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620A - 메시지의 알림에 대한 차단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메시지의 알림에 대한 차단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620A
KR20180076620A KR1020160180977A KR20160180977A KR20180076620A KR 20180076620 A KR20180076620 A KR 20180076620A KR 1020160180977 A KR1020160180977 A KR 1020160180977A KR 20160180977 A KR20160180977 A KR 20160180977A KR 20180076620 A KR20180076620 A KR 20180076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application
notification
list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3356B1 (ko
Inventor
송혜원
이대범
이재혁
이현록
곽세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0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35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04M1/7256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장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나타내고, 목록의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객체 및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를 설정하는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메시지의 알림에 대한 차단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BLOCKING NOTIFICATION OF MESSAGE}
아래의 실시예들은 메시지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플리에키션에서 발생하는 메시지의 알림에 대한 차단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smartphone)과 같은 모바일 단말(terminal)이 널리 보급되어, 한 사람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었다.
모바일 단말의 광범위한 보급 및 성능의 향상에 기인하여, 모바일 단말은 전통적인 통화 및 메시징(messaging) 기능 외에도, 이전에는 개인용 컴퓨터에 의해 제공되던 다양한 유틸리티(utility) 및 게임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게 되었다.
특히, 사용자가 항상 모바일 단말을 휴대하고 있고,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며, 위치나 자세(pose)가 쉽게 변경된다는 모바일 단말의 특징에 따라서,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다양한 통신 방식들 및 센서들이 모바일 단말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특징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에 비해 더 다양한 기능의 프로그램들이 모바일 단말 용으로 제공되고 있다.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 중에 메시지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메시지는 알림(notification) 기능을 통해 단말에 출력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fore-ground)로 실행되지 않더라도 팝-업 윈도우(pop-up windows) 나 알림 바(notification bar)에서 메시지가 출력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언제나,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메시지의 알림을 요구하지는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나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메시지의 알림은 차단하려고 할 수 있다.
하나의 모바일 단말에서 상당한 개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치 및 사용되는 상황에서 어플리케이션 별로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를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6-0143139호, 2016년 12월 14일 공개 (명칭: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메시지의 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일 실시예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필터링을 통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특정한 순서로 정렬된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나타내고, 상기 목록의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객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를 설정하는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는 선택 버튼, 토글 버튼, 슬라이더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객체의 터치 앤 드래그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설정에 따른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목록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목록이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된 어플리케이션만 나타내도록 상기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목록의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차단의 여부가 변경되면, 상기 메시지의 차단의 여부가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목록에서 제외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목록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방식으로 정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메시지의 알림의 발생 빈도의 순서,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의 변경 추천의 순서 또는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가 변경된 시간의 순서로 상기 목록을 정렬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가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알림 메시지가 차단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는 알림이 차단된 메시지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읽지 않은 메시지의 개수 및 수신된 메시지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 측에 있어서,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나타내고, 상기 목록의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객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를 설정하는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메시지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메시지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필터링을 통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메시지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특정한 순서로 정렬된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장치 및 외부 서버 간의 연동을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의 알림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나타낸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선택 버튼의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토글 버튼의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객체의 터치 앤 드래그를 사용하는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목록의 필터링을 나타낸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목록의 정렬을 나타낸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의 내용을 나타낸다.
후술하는 예시적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실시예를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실시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예시적 실시예들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으며, 추가적인 구성이 예시적 실시예들의 실시 또는 예시적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component)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의 2개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상기의 2개의 구성요소들의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의 구성요소들은 상기의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의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여 지칭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나타나는 구성요소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단위로만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요소로 나열된 것이다.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가 복수의 구성요소들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요소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 또한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일부의 구성요소는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요소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실시예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요소와 같은, 선택적 구성요소가 제외된 구조 또한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시예들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조도이다.
