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135A - 인상 구조체, 작업선 및 피봇 앵커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인상 구조체, 작업선 및 피봇 앵커 설치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78135A KR20180078135A KR1020170144623A KR20170144623A KR20180078135A KR 20180078135 A KR20180078135 A KR 20180078135A KR 1020170144623 A KR1020170144623 A KR 1020170144623A KR 20170144623 A KR20170144623 A KR 20170144623A KR 20180078135 A KR20180078135 A KR 201800781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ing
- plate
- reaction force
- pulling
- lift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0—Anchored found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3—Ground anchors with pivotable anchoring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Wind Motors (AREA)
- Revetment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수저의 상태에 관계없이 보다 확실하게, 높은 작업 효율로, 수저에 설치된 물체를 위쪽으로 인장할 수 있는 인상 구조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수저에 설치된 물체를 끌어올리기 위한 인상 구조체는, 인상축을 가지고 상기 인상축을 따라 상기 물체를 끌어올리는 인상 장치와, 상기 인상 장치에 의한 상기 물체의 인상 시에 상기 수저를 압압하는 바닥면을 가지는 반력판과, 상기 인상 장치와 상기 반력판을 상기 인상축에 대하여 상기 바닥면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해결 수단] 수저에 설치된 물체를 끌어올리기 위한 인상 구조체는, 인상축을 가지고 상기 인상축을 따라 상기 물체를 끌어올리는 인상 장치와, 상기 인상 장치에 의한 상기 물체의 인상 시에 상기 수저를 압압하는 바닥면을 가지는 반력판과, 상기 인상 장치와 상기 반력판을 상기 인상축에 대하여 상기 바닥면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상 장치를 구비하는 인상 구조체, 상기 인상 구조체를 구비하는 작업선 및 상기 인상 구조체를 사용하는 피봇(pivot) 앵커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면 상에 솔라 패널을 배열한 수상 메가솔라의 설치가 진행되고 있다. 수상 메가솔라에 있어서는, 수면에 뜨는 솔라 패널과 수저(水底)에 설치한 앵커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솔라 패널을 수상의 정위치에 유지하고 있다. 수저에 설치되는 앵커로서, 피봇 앵커도 이용되고 있다.
피봇 앵커의 일례는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으며, 앵커부(91)와 로드부(92)가 연결부(91P)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피봇 앵커(90)를 설치할 때는, 먼저 앵커부(91)에 형성된 구멍(91h)에 박아넣기용 로드(93)의 일단(一端)을 삽입하고, 박아넣기용 로드(93)의 타단(他端)으로부터 압압력(押壓力)을 부여하여 앵커부(91) 및 로드부(92)의 일부를 땅속에 박아넣는다 [도 8의 (b)]. 다음에, 박아넣기용 로드(93)를 뽑아내고[도 8의 (c)], 로드부(92)의 지상에 잔류하는 부분을 유압 잭 등을 이용하여 위쪽으로 잡아당긴다. 이 인장력에 의해 앵커부(91)가 로드부(92)에 대하여 회전하고, 로드부(92)가 잡아당겨지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의 방향으로, 가장 큰 투영 면적을 가지도록 배치된다[도 8의 (d)]. 이로써, 로드부(92)는, 높은 인발 내력을 가진 상태에서 지면(g)에 고정된다. 그리고, 피봇 앵커에 대한 추가의 상세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피봇 앵커를 효율적으로 수저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본 출원인에게 발행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면, 대선(臺船)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반력판을 이용하여, 유압 핸드 브레이커 등을 사용한 앵커부의 수저로의 박아넣음, 및 중공(中空) 유압 잭 등을 사용한 로드부의 위쪽으로의 인장을 높은 작업 효율로 행할 수 있다.
피봇 앵커의 설치 작업에 있어서, 수저의 상태에서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저의 상태에 관계없이 보다 확실하게, 높은 작업 효율로, 수저에 설치된 물체의 위쪽으로 인장할 수 있는 인상 구조체, 상기 인상 구조체를 구비하는 작업선 및 상기 인상 구조체를 이용하는 피봇 앵커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態樣)에 따르면,
수저에 설치된 물체를 끌어올리기 위한 인상 구조체로서,
인상축을 가지고, 상기 인상축을 따라 상기 물체를 끌어올리는 인상 장치와,
상기 인상 장치에 의한 상기 물체의 인상 시에 상기 수저를 압압(押壓)하는 바닥면을 가지는 반력판과,
상기 인상 장치와 상기 반력판을, 상기 인상축에 대하여 상기 바닥면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인상 구조체가 제공된다.
제1 태양의 인상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반력판은 상기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대향하는 상면 사이에 걸치는 관통부를 가져도 되고, 상기 인상 장치와 상기 반력판은, 상기 인상 장치가 상기 관통부를 통하여 상기 물체를 끌어올리도록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제1 태양의 인상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반력판의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슬릿이어도 된다.
제1 태양의 인상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인상 장치와 상기 반력판 사이에, 상기 물체를 상기 인상 장치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공간을 구획(define)해도 된다.
제1 태양의 인상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반력판으로부터 직립하는 복수의 다리부(脚部)와, 상기 다리부에 의해 상기 반력판과 평행하게 유지되고 또한 개구를 가지는 판부를 구비해도 되고, 상기 안내 공간이 상기 복수의 다리부, 상기 판부 및 상기 반력판의 사이에 구획되어도 된다.
제1 태양의 인상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안내 공간의, 상기 반력판의 상기 바닥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를 변경 가능해도 된다.
제1 태양의 인상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반력판은 착탈(着脫) 가능해도 된다.
제1 태양의 인상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반력판에 대하여 회동하는 상기 인상 장치의 회동 중심이, 상기 반력판의 상기 바닥면을 포함하는 면 내, 또는 상기 면의 상기 인상 장치와는 반대 측에 있어도 된다.
제1 태양의 인상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인상 장치가 중공 유압 잭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수저에 설치된 물체를 끌어올리기 위한 작업선으로서,
수상을 이동하기 위한 대선과,
상기 대선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1 태양의 인상 구조체와,
상기 인상 구조체를 상기 대선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작업선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을 따르면,
앵커부와 상기 앵커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로드부를 가지는 피봇 앵커를 수저에 설치하는 피봇 앵커 설치 방법으로서,
상기 앵커부를 상기 수저에 박아넣는 것과,
제1 태양의 인상 구조체를, 상기 인상 구조체의 반력판을 상기 수저에 접지시켜 상기 수저에 배치하는 것과,
상기 인상 구조체의 인상 장치에 의해 상기 로드부를 끌어올리고, 상기 앵커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피봇 앵커 설치 방법이 제공된다.
