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649A -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649A
KR20180072649A KR1020180071982A KR20180071982A KR20180072649A KR 20180072649 A KR20180072649 A KR 20180072649A KR 1020180071982 A KR1020180071982 A KR 1020180071982A KR 20180071982 A KR20180071982 A KR 20180071982A KR 20180072649 A KR20180072649 A KR 20180072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unit
valve body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훈
Original Assignee
(주)한국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밸콘 filed Critical (주)한국밸콘
Priority to KR1020180071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2649A/ko
Publication of KR20180072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1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taking out the product in the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6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6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01F23/7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for sensing changes in level only at discrete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1/00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 G01L7/00 or G01L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된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액체에 포함된 기포를 상기 용기 내부 상측으로 유도하는 기포분리유닛;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배기유로가 구비된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의 배기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유닛; 상기 용기 상부에 채워지는 기체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유닛; 상기 감지유닛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시스템의 내부에서 액체와 함께 유동하는 기포들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기포의 배출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APPARATUS FOR DISCHARGING AIR AND MEASURING DISCHARGED AIR}
본 발명은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보일러, 화력발전소, 플랜트 설비, 상수도 설비 등에는 물과 같은 액체가 유동하는 배관시스템이 구비된다. 가정용 보일러, 화력발전소, 그리고 플랜트 설비는 각각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보일러)에서 물을 가열하여 배관시스템을 통해 유동시키면서 열을 전달하게 되고, 상수도 설비는 정수된 물을 배관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에 공급하게 된다.
한편,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에서 물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물의 온도 변화에 따라 부피의 수축, 팽창으로 인하여 물과 산소로 분리되어 산소로 인한 기포가 발생되며 그 기포는 물이 배관시스템을 통해 유동할 때 함께 유동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배관시스템의 배관이 연결된 부분, 확관된 부분, 축관된 부분에서 또한 물과 산소가 분리되어 기포가 발생되며 그 기포들이 물과 함께 유동하게 된다. 배관시스템에 물이 유동할 때 기포들이 함께 유동하게 되면 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팽창된 기포들에 의해 물의 흐름에 저항이 발생되어 수압을 증가시키게 된다. 특히, 가정용 보일러의 배관시스템의 경우 물에 포함된 기포들로 인하여 방바닥에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난방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9648호(2005. 03. 14. 등록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물이 흐르는 배관에 원통 형태의 본체를 연결하고 그 본체의 내부에 부력체가 상하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어 부력체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기포를 배출시키는 에어벤트장치가 개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본체의 내주면과 부력체의 외면 사이로 기포가 빠져나가게 되므로 기포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배관에 흐르는 물에 포함된 기포가 충분히 배출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체의 상부에 공기가 빠져나가는 유로가 항상 열려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배관으로 흐르는 물이 유로를 통해 외부 누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시스템의 내부에서 액체와 함께 