장치(100)는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형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100)는 스마트폰(smart phone)일 수 있다. 또는, 장치(100)는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피엠피(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피처폰(feature phone), 네비게이션(navigation), 태블릿(tablet), 노트북(notebook),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셋-탑 박스(Set-top Box),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장치 또는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장치(100)는, 예를 들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출력부(140), 입력부(150), 센싱부(160), 인터페이스(interface)(170) 및 전력부(180)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요소(component)들로서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bus) 또는 신호 라인(line)을 통해 서로 간에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서 장치(100)에 대하여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단지 일 예일 수 있다.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모두가 장치(100)에 대하여 필수적인 것은 아닐 수 있다. 장치(100)는 도 1에서 도시된 것에 비해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도시된 2 개 이상의 구성요소들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들은 도 1에서 도시된 것에 비해 다르게 구성(configure)되거나 배치(arrange)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신호 프로세싱 및/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을 비롯한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장치(100)의 동작을 위해 요구되는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장치(100)로 입력되거나, 장치(100)에서 출력되거나, 장치(100)에서 발생한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의 생성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에 관련된 검사, 비교 및 판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말하자면, 실시예에서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의 생성 및 처리와 데이터 또는 정보에 관련된 검사, 비교 및 판단은 프로세서(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일 수 있고,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복수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코어(core)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프로세스들 및/또는 복수의 쓰레드들을 동시에 실행하는 멀티-테스킹(multi-tasking)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프로세서들, 복수의 코어들, 복수의 프로세스들 및/또는 복수의 쓰레드들을 통해 실시예들의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대상들에 대해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장치(100)의 동작 또는 단계의 코드를 실행(execute)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코드를 실행함에 따라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110)에 의해 조합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프로그램(program)을 구동(run)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code)를 실행(execute)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장치(100)의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 시스템 프로그램(system program),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앱(ap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화, 메시지 송수신 및 설정(setting) 등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장치(100)에 기설치된(pre-installed) 프로그램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및 앱은 동일한 의미로,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구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멀티-테스킹(multi-tasking)을 통해 복수의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앞서 설명된 프로세서(110)의 기능을 위해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장치(100)의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장치(100)의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이동 통신부, 무선 인터넷 통신부, 근거리 통신부 및 방송 수신부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의 구성요소들은 장치(100)를 서로 상이한 타입의 네트워크들에 각각 연결시킬 수 있다.
이동 통신부는, 특정한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 시스템, 기지국,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방식은 지에스엠(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씨디엠에이(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씨디엠에이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CDMA2000), 이브이디오(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EVDO), 더블유씨디엠에이(Wideband CDMA; WCDMA), 에이치에스디피에이(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에이치에스유피에이(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엘티이(Long Term Evolution; LTE) 및 엘티이-에이(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call)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통신부는 특정한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에 따라 구축된 무선 인터넷 통신 방에서, 다른 장치와 무선 신호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은 와이어리스 렌(Wireless LAN; WLAN), 와이-파이(Wireless-Fidelity; 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디엘엔에이(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에이치에스디피에이(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에이치에스유피에이(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엘티이(Long Term Evolution; LTE), 엘티이-에이(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및 LTE-A 등에 의한 무선 인터넷 접속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넷 통신부는 이동 통신부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근거리(short range) 통신 방식 또는 로컬(local) 통신 방식에 따라 다른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에서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알에프아이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적외선 데이터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유더블유비(Ultra WideBand; UWB),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와이-파이(Wireless-Fidelity; 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무선 유에스비(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Wireless US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는 방송 신호 또는 방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는 외부의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된 방송 신호 또는 방송 정보를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및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는 복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상이한 방식의 방송 체널을 제공하거나, 2 개 이상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의 방송 채널을 제공하거나, 방송 채널들 간의 스위칭(switching)을 위해 복수의 방송 수신부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장치(100)의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장치(100)가 갖는 데이터 또는 정보는 저장부(23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30)는 프로그램의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전술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110)는 프로그램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저장부(130)로부터 프로그램의 코드를 독출(read)할 수 있고, 독출된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유심(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및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의 적어도 일부는 장치(100)에 내장되는 내장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의 적어도 일부는 장치(100)에 부착 또는 삽입되는 외장 메모리일 수 있다. 