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080A - 소방용 인서트 피팅 - Google Patents

소방용 인서트 피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080A
KR20180073080A KR1020160176526A KR20160176526A KR20180073080A KR 20180073080 A KR20180073080 A KR 20180073080A KR 1020160176526 A KR1020160176526 A KR 1020160176526A KR 20160176526 A KR20160176526 A KR 20160176526A KR 20180073080 A KR20180073080 A KR 20180073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ortion
main body
coupling
insert fitting
typ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욱
Original Assignee
아성크린후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성크린후로텍 (주) filed Critical 아성크린후로텍 (주)
Priority to KR1020160176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3080A/ko
Publication of KR20180073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98Coat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B29D23/003Pipe joints, e.g. straight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소방용 인서트 피팅이 제시된다. 소켓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은 내부에 급수관이 관통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입구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의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외주면이 다각 구조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된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파이프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체결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다각 구조를 가진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체결부가 회전되어 상기 파이프와 나사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용 인서트 피팅{INSERT FITTING FOR FIRE FIGHTING}
아래의 실시예들은 소방용 인서트 피팅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방재 시설 및 내부시설에 사용되는 파이프에 연결되는 소방용 인서트 피팅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피팅(Pipe Fitting)(또는 인서트 피팅(Insert Fitting))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접합 또는 접속하거나 파이프와 다른 부재를 접합 또는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파이프 피팅의 내부에는 물 등의 유체 또는 가스가 흐를 수 있으며, 관 내부로 이동하는 유체 등이 유출되지 않도록 누설 방지 처리가 완벽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건축물의 공간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소방용 스프링클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소방용 스프링클러는 수원과 연결되는 급수 파이프의 말단에 설치되어 화재 등의 비상상황 시에 급수 파이프가 제공하는 물을 분사함으로써 비상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여기에서 수원으로부터 고압으로 공급되는 물의 진행방향과 스프링클러에 공급되는 공급관에 파이프 피팅을 설치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6-0040060호는 이러한 CPVC 재질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말단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클러용 말단 파이프로써 CPVC 재질로 형성하여 급수 파이프와 결합하도록 하는 CPVC 재질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말단 파이프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재질의 파이프 피팅의 경우 내구성이 좋지 못하여 작업자들에 의해 나사 결합에 의한 작업 과정에서 파이프 피팅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들은 소방용 인서트 피팅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소화방재 시설 및 내부시설에 사용되는 파이프에 연결되는 소방용 인서트 피팅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본체에 일부 삽입되는 인서트를 금속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파이프와 나사 결합 시 파손이 발생되지 않으며 내구성이 향상된 소방용 인서트 피팅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은 내부에 급수관이 관통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입구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의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외주면이 다각 구조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된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파이프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체결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다각 구조를 가진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체결부가 회전되어 상기 파이프와 나사 결합 또는 분리된다.
상기 결합부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홈부에 오링(O-ring)이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본체와 결합 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끝단부에 제2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홈부에 오링(O-ring)이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본체와 결합 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체결부는, 이중 금속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외주면이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보다 돌출 형성된 8각 구조로 이루어지며 외부 공구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체결부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보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은 내부에 급수관이 관통 형성되는 'ㄱ' 자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입구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의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이 다각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파이프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체결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다각 구조를 가진 상기 체결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파이프와 나사 결합 또는 분리된다.
상기 결합부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끝단부에 제2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에 오링(O-ring)이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본체와 결합 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은 내부에 급수관이 관통 형성되고 상측에 입구가 형성되는 'ㅗ' 자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입구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의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이 다각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파이프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체결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다각 구조를 가진 상기 체결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파이프와 나사 결합 또는 분리된다.
