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388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388A
KR20180077388A KR1020160181294A KR20160181294A KR20180077388A KR 20180077388 A KR20180077388 A KR 20180077388A KR 1020160181294 A KR1020160181294 A KR 1020160181294A KR 20160181294 A KR20160181294 A KR 20160181294A KR 20180077388 A KR20180077388 A KR 20180077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support
curvature
support le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9441B1 (ko
Inventor
서영석
김무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1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441B1/ko
Priority to US15/820,800 priority patent/US10455711B2/en
Publication of KR20180077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01L27/32
    • H01L51/523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3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filters or documents associated to a laptop disp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 상에 배치되어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정의하며 곡률부를 갖는 차광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면에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들은, 평면상으로 볼 때 상기 곡률부와 중첩하지 않는 제1 화소와, 상기 곡률부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제2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화소들은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상으로 상기 영상을 표시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발광 방식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등으로 분류된다.
표시 장치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휴대가 가능한 정보매체를 이용하려는 요구가 높아지면서,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 및 상업화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와 같은 웨어러블(wearable) 장치가 다양한 분야에 이용됨에 따라, 곡률을 갖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곡면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 상에 배치되어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정의하며 곡률부를 갖는 차광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면에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들은, 평면상으로 볼 때 상기 곡률부와 중첩하지 않는 제1 화소와, 상기 곡률부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제2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화소들은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상으로 상기 영상을 표시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지지다리의 일측 단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지지다리의 타측 단부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지지다리의 길이는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지지봉과, 상기 제1 지지봉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지지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봉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지지봉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면 상에 상기 지지다리를 안착시키는 안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의 둘레는 평면상으로 볼 때 직선과 제1 곡률을 갖는 곡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은 상기 곡선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2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안착홈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지지다리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가 상기 안착홈 내에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탈착되고,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안착홈 내에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곡률과 상기 제2 곡률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곡률과 상기 제2 곡률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제1 터치 센서와, 상기 제1 면의 둘레 및 상기 제2 면의 둘레를 연결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2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은 상기 제2 터치 센서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터치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 센서는 상기 터치 영역들을 모두 활성화시키거나, 상기 터치 영역들 중 일부를 활성화시키고 나머지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터치 센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면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 영역들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면이 지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면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곡면 모서리부를 갖는 표시 패널의 일면에 연결된 지지다리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를 테이블, 거울 등으로 활용하거나, 스탠드형 표시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P1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6에 도시된 지지다리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도 9b, 도 9c, 도 9d, 및 도 9e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셀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P1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DSP)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DSP)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표시 패널(DSP)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비표시 영역(NDA)이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어느 한 일측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화소(PX)들은 표시 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화소(PX)들 각각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소(PX)는 영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로서 백색광 또는 컬러광을 출사할 수 있다.
예컨대, 화소(PX)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출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안, 마젠타, 옐로우 등의 색을 출사할 수 있다.
