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048U -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 - Google Patents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048U
KR20210000048U KR2020200004888U KR20200004888U KR20210000048U KR 20210000048 U KR20210000048 U KR 20210000048U KR 2020200004888 U KR2020200004888 U KR 2020200004888U KR 20200004888 U KR20200004888 U KR 20200004888U KR 20210000048 U KR20210000048 U KR 202100000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hemostasis
abdominal
abdomen
cove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014Y1 (ko
Inventor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2020200004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014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0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0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0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A61B17/1325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with means for applying local pressure
    • A61F13/000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85Accessories for dressings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application on the skin, e.g. single hand handl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61B2017/12018Elastic band lig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61F2013/00468Plasters use haemostatic applying local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복부 지혈용 압박대는, 압박 및 지혈이 요구되는 복부의 출혈 부위를 감싸며 보호하는 거즈에 적층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압박 패드; 복부 일 영역을 커버하는 커버 밴드와, 상기 커버 밴드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신축하는 신축 밴드와, 상기 신축 밴드의 자유단부로부터 길이 연장되며 상기 커버 밴드의 타단부에 결속되는 결속수단을 가지며, 복부에 착용되어 복부의 출혈 부위에 배치된 상기 압박 패드를 가압하는 압박대 본체; 및 상기 커버 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 밴드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표시된 복수의 눈금을 가지며, 상기 결속수단의 결속 위치를 표시하는 마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 패드는 상기 압박대 본체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TOURNIQUET FOR ABDOMINAL HEMOSTASIS AND HEMOSTATIC METHOD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래주머니를 사용하지 않고 복부 출혈 부위의 압박 및 지혈 위치에 대응하며 사용할 수 있는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복부 초음파 실시 중, 필요에 따라 복부에 위치하는 간, 췌장, 신장 등을 대상으로 종종 조직검사가 행해진다.
조직검사는 조직검사용 바늘을 사용하여 종양이나, 정상조직에서 일정 길이로 검체를 얻는다. 조직검사 후에 나타나는 가장 큰 합병증은 출혈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출혈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조직검사 후에는 모래주머니로 압박을 시행하고 있다.
예컨대, 조직검사 후 출혈 부위를 소독하고 나서 메딕스밴드를 붙인 후, 모래주머니를 올려 면테이프로 환자 피부에 붙여 고정하여 3시간 이상을 지혈한다. 조직검사 부위가 복부의 정면에 위치하면 복부 위에 모래주머니를 위치시키고, 측면에 위치하면 모래주머니를 측면에 붙여 면테이프 고정만으로 지혈하거나 모래주머니가 바닥으로 오도록 환자를 옆으로 눕혀 체중으로 압박하여 지혈한다.
그러나, 모래주머니를 사용한 일련의 지혈 과정은 사용상에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모래주머니는 병동이나 응급실에서 환자 이동카인 스트레쳐카(stretcher car)에 환자와 함께 이송되어 오며, 병동에서 사전에 소독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트레쳐카 밑에 채뇨백(urine bag) 등과 함께 섞여서 이송되므로 오염된 모래주머니를 환자의 출혈 부위 위에 사용함에 따라 또 다른 감염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병동이나 응급실에서 환자이송 시 모래주머니를 함께 이송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검사 후 바로 지혈이 이루지지 않아 적절한 지혈 시간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간이나 신장 영역에서 조직검사를 우측이나 좌측 옆구리에서 시행하는 경우, 옆구리 부위에 모래주머니를 대고 체중으로 3시간 이상을 지혈하기 때문에 환자들이 매우 힘들어하며, 지혈 후에도 상당시간 압박부위의 통증을 호소하며, 더불어 자세를 잡기가 