체로 배열된다. 차후에 설명될 연결고정철근(40)에 의한 연결고정을 위해 제 2 보강철근(29)의 하단 및 상단은 기둥구조물(20)의 하단 및 상단 측면 둘레로 휘어져 기둥구조물(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In addition, the second reinforcing bars 29 are arranged in the columnar structure 20 as a network structure.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steel bar 29 are bent around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side of the columnar structure 20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lumnar structure 20 in order to fix the connection by the connecting stationary reinforcement 40 to be described later .

전술한 기둥구조물(20) 상에는 코핑구조물(30)이 현장에서 조립연결된다. 코핑구조물(30)은 거더를 지지하기 위한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1)의 상부 콘크리트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콘크리트와 제 3 보강철근(37)에 의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미리 제작된다. On the above-described columnar structure 20, a coping structure 30 is assembled and connected in the field. The coping structure 30 forms an upper concrete structure of the prefabricated bridge pier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supporting the girder and is constructed in a precast form by concrete and a third rebar 37, .

코핑구조물(30)의 하부면에는 기둥구조물(20)의 제 2 콘크리트포켓(25) 내로 삽입되는 제 2 조립돌기(31)가 돌출형성된다. 제 2 조립돌기(31)는 기둥구조물(20)에 대한 코핑구조물(30)의 적층조립 시에 기둥구조물(20)의 제 2 콘크리트포켓(25) 내로 삽입되면서 제 2 콘크리트포켓(25) 내에 채워진 미양생 콘크리트가 기둥구조물(20)과 코핑구조물(30)의 접합면에 골고루 도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2 콘크리트포켓(25)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ping structure 30, a second assembling protrusion 31 inserted into the second concrete pocket 25 of the pillar structure 20 is protruded. The second assembly projections 31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concrete pockets 25 of the pillar structure 20 at the time of stacking the coping structures 30 with respect to the pillar structure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ed concrete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econd concrete pockets 25 so as to uniformly apply the cured concrete to the joint surfaces of the pillar structure 20 and the coping structure 30. [

또한 코핑구조물(30)의 하부면 중 제 2 조립돌기(31)의 둘레에는 제 2 상부스프링수용홈(33)이 기둥구조물(20)의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27)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제 2 상부스프링수용홈(33)은 기둥구조물(20)의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27)과 조합되어 내진스프링(50)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A second upper spring receiving groove 33 is formed around the second assembling protrusion 31 in the lower surface of the coping structure 30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27 of the pillar structure 20 . The second upper spring receiving groove 33 is combined with the second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27 of the pillar structure 20 to form a receiving space for the seismic spring 50.

또한 코핑구조물(30)의 상단에는 교량 거더(상판)의 지지를 위한 코핑부(35)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Further, at the upper end of the coping structure 30, a coping portion 35 for supporting the bridge girder (upper plate) is protruded outward.

또한 코핑구조물(30)의 내부에는 제 3 보강철근(37)이 일종의 망상구조체로 배열된다. 차후에 설명될 연결고정철근(40)에 의한 연결고정을 위해 제 3 보강철근(37)의 하단은 코핑구조물(30)의 하단 및 상단 측면 둘레로 휘어져 코핑구조물(3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In addition, the third reinforcing bars 37 are arranged in the inner wall of the coping structure 30 as a network structure. The lower end of the third reinforcing bar 37 is bent around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side of the coping structure 30 and protrudes outward of the coping structure 30 in order to fix the connection by the connecting stationary reinforcement 4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전술한 제 1 보강철근(17)의 상단과 제 2 보강철근(29)의 하단, 제 2 보강철근(29)의 상단과 제 3 보강철근(37)의 하단은 연결고정철근(40)에 의해 연결된다.The upper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steel bar 17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steel bar 29 as well as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steel bar 29 and the lower end of the third reinforcing steel bar 37 Lt; / RTI >

연결고정철근(40)은 제 1 보강철근(17)과 제 2 보강철근(29)의 단부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기초구조물(10)과 그 상부에 적층된 기둥구조물(20)을 연결고정하고 제 2 보강철근(29)과 제 3 보강철근(37)의 단부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기둥구조물(20)과 그 상부에 적층된 코핑구조물(30)을 연결고정하는 것으로, 그 양단은 볼트너트결합, 용접 등 다양한 결합방법에 의해 제 1 내지 제 3 보강철근(17, 29, 37)의 단부에 연결된다.The connecting fixed reinforcing bars 40 are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ends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7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s 29 to connect and fix the base structure 10 and the column structures 20 stacked thereon Both ends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9 and the third reinforcing bar 3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nect and fix the pillar structure 20 and the coping structure 30 stacked thereon, And is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first to third reinforcing bars 17, 29, 37 by various joining methods such as joining, welding, and the like.