저장부(130)는 외장 메모리를 부착 또는 삽입하기 위한 외장 메모리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장치(100)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장치(100)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시각, 청각 또는 청각에 관련된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 터치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햅틱(haptic)부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장치(100)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후술될 터치 센서 및 디스플레이의 결합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및 터치 센서는 레이어 구조를 통해 터치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터치 디스플레이는 터치 센서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후술될 입력부(150)에 포함될 수 있다. 말하자면, 터치 디스플레이는 장치(100)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140)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장치(100)에게 제공하는 입력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
스피커는 장치(100)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음향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스피커는 음악 또는 음성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햅틱부는 장치(100)의 움직임을 통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입력부(150)는 장치(100)에서 사용될 정보 또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부(150)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는 영상, 비디오 및 오디오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키보드, 버튼, 터치 센서, 카메라 및 마이크로 폰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키보드는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장치(100)로 수문자(alphanumeric) 및 기호(symbol)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키보드의 키의 입력을 통해 장치(100)에서 키에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키보드는 물리적인 키를 갖는 물리적 키보드일 수 있다. 물리적 키보드는 물리적 키 또는 터치 키로 구성될 수 있다. 키는 물리적인 눌림에 의해 입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의 감지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키보드는 터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가상(virtual) 키보드 또는 소프트(soft) 키보드일 수 있다.
버튼의 입력을 통해 장치(100)에서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버튼은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버튼들 중 2 개 이상의 버튼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눌림에 따라 기정의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버튼은 물리적인 버튼일 수 있으며, 터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소프트 버튼일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고, 터치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는 카메라의 전면의 영상(image) 또는 비디오(video)를 촬영할 수 있고, 촬영을 통해 영상 또는 비디오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은 정지 영상을 나타낼 수 있고, 비디오는 동영상을 나타낼 수 있다. 동영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장치(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통화 모드일 때 동작할 수 있다. 카메라는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 또는 비디오를 처리할 수 있다. 영상 또는 비디오는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영상 또는 비디오의 정보 또는 데이터는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카메라는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들은 서로 다른 방향의 영상 또는 비디오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카메라는 장치(100)의 전면의 영상 또는 비디오를 촬영할 수 있다. 후면 카메라는 장치(100)의 후면의 영상 또는 비디오를 촬영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들은 기정의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정의된 형태는 매트릭스 구조일 수 있다. 기정의된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서로 시점(viewpoint)들이 상이한 복수의 영상 또는 비디오가 획득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들에 의해 획득된 영상들 또는 비디오들의 위치(position)들 및 자세(pose)들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위치들 및 자세들이 서로 상이한 영상들 또는 비디오들을 통해 입체 영상 또는 입체 비디오가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레오(stereo)의 형태로 배치된 좌 카메라 및 우 카메라를 통해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될 수 있고,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통해 입체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마이크로 폰은 장치(100)의 주변의 음향을 인식할 수 있고, 음향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 폰은 음향의 신호를 음향 또는 음성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음향 또는 음성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데이터에 의해 장치(100)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폰은 주변의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통해, 잡음이 제거된 음성 또는 음향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0)는 스위치(switch), 조그 셔틀(jog shuttle) 및 휠(whe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60)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센서는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는 장치(100)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 및 장치(100)의 주변의 환경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60)는 위치 센서(position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알지비(Red Green Blue;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 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 및 화학 센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센서는 장치(1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장치(100)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센서는 장치(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프로세서(100)는 위치 센서에 의해 생성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장치(100)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위치 센서는 전역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및 와이-파이를 포함할 수 있다.
