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205A - 적외선 감지를 이용한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적외선 감지를 이용한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205A
KR20180076205A KR1020160180416A KR20160180416A KR20180076205A KR 20180076205 A KR20180076205 A KR 20180076205A KR 1020160180416 A KR1020160180416 A KR 1020160180416A KR 20160180416 A KR20160180416 A KR 20160180416A KR 20180076205 A KR20180076205 A KR 20180076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commercial vehicle
obstacle
unit
infrar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성
김주성
이민환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주성
이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주성, 이민환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0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6205A/ko
Publication of KR20180076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01S17/9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적외선 감지를 이용한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는, 상용차의 적재공간 상부에 배치되어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부; 상기 적외선 센서부에서 감지한 장애물의 높이가 상기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하는지 여부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전방의 장애물의 높이가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할 때, 시각 및 청각적 수단을 통해 알려주는 알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외선 감지를 이용한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Commercial Vehicle Assist Device using Infrared Detection}
본 발명은 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적외선 감지를 이용한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산업에서 전자기술 기반의 자동차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출시되는 차량에는 앞차와의 간격을 인식해서 자동으로 간격을 조정하는 장치, 고속항속주행을 할 때 차선에 따라 자동으로 핸들을 보타해주는 장치, 전방장애물을 인식하고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해주는 긴급제동장치, 상향등을 점등하고 있을 때 전방 교행차량을 자동으로 인식해서 조사각을 조정해서 교행차량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게 하는 장치, 차체가 급선회 할 때 네 바퀴의 회전 토크를 자동으로 조정해서 미끄러지지 않고 선회도로를 탈출 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 엔진 미션 등 파워트레인부가 섀시 안에서 마운트의 소프트한 세팅 때문에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운트를 고속색션에서 강제로 묶는 기술 등이 대거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소형 승용ㅇ승합차량에서는 쉽게 찾아볼 수 있지만 대형차량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대형화물차 운전자들은 고속도로 또는 일반 시내 국도를 달릴 때는, 도로 구조물 주변에 설치된 안전장치에 의해 높이제한에 대한 문제없이 주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화물을 하역하는 하역장, 전선과 설비가 상단에 설치된 공장 내부 영내도로, 나무와 낮은 지하도가 많은 교외도로, 교각하부 등에서 운행을 할 때, 운전자가 차량을 장애물 앞에 정차한 뒤 장애물의 높이를 직접 확인하고 통과여부에 따라 운행한다는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도 1은 상용차가 교량의 통과 높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구조물과 충돌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량 하부에 도로가 개설되어 있을 경우, 통과 가능한 높이를 초과한 상용차 및 버스가 구조물에 충돌하는 사고 사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로 구조물과의 충돌사고는, 구조물의 붕괴를 유발할 수 있어 대형사고의 위험 가능성이 있으며, 상용차의 경우 적재된 화학제품 등이 누출되었을 때 2차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종래에는 도로 구조물 앞에 통과 가능한 높이를 표시하거나, 통과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안전빔을 설치하고 있는데, 예산문제로 인해 모든 도로 구조물 앞에 안전빔을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적외선 센서부에서 감지한 장애물의 높이가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하는지 여부를 산출하여 알려줄 수 있는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용차의 적재공간 상부에 배치되어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부; 상기 적외선 센서부에서 감지한 장애물의 높이가 상기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하는지 여부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전방의 장애물의 높이가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할 때, 시각 및 청각적 수단을 통해 알려주는 알림수단;을 포함하는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전방의 장애물의 높이가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할 때, 자동으로 턴온(TURN ON)되어 전방의 장애물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을 상기 알림수단으로 전송하는 영상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촬영범위가 조절 가능한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의 하부를 지지하며 진동을 상회하는 진동 상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용차의 적재공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공간과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적재공간 높이 감지부; 및 상용차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용차의 기울기와, 적재공간의 높이와, 상기 적외선 센서부에서 감지한 장애물의 높이를 모두 고려하여, 전방의 장애물이 상기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하는지 여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를 이용한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는,
적외선 센서부에서 감지한 장애물의 높이가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하는지 여부를 산출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므로, 전방의 장애물과의 충돌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상용차가 교량의 통과 높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구조물과 충돌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의 구성도
도 4는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의 영상 촬영부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는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적외선 감지를 이용한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는 적외선 센서부(100)와, 제어부와, 알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 및 알림수단은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제어부는 적외선 센서부(100)에 내장될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로써 차량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차량내부의 단말기에 내장될 수도 있다. 알람수단은 차량내부의 단말기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적외선 센서부(100)는 상용차의 적재공간 상부에 배치되어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의 높이를 감지한다.
