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324B1 - 기하학 패턴 구조를 가지는 터치스크린 패널 - Google Patents

기하학 패턴 구조를 가지는 터치스크린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324B1
KR101553324B1 KR1020130121061A KR20130121061A KR101553324B1 KR 101553324 B1 KR101553324 B1 KR 101553324B1 KR 1020130121061 A KR1020130121061 A KR 1020130121061A KR 20130121061 A KR20130121061 A KR 20130121061A KR 101553324 B1 KR101553324 B1 KR 101553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line
main
unit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437A (ko
Inventor
이성호
오기환
이종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2터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2터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2터치
Priority to KR1020130121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324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기하학적인 미세패턴 라인으로 이루어져 투명기판(110) 상에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동작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출력하는 단위터치패드(120); 각 단위터치패드(120)로부터 출력된 터치신호를 수신하여 각 터치신호별 터치지점을 검출하는 터치드라이브IC(130); 및 각 단위터치패드(12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터치드라이브IC(130)에 전기적으로 회로연결되어 각 단위터치패드(120)로부터 출력된 터치신호를 상기 터치드라이브IC(130)에 인가하며, 상기 단위터치패드(1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하학적인 미세패턴 라인으로 이루어진 센서신호선(140);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기하학 패턴 구조를 가지는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Having Geometric Pattern Structure}
본 발명은 기하학 패턴 구조를 가지는 터치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성하는 단위터치패드와 센서신호선을 기하학적인 미세패턴 라인으로 형성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킨 기하학 패턴 구조를 가지는 터치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표시장치 위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손가락이나 펜 등의 물체가 터치될 때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장치의 하나이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소형 휴대단말기, 산업용 단말기, DID(Digital Information Device) 등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스크린 패널(10)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휴대단말기(20)에 장착된 터치스크린 패널(10)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또한, 도 4는 종래의 터치스크린 패널(10)이 장착된 표시장치를 상부위치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종래의 터치스크린 패널(10)은, 투명기판(11) 상에 정렬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동작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출력하는 단위터치패드(12)와, 각 단위터치패드(12)로부터 출력된 터치신호를 수신하여 터치좌표를 결정하는 터치드라이브IC(13) 및, 각 단위터치패드(12)와 터치드라이브IC(13)를 신호연결하는 센서신호선(14)으로 구성되었다.
여기서, 센서신호선(14)의 경우 일단은 각 단위터치패드(12)의 하단 측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터치드라이브IC(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불어, 상기 센서신호선(14)은 단위터치패드(12)의 터치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폭이 좁은 라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단위터치패드(12)가 상하 배열됨에 따라 센서신호선(14)은 하부로 갈수록 더 많아지므로 도면에서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센서신호선(14)들이 차지하는 전체적인 배치영역은 측방향으로 두꺼워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각 단위터치패드(12)는 일정 터치면적을 갖는 원이나 사각형 등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반하여, 각 센서신호선(14)은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라인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 4에서와 같이 하부방향일수록 많아지는 센서신호선(14)에 의해 폭이 넓어지는 신호선 배치영역이 각 단위터치패드(12)와 구별되는 색상으로 외부에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도 4에서 짙은 청색의 수직라인은 실제로 각 센서신호선(14)들이 배치되는 영역을 나타내며, 각 청색 수직라인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옅은 청색으로 표시되는 부분은 각 단위터치패드(12)가 배치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4의 하단부에는 터치드라이브IC(13)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단위터치패드(12)와 센서신호선(14)이 외부에 구분되어 표시됨으로써 표시장치의 화면상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더라도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표시장치에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화면상에 센서신호선(14)이 배치된 영역이 단위터치패드(12)가 배치된 영역과 미세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표시장치의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2013-0044263호(2013.05.0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터치패드가 배치된 영역과 센서신호선의 영역이 구분되어 표시되지 않도록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성하는 단위터치패드와 센서신호선을 기하학적인 미세패턴 라인으로 동일하게 형성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기하학 패턴 구조를 가지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기하학적인 미세패턴 라인으로 이루어져 투명기판(110) 상에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동작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출력하는 단위터치패드(120); 각 단위터치패드(120)로부터 출력된 터치신호를 수신하여 