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463A - 순환식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순환식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463A
KR20180078463A KR1020160183201A KR20160183201A KR20180078463A KR 20180078463 A KR20180078463 A KR 20180078463A KR 1020160183201 A KR1020160183201 A KR 1020160183201A KR 20160183201 A KR20160183201 A KR 20160183201A KR 20180078463 A KR20180078463 A KR 20180078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space
cleaning liquid
uni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6838B1 (ko
Inventor
이효찬
Original Assignee
(주)아이블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블럭 filed Critical (주)아이블럭
Priority to KR1020160183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838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clean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7Clean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5/00Cleaning
    • B41P2235/30Recovering used solvents or resid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 작업공간에 수용되고, 내부에 세척 작업공간(S)과 연통되는 세척공간이 형성된 세척대상물의 세척공간을 세척하기 위한 순환식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세척액이 저장된 세척액 공급부 및 일측이 상기 세척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세척액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세척액을 상기 세척공간 방향으로 이송하는 동작과 상기 세척공간에서 발생된 세정폐수를 상기 세척공간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는 동작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교번 수행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액을 세척공간 방향으로 이송하는 동작과 세척공간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는 동작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교번 수행하도록 함에 따라 세척공간으로 유입되는 세척액이 세척공간과 세척 작업공간(S)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순환되므로 세척액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세척공간의 보다 확실한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세척공간이 세척 작업공간과 연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세척공간에 세척액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더라도 세척공간에서 발생되는 세정폐수를 역류시킴과 아울러 이를 별도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분리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세척액의 과도한 압력에 의한 세척공간의 손상 및 세척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간단한 구조로 인해 관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컴팩트한 장치의 제작이 가능함에 따라 이에 따른 제작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순환식 세척장치{Circulation type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순환식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액을 세척공간 방향으로 이송하는 동작과 세척공간 반대 방향으로 역이송하는 동작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교번 수행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세척공간이 세척 작업공간과 연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세척공간으로 지속적으로 세척액이 유입되더라도 세척공간에서 발생되는 세정폐수를 역류시켜 이를 별도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간단한 구조의 순환식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는 인쇄용 잉크의 액적(droplet)을 노즐칩을 통해 용지 상의 원하는 위치에 방출시켜서 소정의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로서, 잉크 액적을 방출하는 헤드의 형태에 따라 셔틀(shuttle) 타입과 어레이(array) 타입으로 분류된다.
셔틀(shuttle) 타입은 단일 노즐칩을 구비한 헤드가 용지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인쇄를 진행하는 것이고, 어레이 타입은 노즐칩 여러개를 용지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라인 단위로 인쇄를 진행하는 것인데, 최근에는 인쇄속도 면에서 유리한 어레이 타입 헤드가 선호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이러한 잉크젯 헤드를 이용한 인쇄작업을 반복해서 진행하다 보면, 예컨대 노즐칩의 액적 방출구에 고여 있던 잉크가 굳어지는 등의 원인에 의해 방출구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면, 막힌 노즐칩의 방출구로는 액적이 나오지 못하게 되므로, 원하는 화상을 제대로 인쇄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잉크젯 프린터에는 필요 시 노즐칩의 방출구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세척장치는 소정 세정액으로 노즐칩의 방출구를 닦아내는 것으로, 통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잉크젯 헤드(20)가 어레이 타입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용지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여러 개의 노즐칩(21)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조(11)가 용지 폭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14는 세척조(11) 내에 세정액을 보내주는 급수관을, 참조부호 15는 세척조(11)에서 사용된 세정액을 저장탱크(13)로 되돌리는 배수관을 각각 나타내며, 참조부호 12는 초음파 소자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의 세척장치로 노즐칩(21)의 세척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상기 급수관(14)을 통해 세정액이 세척조(11)로 공급되며, 초음파소자(12)가 가동하여 진동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면, 세척조(11)로 들어온 세정액이 도면과 같이 요동치며 치솟게 되고, 그 치솟은 세정액이 노즐칩(21)에 부딪히면서 방출구(21a)를 세정하게 된다.
