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820A -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820A
KR20180075820A KR1020160179653A KR20160179653A KR20180075820A KR 20180075820 A KR20180075820 A KR 20180075820A KR 1020160179653 A KR1020160179653 A KR 1020160179653A KR 20160179653 A KR20160179653 A KR 20160179653A KR 20180075820 A KR20180075820 A KR 20180075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ressing
pressing member
main body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7989B1 (ko
Inventor
한장원
윤의식
백인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9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989B1/ko
Priority to PCT/KR2017/014725 priority patent/WO2018124559A1/en
Priority to EP17886389.0A priority patent/EP3545567B1/en
Priority to US15/843,095 priority patent/US10700315B2/en
Publication of KR20180075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01M50/273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76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를 용이하게 뺄 수 있는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를 개시한다.
배터리 케이스는 배터리 수용부를 가지는 본체와, 배터리 수용부에 설치되고, 배터리의 분리 시에 배터리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The Remote Controller Battery separ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배터리를 용이하게 뺄 수 있는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가전 기기들은 일정 거리에서 무선으로 조정할 수 있는 원격조정장치(Remote Controller)가 제공된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원격조정장치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가정에서 필수적인 생활 가전 요소가 되고 있다.
원격조정장치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Battery)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는 일정 시간 사용되면 방전되어 전원 기능을 상실하여 새로운 배터리로 교체하거나, 충전기를 통해 다시 충전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는 원격조정장치 등의 본체 및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배터리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사용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개선된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는, 배터리 수용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설치되고, 배터리의 분리 시에 상기 배터리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버튼부에 의해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분리 시 상기 가압부재가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원통형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배터리에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상기 가압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압부재 설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 설치부는, 상기 가압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가압부 설치부와, 상기 가압부 설치부와 연결되며 상기 버튼부가 수용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되는 버튼부 설치부와, 상기 회전축이 지지되는 회전축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 설치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상기 배터리의 제1단부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연결단자와, 상기 배터리의 제2단부에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탄성을 갖는 제2연결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연결단자 보다 제2연결단자 측으로 편심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원격조정장치는 배터리가 수용되기 위한 배터리 수용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본체의 분리 시 상기 배터리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슬라이딩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상기 가압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에 의해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원통형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배터리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의 접촉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상기 가압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압부재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 설치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상기 배터리의 일단부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연결단자와, 상기 배터리의 타단부에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탄성을 갖는 제2연결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연결단자 보다 제2연결단자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로부터 배터리를 쉽게 뺄 수 있어, 교체를 용이하게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배터리를 뺄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원격조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장치의 배터리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용부에 가압부재가 설치되는 원격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 수용부에 장착되는 가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의 이동에 의한 배터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용부에 설치되는 가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가 설치되는 원격조정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가 설치되는 원격조정장치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장장치의 분리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용부에 설치되는 가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장치 본체의 슬라이드 오픈 시 가압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장치의 배터리 수용부에 설치되는 가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든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리모컨, 라디오, 무전기, 시계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원격조정장치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면 및 전방은 도 1 에 도시된 원격조정장치(1)을 기준으로 길이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고, 후방은 원격조정장치(1)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원격조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장치의 배터리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a)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부(2a)의 디스플레이패널은 2장의 유리로 TFT 기판 및 칼라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주입되어 마련되고, 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유닛과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신호를 영상 및 음향으로 변환하기 위한 구동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조정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2)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조정장치(1)와 디스플레이 장치(2)는 서로 간의 제어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Communication)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조정장치(1)는 디스플레이장치(2)를 제어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 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셋탑 박스, 모니터, 프로젝션, 또는 LFD(Large Format Display) 등과 같이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로, 원격조정장치(1)를 통한 제어가 가능하다면 상술한 장치 이외에도 모두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조정장치(1)는 제어 버튼(12a) 등이 마련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커버(1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작동하는 제어 버튼(12a)이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버튼(12a)은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어 버튼(12a)은 제어부(12)를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본체(10)의 전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도시되지 않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제어 버튼(12a)의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 버튼(12a)은 사용자의 누름에 대응하여 변형하도록 마련되는 버튼(button)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버튼은 터치, 회전 노브, 틸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합성수지(예를 들어, 플라스틱 증)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합성 수지 재질에 일부의 금속 재질로 구현되거나 또는 금속재질의 일부 합성 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커버(11)는 본체(10)를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커버(11)는 본체(1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11)는 금속 재질(예를 들어,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로 구현될 수 있다.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11)는 원격조정장치(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11)는 본체(1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1면부(11a)와, 본체(10)의 양측면과 후면을 커버하는 제2면부(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면부(11a)와 제2면부(11b)는 일체로 형성된다.