각 터치신호별 터치지점을 검출하는 터치드라이브IC(130); 및 각 단위터치패드(12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터치드라이브IC(130)에 전기적으로 회로연결되어 각 단위터치패드(120)로부터 출력된 터치신호를 상기 터치드라이브IC(130)에 인가하며, 상기 단위터치패드(1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하학적인 미세패턴 라인으로 이루어진 센서신호선(140);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위터치패드(120)는, 기하학적인 미세패턴 라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하학 미세패턴 라인은,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직선형태를 가지며 해당 단위터치패드(120)의 터치영역 내에서 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메인터치선(121)과, 상기 메인터치선(121)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정길이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메인터치선(121)의 연장형성된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서브터치편(122) 및, 두 개의 메인터치선(121) 사이에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각 메인터치선(12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메인연결선(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센서신호선(140)은, 해당 단위터치패드(120)에 포함된 복수 개의 메인터치선(121) 중 하나 이상의 메인터치선(121)이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임의의 메인터치선(121)에 형성된 서브터치편(122)과 인접된 메인터치선(121)에 형성된 서브터치편(122)은, 두 메인터치선(121) 사이의 이격된 간격 내에 배치되되, 각 서브터치편(122)은 상기 이격된 간격 내에서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메인터치선(121)은, 해당 단위터치패드(120)의 터치영역 내에서 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단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메인터치선(121)과 단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메인터치선(121)이 횡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며, 상하로 인접배치된 각 단위터치패드(120)는, 각 단위터치패드(120)가 상호 이격된 간격 내에서 각각의 단부 길이가 짧은 메인터치선(121)과 단부 길이가 긴 메인터치선(121)이 상호 정합되도록 정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센서신호선(140)은, 상기 단위터치패드(1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하학적인 미세패턴 라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위터치패드(120)의 메인터치선(121)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터치드라이브IC(130)에 전기적으로 회로연결되고, 상기 센서신호선(14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정길이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센서신호선(140)의 연장형성된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센서신호편(1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각 센서신호선(140)이 횡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상기 단위터치패드(120)의 각 메인터치선(121)이 횡방향으로 이격된 간격과 대응되고, 상기 센서신호선(140)의 센서신호편(141)은 상기 메인터치선(121)의 서브터치편(12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센서신호편(141)이 상기 센서신호선(140)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각 서브터치편(122)이 상기 메인터치선(121)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된 간격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위터치패드(120) 및 센서신호선(14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하학적인 미세패턴 라인으로 이루어지되, 임의의 센서신호선(140)과 인접된 센서신호선(140) 사이, 또는 임의의 단위터치패드(120)와 인접된 단위터치패드(120) 사이, 또는 임의의 단위터치패드(120)와 인접된 센서신호선(140) 사이에 배치되어, 각 단위터치패드(120) 또는 각 센서신호선(140) 간에 전기적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공간적으로 이격시키는 더미패턴선(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더미패턴선(150)은,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직선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또는 양측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정길이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더미패턴선(150)의 연장된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의 더미패턴편(1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더미패턴선(150)과 메인터치선(121)이 이격된 간격과, 상기 더미패턴선(150)과 센서신호선(140)이 이격된 간격은, 상기 단위터치패드(120)의 각 메인터치선(121)이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간격과 대응되고, 상기 더미패턴선(150)의 더미패턴편(151)은, 상기 메인터치선(121)의 서브터치편(122)과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더미패턴편(151)이 더미패턴선(150)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각 서브터치편(122)이 메인터치선(121)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된 간격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성하는 단위터치패드와 센서신호선을 기하학적인 미세패턴 라인으로 동일하게 형성하여 단위터치패드가 배치된 영역과 센서신호선이 영역이 구분되어 표시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미려해지며 단위터치패드의 배치영역과 센서신호선의 배치영역에서 미세한 차이가 없이 동일한 상태로 영상이 화면출력되므로 시인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각 단위터치패드를 구성하는 각 메인터치선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각 메인터치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메인연결선이 형성되므로, 라인형태로 형성된 각 메인터치선들이 조합되어 하나의 단위 터치영역을 이루도록 회로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일정 터치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된 종래의 단위터치패드와 동일한 터치영역 및 터치감도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메인터치선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정 