적외선 센서부(100)는 전방으로 적외선 신호를 발신하고, 구조물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구조물과의 거리 및 높이를 감지한다. 적외선 센서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비될 수 있으며, 상용차의 적재공간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터널의 내부는 아치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중간 영역의 높이(H2)가 가장 높고, 우측 및 좌측 영역(H1, H3)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진다. 따라서 복수의 적외선 센서부(100)는 적재공간의 너비를 고려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 적외선 센서부는 자신이 위치한 전방의 구조물을 감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적외선 센서부(100)가 배치될 수도 있는데, 하나의 적외선 센서부(100)가 배치될 경우, 적재공간의 너비를 고려하여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하면서 전방의 구조물의 높이를 감지한다. 이때,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하는 적외선 센서부(100)의 회전속도는 상용차의 이동속도에 비례하도록 자동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적외선 센서부(100)에서 감지한 장애물의 높이가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하는지 여부를 산출한다.
제어부는 상용차의 너비와, 적재공간의 높이 및 너비를 미리 파악하고 있으므로, 전방의 장애물의 높이가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지를 산출한다. 이때, 제어부는 아치형으로 형성된 터널의 높이(H1, H2, H3)를 모두 고려하여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지를 산출한다.
알림수단은 운전석에 배치된 단말기로 정의될 수 있는데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알림수단은 전방의 장애물의 높이가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할 때, 시각 및 청각적 수단을 통해 알려준다. 알림수단이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경우, 스마트폰은 경고음 및 경고용 불빛을 깜박거리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제어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적외선 센서부(10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토대로 장애물의 높이가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하는지 여부를 산출하고, 시각 및 청각적 수단을 통해 이러한 상황을 알려줄 수 있다.
스마트폰은 위성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있으므로, 장애물의 위치와, 감지된 장애물의 높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한다. 스마트폰은 추후에 동일한 터널을 통과하는 것으로 파악될 경우, 적외선 센서부(100)의 감지결과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현재의 적재공간의 높이 및 너비와, 과거에 파악된 장애물의 높이 및 너비를 고려하여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지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에 영상 촬영부(2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데,
영상 촬영부(200)는 전방의 장애물의 높이가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하는 것으로 감지되었을 때, 자동으로 턴온(TURN ON)되어 전방의 장애물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을 알림수단으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는 알림수단, 즉 스마트폰으로 전송된 전방의 장애물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면서, 장애물의 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200)는 야간에도 전방의 장애물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적외선 카메라 모듈이 포함되며, 야간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 및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모두 촬영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적외선 센서부(100), 영상 촬영부(200), 제어부, 알림수단은 유선으로 상호간에 연결될 수도 있고, 무선으로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적외선 감지를 이용한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는 적외선 센서부(100)와, 제어부와, 알림수단과, 적재공간 높이 감지부(300)와, 기울기 감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3의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는, 도 2의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에 적재공간 높이 감지부(300) 및 기울기 감지부(400)가 더 추가되어 전방의 구조물의 높이 및 너비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부 및 알림수단은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제어부는 적외선 센서부(100)에 내장될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로써 차량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차량내부의 단말기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알람수단은 차량내부의 단말기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적외선 센서부(100)는 상용차의 적재공간 상부에 배치되어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의 높이를 감지한다.