그리고, 세척작업이 완료되면 배수관(15)을 통해 세척에 사용된 세정액을 저장탱크(13)로 회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세척장치는 별도의 세척조(11)가 구비되어야 할 뿐 아니라 세척조(11)로 세정액을 공급하고 회수하기 위한 급수관(14)과 배수관(15)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초음파소자(12)의 진동에 의해 노즐칩(21)에 부딪히는 세정액에 의해 노즐칩(12)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세척작업 중 세척조(11) 외부로 세정액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위 감지 센서 등의 고정밀 부품이 요구되므로 이를 설치 및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액을 세척공간 방향으로 이송하는 동작과 세척공간 반대 방향으로 역이송하는 동작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교번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순환식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공간이 세척 작업공간과 연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세척액이 세척공간으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더라도 세척공간에서 발생되는 세정폐수를 세척공간 반대방향으로 역류시킴과 아울러 이를 별도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한 간단한 구조의 순환식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 작업공간에 수용되고, 내부에 상기 세척 작업공간(S)과 연통되는 세척공간이 형성된 상기 세척대상물의 상기 세척공간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세척액이 저장된 세척액 공급부 및 일측이 상기 세척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세척액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세척액을 상기 세척공간 방향으로 이송거나 상기 세척공간에서 발생된 세정폐수를 상기 세척공간 반대 방향으로 역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가 이송동작과 역이송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교번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세척액을 상기 세척공간으로 이송하는 동작의 수행 중에 상기 세척공간이 밀폐된 경우, 상기 세척공간에서 발생된 세정폐수가 상기 이송부 방향으로 역이송되는 흐름이 동시에 발생되는 연동식 펌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역이송되는 세정폐수를 저장하기 위한 세정폐수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액 공급부, 상기 세정폐수 저장부 및 상기 이송부 간에 설치되고, 상기 세정폐수가 상기 세척액 공급부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며, 상기 세정폐수 저장부로 유입된 세정폐수가 상기 이송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단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단속부는 상기 세척액 공급부와 상기 이송부 간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역이송되는 세정폐수가 상기 세척액 공급부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1 체크밸브 및 상기 세정폐수 저장부와 상기 이송부 간에 설치되고, 상기 세정폐수 저장부로 유입된 세정폐수가 상기 이송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2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세척대상물은 복수개의 세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부와 상기 세척대상물 간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세척액을 상기 복수개의 세척공간으로 분기시키는 분기블럭 및 상기 분기블럭과 각각의 세척공간 간에 설치되고, 상기 분기블럭으로부터 각각의 세척공간으로 이송되는 세척액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세정액 및 공기가 저장된 세정액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속부는 상기 이송부와 상기 세정액 공급부 간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로부터 역이송되는 세정폐수가 상기 세정액 공급부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3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세정액 공급부는 상기 이송부로 공급되는 세척액에 세정액을 공급한 후, 공기를 공급하여 세척액에 거품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세정액 공급부는 상기 세정액의 수용량 조절을 통해 상기 세정액이 공급되고 난 후 상기 세정액 공급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남아있는 공기의 공급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세척공간과 연결되는 이송관을 구비하되, 상기 이송관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액을 세척공간 방향으로 이송하는 동작과 세척공간 반대 방향으로 역이송하는 동작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교번 수행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세척공간으로 유입된 세척액이 세척 작업공간으로 배출되었다가 세척공간으로 재유입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세척액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세척공간의 보다 확실한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세척공간이 세척 작업공간과 연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세척공간으로 세척액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더라도 세척공간에서 발생되는 세정폐수를 역류시킴과 아울러 이를 별도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분리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세척액의 과도한 압력에 의한 세척공간의 손상 및 세척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간단한 구조로 인해 관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컴팩트한 장치의 제작이 가능함에 따라 이에 따른 제작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린터 헤드의 세척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1)는 세척 작업공간(S)에 수용되고,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된 세척대상물의 세척공간으로 세척액을 주입하여 세척공간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척액 공급부(10), 이송부(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척대상물을 프린터의 헤드부(60), 세척공간을 헤드부(60)에 설치되는 노즐(61)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세척 작업공간(S)은 세척액 공급부(10)로부터 헤드부(60)의 노즐(61)로 공급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세척액 및 세정폐수가 저장되는 일반적인 용기의 내부공간이 될 수 있다.