전술한 기초구조물(10)과 그 상부에 적층된 기둥구조물(20) 사이 그리고 기둥구조물(20)과 그 상부에 적층된 코핑구조물(30) 사이에는 내진스프링(50)이 개재된다. An earthquake-resistant spring 50 is interposed between the above-described foundation structure 10 and the column structure 20 stacked thereon and between the column structure 20 and the coping structure 30 stacked thereon.

내진스프링(50)은 기초구조물(10)과 기둥구조물(20) 사이, 그리고 기둥구조물(20)과 코핑구조물(30) 사이의 적층연결부위에 내부탄성을 제공함에 따라 지진 등의 발생 시에 진동을 완충흡수하여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1)의 안전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서로 대응되는 기초구조물(10)의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15)과 기둥구조물(20)의 제 1 상부스프링수용홈(23), 그리고 서로 대응되는 기둥구조물(20)의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27)과 코핑구조물(30)의 제 2 상부스프링수용홈(33) 내에는 수용된 후 그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에 의해 고정된다.The earthquake-proof spring 50 provides internal elasticity between the foundation structure 10 and the pillar structure 20 and between the pillar structure 20 and the coping structure 30, So that the safety of the prefabricated bridge p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maintained. In this way, the first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15 of the foundation structure 10 and the post structure The second upper spring receiving grooves 27 of the pillar structure 20 and the second upper spring receiving grooves 33 of the coping structure 30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spring receiving grooves 23, And is fixed by a filling material filled therein after being accommodated.

내진스프링(50)은 고하중 지지용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내진스프링(50)을 고정하는 충전재는 공지된 그라우팅 공법에 의해 충전 가능하다.The earthquake-proof spring 50 is preferably a heavy-duty support spring, and the filler for securing the earthquake-proof spring 50 can be charged by a known grouting method.

또한 연결고정철근(40)이 노출되는 기초구조물(10)의 상단 둘레, 기둥구조물(20)의 하단 둘레와 상단 둘레, 그리고 상기 코핑구조물(30)의 하단 둘레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입되는 측면합입부(6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end of the base structure 10 to which the connection fixing steel bar 40 is exposed, the lower end periphery and the upper end periphery of the column structure 20 and the lower end periphery of the coping structure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th portion 60 is formed.

측면합입부(60)는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메워지면서 연결고정철근(40)와 제 1, 제 2 및 제 3 보강철근(17, 29, 37)의 연결단부의 외기노출을 방지하여 녹 발생 등에 의한 연결강도의 약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측면합입부(60)는 도 2에 상당한 깊이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는 100 내지 150mm 깊이인 것이 바람직하고, 측면합입부(60)의 현장 콘크리트 타설은 숏크리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ide fitting portion 60 is filled with concrete by being poured in the field so as to prevent exposure of outside air at the connecting ends of the connection fixing reinforcing bars 40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inforcing bars 17, 29 and 37, And the like. Although the side fitting portion 60 is shown at a considerable depth in FIG. 2,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fitting portion 60 is actually 100 to 150 mm deep, and the in-situ concrete installation of the side fitting portion 60 can be performed by shotcret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은 프리캐스트 방식에 의해 미리 제작된 기초구조물(10) 기둥기조물(20), 코핑구조물(30)이 미양생 콘크리트가 충전된 제 1 콘크리트포켓(13)과 제 1 조립돌기(21), 그리고 미양생 콘크리트가 충전된 제 2 콘크리트포켓(25)과 제 2 조립돌기(31)에 의해 신속용이하게 적층됨과 동시에 제 1, 제 2 및 제 3 보강철근(17, 29, 37)의 연결단부가 연결고정철근(40)에 의해 연결고정됨에 따라 교각의 단위구조물들이 신속용이하게 조립연결될 수 있다.The prefabricated bridge p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ndation structure 10 preformed by the precast method, the column foundation 20, the coping structure 30, The first concrete pockets 13 and the first assembly projections 21 and the second concrete pockets 25 filled with the cured concrete and the second assembly projections 31 are quickly and easily laminated, As the connecting ends of the second and third reinforcing bars 17, 29 and 37 are connected and fixed by the connecting fixed reinforcing bars 40, the unit structures of the bridge piers can be quickly and easily assembled and connected.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은 서로 적층조립되는 기초구조물(10)과 기둥기조물(20) 사이, 그리고 기둥기조물(20)과 코핑구조물(30) 사이에 내진스프링(50)이 개재됨에 따라 지진 등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내진스프링(50)의 탄성연결구조에 의해 교각의 안전성이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pi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re formed between the foundation structure 10 and the pillar substrate 20 laminated to each other and between the pillar substrate 20 and the coping structure 30 The safety of the pier can be maintained by the elastic connection structure of the earthquake-proof spring 50 despite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or the lik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substituted for those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equivalent concept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조립식 교각
10 : 기초구조물
11 : 기부
13 : 제 1 콘크리트포켓
15 :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
17 : 제 1 보강철근
20 : 기둥구조물
21 : 제 1 조립돌기
23 : 제 1 상부스프링수용홈
25 : 제 2 콘크리트포켓
27 :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
29 : 제 2 보강철근
30 : 코핑구조물
31 : 제 2 조립돌기
33 : 제 2 상부스프링수용홈
35 : 코핑부
37 : 제 3 보강철근
40 : 연결고정철근
50 : 내진스프링
60 : 측면합입부
1: Prefabricated pier
10: foundation structure
11: donation
13: first concrete pocket
15: first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17: 1st rebar
20: Column structure
21: First assembly projection
23: first upper spring receiving groove
25: second concrete pocket
27: second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29: second rebar
30: Coping structure
31: Second assembly projection
33: second upper spring receiving groove
35:
37: Third Rebar
40: Fixed reinforcing bars
50: Seismic spring
60: side fitting portion

