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70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708A
KR20180073708A KR1020187017461A KR20187017461A KR20180073708A KR 20180073708 A KR20180073708 A KR 20180073708A KR 1020187017461 A KR1020187017461 A KR 1020187017461A KR 20187017461 A KR20187017461 A KR 20187017461A KR 20180073708 A KR20180073708 A KR 20180073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tainer
vertical
doo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969B1 (ko
Inventor
최성우
김명환
박지수
김현범
김진동
임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7036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6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3/00Making locksmiths' goods, e.g. handles for cases
    • B21K13/02Making locksmiths' goods, e.g. handles for cases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8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 영역을 정의하는 캐비닛과; 상기 제1저장 영역을 개폐하기 위하여, 제1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한 제1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과; 상기 제1저장 영역에 수용되는 제2저장 영역을 정의하며, 제2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도어에 위치하는 제2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주된 저장실 이외의 별도의 저장실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장고에 구비된 저장실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여 음식물 등을 냉동 보관 또는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위치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예들 들어,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냉동실과 냉장실은 냉장고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며, 각각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는 전면이 개구된 냉동실과 냉장실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도어에는 저장실 내부의 밀폐를 위해 가스켓이 구비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도어를 자주 개폐함에 따른 냉기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냉장고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공개된 한국특허공개 10-2010-0130508호에 의하면, 냉장고의 주된 저장실 이외의 별도의 저장공간(이하 편의상 “보조 저장실”이라 함)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저장공간을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접근 가능하도록 한 냉장고가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냉장고에서는, 캐비닛과 보조저장실 및 상기 냉장고 도어 와 상기 보조저장실 사이에서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켓을 설치해야 한다. 이로 인하여, 가스켓 주변에 온도 차이로 인한 이슬맺힘을 방지 하기 위한 열선을 더 배치해야 하므로 냉장고 소비 전력 측면에서 불리한 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또 다른 특허출원인 한국특허공개 10-2011-0040567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보조 저장실을 구비한 컨네이너를 냉장고의 주된 저장실인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어 위치하도록 하고, 하나의 도어 만을 사용하는 냉장고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보조 저장실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장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의 주 저장실인 캐비닛 내부로 수용되는 보조저장실의 몸체부는 통상 단열재를 충진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부피가 커져 상대적으로 식료품 저장 공간인 보조저장영역의 면적이 작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주 저장실을 하나의 도어로 개폐하는 경우에는 부피가 큰 몸체부가 상기 캐비닛 내부로 수용된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와 함께 혹은 냉장고 도어에 대해 독립적으로 개방하고자 할 때, 캐비닛 내측 면과 대응되는 상기 보조 저장실의 몸체부가 간섭되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어 개방되는 동작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피하기 위해 보조 저장실의 몸체부의 부피를 작게 구성하게 될 경우, 상기 보조저장실에 식품이 거치 되게 되면 상기 보조 저장실에 하중이 크게 작용되게 되는데, 이러한 보조 저장실의 하중에도 불구하고 보조 저장실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소비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냉장고 캐비닛의 주 저장공간 내에 보조저장영역을 구비한 컨테이너를 수용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만으로 냉장고 캐비닛의 냉기를 실링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 저장 영역을 구비하는 컨테이너의 형상 변형이나 컨테이너의 처짐을 방지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조저장영역을 구비한 컨테이너가 냉장고 캐비닛에 수용 된 상태에서도 상기 보조 저장영역에 식품이 저장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조저장영역을 구비한 컨테이너가 냉장고 캐비닛의 주 저장실에 수용되어 위치한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개방 될 때, 상기 캐비닛의 내벽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열릴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식품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을 갖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지지되는 제1힌지부재와; 상기 제1힌지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고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측에는 냉기 실링의 경계(바운더리)를 형성하는 가스켓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도어와; 상기 저장실과 분리되는 별도의 보조저장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의 저장실 내부로 수용되며, 상기 도어와 함께 동시에 또는 상기 도어와 독립적으로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실링 바운더리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도어의 가스켓은 캐비닛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캐비닛의 저장실과 상기 컨테이너의 보조저장영역이 동시에 실링 가능하게 되고;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보조저장영역을 지지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다수개의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평수직일체부를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부를 금속부재로 하여 컴팩트하게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고려되어야 할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부재를 포함하여 된 몸체부의 하중에 의한 처짐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무게중심을 회동부재에 가깝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더불어 상기 보조저장영역에 저장되는 하중에 상기 몸체부에 작용되어 상기 몸체부의 비틀림에 의한 변형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몸체부 자체 체적을 최소화 하여 저장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다수개의 금속부재를 조립하여 몸체부를 구성하고자 한다면, 조립되는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고, 각 위치별로 하중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작용되면서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 하기 위해서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평수직일체부는 중공형상의 금속 봉 형태 또는 내부가 꽉 찬 금속부재 또는 적어도 2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금속 판이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수직일체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힌지부재가 설치되는 측에 위치한 수평수직일체부의 무게가 상기 제2힌지 부재가 설치되는 측과 마주보는 위치의 수평수직일체부의 무게보다 무겁게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식품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을 갖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지지되는 제1힌지부재와; 상기 제1힌지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고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측에는 냉기 실링의 경계(바운더리)를 형성하는 가스켓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도어와; 상기 저장실과 분리되는 별도의 보조저장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의 저장실 내부로 수용되며, 상기 도어와 함께 동시에 또는 상기 도어와 독립적으로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실링 바운더리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도어의 가스켓은 캐비닛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캐비닛의 저장실과 상기 컨테이너의 보조저장영역이 동시에 실링 가능하게 되고;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보조저장영역을 지지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적어도 상기 보조저장영역을 지지하며 상기 제2힌지부재가 형성되는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을 마주보며 상기 보조저장영역을 지지하는 제2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캐비닛의 저장실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제2수직프레임은, 상기 도어를 바라보며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전방부와, 상기 캐비닛 내 저장실에 위치하여 상기 저장실 측을 향하는 후방부와, 상기 컨테이너의 보조저장영역측(개구부)에 대응되는 제1측면부와, 상기 컨테이너 내측(개구부의 반대편)에 대응되는 제2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부의 가로방향 폭은 상기 전방부의 가로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상기 제2측면부의 후방 에지에 대해 전방 에지(edge)가 상기 컨테이너 측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제2힌지부재에 형성된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할 때, 상기 제2측면의 후방에지의 회전궤적이 상기 컨테이너의 일부에 간섭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전방부 가장자리에 가스켓을 더 상하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식품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을 갖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지지되는 제1힌지부재와; 상기 제1힌지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고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측에는 냉기 실링의 경계(바운더리)를 형성하는 가스켓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도어와; 상기 저장실과 분리되는 별도의 보조저장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의 저장실 내부로 수용되며, 상기 도어와 함께 동시에 또는 상기 도어와 독립적으로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실링 바운더리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도어의 가스켓은 캐비닛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캐비닛의 저장실과 상기 컨테이너의 보조저장영역이 동시에 실링 가능하게 되고;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보조저장영역을 지지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제2힌지부재가 형성되는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를 마주보며 상기 보조저장영역을 지지하는 제2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1수평부,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부 또는 제2수평부는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이들이 연결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부에서 상기 연결부분까지의 수평거리는 상기 제1수직부에서 상기 제1,2수평부의 중심까지의 수평거리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수직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부재의 중심에서 상기 연결부분까지의 수직 거리는 상기 제1,2수평부에서 상기 연결부분까지의 수직거리가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수평부와 제2수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수직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수평부와 제2수평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수직부는 중공형상의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수평부 또는 제2수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수직부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부재는 상기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평부 또는 제2수평부가 일체로 형성된 부분에 취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수직부에 형성된 제2힌지부재는 상기 제1수직부의 중심에서 제2힌지부재의 수직거리가 상기 제1수평부 또는 제2수평부에서 상기 제2힌지부재까지의 수직거리보다 크게 형성 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수평부 또는 제2수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수직부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형성된 부분은 주물등과 같은 방법으로 금속재료로 꽉 차게 형성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 영역을 정의하는 캐비닛과; 상기 제1저장 영역을 개폐하기 위하여, 제1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한 제1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과; 상기 제1저장 영역에 수용되는 제2저장 영역을 정의하며, 제2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도어에 위치하는 제2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둘러싸는 프레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하측을 이루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의 일단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부재, 상기 제2부재의 타단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3부재 및 상기 제1부재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4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4부재에는 상기 제2힌지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부재, 상기 제2부재, 상기 제3부재는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은 전체적으로 4각형 형태로 마련되어서, 상기 제1부재, 상기 제2부재, 상기 제3부재, 상기 제4부재가 각각 사각형의 변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의 중앙 부위에 마련된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식품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와 상기 제3부재를 절곡해서 연결하는 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부는 상기 제1부재, 상기 제2부재 및 상기 제3부재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 영역을 정의하는 캐비닛과; 상기 제1저장 영역을 개폐하기 위하여, 제1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한 제1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과; 상기 제1저장 영역에 수용되는 제2저장 영역을 정의하며, 제2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도어에 위치하는 제2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둘러싸는 프레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하나의 관을 절곡시켜 형성된 다수 개의 밴딩부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밴딩부는 하나의 