제3 태양 피봇 앵커 설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상 구조체를 상기 수저에 배치하는 것은, 상기 인상 장치와 상기 로드부를 걸어맞춤(engage)하는 것과, 상기 반력판을 상기 인상 장치에 대하여 회동시켜 상기 반력판을 상기 수저에 접지시키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인상 구조체, 상기 인상 구조체를 구비하는 작업선, 및 상기 인상 구조체를 이용하는 피봇 앵커 설치 방법에 의하면, 수저의 상태에 관계없이 보다 확실하게, 높은 작업 효율로, 수저에 설치된 물체를 위쪽으로 인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인상 구조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작업선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인상 구조체에 포함되는 중공 유압 잭의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중공 유압 잭을 사용하여 인상 로드를 끌어올리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피봇 앵커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4의 (a)∼도 4의 (c)는, 피봇 앵커 박아넣기 공정의 작업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의 (d), 도 5의 (e)는, 인상 구조체 설치 공정의 작업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5의 (f)는, 로드부 인상 공정의 작업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안내 공간의 보다 바람직한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인상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의 (a)∼도 8의 (d)는, 피봇 앵커를 땅속에 설치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의 (a)는, 인상 구조체에 포함되는 중공 유압 잭의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중공 유압 잭을 사용하여 인상 로드를 끌어올리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피봇 앵커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4의 (a)∼도 4의 (c)는, 피봇 앵커 박아넣기 공정의 작업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의 (d), 도 5의 (e)는, 인상 구조체 설치 공정의 작업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5의 (f)는, 로드부 인상 공정의 작업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안내 공간의 보다 바람직한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인상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의 (a)∼도 8의 (d)는, 피봇 앵커를 땅속에 설치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인상 구조체(2), 인상 구조체(2)를 구비하는 작업선(100), 및 작업선(100)을 이용하는 피봇 앵커 설치 방법에 대하여, 이들을 이용하여 경사진 수저에 피봇 앵커를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그리고, 피봇 앵커로서는, 예를 들면 포사이트(FORESIGHT)사의 맨트레이(상품명)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작업선(100)은, 선외기(14)를 포함하는 대선(1)과, 대선(1)에 와이어(W)를 통하여 연결된 인상 구조체(2)를 주로 갖는다. 도 1에 있어서, 대선(1)은 수면에 떠 있고, 인상 구조체(2)는 수저에 접지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있어서 선외기(14)가 위치하는 방향을, 작업선(100) 및 대선(1)의 뒤쪽이라고 하고, 그 반대 측(도 1 중, 마주 볼 때 왼쪽 하측)을 작업선(100) 및 대선(1)의 앞쪽으로 한다. 또한, 전후 방향으로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작업선(100) 및 대선(1)의 폭 방향으로 한다.
대선(1)은 상판(11)과, 상판(11)의 아래쪽에 배치된 한 쌍의 플로트(12)와, 상판(11)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마스트(13)와, 상판(11)의 측면에 장착된 선외기(14)를 주로 갖는다.
상판(11)은 대략 U자형 평판이고, 폭 방향의 중앙부에, 전단(前端)으로부터 뒤쪽을 향하는 절결(切缺)(1S)을 갖는다.
한 쌍의 플로트(12)는 각각, 대략 직육면체의 중공 부체(浮體)이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향하여, 절결(1S)을 폭 방향으로 협지(sandwich)하도록 상판(11)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한쪽의 플로트(12)는, 상판(11)의 폭 방향의 한쪽 에지를 따라 상판(11)에 장착되어 있고, 다른 쪽의 플로트(12)는, 상판(11)의 폭 방향의 다른 쪽 에지를 따라 상판(11)에 장착되어 있다.
마스트(13)는, 상판(11)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된 한 쌍의 지주(13a)와, 한 쌍의 지주(13a)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상판(11)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빔(13b)을 포함한다. 마스트(13)는 절결(1S)을 폭 방향으로 걸치고 있다. 마스트(13)의 한쪽의 지주(13a)에는 유압 게이지(G)가 장착되어 있고, 빔(13b)의 폭 방향의 중앙에는 윈치(이동 기구)(15)가 장착되어 있다.
선외기(14)는 상판(11)의 후측 에지에 장착되어 있다. 선외기(14)는 임의의 소형 선박용 엔진이면 된다.
그 외에, 대선(1)은 상판(11) 위에 설치된 유압 파워 유닛(40)을 구비한다. 유압 파워 유닛(40)은, 후술하는 중공 유압 잭(23)이나 유압 브레이커(50)의 유압원으로서 이용된다.
인상 구조체(2)는 반력판(21)과, 반력판(21)의 상면에 설치된 연결부(22)와, 연결부(22)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중공 유압 잭(23)을 주로 포함한다.
반력판(21)은, 중공 유압 잭(23)을 사용한 인상 작업 시에 그 바닥면(211)이 수저에 밀착되는 판 부재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철,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된 평판이다. 반력판(21)은 대략 U자형이고,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2S)을 갖는다.
연결부(22)는 반력판(21)으로부터 직립하는 4개의 다리부(221a, 22lb, 221c, 221d)와, 4개의 다리부(221a∼221d)에 의해 수평으로 유지된 수평 판부(222)와, 수평 판부(222)의 상면으로부터 직립하는 한 쌍의 수직 판부(223)를 포함한다.
다리부(221a∼221d)는 절결(2S)의 양측에 2개씩 설치되어 있다. 다리부(221a), 다리부(22lb)는, 절결(2S)의 한쪽에 있어서 절결(2S)의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반력판(21)에 접속되어 있고, 다리부(221c), 다리부(221d)는 절결(2S)의 다른 쪽에 있어서 절결(2S)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반력판(21)에 접속되어 있다.
수평 판부(222)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고, 그것의 네 코너에서, 4개의 다리부(221a∼221d)의 각각의 상단(上端)에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수평 판부(222)는 반력판(21)의 절결(2S)의 위쪽에, 반력판(21)과 평행하게 유지되어 있다. 수평 판부(222)의 중앙부에는, 수평 판부(222)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H)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있어서는 관통공(H)의 형상은 직사각형이지만, 관통공(H)은 정사각형, 원형 등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4개의 다리부(221a∼221d), 반력판(21)의 상면 및 수평 판부(222)의 하면에 의해, 직사각형의 안내 공간(GS)이 구획(define)된다. 안내 공간(GS)은 절결(2S), 관통공(H) 및 다리부(221a∼221d)의 인접하는 2개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안내 공간(GS)의 외측과 연통하고 있다.
반력판(2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 반력판(21)의 절결(2S)과, 안내 공간(GS)과, 관통공(H)은 겹쳐 있다. 안내 공간(GS)의 치수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반력판(21)과 수평한 면 내에 있어서, 중공 유압 잭(23)의 외형보다 안내 공간(GS)의 외형이 큰 것이 바람직하고, 안내 공간(GS)의 외형과 절결(2S)의 크기가 동일하거나, 또는 안내 공간(GS)의 외형보다 절결(2S)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수직 판부(223)는, 수평 판부(222)의 관통공(H)을, 절결(2S)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협지하여 대향하고 있다. 한 쌍의 수직 판부(223)의 각각에는 슬릿(S)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S)의 각각은 원호 형상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호의 중심(So)은 반력판(21)의 바닥면(211)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 위치한다.
