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845A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845A
KR20180077845A KR1020160182609A KR20160182609A KR20180077845A KR 20180077845 A KR20180077845 A KR 20180077845A KR 1020160182609 A KR1020160182609 A KR 1020160182609A KR 20160182609 A KR20160182609 A KR 20160182609A KR 20180077845 A KR20180077845 A KR 20180077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astening member
insertion tube
pulling
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2861B1 (ko
Inventor
박용범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to KR1020160182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86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0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vagina, i.e. vagin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61B2017/4216Operations on uterus, e.g. endometrium

Abstract

여성의 질 내부와 같은 피검사체 내부로 영상 장비, 처치구 등과 같은 도구를 삽입함에 있어서, 피검사자가 느낄 수 있는 거부감이나 통증을 줄이고, 피검사체 내부의 확장이 용이하며, 피검사체 내부가 확장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이 마련되어 피검사체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관, 상기 삽입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는 견인관, 상기 삽입관의 전단부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삽입관의 전단을 유선형으로 감싸며, 상기 견인관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관이 견인됨에 따라 전단부가 전개되는 복수의 전개판 및 상기 삽입관과 상기 견인관에 연결되어 복수의 전개판의 전개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전개유지부를 포함하므로, 카테터를 이용한 검사, 또는 수술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테터 {CATHETER}
본 발명은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사체 내부에 영상 장비, 처치구 등과 같은 도구를 삽입하기 위해 피검사체 내부에 삽입하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자궁 근종(Uterine Fibroids) 진단 결과, 근종을 절제해야 하는 근종제거술은 근종의 위치와 환자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자궁경 근종절제술(Hysteroscopic myomectomy), 개복 근종절제술(Abdominal myomectomy), 복강경 근종절제술(Laparoscopic myomectomy)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자궁경 근종절제술은 카메라와 조명을 장착한 자궁경을 자궁 내부로 삽입하여 자궁 내부 영상을 확보한다. 자궁경을 통한 수술시, 자궁경에 장착된 도구로 근종을 잘게 자른 후 자궁 밖으로 제거한다. 이러한 방법은 근종이 점막하 근종이거나 자궁내 공간으로 튀어 나온 근종의 경우에만 사용 가능하다.
개복 근종절제술은 근종 크기가 크거나 숫자가 많을 경우 사용한다. 외과의는 치골 위쪽으로 복부를 절개하고 자궁으로부터 근종을 외과적으로 제거한다.
복강경 근종절제술은 장막하 근종, 유경성 근종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복강경 근종절제술은 환자의 생체에 미치는 상해나 영향을 줄인 '최소 침습 수술' 방법의 하나로서, 복부나 흉부를 절개하는 대신 0.5~1.5㎝ 크기의 작은 구멍을 뚫고 특수 카메라가 장착된 내시경(복강경)을 삽입하여 복강 내부를 보면서 수술을 진행한다. 이때, 근종을 제거하기 위해서 수술 도구(겸자, 전기메스, 지혈 봉합기구 등)를 자궁 내부로 삽입해야 하는데, 복강경 삽입을 위한 구멍 외에, 수술 도구를 삽입하기 위한 별도의 구멍을 뚫거나, 여성의 질 내부로 수술도구를 삽입하여 수술도구가 자궁의 내부에 도달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술도구를 원활하게 목표 지점으로 삽입하기 위해서는 질의 내부룰 확장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의사의 손을 사용하거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112150호; 검경"과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질을 확장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환자가 여성인 점을 감안하면, 자의 손을 사용하거나 상기 검경과 같은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은, 질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피검사자가 거부감을 느끼거나, 과도한 압박으로 인한 통증을 느껴 해당 수술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112150호(2006. 10. 