관이 절곡된 형태이기 때문에, 상기 밴딩부를 통해서 상기 컨테이너가 증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하중에 대해서 발생되는 처짐이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관의 형태를 절곡해서, 복수 개로 마련된 구성요소를 결합할 때에 소요되는 노력이 줄어들 수 있어서 제작이 용이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레임은 제2힌지 부재에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힌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프레임에 비해서 성형이 용이한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강도가 상기 프레임에 비해서 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힌지 부재가 상기 힌지 결합부를 통해서 상기 프레임에 직접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2힌지 부재로 안정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 영역을 정의하는 캐비닛과; 상기 제1저장 영역을 개폐하기 위하여, 제1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한 제1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과; 상기 제1저장 영역에 수용되는 제2저장 영역을 정의하며, 제2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도어에 위치하는 제2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둘러싸는 프레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힌지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결합부에는 상기 제2힌지 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에는 상기 제2힌지 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힌지 결합부와 상기 제2힌지 부재가 면접촉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이 상기 제2힌지 부재로 전달될 때에 특정점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이 상기 제2힌지 부재로 넓게 분포되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다른 부재와는 달리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에 의해서 제조되어서, 다른 부재에 비해서 강도가 크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은 상기 힌지 결합부를 통해서 상기 제2힌지 부재로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힌지 결합부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 영역을 정의하는 캐비닛과; 상기 제1저장 영역을 개폐하기 위하여, 제1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한 제1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과; 상기 제1저장 영역에 수용되는 제2저장 영역을 정의하며, 제2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도어에 위치하는 제2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제2저장영역을 지지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2힌지부재가 설치되는 제1수직부재와 상기 제1수직부재를 마주하여 상기 보조저장영역을 지지하는 제2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무게중심이 상기 제2힌지부재가 설치되는 제1수직부재 쪽에 위치하도록 제1수직부재의 무게가 제2수직부재의 무게보다 크게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프레임의 단면은 상기 제2힌지 부재에 가까운 부분이 상기 제2힌지 부재에서 먼 부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의 일부를 이루는 제2수직부재는 중공상의 봉형태 또는 절곡된 면상의 금속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일부를 이루는 제1수직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과 같이 내부가 꽉 찬 금속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직부재에 설치되는 제2힌지부재는 상기 내부가 꽉 찬 금속부재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컨테이너의 몸체부는 상기 제2힌지 부재에 가깝도록 배치된 부분의 하중이 상기 제2힌지 부재에 먼 위치에 배치된 부분의 하중보다 클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제2힌지 부재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제2힌지 부재에 가하는 모멘트가 줄어들게 되고, 모멘트에 의한 상기 컨테이너의 처짐에 상대적으로 덜 취약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하측을 이루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의 일단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부재, 상기 제2부재의 타단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3부재 및 상기 제1부재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4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부재의 단면은 상기 제4부재의 단면보다 작은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부재, 상기 제2부재, 상기 제3부재 및 상기 제4부재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는 전제하에, 상기 제2부재와 상기 제4부재의 단면의 크기를 중첩시켜서 비교했을 때에 상기 제2부재의 단면의 크기가 작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면이 작기 때문에 발생되는 하중도 작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 영역을 정의하는 캐비닛과; 상기 제1저장 영역을 개폐하기 위하여, 제1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한 제1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과; 상기 제1저장 영역에 수용되는 제2저장 영역을 정의하며, 제2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도어에 위치하는 제2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몸체부처럼 사각형 형태를 이루고, 상기 프레임의 네 개의 꼭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에서는 일체를 이루면서 양측 모서리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네 개의 꼭지점에서는 상기 프레임이 대략 90도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의 변을 이루는 부분에 비해서 하중이 집중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처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꼭지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결합면을 구비하지 않고 일체로 마련되는 부재가 배치되도록 한다.
특히 네 개의 꼭지점 중에 상기 제2힌지 부재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되는 꼭지점에서, 일체를 이루면서 양측 모서리로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힌지 부재에 대해서 멀리 배치될수록 동일한 힘의 크기에 불구하고 더 큰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 영역을 정의하는 캐비닛과; 상기 제1저장 영역을 개폐하기 위하여, 제1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한 제1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과; 상기 제1저장 영역에 수용되는 제2저장 영역을 정의하며, 제2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도어에 위치하는 제2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제2힌지 부재에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결합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중앙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에 가깝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는 상기 제2힌지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을 상기 도어에 전달하기 때문에 힘이 집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 결합부를 두 개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힌지 결합부가 가깝게 위치하는 것보다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두 개의 힌지 결합부에 힘이 집중되는데, 힌지 결합부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 해당 부위의 상기 프레임에 힘이 집중된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컨테이너는 하측을 이루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의 일단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부재, 상기 제2부재의 타단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3부재 및 상기 제1부재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4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결합부는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4부재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두 개의 힌지 결합부가 네 개의 꼭지점 중에 두 개의 꼭지점에 상하로 일렬 배치되어서, 상기 힌지 결합부에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프레임 내에서 넓게 분포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 영역 및 보조 저장 영역을 개폐하기 위해서 하나의 도어 만을 구비하기 때문에, 2개의 도어을 구비하는 경우에 비하여 냉기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이슬 맺힘 방지를 위한 히터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소비전력이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 저장 영역이 마련된 컨테이너 자체 형상의 변형을 줄일 수 있고, 컨테이너가 제2힌지 부재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컨테이너의 처짐을 줄일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의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에서 도어만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냉장고에서 도어 및 컨테이너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프레임의 제조 장치 및 제조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
도 9는 컨테이너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커버에 대한 결합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결합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
도 12는 컨테이너가 제1저장 영역을 닫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12를 위에서 내려다본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도 12 및 도 13과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어와 컨테이너가 캐비닛을 밀폐한 상태의 단면도.
도 17은 컨테이너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서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하우징이 제거된 컨테이너를 도시한 도면.
도 20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분해한 도면.
도 21은 몸체부에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22 내지 도 25은 도 19에서 컨테이너의 ‘E’부분의 결합된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도 19에서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7는 도 19에서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도 19에서 C-C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도 19에서 D-D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0과 도 31은 본 발명의 프레임의 개념도를 설명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에서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식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실 예를 들어 냉장실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냉동실이 구비된다.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도어(20)가 힌지 부재(40)(이하 편의상 “제1힌지 부재”라 함)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실을 개폐하는 2개의 도어(20)를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의 도어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어(20)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회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22)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손잡이부(22)의 형상이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어(2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물이나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30)가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다른 도어(20a)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공간 즉 냉장실(2)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냉장실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는 냉장실에 한정되지 않고 냉동실 등과 같은 식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면 적용가능하므로 이하 편의상 “제1저장 영역”이라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저장 영역(2)과는 다른 저장실(52)(이하 편의상 “제2저장 영역”이라 함)을 정의하는 컨테이너(100)가 구비된다. 컨테이너(100)는 도어(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캐비닛(10) 및 도어(2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캐비닛(10), 도어(20), 컨테이너(100)의 관계 및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컨테이너(100)가 캐비닛(10)에 수용된 상태이며, 도어(20)만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캐비닛(10)에 대해서 도어(20)는 제1힌지 부재(40)를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힌지 부재(40)는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에 위치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제1힌지 부재(40)의 회전축(42)(이하 편의상 “제1회전축”)에 대해서 회동하며,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가스켓(26)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도어(20)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도어(20)의 사각 형상을 따라 전체적으로 사각띠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상기 캐비닛(10)를 향해서 회전되어 상기 제1저장 영역(2)이 밀폐되면,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부(12)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제1저장 영역(2)에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어(20)에는, 컨테이너(100)가 제2힌지 부재(200)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힌지 부재(200)의 회전축(이하 편의상 “제2회전축”)은 상기 도어(20)에 위치하며, 상기 제1힌지 부재(40)의 제1회전축(42)와는 별도로 구비된 회전축이다. 즉 상기 제1힌지 부재(40)는 캐비닛(10)과 도어(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힌지 부재(200)는 도어(20)와 컨테이너(100)의 사이에 구비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이라는 용어을 사용한다. 