커버(11)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되어 본체 설치구(11c)를 형성할 수 있다. 본체 설치구(11c)는 본체(10)가 본체 수용부(10a)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 설치구(11c)는 커버(1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 설치구(11c)를 통해 삽입되는 본체(10)는 커버(11)의 본체 수용부(10a)에 수용되게 된다.
본체(10)는 커버(11)의 본체 설치구(11c)에 삽입되어 착탈될 수 있다. 본체(10)는 본체 설치구(11c)를 통해 커버(11)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면에는 걸림돌기(18, 도 11참고)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의 제2면부(11b)에는 본체(10)의 걸림돌기(18)가 걸림되도록 걸림부(15)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15)는 본체(10)가 커버(11)로부터 분리 시에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5)는 본체(10)가 커버(11)로부터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걸림부(15)는 제1걸림부(15a)와 제1걸림부(15a)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걸림부(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걸림부(15a)와 제2걸림부(15b)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걸림부(15a)에 걸린 상태의 걸림돌기(18)는 사용자가 본체(10)에 힘을 가해서 당김으로써 이동하여 제2걸림부(15b)에 걸린 상태가 될 수 있다.
본체(10)의 걸림돌기(18)가 제2걸림부(15b)에 걸림으로써 본체(10)는 커버(1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후면에는 걸림돌기(18) 외에 본체(10)를 커버(11)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형성되는 분리버튼(17B, 도 10참고)이 형성될 수 있다. 분리버튼(17B)은 커버(11)의 분리홀(16)에 결합된다. 사용자는 본체(10)를 분리하기 위해 분리버튼(17B)을 눌러 분리홀(16)로부터 분리하고, 그에 따라 커버(11)와 본체(10)가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걸림부는 홈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걸림부는 슬릿 또는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와 커버(11)의 분리를 위한 구조 및 동작은 후술한다.
한편, 본체(10)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0)가 수용되는 배터리 케이스(100)가 마련된다. 배터리 케이스(100)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100)는 본체(10)의 내측 하부에 함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케이스(100)는 본체(1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터리 케이스는 별도의 부품으로 마련되어 본체에 함몰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100)는 배터리(20)가 수용되기 위한 배터리 수용부(110)를 포함한다. 배터리 수용부(110)는 배터리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100)는 배터리 수용부(110)에 수용되는 배터리(20)를 착탈 할 수 있도록 그 일면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100)는 배터리 수용부(110)에 수용되는 배터리(20)의 착탈을 위해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100)는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100)의 개방된 상면은 커버(11)의 제1면부(11a)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케이스는 본체와 삽입되어 결합되는 커버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배터리 케이스는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별도의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0)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배터리(20)는 국제 규격에 의한 일정한 지름과 길이를 갖는 원통형 배터리(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0)는 AA형 또는 AAA형 건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는 제1배터리(20a)와 제2배터리(20b) 두 개가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통형 배터리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상 또는 원판 형상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케이스(100)에는 배터리(20)의 분리 시에, 배터리(20)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200)가 설치될 수 있다. 가압부재(200)는 배터리 케이스(100)의 배터리 수용부(110)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용부에 가압부재가 설치되는 원격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 수용부에 장착되는 가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의 이동에 의한 배터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100)는 그 내부에 배터리(20)가 수용될 수 있는 배터리 수용부(110)가 마련된다.
배터리 수용부(110)는 제1배터리(20a)가 수용되는 제1배터리수용부(110a)와, 제2배터리(20b)가 수용되는 제2배터리수용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배터리 수용부(110) 양측에는 배터리(20)의 +극(이하, 제1단부)과 -극(이하, 제2단부)이 접점되는 각각의 연결단자(131,132)가 마련된다. 연결단자(131,132)는 배터리(20)의 제1단부(21)에 연결되는 제1연결단자(131)와, 제2단부(22)에 연결되는 제2연결단자(132)를 포함한다. 제2연결단자(132)는 탄성을 갖도록 마련된다. 제1연결단자(131)와 제2연결단자(132)는 본체(10)의 인쇄회로기판과 통전되도록 마련된다.