3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여성의 질 내부와 같은 피검사체 내부로 영상 장비, 처치구 등과 같은 도구를 삽입함에 있어서, 피검사자가 느낄 수 있는 거부감이나 통증을 줄이도록 한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검사체 내부의 확장이 용이하며, 피검사체 내부가 확장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한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이 마련되어 피검사체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관, 상기 삽입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는 견인관, 상기 삽입관의 전단부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삽입관의 전단을 유선형으로 감싸며, 상기 견인관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관이 견인됨에 따라 전단부가 전개되는 복수의 전개판 및 상기 삽입관과 상기 견인관에 연결되어 복수의 전개판의 전개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전개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개유지부는 상기 견인관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관과 함께 견인되는 제 1체결부재 및 상기 삽입관에 지지되고 상기 제 1체결부재로부터 상기 견인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견인관이 견인된 후 상기 제 1체결부재와 체결되어 상기 견인관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제 2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체결부재는 상기 견인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견인관에 연결되고 내주면에 제 1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체결부재에는 상기 제 1나사부에 대응되는 제 2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테터는 상기 견인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체결부재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 1체결부재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회전손잡이 및 상기 회전손잡이에 결속되어 상기 회전손잡이와 함께 견인되고 상기 회전손잡이와 함께 회전되는 견인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터는 상기 제 2체결부재로부터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제 2체결부재에 탈착되는 탈착손잡이, 상기 탈착손잡이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관과 동심을 이루는 탈착관 및 상기 탈착손잡이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관과 상기 탈착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터는 상기 제 1체결부재와 상기 제 2체결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체결부재로부터 상기 제 1체결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터는 상기 복수의 전개판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견인관과 상기 복수의 전개판을 연결하는 복수의 힌지핀, 상기 복수의 전개판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 1링크핀, 상기 복수의 제 1링크핀에 대응되도록 상기 삽입관의 전단부에 지지되는 복수의 제 2링크핀 및 상기 복수의 제 1링크핀과 상기 복수의 제 2링크핀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전개판을 상기 복수의 삽입관에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터는 상기 삽입관과 상기 견인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관과 상기 견인관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터는 상기 복수의 전개판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외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터는 상기 외피의 후단부를 상기 견인관에 압착시켜 상기 외피와 상기 복수의 전개판의 결속상태를 유지하는 압착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여성의 질 내부와 같은 피검사체 내부로 영상 장비, 처치구 등과 같은 도구를 삽입함에 있어서, 피검사자가 느낄 수 있는 거부감이나 통증을 줄이고 피검사체 내부의 확장이 용이하며 피검사체 내부가 확장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카테터를 이용한 검사, 또는 수술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다른 카테터의 일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중 도 2에 표기된 "Ⅰ"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전단부가 전개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전단부가 전개된 상태에서 도 5에 표기된 "Ⅱ"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에 내시경용 핸드피스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다른 카테터의 일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중 도 2에 표기된 "Ⅰ"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는 삽입관(210), 견인관(310), 전개판(410) 및 전개유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관(21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10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채널(100)은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과 같은 촬상소자로 이루어지는 내시경을 삽입하기 위한 채널, 피검사체 내부에 물 또는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채널, 피검사체 내부에 발견된 종양 등을 처치하기 위한 처치구(레이저 장비, 겸자, 전기메스, 지혈 봉합기구 등) 등을 삽입하기 위한 채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견인관(310)은 삽입관(2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삽입관(210)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견인관(310)과 삽입관(210)의 사이에는 삽입관(210)과 견인관(310)의 이격거리를 유지하고, 견인관(310)과 삽입관(210)의 마찰을 줄여 견인관(310)이 원활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부재(320)가 배치될 수 있다.
