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851A -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 Google Patents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851A
KR20180075851A KR1020160179721A KR20160179721A KR20180075851A KR 20180075851 A KR20180075851 A KR 20180075851A KR 1020160179721 A KR1020160179721 A KR 1020160179721A KR 20160179721 A KR20160179721 A KR 20160179721A KR 20180075851 A KR20180075851 A KR 20180075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
pressing
band
hemostatic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9347B1 (ko
Inventor
구호석
노지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9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347B1/ko
Priority to PCT/KR2017/012517 priority patent/WO2018124455A1/ko
Publication of KR20180075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5Tourniquets infla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환자의 가슴에서 배꼽에 이르는 길이로 되어 흉부의 외면를 감싸되 신축되는 직조대로 이루어진 가압부와, 환자의 가슴에서 배꼽에 이르는 길이로 되는 상기 직조대의 상, 하단과 양측면위치에 설치되어 직조대가 흉부를 감싸는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골조부, 상기 직조대의 외측면에 수직하게 설치된 골조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의 외면을 조임되게 하는 밴드와, 밴드의 조임 시 신장조직 채취에 의한 흉부의 천자부위 외면을 가압하는 지혈패드가 구비된 지혈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신장조직을 채취한 흉부의 위치에서 혈액이 나오는 것을 지혈패드의 쿠션력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지혈될 때까지 가압되게 하며, 가압하는 상태가 흉부에서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Hemostasis device after renal biopsy}
본 발명은 신장조직 검사 후 조직을 채취한 천자부위에 대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지혈을 이루고자 하는 지혈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장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법 선정 및 예후판단을 하기 위하여는 신장조직을 채취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신장에서 적출된 신장 조직은 포르말린액으로 고정하고 파라핀으로써 싸서 얇게 잘라 특수 염색 후 현미경으로 검사하여서 치료방법을 진단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신장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법 선정 및 예후판단을 하기 위하여 채취하여야만 했던 신장조직의 채취는 환자를 엎드리게 한 상태에서 천자(穿刺)부위에 국소마취를 하고 환자가 호흡을 잠시 멈추게 한 상태에서 생검바늘이 천자부위를 통해 신장에 삽입되게 하여 조직을 생검바늘로 채취하는 것이다.
신장조직의 채취 후에는 생검바늘을 제거한 후 출혈 여부를 초음파로 확인 후 천자부위를 10분 이상 압박하여 지혈되도록 하였다.
신장조직 채취 후 지혈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천자부위를 10분 이상압박하게 되면 지혈되지만 지혈이 않되어 장시간 지혈시켜야 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다.
신장조직 검사 후 지혈을 장시간 하게 되는 경우 활동상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므로 별도의 지혈밴드를 이용하여 지혈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특히 지혈상태를 장시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지혈밴드를 흉부에 장착할 때 흉부가 어깨부에서 허리부를 향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착용하는 지혈밴드가 허리부측으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함이 요구되었다.
띠라서 의료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흉부 착용용 밴드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2000-0018865호(이하 선공개 라함)로 제안 된 바 있다.