Claims (3)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고 하단에는 기부가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홈 형상의 제 1 콘크리트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콘크리트포켓 둘레에는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 1 보강철근이 배열되고 상단 둘레에는 상기 제 1 보강철근의 상단이 돌출되는 기초구조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상기 기초구조물 상에 조립연결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제 1 콘크리트포켓 내로 삽입되는 제 1 조립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조립돌기 둘레에는 제 1 상부스프링수용홈이 상기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홈 형상의 제 2 콘크리트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콘크리트포켓 둘레에는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 2 보강철근이 배열되고 하단 및 상단 둘레에는 상기 제 2 보강철근의 하단 및 상단이 돌출되는 기둥구조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상기 기둥구조물 상에 조립연결되고상기 하부면에는 상기 제 2 콘크리트포켓 내로 삽입되는 제 2 조립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조립돌기 둘레에는 제 2 상부스프링수용홈이 상기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단에는 거더 지지를 위한 코핑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 3 보강철근이 배열되고 하단 둘레에는 상기 제 3 보강철근의 하단이 돌출되는 코핑구조물;
상기 제 1 보강철근의 상단과 상기 제 2 보강철근의 하단, 상기 제 2 보강철근의 상단과 상기 제 3 보강철근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고정철근; 및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과 상기 제 1 상부스프링수용홈,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과 상기 제 2 상부스프링수용홈 내에 각각 수용되고 충전재에 의해 고정되는 내진스프링;을 포함하는 조립식 교각.
A first concrete pocket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first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is formed around the first concrete pockets, a first reinforcing steel bar is arranged inside the first concrete pockets, A base structure having an upper end protruding from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a first assembly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crete pocket and a first upper spring receiving recess is formed around the first assembly protrusion, And a second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is formed around the second concrete pocket. A second reinforcing steel bar is arranged inside the second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And a columnar structure having a lower end and an upper end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And a second assembly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ssembly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crete pocket, and a second upper spring receiving groove is formed around the first assembly protrusion, A coping structu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and having a coping portion for supporting a girder at an upper end thereof, a third reinforcing steel bar arranged inside and a lower end of the third reinforcing steel bar projecting around a lower end;
A connecting fixed reinforcing bar connecting an upper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steel bar, a lower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steel bar, an upper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steel bar and a lower end of the third reinforcing steel bar; And
And an anti-vibration spring received in the first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and the first upper spring receiving groove 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wer spring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upper spring receiving groove, respectively, Prefabricated piers includ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철근이 노출되는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단 둘레, 상기 기둥구조물의 하단 둘레와 상단 둘레, 그리고 상기 코핑구조물의 하단 둘레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입되는 측면합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정철근은 상기 측면함입부의 현장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매립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ide fitting portion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ase structure to which the connection fixed reinforcing bar is exposed, the lower end periphery and the upper end periphery of the column structure and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structure are embedded radially inward, And the side incision is embedded and fixed by in-situ concrete pour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그라우팅 공법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er is filled by a grouting method.
KR1020160183353A 2016-12-30 2016-12-30 Assembling type pier KR1019737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353A KR101973702B1 (en) 2016-12-30 2016-12-30 Assembling type p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353A KR101973702B1 (en) 2016-12-30 2016-12-30 Assembling type p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535A true KR20180078535A (en) 2018-07-10
KR101973702B1 KR101973702B1 (en) 2019-04-29