중공 유압 잭(23)은 피봇 앵커 등의 인상을 행하는 인상 장치이고,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의 중공 실린더(231)와, 중공 실린더(231)의 일단 측에 설치된 소켓(232)을 갖는다.
중공 실린더(231)의 직경 방향의 중심부에는, 중심축(인상축)(A)을 따라 연장되는 구멍(231h)이 구획되어 있다. 중공 실린더(231)의 내부에는, 링형의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이 수용되어 있다.
소켓(232)은, 중공 실린더(231)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 측에 개구된 컵 형상이고, 그 저부에, 중심축(A)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작은 구멍(232h)을 갖는다. 소켓(232)의 내표면(232i)[도 2의 (b)]의 단면 형상은 중심축(A)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이고, 그 직경은 아래쪽[중공 실린더(231)에 가까운 위치]에서 작고, 위쪽[중공 실린더(232)로부터 먼 위치]을 향함에 따라 점차 커지고 있다. 즉, 소켓(232)의 내표면(232i)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2의 (b)].
중공 실린더(231) 내의 도시하지 않은 피스톤과 소켓(232)은 연결되어 있고, 피스톤이 중심축(A) 방향으로 이동하면, 소켓(232)도 중심축(A) 방향으로 이동한다.
중공 실린더(231)의, 소켓(232)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 측의 단부 근방의 외주면에는, 서로 반대 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한 쌍의 보스(b)가 고정되어 있다. 중공 유압 잭(23)은 한 쌍의 보스(b)를 연결부(22)의 수직 판부(223)의 한 쌍의 슬릿(S)에 삽입하여, 반력판(21) 및 연결부(2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중공 유압 잭(23)의 회동은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슬릿(S)은 각각 원호 형상이고, 원호의 중심(So)은 각각 반력판(21)의 바닥면(211)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중공 유압 잭(23)은, 보스(b)가 슬릿(S) 내를 슬라이딩함으로써, 한 쌍의 중심(So)을 연결하는 회동축(X)(도 1) 주위에, 절결(2S)의 연장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회동축(X)은, 반력판(21)의 바닥면(211)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절결(2S)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직교하고 있다.
중공 유압 잭(23)의 회동하는 범위는 임의이지만, 일례로서, 중심축(A)이 반력판(21)에 대하여 수직인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5°∼30° 정도의 범위다. 상기 범위의 전체에 있어서, 중심축(A)이 안내 공간(GS) 및 절결(2S) 내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인상 구조체(2)의 반력판(21)에는, 대선(1)의 마스트(13)로 장착된 윈치(15)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W)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대선(1)과 인상 구조체(2)가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인상 구조체(2)의 절결(2S)의 연장되는 방향 및 중공 유압 잭(23)의 회동 방향은, 대선(1)의 전후 방향에 일치한다. 또한, 인상 구조체(2)의 중공 유압 잭(23)의 회동축(X)이 연장되는 방향은, 대선(1)의 폭 방향에 일치한다. 대선(1)의 상판(1)의 절결(1S)과 반력판(21)의 절결(2S)은, 연장 방향이 일치하고 또한 상하 방향에 겹친다.
다음에, 도 3의 플로차트 및 도 4,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피봇 앵커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피봇 앵커 설치 방법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봇 앵커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안표를 수저에 배치하는 안표 배치 공정 S1과, 상기 안표의 위치에 피봇 앵커를 박아넣는 피봇 앵커 박아넣기 공정 S2와, 인상 구조체(2)를 수저에 배치하는 인상 구조체 배치 공정 S3과, 인상 구조체(2)에 의해 피봇 앵커의 로드부를 끌어올리는 로드부 인상 공정 S4와, 피봇 앵커의 인발 내력을 측정하는 인발 내력 측정 공정 S5를 포함한다.
안표 배치 공정 S1에서는, 피봇 앵커(90)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안표(M)를 수저(B)에 배치한다. 안표(M)는 일례로서, 일단부에 깃발을 장착하고, 타단부에 철근을 연접한 장대를 사용할 수 있다. GPS 측량기 및 광학식 측량 기기를 이용하여 다이버를 유도하면서, 수저(B)의 피봇 앵커(90)를 박아넣어야 하는 장소에 안표(M)의 철근을 꽂아 간다. 안표(M)를 배치함으로써, 피봇 앵커(90)를 설치해야 할 수저(B)의 위치를, 수면(s) 상에서 깃발을 시인(視認)하여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피봇 앵커 박아넣기 공정 S2에서는, 수저(B)의, 안표(M)에 의해 표시되는 위치에, 피봇 앵커(90)를 박아넣는다. 구체적인 순서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안표(M)의 위치에 작업선(100)을 이동시키고, 대선(1)의 절결부(1S) 및 인상 구조체(2)의 절결부(2S)의 내부에 안표(M)가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선(100)을 정지한다[도 4의 (a)]. 이 때, 작업선(100)의 전후 방향을, 수저(B)의 경사 방향에 일치시킨다.
다음에,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아넣기용 로드(93)의 상단부를 유압 핸드 브레이커(50)로 유지하고, 또한 박아넣기용 로드(93)의 하단부를 피봇 앵커(90)의 앵커부(91)의 구멍부(91h)[도 8 (a)]에 삽입하고, 안표(M)에 의해 지시되는 수저(B)의 위치에 앵커부(91)를 압입한다. 이 때, 로드부(92)의 회동 방향을, 작업선(100)의 전후 방향[즉, 인상 구조체(2)의 절결(2S)이 연장되는 방향 및 중공 유압 잭(23)의 회동 방향]에 일치시켜 둔다.
그 후, 유압 핸드 브레이커(50)와 대선(1) 상의 유압 파워 유닛(40)을 유압 호스(도시하지 않음)로 접속하여 유압 핸드 브레이커(50)를 작동시키고, 수직 아래쪽으로 압압력을 가하면, 유압 핸드 브레이커(50)는 피봇 앵커(90)의 앵커부(91)를 연직 아래쪽으로 박아넣는다[도 4의 (c)]. 박아넣기가 완료된 후, 유압 핸드 브레이커(50)와 박아넣기용 로드(93)를 제거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피봇 앵커 설치 방법에서는, 피봇 앵커(90)의 로드부(92)의 단부에 고리부(92c)를 설치하고, 고리부(92c)에 금속제의 인상용 로드(94)를 탈착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인상용 로드(94)의 접속은, 예를 들면, 인상용 로드의 일단에 설치된 자물쇠가 부착된 훅 등을 고리부(92c)에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행한다.
인상 구조체 배치 공정 S3에서는, 중공 유압 잭(23)을 사용한 피봇 앵커(90)의 인상을 행하기 위해, 인상 구조체(2)를 수저(B)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대선(1)을 약간 전진시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인상용 로드(94)가, 중공 유압 잭(23)의 중공 실린더(231)의 중심축(A)에 근접하도록 조정한다. 다음에, 대선(1)의 윈치(15)에 의해 와이어(W)를 풀어 인상 구조체(2)를 하강시키고, 인상용 로드(94)를 중공 유압 잭(23)의 중공 실린더(231)의 구멍(231h)에 통과시켜[도 5의 (d)], 반력판(21)을 수저(B)에 접지시킨다[도 5의 (e)].