상기 선공개는 늑골 골절 치료용 압박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흉부 늑골 골절 치료에 사용되는 밴드형 압박대에 결속수단을 채용하여 환자의 신체로부터 흘러내리지 않고 흉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늑골골절 치료용 압박대에 관한 것인바, 늑골 골절 환자의 흉부를 지속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늑골 골절 치료용 압박대에 있어서, 상기 압박대는 일단부 외측면에 형성된 끈끈이 접착포(1)와, 타단부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끈끈이 접착포(1) 상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끈끈이(3)와, 상기 끈끈이(3)와 근접되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고탄력 밴드(2) 및 상부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적어도 4개 이상의 연결고리(4)로 이루어진 압박포(10)와; 상기 연결고리(4)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걸쇠(6)가 양단부에 형성되며 길이조절 슬리브(5)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어깨끈(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선 공개에 따른 늑골 골절 치료용 압박대는 흉부를 적당히 가압하여 환부의 통증을 완화시킴과 아울러 정확한 골절 정복 이룰 수 있으며, 환자의 어깨 운동을 방해하지 않아서 활동이 자유롭고 어깨끈을 채용했기 때문에 흉부 상에 고정되어 흘러내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고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선공개는 골절부위를 감싸아서 그 전체를 압박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이므로 압박포의 조임으로 환자가 숨을 쉬기가 불편하고, 활동하기에도 불편한 상태를 이루었고, 느슨하게 압박하는 경우 흉부에서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어깨끈이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인해 남자환자들이 착용하기에는 자유스럽지 못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KR 실용신안등록 2000-0018865(2000.10.25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신장조직검사 후 신장조직을 채취한 흉부의 천자부위를 안정되게 가압하여 빠른시간 내에 안정되게 지혈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상태에서 가슴부위에 압박감이 없고 흉부 전체를 감싸주서 신장조직을 채취한 천자부위만을 국부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지혈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자의 가슴에서 배꼽에 이르는 길이로 되어 흉부의 외면를 감싸되 신축되는 직조대로 이루어진 가압부와, 환자의 가슴에서 배꼽에 이르는 길이로 되는 상기 직조대의 상, 하단과 양측면위치에 설치되어 직조대가 흉부를 감싸는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골조부와, 상기 직조대의 외측면에 수직하게 설치된 골조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의 외면을 조임되게 하는 밴드와, 밴드의 조임 시 신장조직 채취에 의한 흉부의 천자부위 외면을 가압하는 지혈패드가 구비된 지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이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가압부는, 신축가능한 면 소재로 편직되는 상기 직조대의 전면에 흉부 감쌀 때 복부가 노출되게 천공한 개방홀과, 흉부를 감싸는 상기 직조대의 양단이 등 부위에서 겹쳐져 상호 맞물림되어 착용상태가 유지되는 장착부재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골조부는, 탄성을 보유하는 가느다란 봉 소재로 되어 흉부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를 유지하는 제1테와, 흉부 하측을 감싸는 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테 보다 큰 직경으로 된 제2테와, 상기 제1테와 제2테 사이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상기 직조대가 흉부를 감싸는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제1, 제2지지살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지혈부는, 상기 제1, 제2지지살의 중간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를 감싸면서 상호 결합분리되는 밴드와, 상기 밴드의 내면에 위치하여 조직채취된 천자부위를 가압하는 지혈패드로 이루어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지혈패드는, 상기 가압부의 외면과 상기 밴드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서 돌출되게 설치되어 직조대의 외면에 밀착 접촉되는 가압면이 구비된 탄성쿠션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쿠션체는, 상기 탄성쿠션체의 상면에 형성된 가압면의 저면 둘레에 형성되어 케이스의 홀턱에 제어되는 걸림턱과, 가압면의 저면으로 탄성력이 보유되게 형성되는 내부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공간과 케이스의 탄성홀사이로 탄성소재로 된 코일스프링이 장착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탄성쿠션체는, 상기 케이스에서 돌출된 가압면의 내부에 구비되는 충진홀과, 상기 충진홀에는 가압면의 가압력에 따라 압축 및 팽창되는 탄성체가 충진되어 가압밀착층이 구비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지혈패드는, 상기 케이스의 이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혈패드가 상기 밴드에서 위치이동 및 고정되도록 하는 조절부재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지혈패드의 조절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이면에 설치되며 밴드가 삽입되어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고리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지혈패드의 