컨테이너(100)의 크기(좌우방향 길이(폭) 및 상하방향 길이(높이))는 실질적으로 제1저장 영역(2)보다 적어도 크지 않도록 구비되어,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제1저장 영역(2)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테이너(100)의 깊이(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제1저장 영역(2)의 깊이의 소정 부분을 점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도어(20)가 닫히는 경우에, 컨테이너(100)는 제1저장 영역(2)에 위치하게 되므로, 캐비닛(10)의 전면부(12)와 도어(20)의 내측 테두리부 사이에서만 냉기 누설의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어(20)의 내측 테두리부에 1개의 가스켓(26) 만을 설치하여도,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100)을 위한 가스켓을 구비하지 않고, 도어(20)를 위한 가스켓(26) 만을 구비하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가스켓의 설치로 인한 냉기 손실이나 히팅을 위한 에너지 낭비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도어(2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체결 장치(6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 장치(600)는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를 함께 개방할 때는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를 결합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도어(20)만을 개방할 때는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의 결합을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체결 장치(600)에 의한,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의 결합 및 해제를 위하여, 손잡이부(22)에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식품이 보관되는 저장부(24)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0)를 개방한 후에,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24)에 접근해서, 상기 도어(20)의 내측에 설치된 저장부(24)에 식품을 보관하거나 보관된 식품을 꺼낼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20)의 저장부(24)를 구비하는 대신에, 컨테이너(100)의 깊이를 크게 하여, 상기 도어(20)의 저장부(24)가 점유하는 공간을 상기 컨테이너(100)가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도어(20)와 컨테이너(100)가 함께 개방된 것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제1저장 영역(2)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어(20)와 컨테이너(100)를 함께 개방하면, 상기 제1저장 영역(2)이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제1저장 영역(2)의 구조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저장실의 구조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상기 제1저장 영역(2) 내에는 복수 개의 선반(4), 서랍(6)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닛(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장치(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장치(500)는, 상기 도어(20) 만을 개방할 때는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캐비닛(10)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를 함께 개방할 때는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캐비닛(10)의 결합을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도어(20) 중에 좌측에 배치되는 도어에는 일측에 필러(62)가 설치된다. 상기 필러(62)는 두 개의 상측 도어(20)가 서로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밀폐할 때에 두 개의 도어(20)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두 개의 도어(20)의 틈 사이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러(62)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임이 자명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그 중앙에 개구부(101)가 마련된다. 상기 개구부(101)는 그 내측에 식품이 저장될 수 있는 바스켓(181)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100)의 외측에는 프레임 커버(10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103)는 그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140: 도 5에 도시)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쌀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103)는 다양한 형태로 쉽게 가공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프레임 커버(103)는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부분이어서, 사용자에게 미려함을 줄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후방에 컨테이너 하우징(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10)은 상기 제1저장 영역(2)를 바라보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개구부(101)와 상기 개구부(101)의 둘레에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몸체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6)는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16)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40)은 상술한 상기 프레임 커버(103)에 의해서 감싸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레임(140)는 상기 프레임 커버(103)와는 다른 재질, 즉 강도가 더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프레임(14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밴딩에 의해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16)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고, 그 중앙에 개구부(10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16) 사각형의 띠를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101)는 상기 몸체부(116)의 중앙에 배치되어서 상기 개구부(101)에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식품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일반적인 도어에 비해서 증가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도어는 특정 부분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하나의 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컨테이너의 몸체부(101)는 중앙 부위가 상기 개구부(101)가 배치되는 빈 공간을 이루기 때문에 처짐 방지 등의 강도를 위해서 보강이 필요하다. 강도 확보에 관한 기술에 대해서는 추후에 구체적으로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140)도 상기 몸체부(116)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마련되어서, 상기 몸체부(116)의 외관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프레임(140)의 꼭지점 부분은 완곡된 형상으로 소정 곡률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프레임(140)이 꼭지점에서 정확히 90도로 꺾여있는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다. 즉 상기 프레임(140)은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140)은 하측 변을 이루는 제1부재(142), 일측 변을 이루는 제2부재(144), 타측 변을 이루는 제3부재(146), 상측 변을 이루는 제4부재(147)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부재(142), 상기 제2부재(144), 상기 제3부재(146) 및 상기 제4부재(147)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각각의 변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1부재(142), 상기 제2부재(144), 상기 제3부재(146)는 일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부재(142), 상기 제2부재(144), 상기 제3부재(146)는 하나의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부품이기 때문에, 어느 한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은 각각의 부재에 연속적으로 전달되고 분포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부재가 분리된 별개의 부품이다가 결합되는 방식에 비해서 상기 컨테이너(100)에 발생되는 변형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레임(140)은 상기 제1부재(142)와 상기 제2부재(144)를 절곡해서 연결하는 제1밴딩부(143)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밴딩부(143)는 상기 제1부재(142) 및 상기 제2부재(144)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부재(142)와 상기 제2부재(144)가 연속되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밴딩부(143)는 별도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상기 제1부재(142)와 상기 제2부재(144) 사이의 굽혀진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40)는 상기 제2부재(144)와 상기 제3부재(146)를 절곡해서 연결하는 제2밴딩부(145)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밴딩부(145)는 상기 제2부재(144) 및 상기 제3부재(146)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2부재(144)와 상기 제3부재(146)가 연속되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밴딩부(143)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밴딩부(145)도 별도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상기 제2부재(144) 및 상기 제3부재(146) 사이의 굽혀진 부분을 의미한다.
전체적으로, 상기 제1부재(142), 상기 제2부재(144), 상기 제3부재(146)는 중공이 형성된 관이 두 부분에서 밴딩이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부재(142), 상기 제2부재(144), 상기 제3부재(146)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40), 즉 상기 컨테이너(100)의 하중이 전체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100)가 자체 하중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변형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부재(147)는 힌지 결합부(120)와 두 개의 상기 힌지 결합부(120)을 연결하는 연결부(147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 결합부(120)는 상기 제1부재(142), 상기 제2부재(144), 상기 제3부재(146)와는 다른 별도의 부품으로 상기 제2부재(144), 상기 제3부재(14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47a)도 상기 제1부재(142) 등과 마찬가지로 중공이 형성된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능해서, 상기 힌지 결합부(120)가 상기 연결부(147a)의 중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 결합부(120)는 상기 제2힌지 부재(200)를 상기 프레임(14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힌지 결합부(120)는 상기 제1부재(142), 상기 제2부재(144), 상기 제3부재(146) 및 상기 연결부(147a)와는 달리 내부가 채워진 형태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 결합부(120)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되어서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결합부(120)는 단조에 의해서 제조되어, 제1부재(142) 등에 비해서 강도가 강한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 결합부(120)는 상기 제2힌지 부재(200)에 연결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컨테이너(100)의 하중을 상기 제2힌지 부재(200)를 통해서 상기 도어(2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100)에 가해지는 힘이 집중되게 되어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제1부재(142), 상기 제2부재(144), 상기 제3부재(146)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상기 힌지 결합부(120)의 강도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힌지 결합부(120)를 상기 제1부재(142), 상기 제2부재(144), 상기 제3부재(146)에 비해서 강도가 강한 재질로 제작하거나, 강도를 강화하기 위한 다른 제조 방법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부재(142), 상기 제2부재(144), 상기 제3부재(146)와는 달리 상기 힌지 결합부(120)는 다른 부품으로 제작된 후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제2힌지 부재(200)를 통해서, 상기 도어(20)에 결합되는데, 상기 제2힌지 부재(20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되는 부재, 즉 상기 제1부재(142), 상기 제2부재(144) 및 상기 제3부재(146)에 중공(141)을 형성해서 상기 프레임(140)의 하중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회전력은 무게와 작용점으로부터의 수직 암으로 산출되는데, 상기 제1부재(142), 상기 제2부재(144), 상기 제3부재(146)는 힘의 작용점인 상기 제2힌지 부재(20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어서 수직 암이 길어지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에 처짐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힌지 결합부(120)는 상기 중공(141)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부재(142), 상기 제3부재(146)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공(141)의 단면은 다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힌지 부재(200)의 회전이 상기 힌지 결합부(120)를 통해서 상기 컨테이너(100)에 안정적으로 전달되려면, 상기 힌지 결합부(120)가 상기 제1부재(142), 상기 제3부재(146) 및 상기 연결부(147a)에 대해서 상대적인 운동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힌지 결합부(120)가 상기 제1부재(142), 상기 제3부재(146) 및 상기 연결부(147a)에 미끄러짐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면, 상기 제2힌지 부재(200)의 회전이 상기 힌지 결합부(120)에 그대로 전달더라도, 상기 힌지 결합부(120)와 상기 제1부재(142), 상기 제3부재(146) 및 상기 연결부(147a) 사이에 상대적 운동(겉도는 회전)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미끄러짐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중공(141)의 단면은 물론 상기 중공(141)에 삽입되는 상기 힌지 결합부(120)의 단면을 각진 형상, 즉 다각형 형상을 선택한다. 다각형 형상은 각각의 인접한 면의 사이에 사잇각이 존재하기 때문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120)는 상기 제2힌지 부재(2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공(1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힌지 부재(200)의 일부가 상기 결합공(13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2힌지 부재(200)와 상기 힌지 결합부(12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130)은 상기 힌지 결합부(120)의 중앙에 배치되어서, 상기 결합공(130)의 양측 및 상하가 밀폐된 면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2힌지 부재(200)는 상기 결합공(130) 내에서 상기 힌지 결합부(120)와 면접촉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공(130)은 폭 방향 길이보다 높이 방향 길이가 긴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공(130)의 폭을 상대적으로 줄이는 것에 의해서, 식품이 저장되지 못하는 사공간의 면적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결합공(130)은 높이 방향으로 길이가 길기 때문에, 상기 제2힌지 부재(200)가 상기 힌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을 때에,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따른 회전력에 대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120)에는 상기 결합공(130)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체결공(1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132)에 체결 수단, 예를 들어 볼트가 체결되어서 상기 제2힌지 부재(200)와 상기 힌지 결합부(120)의 결합도가 향상되어서 안정적인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132)은 상기 결합공(130)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힌지 결합부(120)와 상기 제2힌지 부재(200)가 결합될 수 있는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체결공(132)이 상기 제2힌지 부재(200)와 상기 힌지 결합부(120)를 전후 방향으로 체결하면, 상기 결합공(130)은 상기 제2힌지 부재(200)와 상기 힌지 결합부(120)를 좌우 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 부재(200)는 상기 결합공(130)에 삽입되는 삽입편(210)과, 상기 삽입편(210)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는 안착편(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편(210)은 상기 결합공(130)과 면접촉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편(220)은 상기 삽입편(210)에 대해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안착편(220)은 상기 삽입편(210)보다 높이 방향으로 긴 단면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결합공(130)의 외측면이 상기 안착편(220)의 단차진 부분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힌지 부재(200)에 수직 방향의 하중이 걸리는 경우에 상기 제2힌지 부재(200)가 상기 힌지 결합부(120)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상대적인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공(130)에 삽입되는 상기 안착편(220)은 상기 결합공(130)에 상응하는 