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973A - 속도 가변형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 Google Patents

속도 가변형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973A
KR20180072973A KR1020160176312A KR20160176312A KR20180072973A KR 20180072973 A KR20180072973 A KR 20180072973A KR 1020160176312 A KR1020160176312 A KR 1020160176312A KR 20160176312 A KR20160176312 A KR 20160176312A KR 20180072973 A KR20180072973 A KR 20180072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sheave
ascending
descending
govern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섭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6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2973A/ko
Publication of KR2018007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속기의 회전축상에 2개의 시브를 설치하고 캠 클러치를 설치하여 상승방향으로 고속 운행시에는 1개의 시브(고속 회전용 시브)만 회전하고 하강방향으로 저속 운행시에는 2개의 시브(고속 회전용 시브와 저속회전용 시브)가 같이 회전하록 함으로 승객이 하강방향에서 크게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속도 가변형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 관한 것으로,

Description

속도 가변형 엘리베이터용 조속기{SPEED GOVERNER FOR ELEVATOR}
본 발명은 속도 가변형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속기의 회전축상에 2개의 시브를 설치하고 캠 클러치를 설치하여 상승방향으로 고속 운행시에는 1개의 시브(고속 회전용 시브)만 회전하고 하강방향으로 저속 운행시에는 2개의 시브(고속 회전용 시브와 저속회전용 시브)가 같이 회전하록 함으로 승객이 하강방향에서 크게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속도 가변형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구조는 통상적으로 기계실, 승강로, 엘리베이터 케이지, 와이어로프 등으로 이루어진다.
최상부에 위치한 기계실에는 주전원 스위치, 제어판, 권상기 및 전동기, 층상 선택기, 조속기가 위치하며, 승강로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균형추, 가이드 레일, 가이드 슈(가이드 롤러), 권상기 로프, 조속기 로프, 비상정지장치(Safety device), 이동 케이블, 리미트 스위치가 위치하고, 최상부에 완충장치가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기계실에 위치한 조속기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속도를 감지하여 속도가 정격속도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다음 두 가지 동작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강제로 정지시킨다.
제 1 동작으로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속도가 정격속도의 130%에 도달하면 전원공급을 중단시켜 권상기 모터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권상기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엘리베이터의 전기적 구동을 정지시킨다.
제 2 동작으로는, 상기 엘리베어터 케이지의 속도가 정격속도의 140%에 도달하면 상기 제 1 동작에 이어서 조속기 휠의 측면에 부착된 진자가 과속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서 동작하여 레버를 작동시키고 이에 멈춤 쇠가 연동되어 래칫을 정지시키며, 멈춤 쇠에 일체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로프 캐처가 조속기 로프를 감속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2 동작에 이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 하단부에 있는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강한 힘으로 붙잡아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급하강을 정지시킨다.
그러나 상기 제 2 동작과 비상정지장치의 동작에 있어서, 조속기의 스프링의 변성 및 기계적인 가동요소의 마모 등으로 인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급하강 시의 정확한 속도에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과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급하강하는 경우에만 제한되어 동작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정격속도 이상으로 급상승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강제 정지가 불가능하여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많은 사람들에 있어서 직접적인 사고의 원인이 되었으며, 특히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문이 열린채로 케이지가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문에 낀 사람이 외과적 상해를 입거나 사망에 이르는 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463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속기의 회전축상에 2개의 시브를 설치하고 캠 클러치를 설치하여 상승방향으로 고속 운행시에는 1개의 시브(고속 회전용 시브)만 회전하고 하강방향으로 저속 운행시에는 2개의 시브(고속 회전용 시브와 저속회전용 시브)가 같이 회전하록 함으로 승객이 하강방향에서 크게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속도 가변형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카가 상승하게 되면 조속기 로프(300)에 의해 회전하는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100)와;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 일측에 구비되어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100)는 회전하게 됨에 따라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캠 클러치(900)가 풀림 위치에 있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는 하강방향 저속회전 시브(200)와;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100)가 상승방향의 과속 감지 메카니즘만 작동하게 되고 상승속도가 상승방향 과속 감지속도에 도달했을 때, 원심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벌어져 상승방향 과속스위치(700)를 작동시켜 동력전원을 차단하고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상승방향 플라이웨이트(400)와;