전개판(410)은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의 전개판(410)은 삽입관(210)의 전단부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전개판(410)은 촬영부(110)와 조명부(120)를 유선형으로 감싼다. 따라서 촬영부(110)와 조명부(120)는 피검사체 내부의 표면, 조직 등에 간섭되지 않고 피검사체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각 전개판(410)의 후단부에는 힌지핀(420)이 설치된다. 복수의 힌지핀(420)은 견인관(310)의 전단부에 구속된다. 각 전개판(410)의 내측면에는 제 1링크핀(431)이 설치된다. 삽입관(210)의 전단부 외측면에는 복수의 제 1링크핀(431)에 대응되는 제 2링크핀(432)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링크핀(432)은 복수의 제 2링크핀(432)을 함께 지지하는 핀 지지부재(433)에 지지될 수 있다. 핀 지지부재(433)는 삽입관(2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각 제 1링크핀(431)과 각 제 2링크핀(432)은 링크절(434)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견인관(310)이 견인되면, 복수의 전개판(410)의 후단부는 견인관(310)과 함께 견인된다. 복수의 전개판(410)은 제 1링크핀(431), 링크절(434), 제 2링크핀(432)에 의해 삽입관(21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전개판(410)은 힌지핀(420)과 제 2링크핀(432)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복수의 전개판(410)은 삽입관(210)에 대한 각도가 벌어지면서 전방을 향해 전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견인관(310)이 견인됨에 따라 전방을 향해 전개되는 복수의 전개판(410)은, 삽입관(210)의 전단이 삽입되기에 피검사체 내부의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부위(예를 들어, 여성의 질)에 삽입관(210)을 삽입하는 경우, 해당 공간을 확장하여 채널(100)을 통해 삽입되는 도구가 원활하게 목표하는 지점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복수의 전개판(410)은 피검사체 내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물이므로, 복수의 전개판(410)이 민감한 피검사체 내부에 직접 접촉되면, 피검사체 내부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전개판(410)의 외측면에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연질의 외피(44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전개판(410)의 견인 동작 및 전개 동작에 따라 복수의 전개판(410)으로부터 외피(4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피(440)는 복수의 전개판(410)과 함께 견인되고 복수의 전개판(410)과 함께 전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외피(440)와 복수의 전개판(410)의 결속상태를 견고하게 유지되기 위하여, 견인관(310)의 전단부에는 결속돌기(441)가 형성되고, 외피(440)의 내측면에는 결속돌기(441)에 대응되는 결속홈(44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피(440)의 외측부에는 견인관(310)에 결속된 외피(440)를 압착시켜 외피(440)와 삽입관(210)의 결속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압착링(443)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전개유지부(500)는 삽입관(210)과 견인관(310)에 연결되어 복수의 전개판(410)이 전개된 후, 견인관(310)의 위치를 유지시켜 복수의 전개판(410)이 전개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전개유지부(500)는 제 1체결부재(510)와 제 2체결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체결부재(510)는 견인관(310)에 연결되어 견인관(310)과 함께 견인될 수 있다. 제 2체결부재(520)는 삽입관(210)에 지지된다. 제 2체결부재(520)는 제 1체결부재(510)로부터 견인관(3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다. 제 2체결부재(520)는 견인관(310)이 견인된 후, 제 1체결부재(510)와 체결되어 견인관(310)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제 1체결부재(510)와 제 2체결부재(520)의 체결을 위하여, 제 1체결부재(510)의 내주면에는 제 1나사부(511)가 형성되고, 제 2체결부재(520)의 외주면에는 제 1나사부(511)에 대응되는 제 2나사부(521)가 형성된다.
제 1체결부재(510)와 제 2체결부재(520)의 사이에는 탄성체(600)가 배치된다. 탄성체(600)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체(600)는 제 1체결부재(510)와 제 2체결부재(520)의 체결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견인관(31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 2체결부재(520)로부터 제 1체결부재(510)를 탄성지지한다.
사용자가 견인관(310)을 간편하게 견인하고, 제 1체결부재(510)와 제 2체결부재(520)의 간편한 체결을 위하여, 견인관(310)의 후단부에는 손잡이부(700)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700)는 회전손잡이(710), 견인손잡이(730) 및 탈착손잡이(7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손잡이(710)는 제 1체결부재(510)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제 1체결부재(510)의 외형은 다각형의 기둥의 형상을 가지고, 회전손잡이(710)는 제 1체결부재(51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다각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손잡이(710)와 회전손잡이(710)는 면 접촉되고, 회전손잡이(710)의 회전에 따라 제 1체결부재(51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 1체결부재(510)와 견인관(310)의 연결을 위하여, 제 1체결부재(510)의 전단부에는 제 1견인턱(721)이 형성되고, 회전손잡이(710)의 내측면에는 제 1견인턱(721)에 대응되는 제 1견인홈(7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견인관(310)의 후단부에는 제 2견인홈(723)이 형성되고, 회전손잡이(710)의 전단부에는 제 2견인홈(723)에 대응되는 제 2견인턱(72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손잡이(710)를 견인하면 제 1체결부재(510)가 함께 견인될 수 있다.
상술된 설명에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회전손잡이(710)가 마련되며, 제 1체결부재(510)는 회전손잡이(710)를 통해 견인관(310)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제 1체결부재(510)는 견인관(310)에 직접 연결된다 하더라도 견인관(310)을 견인하고, 제 2체결부재(520)와 체결을 위한 회전 동작에는 문제되지 않는다.