어려운 환자들의 경우 직원들이 힘으로 자세를 잡아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부가 민감한 환자의 경우 의료용 면테이프 사용시 두드러기가 발생하고, 피부의 탄력이 떨어지는 고령의 환자에서는 사용 후 떼어낼 때 피부가 같이 떨어지는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몸이 불편한 환자는 옆으로 눕혀 장시간의 지혈은 더욱 힘들고, 조직검사부위가 신체의 전면부에 위치한 경우 체중압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종래와 같이 모래주머니를 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방식으로 복부의 출혈 부위를 지혈할 수 있는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5851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자의 다양한 복부 둘레 크기와 다양한 출혈 부위의 위치에 대응하며 압박 및 지혈의 처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환자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출혈 부위를 안정적으로 압박 및 지혈할 수 있는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병동과 응급실 등에서 복부의 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을 위해 모래주머니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의료진의 업무 피로도를 줄일 뿐만 아니라 피부의 트러블 없이 지혈할 수 있어 환자의 만족도도 향상시키며, 위생적으로 지혈 처치 작업을 할 수 있는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압박 및 지혈이 요구되는 복부의 출혈 부위를 감싸며 보호하는 거즈에 적층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압박 패드; 복부 일 영역을 커버하는 커버 밴드와, 상기 커버 밴드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신축하는 신축 밴드와, 상기 신축 밴드의 자유단부로부터 길이 연장되며 상기 커버 밴드의 타단부에 결속되는 결속수단을 가지며, 복부에 착용되어 복부의 출혈 부위에 배치된 상기 압박 패드를 가압하는 압박대 본체; 및 상기 커버 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 밴드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표시된 복수의 눈금을 가지며, 상기 결속수단의 결속 위치를 표시하는 마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 패드는 상기 압박대 본체에 탈부착되는, 복부 지혈용 압박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박 패드에 마련되어, 상기 압박 패드를 상기 압박대 본체에 부착시키는 부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 패드는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스폰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속수단은 양면 테이프, 벨크로 천, 스냅 단추, 스냅 후크, 버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착수단은 양면 테이프 또는 벨크로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킹부의 해당 눈금에 맞추어 상기 압박대 본체가 길이 신장되며, 상기 결속수단과 상기 커버 밴드의 타단부의 결속에 의하여 상기 압박 패드 및 상기 압박대 본체를 통한 출혈 부위의 압박 강도가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본 고안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복부 지혈용 압박대를 이용하여 지혈하는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신체와 침상 사이에 상기 압박대 본체를 배치하는 단계; 복부의 출혈 부위를 거즈로 감싸는 단계; 상기 압박 패드를 상기 거즈에 배치하는 단계; 및 출혈 부위에 가해져야 하는 압력을 환자의 복부 둘레 크기에 따라 가해지도록 상기 마킹부의 해당 눈금에 맞추어 상기 압박대 본체를 길이 신장시킨 후 상기 결속수단을 상기 커버 밴드에 결속하여, 상기 압박대 본체를 복부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부 지혈용 압박대를 이용한 지혈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환자의 다양한 복부 둘레 크기와 다양한 출혈 부위의 위치에 대응하며 압박 및 지혈의 처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환자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출혈 부위를 안정적으로 압박 및 지혈할 수 있다. 또한, 병동과 응급실 등에서 복부의 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을 위해 모래주머니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의료진의 업무 피로도를 줄일 뿐만 아니라 피부의 트러블 없이 지혈할 수 있어 환자의 만족도도 향상시키며, 위생적으로 지혈 처치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부 지혈용 압박대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부 지혈용 압박대를 착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부 지혈용 압박대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부 지혈용 압박대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부 지혈용 압박대(1)는 압박 패드(10)와, 압박대 본체(20)와, 마킹부(40)를 포함한다.
압박 패드(10)는 장방형 단면형상의 블록 형태를 가지며, 일정 두께와 일정 크기의 단면적을 가진다.