충분한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힌지 결합부(120)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 힘에 대한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120)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결합부(122)와 상기 제1결합부(122)에 대해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2결합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22)와 상기 제2결합부(126)는 서로 수직하게 절곡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 결합부(120)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상기 제1결합부(122)와 상기 제2결합부(126)로 구분되어서, 서로 상이한 각도로 각가의 부재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 부재(200)의 회전력은 상기 제1결합부(122)의 길이 만큼 회전 반경이 커지면서 상기 컨테이너(100)에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힌지 부재(200)의 회전에 의해서 발생되는 회전력은 상기 컨테이너(100)에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제2힌지 부재(200)의 운동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40)의 네 개의 꼭지점에는 상기 제1밴딩부(143), 상기 제2밴딩부(145) 및 두 개의 힌지 결합부(120)가 각각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140)은 밴딩 공정을 거치기 이전인 초기에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다각형의 단면을 이루면서 길게 연장된 관과 같은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40)은 1차 밴딩과 2차 밴딩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9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1차 밴딩은 2차 밴딩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상기 프레임(140)을 절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차 밴딩이 완료되면, 상기 프레임(140)은 전체적으로 상기 제1부재(142), 상기 제2부재(144) 및 상기 제3부재(146)와, 상기 제1밴딩부(143), 상기 제2밴딩부(145)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140)을 밴딩하는 장치는 상기 프레임(140)에 접촉해서 힘을 가하는 복수 개의 펀치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레임(140)은 1차로는 60도 만큼 밴딩되고, 2차로는 90도 만큼 밴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1차 밴딩보다 2차 밴딩에서 상기 프레임(140)의 밴딩을 위해서 사용하는 펀치는 곡률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1차 밴딩과 2차 밴딩에 사용되는 펀치의 곡률을 달리해서, 상기 프레임(140)을 1회가 아닌 여러 차례에 의해서 단계적으로 밴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밴딩부(143, 145)가 변형되는 부분이 찢어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밴딩부(143)와 상기 제2밴딩부(145)에서 상기 개구부(101)에 접하는 부분(S2)는 상기 개구부(101)에 대해서 반대편에 배치되는 부분(S1)에 비해서 곡률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상기 제1밴딩부(143)와 상기 제2밴딩부(145)는 하나의 관을 굽혀서 발생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제1밴딩부(143)와 상기 제2밴딩부(145)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리세스(143a, 145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세스(143a, 145a)는 상대적으로 곡률이 큰 부분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중공이 형성된 관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리세스(143a, 145a)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40)의 바깥쪽 부분이 중공을 향해서 함몰되고, 상기 프레임(140)가 찢어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9는 컨테이너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바라보는 면, 즉 상기 컨테이너(100)의 후방을 통해서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후방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50)는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타측에 상기 커버(150)와 상기 컨테이너(100)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 장치(17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150)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150)는 복수 개의 관통공(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된 제1저장 영역(2)을 마감할 때에도 상기 관통공(152)을 통해서 상기 캐비닛(10)에 제공되는 냉기가 상기 제2저장 영역(52)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저장 영역(2)에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커버(150)가 상기 컨테이너(100)의 후방을 가리고 있더라도 상기 관통공(152)을 통해서 냉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저장 영역(52)은 물론 상기 도어(20)에 설치된 저장공간에도 충분한 냉기가 공급되어, 저장된 식품에 신선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커버(15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상기 커버(150)를 통해서 상기 컨테이너(100)에 저장된 식품을 볼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상기 커버(150)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커버(150)에 의해서 눌려지는 탄성 돌기(14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돌기(148)는 고무 재질과 같이 압축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 돌기(148)는 상기 커버(150)가 상기 컨테이너(100)의 후방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결합 장치(170)가 상기 커버(150)와의 결합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커버(150)가 회전되어, 상기 커버(150)가 상기 제2저장영역(52)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커버의 결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결합 장치(170)는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가능한 조작편(172)과 상기 조작편(172)에 선택적으로 걸려 고정될 수 있는 후크(180)가 마련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조작편(172)은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180)는 상기 커버(150)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결합 장치(170)는 상기 조작편(172)을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10)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176)과 제2고정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176)와 상기 제2고정부(174)는 상기 조작편(172)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1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1은 결합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도 9에서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a)에서는 상기 조작편(172)과 상기 후크(180)가 결합되어 상기 커버(150)가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1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없는 상태이고, 도 11 (b)에서는 상기 조작편(172)과 상기 후크(180)의 결합이 해제되어서 상기 커버(150)가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10)에 대해서 회전이 가능한 상태이다.
즉 상기 조작편(172)이 도 11 (b)에서와 같이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편(172)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상기 후크(180)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 (b)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커버(150)에 손을 파지해서 상기 커버(1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반면에 도 11 (a)에서는 상기 조작편(172)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상기 후크(180)가 빠져나갈 수 있지 않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결합 장치(170)가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10)과 상기 커버(15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2는 컨테이너가 제1저장 영역을 닫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를 위에서 내려다본 도면이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140)은 상기 프레임 커버(103)에 의해서 외관이 감싸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 커버(103)는 상기 프레임(140)의 일측을 감싸는 제1프레임 커버와 상기 프레임(140)의 타측을 감싸는 제2프레임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커버와 상기 제2프레임 커버는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고, 개별적으로 제조된 후에 상기 프레임(140)를 둘러싸도록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103)에는 그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10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05)는 필러(62)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제1저장 영역(2)의 사이의 틈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100)에 설치된 상기 프레임(140)의 단면을 작게 해서 상기 컨테이너(100)에 보다 많은 식품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은 제한되지만, 상기 프레임(140)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서 더 많은 식품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00)에서 상기 필러(62)에 인접한 부분은 상기 컨테이너(100)의 회전을 위해서 일정 수준의 간격이 존재해야 한다. 만약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필러(62)에 면접촉을 할 정도로 접해 있으면, 상기 컨테이너(100)는 회전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임(140)의 단면의 크기를 줄여서,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필러(62)로부터 가져야 하는 간격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140)의 단면이 커져서, 상기 컨테이너(100)의 일측벽이 길어지게 되면, 상기 컨테이너(100)가 회전되기 위해서 상기 필러(62)로부터 더 큰 거리만큼 떨어져야 한다. 반면에 상기 프레임(140)의 단면이 줄어들어, 상기 컨테이너(100)의 일측벽이 짧아지게 되면, 상기 컨테이너(100)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필러(62)에 좀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프레임(140)의 크기를 슬림화해서, 상기 컨테이너(100)의 전체 공간 중에 식품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터이너(100)의 일측벽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00)가 회전될 때에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필러(62)의 사이에 발생되는 간섭을 줄여서, 상기 컨테이너(100)를 위한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돌출부(105)가 전체적으로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도록 해서,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필러(62)의 간격이 좁아지더라도 상기 컨테이너(1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필러(62)는 상기 제1저장 영역(2)의 중앙에 설치되어서, 상기 도어(20)에 접해서 두 개의 도어의 사이를 밀폐한다. 즉 상기 필러(62)는 두 개의 도어의 일측에 각각 접촉해서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우측의 도어(20)의 일측은 상기 캐비닛(10)에 접해서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밀폐하고, 우측의 도어(20)의 타측은 상기 필러(62)에 접해서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밀폐할 수 있다. 상기 필러(62)는 하나의 저장실을 두 개의 도어가 회전되어서 개폐할 때에 널리 사용되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상기 돌출부(105)는 소정 각도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된 단면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돌출부(105)에 의해서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밀폐하는 경우에 상기 제1저장 영역(2)로부터 상기 컨테이너(100)를 관통해서 상기 제1저장 영역(2) 외부로 배출되는 냉기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돌출부(105)가 경사지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컨테이너(100)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두꺼워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05)의 증가된 무게로 인해서 상기 컨테이너(100)의 하중이 증가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105)는 가스 사출 성형(Gas Assisted Injection Molding)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돌출부(105)의 내측에는 가스 사출 성형시에 가스가 이동하기 위한 가스 이동 통로(106)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가스 이동 통로(106)은 상기 돌출부(105)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이동 통로(106)은 상기 돌출부(105)의 외측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돌출부(105) 내에서 사출 성형 시에 가스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105)는 상기 컨테이너(10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돌출부(105)는 상기 프레임 커버(103)가 제조될 때에 함께 제조되어서, 상기 돌출부(105)를 상기 컨테이너(100)에 체결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조물이 필요없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만약 본 발명의 냉장고가 상기 제1저장 영역(2)이 하나의 도어에 의해서 개폐되는 실시예라면, 상기 필러(62) 대신에 캐비닛(10)의 일측이 배치되면 된다. 하나의 저장실이 하나의 도어에 의해서 개폐되는 실시예에서는 필러라는 구성요소는 필요하지 않고, 하나의 도어가 양측에서 상기 캐비닛(10)에 접촉해서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개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저장실이 두 개의 도어에 의해서 개폐되는 실시예는 물론, 하나의 도어에 의해서 개폐되는 실시예에서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프레임(140)은 도 13에서와 같이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에, 상기 도어 측을 향하는 전방부(140a)와, 상기 저장실 측을 향하는 후방부(140b)와, 상기 컨테이너의 보조저장영역 측에 대응되는 제1측면부(140c)와, 상기 보조저장영역을 향하는 제1측면부와 반대 측을 향하는 제2측면부(140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103)는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부에 대응하는 전방커버부(1130)와,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부에 대응하는 후방커버부(1110)와, 상기 프레임부의 제1측면부에 대응되는 제1측면커버부(1130a)와, 상기 프레임부의 제2측면부에 대응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외주를 형성하는 제2측면커버부(1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커버부(1130)의 가로 방향 폭은 상기 후방커버부(1110)의 가로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닛(2)에 대해서 회전될 때에 상기 전방커버부(1130)는 상기 후방커버부(1110)에 비해서 상기 캐비닛(2)에 대한 간섭이 적게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전방커버부(1130)의 폭이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후방 커버부(1110)에는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부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도어 다이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다이크부는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10)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방커버부는 상기 제2수직부의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14에 구체적으로 개시됨).