각각의 배터리 수용부(110)에 마련되는 연결단자(131,132)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터리(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배터리수용부(110a)의 제1연결단자(131)와 제2배터리수용부(110b)의 제1연결단자(131)는 같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배터리수용부(110a)와 제2배터리수용부(110b)의 제1연결단자(131)는 배터리(20)의 제1단부(21)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배터리수용부(110a)와 제2배터리수용부(110b)의 제1연결단자(131)는 배터리 케이스(100)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1배터리수용부(110a)의 제2연결단자(132)와 제2배터리수용부(110b)의 제2연결단자(132)는 같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배터리수용부(110a)와 제2배터리수용부(110b)의 제2연결단자(132)는 배터리 케이스(1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배터리 케이스(100)의 동일한 방향에 마련되는 제1연결단자(131)와 제2연결단자(132)에 의해 각각의 배터리(20)는 배터리 케이스(100)에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그에 따른 후술하는 가압부재(200)도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연결단자(131)는 배터리 케이스(100)의 후방에, 제2연결단자(132)는 배터리 케이스(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연결단자(131)는 전방에 제2연결단자(132)는 후방에 마련될 수도 있다.
배터리 케이스(100)는 제1배터리수용부(110a)와 제2배터리수용부(110b)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100b)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100b)에 의해 각각의 배터리(20)들은 각각의 배터리 수용부(110)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케이스(100)에는 배터리(20)의 분리 시 배터리(2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200)가 마련된다. 가압부재(200)는 배터리 수용부(110)를 형성하는 배터리 케이스(100)의 테두리(100a)에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200)는 배터리 케이스(100)의 테두리(100a) 중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압부재(200)는 제1배터리(20a)의 외측과 제2배터리(20b)의 외측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는 배터리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압부재(200)는 배터리(20)와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가압부재(200)는 가압부(210), 회전축(220), 그리고 버튼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210)와 버튼부(230)는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가압부(210)는 회전축(220)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버튼부(230)는 회전축(220)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가압부(210)와 버튼부(23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버튼부(230)를 누르면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가압부(210)는 상측으로 회전한다. 반대로, 버튼부(230)가 원래 위치로 올라오면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가압부(210)는 하측으로 회전한다.
가압부(210)는 배터리(20)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가압부(210)는 배터리(20)에 접촉하도록 곡면(211)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210)는 배터리(20)의 외측면에 대응되도록 곡면(21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230)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마련된다. 버튼부(230)는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가압부(210)의 반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부(230)는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100)에는 가압부재(200)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가압부재 설치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 설치부(120)는 배터리 수용부(110)에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 설치부(120)는 배터리 수용부(11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 설치부(120)는 가압부 설치부(121), 회전축 지지부(123), 그리고 버튼부 설치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 설치부(121)는 가압부(210)가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가압부 설치부(121)는 가압부(2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회전축 지지부(123)는 가압부재(200)의 회전축(22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회전축 지지부(123)는 가압부 설치부(121)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버튼부 설치부(122)는 가압부 설치부(121)와 연결되며 버튼부(230)가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버튼부 설치부(122)는 버튼부(230)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 설치부(120)에는 가압부재(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25)는 버튼부 설치부(122)와 회전축 지지부(123)의 연결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25)는 버튼부(230) 또는 회전축(220)이 가압부재 설치부(1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가압부재 설치부(120)의 가압부 설치부(121)와 버튼부 설치부(122) 그리고 회전축 지지부(123)는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200)는 배터리 케이스(100)의 가압부재 설치부(12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압부재(200)를 가압부재 설치부(120)에 조립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참고)
가압부재(200)의 버튼부(230)를 가압부재 설치부(120)의 가압부 설치부(121)로 삽입한다.
이때, 버튼부(230)는 회전축 지지부(123)의 하측으로 향하도록 한다. 가압부재(200)의 회전축(220)을 회전축 지지부(123)에 결합할 수 있다.
