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557A - Harvesting machine - Google Patents

Harvest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557A
KR20180072557A KR1020170172361A KR20170172361A KR20180072557A KR 20180072557 A KR20180072557 A KR 20180072557A KR 1020170172361 A KR1020170172361 A KR 1020170172361A KR 20170172361 A KR20170172361 A KR 20170172361A KR 20180072557 A KR20180072557 A KR 20180072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operating
arm
operated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3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6159B1 (en
Inventor
도모노리 다나카
마코토 미야자키
다츠야 기타노
다쿠미 구리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47612A external-priority patent/JP6861024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90588A external-priority patent/JP6847014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80072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5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1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2Protection against wea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10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with locking and release means, e.g. providing parking brake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Obtained is a parking brake operating structure responding to a change in operating portion posture in a harvesting machine whose operating portion is switchable between normal and maintenance postures. A link mechanism (21) linking a brake operating tool (12) and a parking brake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tool side part (17) on the brake operating tool (12) side and a brake side part (19) on the parking brake side. When the operating portion is switched to the maintenance posture side, the operating tool side part (17) and the brake side part (19) are separated. A surface member (19b) and a moving member (18) are provided at one and the other of the operating tool side part (17) and the brake side part (19). When the brake operating tool (12)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in the normal posture of the operating portion, the moving member (18) moves on the surface member (19b) and the parking brake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At the initiation of the change of the operating portion to the maintenance posture side, a direction C2 of the initial move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and a movement direction C1 of the moving member (18) cross each other.

Description

수확기{HARVESTING MACHINE}Harvesting machine {HARVESTING MACHINE}

본 발명은 운전부가, 주행 시의 통상 자세와 통상 자세로부터 이격된 메인터넌스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기체 본체에 구비된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vester provided on a base body so that an operation portion can change attitudes in a maintenance posture spaced apart from a normal posture and a normal posture during running.

또한, 본 발명은 수확기에 있어서, 기체에 지지된 작업 장치(예취부나 탈곡 장치 등)의 작업 상태를 변경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changing the working state of a working device (such as a cut-out portion or a threshing device) supported by a base in a harvester.

콤바인 등의 수확기에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행 장치를 제동하는 주차 브레이크가 기체 본체에 구비되고, 운전부에 구비된 브레이크 페달과, 주차 브레이크가 링크 기구에 의해 기계적으로 접속된 것이 있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을 답입 조작함으로써, 주차 브레이크를 제동측으로 조작할 수 있다.BACKGROUND ART [0002] In a harvester such as a combine,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 parking brake for braking a traveling device is provided in a base body, and a brake pedal provided in a driving section and a parking brake are mechanically connected There is. Thereby, the parking brake can be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by depressing the brake pedal.

또한, 수확기의 일례인 콤바인에서는, 예취부(작업 장치에 상당) 및 탈곡 장치(작업 장치에 상당)가 기체에 지지되며, 예취부에 동력을 전동 및 차단 가능한 예취 클러치 및 탈곡 장치에 동력을 전동 및 차단 가능한 탈곡 클러치가 구비되어 있다.Further, in the combine which is an example of the harvester, the preloa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orking device) and the thresh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working device) are supported by the base, and th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cutting clutch and the threshing device, And a blockable thresher clutch.

예취 클러치 및 탈곡 클러치의 조작계의 구조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것이 있다.As a structure of an operating system of a shearing clutch and a threshing clutch, there is on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에서는, 운전부의 조작 패널의 횡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로, 조작 레버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조작 레버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예취 클러치 및 탈곡 클러치를 조작하는 전동 모터가 구비되어 있고, 조작 레버를 조작하면, 리미트 스위치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가 작동하여, 예취 클러치 및 탈곡 클러치가 입력 상태 및 단절 상태로 조작된다.In Patent Document 1, an operation lever is pivotally supported around a pivot axis of a lateral direction of an operation panel of the operation section, and a limit switch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lever is provided. The electric motor is operated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limit switch when the operation lever is operated so that the cut-off clutch and the descending clutch are operated in the input state and the disconnection state .

일본 특허 공개 제2012-61977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6 (1996) -1977 일본 특허 공개 제2011-92093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92093

운전부를 통상 자세 및 메인터넌스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비한 수확기에 있어서, 특허문헌 1과 같이, 기체 본체에 주차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운전부에 브레이크 조작구를 구비한 경우에, 브레이크 조작구와 주차 브레이크를 접속하는 링크 기구에, 운전부의 자세 변경에 대응한 적절한 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In the harvester provided with the operation section in a posture and a posture changeable manner in a normal posture and a maintenance attitude, in the case where the vehicle body is provided with a parking brake and the operation section is provided with a brake operation port as in Patent Document 1,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link mechanism for connecting the link mechanism with an appropriat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change of the operation section.

본 발명은 운전부를 통상 자세 및 메인터넌스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비한 수확기에 있어서, 운전부의 브레이크 조작구와 기체 본체의 주차 브레이크를 접속하는 링크 기구에, 운전부의 자세 변경에 대응한 적절한 구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vester provided with a posture changeable operating section in a normal posture and a maintenance posture so as to obtain an appropriat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change of the operation section in a link mechanism for connecting the brake operation port of the operation section and the parking brake of the gas- Purpose.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조작 레버의 기부에 부채형의 조작판이 하향으로 연결되며, 조작판의 하방에 복수개의 리미트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고,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조작판이 요동하여, 리미트 스위치가 조작된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2, a fan-shaped operation plate is connected downward at the base of the operation lever, and a plurality of limit switches are arranged below the operation plate. The operation plate is pivo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

이에 의해, 특허문헌 2에서는, 조작 레버의 기부의 하방에, 조작판이나 리미트 스위치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로 되고 있으므로, 조작 레버의 부근의 공간 절약화라는 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Thus, in Patent Document 2, space for arranging the operation plate and the limit switch is required below the base portion of the operation lever, so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space saving in the vicinity of the operation lever.

본 발명은 조작 레버의 조작에 기초하여 작업 장치의 작업 상태를 액추에이터에 의해 변경하는 수확기에 있어서, 조작 레버의 부근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space in the vicinity of the operating lever in a harvester for changing the working state of the working apparatus by the actuator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본 발명의 특징은, 운전부가, 주행 시의 통상 자세와 통상 자세로부터 이격된 메인터넌스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한 상태에서 기체 본체에 지지된 수확기에 있어서, 이하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at a harvester supported on a bas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section is capable of changing postures in a maintenance attitude spaced from a normal posture during traveling and a normal posture is as follows.

상기 기체 본체에 지지되며, 주행 장치를 제동하는 주차 브레이크와,A parking brake supported by the base body for braking the traveling device,

상기 운전부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브레이크 조작구와,A brake operating part installed in the operating part and operating the parking brake;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와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연계하는 링크 기구가 구비되고,And a link mechanism that links the brake operating member and the parking brake,

상기 링크 기구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측의 조작구측 부분과 상기 주차 브레이크측의 브레이크측 부분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Wherein the link mechanism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port side portion on the brake operation port side and a brake-side portion on the parking brake side in a detachable manner,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로부터 상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면, 상기 조작구측 부분과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이 분리되어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와 상기 주차 브레이크의 연계가 해제되도록 구성되고,Wherein when the operating portion is changed from the normal attitude to the maintenance attitude side, the operating-port side portion and the brake-side por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linkage between the brake operating port and the parking brake is released,

상기 조작구측 부분 및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 중 한쪽에 면 부재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조작구측 부분 및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 중 다른 쪽에 이동 부재가 구비되고,A face member is provided on one of the operating-port side portion and the brake-side portion, and a mov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operation-port side portion and the brake-side portion,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일 때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면 부재 상을 이동하여, 상기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고,When the brake operating section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when the operating section is in the normal posture, the shifting member is moved on the surface member, the parking brake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로부터 상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상기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과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이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initial movement direction of the operation section and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movable member cross when the operation section starts changing from the normal posture to the maintenance posture side.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부가 통상 자세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면, 이동 부재가 면 부재 상을 이동함으로써, 브레이크 조작구의 조작 궤적과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부의 조작 궤적의 차가 무리없이 흡수되면서, 브레이크 조작구의 제동측으로의 조작이, 조작구측 부분, 이동 부재 및 면 부재, 브레이크측 부분을 통해 주차 브레이크에 전달되어,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측으로 조작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rake operating member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member is positioned in the normal posture, the moving member is moved on the face member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eration locus of the brake operating member and the operation locus of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parking brake The operation to the braking side of the brake operating member is transmitted to the parking brake via the operating member side portion, the shifting member, the face member and the brake side portion, and the parking brake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다음에 운전부가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되면,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브레이크 조작구와 주차 브레이크의 연계가 해제된다.Next, when the operating portion is changed to the maintenance attitude, the shifting member and the face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linkage between the brake operating member and the parking brake is released.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부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과,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이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운전부가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되면,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으로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서로 이격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section is changed from the normal posture to the maintenance posture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initial movement of the operation section is set so as to intersect with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When the operation section is changed to the maintenance posture, The moving member and the surface memb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에 의해, 운전부가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될 때에,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무리없이 이격될 수 있는 것이며,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이격될 때에 링크 기구가 손상을 받는 일은 없다.Thereby, when the operating portion is changed to the maintenance attitude, the shifting member and the face member can be spaced apart without affecting each other, and the link mechanism is not damaged when the shifting member and the face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부가 통상 자세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조작구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를 무리없이 제동측으로 조작할 수 있고, 브레이크 조작구와 주차 브레이크를 접속하는 링크 기구에 손상을 주지 않고, 운전부를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수확기의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portion is positioned in the normal posture, the parking brake can be smoothly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by the brake operating member and the link mechanism for connecting the brake operating portion and the parking brake is damage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operation section to the maintenance attitude, and the maintenance of the harvester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있어서,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한쪽은, 면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다른 쪽은, 상기 면 부재 상을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Wherein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constituted by a surface member and the other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constituted by a moving member which is movable on the surface member,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일 때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면 부재 상을 이동하여, 상기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고,When the brake operating section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when the operating section is in the normal posture, the shifting member is moved on the surface member, the parking brake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로부터 상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상기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과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이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rection of the initial movement of the operation section when the operation section starts changing from the normal posture to the maintenance posture is set so as to intersect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면, 이동 부재가 면 부재 상을 이동함으로써, 브레이크 조작구의 조작 궤적과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부의 조작 궤적의 차가 무리없이 흡수되면서, 브레이크 조작구의 제동측으로의 조작이, 조작구측 부분, 이동 부재 및 이면 부재, 브레이크측 부분을 통해 주차 브레이크에 전달되어,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측으로 조작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rake operating member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the moving member is moved on the face member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erating locus of the brake operating member and the operating locus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parking brake is absorbed without fail, The operation is transmitted to the parking brake via the operating-unit side portion, the shifting member, the back member, and the brake-side portion, and the parking brake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부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과,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이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운전부가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되면,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으로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서로 이격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section is changed from the normal posture to the maintenance posture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initial movement of the operation section is set so as to intersect with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When the operation section is changed to the maintenance posture, The moving member and the surface memb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에 의해, 운전부가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될 때에,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무리없이 이격될 수 있는 것이며,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이격될 때에 링크 기구가 손상을 받는 일은 없다.Thereby, when the operating portion is changed to the maintenance attitude, the shifting member and the face member can be spaced apart without affecting each other, and the link mechanism is not damaged when the shifting member and the face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르면, 브레이크 조작구와 주차 브레이크를 접속하는 링크 기구에 손상을 주지 않고, 운전부를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수확기의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operation section to the maintenance attitude without damaging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the brake operation port and the parking brake, thereby improving the maintenance of the harvester.

본 발명에 있어서,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과 상기 이동 방향이 직교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rection of the initial movement of the operation portion and the movement direction are orthogonal.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부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과,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이 직교함으로써, 운전부가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될 때에,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또한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무리없이 이격될 수 있어,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이격될 때에 링크 기구가 더욱 손상을 받기 어려워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section is changed from the normal posture to the maintenance posture direction, the initial movement direction of the operation section is orthogonal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movable member, so that when the operation section is changed to the maintenance posture, And can be spaced apart without affecting each other, so that the link mechanism is less likely to be damaged when the movable member and the surface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있어서,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는,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의 조작부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는 기체 좌우 방향의 제1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고,Wherein the brake operating member is capable of swinging around a first axi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base body, which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brake operating member,

상기 조작구측 부분에, 상기 제1 축심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기체 전방측을 향하여 팽출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축심 주위로 상하로 요동하는 아암 부재가 구비되고,And an arm member swinging up and down around the first shaft center by the operation of the brake operating tool, the arm member swinging upward and downward about the first axis center, Respectively,

상기 운전부의 바닥부에, 상기 아암 부재가 관통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 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고,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rm member passes is formed in a bottom portion of the operation unit, the arm memb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상기 아암 부재의 하측 단부에 상기 제1 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ember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arm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호 형상의 아암 부재가 관통 구멍을 통과하므로, 직선 형상의 아암 부재를 채용하는 것에 비해, 관통 구멍의 전후 방향에서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조작구로부터 아암 부재에 전달되는 조작력을 브레이크측 부분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주차 브레이크를 제동측으로 가볍게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rc-shaped arm member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the size of the through-ho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inear arm member is employed. Further, since the operat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brake operating opening to the arm member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brake side portion, the parking brake can be lightly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본 발명에 있어서,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에, 기체 좌우 방향의 제2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한 요동 부재가 구비되고,And a pivotal member capable of pivoting about a second axi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ase body is provided on the brake side portion,

상기 요동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축심보다도 상측의 부분에,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한쪽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요동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축심보다도 하측의 부분에, 상기 주차 브레이크에 연계된 작용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Wherein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swinging member that is higher than the second axis and the portion of the swinging member which is lower than the second axis, It is suitable if the operating portion associated with the parking brake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축심보다도 전방측의 부분에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한쪽을 구비하고, 제2 축심보다도 후방측의 부분에 작용부를 구비하는 요동 부재를 채용하는 것에 비해, 요동 부재의 설치에 필요한 전후 방향 스페이스를 소스페이스로 하면서, 요동 부재의 역점측과 작용점측의 링크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작용부가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에 필요한 스트로크를 작동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확실하게 제동 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nging member having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on the front side than the second axis and having the acting portion on the rear side portion than the second axis is employed,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set the link between the point of intersection of the swinging member and the point of the action point while operating the strok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brake so that the parking brake can reliably be set in the braking state .

본 발명에 있어서,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롤러 부재이면 적합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member is a roller member that rotates about an axis center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moving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부가 통상 자세로 위치하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었을 때, 롤러 부재가 면 부재 상을 구르는 상태로 되므로, 브레이크 조작구의 조작 궤적과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부의 조작 궤적의 차가, 더욱 무리없이 원활하게 흡수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rake operating section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section is positioned in the normal posture, the roller member rolls on the surface member, so that the operation locus of the brake operating opening and the operation locus Is absorbed smoothly more smoothly.

본 발명에 있어서,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체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를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기구가 구비되고,And a holding mechanism provided in the base body for holding the brake operating opening in a braking operation state,

상기 유지 기구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 또는 상기 조작구측 부분에 걸림 결합하여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를 상기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를 걸림 결합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가 구비되고,A retaining member for retaining the brake operating port in the braking operation state by engaging with the brake operating port or the operating port side portion of the holding mechanism and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holding member to the engaging side,

상기 유지 부재를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조작하는 해제 조작구가,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 또는 상기 조작구측 부분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release operation port for operating the retaining member to the engagement disengagement side is supported by the brake operation port or the operation port side portion.

수확기에 있어서, 주차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조작구를 구비한 경우, 브레이크 조작구를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In a harvester provided with a parking brake and a brake operating member, there is a case where a holding mechanism for holding the brake operating member in a braking operation state is provided.

기체 본체에 주차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운전부에 브레이크 조작구를 구비한 상태에 있어서, 운전부를 통상 자세 및 메인터넌스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한 경우, 전술한 유지 기구를 운전부에 구비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In the case where the opera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parking brake in the base body and the brake portion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portion and the operation portion is configured to be posture changeable in the normal posture and the maintenance posture, There is something to show.

예를 들어,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운전부를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하면, 브레이크 조작구와 유지 기구가 운전부에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브레이크 조작구는 유지 기구에 의해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반해, 기체 본체에 구비된 주차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조작구와의 연계가 해제됨으로써 해제측으로 조작된다.For example, when the operating section is changed to the maintenance attitude while the brake operating section is maintained in the braking operating state, the brake operating section and the holding mechanism are provided in the operating section, Lt; / RTI > On the other hand, the parking brake provided on the base body is operated to the releasing side by releasing the connection with the brake operating part.

전술한 상태에서, 다음에 운전부를 통상 자세로 변경하면,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 브레이크 조작구와, 해제측으로 조작된 주차 브레이크가 연계 상태로 되돌려지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state, when the operating portion is next changed to the normal posture, the brake operating portion held in the braking operation state and the parking brake operated in the releasing side are returned to the engaged state.

이 경우, 제동측 및 해제측이라는 차이에 의해, 이동 부재와 면 부재의 상태가 서로 다르게 되어,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잘 연계 상태, 즉 이동 부재가 면 부재 상을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In this case,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aking side and the releasing side, the state of the shifting member and the face member ar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shifting member and the face member are returned to a state of being in a state of being in a state of being in a state of being in good contac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will not.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유지 기구를 기체 본체에 구비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ing mechanism is provided in the base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과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운전부를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하면, 운전부에 구비된 브레이크 조작구와 기체 본체에 구비된 유지 기구가 이격됨으로써, 브레이크 조작구는 해제측으로 조작되는 것이며, 기체 본체에 구비된 주차 브레이크도, 브레이크 조작구와의 연계가 해제됨으로써 해제측으로 조작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section is changed to the maintenance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brake operation port is maintained in the braking operation state, the brake operation port provided in the operation section and the holding mechanism provided in the base bod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operating lever is operated to the releasing side, and the parking brake provided on the base body is also operated to the releasing side by releasing the connection with the brake operating lever.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상태에서, 다음에 운전부를 통상 자세로 변경하면, 해제측으로 조작된 브레이크 조작구와, 해제측으로 조작된 주차 브레이크가 연계 상태로 되돌려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section is changed to the normal posture in the above-described state, the brake operation port operated to the release side and the parking brake operated to the release side are returned to the linked state.

이 경우, 브레이크 조작구와 주차 브레이크가 동일한 해제측으로 조작되어 있으므로,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동일한 해제측의 상태로 되어,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연계 상태, 즉 이동 부재가 면 부재 상을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무리없이 되돌아갈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brake operation member and the parking brake are operated to the same releasing side, the shifting member and the face member are in the same release side state, and the shifting member and the face member are in the engaged state, It is possible to return without fail.