여기에서, 인상용 로드(94)를 중공 실린더(231)의 구멍(231h)에 통과시킬 때에는, 인상용 로드(94)의 상단부를 절결(2S), 안내 공간(GS) 및 관통공(H)을 통하여 구멍(231h) 내에 유도한다.
피봇 앵커(90)의 로드부(92)는 작업선(100)의 전후 방향, 즉 절결(2S)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고리부(92c)를 통하여 로드부(92)에 접속된 인상용 로드(94)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인상용 로드(94)를 절결(2S)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인상용 로드(94)의 상단을 용이하게 절결(2S) 내에 유도할 수 있고, 그 후, 다리부(221a)와 다리부(221c) 사이를 통하여 용이하게 안내 공간(GS)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인상용 로드(94)의 상단을 안내 공간(GS)으로부터 구멍(231h)으로 유도할 때는, 다리(221a∼221d)의 사이로부터 공간(GS)을 시인하여, 인상용 로드(94)의 상단을 용이하게 관통공(H)으로 안내하고, 그 후, 구멍(231h)으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도 5의 (d), 도 5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저가, 작업선(100)의 뒤쪽의 수심이 앞쪽의 수심보다 깊어지게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반력판(21)이 수저(B)에 접지할 때, 먼저 반력판(21)의 전단(前端) 측이 수저(B)에 접촉한다. 그 후, 반력판(21)은, 후단(後端) 측이 더 강하됨에 따라 경사지고, 마지막에 후단 측이 수저(B)에 접촉한다. 이로써, 반력판(21)은 경사진 수저(B)에 밀착되어 접지한다.
작업선(100)은, 그 전후 방향이 수저(B)의 경사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중공 유압 잭(23)의 회동 방향도 수저(B)의 경사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반력판(21)의 경사에 따라 중공 유압 잭(23)을 회동시키고, 중공 유압 잭(23)의 중공 실린더(231)의 중심축(A)을 수직으로 유지하면서, 반력판(21)을 경사진 수저(B)에 접지할 수 있다.
로드부 인상 공정 S4에서는, 중공 유압 잭(23)을 사용하여 인상용 로드(94)를 끌어올리고, 피봇 앵커(90)를 수저(B)에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중공 유압 잭(23)과 대선(1) 상의 유압 파워 유닛(40)을 유압 호스(도시하지 않음)로 접속한다. 이로써, 중공 실린더(231) 내에 유압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중공 유압 잭(23)과 대선(1) 상에 배치된 유압 게이지(G)도 유압 호스(도시하지 않음)로 접속한다. 이로써, 중공 실린더(231) 내의 피스톤, 나아가서는 소켓부(232)에 걸리는 하중을 대선(1) 상의 유압 게이지(G)로 판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피봇 앵커(90)의 로드부(92)를 끌어올릴 때에는,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부(92)에 연결된 인상용 로드(94)를 협지하도록, 소켓(232) 내에 2개의 쐐기형 협지구(挾持具)(233)를 배치한다. 쐐기형 협지구(233)는, 일례로서 원뿔대를 중심축을 따라 2분할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소켓(232)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는, 외주면(233o)이 소켓(232)의 내주면(232i)과 접촉하고, 내측 평면(233i)이 인상용 로드(94)와 접촉하고 있다.
여기에서, 쐐기형 협지구(233)의 내측 평면(233i)은, 인상용 로드(94)에 대한 슬라이딩이 억제되도록 가공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소켓(232)을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인상용 로드(94)를 협지하여 배치된 2개의 쐐기형 협지구(233)는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는 소켓(232)의 내주면(232i)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에 압압되어, 보다 강고하게 인상용 로드(94)를 협지한다. 쐐기형 협지구(233)는 이와 동시에 위쪽으로도 압압되므로, 쐐기형 협지구(233)에 협지된 인상용 로드(94)도 위쪽으로 끌어올려진다. 이로써, 인상용 로드(94)에 접속된 로드부(92)가 끌어올려져 피봇 앵커(90)의 앵커부(91)가 회전하고, 피봇 앵커(90)가 수저(B)에 고정된다[도 5의 (f)].
로드부(92)의 인상 시에는, 로드부(92) 및 인상용 로드(94)는 위쪽으로 이동하고, 로드(92)의 고리부(92c)와, 이것에 접속된 인상용 로드(94)의 자물쇠가 부착된 훅은 절결(2S) 및 안내 공간(GS) 내를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안내 공간(GS)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고리부(92c)나 자물쇠가 부착된 훅과 중공 실린더(231)의 충돌이 억제되고 있다.
그리고, 로드부(92)의 인상 시에는, 대선(1) 상에서 유압 게이지(G)가 나타내는 하중의 값을 확인한다. 유압 게이지(G)가 나타내는 하중의 값이 급상승하면, 앵커부(91)가 회전하고, 피봇 앵커(90)가 수저(B)에 고정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대선(1) 상에서 유압 게이지(G)가 나타내는 하중의 값의 급상승을 확인한 작업자로부터, 수중에서 중공 유압 잭(23)을 조작하는 다이버로의 연락은, 수중 무선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압 게이지(G)를 대선(1) 상에 배치함으로써, 수중의 시야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도, 정확하게 유압 게이지(G)의 값을 파악할 수 있다.
인발 내력 측정 공정 S5에서는, 피봇 앵커(90)가 충분한 인발 내력을 가지고 수저(B)에 설치되어서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인발 내력 측정 공정 S5는, 로드부 인상 공정 S4에서 사용한 중공 유압 잭(23) 및 쐐기형 협지구(233)를 그대로 사용한다. 일례로서, 인발 내력으로서 40kN을 가지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에는, 중공 유압 잭(23)의 유압을 상승시키고, 유압 게이지(G)가 나타내는 하중의 값이 40kN에 이르는 것을 확인한다. 이 때, 피봇 앵커(90)가 뽑아내어지지 않고 유압 게이지(G)가 나타내는 하중의 값이 40kN에 도달하면, 피봇 앵커(90)는 충분한 인발 내력(40kN)을 가지고 수저(B)에 설치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유압 게이지(G)가 나타내는 하중의 값이 40kN에 이르지 않고 앵커부(91)가 끌어올려지면, 피봇 앵커(90)는 충분한 인발 내력(40kN)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설치한 피봇 앵커(90)가 충분한 인발 내력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면, 하나의 피봇 앵커(90)의 배치는 완료된다. 윈치(15)에 의해 와이어(W)를 감아올려 인상 구조체(2)를 상승시키고, 다음의 안표(M)가 나타내는 위치로 작업선(100)을 이동시킨다. 다음의 안표(M)에 작업선(100)을 이동시킨 후에는, 상기의 공정 S2∼공정 S5을 반복하여 2개째의 피봇 앵커(90)를 설치한다.