화소(PX)들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화소(PX)들의 배열 형태는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며, 계단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표시 패널(DSP) 상에는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정의하는 차광부재(TC)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DSP) 상에서 차광부재(TC)가 배치된 영역은 표시 영역(DA)으로서 영상이 표시되고, 차광부재(TC)가 배치된 영역은 비표시 영역(NDA)으로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차광부재(TC)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두 개의 면과,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두 개의 면을 포함하고, 상기 면들을 연결하는 네 개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부재(TC)의 외곽 둘레는 표시 패널(DSP)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DSP)은 곡선 모서리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차광부재(TC)는 표시 패널(DSP)과 대응되도록 곡선 모서리(CP2)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차광부재(TC)의 내부는 표시 영역(DA)과 대응되는 영역이 개방되며, 표시 영역(DA)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때, 차광부재(TC)의 내측 둘레는 표시 영역(DA)이 곡선 모서리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차광부재(TC)의 외곽 둘레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차광부재(TC)의 내측 둘레는 곡선 모서리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차광부재(TC)의 외곽 둘레의 곡선(CP2)과 내측 둘레의 곡선(CP1)은 서로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곽 둘레의 제1 곡률과 내측 둘레의 제2 곡률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차광부재(TC)의 네 개의 곡면 중 일부의 곡면에 대한 제1 곡률과 제2 곡률은 동일하고, 나머지 곡면에 대한 제1 곡률과 제2 곡률은 상이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비표시 영역(NDA)에는 화소(PX)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미도시), 및 화소(PX)들과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연결하는 데이터 라인들(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으며, 화소(PX)들에 주사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미도시), 및 화소(PX)들과 상기 주사 구동부를 연결하는 주사 라인들(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 및 주사 라인들은 비표시 영역(NDA)으로부터 표시 영역(DA)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라인들 각각은 각 화소 열에 구비된 화소(PX)들 모두에 연결될 수 있고, 동일 열의 화소(PX)는 동일한 데이터 라인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주사 라인들 각각은 각 화소 행에 구비된 화소(PX)들 모두에 연결될 수 있고, 동일 행의 화소(PX)는 동일한 주사 라인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표시 장치(100)는 거울형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DSP)은 광 반사 특성을 가지는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SP)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때, 외부로부터 표시 패널(DSP)에 입사된 빛은 금속층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DSP)의 전면에 배치된 대상 등을 표시하는 거울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화소들은 차광부재(TC)의 곡률부와 중첩하지 않는 제1 화소(PX1)와 곡률부와 중첩하는 제2 화소(PX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곡률부는 차광부재(TC)의 내측 둘레의 곡선(CP1)과 차광부재(TC)의 외측 둘레 사이에 배치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화소(PX1)는 상기 곡률부와 인접한 영역에서 계단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 영역(DA)의 나머지 영역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화소(PX2)는 곡률부와 중첩되는 영역에서 계단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화소들(PX1 및 PX2)의 발광 영역은 서로 동일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화소(PX1)의 발광 영역이 제2 화소(PX2)의 발광 영역보다 넓을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차광부재(TC)의 폭이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차광부재(TC)의 폭보다 좁은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차광부재(TC)의 폭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차광부재(TC)의 폭보다 넓거나 같을 수 있다.
도 3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지지다리(S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다리(ST)는 표시 패널(DSP)의 제1 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패널(DSP)의 제1 면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면을 의미하고,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은 영상이 표시되는 면을 의미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 패널(DSP)은 제1 및 제2 면으로 영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지지다리(ST)는 표시 패널(DSP)의 곡면부에 인접한 위치에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다리(ST)는 표시 패널(DSP)의 중심부와 인접한 위치 등 다양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다리(ST)는 표시 패널(DSP)이 테이블로 이용될 수 있도록 표시 패널(DSP)을 지지할 수 있다. 표시 패널(DSP)을 지면과 수평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지지다리(ST)들 각각은 동일한 길이로 설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다리(ST)들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설계되거나, 일부가 동일한 길이를 갖고 나머지가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지지다리(ST)는 표시 패널(DSP)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지지다리(ST)의 일측 단부는 표시 패널(DSP)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지지다리(ST)의 타측 단부는 표시 패널(DSP)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지지다리(ST)는 일측 단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타측 단부가 표시 패널(DSP)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접히거나 휘어질 수 있다. 