길이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메인터치선의 연장형성된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서브터치편이 형성되므로, 각 메인터치선 간의 이격된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어 터치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영역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넷째, 임의의 메인터치선에 형성된 서브터치편과 인접된 메인터치선에 형성된 서브터치편은, 두 메인터치선 사이의 이격된 간격 내에 배치되되, 각 서브터치편은 상기 이격된 간격 내에서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교대로 배치되므로 각 메인터치선 간의 이격된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메인터치선은 해당 단위터치패드의 터치영역 내에서 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단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메인터치선과 단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메인터치선이 횡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며, 상하로 인접된 각 단위터치패드는 각 단위터치패드가 상호 이격된 간격 내에서 각각의 단부 길이가 짧은 메인터치선과 단부 길이가 긴 메인터치선이 상호 정합되도록 정렬되어 배치되므로, 상하로 배치된 각 단위터치패드의 상호 이격된 간격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단위터치패드에 포함된 복수 개의 메인터치선 중 하나 이상의 메인터치선이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해당 단위터치패드와 터치드라이브IC를 신호연결시키기 위한 센서신호선을 형성하며, 센서신호선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메인터치선의 센서신호편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센서신호편이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면서 상기 메인터치선과 센서신호선의 전반적인 형상이 조화되는 미세라인 패턴을 형성하므로 단위터치패드가 배치된 영역과 센서신호선이 영역이 구분되어 표시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곱째, 각 센서신호선 사이, 또는 각 단위터치패드 사이 또는, 임의의 단위터치패드와 인접된 센서신호선 사이에는, 각 단위터치패드 또는 각 센서신호선 간에 전기적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공간적으로 이격시키는 더미패턴선이 배치되며, 상기 더미패턴선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서브터치편 및 센서신호편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더미패턴편이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상기 더미패턴선에 의한 전기적 이격 효과와 동시에 상기 더미패턴선, 메인터치선 및 센서신호선의 전반적인 형상이 조화되는 미세라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여덟째, 단위터치패드의 메인터치선은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형태를 갖되, 표시장치 내에서 터치스크린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화소셀의 배치된 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광학적 간섭을 최소화하여 모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시인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표시장치에 장착된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를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종래의 터치스크린 패널이 장착된 표시장치를 상부위치에서 촬영한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장착된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위터치패드 및 센서신호선의 구성을 나타낸 도 5의 'B'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위터치패드, 센서신호선 및, 더미패턴선의 구성을 나타낸 도 6의 'C'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위터치패드에 구비된 센서신호선의 단부 길이 차이에 의해 상하로 인접배치된 각 센서신호선이 상호 정합되어 배치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 7의 'D'확대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터치편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 단위터치패드 사이에 더미패턴선이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11은 표시장치에 배치되어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화소셀의 각 색상화소가 정렬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치선이 종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연장형성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13는 표시장치의 상부에 터치스크린 패널이 배치됨에 따라 상기 화소셀과 단위터치패드의 메인터치선이 상호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 단위터치패드별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위터치패드가 절곡부를 기준으로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치선이 상기 화소셀의 배치된 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상호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더미패턴선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하학 패턴 구조를 가지는 터치스크린 패널(100)은, 단위터치패드(120)가 배치된 영역과 센서신호선(140)의 영역이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되지 않도록 터치스크린 패널(100)을 구성하는 각 단위터치패드(120)와 각 센서신호선(140)을 기하학적인 미세패턴 라인으로 동일하게 형성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터치스크린 패널로서, 도 5 내지 도 7에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터치패드(120)와, 터치드라이브IC(130) 및, 센서신호선(14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단위터치패드(12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동작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출력하는 터치감지 수단으로서, 기하학적인 미세패턴 라인으로 이루어지며, 터치스크린 패널(100)의 전체 터치영역에 가해지는 터치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투명기판(110) 상에 복수 열과 복수 오를 갖는 형태로 정렬배치된다. 즉, 터치스크린 패널(100)이 갖는 전체 터치영역에 걸쳐 다수의 단위터치패드(120)가 균일 또는 비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각 단위터치패드(120)는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단위 터치영역을 갖는다.