본 발명에 따르면,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해제 조작구에 의해 유지 기구의 유지 부재를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조작하여, 유지 기구를 해제 상태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이며, 브레이크 조작구를 해제측으로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rake operating member is held in the braking operation state, the holding member of the holding mechanism can be operated to the engagement disengagement side by the disengagement operating member to operate the holding mechanism in the disengaged state, The operation opening can be operated to the release side.

이 경우, 해제 조작구가 브레이크 조작구 또는 링크 기구의 조작구측 부분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해제 조작구가 브레이크 조작구에 접근하여 배치되는 상태로 되어, 해제 조작구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releasing operation opening is supported by the operation opening of the brake operation opening or the link mechanism, the releasing operation opening is brought close to the brake operation opening so that the releasing operation opening can be easily operated.

본 발명의 특징은, 수확기에 있어서 이하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at the harvester is constructed as follows.

운전부의 조작 패널에 배치되며, 횡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의 요동 조작에 의해 작업 장치의 작업 상태의 변경을 지령하는 조작 레버와,An operation lever which is arranged on an operation panel of the operation section and which instructs a change of the working state of the work device by a swinging operation about a swinging central axis in a lateral direction,

상기 조작 패널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 레버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 각도 검출 센서와,A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disposed inside the operation panel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lever;

상기 회전 각도 검출 센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장치의 작업 상태를 변경하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되고,And an actuator for changing the working state of the working device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signal of the rotation angle detecting sensor,

상기 회전 각도 검출 센서는, 상기 요동 축심 상에 배치되어 있다.The rotation angle detecting sensor is disposed on the swing axis.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각도 검출 센서에 의해 조작 레버의 회전 각도를 검출함으로써,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며, 조작 레버의 요동 축심 상의 위치에, 회전 각도 검출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lever is detected by detec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lever by the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and the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is disposed at the position on the swing axis of the operation lever.

이에 의해, 요동 축심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요동 축심과 회전 각도 검출 센서가 중복되는 상태로 되므로, 회전 각도 검출 센서가 요동 축심으로부터 하방으로 크게 나오는 일이 없어, 조작 레버의 부근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wing axis and the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the swing axis, so that the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does not protrude downward from the swing axis and the space is saved. can do.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레버의 하방의 영역을 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조작 레버의 하방에 다른 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회전 각도 검출 센서의 영향을 받지 않고 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under the operation lever can be widely used, and it is possible to arrange another device below the operation lever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본 발명에 있어서,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조작 레버를 복수의 조작 위치에 유지하는 디텐트 기구가 구비되고,And a detent mechanism for holding the operation lever at a plurality of operation positions,

상기 조작 레버에, 파지부와, 상기 요동 축심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아암부와, 상기 제1 아암부의 상측 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는 제2 아암부가 구비되고,Wherein the operation lever includes a grip portion, a first arm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swing axis, and a second arm portion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arm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상기 디텐트 기구는, 상기 제1 아암부의 측방 중 상기 제1 아암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아암부가 연장되는 측의 측방, 또한, 상기 제2 아암부의 하방의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아암부 또는 상기 제2 아암부에 걸림 결합하여, 상기 조작 레버를 위치 유지하면 적합하다.The detent mechanism is disposed on a side of the side of the first arm portion where the second arm portion extends from the first arm portion and also in a region below the second arm portion, Or engaging with the second arm portion to hold the operating lever in posi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레버에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를 구비하여, 조작 레버에 구부러진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lever is provided with the first arm portion and the second arm portion, and the operating lever is provided with the bent portion.

이와 같은 조작 레버에 있어서, 조작 레버를 복수의 조작 위치에 유지하는 디텐트 기구를 구비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아암부에 대하여 제2 아암부가 연장되는 측의 측방에서 제2 아암부의 하방의 영역에, 디텐트 기구를 배치하고 있고, 디텐트 기구가 제1 아암부 또는 제2 아암부에 걸림 결합하여 조작 레버의 위치 유지를 행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lever is provided with a detent mechanism for holding the operation lever at a plurality of operation positions, the second arm portion is extended from the side of the second arm portion to the first arm portion, A detent mechanism is disposed in a region below the detent mechanism, and the detent mechanism is engaged with the first arm portion or the second arm portion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lever.

이상과 같이, 조작 레버에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에 의한 구부러진 부분을 구비한 경우, 조작 레버의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에 둘러싸인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디텐트 기구를 무리없이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ion lever is provided with the bent portion formed by the first arm portion and the second arm portion, by effectively using the region surrounded by the first arm portion and the second arm portion of the operation lever, It can be arranged compactly without difficulty.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운전부 및 그레인 탱크가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된 상태에서의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브레이크 페달, 요동 부재, 유지 기구 및 중립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브레이크 페달이 해제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의 브레이크 페달 및 요동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브레이크 페달이 제동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의 브레이크 페달 및 요동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작용 위치에서의 입력 핀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후퇴 위치에서의 입력 핀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은 브레이크 페달이 제동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의 유지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브레이크 페달이 해제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의 유지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중립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 구조를 갖는 콤바인에 있어서, 운전부 및 그레인 탱크가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된 상태에서의 전체 평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 구조를 갖는 콤바인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이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 연계 아암, 유지 기구, 변속 레버 및 중립 조작 기구의 부근의 사시도.
도 13은 다른 실시 구조를 갖는 콤바인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이 해제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 연계 아암, 유지 기구, 주차 브레이크, 변속 레버 및 중립 조작 기구의 부근의 측면도.
도 14는 다른 실시 구조를 갖는 콤바인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이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 연계 아암, 유지 기구, 주차 브레이크, 변속 레버 및 중립 조작 기구의 부근의 측면도.
도 15는 다른 실시 구조를 갖는 콤바인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이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해제 조작구가 답입 조작된 경우의 브레이크 페달, 연계 아암, 유지 기구, 주차 브레이크, 변속 레버 및 중립 조작 기구의 부근의 측면도.
도 16은 콤바인의 좌측면도.
도 17는 콤바인의 평면도.
도 18은 조작 패널의 부근의 우측면도.
도 19는 조작 레버의 부근의 평면도.
도 20는 도 19에 있어서의 V-V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21은 도 19에 있어서의 VI-VI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22은 제어 장치, 조작 레버, 전동 모터, 예취 클러치 및 탈곡 클러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조작 레버의 다른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4는 도 23에 있어서의 IX-IX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25은 조작 레버의 다른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Figure 1 is an overall side view of the combine.
Fig. 2 is an overall plan view of the combine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section and the grain tank are changed to a maintenance attitud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ke pedal, a swinging member, a holding mechanism, and a neutral operating mechanism.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brake pedal and the sw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brake pedal is operated to the release posi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brake pedal and the swing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brake pedal is operated to the braking posi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put pin member at the operating posi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put pin member at a retracted posi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holding mechanism in a state in which the brake pedal is operated to the braking posi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holding mechanism in a state in which the brake pedal is operated to the release position;
10 is a side view showing a neutral operation mechanism.
11 is an overall plan view of a combine having another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section and the grain tank are changed to the maintenance attitud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cinity of a brake pedal, a linkage arm, a retaining mechanism, a shift lever, and a neutral operating mechanism in a combine having another structure, in which the brake pedal is depressed to a braking position.
13 is a side view of a vicinity of the brake pedal, the linkage arm, the retaining mechanism, the parking brake, the shift lever, and the neutral operating mechanism in the state where the brake pedal is operated to the release position in the combine having another structure.
14 is a side view of a vicinity of the brake pedal, the linkage arm, the retaining mechanism, the parking brake, the shift lever, and the neutral operation mechanism in the state where the brake pedal is depressed to the braking position in the combine having another structure.
15 shows a combine having another structure; Fig. 15 shows a combine having another structure; Fig. 15 shows a combine having another structure; Fig. 15 shows a combine having another structure; A side view in the vicinity of the operating mechanism;
16 is a left side view of the combine.
17 is a plan view of the combine.
18 is a right side view in the vicinity of the operation panel;
19 is a plan view of the vicinity of the operating lever;
Fig. 2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in Fig. 19; Fig.
2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in Fig. 19;
22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ntrol device, an operation lever, an electric motor, a cut-off clutch, and a thresher clutch.
23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operation lever;
Fig. 2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in Fig. 23;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operation lever;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이하와 같이 기재하고 있다.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이 「전」이며, 후진측의 진행 방향이 「후」이다.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우」이며,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좌」이다.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follows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orward side in the traveling of the work is " before ",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ackward side is in the rear directio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is " right " and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is the " left "

(콤바인의 전체 구성)(Total composition of combine)

도 1 및 도 2에, 수확기의 일례인 벼용의 자탈형 콤바인이 도시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크롤러 형식의 주행 장치(2)에 의해 기체 본체(1)가 지지되어 있다. 기체 본체(1)의 전방부에 예취부(3)가 지지되고, 기체 본체(1)의 전방부의 우측부에, 캐빈으로 덮인 운전부(4)가 지지되어 있다. 기체 본체(1)의 후방부의 좌측부에 탈곡 장치(5) 및 배출 짚 세단 장치(6)가 지지되어 있고, 기체 본체(1)의 후방부의 우측부에 그레인 탱크(7) 및 곡립 배출 장치(8)가 지지되어 있다.Figs. 1 and 2 show a comb-type combine harvester for a rice, which is an example of a harvester, and the airframe main body 1 is supported by the right and left crawler type traveling devices 2. Fig. A preload portion 3 is support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body 1 and an operation portion 4 covered with a cabin is supported on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body 1. A grazing tank 5 and an exhaust straw sedimenting device 6 are supported on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base body 1 and a grain tank 7 and a grainy discharging device 8 ) Are supported.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의 곡간이 예취부(3)에 의해 예취되고, 예취된 곡간의 밑동이, 탈곡 장치(5)에 구비된 피드 체인(9)에 전달되어 후방측으로 반송되는 것이며, 곡간의 이삭 끝이 탈곡 장치(5)에 의해 탈곡 처리된다. 탈곡 장치(5)에 의해 탈곡 및 회수된 곡립이 그레인 탱크(7)에 공급되고, 탈곡 처리가 종료된 배출 짚이, 배출 짚 세단 장치(6)에 공급되어 세단 처리되어 포장에 방출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tructure of the package is cut by the preloading section 3, and the base of the cutaway section is fed to the feed chain 9 provided in the threshing device 5 And is conveyed to the rear side, and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is subjected to the threshing process by the threshing device 5. [ The ground grains thrown and recovered by the threshing device 5 are supplied to the grain tank 7, and the discharged straw finished with the threshing process is supplied to the discharged straw saddler 6, sedimented and discharged into the package.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배출 장치(8)는 그레인 탱크(7)의 곡립을 외부의 운반차 등에 배출하는 것이며, 기체 본체(1)의 후방부의 상하 방향의 종축심 P1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1 and 2, the grainy grain discharging device 8 discharges the grains of the grain tank 7 to an external conveyance car or the like, and is provided around the vertical axis P1 of the rear part of the base body 1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7)는 주행 시의 통상 자세 B1과, 통상 자세 B1로부터 이격된 메인터넌스 자세 B2로, 종축심 P1 주위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기체 본체(1)에 지지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7)를 메인터넌스 자세 B2로 변경함으로써, 탈곡 장치(5)의 이면측이나 그레인 탱크(7)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grain tank 7 has a main body 1 in a posture changeable manner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P1, in a normal posture B1 during traveling and a maintenance posture B2 spaced apart from the normal posture B1. Respectively. By changing the grain tank 7 to the maintenance attitude B2,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maintenance work on the back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5 and the grain tank 7. [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에 구비된 운전 좌석(10)의 하측에, 엔진(11) 및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39)나, 보조 기기류가 지지되어 있다. 운전부(4)의 후방부의 좌측부의 상하 방향의 종축심 P2 주위로, 운전부(4)가 주행 시의 통상 자세 A1과, 통상 자세 A1로부터 이격된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기체 본체(1)에 지지되어 있다.1 and 2, an engine 11, a diesel particulate collection filter 39, and ancillary equipment are supported on the lower side of a driving seat 10 provided in the operation section 4. [ The operation section 4 can be posture changeable from the normal posture A1 during running to the maintenance posture A2 spaced apart from the normal posture A1 around the vertical axis P2 of the left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operation section 4 in the vertical direction, (Not shown).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7)를 메인터넌스 자세 B2로 변경한 후, 운전부(4)를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할 수 있다. 운전부(4)를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함으로써, 엔진(11) 및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39)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2, after the grain tank 7 is changed to the maintenance attitude B2, the operation section 4 can be changed to the maintenance attitude A2. The maintenance operation of the engine 11 and the diesel particulate collection filter 39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operation section 4 to the maintenance attitude A2.

(주차 브레이크, 브레이크 페달 및 변속 레버의 관계의 개략)(Outline of relationship between parking brake, brake pedal and shift lever)

미션 케이스(도시하지 않음)가 기체 본체(1)에 지지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미션 케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엔진(11)의 동력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에 전달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로부터 미션 케이스의 내부 전동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주행 장치(2) 및 탈곡 장치(5) 등에 전달된다.A transmission case (not shown) is supported on the base body 1, and a hydrostatic stepless transmission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case. The power of the engine 11 is transmitted to the hydrostatic stepless speed changer and transmitted from the hydrostatic stepless speed changer to the traveling device 2 and the threshing device 5 via the internal transmission device (not shown) of the transmission case do.

주행 장치(2)를 제동하는 주차 브레이크(22)가 미션 케이스에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22)를 제동측으로 조작하는 브레이크 페달(12)이 운전부(4)에 구비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조작하는 변속 레버(23)가 운전부(4)에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과 변속 레버(23)에 걸쳐 중립 조작 기구(37A)가 설치되어 있다.A parking brake 22 for braking the traveling device 2 is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case. The brake pedal 12 for operating the parking brake 22 to the braking side is provided in the operating section 4 and the shift lever 23 for operating the hydrostatic stepless transmission is provided in the operating section 4). As shown in Fig. 3, the neutral operating mechanism 37A is provided over the brake pedal 12 and the shift lever 23.

이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2)을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하면, 주차 브레이크(22)가 제동측으로 조작되고, 이것과 동시에,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강제적으로 중립 위치 N으로 조작된다.Thus, when the brake pedal 12 is depressed to the braking position, the parking brake 22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hydrostatic stepless transmission is forcibly operated to the neutral position N. [

이하에, 브레이크 페달(12), 주차 브레이크(22) 등의 구조 및 각 부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structures of the brake pedal 12, the parking brake 22, and the like and the operating states of the respective parts will be described below.

(브레이크 페달의 구조)(Structure of brake pedal)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의 좌측 하부에 브레이크 페달(12)(브레이크 조작구에 상당)이 설치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은 운전부(4)의 바닥부(14)보다도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a brake pedal 12 (corresponding to a brake operat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lower left por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4.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brake pedal 12 is provided above the bottom portion 14 of the operation portion 4. As shown in Fig.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은 측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의 아암부(12a)와, 답입부(12b)(조작부에 상당)를 구비하고 있다. 아암부(12a)의 후단부가 지지축(50)을 통해 사이드 패널 지주(51)에 지지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 지주(51)는 운전부 프레임(52)에 기립 설치되며, 사이드 패널(29)(도 1, 도 2 참조)을 지지하고 있다. 운전부 프레임(52)은, 통상 자세 A1과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자세 변경 가능한 운전부(4)를 구성하고 있고, 종축심 P2 주위로 요동 가능한 상태에서 기체 본체(1)에 지지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12)은 답입부(12b)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는 지지축(50)의 기체 좌우 방향의 제1 축심 X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부(12a)로부터 연장된 스프링 걸이 부재(53)와 사이드 패널 지주(51)의 스프링 걸이부(51a)에 스프링(54)이 연결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12)은 도 4에 도시한 해제 위치에 스프링(54)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되면, 아암부(12a)에 구비된 접촉부(12c)의 단부(12d)가 센서 지지 부재(55)에 맞닿고, 브레이크 페달(12)이 접촉부(12c)에 의해 해제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센서 지지 부재(55)는 사이드 패널 지주(51)에 지지되어 있다.3 and 4, the brake pedal 12 has an L-shaped arm portion 12a and an anchor portion 12b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portion) as viewed from the side. And the rear end of the arm portion 12a is supported by the side panel support 51 via the support shaft 50. [ The side panel support 51 stands upright on the operation unit frame 52 and supports the side panel 29 (see Figs. 1 and 2). The operation section frame 52 constitutes an operation section 4 capable of changing the posture in the normal posture A1 and the maintenance posture A2 and is supported on the base body 1 in a state capable of swinging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P2. The brake pedal 12 is pivotally supported about a first axis X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base of the support shaft 50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anchor 12b. A spring 54 is connected to a spring hanger member 53 extending from the arm portion 12a and a spring hanger portion 51a of the side panel support 51. [ The brake pedal 12 is pressed by the spring 54 to the release position shown in Fig. 9, when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to the release position, the end portion 12d of the contact portion 12c provided on the arm portion 12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nsor supporting member 55, (12) is positioned at the release position by the contact portion (12c). The sensor supporting member 55 is supported by the side panel support 51.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지지 부재(55)에 접촉 형식의 브레이크 센서(15)가 지지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되어 있으면, 접촉부(12c)가 브레이크 센서(15)에 접촉한다.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되어 있는 것이 브레이크 센서(15)에 의해 검출된다.As shown in Fig. 9, a contact type brake sensor 15 is supported on the sensor supporting member 55. As shown in Fig. When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to the release position, the contact portion 12c comes in contact with the brake sensor 15. [ It is detected by the brake sensor 15 that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to the release position.