견인손잡이(730)는 회전손잡이부(700)의 후단부에 결속된다. 회전손잡이부(700)와 함께 견인되고, 회전손잡이(7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견인손잡이(730)는 제 1체결부재(510)와 제 2체결부재(520)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600)가 수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견인손잡이(730)는 탄성체(6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사용자가 견인관(310)을 편안하게 견인하고, 회전손잡이(710)를 회전하는 데 필요한 충분한 파지 면적을 제공한다.
탈착손잡이(740)는 제 2체결부재(52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제 2체결부재(520)에 체결될 수 있다. 탈착손잡이(740)의 내측에는 탈착관(810)이 마련될 수 있다. 탈착손잡이(740)의 내측에는 삽입관(210)의 후단과 탈착관(810)의 선단을 연결하는 연력부재(8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탈착손잡이(740)의 내측에는 탈착손잡이(740)의 내부에 삽입된 탈착관(810)이 연결부재(820)에 접속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연력부재(820)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8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삽입관(210), 견인관(310) 및 탈착관(810)은 견인관(310)의 슬라이드를 위하여 직선 형태로 마련되고,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탈착관(810)의 후단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핸드피스(10)가 탈착될 수 있다. 즉, 핸드피스(10)에는 연질의 연장관(910)이 연결되고, 핸드피스(10)는 연장관(910)을 통해 탈착관(910)에 연결될 수 있다. 핸드피스(10)는 채널(100)을 통해 피검사체 내부로 삽입된 촬상소자, 기체, 물, 처치구 등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작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된 바 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44759;카테터 조작용 핸드피스 및 이를 이용한 카테터 조작장치" 등에 의해 개시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피검사체 내부로 촬상소자, 물, 기체, 처치구 등을 삽입하기 위하여 삽입관(210)의 전단부를 피검사 체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전개판(410)은 삽입관(210)의 전단부를 유선형으로 감싸고 있으므로, 삽입관(210)의 전단부는 피검사체 내부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며 피검사체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전단부가 전개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전단부가 전개된 상태에서 도 5에 표기된 "Ⅱ"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삽입관(210)의 전단부가 피검사체 내부에 삽입되면, 사용자는 회전손잡이(710)와 견인손잡이(7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잡고 견인관(310)을 견인한다. 견인관(310)이 견인될 때, 이격부재(320)는 견인관(310)과 삽입관(210)과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며, 견인관(310)과 삽입관(210)의 마찰을 줄여 견인관(310)이 원활하게 견인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견인관(310)이 견인됨에 따라 복수의 전개판(410)의 후단부는 견인관(310)과 함께 견인된다. 각 전개판(410)은 제 1링크핀(431), 링크절(434), 제 2링크핀(432)에 의해 삽입관(21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전개판(410)의 전단부는 삽입관(210)과의 각도가 벌어지면서 전방을 향해 전개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전개판(410)의 전단부가 전개되면, 사용자는 회전손잡이(710)와 견인손잡이(7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잡고 제 1체결부재(510)를 회전시킨다. 제 1체결부재(510)가 회전됨에 따라 제 1체결부재(510)는 제 2체결부재(520)에 체결되고, 견인관(310)의 위치가 유지된다. 견인관(310)의 위치가 유지됨에 따라 복수의 전개판(410)의 전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전개판(410)이 전개 상태가 유지되면, 사용자는 핸드피스(10)를 조작하여 삽입관(210)의 내부에 마련된 채널(100)을 통해 촬상소자, 물, 기체, 처치구 등을 목표 지점으로 삽입할 수 있다.