세척액 공급부(10) 내부에 세척액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이 이송부(20)의 타측에 연결되어 이송부(20)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세척액은 순수한 물이 사용될 수도 있고, 물과 세정액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송부(20)는 일측이 세척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이 세척액 공급부(10)와 연결되며, 세척액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액을 세척공간으로 이송하거나 세척공간에서 발생된 세정폐수를 세척공간 반대 방향으로 역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30)는 이송부(20)가 이송 동작과 역이송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교번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1)는 제어부(30)에 의해 이송부(20)가 세척액을 헤드부(60)의 노즐(61) 내부로 이송하는 이송 동작과 세척액의 유입에 의해 노즐(61) 내부에서 발생된 세정폐수를 노즐(61) 반대 방향으로 역이송하는 역이송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교번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61) 내부로 유입된 세척액이 세척 작업공간(S)으로 배출되고, 세척 작업공간(S)으로 배출된 세척액이 노즐(61) 내부로 재유입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노즐(61) 내부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이 때,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은 이송부(20)의 역이송 동작 중에 노즐(61) 내부에서 이송부(20)로 역이송되는 세정폐수가 이송부(20)로 유입되지 않는 정도의 시간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1)는 세척액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세척공간의 보다 확실한 세척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1)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세정폐수 저장부(40) 및 단속부(50)를 더 포함하며,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세정폐수 저장부(40)는 일측이 이송부(20)의 타측에 연결되고, 노즐(61)이 막혀 세척 작업공간(S)과 연통되지 않는 상태에서 노즐(61) 내부에서 발생된 세정폐수가 이송부(20)에 의해 역이송되는 경우, 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송부(20)는 세척액을 노즐(61)로 이송하는 동작의 수행 중에 노즐(61)이 막혀 세척 작업공간(S)과 연통되지 않는 경우, 노즐(61) 내부에서 발생된 세정폐수가 이송부(20) 방향으로 역류되는 흐름이 동시에 발생되도록 하는 연동식 펌프가 사용된다.
이러한 이송부(20)는 일측에 유출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양단이 유입구 및 유출구와 연결되는 이송튜브,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회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가압돌기가 형성된 회전가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회전가압부가 회전함에 따라 이송튜브의 일측이 가압돌기에 의해 순차적으로 압착 및 복원되면서 이송튜브 내부의 유체가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흐름과 역방향으로 역류되는 흐름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송부(20)는 일측을 노즐(61)의 일측과 연결하는 이송관(21)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이송관(21)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노즐(61)이 막혀 세척 작업공간(S)과 연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노즐(61) 내부에서 발생된 세정폐수가 이송부(20)로 역류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해 세정폐수를 이송부(20) 방향으로 용이하게 역류시키게 된다.
단속부(50)는 세척액 공급부(10), 이송부(20) 및 세정폐수 저장부(40) 간에 설치되고, 세정폐수가 세척액 공급부(10)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며, 세정폐수 저장부(40)로 유입된 세정폐수가 이송부(30)로 재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것으로서, 제 1 체크밸브(51) 및 제 2 체크밸브(52)를 포함한다.
제 1 체크밸브(51)는 세척액 공급부(10)와 이송부(20) 간에 설치되고, 이송부(20)로부터 이송되는 세정폐수가 세척액 공급부(10)로의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1 체크밸브(51)는 노즐(61)이 막힌 상태에서 노즐(61)로부터 역류하는 세정폐수가 이송부(20)에 의해 세척액 공급부(10) 및 세정폐수 저장부(40)로 역류되는 경우, 역류되는 세정폐수가 세척액 공급부(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세척액 공급부(10) 내부의 세척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체크밸브(52)는 이송부(20)와 세정폐수 저장부(40) 간에 설치되고, 세정폐수 저장부(40)로 유입된 세정폐수가 이송부(20)로 재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2 체크밸브(52)는 이송부(20)에 의해 세정페수 저장부(40)로 유입된 세정폐수가 이송부(20)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1)는 제어부(30)에 의해 이송부(20)가 구동되면, 세척액 공급부(10)의 세척액이 노즐(61)로 유입된다.