(브레이크 페달과 주차 브레이크의 연계 구조)(Linkage structure of brake pedal and parking brake)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부(12a)로부터 아암 부재(56)가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아암 부재(56)는 제1 축심 X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기체 전방측을 향하여 팽출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14)에, 아암 부재(56)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57)이 형성되어 있다. 아암 부재(56)는 브레이크 페달(12)이 조작됨으로써, 관통 구멍(57)을 삽입 관통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축심 X 주위로 상하로 요동한다. 관통 구멍(57)에 시일재(58)가 장착되어 있다. 바닥부(14)와 아암 부재(56)의 간극이 시일재(58)에 의해 폐색되어, 바닥부(14)의 하방으로부터 관통 구멍(57)을 통해 운전부(4)에 모래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암 부재(56)와 브레이크 페달(12)이 직결에 의해 연동 연결되어 있지만, 아암 부재(56)와 브레이크 페달(12)이 기체 좌우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는 것 등에 의해서는, 아암 부재(56)와 브레이크 페달(12)을 중계 부재를 통해 연동 연결하는 연동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arm member 56 extends downward from the arm portion 12a. The arm member 56 is formed forwardly of the first axis X and has a shape of arc that expand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gas. A through hole 57 through which the arm member 56 passes is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14. The arm member 56 swings up and down around the first axis X in a state in which the through hole 57 is inser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12. [ And the sealing material 58 is attached to the through hole 57. The gap between the bottom portion 14 and the arm member 56 is closed by the sealing material 58 and sand dust or the like enters into the operation portion 4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14 through the through hole 57 Is prevented. Although the arm member 56 and the brake pedal 12 are directly and interlocking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m member 56 and the brake pedal 12 are displaced in the left- (56) and the brake pedal (12) through a relay member.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14)의 하방에 있어서, 요동 부재(59)가 지지축(60)을 통해 지지 부재(61)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61)는 지지 프레임(62)을 통해 기체 본체(1)에 지지되어 있다. 요동 부재(59)는 지지축(60)의 기체 좌우 방향의 제2 축심 Y 주위로 요동 가능한 상태에서 기체 본체(1)에 지지되어 있다. 요동 부재(59)의 지지축(60)보다도 전방측의 부분에 위치 결정부(59a)가 구비되어 있다. 요동 부재(59)는 위치 결정부(59a)가 지지 부재(61)의 상부에 맞닿는 대기 위치에 스프링(64)에 의해 요동 가압되어 있다.3 and 4, the swinging member 59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61 via the support shaft 60 below the bottom portion 14. As shown in Fig. The support member 61 is supported on the base body 1 through the support frame 62. The swinging member 59 is supported on the base body 1 in a state in which the swinging member 59 is swingable around the second axis Y of the support shaft 60 in the left- A positioning portion 59a is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pivotal member 59 on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shaft 60. [ The pivotal member 59 is pivotally moved by a spring 64 to a standby position where the positioning portion 59a abut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61. [

요동 부재(59)에 있어서의 제2 축심 Y보다도 상측의 부분에, 입력 핀 부재(65)가 구비되어 있다. 요동 부재(59)에 있어서의 제2 축심 Y보다도 하측의 부분에, 출력 핀 부재(66)가 구비되어 있다. 출력 핀 부재(66)와 주차 브레이크(22)의 조작부(22a)에 조작 케이블(67)이 연결되고, 출력 핀 부재(66)는 조작 케이블(67)을 통해 주차 브레이크(22)에 연계되어 있다.An input pin member 65 is provided at a position above the second axis Y in the swinging member 59. An output pin member 66 is provided at a position below the second axis Y in the swinging member 59. An operating cable 67 is connected to the output pin member 66 and the operating portion 22a of the parking brake 22 and the output pin member 66 is connected to the parking brake 22 via the operating cable 67 .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핀 부재(65)는 요동 부재(59)와, 요동 부재(59)가 구비하는 가이드부(59b)에 기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작용 위치와 후퇴 위치에 걸쳐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핀 부재(65)가 작용 위치에 위치하면, 입력 핀 부재(65)의 일단측의 수동부(65a)가 가이드부(59b)로부터 아암 부재(56)가 위치하는 측으로 길게 돌출되고,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측으로 조작되면, 아암 부재(56)의 하단면(56a)이 수동부(65a)에 접촉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핀 부재(65)가 후퇴 위치에 위치하면, 입력 핀 부재(65)가 작용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 입력 핀 부재(65)의 일단측의 수동부(65a)가 가이드부(59b)측으로 후퇴한다. 요동 부재(59)와 가이드부(59b) 사이에 있어서, 입력 핀 부재(65)에 위치 결정 핀(68) 및 스프링(69)이 장착되어 있다. 입력 핀 부재(65)는 위치 결정 핀(68)이 가이드부(59b)에 맞닿음으로써 작용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입력 핀 부재(65)는 스프링(69)에 의해 작용 위치에 슬라이드 가압되어 있다.6, the input pin member 65 is slidably supported by the pivotal member 59 and the guide portion 59b of the pivotal member 59 so as to be slidable in the gas lateral direction, And is switchable over the position. 6, when the input pin member 65 is positioned at the operative position, the hand portion 65a on one end side of the input pin member 65 is moved from the guide portion 59b to the position where the arm member 56 is positioned And when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to the brake side, the lower end face 56a of the arm member 5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and portion 65a. 7, when the input pin member 65 is located at the retracted position,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input pin member 65 is located at the operating position, 65a retract toward the guide portion 59b side. A positioning pin 68 and a spring 69 are mounted on the input pin member 65 between the swinging member 59 and the guide portion 59b. The input pin member 65 is positioned at the operating position by abutting the positioning pin 68 against the guide portion 59b. The input pin member 65 is slide-biased by the spring 69 to the operating position.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과 주차 브레이크(22)에 걸쳐, 브레이크 페달(12)과 주차 브레이크(22)를 연계하는 링크 기구(21A)가 접속되어 있다. 링크 기구(21A)는, 아암 부재(56), 요동 부재(59) 및 조작 케이블(67)을 구비하고 있다.3 and 4, a link mechanism 21A for linking the brake pedal 12 and the parking brake 22 is provided over the brake pedal 12 and the parking brake 22 Respectively. The link mechanism 21A is provided with an arm member 56, a swinging member 59, and an operation cable 67. [

이 경우에,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 부재(56)가 링크 기구(21A)의 조작구측 부분으로 되고, 요동 부재(59) 및 조작 케이블(67)이 링크 기구(21A)의 브레이크측 부분으로 된다. 아암 부재(56)의 하단면(56a)이 조작구측 부분에 구비된 제1 부재로서의 면 부재로 된다. 면 부재[하단면(56a)]는 조작구측 부분에 있어서의 입력 핀 부재측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입력 핀 부재(65)가 브레이크측 부분에 구비된 제2 부재로서의 이동 부재로 된다. 출력 핀 부재(66)가 요동 부재(59)에 구비되어, 주차 브레이크(22)에 연계된 작용부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암 부재(56)에 면 부재를 구비하고, 요동 부재(59)에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지만, 아암 부재(56)에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요동 부재(59)에 면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3 and 4, the arm member 56 serves as the operation mouth side portion of the link mechanism 21A and the swinging member 59 and the operation cable 67 are connected to the link mechanism 21A.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The lower end face 56a of the arm member 56 becomes a face member as a first member provided on the operation-port side portion. The surface member (lower end face 56a)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operation pin side portion on the input pin member side. The input pin member 65 becomes a moving member as a second member provided on the brake side portion. An output pin member 66 is provided on the swinging member 59 to serve as an operating portion associated with the parking brake 2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m member 56 is provided with the surface member and the swing member 59 is provided with the moving member. However, the arm member 56 is provided with the moving member, May be employed.

이에 의해, 링크 기구(21A)에, 브레이크 조작구측의 조작구측 부분과 주차 브레이크측의 브레이크측 부분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상태로 되고, 링크 기구(21A)의 조작구측 부분에 제1 부재로서의 면 부재[하단면(56a)]가 구비된 상태로 되어 있다. 링크 기구(21A)의 브레이크측 부분에 제2 부재로서의 이동 부재[입력 핀 부재(65)]가 구비된 상태로 되어 있다.As a result, the link mechanism 21A is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side side portion on the brake operation port side and the brake-side portion on the parking brake side are detachably provided, and the operation member side portion of the link mechanism 21A Member (lower end face 56a) is provided. And a moving member (input pin member 65) as a second member is provided on the brake side portion of the link mechanism 21A.

(브레이크 페달을 제동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의 구조)(Structure of a holding mechanism for holding the brake pedal in the braking position)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걸이 부재(53)와, 스프링 걸이 부재(53)가 구비하는 아암부(53a)에 걸림 결합 부재(71)가 지지되어 있다. 유지 부재(72)가 지지축(73)을 통해 브래킷(74)에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74)은 스테이(75)를 통해 운전부 프레임(52)에 지지되어 있다. 유지 부재(72)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결합 부재(71)의 아암부측 부분(71a)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상태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부측 부분(71a)으로부터 분리되는 걸림 결합 해제 상태로 지지축(73)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한 상태에서 브래킷(74)에 지지되어 있다. 유지 부재(72)는 스프링(76)에 의해 걸림 결합측으로 요동 가압되어 있다. 유지 부재(72)에 조작 아암부(72a)가 구비되고, 조작 아암부(72a)로부터 해제 조작구(77)가 기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유지 부재(72) 및 해제 조작구(77)는 브래킷(74) 및 스테이(75)를 통해 운전부 프레임(52)에 지지되고, 운전부(4)가 메인터넌스 자세와 통상 자세로 자세 변경될 때, 브레이크 페달(12)과 함께 이동한다.3 and 8, the engaging member 71 is supported by the spring retaining member 53 and the arm portion 53a of the spring retaining member 53. As shown in Fig. The holding member 72 is supported by the bracket 74 via the support shaft 73. [ The bracket 74 is supported by the operating sub-frame 52 through a stay 75. [ 9, the retaining member 72 is engaged with the arm portion side portion 71a of the engaging member 71 and the engagement portion 71b is engaged with the arm portion side portion 71a as shown in Fig. And is supported by the bracket 74 in such a state that it can swing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shaft 73 in the engagement disengagement state in which it is detached from the bracket 74. [ The holding member 72 is pivotally pressed by the spring 76 toward the engaging side. The holding member 72 is provided with the operating arm portion 72a and the releasing operation opening 77 is extended upward from the operating arm portion 72a. The holding member 72 and the unlocking opening 77 are supported by the operating subframe 52 through the bracket 74 and the stay 75 and when the operating portion 4 is changed to the normal attitude and the attitude is changed to the normal attitude , And moves together with the brake pedal (12).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에 유지 기구(27A)가 구비되어 있고, 유지 기구(27A)는, 유지 부재(72) 및 스프링(76)을 구비하고 있다.3 and 8, the operation unit 4 is provided with the holding mechanism 27A, and the holding mechanism 27A is provided with the holding member 72 and the spring 76 Respectively.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기구(27A)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부터 하강 요동해 가면, 걸림 결합 부재(71)의 아암부측 부분(71a)이 유지 부재(72)에 있어서의 훅부의 외측 경사부(72b)에 맞닿아, 유지 부재(72)를 스프링(76)에 저항하여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요동시키면서 하강해 간다.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위치로 되면, 아암부측 부분(71a)이 유지 부재(72)의 외측 경사부(72b)로부터 떨어지고, 유지 부재(72)가 스프링(76)에 의한 조작에 의해 아암부측 부분(71b)에 걸림 결합한다. 이 걸림 결합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2)이 유지 부재(72)에 의해 제동 위치에 유지된다. 해제 조작구(77)가 끌어올림 조작됨으로써, 유지 부재(72)가 스프링(76)에 저항하여 걸림 결합 해제 상태로 요동 조작되어, 브레이크 페달(12)의 제동 위치에서의 유지가 해제된다.8 and 9, in the retaining mechanism 27A, when the brake pedal 12 is pivoted downward from the release position, the arm portion side portion 71a of the engaging member 71 engages with the retaining member The holding member 7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inclined portion 72b of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portion 72 and descends while pivoting the holding member 72 against the spring 76 toward the engagement disengagement side. When the brake pedal 12 is in the braking position, the arm portion 71a is separated from the outer inclined portion 72b of the retaining member 72 and the retaining member 72 is moved And engages with the arm portion 71b. By this engaging engagement, the brake pedal 12 is held by the holding member 72 in the braking position.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releasing operation tool 77 causes the retaining member 72 to be pivoted in the engagement disengagement state against the spring 76 to release the holding of the brake pedal 12 at the braking position.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강제적으로 중립 위치로 조작하는 중립 조작 기구의 구조)(Structure of a neutral operation mechanism for forcibly operating the hydrostatic stepless speed change device to the neutral posi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조작하는 변속 레버(23)가 사이드 패널(29)에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3)는 지지축(80)을 통해 스테이(81)에 지지되어 있다. 스테이(81)는 사이드 패널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 변속 레버(23)는 지지축(80)의 기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요동 조작됨으로써, 중립 위치 N과, 중립 위치 N보다 전방측의 전진측과, 중립 위치 N보다 후방측의 후진측으로 전환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shift lever 23 for operating the hydrostatic stepless speed changer is provided on the side panel 29.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3 and 10, the shift lever 23 is supported on the stay 81 via the support shaft 80. [0064] As shown in Fig. The stay 81 is supported by a side panel frame (not shown). The shift lever 23 is shifted to the neutral position N, the forward side on the front side than the neutral position N and the reverse side on the rear side than the neutral position N by being pivoted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shaft 80 in the left- .

도 3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립 조작 기구(37A)는, 변속 레버(23)의 기부에 구비된 조작부(82)와, 조작부(82)의 전방부와 스프링 걸이 부재(53)의 아암부(53a)를 연동 연결하는 제1 링크 부재(83)와, 조작부(82)의 후방부와 아암부(53a)를 연동 연결하는 제2 링크 부재(8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링크 부재(83)와 아암부(53a)의 연결 및 제2 링크 부재(84)와 아암부(53a)의 연결의 각각은, 링크 부재(83, 84)에 형성된 긴 구멍(85)과, 긴 구멍(8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리는 상태에서 아암부(53a)에 설치된 연결 핀(86)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변속 레버(23)를 전진측 및 후진측으로 조작하고자 하면, 제1 링크 부재(83)와 아암부(53a)가 긴 구멍(85)에 의해 상대 이동하고, 제2 링크 부재(84)와 아암부(53a)가 긴 구멍(85)에 의해 상대 이동하므로, 변속 레버(23)를 전진측 및 후진측으로 조작할 수 있다.3 and 10, the neutral operating mechanism 37A includes an operating portion 82 provided at a base portion of the shift lever 23, a front por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82 and a front portion of the spring hanger 53 A first link member 83 for interlocking the arm portion 53a and a second link member 84 for interlocking the rear por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82 and the arm portion 53a.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link member 83 and the arm portion 53a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link member 84 and the arm portion 53a are formed by the long holes 85 formed in the link members 83, And the connection pin 86 provided on the arm portion 53a in a state of being slidably engaged with the long hole 85. The first link member 83 and the arm portion 53a are engaged with the elongated hole 85 in a state in which the brake pedal 12 is positioned at the release position and the shift lever 23 is to be operated to the forward side and the reverse side, And the second link member 84 and the arm portion 53a are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by the elongated hole 85. This makes it possible to operate the shift lever 23 to the forward side and the reverse side.

(브레이크 페달을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하였을 때의 주차 브레이크 및 유지 기구의 작동)(Operation of the parking brake and the retaining mechanism when the brake pedal is depressed to the braking position)

도 4에 도시한 상태는,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된 상태이다. 도 4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12)을 제동측으로 조작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 부재(56)의 하강에 의해, 아암 부재(56)의 하단면(56a)(제1 부재, 면 부재)과, 입력 핀 부재(65)(제2 부재, 이동 부재)의 수동부(65a)가 접촉하여 하단면(56a)이 입력 핀 부재(65)에 압박 작용한다. 이 접촉 압박 작용에 의해, 조작구측 부분으로서의 아암 부재(56)와, 브레이크측 부분으로서의 요동 부재(59)가 연계됨과 함께 브레이크 페달(12)의 조작력이 아암 부재(56)로부터 요동 부재(59)에 전달된다. 아암 부재(56)와 요동 부재(59)가 다른 축심 주위로 요동하므로, 입력 핀 부재(65)(이동 부재)가 하단면(56a)(면 부재) 상을 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아암 부재(56)로부터 요동 부재(59)에 조작력이 전달된다. 요동 부재(59)에 전달된 조작력이 출력 핀 부재(66)(작용부)로부터 조작 케이블(67)을 통해 주차 브레이크(22)의 조작부(22a)에 전달되어, 주차 브레이크(22)가 제동 상태로 조작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위치로 되면, 유지 기구(27A)가 작동하여 유지 부재(72)가 걸림 결합 부재(71)에 걸림 지지되고,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위치에 유지되어 주차 브레이크(22)가 제동 상태로 유지된다.The state shown in Fig. 4 is a state in which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to the release position. 5, when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in the state shown in Fig. 4, the lower end face 56a of the arm member 56 And the lower end face 56a of the input pin member 65 (second member, moving member) are in contact with the input pin member 65 so that the lower end face 56a is pressed against the input pin member 65. [ The contact pressing action causes the arm member 56 as the operation mouth side portion and the swinging member 59 as the brake side portion to be linked together and the operation force of the brake pedal 12 to move from the arm member 56 to the swinging member 59, . The arm member 56 and the swinging member 59 pivot about the other axis so that the input pin member 65 (moving member) moves backward on the lower end face 56a (face member) The operat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winging member 59. The operating force transmitted to the swinging member 59 is transmitted from the output pin member 66 (acting portion) to the operating portion 22a of the parking brake 22 via the operating cable 67 so that the parking brake 22 is in the braking state . 9, when the brake pedal 12 is in the braking position, the holding mechanism 27A is actuated to engage the retaining member 72 with the engaging member 71, and the brake pedal 12 So that the parking brake 22 is held in the braking stat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가 통상 자세로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아암 부재(56)의 하단면(56a) 및 입력 핀 부재(65)는 종축심 P2를 지나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른 방향의 직선 L 상 또는 거의 직선 L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점 T는, 운전부(4)가 통상 자세로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아암 부재(56)의 하단면(56a)이 위치하는 개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선 K는, 운전부(4)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로 자세 변경될 때에 있어서의 점 T의 이동 규제, 즉, 하단면(56a)의 이동 궤적이다. 도 2에 도시한 선 S는, 이동 궤적 T에 있어서의 점 T에서의 접선이다. 도 2에 도시한 화살표가 부착된 선 T-Z는, 운전부(4)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자세 변경되기 시작할 때에 있어서의 하단면(56a)의 초기 이동의 궤적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자세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초기에 있어서, 하단면(56a)이 접선 S를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2, the lower end face 56a of the arm member 56 and the input pin member 65 exten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longitudinal axis P2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section 4 is positioned in the normal posture And is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L or substantially on a straight line L in the direction along the line L. The point T shown in Fig. 2 shows a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face 56a of the arm member 56 is located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section 4 is positioned in the normal posture. Line K shown in Fig. 2 is a movement regulation of the movement of the point T when the operation section 4 is changed from the normal attitude to the maintenance attitude, that is,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lower end surface 56a. The line S shown in Fig. 2 is a tangent line at a point T in the movement trajectory T. The line T-Z with the arrows shown in Fig. 2 is a trajectory of the initial movement of the lower end surface 56a when the operation section 4 starts to change from the normal posture to the maintenance posture. 2, the lower end face 56a moves in the direction along the tangent line S at an initial stage when the operation section 4 starts to change from the normal posture to the maintenance posture side.