회전축(220)이 회전축 지지부(123)에 결합되면, 가압부재(200)를 회전시켜 버튼부(230)는 버튼부 설치부(122)로 위치시키고, 가압부(210)는 가압부 설치부(121)로 이 위치시켜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케이스(100)로부터 배터리(20)를 분리 시, 사용자가 가압부재(200)의 버튼부(230)를 누르면, 버튼부(230)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가압부(210)가 회전하여 상측으로 이동한다.
배터리(20)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부(110)는 배터리(20)의 규격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배터리(20)는 배터리 수용부(110)의 제1연결단자(131)와 제2연결단자(132) 사이에 배치되는데, 제2연결단자(132)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 지지되게 된다.
이때, 가압부재(200)의 가압부(210)는 배터리(20)를 가압하여 적어도 일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하고, 적어도 일부가 이동된 배터리(20)는 배터리 수용부(11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배터리(20)를 배터리 수용부(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용부에 설치되는 가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200)는 배터리 케이스(100A)에 마련되어 배터리(20A)를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가압부재(200A)는 배터리 수용부(110)에 마련되어, 배터리(20A)의 분리 시 배터리(20A)를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가압부재(200A)는 배터리 케이스(100A)의 배터리 수용부(110)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110)는 제1배터리수용부(110a)와 제2배터리수용부(110b)를 포함한다. 배터리 수용부(110)의 중심에는 격벽(100b)이 마련될 수 있다. 격벽(100b)에 의해 각각의 배터리(20)들은 각각의 배터리 수용부(110)에 수용될 수 있다.
가압부재(200A)는 제1배터리수용부(110a)에 수용되는 제1배터리(20a)와 제2배터리수용부(110b)에 수용되는 제2배터리(20b)를 동시에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200A)는 가압부(210A), 회전축(220A), 그리고 버튼부(230A)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210A)는 회전축(220A)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버튼부(230A)는 회전축(220A)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가압부(210A)와 버튼부(230A)는 회전축(220A)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버튼부(230A)를 누르면 회전축(220A)을 중심으로 가압부(210A)는 상측으로 회전하고, 버튼부(230A)가 원래 위치로 올라오면 회전축(220A)을 중심으로 가압부(210A)는 하측으로 회전한다.
가압부(210A)는 제1배터리(20a)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제1가압면(211A)과, 제2배터리(20b)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제2가압면(212A)을 포함한다.
제1가압면(211A)과 제2가압면(212A)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압면(211A)과 제2가압면(212A)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200A)를 설치하기 위한 가압부재 설치부(120)는 배터리 수용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 설치부(120)는 격벽(100b)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압부재(200A)는 배터리 수용부(110)의 양측 단부에 마련되는 제1연결단자(131)와 제2연결단자(132)의 중심(C)에서 제1연결단자(131) 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131)와 가압부재(200A)의 제1거리(L1)는 제2연결단자(132)와 가압부재(200A)의 제2거리(L2) 보다 짧다. 즉, 가압부재(200A)는 제1연결단자(131)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0)를 가압하는 가압부재(200A)의 가압부(210A)는 제2연결단자(132) 보다 제1연결단자(131) 측에 가깝게 배치된다.
배터리 수용부(110)에 수용된 배터리(20)를 탄성 지지하는 제2연결단자(132)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가압함으로써 배터리(2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가압부재 설치부와 가압부재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은 상기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충분히 예측 가능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가 설치되는 원격조정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가 설치되는 원격조정장치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장장치의 분리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용부에 설치되는 가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장치 본체의 슬라이드 오픈 시 가압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다.
도 8 내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조정장치(1B)는 가압부재(200B)가 마련된 배터리 케이스(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조정장치(1B)는 본체(10B)와, 본체(10B)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1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1B)는 전면을 형성하는 제1면부(11Ba)와 양측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제2면부(11B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면부(11Ba)와 제2면부(11B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B)의 하부에 마련되는 배터리 케이스(100B)는 커버(11B)의 제1면부(11Ba)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본체(10B)는 커버(11B)의 본체 설치구(11Bc)에 삽입되어 착탈될 수 있다. 본체(10B)는 본체 설치구(11Bc)를 통해 커버(11B)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B)와 커버(11B)는 이동부재(40B)를 통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동부재(40B)는 본체(10B)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제1레일(41B)과 커버(11B)의 양내측면에 마련되는 제2레일(4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레일(41B)과 제2레일(42B)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레일(41B)은 제2레일(42B)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다.