상기 결합부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끝단부에 제2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에 오링(O-ring)이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본체와 결합 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체에 일부 삽입되는 인서트를 금속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파이프와 나사 결합 시 파손이 발생되지 않으며 내구성이 향상된 소방용 인서트 피팅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체에 일부 삽입되는 인서트를 금속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는 다각 구조와 파이프와 체결되는 부위의 파손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유지보수 비용을 줄여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소방용 인서트 피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보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보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소화방재 시설 및 내부시설에 사용되는 파이프에 연결되는 소방용 인서트 피팅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일부 삽입되는 인서트를 금속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파이프와 나사 결합 시 파손이 발생되지 않으며 내구성이 향상된 소방용 인서트 피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100)은 본체(150), 결합부(130), 지지부(120), 및 체결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50)는 내부에 급수관이 관통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체(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단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50)의 재질은 C-PVC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뿐 아니라 후술할 결합부(130), 지지부(120), 및 체결부(110)와 동일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결합부(130)는 본체(150)의 입구(151)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결합부(130)는 본체(150)의 입구(151)보다 작은 직경의 내부에 급수관이 관통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결합부(13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크롬과 탄소 외에 용도에 따라 니켈, 텅스텐, 바나듐, 구리, 규소 따위의 원소를 함유한 내식성 강철로 녹이 슬지 않고 약품에도 부식되지 않는 스테인리스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결합부(130)는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해 황동(Brass)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다양한 소재의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30)는 지지부(120) 및 체결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파이프 연결을 위해 본체(15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결합부(130)는 본체(150) 내에서 회전될 때 본체(150)로부터 분리되거나 본체(150)와 기밀이 유지되지 않으면 내부를 흐르는 유체 또는 가스 등이 누설될 수 있다.
이에, 결합부(130)는 외주면 및/또는 끝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O-ring)(14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오링(O-ring)(140)은 본체(150)와 결합부(130)의 기밀을 위한 실링 부재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130)는 외주면에 하나의 제1 홈부(132)가 형성되고, 제1 홈부(132)에 오링(O-ring)(140)이 배치되어 지지부(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본체(150)와 결합 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합부(130)는 외주면(131)에 복수의 제1 홈부(132)가 형성되고, 복수의 제1 홈부(1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각각 오링(O-ring)(140)이 배치되어 지지부(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본체(150)와 결합 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결합부(130)는 본체(150)와 결합되는 끝단부에 제2 홈부(133)가 형성되고, 제2 홈부(133)에 오링(O-ring)(140)이 배치되어 지지부(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본체(150)와 결합 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지지부(120)는 결합부(130)의 일측에 형성되고,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지지부(120)는 스테인리스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스틸뿐 아니라 황동(Brass), 아연합금강 등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20)는 내주면이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성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이 다각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다각 구조는 5각 구조, 6각 구조, 8각 구조 등이 될 수 있으며, 외부 공구에 의해 지지부(1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각 구조의 지지부(120)는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잡아주거나 공구를 끼워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체결부(110)는 지지부(120)의 일측에 형성되고,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지지부(120)는 스테인리스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스틸뿐 아니라 황동(Brass) 등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110)는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되어 파이프와 나사 결합된다. 더 구체적으로 체결부(110)는 내주면에 암 나사산(111)이 형성되어 외주면에 수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가 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서로 나사 결합 또는 분리된다.
여기에서 결합부(130), 지지부(120), 및 체결부(1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형성되고, 다각 구조를 가진 지지부(120)를 회전시킴에 따라 체결부(110)가 회전되어 파이프와 나사 결합 또는 분리된다. 이와 같이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부(110)와 파이프가 결합됨으로써 외부에 의한 충격 및 진동에 의해서도 쉽게 풀리지 않아서 안전하다.
이러한 결합부(130), 지지부(120), 및 체결부(110)는 금속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결합부(130), 지지부(120), 및 체결부(110)는 이중 금속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30), 지지부(120), 및 체결부(110)는 내부에 본체(150)와 연결되는 급수관이 관통 형성되며, 본체(150)의 입구(151) 측 및/또는 체결부(110)의 단면적을 줄여 내부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개별 수용가에 공급되는 유체의 수압 및 토출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유로의 단면적을 줄임으로써 적정 양의 유체가 적정한 수압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외주면이 체결부(110)의 외주면보다 돌출 형성된 8각 구조로 이루어지며 외부 공구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결합부(130) 및 체결부(110)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100)은 작업자가 외부 공구를 이용하여 다각 구조를 가진 지지부(120)를 회전시킴으로써 파이프와 연결되는 체결부(110)가 회전되어 파이프와 나사 결합에 의한 체결이 가능하다.