본 실시형태의 인상 구조체(2), 작업선(100) 및 피봇 앵커 설치 방법의 효과를 이하에 정리한다.
본 실시형태의 인상 구조체(2)는, 중공 유압 잭(23)이 반력판(2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저의 상태에 관계없이 보다 확실하게, 높은 작업 효율로 중공 유압 잭(인상 장치)(23)을 사용한 로드부의 위쪽으로의 인장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발명자의 지견에 의하면, 피봇 앵커의 앵커부를 수저에 박아넣었을 때, 로드부는 반드시 수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고, 수저에 대하여 90° 이외의 여러 가지 각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경사면인 수저에 로드부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로드부는 수저에 대해서는 수직이 아니다.
본 실시형태의 인상 구조체(2)는, 중공 유압 잭(23)이 반력판(2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경사진 수저에 있어서도, 중공 유압 잭(23)을 수직으로 배치하고, 또한 반력판(21)의 바닥면을 수저에 밀착하여 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배치된 인상 구조체(2)에 의해, 수저에 대하여 수직이 아닌 로드부의 인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인상 구조체(2)는, 중공 유압 잭(23)의 중공 실린더(231)의 구멍(231h)의 아래쪽으로 안내 공간(GS)이 구획되어 있고, 안내 공간(GS)과 절결(2S)이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인상용 로드(94)를 구멍(231h)에 통과시킬 때는, 절결(2S) 및 공간(GS)을 가이드로서 이용할 수 있고, 시야가 나쁜 수중이라도, 인상용 로드(94)의 단부를 용이하게 구멍(231h)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인상 구조체(2)는, 중공 유압 잭(23)의 중공 실린더(231)의 구멍(231h)의 하단부와 반력판(21) 사이에 공간(GS)을 가지므로, 지반이 완만하여, 인상 시에 로드부(92)가 크케 위쪽으로 이동하는 경우라도, 로드부(92)의 단부에 설치된 고리부(92c)와 중공 유압 잭(23)이 충돌되기 어렵다.
본 실시형태의 인상 구조체(2)는, 중공 유압 잭(23)을 반력판(21)에 의해 지지한 상태에서, 로드부(92)의 인상 작업을 행하고 있고, 로드부(92)의 인상 시에 생기는 반력[수저(B)를 압압하는 힘]은, 면적이 큰 반력판(21)의 바닥면을 통하여 수저에 가해진다. 따라서 로드부(92)의 인상에 요하는 힘이 비교적 커도, 수저의 단위면적당에 가해지는 힘은 작아지고, 수저가 약해도, 로드부(92)의 인상 시에 생기게 하는 반력을 안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중공 유압 잭(23)의 수저로의 관입 등을 생기게 하지 않고 로드부(92)의 인상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인상 구조체(2)는, 중공 유압 잭(23)과 반력판(21)이 일체로 접속된 구성을 가지므로, 수중에 있어서 반력판(21) 상에 중공 유압 잭(23)을 배치하는 수고가 없다. 또한, 대선(1)을 이용한 반력판(21)과 중공 유압 잭(23)의 이동, 배치로 한번에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인상 구조체(2)는, 반력판(21)에 의해 작업 개소(箇所)의 주위의 수저(B)로부터 진흙이나 오니가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다이버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업선(100)도 인상 구조체(2)를 구비하기 때문에, 인상 구조체(2)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작업선(100)은 경량이며 흘수가 작은 대선(1)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일례로서 수심이(70) 센티 정도의 얕은 여울에도 진입할 수 있고, 얕은 여울에서 말뚝이나 앵커의 박아넣기, 뽑아내기 작업을 바람직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업선(100)은 절결(1S)을 가지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U자형의 대선(1)과, 절결(2S)을 가지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U자형의 반력판(21)을 가지고 있고, 절결(1S)과 절결(2S)은 평면에서 볼 때 서로 중복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작업선(100)에 의하면, 절결(1S, 2S) 내에 안표(M)를 위치시킴으로써, 안표(M)의 바로 위에 작업선(100)을 배치할 수 있고, 안표(M)에 의해 표시된 수저(B)의 위치에, 정확하게 피봇 앵커(90)를 박아넣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피봇 앵커 설치 방법도 작업선(100)을 사용하므로, 작업선(100)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인상 구조체(2), 작업선(100) 및 피봇 앵커 설치 방법에 있어서, 다음의 변형 태양을 채용해도 된다.
인상 구조체(2)는, 반드시 대선(1)에 연결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대선(1)을 갖지 않는 인상 구조체(2)를, 크레인선 등으로 이동시키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의 인상 구조체(2)에 있어서는, 반력판(21)은 절결(2S)을 가지는 대략 U자형이었으나, 반력판(21)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반력판(21)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대략 O자 형상이어도 된다. 그 외, 임의의 형상의 판 부재에, 임의의 형상의 개구나 슬릿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사용 가능한 반력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반력판은 반드시 1개가 아니어도 되고, 연결부(22) 또는 중공 유압 잭(23)에 대하여 접속된 복수 개의 판자부여도 된다. 즉, 반력판은 중공 유압 잭(23)에 대하여 반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수 및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인상 구조체(2)에 있어서, 반력판(21)의 바닥면(211)은 평탄면이면 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바닥면(211)에 요철을 형성하여 미끄러짐 방지로 해도 된다. 또한, 반력판(21)의 바닥면(211)의 일부(예를 들면, 외측 에지를 따름)에, 목제나 금속제의 각기둥을 길이 방향이 반력판(21)을 따르도록 고정하여 미끄러짐 방지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인상 구조체(2)에 있어서는, 연결부(22)의 수직 판부(223)의 슬릿(S)은 원호형이며, 원호의 중심(So)은 반력판(21)의 바닥면(211)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심(So)의 위치는 임의지만, 반력판(21)의 바닥면(211)의, 슬릿(S)과는 반대 측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 시에 중심(So)이 피봇 앵커(90)의 회동 중심[즉, 연결부(91P)]의 근방으로 되도록 슬릿(S)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형태의 인상 구조체(2)에 있어서는, 연결부(22)의 다리부(221a∼221d)는 반력판(21)으로부터 직립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리부(221a∼221d)는, 반력판(21)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된다. 연결부(22)의 다리부(221a∼221d)가 반력판(21)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인상 구조체(2)는, 보다 경사각이 큰 수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리부(221a∼221d)의 길이 및/또는 다리부(221a∼221d)의 반력판(21)에 대한 각도는 변경 가능해도 된다. 다리부(221a∼221d)의 길이를 변경 가능하게 하면, 수저의 지반이 무른 경우에는 다리부(221a∼221d)를 길게 하여 로드부(92)의 고리부(92c)의 위쪽으로의 큰 이동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리부(221a∼221d)를 짧게 하여 인상 구조체(2)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다리부(221a∼221d)의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하면, 수저의 경사각에 따라서 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인상 구조체(2)를 여러가지 경사각의 수저에 대하여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연결부(22)는, 반력판(2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해도 된다. 이로써, 수저의 지반의 견고함에 따라서, 반력판(21)을 교체할 수 있다. 수저의 지반이 약할 경우에는 면적이 큰 반력판(21)을 사용하고, 수저의 지반이 강고할 경우에는 면적이 작은 반력판(21)을 사용한다. 그리고, 연결부(22)와 분리된 반력판(21)을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반력판(21)에 크레인 등의 훅을 걸어맞추기 위한 링 등을 설치해도 된다.