본체(10B)에는 커버(11B)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버튼(17B)이 마련된다. 본체(10B)의 저면 상부에는 분리버튼(17B)이 형성된다. 분리버튼(17B)은 본체(10B)의 저면에 푸시(push)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B)에는 분리버튼(17B)이 결합되는 분리홀(16B)이 형성될 수 있다. 분리홀(16B)은 분리버튼(17B)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분리버튼(17B)이 본체(10B)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분리홀(16B)로부터 이탈되면, 본체(10B)는 커버(11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B)와 커버(11B)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본체(10B)에는 탄성지지부(60B)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60B)는 본체(10B)의 하측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60B)는 내부에 마련되는 탄성체(61B)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60B)는 본체(10B)가 커버(11B)로부터 탄성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본체(10B)는 커버(11B)의 본체 수용부(10a)로부터 탄성 지지되어 커버(11B)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B)의 분리버튼(17B)을 누르면 본체(10B)와 커버(11B)는 분리되고 탄성지지부(60B)에 의해 본체(10B)가 커버(11B)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B)의 후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8)는 본체(10B)의 후면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11B)에는 본체(10B)의 걸림돌기(18)가 걸림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부(15B)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15B)는 본체(10B)가 커버(11B)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본체(10B)의 걸림돌기(18)는 커버(11B)와의 분리 전에는 제1걸림부(15Ba)에 결합된 상태로 마련된다. 제1걸림부(15Ba)는 본체(10B)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B)가 커버(11B)에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돌기(18)는 제1걸림부(15Ba)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분리버튼(17B)을 눌러 본체(10B)를 커버(11B)로부터 분리하면 걸림돌기(18)는 제1걸림부(15Ba)를 따라 걸림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본체(10B)를 추가 이동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본체(10B)를 당기면 걸림돌기(18)는 제2걸림부(15Bb)에 걸리게 된다.
본체(10B)의 걸림돌기(18)가 제2걸림부(15Bb)에 걸림으로써, 본체(10B)는 커버(11B)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케이스(100B)는 배터리(20)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부(110B)와, 배터리 수용부(110B)에 수용되는 배터리(2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200B)와 가압부재(200B)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250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200B)는 가압부(210B)와 회전축(220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210B)는 배터리(20)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가압하도록 곡면 형상의 가압면(211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210B)는 회전축(220B)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210B)는 회전축(220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압부(210B)는 회전 이동을 지지하도록 회전축(220B)을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압부는 회전축을 포함하지 않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50B)는 가압부(210B)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250B)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50B)는 탄성을 갖는 요철부(252B)와, 요철부(252B)로부터 연장되는 고정부(251B)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50B)는 커버(11B)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11B)의 내면에는 탄성부재(250B)가 설치되기 위한 탄성부재 설치부(50B)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 설치부(50B)는 제2면부(11Bb)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 설치부(50B)는 배터리 수용부(110B)의 가압부재(200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 설치부(50B)는 가압부(210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 설치부(50B)에 설치되는 탄성부재(250B)의 요철부(252B)는 가압부(210B)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250B)의 고정부(251B)는 탄성부재 설치부(50B)에 용접 또는 본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250B)는 탄성에 의해 배터리(20)를 배터리 수용부(110B)로부터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배터리 수용부(110B)에 결합된 배터리(2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배터리(20)의 교체 및 분리를 위해 본체(10B)를 커버(11B)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커버(11B)의 제1면부(11Ba)로부터 배터리 수용부(110B) 상면이 노출되게 된다.
본체(10B)가 커버(11B)의 일정 위치(걸림돌기(18)가 제1걸림부(15Ba)에 걸림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커버(11B)의 탄성부재 설치부(50B)에 설치된 탄성부재(250B)의 요철부(252B)가 가압부(210B)를 상측으로 회전 이동 시킨다.