GPS는 GPS 위성으로부터 방송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장치(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와이-파이는 무선 통신의 기능과 함께 장치(10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장치(100)는 와이-파이를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무선 AP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장치(100)는 와이-파이와 통신하는 AP의 정보에 기반하여 장치(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장치(100)에 근접한 물체를 감지할 수 있고, 장치(100)에 물체가 근접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조도 센서는 장치(100)의 주변의 빛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고, 조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장치(100)로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고, 장치(100)로의 터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장치(100)의 움직임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고, 장치(100)의 가속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중력 센서는 장치(100)에 가해지는 중력을 감지할 수 있고, 장치(100)에 가해지는 중력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장치(10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고, 장치(100)의 회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장치(100)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RGB 센서는 장치(100)의 주변의 빛의 색 농도를 감지할 수 있고, 장치(100)의 주변의 색 농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장치(100)의 주변의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고, 장치(100)의 주변의 적외선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는 장치(100)의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할 수 있고, 장치(100)의 사용자의 지문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장치(100)의 주변의 초음파를 감지할 수 있고, 장치(100)의 주변의 초음파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광 센서는 장치(100)의 주변의 빛을 감지할 수 있고, 장치(100)의 주변의 빛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장치(100)의 배터리의 충전 정도 또는 잔량을 감지할 수 있고, 장치(100)의 배터리의 충전 정도 또는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환경 센서는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센서, 열 센서 및 가스 센서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센서들은 각각 장치(100)의 주변의 기압, 습도, 온도, 방사능, 열 및 가스를 감지할 수 있고, 주변의 기압, 습도, 온도, 방사능, 열 및 가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화학 센서는 전자 코, 헬스 케어 센서 및 생체 인식 센서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코는 장치(100)의 주변의 냄새를 감지할 수 있고, 장치(100)의 주변의 냄새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헬스 케어 센서는 장치(100)의 사용자의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고, 장치(100)의 사용자의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센서는 장치(100)의 사용자의 생체적 특징을 감지할 수 있고, 장치(100)의 사용자의 생체적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된 지문 인식 센서는 생체 인식 센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생체 인식 센서는 지문 인식 센서 및 홍체 인식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0)는 전술된 센서들 중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고, 복수의 센서들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조합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0)는 장치(100) 및 다른 장치 간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에너지의 송수신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인터페이스(170)는 장치(100)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다른 장치로 출력하거나, 다른 장치(100)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는 충전기,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충전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는 영상의 신호가 출력되는 영상 출력 포트 및 음향의 신호가 출력되는 음향 출력 포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포트는 이어폰(earphone) 포트 또는 헤드폰(headphone) 포트일 수 있다. 또는, 음향 출력 포트는 광 출력 포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는 영상의 신호가 입력되는 영상 입력 포트 및 음향의 신호가 입력되는 음향 입력 포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부(180)는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력 또는 장치(100)의 내부의 배터리(battery)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게 공급할 수 있다. 전력부(18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내장형의 배터리 또는 교체될 수 있는 배터리일 수 있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
장치(100)는 디스플레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디스플레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00)는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터치 디스플레이에 대응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GUI를 출력할 수 있다.
GUI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screen)들 또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page)들을 포함할 수 있다. GUI는 하나 이상의 GUI의 객체(object)들을 포함할 수 있다.
GUI의 객체는 영상(image), 텍스트(text), 입력 박스(input box),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버튼(button), 체크 박스(check box), 슬라이더(slider), 스크롤 바(scroll bar), 목록(list), 메뉴(menu) 및 소프트 키보드(soft keybo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0)의 사용자는 GUI 및 GUI의 객체에 대한 조작을 통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GUI 및 GUI의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가 터치 디스플레이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은 터치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또는, 탭(tap)), 숏 터치, 롱 터치, 멀티 터치, 드래그(drag) 터치, 터치 앤(and) 드래그, 플리크(flick) 터치, 핀치-인(pinch-in), 핀치-아웃(pinch-out), 스와이프(swipe) 및 호버링(hover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터치 디스플레이의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를 사용하여 GUI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할 수 있고,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터치 디스플레이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 터치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의 조작이 가해진 위치에 표시된 객체에 대한 조작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310)에서, 프로세서(110)는 GUI를 생성할 수 있다.
GUI는 후술될 메시지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나타낼 수 있다.