연결부(22)의 다리부(221a∼221d) 사이의 간극은, 판 등으로 막혀 있어도 된다. 또한, 공간(GS)을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판을 사용하여 막아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인상 구조체(2)에 있어서는, 연결부(22)는 4개의 다리부(221a∼221d)와, 수평 판부(222)과, 수직 판부(223)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결부(22)는, 반력판(21)과 중공 유압 잭(23) 사이에 소정의 안내 공간을 부여하고, 또한 반력판(21)과 중공 유압 잭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임의의 구성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4개의 다리부(221a∼221d)를 대신하여, 원통형 또는 원뿔통형의 받침부에 의하여, 수평 판부(222) 및 수직 판부(223)를 지지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통 형상의 받침부의 내측에 안내 공간이 구획된다.
연결부(22)에 의해 구획되는 안내 공간의 상하 방향[반력판(21)에 수직인 방향]의 치수는, 로드부(92)를 끌어올릴 때, 위쪽으로 이동하는 고리부(92c)가 중공 유압 잭(23)에 접촉하지 않는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50cm∼150cm 정도로 할 수 있다.
연결부(22)에 의해 구획되는 안내 공간의, 반력판(21)에 수평인 면 내에 있어서의 직경은, 로드부(92)를 끌어올릴 때, 아래쪽으로부터 상승해 오는 고리부(92c)가 안내 공간의 내부를 양호하게 통과할 수 있는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유압 잭(23)이 반력판(21)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을 경우, 안내 공간이, 중공 유압 잭(23)의 외경 D와 같은 정도의 직경 d1을 가지는 안내 공간(GS1)이면, 로드부(92)의 고리부(92c)는, 안내 공간(GS1)을 구획하는 외주벽[예를 들면, 다리부(221a∼221d) 사이의 판이나 원통형, 원뿔통형의 받침부]에 충돌하고, 위쪽으로의 이동이 방해될 우려가 있다.
한편, 안내 공간이, 중공 유압 잭(23)의 외경 D보다 큰 직경 d2를 가지는 안내 공간(GS2)이면, 로드부(92)의 고리부(92c)는 안내 공간(GS2)를 구획하는 외주벽에 충돌하지 않고, 안내 공간(GS2) 내를 양호하게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안내 공간의 직경은 중공 유압 잭(23)의 외경 D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안내 공간의 직경을 중공 유압 잭(23)의 외경 D의 1.2배∼2배 정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중공 유압 잭(23)의 외경 D와 안내 공간의 직경과의 대소 관계는, 적어도 중공 유압 잭(23)의 회동 방향에 있어서 성립하고 있으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인상 구조체(2)에 있어서, 연결부(22)는 안내 공간 GS를 구획하지 않아도 된다. 그와 같은 연결부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221a∼221d)를 갖지 않고, 수평 판부(222)가 반력판(21)에 직접 장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연결부(22)는 수평 판부(222)를 갖지 않아도 되고, 이 경우에는, 수직 판부(223)가 반력판(21)에 직접 장착된 구조를 갖는다. 그 외에, 연결부(22)를 대신하여, 중공 유압 잭(23)과 반력판(21)을, 중심축(A)에 대하여 반력판(21)의 바닥면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임의의 구성을 가지는 부분을 연결부로 할 수 있다. 안내 공간을 형성하지 않는 인상 구조체도, 고리부(92c)를 갖지 않는 로드부(92)의 인상 등에는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인상 구조체(2)에 있어서는, 중공 유압 잭(23)은 소정의 한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연결부(22)에 연결되어 있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공 유압 잭(23)과 반력판(21)의 연결에 볼 조인트 등을 사용하여, 중공 유압 잭(23)을, 반력판(21)에 수평한 임의의 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인상 구조체(2)를 수저에 배치할 때, 중공 유압 잭(23)의 회동 방향이 수저의 경사 방향에 일치하도록 조정할 필요가 없다.
상기 실시형태의 인상 구조체(2)에 있어서는, 인상 장치로서 중공 유압 잭(23)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상 장치는 로드부(92) 등의 수저에 설치된 부재를 수면 방향으로 인상 가능한 장치이면 되고, 중공 유압 잭(23)을 대신해서 체인 블록, 윈치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작업선(100)에서는, 와이어(W)는 인상 구조체(2)의 중심 위치에서 반력판(21)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1개의 와이어에 의해 인상 구조체(2)의 부상 및 하강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러나, 대선(1)과 인상 구조체(2)의 접속은, 복수의 와이어(W)를 사용하여 행해도 된다. 또한, 이동 기구로서, 윈치(15)를 대신하여 레버 블록(등록상표) 등의 수동으로 와이어(W)를 권취(卷取)하는 기구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피봇 앵커 설치 방법에서는, 피봇 앵커(90)의 박아넣기를 대선(1) 위로부터 행하였으나, 피봇 앵커(90)의 박아넣기를 수중에서 행해도 되고, 특허문헌 2에 공개되는 작업선을 이용하여 행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피봇 앵커 설치 방법에서는, 피봇 앵커(90)의 로드부(92)에 인상용 로드(94)를 연결하여, 중공 유압 잭(23)에 의해 인상용 로드(94)를 통하여 로드부(92)를 끌어올리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상용 로드(94)를 대신하여 와이어를 사용해도 되고, 인상용 로드(94)를 사용하지 않고 중공 유압 잭(23)에 의해 직접 로드부(92)를 끌어올려도 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작업선(100)을 이용하여 피봇 앵커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이미 설치된 말뚝·앵커 등을 뽑아내는 경우에, 인상 구조체(2) 또는 작업선(100)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인상 구조체(2) 또는 작업선(100)은, 수저에 대하여 수직으로부터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말뚝·앵커의 제거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을 유지하는 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서 고려되는 그 외의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을, 하기의 태양 1∼태양 12 중 어느 하나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태양 1∼태양 12의 각각은, <태양>의 표제 아래에 열기된 특징을 포함한다.
<태양 1>
수저에 설치된 물체를 끌어올리기 위한 인상 구조체로서,
인상축을 가지고, 상기 인상축을 따라 상기 물체를 끌어올리는 인상 장치와,
상기 인상 장치에 의한 상기 물체의 인상 시에 상기 수저를 압압하는 바닥면을 가지는 반력판과,
상기 인상 장치와 상기 반력판을, 상기 인상축에 대하여 상기 바닥면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인상 구조체.