예컨대, 지지다리(ST)는 표시 패널(DSP)과 이루는 각이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접히거나 휘어질 수 있다. 이때, 지지다리(ST)들 중 일부는 접히거나 휘어지고 나머지는 표시 패널(DSP)과 수직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표시 장치(100)가 네 개의 지지다리(ST)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 장치(100)는 적어도 한 개의 지지다리(S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c에서 지지다리(ST)는 평면상으로 볼 때 원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다리(ST)는 닫힌 형태의 다각형,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원, 타원, 등,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반원, 반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다리(ST)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다리(ST)는 일측 단부가 표시 패널(DSP)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 단부가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다리(ST)는 제1 지지봉(STa), 제2 지지봉(STb), 및 제3 지지봉(ST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봉(STa)은 표시 패널(DSP)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지지봉(STb)의 일측 단부는 제1 지지봉(STa)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지지봉(STb)의 타측 단부는 제3 지지봉(STc)과 연결되고, 제3 지지봉(STc)은 제2 지지봉(STb)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봉(STa)은 내부에 제2 및 제3 지지봉(STb 및 STc)을 수납할 수 있으며, 제2 지지봉(STb)은 내부에 제3 지지봉(STc)을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봉(STb)은 제1 지지봉(ST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지지봉(STc)은 제2 지지봉(ST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지지다리(ST)들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고정되어 표시 패널(DSP)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다리(ST)들 중 일부는 제1 지지봉(STa)에 제2 및 제3 지지봉(STb 및 STc)이 수납된 상태로 표시 패널(DSP)을 지지하고, 나머지는 제2 지지봉(STb)이 제1 지지봉(STa)으로부터 연장되고, 제3 지지봉(STc)이 제2 지지봉(STb)으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표시 패널(DSP)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00)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이 아닌 지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지지다리(ST)들 중 일부는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지면과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다리(ST)들 중 일부는 제2 지지봉(STb)이 제1 지지봉(STa)으로부터 연장되고, 제3 지지봉(STc)이 제2 지지봉(STb)으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표시 패널(DSP)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다리(ST)들 중 나머지는 제1 지지봉(STa)과 제2 지지봉(STb)이 동시에 지면에 맞닿을 수 있다. 즉, 제2 지지봉(STb)은 제1 지지봉(STa)으로부터 연장되고, 지면과 수평한 상태로 고정되어 지면에 맞닿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봉(STa 및 STb)이 지면에 동시에 맞닿을 경우, 지지다리(ST)는 표시 패널(DSP)을 지면 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일부의 지지다리(ST)는 지면에 맞닿은 상태로 다른 지지다리(ST)에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지면에 맞닿은 상태로 고정된 제2 지지봉(STb)은 지면과 맞닿은 제3 지지봉(STc)과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지지다리(ST)는 표시 패널(DSP)을 지면 상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지지다리(ST)를 이용하여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지지다리(ST)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DSP)의 제2 면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표시 패널(DSP)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패널(DSP)의 지지다리(ST)들 중 일부의 제1 지지봉(STa)은 표시 패널(DSP)의 제2 면과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어 표시 패널(DSP)을 지지할 수 있으며, 제1 지지봉(STa)으로부터 연장된 제2 지지봉(STb)은 지면과 수평한 상태로 고정되어 지면에 맞닿을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DSP)의 지지다리(ST)들 중 나머지의 제1 지지봉(STa)은 지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되고, 제2 지지봉(STb)은 제1 지지봉(STa)으로부터 연장되고, 제3 지지봉(STc)은 제2 지지봉(STb)으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표시 패널(DSP)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지지다리(ST)를 이용하여 지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에서는 지지다리(ST)가 제1 내지 제3 지지봉(STa, STb, 및 STc)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지다리(ST)는 적어도 두 개의 지지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일단이 구 형상으로 구현된 지지다리(ST)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다리(ST)는 일측 단부가 표시 패널(DSP)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지면에 맞닿아 표시 패널(DSP)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다리(ST)는 타측 단부에 형성된 구 형상의 돌출부(P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지지다리(ST)의 돌출부(PT)를 벽, 천장 등에 형성된 결합홈에 체결하여 벽, 천장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별도의 구조물을 표시 장치(100)에 결합하지 않아도, 지지다리(ST)의 돌출부(PT)를 이용하여 벽, 천장 등에 쉽게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지지다리(ST)의 돌출부(PT)는 다면체, 홈이 형성된 다면체, 반구, 원통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DSP)의 외곽 둘레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지지다리(BST)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SP)의 외곽 둘레는 차광부재(TC)의 외곽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표시 패널(DSP)의 외곽 둘레는 곡선 모서리부를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다리(BST)는 상기 곡선 모서리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곡선부를 포함하는 지지다리(BST, 이하, 곡선 지지다리라고 함.)