유동하는 기포들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기포의 배출량을 측정하는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관시스템의 내부의 액체가 기포와 함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된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액체에 포함된 기포를 상기 용기 내부 상측으로 유도하는 기포분리유닛;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배기유로가 구비된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의 배기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유닛; 상기 용기 상부에 채워지는 기체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유닛; 상기 감지유닛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개폐유닛은 배기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배기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개폐부재를 움직이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감지봉과, 상기 감지봉에 상하로 움직인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액체 면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의 상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유닛으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용기 상부의 기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리드스위치, 또는 정전용량측정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배기유로에 외부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의 유입구와 유출구는 배관시스템의 배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개폐유닛이 배기유로를 오픈시킨 시간과 횟수에 따라 기체의 배출량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용기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되고 용기의 내부에 기포분리유닛이 구비되므로 기포들을 포함한 액체가 유입구를 통해 용기 내부로 유입되면서 압력이 저하됨과 아울러 용기의 상부로 액체의 노출면적이 넓게 되고 또한 기포분리유닛에 의해 액체에 포함된 기포들이 액체에서 충분히 분리되어 용기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기포들이 제거된 액체만이 용기의 유출구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용기를 통해 빠져나가는 액체에 기포들이 제거되어 액체가 배관시스템을 유동하는 과정에서 소음 발생이 방지되고 유동 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상부에 채워진 기포의 공기가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해 개폐유닛이 배기유로를 열어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용기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어 용기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가 되면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해 개폐유닛이 배기유로를 닫게 되므로 용기 내부에 채워진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액체에 포함된 기포들의 배출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배관시스템의 주요 부분에서 기포 발생량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유닛이 밸브몸체의 배기유로를 항상 닫고 있고, 또한 개폐유닛이 밸브몸체의 배기유로를 열게 될 때 용기의 상부에 공기가 설정량 이상 채워져 용기에 채워진 액체의 수위가 낮아진 상태에서 공기가 배기유로를 통해 빠져나가고 용기의 상부의 공기가 설정량 이하가 되면 개폐유닛이 밸브몸체의 배기유로를 막게 되어 용기 내부에 채워진 액체가 배기유로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기포분리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배기유로의 밸브시트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감지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역류방지유닛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의 배기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의 배기유로 막힘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의 일실시에는, 용기(10), 기포분리유닛(20), 밸브몸체(30), 개폐유닛(40), 감지유닛(50), 제어유닛(60)을 포함한다.
용기(10)는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유입된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구(12)가 구비된다. 용기(10)의 상부에 개구된 주둥이부가 구비되고, 유입구(11)와 유출구(12)는 용기(10)의 측면에 각각 구비되되, 서로 대면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10)의 유입구(11)와 유출구(12)는 수평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용기(10)의 유입구(11)는 용기(10)의 측면에 구비되고 용기(10)의 유출구(12)는 용기(10)의 바닥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또한 용기(10)의 유입구(11)가 용기(10)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용기(10)의 유출구(12)가 용기(10)의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용기(10)의 유입구(11)에 액체가 유입되는 액체유입관(P1)이 연결되고 용기(10)의 유출구(12)에 액체유출관(P2)이 연결된다. 용기(10)의 재질은 금속, 비금속, 플라스틱, 등의 재질이 될 수 있다.