압박 패드(10)는 압박 및 지혈이 요구되는 출혈 부위(110, 도 4 참조)를 감싸며 보호하는 거즈(120, 도 2 참조)에 적층 배치된다. 압박 패드(10)는 거즈(120)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압박 패드(10)는 거즈(120)가 출혈 부위(110)에 밀착하며 가압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탄성계수를 갖는 스폰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압박 패드(10)는 장방형 단면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압박 패드(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압박 패드(10)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압박 패드(10)는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압박 패드(10)를 압박대 본체(20)와 분리된 상태로 마련함으로써, 다양한 출혈 부위(1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압박 패드(10)를 간편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압박 및 지혈의 처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압박대 본체(20)는 띠 형상을 가지며, 환자의 복부(100, 도 2 참조)에 착용가능한 길이를 가진다.
압박대 본체(20)는 커버 밴드(21)와 신축 밴드(25)와 결속수단(31)을 포함한다. 커버 밴드(21)와 신축 밴드(25)와 결속수단(31)은 각각 압박대 본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획되어 있다.
커버 밴드(21)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복부(100)의 일 영역을 커버한다. 커버 밴드(21)는 피부와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는 부직포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버 밴드(21)는 라이넥스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축 밴드(25)는 압박대 본체(2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커버 밴드(21)의 일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신축 밴드(25)는 신축 가능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축 밴드(25)를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다양한 복부 둘레의 크기에 대응하여 신축 밴드(25)를 신축시킨 후, 결속수단(31)과 커버 밴드(21)의 타단부를 결속하여 압박대 본체(20)를 복부(100)에 착용할 수 있고, 또한 신축 밴드(25)의 탄성력에 의해 압박 패드(10)가 거즈(120)를 가압하여 출혈 부위(110)를 압박시키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결속수단(31)은 신축 밴드(25)의 자유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된다. 결속수단(31)은 커버 밴드(21)의 타단부에 결속되어, 압박대 본체(20)를 복부(100)에 착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속수단(31)으로서 벨크로 천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속수단(31)은 양면 테이프, 스냅 단추, 스냅 후크, 버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압박대 본체(20)를 복부(100)에 착용할 때, 압박대 본체(20)를 길이 신장시켜 탄성력을 발생한 상태에서 결속수단(31)과 커버 밴드(21)를 결속함으로써,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부 지혈용 압박대(1)를 복부(100)에 압박감을 유지하며 착용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압박대 본체(20)의 신축 밴드(25)의 탄성력에 의해 압박 패드(10)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증대되어, 압박 패드(10)는 더욱 안정적으로 압박대 본체(20)에 밀착 지지됨과 동시에, 거즈(120)를 더욱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마킹부(40)는 커버 밴드(21)의 표면에 마련되어, 결속수단(31)의 결속 위치를 표시한다. 마킹부(40)는 바아 형상의 복수의 눈금(41)을 가진다. 복수의 눈금(41)은 커버 밴드(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커버 밴드(21)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표시된다.
이러한 복수의 눈금(41)은 일정 단위의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눈금(41)은 교번적으로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밴드(21)의 표면에 마킹부(40)를 구비함으로써, 압박대 본체(20)를 환자의 복부(100)에 착용할 때, 마킹부(40)를 통해 환자의 복부 둘레 크기에 대응하여 압박 패드(10) 및 압박대 본체(20)에 의한 출혈 부위(110)의 압박 강도의 강약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부 지혈용 압박대(1)는 부착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착수단(50)은 압박 패드(10)에 마련되어 예컨대, 압박대 본체(20)를 향하는 판면에 마련되어, 압박 패드(10)를 압박대 본체(20)에 부착시킨다. 부착수단(50)은 압박대 본체(20) 예컨대, 커버 밴드(21)와 부착력이 우수한 양면 테이프 또는 벨크로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박대 본체(20)를 향하는 압박 패드(10)의 판면에 부착수단(50)을 마련함으로써, 압박 패드(10)와 압박대 본체(20)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압박 패드(10)와 압박대 본체(20)를 상호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부 지혈용 압박대(1)의 착용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직검사 전과 후에, 환자가 침상에 바로 누운 앙와위 자세에서 압박대 본체(20)를 환자의 허리를 따라 배치한다.