한편, 피검사체 내부에 대한 영상 촬영, 또는 처치가 종료되면, 사용자는 회전손잡이(710)와 견인손잡이(7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 1체결부재(510)와 제 2체결부재(520)의 체결상태가 해제되고, 탄성체(600)는 제 1체결부재(510)를 탄성지지하므로 견인관(310)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견인관(31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복수의 전개판(410)은 다시 유선형으로 유지되고 카테터(1)의 전단부는 피검사체 내부로부터 원활하게 이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은 전단부가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피검사체 내부로의 삽입이 원활하며, 피검사체 내부의 확장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피검사체 내부에 촬상소자, 물, 기체, 처치구 등을 삽입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 카테터 10 : 핸드피스
100 : 채널 210 : 삽입관
310 : 견인관 320 : 이격부재
410 : 전개판 420 : 힌지핀
431 : 제 1링크핀 432 : 제 2링크핀
433 : 핀 지지부재 434 : 링크절
440 : 외피 441 : 결속돌기
442 : 결속홈 443 : 압착링
500 : 전개유지부 510 : 제 1체결부재
511 : 제 1나사부 520 : 제 2체결부재
521 : 제 2나사부 600 : 탄성체
700 : 손잡이부 710 : 회전손잡이
721 : 제 1견인턱 722 : 제 1견인홈
723 : 제 2견인홈 724 : 제 2견인턱
730 : 견인손잡이 740 : 탈착손잡이
810 : 탈착관 820 : 연결부재
830 : 밀착부재 910 : 연장관

Claims (10)

  1.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이 마련되어 피검사체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관;
    상기 삽입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는 견인관;
    상기 삽입관의 전단부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삽입관의 전단을 유선형으로 감싸며, 상기 견인관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관이 견인됨에 따라 전단부가 전개되는 복수의 전개판;및
    상기 삽입관과 상기 견인관에 연결되어 복수의 전개판의 전개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전개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유지부는
    상기 견인관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관과 함께 견인되는 제 1체결부재;및
    상기 삽입관에 지지되고 상기 제 1체결부재로부터 상기 견인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견인관이 견인된 후 상기 제 1체결부재와 체결되어 상기 견인관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제 2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체결부재는 상기 견인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견인관에 연결되고 내주면에 제 1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체결부재에는 상기 제 1나사부에 대응되는 제 2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체결부재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 1체결부재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회전손잡이;및
    상기 회전손잡이에 결속되어 상기 회전손잡이와 함께 견인되고 상기 회전손잡이와 함께 회전되는 견인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체결부재로부터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제 2체결부재에 탈착되는 탈착손잡이;
    상기 탈착손잡이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관과 동심을 이루는 탈착관;및
    상기 탈착손잡이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관과 상기 탈착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체결부재와 상기 제 2체결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체결부재로부터 상기 제 1체결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개판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견인관과 상기 복수의 전개판을 연결하는 복수의 힌지핀;
    상기 복수의 전개판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 1링크핀;
    상기 복수의 제 1링크핀에 대응되도록 상기 삽입관의 전단부에 지지되는 복수의 제 2링크핀;및
    상기 복수의 제 1링크핀과 상기 복수의 제 2링크핀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전개판을 상기 복수의 삽입관에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과 상기 견인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관과 상기 견인관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개판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외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후단부를 상기 견인관에 압착시켜 상기 외피와 상기 복수의 전개판의 결속상태를 유지하는 압착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KR1020160182609A 2016-12-29 2016-12-29 카테터 KR101902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609A KR101902861B1 (ko) 2016-12-29 2016-12-29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609A KR101902861B1 (ko) 2016-12-29 2016-12-29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845A true KR20180077845A (ko) 2018-07-09
KR101902861B1 KR101902861B1 (ko) 2018-11-22

Family

ID=6291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609A KR101902861B1 (ko) 2016-12-29 2016-12-29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326A (ko) * 2020-10-28 2022-05-06 김응석 흉부용 카테터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018B2 (ja) * 1989-06-26 1994-04-20 新日本安全機株式会社 自走式クレーン