조절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이면에 벨크로 테이프의 결합면을 부착하고, 상기 결합면을 마주하는 밴드의 내면위치에 부착되어 벨크로 테이프의 결합면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고정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흉부를 감싸면도 복부부분은 압박되지 않으므로 숨 쉴 때에 복부에서의 압박감이 없는 이점이 제공되고, 흉부를 압박하는 상태에서 심장조직채취를 위해 바늘이 삽입된 부위만 집중적으로 압박하게 되어 지혈효과가 빠르게 나타나고, 흉부와 허리사이를 지지하는 구조적인 특성으로 가슴을 감싸는 직조대가 흘러내리 지 않아 활동하기에 불편함이 없는 이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혈장치의 정면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혈장치의 후면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혈장치에 대한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혈장치 중 지혈부의 밴드에 대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혈장치 중 지혈부의 지혈패드에 대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혈장치 중 지혈부의 지혈패드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는 예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혈장치의 정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혈장치의 후면에 대한 사시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도면의 예시 상태에 따라 설명하면,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는 환자의 가슴에서 배꼽에 이르는 길이로 되어 흉부의 외면를 감싸되 신축되는 직조대(110)로 이루어진 가압부(100)의 구성을 이루고, 환자의 가슴에서 배꼽에 이르는 길이로 되는 상기 직조대(110)의 상, 하단과 양측면위치에 설치되어 직조대(110)가 흉부를 감싸는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골조부(200)의 구성을 이루며, 상기 직조대(110)의 외측면에 수직하게 설치된 골조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100)의 외면을 조임되게 하는 밴드(310)와, 밴드(310)의 조임 시 신장조직 채취에 의한 흉부의 천자부위 외면을 가압하는 지혈패드(320)가 구비된 지혈부(300)로 구성된다.
이러한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는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신장조직을 채취하기 위해 흉부를 통해 삽입된 바늘이 제거된 후 바늘의 삽입위치에서 혈액이 누출되는 것을 안정되게 가압하여 효율적인 지혈이 이루게 될 것이다.
이러한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에서 본 발명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부(100)는, 신축가능한 면 소재로 편직되는 상기 직조대(110)의 전면에 흉부 감쌀 때 복부가 노출되게 천공한 개방홀(120)과, 흉부를 감싸는 상기 직조대(110)의 양단이 등 부위에서 겹쳐져 상호 맞물림 되어 착용상태가 유지되는 장착부재(140)를 구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직조대(110)가 신축되는 직물로 형성함은 직조대(110)를 흉부에 감쌀 때 신축성으로 흉부에 밀착되면서 흉부의 피부를 압박하는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직조대(110)는 흉부를 감싸기에 충분한 길이로 되며, 흉부를 감싼 직조대(110)의 양단은 흉부의 등 위치에서 겹쳐지게 되고, 겹쳐지는 부분에 설치된 장착부재(140)에 의해 직조대(110)는 흉부를 감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장착부재(140)는 겹치는 면에 대해 상호 결합력이 요구되는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지퍼, 자석, 호크, 스냅단추 및 매직테이프 등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흉부를 직조대(110)로 감싸는 과정에서 직조대(110)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홀(120)은 흉부의 배꼽과 그 주변위치가 압박되지 않게 되는 상태를 이룬다.
이는 직조대(110)를 착용하는 환자에게 복부부분에 대한 압박감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직조대(110)가 착용되는 흉부는 신체적 구조상 어깨위치에서 허리부분으로 형태가 역삼각형 또는 호리병 형태를 이루므로 착용된 직조대(110)가 활동하는 움직임으로 신체구조에 의해 배꼽부위로 내려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 한 구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에서 상기 직조대(110)가 흉부를 감싸는 상태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요구되는 바, 상기 골조부(200)를, 탄성을 보유하는 가느다란 봉 소재로 되어 흉부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를 유지하는 제1테(210)와, 흉부 하측을 감싸는 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테(210) 보다 큰 직경으로 된 제2테(220)와, 상기 제1테(210)와 제2테(220) 사이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상기 직조대(110)가 흉부를 감싸는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제1,제2지지살(230)(240)로 이루어지게 하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혈장치에 대한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혈장치 중 지혈부의 밴드에 대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도 3과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지혈부(300)는, 상기 제1, 제2지지살(230)(240)의 중간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100)를 감싸면서 상호 결합분리되는 밴드(310)와, 상기 밴드(310)의 내면에 위치하여 신장조직이 채취된 천자부위를 가압하는 지혈패드(320)로 구성된다.