도 2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 C2는, 운전부(4)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자세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 C1은,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측으로 조작되어, 입력 핀 부재(65)가 아암 부재(56)의 하단면(56a)에 의한 접촉 압박 작용에 의해 이동 조작될 때의 입력 핀 부재(65)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운전부(4)는 기체 상하 방향의 종축심 P1 주위로 자세 변경되고, 입력 핀 부재(65)를 구비하는 요동 부재(59)는 기체 좌우 방향의 제2 축심 Y 주위로 요동한다. 이에 의해, 운전부(4)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자세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와,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측으로 조작되었을 때의 입력 핀 부재(65)의 이동 방향 C1이 직교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와, 입력 핀 부재(65)가 주차 브레이크(22)를 조작할 때의 입력 핀 부재(65)의 이동 방향 C1이 직교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90도보다도 대각도의 교차각이나, 90도보다도 소각도의 교차각에서 교차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The arrow direction C2 shown in Fig. 2 indicates the direction of initial movement of the operation section 4 when the operation section 4 starts to change from the normal posture to the maintenance posture. When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and the input pin member 65 is moved by the contact pressing action of the lower end face 56a of the arm member 56,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input pin member 65 is shown. The operation section 4 is changed in attitude about the vertical axis P1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as and the swinging member 59 having the input pin member 65 swings about the second axis Y in the gas transverse direction. Thereby the direction C2 of the initial movement of the operation section 4 when the operation section 4 starts to change from the normal posture to the maintenance posture side and the direction C2 of the initial movement of the input pin member 12 when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65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direction C2 of the initial movement of the operation section 4 and the movement direction C1 of the input pin member 65 when the input pin member 65 operates the parking brake 22 are set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configuration in which crossing angles of diagonal angles in 90 degrees or intersecting angles of incineration degrees in 90 degrees are employed.

브레이크 페달(12)을 제동측으로 조작하였을 때,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전진 영역이나 후진 영역의 변속 상태로 한 채여도, 브레이크 페달(12)의 제동측으로의 조작에 의해 중립 조작 기구(37A)가 작동하고, 변속 레버(23)가 제1 링크 부재(83) 및 제2 링크 부재(84)에 의해 중립 위치 N으로 강제적으로 전환 조작되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중립 상태로 변속된다.The neutral operating mechanism 37A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12 on the braking side even when the hydraulic pressure-type stepless transmission is placed in the forward or backward shifting state when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to the brake side And the shift lever 23 is forcibly switched over to the neutral position N by the first link member 83 and the second link member 84, so that the hydrostatic stepless transmission is shifted to the neutral state.

(운전부의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로의 자세 변경에 대하여)(Regarding the change of posture from the normal posture of the operation portion to the maintenance posture)

운전부(4)를 통상 자세 A1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하면, 주차 브레이크(22) 및 요동 부재(59)가 기체 본체(1)에 남겨지고, 브레이크 페달(12), 아암 부재(56) 및 유지 기구(27A)가 운전부(4)와 함께 메인터넌스 자세 A2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된 상태, 및, 브레이크 페달(12)이 유지 기구(27A)에 의해 제동 위치로 유지된 상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운전부(4)를 통상 자세 A1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하면, 아암 부재(56)의 하단면(56a)과, 요동 부재(59)의 입력 핀 부재(65) 사이에서 아암 부재(56)와 요동 부재(59)가 분리된다. 링크 기구(21A)를 브레이크 페달측 부분과 브레이크측 부분으로 분리시키는 특별한 수고를 들이지 않고 운전부(4)를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자세 변경할 수 있다. 운전부(4)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자세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초기에 있어서, 하단면(56a)이 접선 S를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운전부(4)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자세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초기에 있어서, 운전부(4)가 입력 핀 부재(65)의 이동 방향 C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아암 부재(56)와 요동 부재(59)를 신속히 분리시키면서, 운전부(4)를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자세 변경할 수 있다.The parking brake 22 and the swinging member 59 are left on the base body 1 and the brake pedal 12, the arm member 56, and the brake pedal 5 are left in the main body 1 when the operation section 4 is changed from the normal posture A1 to the maintenance attitude A2. The holding mechanism 27A moves together with the operation portion 4 toward the maintenance attitude A2. Thereby, even in the state where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to the release position and the brake pedal 12 is held in the braking position by the holding mechanism 27A, The arm member 56 and the swinging member 59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etween the lower end face 56a of the arm member 56 and the input pin member 65 of the swinging member 59 .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operation section 4 to the maintenance attitude A2 without taking any special effort to separate the link mechanism 21A into the brake pedal side portion and the brake side portion. The lower end surface 56a is moved in the direction along the tangential line S and the operation section 4 is moved from the normal posture to the maintenance posture The operation section 4 moves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movement direction C1 of the input pin member 65 at the initial stage when the posture change of the arm member 56 and the swing member 59 is started , The operation section 4 can be changed to the maintenance attitude A2.

브레이크 페달(12)이 유지 기구(27A)에 의해 제동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운전부(4)가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자세 변경되는 경우, 아암 부재(56)가 입력 핀 부재(65)로부터 분리될 때까지는, 하단면(56a)에 의한 입력 핀 부재(65)의 압박에 의해 요동 부재(59)가 제동측의 요동 자세로 유지되고 있다. 아암 부재(56)가 입력 핀 부재(65)로부터 분리되면, 요동 부재(59)는 주차 브레이크(22)의 단절 상태로의 복원력에 의해 대기 위치로 되돌아간다.The arm member 56 is disengaged from the input pin member 65 when the operating portion 4 is changed to the maintenance attitude A2 in a state in which the brake pedal 12 is held in the braking position by the holding mechanism 27A The swinging member 59 is held in the oscillating position on the braking side by the pressing of the input pin member 65 by the lower end face 56a. When the arm member 56 is disengaged from the input pin member 65, the swinging member 59 returns to the standby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parking brake 22 to the disengaged state.

(운전부의 메인터넌스 자세로부터 통상 자세로의 자세 변경에 대하여)(With respect to the posture change from the maintenance posture of the operation portion to the normal posture)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부(4)가 메인터넌스 자세 A2로부터 통상 자세 A1로 자세 변경된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 부재(56)가 입력 핀 부재(65)의 수동부(65a)의 상방으로 되돌아가서, 아암 부재(56)의 하단면(56a)과, 입력 핀 부재(65)의 수동부(65a)가 대향하고, 브레이크 페달(12)의 답입 조작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22)의 제동측으로의 조작이 가능해진다.6, when the operation section 4 is changed from the maintenance attitude A2 to the normal attitude A1 in a state in which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to the release position, the arm member 56 is moved to the input pin member The lower end face 56a of the arm member 56 and the passive portion 65a of the input pin member 65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brake pedal 12 is retreated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brake 22 by the operation to the braking side becomes possible.

브레이크 페달(12)이 유지 기구(27A)에 의해 제동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부(4)가 메인터넌스 자세 A2로부터 통상 자세 A1로 자세 변경되는 경우, 운전부(4)가 통상 자세 A1의 직전에 위치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 부재(56)의 측면이 입력 핀 부재(65)의 아암 부재측의 단부면에 맞닿고, 이후, 아암 부재(56)가 입력 핀 부재(65)를 스프링(69)에 저항하여 후퇴 위치로 누름 조작하면서 요동 부재(59)측으로 이동한다. 아암 부재(56)와 입력 핀 부재(65)의 맞닿음에 상관없이, 입력 핀 부재(65)가 운전부(4)에 이동 장해로 되지 않고, 운전부(4)를 통상 자세 A1로 자세 변경할 수 있다. 운전부(4)가 통상 자세 A1로 된 후, 유지 기구(27a)에 의한 브레이크 페달(12)의 제동 위치로의 유지를 해제한다. 그렇게 하면, 브레이크 페달(12)이 스프링(54)에 의해 해제 위치로 복귀 조작되어 아암 부재(56)가 상승한다. 아암 부재(56)가 상승하면, 아암 부재(56)가 입력 핀 부재(65)로부터 분리되어, 입력 핀 부재(65)가 스프링(69)에 의해 작용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된다. 이에 의해, 아암 부재(56)의 하단면(56a)과, 입력 핀 부재(65)의 수동부(65a)가 대향하고, 브레이크 페달(12)의 답입 조작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22)의 제동측으로의 조작이 가능해진다.When the operation section 4 is changed from the maintenance attitude A2 to the normal attitude A1 while the brake pedal 12 is held at the braking position by the holding mechanism 27A, 7, the side surface of the arm member 5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 surface of the input pin member 65 on the arm member side, and then the arm member 56 is pressed against the input pin member 65 ) Against the spring (69) and moves to the side of the swinging member (59) while pushing it to the retreating position. The input pin member 65 does not become a movement obstacle to the operation portion 4 and the operation portion 4 is changed to the normal posture A1 regardless of the abutment between the arm member 56 and the input pin member 65 . After the operation section 4 is in the normal posture A1, the holding mechanism 27a releases the holding of the brake pedal 12 to the braking position. Then, the brake pedal 12 is returned to the release position by the spring 54, and the arm member 56 is raised. When the arm member 56 is lifted, the arm member 56 is disengaged from the input pin member 65, and the input pin member 65 is slid to the operating position by the spring 69. [ Thereby, the lower end face 56a of the arm member 56 and the operating portion 65a of the input pin member 65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braking side of the parking brake 22 by the depressing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12 Can be operated.

(발명의 실시의 다른 형태)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

다음에,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 구조는,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Next, an operation structure of a parking brake provided with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parking brake provided with another embodiment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s. 11 to 15. Fig.

(브레이크 페달의 구조)(Structure of brake pedal)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의 하부의 좌측부의 좌우 방향의 횡축심 P3 주위로, 브레이크 페달(12)(브레이크 조작구에 상당)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12 and 13, the brake pedal 12 (corresponding to the brake operating member) is supported so as to be swingable up and down around the horizontal shaft P3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lower left por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4 have.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은 측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의 아암부(12a)와, 답입부(12b)를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페달(12)의 아암부(12a)가 운전부(4)의 바닥부(14)(도 11 참조)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브레이크 페달(12)의 답입부(12b)가 운전부(4)의 바닥부(14)로부터 상측으로 나와 있다. 브레이크 페달(12)의 아암부(12a)에 스프링(13)이 접속되어 있고, 브레이크 페달(12)이 도 13에 도시한 해제 위치에 스프링(13)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brake pedal 12 has an L-shaped arm portion 12a and an anchor portion 12b as viewed from the side. The arm portion 12a of the brake pedal 12 is disposed below the bottom portion 14 (see Fig. 11) of the operation portion 4 and the anterior portion 12b of the brake pedal 12 is located at the operation portion 4 from the bottom portion 14 thereof. The spring 13 is connected to the arm portion 12a of the brake pedal 12 and the brake pedal 12 is pressed by the spring 13 to the release position shown in Fig.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의 아암부(12a)에 접촉부(12c)가 연결되고, 접촉부(12c)의 상측에 접촉 형식의 브레이크 센서(15)가 지지되어 있다.12 and 13, the contact portion 12c is connected to the arm portion 12a of the brake pedal 12 and the contact type brake sensor 15 is supported on the contact portion 12c .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되어 있으면, 브레이크 페달(12)의 접촉부(12c)가 브레이크 센서(15)에 접촉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엔진(11)의 시동 조작을 행해도, 엔진(11)은 시동되지 않는다.13, when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to the release position, the contact portion 12c of the brake pedal 1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rake sensor 15. In this state, Even if the start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engine 11 is not started.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되면, 브레이크 페달(12)의 접촉부(12c)가 브레이크 센서(15)로부터 이격되므로, 이 상태에서 엔진(11)의 시동 조작을 행하면, 엔진(11)이 시동된다.14, when the brake pedal 12 is depressed to the braking position, the contact portion 12c of the brake pedal 12 is spaced apart from the brake sensor 15. In this state,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the engine 11 is started.

(브레이크 페달과 주차 브레이크의 연계 구조)(Linkage structure of brake pedal and parking brake)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의 아암부(12a)에 이동 아암(17)이 하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동 아암(17)의 하부의 횡축심 P4(후술하는 이동 방향 C1과 교차하는 방향의 축심에 상당) 주위로, 롤러 부재(18)가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횡축심 P4는 횡축심 P3과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arm arm 12a of the brake pedal 12 is connected to the moving arm 17 in a downward direction. A roller member 18 is freely rotatably supported around a transverse axis P4 (corresponding to an axial center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moving direction C1 described la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arm 17, and the transverse axis P4 is supported by the transverse axis P3 As shown in Fig.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본체(1)에 연결된 프레임(16)에 지지축(38)이 연결되어 있고, 지지축(38)의 좌우 방향의 횡축심 P5 주위로, 연계 아암(19)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연계 아암(19)은 판재가 구부러진 것이며, 우측 및 좌측의 종벽부(19a)와, 우측 및 좌측의 종벽부(19a)의 상부에 걸쳐 접속되는 횡방향의 상면부(19b)를 구비하고 있고, 상면부(19b)가 이동 아암(17) 및 롤러 부재(18)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12 and 13, the support shaft 38 is connected to the frame 16 connected to the base body 1, and around the transverse axis P5 of the support shaft 38 in the transverse direction, (19) are vertically swingably supported. The connecting arm 19 has a plate member bent and has right and left vertical wall portions 19a and transverse upper face portions 19b connected to upper portions of the right and left vertical wall portions 19a,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19b is disposed below the moving arm 17 and the roller member 18. [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 아암(19)에 있어서,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와는 반대측의 종벽부(19a)의 부분과, 주차 브레이크(22)에 걸쳐, 연계 로드(20)가 접속되어 있다.12 and 13, a portion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19a on the side opposite to the upper face portion 19b of the linkage arm 19 and a portion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19a on the parking brake 22, A connecting rod 20 is connected.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과 주차 브레이크(22)에 걸쳐, 브레이크 페달(12)과 주차 브레이크(22)를 연계하는 링크 기구(21)가 접속되어 있고, 링크 기구(21)는 이동 아암(17), 롤러 부재(18), 연계 아암(19) 및 연계 로드(20)를 구비하고 있다.12 and 13, a link mechanism 21 for linking the brake pedal 12 and the parking brake 22 is provided between the brake pedal 12 and the parking brake 22 And the link mechanism 21 is provided with a moving arm 17, a roller member 18, a connecting arm 19 and a connecting rod 20.

이 경우에,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아암(17)이 링크 기구(21)의 조작구측 부분으로 되고, 연계 아암(19) 및 연계 로드(20)가 링크 기구(21)의 브레이크측 부분으로 된다. 롤러 부재(18)가 이동 부재(제2 부재에 상당)로 되고,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가 면 부재(제1 부재에 상당)로 되는 것이며, 롤러 부재(18)와 연계 아암(19) 사이가, 링크 기구(21)의 분리 부분으로 된다.12 and 13, the moving arm 17 serves as the operating-side side portion of the link mechanism 21 and the linkage arm 19 and the linkage rod 20 are connected to the link mechanism 21.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The roller member 18 is a movable memb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19b of the linkage arm 19 is a surface me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mber) The arm 19 becomes a separated portion of the link mechanism 21. [

이에 의해, 링크 기구(21)에, 브레이크 조작구측의 조작구측 부분과 주차 브레이크측의 브레이크측 부분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상태로 되고, 링크 기구(21)의 브레이크측 부분에 면 부재가 구비되고, 링크 기구(21)의 조작구측 부분에 이동 부재가 구비된 상태로 되어 있다.As a result, the link mechanism 21 is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side side portion on the brake operation port side and the brake-side portion on the parking brake side are detachably provided, and the surface member is provided on the brake- , And the movable member is provided on the operation-port side portion of the link mechanism (21).

(브레이크 페달을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기구의 구조)(Structure of a retaining mechanism for keeping the brake pedal in a braking operation state)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본체(1)의 프레임(16)에, 막대 형상의 지지 부재(24)가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지지 부재(24)의 상부의 좌우 방향의 횡축심 P6 주위로, 유지 부재(25)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12 and 13, a bar-shaped support member 24 is connected to the frame 16 of the base body 1 and extends upward,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4 The holding member 25 is swingably supported around the pivot axis P6.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부재(25)가 접촉하는 받침부(24a)가 지지 부재(24)에 연결되어 있고, 유지 부재(25)를 지지 부재(24)의 받침부(24a)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6)(가압 부재에 상당)이 지지 부재(24)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13, the receiving portion 24a to which the holding member 25 contacts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member 24, and the holding member 25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24a side of the supporting member 24 A spring 26 (corresponding to a press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4 to press it.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본체(1)의 프레임(16)에 유지 기구(27)가 구비되어 있고, 유지 기구(27)는 유지 부재(25) 및 스프링(26)을 구비하고 있다.12 and 13, the frame 16 of the base body 1 is provided with the holding mechanism 27, and the holding mechanism 27 is provided with the holding member 25 and the spring (Not shown).

도 13에 도시한 상태는, 스프링(26)에 의해, 유지 부재(25)가 지지 부재(24)의 받침부(24a)측으로 가압되어, 유지 부재(25)가 지지 부재(24)의 받침부(24a)에 접촉하여, 도 13에 도시한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이다.13 is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member 25 is urged toward the receiving portion 24a side of the supporting member 24 by the spring 26 so that the holding member 2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24a of the supporting member 24, And is in a state of stopping at the position shown in Fig.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아암(17)에 있어서의 유지 부재(25)측의 부분에, 노치부(17a)가 구비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25)가 이동 아암(17)의 노치부(17a)에 들어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다.As shown in Fig. 13, a notch 17a is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moving arm 17 on the side of the holding member 25. The brake pedal 12 is held in the braking operation state by engaging the retaining member 25 into the notch portion 17a of the moving arm 17 as described later.