단계(320)에서, 출력부(140)는 GUI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디스플레이(200) 또는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단계(320)에서, 출력은 장치(100) 자체에서 GUI의 영상이 출력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외부의 다른 장치로) GUI의 정보 또는 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프로세서(110)는 GUI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의 터치 또는 탭 등을 검출할 수 있고,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또는 탭 등이 검출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입력부(150)를 통해 GUI를 조작할 수 있고, 데이터 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GUI의 조작에 대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데이터 또는 정보를 프로세서(11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입력부(150)로부터 전송된 조작에 대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프로세서(110)는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GUI의 객체들의 설정 및 변경 등이 설명된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GUI의 객체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데이터 또는 정보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장치 및 외부 서버 간의 연동을 설명한다.
장치(100)는 통신부(120) 또는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다른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장치(100)는 서버와 연동될 수 있다.
서버는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서버의 동작을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정보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통해 장치(100) 및 서버는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서버는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장치(1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후술되는 실시예에서의 처리, 동작 또는 단계의 적어도 일부는 장치(1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서버로서 하나 이상의 서버들(500)이 도시되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서버들(500)는 통신사 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사 서버는 장치(100)에게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에 의해 운용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서비스는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장치(100)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장치(100)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어플리케이션에게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SNS 서버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마켓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의 검색,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어플리케이션의 갱신 등을 장치(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는 장치(100), 장치(100)의 운영 체제 및/또는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는 장치(100), 장치(100)의 운영 체제 및/또는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또는 구성을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설정 또는 구성을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복수의 장치들 간에 설정 또는 구성의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설정 또는 구성을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통해 장치(100), 장치(100)의 운영 체제 및/또는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또는 구성이 서버에 백업될 수 있으며, 설정 또는 구성을 위한 정보가 다른 장치로 이전될 수 있다. 백업을 위해, 장치(100)는 장치(100), 장치(100)의 운영 체제 및/또는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또는 구성을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의 알림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나타낸다.
도 5에서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GUI(500)가 도시되었다.
GUI(500)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나타낼 수 있다.
목록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각 어플리케이션들은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말하자면,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목록의 하나의 항목(entity)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GUI(500)는 목록의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 객체,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 및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말하자면, 목록의 각 항목은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할 수 있고, 각 항목은 어플리케이션 객체,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 및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목록의 첫 번째 항목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1 어플리케이션 객체(510), 제1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520) 및 제1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530)가 도시되었다.
어플리케이션 객체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객체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장치(100)의 사용자는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의 조작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는 선택 버튼, 옵션들(options), 토글(toggle) 버튼 및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 객체의 터치 앤 드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GUI(50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GUI(500)를 통해 장치(100)에 어플리케이션들 중 메시지를 제공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가 직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GUI(500)에 대한 조작을 통해,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가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선택 버튼의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는 선택 버튼(6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객체,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 및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가 도시되었다. 또한,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로서 선택 버튼(600)이 도시되었다.
선택 버튼(600)은 2개의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순간에 2개의 버튼들 중 하나만이 눌린(pushed) 상태가 될 수 있다. 버튼의 눌린 상태 또는 눌리지 않은 상태는 버튼의 형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선택 버튼(600)은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을 나타내는 차단 버튼(610) 및 메시지의 알림의 허용을 나타내는 허용 버튼(6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단 버튼(610) 및 허용 버튼(620) 중 하나를 클릭, 터치 및 탭 등의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버튼은 눌린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버튼들 중 선택된 버튼이 아닌 다른 버튼은 눌리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차단 버튼(610)이 눌린 상태인 것은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허용 버튼(620)이 눌린 상태인 것은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되지 않은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의 버튼에 대한 설명은 옵션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차단 버튼(610) 및 허용 버튼(620)은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을 나타내는 차단 옵션 및 메시지의 알림의 허용을 나타내는 허용 옵션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토글 버튼의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는 토글 버튼(7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객체,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 및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가 도시되었다. 또한,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로서 토글 버튼(700)이 도시되었다.