여기서, 단위터치패드(120)는 기하학적인 미세패턴 라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하학적 미세패턴 라인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직선형태를 가지며 해당 단위터치패드(120)의 터치영역 내에서 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메인터치선(121)과, 상기 메인터치선(121)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정길이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메인터치선(121)의 연장형성된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서브터치편(122) 및, 두 개의 메인터치선(121) 사이에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각 메인터치선(12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메인연결선(12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임의의 메인터치선(121)에 형성된 서브터치편(122)과 인접된 메인터치선(121)에 형성된 서브터치편(122)은, 두 메인터치선(121) 사이의 이격된 간격 내에 배치되되, 각 서브터치편(122)은 상기 이격된 간격 내에서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각 메인터치선(121) 간의 이격된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어 터치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영역이 증대되며, 각 메인터치선(121) 간의 이격된 간격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단위터치패드(120)를 구성하는 메인터치선(121), 서브터치편(122) 및 메인연결선(123)은 ITO(Indium Tin Oxide) 전극과 같이 투명전극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터치패드(120)에 포함되는 각 메인터치선(121)의 두께와 각 메인터치선(121) 간의 이격된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임의의 단위터치패드(120)와 인접된 단위터치패드(120) 간의 이격된 간격은 각 메인터치선(121) 간의 이격된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각 메인터치선(121)을 포함하여 상기 서브터치편(122) 및 메인터치선(121)은 동일한 두께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단위터치패드(120)를 상하로 인접 배치함에 있어서, 각 단위터치패드(120)는 전기적으로 이격되어야 하기 때문에 임의의 단위터치패드(120)에 포함된 메인터치선(121)의 상단 또는 하단 등의 단부는 인접된 단위터치패드(120)의 하단 또는 상단 등의 단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야 한다. 이때, 각 단위터치패드(120)의 메인터치선(121)의 단부를 상호 이격시키기 위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메인터치선(121a,121b)의 단부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할 경우, 도면에서와 같이 두 단위터치패드(120a,120b) 사이에는 빈 공백(G, Gap)이 발생하게 되어 외부에서 상기 빈 공백이 시인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치선(121)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위터치패드(120a,120b)의 단위 터치영역 내에서 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단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메인터치선(121a,121b)과 단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메인터치선(121a,121b)이 횡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며, 상하로 인접배치된 각 단위터치패드(120a,120b)는 각 단위터치패드(120a,120b)가 상호 이격된 간격(G) 내에서 각각의 단부 길이가 짧은 메인터치선(121a,121b)과 단부 길이가 긴 메인터치선(121a,121b)이 상호 정합되도록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호로 배치된 각 단위터치패드(120a,120)의 상호 이격된 간격(G)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터치선(121)의 양측에 형성된 서브터치편(122)은 횡방향으로 돌출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9a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9c 및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브터치편(122)은 메인터치선(121)의 일측에만 형성되고 타측에는 형성된 서브터치편(12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내입된 서브터치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서브터치편(122)과 서브터치홈(124)은 하나의 메인터치선(121)의 양측에 종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드라이브IC(130)는, 각 단위터치패드(120)로부터 생성된 터치신호에 따라 터치지점을 검출하는 터치 검출수단으로서, 센서신호선(140)을 통해 상기 단위터치패드(120)와 전기적으로 회로연결되어 각 단위터치패드(120)로부터 출력된 터치신호를 전달받아 수신하여 각 터치신호별 터치지점을 검출한다.
상기 센서신호선(140)은, 각 단위터치패드(120)에서 생성된 터치신호가 터치드라이브IC(130)에 전달되도록 단위터치패드(120)와 터치드라이브IC(130)를 상호 신호연결시키는 신호라인으로서, 각 단위터치패드(12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터치드라이브IC(130)에 전기적으로 회로연결되어 각 단위터치패드(120)로부터 출력된 터치신호를 상기 터치드라이브IC(130)에 인가하며, 상기 단위터치패드(1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하학적인 미세패턴 라인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센서신호선(140)은 단위터치패드(120)와 마찬가지로 ITO 전극과 같이 투명전극 재질로 이루어지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위터치패드(120a)에 포함된 복수 개의 메인터치선(121a) 중 하나 이상의 메인터치선(121a)이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신호선(140)은, 단위터치패드(1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하학적인 미세패턴 라인으로 이루어지되, 단위터치패드(120)의 메인터치선(121)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터치드라이브IC(130)에 전기적으로 회로연결되고, 상기 센서신호선(14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정길이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센서신호선(140)의 연장형성된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센서신호편(141)이 형성된다.