(유지 기구의 유지 부재를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조작하는 해제 조작구의 구조)(Structure of the disengagement operation member for operating the retaining member of the retaining mechanism to the engagement disengagement side)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아암(17)의 상부의 횡축심 P7 주위로, 해제 조작구(28)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해제 조작구(28)가 하측으로 연장되어, 해제 조작구(28)의 하부인 조작부(28a)가 이동 아암(17)의 노치부(17a)에 인접하고 있다. 해제 조작구(28)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해제 조작구(28)의 상부인 답입부(28b)가 브레이크 페달(12)의 답입부(12b)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releasing operation opening 28 is supported so as to be swingable about the transverse axis P7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arm 17. As shown in Fig. The release operation opening 28 extends downward and the operation portion 28a which is the lower portion of the release operation opening 28 is adjacent to the notch portion 17a of the movement arm 17. [ The release operation opening 28 is extended upward and the anchoring portion 28b which is the upper portion of the release operation opening 28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anterior portion 12b of the brake pedal 12. [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축심 P7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긴 구멍(28c)이 해제 조작구(28)에 개구되어 있고, 이동 아암(17)에 연결된 핀(17b)이 해제 조작구(28)의 긴 구멍(28c)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해제 조작구(28)의 긴 구멍(28c)의 범위에서, 해제 조작구(28)는 요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An elongated hole 28c having an arc shape centering on the axis of abscissa P7 is opened in the release operation port 28 and the pin 17b connected to the movement arm 17 is opened Is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28c of the disengagement opening 28. [ Thereby, in the range of the long hole 28c of the releasing operation opening 28, the releasing opening 28 is in a swingable state.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강제적으로 중립 위치로 조작하는 중립 조작 기구의 구조)(Structure of a neutral operation mechanism for forcibly operating the hydrostatic stepless speed change device to the neutral position)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조작하는 변속 레버(23)가 구비되고, 변속 레버(23)의 하부에 연결된 지지 부재(40)가 운전부(4)에 고정된 지지판(41)의 좌우 방향 지지축(30)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 1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3)가 운전부(4)의 좌측의 사이드 패널(29)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A support member 40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ift lever 23 is supported by a support plate (not shown) fixed to the operation unit 4 1 and 11, the shift lever 23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left and right side support shafts 30 of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29, Respectively.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3)는 지지축(30)의 좌우 방향의 횡축심 P8 주위로 전후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중립 위치 N, 전진측 및 후진측으로 조작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shift lever 23 is supported so as to be swing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bout the transverse axis P8 of the support shaft 30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neutral position N, .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40)의 하부에 핀 형상의 조작부(40a)가 횡방향으로 연결되고, 횡축심 P8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긴 구멍(41a)이 지지판(41)에 개구되어 있고,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가 지지판(41)의 긴 구멍(41a)을 통해 변속 레버(23)와는 반대측으로 나와 있다.As shown in Figs. 12 and 13, a pin-shaped operating portion 40a is lateral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40, and an arcuate elongated hole 41a having the center of the axis of abscissa P8, And the operating portion 40a of the supporting member 40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hift lever 23 through the long hole 41a of the supporting plate 41. [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41)에 대하여 변속 레버(23)와는 반대측에 있어서, 한 쌍의 링크 부재(31)의 상부가, 횡축심 P8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축(30)에 지지되어 있고,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를 사이에 두도록, 링크 부재(31)가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다.12 and 13,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link members 31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hift lever 23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41 is pivoted about the pivot shaft P8, 30 and the link member 31 extends downward so that the operating portion 40a of the support member 40 is interposed therebetween.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31)의 하부에,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측 및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31a)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링크 부재(31)에 있어서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측 및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31a)를 구비하는 것은, 한 쌍의 링크 부재(31)를 공통의 부재로 하기 위해서이다.As shown in Figs. 12 and 13, on the lower side of the link member 31, a convex portion (not shown) protruding on the operation portion 40a side of the support member 40 an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ration portion 40a of the support member 40 31a. As described above, in the link member 31, the convex portion 31a protruding on the side of the operation portion 40a of the support member 40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operation portion 40a of the support member 40 is provided, And the link member 31 is a common member.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31)의 하부에 핀 부재(42)를 통해, 링크 부재(32)의 상부가, 횡축심 P8과 평행한 횡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링크 부재(32)의 하부에, 연계 부재(33)의 상부가 핀 형상의 접속 부재(34)를 통해 요동 가능하게 접속(피봇 지지)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12)의 아암부(12a)와 연계 부재(33)의 하부에 걸쳐, 연계 로드(35)가 접속되어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link member 32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nk member 31 via the pin member 42 so as to be swingable about the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horizontal axis P8 . The upper portion of the linking member 33 is pivotally connected (pivotally suppor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nk member 32 via a pin-shaped connecting member 34. [ A connecting rod 35 is connected to the arm portion 12a of the brake pedal 1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33. [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41)의 하부에, 상하 방향의 긴 구멍 형상의 가이드부(36)가 구비되어 있다. 접속 부재(34)가 가이드부(36)에 삽입되어, 접속 부재(34)가 가이드부(36)를 따라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고, 접속 부재(34)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가이드부(36)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축심 P8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지지축(30)과 가이드부(36)를 연결하는 직선이, 변속 레버(23)의 중립 위치 N과 일치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2 and 13, a guide portion 36 having an elongated hole shap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41. As shown in Fig. The connecting member 34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36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34 can move along the guide portion 36 and the connecting member 34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front- 36, respectively.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support shaft 30 and the guide portion 36 coincides with the neutral position N of the shift lever 23 as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abutment P8 as shown in Fig.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3)에 중립 조작 기구(37)가 구비되어 있고, 중립 조작 기구(37)는 링크 부재(31, 32), 접속 부재(34) 및 가이드부(36)를 구비하고 있다.12 and 13, the shift lever 23 is provided with the neutral operating mechanism 37, and the neutral operating mechanism 37 is provided with the link members 31 and 32, (34) and a guide portion (36).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속 레버(23)가 전진측 또는 후진측으로 조작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되면, 중립 조작 기구(37)에 의해 변속 레버(23)가 강제적으로 중립 위치 N으로 조작되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강제적으로 중립 위치 N으로 조작된다.When the brake pedal 12 is depressed to the braking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hift lever 23 is operated to the forward side or the reverse side, the neutral position of the shift lever 23 is forcibly changed by the neutral operation mechanism 37 So that the hydrostatic stepless transmission is forcibly operated to the neutral position N. In this case,

(브레이크 페달을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하였을 때의 주차 브레이크 및 유지 기구의 작동)(Operation of the parking brake and the retaining mechanism when the brake pedal is depressed to the braking position)

도 13에 도시한 상태는,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되어, 주차 브레이크(22)가 해제 상태로 조작된 상태이며, 중립 조작 기구(37)에 있어서, 링크 부재(31)가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로부터 이격되어, 변속 레버(23)가 전진측 및 후진측으로 조작 가능한 상태이다.13 is a state in which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to the release position and the parking brake 22 is operated to the release state and in the neutral operation mechanism 37, The shift lever 23 is in a state in which the shift lever 23 can be operated to the forward side and the reverse side by being separated from the operating portion 40a of the member 40. [

도 13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12)을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하면, 도 13 내지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아암(17)이 하측인 연계 아암(19)측으로 이동하면서, 후방측인 유지 기구(27)측으로 이동한다.13, when the brake pedal 12 is depressed to the braking position, as shown in Figs. 13 to 12 and Fig. 14, the moving arm 17 is moved to the side of the coupling arm 19 And moves to the retention mechanism 27 side which is the rear side while moving.

이에 의해, 도 13 내지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부재(18)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에 상측으로부터 접촉하여, 롤러 부재(18)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를 하측으로 누르면서, 이동 방향 C1을 따라서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 상을 횡축심 P5측으로 구른다. 이 경우, 롤러 부재(18)가 회전하는 횡축심 P4가, 이동 방향 C1과 평면에서 보아 90°로 교차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13 to 12 and 14, the roller member 18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portion 19b of the linking arm 19 from above, and the roller member 18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inking arm 19 The upper surface portion 19b of the connecting arm 19 is roll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C1 to the side of the axis of abscissa P5 while pressing the upper surface portion 19b of the connecting arm 19 downward. In this case, the axis of abscissa P4 at which the roller member 18 rotates intersects the moving direction C1 at an angle of 90 deg.

전술한 바와 같이, 롤러 부재(18)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를 하측으로 누름으로써,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 아암(19)이 횡축심 P5 주위로 요동하고, 연계 로드(20)가 연계 아암(19)측으로 당김 조작되어, 주차 브레이크(22)가 제동 상태로 조작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oller member 18 presses the upper surface portion 19b of the linkage arm 19 downward, so that the linkage arm 19 is pivoted about the horizontal axis P5, as shown in Figs. 12 and 14 And the linkage rod 20 is pulled toward the coupling arm 19 side so that the parking brake 22 is operated in the braking state.

전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을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하면,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아암(17)이 연계 아암(19)측으로 이동하면서, 유지 기구(27)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 아암(17)이 유지 부재(25)에 접촉하여 유지 부재(25)를 조금 밀어올리는 것이며, 다음에 유지 부재(25)가 이동 아암(17)의 노치부(17a)에 들어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rake pedal 12 is depressed to the braking position, as shown in Figs. 12 and 14, the moving arm 17 is moved to the side of the connecting arm 19, The moving arm 17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holding member 25 to slightly push up the holding member 25 and then the holding member 25 is inserted into the notch portion 17a of the moving arm 17 By engagement, the brake pedal 12 is held in the braking operation state.

이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주차 브레이크(22)가 제동 상태로 유지된다.Thus, the brake pedal 12 is held in the braking operation state, so that the parking brake 22 is maintained in the braking state.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조작구(28)의 답입부(28b)를 답입 조작하면, 해제 조작구(28)가 횡축심 P7 주위로 요동하고, 해제 조작구(28)의 조작부(28a)에 의해, 유지 부재(25)가 이동 아암(17)의 노치부(17a)로부터 압출되어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조작된다.As shown in Figs. 12 and 14, when the brake pedal 12 is held in the braking operation state, as shown in Fig. 15, the anchor portion 28b of the unlocking operation port 28 is depressed The holding member 25 is pushed out from the notch portion 17a of the moving arm 17 by the operating portion 28a of the releasing operation opening 28, Thereby being operated to the engagement disengagement side.

이에 의해, 도 15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13)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된다. 이것과 동시에, 주차 브레이크(22)에 구비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22)가 해제 상태로 조작되는 것이며, 연계 아암(19)이 요동하여 도 13에 도시한 상태로 되돌아간다.Thus, as shown in Figs. 15 to 13,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by the spring 13 to the release position. Simultaneously with this, the spring (not shown) provided on the parking brake 22 causes the parking brake 22 to be operated in the released state, and the connecting arm 19 is pivoted to return to the state shown in FIG. 13 Goes.

(브레이크 페달을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하였을 때의 중립 조작 기구의 작동)(Operation of the neutral operating mechanism when the brake pedal is depressed to the braking position)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 중립 조작 기구(37)에 있어서, 접속 부재(34)가 가이드부(36)의 상부에 위치하고, 링크 부재(31)가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로부터 이격되어, 변속 레버(23)가 전진측 및 후진측으로 조작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The connecting member 34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36 and the link member 34 is in the neutral operation mechanism 37 in the state in which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to the release position, 31 are separated from the operating portion 40a of the support member 40 so that the shift lever 23 can be operated to the forward side and the reverse side.

도 13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을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하면, 연계 로드(35)가 브레이크 페달(12)측으로 당김 조작되어, 접속 부재(34)가 가이드부(36)를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링크 부재(32)가 끌어내려지고, 링크 부재(31)가 폐쇄 조작되어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에 양측으로부터 접근한다.12 and 14, when the brake pedal 12 is depressed to the braking position, the connecting rod 35 is pulled toward the brake pedal 12, The link member 32 is pulled down and the link member 31 is closed so that the link member 31 is moved downward along the guide portion 36 to the operating portion 40a of the support member 40 Approach from both sides.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3)가 전진측으로 조작된 상태에서, 링크 부재(31)가 폐쇄 조작되어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에 양측으로부터 접근하면, 한쪽의 링크 부재(31)의 볼록부(31a)가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에 접촉하여,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를 중립 위치 N측으로 누름 조작한다.As shown in Fig. 13, when the link member 31 is closed by the shift lever 23 being operated to the forward side and approaches the operating portion 40a of the support member 40 from both sides, The convex portion 31a of the supporting member 40 contacts the operating portion 40a of the supporting member 40 and pushes the operating portion 40a of the supporting member 40 toward the neutral position N. [

변속 레버(23)가 후진측으로 조작된 상태에서, 링크 부재(31)가 폐쇄 조작되어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에 양측으로부터 접근하면, 다른 쪽의 링크 부재(31)의 볼록부(31a)가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에 접촉하여,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를 중립 위치 N측으로 누름 조작한다.When the link member 31 is closed and is moved from both sides to the operating portion 40a of the support member 40 in the state in which the shift lever 23 is operated to the reverse side, 31a contact the operating portion 40a of the supporting member 40 to push the operating portion 40a of the supporting member 40 toward the neutral position N. [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위치에 도달하면, 접속 부재(34)가 가이드부(36)의 하부에 도달하고, 링크 부재(31)의 볼록부(31a)가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를 중립 위치 N에서 끼워 넣어, 변속 레버(23)를 중립 위치 N에서 유지하는 상태로 된다.12 and 14, when the brake pedal 12 reaches the braking position, the connecting member 34 reaches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36 and the convex portion 31a of the link member 31 The shift lever 23 is held at the neutral position N by inserting the operating portion 40a of the support member 40 at the neutral position N. [

이와 같이 변속 레버(23)가 중립 위치 N으로 조작됨으로써,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중립 위치 N으로 조작된다.In this manner, the shift lever 23 is operated to the neutral position N, whereby the hydrostatic stepless transmission is operated to the neutral position N. [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해제 조작구(28)의 답입부(28b)가 답입 조작되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13)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되면, 연계 로드(35)가 링크 부재(31, 32)측으로 조작된다.As shown in Figs. 12 and 14, in a state in which the brake pedal 12 is maintained in the braking operation state, the anchor portion 28b of the releasing operation opening 28 is depressed and, as shown in Fig. 13 When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to the release position by the spring 13, the linkage rod 35 is operated toward the link members 31, 32 side.

이에 의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부재(34)가 가이드부(36)의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여, 링크 부재(31, 32)가 개방 조작되어, 도 13에 도시한 상태로 되돌아간다.13, the connecting member 34 mov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36 to the upper side, the link members 31 and 32 are opened, and the state returns to the state shown in Fig. 13 Goes.

이상과 같이, 변속 레버(23)가 전진측으로 조작되어 있어도, 후진측으로 조작되어 있어도, 링크 부재(31)가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에 직접 접촉하여 변속 레버(23)를 중립 위치 N으로 조작하므로, 변속 레버(23)의 조작 위치에 관계없이 변속 레버(23)가 확실하게 중립 위치 N으로 조작되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중립 위치 N으로 조작된다.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shift lever 23 is operated to the forward side, the link member 31 directly contacts the operating portion 40a of the support member 40 and the shift lever 23 is moved to the neutral position N, the shift lever 23 is reliably operated to the neutral position N regardless of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shift lever 23, so that the hydrostatic stepless transmission is operated to the neutral position N. [

변속 레버(23)가 중립 위치 N으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링크 부재(31)에 의해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가 끼워 넣어져 중립 위치 N으로 유지되므로, 변속 레버(23)가 중립 위치 N으로 조작된 후에, 변속 레버(23)가 중립 위치 N으로부터 전진측 또는 후진측으로 조금 움직여,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전진측 또는 후진측으로 조금 조작되어 버리는 상태는 발생하지 않는다.Since the operating portion 40a of the supporting member 40 is held by the link member 31 and held at the neutral position N in the state in which the shift lever 23 is operated to the neutral position N, The state in which the shift lever 23 is slightly moved from the neutral position N to the forward side or the reverse side after the shift lever 23 is operated to the neutral position N and the hydrostatic stepless transmission is slightly manipulated toward the forward side or the reverse side does not occur.

링크 부재(31)에 의해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가 끼워 넣어져 중립 위치 N으로 유지되는 경우,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31)의 볼록부(31a)에 의해,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가 끼워 넣어져 있다.12 and 14, when the operating portion 40a of the supporting member 40 is held by the link member 31 and held at the neutral position N, the convex portion 31a of the link member 31 The operating portion 40a of the supporting member 40 is fitted.

이에 의해,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3)가 중립 위치 N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링크 부재(31)가 서로 평행에 가까운 상태로는 되지 않고, 링크 부재(31)가 서로 조금 이격된 상태로 되므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되었을 때에, 링크 부재(31)가 서로 무리없이 이격되어, 도 13에 도시한 상태로 되돌아간다.12 and 14, when the shift lever 23 is held at the neutral position N, the link members 31 do not becom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link members 31 The link members 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out fail when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to the release position as shown in Fig. 13, Go back.

도 12, 도 13,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부재(34)는 브레이크 페달(12)의 제동 위치로의 답입 조작 및 해제 위치로의 조작을 링크 부재(31, 32)에 전달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가이드부(36)와의 협동에 의해 링크 부재(31, 32)의 이동 방향을 설정하는 가이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12, 13, and 14, the connecting member 34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brake pedal 12 to the braking position and the operation to the releasing position to the link members 31, 32 And has a guide function of set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ink members 31 and 32 by cooperating with the guide portion 36. [

(브레이크 페달이 해제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운전부를 통상 자세 및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하였을 때의 각 부의 상태)(The state of each part when the operation section is changed to the normal posture and the maintenance posture in the state that the brake pedal is operated to the release position)

브레이크 페달(12), 이동 아암(17), 롤러 부재(18), 변속 레버(23) 및 중립 조작 기구(37)가 운전부(4)에 구비되어 있고, 주차 브레이크(22), 연계 아암(19) 및 유지 기구(27)가 기체 본체(1)에 구비되어 있다.The brake pedal 12, the shift arm 17, the roller member 18, the shift lever 23 and the neutral operation mechanism 37 are provided in the operation section 4, and the parking brake 22, 19 and a holding mechanism 27 are provided on the base body 1.

이에 의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를 통상 자세 A1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하면, 주차 브레이크(22), 연계 아암(19) 및 유지 기구(27)가 기체 본체(1)에 남겨지고, 브레이크 페달(12), 이동 아암(17), 롤러 부재(18), 변속 레버(23) 및 중립 조작 기구(37)가 운전부(4)과 함께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이동한다.11, when the operating section 4 is changed from the normal attitude A1 to the maintenance attitude A2, the parking brake 22, the connecting arm 19, and the holding mechanism 27 are moved in the main body 1, And the brake pedal 12, the shift arm 17, the roller member 18, the shift lever 23 and the neutral operation mechanism 37 move together with the operation portion 4 to the maintenance attitude A2.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 아암(19)은 평면에서 보아 기체 본체(1)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동 방향 C1도 평면에서 보아 기체 본체(1)의 전후 방향으로 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아 연계 아암(19)으로부터 기체 본체(1)의 후방으로 연장된 가상선의 근방에, 종축심 P2가 배치되어 있고, 운전부(4)의 통상 자세 A1이 기체 본체(1)의 전후 방향을 따른 자세로 되고 있다.11 and 12, the connecting arm 19 is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ase body 1 in plan view, and the moving direction C1 is also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ase body 1 in plan view have. A longitudinal axis P2 is arranged in the vicinity of an imaginary line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arm 19 to the rear of the base body 1 in a plan view and the normal posture A1 of the operation section 4 is se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base body 1 .

이에 의해,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가 통상 자세 A1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 A2측으로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는, 평면에서 보아 기체 본체(1)의 좌우 방향으로 되어 있다. 기체 본체(1)의 좌우 방향인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와, 기체 본체(1)의 전후 방향인 이동 방향 C1이, 평면에서 보아 직교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11 and 12, the direction C2 of the initial movement of the operation section 4 when the operation section 4 starts to change from the normal posture A1 to the maintenance attitude A2 side, Right direction of the main body 1. The direction C2 of initial movement of the operation section 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base body 1 and the moving direction C1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ase body 1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in a plan view.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가 통상 자세 A1에 위치하고,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롤러 부재(18)는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13, the roller member 18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linkage arm 19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portion 4 is positioned in the normal posture A1 and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in the release position) 19b.