토글 버튼(700)은 2개의 상태들 중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2개의 상태들은 눌린 상태 및 눌리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토글 버튼(700)을 클릭, 터치 및 탭 등의 방식으로 선택함으로써 토글 버튼(700)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토글 버튼(700)을 선택할 때마다, 토글 버튼(700)의 상태는 눌린 상태 및 눌리지 않은 상태 간에서 스위치될 수 있다.
토글 버튼(700)이 눌린 상태인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토글 버튼(700)은 눌리지 않은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토글 버튼(700)이 눌리지 않은 상태인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토글 버튼(700)은 눌린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토글 버튼(700)이 눌린 상태인 것은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토글 버튼(700)이 눌리지 않은 상태인 것은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되지 않은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토글 버튼(700)은 토글 버튼의 상태의 의미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는 토글 버튼(700)의 내부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글 버튼(700)이 눌린 상태인 경우, 텍스트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내용(예를 들면, "차단")일 수 있다. 토글 버튼(700)이 눌리지 않은 상태인 경우, 텍스트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내용(예를 들면, "허용")일 수 있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더(8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객체,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 및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가 도시되었다. 또한,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로서 슬라이더(800)가 도시되었다.
슬라이더(800)는 2개의 값들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값들 중 첫 번째의 값은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차단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2개의 값들 중 두 번째의 값은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차단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슬라이더(800)의 값은 포인터(810)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슬라이더(800)의 값은 포인터(810)가 2개의 위치들 중 어느 위치에 있는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2개의 위치들은 2개의 값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2개의 위치들 중 첫 번째 위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차단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2개의 위치들 중 두 번째 위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차단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2개의 위치들의 각각의 주변에는 위치에 대응하는 값의 의미를 나타내는 텍스트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첫 번째의 위치의 주변에는 "차단"의 텍스트가, 두 번째의 위치의 주변에는 "허용"의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앤 드래그, 터치 및 탭의 동작을 통해 포인터(81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인터(810)는 터치 앤 드래그가 끝난 위치, 터치된 위치 또는 탭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포인터(810)의 이동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가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객체의 터치 앤 드래그를 사용하는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GUI(500)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2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영역들은 차단 영역(910) 및 허용 영역(92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 영역(910)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단 영역(910)은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된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허용 영역(920)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허용 영역(920)은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역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객체를 다른 영역으로 이동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의 차단 여부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앤 드래그에 의해, 차단 영역(910)의 어플리케이션 객체가 허용 영역(920)으로 이동하면 어플리케이션 객체가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앤 드래그에 의해, 허용 영역(920)의 어플리케이션 객체가 차단 영역(910)으로 이동하면 어플리케이션 객체가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목록의 필터링을 나타낸다.
프로세서(110)는 설정에 따른 필터링을 수행하여 GUI(500)가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조정할 수 있다. 말하자면, 필터링에 의해 장치(100)에 설치된 메시지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필터링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어플리케이션(들)만 목록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0에서, 목록은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된 어플리케이션만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프로세서(110)는 목록이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된 어플리케이션만을 나타내도록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10)는 목록이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만을 나타내도록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10)는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와는 무관하게 어플리케이션을 목록에 포함시킬 수 있다.
GUI(500)는 필터링 설정 메뉴(101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 설정 메뉴(1010)는 필터링에 대한 설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링 설정 메뉴(1010)는 "차단"을 나타내는 값, "허용"을 나타내는 값, "전체"를 나타내는 값 또는 "사용자 지정"을 나타내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링 설정 메뉴(1010)는 "차단"을 나타내는 값, "허용"을 나타내는 값, "전체"를 나타내는 값 또는 "사용자 지정"을 나타내는 값 중 하나가 선택되는 리스트 박스(list box)일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링 설정 메뉴(1010)를 조정함으로써 필터링 설정 메뉴(1010)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필터링 설정 메뉴(1010)의 값이 "차단"을 나타내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목록이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된 어플리케이션만을 나타내도록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필터링 설정 메뉴(1010)의 값이 "허용"을 나타내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목록이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만을 나타내도록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필터링 설정 메뉴(1010)의 값이 "전체"를 나타내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와는 무관하게 어플리케이션을 목록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목록에 대하여 필터링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필터링 설정 메뉴(1010)의 값이 "사용자 지정"을 나타내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목록에 포함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어플리케이션을 목록에 포함시킬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사용자에 의해 목록에 포함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목록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필터링이 적용될 경우, 프로세서(110)는 목록의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차단의 여부가 변경되면, 메시지의 차단의 여부가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을 목록에서 제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된 어플리케이션만 표시되는 필터링이 적용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여부가 차단하지 않는 것으로 변경되면, 어플리케이션은 목록에서 제외될 수 있다. 또는,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만 표시되는 필터링이 적용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여부가 차단하는 것으로 변경되면, 어플리케이션은 목록에서 제외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목록의 정렬을 나타낸다.