기포분리유닛(20)은 용기(10)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구(11)로 유입되는 액체에 포함된 기포를 용기(10) 내부 상측으로 유도한다. 즉, 액체유입관(P1)과 유입구(11)를 통해 용기(10) 내부로 유입되고 용기(10) 내부로 유입된 액체가 유출구(12)와 액체유출관(P2)을 통해 유동하는 과정에서 액체유입관(P1)을 통해 용기(10)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가 기포분리유닛(20)를 거치면서 액체에 포함된 기포들이 수직 방향으로 부유하여 용기(10)의 수면 위로 움직이게 된다. 기포분리유닛(20)의 일예로, 기포분리유닛(20)은 다수 개의 원통체(21)들을 포함한다. 원통체에 스릿들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수 개의 원통체들은 용기(10)의 내부에 설정된 높이까지 채워지되, 용기(10)의 유입구(11)와 유출구(12) 보다 높게 채워진다. 기포분리유닛(20)의 다른 실시예로, 기포분리유닛(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쉬플레이트(mesh plate)(22)를 포함한다. 매쉬플레이트(22)는 절곡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매쉬플레이트(22)가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밸브몸체(30)는 용기(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배기유로(F)가 구비된다. 밸브몸체(30)가 용기(10)의 주둥이부를 밀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유로(F)의 일예로, 배기유로(F)는 밸브몸체(30)의 상부에 구비되는 개폐공간부(31)와, 용기(10)의 내부와 개폐공간부(31)를 연통시키는 제1 유로(32)와, 개폐공간부(31)와 밸브몸체(3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 유로(33)를 포함한다. 제2 유로(33)의 한쪽은 개폐공간부(31)의 바닥면에 연통되고 제2 유로(33)의 다른 한쪽은 밸브몸체(30)의 측면에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공간부(31)의 바닥면의 제2 유로(33)의 구멍 테두리가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밸브시트(valve seat)(3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개폐유닛(40)은 밸브몸체(30)의 배기유로(F)를 개폐한다. 개폐유닛(40)의 일예로, 개폐유닛(40)은 배기유로(F)를 개폐하는 개폐부재(41)와, 개폐부재(41)가 배기유로(F)를 개폐하도록 개폐부재(41)를 움직이는 개폐부재구동유닛(42)을 포함한다. 개폐부재(41)는 밸브몸체(30)의 배기유로(F) 개폐공간부(31)에서 움직이면서 배기유로(F)의 제2 유로(33)를 개폐함에 의해 배기유로(F)를 개폐한다. 즉, 개폐부재(41)가 개폐공간부(31)의 바닥면에 구비된 밸브시트(34)에 접촉되면 제2 유로(33)가 막히게 되고 개폐부재(41)가 개폐공간부(31)의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제2 유로(33)를 열게 된다. 개폐부재구동유닛(42)의 일예로, 개폐부재구동유닛(42)는 제어유닛(60)의 제어에 따라 개폐부재(41)를 움직이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재구동유닛(42)은 밸브몸체(3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유닛(50)은 용기(10) 상부에 채워지는 기체의 양을 감지한다. 감지유닛(50)의 일예로, 감지유닛(50)은 용기(1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감지봉(51)과, 감지봉(51)에 상하로 움직인 가능하게 구비되어 용기(10) 내부의 액체 면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부유체(52)와, 부유체(52)의 상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유닛(60)으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감지센서(53)를 포함한다. 감지봉(51)은 밸브몸체(3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봉(51)의 상단부가 밸브몸체(30)의 결합되어 감지봉(51)이 용기(10)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다. 부유체(5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부유체(52)의 내부 구멍에 감지봉(51)이 삽입되게 부유체(52)가 감지봉(51)에 결합된다. 위치감지센서(53)는 하부센서(S1)와 상부센서(S2)를 포함하며, 하부센서(S1)와 상부센서(S2)의 사이에 부유체(52)가 위치하도록 하부센서(S1)가 감지봉(51)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부센서(S2)가 부유체(52)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감지봉(51)에 구비된다. 부유체(52)가 하부센서(S1)에 접촉된 상태에서 부유체(52)의 상면과 상부센서(S2)가 설정된 거리를 두고 떨어지도록 상부센서(S2)가 감지봉(51)에 위치한다.
용기(10)의 상부에 채워지는 공기의 양이 많아져 그에 대한 공기 압력의 증가로 용기(10)의 내부에 채워지는 액체의 수면(액면)이 낮아지게 되면 그에 따라 부유체(52)가 감지봉(51)을 따라 아래로 움직이게 되어 하부센서(S1)에 접촉되고, 용기(10)의 상부에 채워진 공기의 양이 적어져 그에 대한 공기 압력의 저하로 용기(10) 내부에 채워지는 액체의 수면(액면)이 높아지게 되면 그에 따라 부유체(52)가 감지봉(51)을 따라 위로 움직이게 되어 상부센서(S2)에 접촉된다.
