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913A - 연속주조용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주조용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913A
KR20180073913A KR1020160177452A KR20160177452A KR20180073913A KR 20180073913 A KR20180073913 A KR 20180073913A KR 1020160177452 A KR1020160177452 A KR 1020160177452A KR 20160177452 A KR20160177452 A KR 20160177452A KR 20180073913 A KR20180073913 A KR 20180073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ute
cutting
storage
cut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097B1 (ko
Inventor
이정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7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09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4Plants for continuous casting
    • B22D11/148Safety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63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cutting cast st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 Chu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유닛은 지면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외부에서 절단되어 제공되는 절단부재가 상단부로 공급되는 고정슈트 및 상기 고정슈트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경사각도가 가변되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부재의 이동을 조정하는 스토리지슈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슈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절단장치{Chute unit and shear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본 발명은 슈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주조 공정에서는 연주기에서 생산되는 주편이 연속된 형태로 배출된다. 그러나 연주기에서 배출 후에 주편이 전달되는 다음 공정에서의 문제로 주편의 전달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서, 연주기에서 배출된 연속된 주편을 절단하여 배출하는 절단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절단장치는 절단유닛에서 절단된 주편을 슈트유닛을 통하여 주편의 이동라인에서 벗어나 아래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슈트유닛은 고정된 형태로 절단된 주편을 아래로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슈트유닛에 의해서 슬라이딩 이동된 절단된 주편은 버킷유닛으로 유도되며, 상기 버킷유닛에 절단된 주편이 가득차게 되면 버킷유닛을 교체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버킷유닛의 교체시에는 통상적으로 약 15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며, 새로운 버킷유닛으로 교체시까지 주편의 절단작업이 중단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주편의 절단 작업이 중단됨으로써, 연속주조 전체 공정이 중단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슈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절단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출원번호 제10-2000-002499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연주기 이후의 공정 중의 어느 한 공정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연주기에서 생산되는 주편을 절단하여 배출할 수 있어, 전체 공정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슈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유닛은 지면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외부에서 절단되어 제공되는 절단부재가 상단부로 공급되는 고정슈트 및 상기 고정슈트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경사각도가 가변되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부재의 이동을 조정하는 스토리지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유닛의 상기 스토리지슈트는, 상기 고정슈트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구비되는 스토리지부 및 상기 스토리지부의 타단부를 상하로 틸팅하게 연계되는 틸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유닛의 상기 스토리지부는, 상방이 개방된 "ㄷ"형상으로 단면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유닛의 상기 틸팅부는, 상기 스토리지부의 일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축부재, 상기 축부재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링크바 및 상기 고정슈트에 일단부가 핀결합되며, 신축하는 타단부는 상기 링크바의 타단부와 핀결합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유닛은 상기 절단부재가 상기 고정슈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리지부의 타단부를 상방으로 이동하게 상기 구동실린더를 조정하고, 상기 절단부재가 상기 고정슈트에서 이탈되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리지부의 타단부를 하방으로 이동하게 상기 구동실린더를 조정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용 절단장치는 상기 슈트유닛, 상기 슈트유닛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연주기에서 연속하여 공급되는 연속부재를 절단된 절단부재로 상기 슈트유닛에 제공하는 절단유닛 및 상기 슈트유닛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슈트유닛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절단유닛에서 절단부재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외부로 이송하는 버킷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용 절단장치의 상기 버킷유닛은, 상기 슈트유닛의 하단부와 외부로 연결되는 레일부재 및 상기 레일부재 상에 이동되게 구비되며, 상기 절단부재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수집통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용 절단장치의 상기 수집통부재는, 적어도 2개가 하나의 그룹으로 제공되어, 일체로 상기 레일부재 상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슈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절단장치는 절단부재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의해서, 버킷유닛의 교체시에도 절단유닛에서 연속부재를 절단하여 슈트유닛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주기 이후의 공정 중의 어느 한 공정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연주기에서 생산되는 주편을 중단 없이 절단하여 배출할 수 있어, 전체 공정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속주조용 절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속주조용 절단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슈트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슈트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슈트유닛에서 