<태양 2>
상기 반력판은 상기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대향하는 상면 사이에 걸치는 관통부를 가지고,
상기 인상 장치와 상기 반력판은, 상기 인상 장치가 상기 관통부를 통하여 상기 물체를 끌어올리도록 연결되어 있는 태양 1에 기재된 인상 구조체.
<태양 3>
상기 관통부는, 상기 반력판의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슬릿인 태양 2에 기재된 인상 구조체.
<태양 4>
상기 연결부가, 상기 인상 장치와 상기 반력판 사이에, 상기 물체를 상기 인상 장치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공간을 구획하는 태양 1∼ 태양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상 구조체.
<태양 5>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반력판으로부터 직립하는 복수의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에 의해 상기 반력판과 평행하게 유지되고 또한 개구를 가지는 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공간이 상기 복수의 다리부, 상기 판부 및 상기 반력판에 구획되는 태양 4에 기재된 인상 구조체.
<태양 6>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안내 공간의, 상기 반력판의 상기 바닥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를 변경 가능한 태양 4 또는 5에 기재된 인상 구조체.
<태양 7>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반력판은 탈착 가능한 태양 1∼태양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상 구조체.
<태양 8>
상기 반력판에 대하여 회동하는 상기 인상 장치의 회동 중심이, 상기 반력판의 상기 바닥면을 포함하는 면 내, 또는 상기 면의 상기 인상 장치와는 반대 측에 있는 태양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상 구조체.
<태양 9>
상기 인상 장치가 중공 유압 잭인 태양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상 구조체.
<태양 10>
수저에 설치된 물체를 끌어올리기 위한 작업선으로서,
수상을 이동하기 위한 대선과,
상기 대선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접속된 태양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상 구조체와,
상기 인상 구조체를 상기 대선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포함하는 작업선.
<태양 11>
앵커부와 상기 앵커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로드부를 가지는 피봇 앵커를 수저에 설치하는 피봇 앵커 설치 방법으로서,
상기 앵커부를 상기 수저에 박아넣는 것과,
태양 1∼태양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상 구조체를, 상기 인상 구조체의 반력판을 상기 수저에 접지시켜 상기 수저에 배치하는 것과,
상기 인상 구조체의 인상 장치에 의해 상기 로드부를 끌어올리고, 상기 앵커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피봇 앵커 설치 방법.
<태양 12>
상기 인상 구조체를 상기 수저에 배치하는 것은, 상기 인상 장치와 상기 로드부를 걸어맞추는 것과, 상기 반력판을 상기 인상 장치에 대하여 회동시켜 상기 반력판을 상기 수저에 접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태양 11에 기재된 피봇 앵커 설치 방법.
본 발명의 인상 구조체, 작업선 및 피봇 앵커 설치 방법에 의하면, 수저가 경사진 불리한 작업 환경에 있어서도, 말뚝·앵커의 제거 작업이나, 피봇 앵커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상 구조체, 작업선 및 피봇 앵커 설치 방법에 의하면, 수상 공간의 유효한 이용을 한층 더 촉진할 수 있다.
100 : 작업선
1 : 대선
11 : 상판
12 : 플로트
13 : 마스트
14 : 선외기
15 : 윈치
1S : 절결
2 : 인상 구조체
21 : 반력판
22 : 연결부
23 : 중공 유압 잭
40 : 유압 파워 유닛
50 : 유압 핸드 브레이커
90 : 피봇 앵커
W : 와이어
1 : 대선
11 : 상판
12 : 플로트
13 : 마스트
14 : 선외기
15 : 윈치
1S : 절결
2 : 인상 구조체
21 : 반력판
22 : 연결부
23 : 중공 유압 잭
40 : 유압 파워 유닛
50 : 유압 핸드 브레이커
90 : 피봇 앵커
W : 와이어
Claims (15)
- 수저(水底)에 설치된 물체를 끌어올리기 위한 인상 구조체로서,
인상축을 가지고, 상기 인상축을 따라 상기 물체를 끌어올리는 인상 장치;
상기 인상 장치에 의한 상기 물체의 인상 시에 상기 수저를 압압(押壓)하는 바닥면을 가지는 반력판; 및
상기 인상 장치와 상기 반력판을, 상기 인상축에 대하여 상기 바닥면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반력판에 대하여 회동하는 상기 인상 장치의 회동 중심이, 상기 반력판의 상기 바닥면을 포함하는 면 내, 또는 상기 면의 상기 인상 장치와는 반대 측에 있는,
인상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판은 상기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대향하는 상면 사이에 걸치는 관통부를 가지고,
상기 인상 장치와 상기 반력판은, 상기 인상 장치가 상기 관통부를 통하여 상기 물체를 끌어올리도록 연결되어 있는, 인상 구조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반력판의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슬릿인, 인상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인상 장치와 상기 반력판 사이에, 상기 물체를 상기 인상 장치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공간을 구획하는, 인상 구조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반력판으로부터 직립하는 복수의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에 의해 상기 반력판과 평행하게 유지되고 또한 개구를 가지는 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공간이 상기 복수의 다리부, 상기 판부 및 상기 반력판의 사이에 구획되는, 인상 구조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안내 공간의, 상기 반력판의 상기 바닥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인상 구조체. - 수저에 설치된 물체를 끌어올리기 위한 인상 구조체로서,
인상축을 가지고, 상기 인상축을 따라 상기 물체를 끌어올리는 인상 장치;
상기 인상 장치에 의한 상기 물체의 인상 시에 상기 수저를 압압하는 바닥면을 가지는 반력판; 및
상기 인상 장치와 상기 반력판을, 상기 인상축에 대하여 상기 바닥면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인상 장치와 상기 반력판 사이에, 상기 물체를 상기 인상 장치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공간을 구획하는,
인상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반력판으로부터 직립하는 복수의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에 의해 상기 반력판과 평행하게 유지되고 또한 개구를 가지는 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공간이 상기 복수의 다리부, 상기 판부 및 상기 반력판의 사이에 구획되는, 인상 구조체. - 수저에 설치된 물체를 끌어올리기 위한 인상 구조체로서,
인상축을 가지고, 상기 인상축을 따라 상기 물체를 끌어올리는 인상 장치;
상기 인상 장치에 의한 상기 물체의 인상 시에 상기 수저를 압압하는 바닥면을 가지는 반력판; 및
상기 인상 장치와 상기 반력판을, 상기 인상축에 대하여 상기 바닥면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반력판은 착탈(着脫) 가능한,
인상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3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반력판은 착탈 가능한, 인상 구조체. -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판에 대하여 회동하는 상기 인상 장치의 회동 중심이, 상기 반력판의 상기 바닥면을 포함하는 면 내, 또는 상기 면의 상기 인상 장치와는 반대 측에 있는, 인상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 장치가 중공 유압 잭인, 인상 구조체. - 수저에 설치된 물체를 끌어올리기 위한 작업선으로서,
수상을 이동하기 위한 대선(臺船);
상기 대선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상 구조체; 및
상기 인상 구조체를 상기 대선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