전술한 상태에 있어서, 운전부(4)가 통상 자세 A1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되면, 롤러 부재(18)가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도 12 참조)로 이동하여,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로부터 이격된다.When the operation section 4 is changed from the normal posture A1 to the maintenance posture A2 in the above-described state, the roller member 18 moves in the initial movement direction C2 (see Fig. 12) of the operation section 4, And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19b of the arm 19.

이에 의해, 롤러 부재(18)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가 서로 동일한 해제측의 상태에서 이격되는 것이며, 브레이크 페달(12)과 주차 브레이크(22)의 연계가 해제된 상태로 된다.Thereby, the roller member 18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19b of the linkage arm 19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ame release side, and the linkage of the brake pedal 12 and the parking brake 22 is released do.

다음에 운전부(4)가 메인터넌스 자세 A2로부터 통상 자세 A1로 변경되면, 롤러 부재(18)가 연계 아암(19)에 접근하는 것이며, 롤러 부재(18)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의 바로 앞에 도달하면, 롤러 부재(18)가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로 이동하여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에 접근하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의 바로 위에 도달한다.Next, when the operation section 4 is changed from the maintenance attitude A2 to the normal attitude A1, the roller member 18 approaches the linkage arm 19, and the roller member 18 moves to the upper face portion The roller member 18 moves in the initial movement direction C2 of the operation section 4 and approaches the upper surface portion 19b of the linkage arm 19 and reaches the upper surface portion 19b of the linkage arm 19 as shown in FIG. , And directly above the upper surface portion 19b of the linking arm 19. [

이에 의해, 롤러 부재(18)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가 서로 동일한 해제측의 상태에서 접근하는 것이며, 브레이크 페달(12)과 주차 브레이크(22)가 연계된 상태로 되돌아간다.This causes the roller member 18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19b of the linkage arm 19 to come close to each other in the state of the same release side so that the brake pedal 12 and the parking brake 22 return to the engaged state .

(브레이크 페달이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운전부를 통상 자세 및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하였을 때의 각 부의 상태)(State of each part when the operation section is changed to the normal posture and the maintenance posture in a state in which the brake pedal is kept in the braking operation state)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 상태[주차 브레이크(22)가 제동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운전부(4)가 통상 자세 A1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되면, 롤러 부재(18)가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로 이동하면서, 이동 아암(17)이 유지 기구(27)로부터 이격된다.12 and 14, when the operation section 4 is in the normal posture A1 (the state in which the parking brake 22 is kept in the braked state) in which the brake pedal 12 is kept in the braking operation state The moving arm 17 is separated from the holding mechanism 27 while the roller member 18 moves in the initial moving direction C2 of the operation portion 4. Then,

이에 의해, 이동 아암(17)의 노치부(17a)가 유지 부재(25)로부터 이격되어, 스프링(13)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2)이 도 13에 도시한 해제 위치로 조작된다. 이것과 동시에, 롤러 부재(18)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로부터 이격되어, 주차 브레이크(22)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22)가 해제 상태로 조작되는 것이며, 연계 아암(19)이 요동하여 도 13에 도시한 상태로 되돌아간다.Thereby, the notch portion 17a of the moving arm 17 is separated from the holding member 25, and the brake pedal 12 is operated by the spring 13 to the releasing position shown in Fig. At the same time, the roller member 18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19b of the linkage arm 19, and the parking brake 22 is operated to the released state by the spring provided on the parking brake 22, The connecting arm 19 is pivoted and returned to the state shown in Fig.

이상과 같이, 롤러 부재(18)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가 서로 동일한 해제측의 상태에서 이격되는 것이며, 브레이크 페달(12)과 주차 브레이크(22)의 연계가 해제된 상태로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oller member 18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19b of the linkage arm 19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tate of releasing the same, and the linkage of the brake pedal 12 and the parking brake 22 is released .

다음에 운전부(4)가 메인터넌스 자세 A2로부터 통상 자세 A1로 변경되면, 롤러 부재(18)가 연계 아암(19)에 접근하는 것이며, 전술과 마찬가지로 롤러 부재(18)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의 바로 앞에 도달하면, 롤러 부재(18)가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로 이동하여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에 접근하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의 바로 위에 도달한다.Next, when the operation section 4 is changed from the maintenance attitude A2 to the normal attitude A1, the roller member 18 approaches the linkage arm 19, and the roller member 18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at of the linkage arm 19 The roller member 18 moves in the initial movement direction C2 of the operation section 4 and approaches the upper surface portion 19b of the linkage arm 19, Reaches the top of the top surface portion 19b of the linking arm 19, as shown in Fig.

이에 의해, 롤러 부재(18)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가 서로 동일한 해제측의 상태에서 접근하는 것이며, 브레이크 페달(12)과 주차 브레이크(22)가 연계된 상태로 되돌아간다.This causes the roller member 18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19b of the linkage arm 19 to come close to each other in the state of the same release side so that the brake pedal 12 and the parking brake 22 return to the engaged state .

(그 밖의 발명의 실시의 다른 형태)(Another for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브레이크 페달(12) 대신에, 손으로 조작되는 브레이크 레버(도시하지 않음)를 브레이크 조작구로서 구비해도 된다. 해제 조작구(28)를 브레이크 조작구에 지지시켜도 된다.Instead of the brake pedal 12, a hand operated brake lever (not shown) may be provided as a brake operating member. The release operation opening 28 may be supported by the brake operation opening.

롤러 부재(18) 대신에, 회전하지 않는 접촉부를 이동 부재로서 이동 아암(17)에 구비해도 된다. 이 구조에 따르면, 이동 아암(17)의 접촉부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에 접촉하여,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 상을 따라서 미끄러지도록 미끄럼 이동하는 상태로 된다.Instead of the roller member 18, the moving arm 17 may be provided with a non-rotating contact portion as a moving member.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contact portion of the moving arm 17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portion 19b of the connecting arm 19 and slides so as to slide along the upper surface portion 19b of the connecting arm 19 do.

이동 아암(17)에 면 부재를 구비하고, 연계 아암(19)에 이동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이 구조에 따르면, 면 부재가 이동 부재에 접촉하여 이동함으로써, 면 부재 상을 이동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면 부재에 의해 이동 부재가 누름 조작되는 상태로 된다.The moving arm 17 may be provided with a surface member, and the connecting arm 19 may be provided with a moving member. According to this structure, as the face member moves in contact with the moving member, the moving member relatively moves on the face member, and the moving member is pressed by the face member.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와 이동 방향 C1을, 직교하는 상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와 이동 방향 C1이, 90°보다도 조금 큰 각도, 또는 90°보다도 조금 작은 각도로 교차하도록 설정해도 된다.The initial movement direction C2 and the movement direction C1 of the operation section 4 may be set at an angle slightly larger than 90 degrees or a direction It may be set so as to intersect at an angle slightly smaller than 90 degrees.

유지 기구(27)에 있어서, 유지 부재(25)가 이동 아암(17)에 걸림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유지 부재(25)가 브레이크 페달(12)의 아암부(12a)나, 브레이크 페달(12)의 답입부(12b)에 걸림 결합하여, 브레이크 페달(12)을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The holding member 25 does not engage with the arm arm 12a of the brake pedal 12 and the brake pedal 12, And the brake pedal 12 may be held in the braking operation state.

중립 조작 기구(37)를, 변속 레버(23)가 아니라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조작부(트러니언축)에 직접 작용시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조작부(트러니언축)를 중립 위치 N으로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링크 부재(32) 대신에 로드나 와이어를 사용해도 된다.The neutral operating mechanism 37 is directly operated not on the shift lever 23 but on the operating portion (trunnil axle) of the hydrostatic stepless speed changer so that the operating portion (trunnion axle) of the hydrostatic stepless transmission is moved to the neutral position N . Instead of the link member 32, a rod or a wire may be used.

운전부(4)를 통상 자세 A1 및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하는 경우, 운전부(4)를 통상 자세 A1로부터 기체 본체(1)의 횡측으로 평행 이동시켜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해도 된다. 운전부(4)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의 좌우 방향의 횡축심 주위로, 운전부(4)를 통상 자세 A1로부터 상측으로 들어올리도록 요동시켜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해도 된다.When the operation section 4 is changed to the normal posture A1 and the maintenance posture A2, the operation section 4 may be moved from the normal posture A1 to the lateral side of the base body 1 in parallel to change to the maintenance attitude A2. The operation section 4 may be swung around the horizontal axis of the front portion or the rear portion of the operation section 4 so as to lift the operation section 4 upward from the normal posture A1 to change to the maintenance posture A2.

본원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이하와 같이 기재하고 있다.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이 「전」이며, 후진측의 진행 방향이 「후」이다.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우」이며,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좌」이다.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follows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orward side in the traveling of the work is " before ",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ackward side is in the rear directio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is " right " and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is the " left "

(콤바인의 전체 구성)(Total composition of combine)

도 16 및 도 17에, 수확기의 일례인 벼용의 자탈형 콤바인이 도시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크롤러 형식의 주행 장치(1002)에 의해 기체 본체(1001)가 지지되어 있다. 기체 본체(1001)의 전방부에 예취부(1003)(작업 장치에 상당)가 지지되고, 기체 본체(1001)의 전방부의 우측부에, 캐빈으로 덮인 운전부(1004)가 지지되어 있다. 기체 본체(1001)의 후방부의 좌측부에 탈곡 장치(1005)(작업 장치에 상당히) 및 배출 짚 세단 장치(1006)(작업 장치에 상당)가 지지되어 있고, 기체 본체(1001)의 후방부의 우측부에 그레인 탱크(1007) 및 곡립 배출 장치(1008)가 지지되어 있다.Figs. 16 and 17 show a comb-type combine harvester for rice, which is an example of a harvester, and the airframe main body 1001 is supported by the right and left crawler type traveling apparatuses 1002. Fig. A preload portion 1003 (corresponding to a working device) is support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body 1001 and an operation portion 1004 covered with a cabin is supported on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body 1001. [ A threshing apparatus 1005 (considerably as a working apparatus) and an exhaust straw trimming apparatus 1006 (corresponding to a working apparatus) are supported on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base body 1001, A grain tank 1007 and a grain discharging device 1008 are supported.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의 곡간이 예취부(1003)에 의해 예취되고, 예취된 곡간의 밑동이, 탈곡 장치(1005)에 구비된 피드 체인(1009)에 전달되어 후방측으로 반송되는 것이며, 곡간의 이삭 끝이 탈곡 장치(1005)에 의해 탈곡 처리된다. 탈곡 장치(1005)에 의해 탈곡 및 회수된 곡립이 그레인 탱크(1007)에 공급되고, 탈곡 처리가 종료된 배출 짚이, 배출 짚 세단 장치(1006)에 공급되어 세단 처리되어 포장에 방출된다.16 and 17, the curved portion of the package is cut by the preload portion 1003, and the base of the cut pieces is cut into the feed chain 1009 provided in the tilting apparatus 1005 And the trailing edge of the curved portion is tumbled by the tumbling device 1005. [ Curled grains thrown and recovered by the threshing apparatus 1005 are supplied to the grain tank 1007 and the discharged straw finished with the threshing treatment is supplied to the discharge straw shedding apparatus 1006 and is treated as a sediment and discharged into the package.

(예취부, 탈곡 장치 및 배출 짚 세단 장치의 조작계의 개요)(Outline of the operation system of the installation part, the threshing device and the exhaust straw saddle device)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1003)에 동력을 전동 및 차단하여 예취부(1003)를 작동 및 정지시키는 예취 클러치(1010)가 구비되고, 탈곡 장치(1005) 및 배출 짚 세단 장치(1006)에 동력을 전동 및 차단하여, 탈곡 장치(1005) 및 배출 짚 세단 장치(1006)를 작동 및 정지시키는 탈곡 클러치(1011)가 구비되어 있다. 예취 클러치(1010) 및 탈곡 클러치(1011)를 입력 상태 및 단절 상태로 조작하는 전동 모터(1012)(액추에이터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22, there is provided a cut-off clutch 1010 for operating and stopping the pre-loading unit 1003 by transmitting and interrupting the power to the pre-loading unit 1003, 1006 are provided with a thresher clutch 1011 for driving and stopping the threshing device 1005 and the exhaust straw shedding device 1006. [ An electric motor 1012 (corresponding to an actuator) for operating the cut-off clutch 1010 and the descending clutch 1011 in the input state and the disconnected state is provided.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4)가 요동 축심 P1001 주위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고, 조작 레버(1014)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가 구비되어 있고,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의 검출 신호가 제어 장치(1013)에 입력되고 있다.There is provided a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1015 which is supported so that the operation lever 1014 can swing about the pivot axis P1001 and detects the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lever 1014, And the detection signal of the angle detection sensor 1015 is inputted to the control device 1013. [

이에 의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1013)로부터 전동 모터(1012)에 조작 지령이 출력되어, 전동 모터(1012)가 예취 클러치(1010) 및 탈곡 클러치(1011)를 이하와 같이 입력 상태 및 단절 상태로 조작한다(작업 장치의 작업 상태가 액추에이터에 의해 변경되는 상태에 상당).22, an operation command is outputted from the control device 1013 to the electric motor 1012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signal of the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1015, so that the electric motor 1012 is cut off The clutch 1010 and the thresher clutch 1011 are operated in the input state and the disconnection state as follows (equivalent to a state in which the working state of the working device is changed by the actuator).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4)를 단절 위치 AA100(조작 위치에 상당)로 조작하면, 예취 클러치(1010) 및 탈곡 클러치(1011)의 양쪽이 단절 상태로 조작된다.As shown in Fig. 22, when the operation lever 1014 is operated at the disconnection position AA100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osition), both of the cut-off clutch 1010 and the descending clutch 1011 are operated in the disconnected state.

조작 레버(1014)를 제1 위치 A1001(조작 위치에 상당)로 조작하면, 예취 클러치(1010)가 단절 상태로 조작되고, 탈곡 클러치(1011)가 입력 상태로 조작된다.When the operating lever 1014 is operated to the first position A1001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 sheathed clutch 1010 is operated in the disengaged state and the descending clutch 1011 is operated in the input state.

조작 레버(1014)를 제2 위치 A1002(조작 위치에 상당)로 조작하면, 예취 클러치(1010) 및 탈곡 클러치(1011)의 양쪽이 입력 상태로 조작된다.When the operation lever 1014 is operated to the second position A1002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osition), both the cut clutch 1010 and the thresher clutch 1011 are operated in the input state.

(조작 레버의 상세 구조)(Detailed structure of operation lever)

도 16, 도 17,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1004)에 있어서, 운전 좌석(1016)의 횡측에 조작 패널(1017)이 구비되어 있다. 조작 레버(1014)가 조작 패널(1017)에 배치되어 있고, 조작 패널(1017)의 안내 구멍(1017a)을 통해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6, 17 and 18, the operation panel 1004 is provided with the operation panel 1017 on the lateral side of the driver's seat 1016. Fig. An operation lever 1014 is disposed on the operation panel 1017 and extends upward through the guide hole 1017a of the operation panel 1017. [

도 16, 도 17,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용의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는 변속 레버(1018)가, 조작 레버(1014)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있고, 변속 레버(1018)가 조작 패널(1017)의 안내 구멍(1017b)을 통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6, 17 and 18, a shift lever 1018 for operating a constant-hydraulic-type stepless transmission (not shown) for running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operation lever 1014, The shift lever 1018 extends upward through the guide hole 1017b of the operation panel 1017. [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017)의 내부에 있어서, 고정의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종방향의 지지 부재(1019)에, 원통형의 지지 부재(1020)가 좌우 방향의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조작축(1021)이 니들 베어링(1022)에 의해 지지 부재(10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9, 20, and 21, in the inside of the operation panel 1017, a cylindrical support member 1020 (not shown) is attached to a longitudinal support member 1019 connected to a fixed frame And the operation shaft 1021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support member 1020 by a needle bearing 1022. The operation shaft 1021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020 by a needle bearing 1022. [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1021)의 운전 좌석(1016)측의 단부에, 조작 레버(1014)가 연결되어 있고, 조작 레버(1014)가 조작축(1021)의 축심인 횡방향의 요동 축심 P1001 주위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An operation lever 1014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operation shaft 1021 on the operation seat 1016 side and the operation lever 1014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shaft 1021 Which is the center of the pivotal axis P1001.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4)는 조작축(1021)의 운전 좌석(1016)측의 단부에 연결되어 조작축(1021)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아암부(1014a)와, 제1 아암부(1014a)의 상측 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운전 좌석(1016)측으로 연장되는 제2 아암부(1014b)와, 제2 아암부(1014b)의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3 아암부(1014c)와, 제3 아암부(1014c)의 상부에 연결되는 파지부(1014d)가 구비되어 있다.The operation lever 1014 is connected to the end on the operation seat 1016 side of the operation shaft 1021 and extends upward from the operation shaft 1021, A second arm portion 1014b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arm portion 1014a toward the operation seat 1016 and a second arm portion 1014b extending upward from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arm portion 1014b, And a grip portion 1014d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third arm portion 1014c.

도 19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1021)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016)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스토퍼 링(1023)이 설치되어 있고, 조작 레버(1014)의 제1 아암부(1014a) 및 스토퍼 링(1023)에 의해, 지지 부재(1020)에 있어서의 요동 축심 P1001의 방향에서의 조작축(1021)의 위치가 정해져 있다.19 and 21, a stopper ring 1023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operation shaft 1021 opposite to the driving seat 1016, and a stopper ring 1023 is provided on the end portion of the operation lever 1014,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shaft 1021 in the direction of the swing axis P1001 of the support member 1020 is determined by the arm portion 1014a and the stopper ring 1023. [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020)의 운전 좌석(1016)측의 단부에 있어서, 지지 부재(1020)와 조작축(1021) 사이의 링 형상의 간극이, 조작 레버(1014)의 제1 아암부(1014a)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지지 부재(1020)의 운전 좌석(1016)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지지 부재(1020)와 조작축(1021) 사이의 링 형상의 간극이, 스토퍼 링(1023)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20 and 21, a ring-shaped gap between the support member 1020 and the operation shaft 1021 at the end on the driver's seat 1016 side of the support member 1020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lever 1014 are closed by the first arm portion 1014a. The ring shaped gap between the support member 1020 and the operation shaft 1021 is blocked by the stopper ring 1023 at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1020 opposite to the operation seat 1016. [

이에 의해, 지지 부재(1020)와 조작축(1021) 사이의 간극에의 먼지 등의 인입이, 조작 레버(1014)의 제1 아암부(1014a) 및 스토퍼 링(1023)에 의해 방지되는 것이며, 니들 베어링(1022)이 보호된다.This prevents dust or the like from entering the gap between the support member 1020 and the operation shaft 1021 by the first arm portion 1014a and the stopper ring 1023 of the operation lever 1014, The needle bearing 1022 is protected.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4)의 제1 아암부(1014a) 및 제2 아암부(1014b)가 조작 패널(1017)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1014)의 제3 아암부(1014c)가 조작 패널(1017)의 안내 구멍(1017a)을 통해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조작 레버(1014)의 파지부(1014d)가 조작 패널(1017)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arm portion 1014a and the second arm portion 1014b of the operation lever 1014 are disposed inside the operation panel 1017 as shown in Figs. The third arm portion 1014c of the operation lever 1014 is extended upward through the guide hole 1017a of the operation panel 1017 and the grip portion 1014d of the operation lever 1014 is moved upward by the operation panel 1017. [ As shown in Fig.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4)의 파지부(1014d)를 잡고 전후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조작 레버(1014)를 요동 축심 P1001 주위로 요동 조작할 수 있는 것이며, 조작 레버(1014)를 단절 위치 AA100, 제1 위치 A1001 및 제2 위치 A1002로 조작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swing the operation lever 1014 around the swing axis P1001 by holding the grip portion 1014d of the operation lever 1014 and operating i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s shown in Figs. 19, 20, , The operation lever 1014 can be operated at the disconnection position AA100, the first position A1001, and the second position A1002.