스토리지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연속주조용 절단장치에서 버킷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슈트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절단장치는 절단부재(m2)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 버킷유닛(300)의 교체시에도 절단유닛(200)에서 연속부재(m1)를 절단하여 슈트유닛(100)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주기 이후의 공정 중의 어느 한 공정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연주기에서 생산되는 주편을 중단 없이 절단하여 배출할 수 있어, 전체 공정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연속주조용 절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연속주조용 절단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유닛(100)은 지면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외부에서 절단되어 제공되는 절단부재(m2)가 상단부로 공급되는 고정슈트(110) 및 상기 고정슈트(110)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경사각도가 가변되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부재(m2)의 이동을 조정하는 스토리지슈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스토리지슈트(120)가 지면에 경사진 고정슈트(110)의 하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고정슈트(110)의 하단부에 제공되는 각도가 지면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슈트(110)와의 사이에 상기 절단부재(m2)를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리지슈트(120)와 고정슈트(110)로 구성되는 슈트유닛(100)이 상기 절단부재(m2)를 슬라이딩하여 하방으로 이동을 유도하는 것에 더하여, 상기 절단부재(m2)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도 하게 됨으로써, 후술할 버컷유닛의 수집통부재(320)의 교체시에도 절단유닛(200)이 연속부재(m1)를 절단부재(m2)로 절단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슈트(110)는 고정되어 제공되는 구성이며, 상단부에 절단부재(m2)가 제공되면, 수집통부재(320)로 절단부재(m2)를 슬라이딩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고정슈트(110)는 지면에 경사지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부재(m2)의 자중에 의해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스토리지슈트(120)는 상기 고정슈트(110)와 협력하여 상기 절단부재(m2)를 하방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에 더하여, 상기 절단부재(m2)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상기 수집통부재(320)를 교체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절단부재(m2)가 연속하여 제공되더라도 상기 절단부재(m2)의 이탈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토리지슈트(120)는 스토리지부(121), 틸팅부(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용 절단장치는 상기 슈트유닛(100), 상기 슈트유닛(10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연주기에서 연속하여 공급되는 연속부재(m1)를 절단된 절단부재(m2)로 상기 슈트유닛(100)에 제공하는 절단유닛(200) 및 상기 슈트유닛(100)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슈트유닛(100)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절단유닛(200)에서 절단부재(m2)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외부로 이송하는 버킷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슈트유닛(100)이 상기 절단부재(m2)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절단유닛(200)이 계속하여 연속부재(m1)를 절단하여 배출하더라도 상기 버킷유닛(300)의 교체를 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단유닛(200)은 연주기에서 생산되는 연속부재(m1) 일례로 주편이 연속하여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연속부재(m1)를 절단하여 절단부재(m2)로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절단유닛(200)은, 상기 연주기 이후의 공정 중에 어느 한 공정에 문제가 발생하여 상기 연주기 이후 공정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상기 연주기에서 계속하여 주편 등의 연속부재(m1)를 생산하게 할 수 있게, 상기 연속부재(m1)를 절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절단유닛(200)은 절단날이 형성된 한 쌍의 롤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일 방향으로 절단날을 이동시켜 연속부재(m1)를 절단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버킷유닛(300)은 상기 절단유닛(200)에서 절단되어 배출되는 절단부재(m2)가 상기 슈트유닛(100)에서 미끄러져 이동되어 오면 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연주기에서 생산된 연속부재(m1)가 상기 절단유닛(200)에서 절단되면, 상기 슈트유닛(100)이 상기 절단유닛(200)을 상기 버킷유닛(300)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하게 되는 것이고, 이렇게 이동되어 오는 절단부재(m2)를 상기 버킷유닛(300)은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 버킷유닛(300)에 저장될 수 있는 절단부재(m2)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기 버킷유닛(300)은 절단부재(m2)의 적치가 수용 범위를 넘기 전에 교체해야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버킷유닛(300)은 레일부재(310), 수집통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슈트유닛(1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슈트유닛(100)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슈트유닛(100)에서 스토리지부(121)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유닛(100)의 상기 스토리지슈트(120)는, 상기 고정슈트(110)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구비되는 스토리지부(121) 및 상기 스토리지부(121)의 타단부를 상하로 틸팅하게 연계되는 틸팅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리지슈트(120)가 상기 고정슈트(110)와 협력하여 상기 절단부재(m2)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도록, 가변되게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스토리지부(121)와 틸팅부(122)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토리지부(121)는 상기 고정슈트(11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직접 상기 절단부재(m2)와 접촉하면서, 상기 절단부재(m2)의 임시 저장 또는 하방으로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토리지부(121)는 상기 절단부재(m2)가 미끄러져 이동되도록, 상기 고정슈트(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적어도 판재 형태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재(m2)자 측방으로 이탈하지 않고, 유도되는 가이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양측단부에는 측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유닛(100)의 