이 때, 노즐(61)이 막혀 세척 작업공간(S)과 연통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노즐(61) 내부에 발생되는 세정폐수가 세척 작업공간(S)으로 배출되지 않고, 이송부(20) 방향으로 역류되는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부(20)에 의해 세척액 공급부(10) 및 세정폐수 저장부(40)로 역류되는 세정폐수는 제 1 체크밸브(51)에 의해 세척액 공급부(10)로 유입이 차단됨에 따라 세정폐수 저장부(40)로 유입된다.
아울러, 세정폐수 저장부(40)로 유입된 세정폐수는 제 2 체크밸브(52)에 의해 이송부(20)로 재유입되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노즐(61)이 막혀 세척 작업공간(S)과 연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송부(20)가 세척액을 노즐(61)로 지속적으로 이송하더라도 노즐(61) 내부에에서 발생된 세정폐수를 세척액 공급부(10) 및 세정폐수 저장부(20) 방향으로 역류시킴에 따라 노즐(61)에 과도한 압력이 전달되지 않아 노즐(61)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세척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간단한 구조로 인해 세척장치의 관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컴팩트한 장치의 제작이 가능함에 따라 이에 따른 제작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노즐(61)이 막혀 세척 작업공간(S)과 연통되지 않는 상태에서 이송부(20)에 의해 노즐(61)로 세척액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더라도 노즐(61)에 과도한 압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노즐(6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용 세정액을 사용할 필요 없이 일반적인 물로도 노즐(61)의 세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헤드부(60)에 복수개의 노즐(6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송부(20)와 헤드부(60) 간에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는 세척액을 각각의 노즐(61a, 61b, 61c, 61d)로 분기시키는 분기블럭(70)이 형성되고, 분기블럭(70)과 각각의 노즐(61a, 61b, 61c, 61d)간에는 이송되는 세척액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밸브(80)가 추가로 구비되며,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헤드부(60)에 4개의 노즐이 형성된 일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분기블럭(70)은 일측이 이송부(20)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에 제 1 노즐 내지 제 4 노즐(61a, 61b, 61c, 61d)이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 이송부(20)로부터 이송되는 세척액이 제 1 노즐 내지 제 4 노즐(61a, 61b, 61c, 61d) 각각으로 분기되는 분기유로(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분기블럭(70)과 제 1 노즐 내지 제 4 노즐(61a, 61b, 61c, 61d) 간에는 제 1 노즐 내지 제 4 노즐(61a, 61b, 61c, 61d)로 이송되는 세척액의 이송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 1 밸브 내지 제 4 밸브(81, 82, 83, 84)가 설치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1)는 분기블럭(70)이 형성됨에 따라 복수개의 노즐(61a, 61b, 61c, 61d)이 형성된 헤드부(60)도 용이하게 세척이 가능할 뿐 아니라, 복수개의 밸브(80)를 통해 각각의 노즐(61)로 이송되는 세척액의 이송량 조절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각각의 노즐(61a, 61b, 61c, 61d)로 공급되는 세척액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1)는 제 1 밸브 내지 제 4 밸브(61a, 61b, 61c, 61d)를 전부 개방한 상태로 제 1 노즐 내지 제 4 노즐(61a, 61b, 61c, 61d)로 각각 세척액을 균등한 압력으로 이송하여 제 1 내지 제 4 노즐(61a, 61b, 61c, 61d)의 세척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노즐(61a)이 막혀 있어 제 1 노즐(61a)로 보다 높은 압력의 세척액의 공급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밸브(81)를 제외한 제 2 내지 제 4 밸브(82, 83, 84)를 차폐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제 1 노즐(61a)로 공급되는 세척액의 압력은 제 1 밸브(81) 또는 제 2 내지 제 4 밸브(82, 83, 84)의 개방상태를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1 노즐(61a) 및 제 2 노즐(61b)이 막혀 있어 제 1 노즐(61a) 및 제 2 노즐(61b)로 보다 높은 압력의 세척액의 공급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밸브(81) 및 제 2 밸브(82)를 제외한 제 3 밸브(83) 및 제 4 밸브(84)를 차폐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제 1 노즐(61a) 및 제 2 노즐(61b)로 공급되는 세척액의 압력은 제 3 밸브(61c) 및 제 4 밸브(61d)의 개방상태를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의 사용 일예에 대해 예시한 것이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각의 밸브(80)의 개방, 일부개방, 차폐 상태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세척장치(1)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세정액 공급부(90) 및 단속부(50)에 제 3 체크밸브(53)를 더 포함되며,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세정액 공급부(90)는 이송부(20)의 타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세정액 및 공기가 저장되며, 이송부(20)로 공급되는 세척액에 세정액을 공급한 후, 공기를 공급하여 세척액에 거품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 