이때, 작업자가 외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다각 구조의 지지부(120)와 파이프와 연결되는 체결부(110)가 C-PVC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회전 정도 등에 따라 파손이 발생하거나 지지부(120)와 체결부(110)가 일체로 동시에 회전되지 않아 마모 및 파손 등이 발생된다.
즉, 다각 구조의 지지부(120)를 조이는 양을 적게 하면 파이프 피팅에서 누설이 발생하고, 지지부(120)를 너무 조이게 되면 파이프 피팅의 내부 메카니즘이 파괴되어 오히려 누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파이프 피팅의 누설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보장하기 위해 파이프 피팅의 제조업자는 파이프의 연결 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에게 회전 횟수, 회전에 의한 이동 정도 등의 일정한 파이프 피팅의 작업과정을 제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작업자 및 작업 환경에 의해 상기의 작업과정을 지키기 어려워 파손이 자주 발생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100)은 본체(150)에 일부 삽입되는 결합부(130), 지지부(120), 및 체결부(110)를 포함하는 인서트를 금속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다각 구조를 가진 지지부(120)를 회전시킴에 따라 체결부(110)가 회전되어 파이프와 나사 결합 시 회전 정도에 따라 지지부(120) 또는 체결부(110)에 파손이 발생되지 않으며 내구성이 좋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보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보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보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200)은 본체(250), 결합부(230), 지지부(220), 및 체결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250)는 내부에 급수관이 관통 형성되며, 굴절 형성된 'ㄱ'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250)는 연결되는 파이프와 'ㄱ' 자로 꺾이면서 스프링클러 등의 장치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체(250)의 재질은 C-PVC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C-PVC뿐 아니라 PVC, PP, PTFE, 및 PVDF 등의 플라스틱 소재, 또는 후술할 결합부(230), 지지부(220), 및 체결부(210)와 동일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결합부(23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본체(250)의 입구(251)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결합부(230)는 본체(250)의 입구(251)보다 작은 직경의 내부에 급수관이 관통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부(230)는 지지부(220) 및 체결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며, 파이프 연결을 위해 본체(25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결합부(230)는 본체(250) 내에서 회전될 때 본체(250)로부터 분리되거나 본체(250)와 기밀이 유지되지 않으면 내부를 흐르는 유체 또는 가스 등이 누설될 수 있다.
이에, 결합부(230)는 외주면(231) 및/또는 끝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O-ring)(24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230)는 외주면에 하나의 제1 홈부(232)가 형성되고, 제1 홈부(232)에 오링(O-ring)(240)이 배치되어 지지부(220)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본체(250)와 결합 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합부(230)는 외주면에 복수의 제1 홈부(232)가 형성되고, 복수의 제1 홈부(2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각각 오링(O-ring)(240)이 배치되어 지지부(220)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본체(250)와 결합 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결합부(230)는 본체(250)와 결합되는 끝단부에 제2 홈부(233)가 형성되고, 제2 홈부(233)에 오링(O-ring)(240)이 배치되어 지지부(220)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본체(250)와 결합 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지지부(22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결합부(230)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220)는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부 직경이 본체(250)의 외부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본체(250)의 입구(251)에 결합되고 회전 시 본체(250)에 지지되어 회전될 수 있다.
체결부(21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지지부(220)의 일측에 형성된다. 체결부(210)는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이 다각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나사산(211)이 형성되어 파이프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된다. 더 구체적으로 체결부(210)는 내주면에 암 나사산(211)이 형성되어 외주면에 수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가 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서로 나사 결합 또는 분리된다.
이때, 다각 구조는 5각 구조, 6각 구조, 8각 구조 등이 될 수 있으며, 외부 공구에 의해 체결부(2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합부(230), 지지부(220), 및 체결부(2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형성되고, 다각 구조를 가진 체결부(210)를 회전시킴에 따라 파이프와 나사 결합 또는 분리된다.