프로세서(110)는 GUI(500)가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방식으로 정렬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이 어플리케이션들의 명칭에 따라 정렬되었다.
GUI(500)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의 정렬 기준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UI(500)는 정렬 기준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메뉴 및 리스트 박스 등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프로세서(110)는 아래의 정렬 기준의 순서로 목록을 정렬할 수 있다. 목록은 정렬 기준의 값의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1)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을 차단하는지 여부
프로세서(110)는 우선적으로 메시지의 알림을 차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다음으로 메시지의 알림을 차단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목록을 정렬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프로세서(110)는 우선적으로 메시지의 알림을 차단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다음으로 메시지의 알림을 차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목록을 정렬할 수 있다.
2) 어플리케이션의 명칭
프로세서(110)는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의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목록을 정렬할 수 있다.
3)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시간
프로세서(110)는 어플리케이션이 최근에 설치된 순서로 목록을 정렬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10)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순서의 역순으로 목록을 정렬할 수 있다.
4) 어플리케이션이 가장 최근에 메시지를 제공한 시간
프로세서(110)는 최근에 메시지를 제공한 어플리케이션이 목록의 위에 위치하도록 목록을 정렬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10)는 메시지를 제공한 지 오래된 어플리케이션이 목록의 위에 위치하도록 목록을 정렬할 수 있다.
5)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
프로세서(110)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의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목록을 정렬할 수 있다.
6)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들 중 사용자가 읽지 않은 메시지의 개수
프로세서(110)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들 중 사용자가 읽지 않은 메시지의 개수의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목록을 정렬할 수 있다.
7)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된 경우 알림이 차단된 메시지의 개수
프로세서(110)는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알림이 차단된 메시지의 개수의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목록을 정렬할 수 있다.
8)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발생 빈도
프로세서(110)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발생 빈도의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목록을 정렬할 수 있다.
9)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의 변경 추천
프로세서(110)는 기정의된 방식으로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알림의 차단 여부의 변경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행위에 기반하여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알림의 차단 여부의 변경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를 읽지 않는 경향이 검출되면, 프로세서(110)는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알림을 차단하도록 변경을 추천할 수 있다.
예들 들면, 프로세서(110)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알림을 차단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알림을 차단하도록 변경을 추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은 기정의된 비율 이상의 사용자들을 의미할 수 있다.
10)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가 변경된 시간
프로세서(110)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가 변경된 시간의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목록을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최근에 알림의 차단 여부가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을 목록의 상단에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사용자는 알림의 차단 여부의 변경에 대한 재변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술된 것과 같은 정렬 기준들을 통해 목록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사용자의 의도 또는 상황에 맞는 방식으로 정렬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기의 정렬 기준들 중 2개 이상의 정렬 기준을 조합하여 목록을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우선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을 차단하는지 여부로 정렬하고, 메시지의 알림을 차단하는 어플리케이션들 및 메시지의 알림을 차단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들의 각각을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
GUI(500)는 정렬 설정 메뉴(1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정렬 설정 메뉴(1110)는 정렬에 대한 설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렬 설정 메뉴(1110)는 전술된 정렬 기준들의 각각을 나타내는 값들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정렬 설정 메뉴(1110)는 전술된 정렬 기준들의 오름차순 및 내림차순의 각각을 나타내는 값들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정렬 설정 메뉴(1110)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것을 나타내는 값을 가진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의 내용을 나타낸다.