하강속도가 하강방향 과속 감지속도에 도달했을 때, 원심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벌어져 하강방향 과속스위치(800)를 작동시켜 동력을 차단하고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하강방향 플라이웨이트(500)와;
1차 작동으로도 감속이 안 이루어지고 가속이 진행되어 캐치 작동속도에 도달했을 때, 2차적으로 조속기 로프(300)를 구속하여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는 하강방향 로프캐치(600)와;
카가 하강하게 되면 조속기 로프(300)에 의해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100)는 회전할 때 하강방향 저속회전 시브(200)에 배치되어 잠김 위치에 있는 캠 클러치(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조속기의 회전축상에 2개의 시브가 설치되어 상승방향과 하강방향에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하강방향 저속회전시브에 캠 구조의 클러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캠 구조의 클러치가 자동으로 잠김과 풀림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속도 가변형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는 조속기의 회전축상에 2개의 시브를 설치하고 캠 클러치를 설치하여 상승방향으로 고속 운행시에는 1개의 시브(고속 회전용 시브)만 회전하고 하강방향으로 저속 운행시에는 2개의 시브(고속 회전용 시브와 저속회전용 시브)가 같이 회전하록 함으로 승객이 하강방향에서 크게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속기를 나타낸 도면,
도 2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속기의 캠 클러치의 작동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의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가 상승하게 되면 조속기 로프(300)에 의해 회전하는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100)와;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 일측에 구비되어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100)는 회전하게 됨에 따라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캠 클러치(900)가 풀림 위치에 있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는 하강방향 저속회전 시브(200)와;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100)가 상승방향의 과속 감지 메카니즘만 작동하게 되고 상승속도가 상승방향 과속 감지속도에 도달했을 때, 원심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벌어져 상승방향 과속스위치(700)를 작동시켜 동력전원을 차단하고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상승방향 플라이웨이트(400)와; 하강속도가 하강방향 과속 감지속도에 도달했을 때, 원심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벌어져 하강방향 과속스위치(800)를 작동시켜 동력을 차단하고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하강방향 플라이웨이트(500)와; 1차 작동으로도 감속이 안 이루어지고 가속이 진행되어 캐치 작동속도에 도달했을 때, 2차적으로 조속기 로프(300)를 구속하여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는 하강방향 로프캐치(600)와; 카가 하강하게 되면 조속기 로프(300)에 의해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100)는 회전할 때 하강방향 저속회전 시브(200)에 배치되어 잠김 위치에 있는 캠 클러치(900)를 포함한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속기의 회전축상에 2개의 시브가 설치되어 있다. 1개의 시브는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100)이고 다른 하나는 하강방향 저속회전 시브(200)이다.
카가 상승하게 되면 조속기 로프(300)에 의해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100)는 회전하게 된다.
이때 하강방향 저속회전 시브(200)에 배치되어 있는 캠 클러치(900)가 풀림 위치에 있기 때문에 하강방향 저속회전 시브(20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승방향의 과속 감지 메카니즘만 작동하게 되고 상승속도가 상승방향 과속 감지속도에 도달했을 때, 원심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벌어진 상승방향 플라이웨이트(400)는 상승방향 과속스위치(700)를 작동시켜 동력전원을 차단하고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카가 하강하게 되면 조속기 로프(300)에 의해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100)는 회전하게 된다.
이때 하강방향 저속회전 시브(200)에 배치되어 있는 캠 클러치(900)는 잠김 위치에 있고, 동일 회전축상에 설치된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100)와 하강방향 저속회전 시브(200)는 같이 회전하게 된다.
하강속도가 하강방향 과속 감지속도에 도달했을 때, 원심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벌어진 하강방향 플라이웨이트(500)는 하강방향 과속스위치(800)를 작동시켜 동력을 차단하고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1차 작동으로도 감속이 안 이루어지고 가속이 진행되어 캐치 작동속도에 도달했을 때, 2차적으로 하강방향 로프캐치(600)는 조속기 로프(300)를 구속하여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킨다.
카는 강제 감속되어 안전하게 정지된다. 이러한 2차 작동은 하강 방향에서만 작동한다.
제2 ~ 3도에서는 캠 클러치의 작동원리를 보여주고 있다.
축의 시계방향 회전은 카의 하강방향 회전이다. 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캠 클러치(900)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캠은 축과 하강방향 저속회전 시브(200) 사이에 강제적으로 물리게 되어 캠 클러치(900)는 잠기게 된다.
따라서 하강방향 저속회전 시브(200)는 축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축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캠 클러치(9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캠과 하강방향 저속회전 시브(200)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캠 클러치(900)는 풀리게 된다. 따라서 하강방향 저속회전 시브(200)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
200 : 하강방향 저속회전 시브
300 : 조속기 로프
400 : 상승방향 플라이웨이트
500 : 하강방향 플라이웨이트
600 : 로프캐치
700 : 상승방향 과속스위치
800 : 하강방향 과속스위치
900 : 캠 클러치