가압부(210B)가 상측으로 이동 시, 가압부(210B)에 의해 배터리 수용부(110B)에 수용된 배터리(20)는 가압되어 상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250B)에 의해 회전 이동하는 가압부(210B)의 제1이동각도(θ1)와 배터리(20)의 제2이동각도(θ2)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B)와 커버(11B)의 분리 동작과 동시에 배터리(20)가 제2이동각도(θ2) 만큼 이동하므로, 사용자는 배터리(2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배터리 수용부(110B)에 마련되는 연결단자(131B,132B)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터리(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각각의 배터리 수용부(110B)의 제1연결단자(131B)와 제2연결단자(132B)는 같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131B)와 제2연결단자(132B)는 배터리(20)의 제1단부(21)와 제2단부(22)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배터리 수용부(110B)의 제1연결단자(131B)는 배터리 케이스(100B)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2연결단자(132B)는 배터리 케이스(100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연결단자(132B)는 본체(10B)의 이동 방향에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100B)에 동일한 방향에 마련되는 제1연결단자(131B)와 제2연결단자(132B)에 의해 각각의 배터리(20B)는 배터리 케이스(100B)에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이때, 배터리 케이스(100B)에 제2연결단자(132B)는 본체(10B)의 이동 방향과 동일하게 마련되어, 배터리(20)의 교체 및 분리를 위해 본체(10B)로부터 배터리(20)를 가압 시, 본체(10B)와 커버(11B)의 슬라이딩을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100B)로부터 배터리(20)를 분리하도록 가압부재(200B)에 의해 가압된 배터리(20)를 배터리 케이스(100B)의 배터리 수용부(110B)로부터 분리 시, 사용자에 의해 탄성을 갖는 제2연결단자(132B) 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이때, 제2연결단자(132B)는 본체(10B)의 이동방향에 배치되므로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본체(10B)와 커버(11B)의 슬라이딩 방향과 일치되므로, 슬라이딩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15 내지 도 1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장치의 배터리 수용부에 설치되는 가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조정장치(1C)는 본체(10C)와, 본체(10C)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는 배터리 케이스(100C)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100C)는 본체(10C)의 후면에 함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100C)는 상면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배터리 수용부(110C)가 마련된다.
배터리 수용부(110C)는 커버(11C)에 의해 커버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커버(11C)는 배터리 수용부(110C)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는 배터리 수용부(110C)의 개방된 상면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C)는 본체(10C)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C)는 본체(10C)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400C)와 후크(430C)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00c)는 본체(10C)의 배터리 케이스(100C)에 마련되는 제1결합부(410C)와, 제1결합부(410)에 대응되도록 커버(11C)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42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410C)는 배터리 수용부(110C)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410C)는 제1결합부(410C)에 대응되도록 커버(11C)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1C)의 제2결합부(420C)는 배터리 수용부(110C)의 제1결합부(410C)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커버(11C)의 타측에는 후크(430C)가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110C)에는 후크(430C)에 대응되는 후크 홈(140C)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11C)의 후크(430C)를 조절하여 커버(11C)를 본체(10C)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케이스(100C)에는 배터리(20)의 분리 시 배터리(2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200C)가 마련된다. 가압부재(200C)는 배터리 수용부(110C)를 형성하는 배터리 케이스(100C)의 테두리(100a)에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200)는 배터리 케이스(100C)의 테두리(100Ca)에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 설치부와 가압부재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은 상기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충분히 예측 가능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원격조정장치 2 : 디스플레이 장치
10 : 본체 11 : 커버
12 : 제어부 20 : 배터리
100 : 배터리 케이스 110 : 배터리 수용부
120: 가압부재 설치부 131,132 : 제1,2 연결단자
200 : 가압부재 210 : 가압부
220 : 회전축 230 : 버튼부

Claims (20)

  1. 배터리 수용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설치되고, 배터리의 분리 시에 상기 배터리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
    를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버튼부에 의해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배터리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분리 시 상기 가압부재가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원통형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배터리에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상기 가압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압부재 설치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 설치부는,
    상기 가압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가압부 설치부와,
    상기 가압부 설치부와 연결되며 상기 버튼부가 수용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되는 버튼부 설치부와,
    상기 회전축이 지지되는 회전축 지지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 설치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상기 배터리의 일단부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연결단자와,
    상기 배터리의 타단부에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탄성을 갖는 제2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2연결단자 보다 제1연결단자 측으로 편심되어 배치되는 배터리 케이스.
  12. 배터리가 수용되기 위한 배터리 수용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본체의 분리 시 상기 배터리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
    를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슬라이딩되는 원격조정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상기 가압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에 의해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원통형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배터리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의 접촉면을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격조정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상기 가압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압부재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 설치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상기 배터리의 제1단부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연결단자와,
    상기 배터리의 제2단부에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탄성을 갖는 제2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연결단자 보다 제2연결단자 측에 가깝게 배치되는 원격조정장치.