는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지지부,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지지부,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곡선부는 표시 패널(DSP)의 외곽 둘레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곡선부는 제3 곡률을 갖는 곡선(CP3)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곡선부의 제3 곡률은 표시 패널(DSP)의 제1 곡률과 동일한 값을 갖거나,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서는 곡선 지지다리(BST)가 표시 장치(100')의 네 개의 곡면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실시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선 지지다리(BST)는 네 개의 곡면 모서리부 중 일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곡선 지지다리(BST)들 각각은 동일한 길이로 설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선 지지다리(BST)들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설계되거나, 일부가 동일한 길이를 갖고 나머지가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지지다리를 안착시키는 안착홈(H)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H)은 표시 패널(DSP)의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제1 면에 형성될 수 있고, 곡선 지지다리(BST)와 상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곡선 지지다리(BST)는 안착홈(H)에 안착되어 표시 패널(DSP)에 안착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는 표시 장치(100')가 운반되거나 보관될 때, 안착홈(H)에 곡선 지지다리(BST)를 안착시켜서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곡선 지지다리(BST)는 일부가 안착홈(H)에 안착되고, 나머지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곡선 지지다리(BST) 중 표시 패널(DSP)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DSP)의 제1 면이 외부의 환경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곡선 지지다리(BST')는 표시 패널(DSP)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안착홈(H)에 완전히 안착될 수 있다. 곡선 지지다리(BST')는 안착홈(H)에 완전히 수납되어 표시 장치(100')의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도 7a 및 7b에서는 곡선 지지다리(BST 및 BST')를 안착시키는 안착홈(H)의 단면을 반원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착홈(H)의 단면은 곡선 지지다리(BST 및 BST')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곡선 지지다리(BST 및 BST')가 안착부에 안착되는 부분의 단면이 사각 형상인 경우, 안착홈(H)의 단면은 사각 형상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도 6에 도시된 지지다리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곡선 지지다리(BST1, BST2, BST3, 및 BST4)가 회전 운동에 의해 표시 패널(DSP)로부터 탈착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곡선 지지다리(BST1, BST2, BST3, 및 BST4) 각각은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곡면부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중 어느 하나가 안착홈(H) 내에서 회전하면, 나머지는 표시 패널(DSP)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곡면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회전 운동이 곡면부를 통해 나머지에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곡선 지지다리의 제1 지지부가 제1 회전축(SP2a)을 기준으로 안착홈(H) 내에서 회전하는 경우, 제2 지지부는 표시 패널(DSP)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는 표시 패널(DSP)의 평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 내지 제4 곡선 지지다리(BST1, BST2, BST3, 및 BST4) 각각은 제1 회전축(SP1a, SP2a, SP3a, 및 SP4a)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일부를 표시 패널(DSP)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곡선 지지다리의 제2 지지부가 제2 회전축(SP2b)을 기준으로 안착홈(H) 내에서 회전하는 경우, 제1 지지부는 표시 패널(DSP)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는 표시 패널(DSP)의 평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 내지 제4 곡선 지지다리(BST1, BST2, BST3, 및 BST4) 각각은 제2 회전축(SP1b, SP2b, SP3b, 및 SP4b)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표시 패널(DSP)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내지 제4 곡선 지지다리(BST1, BST2, BST3, 및 BST4) 중 일부는 안착홈(H) 내에서 수납된 상태로 배치되고, 나머지만 제1 회전축(SP1a, SP2a, SP3a, 및 SP4a) 또는 제2 회전축(SP1b, SP2b, SP3b, 및 SP4b)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9a, 도 9b, 도 9c, 도 9d, 및 도 9e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곡선 지지다리(BST)가 표시 패널(DSP)의 안착홈(H)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곡선 지지다리(BST)는 일부가 안착홈(H)에 수납되고, 나머지가 표시 패널(DSP)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곡선 지지다리(BST)의 돌출된 형상에 의해 표시 패널(DSP)을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곡선 지지다리(BST)가 회전되어 곡선 지지다리(BST)의 일부가 표시패널로부터 탈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곡선 지지다리(BST)는 지면 등과 접촉되어 표시 패널(DSP)을 지지할 수 있다.