이때, 각 센서신호선(140)이 횡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상기 단위터치패드(120)의 각 메인터치선(121)이 횡방향으로 이격된 간격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대응되고, 상기 센서신호선(140)의 센서신호편(141)은 메인터치선(121)의 서브터치편(122)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센서신호편(141)이 센서신호선(140)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각 서브터치편(122)이 메인터치선(121)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된 간격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대응되도록 형성 및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서신호선(140)과 단위터치패드(120)가 상호 이격된 간격은 단위터치패드(120)에 포함된 각 메인터치선(121)이 상호 이격된 간격과 동일 유사하게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면에는 터치드라이브IC(130)가 터치스크린 패널(100) 상에서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신호선(140)이 각 단위터치패드(120)의 일측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터치드라이브IC(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터치드라이브IC(130)가 터치스크린 패널(100) 상에서 상부 또는 일측부에 배치될 경우 상기 센서신호선(140)은 각 단위터치패드(120)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거나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터치드라이브IC(130)에 연결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패널에서는 터치를 검출하기 위해 단위터치패드에 구동전압을 인가할 시, 각 단위터치패드간에, 또는 단위터치패드와 센서신호선간에 상호 전기적 영향을 미쳐 해당 단위터치패드의 정상적인 구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기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로 공간적으로 이격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전기적 영향을 받지 않도록 이격된 간격이 외부에서 표시되어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100)에서는 상기 단위터치패드(120) 및 센서신호선(14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하학적인 미세패턴 라인으로 이루어지되, 임의의 센서신호선(140a)과 인접된 센서신호선(140b) 사이, 또는 임의의 단위터치패드(120)와 인접된 단위터치패드(120) 사이, 또는 임의의 단위터치패드(120a)와 인접된 센서신호선(140b) 사이에 배치되어, 각 단위터치패드(120) 또는 각 센서신호선(140) 간에 전기적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공간적으로 이격시키는 더미패턴선(15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제1단위터치패드(120a) 및 제1센서신호선(140a)과, 인접배치된 제2센서신호선(140b) 간에 전기적 영향이 미지치 않도록 하나의 더미패턴선(150)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요구되는 공간적 이격 거리에 따라 복수 개의 더미패턴선(150)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더미패턴선(150)은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직선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또는 양측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정길이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더미패턴선(150)의 연장된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의 더미패턴편(1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더미패턴선(150)과 메인터치선(121)이 이격된 간격과, 상기 더미패턴선(150)과 센서신호선(140)이 이격된 간격은, 상기 단위터치패드(120)의 각 메인터치선(121)이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간격과 대응되고, 더미패턴선(150)의 더미패턴편(151)은 상기 메인터치선(121)의 서브터치편(122)과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더미패턴편(151)이 더미패턴선(150)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각 서브터치편(122)이 메인터치선(121)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된 간격과 대응되도록 형성 및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더미패턴선(150)은 단위터치패드(120) 및 터치드라이브IC(130)와 어떠한 전기적 연결없이 독립된 배치상태를 가지며, 상술한 단위터치패드(120)와 마찬가지로 ITO(Indium Tin Oxide) 전극과 같이 투명전극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더미패턴선(15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서브터치편(122) 및 센서신호편(14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더미패턴편(151)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상기 더미패턴선(150)에 의한 전기적 이격 효과와 동시에 상기 더미패턴선(150), 메인터치선(121) 및 센서신호선(140)의 전반적인 형상이 조화되는 미세라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더미패턴선(150)은 임의의 단위터치패드(120)와 상하로 인접배치된 다른 단위터치패드(120) 사이에 배치되어 각 단위터치패드(120) 간에 전기적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상하로 이격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더미패턴선(150)은 종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며 각 단위터치패드(120)의 메인터치선(121)이 배치된 수직연장선상에 수직으로 정렬되게 배치된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두 단위터치패드(120a,120b) 사이에 빈 공백(G, Gap)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 단위터치패드(120a,120b)가 상호 이격된 간격(G) 내에서 각각의 단부 길이가 짧은 메인터치선(121a,121b)과 단부 길이가 긴 메인터치선(121a,121b)이 상호 정합되도록 정렬되어 배치된 경우, 상기 더미패턴선(150)은 각 메인터치선(121a,121b)이 정렬 배치된 구조 사이에 동일한 