를 포함하는 작업선. - 앵커부와 상기 앵커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로드부를 가지는 피봇 앵커를 수저에 설치하는 피봇 앵커 설치 방법으로서,
상기 앵커부를 상기 수저에 박아넣는 단계;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상 구조체를, 상기 인상 구조체의 반력판을 상기 수저에 접지시켜 상기 수저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인상 구조체의 인상 장치에 의해 상기 로드부를 끌어올리고, 상기 앵커부를 회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봇 앵커 설치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 구조체를 상기 수저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인상 장치와 상기 로드부를 걸어맞추는 단계와, 상기 반력판을 상기 인상 장치에 대하여 회동시켜 상기 반력판을 상기 수저에 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봇 앵커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05143774 | 2016-12-29 | ||
TW105143774A TW201823556A (zh) | 2016-12-29 | 2016-12-29 | 上拉構造體、作業船及樞動錨設置方法 |
JP2017035339A JP6202658B1 (ja) | 2016-12-29 | 2017-02-27 | 引上げ構造体、作業船及び枢動アンカー設置方法 |
JPJP-P-2017-035339 | 2017-02-2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8135A true KR20180078135A (ko) | 2018-07-09 |
Family
ID=5996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4623A KR20180078135A (ko) | 2016-12-29 | 2017-11-01 | 인상 구조체, 작업선 및 피봇 앵커 설치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2) | JP6202658B1 (ko) |
KR (1) | KR20180078135A (ko) |
AU (1) | AU2017248492B1 (ko) |
TW (1) | TW20182355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98931B (zh) * | 2018-07-19 | 2021-01-15 | 钱枫 | 一种船舶用太阳能和风力组合式发电装置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48873A (ja) * | 2001-05-23 | 2002-12-04 | Ohmoto Gumi Co Ltd | 捨石均し工法および捨石均し装置 |
KR101036013B1 (ko) * | 2009-02-19 | 2011-05-23 | 김용만 | 강연선 재인장 장치 |
KR20110085322A (ko) * | 2010-01-20 | 2011-07-27 | 조석동 | 형강파일 인발기 |
JP2013047413A (ja) * | 2011-08-29 | 2013-03-07 | Yuji Arahama | 受圧板 |
JP2015217802A (ja) * | 2014-05-16 | 2015-12-07 | 株式会社日本ランテック | 作業船及び枢動アンカー設置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22902A (en) * | 1977-07-23 | 1979-02-21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 Marine foothold device |
US4606674A (en) * | 1984-04-23 | 1986-08-19 | Capron Mark E | Structural wheel element |
JPS6131590A (ja) * | 1984-07-20 | 1986-02-14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海底試掘装置 |
JPS6132287U (ja) * | 1984-07-31 | 1986-02-26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海底掘削用水中航走体 |
JP2981160B2 (ja) * | 1995-11-06 | 1999-11-22 | 株式会社技研製作所 | 水上作業装置、及び水上杭圧入施工方法 |
JP3046128U (ja) * | 1997-03-28 | 1998-02-24 | 株式会社中研コンサルタント | ロッド引抜き器 |
US7789594B2 (en) * | 2007-08-10 | 2010-09-07 | Foresight Products, Llc | Ground anchor |
US7635239B2 (en) * | 2007-08-24 | 2009-12-22 | Oceaneering International, Inc. | Subsea suction pile crane system |
NO330317B1 (no) * | 2008-06-23 | 2011-03-28 | Fensfjord Mooring As | Fremgangsmate for forankring av en fortoyningsline til et undervannsfeste |
GB2488839B (en) * | 2011-03-11 | 2015-10-28 | Mclaughlin & Harvey Ltd | A system and method for the installations of underwater foundations |
-
2016
- 2016-12-29 TW TW105143774A patent/TW201823556A/zh unknown
-
2017
- 2017-02-27 JP JP2017035339A patent/JP6202658B1/ja active Active
- 2017-09-06 JP JP2017171264A patent/JP6252882B1/ja active Active
- 2017-10-19 AU AU2017248492A patent/AU2017248492B1/en not_active Ceased
- 2017-11-01 KR KR1020170144623A patent/KR2018007813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48873A (ja) * | 2001-05-23 | 2002-12-04 | Ohmoto Gumi Co Ltd | 捨石均し工法および捨石均し装置 |
KR101036013B1 (ko) * | 2009-02-19 | 2011-05-23 | 김용만 | 강연선 재인장 장치 |
KR20110085322A (ko) * | 2010-01-20 | 2011-07-27 | 조석동 | 형강파일 인발기 |
JP2013047413A (ja) * | 2011-08-29 | 2013-03-07 | Yuji Arahama | 受圧板 |
JP2015217802A (ja) * | 2014-05-16 | 2015-12-07 | 株式会社日本ランテック | 作業船及び枢動アンカー設置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202658B1 (ja) | 2017-09-27 |
JP6252882B1 (ja) | 2017-12-27 |
TW201823556A (zh) | 2018-07-01 |
JP2018109343A (ja) | 2018-07-12 |
JP2018109340A (ja) | 2018-07-12 |
AU2017248492B1 (en) | 2018-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78135A (ko) | 인상 구조체, 작업선 및 피봇 앵커 설치 방법 | |
JP4079986B1 (ja) | 水中捨石均し装置及び水中捨石均し工法 | |
JP3984644B1 (ja) | 水中捨石均し装置及び水中捨石均し工法 | |
US7121310B2 (en) | Underwater pile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 |
JP5641270B1 (ja) | 作業船及び枢動アンカー設置方法 | |
JP2015117507A (ja) | 傾斜修復器具 | |
KR20110131660A (ko) | 장작 절단기 | |
CN110939117B (zh) | 一种船舶登陆定位装置 | |
KR101683848B1 (ko) | 내진 및 진동에 강한 phc파일용 두부 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phc파일 두부 연결공법 | |
US10633817B2 (en) | Removing submerged piles of offshore production platforms | |
KR102306839B1 (ko) | 수상 지지축 설치방법 | |
KR20140055450A (ko) | 바지선의 잭업장치 | |
JP2017155485A (ja) | 傾斜修復器具 | |
KR102016315B1 (ko) | 스퍼드캔구조물 | |
CN214834894U (zh) | 后张预应力钢绞线智能穿束机 | |
CN221409725U (zh) | 一种海草种植用工具铲 | |
CN105274988B (zh) | 一种方便施工的锚杆 | |
CN215199851U (zh) | 一种桥梁建设用管道切割装置 | |
KR102273202B1 (ko) | 멍 설치 로프 절단 장치 | |
CN214272025U (zh) | 一种水上打桩机 | |
KR102425461B1 (ko) | 해상 피비디 타설장치 및 해상 피비디 시공방법 | |
CN210852802U (zh) | 压桩式平台定位装置 | |
KR102085578B1 (ko) |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 |
JP2004238804A (ja) | 丁張装置及び丁張装置を用いた法面の施工方法 | |
JPH07331892A (ja) | プランジカッターと切断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