Claims (4)

  1. 카가 상승하게 되면 조속기 로프(300)에 의해 회전하는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100)와;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 일측에 구비되어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100)는 회전하게 됨에 따라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캠 클러치(900)가 풀림 위치에 있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는 하강방향 저속회전 시브(200)와;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100)가 상승방향의 과속 감지 메카니즘만 작동하게 되고 상승속도가 상승방향 과속 감지속도에 도달했을 때, 원심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벌어져 상승방향 과속스위치(700)를 작동시켜 동력전원을 차단하고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상승방향 플라이웨이트(400)와;
    하강속도가 하강방향 과속 감지속도에 도달했을 때, 원심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벌어져 하강방향 과속스위치(800)를 작동시켜 동력을 차단하고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하강방향 플라이웨이트(500)와;
    1차 작동으로도 감속이 안 이루어지고 가속이 진행되어 캐치 작동속도에 도달했을 때, 2차적으로 조속기 로프(300)를 구속하여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는 하강방향 로프캐치(600)와;
    카가 하강하게 되면 조속기 로프(300)에 의해 상승방향 고속회전 시브(100)는 회전할 때 하강방향 저속회전 시브(200)에 배치되어 잠김 위치에 있는 캠 클러치(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가변형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조속기의 회전축상에 2개의 시브가 설치되어 상승방향과 하강방향에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가변형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하강방향 저속회전시브에 캠 구조의 클러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가변형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4. 제1항에 있어서,
    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캠 구조의 클러치가 자동으로 잠김과 풀림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가변형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1020160176312A 2016-12-22 2016-12-22 속도 가변형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20180072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312A KR20180072973A (ko) 2016-12-22 2016-12-22 속도 가변형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312A KR20180072973A (ko) 2016-12-22 2016-12-22 속도 가변형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973A true KR20180072973A (ko) 2018-07-02

Family

ID=6291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312A KR20180072973A (ko) 2016-12-22 2016-12-22 속도 가변형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29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6014B2 (ja) 調速装置
CN109665406A (zh) 一种双机曳引装置
CN103339053B (zh) 在单独的滑轮上具有两个释放机构的电梯限速器
AU2017232232B2 (en) Method for avoiding unwanted safety gear tripping in an elevator system, controller adapted to perform such a method, governor brake and elevator system each having such a controller
JP5735504B2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
CN102459049A (zh) 电梯装置
US10124987B2 (en) Elevator device
CN109179134B (zh) 结合广告及电梯防坠提示的装置
US6516921B1 (en) Protective means against inertial slip of elevator cab during brake release in an emergency
EP1701905A2 (en) Elevator arrangement
KR20180072973A (ko) 속도 가변형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100716863B1 (ko) 상하 양방향 비상정지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KR20120014631A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조속기
WO2012140720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200007Y1 (ko) 상하 양방향 비상정지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JP2005280934A (ja) エレベータ装置
JP5944056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CN207390723U (zh) 新型无机房双向限速器
JP201319387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2660179A1 (en) Termination floor forced deceleration device for elevator
JP2016008139A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システム
JPS6210917B2 (ko)
CN107445010A (zh) 新型有机房双向限速器
JP4387243B2 (ja) エレベータの閉じ込め救出装置
JP7364013B1 (ja) エレベータかご及び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