적외선 센서부(100)는 전방으로 적외선 신호를 발신하고, 구조물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구조물과의 거리 및 높이를 감지한다. 적외선 센서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비될 수 있으며, 상용차의 적재공간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터널의 내부는 아치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중간 영역의 높이(H2)가 가장 높고, 우측 및 좌측 영역(H1, H3)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진다. 따라서 복수의 적외선 센서부(100)는 적재공간의 너비를 고려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 적외선 센서부는 자신이 위치한 전방의 구조물을 감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적외선 센서부(100)가 배치될 수도 있는데, 하나의 적외선 센서부(100)가 배치될 경우, 적재공간의 너비를 고려하여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하면서 전방의 구조물의 높이를 감지한다. 이때,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하는 적외선 센서부(100)의 회전속도는 상용차의 이동속도에 비례하도록 자동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적외선 센서부(100)에서 감지한 장애물의 높이가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하는지 여부를 산출한다.
제어부는 상용차의 너비와, 적재공간의 높이 및 너비를 미리파악하고 있으므로, 전방의 장애물의 높이가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지를 산출한다. 이때, 제어부는 아치형으로 형성된 터널의 높이(H1, H2, H3)를 고려하여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지를 산출한다.
알림수단은 운전석에 배치된 단말기로 정의될 수 있는데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알림수단은 전방의 장애물의 높이가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할 때, 시각 및 청각적 수단을 통해 알려준다. 알림수단이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경우, 스마트폰은 경고음 및 경고용 불빛을 깜박거리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제어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적외선 센서부(10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토대로 장애물의 높이가 상기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하는지 여부를 산출하고, 시각 및 청각적 수단을 통해 이러한 상황을 알려줄 수 있다.
스마트폰은 위성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있으므로, 장애물의 위치와, 감지된 장애물의 높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한다. 스마트폰은 추후에 동일한 터널을 통과하는 것으로 파악될 경우, 적외선 센서부(100)의 감지결과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현재의 적재공간의 높이 및 너비와, 과거에 파악된 장애물의 높이 및 너비를 고려하여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지 여부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에 영상 촬영부(2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데,
영상 촬영부(200)는 전방의 장애물의 높이가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하는 것으로 감지되었을 때, 자동으로 턴온(TURN ON)되어 전방의 장애물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을 알림수단으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는 알림수단, 즉 스마트폰으로 전송된 전방의 장애물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면서, 장애물의 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200)는 야간에도 전방의 장애물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적외선 카메라 모듈이 포함되며, 야간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 및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모두 촬영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적재공간 높이 감지부(300)는 상용차의 적재공간의 일측에 배치되어 적재공간과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한다. 적재공간 높이 감지부(300)는 적외선, 레이저 또는 초음파 신호를 출력하고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울기 감지부(400)는 상용차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기울기 감지부(400)는 3차원 공간에서 동작들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며 9축 센서라고 지칭되기도 한다. 9축이라 함은 가속도 3축, 관성 3축, 지자기 3축으로 총 9축의 값이 측정되기 때문에 9축 센서라고 지칭되며, 온도값에 대한 보정을 위해 온도센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기울기 감지부(400)는 가속도 센서와, 관성 센서(자이로 센서)와,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속도 센서는 중력 가속도(g=9.8㎨)가 포함된 정보를 나타내며, 가속도 센서에서 3개의 축이라 함은 센서가 3차원에서 움직일 때 x축,y축,z축 방향의 가속도를 감지한다.
또한, 관성 센서(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데, 각속도는 시간당 회전하는 각도를 의미한다.
또한, 지자기 센서는 가속도를 이용하여 절대적인 방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어부는 상용차의 기울기와, 적재공간의 높이와, 적외선 센서부(100)에서 감지한 장애물의 높이를 모두 고려하여, 전방의 장애물이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하는지 여부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적재공간의 높이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더라도, 적재공간 높이 감지부(300)를 통해 도로상황에 따라 변하는 적재공간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는 보다 정확한 적재공간의 높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울기 감지부(400)는 상용차의 기울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므로, 적재공간에 실린 화물의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적재공간의 일부가 상부로 올라오는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터널에 진입하거나, 터널을 벗어날 때, 적재공간의 길이가 너무 길고 도로의 경사가 너무 급격하게 변할 경우, 적재공간이 구조물과 충돌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는 기울기 감지부(400)에서 감지한 상용차의 기울기를 추가로 고려하여 전방의 장애물이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하는지 여부를 산출한다.