이러한 결합부(230), 지지부(220), 및 체결부(210)는 금속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결합부(230), 지지부(220), 및 체결부(210)는 이중 금속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10)는 외주면이 8각 구조로 이루어지며 지지부(220)의 외주면보다 돌출 형성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210)의 8각 구조를 외부 공구에 의해 회전시킴에 따라 결합부(230) 및 지지부(220)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보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200)은 작업자가 외부 공구를 이용하여 다각 구조를 가진 체결부(210)를 회전시킴으로써 파이프와 나사 결합에 의한 체결이 가능하다.
특히,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보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200)은 본체(250)에 일부 삽입되는 결합부(230), 지지부(220), 및 체결부(210)를 포함하는 인서트를 금속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다각 구조를 가진 체결부(210)를 회전시켜 파이프와 나사 결합 시 회전 정도에 따라 파손이 발생되지 않아 다양한 작업 환경 및 작업자들에 의해 파이프 피팅 작업이 가능하고, 불필요한 유지보수 비용을 줄여 경제적이고 안정적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300)은 본체(350), 결합부(330), 지지부(320), 및 체결부(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350)는 내부에 급수관이 관통 형성되며, 상측에 입구가 형성되는 'ㅗ'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체(350)의 재질은 C-PVC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뿐 아니라 후술할 결합부(330), 지지부(320), 및 체결부(310)와 동일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결합부(33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본체(350)의 입구(351)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결합부(330)는 본체(350)의 입구(351)보다 작은 직경의 내부에 급수관이 관통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부(330)는 지지부(320) 및 체결부(310)와 일체로 형성되며, 파이프 연결을 위해 본체(35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결합부(330)는 본체(350) 내에서 회전될 때 본체(350)로부터 분리되거나 본체(350)와 기밀이 유지되지 않으면 내부를 흐르는 유체 또는 가스 등이 누설될 수 있다.
이에, 결합부(330)는 외주면(331) 및/또는 끝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O-ring)(34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330)는 외주면에 하나의 제1 홈부(332)가 형성되고, 제1 홈부(332)에 오링(O-ring)(340)이 배치되어 지지부(320)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본체(350)와 결합 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합부(330)는 외주면에 복수의 제1 홈부(332)가 형성되고, 복수의 제1 홈부(3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각각 오링(O-ring)(340)이 배치되어 지지부(320)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본체(350)와 결합 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결합부(330)는 본체(350)와 결합되는 끝단부에 제2 홈부(333)가 형성되고, 제2 홈부(333)에 오링(O-ring)(340)이 배치되어 지지부(320)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본체(350)와 결합 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지지부(32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결합부(330)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320)는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부 직경이 본체(350)의 외부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본체(350)의 입구(351)에 결합되고 회전 시 본체(350)에 지지되어 회전될 수 있다.
체결부(31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지지부(320)의 일측에 형성된다. 체결부(310)는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이 다각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나사산(311)이 형성되어 파이프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된다. 더 구체적으로 체결부(310)는 내주면에 암 나사산(311)이 형성되어 외주면에 수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가 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서로 나사 결합 또는 분리된다.
이때, 다각 구조는 5각 구조, 6각 구조, 8각 구조 등이 될 수 있으며, 외부 공구에 의해 체결부(3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합부(330), 지지부(320), 및 체결부(3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형성되고, 다각 구조를 가진 체결부(310)를 회전시킴에 따라 파이프와 나사 결합 또는 분리된다.
이러한 결합부(330), 지지부(320), 및 체결부(310)는 금속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결합부(330), 지지부(320), 및 체결부(310)는 이중 금속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310)는 외주면이 8각 구조로 이루어지며 지지부(320)의 외주면보다 돌출 형성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310)의 8각 구조를 외부 공구에 의해 회전시킴에 따라 결합부(330) 및 지지부(320)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300)은 작업자가 외부 공구를 이용하여 다각 구조를 가진 체결부(310)를 회전시킴으로써 파이프와 나사 결합에 의한 체결이 가능하다.
특히,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300)은 본체(350)에 일부 삽입되는 결합부(330), 지지부(320), 및 체결부(310)를 포함하는 인서트를 금속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다각 구조를 가진 체결부(310)를 회전시켜 파이프와 나사 결합 시 회전 정도에 따라 파손이 발생되지 않아 다양한 작업 환경 및 작업자들에 의해 파이프 피팅 작업이 가능하고, 불필요한 유지보수 비용을 줄여 경제적이고 안정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인서트 피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인서트 피팅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용 스프링클러 등에서 수원과 연결되는 급수 파이프의 말단에 설치되어 화재 등의 비상상황 시에 급수 파이프가 제공하는 물을 분사함으로써 비상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원으로부터 고압으로 공급되는 물의 진행방향과 스프링클러에 공급되는 공급관에 설치될 수 있다.