상기 지혈패드(320)는 주사바늘이 꽂혀 있던 자리를 압박하여 혈액의 누출이 지혈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단한 소재보다는 표면이 부드러운 소재로 사용하도록 함이 신장조직을 채취하기 위해 바늘이 꽂혀 있던 자리와 그 주변을 부드럽게 압박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상기 밴드(310)에 설치되는 지혈패드(320)는 밴드(310)에 고정되는 상태로 설치되지만, 신장조직을 채취하기 위해 바늘을 꽂는 천자부위가 환자마다 일정하지 않으므로 밴드(310)에서 지혈패드(320)가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됨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지혈패드(320)에는 상기 밴드(310)에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조절부재(360)가 더 구성되게 한다.
이러한 조절부재(360)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지혈패드(320)가 압박하는 위치에서 가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에는 상호 맞물림력이 구비된 매직테이프로 형성험이 가장 바람직하나, 바늘이 꽂혔던 천자부위에 대하 압박위치를 이동하거나 조절하는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실시예로는 지혈패드(320)의 이면으로 겹쳐지는 밴드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되는 고리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지혈부(300)의 밴드(310)는 신축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며, 제1,제2지지살(230)(240)에서 환자의 등부위로 당겨지고 결합되어서 직조대(110)가 흉부에 밀착되는 상태가 더욱 안정되게 한다.
그리고 밴드(310)가 당겨져서 등부위에서 겹쳐질 때 상호 겹쳐져서 접촉되는 면에 결합부재(312)가 더 구비되게 한다.
이처럼 겹쳐지는 밴드(310)의 양단에는 상호 안정된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퍼, 자석, 호크, 스냅단추 및 매직테이프 등과 같은 결합부재(312)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혈장치 중 지혈부의 지혈패드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지혈부(300)의 지혈패드(320)는, 상기 가압부(100)의 외면과 상기 밴드(310)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스(330)와, 상기 케이스(330)에서 돌출되게 설치되어 직조대(110)의 외면에 밀착 접촉되는 가압면(342)이 구비된 탄성쿠션체(34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지혈패드(320)가 상기 케이스(330)의 외면으로 돌출되는 상태를유지하도록 구성함은 지혈패드(320) 자체의 쿠션력으로 신장조직을 채취하기 위해 바늘을 꽂는 천자부위를 무리 없이 가압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신장조직을 채취하기 위해 바늘을 꽂는 천자부위를 무리없이 압박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지혈패드(320)에 쿠션력은 지혈패드를 형성하는 쿠션소재의 특성에 의해서도 충분히 안정되게 가압할 수 있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혈패드(320)에 2중 쿠션력이 형성되게 하는 탄성쿠션체(340)의 구성을 구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혈장치 중 지혈부의 지혈패드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를 보인 것으로, 상기 지혈부(300)의 지혈패드(320)에 구비된의 탄성쿠션체(340)는, 상기 탄성쿠션체(340)의 상면에 형성된 가압면(342)의 저면 둘레에 형성되어 케이스(330)의 홀턱(345)에 제어되는 걸림턱(333)과, 가압면(342)의 저면으로 탄성력이 보유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346)이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346)이 구비된 가압면(342)의 저면과 케이스(330)의 탄성홀(332)사이로 탄성소재로 된 코일스프링(350)이 장착되게 구성한다.
상기 탄성쿠션체(340)의 가압면(342)두께 내부에는 다른 탄성소재로 된 탄성체가 충진되는 충진홀(347)이 구비되게 하여 상기 코일스프링(350)과 함께 쿠션력을 탄성쿠션체(340)에 제공하는 가압밀착층(349)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충진홀(347)에 충진되는 탄성체는 점도가 있는 액상의 물질 또는 실리콘 등이 바람직하며, 압축공기를 충진함도 가능할 뿐 아니라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어떠한 탄성체를 사용함도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탄성쿠션체(340)의 지혈패드(320)가 밴드(310)의 조임으로 케이스(330)와 함께 신장조직을 채취하기 위해 바늘을 꽂는 천자부위를 가압할 때 코일스프링(350)이 수축되는 상태로 1차적인 쿠션이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330)내로 들어가면서 반발복원력에 의해 탄성쿠션체(340)를 천자부위로 밀어내는 상태가 천자부위를 압박하게 된다.