(회전 각도 검출 센서의 상세 구조)(Detailed structure of rotation angle detecting sensor)

도 19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채널 형상의 지지 부재(1024)가 지지 부재(1019)에 연결되어 있고, 포텐시오미터 형식의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가 지지 부재(1024)에 볼트(1025)에 의해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19 and 21, a channel-shaped support member 1024 in plan view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1019, and a potentiometer-type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1015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102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means of bolts 1025.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1021)의 운전 좌석(1016)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요동 축심 P1001과 동심상의 오목부(1021a)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의 검출축(1015a)이 조작축(1021)의 오목부(1021a)에 삽입되고, 접속 부재(1026)를 통해 조작축(1021)과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1, a concave portion 1021a concentric with the swing axis P100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operating shaft 1021 on the side opposite to the driving seat 1016. [ The detection shaft 1015a of the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1015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1021a of the operation shaft 1021 and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shaft 1021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1026. [

이에 의해,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의 검출축(1015a)이 조작축(1021)과 동심상으로 배치되어,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가 요동 축심 P1001 상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조작 레버(1014)가 단절 위치 AA100, 제1 위치 A1001 및 제2 위치 A1002로 조작되면, 조작축(1021)을 통해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의 검출축(1015a)이 조작 레버(1014)와 일체로 회전 조작된다.19, 20, and 21, the detection shaft 1015a of the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1015 is disposed coaxially with the operation shaft 1021, and the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1015 Is disposed on the pivot axis P1001. The detection shaft 1015a of the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1015 is moved through the operation shaft 1021 to the operation lever 1014 and the second position A1002 when the operation lever 1014 is operated to the disconnection position AA100, And is integrally rotated.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4) 및 조작축(1021)의 회전 각도가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에 의해 검출되고,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의 검출 신호가 제어 장치(1013)에 입력된다.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의 검출 신호에, 단절 위치 AA100, 제1 위치 A1001 및 제2 위치 A1002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어 장치(1013)는 조작 레버(1014)가 단절 위치 AA100, 제1 위치 A1001 및 제2 위치 A1002로 조작된 것을 판별한다.The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lever 1014 and the operation shaft 1021 is detected by the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1015 and the detection signal of the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1015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1013 . The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sconnection position AA100, the first position A1001 and the second position A1002 is included i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1015. Therefore, the control device 1013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lever 1014 is in the disengaged position AA100 , The first position A1001 and the second position A1002 are operated.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013)로부터 전동 모터(1012)에 조작 지령이 출력되어, 전동 모터(1012)가 예취 클러치(1010) 및 탈곡 클러치(1011)를 입력 상태 및 단절 상태로 조작한다.Thereby, as described above, an operation command is outputted from the control device 1013 to the electric motor 1012 so that the electric motor 1012 operates the cut-off clutch 1010 and the descending clutch 1011 in the input state and the disconnection state do.

(디텐트 기구의 상세 구조)(Detailed structure of detent mechanism)

전술한 바와 같은 조작 레버(1014)에 있어서, 조작 레버(1014)를 단절 위치 AA100, 제1 위치 A1001 및 제2 위치 A1002로 유지하는 디텐트 기구(1027)가 구비되어 있다.The detent mechanism 1027 for holding the operation lever 1014 at the disconnection position AA100, the first position A1001, and the second position A1002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lever 1014 as described above.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019)의 하부로부터 지지부(1019a)가 조작 레버(1014)측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디텐트판(1028)이 지지 부재(1019)의 지지부(1019a)에 볼트(1029)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디텐트판(1028)이 구부러지면서 요동 축심 P1001을 가로질러, 조작 레버(1014)의 제2 아암부(1014b)의 하면 부근에까지 연장되어 있다.19, 20, and 21, the support portion 1019a extends laterall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1019 toward the operation lever 1014 side. The detent plate 1028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1019a of the support member 1019 by bolts 1029 and the detent plate 1028 is bent so as to extend across the pivotal axis P1001, And extend to the vicinity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rm portion 1014b.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텐트판(1028)의 상변부는, 측면에서 보아 요동 축심 P100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디텐트판(1028)의 상변부에, 3개의 오목부 형상의 노치부(1028a, 1028b, 1028c)가 형성되어 있다. 디텐트판(1028)의 노치부(1028a)가 단절 위치 AA100에 대응하고, 디텐트판(1028)의 노치부(1028b)가 제1 위치 A1001에 대응하고, 디텐트판(1028)의 노치부(1028c)가 제2 위치 A1002에 대응하고 있다.19, 20, and 21,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detent plate 1028 is formed in an arc shape centering on the swing axis P1001 as seen from the side,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detent plate 1028 Notch portions 1028a, 1028b, and 1028c are formed in three concave portions. The notch portion 1028a of the detent plate 1028 corresponds to the disconnection position AA100 and the notch portion 1028b of the detent plate 1028 corresponds to the first position A1001 and the notch portion 1028a of the detent plate 1028 corresponds to the non- And the second position 1028c corresponds to the second position A1002.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4)의 제2 아암부(1014b)에 있어서, 디텐트판(1028)의 상변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원통형의 지지 부재(1030)가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결되어 있다. 지지 부재(1030)의 하부에 볼 부재(1031)가 지지 부재(1030)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볼 부재(1031)를 돌출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032)이 지지 부재(1030)에 구비되어 있다.19, 20, and 21, in a portion of the second arm portion 1014b of the operation lever 1014 opposite to the upper side portion of the detent plate 1028, a cylindrical support member 1030 are connect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 ball member 1031 is movably and rotatably suppor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1030 along the support member 1030 and a spring 1032 for pressing the ball member 1031 against the projecting side is supported Member 1030 as shown in Fig.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4)를 요동 축심 P1001 주위로 요동 조작하면, 볼 부재(1031)가 디텐트판(1028)의 상변부를 타고 이동하는 상태로 되는 것이며, 볼 부재(1031)가 디텐트판(1028)의 노치부(1028a, 1028b, 1028c)에 들어가거나, 디텐트판(1028)의 노치부(1028a, 1028b, 1028c)로부터 나오거나 한다.19, 20, and 21, when the operation lever 1014 is pivoted about the pivot axis P1001, the ball member 1031 is moved in the state of moving on the upper side of the detent plate 1028 And the ball member 1031 enters the notched portions 1028a, 1028b and 1028c of the detent plate 1028 or comes out of the notch portions 1028a, 1028b and 1028c of the detent plate 1028.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4)를 단절 위치 AA100로 조작하면, 볼 부재(1031)가 디텐트판(1028)의 노치부(1028a)에 들어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조작 레버(1014)가 단절 위치 AA100에 유지된다.19, 20, and 21, when the operation lever 1014 is operated at the disconnection position AA100, the ball member 1031 is engaged with the notch portion 1028a of the detent plate 1028 , The operation lever 1014 is held at the disconnection position AA100.

조작 레버(1014)를 제1 위치 A1001로 조작하면, 볼 부재(1031)가 디텐트판(1028)의 노치부(1028b)에 들어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조작 레버(1014)가 제1 위치 A1001에 유지된다.When the operation lever 1014 is operated to the first position A1001, the ball member 1031 is engaged with the notch portion 1028b of the detent plate 1028 so that the operation lever 1014 is held at the first position A1001 do.

조작 레버(1014)를 제2 위치 A1002로 조작하면, 볼 부재(1031)가 디텐트판(1028)의 노치부(1028c)에 들어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조작 레버(1014)가 제2 위치 A1002에 유지된다.When the operation lever 1014 is operated to the second position A1002, the ball member 1031 is engaged with the notch portion 1028c of the detent plate 1028 so that the operation lever 1014 is held in the second position A1002 do.

이상과 같이, 디텐트 기구(1027)는 디텐트판(1028), 지지 부재(1030), 볼 부재(1031) 및 스프링(1032)을 구비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tent mechanism 1027 is provided with a detent plate 1028, a support member 1030, a ball member 1031, and a spring 1032.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텐트 기구(1027)는 조작 레버(1014)의 제1 아암부(1014a)의 측방 중 제1 아암부(1014a)에 대하여 제2 아암부(1014b)가 연장되는 측의 측방, 또한, 조작 레버(1014)의 제2 아암부(1014b)의 하방의 영역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19, 20, and 21, the detent mechanism 1027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arm portion 1014a of the operation lever 1014 with respect to the first arm portion 1014a, And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ide where the first arm 1014b extends and below the second arm 1014b of the operation lever 1014. [

(발명의 실시의 다른 형태)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

도 19, 도 20, 도 21에 있어서, 지지 부재(1030), 볼 부재(1031) 및 스프링(1032)을 조작 레버(1014)의 제1 아암부(1014a)에 횡방향으로 연결해도 된다.19, 20, and 21, the support member 1030, the ball member 1031, and the spring 103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rm portion 1014a of the operation lever 1014 in the lateral direction.

이 구조에 따르면, 디텐트판(1028)의 노치부(1028a, 1028b, 1028c)를 폐지하고, 디텐트판(1028) 횡면부의 단절 위치 AA100, 제1 위치 A1001 및 제2 위치 A100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면 된다. 이에 의해, 볼 부재(1031)가 디텐트판(1028)의 개구부에 들어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조작 레버(1014)가 단절 위치 AA100, 제1 위치 A1001 및 제2 위치 A1002에 유지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notched portions 1028a, 1028b, and 1028c of the detent plate 1028 are removed,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onnection position AA100, the first position A1001, and the second position A1002 of the transverse portion of the detent plate 1028 (Not shown) may be formed. Thereby, the operation lever 1014 is held at the disconnection position AA100, the first position A1001, and the second position A1002 by engaging the ball member 1031 with the opening of the detent plate 1028.

조작 레버(1014)의 제1 아암부(1014a) 및 제2 아암부(1014b)에 의한 구부러짐 구조를 폐지하고, 조작축(1021)에 연결된 조작 레버(1014)를 곧게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해도 된다.The bending structure by the first arm portion 1014a and the second arm portion 1014b of the operation lever 1014 may be abolished so that the operation lever 1014 connected to the operation shaft 1021 may extend straight upward .

이 구조에 따르면, 조작축(1021)의 운전 좌석(1016)측[조작 레버(1014)측]의 단부에,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의 검출축(1015a)을 접속해도 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detection shaft 1015a of the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1015 may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operation shaft 1021 on the side of the operation seat 1016 (on the side of the operation lever 1014).

디텐트 기구(1027)에 있어서, 디텐트판(1028)을 조작 레버(1014)에 구비하고, 지지 부재(1030), 볼 부재(1031) 및 스프링(1032)을 지지 부재(1019)에 구비해도 된다.In the detent mechanism 1027, the detent plate 1028 may be provided in the operation lever 1014 and the support member 1030, the ball member 1031 and the spring 1032 may be provided on the support member 1019 do.

이 구조에 따르면, 위치 고정의 지지 부재(1030), 볼 부재(1031) 및 스프링(1032)에 대하여, 디텐트판(1028)이 조작 레버(1014)와 함께 요동 조작되는 상태로 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detent plate 1028 is pivoted together with the operation lever 1014 with respect to the position-fixing supporting member 1030, the ball member 1031 and the spring 1032.

예취부(1003), 탈곡 장치(1005) 및 배출 짚 세단 장치(1006)뿐만 아니라, 곡립 배출 장치(1008)를 작업 장치로 하여, 곡립 배출 장치(1008)에 동력을 전동 및 차단하는 배출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액추에이터에 의해 입력 상태 및 단절 상태로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A discharge clutch (not shown) that transmits and blocks the power to the grain discharging device 1008 using the grain discharging device 1008 as a working device as well as the preloading portion 1003, the threshing device 1005 and the discharge straw shedding device 1006 (Not shown) may be operated by an actuator in an input state and a disconnected state.

이 구조에 따르면, 조작 레버(1014)에 대하여 단절 위치 AA100, 제1 위치 A1001 및 제2 위치 A1002 이외에, 배출 클러치에 대응한 조작 위치가 추가된다. 작업 장치를 곡립 배출 장치(1008)의 하나로 하면, 조작 레버(1014)에 대하여 배출 클러치의 단절 위치 및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2개의 조작 위치가 설정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disengagement position AA100, the first position A1001, and the second position A1002, an opera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clutch is added to the operation lever 1014. When the working device is one of the grained discharge devices 1008, two operation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disconnection position and the input position of the discharge clutch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lever 1014 are set.

요동 축심 P1001 및 조작축(1021)을 좌우 방향의 횡방향이 아니고, 전후 방향의 횡방향으로 배치해도 된다.The pivot axis P1001 and the operation shaft 1021 may be arranged not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but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 구조에 따르면, 조작 레버(1014)를 좌우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므로, 조작 레버(1014)를 운전 좌석(1016)의 횡측의 조작 패널(1017)이 아니라, 운전 좌석(1016)의 전방측의 조작 패널에 구비해도 좋다.The operation lever 1014 is operated not on the operation panel 1017 on the lateral side of the driver's seat 1016 but on the front side of the driver's seat 1016 Panel.

1개의 전동 모터(1012)에 의해 예취 클러치(1010) 및 탈곡 클러치(1011)의 양쪽을 입력 상태 및 단절 상태로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 장치의 각각에 작업 상태를 변경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해도 된다.An actuator for changing the working state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work devices instead of operating both of the cut clutch 1010 and the thresher clutch 1011 with one electric motor 1012 in the input state and the disconnected state.

전동 모터(1012) 대신에, 전동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를 액추에이터로서 사용해도 된다.Instead of the electric motor 1012, an electric cylinder (not shown) may be used as an actuator.

(조작 레버의 다른 구조)(Other structure of operation lever)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조작 레버(1014)의 구조 대신에, 도 23, 도 24, 도 25에 도시한 조작 레버(1051)의 구조도 생각된다.Instead of the structure of the operation lever 1014 shown in Figs. 19, 20, and 21, the structure of the operation lever 1051 shown in Figs. 23, 24, and 25 is also conceivable.

도 23, 도 24,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017)의 내부에 있어서, 고정의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평판 형상의 지지판(1040)이 연결되어 있고, 지지판(1040)의 단부가 상향으로 구부러져, 종벽부(1040a)가 전후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1040)의 종벽부(1040a)를 따라서 가이드 부재(1041)가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3, 24, and 25, a plate-shaped support plate 1040 is connected to a fixed frame (not shown) inside the operation panel 1017, The end portion is bent upward, and the vertical wall portion 1040a is form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guide member 1041 is connected along the vertical wall portion 1040a of the support plate 1040. [

2개의 리미트 스위치(1052, 1053)가,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지지판(1040)에 연결되어 있고, 리미트 스위치(1052, 1053)의 검출 신호가 도 22에 도시한 제어 장치(1013)에 입력된다.Two limit switches 1052 and 1053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1040 so as to be arranged in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and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limit switches 1052 and 1053 are inputted to the control apparatus 1013 shown in Fig.

앵글 형상의 지지판(1042)이 지지판(1040)의 종벽부(1040a)에 연결되고, 원통형의 지지 부재(1043)가 지지판(1042)에 좌우 방향을 따라서 연결되어 있다. 지지 부재(1043)의 단부에 볼 부재(1044)가 지지 부재(1043)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볼 부재(1044)를 돌출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045)이 지지 부재(1043)에 구비되어 있다.An angle-shaped support plate 1042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wall portion 1040a of the support plate 1040 and a cylindrical support member 1043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1042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 ball member 1044 is movably and rotatably supported at the end of the support member 1043 along the support member 1043 and a spring 1045 for pressing the ball member 1044 toward the projecting side is supported And is provided on the member 1043.

판재를 구부려서 형성된 조작판(1046)이 구비되어 있다. 조작판(1046)은 저판부(1047), 저판부(1047)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종벽부(1048), 종벽부(1048)로부터 횡측으로 연장된 상측부(1049), 상측부(1049)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종벽부(1050)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판(1046)의 저판부(1047)에, 조작 레버(1051)가 구비되어 있고, 조작판(1046)의 종벽부(1050)에, 3개의 개구부(1050a, 1050b, 1050c)가 소정 간격을 두고 개구되어 있다.And an operation plate 1046 formed by bending a plate material. The operation plate 1046 includes a bottom plate portion 1047, a vertical wall portion 1048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plate portion 1047, an upper side portion 1049 extending transversely from the vertical wall portion 1048, And a vertical wall portion 1050 extending downward. The bottom plate portion 1047 of the operation plate 1046 is provided with the operation lever 1051 and the three opening portions 1050a, 1050b and 1050c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rtical wall portion 1050 of the operation plate 1046 And is open.

조작판(1046)의 상측부(1049) 및 종벽부(1048, 1050)가, 지지판(1040)의 종벽부(1040a) 및 가이드 부재(1041)에 상측으로부터 씌워지도록 하여, 조작판(1046)이 지지판(1040)에 설치되어 있고, 조작판(1046)이 지지판(1040)의 종벽부(1040a) 및 가이드 부재(1041)를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upper plate portion 1049 and the vertical wall portions 1048 and 1050 of the operation plate 1046 are cover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vertical wall portion 1040a and the guide member 1041 of the support plate 1040 so that the operation plate 1046 And the operation plate 1046 is supported so as to be slid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wall portion 1040a and the guide member 1041 of the support plate 1040. [

조작 레버(1051)에 의해 조작판(1046)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조작판(1046)의 종벽부(1050)의 단부(1050d)가, 리미트 스위치(1052, 1053)에 접촉하거나 이격하거나 하여, 리미트 스위치(1052, 1053)가 입력 상태 및 단절 상태로 조작된다.When the operation plate 1046 is sli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operation lever 1051, the end portion 1050d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1050 of the operation plate 1046 contacts or is spaced from the limit switches 1052 and 1053 The limit switches 1052 and 1053 are operated in the input state and the disconnected state.

이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1052, 1053)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도 22에 도시한 전동 모터(1012)에 의해, 이하의 설명과 같이 예취 클러치(1010) 및 탈곡 클러치(1011)가 입력 상태 및 단절 상태로 조작된다.Thereby,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limit switches 1052 and 1053, the cut-off clutch 1010 and the thresher clutch 1011 are switched between the input state and the coasting state by the electric motor 1012 shown in Fig. It is operated in the disconnected state.