Family

ID=6291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353A KR101973702B1 (en) 2016-12-30 2016-12-30 Assembling type p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702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6186A (en) * 2019-01-30 2019-05-10 北京工业大学 Prevent the automatic triggering type umbrella-type protective device of bridge pier impact damage
CN109898409A (en) * 2019-04-12 2019-06-18 新疆北新路桥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shock-proof type precast pier structure
CN110258304A (en) * 2019-06-26 2019-09-20 中铁二十三局集团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A kind of joint structure of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pier or column
CN111501536A (en) * 2020-04-14 2020-08-07 中铁二十四局集团江苏工程有限公司 Anti-seismic high-speed rail bridge suppor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1622084A (en) * 2020-06-11 2020-09-04 大连交通大学 Anti-falling limiting device for bridge earthquake resistance
CN112081013A (en) * 2020-09-11 2020-12-15 上海城建市政工程(集团)有限公司 Guide device for assembling and positioning prefabricated polygonal pier and desig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749A (en) 2020-10-22 2022-05-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odular PC pier structure with unexposed connection structu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907A (en) * 1992-08-20 1994-03-08 P S Co Ltd Building method for cylindrical structure
KR100704737B1 (en) * 2005-10-27 2007-04-06 김태균 Precast-underwater prefabricated pier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907A (en) * 1992-08-20 1994-03-08 P S Co Ltd Building method for cylindrical structure
KR100704737B1 (en) * 2005-10-27 2007-04-06 김태균 Precast-underwater prefabricated pier structur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6186A (en) * 2019-01-30 2019-05-10 北京工业大学 Prevent the automatic triggering type umbrella-type protective device of bridge pier impact damage
CN109898409A (en) * 2019-04-12 2019-06-18 新疆北新路桥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shock-proof type precast pier structure
CN109898409B (en) * 2019-04-12 2021-01-08 新疆北新路桥集团股份有限公司 Prefabricated pier structure of antidetonation formula
CN110258304A (en) * 2019-06-26 2019-09-20 中铁二十三局集团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A kind of joint structure of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pier or column
CN111501536A (en) * 2020-04-14 2020-08-07 中铁二十四局集团江苏工程有限公司 Anti-seismic high-speed rail bridge suppor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1622084A (en) * 2020-06-11 2020-09-04 大连交通大学 Anti-falling limiting device for bridge earthquake resistance
CN112081013A (en) * 2020-09-11 2020-12-15 上海城建市政工程(集团)有限公司 Guide device for assembling and positioning prefabricated polygonal pier and desig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702B1 (en) 201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702B1 (en) Assembling type pier
KR101973701B1 (en) Assembling type pier
KR100662811B1 (en) Non-synthetic complex steel pipe columm having tie ends for filling a steel soncre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10103000A (en) Precast bridge joint structure with composite hollow concrete filled tube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1263557B1 (en) Prefabricated hollow-segment type pier
KR20110058359A (en) Splicing method of embedded type baseplate with steel column
JP2000248526A (en) Pier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204040B1 (en) precast concrete member and assembled concrete abutment of bridge
KR20180072968A (en) Permanent form for pi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30026311A (en) Precast bridge post
JP2008075425A (en) Joining structure of pile and column
JP3799036B2 (en) Building basic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JP2006104883A (en) Base-isolated building
JP6924683B2 (en) Pile head seismic isola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5865567B2 (en) Connecting slab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6368584B2 (en)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JP2017057642A (en) Footing foundation structure
KR20080103260A (en) Reinforcing bar assembly for separate concrete pours and strut system method utilizing the same
KR200420394Y1 (en) Precast concrete block for cantilever retaining wall
KR20210090100A (en) In a building where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a wall structure, the shortened construction type top down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that enables early ground frame start using temporary transfer structures
JP2000017880A (en) Side wall of pc storage tank
JP3058904U (en)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fabric foundation members
AU2016210740B2 (en) An Improved Cast-In Member
AU2015101655A4 (en) An improved cast-in member
JP2515227B2 (en) Installation method of cast-in-place concrete foundation and precast concrete wall sla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