제어유닛(60)은 감지유닛(50)의 감지신호에 따라 개폐유닛(40)을 제어한다. 즉, 용기(10)의 상부에 채워지는 공기의 양이 많아져 용기(10) 상부의 공기 압력 증가로 부유체(52)가 하부센서(S1)에 접촉되면 제어유닛(60)에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개폐유닛(40)이 밸브몸체(30)의 배기유로(F)를 열게 되고, 밸브몸체(30)의 배기유로(F)가 열리게 됨에 따라 용기(10) 상부에 채워진 공기가 배기유로(F)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용기(10) 상부의 공기 압력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부유체(52)가 상부센서(S1)에 접촉되면 제어유닛(60)에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개폐유닛(40)이 밸브몸체(30)의 배기유로(F)를 닫게 된다. 제어유닛(60)은 개폐유닛(40)의 솔레노이드를 제어한다. 제어유닛(60)에 디스플레이장치(70)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제어유닛(60)은 개폐유닛(40)이 밸브몸체(30)의 배기유로(F)를 개폐하는 횟수를 데이터화하고, 그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디스플레이유닛(70)을 통해 용기(10)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디스플레이(표시)한다. 이때, 개폐유닛(40)이 한 번 개폐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미리 입력시켜 개폐유닛(40)이 단위 시간 동안 밸브몸체(30)의 배기유로(F)를 개폐하는 횟수가 입력되면 단위 시간 동안 공기의 배출량을 표시할 수 있게 되며, 그 공기의 배출량은 용기(10) 내부에 발생되는 공기의 양이 된다. 한편, 제어유닛(60)에서 개폐유닛(40)이 배기유로를 오픈시킨 시간과 단위 시간 동안 배기유로(F)를 개폐한 횟수를 데이터화하여 공기의 배출량을 표시할 수 있다.
감지유닛(50)의 다른 실시예로, 감지유닛(50)은 용기(10) 상부의 기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54)를 포함한다. 압력센서(5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밸브몸체(30)의 하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압력센서는 용기(10)의 상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압력센서(54)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감지신호를 제어유닛(60)에 보내게 되고, 또한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가 되면 감지신호를 제어유닛(60)에 보내게 된다. 제어유닛(60)은 압력센서(54)에 의해 전달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개폐유닛(40)을 개폐한다.
밸브몸체(30)의 배기유로(F)에 외부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유닛(8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역류방지유닛(8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유로(F)의 제1 유로(32)에 그 제1 유로(32)의 내경 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확개공간부(35)와, 확개공간부(35)의 개폐공간부(31)쪽에 결합되며 내부에 관통구멍이 구비된 스토퍼부재(81)와, 확개공간부(35)에 움직임 가능하게 위치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볼 형상의 볼부재(82)를 포함한다. 스토퍼부재(81)의 관통구멍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돌기(81a)들이 구비되어 용기(10)측의 공기가 가압할 경우 볼부재(82)가 스토퍼부재(81) 쪽으로 이동하여 돌기(81a)들에 지지된 상태에서 돌기(81a)들의 사이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게 되고, 외부의 공기가 제2 유로(33)와 개폐공간부(31)로 유입되면 볼부재(82)가 확개공간부(35)의 용기(10)측 구멍으로 이동하여 제1 유로(32)를 막게 되어 외부 공기가 용기(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용기(10)의 유입구(11)와 유출구(12)에 각각 연결된 액체유입관(P1)과 액체유출관(P2)은 각각 액체가 유동하거나 순환 유동하거나 배관시스템에 연결된다. 즉, 액체유입관(P1)은 배괸시스템의 배관 한쪽에 연결되고 액체유출관(P2)은 배관의 다른 한쪽에 연결되어 배관시스템의 배관을 통해 유동하는 액체는 액체유입관(P1)을 통해 용기(10) 내부로 유입되고 액체유출관(P2)을 통해 배관시스템의 배관으로 유동하게 된다. 배관시스템은 가정용 보일러의 배관시스템, 화력발전소의 배관시스템, 상수도 배관시스템이, 오수배출 배관시스템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를 배관시스템에 설치한 상태에서, 배관시스템을 통해 흐르는 액체가 액체유입관(P1)을 통해 용기(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용기(10) 내부의 기포분리유닛(20)을 거치면서 액체유출관(P2)을 통해 배관시스템으로 흐르게 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유입관(P1)을 통해 용기(10) 내부로 유입된 액체가 용기(10) 내부에서 압력이 낮아지게 됨과 아울러 기포분리유닛(20)을 거치면서 액체에 포함된 기포들이 기포분리유닛(20)에 의해 걸려 용기(10)의 상측으로 부유되어 용기(10)의 상부에 채워지게 된다. 용기(10)의 상부에 기포들의 공기가 채워짐에 따라 공기의 양이 증가하고 용기(10)의 상부의 공기 압력이 증가하여 용기(10)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수위가 내려가게 된다. 