참고적으로, 적외선 센서부(100), 영상 촬영부(200), 제어부, 알림수단, 적재공간 높이 감지부(300), 기울기 감지부(400)는 유선으로 상호간에 연결될 수도 있고, 무선으로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의 영상 촬영부(200)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촬영부(200)는 카메라(210)와, 진동 상쇄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210)는 좌우상하로 촬영범위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진동 상쇄부(220)는 카메라(210)의 하부를 지지하며 진동을 상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차량이 운행할 때 노면의 상태에 따라 카메라(210)의 상하로 흔들릴 수 있으므로 진동 상쇄부(220)는 카메라(210)의 진동을 상쇄하여 더욱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영상 촬영부(200)의 본체는 고정영역(10) 및 회전영역(20,30)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회전영역(20,30)은 다시 제1 회전영역(20) 및 제2 회전영역(30)으로 구분된다. 고정영역(10)에는 진동을 상쇄할 수 있는 진동 상쇄부(220)가 배치된다.
제1 회전영역(20)에는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영역(30)에는 카메라(210)와, 마이크, 스피커(230), 움직임 감지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영역(10) 및 회전영역(20,30)에 배치되는 요소는 실시예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영상 촬영부(20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촬영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하게 된다.
카메라(210)는 제2 회전영역(30)에 배치되며 상하좌우 방향으로 촬영방향이 조절된다. 카메라(210)는 내부의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PAN), 방향기울기(TILT), 줌(ZOOM) 조정이 가능한 PTZ 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210)는 제2 회전영역(30)에 배치되므로 제2 회전영역(30)의 회전을 통해 360도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210)는 내부의 모터를 통해 제2 회전영역(30)의 표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므로 촬영 반경이 매우 넓으며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영역이 확장된다.
움직임 감지부(240)는 회전영역에 배치되어 이동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제어부는 움직임 감지부에서 감지한 이동물체의 움직임을 토대로 장애물 여부를 판단하고 경고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움직임 감지부(240)는 터널 전방의 노면 장애물, 예를 들면 사람, 소형 작업차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그 감지결과를 전송하고, 제어부는 스피커(230)를 통해 전방에 음성 및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참고적으로, 영상 촬영부(200)는 상용차가 운행하고 있는 영역의 전신주와 전신주 사이에 연결된 전선을 영상인식 및 객체인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영상 촬영부(200)는 차량의 전방 및 측방영역을 계속해서 촬영하면서 전신주의 간격과 전신주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양측면을 따라 전신주가 배치되므로, 영상 촬영부(200)는 차량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전신주의 위치와 전선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전신주가 연속적으로 감지되다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 영상 촬영부(200)는 자동으로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도로를 가로지르는 전선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영상 촬영부(200)는 도로를 가로지르는 전선을 감지할 경우, 객체인식을 통해 높이를 파악한 후, 제어부로 이러한 상황을 전송하고, 제어부는 적재공간의 높이를 고려하여 경보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는 다단 감지봉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다단 감지봉은 전선이 활성상태(전기가 도통된 상태)인지를 감지할 수 있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다.