길이로 배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시인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1은 표시장치에 배치되어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화소셀(P)의 정렬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치선(121)이 종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연장형성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또한, 도 13는 표시장치의 상부에 터치스크린 패널(100)이 배치됨에 따라 상기 화소셀(P)과 단위터치패드(120)의 메인터치선(121)이 상호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치선(121)이 상기 화소셀(P)의 배치된 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상호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100)은 LCD, PDP, OLED, LED, AMOLED 등의 표시장치 위에 장착되어 표면에 손가락이나 펜 등의 물체가 터치될 때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표시장치는 색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R(Red),G(Green),B(Blue) 등의 색상화소가 조합되어 이루어진 다수 개의 화소셀(P)을 포함하여 구비되고, 각 화소셀(P)은 표시장치의 액티브 영역 전체에 균일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도면에서와 같이 동일한 색상의 화소는 종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터치패드(120)의 메인터치선(121)이 각 화소셀(P)이 배치된 방향과 일치되게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직선형태를 가질 경우, 종방향으로 배치된 임의의 색상화소 전체를 덮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터치선(121)이 투명전극 재질로 이루어졌더라도 투과율에 있어서 메인터치선(121)이 덮이지 않는 부분과 미세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광학적 간섭에 의해 모아레(Moire) 현상이 나타나게 되어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치선(121)은 도 14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형태를 갖되, 표시장치 내에서 터치스크린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화소셀(P)의 배치된 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θ1234)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단위터치패드(120a)의 메인터치선(121a)이 갖는 경사각(θ1)과, 해당 단위터치패드(120)와 상하로 인접 배치된 다른 단위터치패드(120b)의 메인터치선(121b)이 갖는 경사각(θ2)은, 상호 상반된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하로 인접 배치된 각 단위터치패드(120a,120b)들은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단위터치패드(120)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성이외에, 하나의 단위터치패드(120)도 절곡형성되면서 경사진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터치패드(120)는 메인터치선(121)이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경사지게 배치되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절곡부(125)를 기준으로 상부부분과 하부분이 각각 갖는 경사각(θ34)이 상호 상반된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단위터치패드(120)에 하나의 절곡부(125)가 형성되어 1회만 절곡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단위터치패드(120) 내에는 복수 개의 절곡부(125)가 형성될 수도 있어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치선(121)은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화소셀(P)의 배치된 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θ1234)로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터치패드(120)의 메인터치선(121)이 화소셀(P)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임의의 색상화소 일부를 덮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경사진 각도(θ1234)에 의해 해당 색상화소가 배치된 방향(종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일부분만을 덮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해당 색상화소와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광학적 간섭을 최소화하여 모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터치패드(120)의 메인터치선(121)이 일정각도(θ12)로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각 단위터치패드(120) 또는 각 센서신호선(140) 사이를 공간적으로 이격시키는 더미패턴선(150)이 배치될 경우 해당 더미패턴선(150) 역시 상술한 메인터치선(121)과 마찬가지로 상하에 배치된 단위터치패드(120)의 메인터치선(121)의 경사진 각도에 따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메인터치선(121) 및 더미패턴선(150) 이외에 센서신호선(140) 역시 동일하게 각 메인터치선(121) 및 더미패턴선(150)의 경사진 패턴에 따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100)을 구성하는 단위터치패드(120)와 센서신호선(140)을 기하학적인 미세패턴 라인으로 동일하게 형성하여 단위터치패드(120)가 배치된 영역과 센서신호선(140)이 영역이 구분되어 표시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미려해지며 단위터치패드(120)의 배치영역과 센서신호선(140)의 배치영역에서 미세한 차이가 없이 동일한 상태로 화면출력되므로 시인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위터치패드(120)를 구성하는 각 메인터치선(121)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각 메인터치선(12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메인연결선(123)이 형성되므로, 라인형태로 형성된 각 메인터치선(121)들이 조합되어 하나의 단위 터치영역을 이루도록 회로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일정 터치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된 