상기 스토리지부(121)는, 상방이 개방된 "ㄷ"형상으로 단면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틸팅부(122)는 상기 스토리지부(121)를 경사각도가 가변되게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틸팅부(122)는 축부재(122a), 링크바(122b), 구동실린더(122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유닛(100)의 상기 틸팅부(122)는, 상기 스토리지부(121)의 일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축부재(122a), 상기 축부재(122a)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링크바(122b) 및 상기 고정슈트(110)에 일단부가 핀결합되며, 신축하는 타단부는 상기 링크바(122b)의 타단부와 핀결합되는 구동실린더(12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실린더(122c)는 구동력을 제공하며, 이러한 구동력은 상기 링크바(122b)와 상기 축부재(122a) 및 상기 스토리지부(121)의 기구적 구성에 의해서 상기 스토리지부(121)의 경사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실린더(122c)가 제공하는 선 운동의 구동력은 상기 링크바(122b)의 타단부를 일측으로 직선운동하여 이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링크바(122b)의 일단부에 결합된 상기 축부재(122a)는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축부재(122a)와 결합된 상기 스토리지부(121)도 역시 회전 운동하게 되어 상기 스토리지부(121)는 경사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유닛(100)은 상기 절단부재(m2)가 상기 고정슈트(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리지부(121)의 타단부를 상방으로 이동하게 상기 구동실린더(122c)를 조정하고, 상기 절단부재(m2)가 상기 고정슈트(110)에서 이탈되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리지부(121)의 타단부를 하방으로 이동하게 상기 구동실린더(122c)를 조정하는 제어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수단(130)은 상기 스토리지슈트(120)가 상기 절단부재(m2)를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과 상기 절단부재(m2)를 임시 저장하는 역할을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어수단(130)이 상기 스토리지슈트(120)와 상기 고정슈트(110)가 협력하여 상기 절단부재(m2)를 임시 저장하게 조정하는 것은, 상기 버킷유닛(300)의 수집통부재(320)를 교체하는 경우가 일례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연속주조용 절단장치에서 버킷유닛(300)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용 절단장치의 상기 버킷유닛(300)은, 상기 슈트유닛(100)의 하단부와 외부로 연결되는 레일부재(310) 및 상기 레일부재(310) 상에 이동되게 구비되며, 상기 절단부재(m2)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수집통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버킷유닛(300)에 저장될 수 있는 절단부재(m2)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기 버킷유닛(300)은 절단부재(m2)의 적치가 수용 범위를 넘기 전에 교체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레일부재(310), 수집통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레일부재(310)는 상기 수집통부재(320)가 이동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수집통부재(320)가 이동될 경로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레일부재(310)는 "I"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집통부재(320)는 상부는 상기 절단부재(m2)를 저장할 수 있는 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하부는 상기 레일부재(31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이동휠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집통부재(320)는 하나씩 구비되어 상기 레일부재(310)를 이동하게 제공될 수도 있으나, 상기 수집통부재(320)의 교체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복수 개가 하나의 그룹으로 이동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용 절단장치의 상기 수집통부재(320)는, 적어도 2개가 하나의 그룹으로 제공되어, 일체로 상기 레일부재(310) 상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00: 슈트유닛 110: 고정슈트
120: 스토리지슈트 121: 스토리지부
122: 틸팅부 130: 제어수단
200: 절단유닛 300: 버킷유닛
310: 레일부재 320: 수집통부재

Claims (8)

  1. 지면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외부에서 절단되어 제공되는 절단부재가 상단부로 공급되는 고정슈트; 및
    상기 고정슈트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경사각도가 가변되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부재의 이동을 조정하는 스토리지슈트;
    를 포함하는 슈트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슈트는,
    상기 고정슈트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구비되는 스토리지부; 및
    상기 스토리지부의 타단부를 상하로 틸팅하게 연계되는 틸팅부;
    를 포함하는 슈트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부는, 상방이 개방된 "ㄷ"형상으로 단면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상기 스토리지부의 일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축부재;
    상기 축부재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링크바; 및
    상기 고정슈트에 일단부가 핀결합되며, 신축하는 타단부는 상기 링크바의 타단부와 핀결합되는 구동실린더;
    를 포함하는 슈트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재가 상기 고정슈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리지부의 타단부를 상방으로 이동하게 상기 구동실린더를 조정하고, 상기 절단부재가 상기 고정슈트에서 이탈되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리지부의 타단부를 하방으로 이동하게 상기 구동실린더를 조정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슈트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슈트유닛;
    상기 슈트유닛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연주기에서 연속하여 공급되는 연속부재를 절단된 절단부재로 상기 슈트유닛에 제공하는 절단유닛; 및
    상기 슈트유닛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슈트유닛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절단유닛에서 절단부재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외부로 이송하는 버킷유닛;
    을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절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유닛은,
    상기 슈트유닛의 하단부와 외부로 연결되는 레일부재; 및
    상기 레일부재 상에 이동되게 구비되며, 상기 절단부재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수집통부재;
    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절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통부재는, 적어도 2개가 하나의 그룹으로 제공되어, 일체로 상기 레일부재 상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용 절단장치.