다음, 복부(100)의 조직검사 후에 출혈 부위(110)를 소독하고 나서, 다량의 거즈(120)를 출혈 부위(110)에 올려 감싼다.
그리고, 압박 패드(10)가 거즈(120)를 덮도록, 압박 패드(10)를 거즈(120)에 배치한다. 이 때, 압박 패드(10)는 부착수단(50)에 의해 압박대 본체(20)의 커버 밴드(21)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다량의 거즈(120)를 출혈 부위(110)에 올려 감싼 후, 압박 패드(10)를 압박대 본체(20)에 배치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그 순서를 달리하거나, 또는 동시에 시행될 수도 있다.
이어서, 압박 패드(10)가 부착된 압박대 본체(20)를 복부(100)에 걸친다. 이 때, 압박 패드(10)는 부착수단(50)에 의해 압박대 본체(20)의 커버 밴드(21)에 부착되고, 출혈 부위(110)에 가해져야 하는 압력을 환자의 복부 둘레 크기에 따라 가해지도록 마킹부(40)의 해당 눈금(41)에 맞추어, 압박대 본체(20)의 신축 밴드(25)를 길이 신장시켜 압박대 본체(20)에 탄성력이 발생한 상태에서, 결속수단(31)과 커버 밴드(21)의 타단부를 결속한다. 이 때, 압박대 본체(20)의 탄성력에 의해 압박 패드(1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증대되어, 압박대 본체(20)와 거즈(120) 사이에 배치된 압박 패드(10)는 압박대 본체(20)에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됨과 동시에, 거즈(120)를 더욱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부 지혈용 압박대(1)의 착용이 완료되고, 이에 따라 환자의 다양한 복부 둘레 크기와 다양한 출혈 부위(110)의 위치에 대응하며 압박 및 지혈의 처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환자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출혈 부위(110)를 안정적으로 압박 및 지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병동과 응급실 등에서 복부(100)의 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을 위해 모래주머니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의료진의 업무 피로도를 줄일 뿐만 아니라 의료용 면테이프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피부의 트러블 없이 지혈할 수 있어 환자의 만족도도 향상시키며, 위생적으로 지혈 처치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의 경우, 복부(100)의 조직검사 후 출혈 부위(110)를 지혈하기 위해 출혈 부위(110)에 모래주머니를 올려 압박하거나, 또는 환자의 체중으로 지혈해야 하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부 지혈용 압박대(1)는 압박 패드(10)가 압박대 본체(2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압박 패드(10)를 복부(100)의 다양한 출혈 위치에 대응하며 정확하게 위치시켜 세팅하는 것이 가능하여, 출혈 위치에 관계없이 압박 패드(10)와 압박대 본체(20)를 이용하여 출혈 부위(110)를 안정적으로 압박 및 지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압박대 본체(20)의 커버 밴드(21)에 마킹부(40)를 구비함으로써, 마킹부(40)의 해당 눈금(41)에 맞추어 압박대 본체(20)를 길이 신장시켜, 결속수단(31)과 커버 밴드(21)의 타단부를 결속하여, 압박 패드(10) 및 압박대 본체(20)에 의한 출혈 부위(110)의 압박 강도의 강약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복부 지혈용 압박대
10: 압박 패드
20: 압박대 본체
21: 커버 밴드
25: 신축 밴드
31: 결속수단
50: 부착수단

Claims (4)

  1. 압박 및 지혈이 요구되는 복부의 출혈 부위를 감싸며 보호하는 거즈에 적층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압박 패드;
    복부 일 영역을 커버하는 커버 밴드와, 상기 커버 밴드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신축하는 신축 밴드와, 상기 신축 밴드의 자유단부로부터 길이 연장되며 상기 커버 밴드의 타단부에 결속되는 결속수단을 가지며, 복부에 착용되어 복부의 출혈 부위에 배치된 상기 압박 패드를 가압하는 압박대 본체;
    상기 커버 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 밴드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표시된 복수의 눈금을 가지며, 상기 결속수단의 결속 위치를 표시하는 마킹부; 및
    상기 압박 패드에 마련되어, 상기 압박 패드를 상기 압박대 본체에 탈부착시키는 부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마킹부의 해당 눈금에 맞추어 상기 압박대 본체가 길이 신장되며, 상기 결속수단과 상기 커버 밴드의 타단부의 결속에 의하여 상기 압박 패드 및 상기 압박대 본체를 통한 출혈 부위의 압박 강도가 조절되는 것인, 복부 지혈용 압박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패드는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스폰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복부 지혈용 압박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양면 테이프, 벨크로 천, 스냅 단추, 스냅 후크, 버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복부 지혈용 압박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양면 테이프 또는 벨크로 천으로 이루어진, 복부 지혈용 압박대.