용기(10)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수위가 내려감에 따라 감지유닛(50)의 부유체(52)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하부센서(S1)에 접촉되면 감지신호를 제어유닛(60)에 보내고 그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유닛(60)이 개폐유닛(40)의 개폐부재(41)를 움직여 밸브몸체(30)의 배기유로(F)를 열게 된다. 밸브몸체(30)의 배기유로(F)가 오픈됨에 따라 용기(10) 내부에 채워진 기포들의 공기가 배기유로(F)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용기(10) 내부에 채워진 기포들의 공기가 배기유로(F)를 통해 외부로 배기됨에 따라 용기(10) 내부의 공기 양이 적어지게 되어 공기 압력이 떨어지게 되어 용기(10)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수위가 올라가게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수위가 올라감에 따라 부유체(52)가 위로 이동하면서 상부센서(S2)에 접촉되면 감지신호를 제어유닛(60)에 보내고 그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유닛(60)이 개폐유닛(40)의 개폐부재(41)를 움직여 밸브몸체(30)의 배기유로(F)를 막게 된다. 밸브몸체(30)의 배기유로(F)가 막게 됨에 따라 용기(10) 내부에 기포들의 공기가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면서 배관시스템의 배관을 따라 흐르는 액체에 포함된 기포들을 배관시스템의 외부로 배기시킨다.
한편, 제어유닛(60)에서 단위 시간 동안 개폐유닛(40)을 개폐하는 횟수를 데이터화하여 단위 시간 동안 배관시스템에서 배출시킨 공기의 양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관시스템에서 발생되는 기포의 양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용기(10)에 유입구(11)와 유출구(12)가 구비되고 용기(10)의 내부에 기포분리유닛(20)이 구비되므로 기포들을 포함한 액체가 유입구를 통해 용기(10) 내부로 유입되면서 압력이 저하됨과 아울러 용기(10)의 상부로 액체의 노출면적이 넓게 되고 또한 기포분리유닛(20)에 의해 액체에 포함된 기포들이 액체에서 충분히 분리되어 용기(1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기포들이 제거된 액체만이 용기(10)의 유출구(12)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용기(10)를 통해 빠져나가는 액체에 기포들이 제거되어 액체가 배관시스템을 유동하는 과정에서 소음 발생이 방지되고 유동 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10)의 상부에 채워진 기포의 공기가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제어유닛(60)의 제어에 의해 개폐유닛(40)이 배기유로(F)를 열어 용기(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용기(10)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어 용기(10)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가 되면 제어유닛(60)의 제어에 의해 개폐유닛(40)이 배기유로(F)를 닫게 되므로 용기(10) 내부에 채워진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액체에 포함된 기포들의 배출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배관시스템의 주요 부분에서 기포 발생량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유닛(40)이 밸브몸체(30)의 배기유로(F)를 항상 닫고 있고, 또한 개폐유닛(40)이 밸브몸체(30)의 배기유로(F)를 열게 될 때 용기(10)의 상부에 공기가 설정량 이상 채워져 용기(10)에 채워진 액체의 수위가 낮아진 상태에서 공기가 배기유로(F)를 통해 빠져나가고 용기(10)의 상부의 공기가 설정량 이하가 되면 개폐유닛(40)이 밸브몸체(30)의 배기유로를 막게 되어 용기(10) 내부에 채워진 액체가 배기유로(F)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0; 용기 20; 기포분리유닛
30; 밸브몸체 40; 개폐유닛
50; 감지유닛 60; 제어유닛

Claims (2)

  1.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가 배관시스템의 배관에 연결되는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유출구로 유출되는 액체에 포함된 기포를 상기 용기 내부 상측으로 유도하는 기포분리유닛;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 상측에 유도되는 기포의 기체가 용기 밖으로 배기되는 배기유로가 구비된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의 배기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유닛;
    상기 용기의 내부 상측의 기체 양의 변화에 따른 압력 변화로 용기 내부의 액체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유닛;
    상기 용기의 내부 상측의 압력이 증가하여 상기 감지유닛에서 액체의 수위가 하부 설정치인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개폐유닛이 배기유로를 열어 상기 용기의 내부 상측의 기체를 배기시키고, 상기 용기의 내부 상측의 압력이 감소하여 상기 감지유닛에서 액체의 수위가 상부 설정치인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개폐유닛이 배기유로를 닫도록 상기 개폐유닛을 제어하며, 상기 개폐유닛의 단위시간당 개폐한 횟수를 데이터화하는 제어유닛;