KR1020160179653A 2016-12-27 2016-12-27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 KR102217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653A KR102217989B1 (ko) 2016-12-27 2016-12-27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
PCT/KR2017/014725 WO2018124559A1 (en) 2016-12-27 2017-12-14 Battery case and remote controller including the same
EP17886389.0A EP3545567B1 (en) 2016-12-27 2017-12-14 Battery case and remote controller including the same
US15/843,095 US10700315B2 (en) 2016-12-27 2017-12-15 Battery case and remote controlle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653A KR102217989B1 (ko) 2016-12-27 2016-12-27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820A true KR20180075820A (ko) 2018-07-05
KR102217989B1 KR102217989B1 (ko) 2021-02-22

Family

ID=62630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653A KR102217989B1 (ko) 2016-12-27 2016-12-27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00315B2 (ko)
EP (1) EP3545567B1 (ko)
KR (1) KR102217989B1 (ko)
WO (1) WO20181245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72927S (ko) 2019-11-08 2020-11-16
CN114039156B (zh) * 2021-11-09 2024-02-13 中国电子技术标准化研究院 一种智慧健康用心率监测项链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657Y1 (ko) * 1987-03-30 1990-03-03 주식회사협우양행 바인더
KR200154484Y1 (ko) * 1996-08-05 1999-08-16 전주범 자동이탈 건전지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5297A (en) * 1967-06-05 1969-05-20 Ingraham & Co Battery ejector for portable appliances
US4031295A (en) 1976-03-11 1977-06-21 General Time Corporation Combination housing with compartment and ejector mechanism for ejecting a battery therefrom
JPS61292329A (ja) * 1985-06-20 1986-12-23 Toshiba Corp 半導体樹脂封止用成形装置
JP2895008B2 (ja) * 1996-11-13 1999-05-2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バッテリー着脱構造
US6511770B2 (en) 2000-12-14 2003-01-28 Kang-Chao Chang Battery casing with an ejector
JP2004266608A (ja) * 2003-03-03 2004-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コン送信機
JP4471623B2 (ja) * 2003-10-24 2010-06-02 三洋電機株式会社 脱着自在に電池が装着される電気機器
JP2007042537A (ja) * 2005-08-05 2007-02-15 Pentax Corp 電池パック収納機構
TWM309759U (en) * 2006-09-13 2007-04-11 Altek Corp Battery fixation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657Y1 (ko) * 1987-03-30 1990-03-03 주식회사협우양행 바인더
KR200154484Y1 (ko) * 1996-08-05 1999-08-16 전주범 자동이탈 건전지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989B1 (ko) 2021-02-22
EP3545567B1 (en) 2022-06-01
EP3545567A1 (en) 2019-10-02
EP3545567A4 (en) 2020-01-08
US20180183022A1 (en) 2018-06-28
US10700315B2 (en) 2020-06-30
WO2018124559A1 (en)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22395B (zh) 一种耳机充电盒
US20170297430A1 (en) Display audio device
EP2149892B1 (en) Miniature switch
JP6211266B2 (ja) 取り外し可能なフロントパネルを有するオーディオ/ビデオ電子機器、特にマルチメディアカーラジオ
KR20180075820A (ko)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
US7548761B2 (en) Radiotelephone
EP4120302A1 (en) Electronic device
CA2544703C (en) Operating switch wiring device and handle member therefor
CN210432194U (zh) 一种电子设备
KR100836539B1 (ko) 스위치 장치
KR20140147244A (ko) 전자 기기의 키 장치
CN107749447B (zh) 智能穿戴设备
WO1997033431A1 (fr) 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WO2013044586A1 (zh) 电子设备的按钮
CN212814810U (zh) 表带及具有该表带的手表
KR10056529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20210007921A (ko) 차량용 제어 장치
JP5169703B2 (ja) リモコン送信機
KR20070093248A (ko)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95873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JP2013178938A (ja) 電子機器の操作ボタン構造
CN217039139U (zh) 一种智能穿戴设备
CN110139520B (zh) 电器盒及楼宇控制系统
JP7054831B2 (ja) 負荷制御装置および送信機
JP4380763B6 (ja) 配線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