이처럼 코일스프링(350)의 탄성력을 받는 상기 탄성쿠션체(340)는 천자부위를 압박하면서 상기 직조대(110)의 표면과 접촉된 가압면(342)이 가압력으로 눌려지며 그 내부의 가압밀착층(349)의 탄성체의 수축과 동시에 발생되는 반발복원력으로 가압면(342)은 천자부위와 그 주변을 부드럽게 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어 직조대(110)를 통해 흉부의 천자부위를 지혈하는 상태가 지속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가압부 110 : 직조대 120 : 개방홀
140 : 장착부재 200 : 골조부 210 : 제1테
220 : 제2테 230,240 : 제1, 제지지살
300 : 지혈부 310 : 밴드 312 : 결합부재
320 : 지혈패드 330 : 케이스 332 : 탄성홀
333 : 걸림턱 340 : 탄성쿠션체 342 : 가압면
345 : 홀턱 347 : 충진홀 349 : 가압밀착층
350 : 코일스프링 360 : 조절부재

Claims (9)

  1. 환자의 가슴에서 배꼽에 이르는 길이로 되어 흉부의 외면를 감싸되 신축되는 직조대(110)로 이루어진 가압부(100);
    상기 직조대(110)가 흉부를 감싸는 형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직조대(110)의 상, 하단과 양측면에 수직하게 설치된 골조부(200); 및
    상기 골조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100)의 외면이 조여지도록 하는 밴드(310)와 상기 밴드(310)의 조임 시 신장조직 채취에 의한 흉부의 천자부위 외면을 가압하는 지혈패드(320)가 구비된 지혈부(300);를 포함하는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00)는,
    상기 직조대(110)의 전면에 흉부를 감쌀 때 복부가 노출되도록 천공된 개방홀(120)과, 상기 직조대(110)의 양단이 등 부위에서 겹쳐져 상호 맞물림되어 착용상태가 유지되는 장착부재(140)를 포함하는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부(200)는,
    탄성을 보유하는 가느다란 봉 소재로 되어 흉부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를 유지하는 제1테(210)와,
    흉부 하측을 감싸는 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테(210) 보다 큰 직경으로 된 제2테(220)와,
    상기 제1(210)와 제2테(220) 사이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상기 직조대(110)가 흉부를 감싸는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제1,제2지지살(230)(240)로 이루어지는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혈부(300)는,
    상기 제1, 제2지지살((230)(240)의 중간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100)를 감싸면서 상호 결합분리되는 밴드(310)와, 상기 밴드(310)의 내면에 위치하여 조직채취된 천자부위를 가압하는 지혈패드(320)로 이루어진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혈패드(320)는,
    상기 가압부(100)의 외면과 상기 밴드(310)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스(330)와, 상기 케이스(330)에서 돌출되게 설치되어 직조대(110)의 외면에 밀착 접촉되는 가압면(342)이 구비된 탄성쿠션체(340)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쿠션체(340)는,
    상기 탄성쿠션체(340)의 상면에 형성된 가압면(342)의 저면 둘레에 형성되어 케이스(330)의 홀턱(345)에 제어되는 걸림턱(333)과, 가압면(342)의 저면으로 탄성력이 보유되게 형성되는 내부공간(34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공간(346)과 케이스(330)의 탄성홀(332)사이로 탄성소재로 된 코일스프링(35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쿠션체(340)는,
    상기 케이스(330)에서 돌출된 가압면(342)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면(342)의 가압력에 따라 압축 및 팽창되는 탄성제가 충진된 가압밀착층(349)이 형성된 충진홀(347)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혈패드(320)는,
    상기 지혈패드(320)가 상기 밴드(310)에서 고정 및 위치이동 되도록 상기 케이스(330)의 이면으로 형성된 조절부재(360)를 더 포함하는,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대(110)의 장착부재(140)는,
    흉부의 등부위에서 겹쳐지는 상기 직조대(110)의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어 상호 접촉되는 면에 결합력이 제공되게 하는 자석, 호크, 지퍼, 매직테이프 중 어느 하나의 것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쿠션체(340)의 조절부재(360)는,