소방용 인서트 피팅은 내부에 급수관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의 입구 내측에 인서트의 결합부를 삽입시키고, 인서트의 체결부에 파이프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체결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와 회전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외부 공구를 이용하여 인서트의 다각 구조를 가진 지지부 또는 체결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체결부가 회전되어 파이프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체와 결합된 결합부의 외주면 및/또는 끝단부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홈부에 오링(O-ring)이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본체와 결합 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소방용 인서트 피팅은 플라스틱 파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속으로 사출하여 인서트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기존에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회전되는 다각 구조와 파이프의 체결부를 이중 금속 사출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파이프 체결 시 회전 정도에 따라 발생되는 누설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소켓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
110, 210, 310: 체결부
120, 220, 320: 지지부
130, 230, 330: 결합부
140, 240, 340: 오링
150, 250, 350: 본체
200: 엘보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
300: 티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

Claims (9)

  1. 내부에 급수관이 관통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입구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의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외주면이 다각 구조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된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파이프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체결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다각 구조를 가진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체결부가 회전되어 상기 파이프와 나사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홈부에 오링(O-ring)이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본체와 결합 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끝단부에 제2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홈부에 오링(O-ring)이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본체와 결합 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체결부는,
    이중 금속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외주면이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보다 돌출 형성된 8각 구조로 이루어지며 외부 공구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체결부가 일체로 회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
  6. 내부에 급수관이 관통 형성되는 'ㄱ' 자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입구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의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이 다각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파이프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체결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다각 구조를 가진 상기 체결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파이프와 나사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끝단부에 제2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에 오링(O-ring)이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본체와 결합 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
  8. 내부에 급수관이 관통 형성되고 상측에 입구가 형성되는 'ㅗ' 자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입구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의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이 다각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파이프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체결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다각 구조를 가진 상기 체결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파이프와 나사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티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끝단부에 제2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에 오링(O-ring)이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본체와 결합 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티형 소방용 인서트 피팅.
KR1020160176526A 2016-12-22 2016-12-22 소방용 인서트 피팅 KR20180073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526A KR20180073080A (ko) 2016-12-22 2016-12-22 소방용 인서트 피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526A KR20180073080A (ko) 2016-12-22 2016-12-22 소방용 인서트 피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080A true KR20180073080A (ko) 2018-07-02

Family

ID=6291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526A KR20180073080A (ko) 2016-12-22 2016-12-22 소방용 인서트 피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30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1476B1 (en) Flow check valve assembly and method
JP3225421U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BR112019010373A2 (pt) chuveiro automático, combinação, e, métodos para preparar e para usar a combinação.
TW201812201A (zh) 消防設備配管之接續構造
US11596911B2 (en) Chemical injection system for connection to a chemical tank and a process line
US9964222B1 (en) Failsafe hose
US10330209B2 (en) Check valve and method of forming a check valve
JP6733096B2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及び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20180073080A (ko) 소방용 인서트 피팅
KR102422435B1 (ko) 소방 호스 연장용 커플링
US202301082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quick connect storage sprinklers and fittings
KR101712144B1 (ko) 소방용 플렉시블 조인트
KR101638835B1 (ko) 파이프 연결구
JP2008019980A (ja) ホース接続管継手
JP3217571U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KR20170025150A (ko) 관 이음쇠
US202400422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rinkler systems with flexible hose and rapid seal adapter
KR102600902B1 (ko) 플러그 타입 스프링클러 헤드 조립체
KR100446186B1 (ko) 튜브커플러
KR101796386B1 (ko)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KR101781493B1 (ko) 소방용 작동식밸브의 배관 연결장치
JP2017086189A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RU215686U1 (ru)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пожаротушения
RU215777U1 (ru)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пожаротушения
US8567446B1 (en) Flow check valve assembly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