KR2020200004888U 2020-12-28 2020-12-28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 KR200493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888U KR200493014Y1 (ko) 2020-12-28 2020-12-28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888U KR200493014Y1 (ko) 2020-12-28 2020-12-28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525A Division KR20200052519A (ko) 2018-11-07 2018-11-07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048U true KR20210000048U (ko) 2021-01-07
KR200493014Y1 KR200493014Y1 (ko) 2021-01-15

Family

ID=7413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888U KR200493014Y1 (ko) 2020-12-28 2020-12-28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01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857U (ja) * 2008-09-22 2008-12-04 竹司 辻 止血用具
WO2012088027A2 (en) * 2010-12-21 2012-06-28 Eikman Edward A Disposable venous tourniquets and methods of use
KR20140032531A (ko) * 2012-08-29 2014-03-17 이승협 지혈 장치
KR20180075851A (ko) 2016-12-27 2018-07-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857B2 (ja) 1994-06-29 2001-03-19 凸版印刷株式会社 スキャナー分解前準備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857U (ja) * 2008-09-22 2008-12-04 竹司 辻 止血用具
WO2012088027A2 (en) * 2010-12-21 2012-06-28 Eikman Edward A Disposable venous tourniquets and methods of use
KR20140032531A (ko) * 2012-08-29 2014-03-17 이승협 지혈 장치
KR20180075851A (ko) 2016-12-27 2018-07-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014Y1 (ko)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7973B2 (en) Post tumescent liposuction absorption pad garments
KR200473635Y1 (ko) 압박 지혈밴드
JP2017525421A (ja) 固定化用器具
KR200442399Y1 (ko) 지혈대
KR200493014Y1 (ko)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
KR20200052519A (ko) 복부 지혈용 압박대 및 이를 이용한 지혈 방법
KR101909347B1 (ko)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CN215129498U (zh) 一种股动脉压迫止血器
CN205433813U (zh) 浅动脉采血止血带
CN210228242U (zh) 一种普外科用局部双压止血带
KR102105406B1 (ko) 대퇴부용 지혈 보조 기구
CN208591087U (zh) 一种动脉压迫止血器
CN218500907U (zh) 一种用于肾脏穿刺术后的加压腹带
CN215018297U (zh) 一种加压止血工具及动脉采血穿刺包
CN210784584U (zh) 一种桡动脉穿刺垫
CN220309170U (zh) 一种医用穿戴式术后止血带
CN220158331U (zh) 一种适用于腹股沟股动脉压迫止血的压迫器
CN215275062U (zh) 留置针敷贴
CN220327592U (zh) 一种包扎装置
CN214594394U (zh) 一种腹股沟疝修补术术后患者护理裤
CN211327420U (zh) 一种腕部动脉留置针固定支具
CN204562284U (zh) 一种多功能肾穿刺活检术术后止血腹带
CN219896119U (zh) 肛肠手术术后用包扎带
CN209332167U (zh) 取髂骨植骨术后患者用弹性局部压迫止血带
CN215875161U (zh) 一种阴囊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