    상기 제어유닛에서 데이터화한 데이터를 근거로 시간당 배기되는 기체의 양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감지봉과, 상기 감지봉에 상하로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액체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의 상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유닛으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부유체의 하부 설정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하부센서와, 상기 부유체의 상부 설정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상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유로는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개폐공간부와, 상기 밸브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와 개폐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1 유로와, 상기 밸브몸체에 구비되어 개폐공간부의 바닥면과 밸브몸체의 측면을 연통시키는 제2 유로와, 상기 개폐공간부 바닥면의 제2 유로의 구멍 테두리에 돌출 형성된 밸브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유닛은 배기유로의 개폐공간부에서 움직이면서 상기 밸브시트에 접촉되거나 그 접촉이 떨어지면서 배기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배기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개폐부재를 움직이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
  2. 상기 밸브몸체의 배기유로에 외부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유닛은 상기 배기유로의 제1 유로에 상기 제1 유로의 내경 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확개공간부와, 상기 확개공간부의 개폐공간부 쪽에 결합되며 내부에 관통구멍이 구비된 스토퍼부재와, 상기 확개공간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위치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볼 형상의 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재의 관통구멍 가장자리에 상기 볼부재가 접촉되는 복수 개의 돌기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
KR1020180071982A 2018-06-22 2018-06-22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 KR20180072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982A KR20180072649A (ko) 2018-06-22 2018-06-22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982A KR20180072649A (ko) 2018-06-22 2018-06-22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230A Division KR102052614B1 (ko) 2015-12-07 2015-12-07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649A true KR20180072649A (ko) 2018-06-29

Family

ID=62780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982A KR20180072649A (ko) 2018-06-22 2018-06-22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26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942A (ko) * 2021-03-17 2022-09-2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시료의 수소 투과 특성 평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942A (ko) * 2021-03-17 2022-09-2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시료의 수소 투과 특성 평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627B2 (en) Low liquid level detecting device and method
EP2682727B1 (en) Leakage Detection Device Using Siphon Principle
KR20170066956A (ko)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
KR20130008377A (ko) 지하수 유출량 및 함양량을 연속 계측할 수 있는 유입출 측정장치
KR20180072649A (ko)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
CN209945493U (zh) 一种维持液位平稳的液位筒结构
KR20190048889A (ko) 착유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JP2006316940A (ja) 排気弁
JP3909893B2 (ja) 油水分離装置
JP2835669B2 (ja) スチ―ムトラップの作動判定装置
JPH0316027Y2 (ko)
CN218725042U (zh) 一种气密性检测装置
SU7590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епрерывного определени удельного веса жидкости
JP4001967B2 (ja) 油水分離装置
JPH0326420Y2 (ko)
CN201527300U (zh) 用于液面限位的出气装置
JPH0320733Y2 (ko)
JP3909892B2 (ja) 油水分離装置
SU79350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чета количестваМОлОКА B пРОцЕССЕ дОЕНи
JPS62212522A (ja) 流量測定装置
JPH0654160B2 (ja) 蒸気漏れ量測定機構を備えたスチームトラップ
JP4397459B2 (ja) 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の作動判定器
SU1103078A1 (ru) Дозатор жидкости
CN112903522A (zh) 流体密度测量方法及设备
JPH012451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