    상기 케이스(330)의 후면과, 상기 케이스(330)의 후면과 마주하는 상기 밴드(310)에 설치되어 상호 마주 접촉되는 면에 결합력이 제공되게 하는 자석, 호크, 지퍼, 매직테이프 중 어느 하나의 것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KR1020160179721A 2016-12-27 2016-12-27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KR101909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721A KR101909347B1 (ko) 2016-12-27 2016-12-27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PCT/KR2017/012517 WO2018124455A1 (ko) 2016-12-27 2017-11-07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721A KR101909347B1 (ko) 2016-12-27 2016-12-27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851A true KR20180075851A (ko) 2018-07-05
KR101909347B1 KR101909347B1 (ko) 2018-12-06

Family

ID=62709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721A KR101909347B1 (ko) 2016-12-27 2016-12-27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9347B1 (ko)
WO (1) WO201812445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519A (ko) 2018-11-07 2020-05-1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
KR20210000048U (ko) 2020-12-28 2021-01-0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8932A (ja) 2001-02-16 2002-08-27 Kyoto Seni Kogyo:Kk 腰ベルト
JP3117699U (ja) 2005-10-17 2006-01-12 範克 三吉 女性用胸部止血具
US9149280B2 (en) * 2007-05-02 2015-10-06 Compression Works, Llc Portable pneumatic abdominal aortic tourniquet with supplemental tensioning means
KR200442399Y1 (ko) 2008-08-07 2008-11-10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지혈대
JP2013180187A (ja) 2012-03-05 2013-09-12 Morito Co Ltd ツボ押圧具
KR101455709B1 (ko) * 2013-04-05 2014-11-03 대승의료기기(주) 지혈 기능을 가지는 의료용 지지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519A (ko) 2018-11-07 2020-05-1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
KR20210000048U (ko) 2020-12-28 2021-01-0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347B1 (ko) 2018-12-06
WO2018124455A1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284Y1 (ko)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KR101021608B1 (ko) 지혈 밴드 세트
KR101909347B1 (ko)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KR200442399Y1 (ko) 지혈대
CN117562739A (zh) 承载流体的敷贴
CN202191331U (zh) 压力止血装置
CN115363672A (zh) 一种心内科用可调节压迫强度的止血压迫装置
CN105943108B (zh) 一种穿刺置管点止液、止血装置
CN211834748U (zh) 一种穿刺固定装置
CN114052817A (zh) 一种心内护理用止血压迫器
CN2776301Y (zh) 股动脉压迫装置
CN219679852U (zh) 髋部术后护理短裤
CN208957043U (zh) 一种一片式腋臭衣
CN219042751U (zh) 一种丁字形阴囊压迫止血装置
CN214340332U (zh) 一种适用于脑血管介入病人的多功能护理裤
KR200493014Y1 (ko)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
CN210747429U (zh) 一种手术患者用肩部保温装置
CN220158331U (zh) 一种适用于腹股沟股动脉压迫止血的压迫器
CN220089562U (zh) 股动脉压迫止血带
CN209826858U (zh) 一种介入术后砂袋固定袋
CN108936894A (zh) 一种一片式腋臭衣
CN219289581U (zh) 医用股动脉压迫止血盐袋套
CN214104868U (zh) 一种用于阴囊及会阴手术后的包扎器
CN219629718U (zh) 一种可控气囊加压器
CN217245116U (zh) 一种膝关节冰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