GUI(500)는 목록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각 목록에 대해,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제1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1210) 및 제2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1220)가 도시되었다.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가 나타내는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의 알림 메시지가 차단되도록 설정된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는 알림이 차단된 메시지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1210)에서는 알림 차단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함께 알림이 차단된 메시지의 개수가 표시되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읽지 않은 메시지의 개수 및 수신된 메시지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1220)에서는 사용자가 읽지 않은 메시지의 개수 및 수신된 메시지의 개수가 각각 아이콘과 함께 표시되었다.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가 변경되면,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가 나타내는 정보 또한 차단 여부의 변경에 따라 함께 변경될 수 있다.
또는,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에 무관하게,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이 기정의된 시간 내에 메시지를 제공하였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정의된 시간은 1시간, 1일 및 1주일 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피쳐폰 VM(virtual machine) 등의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에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메시지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장치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를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설정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들은 목록에 대한 필터링 및 정렬을 통해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차단 여부에 대한 설정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100: 장치
110: 프로세서
120: 통신부
130: 저장부
140: 출력부
150: 입력부
160: 센싱부
170: 인터페이스
180: 전력부
200: 디스플레이
500: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

Claims (10)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나타내고, 상기 목록의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객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를 설정하는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는 선택 버튼, 토글 버튼, 슬라이더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객체의 터치 앤 드래그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설정에 따른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목록을 조정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목록이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된 어플리케이션만 나타내도록 상기 필터링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목록의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차단의 여부가 변경되면, 상기 메시지의 차단의 여부가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목록에서 제외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목록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방식으로 정렬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시지의 알림의 발생 빈도의 순서,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의 변경 추천의 순서 또는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가 변경된 시간의 순서로 상기 목록을 정렬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가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에 따라 상이한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알림 메시지가 차단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는 알림이 차단된 메시지의 개수를 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이 차단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메시지 정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읽지 않은 메시지의 개수 및 수신된 메시지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나타내고, 상기 목록의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객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알림의 차단 여부를 설정하는 차단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0160180977A 2016-12-28 2016-12-28 메시지의 알림에 대한 차단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83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977A KR101883356B1 (ko) 2016-12-28 2016-12-28 메시지의 알림에 대한 차단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977A KR101883356B1 (ko) 2016-12-28 2016-12-28 메시지의 알림에 대한 차단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620A true KR20180076620A (ko) 2018-07-06
KR101883356B1 KR101883356B1 (ko) 2018-07-30

Family

ID=6292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977A KR101883356B1 (ko) 2016-12-28 2016-12-28 메시지의 알림에 대한 차단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3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986A3 (ko) * 2018-12-26 2020-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729A (ko) * 2003-09-06 2005-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재구성 방법
KR20160143139A (ko) 2015-06-04 201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메시지의 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729A (ko) * 2003-09-06 2005-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재구성 방법
KR20160143139A (ko) 2015-06-04 201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메시지의 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안드로이드 필수 어플 푸시즐로 광고푸시 차단하자)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986A3 (ko) * 2018-12-26 2020-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356B1 (ko) 201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2681B2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using fingerprint information
CN105930073B (zh) 用于支持电子设备中的通信的方法和装置
EP2993568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ensitive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3709607B1 (en) Device and method for adaptively changing task-performing subjects
EP296076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34183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604535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US1009534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018895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20140298226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EP29475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using display
EP30013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review data
US20180239511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80076619A (ko) 스마트 페이지에서의 개체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1883356B1 (ko) 메시지의 알림에 대한 차단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93033B1 (ko) 메시지의 알림에 대한 설정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76823B1 (ko) 메시지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86837B1 (ko) 메시지의 감춤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A2873555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EP2660695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KR20160030663A (ko) 이동단말기의 초기셋팅방법
KR102354329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복수개의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2017001924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50241957A1 (en) Control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wear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