3 체크밸브(53)는 이송부(20)와 세정액 공급부(90) 간에 설치되고, 이송부(20)로부터 이송되는 세정폐수가 세정액 공급부(90)로의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3 체크밸브(53)는 이송부(20)에 의해 세정액 공급부(90) 방향으로 이송되는 세정폐수가 세정액 공급부(9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세정액 공급부(90)의 세정액이 세정폐수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세정액 공급부(90)는 내부에 수용되는 세정액의 수용량(V)에 따라 세정액이 공급되고 난 후, 내부에 세정액 수용량(V)을 제외한 부피만큼의 부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압은 남아있는 공기가 이송부(20)로 공급되는 속도에 관여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세정액 공급부(90)에 수용되는 세정액 수용량(V)을 조절함으로써, 세정액이 공급되고 난 후의 세정액 공급부(90) 내부의 압력이 조절되고, 이로 인해 세정액 공급부(90) 내부에 남아 있는 공기가 이송부(20)로 공급되는 공급속도가 조절되며, 이를 통해 세척액에 생성되는 거품의 생성량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세정액 공급부(90)가 더 구비됨에 따라 이송부(20)에 의해 노즐(61)로 공급되는 세척액에 거품이 생성되고, 세척액에 거품이 생성됨에 따라 세척액에 의한 노즐(61)의 세척력이 보다 향상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순환식 세척장치 10 : 세척액 공급부
20 : 이송부 21 : 이송관
30 : 제어부 40 : 세정폐수 저장부
50 : 단속부 51 : 제 1 체크밸브
52 : 제 2 체크밸브 53 : 제 3 체크밸브
60 : 헤드부 61 : 노즐
61a : 제 1 노즐 61b : 제 2 노즐
61c : 제 3 노즐 61d : 제 4 노즐
70 : 분기블럭 80 : 밸브
81 : 제 1 밸브 82 : 제 2 밸브
83 : 제 3 밸브 84 : 제 4 밸브
90 : 세정액 공급부

Claims (9)

  1. 세척 작업공간에 수용되고, 내부에 상기 세척 작업공간(S)과 연통되는 세척공간이 형성된 상기 세척대상물의 상기 세척공간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세척액이 저장된 세척액 공급부와;
    일측이 상기 세척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세척액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세척액을 상기 세척공간 방향으로 이송거나 상기 세척공간에서 발생된 세정폐수를 상기 세척공간 반대 방향으로 역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가 이송동작과 역이송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교번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세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세척액을 상기 세척공간으로 이송하는 동작의 수행 중에 상기 세척공간이 밀폐된 경우, 상기 세척공간에서 발생된 세정폐수가 상기 이송부 방향으로 역이송되는 흐름이 동시에 발생되는 연동식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세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역이송되는 세정폐수를 저장하기 위한 세정폐수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액 공급부, 상기 세정폐수 저장부 및 상기 이송부 간에 설치되고, 상기 세정폐수가 상기 세척액 공급부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며, 상기 세정폐수 저장부로 유입된 세정폐수가 상기 이송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단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세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상기 세척액 공급부와 상기 이송부 간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역이송되는 세정폐수가 상기 세척액 공급부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1 체크밸브와;
    상기 세정폐수 저장부와 상기 이송부 간에 설치되고, 상기 세정폐수 저장부로 유입된 세정폐수가 상기 이송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2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세척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대상물은 복수개의 세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부와 상기 세척대상물 간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세척액을 상기 복수개의 세척공간으로 분기시키는 분기블럭과;
    상기 분기블럭과 각각의 세척공간 간에 설치되고, 상기 분기블럭으로부터 각각의 세척공간으로 이송되는 세척액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세척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세정액 및 공기가 저장된 세정액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속부는 상기 이송부와 상기 세정액 공급부 간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로부터 역이송되는 세정폐수가 상기 세정액 공급부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3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세정액 공급부는 상기 이송부로 공급되는 세척액에 세정액을 공급한 후, 공기를 공급하여 세척액에 거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세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공급부는
    상기 세정액의 수용량 조절을 통해 상기 세정액이 공급되고 난 후 상기 세정액 공급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남아있는 공기의 공급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세척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세척공간과 연결되는 이송관을 구비하되,
    상기 이송관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세척장치.