상기 제2측면커버부(1130b)는 상기 전방커버부(1130)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후방커버부(1110)의 일 끝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측면커버부(1130b)는 상기 캐비닛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수직부를 둘러싸는 프레임 커버의 단면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측면커버부(1130b)에는 상기 전방커버부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제2수직부의 상하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공은 상기 가스 이동 통로(106)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103)는 상기 전방커버부, 상기 제1,2측면커버부, 그리고 상기 후방커버부 중에서 적어도 3개의 면이 일체로 플라스틱 사출로 형성되고, 나머지 한 개의 면과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103)는 제1측면커버부(1130a), 전방커버부(1130), 제2측면커버부(1130b)가 일체로 플라스틱 사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2 및 도 13과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돌출부(105)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높이 방향은 물론 길이 방향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105)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외주면 모서리 중 두 개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도 14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상기 컨테이너(100)의 네 개의 모서리 모두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돌출부(105)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커버(103)에 설치되는 가스켓(10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켓(108)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가스켓(108)이 상기 필러(62)에 접촉하더라도 변형되면서 상기 캐비닛(10)과 상기 컨테이너(100)에 마련된 틈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스켓(108)은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가스켓(108)이 일시적인 외력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되더라도,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가스켓(108)은 상기 프레임 커버(103)에 끼움 결합 등과 같이 체결되는 체결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은 도어와 컨테이너가 캐비닛을 밀폐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컨테이너(100)의 하부에는 회전가능한 롤러(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190)는 제1저장 영역(2)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2)에 접촉해서 구름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롤러(190)는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제1저장 영역(2)에 진입할 때에 상기 컨테이너(1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에 식품이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롤러(190)는 상기 인너 케이스(12)에 접촉하지 않고, 소정 거리(l) 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상기 컨테이너(100)에 식품이 수용되면 상기 컨테이너(100)는 하중으로 인해서 아래로 어느 정도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상기 롤러(190)도 상기 컨테이너(100)와 마찬가지로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190)는 상기 인너 케이스(12)에 접촉하면서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측으로 지지해서, 상기 컨테이너(100)가 추가적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롤러(190)는 상기 제2힌지 부재(200)가 설치되는 부분의 반대편에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도어(20)에 상기 제2힌지 부재(200)를 통해서 결합되고, 상기 제2힌지 부재(200)가 결합되지 않는 반대편은 자유단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제2힌지 부재(200)가 배치된 부분에서는 하중에 의한 처짐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는 반면에, 상기 제2힌지 부재(200)가 배치되지 않은 반대편에서는 하중에 의한 처짐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190)는 동일한 하중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처짐이 큰 위치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은 컨테이너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식품이 저장되는 제1바스켓(186) 및 상기 제1바스켓(186)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바스켓(184)은 상기 컨테이너(100)의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바스켓(184)은 상기 제1바스켓(186)의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1바스켓(186)에 저장되는 식품의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바스켓(184)이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제1바스켓(186)에 저장가능한 식품의 높이가 다양해질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상기 제2바스켓(184)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3바스켓(182)을 구비하고, 상기 제2바스켓(184)은 상기 제3바스켓(18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3바스켓(182)의 하측에는 제1레일(192)이 설치되고, 상기 제2바스켓(184)의 상측에는 상기 제1레일에 맞물리는 제2레일(194)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레일(192)은 전체적으로 ‘ㄴ’자와 유사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레일(194)은 전체적으로 ‘ㄱ’자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레일(194)은 상기 제1레일(192)에 맞물려서, 상기 제2레일(194)은 상기 제1레일(192)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레일(192) 및 상기 제2레일(194)은 상기 컨테이너(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레일(194)의 길이는 상기 제1레일(192)의 길이보다 짧아서 상기 제2레일(194)이 상기 제1레일(192)의 길이 내에서 이동 궤적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하우징이 제거된 컨테이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분해한 도면이다. 이하 도 19 및 도 20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컨테이너(100)는 몸체부(116)와 상기 몸체부(116)의 중앙에 마련된 개구부(101)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6)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 상기 개구부(10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프레임 커버(1110),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 커버(1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프레임 커버(1130)는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개구부를 마감해서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내부 중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컨테이너(100)의 내측, 즉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와 상기 제2프레임 커버(1130)에 의해서 마감되는 공간에는 단열재가 구비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저장실(2)를 밀폐할 필요가 없고, 상기 제1저장 영역(2) 내에 수용되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도어(20)만 있더라도 상기 제1저장 영역(2)의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도어(20)가 닫힐 때에 상기 제1저장 영역(2)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에 의한 단열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상기 컨테이너(100)의 내측은 단열재가 충진되지 않는 빈 공간을 이룰 수 있다. 전체적으로 상기 컨테이너(100)가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그 중앙 공간은 비어 있는 형태인, 사각형의 띠 형상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도어(20)에 비해서 단열재가 충진되지 않고, 상기 컨테이너(100)의 중앙 부위가 비어 있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도어(20)에 비해서 강도가 약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컨테이너(100)가 일측으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은 제1프레임(1400)과 제2프레임(1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40)은 각각 복수 개가 마련되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1140)은 각각 복수 개가 마련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40), 즉 상기 제1프레임(1400)과 상기 제2프레임(1140)은 상기 제2힌지 부재(200)와 직접 면접촉에 의해서 결합되어, 상기 제2힌지 부재(20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결합되는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40)는 상기 프레임 커버에 비해서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상기 제2힌지 부재(200)가 상기 프레임 커버보다는 상기 프레임(140)에 직접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와 상기 제2프레임 커버(1130)는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사출에 의해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상기 프레임(140)은 스틸, 알루미늄 등의 다른 재질로 구성해서,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과 상기 제2프레임 커버(1130) 보다 강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힌지 부재(200)를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구성요소에 결합시켜, 상기 컨테이너(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40)은 상기 컨테이너(100) 내측의 강도를 보강해서, 상기 컨테이너(100)에 거치되는 식품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컨테이너(1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100)가 거치되는 식품은 물론, 자중에 의해서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4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일 면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140)는 전체적으로 절곡되지 않고 하나의 방향으로만 연장된 긴 봉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프레임(140)는 상기 프레임(140)끼리 서로 결합되어서,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 즉 상기 컨테이너(100)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프레임(140)은 상기 제2힌지 부재(200)가 결합되는 부분에 가까운 부분이 상기 제2힌지 부재(200)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먼 부분보다 단면의 크기가 작은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프레임(140)은 상기 제2힌지 부재(200)가 결합되는 부분(즉 도 20에서 우측 부분)의 하중이 상기 상기 제2힌지 부재(200)가 결합되는 부분에 먼 부분(즉 도 20에서 좌측 부분)의 하중에 비해서 작은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컨테이너(100)의 하중은 상기 제2힌지 부재(200)에 집중되어서 상기 도어(20)로 전달되는데, 상기 도어(20)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2힌지 부재(200)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동일한 하중에 대해서 큰 모멘트가 발생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40)는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한 스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의 다른 부재에 비해서 무게가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40)의 자중에 의한 모멘트를 작게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프레임(140)의 형상에 변화를 주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2힌지 부재(200)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위는 하중이 줄어들도록 상기 프레임(14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힌지 부재(200)에서 가까운 부위는 상대적으로 하중이 커지도록 상기 프레임(140)의 크기를 키우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140)의 좌우측의 크기가 상이하더라도, 상기 제2힌지 부재(200)로부터의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상기 제2힌지 부재(200)에 가해지는 모멘트는 비슷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1400)는 내측에 중공(14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400)는 상기 중공(1410)에 의해서 전체적인 하중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1400)의 처짐을 줄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다각형 바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더라도 변형에 대한 강도는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강도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상기 제1프레임(1400)의 내부를 빈 공간으로 형성해서, 전체적으로 상기 프레임(140)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했다.
특히 제1프레임(1400)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사각 형상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프레임(1400)(140)의 단면은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다면체 중에서 사각 형상의 단면을 한정했지만, 사각 형상의 단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프레임(114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모서리에서 양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1140)는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모서리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대략 수직한 각도를 가지면서 양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프레(1140)는 상기 제1프레임(1400)와는 달리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꼭지점에 해당되는 부분에서 결합되는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하나의 부품을 형성하게 된다.