즉, 다단 감지봉은 다단으로 길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감지된 전선이 활선상태인지와, 전압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장애물(전선)의 높이가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하지 않더라도 고전압이 흐르는 전선의 경우, 적재공간에 실린 물체에 영향을 주거나 차량에 전자기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전선이 감지되었을 경우, 적재공간의 맨 앞쪽 상부에 배치되는 다단 감지봉을 제어하여 전선의 활선여부와 전압을 확인한 후 통과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는 노면 상태를 촬영하는 노면영상 촬영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노면영상 촬영부는 특히 터널 앞의 노면에 위치한 방지턱의 높이를 영상인식 및 객체인식 한 후, 그 높이를 추정하여 제어부에 전달한다. 제어부는 노면영상 촬영부에서 전달된 방지턱의 높이와, 타이어의 크기, 적재공간의 무게와, 타이어 공기압을 모두 고려하여 차량의 상하 반동을 산출한 후, 상용차가 터널을 통과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를 이용한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는,
적외선 센서부에서 감지한 장애물의 높이가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하는지 여부를 산출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므로, 전방의 장애물과의 충돌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적외선 센서부
200 : 영상 촬영부
210 : 카메라
220 : 진동 상쇄부
230 : 스피커
300 : 적재공간 높이 감지부
400 : 기울기 감지부

Claims (4)

  1. 상용차의 적재공간 상부에 배치되어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부;
    상기 적외선 센서부에서 감지한 장애물의 높이가 상기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하는지 여부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전방의 장애물의 높이가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할 때, 시각 및 청각적 수단을 통해 알려주는 알림수단;을 포함하는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방의 장애물의 높이가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할 때, 자동으로 턴온(TURN ON)되어 전방의 장애물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을 상기 알림수단으로 전송하는 영상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촬영범위가 조절 가능한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의 하부를 지지하며 진동을 상회하는 진동 상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용차의 적재공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공간과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적재공간 높이 감지부; 및
    상용차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용차의 기울기와, 적재공간의 높이와, 상기 적외선 센서부에서 감지한 장애물의 높이를 모두 고려하여, 전방의 장애물이 상기 상용차가 통과 가능한 안전높이 범위를 침범하는지 여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
KR1020160180416A 2016-12-27 2016-12-27 적외선 감지를 이용한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 KR20180076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416A KR20180076205A (ko) 2016-12-27 2016-12-27 적외선 감지를 이용한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416A KR20180076205A (ko) 2016-12-27 2016-12-27 적외선 감지를 이용한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205A true KR20180076205A (ko) 2018-07-05

Family

ID=6292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416A KR20180076205A (ko) 2016-12-27 2016-12-27 적외선 감지를 이용한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62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73758A (zh) * 2020-04-14 2020-07-31 大陆汽车电子(连云港)有限公司 车辆限高警示方法及装置
CN114407885A (zh) * 2022-01-19 2022-04-29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限宽门辅助驾驶方法、车辆、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73758A (zh) * 2020-04-14 2020-07-31 大陆汽车电子(连云港)有限公司 车辆限高警示方法及装置
CN114407885A (zh) * 2022-01-19 2022-04-29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限宽门辅助驾驶方法、车辆、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7934B2 (ja) 走行制御装置
JP5657809B2 (ja) 脇見検出装置
JP4154335B2 (ja) ロールオーバー識別用装置
US20110128136A1 (en) On-vehicle device and recognition support system
JP2006195959A (ja) 画像処理による車両安全管理システム
JP7164199B2 (ja) 駐車時に車両の衝撃に対して警告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10427690B2 (en) Control system
KR20180069862A (ko) 자동 운전 차량 조작 장치 및 자동 운전 차량 조작 방법
CN103204124A (zh) 用于运行行人保护系统的方法和机动车
US20170220041A1 (en) Vehicle surroundings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system, remote monitoring apparatus, and monitoring method
ES2603002T3 (es) Sistema de asistencia al conductor para vehículos, en particular vehículos industriales
US20210155264A1 (en) Integrated systems for passenger bus
KR20160147559A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US11417120B2 (en) Vehicle which indicates passenger movabilit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9183981A1 (en) Vehicle and method for avoiding a collision of a vehicle with one or more obstacles
JP2016016708A (ja) 非常停止表示器設置装置
CN111619447A (zh) 一种大型车辆动态监控预警系统和方法
JP6489006B2 (ja) 前方車両監視装置
KR20180076205A (ko) 적외선 감지를 이용한 상용차 운행 보조장치
CN110626259A (zh) 三角警示架及其撞击预警方法
KR101762126B1 (ko)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 및 방법
KR101677035B1 (ko) 이동형 데이터 수집장치
KR101555051B1 (ko) 후방차량 충돌사고 방지장치
KR101353047B1 (ko) 차량 감시용 vsdt 장치
JP2008224353A (ja) 車両用地震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