종래의 단위터치패드와 동일한 터치감도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단위터치패드(120)에 포함되며 상호 연결된 복수 개의 메인터치선(121) 중 하나 이상의 메인터치선(121)이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해당 단위터치패드(120)와 터치스크린 패널(100)를 신호연결시키기 위한 센서신호선(140)을 형성하며, 센서신호선(14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메인터치선(121)의 센서신호편(14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센서신호편(141)이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면서 상기 메인터치선(121)과 센서신호선(140)의 전반적인 형상이 조화되는 미세라인 패턴을 형성하므로 단위터치패드(120)가 배치된 영역과 센서신호선(140)의 영역이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터치스크린 패널 110...투명기판
120...단위터치패드 121...메인터치선
122...서브터치편 123...메인연결선
125...절곡부 130...터치드라이브IC
140...센서신호선 141...센서신호편
150...더미패턴선 151...더미패턴편

Claims (13)

  1. 복수개의 미세패턴 라인들로 이루어지고 투명기판(110) 상에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동작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출력하는 단위터치패드(120);
    각 단위터치패드(120)로부터 출력된 터치신호를 수신하여 각 터치신호별 터치지점을 검출하는 터치드라이브IC(130); 및
    각 단위터치패드(12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터치드라이브IC(130)에 전기적으로 회로연결되어 각 단위터치패드(120)로부터 출력된 터치신호를 상기 터치드라이브IC(130)에 인가하며, 상기 단위터치패드(1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미세패턴 라인들로 이루어진 센서신호선(140);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터치패드(120)의 상기 복수개의 미세패턴 라인들은,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해당 단위터치패드(120)의 터치영역 내에서 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메인터치선(121)과, 상기 메인터치선(121)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정길이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메인터치선(121)의 연장형성된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서브터치편(122) 및, 두 개의 메인터치선(121) 사이에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각 메인터치선(12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메인연결선(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신호선(140)은,
    해당 단위터치패드(120)에 포함된 복수 개의 메인터치선(121) 중 하나 이상의 메인터치선(121)이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4. 제 2항에 있어서,
    임의의 메인터치선(121)에 형성된 서브터치편(122)과 인접된 메인터치선(121)에 형성된 서브터치편(122)은, 두 메인터치선(121) 사이의 이격된 간격 내에 배치되되,
    각 서브터치편(122)은 상기 이격된 간격 내에서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치선(121)은, 해당 단위터치패드(120)의 터치영역 내에서 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단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메인터치선(121)과 단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메인터치선(121)이 횡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며,
    상하로 인접배치된 각 단위터치패드(120)는, 각 단위터치패드(120)가 상호 이격된 간격 내에서 각각의 단부 길이가 짧은 메인터치선(121)과 단부 길이가 긴 메인터치선(121)이 상호 정합되도록 정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신호선(140)은,
    상기 단위터치패드(1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미세패턴 라인들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위터치패드(120)의 메인터치선(121)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터치드라이브IC(130)에 전기적으로 회로연결되고,
    상기 센서신호선(14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정길이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센서신호선(140)의 연장형성된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센서신호편(1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7. 제 2항에 있어서,
    각 센서신호선(140)이 횡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상기 단위터치패드(120)의 각 메인터치선(121)이 횡방향으로 이격된 간격과 대응되고,
    상기 센서신호선(140)의 센서신호편(141)은 상기 메인터치선(121)의 서브터치편(12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센서신호편(141)이 상기 센서신호선(140)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각 서브터치편(122)이 상기 메인터치선(121)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된 간격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치선(121)은,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형태를 갖되, 표시장치 내에서 터치스크린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화소셀(P)의 배치된 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θ1234)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9. 제 8항에 있어서,