도 9b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네 개의 곡선 지지다리(BST)가 모두 회전되어 표시 패널(DSP)로부터 탈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네 개의 곡선 지지다리(BST) 중 일부만 회전되어 표시 패널(DSP)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도 9c 및 도 9d를 참조하면, 곡선 지지다리(BST)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곡선 지지다리(BST)는 제1 곡선 지지부(BSTa)와 제2 곡선 지지부(BST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곡선 지지부(BSTa)는 곡선 지지다리(BST) 중 표시 패널(DSP)로부터 탈착된 부분을 의미하고, 제2 곡선 지지부(BSTb)는 제1 곡선 지지부(BST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곡선 지지부(BSTb)는 제1 곡선 지지부(BST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곡선 지지부(BSTa)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제2 곡선 지지부(BSTb)를 이용하여 지면 등으로부터 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표시 패널(DSP)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곡선 지지다리(BST)들 중 일부는 안착홈(H)에 안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만 회전에 의해 탈착되어 표시 패널(DSP)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곡선 지지부(BSTb)는 회전되어 제1 곡선 지지부(BSTa)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곡선 지지다리(BST)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DSP)의 제2 면을 지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고, 이로써 지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e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곡선 지지다리(BST)를 이용하여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곡선 지지다리(BST)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DSP)의 제2 면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표시 패널(DSP)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곡선 지지다리의 제2 곡선 지지부는 표시 패널(DSP)의 제2 면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제1 곡선 지지부(BSTa)로부터 연장되어 지면에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곡선 지지다리(BST)를 이용하여 지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셀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터치 센서(TS)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터치 센서(TS)에 의해 정의되는 제1 내지 제4 터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장치(100'')의 일면에는 제1 터치 센서에 의해 제1 터치 영역이 정의되고, 표시 장치(100'')의 측면에는 제2 터치 센서에 의한 제2 내지 제4 터치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터치 센서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및 제2 터치 센서들은 일체형으로 구현되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측면은 제2 터치 센서의 구동 방식에 의해 제2 내지 제4 터치 영역들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2 터치 센서는 표시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제2 내지 제4 터치 영역들에서 동시에 터치를 감지하거나, 제2 내지 제4 터치 영역들 중 일부 영역에서만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다리 중 일부가 표시 패널(DSP)과 인접한 방향으로 접히고, 나머지가 표시 패널(DSP)을 지지하는 경우, 표시 장치(100'')는 지면과 인접한 제3 터치 영역이 비활성화되도록 제2 터치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터치 센서는 표시 장치(100'')의 제어에 대응하여 제2 및 제4 터치 영역들을 활성화시키고, 제3 터치 영역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즉, 제2 터치 센서는 제3 터치 영역에서 터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터치를 감지할 수 없고, 제2 및 제4 터치 영역들에서 발생하는 터치만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DSP)의 평면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에 대응하여 제2 터치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장치(100'')는 수평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표시 패널(DSP)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지 않는 경우, 지면과 가까운 측면 터치 영역이 비활성화되도록 제2 터치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측면 터치 영역이 제2 내지 제4 터치 영역으로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 일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측면 터치 영역은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표시 패널(DSP)의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고, 측면 터치 영역은 제2 내지 제4 터치 영역의 개수보다 적거나 많은 수로 분할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TS)는 구동 전극들(Tx) 및 감지 전극들(Rx)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터치 센서(TS)는 구동 전극들(TX)로 구동 신호를 제공하고, 터치 동작에 대응하여 발생된 감지 신호를 감지 전극들(RX)로부터 수신하여 터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구동 전극들(Tx)과 감지 전극들(Rx)은 상호간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전극들(Tx)은 x축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복수개의 구동 셀들(TxP)과, 구동 셀들(TxP)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구동 패턴들(TxB)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전극들(Rx)은 y축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며 