KR1020160177452A 2016-12-23 2016-12-23 연속주조용 절단장치 KR101879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452A KR101879097B1 (ko) 2016-12-23 2016-12-23 연속주조용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452A KR101879097B1 (ko) 2016-12-23 2016-12-23 연속주조용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913A true KR20180073913A (ko) 2018-07-03
KR101879097B1 KR101879097B1 (ko) 2018-07-16

Family

ID=6291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452A KR101879097B1 (ko) 2016-12-23 2016-12-23 연속주조용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0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294U (ko) * 1996-12-02 1998-09-05 김종진 절단강판 스크랩 처리장치
KR0152544B1 (ko) * 1992-04-28 1998-10-15 니시까와 레이찌 포장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24996A (ko) 1998-10-02 2000-05-06 윤종용 개선된 결함 리스트, 이를 작성하는 방법 이에 적합한 디스크및 결함 섹터 위치 인식방법, 그리고 결함 관리 방법
KR20120136839A (ko) * 2011-06-10 2012-12-20 주식회사 포스코 운송물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366A (ja) * 1993-10-13 1995-04-25 Hanshin Koki Kk 材料供給装置付自動トリミング方法および装置
KR20070060736A (ko) * 2005-12-09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조 시스템의 소재이송대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2544B1 (ko) * 1992-04-28 1998-10-15 니시까와 레이찌 포장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32294U (ko) * 1996-12-02 1998-09-05 김종진 절단강판 스크랩 처리장치
KR20000024996A (ko) 1998-10-02 2000-05-06 윤종용 개선된 결함 리스트, 이를 작성하는 방법 이에 적합한 디스크및 결함 섹터 위치 인식방법, 그리고 결함 관리 방법
KR20120136839A (ko) * 2011-06-10 2012-12-20 주식회사 포스코 운송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097B1 (ko) 201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8737C (zh) 机器压紧装置
CN101579727B (zh) 在连铸设备中保持引锭杆的方法和具有引锭杆的连铸设备
KR20150038458A (ko) 가변 경사식 전단기
KR101879097B1 (ko) 연속주조용 절단장치
CN104169053A (zh) 切断机
KR102406940B1 (ko) 콤바인
CN101631667B (zh) 切割装置
CN109476363A (zh) 运输系统
EP1745860A1 (en) Hopper slide support structure
US3916742A (en) Sheet cutting
KR20170136437A (ko) 콤바인
CN101875138A (zh) 具有对称护板存储能力的台锯
CN107810298B (zh) 破碎机铲斗
US9126275B2 (en) Circular saw
JPH0811015A (ja) 鉄筋切断装置
CN106736818B (zh) 一种切割结构
US4106549A (en) Arrangement for transporting away strand pieces
CN106363785B (zh) 一种泡沫混凝土砌块切割生产线
KR101398130B1 (ko) 디스크 롤 융착물 제거장치
KR101403176B1 (ko)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JP5479237B2 (ja) 鋳片切断装置および連続鋳造設備
KR101757634B1 (ko) 연속 주조 설비 내에 시동 스트랜드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동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 설비
KR102091100B1 (ko) 프레스 장치
RU2349431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тделения профильных частей
US7007737B2 (en) Slab handl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