반면에 복수 개의 상기 제2프레임(1140)는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하나의 선분에 대응되는 부분의 중간에서 서로 결합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제1프레임(1400)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과 복수 개의 상기 제2프레임(1140)가 결합되는 위치를 달리한다.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1400)와 상기 제2프레임(1140)의 형상 및 결합되는 위치를 달리해서 상기 상기 제1프레임(1400) 및 상기 제2프레임(1140)의 강도를 서로 보완하고 강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프레임(1400)는 사각형 꼭지점에서 복수 개의 상기 제1프레임(1400)끼리 결합되는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부분에서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사각형의 꼭지점에 해당되는 부분은 일체화된 하나의 부품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프레임(1140)는 각각의 부품이 전체적으로 ‘L’자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프레임(1140)는 상기 제1프레임(1400)의 일면을 감싸는 제1연장면(1142)과 상기 제1프레임(1400)의 타면을 감싸는 제2연장면(11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장면(1142)과 상기 제2연장면(1144)은 소정 각도를 가지고 절곡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연장면(1142)와 상기 제2연장면(1144)는 전체적으로 ‘L’자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2프레임(1140)는 상기 제1프레임(1400)의 복수 개의 면에서 접촉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1프레임(1400)와 상기 제2프레임(1140)의 사이에서는 충분한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다. 하나의 상기 제2프레임(1140)는 복수 개의 상기 제1프레임(1400)에 접촉해서 결합된다. 또한 하나의 상기 제2프레임(1140)는 하나의 상기 제1프레임(1400)의 복수 개의 면에 접촉해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연장면(1142)은 상기 제2프레임 커버(1130)에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면(1144)은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내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상측에는 상기 고정 장치(5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제1저장 영역(2)의 내측 상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서 상기 컨테이너(100)이 상기 제1저장 영역(2)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힌지 부재(200)는 상기 도어(20)에 결합되는 회전축(2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06)은 상기 도어(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상기 회전축(206)을 중심으로 상기 컨테이너(10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 부재(200)는 상기 제1프레임(1400)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제1접촉면(202)과 상기 제2프레임(1140)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제2접촉면(2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에는 상기 제1프레임(1400)를 노출시키는 결합공(1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 부재(200)는 상기 결합공(1112)을 통해 상기 제1프레임(14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힌지(200)는 제1접촉면(202)에 의해서 상기 제1프레임(1400)와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 커버(1130)에는 함몰 형성된 수용홈(1134)이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 부재(200)는 상기 수용홈(1134)을 통해 상기 제2프레임(11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힌지 부재(200)는 제2접촉면(204)에 의해서 상기 제2프레임(1140)와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홈(1134)과 상기 제2힌지 부재(200)의 사이에는 별도의 브라켓이 설치되어서, 상기 수용홈(1134)과 상기 제2힌지 부재(200)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하는 경우 그 사이를 채워서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1접촉면(202)과 상기 제2접촉면(204)은 소정 각도를 가지고 절곡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힌지(200)는 상기 제1접촉면(202)과 상기 제2접촉면(204)에 의해서 상기 제1프레임(1400)와 상기 제2프레임(1140)에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2힌지 부재(200)의 결합력은 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100)의 하중이 상기 제2힌지 부재(200)를 통해서 상기 도어(20)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서, 복수 개의 부재가 연결된 구조로 인해서 상기 컨테이너(100)의 처짐이 증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힌지 부재(200)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전체가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2힌지 부재(200)는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도어(20)에 설치되는 위치만을 달리할 뿐, 전체적인 형상은 동일하다.
도 20에서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컨테이너 하우징(11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10)은 상기 컨테이너(100)를 기준으로 상기 캐비닛(10)의 내측 공간, 즉 상기 제1저장 영역(2)의 내부를 향하는 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10)에는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부(52)가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저장부(52)은 서로 높이를 달리해서 설치될 수 있고, 각각의 저장부(52)은 사용자가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2)는 바스켓과 같은 형태로 구현되는 공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52)는 상기 몸체부(116)에 형성된 개구부(101)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저장부(52)에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52)는 상기 개구부(101)에 배치되어서 상기 몸체부(116)에 의해서 양단이 고정될 수 있다.
도 21은 몸체부에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프레임(1400)과 상기 제2프레임(1140)은 서로 결합되어서 전체적으로 몸체부(116)의 골격을 구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제1프레임(1400)은 서로 제1결합면(1400a)을 사이에 두고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면(1400a)은 상기 컨테이너(100)의 사각 꼭지점에 인접한 부분이다.
상기 제1프레임(1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에 중공(1410)을 형성하도록 한 부재이기 때문에 제작의 편의상 복수 개로 분리한 상태로 준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제1프레임(1400)를 상기 제1프레임(1400)끼리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결합면(1400a)을 중심으로 두 개의 상기 제1프레임(1400)를 서로 맞닿게 한 후에 용접 또는 볼트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해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제1프레임(1400)가 결합되는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상기 제1결합면(1400a)의 강도가 약해지거나, 상기 제1결합면(1400a)을 사이에 두고 처짐이 증폭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상기 제1프레임(1400)가 서로 결합되는 형태에서는 상기 제1결합면(1400a)에 인접한 부분은 하나의 부재를 이루는 상기 제2프레임(1140)를 배치해서 상기 제1결합면(1400a)에 의해서 발생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제2프레임(1140)는 서로 제2결합면(1140a)을 중심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결합면(1140a)은 상기 컨테이너(100)의 꼭지점이 아닌 다른 부분이다.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상기 제2프레임(1140)가 결합되는 상기 제2결합면(1140a)으로 인해서 발생될 수 있는 단점들은 상기 제1프레임(1400)에 의해서 극복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1140)도 제작의 편의상 복수 개가 분리된 상태로 준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2프레임(1140)를 상기 제2프레임(1140)끼리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2결합면(1140a)을 중심으로 두 개의 상기 제2프레임(1140)를 서로 맞닿게 한 후에 용접 또는 볼트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해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면(1400a)과 상기 제2결합면(1140a)의 위치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외부의 힘이 상기 제1프레임(1400)와 상기 제2프레임(1140)에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1결합면(1400a) 및 상기 제2결합면(1140a)에 해당하는 위치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00)의 강도가 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100)에 대해서 일측으로 처짐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400)와 상기 제2프레임(1140)는 서로 복수 개의 면이 접촉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1프레임(1400)와 상기 제2프레임(1140)는 강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상기 제1프레임(1400)는 복수 개의 상기 제2프레임(1140)에 결합되고, 하나의 상기 제2프레임(1140)는 복수 개의 상기 제1프레임(14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상기 제1프레임(1400)에 걸리는 힘은 복수 개의 상기 제2프레임(1140)로 분산될 수 있고, 하나의 상기 제2프레임(1140)에 걸리는 힘은 복수 개의 상기 제1프레임(1400)로 분산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5은 도 19에서 컨테이너의 ‘E’부분의 결합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2은 제1프레임 커버(1110)만이 도시되어 있고, 도 23에는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에 상기 제1프레임(1400)가 결합된 상태이고, 도 24에는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에 상기 제1프레임(1400) 및 상기 제2프레임(1140)가 결합된 상태이며, 도 25에서는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 상기 제1프레임(1400), 상기 제2프레임(1140) 및 상기 제2프레임 커버(113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을 참조하면,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내부 공간에는 복수 개의 돌출편(1114)이 돌출되도록 마련되다. 상기 돌출편(1114)은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개구된 부분을 향해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돌출편(1114)은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일 측에는 상기 제1프레임(1400)가 상기 제2힌지 부재(200)와 결합되도록 결합공(111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112)은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내부 공간이 개구부와는 별도의 구멍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2힌지 부재(200)은 상기 제1프레임(1400)에 직접 체결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편(1114)이 상기 제1프레임(1400)의 관통구(1400b)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프레임(1400)와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일측면은 상기 제1프레임(1400)의 일면과 맞닿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제1프레임(1400)와 상기 제2프레임(1140)가 서로 맞닿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1400)와 상기 제2프레임(1140)는 용접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제2프레임 커버(1130)는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일면을 마감하는 형태로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에 형성된 돌출편에 상기 제2프레임 커버(113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6은 도 19에서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7는 도 19에서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8은 도 19에서 C-C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9는 도 19에서 D-D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프레임(1400)의 상기 중공(1410)으로 상기 돌출편(1114)이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중공(1410)과 상기 돌출편(1114)이 서로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1400)와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결합을 위한 구성요소인 상기 돌출편(1114)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별도로 마련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1400) 및 상기 돌출편(1114)으로 인해서 필요로 하는 공간이 크게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의 전체 체적이 불필요하게 커질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프레임 커버(1130, 1110)에 의해서 구획되는 내부에 상기 제1프레임(1400)이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1400)의 외부에는 단열재가 충진되지 않는 빈 공간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제1저장 영역(2)의 내부에 수용될 것을 전제로 마련된 구조물이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에 의한 단열 효과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커버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의 밀폐도를 향상시킨다거나 단열효과를 위해서 상기 프레임 커버의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의 설계 및 제조가 간단해지고, 상기 프레임의 하중 또한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1400)의 복수 개의 면에, 상기 제2프레임(1140)의 제1연장면(1142)과 상기 제2연장면(1144)이 감싸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1프레임(1400)와 상기 제2프레임(1140)의 결합을 위한 접촉 면적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1400)와 상기 제2프레임(1140)의 각각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가해지는 힘은 복수 개의 구성요소에 분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부위에 큰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컨테이너(10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6을 기준으로 우측(상기 컨테이너(100)에서 상기 제2프레임 커버(1130)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는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10)가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1400)와 상기 제2프레임(1140)가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10)에 치우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00)에 걸리는 하중은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10)에 마련된 저장부(52)에 거치되는 식품의 하중이 가장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10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상기 제1프레임(1400)와 상기 제2프레임(1140)가 상기 컨테이너(100)을 기준으로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10) 즉, 상기 제1프레임 커버(1110)의 일측을 중심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상기 저장부(52)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30과 도 31은 본 발명의 프레임의 개념도를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40)은 하측을 이루는 제1부재(142), 상기 제1부재(142)의 일단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부재(144), 상기 제2부재의 타단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3부재(146) 및 상기 제1부재(142)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4부재(1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부재(147)에는 두 개의 상기 제2힌지 부재가 각각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12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부재(146)는 상기 제4부재(147)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되는 제3부재(146a)와 상기 제4부재(147)에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되는 제3부재(146a)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142)는 상기 제4부재(147)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되는 제1부재(142a)와 상기 제4부재(147)에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되는 제1부재(142)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부재(146)과 상기 제1부재(142)에 상기 프레임(140)이 연결되는 결합부위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위에서는 상기 제1부재(142)와 상기 제3부재(146)가 각각 결합되기 때문에 일체로 구성되는 부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강도가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위의 위치는 상기 제2부재(144)로부터의 거리(D1)과 상기 제4부재(147)로부터의 거리(D2)를 기준으로 D2가 D1에 비해서 작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부재(142)와 상기 제3부재(146)의 각각이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위의 위치는 상기 제1부재(142)와 상기 제3부재(146)의 중앙 부위에서 상기 제4부재(147)에 가깝게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4부재(147)에 상기 힌지 결합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40)에 걸리는 하중이 상기 힌지 결합부(120)를 통해서 상기 도어(20)에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힌지 결합부(120)에 대해서 모멘트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결합부(120)에 대해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동일한 하중임에도 큰 모멘트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프레임(140)의 처짐이 커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체적으로 상기 프레임(140)이 하나의 어셈블리로 결합되는 부위를 상기 힌지 결합부(120)로부터 멀리 배치되지 않도록 구성해서, 동일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프레임(140)에 처짐이 적게 발생하도록 기술적 고찰을 해왔다.