KR1020160183201A 2016-12-30 2016-12-30 순환식 세척장치 KR101976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201A KR101976838B1 (ko) 2016-12-30 2016-12-30 순환식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201A KR101976838B1 (ko) 2016-12-30 2016-12-30 순환식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463A true KR20180078463A (ko) 2018-07-10
KR101976838B1 KR101976838B1 (ko) 2019-05-10

Family

ID=62916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201A KR101976838B1 (ko) 2016-12-30 2016-12-30 순환식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8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5471A (zh) * 2018-11-22 2019-03-08 上海汉图科技有限公司 超声清洗装置及打印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0584A (ja) * 2005-09-28 2007-04-12 Mutoh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洗浄装置
JP2007261251A (ja) * 2006-02-28 2007-10-11 Ricoh Co Ltd 液滴吐出ヘッド、画像形成装置、液滴吐出記録装置の製造方法、液滴吐出ヘッドの洗浄方法
KR20080030284A (ko) * 2006-09-29 200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순환시스템과 잉크젯 기록장치 및 잉크 순환방법
KR20090067890A (ko) * 2007-12-21 2009-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잉크젯 헤드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0584A (ja) * 2005-09-28 2007-04-12 Mutoh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洗浄装置
JP2007261251A (ja) * 2006-02-28 2007-10-11 Ricoh Co Ltd 液滴吐出ヘッド、画像形成装置、液滴吐出記録装置の製造方法、液滴吐出ヘッドの洗浄方法
KR20080030284A (ko) * 2006-09-29 200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순환시스템과 잉크젯 기록장치 및 잉크 순환방법
KR20090067890A (ko) * 2007-12-21 2009-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잉크젯 헤드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5471A (zh) * 2018-11-22 2019-03-08 上海汉图科技有限公司 超声清洗装置及打印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838B1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8425B2 (en) Ink circulation system,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circulation method thereof
US9333754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766449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CN101314279B (zh) 喷墨头清洁装置和具有该装置的喷墨成像设备
JP461779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020192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インク貯留装置
JP5569222B2 (ja) 液体吐出装置
JP4617799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329858B2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171106A (ja) 液体吐出装置
JP4888259B2 (ja) 流体噴射装置
JP2006232508A (ja) 画像形成装置
JP4970100B2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JP2007090584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洗浄装置
JP4941136B2 (ja) 流体噴射装置
KR101976838B1 (ko) 순환식 세척장치
JP2018094868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におけるインクヘッドのクリーニング方法
JP2007090585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洗浄装置
US10926562B2 (en) Joint mechanism and liquid ejec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1469554B (zh) 液体喷出装置
JP2019025658A (ja) 記録ヘッドの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記録装置
JP6981179B2 (ja) 液体噴射装置、液体噴射装置のメンテナンス方法
KR102667144B1 (ko) 세척효율이 향상된 순환식 세척장치
KR20230117821A (ko) 세척효율이 향상된 순환식 세척장치
JP7292876B2 (ja) 液体吐出ヘッドおよび液体吐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