    임의의 단위터치패드(120)의 메인터치선(121)이 갖는 경사각(θ1)과, 해당 단위터치패드(120)와 상하로 인접 배치된 다른 단위터치패드(120)의 메인터치선(121)이 갖는 경사각(θ2)은, 상호 상반된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하로 인접 배치된 각 단위터치패드(120)들은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터치패드(120)는, 메인터치선(121)이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경사지게 배치되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절곡부(125)를 기준으로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이 각각 갖는 경사각(θ34)이 상호 상반된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터치패드(120) 및 센서신호선(140)은 동일 또는 유사한 미세패턴 라인들로 이루어지되, 임의의 센서신호선(140)과 인접된 센서신호선(140) 사이, 또는 임의의 단위터치패드(120)와 인접된 단위터치패드(120) 사이, 또는 임의의 단위터치패드(120)와 인접된 센서신호선(140) 사이에 배치되어, 각 단위터치패드(120) 또는 각 센서신호선(140) 간에 전기적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공간적으로 이격시키는 더미패턴선(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패턴선(150)은,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직선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또는 양측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정길이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더미패턴선(150)의 연장된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의 더미패턴편(1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패턴선(150)과 메인터치선(121)이 이격된 간격과, 상기 더미패턴선(150)과 센서신호선(140)이 이격된 간격은, 상기 단위터치패드(120)의 각 메인터치선(121)이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간격과 대응되고,
    상기 더미패턴선(150)의 더미패턴편(151)은, 상기 메인터치선(121)의 서브터치편(122)과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더미패턴편(151)이 더미패턴선(150)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각 서브터치편(122)이 메인터치선(121)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된 간격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KR1020130121061A 2013-10-11 2013-10-11 기하학 패턴 구조를 가지는 터치스크린 패널 KR101553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061A KR101553324B1 (ko) 2013-10-11 2013-10-11 기하학 패턴 구조를 가지는 터치스크린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061A KR101553324B1 (ko) 2013-10-11 2013-10-11 기하학 패턴 구조를 가지는 터치스크린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37A KR20150042437A (ko) 2015-04-21
KR101553324B1 true KR101553324B1 (ko) 2015-09-15

Family

ID=5303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061A KR101553324B1 (ko) 2013-10-11 2013-10-11 기하학 패턴 구조를 가지는 터치스크린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3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5475B2 (en) 2018-02-12 2020-10-06 Samsung Display Co., Ltd. Sensing unit having a notch patter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061B1 (ko) 2015-07-06 2017-07-21 주식회사 지2터치 시인성 개선을 위한 미세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KR101740269B1 (ko) 2015-07-06 2017-06-08 주식회사 지2터치 고 분해능을 갖는 터치 패널
CN106526939A (zh) * 2016-12-30 2017-03-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内嵌式触控液晶显示面板及制作方法
CN112527159B (zh) * 2020-12-21 2024-03-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基板和显示装置
KR102529508B1 (ko) * 2021-07-26 2023-05-08 주식회사 지2터치 디스플레이 노이즈 제거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5475B2 (en) 2018-02-12 2020-10-06 Samsung Display Co., Ltd. Sensing unit having a notch patter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392231B2 (en) 2018-02-12 2022-07-19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a sensing pat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37A (ko)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8062B2 (en) Touch screen panel
KR101553324B1 (ko) 기하학 패턴 구조를 가지는 터치스크린 패널
US11644916B2 (en) Touch panel display device
US10282007B2 (en) Display device
KR20160063540A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170031514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1048805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8221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US10275074B2 (en) Touch detec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JP6494287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7198729A (ja) 表示装置
KR101615056B1 (ko) 입력 장치
WO2021107019A1 (ja) 検出装置及び表示装置
US10216340B2 (en) Touch detection device for improving touch detection and visibilit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140029323A (ko) 시인성 개선을 위한 터치 검출 장치
US10976883B2 (en) Touch substrate and touch display device
KR101687218B1 (ko) 시인성 개선을 위한 플렉서블 터치 검출 장치
JP5386449B2 (ja) タッチパネル
JP6338548B2 (ja) 入力装置
KR200474148Y1 (ko)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