도 31에서도 도 30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140)은 전체적으로 상기 제1부재(142), 상기 제2부재(144), 상기 제3부재(146) 및 상기 제4부재(147)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부재(147)는 전체적으로 세 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구성요소가 상기 제4부재(147)의 하나의 변의 영역 내에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4부재(147) 중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제4부재(147a)는 상기 제3부재(146)에 수직하게 마련되되, 상기 제3부재(146)의 일단이 굽힘 변형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부재(147) 중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제4부재(147c)는 상기 제1부재(142)에 수직하게 마련되되, 상기 제1부재(142)의 일단이 굽힘 변형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부재(147a, 147c)의 각각에 힌지 결합부(120)이 설치되고, 두 개의 상기 힌지 결합부(120)의 사이에 제4부재(147b)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두 개의 상기 힌지 결합부(120)과 상기 제4부재(147b)는 일체로 마련되는 하나의 부재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힌지 결합부(120)는 상기 제2힌지 부재(200)가 결합되는 부위이다. 상기 힌지 결합부(120)는 각각 두 개가 마련되어서, 두 개의 상기 힌지 결합부(120)를 통해서 상기 컨테이너(100)의 하중이 상기 도어(20)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100)의 전체 하중이 상기 힌지 결합부(120)에 집중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결합부(120)는 하나의 위치에 집중되기 보다는 상대적으로 넓게 퍼져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힌지 결합부(120)의 수직 거리에 대한 중심부위로부터 상기 제3부재(146)까지의 높이(H1)은 상기 힌지 결합부(120)의 수직 거리에 대한 중심부위로부터 상기 프레임(140)의 중앙부위까지의 높이(H2)에 비해서 짧은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 결합부(120)은 상기 프레임(140)의 수직 거리에 비해서, 상측과 하측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120)는 상기 프레임(140)의 수직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컨테이너(100)에 가해지는 하중이 각각의 힌지 결합부(120)에 분배되고, 두 개의 상기 힌지 결합부(120)의 위치가 멀어지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140)에 가해지는 하중이 하나의 위치로 집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하중이 상기 컨테이너(100)에 가해지더라도 상기 컨테이너(100)의 처짐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식품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을 갖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에 지지되는 제1힌지부재(40)와; 상기 제1힌지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저장실의 냉기가 차단되는 실링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가스켓(26)을 구비하여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20)와; 상기 저장실과 분리되는 별도의 보조저장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캐비닛의 저장실 내부로 수용되며, 상기 도어와 함께 또는 상기 도어와 독립적으로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컨테이너(100)와;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도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힌지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실링 바운더리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도어의 가스켓은 캐비닛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캐비닛의 저장실과 상기 컨테이너의 보조저장영역이 동시에 실링 가능하게 되고;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보조저장영역을 지지하도록 금속으로 된 프레임(140)과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프레임 커버(103)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40)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부와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평수직 일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부는 상기 프레임의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부재, 즉 상기 제1부재(142)와 상기 제3부재(146)을 지칭할 수 있고, 상기 수직부는 상기 프레임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부재, 즉 상기 제2부재(144)와 상기 제4부재(147)을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는 상기 제1부재, 상기 제2부재, 상기 제3부재, 상기 제4부재가 구분되는 부분, 즉 사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는 중공이 형성된 금속 프레임을 절곡하여 형성된 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는 금속 다이캐스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교되도록 형성된 평면을 갖는 금속 프레임을 절곡하여 형성된 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힌지부재가 고정되는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를 마주보며 상기 보조저장영역을 지지하는 제2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1수평부,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0과 같이, 상기 제1수평부 또는 제2수평부는 각각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은 두 개의 상기 제1수평부 또는 두 개의 상기 제2수평부가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부에서 상기 결합부까지의 수평거리(D2)는 상기 제1수직부에서 상기 제1 또는 제 2수평부의 중심(center)까지의 수평거리(D3)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수직부는 다수 개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부재들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수직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도 31에서와 같이, 상기 제1수직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수직방향에 대한 상기 제1수직부의 중심(center)에서 상기 연결부까지의 수직 거리(H2)보다 상기 제1수평부 또는 제2수평부에서 상기 연결부까지의 수직거리(H1)가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수직부와 상기 제1수평부 또는 제2수평부가 만나는 모서리에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는 중공 형상의 금속을 절곡하여 된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직부는 중공 형상을 가지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교되도록 형성된 평면을 가지도록 금속부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부와 제2수평부, 그리고 상기 제2수직부는 중공의 금속 봉형태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직부의 봉부재와 상기 제1수평부의 봉 형태의 부재 또는 상기 제2수평부의 봉 형태의 부재가 만나는 부분에 상기 벤딩부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수직부는 하나의 봉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평부 또는 제2수평부가 만나는 모서리에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는 금속 다이캐스팅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서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에 상기 제2힌지부재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교되도록 형성된 평면을 가지도록 금속부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부와 제2수평부, 그리고 상기 제1수직부는 중공의 금속 봉 형태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부의 봉 형태의 부재와 상기 제1수평부 또는 상기 제2수평부의 봉 형태의 부재가 만나는 부분에 상기 벤딩부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부는 하나의 봉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부의 봉 형태의 부재와 제1수평부의 봉 형태의 부재가 만나는 부분에 결합되는 벤딩부와, 상기 제1수직부의 봉 형태의 부재와 상기 제2수평부의 봉 형태의 부재가 만나는 부분에 결합되는 벤딩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부는 중공의 봉 형태의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다이캐스팅으로 형성된 수평수직 일체부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을 갖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지지되는 제1힌지부재와; 상기 제1힌지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저장실의 냉기가 차단되는 실링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가스켓을 구비하여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와; 상기 저장실과 분리되는 별도의 보조저장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캐비닛의 저장실 내부로 수용되며, 상기 도어와 함께 또는 상기 도어와 독립적으로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도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제2저장영역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프레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힌지부재가 설치되는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를 마주하여 상기 보조저장영역을 지지하는 제2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무게중심이 상기 제2힌지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제1수직부 쪽에 위치하도록 제1수직부의 무게가 제2수직부의 무게보다 크게 형성하여 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부의 단면적은 상기 제2수직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수직부는 적어도 일부분에 금속 다이캐스팅으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직부는 중공의 금속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을 갖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지지되는 제1힌지부재와; 상기 제1힌지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저장실의 냉기가 차단되는 실링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가스켓을 구비하여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와; 상기 저장실과 분리되는 별도의 보조저장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캐비닛의 저장실 내부로 수용되며, 상기 도어와 함께 또는 상기 도어와 독립적으로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도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실링 바운더리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도어의 가스켓은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캐비닛의 저장실과 상기 컨테이너의 보조저장영역이 동시에 실링 가능하게 되고;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보조저장영역을 지지하는 금속재질로 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감싸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프레임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힌지부재가 형성되는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를 마주보며 상기 보조저장영역을 지지하는 제2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부의 수직 방향의 끝단에서 상기 제2힌지부재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수직부의 수직방향에 대한 중심에서 상기 제2힌지부재까지의 거리 보다 짧게 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31 참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부, 제2수직부와 상기 수평부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평수직 일체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수직부에 연결되는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는 금속 다이캐스팅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금속 다이캐스팅으로 된 부분에 상기 제2힌지부재가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수직부에 연결되는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는 중공 형상의 금속 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1수평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제2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직부는 중공의 금속 봉의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며, 양 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2수평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수직부는, 그 중심부에는 중공을 가지는 금속 봉형태의 부재가 구비되고, 양단에는 상기 제1,2수평부의 일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수직 일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봉 형태의 부재와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는 금속 다이캐스팅으로 형성하여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고, 내부에는 식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실;
    상기 캐비닛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개구부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컨테이너과 상기 도어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해제하는 체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프레임 커버와 상기 프레임 커버의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사각형의 상측과 하측 변을 이루는 두 개의 수평부와,
    상기 두 개의 수평부에 수직하게 마련되고, 좌측 및 우측변을 이루는 두 개의 수직부와,