WO2001087168A1 (fr) * 2000-05-18 2001-11-22 Lamy Perret Emile Sonde extensible interne a usage chirurgical
KR100478009B1 (ko) * 2003-05-06 2005-03-23 주식회사 휴먼엠텍 반경 방향으로 팽창하는 절삭날을 가진 아서렉토미카테터
US20080281252A1 (en) * 2005-01-31 2008-11-13 Chongqing Haifu(Hifu) Technology Co., Ltd. Apparatus for Body Cavity Delivery with Medium, Body Cavity Leading-in and Ultrasound Block
JP5209603B2 (ja) * 2006-04-13 2013-06-12 ミラビリス メディ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密度焦点式超音波エネルギーの使用による機能性子宮出血、子宮内膜の病状、および子宮頸部の新形成の治療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5213851B2 (ja) * 2006-06-02 2013-06-19 シアンナ・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拡張可能な小線源療法装置
JP5456064B2 (ja) * 2009-01-26 2014-03-26 シャッツ、リチャード、エイ. ばね荷重式保護アレイを有する心筋注射器
JP2015119828A (ja) * 2013-12-24 2015-07-02 テルモ株式会社 ガイディングカテーテル
JP5762017B2 (ja) * 2011-01-28 2015-08-12 日本コヴィディエン株式会社 瘻孔カテーテル
JP2016503719A (ja) * 2013-01-18 2016-02-08 エスアールア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SRI International 固定神経ブロックカテーテル
KR101656494B1 (ko) * 2015-03-17 2016-09-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립선 움직임 고정용 직장 확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7325027B2 (en) 2006-11-30 2013-10-17 Ingenion Medical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implanting a catheter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018B2 (ja) * 1989-06-26 1994-04-20 新日本安全機株式会社 自走式クレーン
WO2001087168A1 (fr) * 2000-05-18 2001-11-22 Lamy Perret Emile Sonde extensible interne a usage chirurgical
KR100478009B1 (ko) * 2003-05-06 2005-03-23 주식회사 휴먼엠텍 반경 방향으로 팽창하는 절삭날을 가진 아서렉토미카테터
US20080281252A1 (en) * 2005-01-31 2008-11-13 Chongqing Haifu(Hifu) Technology Co., Ltd. Apparatus for Body Cavity Delivery with Medium, Body Cavity Leading-in and Ultrasound Block
JP5209603B2 (ja) * 2006-04-13 2013-06-12 ミラビリス メディ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密度焦点式超音波エネルギーの使用による機能性子宮出血、子宮内膜の病状、および子宮頸部の新形成の治療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5213851B2 (ja) * 2006-06-02 2013-06-19 シアンナ・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拡張可能な小線源療法装置
JP5456064B2 (ja) * 2009-01-26 2014-03-26 シャッツ、リチャード、エイ. ばね荷重式保護アレイを有する心筋注射器
JP5762017B2 (ja) * 2011-01-28 2015-08-12 日本コヴィディエン株式会社 瘻孔カテーテル
JP2016503719A (ja) * 2013-01-18 2016-02-08 エスアールア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SRI International 固定神経ブロックカテーテル
JP2015119828A (ja) * 2013-12-24 2015-07-02 テルモ株式会社 ガイディングカテーテル
KR101656494B1 (ko) * 2015-03-17 2016-09-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립선 움직임 고정용 직장 확장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5456064호(2014.03.26.)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326A (ko) * 2020-10-28 2022-05-06 김응석 흉부용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861B1 (ko)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42021B2 (ja) 組織を貫通する医療機器システム
JP4898709B2 (ja) 経自然開口的または経皮的な医療システム
EP2598018B1 (en) Surgical apparatus
AU2010300299B2 (en) Transvaginal ultrasound probe speculum
KR101685166B1 (ko) 복강경 수술용 엔도파우치 및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엔도파우치 조립체
US20110105850A1 (en) Vaginal entry surgical devices, kit, system, and method
KR20140090926A (ko) 투관침 및 수술지원시스템
EP1857053A2 (en) Lumen stabilizer for endoscopic micosal resection
US20050234305A1 (en) Medical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mage
KR102038589B1 (ko) 생체조직 제거용 이중 스네어 장치
KR20170018403A (ko) 조직 치료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821893B1 (ko) 복강경 수술기구용 착탈식 유해가스 흡인기
KR101902861B1 (ko) 카테터
JPH1176246A (ja) 外科手術用腔確保具
KR101898525B1 (ko) 내시경
JP4934086B2 (ja) 医療装置
US11717148B2 (en) Proctoscope and methods of use
RU86441U1 (ru) Троакар
JP3762508B2 (ja) 内視鏡装置
CN108078613B (zh) 一种无创肛门镜手术辅助系统
Fockens et al. How to perform anorectal EUS
WO2021053462A1 (en) An external endoluminal fixator device
Ohdaira et al. Usefulness of a flexible port for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by the transrectal and transvaginal routes
KR20220086331A (ko) 시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시경 시스템
GB2388547A (en) Vaginal speculum shea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