구동 셀들(TxP)과 중첩되지 않도록, 구동 셀들(TxP) 사이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감지 셀들(RxP)과, 감지 셀들(RxP)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감지 패턴들(RxB)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셀들(TxP)과 감지 셀들(RxP)은 ITO(Indium Tin Oxide), CNT(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등과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 패턴들(TxB)과 감지 패턴들(RxB)은 상기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거나 혹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구동 배선들은 구동 셀들(TxP)과 접속 패드들(PDs)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감지 배선들은 감지 셀들(RxP)과 접속 패드들(PDs)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에서 설명된 제1 터치 센서와 제2 터치 센서는 도 11에 도시된 구동 전극들(Tx)과 감지 전극들(Rx)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터치 센서와 제2 터치 센서 각각이 포함하는 구동 셀들(TxP)과 감지 셀들(RxP)의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감지 전극들(Rx)에 포함된 감지 셀들(RxP)과 감지 패턴(RxB)이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감지 셀들(RxP)을 실선으로 도시하고, 감지 패턴(RxB)을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 셀들(RxP)은 일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고, 감지 패턴(RxB)은 인접한 감지 셀들(RxP)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감지 셀들(RxP) 각각은 다수의 개구부들(H1)을 포함하는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 셀들(RxP)은 다수의 개구부들(H1)를 형성하는 얇은 금속 라인들(ML1)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지 패턴(RxB)은 감지 셀들(RxP))과 같이 다수의 개구부들(H2)을 포함하는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 패턴(RxB)은 다수의 개구부들(H2)을 형성하는 얇은 금속 라인들(ML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는 감지 전극들(Rx)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구동 전극들(Tx)도 감지 전극들(Rx)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표시 장치 DSP: 표시 패널
ST: 지지다리 BST: 곡선 지지다리
TC: 차광부재 PX: 화소
DA: 표시 영역 NDA: 비표시 영역

Claims (17)

  1.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 상에 배치되어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정의하며 곡률부를 갖는 차광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면에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들은,
    평면상으로 볼 때 상기 곡률부와 중첩하지 않는 제1 화소; 및
    상기 곡률부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제2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화소들은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상으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의 일측 단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의 타측 단부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의 길이는 조절 가능한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지지봉; 및
    상기 제1 지지봉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지지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봉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지지봉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면 상에 상기 지지다리를 안착시키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둘레는 평면상으로 볼 때 직선과 제1 곡률을 갖는 곡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은 상기 곡선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2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안착홈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곡선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가 상기 안착홈 내에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탈착되고,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안착홈 내에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탈착되는 표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률과 상기 제2 곡률은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률과 상기 제2 곡률은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1 면의 둘레 및 상기 제2 면의 둘레를 연결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2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은 상기 제2 터치 센서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터치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 센서는 상기 터치 영역들을 모두 활성화시키거나, 상기 터치 영역들 중 일부를 활성화시키고 나머지를 비활성화시키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센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면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 영역들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키는 표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면이 지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표시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면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표시 장치.