    사각형의 꼭지점에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를 결합하는 수평수직 일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는, 상기 수평부에 결합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수직부에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1결합부에 대해서 수직하게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함몰 형성된 리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1결합부에 대해서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에서 상대적으로 곡률이 큰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커버 내부에 구비되는 보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수직부의 두 면과 상기 수평부의 두 면에 면접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도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연장면(1142)과, 상기 제1연장면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연장면(11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면은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연장면은 상기 프레임의 타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면(1142)와 상기 제2연장면(1144)는 전체적으로 ‘L’자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면은 상기 프레임의 사각형의 꼭지점의 대응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8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제1연장면은 상기 수직부의 일면과 상기 수평부의 일면에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냉장고.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면은 상기 제1프레임의 사각형의 꼭지점의 대응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8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제2연장면은 상기 수직부의 일면과 상기 수평부의 일면에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냉장고.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면은 상기 수직부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연장면은 상기 수직부의 타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면은 상기 수평부의 일면을 결합되고, 상기 제2연장면은 상기 수평부의 타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면(1142)과 상기 제2연장면(1144)은 소정 각도를 가지고 절곡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7항에 있어서,
    보조 프레임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상기 보조 프레임은 각각 결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끼리 결합된 위치와 상기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가 상기 수평수직 일체부와 결합된 위치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수평부에 면접촉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수직부에 면접촉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87017461A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197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36734A KR102334630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250 2013-06-14
KR20130068250 2013-06-14
KR1020130124734 2013-10-18
KR20130124734 2013-10-18
PCT/KR2014/005250 WO2014200317A1 (en) 2013-06-14 2014-06-16 Refrigera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215A Division KR102245370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734A Division KR102334630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708A true KR20180073708A (ko) 2018-07-02
KR102197969B1 KR102197969B1 (ko) 2021-01-05

Family

ID=52022521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215A KR102245370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0207036734A KR102334630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0187017464A KR102218918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0187017462A KR102218916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0217038941A KR102528676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0187017463A KR102218917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0187017461A KR102197969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215A KR102245370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0207036734A KR102334630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0187017464A KR102218918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0187017462A KR102218916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0217038941A KR102528676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0187017463A KR102218917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10234191B2 (ko)
EP (2) EP3660427B1 (ko)
KR (7) KR102245370B1 (ko)
ES (1) ES2854050T3 (ko)
WO (1) WO20142003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980B1 (ko) * 2013-06-14 2021-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46378B1 (ko) * 2014-11-11 2016-08-0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2550258B1 (ko) 2016-01-05 202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385598B2 (en) * 2018-01-08 2019-08-20 Architectural Builders Hardware Mfg., Inc. Tip for geared hinge
CN115177123B (zh) * 2018-01-17 2024-06-07 安东尼股份有限公司 安装可移动电子显示器的门
JP6954463B2 (ja) * 2018-05-16 2021-10-2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流体クロマトグラフ用の流体供給装置
US11460236B2 (en) * 2018-12-26 2022-10-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storage compartment
USD965648S1 (en) * 2019-01-17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le for home appliance
KR20210106270A (ko) * 2020-02-20 2021-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768025B2 (en) * 2021-02-11 2023-09-26 Stephanie E Thoen Compartment drawer refrigerator freezer
KR102465510B1 (ko) 2021-02-22 2022-11-09 장 소피아 멀티 개폐기능이 구비된 냉장고
US20240159452A1 (en) * 2022-11-10 2024-05-16 Whirlpool Corporation Vis door reinforcement bracket design
CN116216147B (zh) * 2023-02-21 2023-08-04 湖北星盛电气装备研究院有限公司 一种数字智慧物流配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1062A1 (en) * 2000-08-09 2002-02-21 Andrew Hodges Refrigeration cabinet
US20100308705A1 (en) * 2009-06-03 2010-12-0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JP2011069612A (ja) * 2010-12-21 2011-04-07 Yoshikazu Aoki 二重収納扉付き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27398A (en) * 1933-01-07 1933-09-19 Harold A Glasser Refrigerator
US2135878A (en) * 1935-07-05 1938-11-08 Nash Kelvinator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2276937A (en) * 1941-05-06 1942-03-17 Cordova Arturo Refrigerator
JPS439817Y1 (ko) * 1964-12-11 1968-04-27
JPH0666473A (ja) 1992-08-15 1994-03-08 Matsumoto Sakiko 冷蔵庫・冷凍庫の二重扉
US6722083B2 (en) * 2001-11-28 2004-04-20 Gemtron Corporation Structural unit, specifically a door including an injected molded frame
DE10260182A1 (de) * 2002-12-20 2004-07-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blage für ein Kühlgerät, insbesondere Flaschenablage für einen Flaschenlagerkühlschrank
US7043886B1 (en) * 2003-01-07 2006-05-16 Thermoseal Glass Corp. Refrigerator door assembly
JP2006038437A (ja) * 2004-07-24 2006-02-09 Haruo Wakabayashi 冷蔵庫
DE102004045476A1 (de) 2004-09-20 2006-03-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KR101350025B1 (ko) * 2007-06-05 201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홈바
KR101544452B1 (ko) * 2008-12-11 2015-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전도시트를 구비한 냉장고
KR101537600B1 (ko) * 2008-12-18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삽입식 힌지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00122155A (ko) * 2009-05-12 2010-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307735B1 (ko) 2009-06-03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40567A (ko) * 2009-10-14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할식 선반을 갖는 냉장고
US20110146324A1 (en) * 2009-12-22 2011-06-2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2116554A (zh) *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电冰箱
CA2760815A1 (en) * 2010-02-01 2011-08-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660429B1 (en) * 2010-02-01 2022-06-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JP5971903B2 (ja) * 2011-06-30 2016-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映像情報処理装置
CN103477170B (zh) * 2011-08-05 2016-03-16 Lg电子株式会社 具有内部门的冰箱
KR20130045538A (ko) * 2011-10-26 2013-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2613112B1 (en) 2012-01-03 2019-10-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KR102025734B1 (ko) 2012-11-09 2019-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KR102025177B1 (ko) 2012-11-09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KR102245368B1 (ko) * 2013-06-14 2021-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34011B1 (ko) * 2014-02-17 2021-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43640B1 (ko) * 2014-08-27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98689B1 (ko) 2015-07-08 202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391682B1 (ko) 2016-01-05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702615B1 (en) * 2016-01-13 2017-07-1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Internal cabinet support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1062A1 (en) * 2000-08-09 2002-02-21 Andrew Hodges Refrigeration cabinet
US20100308705A1 (en) * 2009-06-03 2010-12-0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JP2011069612A (ja) * 2010-12-21 2011-04-07 Yoshikazu Aoki 二重収納扉付き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60798B2 (en) 2019-04-16
US20190003762A1 (en) 2019-01-03
KR20180071421A (ko) 2018-06-27
EP3008405A4 (en) 2017-01-25
EP3660427A1 (en) 2020-06-03
KR102218918B1 (ko) 2021-02-23
US10914506B2 (en) 2021-02-09
US20160146529A1 (en) 2016-05-26
US10488101B2 (en) 2019-11-26
KR102334630B1 (ko) 2021-12-06
ES2854050T3 (es) 2021-09-20
WO2014200317A1 (en) 2014-12-18
KR102218917B1 (ko) 2021-02-23
US20190072315A1 (en) 2019-03-07
KR102245370B1 (ko) 2021-04-28
US10281193B2 (en) 2019-05-07
KR20200145846A (ko) 2020-12-30
US20190072316A1 (en) 2019-03-07
KR20180072858A (ko) 2018-06-29
KR102528676B1 (ko) 2023-05-08
EP3008405A1 (en) 2016-04-20
US20190011175A1 (en) 2019-01-10
KR20160019488A (ko) 2016-02-19
KR20210148420A (ko) 2021-12-07
EP3660427B1 (en) 2024-02-21
US10234191B2 (en) 2019-03-19
KR102218916B1 (ko) 2021-02-23
EP3008405B1 (en) 2020-01-08
KR20180072859A (ko) 2018-06-29
KR102197969B1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2859A (ko) 냉장고
KR102585501B1 (ko) 냉장고
KR102498975B1 (ko) 냉장고
US20110023527A1 (en) Refrigerator
WO2012117732A1 (ja) 冷蔵庫
KR20170082090A (ko) 냉장고
KR20150050939A (ko) 냉장고
EP2789945A1 (en) Thermal insulation cabinet
EP2893274B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695020B2 (ja) 冷蔵庫
JP2012037151A (ja) 冷凍機器
CN113418342A (zh) 门体及具有其的冰箱
KR20080112729A (ko) 김치냉장고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