도 23 및 도 25에 도시한 상태는, 조작 레버(1051)를 단절 위치 AA100로 조작하고 있는 상태이며, 볼 부재(1044)가 조작판(1046)의 종벽부(1050)의 개구부(1050a)에 들어가 걸림 결합하여, 조작 레버(1051)가 단절 위치 AA100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이다.The state shown in Figs. 23 and 25 is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lever 1051 is being operated at the disconnection position AA100 and the ball member 1044 is located in the opening 1050a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1050 of the operation plate 1046 And the operation lever 1051 is held at the disconnection position AA100.

도 23 및 도 25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조작판(1046)의 종벽부(1050)의 단부(1050d)가, 리미트 스위치(1052, 1053)의 양쪽으로부터 이격되어, 리미트 스위치(1052, 1053)의 양쪽이 단절 상태로 되어 있어, 예취 클러치(1010) 및 탈곡 클러치(1011)의 양쪽이 단절 상태로 조작된다.The end portions 1050d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1050 of the operation plate 1046 are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limit switches 1052 and 1053 so that the limit switches 1052 and 1053, Both of the cut-off clutch 1010 and the thresher clutch 1011 are operated in the disconnected state.

조작 레버(1051)를 제1 위치 A1001로 조작하면, 볼 부재(1044)가 조작판(1046)의 종벽부(1050)의 개구부(1050b)에 들어가 걸림 결합하여, 조작 레버(1051)가 제1 위치 A1001에 유지된다.When the operation lever 1051 is operated to the first position A1001, the ball member 1044 engages with the opening 1050b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1050 of the operation plate 1046 to engage the operation lever 1051, And is held at the position A1001.

이 상태에 있어서, 조작판(1046)의 종벽부(1050)의 단부(1050d)가 리미트 스위치(1052)에 접촉하여, 리미트 스위치(1052)가 입력 상태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1052)가 입력 상태, 리미트 스위치(1053)가 단절 상태로 되어, 탈곡 클러치(1011)가 입력 상태로 조작된다.In this state, the end portion 1050d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1050 of the operation plate 1046 contacts the limit switch 1052, and the limit switch 1052 is operated to the input state. Thereby, the limit switch 1052 is in the input state and the limit switch 1053 is in the disengaged state, and the descending clutch 1011 is operated in the input state.

조작 레버(1051)를 제2 위치 A1002로 조작하면, 볼 부재(1044)가 조작판(1046)의 종벽부(1050)의 개구부(1050c)에 들어가 걸림 결합하여, 조작 레버(1051)가 제2 위치 A1002에 유지된다.When the operation lever 1051 is operated to the second position A1002, the ball member 1044 engages with the opening 1050c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1050 of the operation plate 1046 to engage the operation lever 1051, And held at position A1002.

이 상태에 있어서, 조작판(1046)의 종벽부(1050)의 단부(1050d)가 리미트 스위치(1053)에 접촉하여, 리미트 스위치(1053)가 입력 상태로 조작되는 것이며, 조작판(1046)의 종벽부(1050)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1052)는 입력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1052, 1053)의 양쪽이 입력 상태로 되어, 예취 클러치(1010) 및 탈곡 클러치(1011)의 양쪽이 입력 상태로 조작된다.In this state, the end portion 1050d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1050 of the operation plate 104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imit switch 1053 and the limit switch 1053 is operated to the input state. The limit switch 1052 is kept in the input state by the vertical wall portion 1050. [ As a result, both of the limit switches 1052 and 1053 enter the input state, and both of the cut-off clutch 1010 and the thresher clutch 1011 are operated in the input state.

본 발명은 자탈형의 콤바인뿐만 아니라, 보통형의 콤바인, 사탕수수 수확기, 옥수수 수확기, 조사료나 혼합 사료용의 작물을 수확하고 세단하여 롤 형상으로 곤포하는 사료 수확기 등의 수확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harvesters such as ordinary combine harvesters, sugar cane harvesters, corn harvesters, and feed harvesters for harvesting and sowing crops for forage or mixed feeds and wrapping them in roll form.

1 : 기체 본체
2 : 주행 장치
4 : 운전부
12 : 브레이크 조작구(브레이크 페달)
14 : 바닥부
17 : 조작구측 부분
18 : 제2 부재(이동 부재, 롤러 부재)
19 : 브레이크측 부분
19b : 제1 부재(상면부, 면 부재)
21 : 링크 기구
21A : 링크 기구
22 : 주차 브레이크
25 : 유지 부재
26 : 가압 부재(스프링)
27 : 유지 기구
28 : 해제 조작구
56 : 아암 부재
56a : 제1 부재(면 부재, 하단면)
57 : 관통 구멍
59 : 요동 부재
65 : 제2 부재(입력 핀 부재, 이동 부재)
66 : 작용부(출력 핀 부재)
A1 : 통상 자세
A2 : 메인터넌스 자세
C1 :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
C2 :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
P3 : 축심(횡축심)
X : 제1 축심
Y : 제2 축심
1003, 1005, 1006 : 작업 장치
1004 : 운전부
1012 : 액추에이터
1014 : 조작 레버
1014a : 제1 아암부
1014b : 제2 아암부
1014d : 파지부
1015 : 회전 각도 검출 센서
1017 : 조작 패널
1027 : 디텐트 기구
AA100, A1001, A1002 : 조작 위치
P1001 : 요동 축심
1:
2: Driving device
4:
12: Brake operation (Brake pedal)
14:
17:
18: second member (moving member, roller member)
19: Brake side portion
19b: first member (upper surface portion, surface member)
21: Link mechanism
21A: Link mechanism
22: Parking brake
25: Retaining member
26: pressing member (spring)
27: Retainer
28: Release mechanism
56: arm member
56a: first member (face member, lower end face)
57: Through hole
59:
65: second member (input pin member, moving member)
66: working portion (output pin member)
A1: Normal posture
A2: Maintenance attitude
C1: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C2: Direction of initial movement of the operation part
P3: Axial center (axis of abutment)
X: First axis
Y: 2nd axis
1003, 1005, 1006: working device
1004:
1012: Actuator
1014: Operation lever
1014a: first arm portion
1014b:
1014d:
1015: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1017: Operation panel
1027: Detent mechanism
AA100, A1001, A1002: Operation position
P1001: Shaking axis

Claims (10)

운전부가, 주행 시의 통상 자세와 상기 통상 자세로부터 이격된 메인터넌스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한 상태에서 기체 본체에 지지된 수확기이며,
상기 기체 본체에 지지되며, 주행 장치를 제동하는 주차 브레이크와,
상기 운전부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브레이크 조작구와,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와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연계하는 링크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링크 기구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측의 조작구측 부분과 상기 주차 브레이크측의 브레이크측 부분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로부터 상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면, 상기 조작구측 부분과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이 분리되어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와 상기 주차 브레이크의 연계가 해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구측 부분 및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 중 한쪽에 면 부재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조작구측 부분 및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 중 다른 쪽에 이동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일 때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면 부재 상을 이동하여, 상기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로부터 상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상기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과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이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수확기.
The driving unit is a harvester supported on the bas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can be changed to a normal posture during running and a maintenance posture spaced from the normal posture,
A parking brake supported by the base body for braking the traveling device,
A brake operating part installed in the operating part and operating the parking brake;
And a link mechanism that links the brake operating member and the parking brake,
Wherein the link mechanism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port side portion on the brake operation port side and a brake-side portion on the parking brake side in a detachable manner,
Wherein when the operating portion is changed from the normal attitude to the maintenance attitude side, the operating-port side portion and the brake-side por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linkage between the brake operating port and the parking brake is released,
A face member is provided on one of the operating-port side portion and the brake-side portion, and a mov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operation-port side portion and the brake-side portion,
When the brake operating section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when the operating section is in the normal posture, the shifting member is moved on the surface member, the parking brake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Wherein the direction of the initial movement of the operation section when the operation section starts to be changed from the normal posture to the maintenance posture side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cross each other.
운전부가, 주행 시의 통상 자세와 상기 통상 자세로부터 이격된 메인터넌스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한 상태에서 기체 본체에 지지된 수확기이며,
상기 기체 본체에 지지되며, 주행 장치를 제동하는 주차 브레이크와,
상기 운전부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브레이크 조작구와,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와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연계하는 링크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링크 기구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측의 조작구측 부분과 상기 주차 브레이크측의 브레이크측 부분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로부터 상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면, 상기 조작구측 부분과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이 분리되어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와 상기 주차 브레이크의 연계가 해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구측 부분 및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 중 한쪽에 제1 부재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조작구측 부분 및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 중 다른 쪽에 제2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일 때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접촉 압박 작용에 의해 상기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조작구측 부분 및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 중 한쪽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부재측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확기.
The driving unit is a harvester supported on the bas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can be changed to a normal posture during running and a maintenance posture spaced from the normal posture,
A parking brake supported by the base body for braking the traveling device,
A brake operating part installed in the operating part and operating the parking brake;
And a link mechanism that links the brake operating member and the parking brake,
Wherein the link mechanism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port side portion on the brake operation port side and a brake-side portion on the parking brake side in a detachable manner,
Wherein when the operating portion is changed from the normal attitude to the maintenance attitude side, the operating-port side portion and the brake-side por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linkage between the brake operating port and the parking brake is released,
A first member is provided on one of the operation port side portion and the brake side portion and a second member is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operation port side portion and the brake side portion,
The parking brake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by the contact pressing action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when the brake operating member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when the operation unit is in the normal posture,
Wherein the first member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second member side in one of the operation-port side portion and the brake-side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한쪽은, 면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다른 쪽은, 상기 면 부재 상을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일 때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면 부재 상을 이동하여, 상기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로부터 상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상기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과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이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수확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constituted by a surface member and the other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constituted by a moving member which is movable on the surface member,
When the brake operating section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when the operating section is in the normal posture, the shifting member is moved on the surface member, the parking brake is operated to the braking side,
Wherein the direction of the initial movement of the operation section when the operation section starts to be changed from the normal posture to the maintenance posture side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cross each other.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과 상기 이동 방향이 직교하고 있는, 수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direction of the initial movement of the operation section is orthogonal to the movement direction.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는,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의 조작부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는 기체 좌우 방향의 제1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고,
상기 조작구측 부분에, 상기 제1 축심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기체 전방측을 향하여 팽출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축심 주위로 상하로 요동하는 아암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운전부의 바닥부에, 상기 아암 부재가 관통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 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고,
상기 아암 부재의 하측의 단부에 상기 제1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수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Wherein the brake operating member is capable of swinging around a first axi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base body, which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brake operating member,
And an arm member swinging up and down around the first shaft center by an operation of the brake operating member, the arm member swinging up and down around the first shaft center, Respectively,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rm member passes is formed in a bottom portion of the operation unit, the arm memb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 first member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arm member.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에, 기체 좌우 방향의 제2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한 요동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요동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축심보다도 상측의 부분에,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한쪽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요동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축심보다도 하측의 부분에, 상기 주차 브레이크에 연계된 작용부가 구비되어 있는, 수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And a pivotal member capable of pivoting about a second axi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ase body is provided on the brake side portion,
Wherein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swinging member that is higher than the second axis and the portion of the swinging member which is lower than the second axis, The harvester has an action associated with the parking brak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롤러 부재인, 수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moving member is a roller member that rotates about an axis center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moving direc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를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지 기구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 또는 상기 조작구측 부분에 걸림 결합하여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를 상기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를 걸림 결합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유지 부재를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조작하는 해제 조작구가,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 또는 상기 조작구측 부분에 지지되어 있는, 수확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holding mechanism provided in the base body for holding the brake operating opening in a braking operation state,
A retaining member for retaining the brake operating port in the braking operation state by engaging with the brake operating port or the operating port side portion of the holding mechanism and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holding member to the engaging side,
And a release operation port for operating the retaining member to the engagement disengagement side is supported by the brake operation port or the operation port side portion.
운전부의 조작 패널에 배치되며, 횡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의 요동 조작에 의해 작업 장치의 작업 상태의 변경을 지령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조작 패널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 레버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 각도 검출 센서와,
상기 회전 각도 검출 센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장치의 작업 상태를 변경하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각도 검출 센서는, 상기 요동 축심 상에 배치되어 있는, 수확기.
An operation lever which is arranged on an operation panel of the operation section and which instructs a change of the working state of the work device by a swinging operation about a swinging central axis in a lateral direction,
A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disposed inside the operation panel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lever;
And an actuator for changing the working state of the working device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signal of the rotation angle detecting sensor,
Wherein the rotation angle detecting sensor is disposed on the swing axi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를 복수의 조작 위치에 유지하는 디텐트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 레버에, 파지부와, 상기 요동 축심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아암부와, 상기 제1 아암부의 상측 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는 제2 아암부가 구비되고,
상기 디텐트 기구는, 상기 제1 아암부의 측방 중 상기 제1 아암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아암부가 연장되는 측의 측방, 또한, 상기 제2 아암부의 하방의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아암부 또는 상기 제2 아암부에 걸림 결합하여, 상기 조작 레버를 위치 유지하는, 수확기.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detent mechanism for holding the operation lever at a plurality of operation positions,
Wherein the operation lever includes a grip portion, a first arm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swing axis, and a second arm portion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arm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The detent mechanism is disposed on a side of the side of the first arm portion where the second arm portion extends from the first arm portion and also in a region below the second arm portion, Or engages with the second arm portion to maintain the operating lever in position.
KR1020170172361A 2016-12-21 2017-12-14 Harvesting machine KR10260615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47613 2016-12-21
JPJP-P-2016-247612 2016-12-21
JP2016247612A JP6861024B2 (en) 2016-12-21 2016-12-21 Harvester
JP2016247613 2016-12-21
JPJP-P-2017-190588 2017-09-29
JP2017190588A JP6847014B2 (en) 2016-12-21 2017-09-29 Harve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557A true KR20180072557A (en) 2018-06-29
KR102606159B1 KR102606159B1 (en) 2023-11-27

Family

ID=62780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361A KR102606159B1 (en) 2016-12-21 2017-12-14 Harvesting mach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6159B1 (en)
CN (1) CN108207334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346954B2 (en) 2018-09-27 2022-05-19 Nanjing Chervon Industry Co., Ltd. Lawn mower
CN110945998A (en) 2018-09-27 2020-04-03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Grass cutter
USD995569S1 (en) 2019-04-18 2023-08-15 Nanjing Chervon Industry Co., Ltd. Mower blade assembly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941A (en) * 2000-01-07 2001-07-17 Kubota Corp Steering device for agricultural work machine
JP2005035484A (en) * 2003-07-18 2005-02-10 Kubota Corp Operation structure of working vehicle
CN101138970A (en) * 2006-09-06 2008-03-12 株式会社久保田 Combined harvester
JP2008077178A (en) * 2006-09-19 2008-04-03 Kubota Corp Operation vehicle
JP4237310B2 (en) * 1998-11-20 2009-03-11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Combine parking brake mechanism
US7798939B2 (en) * 2005-10-03 2010-09-21 Mtd Products Inc Latching member for parking brake and cruise control
JP2011092093A (en) 2009-10-29 2011-05-12 Kubota Corp Combine harvester
JP2011178241A (en) * 2010-02-26 2011-09-15 Kubota Corp Brake structure of work vehicle
JP2012061977A (en) 2010-09-16 2012-03-29 Kubota Corp Working vehicle
JP5594461B2 (en) * 2010-03-12 2014-09-24 井関農機株式会社 Combin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259B1 (en) * 1999-09-27 2002-08-1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A riding-type paddy field working apparatus
JP2003127847A (en) * 2001-10-22 2003-05-08 Tokico Ltd Brake pedal device
KR100605009B1 (en) * 2004-12-27 2006-07-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Device of common-use pedal for vehicles
JP2008105537A (en) * 2006-10-25 2008-05-08 Yanmar Co Ltd Working vehicle with cabin
JP2012064152A (en) * 2010-09-17 2012-03-29 Kubota Corp Work vehicle
DE112013002305B4 (en) * 2012-05-03 2023-07-06 Ksr Ip Holdings Llc Pedal assembly for electronic braking system
CN103563554A (en) * 2012-08-06 2014-02-12 株式会社久保田 Corn harvesting machine and combine harvester
CN203020078U (en) * 2012-12-20 2013-06-26 三一集团有限公司 Clutch and brake pedal device and engineering vehicle
CN203211282U (en) * 2013-02-21 2013-09-25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Novel brake pedal structure
JP2015010478A (en) * 2013-06-26 2015-01-19 ヤンマー株式会社 Agricultural work vehicl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7310B2 (en) * 1998-11-20 2009-03-11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Combine parking brake mechanism
JP2001191941A (en) * 2000-01-07 2001-07-17 Kubota Corp Steering device for agricultural work machine
JP2005035484A (en) * 2003-07-18 2005-02-10 Kubota Corp Operation structure of working vehicle
US7798939B2 (en) * 2005-10-03 2010-09-21 Mtd Products Inc Latching member for parking brake and cruise control
CN101138970A (en) * 2006-09-06 2008-03-12 株式会社久保田 Combined harvester
JP2008077178A (en) * 2006-09-19 2008-04-03 Kubota Corp Operation vehicle
JP2011092093A (en) 2009-10-29 2011-05-12 Kubota Corp Combine harvester
JP2011178241A (en) * 2010-02-26 2011-09-15 Kubota Corp Brake structure of work vehicle
JP5594461B2 (en) * 2010-03-12 2014-09-24 井関農機株式会社 Combine
JP2012061977A (en) 2010-09-16 2012-03-29 Kubota Corp Working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07334A (en) 2018-06-29
KR102606159B1 (en) 2023-11-27
CN108207334B (en)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2557A (en) Harvesting machine
EP2650513B1 (en) Working machine
KR20180004043A (en) Working vehicle and combine
JP4690981B2 (en) Work vehicle
KR20190068437A (en) Combine
JP5185795B2 (en) Combine operating device
JP4420347B2 (en) Traveling lawn mower
JP6847014B2 (en) Harvester
JP4237310B2 (en) Combine parking brake mechanism
JPH09248041A (en) Combine
JP5262269B2 (en) Combine
CN102870532B (en) Rice transplanter
JP2006238800A (en) Walking type lawn mower
JP5192772B2 (en) Combine operating device
JPS5931469Y2 (en) Travel transmission structure of mobile agricultural machinery
JP4382628B2 (en) Combine
JP4245544B2 (en) Combine
JPS6040095Y2 (en) Combine operation lever device
JP7055110B2 (en) Working machine
JP7089704B2 (en) combine
KR20190068449A (en) Combine
JP2000316359A (en) Combine harvester
JPH0755877Y2 (en) Harvester
JPH0750897Y2 (en) Combine
JP2006238796A (en) Walking type lawn m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