KR1020160181294A 2016-12-28 2016-12-28 표시 장치 KR102649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294A KR102649441B1 (ko) 2016-12-28 2016-12-28 표시 장치
US15/820,800 US10455711B2 (en) 2016-12-28 2017-11-22 Display device having a support le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294A KR102649441B1 (ko) 2016-12-28 2016-12-28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388A true KR20180077388A (ko) 2018-07-09
KR102649441B1 KR102649441B1 (ko) 2024-03-22

Family

ID=6263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294A KR102649441B1 (ko) 2016-12-28 2016-12-2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55711B2 (ko)
KR (1) KR1026494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12924A (ja) * 2018-07-17 2020-01-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電子機器
WO2020153593A1 (ko) * 2019-01-24 2020-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유닛과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3480S1 (en) * 2017-07-14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83281S1 (en) * 2017-07-28 2020-05-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610245B1 (ko) * 2018-01-10 2023-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963425B1 (en) * 2018-07-10 2024-04-16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displays with curved surfaces
US20200137909A1 (en) * 2018-10-29 2020-04-30 Michael Joseph Field Method of preventing neck discomfort for users of electronic devices
KR102658438B1 (ko) * 2019-03-21 2024-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396721A (zh) * 2020-04-24 2020-07-10 青岛新华友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建筑施工管理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7856A1 (en) * 2006-01-11 2007-07-12 Jonas Skoog Foldable display table
US20100289994A1 (en) * 2009-05-13 2010-11-18 Nec Lcd Technologies, Ltd. Color image display device, color filter substrate, color pixel array substrate, and electronic device
JP2010271355A (ja) * 2009-05-19 2010-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型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3141A1 (en) * 2002-08-06 2009-06-04 Igt Intelligent Multiplayer Gaming System With Multi-Touch Display
CN101231541A (zh) * 2007-01-22 2008-07-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及便携式电子装置用支撑机构
US7922589B2 (en) * 2008-12-17 2011-04-12 Digideal Corporation Electronic game table with multifunction legs
US8050032B2 (en) * 2009-09-22 2011-11-01 Trang Brian T Laptop elevation device
US8139357B2 (en) * 2009-09-22 2012-03-20 Trang Brian T Laptop elevation device
USD645867S1 (en) * 2010-09-24 2011-09-27 Hewlett-Packard Company Display device cradle
KR101164483B1 (ko) 2010-10-07 2012-07-20 현대아이비티주식회사 테이블형 디스플레이 장치
US9059119B2 (en) * 2013-01-15 2015-06-16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KR102127792B1 (ko) * 2013-04-02 2020-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D728580S1 (en) * 2013-11-19 2015-05-05 ACCO Brands Corporation Kickstand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KR101676447B1 (ko) 2014-12-04 2016-11-15 리얼디앤씨 주식회사 테이블겸용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
KR102654508B1 (ko) * 2016-05-04 2024-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7856A1 (en) * 2006-01-11 2007-07-12 Jonas Skoog Foldable display table
US20100289994A1 (en) * 2009-05-13 2010-11-18 Nec Lcd Technologies, Ltd. Color image display device, color filter substrate, color pixel array substrate, and electronic device
JP2010271355A (ja) * 2009-05-19 2010-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型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12924A (ja) * 2018-07-17 2020-01-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電子機器
WO2020153593A1 (ko) * 2019-01-24 2020-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유닛과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441B1 (ko) 2024-03-22
US10455711B2 (en) 2019-10-22
US20180184531A1 (en)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7388A (ko) 표시 장치
CN107305452B (zh) 显示模块、具有显示模块的电子表和电子装置
JP2019215911A (ja) タッチ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タッチディスプレイパネル
TWI489336B (zh) 觸控面板及其觸控顯示模組
US10635221B2 (en) Array substrate, in-cell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WO2014010463A1 (ja) 表示装置
US20150194123A1 (en) Interconnecting display tiles for multi-panel displays
JP5807035B2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タッチ検出デバイス
US9343025B2 (en) Display device
KR101945428B1 (ko) 기판, 격자 및 디스플레이 패널
US11774641B2 (en) Pixel arrangements for electronic device displays
CN105408947A (zh) 用于具有多像素阵列的可拼合显示装置的构造
KR20180049300A (ko) 표시장치 및 다면 표시장치
JP2008096553A (ja) 表示装置、受光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5834255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システム
US9666118B2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KR101553324B1 (ko) 기하학 패턴 구조를 가지는 터치스크린 패널
US20160370624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display panel
CN111384091B (zh) Oled显示面板及显示装置
TW201942726A (zh) 膽固醇液晶書寫板
TWI499838B (zh) 顯示裝置
US20210074207A1 (en) Gradual change of pixel-resolution in oled display
US10796652B2 (en) Display device with non-rectangular pixels
US20230350511A1 (en) Display device and position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40013744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